KR2024005162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626A
KR20240051626A KR1020220131520A KR20220131520A KR20240051626A KR 20240051626 A KR20240051626 A KR 20240051626A KR 1020220131520 A KR1020220131520 A KR 1020220131520A KR 20220131520 A KR20220131520 A KR 20220131520A KR 20240051626 A KR20240051626 A KR 20240051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ce
refrigerator
spac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서창호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1626A/ko
Priority to PCT/KR2023/012540 priority patent/WO2024080534A1/ko
Publication of KR2024005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실을 커버하는 제빙실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인 도어; 및 상기 메인 도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통상 냉장고의 냉동실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기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킨 후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한다.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아이스 빈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에 보관된 얼음은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통해서 배출되거나,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열고 상기 아이스 빈에 접근하여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을 꺼낼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6659호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 하방의 냉동실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좌우양측에 한쌍이 배치되며, 어느 일측에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메인 워터탱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장치;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추가 냉각시키는 서브 워터탱크; 상기 정수장치, 메인 워터탱크, 서브 워터탱크, 디스펜서 및 아이스 메이커를 연통시키는 급수유로; 상기 냉장실 도어의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정수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 또는 아이스 메이커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분지 밸브를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디스펜서의 후측에 서브 워터탱크와 분지 밸브가 구비되므로, 디스펜서 후측의 공간을 별도의 저장공간이나 제빙실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선행문헌의 경우, 하나의 아이스메이커를 냉장실 도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한 종류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을 뿐, 필요에 따라서 다수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는, 디스펜서의 후측에 특정 용도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상기 공간에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상기 공간에서 생성된 얼음을 사용자가 쉽게 꺼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상기 공간에서 생성된 얼음을 꺼내는 과정에서 냉기 유출이 최소화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상기 공간의 일부를 형성함에 따라서, 상기 공간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의 금형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디스펜서의 후방에 배치되는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공간을 커버하는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도어는,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인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디스펜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빙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는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실을 커버하는 제빙실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제빙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인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빙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는, 도어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도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제빙실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제빙실의 다른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에는 함몰된 형태의 도어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는 상기 도어 수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수용부에 상기 서브 도어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도어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돌출부는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 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은 상기 서브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아이스 빈이 상기 도어 개구를 통해 상기 제빙실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아이스 빈이 상기 도어 개구를 통해 상기 제빙실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아이스 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의 좌우 길이 및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의 좌우 길이 및 상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서브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레버와 결합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레버가 위치되기 위한 함몰된 형태의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파지부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제빙기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최대 함몰 깊이는 상기 서브 도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제 2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다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제 2 공간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다이크의 돌출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제빙실을 커버하는 제빙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도어는,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내에 제빙기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기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에는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아이스 빈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제빙기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아이스 빈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의 수평 중심선은 상기 함몰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상기 제빙셀의 수직 중심선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셀의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제빙실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 단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의 수평 중심선은 상기 진공 단열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진공 단열체의 일부는 상기 제빙실의 바닥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제 1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제 2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공간을 개폐하는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1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1 제빙셀을 포함하는 제 1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2 제빙셀을 포함하는 제 2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서 생성되는 얼음과 상기 제 2 공간에 생성되는 얼음의 종류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에 생성된 얼음은 상기 공간 도어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과 상기 제 2 공간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이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와 상기 제 2 공간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제 1 공간; 상기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얼음이 생성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1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1 제빙셀을 제공하는 제 1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 1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2 제빙셀을 제공하는 제 2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 2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도록 제공되는 제 1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품은, 디스펜서, 공간 도어 또는 아이스 빈 등을 포함할 수 잇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도록 제공되는 제 2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품은, 디스펜서, 공간 도어 또는 아이스 빈 등을 포함할 수 잇다.
