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87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874A
KR20180054874A KR1020187012609A KR20187012609A KR20180054874A KR 20180054874 A KR20180054874 A KR 20180054874A KR 1020187012609 A KR1020187012609 A KR 1020187012609A KR 20187012609 A KR20187012609 A KR 20187012609A KR 20180054874 A KR20180054874 A KR 20180054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ce
duct
making chamber
ice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812B1 (ko
Inventor
이동훈
이욱용
조승윤
이희준
염승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701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062A/ko
Publication of KR2018005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증발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고, 일 측면에 냉기 흡입구와 냉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빙실;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고, 일 측면에 냉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칠러룸; 상기 제 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칠러룸을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빙실과 상기 칠러룸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기 제빙실과 상기 칠러룸이 연통하도록 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구획벽; 상기 제빙실과 상기 칠러룸 간 냉기 유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는 댐퍼; 상기 증발실 냉기가 상기 제빙실로 공급되도록, 상기 증발실의 출구와 상기 제빙실의 냉기 흡입구를 연결하는 냉기 공급 덕트; 상기 제빙실의 냉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 1 입구단과, 상기 칠러룸의 냉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 2 입구단을 가지는 냉기 회수 덕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가전 제품이다.
최근에는 냉장고 고내 저장 용량을 늘이기 위하여 제빙 장치가 도어에 장착되도록 하고, 도어를 열었을 때 냉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2중 도어 구조를 적용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선행 기술 1에 개시되는 냉장고를 참조하면,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가 한 쌍의 회동식 도어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회동식 도어 중 어느 하나는 동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는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도어는 냉장실의 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제 2 도어는 제 1 도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1 도어에 형성된 저장 공간 또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제 1 도어에는 도어 바스켓과 같은 수납 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제 1 도어의 전면이 개구되며,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자주 꺼내 쓰는 음식물이나 음료수 용기를 제 1 도어에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도어는 닫힌 상태에서 제 2 도어만 개방하여 자주 꺼내는 음식물이나 용기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냉장실 냉기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회동식 도어 중 다른 하나에는 얼음 또는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선행 기술 2에 의하면, 한 쌍의 회동식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배면에는 제빙 장치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물 또는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생성된 얼음이 취출되는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제시되는 선행 기술들에 의하면, 냉장고 본체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 구조에서, 어느 일 측의 회동식 도어에는 제빙 장치와 디스펜서가 구비되고, 다른 일측의 회동식 도어는 개방을 위한 회동 방향이 동일한 두 개의 도어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되는 도어-인-도어(Door In Door)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전후 방향으로 두 개의 도어가 중첩되는 도어-인-도어 구조의 경우, 후측 도어에 형성되는 저장실은, 상기 후측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저장실, 즉 냉장실 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유지된다.
따라서, 냉장실 온도보다 낮고 냉동실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사용 빈도도 높은 식품 용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선행기술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3500호(2014년8월27일)
선행기술 2 :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94673호(2005년9월28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냉장실 도어에 냉장실과 다른 온도를 유지하는 식품 저장실(이하 칠러룸이라 함)을 설치하기 위하여 도어 내에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2. 상기 칠러룸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형성될 때, 상기 칠러룸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공급 유로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3. 기존의 도어 인 도어 구조에 제빙실이 설치될 경우, 상기 칠러룸과 제빙실의 공간 확보를 위한 최적의 도어 설계가 필요하다.
4. 도어 힌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빙실과 디스펜서의 설치 위치를 고려한 최적의 도어 설계가 필요하다.
5. 제빙실 내부에는 아이스 메이커와 아이스 빈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 구성 요소가 유동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빙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가 상기 칠러룸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하기 위한 냉기 유로 형성이 필요하다.
6. 냉장실 도어의 상측에 제빙실이 구비되고, 하측에 칠러룸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칠러룸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상기 냉장실 도어에 확보되어야 하고, 그 결과 상기 제빙실의 상하 폭이 기존에 비하여 감소될 수 밖에 없다.
상기 제빙실의 상하 폭이 감소되는 대신 상기 제빙실의 전후 폭이 증가하도록 하여, 저빙량이 확보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의 전후 폭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빙실에 수용되는 아이스 빈의 전후 폭이 늘어나게 되고, 상기 아이스 빈의 내부에는 블레이드 수용부와 얼음 저장부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블레이드 수용부에는 회전 블레이드와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어셈블리가 장착되고, 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하측에는 통얼음 배출을 가이드하는 셔터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의 일부가 블레이드 수용부에 걸쳐 있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통얼음 배출 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회전할 때,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에 걸쳐 있는 얼음 조각 일부가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하여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 조각들의 일부가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로 넘어와서, 통얼음 배출 모드에서 파손된 얼음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셔터 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아이스 빈 내부에 얼음 저장부가 형성되면, 상기 얼음 저장부에 머무르는 얼음 조각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 엉겨붙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엉겨붙는 현상을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해소시켜줄 수 있는 엉김 방지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7. 제빙실이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는 종래의 냉장고는, 제빙실 측면에 구비되는 냉기 공급 덕트로부터 제빙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실 내부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상측에 냉기 가이드 덕트가 설치되었다. 그 결과, 상기 냉기 공급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는 흐름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로 유입되고, 냉기 가이드 덕트를 따라 제빙실의 폭 방향으로 흐르는 냉기는 다시 흐름 방향을 바꾸어 제빙실 후면 쪽으로 흐른다. 그리고, 상기 냉기는 제빙실 후면에서 다시 하측으로 흐름 방향을 바꾸어 아이스 메이커의 후면에서 하강한 뒤, 다시 전방으로 흐름 방향이 바뀌는 냉기 유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냉기 흐름 방향이 바뀌는 회수가 많아짐에 따라 풍압이 현저히 감소하고, 풍압이 감소함에 따라 제빙실로 공급되는 단위 시간당 풍량도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제빙 시간이 길어져서 제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냉기 가이드 덕트의 장착 위치 및 아이스 트레이의 표면 구조를 개선하여, 풍압 감소 현상을 개선하여 제빙량이 증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8. 본 발명은 제빙실과 디스펜서 및 칠러룸이 구비되고, 디스펜서 후측부가 칠러룸에 수용되는 도어 인 도어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에서, 디스펜서를 최대한 슬림하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위치를 제빙실의 전단부로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제빙실이 설치되는 도어의 배면을 정의하는 도어 라이너에 블레이드 모터와 기어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종래의 구조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디스펜서의 두께를 슬림하게 하여, 칠러룸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9. 디스펜서의 두께를 슬림하게 할 뿐 아니라, 제빙실 도어의 구조 및 설치 위치를 개선하여, 제빙실의 사용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0. 또한,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도어의 두께를 슬림하게 할 수 있는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1.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인 도어 구조의 경우, 서브 도어에 디스펜서가 구비되고, 메인 도어에 제빙실과 칠러룸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서브 도어와 메인 도어의 구조가 기존의 도어 인 도어 구조보다 훨씬 복잡하게 설계될 수 밖에 없다. 그 결과, 도어 제조 과정, 구체적으로 도어 내부에 발포 단열재를 충진하는 도어 성형 과정에서, 발포 단열재가 도어 내부에 골고루 충진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액상의 발포 단열재(foamed thermal insulation material)의 주입구와, 도어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벤트 홀(vent hole)의 위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만일 주입구와 벤트 홀의 위치 선정이 잘못되는 경우, 액상의 발포 단열재가 도어 내부에 완전히 채워지기 전에 고형화가 진행될 수 있다. 그러면, 도어 내부에 발포 단열재가 충진되지 않는 미충진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열재가 채워지는 공간에 존재하던 공기가 제때 신속하게 배출되지 않아도 단열재 미충진 영역이 도어 내부에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포 단열재가 충진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단열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도어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거나 결빙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단열 성능 저하로 인하여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발포 단열재의 미충진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발포 단열재가 주입된 이후에 액체 또는 겔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길게 할 수는 있으나, 그러면 생산 시간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도어 내부에 발포 단열재 미충진 영역이 발생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증발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고, 일 측면에 냉기 흡입구와 냉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빙실;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고, 일 측면에 냉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칠러룸; 상기 제 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칠러룸을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빙실과 상기 칠러룸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기 제빙실과 상기 칠러룸이 연통하도록 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구획벽; 상기 제빙실과 상기 칠러룸 간 냉기 유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는 댐퍼; 상기 증발실 냉기가 상기 제빙실로 공급되도록, 상기 증발실의 출구와 상기 제빙실의 냉기 흡입구를 연결하는 냉기 공급 덕트; 상기 제빙실의 냉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 1 입구단과, 상기 칠러룸의 냉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 2 입구단을 가지는 냉기 회수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냉장실과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별도의 저장 공간인 칠러룸이 형성됨으로써, 냉장실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어야 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식품을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상기 칠러룸이 냉장실 내부 또는 냉동실 내부가 아니라,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설치됨으로써, 칠러룸 사용을 위하여 냉장고 본체에 형성되는 냉장실을 개방하지 않아도 되므로, 냉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도어 인 도어 구조에 제빙실과 칠러룸이 함께 설치됨으로써, 도어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냉장실 내부 저장 공간이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제빙실과 칠러룸이 하나의 도어에 구획되어 형성되고, 제빙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가 칠러룸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칠러룸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유로가 별도로 제공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5. 제빙실과 칠러룸을 구획하는 구획벽에 연통홀이 설치되고, 연톨홀에 댐퍼가 구비됨으로써, 칠러룸 설정 온도에 따라 제빙실로부터 칠러룸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칠러룸 온도가 제빙실 및 냉장실 온도와 다른 제 3의 온도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6. 제빙실은 메인 도어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빙실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는 서브 도어의 하측 전면에 설치됨으로써, 힌지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제빙실 하중과 디스펜서 하중이 메인 도어의 힌지와 서브 도어의 힌지로 분산되므로, 힌지 파손의 위험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7. 제빙실은 메인 도어에 설치되고, 디스펜서는 서브 도어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를 열지 않고도 얼음을 취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얼음 취출을 위하여 제빙실이 구비된 메인 도어를 개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얼음 취출 과정에서 제빙실이 냉장고 외부 공기에 노출되거나 외부 공기가 냉장실로 유입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8. 냉장고 본체로 연장된 물관을, 메인 도어 힌지와 서브 도어 힌지를 통하여 제빙실과 디스펜서로 연결함으로써, 물배관의 꺾임이나 파손 가능성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9. 디스펜서로 연결되는 물배관이 메인 도어의 하부 전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다음, 서브 도어의 로어 힌지축을 통하여 디스펜서로 연장됨으로써, 메인 도어에서 서브 도어로 넘어가는 물배관의 경로가 짧아진다. 뿐만 아니라, 서브 도어에 의하여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을 관통하는 물배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된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연장되는 전력 및 신호 케이블이 메인 도어의 힌지축을 통하여 메인 도어로 인입되고, 서브 도어용 케이블은 메인 도어의 상면에서 인출되어 서브 도어의 힌지축으로 인입됨으로써, 캐비닛으로부터 직접 서브 도어의 힌지축으로 케이블이 인입되는 경우에 비하여, 케이블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케이블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제빙실에 수용되는 아이스 빈이 구획벽에 형성된 연통홀을 차폐하지 않도록, 연통홀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아이스 빈의 가장자리 일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냉기 하강 유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빙실에서 칠러룸으로 냉기가 원활하게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12. 아이스 빈의 얼음 배출구 부분에 장착되는 셔터의 상면 중, 아이스 빈의 내부에 형성되는 얼음 저장부와 블레이드 수용부의 경계 부분에 대응하는 상면 가장자리에 돌기부가 형성된다. 그 결과, 얼음이 상기 얼음 저장부와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 양 쪽에 걸쳐 있다가, 통얼음 배출 모드에서 얼음이 회전 블레이드에 의하여 파손된 상태로 배출되는 현상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13. 얼음 배출을 위하여 얼음 배출 조절 모듈을 구성하는 샤프트에 믹싱 블레이드가 장착되고, 상기 믹싱 블레이드는 상기 아이스 빈의 전후 폭이 종래보다 커짐에 따라 형성되는 얼음 저장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엉겨붙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4. 제빙실의 측면에 장착되는 냉기 공급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냉기가 제빙실 내부로 유입되어 아이스 트레이의 표면에 부딪힐 때까지 발생하는 냉기 흐름 방향이 바뀌는 회수가 현저히 감소되어, 풍압 및 풍량이 증가하고, 그 결과 단위 시간당 제빙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15. 제빙실로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가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메인 도어의 전면에 형성되고, 제빙실 도어가 메인 도어의 전면에 구비됨으로써, 제빙실 내부로 접근하기 위하여 메인 도어를 개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제빙실 내부로 접근하기 위하여 메인 도어를 열었을 때 발생하는 냉기 누설 현상 또는 외부 공기가 냉장실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6. 제빙실 도어의 단열을 위하여 발포 단열재를 주입하지 않고 진공 단열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제빙실 도어의 두께가 얇아지는 반면 단열 성능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17. 제빙실 도어를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힌지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힌지부를 덮는 서브 도어의 배면 부분이 함몰되거나 단차지게 형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브 도어의 단열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8.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에 의하여 디스차지 덕트 출구단에 형성되는 아이스 슈트가 전방으로 틸팅(또는 피봇팅)되도록 함으로써, 디스차지 덕트 출구단과 서브 도어의 전면까지의 거리가 단축되어, 도어의 슬림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9. 얼음의 취출을 안내하는 아이스 슈트가 디스차지 덕트를 개폐하는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에 의하여 전방으로 틸팅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아이스 슈트의 틸팅을 위한 별도의 구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소비 전력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20. 디스펜서의 슬림화를 통하여, 상기 디스펜서를 수용하는 칠러룸의 사체적(dead volume)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21. 도어 형상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발포 단열재의 주입구와 벤트 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발포 단열재 주입 과정에서 발포 저항이 감소하여, 도어 내부에 단열재 미충진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2. 최적의 위치에 발포 단열재 주입구와 벤트홀이 형성됨으로써, 도어의 구조가 복잡하게 설계되더라도 발포 단열재의 주입에 걸리는 시간이 지연되지 않으므로, 생산 설비의 변경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23. 발포 단열재의 주입에 걸리는 시간이 지연되지 않으므로, 발포 단열재의 고형화로 인하여 단열재가 충진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3-3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서브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도어-인-도어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어-인-도어 어셈블리의 전방 분해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어-인-도어 어셈블리의 후방 분해 사시도.
도 8은 아우터 하우징이 제거된 메인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개시되는 메인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어 덕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6의 11-11을 따라 절개되는 부분 종단면도.
도 12는 제빙실과 칠러룸을 구획하는 구획벽 내부에 설치되는 댐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메인 도어에 구비된 제빙실과 칠러룸으로 냉기가 공급되고 회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관과 전력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및 부분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 도어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
도 17은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D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19-19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배관 및 케이블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와 도어 덕트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3은 상기 제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4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아이스 빈의 후면 사시도.
도 25a는 상기 아이스 빈의 평면도.
도 25b는 상기 아이스 빈의 내부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25c는 아이스 빈의 내부 정면도.
도 26은 도 23의 26-26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빈에 설치되는 얼음 배출 조절 모듈을 구성하는 믹싱 블레이드의 정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저면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가이드의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30-30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를 구성하는 아이스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
도 32는 도 21의 32-32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제빙실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34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실 도어의 좌측 사시도.
도 36은 상기 제빙실 도어의 우측 사시도.
도 37은 상기 제빙실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의 확대 사시도.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
도 41은 디스펜서 케이싱이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2는 상기 디스펜서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3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의 전면 사시도.
도 44는 상기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의 배면 사시도.
도 45는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이 정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펜서의 측면도.
도 46은 상기 디스펜서의 측단면도.
