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576A - 과냉각 포켓 - Google Patents

과냉각 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576A
KR20150075576A KR1020130163661A KR20130163661A KR20150075576A KR 20150075576 A KR20150075576 A KR 20150075576A KR 1020130163661 A KR1020130163661 A KR 1020130163661A KR 20130163661 A KR20130163661 A KR 20130163661A KR 20150075576 A KR20150075576 A KR 20150075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control signal
set value
heate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구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3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5576A/ko
Publication of KR2015007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4Stationary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과냉각 포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어 다양한 음료 또는 음식의 과냉각을 유지시키기 위한 과냉각 포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냉각 포켓에 따르면, 냉동실에서 음식 또는 음료가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냉각 포켓{Supercooling Pocke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과냉각 포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어 다양한 음료 또는 음식의 과냉각을 유지시키기 위한 과냉각 포켓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냉장고는 식품 또는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부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 저장실의 일반적인 구조는 음식 또는 음료 등을 냉동시키는 냉동실과 냉장시키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냉동실은 음식 또는 음료 등을 냉동시키기 위하여 약 -20도 정도의 온도를 유지한다. 그러나 냉동실에 넣는 음식 또는 음식은 반드시 냉동의 상태를 의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냉장고의 사용자는 음료를 슬러시 상태로 유지시켜 음용하고자 할 수 있으며, 물이나 술 등을 과냉각 상태로 유지시켜 마시기에 최적의 온도로 보관하기를 의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냉동실은 사용자의 의도를 충족할 수 없다.
종래의 냉장고의 일반적인 구조에 의하면 냉동실은 음식 또는 음료를 냉동시키는 기능만을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냉장고의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음료를 과냉각 상태로 유지하고 싶어도 그러한 기능의 미비로 냉동실에서 미리 얼린 음료 등을 꺼내어 원하는 온도로 올라갈 때까지 음용을 보류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냉동실 내에서 음식 또는 음료 등을 과냉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과냉각 포켓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과냉각 포켓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과냉각 포켓에 있어서,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각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외각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냉기를 보관하는 축냉재; 상기 외각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내부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 과냉각상태모드를 입력받는 전면조절판넬; 상기 내부프레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전면조절판넬로부터 입력받은 설정값과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과냉각 포켓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과냉각 포켓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냉각 포켓에 따르면, 냉동실에서 음식 또는 음료가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이 과냉각을 유지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의 제어부의 제어신호의 흐름관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1)을 나타낸다. 도 1(a)는 과냉각 포켓(1)이 냉동실의 측벽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b)는 과냉각 포켓(1)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c)는 과냉각 포켓의 구성(1)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1)이 과냉각을 유지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1)의 제어부의 제어신호의 흐름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1)은 냉동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도 1(a)를 참조), 하우징(10), 축냉재(20), 히터(30), 전면조절판넬(60), 온도센서(4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외각프레임(10a)과 외각프레임(10a)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프레임(1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1(b)를 참조). 외각프레임(10a)과 내부프레임(10b)은 서로 같은 형상일 수 있으며, 부피만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커버(10c)와 컨테이너(10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1(c)를 참조). 외각프레임(10a)과 내부프레임(10b)은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부분 중 하나는 커버(10c)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컨테이너(10d)일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10c)를 열고 컨테이너(10d)에 음료 등을 넣을 수 있다. 이 경우 분할은 후술할 축냉재 또는 히터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축냉재(20)는 냉기를 보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외각프레임(10a)과 내부프레임(10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컨대, 제조자는 내부프레임(10b)과 외부프레임 사이에 축냉재(20)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개재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우징(10)을 구성하는 외각프레임(10a) 또는 내부프레임(10b)의 재질 자체가 축냉재(20)일 수도 있다.
축냉재(20)를 사용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1) 내부는 직냉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직냉의 효과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1) 내부의 위치별 온도 차이는 거의 없게 되어 포켓 내부의 어느 위치에 음료가 위치해도 과냉각을 유지할 수 있다.