상기 제 1 부품 및 상기 제 2 부품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르게 제공되거나 서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 생성되는 얼음은 상기 제 2 공간에 생성되는 얼음과 종류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간에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 크기, 투명도, 색상, 강도는 상기 제 1 공간에 생성되는 얼음과 다를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는 다른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 혹은 관통공은 상기 제 1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 혹은 관통공은 제 2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면은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폐쇄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냉장고의 외부공간에 노출되는 면(일례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면은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는 위치에 있을 ‹š,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면(일례로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제 1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저장실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은 상기 제 1 도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2 도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은 각각 상기 제 1 도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은 각각 상기 제 2 도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제거되는 과정과 상기 제 2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제거되는 과정이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트레이는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는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된 적어도 일부는 복원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제 2 제빙셀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전면, 후면, 측면, 상면,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품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면, 후면, 측면, 상면, 하면 중에서 서로 같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제 1 부품이 이동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 1 부품이 이동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부품이 가지는 특징(일례로 색상, 투명도, 위치 등)이 변화되면, 상기 제2부품이 가지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을 구획하는 벽과 상기 제 2 공간을 구획하는 벽의 적어도 일부는 공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와 상기 제 2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공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관통공과 상기 제 2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관통공의 적어도 일부는 공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벽과 상기 제 2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벽의 적어도 일부는 공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품을 구성하는 서브부품(일례로, 힌지, 핸들, 가스켓, 캡 덕트,슈트, 퍼넬, 스위치 패드, 센서, 단열재, 구동 수단 등)과 상기 제 2 부품을 구성하는 서브 부품(일례로, 힌지, 핸들, 가스켓, 캡덕트, 슈트, 퍼넬, 스위치패드, 센서, 단열재, 구동 수단 등)의 적어도 일부는 공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전면, 후면, 측면, 상면,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를 위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2 제빙기를 위한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면, 후면, 측면, 상면, 하면 중에서 서로 같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 상기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빙셀을 제공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공간을 걔폐하는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도어는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벽과 접촉 및 분리 가능도록 제공되는 경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에는 가스켓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기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아이스 빈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도어는 상기 제빙기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아이스 빈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의 수평 중심선은 상기 함몰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상기 제빙셀의 수직 중심선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셀의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얼음이 생성되며 상기 공간과는 다른 위치에 제공되는 추가적인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추가적인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빙셀을 제공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추가적인 제빙기를 미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추가적인 제빙기의 제빙셀을 미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디스펜서의 후측에 특정 용도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후측의 공간에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공간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빈이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서, 도어 개방에 의해서 사용자가 쉽게 아이스 빈의 얼음을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에 아이스 빈이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므로 냉기 유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상기 공간의 일부를 형성함에 따라서, 상기 공간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의 금형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
도 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의 배면도.
도 8은 도 4의 8-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10-1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에서 제 2 아이스 빈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의 사시도.
도 16은 도 12의 16-1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7은 도 12의 17-17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8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20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동실(19)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는 상기 저장실이 냉장실(18)과 냉동실(19)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냉장실(18)은 하나 이상의 냉장실 도어(5)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9)은 하나 이상의 냉동실 도어(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8)은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상기 디스펜서(1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20)나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디스펜서(11)와 상기 제빙기는 동일한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상기 냉장고(1)가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인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사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나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또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의 경우, 냉동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거나 냉장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에 위치되며, 일부는 후방으로 함몰되어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1 제빙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2 제빙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가 복수의 제빙기(200, 50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적어도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도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상기 디스펜서(11)와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되더라도, 별도의 이송 기구에 의해서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1)로 이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1 디스펜서와,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2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디스펜서(11)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냉장실(18)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사이 공간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1 공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을 제 1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2 공간(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제 2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 공간(124)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공간(124)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 저장실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디스펜서(11) 측을 향하여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아이스 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아이스 