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43739A1 - 신규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지방산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지방산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43739A1
WO2024043739A1 PCT/KR2023/012614 KR2023012614W WO2024043739A1 WO 2024043739 A1 WO2024043739 A1 WO 2024043739A1 KR 2023012614 W KR2023012614 W KR 2023012614W WO 2024043739 A1 WO2024043739 A1 WO 20240437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rain
acid
fatty acids
eutreptiell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26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준
김기현
강성모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40437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437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5Unicellular algae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0Protozo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09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09Fatty acids
    • C12P7/6427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e.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ir backbo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89Algae ; Processes usin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90Protozoa ; Processes using protozo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strain of the Eutreptiella genus and a method for producing fatty acids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strain of the Eutreptiella genus and a method for producing fatty acids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microalgae (Eutreptiella sp) containing a high lipid content and a large amount of useful fat components from domestic seawater. .) It relates to strains and methods for producing fatty acids using them.
  • Microalgae are commonly found in aquatic environments such as the ocean and freshwater, and are members of the ecosystem as primary producers that perform photosynthesis. Microalgae contain many essential nutrients, including vitamins, minerals, and amino acids, as well as essential fatty acids such as DHA (docosahexaenoic acid) and EPA (eicosapentaenoic acid), so they are not only used as feed or biological fertilizer, but also as raw material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is attracting attention.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506554 discloses a method for extracting omega-3 unsaturated fatty acids.
  • DHA docosahexaenoic acid
  • EPA eicosapentaenoic acid
  • microalgae are renewable and have high value as a sustainable bioenergy resource.
  • damage and problems are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due to the greenhouse gas problem caused by the indiscriminate use of fossil energy and the resulting climate change. Therefore, the global demand for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source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every year.
  • Bioenergy unlike fossil energy, is an eco-friendly energy that does not generate carbon dioxide.
  • Organic carbon compounds with accumulated energy are created through a photosynthesis process that captures carbon dioxide and solar energy, and energy is extracted from the stored biomass.
  • biodiesel is produced in the form of methyl ester or ethyl ester through the transesterification process of fatty acids contained in biomass produced from microalgae, and glycerol is produced as a by-product.
  • biodiesel is an eco-friendly energy that emits significantly lower toxic substances when burned.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strain with high fatty acid conten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fficiently producing fatty acids from the new strain.
  • a novel Utreptiella genus strain having fatty acid production ability is provided.
  • the Eutreptiella sp.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utotrophically biosynthesizing long-chain fatty acid lipids, and further produces palmitic acid (C16:0) and hexadecatetraenoic acid (C16:4). , and microalgae biodiesel components including oleic acid (C18:1) are also produced as major components.
  • the long-chain fatty acids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 a high content of omega-3 fatty acids such as alpha-linolenic acid, EPA, and DHA, and are expected to be used in high value-added industries and bio-oil industries using these components. Because cells have the characteristic of forming colonies and settling during culture, it is expected to provide a production cost reduction effect in the microalgae culture process.
  • Figure 2 shows the light microscope observation results (Figure 2(a)) and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 results ( Figures 2(b) and (c)) of the new Eutreptiella sp. KCTC 15553BP strain.
  •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iomass of the new Eutreptiella sp. KCTC 15553BP strain before drying (a) and the biomass after drying (b).
  • Figure 4 shows a growth curve graph of the new Eutreptiella sp. KCTC 15553BP strain.
  • Figure 5 is a graph comparing the fatty acid content of the new Eutreptiella sp. KCTC 15553BP strain and other microalgae.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is of the new Eutreptiella sp. KCTC 15553BP strain using gas chromatography.
  • Figure 7 is a composition graph of the total fatty acid content of the new Eutreptiella sp. KCTC 15553BP strain.
  • a new Eutreptiella genus strain having the ability to produce fatty acids, and more specifically, the Eutreptiella sp.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utreptiella gymnastica, Preferably, U-trapti was deposited with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CTC) in domestic format on July 18, 2022 under deposit number KCTC 19016P, and further deposited in international format with deposit number KCTC 15553BP on August 16, 2023.
  • Eutreptiella gymnastica strain i.e. Eutreptiella sp. LZ-E001 It may be the 15553BP strain.