도 47은 덕트캡이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펜서의 측면도.
도 48은 상기 디스펜서의 측단면도.
도 49는 덕트캡이 최대로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펜서의 측면도.
도 50은 상기 디스펜서의 측단면도.
도 51 내지 도 5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의 작동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4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 도어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56은 상기 서브 도어의 측단면도.
도 57은 서브 도어의 저면부를 형성하는 로어 데코의 저면도.
도 58 내지 도 61은 서브 도어의 발포액 충진 과정에서 발포액이 채워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도.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63은 상기 메인 도어의 측단면도.
도 64는 메인 도어를 구성하는 프런트 파트의 전면 사시도.
도 65는 메인 도어를 구성하는 프런트 파트의 평면도.
도 66은 상기 프런트 파트의 저면도.
도 67 내지 도 70은 메인 도어의 발포액 충진 과정에서 발포액이 채워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3-3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냉장실(114)과 냉동실(115)을 구비하는 캐비닛(11)과, 상기 냉장실(114)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20)와, 상기 냉동실(115)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1)은, 상기 냉장실(114)과 상기 냉동실(115)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11)와, 상기 인너 케이스(111)의 외측을 둘러싸는 아우터 케이스(112), 및 상기 인너 케이스(111)와 아우터 케이스(112)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케이스(1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2) 사이에는 공급 덕트(181)와 회수 덕트(182)를 포함하는 냉기 덕트(18)가 배치되고, 상기 냉기 덕트(18)는 상기 단열재(113)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15)의 후측에는 증발기가 놓이는 증발실(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18)는 본체측 냉기 덕트 또는 캐비닛측 냉기 덕트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공급 덕트(181)와 회수 덕트(182)는 각각 본체측 공급 덕트와 본체측 회수 덕트 또는 캐비닛측 공급 덕트와 캐비닛측 회수 덕트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의 후방 하측에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응축팬을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의 일부가 수용되는 기계실(11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 덕트(181)의 입구단은, 상기 증발실(116)에 해당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111)의 측면에 형성된 냉기홀(111c :도 3 참조)과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 덕트(181)의 출구단은, 상기 냉장실(114)을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111)의 측면에 형성된 냉기 공급홀(111a)과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회수 덕트(182)의 입구단은, 상기 냉장실(114)을 정의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111)의 측면에 형성된 냉기 회수홀(111b)과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회수 덕트(182)의 출구단은, 상기 냉동실(115)을 정의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111)의 측면에 형성된 냉기홀(111d)과 연통한다.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는, 제 1 냉동실 도어(12)와 제 2 냉동실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냉동실(115)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다수의 냉동실(115)이 다수의 냉동실 도어(12,13)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단일의 냉동실 및 단일의 냉동실 도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는 드로어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냉동실 도어도 상기 냉장실 도어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회동식 도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부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서 힌지 어셈블리(40)에 의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22)와,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에서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서브 도어(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22)에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3)은, 별도의 부품으로 상기 메인 도어(22)의 배면에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메인 도어(22)와 한 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도어(22)가, 내측이 개구되는 사각형 틀과, 상기 사각형 틀의 배면에서 연장되어 내부에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21)는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에서 상기 메인 도어(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도어(22)는 제 1 도어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서브 도어(21)는 제 2 도어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22)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부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114)의 전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3)의 내부에는 제빙실(201)과 칠러룸(202)이 구획벽(207)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201)이 상기 칠러룸(20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1)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24)와,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25)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25)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4)의 하측에 놓여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4)로부터 낙하하는 얼음을 받아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3)의 측면에는 냉기 유입구(511)와 냉기 배출구(522)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냉기 유입구(511)와 냉기 배출구(522)는, 상기 메인 도어(22)를 닫았을 때, 상기 인너 케이스(111)에 형성된 냉기 공급홀(111a)과 냉기 회수홀(111b)과 각각 연통한다. 상기 냉기 유입구(511)와 상기 냉기 배출구(522)는, 후술하게 될 도어 덕트 어셈블리(후술함)를 구성하는 냉기 공급 덕트(후술함)와 냉기 회수 덕트(후술함)에 각각 형성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21)는,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서브 도어(21)의 회전축은 상기 메인 도어(22)의 회전축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 도어(22)의 회전축과 상기 서브 도어(21)의 회전축은 동일한 측면(side surface)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1)의 전면에는 물과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30)가 장착되며, 상기 디스펜서(30)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빙실(201)은 상기 메인 도어(22)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30)는 상기 서브 도어(21)에 형성됨으로써, 하중 분산을 통한 도어 힌지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한 쌍의 회동식 냉장실 도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어-인-도어 구조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도어-인-도어 구조라 함은, 냉장고의 본체 또는 캐비닛에 설치된 저장 공간(예컨대 냉장실)을 개폐하며, 전면이 개구되는 별도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메인 도어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별도의 저장 공간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본체에 형성된 저장 공간을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도어가 회전하는 방향과,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 공간을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도어가 회전하는 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22)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서브 도어(21)는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1)의 회전축이 형성되는 측방 가장자리와 상기 메인 도어(22)의 회전축이 형성되는 측방 가장자리는 동일하다.
또한, 상기 메인 도어(22)에는 하우징(23)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23)의 내부에는 제빙실(201)과 칠러룸(2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1)과 칠러룸(202)은 상기 서브 도어(21)를 개방하여 접근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은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1)의 전면 개구부에는 제빙실 도어(80)가 별도로 제공되어, 상기 서브 도어(21)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제빙실(201)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21)에는 상기 제빙실(201)에서 만들어진 얼음과 음용수를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30)가 설치된다. 상기 음용수는, 상기 캐비닛(11) 또는 상기 메인 도어(22)의 내부에 장착된 워터 탱크(26)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26)는 급수 호스에 의하여 냉장고 외부의 급수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도어(22)의 하측에는 상기 워터 탱크(26)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203a)이 형성되며, 상기 워터 탱크(26)가 수용되는 공간은 상기 칠러룸(202)의 하측 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26)가 수용되는 공간은 워터 탱크 커버(20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30)는, 상기 서브 도어(21)에 형성된 디스펜서 장착을 위한 홀에 끼워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30)의 상단부는 상기 서브 도어(21)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30)의 상단부는 상기 서브 도어(21)를 상하로 2등분하는 가로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거나 그보다 약간 높은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펜서(30)의 설치 위치는 상기 메인 도어(22)에 형성된 제빙실(201)의 하단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30)는, 프런트 케이싱(31), 리어 케이싱(32), 취출 버튼(33), 마이크로 스위치(34), 물꼭지(35)(또는 음용수 취출구), 아우터 퍼넬(outer funnel)(36), 인너 퍼넬(inner funnel)(37), 덕트 캡(38) 및 디스차지 덕트(discharge duct)(39)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퍼넬(36)과 인너 퍼넬(37)은 별도의 부품들이 결합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단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아우터 퍼넬(36)과 인너 퍼넬(37)의 결합체를 아이스 퍼넬(ice funnel)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케이싱(31)과 리어 케이싱(32)의 결합체는 디스펜서 케이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은, 상기 서브 도어(21)에 형성된 디스펜서 장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 도어(2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은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물 또는 얼음을 받는 용기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싱(32)은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후측에 결합되는 형태로 상기 서브 도어(2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30)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서브 도어(21)의 배면에는 디스펜서 라이너(2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싱(32)과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 사이에는 단열재가 발포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버튼(33)은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에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 버튼(33)의 후측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케이싱(32)에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4)가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취출 버튼(33)을 누르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4)에 접촉하여 물과 얼음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취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취출 버튼(3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버튼으로 제공되고, 상기 디스펜서(30)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서브 도어(21)의 전면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300)을 통하여 물 취출 모드와 얼음 취출 모드를 선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 패널(300)에 구비되는 모드 선택 버튼을 눌러 물 또는 얼음 취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취출 버튼(33)을 누르면, 물과 얼음 중 어느 하나가 취출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펜서(30)에 물취출 버튼과 얼음 취출 버튼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버튼을 누르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물꼭지(35)는 상기 물취출 버튼(33)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어느 지점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퍼넬은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상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벽(207)의 내부에는 얼음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 덕트(207d)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덕트(207d)의 입구단은 상기 제빙실(201)의 바닥 전방에 형성된 얼음 토출구(207a : 도 6 참조)와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덕트(207d)의 출구단은 상기 구획벽(207)의 저면에 노출되고, 상기 서브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입구단에 밀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입구단 가장자리와, 상기 가이드 덕트(207d)의 출구단 가장자리에는 냉기 실링을 위한 가스켓(391,207e)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이들 가스켓은 서로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 덕트(207d)와 디스차지 덕트(39)는 상기 제빙실(201)하고만 연통하고, 상기 칠러룸(202)과는 연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출구단 쪽에는 상기 아이스 퍼넬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아이스 퍼넬의 출구단은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통하여 디스펜서(30)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출구단은 상기 덕트 캡(38)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상기 덕트 캡(38)은 상기 디스펜서(3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덕트 캡(38)이 회동하여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출구단이 개방되면, 상기 아이스 빈(25)에 저장된 얼음이 디스펜서(30)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퍼넬(37)은 상기 얼음 취출 버튼(36)과 한 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빙실(201) 내부에 아이스 메이커(24)와 아이스 빈(25)이 모두 수용되는 구조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빙실(201)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4)만 수용되고, 상기 아이스 빈(25)은 상기 서브 도어(21)의 배면에 구비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아이스 빈(25)은 상기 디스펜서(30)의 상측, 구체적으로는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상측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1)의 배면에는 상기 아이스 빈(25)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단열벽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서브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도어-인-도어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어-인-도어 어셈블리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도어-인-도어 어셈블리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의 냉장실 도어(20)를 구성하는 도어 인 도어 어셈블리는, 메인 도어(22)와 서브 도어(21)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서브 도어(21)와 메인 도어(22)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힌지 어셈블리(40)는 상기 캐비닛(11)과 상기 메인 도어(22)를 연결하는 메인 도어 힌지 유닛(또는 제 1 도어 힌지 유닛)과, 상기 메인 도어(22)와 상기 서브 도어(21)를 연결하는 서브 도어 힌지 유닛(또는 제 2 도어 힌지 유닛)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 힌지 유닛은, 상기 캐비닛(11)과 상기 메인 도어(22)의 상면을 연결하는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또는 제 1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과, 상기 캐비닛(11)과 상기 메인 도어(22)의 저면을 연결하는 메인 도어 로어 힌지 유닛(또는 제 1 도어 로어 힌지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 힌지 유닛은, 상기 메인 도어(22)와 상기 서브 도어(21)의 상면을 연결하는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또는 제 2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과, 상기 메인 도어(22)와 상기 서브 도어(21)의 저면을 연결하는 서브 도어 로어 힌지 유닛(또는 제 2 도어 로어 힌지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도어(21)를 개방하면,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입구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입구단 가장자리에는 가스켓(391)이 둘러진다.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가 상기 서브 도어(21)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상면에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입구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입구단이 형성되는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덕트(207d)의 출구단이 형성되는 상기 구획벽(207)의 저면도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 상면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서브 도어(21)가 닫힐 때,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입구단에 둘러지는 가스켓(391)과 상기 가이드 덕트(207d)의 출구단에 둘러지는 가스켓(207e)이 밀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단력(shearing force)에 의한 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21)의 배면에는 실링 부재(210)가 둘러진다. 상기 실링 부재(210)는, 상기 서브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 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그 결과, 서브 도어(21)와 메인 도어(22)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하우징(23) 내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하우징(23)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23)은, 인너 하우징(231)과,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후방에 결합되는 아우터 하우징(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외부 측면(outer surface)에는 냉기 이동을 위한 도어 덕트 어셈블리(50:도 8 참조)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232)에 의하여 덮여서 외부 노출이 차단된다. 단, 상기 덕트 어셈블리(50)의 냉기 유입구(511)와 냉기 배출구(522)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232)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는 도어측 냉기 덕트 어셈블리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아우터 하우징(232)의 배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205)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칠러룸(202)의 배면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23) 부분은 개구되고, 상기 개구되는 하우징(23) 부분은 칠러룸 커버(208)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칠러룸 커버(208)의 측단부는 상기 하우징(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칠러룸(202)의 전면 개구부는 상기 서브 도어(21)에 의하여 개폐된다.
또한,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획벽(207)에 의하여 상측의 제빙실(201)과 하측의 칠러룸(202)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1)의 전면 개구부는 제빙실 도어(8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80)는 상기 제빙실(201)의 전면 개구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벽(207)에는 얼음 토출구(207a)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얼음 토출구(207a)는 상기 구획벽(207)의 후단부보다 전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음 토출구(207a)를 전후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수직면은, 상기 구획벽(207)을 전후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수직면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얼음 토출구(207a)에 밀착되는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경사각이 감소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디스펜서(30)의 전후 방향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경사각이라 함은 수직면과 디스차지 덕트(39)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얼음 토출구(207a)가 상기 구획벽(207)의 전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하면, 상기 디스차지 덕트(39)가 수직에 가깝게 경사지게 된다.
상세히, 서브 도어(21)가 닫히면, 상기 디스펜서(30)는 상기 칠러룸(202)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30)의 두께가 작아질수록 상기 칠러룸(202)의 용적이 커지므로,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경사각은 작을수록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토출구(207a)를 좌우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수직면은, 상기 구획벽(207)을 좌우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수직면과 일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207)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덕트(207d)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207d)의 입구단이 상기 얼음 토출구(207a)와 연통한다. 상기 얼음 토출구(207a)가 상기 구획벽(207)의 전단부, 즉 상기 제빙실(201)의 전단부에 가까울수록, 수직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덕트(207d)의 기울어진 각도도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벽(207)에는 상기 제빙실(201)과 칠러룸(202)이 유동적으로(fluidly) 연통하도록 연통홀(207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207b)은 상기 얼음 토출구(207a)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상기 구획벽(207)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얼음 토출구(207a)로부터 후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가 장착되는 인너 하우징(231)의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가까운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를 통하여 제빙실(201)로 토출되는 냉기가 낙하하는 지점에 상기 연통홀(207b)이 형성됨으로써, 냉기가 상기 칠러룸(202)으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207b) 내부에는 댐퍼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상기 제빙실(201)로부터 상기 칠러룸(202)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칠러룸(202)이 상기 제빙실(201) 온도보다는 높고 상기 냉장실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댐퍼 어셈블리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8은 아우터 하우징이 제거된 메인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개시되는 메인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어 덕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도어(22)의 배면에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23)은 인너 하우징(231)과 아우터 하우징(232)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외부 측면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232)의 내부 측면 사이 공간에는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하우징(231)과 아우터 하우징(232)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재가 발포 충진되어 냉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가 장착되는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측면에는 냉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기 위한 냉기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측면에 형성되는 냉기홀들은, 냉기 유입구(231a)와, 제빙실측 냉기 배출구(231b), 및 칠러룸측 냉기 배출구(231c)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냉기 유입구(231a)는, 상기 제빙실(201)을 정의하는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빙실(201)의 상측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측 냉기 배출구(231b)는 상기 제빙실(201)을 정의하는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빙실(201)의 하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칠러룸측 냉기 배출구(231c)는, 상기 칠러룸(202)을 정의하는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칠러룸(201)의 하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는, 냉기 공급 덕트(51)와 냉기 회수 덕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 덕트(51)와 상기 냉기 회수 덕트(52)는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측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 덕트(51)는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공급 덕트(181)와 연결되어, 증발실(116) 냉기를 상기 제빙실(201)로 공급해 주는 덕트이다. 그리고, 상기 냉기 회수 덕트(52)는,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회수 덕트(182)와 연결되어, 상기 제빙실(201)과 상기 칠러룸(202)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115)로 보내주는 덕트이다.
