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53766A1 - 프린팅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53766A1
WO2024053766A1 PCT/KR2022/013562 KR2022013562W WO2024053766A1 WO 2024053766 A1 WO2024053766 A1 WO 2024053766A1 KR 2022013562 W KR2022013562 W KR 2022013562W WO 2024053766 A1 WO2024053766 A1 WO 20240537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inting
unit
film
ink
sett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5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현승
이용환
박영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135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53766A1/ko
Publication of WO20240537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537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device that prints by ejecting ink onto a printing object.
  • 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vices used in printing/dispensing processes.
  • the printing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prints a product to be printed by discharging a coating material (N) such as ink/resin to the printing object.
  • the printing device discharges the coating material (N) onto the printing object through the nozzle 10, and the coating material (N) within the nozzle 10 is discharged onto the printing object using a pneumatic method.
  • discharge defects may occur due to various factors. For example, the discharge hole may be clogged, or the operating environment may affect the pneumatic pressure applied to the nozzle 10, resulting in unstable discharge of the coating material. there is. If such a discharge defect occurs, the coating material N may be discharged irregularly, as shown in FIG. 2, and printing quality may decrease. In particular, if the causes of ejection defects are not resolved, tolerance for defects accumulates, and printing quality may gradually decrease as shown in FIG. 2 (P1 -> P6).
  • the conventional printing process consists of the process as shown in Figure 3.
  • specifications and quality are evaluated, and in case of poor quality,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nozzle are adjusted (B ) is done.
  • discharge defects are not detected during the process, and discharge defects are detected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after the printing process is completed. Accordingly, N poor quality products are produced due to discharging defects, resulting in a loss of having to destroy a large number of poor quality products.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embodiment of a printing device that can prevent ink ejection defects.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to perform a printing process that can check the ink ejection state of the nozzle as a solution.
  • the result of printing the ink on the film is analyzed to check the ejection state of the nozzle, and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the ink is ejected and printed on the printing object.
  • the embodiment of the printing devic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ints by ejecting ink on a film according to a set value, then performs pre-printing to check the ejection state of the nozzle by analyzing the result of printing the ink on the film, and performs prin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performing main printing on the printing object is used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thereby solving 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int by ejecting ink on a film according to a set value during the printing process, and then perform inspection printing to check the ejection state of the nozzle by analyzing the result of ink printing on the film,
  •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solved by re-performing the main printing on the printing object according to the printing result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 An embodiment of the printing device that uses these technical features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includes a nozzle unit that discharges ink according to discharge settings for discharge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and a camera that photographs the printed state in which ink is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a first printing unit in which the ink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is printed on a film, a second printing unit in which the ink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is printed on a printing object, and the nozzle unit applies ink to the film accor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eject, determines whether the ejection setting value is corrected based on a photographing result of the printing state of the film by the camera unit, and controls the nozzle unit to eject ink to the printing objec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 the first printing unit is a fixing part that fixes the film at a position where ink is ejected from the nozzle part, and one end of the film is wound to surround the central axis, so that the film portion before the ink is ejected is It may include a first winder that is unwound by a fixing unit, and a second winder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film is wound to surround the central axis, and the portion of the film on which the ink is printed is wound by the fixing unit.
  • the fixing unit may secure the film by vacuum suction.
  • the first winder and the second winder ar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ink is printed on the film in the fixing unit, the printed film portion is wound on the second winder and unwound from the first winder.
  • the film part can be driven to be positioned in the fixing part.
  • the first printing unit includes a first guide roller that guides the film unwound from the first winder to the fixing unit and a second guide that guides the printed part in the fixing unit to the second winder. Additional rollers may be included.
  • control unit measures one or more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printing pattern printed on the film based on the photographing result, compares the measurement result with a specific standard correspon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and provides a comparison result. Accordingly,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discharge setting value has been corrected.
  • control unit may determine to correct the ejection setting value when the measurement result does not match the specific standard.
  •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ejection setting value is not corrected when the measurement result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 control unit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ejection setting value is to be correcte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rrection setting value by correcting the ejection setting value, and then causes the nozzle unit to eject ink to the printing object according to the correction setting value. You can control it.
  • control unit may generate the corrected set value by correcting one or more of the discharge pressure and the discharge amount from the discharge set valu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specific standard.
  • control unit performs correction at least once or more until the measurement result of one or more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printing pattern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so that the measurement result is a correction value that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can be created with the above correction settings.
  • the nozzle unit may control the nozzle unit to eject ink to the printing target accor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 the prin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that moves the position of the nozzle unit.
  •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position the nozzle unit on the first printing unit when the nozzle unit discharges ink on the film, and when the nozzle unit discharges ink on the printing object, the nozzle unit is positioned on the second printing unit.
  • the support part can be controlled to be located at .
  • the prin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age unit that moves the positions of the first printing unit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 control unit positions the first printing unit at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nozzle unit when the nozzle unit discharges ink to the film,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positions the nozzle unit at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nozzle unit when the nozzle unit discharges ink onto the printing object.
  • the stage unit can be controlled to be located at the discharge position.
  • embodiments of the printing device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embodiments that are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or that can be inferred/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 the printing device after printing by ejecting ink on a film according to a set value, the result of printing ink on the film is analyzed to check the ejection state of the nozzle, and ink is ejected onto the printing object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 the result of printing ink on the film is analyzed to check the ejection state of the nozzle, and ink is ejected onto the printing object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 the printing device after printing by ejecting ink on a film according to a set value, the result of printing ink on the film is analyzed to check the ejection state of the nozzle, and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ink is applied to the printing object.
  • the ejection state can be monitored and the settings corrected accordingly, regardless of the driving process/time of the printing device.
  • the configuration for printing the film is performed in a roll to roll metho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niformize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film and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film.
  •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inting device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may also include effects that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 description below or that can be inferred/deduced from the specific description.
  • Figure 1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printing concept of a general printing nozzle.
  •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rinting by a general printing device.
  •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rinting process.
  •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printing device shown in Figure 4.
  • Figure 6 is a specific example of a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7 is a specific example of a first printing unit of a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8 is an example diagram 1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printing state of a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9 is an example diagram 2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printing state of a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specific printing process of the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printing device 100 includes a nozzle unit 10, a camera unit 20, a first printing unit 30, a second printing unit 40, and a control unit 50. ) includes.
  • the printing device 100 including the nozzle unit 10, the camera unit 20, the first printing unit 30, the second printing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50, This refers to a device that performs printing by ejecting ink from the second printing unit 40 to the printing object (T).
  • the nozzle unit 10 refers to a nozzle device that ejects ink onto a printing object, as shown in FIG. 1.
  • the nozzle unit 10 can discharge ink onto a printing object using a pneumatic method.
  • the nozzle unit 10 is configured to discharge ink onto the printing objec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printing object, and can discharge ink to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 the nozzle unit 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inting device 10 and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ink to a printing object located below.
  • the nozzle unit 10 discharges ink according to discharge settings for discharge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 the nozzle unit 10 may discharge ink to the printing object according to the set discharge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 the nozzle unit 10 operates to discharge ink onto the printing object at a constant discharge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so that the printing pattern resulting from printing on the printing object can be printed in a constant shape.
  • the discharge setting value may be set by the control unit 50.
  • the nozzle unit 10 may discharge ink at the ejection setting value set by the control unit 50.
  • the nozzle unit 1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
  • the nozzle unit 10 may discharge in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 the camera unit 20 refers to a vision camera that photographs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 the camera unit 20 photographs the printed state in which ink is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10.