  • the new Utraptiella gymnastica new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lipid content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useful fat components, and the fatty acids include palmitic acid (C16:0) and hexadecatetraenoic acid (C16). :4), and one or more fatty acids of C 16 to C 18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eic acid (C18:1); and one or more omega-3 fatty aci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lmitic acid (C16:0), hexadecatetraenoic acid (C16:4), and oleic acid (C18:1).
  • the fatty acids include palmitic acid (C16:0) and hexadecatetraenoic acid (C16). :4), and one or more fatty acids of C 16 to C 18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eic acid (C18:1); and one or more omega-3 fatty aci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lmitic acid (C16:0), hexadecate
  • the long chain fatty acid (C14:0 ⁇ C24:1) of the total lipid produced is composed of alpha-linolenic acid, EPA, and DHA, which are omega-3 fatty acids. It can be used in the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bio-oil industry using EPA and DHA,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ells forming colonies and settling during culture, the microalgae culture process is economically desirable and is expected to provide a production cost reduction effect. do.
  • the fatty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35 to 45% by weight, for example, 37 to 40% by weight of omega-3 fatty acid based on the weight of total fatty acids.
  • the biomass color of the Eutreptiella sp.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range to reddish brown rather than green, so it can be used as food or nutritional supplement. If formulated in this way, it can reduce consumers' aversion to color.
  • a method for producing fatty acids using 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ulturing a strain of the genus Eutreptiella having the ability to produce fatty acids; and extracting fatty acids from the strain.
  • the growth conditions for the strain include a culture temperature of 15°C to 30°C, a culture pH of 4 to 8 for 4 to 60 days, for example, 6 It can be cultured for 1 to 24 days, preferably 8 to 20 days, and the strain culture medium can be a medium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step of extracting fatty acids from the strain is the step of cultivating a strain of the genus Eutreptiella having the ability to produce fatty acids, followed by harvesting the biomass of the strain from which the medium components have been removed through a centrifugation process from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the strain. ; Converting fatty acids into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form through a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y drying the harvested biomass and adding at least one solu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yl chloride and methanol; And it may be performed by adding normal-hexane to the result of the converting step to move the fatty acid methyl ester to the normal-hexane layer.
  • FAME fatty acid methyl ester
  • the centrifug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range of 8000 to 9000 rpm (for example, 7000 x g), and the biomass of the strain from which the medium components have been removed can be harvested as a precipitate obtained as a result.
  •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at 60 to 90°C for 30 minutes to 12 hours, for example, at 70 to 90°C for 30 minutes to 2 hours.
  • normal-hexane is added to the result of the conversion step, and the fatty acid methyl ester in the methanol layer can be separated by extracting the fatty acid into the normal-hexane layer through a liquid: liquid extraction process.
  • the extrac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method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 the extracting step may be performed using at least one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id catalyst, alcohol, and organic solvent.
  • the extracting step may be performed using pentane, hexane, heptane, cyclohexane, toluene, It may be performed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ene chloride, acetyl chlorid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chloroform, methanol, and ethanol.
  • Samples were first cultured in a 48-well plate containing f/2 liquid medium (Marine Water Enrichment Solution, Sigma-Aldrich, St. Louis, Missouri, USA). Afterwards, single cells were separated from the sample using a Pasteur tube whose end was heated and transformed into a capillary tube. The isolated single cells were transferred to a 12-well plate containing f/2 medium and cultured at a temperature of 23°C, a light intensity of 50 ⁇ E m -2 s -1 , and 12:12 h (light:dark).
  • f/2 liquid medium Marine Water Enrichment Solution, Sigma-Aldrich, St. Louis, Missouri, USA
  • FIG. 2 the results of optical microscopy and electron microscopy observation of the strain are as shown in FIG. 2, and the biomass of the strain before drying (FIG. 3(a)) and the biomass after drying (FIG. 3(b)) are shown. It is shown in Figure 3.
  • the Eutreptiella strain obtained in above 1. was grown in a 250 mL Erlenmeyer flask containing 100 mL of f/2 medium at a temperature of 23°C, light intensity of 50 ⁇ E m -2 s -1 , stirring 120 rpm, 12:12 h (light :dark) conditions were cultured for a period of 30 days. At this time, the growth curve of the strain was as shown in Figure 4.
  • the Eutreptiella strain obtained in above 1. was grown in a 250 mL Erlenmeyer flask containing 100 mL of f/2 medium at a temperature of 23°C, light intensity of 50 ⁇ E m -2 s -1 , stirring 120 rpm, 12:12 h (light :dark) conditions, and then centrifuged at 7,000 g for 10 minutes at 4°C to harvest the biomass.