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도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은 상기 제 1 제빙기(200)와 함께 상기 제 1 공간(1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함께 상기 제 2 공간(12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냉매 사이클과, 열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기 또는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로 안내하는 공급 유로(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서 배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19) 또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배출 유로(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유로(2a)와 상기 배출 유로(2b)는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입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공급 유로(2a)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출구(1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배출 유로(2b)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공급 유로(2a)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배출 유로(2b)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200)는 구 형태의 얼음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구 형태"는 기하학적으로 구 형태 뿐만 아니라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투명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빙기(200)의 구조 및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구조 및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빙기 들의 구조 및/또는 이빙 방식이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하는 제 1 공간(122)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하는 제 2 공간(124)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의 깊이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깊이 보다 깊을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의 깊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상기 일측면은, 전후 방향 폭이 다른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의 폭은 상기 제 1 측면부(102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의 폭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 보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 및 상기 냉기 출구(123b)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제 2 측면부(10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는 상기 제 1 측면부(102a) 보다 상기 냉장실(18)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공간(122)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30)(또는 제 1 공간 도어 또는 제 1 제빙실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32)(또는 제 2 공간 도어 또는 제 2 제빙실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어도 상기 제 2 도어(132)는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130, 132)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8)과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 간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힌지(도 6의 132a참조)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 2 도어(13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의 가변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130)에는 음식물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136)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3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일 측면(103)에는 도시되지 않은 필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필터 커버(14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도 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8-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10-1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132)는 회전 동작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힌지(132a)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도어(13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도어(13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가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상기 제 2 공간(124)에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132)를 개방시키면 사용자는 바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을 별도로 상기 제 2 공간에서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2 도어(132)가 상기 제 2 공간(124)을 닫기 위하여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일측벽(124a)에는 냉기가 유입되는 입구부(또는 제 1 관통공)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일측벽(124a)에는 냉기가 배출되는 출구부(126)(또는 제 2 관통공)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구부(126)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상기 제 2 공간(124)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제 1 프레임(1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제 1 프레임(1321)과 결합되는 제 2 프레임(1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21)은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13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프레임(1321)에서 상기 제 2 도어(132)의 외관을 형성하는 면을 전면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2)은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공간(124)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2)에서 상기 제 2 공간(124)을 바라보는 면을 후면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프레임(13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도어(132)에 결합되는 제 1 바디(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13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25)는 일례로 상기 제 2 프레임(123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복수의 결합 돌기(1325)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1325)는 일례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610)에는 상기 결합 돌기(1325)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612)은, 상기 결합 돌기(1325)의 일부가 위치되기 위한 제 1 부분(6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홀(612)은 상기 결합 돌기(1325))의 결합 과정에서 통로를 제공하는 제 2 부분(61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612b)의 직경은 상기 제 1 부분(612a)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25)는 상기 제 2 프레임(1322)에서 돌출되는 제 1 파트(132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25)는 상기 제 1 파트(1325a)에서 연장되는 제 2 파트(132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1325b)의 직경은 상기 제 1 파트(1325a)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1325b)가 상기 제 2 부분(612b)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파트(1325a)가 상기 제 1 부분(612b)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제 1 파트(1325a)가 상기 제 1 바디(610)에 걸려 상기 제 1 바디(610)가 상기 결합 돌기(1325)에 지지되면서 상기 결합 돌기(1325)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와 마주보는 제 2 바디(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614)의 상단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일측과 상기 제 2 바디(614)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3 바디(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타측과 상기 제 2 바디(614)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4 바디(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620)와 상기 제 4 바디(630)는 상단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620)와 상기 제 4 바디(630) 각각은 상기 제 1 바디(610)와 연결되는 제 1 상단부(621)와, 상기 제 2 바디(614)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상단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상단부(621)는 상기 제 2 상단부(62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620)는 상기 일측벽(124a)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620)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출구부(126)와 정렬되는 냉기 관통홀(62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형성하는 공간에 인입된 냉기는 상기 냉기 관통홀(623)을 통과하여 상기 출구부(126)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제 2 도어(132)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록킹부(66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2 도어(132)가 상기 제 2 공간(124)을 닫은 상태에서 제 1 냉장실 도어(1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잠금 상태).
사용자가 상기 록킹부(66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2 도어(132)와 제 1 냉장실 도어(1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132)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잠금 해제 상태).