  • the camera unit 20 can capture a state in which ink is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10 and printed on top of the printing object.
  • the camera unit 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inting device 10 and may be configured to photograph a printing object located below.
  • the camera unit 2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frame 1 of the printing device 10 to photograph a printing object from the side.
  • the camera unit 2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frame 1 of the printing device 10 to photograph the printing object from the top and side of the printing object, respectively.
  • the camera unit 2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
  • the camera unit 20 can photograph the printing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 the first printing unit 30 refers to a printing device in which ink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10 is printed on the film F.
  • the film F is an object different from the printing object T of the printing device 100, and may be an object for testing the discharge state of the nozzle unit 10.
  • the first printing unit 30 can perform test printing using the film F.
  • the first printing unit 30 prints the ink discharged from the nozzle unit 10 on the film F.
  • the first printing unit 30 is composed of one or more components that position the film F at the ejection position, so that ink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10 can be printed on the film F.
  • the first printing unit 30 is disposed below the nozzle unit 10, so that ink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10 can be printed on the film F.
  • the first printing unit 30 is disposed below the camera unit 20, so that the printing state of the film F can b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20.
  • the first printing unit 3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
  • the first printing unit 30 can print ink by ejecting ink onto the film 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 the second printing unit 40 refers to a printing module in which ink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10 is printed on a printing object T.
  • the printing object T may be a printing object of the printing device 100.
  • the second printing unit 40 can perform main printing on the printing object T.
  • the second printing unit 40 prints the ink discharged from the nozzle unit 10 on the printing object T.
  •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s composed of one or more components that position the printing object (T) at the discharge position, so that the ink discharged from the nozzle unit 10 can be printed on the printing object (T). there is.
  •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s disposed below the nozzle unit 10, so that ink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10 can be printed on the printing object T.
  •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s disposed below the camera unit 20, so that the printing state of the printing object T can b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20.
  • the second printing unit 4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
  • the second printing unit 40 can print ink by ejecting ink onto the printing object 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 control unit 50 refers to a control device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printing device 100.
  • the control unit 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nozzle unit 10, the camera unit 20,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 the control unit 50 may control ink ejection of the nozzle unit 10.
  • control unit 50 can set the ejection setting value and change the setting of the ejection setting value.
  • the control unit 50 may control the camera unit 20 to perform photography.
  • the control unit 50 may control printing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 the control unit 50 may also control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target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printing device 100.
  • control unit 50 may process control commands received from an external control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printing device 100.
  • the structure of the printing device 100 including the nozzle unit 10, the camera unit 20, the first printing unit 30, the second printing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50. may be as shown in FIG. 5 .
  • the structure of the printing device 100 as shown in FIG. 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as shown in FIG. 6.
  • the prin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frame 1 that forms the exterior and a plurality of components attached to the frame 1.
  • the nozzle unit 10 and the camera unit 20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inting device 100, and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nclude the nozzle unit ( 10) and may be provided below the camera unit 20.
  • the nozzle unit 10 may be unable to discharge accor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due to repetitive ejection, changes in ink state, nozzle clogging, or changes in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 the nozzle unit 10 discharges ink using a pneumatic method
  • the nozzle hole through which ink is discharged may become blocked. If ink is discharged onto the printing object while the nozzle hole is blocked, the amount of ink printed on the printing object is ejected. If this setting value is below or exceeded, printing defects may occur.
  • the printing device 10 may detect such ejection defects and resolve the ejection defects by correcting the ejection setting value.
  • the printing device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nozzle unit 10 can move its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nozzle unit 10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to discharge ink onto the film (F), or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rinting unit 40 to print the object. Ink may be ejected into (T).
  • the printing device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amera unit 20 can also move its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camera unit 20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to photograph the printing state of the film (F), or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rinting unit 40 to print the film.
  • the printing state of the object may be photographed.
  • the printing device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can move positions.
  • the first printing unit 30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unit 10 to discharge ink onto the film (F), or the second printing unit 40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unit 10.
  • Ink may be ejected onto the printing object (T) by moving downward.
  • the nozzle unit 10, or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are structur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moved, so that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40) Printing in each can be accomplished.
  • the nozzle unit 10 when the printing device 100 discharges ink onto the film F, the nozzle unit 10 is located above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ink is applied to the printing object T. When discharging, the nozzle unit 10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printing unit 40, and printing is performed in each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t becomes possible.
  • the printing device 100 in which printing is performed in each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further includes a support unit 60 that moves the position of the nozzle unit 10. It can be included.
  • the support portion 6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or rod.
  • the support part 60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nozzle part 10 through a driving means.
  • the support part 6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inting device 100 and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nozzle part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support part 60 is vertically attached to the nozzle part 10 and can move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nozzle part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support unit 60 can also be attached to the camera unit 20 and move the position of the camera unit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support unit 6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
  • the control part 50 controls the nozzle part 10 when the nozzle part 10 ejects ink onto the film F. is located in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when the nozzle unit 10 ejects ink to the printing object T, the nozzle unit 10 is located in the second printing unit 40.
  • the support portion 60 can be controlled.
  • the nozzle unit 1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s
  • the support unit 6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nozzle unit 10 moves in the left horizontal direction.
  • the support unit 60 is driven so that the nozzle unit 1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printing unit 30 when the nozzle unit 10 discharges ink onto the film F.
  •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nozzle unit 10 is located at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when the nozzle unit 10 discharges ink to the printing object T, the nozzle unit 10 is the first printing unit 30. 2
  •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nozzle unit 10 can be positioned on the second printing unit 40 by driving it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inting unit 40.
  • the printing device 100 in which printing is performed in each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ncludes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 the stage unit 7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n which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are seated.
  • the stage unit 70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positions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through a driving means.
  • the stage unit 70 is provided below the printing device 100 and can move the positions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 the stage unit 70 can move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from their current positions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o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nozzle unit 10. .
  • the stage unit 7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
  •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first printing unit when the nozzle unit 10 ejects ink onto the film F. (30) is located at the ejection position, and the stage part 70 is positioned so that the second printing part 40 is located at the ejection position when the nozzle part 10 ejects ink to the printing object T. can be controlled.
  • the first printing unit 30 moves to the left where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s located,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moves along the movement trace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 the stage unit 70 may be controlled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
  • the stage unit 70 is driven so that the first printing unit 30 is positioned below the nozzle unit 10 when the nozzle unit 10 discharges ink onto the film F.
  • the first printing unit 30 is positioned at the ejection position of the nozzle unit 10, and when the nozzle unit 10 ejects ink onto the printing object T, the second printing unit 40 may be driven to be positioned below the nozzle unit 10 to position the second printing unit 40 at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nozzle unit 10.
  • the printing device 100 moves the positions of the nozzle unit 10 or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to print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 printing in the unit 40 By performing printing in the unit 40, printing in the second printing unit 40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inting result in the first printing unit 30.
  • the first printing unit 30 performs test printing (pre-printing) on the film F
  • the second printing unit 40 performs main printing (main printing) on the printing object T. It can be done.
  • the first printing unit 30 may perform test printing (check printing) on the film F. there is.
  • the printing device 100 is used in the first printing unit 30 before or during main printing on the printing object T in the second printing unit 40. Dummy printing may be performed on the film F, and main printing on the printing object T may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dummy printing results.