상세히, 상기 냉기 공급 덕트(51)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냉기 유입구(511)가 형성되고, 상기 냉기 유입구(511)는 상기 메인 도어(22)가 닫혔을 때 상기 인너 케이스(111)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냉기 공급홀(111a)과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 덕트(51)의 내측면 상단부에는 냉기 토출구(512)가 형성되고, 상기 냉기 토출구(512)는 상기 냉기 유입구(231a)와 연통한다.
또한, 상기 냉기 회수 덕트(52)의 내측면 상단부에는 상부 냉기 유입구(5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냉기 유입구(521)는 상기 제빙실측 냉기 배출구(231b)와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회수 덕트(52)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하부 냉기 유입구(523)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냉기 유입구(523)는 상기 칠러룸측 냉기 배출구(231c)와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회수 덕트(52)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냉기 배출구(522)가 형성되고, 상기 냉기 배출구(522)는, 상기 메인 도어(22)가 닫혔을 때 상기 인너 케이스(111)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냉기 회수홀(111b)과 연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냉기 유입구(521)는 제 1 입구단으로 정의되고, 상기 하부 냉기 유입구(522)는 제 2 입구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6의 XI-XI를 따라 절개되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실(201)과 상기 칠러룸(202) 사이에는 상기 구획벽(207)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벽(207)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덕트(207d)와 댐퍼 어셈블리(200)가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덕트(207d)의 출구단이 형성되는 상기 구획벽(207)의 저면은 하향 경사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덕트(207d)의 측방향 및 후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는 상기 연통홀(207b)이 상기 구획벽(207)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홀(207b) 내부에는 댐퍼 어셈블리(200)가 장착되어, 상기 제빌실(201)로부터 상기 칠러룸(202)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벽(20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하우징(231)과 아우터 하우징(232)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발포폼이 충진되어, 하우징(23)의 일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되어 상기 인너 하우징(231) 내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2는 제빙실과 칠러룸을 구획하는 구획벽 내부에 설치되는 댐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댐퍼 어셈블리(200)는, 아우터 박스(200a)와, 미들 박스(200b), 인너 박스(200c), 댐퍼(200d), 및 토출 그릴(200f)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박스(200a), 미들 박스(200b), 및 인너 박스(200c)의 상면에는 상기 연통홀(207b)에 대응하는 냉기홀들(200g,200h,200i)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 박스(200b)는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200d)는 댐퍼축(200e)에 의하여 상기 인너 박스(200c)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인너 박스(200c)의 상면에 형성된 냉기홀(200i)을 개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댐퍼 축(200e)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M)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그릴(200f)은 상기 아우터 박스(200a)의 하단부 내측에 기워져서, 상기 미들 박스(200b)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그릴(200f)에는 격자 모양의 그릴이 형성되어, 상기 제빙실(201)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칠러룸(20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그릴(200f)은 상기 칠러룸(202)에 노출되어, 사용자 또는 서비스 맨이 상기 칠러룸(202)으로 손을 집어 넣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칠러룸(202)을 통하여 상기 토출 그릴(200f)를 분리한 다음, 상기 댐퍼(200d)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증발실(116)로부터 상기 메인 도어(22)의 하우징(23)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의 순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메인 도어에 구비된 제빙실과 칠러룸으로 냉기가 공급되고 회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증발실(116) 냉기는 상기 냉기 공급 덕트(51)를 통하여 상기 제빙실(201)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1)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24)에서 얼음이 생성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4)의 하측에 놓이는 아이스 빈(25)에 저장되는 얼음은 녹거나 엉겨붙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빙실(201)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는 상기 제빙실측 냉기 배출구(231b)를 통하여 상기 냉기 회수 덕트(52)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1)로 공급되는 냉기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구획벽(207)에 형성된 상기 연통홀(207b)을 통하여 상기 칠러룸(202)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홀(207b)을 개폐하는 댐퍼(200d)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칠러룸(202)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칠러룸(202)의 내부 일측에 온도 센서가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냉장고의 제어부에서 상기 댐퍼(207c)를 동작시켜 상기 연통홀(207b)을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칠러룸(202)이 상기 제빙실 온도로 과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칠러룸(202)을 구성하는 벽 내부에 히터(미도시)가 매설되어, 상기 칠러룸(202)이 과냉되었을 때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칠러룸(202)을 정의하는 인너 하우징(231) 부분과 아우터 하우징(232) 부분의 사이 공간에 히터가 매설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칠러룸(202)은 냉동실 온도보다는 높고 냉장실 온도보다는 높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음료수나 술 또는 물을 단시간에 차갑게 만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칠러룸(202)의 온도는 영하 3도~ 영하 5도 정도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칠러룸(202)으로 공급된 냉기는 상기 칠러룸(202)에 수납된 물품(items)을 냉각시키고, 상기 칠러룸(202)의 측면에 형성된 칠러룸측 냉기 배출구(231c)을 통하여 상기 냉기 회수 덕트(52)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냉기 회수 덕트(52) 내부의 압력은 상기 칠러룸(202)의 압력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제빙실(201)에서 배출되어 상기 냉기 회수 덕트(52)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상기 칠러룸(202)으로 재유입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관과 전력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메인 급수 배관(61)을 따라 공급되고,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은 상기 캐비닛(11)의 상면 내부를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은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11)와 아우터 케이스(112) 사이 공간을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에 가까운 어느 지점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12)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은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을 통하여 상기 메인 도어(22) 내부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힌지 어셈블리(40)는, 메인 도어 힌지 유닛과 서브 도어 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 힌지 유닛은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과 메인 도어 로어 힌지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 힌지 유닛은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과 서브 도어 로어 힌지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은 어퍼 힌지 브라켓(411)과 어퍼 힌지축(4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퍼 힌지 브라켓(411)의 일 단부는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힌지 브라켓(411)의 타 단부에는 상기 어퍼 힌지축(412)이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어퍼 힌지축(412)은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횡단면이 원형이거나 일 측에 슬릿이 형성된 c 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힌지축(412)은 상기 메인 도어(22)의 상면에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22)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과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이 안착되기 위한 함몰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221)는 상기 메인 도어(22)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되며, 함몰되는 바닥부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21)는 상기 어퍼 힌지 유닛들(41,42)이 안착되는 일 측면 가장자리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은, 일단부가 상기 메인 도어(22)의 상면, 즉 상기 함몰부(221)에 고정되는 어퍼 힌지 브라켓(421)과, 상기 어퍼 힌지 브라켓(421)의 타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어퍼 힌지축(4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 도어(21)의 상면에도 상기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이 안착되기 위한 단차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12)의 폭은 상기 함몰부(221)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12)의 바닥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함몰부(221)의 바닥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단차부(212)의 전단부는 상기 서브 도어(21)의 전면보다 후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 도어(21)의 전면에서는 상기 힌지 유닛들(41,42)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의 어퍼 힌지축(412)의 직경은 상기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의 어퍼 힌지축(422)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은 상기 메인 도어(22) 뿐만 아니라 서브 도어(21)의 하중을 모두 지지하여야 하는 반면, 상기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은 상기 서브 도어(21)의 하중만 지지하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어퍼 힌지축들(312,322)은 각각 상기 메인 도어(22)와 서브 도어(21)의 후단부보다 전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의 힌지축(412) 중심은, 상기 메인 도어(22)의 후단부와 전단부 거리를 이등분하는 지점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치우치는 지점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의 힌지축(422)도, 상기 서브 도어(21)의 후단부와 전단부 거리를 이등분하는 지점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치우치는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메인 도어(22)의 회전 중심이 메인 도어(22)의 후단부에 가까워지면, 상기 메인 도어(22)를 개방할 때, 상기 메인 도어(22)의 후단부 모서리가 회전하는 궤적이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가까워져서, 사용자의 손이 끼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와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서브 도어(21)를 개방할 때, 상기 서브 도어(21)의 후단부 모서리가 회전하는 궤적이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에 가까워져서, 사용자의 손이 끼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 힌지 유닛(41)의 힌지축(412) 직경이 서브 도어 힌지 유닛(42)의 힌지축(422)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메인 도어 힌지 유닛(41)의 힌지축(412)이 삽입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부에는 돌출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221)의 어느 지점에는 케이블 통과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통과홀(220)은 상기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에는 메인 컨트롤러(C)가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C)로부터 케이블 유닛(CL)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유닛(CL)은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의 어퍼 힌지축(412)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메인 도어(22)에는 상기 제빙실(201)에 설치되는 아이스 메이커(24)와 상기 칠러룸(202)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미도시) 및 히터(미도시)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도어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21)에는 상기 디스펜서(23)의 작동 및 냉장고의 운전 조건을 제어하는 상기 컨트롤 패널(30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유닛(CL)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C)로부터 상기 메인 도어(22) 까지만 연장되는 메인 도어 케이블 유닛(CL1)(또는 제 1 도어 케이블 유닛)과, 상기 메인 컨트롤러(C)로부터 상기 메인 도어(22)를 거쳐 상기 서브 도어(21)까지 연장되는 서브 도어 케이블 유닛(또는 제 2 도어 케이블 유닛)(CL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 케이블 유닛(CL1)과 서브 도어 케이블 유닛(CL2)은 단일의 케이블 호스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C)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케이블 유닛(CL)은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의 어퍼 힌지축(412)으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 도어(22)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의 어퍼 힌지축(412)의 내경이 상기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의 어퍼 힌지축(422)의 내경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과 상기 케이블 유닛(C)이 모두 상기 어퍼 힌지축(4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22)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 유닛(CL)은 상기 메인 도어 케이블 유닛(CL1)과 상기 서브 도어 케이블 유닛(CL2)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 케이블 유닛(CL1)은 상기 메인 도어(22)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미도시)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 케이블 유닛(CL2)은 다시 상기 메인 도어(22)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케이블 통과홀(220)을 통하여 상기 메인 도어(22)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통과홀(220)을 관통하여 인출되는 상기 서브 도어 케이블 유닛(CL2)은 상기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의 어퍼 힌지축(422)으로 삽입된다. 상기 어퍼 힌지축(42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기 어퍼 힌지축(422)에는 상기 제 2 서브 케이블 유닛(CL1)만 삽입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 도어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D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19-19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의 어퍼 힌지축(412)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은, 상기 메인 도어(22)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22)는, 전면을 이루는 프런트 파트(22a)와, 배면을 이루는 리어 파트(22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런트 파트(22a)와 리어 파트(22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와 급수 배관들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파트(22a)와 리어 파트(22b) 사이 공간에는 발포 단열재가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3)을 구성하는 인너 하우징(231)은 상기 프런트 파트(22a)의 일 부분일 수 있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232)은 상기 리어 파트(22b)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22)의 하단에는 워터 탱크(26)가 장착되고,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은 상기 워터 탱크(26)에 연결된다. 상기 워터 탱크(26)는,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이 연장되는 상기 메인 도어(22)의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가까운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도어(22)의 회전 중심이 형성되는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놓인다.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22)를 구성하는 상기 리어 파트(22b)의 배면 하단부, 구체적으로 상기 칠러룸(202)을 형성하는 아우터 하우징(232)의 하측에 해당하는 지점에 워터 탱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 즉 워터 탱크 수용부(20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 수용부에 상기 워터 탱크(26)가 수용되며, 상기 워터 탱크 수용부는 상기 워터 탱크 커버(203)에 의하여 덮인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 수용부의 측방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파트(23b) 부분에는 개구부(232a)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이 상기 워터 탱크(26)로 연결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32a)도 상기 워터 탱크 커버(26)에 의하여 덮여서 외부 노출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26)의 입구단에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이 연결되고, 출구단에 개폐 밸브(V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26)와 개폐 밸브(V2)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워터 탱크 커버(203)만 개방하면 되므로, 메인 도어(22)를 분해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은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의 어퍼 힌지축(412)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도어(22)의 하단부까지 연장된 후 휘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32a)를 통과하여 상기 워터 탱크(26)의 입구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밸브(V2)는 삼방 밸브로서, 두 개의 출구단 중 어느 하나에는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는 아이스 메이커 급수 배관(63)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 급수 배관(63)은 상기 개구부(232a)를 통과하여, 상기 메인 도어(22)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아이스 메이커(24)까지 연장된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 급수 배관(63)과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은 모두 상기 메인 도어(22)의 힌지측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은 상기 개폐 밸브(V2)의 출구에서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232a)를 통과한 뒤, 상기 프런트 파트(22a)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 하단부 쪽으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실(201)과 칠러룸(202)를 구성하는 하우징(23)이 메인 도어(22)와 한 몸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하우징(23)이 별도의 부품 형태로 상기 메인 도어(2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도어(21)의 저면에는 단차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13)는 상기 서브 도어(21)의 상면에 형성된 단차부(212)와 같이, 상기 서브 도어(21)의 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 힌지 유닛을 구성하는 메인 도어 로어 힌지 유닛(43)은, 로어 힌지 브라켓(431)과 로어 힌지축(4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 힌지 유닛을 구성하는 서브 도어 로어 힌지 유닛(44)은, 로어 힌지 브라켓(441)과 로어 힌지축(442)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 힌지축(432)의 직경은 상기 어퍼 힌지축(42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 로어 힌지 유닛(43)의 로어 힌지 브라켓(431)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로어 힌지축(432)은 상기 메인 도어(22)의 저면 가장자리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힌지축(432) 내부에는 오토 클로징 모듈(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22)가 90도 미만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 로어 힌지 유닛(44)을 구성하는 상기 로어 힌지 브라켓(441)은, 일단이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로어 힌지축(442)이 형성된다. 상기 로어 힌지 브라켓(441)은,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 즉 상기 프런트 파트(22a)의 전면 하단부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힌지축(442)은 상기 수평부의 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로어 힌지축(442)은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 힌지 브라켓(441)의 수직부는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에 형성된 안착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힌지축(442)은 상기 단차부(213)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서브 도어(21)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213)의 상면에는 금속 소재의 브라켓 부재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로어 힌지축(442)은 상기 브라켓 부재를 관통한 다음 상기 단차부(213)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서브 도어(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을 이루는 프런트 파트(22a)의 하측에는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223)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로어 힌지 브라켓(441)의 수직부가 고정되는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에도 다른 부분보다 함몰되는 함몰면(223c)이 형성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밸브(V)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22)은, 상기 서브 도어 로어 힌지 유닛(44)의 로어 힌지축(442)으로 삽입되어, 상기 서브 도어(21)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1) 내부로 인입된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22)은, 상기 서브 도어(21)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연장되어 상기 디스펜서(30)의 물꼭지(35)까지 연장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홈(223)은,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이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을 관통한 후, 상기 로어 힌지축(442)까지 연장되는 과정에서 꺾이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을 관통하여 상기 로어 힌지축(442)까지 연장되는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의 외주면에는 접힘 방지 부재(621)가 둘러질 수 있다. 상기 접힘 방지 부재(621)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의 외주면에 감기는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접힘 방지 부재(621)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관 부재일 수도 있다.