상기 록킹부(660)는, 레버(6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661)는 상기 제 2 도어(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에는 상기 레버(661)의 회전을 위한 샤프트(132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661)의 회전 중심선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레버(661)는 상기 샤프트(1321b)가 결합되기 위한 샤프트 결합부(6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661)는 후크(6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레버(661)가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기 위한 레버 수용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수용부(127)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부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수용부(127)의 개구(127a)를 통해서 상기 레버(661)가 상기 레버 수용부(12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수용부(127)에는 상기 록킹부(660)의 후크(665)가 걸리기 위한 걸림 돌기(127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레버(661)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13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661)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21c)가 수용되는 가이드 슬롯(66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661)의 회전이 가이드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664)은 상기 샤프트(1321b)를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1c)는 상기 샤프트(1321b)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도어(132)는 함몰된 형태의 수용부(13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21a)는 상기 제 2 도어(132)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21a)는 일례로 상기 제 1 프레임(13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660)는, 상기 레버(6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지부(6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666)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6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661)는 상기 파지부(666)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6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62)는 상기 파지부(666)의 힌지부(667)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62)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66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666)는 일례로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66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666)의 회전 중심선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661)에 대한 상기 파지부(666)의 회전 방향은 상기 샤프트(663)에 대한 상기 레버(661)의 회전 방향과 다르다.
상기 파지부(666)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파지부(666)가 안착되는 안착홈(132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321d)은 일례로 상기 제 1 프레임(13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321d)은 일례로 상기 제 1 프레임(1321)의 전면이 상기 제 2 프레임(1322)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가스켓(13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은 상기 제 2 도어(132)가 상기 제 2 공간(124)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와 접촉되어 상기 제 2 공간(124)에서의 냉기 누설을 방지한다.
상기 가스켓(1329)은 일례로 상기 제 2 프레임(13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함몰부(13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323a)는 상기 제 2 프레임(1322)의 일부가 상기 제 2 도어(132)의 전면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323a)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25)는 일례로 상기 제 1 함몰부(1323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함몰부(1323a)에서 추가로 함몰되는 제 2 함몰부(13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323a) 및 상기 제 2 함몰부(1323b)도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상기 제 2 공간(124)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에는 아이스 슈트(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캡 덕트(9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하측에는 아이스 가이드(8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서 배출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1)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1 트레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빙셀(5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회전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직선 운동하거나 또는 직선 및 회전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회전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직선 이동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제빙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제 2 트레이(550)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이격된 부분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하여 상기 제빙셀(501)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는 상기 출구부(126)가 형성되는 일측벽(124a)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후측벽(124c)은 상기 구동부(58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124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24d)은 상기 후측벽(124c)의 일부가 상기 제 2 도어(13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회전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관통하여 얼음을 가압하는 제 1 푸셔(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가압하는 제 2 푸셔(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지지하는 제 1 트레이 케이스(520, 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10)를 지지하는 제 2 트레이 케이스(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520, 530)의 일부가 제 2 함몰부(1323b)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디스펜서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에 컵 등의 용기가 위치될 수 있다. 물이나 얼음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상기 제 1 공간(122) 간의 최단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제 2 공간(124)의 최단 수평 거리가 크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는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 취출을 위하여 가압하는 패드(1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19)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제빙셀(501)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패드(19)는 상기 제빙셀(501)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크기가 증가되기 위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후측벽(124c)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상기 후측벽(124c) 사이의 공간이 좁으므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상기 후측벽(124c) 사이의 공간에는 진공 단열체(3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공 단열체(392)의 일부는 상기 패드(19)와 상기 제빙셀(50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 단열체(392)가 차치하는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에는 발포액의 경화에 의해서 형성되는 단열재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 단열체(392)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바닥벽(124b)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은 상기 후측벽(124c) 보다 상기 제 2 도어(132)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 2 제빙기(50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빙셀(501)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 1 푸셔(540)와 상기 제 2 도어(13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540)는 상기 후측벽(124c) 보다 상기 제 2 도어(132)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이 생략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2 도어(132)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와 접촉하는 면을 