  • the printing device 100 monitors the printing state, that is, the discharge state of the nozzle unit 10, through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prints the second printing unit 40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By performing this printing, defective discharge of the nozzle unit 10 and subsequent printing defects can be prevented.
  •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nozzle unit 10 to discharge ink on the film F accor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and , the camera unit 20 determines whether to correct the ejection setting value based on a photographing result of the printing state of the film (F),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nozzle unit 10 determines whether the printing target (T ) is controlled to eject ink.
  •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nozzle unit 10 and the first printing unit 30 so that the nozzle unit 10 discharges ink onto the film F accor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and then controls the nozzle unit 10 and the first printing unit 30 to Controls the camera unit 20 to photograph the printing state of the film F,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correct the ejection setting value based on the photographing result of the camera unit 20, and determines whether the nozzle unit ( 10) may control the nozzle unit 1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to eject ink onto the printing target (T).
  • control unit 50 controls printing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and then corrects the ejection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printing result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 printing of the second printing unit 4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of the discharge setting value.
  • the first printing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device that drives the first winder 32 and the second winder 33.
  • the first printing unit 3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not shown in FIG. 7 .
  • the fixing unit 31 may mean a work chuck on which a process is performed.
  • the fixing part 31 can fix the film F by vacuum suction.
  • the fixing part 31 can vacuum-suck the film F and fix it to the fixing part 31 before ink is ejected from the nozzle part 10.
  • the ink when ink is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10, the ink can be stably applied to the film F.
  • the first winder 32 and the second winder 33 may mean winding rolls that wind the film F.
  • the first winder 32 may be an unwinding roll that unwinds the film F in a wound state and is wound by the second winder 33, and the second winder 32
  • the winder 33 may be a winding roll on which the film unwound from the first winder 32 is wound.
  • the first winder 32 and the second winder 33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31, respectively.
  • the first winder 32 and the second winder 33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 the first winder 32 may be plac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winder 33 may be placed at a higher height than the first winder 32. there is.
  • the printed film portion is formed on the second winder (33). ) and can be driven so that the portion of the film unwound from the first winder 32 is positioned on the fixing part 31.
  • the first printing unit 30 also includes a first guide roller 34 and a first guide roller 34 that guides the film F unwound from the first winder 32 to the fixing unit 31.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roller 35 that guides the printed part to the second winder 33.
  • the first printing unit 30 moves the film F from the first winder 32 to the fixing unit through the first guide roller 34 and the second guide roller 35. (31),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accurately supply from the fixing part 31 to the second winder 33.
  • the control unit 50 is configured to, when the first printing unit 30 discharges the film F accor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the camera unit 20 monitors the printing state of the film F. By controlling the shooting,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correct the ejection setting value based on the shooting result of the camera unit 20.
  • the control unit 50 may recognize the printing pattern printed on the film F based on the photographing result.
  • control unit 50 recognizes the printing pattern printed on the film F in the image of the camera unit 20 shooting the film F, and discharges the film based on the printing patter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t value should be corrected.
  • control unit 50 recognizes the printing pattern (P) printed on the film (F) as shown in FIG. 8 in the image of the shooting result, and based on the shape of the printing pattern (P)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correct the discharge set value.
  • the control unit 50 measures one or more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printing pattern printed on the film F based on the photographing result, and compares the measurement result with a specific standard correspon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Depending on the result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discharge set value should be corrected.
  • control unit 50 measures one or more of the length (l) and width (m) of the printing pattern P, as shown in FIG. 8, and compares the measurement result with the specific standard. Depending on the result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correct the discharge setting value.
  • the specific standard may mean a standard standard for one or more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printing pattern P accor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 one or more of the length l and the width m may be set to the specific standard.
  • control unit 50 may compare the measurement result with the specific standard, determine discharge defects of the nozzle unit 1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determine whether to correct the discharge setting value.
  • the specific criteria may also include criteria for the area of the printing pattern (P).
  • control unit 50 calculates the area of the printing pattern (P)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compares the area of the printing pattern (P) with the area standard of the specific standard, and provides the comparison result. Accordingly, the discharge defect of the nozzle unit 10 may be determined to determine whether to correct the discharge setting value.
  • the specific criteria may be pre-stored in the control unit 50 in the form of a table.
  • control unit 50 may determine to correct the ejection setting value.
  •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state of the nozzle unit 10 according to the discharge setting value is defective, and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state of the nozzle unit 10 is defectiv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ischarge setting value is corrected to prevent discharge defects.
  • the specific standard is set to l and m, and the measurement result is l-x and m-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easurement result does not match the specific standard and the discharge setting value is corrected.
  • correction of the discharge setting value may mean changing one or more of discharge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 control unit 50 may change one or more of the set discharge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 the set discharge pressure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or the set discharge amount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 one or more set values of the discharge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of the nozzle unit 10 can be changed.
  • control unit 50 may correct the ejection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specific standard.
  • control unit 50 may correct the ejection setting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printing pattern P.
  •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length (l) of the printing pattern (P) does not match the length standard of the specific standard
  •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width (m) of the printing pattern (P) matches the width standard of the specific standard.
  •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length (l) of the printing pattern (P) matches the length standard of the specific standard
  •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width (m) of the printing pattern (P) does not match the width standard of the specific standard.
  • each correction may be different.
  • control unit 50 may correct the ejection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specific standard.
  • each correction may be different.
  • control unit 50 may correct the ejection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type of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specific standard.
  • the discharge setting value may be decreased, and if the measurement result falls short of the specific standard, the discharge setting value may be increased.
  • control unit 50 corrects the ejection setting value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printing pattern P, thereby changing the ejection state of the nozzle unit 10 or Appropriate correction may be made corresponding to the printing state of the film (F).
  • control unit 50 which corrects the ejection setting value in this way, controls the nozzle unit 10 to eject ink onto the film F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and the camera unit 20 controls the film ( By controlling the printing state of F) to be photograph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rrection value is corrected based on the photographing result of the camera unit 20.
  • control unit 5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rrection value is appropriate based on the photographing result of the printing pattern P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 control unit 50 measures one or more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correction pattern printed on the film F based on the shooting results, and compares the measurement results with a specific standard correspon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correction value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control unit 50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correction value is corrected, continues until the measurement result of measuring one or more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correc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 the printing process of the film F in the first printing unit 30 and correction of the correction value may be repeatedly performed.
  • control unit 50 may perform correction at least once or more until the measurement result of one or more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printing pattern P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 the printing pattern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may be corrected to the nth degree until the length (l) of Pn)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l).
  • control unit 50 may determine that the ejection setting value is not corrected.
  • control unit 50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state of the nozzle unit 10 according to the discharge setting value is normal, and uncorrects and maintains the discharge setting value. may be judged as such.
  • the measurement result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so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jection set value is not corrected.
  • control unit 50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discharge set value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ment result with the specific standard, corrects the discharge set value to set the correction setting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harge set value is corrected.
  • the nozzle unit 1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nozzle unit 10 ejects ink onto the printing object T according to the correction setting value.
  • control unit 50 determines that the ejection setting value is to be corrected, the control unit 50 generates the correction setting value, and then prints the printing object T in the second printing unit 40 according to the correction setting value.
  • the nozzle unit 10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4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the printing operation.
  • printing of the printing object (T) in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rrection setting value, so that the main printing of the printing object (T) can be performed accurately.
  • control unit 50 may generate the corrected set value by correcting one or more of the discharge pressure and the discharge amount from the discharge set valu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specific standard.
  • control unit 50 performs correction at least once or more until the measurement result of one or more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printing pattern P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so that the measurement result meets the specific standard.