히터(30)는 내부프레임(10b) 내부로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축냉재(20)와 마찬가지로 외각프레임(10a)과 내부프레임(10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전면조절판넬(60)은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설치될 수 있다. 냉장고의 사용자는 전면조절판넬(60)을 통하여 원하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전면조절판넬(60)은 냉장고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온도 설정값과 관련한 제어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온도센서(40)는 내부프레임(10b)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40)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싱한 측정값을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축냉재(20)는 하우징(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하우징(10) 내부에 냉기가 고르게 분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히터(30)는 하우징(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히터(30)는 하우징(10) 전체를 고르게 승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1)을 통하여 사용자는 음료 등을 과냉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 냉동실 온도는 -20도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축냉재(20)도 -20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히터(30)로 가열하여 각 음료에 맞는 온도대를 유지시킬 수 있다. 각 음료마다 과냉각이 유지되는 온도는 다르다. 예컨대, 물은 -5.5도, 맥주는 -7도, 소주는 -12도 등일 수 있다. 따라서 과냉각 포켓(1)에 보관되는 음료에 따라서 다른 설정온도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의 여러 효과 중 하나는 하나의 축냉재(20)를 적용한 포켓을 사용하여 다양한 음료의 과냉각을 유지시킬 수 있는데에 있다.
이하 제어부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냉장고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전면조절판넬(60)로부터 입력받은 설정값과 온도센서(40)로부터 입력받은 측정값을 비교하여 히터(30)를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설정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는 히터(30)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는 히터(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면조절판넬(60)을 통하여 설정값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히터(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냉장고의 냉동실 온도와 과냉각 포켓(1) 내부의 온도는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냉동실 온도가 -20도라면 과냉각 포켓(1) 내부의 온도도 -20도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과냉각 포켓(1) 내부에 과냉각 상태로 보관을 원하는 음료를 넣고 전면조절패널을 조정하면 제어부는 과냉각 상태로 보관을 원하는 음료의 과냉각 온도와 관련한 설정값을 유지하기 위하여 히터(30)가 작동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면조절판넬(60)에는 미리 설정된 다양한 음료의 과냉각 온도에 대한 설정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조절판넬(60)에 표시되는 음료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부로 원하는 음료의 온도 설정값과 관련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과냉각 온도가 -5.5도인 물을 과냉각 포켓(1)에 보관시키는 경우 먼저, 사용자는 전면조절판넬(60)을 통하여 음료의 종류를 예컨대 물로 선택한 경우 전면조절판넬(60)로부터 물의 과냉각 온도 설정값이 제어부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온도센서(40)를 통하여 과냉각 포켓(1) 내부의 온도 측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 측정값을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전면조절판넬(60)을 통하여 음료의 종류를 물로 선택한 경우, 제어부는 히터(30)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히터(30)를 작동시켜 포켓(1) 내부의 온도를 올릴 수 있다. 온도센서(40)를 통하여 전송받은 측정값에 의하여 포켓(1) 내부의 온도가 -5.5도 이상임을 인식한 경우에는 다시 히터(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온도센서(40)를 통하여 포켓(1) 내부의 온도가 -5.5도 이하임을 인식한 경우에는 다시 히터(30)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포켓(1) 내부의 온도를 올릴 수 있다. 이러한 순서를 통하여 제어부는 포켓(1) 내부의 온도를 물에 대한 과냉각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설정값으로부터 설정값보다 높은 제1기준값과 설정값보다 낮은 제2기준값을 결정하고 측정값이 제2기준값보다 낮은 경우는 히타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측정값이 제1기준값보다 높은 경우는 히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술한 물을 과냉각 포켓(1)에 보관하는 경우 전면조절판넬(60)을 통하여 물을 선택하게 되면, 물의 과냉각 온도를 나타내는 설정값이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 설정값을 기초로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은 미리 음료에 따라서 다양하게 프로그램된 것일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물을 과냉각 시키는 경우 설정값은 -5.5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기준값은 -5도일 수 있고, 제2기준값은 -6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히터(30)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포켓(1) 내부의 온도가 제1기준값인 -5도 이상임이 인식된 경우에는 히터(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히터(3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포켓(1) 내부의 온도가 제2기준값인 -6도 이하임이 인식된 경우에는 히터(30)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히터(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순서를 통하여 포켓(1) 내부의 온도를 -5도와 -6도 사이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1)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로부터의 냉기를 유입시키는 댐퍼(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댐퍼(50)를 제어하는 제2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2제어신소를 댐퍼(50)로 전송하여 댐퍼(50)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댐퍼(50)는 냉기홀(50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냉기홀(50a)을 통하여 댐퍼(50)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설정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댐퍼(50)를 개방하는 제2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는 댐퍼(50)를 폐쇄하는 제2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포켓(1)은 댐퍼(50)와 히터(3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설정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댐퍼(50)를 개방하는 제2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히터(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는 댐퍼(50)를 폐쇄하는 제2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히터(30)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히터(30)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1제어신호와 댐퍼(5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제어신호는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과냉각 포켓(1)을 포함할 수 있는 냉장고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과냉각 포켓(1)을 적용할 수 있는 냉장고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냉장고 자체는 종래에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과냉각 포켓
10: 하우징
10a: 외각프레임
10b: 내부프레임
20: 축냉재
30: 히터
40: 온도센서
50: 댐퍼
50a: 냉기홀
60: 전면조절판넬