경계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경계면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선(Y2)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패드(19)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진공 단열체(392)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얼음의 배출되는 관통공(8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관통공(802)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1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는 제 2 아이스 빈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도어 라이너의 형상 및 제 2 도어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133)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다이크(102e)가 형성하고, 상기 제 2 공간(124)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33)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상기 제 2 도어(133)가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크(102e)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금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다이크(102e)의 길이가 줄어들면 금형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어, 제조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는 제 1 프레임(1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는 상기 제 1 프레임(1331)과 연결되는 상기 제 2 프레임(13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31)과 상기 제 2 프레임(1332)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수용을 위한 제 1 함몰부(133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333a)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함몰부(1333a)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후측벽(124c)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는, 상기 제 1 함몰부(1333a)에서 추가로 함몰되는 제 2 함몰부(13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함몰부(1333b)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후측벽(124c)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333a)는 일례로 상기 제 2 프레임(1332)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함몰부(1333a)와 제 2 함몰부(1333b)가 구분되지 않고 단일의 함몰부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함몰부의 함몰 깊이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함몰부(1333b)의 함몰 깊이는, 상기 제 2 도어(133)에서 상기 제 2 함몰부(1333b)가 형성되는 부분의 전후 방향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빙셀(50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함몰부(1333a)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제 2 함몰부(1333b)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에는 가스켓(132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은 폐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제 1 푸셔(54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은 상기 후측벽(124c) 보다 상기 제 2 도어(133)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셀(501)의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수직선(Y2)과 상기 제 2 함몰부(1333b)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빙셀(501)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관통공(802)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2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에서 제 2 아이스 빈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16-1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2의 17-17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2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 3 실시 예의 제 2 도어(1340)는,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인 도어(1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350)는 일례로 힌지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이동 타입). 이 경우에는 상기 메인 도어(1350)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 사이에는 가스켓이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 도어(1350)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정 타입). 물론, 상기 체결부재를 분리하면 상기 메인 도어(1350)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도어(1350)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 라이너(102)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도어(1350)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 사이에는 가스켓이 존재할 수도 있고, 가스켓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 도어(1350)의 좌우 길이 및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좌우 길이 및 상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350)는, 도어 개구(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1352)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1352)는 상기 메인 도어(1350)의 하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 도어(1350)의 높이를 이등분하는 선의 하측에 상기 도어 개구(135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개구(1352)의 높이는 상기 메인 도어(1350)의 높이의 1/2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40)는 상기 도어 개구(1352)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1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개폐하는 것은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일례로 힌지에 의해서 상기 메인 도어(13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350)의 회전 방향과 상기 서브 도어(130)의 회전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3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1352)가 개방되면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1350)를 상기 제 1 저장실 도어(10)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제 2 공간(124)의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메인 도어(1350)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를 커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다른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상기 메인 도어(135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상기 메인 도어(13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메인 도어(1350)를 분리하고 상기 서브 도어(137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공간(124)의 전체가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서브 도어(13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서브 도어(1370)를 회전시킬 때, 외부의 노출되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제 2 공간(124) 내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양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1370)의 전면과 상기 메인 도어(1340)의 전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메인 도어(1340)는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위치되기 위한 함몰된 형태의 도어 수용부(13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1352)는 상기 도어 수용부(13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제 1 프레임(13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상기 제 1 프레임(1371)과 결합되는 제 2 프레임(13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가스켓(137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79)은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1350)와 접촉되어 상기 제 2 공간(124)에서의 냉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79)은 일례로 상기 도어 수용부(1351)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79)은 일례로 상기 제 2 프레임(1375)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록킹부(66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660a)는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 도는 상기 메인 도어(1350)에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록킹부(660a)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록킹부(660a)의 