  • a correction value matching can be created with the correction set value.
  • the nozzle unit 10 controls the nozzle unit 10 to eject ink to the printing object T accor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You can.
  • the specific process in which the printing device 100 performs monitoring printing through the first printing unit 30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the order shown in FIG. 10.
  • printing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may start (BS).
  • the printing start (BS)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may be the initial printing start of the printing device 100, or the main printing on the printing object T in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t may b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
  • monitoring printing through the first printing unit 30 may be performed before performing main printing of the printing object (T) or while performing main printing of the printing object (T).
  • the support unit 60 or the stage unit 70 is driven so that the first printing unit 30 causes ink to flow from the nozzle unit 10. It may be located at the discharge position (S0) where it is discharged.
  • the support unit 60 is driven to move the nozzle unit 10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rinting unit 30, or the stage unit 70 is driven to move the first printing unit 30. ) may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unit 10.
  • the film wound on the first winder 32 may move to the fixing part 31, and the film located on the fixing part 31 may be wound on the second winder 33.
  • the fixing unit 31 vacuum-adsorbs and fixes the film (F) (S2)
  • the nozzle unit 10 absorbs and fixes the film (F) to the fixing unit 31 according to the discharge setting value.
  • the film (F) can be printed by discharging ink (S3) on F).
  • the camera unit 20 photographs the printing state of the film (F) (S4), and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the length of the printing pattern (P) based on the photographing result. and width may be measured (S5).
  • control unit 50 compares the measurement result with the specific standard (S6) and determines whether to correct the ejection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You can judge.
  • the fixing unit 31 controls the film F on which the ink is printed.
  • the first winder (32) and the second winder (33) are driven to remove the film (F).
  • the printed part may be wound (S8) on the second winder (33).
  • the film wound on the first winder 32 may move to the fixing part 31, and the film located on the fixing part 31 may be wound on the second winder 33.
  • the support unit 60 or the stage unit 70 is driven so that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s positioned at an ejection position where ink is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10, and the first printing unit ( When 30) is located in the standby position (S9), the second printing unit 40 may perform printing (AF) on the printing object (T).
  • the control unit 50 compares the measurement result with the specific standard (S6) and the measurement result does not match the specific standard, the discharge setting value can be corrected (S6')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re is.
  • the discharge setting value is corrected (S6')
  • the presence of a margin on the film F of the fixing part 31 is checked (S6''), and if there is a margin, the nozzle unit 10 is corrected with the correction value.
  • the film (F) can be printed by ejecting ink (S3) onto the film (F) according to the ejection setting value.
  • processes S4 to S6 are repeated, and processes S3 to S6 are repeated n times until the measurement result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and the correction value can be corrected n times.
  • the process S3 to S6 is repeated n times and the correction value is corrected n times, and when the measurement result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the fixing part 31 vacuum adsorbs the film F on which the ink is printed.
  • the fixing part 31 vacuum adsorbs the film F on which the ink is printed.
  • the first winder (32) and the second winder (33) are driven to print the printed portion of the film (F). may be wound on the second winder 33 (S8).
  • the support unit 60 or the stage unit 70 is driven so that the second printing unit 40 is positioned at an ejection position where ink is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10, and the first printing unit ( When 30) is located in the standby position (S9), the second printing unit 40 may perform printing (AF) on the printing object (T).
  • processes S2 to S6 are repeated, and processes S2 to S6, or processes S3 to S6 are repeated n times until the measurement result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and the correction value may be corrected n times.
  • the S2 to S6 process, or the S3 to S6 process is repeated n times and the correction value is corrected n times, and when the measurement result matches the specific standard, the fixing unit 31 is installed on the film on which the ink is printed ( When the vacuum adsorption of F is stopped and the film F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art 31 (S7), the first winder 32 and the second winder 33 are driven to drive the film ( The printed part of F) may be wound (S8) on the second winder (33).
  • first printing unit 40 second printing unit
  • Control unit 100 Printing device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필름에 잉크를 설정치에 따라 토출하여 프린팅한 후, 상기 필름에 잉크가 프린팅된 결과를 분석하여 노즐의 토출 상태를 확인하는 프린팅을 수행하고, 프린팅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치를 보정하여 프린팅 대상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린팅 장치
본 발명은 잉크를 프린팅 대상에 토출하여 프린팅하는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프린팅/디스펜싱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팅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레진 등과 같은 도포재(N)를 프린팅 대상에 토출하여 프린팅 대상 제품을 프린팅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프린팅 장치는 노즐(10)을 통해 도포재(N)를 프린팅 대상에 토출하게 되는데, 상기 노즐(10) 내의 도포재(N)를 공압 방식으로 프린팅 대상에 토출하게 된다. 이러한 노즐(10)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토출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테면 토출홀이 막히거나, 동작 환경에 의해 노즐(10)에 가해지는 공압에 영향이 끼치게 되어 도포재의 토출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출 불량이 발생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재(N)가 일정치 않게 토출되면서 프린팅 품질이 감소하게 될 수 있다. 특히, 토출 불량의 요인이 해소되지 않으면 불량 용인이 축적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품질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될 수 있다(P1 -> P6 순).
한편, 종래의 프린팅 공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초기 설정 상태로 프린팅 대상에 프린팅을 수행한 후, 사양 및 품질을 평가하여, 품질 불량 시 노즐의 토출 특성을 조정(B)하게 된다. 즉, 공정 중에 토출 불량을 검출하지 못 하고, 프린팅 공정이 완료된 후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토출 불량을 검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토출 불량에 따른 N개의 불량 품질 제품이 생산되어, 다수의 불량 품질 제품을 파기해야 되는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종래의 프린팅 장치 및 프린팅 공정에서는, 토출 불량을 사전 또는 공정 중에 검출하지 못 하여 불량 품질 제품의 발생을 방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프린팅 공정의 생산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가 따르게 되었으며,
그러나, 종래에는 토출 불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지 못하였으며, 단위 시간당 다수의 프린팅이 이루어지며 연속적인 공정이 이루어지는 프린팅 장치의 특성상 모니터링 또는 토출 불량을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는 잉크의 토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프린팅 수행 중 프린팅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한 결과를 근거로 토출 불량을 보정할 수 있는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한다.