도 1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을 이루는 상기 프런트 파트(22a)에는 가이드 홈(223)이 함몰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홈(223)은 상기 프런트 파트(22a)의 전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제 1 함몰면(223a)과, 상기 제 1 함몰면(223a)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2 함몰면(223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함몰면(223a)과 상기 제 2 함몰면(223b)은 소정 각도(θ)를 이루는 V자형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함몰면(223a)과 제 2 함몰면(223b)이 이루는 각도(θ)는, 상기 제 1 함몰면(223a)과 제 2 함몰면(223b)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고 상기 메인 도어(22)의 측면과 평행한 수직면(k)과, 상기 제 1 함몰면(223a)이 이루는 제 1 경사각(θ1)과, 상기 제 2 함몰면(223b)과 상기 수직면(k)이 이루는 제 2 경사각(θ2)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각(θ1)은 상기 제 2 경사각(θ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함몰면(223b)이 상기 수직면(k)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이 상기 가이드 홈(223)을 관통한 후 꺾인 상태로 상기 로어 힌지축(44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함몰면(223b)은 어느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 함몰면(223b)에는 배관 통과홀(220d)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 밸브(V2)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이 상기 로어 힌지축(442)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밸브(V2)로부터 상기 배관 통과홀(220d)까지 연장되는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의 일부는 가이드 파이프(600)를 통과하도록 하여, 꺾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이 빠져나가는 쪽의 상기 가이드 파이프(600)의 단부는 상기 제 2 함몰면(223b)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배관 및 케이블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원수 배관(60)의 어느 지점에는 메인 밸브(117)가 장착되고, 상기 메인 밸브(117)는 상기 냉장고(10)의 기계실(117)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밸브(117)는 파일럿 밸브(pilot valve)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밸브(117)의 출구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원수 배관(60)은 상기 캐비닛(11)의 후벽 내부 또는 상기 캐비닛(11)의 후벽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4)의 후벽을 정의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인너 케이스(111)를 관통하여, 상기 냉장실(114) 내부에 장착된 필터 어셈블리(f)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f)의 출구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메인 급수 배관(61)은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다음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의 어퍼 힌지축(412)을 통하여 상기 메인 도어(22)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22) 내부로 인입된 메인 급수 배관(61)은 상기 워터 탱크(26)의 입구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밸브(V2)에서 분지되는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은 상기 메인 도어(22)의 하단부 전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후 상기 서브 도어 로어 힌지 유닛(44)의 로어 힌지축(442)을 통하여 상기 서브 도어(21)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1)로 인입된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은 상기 디스펜서(30)의 상면에 구비된 물꼭지(35)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개폐 밸브(V2)로부터 분지되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급수 배관(63)은 상기 메인 도어(22)의 측면을 따라 아이스 메이커의 급수부까지 연장된다.
한편, 상기 메인 컨트롤러(C)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 유닛(CL)은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의 어퍼 힌지축(412)을 통하여 상기 메인 도어(22) 내부로 입입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유닛(CL)을 구성하는 메인 도어 케이블 유닛(CL1)은 상기 메인 도어(22)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도어 컨트롤러(C1)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유닛(CL)을 구성하는 서브 도어 케이블 유닛(CL2)은 상기 메인 도어(22)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후, 상기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의 어퍼 힌지축(422)을 통하여 상기 서브 도어(21)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1) 내부로 인입된 상기 서브 도어 케이블 유닛(LC2)은 상기 서브 도어(21)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비닛(11)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수 배관과 전력 케이블이 도어 힌지를 구성하는 힌지축을 통하여 각각의 도어 내부로 인입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급수 배관이 어퍼 힌지축과 로어 힌지축으로 나뉘어 인입됨으로써, 종래의 힌지 직경을 변경할 필요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와 도어 덕트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I)는 DID 도어 어셈블리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메인 도어(22)의 상측에 구비된 제빙실(201)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201)로의 냉기 공급은, 상기 메인 도어(22)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는 상기 캐비닛(11)의 측면 내부에 매설된 공급 덕트(81)와 회수 덕트(82)에 연결되어, 증발실(116)과 제빙실(201) 및 냉동실(115) 간 냉기 순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빙 어셈블리(I)는,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24)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4)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냉기 공급 덕트(51)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24) 쪽으로 퍼지게 하는 냉기 가이드 덕트(28)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4)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25)과, 상기 아이스 빈(25) 내부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얼음의 형태를 조절하는 얼음 배출 조절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201)의 내부에는 마운팅 플레이트(27)가 장착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는 상기 제빙실(201)의 바닥과 후벽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의 상측에 상기 아이스 메이커(24)가 고정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4)의 하측에 상기 아이스 빈(25)이 분리 가능하게 놓인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의 상단부 후측에는 고정 브라켓(29)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9)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급수 배관(63)의 토출단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24) 쪽으로 안내하는 급수 호스 안내부(29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9)은 상기 제빙실(201)의 바깥 쪽 후면에 고정 장착된다. 즉, 상기 제빙실(201)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29)에 의하여 차폐되는 홀과 상기 급수 호스 안내부(291)가 통과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상기 고정 브라켓(29)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도 23은 상기 제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4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아이스 빈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25a는 상기 아이스 빈의 평면도이고, 도 25b는 상기 아이스 빈의 내부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25c는 아이스 빈의 내부 정면도이며, 도 26은 도 23의 26-26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상기 제빙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4)가 상기 제빙실(201)의 후면에 직접 고정 장착될 경우, 상기 메인 도어(22)의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빙실(201)을 정의하는 벽이 열에 의하여 울퉁불퉁하게 휘어질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24)가 정위치에 장착되지 못하고, 아이스 메이커로 연결되는 물공급 배관의 토출구가 정위치에 놓이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메인 도어(22)의 발포 완료 후,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가 제빙실(201) 벽면에 장착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4)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에 장착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가 설치됨으로써, 블레이드 모터(후술함)와 기어 어셈블리(후술함)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 뒤에 숨겨져서, 아이스 빈(25)을 분리하더라도 외부 노출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는, 상기 제빙실(201)의 바닥에 놓이는 바닥부(271)와, 상기 바닥부(271)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후 연장되어 상기 제빙실(201)의 후벽에 밀착되는 후면부(27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부(271)의 전단부 중앙에는 얼음 토출구(276)가 형성되고, 상기 얼음 토출구(276)는 상기 제빙실(201)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냉기 토출구(207a)와 연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271)의 후측 모서리 부근에 단턱부(278)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278)에 냉기 토출구(277)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토출구(277)는 상기 구획벽(207)에 형성되는 연통홀(207b)과 연통한다.
상기 단턱부(278)는 상기 바닥부(27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부(271)로 떨어지는 얼음 조각이나 얼음이 녹은 물이 상기 냉기 토출구(277)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271)와 상기 후면부(272)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는 블레이드 모터 커버부(27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 모터 커버부(273)는 상기 냉기 토출구(277)의 반대 쪽 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 모터 커버부(273)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면, 상기 냉기 토출구(277)는 좌측 가장자리ㅘ 우측 가장자리 중 다른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빙실(201)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가 상기 연통홀(207b)을 통하여 상기 칠러룸(202)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272)에는 기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기어 수용부(27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어 수용부(274)는 상기 기어 어셈블리의 형상을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서오딘다. 그리고, 상기 기어 수용부(274)의 어느 지점에는 기어축이 관통하기 위한 기어축홀(27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4)가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24)는, 내부에 얼음 형성을 위한 다수의 셀(2412)이 형성되는 아이스 트레이(241)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셀들(2412)에 생성된 얼음을 퍼내는 이젝터(244)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일 측면(도 22에서 좌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이젝터(244)를 회전시키는 이빙 모터(243)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타 측면(도 22에서 우측면) 상측에 구비되는 급수부(245)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상면 일부와 전면을 덮는 이빙 가이드(ice separating guide)(242)(또는 트레이 커버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빙 가이드(242)는, 상기 이젝터(244)의 전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전단부로 연장되는 상면부(2423)와, 상기 상면부(243)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전면을 덮는 전면부(242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2421)에는 다수의 냉기홀(24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2421)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상면부(2423)는 상기 이젝터(244)에 의하여 퍼올려진 얼음이 슬라이딩되는 면이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저면에는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가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를 구성하는 냉기 공급 덕트(51)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기 냉기 토출구(512)는 상기 제빙실(201)의 측면에 형성된 냉기 유입구(231a)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1)의 내측에서 냉기 유입구(231a)에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의 흡입구가 밀착된다.
종래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24)의 상측에 위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 덕트(51)를 통하여 상기 제빙실(201)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제빙실(201)의 반대 쪽 측면으로 흐르다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24)의 후측으로 휘어진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의 후면부(272)에 부딪힌 후 상기 제빙실(201)의 하측으로 하강한 다음 다시 제빙실(201)의 전방으로 흐르는 냉기 유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24)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빙실(201)의 상면과 상기 아이스 메이커(24) 사이의 상하 폭은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의 높이보다 더 크게 설계되어야 했다. 그 결과, 상기 아이스 빈(25)의 높이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빙실의 하측에 별도의 칠러룸이 추가로 구비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가 아이스 메이커(24)의 상측에 놓이는 구조는 매우 불리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의 하측에는 상기 아이스 빈(25)이 장착되며, 상기 아이스 빈(25)은 상기 제빙실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빈(25)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얼음 배출 조절 모듈(250)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는, 프런트 케이스(251)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251)의 후측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2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계 조건에 따라 상기 프런트 케이스(251)는 어퍼 파트(251a)와 로어 파트(251b)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251a)는, 상기 로어 파트(251b)의 상측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아이스 빈(25) 내부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케이스(251)가 상기 아이스 빈(25)의 전면과 측면을 정의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리어 케이스(252)가 상기 아이스 빈(25)의 후면과 양 측면 및 바닥부를 정의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케이스가 단일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리어 케이스(252)는, 배면부(2521)와, 상기 배면부(2521)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는 얼음 배출구(2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좌측 경사부(2522)와, 우측 경사부(2523), 상기 좌측 경사부(2522)와 우측 경사부(2523) 사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 수용부 및 얼음 저장부(25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경사부(2522)는, 상기 케이스의 좌측면 하단에서 상기 케이스의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우측 경사부(2523)는 상기 케이스의 우측면 하단에서 상기 케이스의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경사부(2522)와 우측 경사부(2523)의 하단부 사이에 상기 얼음 저장부(2529)와 블레이드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얼음 저장부(2529)는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의 후측에 형성되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 저장부(2529)의 바닥부는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얼음 저장부(2529)와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 사이에는 차단벽(2528)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얼음 저장부(2529)와 블레이드 수용부를 구획하는 수직면 중 일부분만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2528)에 의하여 차폐되지 않는 수직면은 개구되어 얼음 통과홀(252a)을 형성한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24)로부터 낙하된 얼음 중 상기 얼음 저장부(2529)에 수용되는 얼음은 상기 얼음 통과홀(252a)을 통하여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로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얼음 저장부(2529)는 얼음 저장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는 얼음 배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저장 영역과 얼음 배출 영역의 경계면 일부는 상기 차단벽(2528)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경계면의 나머지 일부는 개구되어 상기 얼음 통과홀(252a)을 형성한다.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의 좌측 가장자리는, 상기 좌측 경사부(2522)의 하단부 중 상기 차단벽(2528)의 앞쪽에 형성되는 단부에서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토출 가이드부(2524)에 의하여 정의된다. 상기 토출 가이드부(2524)는 후술할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과 동일한 곡률로 라운드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후술할 셔터(256)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 가이드부(2524)의 하단과 상기 셔터(256)의 하단 사이 공간은 얼음 배출구(252b)로 정의된다. 상기 얼음 배출구(252b)는 상기 셔터의 하단부 위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즉, 분쇄 얼음(crushed ice) 취출 모드에서는 상기 토출 가이드부(2524)의 단부와 상기 셔터(256)의 단부가 가장 가까운 상태, 즉 얼음 배출구(252b)의 좌우 폭이 최소인 상태가 된다. 그리고, 통 얼음(cubed ice) 취출 모드에서는, 상기 셔터(256)가 회전하여, 상기 토출 가이드부(2524)의 단부와 상기 셔터(256)의 단부가 가장 먼 상태, 즉 얼음 배출구(252b)의 좌우 폭이 최대인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빈(25)의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얼음 배출 조절 모듈(250)은, 상기 아이스빈(25)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연장되는 샤프트(253)와,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상기 샤프트(253)와 한 몸으로 회전하는 믹싱 블레이드(257) 및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255)와, 일단이 상기 토출 가이드부(2524)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샤프트(253)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 블레이드(254), 및 얼음 취출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셔터(2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믹싱 블레이드(257)는 상기 얼음 저장부(2529) 내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253)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여, 상기 아이스 빈(25) 내부, 특히 상기 얼음 저장부(2529)에 저장된 얼음들을 휘저어서 서로 엉겨붙지 않도록 한다.
종래의 도어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아이스 빈의 경우, 샤프트의 연장 방향에 대응하는 아이스 빈의 전후 폭을 작게 하여 냉장고 도어의 슬림화를 꾀하였다. 그 결과, 아이스 빈 내부에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와 회전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수용부만 존재하였고, 상기 얼음 저장부(2529)는 존재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하나의 도어에 제빙실과 칠러룸이 상하로 배치되는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상기 칠러룸으로 인하여 상기 제빙실의 상하 폭이 감소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조건 하에서, 아이스 빈의 저빙량을 이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이스 빈의 전후 폭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상기 얼음 저장부(2529)에 해당하는 저장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저장부(2529)의 바닥부는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하여, 얼음이 상기 얼음 저장부(2529)에 적체되지 않고 상기 얼음 통과홀(252a)을 통하여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었다.