Claims (7)

  1.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과냉각 포켓에 있어서,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각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외각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냉기를 보관하는 축냉재;
    상기 외각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내부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
    과냉각상태모드를 입력받는 전면조절판넬;
    상기 내부프레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전면조절판넬로부터 입력받은 설정값과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과냉각 포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재 또는 상기 히터는 상기 하우징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포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값과 상기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는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는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포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값으로부터 상기 설정값보다 높은 제1기준값과 상기 설정값보다 낮은 제2기준값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낮은 경우는 상기 히타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높은 경우는 상기 히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포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로부터의 냉기를 유입시키는 댐퍼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댐퍼를 제어하는 제2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포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값과 상기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댐퍼를 개방하는 제2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는 상기 댐퍼를 폐쇄하는 제2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포켓.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과냉각 포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30163661A 2013-12-26 2013-12-26 과냉각 포켓 KR20150075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661A KR20150075576A (ko) 2013-12-26 2013-12-26 과냉각 포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661A KR20150075576A (ko) 2013-12-26 2013-12-26 과냉각 포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576A true KR20150075576A (ko) 2015-07-06

Family

ID=5378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661A KR20150075576A (ko) 2013-12-26 2013-12-26 과냉각 포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55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874A (ko) * 2015-08-31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874A (ko) * 2015-08-31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4132E1 (en) Thermoelectric icemaker and control
US8074469B2 (en) Refrigerator with a convertible compartment
US7762102B2 (en) Soft freeze assembly for a freezer storage compartment
JP3938384B2 (ja) 冷蔵庫
CN104266433B (zh) 冰箱
JP3885158B1 (ja) 冷蔵庫
US20060191285A1 (en) Drawer refrigeration unit
WO2016194356A1 (ja) 冷蔵庫
AU2012211467B2 (en) Refrigerator-freezer
US20080092566A1 (en) Single evaporator refrigerator/freezer unit with interdependent temperature control
US10288341B2 (en) Refrigerator
KR2007007567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5576A (ko) 과냉각 포켓
CN109682160A (zh) 一种风冷冰箱及其变温间室的温度控制方法
JP2007010260A (ja) 冷蔵庫
KR20110081931A (ko) 변온실 및 무동결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관고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210148B1 (ko) 변온실 및 무동결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관고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127467B1 (ko) 테이블 식탁 냉장고
KR10165251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560689B1 (ko) 냉장고
KR20060111274A (ko) 냉장고
KR101561354B1 (ko) 급속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172483A1 (ja) 冷蔵庫
US11105549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convertible compartment
KR100878821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