게다가, 프린팅 상태의 모니터링을 위한 과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프린팅 수행 전 및 프린팅 수행 중 모두에 모니터링 과정이 수행될 수 있는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노즐의 잉크 토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프린팅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필름에 잉크를 설정치에 따라 토출하여 프린팅한 후, 상기 필름에 잉크가 프린팅된 결과를 분석하여 노즐의 토출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여 프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명세서의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는, 필름에 잉크를 설정치에 따라 토출하여 프린팅한 후, 상기 필름에 잉크가 프린팅된 결과를 분석하여 노즐의 토출 상태를 확인하는 사전 프린팅을 수행하고, 프린팅 결과에 따라 프린팅 대상에 대한 본 프린팅을 수행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본 프린팅 과정 중에 필름에 잉크를 설정치에 따라 토출하여 프린팅한 후, 상기 필름에 잉크가 프린팅된 결과를 분석하여 노즐의 토출 상태를 확인하는 점검 프린팅을 수행하고, 프린팅 결과에 따라 프린팅 대상에 대한 본 프린팅을 재수행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상기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는, 토출압 및 토출량에 대한 토출 설정치에 따라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서 잉크가 토출되어 프린팅된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된 잉크가 필름에 프린팅되는 제1 프린팅부,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된 잉크가 프린팅 대상에 프린팅되는 제2 프린팅부 및 상기 노즐부가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라 상기 필름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필름의 프린팅 상태를 촬영한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노즐부가 상기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린팅부는, 상기 필름을 상기 노즐부에서 잉크가 토출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필름의 일단이 중심축을 감싸도록 권취되어, 상기 잉크가 토출되기 전 필름 부분이 상기 고정부로 풀리는 제1 와인더 및 상기 필름의 타단이 중심축을 감싸도록 권취되어,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잉크가 프린팅된 필름 부분이 권취되는 제2 와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필름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와인더 및 상기 제2 와인더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필름에 상기 잉크가 프린팅되면, 프린팅된 필름 부분이 상기 제2 와인더에 감기고, 상기 제1 와인더에서 풀린 필름 부분이 상기 고정부에 위치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린팅부는, 상기 제1 와인더에서 풀린 상기 필름을 상기 고정부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고정부에서 프린팅된 부분을 상기 제2 와인더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필름에 프린팅된 프린팅 패턴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상기 토출 설정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토출 설정치를 미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여 보정 설정치를 생성한 후, 상기 노즐부가 상기 보정 설정치에 따라 상기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상기 노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결과와 상기 특정 기준의 차이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에서 상기 토출압 및 상기 토출량 중 하나 이상을 보정하여 상기 보정 설정치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보정치에 따른 프린팅 패턴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의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할 때까지 보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여,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하는 보정치를 상기 보정 설정치로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미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노즐부가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라 상기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상기 노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프린팅 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필름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노즐부가 상기 제1 프린팅부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부가 상기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노즐부가 상기 제2 프린팅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프린팅 장치는, 상기 제1 프린팅부 및 상기 제2 프린팅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스테이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필름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제1 프린팅부가 상기 노즐부의 토출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부가 상기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제2 프린팅부가 상기 토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에 국한되지 않으며, 하술할 구체적인 설명에 기재되거나 구체적인 설명에서 유추/도출할 수 있는 실시예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에 잉크를 설정치에 따라 토출하여 프린팅한 후, 상기 필름에 잉크가 프린팅된 결과를 분석하여 노즐의 토출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여 프린팅함으로써, 잉크의 토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토출 불량에 따른 품질 저하 및 불량품 생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품질 저하 및 불량품 생산에 따른 손실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에 잉크를 설정치에 따라 토출하여 프린팅한 후, 상기 필름에 잉크가 프린팅된 결과를 분석하여 노즐의 토출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여 프린팅함으로써, 프린팅 장치의 구동 과정/시점에 관계 없이 토출 상태의 모니터링 및 이에 따른 설정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프린팅 수행 전 및 본 프린팅 수행 중 모두에 토출 상태의 모니터링 과정이 적용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의 프린팅 결과를 특정 기준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설정치를 보정함으로써, 토출 불량의 보정이 정확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프린팅 장치가 수행하는 공정의 안정성 및 정확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의 프린팅을 위한 구성이 Roll to Roll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필름의 표면 상태 균일화 및 필름의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프린팅 상태의 모니터링을 위한 과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상술한 바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하술할 구체적인 설명에 기재되거나 구체적인 설명에서 유추/도출할 수 있는 효과들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린팅 노즐의 프린팅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프린팅 장치의 프린팅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프린팅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린팅 장치의 구조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의 구체적인 예시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의 제1 프린팅부의 구체적인 예시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의 프린팅 상태 판단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1.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의 프린팅 상태 판단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2.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의 구체적인 프린팅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0), 카메라부(20), 제1 프린팅부(30), 제2 프린팅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노즐부(10), 상기 카메라부(20), 상기 제1 프린팅부(30), 상기 제2 프린팅부(40) 및 상기 제어부(50)를 포함하는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서 상기 프린팅 대상(T)에 대해 잉크를 토출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프린팅 장치(100)에서 상기 노즐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노즐부(10)는, 공압 방식으로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10)는, 프린팅 대상의 상부에서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부(10)는, 상기 프린팅 장치(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하부에 위치한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즐부(10)는, 토출압 및 토출량에 대한 토출 설정치에 따라 잉크를 토출한다.
즉, 상기 노즐부(10)는, 설정된 토출압 및 토출량에 따라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부(10)는, 일정한 토출압 및 토출량으로 프린팅 대상에 잉크가 토출되도록 동작하여, 프린팅 대상에 프린팅된 결과인 프린팅 패턴이 일정한 형태로 프린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 설정치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부(10)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설정된 상기 토출 설정치로 잉크를 토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10)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부(1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잉크를 토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장치(100)에서 상기 카메라부(20)는,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비전 카메라(Vision Camera)를 의미한다.
상기 카메라부(20)는, 상기 노즐부(10)에서 잉크가 토출되어 프린팅된 상태를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부(20)는, 프린팅 대상의 상부에서 상기 노즐부(10)에서 잉크가 토출되어 프린팅된 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부(20)는, 상기 프린팅 장치(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하부에 위치한 프린팅 대상을 촬영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20)는, 상기 프린팅 장치(10)의 측면 프레임(1)에 구비되어, 측면에서 프린팅 대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린팅 장치(10)의 측면 프레임(1)에 상기 카메라부(20)가 더 구비되어, 프린팅 대상의 상부 및 측면 각각에서 프린팅 대상을 촬영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20)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2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프린팅 대상을 촬영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장치(100)에서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상기 노즐부(10)에서 토출된 잉크가 필름(F)에 프린팅되는 프린팅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F)은,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프린팅 대상(T)과 상이한 대상물로,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대상물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상기 필름(F)을 통한 테스트 프린팅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상기 노즐부(10)에서 토출된 잉크가 필름(F)에 프린팅된다.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상기 필름(F)을 상기 토출 위치에 위치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부(10)에서 토출된 잉크가 상기 필름(F)에 프린팅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상기 노즐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10)에서 토출된 잉크가 상기 필름(F)에 프린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상기 카메라부(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F)의 프린팅 상태가 상기 카메라부(20)에 촬영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필름(F)에 잉크가 토출되어 프린팅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장치(100)에서 상기 제2 프린팅부(40)는, 상기 노즐부(10)에서 토출된 잉크가 프린팅 대상(T)에 프린팅되는 프린팅 모듈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프린팅 대상(T)은,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프린팅 대상물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프린팅부(40)는, 상기 프린팅 대상(T)에 대한 본 프린팅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린팅부(40)는, 상기 노즐부(10)에서 토출된 잉크가 프린팅 대상(T)에 프린팅된다.