한편, 상기 얼음 저장부(2529)의 바닥부와, 상기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255) 중 최후측의 회전 블레이드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생긴다. 그리고, 얼음 취출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하여 상기 얼음 저장부(2522)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얼음 배출구(252b)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얼음 저장부(2529)와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의 경계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차단벽(2528)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벽(2528)은 상기 경계면을 모두 차폐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얼음 통과홀(252a)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얼음 통과홀(252a) 부분에서는 여전히 얼음이 얼음 통과홀(252a)과 최후측의 회전 블레이드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얼음 통과홀(252a)의 전방에는 상기 셔터(256)가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셔터(256)에 의하여 얼음이 배출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다수의 고정 블레이드(254)들은 상기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들(25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53)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셔터(256)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254)의 반대 쪽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블레이드(254)와 회전 블레이드(255)는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얼음 통과홀(252a)을 통하여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로 안내되는 얼음 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4)에서 직접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로 낙하하는 얼음이 통얼음 또는 분쇄 얼음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상기 얼음 배출구(252b)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샤프트(253)는, 샤프트 바디(253a)와, 상기 샤프트 바디(253a)의 외주면을 감싸는 다수의 스페이서(253c), 및 상기 샤프트 바디(253a)의 단부에 고정되는 캡(25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들(253c)은 상기 믹싱 블레이드(257)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254) 및 회전 블레이드들(255)이 항상 설계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 부재들 사이에 끼워진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256)는, 셔터 바디(2561)와 상기 셔터 바디(2561)의 상면에 돌출되는 돌기부(25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562)는 상기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들(255) 사이에 배치되어, 얼음 취출 모드가 아닌 상황에서 상기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들(255) 사이 공간으로 얼음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셔터 바디(2561)는, 셔터축(256a)이 구비되는 일측 단부와, 상기 일측 단부의 반대 쪽 단부인 타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통과홀(252a)에 인접하는 제 1 측면 가장자리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251)이배면에 인접하는 제 2 측면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측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 1 측면 가장자리의 반대편 가장자리라 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562)는 상기 셔터 바디(2561)의 상면의 어느 지점에서 돌출되어, 상기 타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2562)는 인접하는 회전 블레이드(255)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측면 가장자리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255) 사이 지점에 반드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셔터(256)는 다수 개가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고, 폭이 상대적으로 큰 단일의 셔터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 바디(2561)의 상면에는 다수의 상기 돌기부(2562)가 돌출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셔터(256)의 제 1 측면 가장자리와, 상기 제 1 측면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255) 사이 공간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돌기부(2562)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통얼음 배출 모드에서 얼음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세히, 점선으로 표현된 얼음 조각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돌기부(2562)가 없는 경우, 얼음 조각의 일 단부는 상기 믹싱 블레이드(257)의 하측에 놓이고, 타 단부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255)의 하측에 놓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통얼음 배출을 위하여 상기 샤프트(253)가 도면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얼음 조각의 타 단부가 상기 회전 블레이드(255)에 의하여 하측으로 가압되는 힘을 받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믹싱 블레이드(257)도 상기 회전 블레이드(255)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얼음 조각의 일 단부도 하측으로 가압되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255)가 계속 회전하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255)와 상기 믹싱 블레이드(257)에 양 단부가 끼인 얼음 조각은 배출 과정에서 부서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얼음 통과홀(252a)이 형성된 부분에 인접하는 상기 셔터 바디(2561)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반드시 상기 돌기부(2562)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상기 돌기부(2562)에 의하여, 얼음 조각이 상기 얼음 저장부(2529) 바닥에 놓인 얼음 조각들이 상기 얼음 통과홀(252a)을 넘어서는 현상이 발생하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서는 인접하는 회전 블레이드들(255) 사이에 돌기부(2562)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도 있으나, 이는 설계 상의 선택 문제일 수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빈 영역에도 돌기부(2562)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빈(25)을 구성하는 케이스(251,252)의 후측 모서리에는 냉기 하강 유로(R)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부 또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에 상기 아이스 빈(25)이 놓이면, 상기 냉기 토출구(277)는 상기 아이스 빈(25)의 후측 모서리부 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1)로 공급되는 냉기 중의 일부가 상기 냉기 토출구(277)를 통하여 상기 칠러룸(202)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기 토출구(277) 상측에 냉기 하강 유로(R)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 상기 냉기 토출구(277)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아이스 빈(25)(또는 케이스)의 후면 모서리부가 상기 아이스 빈(25)의 내측으로 절곡 또는 함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스 빈(25)의 측면 후단부가 상기 아이스 빈(25)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 1 절곡부(2525)와, 상기 아이스 빈(25)의 후면 가장자리가 상기 아이스 빈(25)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 2 절곡부(2526)가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절곡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부드럽게 라운드져서 함몰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냉기 하강 유로(R)는, 상기 아이스 빈(25)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에 장착되면, 상기 절곡부들(2525,2526)과,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의 후면부(272) 및 상기 제빙실(201)의 측면부에 의하여 완전한 상기 냉기 하강 유로(R)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절곡부(2525)와 제 2 절곡부(2526)의 상측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냉기홀(2527)(또는 냉기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25) 내부로 하강하는 냉기의 일부가 상기 냉기홀(2527)을 통하여 배출된 다음 상기 냉기 하강 유로(R)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기 토출구(277)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냉기 하강 유로(R)가 형성되는 지점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이스 빈(25)의 후측 모서리가 아니라, 후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아이스 빈(25)의 후면 중심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상기 냉기 토출구(277)가 형성되어, 상기 냉기 하강 유로(R)를 형성하기 위한 라운드부 또는 절곡부가 L자 횡단면 형상이 아닌 U자 횡단면 형상 또는 원호 형태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냉기 토출구(277)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25)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측면부와 배면부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가 절곡되는 것 외에,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만이 절곡되거나 단차지거나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하강 유로(R)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빈(25)의 케이스 일부분이 변형되는 부분은 함몰부, 단차부, 또는 냉기 하강 유로 형성부 등으로 정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아이스 빈(25)의 케이스가 프런트 케이스(251)와 리어 케이스(252)의 결합에 의하여 완성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일 부품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25)의 형상을 일반적으로 정의하면, 상기 아이스 빈(25)은, 전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바닥부, 및 개구되는 상면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좌측면의 하단에서 하향 경사지는 좌측 경사부, 상기 우측면의 하단에서 하향 경사지는 우측 경사부, 상기 좌측 경사부와 우측 경사부의 단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얼음 저장부와 얼음 배출구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저장부는 상기 얼음 배출구의 후측에 형성되고, 바닥부가 상기 얼음 배출구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냉기 하강 유로 형성부는 상기 아이스 빈(25)의 측면부와 배면부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냉기 하강 유로 형성부는 상기 아이스 빈(25)의 배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빈(25)의 리어 케이스(252) 후방에는 기어 어셈블리(G)가 배치된다. 도 26의 단면도에서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어셈블리(G)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와 상기 제빙실(201)의 후벽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 어셈블리(G)로 회전력을 공급하는 블레이드 모터(M1:도 33 참조)는 상기 기어 어셈블리(G)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에 형성되는 상기 블레이드 모터 커버부(273)에 의하여 덮인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25)의 리어 케이스(252)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 어셈블리(G)에서 돌출되는 기어축(G1)은 상기 마운팅 츨레이트(27)에 형성되는 상기 기어축홀(275)을 관통하여 상기 아이스 빈(25)의 후면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축(G1)에는 커넥터(G2)가 연결되고, 상기 아이스 빈(25)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넥터 리시버(258)와 맞물려서 한 몸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253)의 샤프트 바디(253a) 후단부는 상기 커넥터 리시버(258)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 리시버(258)와 한 몸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25)의 리어 케이스(252)에는 상기 커넥터 리시버(258)가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리시버(258)는 리시버 커버(259)에 의하여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바디(253a)는 상기 리시버 커버(259)를 관통하여 상기 아이스 빈(25)의 전면으로 연장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빈에 설치되는 얼음 배출 조절 모듈을 구성하는 믹싱 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빈(25) 내부에는 회전 블레이드(255)와 고정 블레이드(254)를 포함하는 일명 블레이드 유닛이 수용되는 블레이드 수용부와,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의 후측에 형성되는 얼음 저장부(2529)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로 직접 낙하하는 얼음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255)의 회전 방향에 따라 통 얼음 상태로 배출되거나 분쇄 얼음 상태로 배출된다. 반면, 상기 얼음 저장부(2529)로 낙하하는 얼음은 바로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로 이동하지 않고 소정 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기간 동안 얼음들끼리 엉겨붙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믹싱 블레이드(257)가 상기 얼음 저장부(2529)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믹싱 블레이드(257)는 상기 샤프트(253)에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253)와 한 몸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믹싱 블레이드(257)는, 센터부(2571)와, 상기 센터부(2571)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장부(2573)와, 상기 센터부(2571)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 1 연장부(2573)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5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터부(2571)에는 샤프트 홀(257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홀(2572)을 관통하는 상기 샤프트(253)의 단면은 비원형(non-circul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샤프트(253)가 회전할 때 상기 믹싱 블레이드(257)가 회전하지 않거나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2573) 및 제 2 연장부(2574)의 양 측면 가장자리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캐칭 리센스(catching recess)(2575)를 형성한다. 상기 믹싱 블레이드(257)는 통얼음 모드에서는 제 1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분쇄 얼음 모드에서는 제 2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모드에 관계없이 상기 얼음 저장부(2529)에 저장된 얼음을 섞어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2573,2574)의 양 측면에 모두 캐칭 리센스(2575)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2573) 및 제 2 연장부(2574)의 단부는 상기 믹싱 블레이드(257)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캐칭 리세스(2575)와 상기 연장부(2573,2574)의 단부가 만나는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는, 아이스 메이커(24)의 저면에 냉기 가이드 덕트(28)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냉기 공급 덕트(51)를 따라 상승하는 냉기는 냉기 토출구(512)를 통하여 토출되어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를 따라 흐른다.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를 따라 흐르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저면에 직접 부딪혀서 상가 아이스 트레이(241)를 냉각시킨다.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상측에 위치하는 종래의 제빙 어셈블리의 경우,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를 따라 안내되는 냉기가 아이스 트레이(241)의 후측으로 흐르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빙실의 후벽을 따라 하강한 다음, 다시 제빙실의 전방으로 흐르면서 아이스 트레이(241)의 바닥 부분을 냉각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빙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냉기 가이드 덕트(28)가 아이스 트레이(241)의 저면에 직접 장착되어, 냉기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 저면에 직접 부딪히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제빙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30-30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가이드 덕트(28)는, 덕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흡입 덕트부(281)와, 상기 흡입 덕트(281)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트레이 결합부(28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흡입 덕트부(281)의 측면에 흡입구(281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2811)는 상기 냉기 공급 덕트(51)에 밀착되어, 냉기 토출구(512)와 연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결합부(282)의 상면은 개구되어, 상기 흡입 덕트부(281)를 통과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저면에 부딪히도록 한다.
상기 트레이 결합부(282)는 바닥부(2824)와 상기 바닥부(2824)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는 벽부(2822)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2822)의 상단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바닥부(2824)는, 상기 흡입 덕트부(281)를 구성하는 바닥부의 단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2820)와, 상기 경사부(2820)의 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28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결합부(282)의 단부에는 체결 보스(2823)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 보스(2823)에 체결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를 구성하는 아이스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241)는, 상기 이빙 모터(243)가 장착되는 좌측면과, 상기 좌측면의 반대 면에 해당하고 상기 급수부(2415)가 형성되는 우측면과, 상기 좌측면 전단부와 상기 우측면 전단부를 연결하는 전면부와, 상기 좌측면 후단부와 상기 우측면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면부, 및 상기 좌측면 하단부와 상기 우측면 하단부를 연결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내측에는 다수의 제빙용 셀들(cells)(2412)이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바닥부에는 다수의 냉기 가이드 리브(2413)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냉기 가이드 리브(2413)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와 동일한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를 따라 공급되는 냉기와 열교환하므로, 열교환 핀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냉기 가이드 리브(2413)는 열교환 핀 또는 냉기 가이드 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에는 다수의 냉기 가이드 리브(2412)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 하게 연장되고, 좌측면에서 우측면 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는 플랜지(2411)가 전방으로 소정 폭을 가지고 돌출된다.
또한, 바닥부에 형성되는 상기 냉기 가이드 리브(2413)는 상기 좌측면에서 우측면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고, 전면부에서 후면부 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상기 냉기 가이드 리브(2413)의 단부는,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의 바닥부(2824)에 닿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바닥부에는 이빙 히터(h)가 장착된다. 상기 이빙 히터(h)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의 시즈 히터(seath heater)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빙 히터(h)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바닥부 우측 가장자리는 상기 이빙 히터(h)의 형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2는 도 21의 32-32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냉기 공급 덕트(51)로부터 냉기 가이드 덕트(28)로 공급되는 냉기는, 인접하는 냉기 가이드 리브들(2413) 사이에 형성되는 냉기 안내 유로를 따라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 쪽으로 흐른다. 그리고,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 내부에서 흐르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바닥부에 부딪혀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를 냉각시킨다.
여기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전면부 쪽에는 상기 이빙 가이드(242)가 장착되고, 상기 이빙 가이드(242)의 전면부(2421)는 상기 플랜지(2411)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이빙 가이드(242)의 전면부(2421)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전면부는 소정 간격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이빙 가이드(242)의 전면부(2421) 하단은,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를 구성하는 상기 트레이 결합부(282)의 전면 상단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의 바닥부와 상기 다수의 냉기 가이드 리브들(24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흐르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전면부와 상기 이빙 가이드(242)의 전면부(24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승한다.
상세히, 상기 이빙 가이드(242)의 전면부를 따라 상승하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냉기 가이드 리브들(241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상승한다. 그리고, 상승하는 냉기는 상기 이빙 가이드(242)의 전면부(2421)에 형성된 상기 냉기홀들(2422)을 통하여 제빙실(201) 내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411)에 부딪히는 냉기도 흐름 방향이 전방으로 전환되어 상기 냉기홀들(2422)을 통하여 제빙실(201)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냉기홀들(2422)은, 냉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인접하는 다수의 냉기 가이드 리브들(241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저면에 장착됨으로써, 냉기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241)의 저면에 부딪힐 때까지, 냉기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횟수가 감소되어, 유동 저항으로 인한 풍압 감소 현상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경우 냉기 흐름 방향이 바뀌는 횟수가 5회 내지 6회 정도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2회 내지 3회 정도로 감소되었다. 이와 같이, 풍압 감소(air pressure drop)가 개선됨으로써, 아이스 메이커(24)로 공급되는 풍량이 증가하여, 제빙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단위 시간당 제빙량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빙실(201) 내부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4)의 장착 위치가 높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제빙실(201)의 상단부에 상기 아이스 메이커(24)가 장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아이스 빈(25)의 높이가 증가될 수 있어서 저빙량이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빈(25)의 전면부 상단은 상기 냉기 가이드 덕트(28)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냉기홀(2422)을 통하여 배출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빈(25) 내부에서 하강하도록 한다. 그 결과, 상기 아이스 빈(25)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녹아서 엉겨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아이스 빈(25)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는 상기 냉기홀(2527)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되느 냉기는 상기 냉기 하강 유로(R)를 따라 하강하여 상기 연통홀(207b)을 통과한 다음 상기 칠러룸(202)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제빙실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 도어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메인 도어(22)에는 제빙실(201)과 칠러룸(202)이 형성되고, 상기 제빙실(201)과 칠러룸(202)은 상기 구획벽(207)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된다.
상세히, 상기 칠러룸(202)은 전면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되는 전면부는 상기 서브 도어(21)에 의하여 차폐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브 도어(21)가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에 밀착되면, 상기 서브 도어(21)의 배면에서 더 돌출되는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가 상기 칠러룸(202) 내부로 인입된다.
또한, 상기 제빙실(201)의 전면부도 상기 칠러룸(202)과 마찬가지로 개방되지만, 별도의 제빙실 도어(80)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브 도어(21)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제빙실(201)이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제빙실(20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실(201)의 후면에는 기어 안착홈(2011)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 안착홈(2011)에 상기 기어 어셈블리(G)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 어셈블리(G)의 전면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터(M1)가 장착되고, 상기 기어 어셈블리(207)와 블레이드 모터(M1)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7)에 의하여 가려진다.
또한, 상기 기어 어셈블리(G)의 전면에는 기어축(G1)이 연장되고, 상기 기어축(G1)에 상기 커넥터(G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모터(M1)의 회전축은 상기 기어 어셈블리(G)의 구동 기어축(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상기 기어 어셈블리(G) 내부에 구비되는 감속 기어들을 통하여 감속된 회전력이 상기 기어축(G1)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축(G1)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상기 샤프트(253)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축(G1)은 전달 기어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 어셈블리(G)의 구동축은 상기 기어 어셈블리(G)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어축(G1), 즉 전달축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먼 쪽의 타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 모터(M1)는 상기 제빙실의 후측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축(G1)은, 상기 제빙실(201)을 좌우로 이등분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빙실(201)의 후면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어셈블리(G)가 상기 제빙실의 후면(또는 후벽)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아이스 빈(25)을 상기 제빙실(201)에 장착하면, 상기 블레이드 유닛이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에 가까운 위치에 놓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구획벽(207)에 형성되는 상기 얼음 토출구(207a)도 상기 구획벽(207)의 전단부에 가까이에 위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얼음 토출구(207a)와 가이드 덕트(207d)가 상기 구획벽(207)의 전단부에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디스차지 덕트(39)가 수직면과 이루는 각도도 현저히 작아질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디스펜서(30)의 전후 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칠러룸(202)의 용적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일, 상기 제빙실(201)의 전면이 폐쇄되고, 제빙실(201)의 후면에 상기 제빙실 도어(80)가 장착되는 종래의 도어 제빙 구조에서는 상기 블레이드 모터(M1)와 기어 어셈블리(G)가 상기 제빙실의 전면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형태의 제빙실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이스 빈(25)을 장착하면, 상기 블레이드 유닛이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부터 가장 먼 쪽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기울어짐 각도가 커져서 디스펜서(30)의 전후 두께가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칠러룸(202)의 용적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실 도어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36은 상기 제빙실 도어의 우측 사시도이며, 도 37은 상기 제빙실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실 도어(80)는,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에 장착된다.