기본적인 구조는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록킹부(66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660a)는, 상기 서브 도어(13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66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660a)는, 상기 레버(66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지부(66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666a)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661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350)에는 상기 레버(661a)가 관통하기 위한 레버 관통홀(13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레버(661a)가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기 위한 레버 수용부(도 8의 127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메인 도어(1350)가 고정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레버 관통홀(1353)이 생략되고 상기 레버 수용부(127) 및 걸림 돌기(127b)가 상기 메인 도어(135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함몰된 형태의 수용부(13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72)는 상기 서브 도어(1370)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72)는 일례로 상기 제 1 프레임(137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72)에 상기 레버(661a)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에는 상기 레버(661a)의 회전을 위한 샤프트(137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373a)는 일례로 상기 수용부(137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에는 상기 레버(661a)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137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661a)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21c)가 수용되는 가이드 슬롯(664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661a)의 회전이 가이드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664a)은 상기 샤프트(1373a)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도어 돌출부(1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돌출부(1380)는 상기 도어 개구(135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돌출부(1380)는 상기 제 2 프레임(1375)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돌출부(1380)는 상기 도어 개구(135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돌출부(1380)는 상기 도어 개구(1352)를 통과하는 냉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79)은 상기 도어 돌출부(138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79)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상기 서브 돌출부(138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75)에서 상기 도어 돌출부(1380)의 면적은 나머지 부분의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서브 도어(137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상기 서브 도어(1370)에 지지되면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서브 도어(137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서브 도어(1370)의 개방 과정 및 닫힘 과정에서 상기 도어 개구(1352)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서브 도어(137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공간(12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에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서브 도어(1370)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얼음을 쉽게 꺼낼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의 닫힘 과정에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상기 도어 개구(1352)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높이는 상기 도어 개구(1352)의 상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좌우 폭은 상기 도어 개구(1352)의 좌우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13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82)는 일례로 상기 제 2 프레임(1375)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82)는 상기 도어 돌출부(138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복수의 결합 돌기(1382)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1382)는 일례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는 상기 결합 돌기(1382)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612)의 형상은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결합홀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상기 서브 도어(1370)에 결합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84)는 상기 도어 돌출부(138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84)에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지지되면,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의 하중이 상기 결합 돌기(1382)로 집중되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상기 결합 돌기(138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상기 서브 도어(1370)에 결합되는 제 1 바디(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바디(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일측과 상기 제 2 바디(614)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3 바디(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타측과 상기 제 2 바디(614)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4 바디(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62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일측벽(124a)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바디(630)는 상기 일측벽(124a)의 반대편 벽인 타측벽(124e)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3 바디(620)는 상기 제 4 바디(630) 보다 상기 서브 도어(1370)의 회전 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회전 동작하면서 도어 개구(1352)를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 바디(620)가 상기 메인 도어(135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1 바디(610)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3 바디(620)와 상기 제 4 바디(630)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2 바디(614)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3 바디(620)와 상기 제 4 바디(640) 간의 수평 거리가 작을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3 바디(620)와 상기 제 4 바디(630)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 1 바디(620)에서 상기 제 2 바디(614) 측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 4 바디(630)의 곡률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4 바디(630)에서 상기 제 2 바디(614)와 인접한 부분의 곡률은 상기 제 1 바디(610)와 인접한 부분의 곡률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일측벽(124a)과 상기 제 3 바디(620) 간의 간격은 상기 제 1 바디(620) 측에서 상기 제 2 바디(614) 측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타측벽(124e)과 상기 제 4 바디(640) 간의 간격은 상기 제 1 바디(620) 측에서 상기 제 2 바디(614) 측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타측벽(124e)과 상기 제 4 바디(640) 간의 간격 증가율은 상기 일측벽(124a)과 상기 제 3 바디(620) 간의 간격 증가율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614)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타측벽(124e)과 상기 제 4 바디(640) 간의 간격은 상기 일측벽(124a)과 상기 제 3 바디(620) 간의 간격 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1350)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일부가 수용되는 함몰부(1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3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2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1400)는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인 도어(14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400)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1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420)는 상기 메인 도어(14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420)에는 제 2 아이스 빈(60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또는 도어 