상기 제2 프린팅부(40)는, 상기 프린팅 대상(T)을 상기 토출 위치에 위치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부(10)에서 토출된 잉크가 상기 프린팅 대상(T)에 프린팅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린팅부(40)는, 상기 노즐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10)에서 토출된 잉크가 상기 프린팅 대상(T)에 프린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린팅부(40)는, 상기 카메라부(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린팅 대상(T)의 프린팅 상태가 상기 카메라부(20)에 촬영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린팅부(40)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프린팅부(4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가 토출되어 프린팅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장치(100)에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노즐부(10), 상기 카메라부(20),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 각각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노즐부(10)의 잉크 토출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설정하고, 또한 상기 토출 설정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카메라부(20)의 촬영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프린팅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또한, 상기 프린팅 장치(100)와 통신하는 외부의 통신 대상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프린팅 장치(100)와 통신하는 외부의 제어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노즐부(10), 상기 카메라부(20), 상기 제1 프린팅부(30), 상기 제2 프린팅부(40) 및 상기 제어부(50)를 포함하는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부착되는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즐부(10) 및 상기 카메라부(20)는,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는, 상기 노즐부(10) 및 상기 카메라부(2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부(10)는, 반복적인 토출, 잉크 상태의 변화, 노즐 막힘, 또는 외부 환경 상태의 변화 등에 의해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른 토출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노즐부(10)가 공압 방식으로 잉크를 토출함으로 인해 잉크가 토출되는 노즐홀이 막히게 될 수 있는데, 노즐홀이 막힌 상태에서 프린팅 대상에 잉크가 토출되면 프린팅 대상에 프린팅된 잉크의 토출량이 설정치에 미달하거나, 초과하게 되면서 프린팅 불량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린팅 장치(10)는, 이러한 토출 불량을 감지하여,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을 통해 토출 불량을 해소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노즐부(10)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F)에 잉크를 토출하거나,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를 토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카메라부(20)도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20)가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F)의 프린팅 상태를 촬영하거나,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린팅 대상의 프린팅 상태를 촬영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위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린팅부(30)가 상기 노즐부(1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F)에 잉크가 토출되거나,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상기 노즐부(1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가 토출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노즐부(10), 또는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위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 각각에서의 프린팅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필름(F)에 잉크를 토출할 시에는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를 토출할 시에는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 각각에서의 프린팅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 각각에서의 프린팅이 수행되는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노즐부(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지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0)는, 봉 또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0)는, 구동 수단을 통해 상기 노즐부(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60)는,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부(10)의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60)는, 상기 노즐부(10)가 수직으로 부착되어,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60)는 또한, 상기 카메라부(20)가 부착되어, 상기 카메라부(20)의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60)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프린팅 장치(100)가 상기 지지부(6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필름(F)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제1 프린팅부(30)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1 프린팅부(30)가 좌측에,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우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노즐부(10)를 상기 제1 프린팅부(30)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노즐부(10)의 위치가 좌측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부(60)를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60)는,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필름(F)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동하여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위치를 상기 제1 프린팅부(30)에 위치시키고,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동하여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위치를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 위치시키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 각각에서의 프린팅이 수행되는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스테이지부(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70)는,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안착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70)는, 구동 수단을 통해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70)는,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70)는,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를 현재 위치에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70)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프린팅 장치(100)가 상기 스테이지부(7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필름(F)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제1 프린팅부(30)가 상기 토출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상기 토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상기 노즐부(10)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프린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프린팅부(30)가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위치한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이동 궤적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70)를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부(70)는,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필름(F)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제1 프린팅부(30)가 상기 노즐부(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동하여 상기 제1 프린팅부(30)를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상기 노즐부(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동하여 상기 제2 프린팅부(40)를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위치에 위치시키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노즐부(10) 또는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제1 프린팅부(3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서의 프린팅이 수행됨으로써, 상기 제1 프린팅부(30)에서의 프린팅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프린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1 프린팅부(30)에서 상기 필름(F)에 테스트 프린팅(사전 프린팅)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서 상기 프린팅 대상(T)에 메인 프린팅(본 프린팅)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서 상기 프린팅 대상(T)에 메인 프린팅을 수행하는 중 상기 제1 프린팅부(30)에서 상기 필름(F)에 테스트 프린팅(점검 프린팅)을 수행하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서 상기 프린팅 대상(T)에 대한 본 프린팅의 수행 전, 또는 본 프린팅의 수행 중 상기 제1 프린팅부(30)에서 상기 필름(F)에 더미 프린팅(Dummy printing)을 수행하여, 상기 더미 프린팅 결과에 따라 상기 프린팅 대상(T)에 대한 본 프린팅을 보정하여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제1 프린팅부(30)를 통해 프린팅 상태, 즉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본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서,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불량 및 이에 따른 프린팅 불량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린팅 상태의 모니터링을 위한 더미 프린팅을 수행하는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라 상기 필름(F)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20)가 상기 필름(F)의 프린팅 상태를 촬영한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라 상기 필름(F)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상기 노즐부(10) 및 상기 제1 프린팅부(30)를 제어한 후, 상기 카메라부(20)가 상기 필름(F)의 프린팅 상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20)의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상기 노즐부(1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프린팅이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라 수행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프린팅 결과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여,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치에 따라 상기 제2 프린팅부(40)의 프린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른 상기 필름(F)의 프린팅이 수행되는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F)을 상기 노즐부(10)에서 잉크가 토출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31), 상기 필름(F)의 일단이 중심축을 감싸도록 권취되어, 상기 잉크가 토출되기 전 필름 부분이 상기 고정부(31)로 풀리는 제1 와인더(32) 및 상기 필름(F)의 타단이 중심축을 감싸도록 권취되어, 상기 고정부(31)에서 상기 잉크가 프린팅된 필름 부분이 권취되는 제2 와인더(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또한, 상기 제1 와인더(32) 및 상기 제2 와인더(33)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또한,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린팅부(30)에서 상기 고정부(31)는, 공정이 수행되는 작업 척(Chuck)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필름(F)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노즐부(10)에서 잉크 토출 전, 상기 필름(F)을 진공 흡착하여 상기 고정부(31)에 흡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부(10)에서 잉크 토출 시, 상기 잉크가 상기 필름(F)에 안정적으로 도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프린팅부(31)에서 상기 제1 와인더(32) 및 상기 제2 와인더(33)는, 상기 필름(F)을 권취하는 와인딩 롤(Winding Roll)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와인더(32)는, 상기 필름(F)이 감겨진 상태에서 풀리며 상기 제2 와인더(33)로 감겨지는 언와인딩 롤(Un-winding Roll)일 수 있고, 상기 제2 와인더(33)는, 상기 제1 와인더(32)에서 풀려진 필름이 감겨지는 와인딩 롤일 수 있다.