냉장실 도어에 제빙실이 구비되는 종래의 냉장고는, 제빙실 도어가 제빙실의 후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제빙실 도어의 단열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여 단열 성능을 높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제빙실의 개구부가 메인 도어(22)의 전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빙실 도어의 단열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단열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빙실 도어(80) 내부에 진공 단열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 도어(80)는, 프런트 커버(81), 리어 커버(83), 진공 단열 패널(82), 프레임(84), 핸들(86), 가스켓(87), 및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84)은 내부가 개구된 사각형 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84)의 배면에는 상기 가스켓(87)이 장착되어, 상기 제빙실 도어(8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빙실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84)의 전면에 상기 리어 커버(83)가 안착되고, 상기 리어 커버(83)의 전면에 상기 프런트 커버(81)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81)와 리어 커버(83) 사이에 상기 진공 단열 패널(VIP : Vacuum Insulation Panel)(82)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81)와, 리어 커버(83) 및 프레임(84)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런트 커버(81)와, 상기 리어 커버(83), 진공 단열 패널(82), 상기 프레임(84), 및 가스켓(87)의 결합체는 도어부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가 장착되고, 우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핸들(86)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 도어(80)는, 상기 도어부와,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를 포함하는 힌지부, 및 상기 핸들(86)을 포함하는 핸들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는 상기 제빙실(201)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중 어느 일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도어(21)의 회전 중심이 형성되는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서브 도어(21)의 회전 중심이 좌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도 상기 도어부의 좌측면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빙실 도어(8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21)를 닫더라도, 상기 서브 도어(21)에 의하여 상기 제빙실 도어(80)가 함께 닫히므로, 상기 제빙실 도어(80)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만일, 상기 서브 도어(21)의 회전축은 좌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빙실 도어(80)의 회전축은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빙실 도어(80)가 90도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21)를 닫는 경우, 상기 제빙실 도어(80)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 도어(80)와 상기 서브 도어(21)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는, 상기 제빙실(201)의 좌측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851)과, 상기 힌지 브라켓(851)에 끼워지는 힌지축(8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힌지 브라켓(851)은, 상기 제빙실(201)의 측면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부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브라켓 바디(8511)와, 상기 브라켓 바디(8511)의 전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힌지축(852)이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힌지축 수용부(8512)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힌지축 수용부(8512)는 상기 브라켓 바디(851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커버(81)의 측면 가장자리,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가 구비되는 쪽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힌지축 수용부(814)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힌지축 수용부(814)는, 상기 힌지 브라켓(851)을 구성하는 상기 다수의 힌지축 수용부(8512)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상기 힌지 브라켓(851)의 힌지축 수용부(8512) 사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힌지축 수용부(814)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상기 힌지축 수용부(8512)를 제 1 힌지축 수용부로, 상기 힌지축 수용부(814)를 제 2 힌지축 수용부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852)이 상기 힌지축 수용부들(8512,814)을 관통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81)와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가 한 몸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80)의 도어부는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의 힌지축(85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빙실(201)의 전면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힌지축 수용부들(814,8512)이 상기 도어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축(852)이 상기 힌지축 수용부들(814,8512)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851)과 상기 도어부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도어부의 회전 중심이 상기 도어부의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 도어(80)의 회전 중심이 상기 도어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 도어(80)의 도어부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도어부의 후면 가장자리와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이 간섭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빙실 도어(80)의 도어부의 회전 중심은, 상기 도어부의 전면을 지나는 수직면과 상기 도어부의 후면을 지나는 수직면 사이 공간에 놓이는 수직축이고, 상기 도어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메인 도어(22) 또는 서브 도어(21)의 경우, 회전 중심이 도어의 내측, 즉 도어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도어의 중심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메인 도어(22)의 후면 가장자리와 캐비닛(11)의 전면부 사이, 또는 메인 도어(22)의 전면과 서브 도어(21)의 후면 가장자리 사이에는, 손가락 끼임 방지를 위하여,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의 경우, 회전 중심이 되는 상기 힌지축(852)이 상기 도어부의 외측, 즉 도어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부와 제빙실 전면 가장자리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힌지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상기 서브 도어(21)의 배면이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와의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서브 도어(21)의 배면이 함몰되거나 단차지게 설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서브 도어(21)의 단열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일, 상기 메인 도어 어퍼 힌지 유닛(41)이나 서브 도어 어퍼 힌지 유닛(42)과 같은 형태의 힌지 어셈블리가 상기 제빙실 도어 힌지 어셈블리(85)로 사용될 경우, 전방으로 돌출되는 힌지 브라켓 부분으로 인하여, 상기 서브 도어(21)의 배면이 함몰되거나 단차지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상기 힌지축 수용부(814)가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 쪽에 해당하는 상기 프런트 커버(81)의 측면(도면에서 우측면)에는 스토퍼(813)와 힌지홈(8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홈(812)에는 핸들 힌지(88)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813)와 힌지홈(812)이 형성되는 측면에 가까운 상기 프런트 커버(81)의 전면부 우측 가장자리에는 핸들홈(81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 커버(83)의 전면부 우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프런트 커버(811)의 핸들홈(811)에 대응하는 핸들홈(83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커버(83)의 전면에 상기 프런트 커버(81)가 결합되면, 상기 프런트 커버(81)의 핸들홈(811)은 상기 리어 커버(83)의 핸들홈(832)에 안착된다.
상기 핸들홈(811,832)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진공 단열 패널(82)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홈(812,832)이 형성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진공 단열 패널(82)의 측면 가장자리가 절개되어, 상기 핸들홈(812,832)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 패널(83)의 전면에는 상기 진공 단열 패널(82)이 안착되기 위한 단열 패널 안착부(831)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86)은, 상기 프런트 커버(81)의 우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핸들(86)은, 파지부(861)와, 상기 파지부(861)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다가 후방으로 절곡되는 래치부(862)와, 상기 래치부(862)의 하단에 형성되는 히지홀(865)과, 상기 래치부(862)의 상단에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스토퍼 홀(863), 및 상기 래치부(862)의 후단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864)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핸들 힌지(88)는 상기 핸들(86)의 힌지홀(865)을 관통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81)의 힌지홈(812)에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핸들(86)은 상기 핸들 힌지(88)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813)는 상기 스토퍼 홀(863)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86)의 회전 한계를 설정한다. 즉, 상기 스토퍼 홀(863)의 길이에 따라 상기 핸들(86)이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864)는, 상기 제빙실(201)의 측면 전단부에 형성될 걸림부(미도시)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된다. 예컨대, 상기 파지부(861)를 후방으로 밀면, 상기 핸들(86)이 후방으로 회전하고, 상기 걸림 돌기(864)가 상기 제빙실(201)의 측면에 구비된 걸림부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861)는 상기 핸들홈(811)에 안착된 상태가 될 것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30)는 도어의 전면에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가 도어 인 도어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 중 앞쪽에 위치하는 서브 도어(21)에 구비되고, 제빙실이 메인 도어(22)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와 제빙실이 서로 다른 도어에 구비되는 냉장고에만 한정되지 않고, 제빙실과 디스펜서가 하나의 도어에 구비되는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30)는, 프런트 케이싱(31)과 리어 케이싱(32)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펜서 케이싱과, 상기 디스펜서 케이싱의 상측에 연결되는 디스차지 덕트(39)와,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출구를 개폐하는 덕트캡(후술함)을 구동하는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73)과, 상기 디스펜서 케이싱의 전면에 구비되는 취출 버튼((33)과, 상기 디스펜서 케이싱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틸팅되는 퍼넬(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30)의 상측, 구체적으로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싱의 상단부에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3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 케이싱에 장착될 수도 있지만, 상기 디스펜서 케이싱의 외측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300)은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 입력을 위한 버튼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취출을 원하는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취출을 원하는 객체는 물과 얼음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조작을 통하여 물과 얼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얼음 취출을 원하는 경우 통얼음과 분쇄 얼음 중 어느 하나를 추가로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3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냉장실,냉동실, 및 칠러룸의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은, 전면 일부가 후측으로 함몰되는 용기 수용부(301)를 가진다. 상기 용기 수용부(301)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30)의 전후 방향 두께가 두꺼워진다. 따라서, 디스펜서(30)의 슬림화를 위해서는 상기 용기 수용부(301)의 함몰 깊이를 작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 수용부(301)는,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함몰 깊이가 깊어지도록, 상기 용기 수용부(301)의 후면이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수용부(301)의 상면에는 퍼넬홀(314)이 형성되고, 상기 퍼넬홀(314)에 인너 퍼넬(37)과 아우터 퍼넬(36)을 포함하는 퍼넬(funnel)(S)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퍼넬(S)은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퍼넬(S)을 구성하는 상기 아우터 퍼넬(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전면부와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 취출 과정에서는 상기 퍼넬(S)이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으며, 틸팅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퍼넬(S)의 출구단은 상기 용기 수용부(301)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퍼넬홀(314)을 통하여 상기 용기 수용부(301) 쪽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수용부(301)에 컵과 같은 용기를 갖다대어, 상기 퍼넬(S)을 통하여 취출되는 얼음을 받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 수용부(301)의 경사진 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부분에는 취출 버튼 수용홈(313)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취출 버튼 수용홈(313)에 취출 버튼(33)이 회동 가능하게 놓인다. 그리고, 상기 취출 버튼 수용홈(313)의 배면에는 스위치 장착부(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장착부(312)에 마이크로 스위치(34)가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조작을 통하여 물 취출 모드와 얼음 취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다음, 상기 취출 버튼(33)을 누르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4)가 온되어 물과 얼음 중 선택된 객체가 취출된다.
여기서, 물 취출 모드와 얼음 취출 모드의 선택은 상기 컨트롤 패널(300)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취출 버튼(33)은 선택된 객체의 취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 수용부(301)의 경사진 면에 물 취출 버튼과 얼음 취출 버튼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취출 버튼과 얼음 취출 버튼은, 상측 전방과 하측 후방에 계단 형태로 중첩 배치되되, 조작 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간격을 두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원하는 객체의 취출을 위한 버튼을 누르면 되고, 컨트롤 패널을 통하여 취출 모드를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용기 수용부(33)의 상단에는 물꼭지(또는 음용수 취출구)(35)가 돌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리어 케이싱(32)과 디스펜서 라이너(211) 사이 공간을 따라 연장되는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의 단부가 상기 물꼭지(35)에 연결되어, 상기 물꼭지(35)를 통하여 음용수가 취출된다. 그리고, 상기 물꼭지(35)는 상기 용기 수용부(301)를 형성하는 경사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물 또는 얼음을 받을 용기로 상기 취출 버튼(33)을 누르면, 상기 물꼭지(35)로부터 취출되는 물 또는 상기 퍼넬(S)을 통하여 토출되는 얼음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배면 중, 상기 용기 수용부(301)의 상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스프링 지지 리브(311)가 돌출 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 리브(311)에는 후술할 리턴 스프링(301)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리턴 스프링(301)의 타단은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스프링 걸이부(363)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퍼넬홀(314)에는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출구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덕트 캡(38)이 놓이고, 상기 덕트 캡(38)은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73)에 의하여 상기 리어 케이싱(32)의 전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용기 수용부(301)의 후측 가장자리에는 디스펜서 컨트롤러(3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컨트롤러(310)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4)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일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케이싱을 구성하는 상기 리어 케이싱(32)은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4)와, 상기 디스펜서 컨트롤러(310), 상기 덕트 캡(38) 및 상기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73)을 덮는다. 그리고, 상기 용기 수용부(301)의 형상을 따라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4)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스위치 커버부(322)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 캡(38)이 위치하는 상기 리어 케이싱(32)의 배면에는 가이드 슬리브(321)가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321)의 상단은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출구단, 즉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321)의 하단부는 상기 덕트 캡(38)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본 발명의 상세 설명 및 청구항에서, 상기 덕트 캡(38)이 상기 디스차지 덕트(39)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엄밀하게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321)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덕트 캡(38)이 상기 디스차지 덕트(39)를 개폐한다는 것은, 도어에 형성되는 얼음 배출 유로의 단부, 또는 얼음 배출 유로의 출구단을 개폐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디스차지 덕트(39)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321)까지 포함하는 얼음 배출 유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41은 디스펜서 케이싱이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2는 상기 디스펜서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서(30)는, 디스펜서 케이싱(31)과, 취출 버튼(33)과, 인너 퍼넬(37)과 아우터 퍼넬(36)을 포함하는 퍼넬(S)와,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73)과, 물꼭지(35)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30)는 상기 취출 버트(33)의 후측에 구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퍼넬(S)는, 상기 아우터 퍼넬(36)과,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후측에 배치되는 인너 퍼넬(3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퍼넬(36)은 불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 퍼넬(37)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펜서(30)의 전방에서 상기 퍼넬(S) 내부가 보이지 않으면서, 상기 퍼넬(S)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 수단이 켜지면, 야간에도 상기 퍼넬(S)이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전면은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전면에서 상기 디스펜서(30)를 볼 때,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전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전면은 디스플레이부로 활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전면에 얼음 취출 모드 또는 얼음 취출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퍼넬(36)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좌측 및 우측 가장아리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상단에는 회동축(362)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362)은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의 후단에는 스프링 걸이부(363)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걸이부(363)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301)의 전단부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턴 스프링(301)의 후단부는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배면에 돌출되는 스프링 지지 리브(31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퍼넬(36)이 상기 회동축(36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리턴 스프링(301)은 신장되면서 복원력이 축적되고, 상기 아우터 퍼넬(36)을 회전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리턴 스프링(301)은 수축되고 상기 아우터 퍼넬(36)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366)가 돌출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중 어느 일측에만 상기 가이드 돌기(366)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양 측면부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가이드 돌기(366)는, 후술하게 될 상기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73)을 구성하는 푸쉬 링크와 연동하여, 상기 아우터 퍼넬(36)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배면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에는 걸림 리브(364)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리브(364)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배면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는 체결 보스(36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너 퍼넬(37)은 상기 아우터 퍼넬(36)과 한 몸으로 결합되어 퍼넬(S)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너 퍼넬(37)은, 전면 상측은 개구되고, 전면 하측과, 좌우 측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너 퍼넬(37)의 전면 상측이 개구됨으로써, 상기 인너 퍼넬(37)과 상기 덕트 캡(38)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퍼넬(37)의 하단부에는 얼음 배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홀은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퍼넬(37)에는 걸림단(37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단(372)은, 상기 인너 퍼넬(37)의 전면부와 양 측면부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인너 퍼넬(37)의 상측 단부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단(372)은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배면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 리브(364)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퍼넬(37)의 전면부 하단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는 체결 리브(371)가 각각 연장되고, 상기 체결 리브(371)에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가 상기 체결 리브(371)의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 보스(365)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 퍼넬(37)은, 걸림단(372)이 걸림 리브(364)에 걸리고, 체결 리브(371)가 체결 보스(365)에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배면에 한 몸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너 퍼넬(37)이 상기 아우터 퍼넬(36)에 한 몸으로 결합되는 방법은 상기의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것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4는 상기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3 및 도 4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73)은, 덕트캡 구동 모터(70)와, 상기 덕트캡 구동 모터(70)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랙기어(71), 및 상기 랙기어(7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덕트캡 서포터(72)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캡 서포터(72)에는 상기 덕트 캡(38)이 장착되어, 상기 덕트캡 서포터(72)와 상기 덕트캡(38)은 한 몸으로 회전한다.