라이너)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된 형태의 다이크(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는 상기 다이크(1020)가 형성하고, 상기 제 2 공간(124)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40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상기 제 2 도어(1400)가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크(1020)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금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다이크(1020)의 길이가 줄어들면 금형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어, 제조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다이크(1020)의 수평 길이(L1)(또는 돌출 길이) 보다 상기 제 2 도어(1400)의 전후 방향 수평 길이(L2)가 클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41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415)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415)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415)의 함몰 깊이는 상기 서브 도어(14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도 20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도어 라이너의 형상 및 제 2 도어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144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바라보는 면이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도어(1440)의 형태에 의해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도어(1440)에 수용되지 않고, 상기 제 2 도어(144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440)에는 가스켓(14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450)은 폐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450)이 형성하는 영역의 외측에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에서 형성되는 제빙셀(501)은 상기 가스켓(1450)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켓(1450)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빙셀(50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 및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가스켓(1450)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은 상기 후측벽(124c) 보다 상기 제 2 도어(144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450)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셀(501)의 반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가스켓(1450)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 2 도어(1440)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관통공(802)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Y3)은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 보다 상기 후측벽(124c)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Claims (21)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실을 커버하는 제빙실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제빙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인 도어; 및
    상기 메인 도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빙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는, 도어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도어 개구를 개폐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에는 함몰된 형태의 도어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개구는 상기 도어 수용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 수용부에 상기 서브 도어가 위치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구에 삽입되는 도어 돌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 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빈은 상기 서브 도어에 결합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아이스 빈이 상기 도어 개구를 통해 상기 제빙실에서 인출되고, 상기 서브 도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아이스 빈이 상기 도어 개구를 통해 상기 제빙실로 인입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아이스 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의 좌우 길이 및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의 좌우 길이 및 상하 길이 보다 큰 냉장고.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서브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레버와 결합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레버가 위치되기 위한 함몰된 형태의 수용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제빙기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최대 함몰 깊이는 상기 서브 도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냉장고.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제 2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다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제 2 공간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다이크의 돌출 길이 보다 큰 냉장고.
  15.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얼음이 형성되는 제빙셀을 정의하는 제빙기;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제빙실을 커버하는 제빙실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냉장고 도어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기를 통과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셀을 통과하거나, 상기 아이스 빈을 통과하는 냉장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제빙기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아이스 빈의 일부를 수용하는 냉장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셀의 수평 중심선은 상기 함몰부를 통과하는 냉장고.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상기 제빙셀의 수직 중심선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셀의 반경 보다 작은 냉장고.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제빙실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 단열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셀의 수평 중심선은 상기 진공 단열체를 통과하는 냉장고.
KR1020220131520A 2022-10-13 2022-10-13 냉장고 KR20240051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520A KR20240051626A (ko) 2022-10-13 2022-10-13 냉장고
PCT/KR2023/012540 WO2024080534A1 (ko) 2022-10-13 2023-08-24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520A KR20240051626A (ko) 2022-10-13 2022-10-1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626A true KR20240051626A (ko) 2024-04-22

Family

ID=9066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520A KR20240051626A (ko) 2022-10-13 2022-10-13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1626A (ko)
WO (1) WO20240805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758A (ko)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제빙실 차폐구조
KR101626614B1 (ko) * 2009-04-13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626651B1 (ko) * 2014-05-16 201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S2893956T3 (es) * 2015-08-31 2022-02-10 Lg Electronics Inc Frigorífico
KR20210031250A (ko) * 2019-09-11 2021-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534A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4540B2 (en) Refrigerator
EP2422145B1 (en) Refrigerator
EP2623906B1 (en) Refrigerator
US11709007B2 (en) Refrigerator
EP2587199B1 (en) Refrigerator
KR101513876B1 (ko) 냉장고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US20120031136A1 (en) Refrigerator
US20120024003A1 (en) Refrigerator
EP2109745B1 (en) Refrigerator
KR200459216Y1 (ko) 냉장고
KR20240051626A (ko) 냉장고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WO2023116898A1 (zh) 冰箱
KR20240051625A (ko) 냉장고
KR20240051629A (ko) 냉장고
KR20240051639A (ko) 냉장고
KR20240051635A (ko) 냉장고
KR20210089543A (ko) 냉장고
KR20240051634A (ko) 냉장고
KR20240051637A (ko) 냉장고
KR20210089542A (ko) 냉장고
KR20210089546A (ko) 냉장고
KR20110085109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