상기 제1 와인더(32) 및 상기 제2 와인더(33)는, 상기 고정부(3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와인더(32) 및 상기 제2 와인더(33)는, 높이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와인더(32)는 상기 고정부(31)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와인더(33)는 상기 제1 와인더(32)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와인더(32) 및 상기 제2 와인더(33)는, 상기 고정부(31)에서 상기 필름(F)에 상기 잉크가 프린팅되면, 프린팅된 필름 부분이 상기 제2 와인더(33)에 감기고, 상기 제1 와인더(32)에서 풀린 필름 부분이 상기 고정부(31)에 위치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또한, 상기 제1 와인더(32)에서 풀린 상기 필름(F)을 상기 고정부(31)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롤러(34) 및 상기 고정부(31)에서 프린팅된 부분을 상기 제2 와인더(33)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롤러(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린팅부(30)는, 상기 제1 가이드 롤러(34) 및 상기 제2 가이드 롤러(35)를 통해 상기 필름(F)이 상기 제1 와인더(32)에서 상기 고정부(31)로, 상기 고정부(31)에서 상기 제2 와인더(33)로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이와 같은 상기 제1 프린팅부(30)에서 상기 필름(F)에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른 토출이 이루어지면, 상기 카메라부(20)가 상기 필름(F)의 프린팅 상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20)의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필름(F)에 프린팅된 프린팅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필름(F)을 촬영한 상기 카메라부(20)의 촬영 결과 이미지에서 상기 필름(F)에 프린팅된 프린팅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프린팅 패턴을 근거로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촬영 결과의 이미지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필름(F)에 프린팅된 프린팅 패턴(P)을 인식하여, 상기 프린팅 패턴(P)의 형태를 근거로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필름(F)에 프린팅된 프린팅 패턴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상기 토출 설정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팅 패턴(P)의 길이(l) 및 폭(m)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상기 특정 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기준은,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른 프린팅 패턴(P)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표준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토출 설정치의 토출압이 A, 토출량이 B일 시 프린팅 패턴(P)의 길이가 l, 폭이 m인 경우, 길이 l 및 폭 m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특정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특정 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불량을 판단하여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특정 기준은 또한, 상기 프린팅 패턴(P)의 면적에 대한 기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프린팅 패턴(P)의 면적을 산출하고, 상기 프린팅 패턴(P)의 면적을 상기 특정 기준의 면적 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불량을 판단하여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특정 기준은, 테이블 형태로 상기 제어부(50)에 기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른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상태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불량이 방지되도록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특정 기준이 l 및 m으로 설정되고, 상기 측정 결과가 l-x 및 m-y인 경우,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미일치하여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은, 토출압 및 토출량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경우, 설정된 토출압 및 토출량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설정된 토출압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설정된 토출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노즐부(10)의 토출압 및 토출량 중 하나 이상의 설정치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 결과와 상기 특정 기준의 차이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프린팅 패턴(P)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프린팅 패턴(P)의 길이(l)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의 길이 기준과 미일치하고, 상기 프린팅 패턴(P)의 폭(m)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의 폭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와, 상기 프린팅 패턴(P)의 길이(l)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의 길이 기준과 일치하고, 상기 프린팅 패턴(P)의 폭(m)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의 폭 기준과 미일치하는 경우와, 상기 프린팅 패턴(P)의 길이(l)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의 길이 기준과 미일치하고, 상기 프린팅 패턴(P)의 폭(m)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의 폭 기준과 미치하는 경우 각각의 보정을 달리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 결과와 상기 특정 기준의 차이 정도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상기 프린팅 패턴(P)의 길이(l) 측정 결과와 상기 특정 기준의 길이 기준의 차이가 C에 해당하는 경우와, 상기 프린팅 패턴(P)의 길이(l) 측정 결과와 상기 특정 기준의 길이 기준의 차이가 D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보정을 달리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 결과와 상기 특정 기준의 차이 종류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감소시키고,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증가시키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프린팅 패턴(P)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게 됨으로써,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상태 또는 상기 필름(F)의 프린팅 상태에 대응하는 적절한 보정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노즐부(10)가 보정치에 따라 상기 필름(F)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20)가 상기 필름(F)의 프린팅 상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20)의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보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한 경우, 보정치에 따른 프린팅 패턴(P)의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보정치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필름(F)에 프린팅된 보정 패턴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상기 토출 설정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보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한 후, 보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제어부(50)는, 보정치에 따른 보정 패턴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한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할 때까지 상기 제1 프린팅부(30)에서의 상기 필름(F)의 프린팅 과정 및 보정치의 보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보정치에 따른 프린팅 패턴(P)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의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할 때까지 보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른 프린팅 패턴(P1)의 길이(l-x)가 상기 특정 기준(l)과 일치하지 않아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한 경우, 보정치에 따른 프린팅 패턴(Pn)의 길이(l)가 상기 특정 기준(l)에 일치할 때까지 보정치를 n차 보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토출 설정치를 미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른 상기 노즐부(10)의 토출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토출 설정치를 미보정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특정 기준이 l 및 m으로 설정되고, 상기 측정 결과가 l 및 m인 경우,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일치하여 상기 토출 설정치를 미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특정 기준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여 보정 설정치를 생성한 후,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보정 설정치에 따라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상기 노즐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보정 설정치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서 상기 보정 설정치에 따라 상기 프린팅 대상(T)의 프린팅이 수행되도록 상기 노즐부(10) 및 상기 제2 프린팅부(40)를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서의 상기 프린팅 대상(T)의 프린팅이 상기 보정 설정치에 따라 수행되어, 상기 프린팅 대상(T)에 대한 본 프린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 결과와 상기 특정 기준의 차이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에서 상기 토출압 및 상기 토출량 중 하나 이상을 보정하여 상기 보정 설정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보정치에 따른 프린팅 패턴(P)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의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할 때까지 보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여,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하는 보정치를 상기 보정 설정치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미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라 상기 프린팅 대상(T)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상기 노즐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프린팅 장치(100)가 상기 제1 프린팅부(30)를 통한 모니터링 프린팅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장치(100)가 구동을 시작한 후, 상기 토출 설정치가 설정되면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프린팅을 시작(BS)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프린팅 시작(BS)은,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초기 프린팅 시작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서 상기 프린팅 대상(T)에 메인 프린팅을 수행하는 중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린팅부(30)를 통한 모니터링 프린팅은, 상기 프린팅 대상(T)의 메인 프린팅 수행 전, 또는 상기 프린팅 대상(T)의 메인 프린팅을 수행하는 중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프린팅을 시작(BS)하면, 상기 지지부(60) 또는 상기 스테이지부(70)가 구동하여 상기 제1 프린팅부(30)가 상기 노즐부(10)에서 잉크가 토출되는 토출 위치에 위치(S0)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60)가 구동하여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상측으로 위치 이동을 하거나, 상기 스테이지부(70)가 구동하여 상기 제1 프린팅부(30)가 상기 노즐부(10)의 하측으로 위치 이동을 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린팅부(30)가 상기 토출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 프린팅부(30)의 상기 제1 와인더(32) 및 상기 제2 와인더(33)가 구동하여 상기 고정부(31)에 새로운 필름이 공급(S1)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와인더(32)에 감겨진 필름이 상기 고정부(31)로 이동하고, 상기 고정부(31)에 위치한 필름이 상기 제2 와인더(33)에 감겨지게 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고정부(31)가 상기 필름(F)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S2)시키면,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라 상기 고정부(31)에 흡착 고정된 상기 필름(F)에 잉크를 토출(S3)하여 상기 필름(F)이 프린팅될 수 있다.
상기 필름(F)이 프린팅되면, 상기 카메라부(20)가 상기 필름(F)의 프린팅 상태를 촬영(S4)하고,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촬영 결과를 근거로 프린팅 패턴(P)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을 측정(S5)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패턴(P)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을 측정(S5)하면, 상기 제어부(50)가 측정 결과를 상기 특정 기준과 비교(S6)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가 측정 결과를 상기 특정 기준과 비교(S6)한 결과,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31)가 상기 잉크가 프린팅된 상기 필름(F)의 진공 흡착을 중단하여 상기 필름(F)을 상기 고정부(31)에서 분리(S7)시키면, 상기 제1 와인더(32) 및 상기 제2 와인더(33)가 구동하여 상기 필름(F)의 프린팅된 부분을 상기 제2 와인더(33)에 권치(S8)시키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와인더(32)에 감겨진 필름이 상기 고정부(31)로 이동하고, 상기 고정부(31)에 위치한 필름이 상기 제2 와인더(33)에 감겨지게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지지부(60) 또는 상기 스테이지부(70)가 구동하여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상기 노즐부(10)에서 잉크가 토출되는 토출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 프린팅부(30)가 대기 위치에 위치(S9)하게 되면,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서 상기 프린팅 대상(T)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AF)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가 측정 결과를 상기 특정 기준과 비교(S6)한 결과,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미일치하는 경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S6')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S6')하면, 상기 고정부(31)의 필름(F)의 여백 여부를 확인(S6'')하여, 여백이 있는 경우 상기 노즐부(10)가 상기 보정치로 보정된 토출 설정치에 따라 상기 필름(F)에 잉크를 토출(S3)하여, 상기 필름(F)이 프린팅될 수 있다.