상세히, 덕트캡 서포터(72)는, 상기 덕트캡(38)의 전면에 결합되는 캡홀더(721)와, 상기 캡홀더(721)의 상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더 샤프트(722)와, 상기 홀더 샤프트(721)의 일단에서 상기 홀더 샤프트(7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암(723), 및 상기 홀더 샤프트(7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회동암(723)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푸쉬 링크(7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링크(725)는 상기 회동암(723)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샤프트(722)에는 리턴 스프링(724)이 감겨서, 상기 홀더 샤프트(722)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제거되면, 상기 덕트캡 서포터(72)가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덕트캡 서포터(72)의 원위치는 상기 덕트캡(72)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321)의 하단, 즉 얼음 배출 유로의 하단을 폐쇄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캡홀더(721)는, 상기 홀더 샤프트(72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덕트캡(38)의 상면을 덮고, 하측으로 절곡 후 연장되어 상기 덕트캡(38)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덕트캡(38)의 전면에 밀착되는 상기 캡홀더(721) 부분에는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캡(38)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321)의 하단부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덕트캡 바디(381)와, 상기 덕트캡 바디(381)의 전면에 장착되는 덕트캡 커버(38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캡 커버(382)의 전며에는 다수의 체결 돌기들(383)이 돌출되어, 상기 캡홀더(721)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홀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 샤프트(722)가 회전하면, 상기 덕트캡(38)은 상기 덕트캡 서포터(72)와 한 몸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랙기어(71)는, 부채꼴 형상의 기어 바디(710)와, 상기 기어 바디(71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기어부(711)와, 상기 기어 바디(710)의 중심에 형성되는 랙기어축(712), 및 상기 기어 바디(710)의 배면에서 상기 홀더 샤프트(722)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단(7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장단(713)은 상기 랙기어축(712)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덕트캡 서포터(72)이 회동암(723)과 교차하여 상기 회동암(723)의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덕트캡 구동 모터(70)의 회전축에는 구동 기어(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 기어의 외주면에 상기 랙기어(71)의 기어부(711)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캡 구동 모터(70)가 구동하면, 상기 구동 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기어부(711)가 상기 구동 기어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덕트캡 구동 모터(70)가 구동하면, 상기 랙기어축(712)이 회전하고, 상기 연장단(713)이 상기 랙기어축(7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단(713)은 상기 회동암((723)을 가압하여, 상기 회동암(723)이 상기 홀더 샤프트(722)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의 동작에 따른 얼음 배출 유로의 개방 및 아이스 슈트의 틸팅 과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이 정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펜서의 측면도이고, 도 46은 상기 디스펜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면,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펜서(30)와 제빙실(201)을 연결하는 얼음 배출 유로는 상기 덕트 캡(38)에 의하여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상세히, 상기 덕트캡(38)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321)의 출구단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푸쉬 링크(725)가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측면 후단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돌기(366)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전면은 상기 프런트 케이싱(31)의 전면과 동일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7은 덕트캡이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펜서의 측면도이고, 도 48은 상기 디스펜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취출 버튼(33)을 눌러서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덕트캡 구동 모터(70)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덕트캡 구동 모터(70)의 구동축(또는 회전축)이 회전한다.
상세히, 상기 덕트캡 구동 모터(70)의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 기어가 회전하면, 구동 기어에 맞물린 상기 랙기어(71)가 회전하고, 상기 랙기어(7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장단(713)이 회전한다.
상기 연장단(713)이 회전하면, 상기 연장단(71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장단(713)의 저면에 놓인 상기 회동암(723)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푸쉬 링크(725)도 함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푸쉬 링크(725)가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가이드 돌기(366)에 접할 때까지는, 상기 덕트캡(38)만 회전하고 상기 퍼넬(S)은 이전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상기 덕트캡(38)과 상기 퍼넬(S)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면, 상기 퍼넬(S)의 회전량이 과도하게 커서, 상기 아우터 퍼넬(36)이 상기 서브 도어(21)의 전면으로부터 과도하게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퍼넬(S)의 회전 시작 시점이 상기 덕트캡(38)의 회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시간 차를 두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49는 덕트캡이 최대로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펜서의 측면도이고, 도 50은 상기 디스펜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49 및 도 50을 참조하면, 상기 푸쉬 링크(725)가 상기 가이드 돌기(366)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푸쉬 링크(725)가 더 회전하면, 상기 덕트캡(38)과 함게 상기 아우터 퍼넬(36)도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퍼넬(36)이 전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배면에 결합된 상기 인너 퍼넬(37)도 한 몸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아우터 퍼넬(36)은 상기 디스펜서 케이싱, 특히 프런트 케이싱(31)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회동축(36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만큼 틸팅된다.
그 결과, 상기 인너 퍼넬(37)의 하단에 형성되는 얼음 배출구도 전방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인너 퍼넬(37)의 하단에 형성되는 얼음 배출구가 상기 디스펜서(30)의 전면에 형성되는 용기 수용부(301)의 상면에서 전방으로 더 확장되어, 상기 인너 퍼넬(37)의 얼음 배출구를 통하여 얼음을 받는 것이 더욱 쉬워진다.
즉, 얼음 배출구의 횡단면적이 커짐과 동시에 얼음 배출구가 디스펜서의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얼음을 받기 위한 용기를 상기 용기 수용부(301)의 안쪽 깊숙히 밀어 넣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얼음 취출 모드에서 상기 퍼넬(S)가 디스펜서 케이싱의 전방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상기 얼음 수용부(301)의 전후 방향 깊이를 종전보다 얕게 하여도 무방하기 때문에, 디스펜서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30)의 슬림화를 통하여, 상기 디스펜서의 후측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확보해야하는 사체적이 작아지므로, 상기 칠러룸(202)의 유효 저장 체적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와 상기 가이드 슬리브(321)로 이루어지는 얼음 배출 유로의 기울기, 즉 수직면으로부터 후측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종래보다 더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30)가 구비되는 도어의 두께를 슬림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얼음 취출이 완료되어, 상기 덕트캡 구동 모터(7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랙기어(71)도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세히, 상기 랙기어(71)가 역회전하면, 상기 회동암(723)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거된다. 그러면, 상기 홀더 샤프트(722)에 감긴 상기 리턴 스프링(724)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덕트캡 서포터(72)도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캡 서포터(72)가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덕트캡(38)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321)의 출구단을 폐쇄하게 되나.
또한, 상기 푸쉬 링크(725)가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퍼넬(S)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거된다. 그러면,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양 측면부 후단에 연결된 상기 리턴 스프링(301)에 축적된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아우터 퍼넬(36)도 원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아우터 퍼넬(36)과 인너 퍼넬(37)이 함께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상기 리턴 스프링(301)에 의하여, 상기 캡 덕트(38)를 원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별도의 구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소비 전력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덕트캡 구동 모터(70)의 회전축에 상기 랙기어(71)가 연결되고, 상기 랙기어(71)에 의하여 상기 덕트캡 서포터(72)가 회전하는 구조로 한정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구체적으로, 상기 랙기어(71)를 삭제하고, 상기 덕트캡 구동 모터(70)의 회전축에 상기 덕트캡 서포터(72)의 홀더 샤프트(722)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51 내지 도 5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의 작동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은 덕트캡(38)을 회전시켜 얼음 배출 유로를 개방하기 위한 구동 모터가 필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차지 덕트 개폐 모듈은, 이전 실시예에 제시되는 덕트캡 구동 모터(70)를 대신하는 구동 수단을 제외하고는 이전 실시예와 그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다.
상세히, 상기 덕트캡 구동 모터(70)를 대신하는 구동 수단은, 상기 취출 버트(33)의 힌지축(331)에 연결되는 전달 링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링크(332)는, 상기 취출 버튼(33)의 상단부에서 연장되는 별도의 링크일 수도 있고, 상기 취출 버튼(33)과 상기 전달 링크(331)가 소정 각도를 이루는 상태로 단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 버튼과 상기 전달 링크(331)가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힌지축(3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 링크(331)는 상기 푸쉬 링크(725)를 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 링크(332)가 상기 취출 버튼(33)과 별도의 부품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취출 버튼(33)의 힌지축에는 메인 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전달 링크(332)의 하단에는 서브 기어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기어와 서브 기어 사이에 중간 기어가 개입되어, 상기 메인 기어의 회전 방향과 상기 서브 기어의 회전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취출 버튼(33)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전달 링크(331)가 회전하여 상기 푸쉬 링크(725)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기어의 직경은 상기 서브 기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취출 버튼(33)의 회동량이 작더라도, 상기 푸쉬 링크(725)가 충분히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취출 버튼(33)의 회전량 만으로도 상기 덕트캡(38)이 충분히 회전하여 얼음 배출 유로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취출을 위하여 상기 취출 버튼(33)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취출 버튼(33)은 상기 힌지축(331)을 지나는 수평선으로부터 소정 각도(φ1) 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얼음 취출을 위하여 상기 취출 버튼(33)의 전면을 가압하면, 상기 취출 버튼(33)은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수평선과 소정 각도(φ2,φ2>φ1)를 이룬다.
도 53을 참조하면, 도 52에 설명된 각도(φ2)로 상기 취출 버튼(33)이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취출 버튼(33)을 더 가압하면, 상기 전달 링크(332)가 상기 푸쉬 링크(725)를 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더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 버튼(33)을 끝까지 눌렀을 때, 즉 상기 취출 버튼(33)과 상기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φ3,φ3>φ2)가 최대가 되었을 때, 상기 덕트캡(38)이 전방으로 최대로 회전한 상태가 되고, 상기 퍼넬(S)가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덕트캡(38)을 회동시켜서 얼음 배출 유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가 취출 버튼(33)을 누르는 물리적인 힘만 있으면 충분한 장점이 있다.
도 54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30)는, 물꼭지(35)의 위치에 있어서 이전 실시예와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세히, 이전의 실시예에서 상기 물꼭지(35)는 얼음 수용부(301)이 후면 상트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꼭지(35)도 상기 퍼넬(S)와 함께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이 상기 서브 도어(21)의 전면과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전면 사이 공간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물꼭지(35)는 상기 퍼넬(S)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꼭지(35)가 상기 인너 퍼넬(37)과 상기 아우터 퍼넬(36)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퍼넬(S)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 급수 배관(62)이 상기 서브 도어(21)의 내부를 따라 상기 물꼭지(35)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펜서로 얼음을 공급하는 제빙실(201)이 상기 메인 도어(22)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빙실은 상기 메인 도어(22)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즉 상기 냉장실(114)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다시 말하면, 제빙실이 캐비닛에 설치되는 냉장고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상기 제빙실이 설치되는 도어와 다른 도어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빙실이 설치되는 도어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 도어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6는 상기 서브 도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55 및 도 56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도어(21)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런트 플레이트(214)와,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214)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플레이트(215)와,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214)와 리어 플레이트(215)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어퍼 데코(upper decor)(216) 및 로어 데코(lower decor)(2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214)에는 디스펜서 홀(214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디스펜서 홀(2141)에 상기 디스펜서(3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1)의 제조를 위해서는 내부에 단열재를 발포 충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발포 충진 과정은, 상기 디스펜서(30)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상기 리어 케이싱(32)이 상기 디스펜서 홀(2141)에 장착된 상태에 수행된다.
또한, 상기 리어 플레이트(215)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가 둘출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전방에 상기 리어 케이싱(32)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상면에는 덕트홀(2152)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홀(2152)에는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입구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덕트(39)의 출구단은 상기 리어 케이싱(31)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 슬리브(32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215)의 어느 지점에는 발포액 주입구(2151)(또는 발포액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발포액 주입구(2151)는 주입구 커버(218)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발포액 주입구(2151)는,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상면 전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액 주입구(2151) 는, 상기 서브 도어(21)의 상단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215)의 상단부보다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상면 전단부에 더 가까운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214)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215) 사이에 장착되어야 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장착되어 단열재가 누설되는 구멍이나 틈새가 막힌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21)의 내부에 발포 단열재가 주입되도록 한다.
상기 발포액 주입구(2151)를 통하여 발포 단열재(또는 발포액)가 주입되면,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214)와 상기 리어 케이싱(32)에 의하여 정의되는 서브 도어 전면부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215)에 의하여 정의되는 서브 도어 후면부와, 상기 어퍼 데코(216) 및 로어 데코(217)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 내부로 액상의 발포 단열재(liquefied foamed thermal insulation material)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액상의 발포 단열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으면서 굳어진다.
한편, 발포 단열재가 상기 발포액 주입구(2151)를 통하여 주입되어 상기 서브 도어(21) 내부 공간이 발포액으로 충진되는 동안, 상기 충진되는 발포액의 부피에 해당하는 공기가 상기 서브 도어(21)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상기 서브 도어(21) 내부의 공기가 발포 과정에서 서브 도어(21)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지 못하면, 상기 서브 도어(21) 내부에는 발포액 미충진 공간이 생기게 된다.
발포액 충진 과정에서 신속한 공기 배출을 위하여,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 부분에 다수의 벤트홀(215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중앙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벤트홀(2153)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벤트홀(2153)은 직경 0.5 ~ 1.5mm, 바람직하게는 1mm의 홀일 수 있고, 인접하는 벤트홀 간의 간격은 7 ~ 15mm, 바람직하게는 10mm일 수 있다. 그리고, 25 ~ 35개, 바람직하게는 30개의 벤트홀(2153)이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홀(2153)이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에 형성되는 이유는, 발포액이 채워지는 양상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며, 발포액이 가장 늦게 채워지는 부분에 상기 벤트홀(21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7은 서브 도어의 저면부를 형성하는 로어 데코의 저면도이다.
도 57을 참조하면, 로어 데코(217)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힌지축이 관통하는 힌지홀(217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홀(2172)로부터 상기 로어 데코(217)의 타측 가장자리 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부터 다수의 벤트홀(21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벤트홀(2171)은 상기 로어 데코(217)의 중앙 지점에서 상기 로어 데코(217)의 일 측면 가장자리에서 타 측면 가장자리 쪽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서브 도어의 발포액 충진 과정에서 상기 로어 데코(217) 쪽으로 발포액이 흘러간다. 그리고, 상기 로어 데코(217) 쪽이 가장 늦게 발포액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상기 로어 데코(217)에 벤트홀(217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58 내지 도 61은 서브 도어의 발포액 충진 과정에서 발포액이 채워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도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상기 서브 도어(21)의 내부에 발포액을 충진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브 도어(21)의 전면이 아래 쪽을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지그(미도시)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발포액 주입구(2151)를 통하여 주입되는 발포액이 멀리까지 퍼질 수 있도록, 상기 서브 도어(21)는 수평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놓이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4 ~ 6도 정도 기울어지게 놓이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발포액 주입구(2151)가 상기 서브 도어(21)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상기 서브 도어(21)를 경사지게 한다. 만일, 상기 서브 도어(21)가 수평하게 놓인 상태에서 발포액이 주입될 경우, 발포액이 멀리까지 골고루 퍼지지 못하고 굳어버릴 수 있다.
도 58은 발포액 주입이 시작되고 약 5초 정도 경과하였을 때의 발포액 확산 상태를 보여주며, 충진율은 약 5% 정도이다.
발포액 주입구(2151)를 통하여 주입되는 발포액은 서브 도어(21)의 중심으로부터 사방으로 퍼지되, 도어 핸들이 있는 쪽으로 발포액이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서브 도어(21)의 횡단면 형상으로부터 기인한다. 다시 말하면, 힌지축이 연결되는 서브 도어(21)의 측면 두께보다 반대쪽 측면, 즉 핸들이 부착되는 쪽의 측면의 두께가 더 두껍다.
따라서, 서브 도어(21)의 전면이 아래쪽으로 가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서브 도어(21)의 배면에 형성된 상기 발포액 주입구(2151)를 통하여 발포액을 주입하면, 발포액이 핸들이 부착되는 측면으로 쏠리게 된다.
도 59는 발포액 주입이 시작되고 약 16초 정도 경과하였을 때의 발포액 확산 상태를 보여주며, 충진율은 약 30%이다.
도 59에 따르면, 발포액이 상기 서브 도어(21)의 상단부까지 먼저 채워지고, 점진적으로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 부분에 채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0은 발포액 주입이 시작되고 약 19초 정도 경과하였을 때의 발포액 확산 상태를 보여주며, 충진율은 약 55% 정도이다.
도 60에 따르면, 발포액은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좌측면과 우측면 바닥에서 거의 동일한 속도로 채워져서,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중앙부로 모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브 도어(21)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중심 방향으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충진 양상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벤트홀(2153)이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디스펜서 라이너(21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하였다.
도 61은 발포액 주입이 시작되고 약 32초 정도 경과하였을 때의 발포액 확산 상태를 보여주며, 충진율은 약 97%이다.
도 61에 따르면, 발포액이 상기 서브 도어(21)의 하단부를 향하여 흘러가면서 상기 디스펜서 라이너(211)를 동시에 채운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21)의 하단부가 가장 나중에 채워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충진 양상에 의하여 상기 로어 데코(217)에 다수의 벤트홀(2171)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3은 상기 메인 도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62 및 도 6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도어(22)는, 프런트 파트(22a)와, 상기 프런트 파트(22a)의 후면에 결합되는 리어 파트(22b)와, 상기 프런트 파트(22a)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어퍼 데코(22c) 및 로어 데코(22d)와, 상기 프런트 파트(22a)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데코(22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파트(22a)는, 도어 프레임(224)과, 상기 도어 프레임(224)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인너 하우징(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224)과 인너 하우징(231)은 사출 성형에 의하여 단일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어 파트(22b)는, 상기 도어 프레임(224)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224)의 후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233)와, 상기 플랜지부(233)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너 하우징(231)을 감싸는 아우터 하우징(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전면부에는 개구부(225)가 형성되고,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내부는 구획벽(207)에 의하여 상측 저장 공간인 상기 제빙실(201)과 하측 저장 공간인 상기 칠러룸(201)으로 구획된다.
상기 메인 도어(22) 내부로 발포 단열재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외부 측면에 상기 도어 덕트 어셈블리(50)가 결합되어, 상기 냉기 유입구(231a)와 제빙실측 냉기 배출구(231b) 및 칠러룸측 냉기 배출구(231c)로 발포액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덕트(207d)가 상기 구획벽(207)에 장착되고, 상기 연통홀(207b)에 댐퍼 어셈블리(200)가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인너 하우징(231)에 형성되는 홀이나 틈새를 통하여 발포액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배면에 상기 아우터 하우징(232)을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 데코(22e)를 결합한 다음, 상기 인너 하우징(231)과 아우터 하우징(2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발포액을 주입한다.
상기 프런트 파트(22a)의 후방에 상기 리어 파트(22b)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22)는 크게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도 64는 메인 도어를 구성하는 프런트 파트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64를 참조하면, 상기 프런트 파트(22a)는, 도어 프레임(224)과, 상기 도어 프레임(224)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인너 하우징(231)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프레임(224)은 사각형 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도어(22)의 도어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224)의 내측에는 개구부(225)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개구된 전면부로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224)의 전면에는 단차부(224a)가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224a)는 상기 개구부(225)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224a)의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서브 도어(21)의 배면에 둘러지는 가스켓(210)이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224a) 중 상기 개구부(225)의 하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발포액 주입구(2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액 주입구(226)는 상기 단차부(224a)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1)의 후면을 정의하는 상기 인너 하우징의 후면에는 다수의 벤트홀(227)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벤트홀(227)은 상기 제빙실의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벤트홀(227)의 직경과, 인접하는 벤트홀 간의 간격은 상기 서브 도어(21)에 형성되는 벤트홀들 (2153)의 직경 및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트홀(227)의 개수는 30개 내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빙실(201) 후면의 상하 폭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22)는, 발포액의 주입 시, 발포액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이 상기 서브 도어(21)에 비하여 많은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즉, 상기 메인 도어(22)의 구조가 상기 서브 도어(21)의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22)에 발포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포액이 채워지는 않는 영역이 없도록, 적어도 2 이상의 지점에서 발포액이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65는 메인 도어를 구성하는 프런트 파트의 평면도이고, 도 66는 상기 프런트 파트의 저면도이다.
도 65 및 도 6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도어(22)의 상면,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도어(22)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224)의 상면과 저면에 다수의 벤트홀(228,229)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위에서 설명한 다른 벤트홀들이 가지는 직경 및 인접하는 벤트홀들 간의 간격 조건이 상기 도어 프레임(224)에 형성되는 벤트홀들(228,229)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224)의 상면에 형성되는 벤트홀들(228)은 20 ~ 25개일 수 있고, 상기 도어 프레임(224)의 저면에 형성되는 벤트홀들(229)는 25 ~ 30개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 프레임(224)의 설계 치수에 따라 상기 베트홀들(228,229)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67 내지 도 70은 메인 도어의 발포액 충진 과정에서 발포액이 채워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도이다.
도 67은, 발포액 주입이 시작되고 약 5초 정도 경과하였을 때의 발포액 확산 상태를 보여주며, 충진율은 약 5% 정도이고, 도 68은 발포액 주입이 시작되고 약 17초 경과하였을 때의 발포액 확산 상태를 보여주며, 충진율은 약 30%이다. 그리고, 도 69는 발포액 주입이 시작되고 약 20초가 경과하였을 때의 발포액 확산 상태를 보여주며, 충진율은 약 55%이며, 도 70은 발포액 주입이 시작되고 약 32초가 결과하였을 때의 발포액 확산 상태를 보여주며, 충진율은 약 97%이다.
서브 도어(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 도어도, 발포액 충진 과정에서 발포액의 원활한 흐름과 확산을 위하여, 수평면으로부터 4 ~ 6도 정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발포액이 주입되도록 한다.
메인 도어(22)는, 서브 도어(21)와 달리, 전면부가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발포액 주입구(226)가 형성되는 하단부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발포액 주입구(226)가 상기 메인 도어(22)의 전면 하측에 형성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도 67을 참조하면, 두 개의 발포액 주입구(226)를 통해서 주입되는 발포액은 상기 하우징(23)의 바닥부와 측면부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도 68을 참조하면, 발포액이 상기 하우징(23)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채워지면서 상기 메인 도어(22)의 상단 쪽으로 흘러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8과 도 69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3)의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우징의(23)의 중심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발포액이 채워지면서 서로 만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빙실(201)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빙실(201)의 후면 중심 방향으로 발포액이 흘러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201)의 후면을 정의하는 상기 인너 하우징(231)의 어느 지점에 다수의 벤트홀(227)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벤트홀(227)은 상기 제빙실(201)의 바닥에서 상면 쪽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70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도어(22)의 상단과 하단에서 발포액이 가장 늦게 채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22)의 상면과 하면, 즉 상기 도어 프레임(224)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다수의 벤트홀(228,229)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Claims (9)

  1. 냉장실과, 증발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고, 일 측면에 냉기 흡입구와 냉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빙실;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고, 일 측면에 냉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칠러룸;
    상기 제 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칠러룸을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빙실과 상기 칠러룸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기 제빙실과 상기 칠러룸이 연통하도록 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구획벽;
    상기 제빙실과 상기 칠러룸 간 냉기 유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는 댐퍼;
    상기 증발실 냉기가 상기 제빙실로 공급되도록, 상기 증발실의 출구와 상기 제빙실의 냉기 흡입구를 연결하는 냉기 공급 덕트;
    상기 제빙실의 냉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 1 입구단과, 상기 칠러룸의 냉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 2 입구단을 가지는 냉기 회수 덕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덕트는,
    상기 캐비닛의 측벽에 제공되는 캐비닛측 공급 덕트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측 공급 덕트와 연통하는 도어측 공급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측 공급 덕트의 입구단은 상기 증발실과 연통하고, 출구단은 상기 냉장실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측 공급 덕트의 입구단은 상기 캐비닛측 공급 덕트의 출구단과 연통하고,
    상기 도어측 공급 덕트의 출구단은 상기 제빙실의 냉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 및 증발실과 구획되는 냉동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 회수 덕트는,
    상기 캐비닛의 측벽에 제공되는 캐비닛측 회수 덕트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측 회수 덕트와 연통하는 도어측 회수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측 회수 덕트의 입구단은 상기 냉장실 측면에 배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냉동실과 연통하며,
    상기 도어측 회수 덕트의 출구단은 상기 캐비닛측 회수 덕트의 입구단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 내부에 수용되는 제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 어셈블리는,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측에 배치되는 아이스 빈을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 2 도어에 형성되는 디스펜서와,
    상기 제 2 도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가이드 덕트의 출구단을 연결하는 디스차지 덕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의 출구단이 형성되는 상기 구획벽의 저면과, 상기 디스차지 덕트의 입구단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의 출구단에 둘러지는 제 1 가스켓과,
    상기 디스차지 덕트의 입구단에 둘러지고, 상기 제 2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1 가스켓과 밀착되는 제 2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칠러룸의 후면을 개폐하는 칠러룸 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칠러룸을 정의하는 상기 하우징의 벽면 내부에 매설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87012609A 2015-08-31 2016-08-31 냉장고 KR102655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11187A KR20240052062A (ko) 2015-08-31 2016-08-3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2776 2015-08-31
KR1020150122776 2015-08-31
KR20150127455 2015-09-09
KR1020150127455 2015-09-09
KR20150127456 2015-09-09
KR1020150127456 2015-09-09
KR1020160109927 2016-08-29
KR20160110200 2016-08-29
KR20160109927 2016-08-29
KR1020160110200 2016-08-29
KR1020160110227 2016-08-29
KR1020160109828 2016-08-29
KR20160109828 2016-08-29
KR20160110227 2016-08-29
KR1020160110612 2016-08-30
KR20160110612 2016-08-30
PCT/KR2016/009745 WO2017039332A1 (ko) 2015-08-31 2016-08-31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187A Division KR20240052062A (ko) 2015-08-31 2016-08-3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874A true KR20180054874A (ko) 2018-05-24
KR102655812B1 KR102655812B1 (ko) 2024-04-09

Family

ID=581888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609A KR102655812B1 (ko) 2015-08-31 2016-08-31 냉장고
KR1020247011187A KR20240052062A (ko) 2015-08-31 2016-08-31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187A KR20240052062A (ko) 2015-08-31 2016-08-31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401072B2 (ko)
EP (3) EP3690366B1 (ko)
KR (2) KR102655812B1 (ko)
ES (2) ES2790644T3 (ko)
WO (1) WO20170393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536A1 (ko) * 2022-10-13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9598A (zh) * 2014-06-11 2014-09-0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风冷电冰箱
US10443904B2 (en) * 2015-10-23 2019-10-15 Patrick Alan Tatom Device for cooling substances
US10544983B2 (en) * 2017-01-03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412060B1 (ko) * 2017-04-26 2022-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60680B1 (ko) * 2017-05-18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663206B2 (en) * 2017-06-13 2020-05-26 Bsh Hausgeraete Gmbh Household cooling appliance with specific external cooling of a sub-unit of the ice maker
CN108548355B (zh) * 2018-03-09 2020-06-2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风道集成模块及具有该风道集成模块的冰箱
US20190360741A1 (en) * 2018-05-22 2019-11-2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with multiple zone flexible chamber in door
US20200248950A1 (en) * 2019-02-06 2020-08-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with direct-cooled in-door chamber
CN110895069B (zh) * 2019-11-29 2021-09-2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及具有其的冰箱
KR20210072579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그릴팬어셈블리
USD969886S1 (en) * 2020-07-06 2022-11-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437A (ko) * 2004-11-09 200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유로구조
KR20090059660A (ko) * 2007-12-07 200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75911A (ko) * 2008-01-07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116767A (ko) * 2009-04-23 201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72364A (ko) * 2009-12-22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72506A (ko) * 2009-12-23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40891A (ko) * 2010-10-20 2012-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75576A (ko) * 2013-12-26 2015-07-0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포켓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2660A (en) * 1976-08-26 1978-07-25 Whirlpool Corporation Ice guide for refrigerator with external ice service
US6314745B1 (en) * 1998-12-28 2001-11-1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and a control system therefor
KR200170259Y1 (ko) * 1999-09-03 2000-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얼음토출구 개폐장치
KR100488074B1 (ko) 2003-03-22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구조
KR100510698B1 (ko) *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KR100565622B1 (ko) * 2003-09-19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584271B1 (ko) 2004-03-24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0707347B1 (ko) * 2004-09-30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266951B2 (en) * 2004-10-26 2007-09-11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0621108B1 (ko) * 2004-12-2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1275560B1 (ko) * 2006-09-05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820818B1 (ko) * 2006-11-13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US7797961B2 (en) * 2006-12-07 2010-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ce-making unit configuration
KR100869510B1 (ko) * 2007-01-18 200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80112710A (ko) 2007-06-22 2008-12-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KR101275945B1 (ko) * 2007-07-31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DE102007038182B4 (de) * 2007-08-13 2011-01-20 Emz-Hanauer Gmbh & Co. Kgaa Eisspender für einen Kühlschrank
KR101437173B1 (ko) * 2008-01-31 2014-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312735B2 (en) * 2008-03-12 2012-11-20 Whirlpool Corporation External tilt bucket for an appliance door
US20100139299A1 (en) * 2008-04-15 2010-06-10 Dong-Hoon Lee Refrigerator and full ice level sensing apparatus thereof
KR101513628B1 (ko) * 2008-09-30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04214B1 (ko) * 2008-11-28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WO2010079975A2 (ko) * 2009-01-08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 장치
US8769981B2 (en) * 2009-12-22 2014-07-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ce maker and ice level sensor
US8881951B2 (en) * 2010-05-06 2014-11-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794346B1 (ko) * 2010-07-30 201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댐퍼 어셈블리 제조방법
KR101857654B1 (ko) * 2011-07-14 2018-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U2012347423B2 (en) * 2011-12-09 2017-04-2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ingle paddle ice and water dispenser
KR102101657B1 (ko) 2013-02-18 2020-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60718B1 (ko) 2013-02-21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20140124114A (ko) * 2013-04-16 2014-10-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56123B1 (ko) 2013-08-12 2020-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34011B1 (ko) * 2014-02-17 202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22228B1 (ko) * 2014-02-21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874386B2 (en) * 2015-05-05 2018-01-2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437A (ko) * 2004-11-09 200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유로구조
KR20090059660A (ko) * 2007-12-07 200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75911A (ko) * 2008-01-07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116767A (ko) * 2009-04-23 201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72364A (ko) * 2009-12-22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72506A (ko) * 2009-12-23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40891A (ko) * 2010-10-20 2012-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75576A (ko) * 2013-12-26 2015-07-0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포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536A1 (ko) * 2022-10-13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332A1 (ko) 2017-03-09
EP3690366B1 (en) 2022-06-08
KR102655812B1 (ko) 2024-04-09
EP3346214A1 (en) 2018-07-11
EP3690366A1 (en) 2020-08-05
EP3346214B1 (en) 2020-04-01
EP4067789A1 (en) 2022-10-05
US20190346193A1 (en) 2019-11-14
EP3346214A4 (en) 2019-04-10
KR20240052062A (ko) 2024-04-22
US20180328641A1 (en) 2018-11-15
US11709007B2 (en) 2023-07-25
ES2924751T3 (es) 2022-10-10
US20210404723A1 (en) 2021-12-30
ES2790644T3 (es) 2020-10-28
US11137187B2 (en) 2021-10-05
US20230304716A1 (en) 2023-09-28
US10401072B2 (en)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7717A (ko) 냉장고
KR20180053415A (ko) 냉장고
KR20180054874A (ko) 냉장고
CN113865172B (zh) 冰箱
KR101718995B1 (ko) 냉장고
JP5290706B2 (ja) 冷蔵庫
KR20110072393A (ko) 냉장고
KR101639444B1 (ko) 냉장고
CN116685818A (zh) 冰箱
KR20220166452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