이후, S4 내지 S6 과정을 반복하고, 보정치에 따른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할 때까지 S3 내지 S6 과정을 n회 반복하며 상기 보정치를 n회 보정하게 될 수 있다.
S3 내지 S6 과정을 n회 반복하며 상기 보정치를 n회 보정하여,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31)가 상기 잉크가 프린팅된 상기 필름(F)의 진공 흡착을 중단하여 상기 필름(F)을 상기 고정부(31)에서 분리(S7)시키면, 상기 제1 와인더(32) 및 상기 제2 와인더(33)가 구동하여 상기 필름(F)의 프린팅된 부분을 상기 제2 와인더(33)에 권치(S8)시키게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지지부(60) 또는 상기 스테이지부(70)가 구동하여 상기 제2 프린팅부(40)가 상기 노즐부(10)에서 잉크가 토출되는 토출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 프린팅부(30)가 대기 위치에 위치(S9)하게 되면, 상기 제2 프린팅부(40)에서 상기 프린팅 대상(T)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AF)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31)의 필름(F)의 여백 여부를 확인(S6'')하여, 여백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와인더(32) 및 상기 제2 와인더(33)가 구동하여 상기 고정부(31)에 새로운 필름이 공급(S1)될 수 있다.
이후, S2 내지 S6 과정을 반복하고, 보정치에 따른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할 때까지 S2 내지 S6 과정, 또는 S3 내지 S6 과정을 n회 반복하며 상기 보정치를 n회 보정하게 될 수 있다.
S2 내지 S6 과정, 또는 S3 내지 S6 과정을 n회 반복하며 상기 보정치를 n회 보정하여,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31)가 상기 잉크가 프린팅된 상기 필름(F)의 진공 흡착을 중단하여 상기 필름(F)을 상기 고정부(31)에서 분리(S7)시키면, 상기 제1 와인더(32) 및 상기 제2 와인더(33)가 구동하여 상기 필름(F)의 프린팅된 부분을 상기 제2 와인더(33)에 권치(S8)시키게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 노즐부 20: 카메라부
30: 제1 프린팅부 40: 제2 프린팅부
50: 제어부 100: 프린팅 장치

Claims (16)

  1. 토출압 및 토출량에 대한 토출 설정치에 따라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서 잉크가 토출되어 프린팅된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된 잉크가 필름에 프린팅되는 제1 프린팅부;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된 잉크가 프린팅 대상에 프린팅되는 제2 프린팅부; 및
    상기 노즐부가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라 상기 필름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필름의 프린팅 상태를 촬영한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노즐부가 상기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린팅부는,
    상기 필름을 상기 노즐부에서 잉크가 토출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필름의 일단이 중심축을 감싸도록 권취되어, 상기 잉크가 토출되기 전 필름 부분이 상기 고정부로 풀리는 제1 와인더; 및
    상기 필름의 타단이 중심축을 감싸도록 권취되어,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잉크가 프린팅된 필름 부분이 권취되는 제2 와인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필름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인더 및 상기 제2 와인더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필름에 상기 잉크가 프린팅되면, 프린팅된 필름 부분이 상기 제2 와인더에 감기고, 상기 제1 와인더에서 풀린 필름 부분이 상기 고정부에 위치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린팅부는,
    상기 제1 와인더에서 풀린 상기 필름을 상기 고정부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고정부에서 프린팅된 부분을 상기 제2 와인더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결과를 근거로 상기 필름에 프린팅된 프린팅 패턴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상기 토출 설정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토출 설정치를 미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토출 설정치를 보정하여 보정 설정치를 생성한 후, 상기 노즐부가 상기 보정 설정치에 따라 상기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상기 노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결과와 상기 특정 기준의 차이에 따라 상기 토출 설정치에서 상기 토출압 및 상기 토출량 중 하나 이상을 보정하여 상기 보정 설정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보정치에 따른 프린팅 패턴의 길이 및 폭 중 하나 이상의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할 때까지 보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여, 측정 결과가 상기 특정 기준에 일치하는 보정치를 상기 보정 설정치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 설정치를 미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노즐부가 상기 토출 설정치에 따라 상기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상기 노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필름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노즐부가 상기 제1 프린팅부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부가 상기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노즐부가 상기 제2 프린팅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린팅부 및 상기 제2 프린팅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스테이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필름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제1 프린팅부가 상기 노즐부의 토출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부가 상기 프린팅 대상에 잉크를 토출할 시 상기 제2 프린팅부가 상기 토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PCT/KR2022/013562 2022-09-08 2022-09-08 프린팅 장치 WO202405376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3562 WO2024053766A1 (ko) 2022-09-08 2022-09-08 프린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3562 WO2024053766A1 (ko) 2022-09-08 2022-09-08 프린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3766A1 true WO2024053766A1 (ko) 2024-03-14

Family

ID=9019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562 WO2024053766A1 (ko) 2022-09-08 2022-09-08 프린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5376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0943A (ja) * 1992-02-07 1993-08-31 Hitachi Ltd 試行機能付き印字装置
JP2010201742A (ja) * 2009-03-03 2010-09-16 Sharp Corp 予備吐出部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2015186848A (ja) * 2014-03-26 2015-10-29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
JP6422232B2 (ja) * 2013-04-23 2018-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2379011B1 (ko) * 2014-12-31 2022-03-29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토출량 측정 유닛, 그리고 기판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0943A (ja) * 1992-02-07 1993-08-31 Hitachi Ltd 試行機能付き印字装置
JP2010201742A (ja) * 2009-03-03 2010-09-16 Sharp Corp 予備吐出部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6422232B2 (ja) * 2013-04-23 2018-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5186848A (ja) * 2014-03-26 2015-10-29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
KR102379011B1 (ko) * 2014-12-31 2022-03-29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토출량 측정 유닛, 그리고 기판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96183A1 (ko)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과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WO2017111243A1 (ko) 교정 시스템 및 교정 방법
WO2011105691A2 (ko) 소재온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WO2018151511A1 (ko) 배관내부 주행로봇
WO2017171309A1 (ko)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oled 패널
WO201712683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7039370A1 (en) Object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4053766A1 (ko) 프린팅 장치
WO2017111476A1 (ko) 밀착성이 우수한 철강 소재용 잉크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프린트 강판
WO2019182288A1 (ko)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EP14913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te changing printing press
WO2022015032A1 (ko)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WO2018117510A2 (ko)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과 그 장치
WO2013159421A1 (zh) 液晶显示模组差分信号接收终端异常的检测方法及装置
EP336573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9194327A1 (ko) 웨이퍼 수납용기
WO2020262979A1 (ko) 복합 기판의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WO2013070038A1 (ko) 장력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자수기의 헤드 그리고 이에 적합한 자수기의 장력 제어 장치
WO2021045450A1 (ko)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WO2011152587A1 (ko)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WO2014163331A1 (ko) 카메라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행 시스템 및 방법
WO2021182792A1 (ko) 배터리 셀의 스웰링 검사 장치
WO2020222454A1 (ko) 두께 측정 장치
WO2020138880A1 (ko) 도포 장치
WO2024075861A1 (ko) 전극재 권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582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