  • euglenoids were distributed from the NIES-collection (Microbial Culture Collection at the NIE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of Japan, namely Euglena gracilis NIES-47 and Eutreptiella gymnastica. (Eutreptiella gymnastica) NIES-381, and Eutreptiella (Eutreptiella sp.) NIES-2305 were cult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above and then centrifuged to harvest biomass.
  • a direct-transesterification reaction is performed, and n-hexane is added to extract the fatty acid methyl ester in the methanol layer into the n-hexane layer through a liquid-liquid extraction process to produce myristic acid (C14:0).
  • myristic acid C14:0
  • the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Eutreptiella genus strain was analyzed through the peak area val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 the Eutreptiella genus strain contains useful fat components at a level of 40% of the total long-chain fatty acid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composed of omega-3 fatty acids such as ALA, EPA, and DH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지방산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방산 생성능을 갖는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및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로부터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지방산의 생산방법
본 발명은 신규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지방산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내 해수로부터 지질 함량이 높으면서 유용한 지방 성분을 다량 함유한 신규 미세 조류인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지방산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생산 비용은 저렴하되, 영양가 있는 식품 공급원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현재 다수의 식단에 있어 주식으로서 육류에 의존하고 있어서 온실 가스 방출량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으며, 기존의 식품과 동일한 맛과 영양을 가지고 있으면서 환경에 유해한 효과는 덜 미치는, 새로운 식량의 생산이 필요한 실정이다. 사람을 비롯한 대부분의 고등 동물은 정상적인 생체기능에 필요한 다중불포화지방산을 자체적으로 원활하게 합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중불포화지방산을 필수 영양소로 반드시 섭취하여야 하며, 세계보건기구는 하루 1g 이상의 ALA, EPA, DHA 함유 다중불포화지방산을 꾸준히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미세조류는 해양, 담수와 같은 수서환경에서 흔히 발견되며 광합성을 하는 일차생산자로서 생태계의 구성원이다. 미세조류는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은 물론 DHA(docosahexaenoic acid), EPA(eicosapentaenoic acid) 등 필수지방산에 이르기까지 많은 필수영양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료나 생물학적 비료로 이용될 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10- 1506554호는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의 추출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세조류는 재생이 가능하고 지속적인 바이오에너지 자원으로서의 가치 또한 높다. 현재 무분별한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유래된 온실 가스 문제와, 그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촌 곳곳에서 피해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재생 가능한 지속적 에너지 자원 대한 전 세계적인 요구는 매년 지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는 화석에너지와는 달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친환경적 에너지로서, 이산화탄소와 태양에너지를 포획하는 광합성 과정을 통하여 에너지가 축적된 유기 탄소 화합물이 생성되고 이렇게 해서 저장된 바이오매스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것이다.
그 예로서 바이오디젤은 미세조류로부터 생산한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지방산(fatty acid)의 트랜스에스테르화 (transesterification) 과정에 의해 메틸 에스터 또는 에틸 에스터 형태로 생산되며 부산물로 글리세롤이 생성된다. 바이오디젤(biodiesel)은 페트로디젤(petrodiesel)과는 달리 연소될 때 배출되는 독성물질이 현저하게 낮은 친환경적 에너지이다.
그러나, 미세조류 바이오디젤 생산에서 가장 큰 과제들 중 하나는 전체 생산 에너지 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질 추출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에, 유기용매의 사용 없이도 균주로부터 손쉽게 추출이 가능하며, 나아가 오메가3 등의 지방산 함량이 높은 조류가 제공되는 경우 기능성식품의 원료와 바이오에너지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지방산 함량이 높은 신규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신규 균주로부터 지방산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지방산 생성능을 갖는 신규의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지방산 생성능을 갖는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로부터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생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균주는 긴 사슬 지방산의 지질을 독립영양적으로 생합성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팔미트산(C16:0), 헥사데카테트라에노익산(C16:4), 및 올레인산(C18:1)을 포함하는 미세조류 바이오디젤 구성 성분들도 주요 성분들로서 생산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긴사슬지방산은 높은 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인 알파 리놀렌산, EPA, 및 DHA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들 성분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산업 및 바이오 오일 산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배양 시 세포들이 군체를 형성하고 침전되는 특성이 있어 미세조류 배양공정 상에 생산 비용 절감 효과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a) 및 (b)는 본 발명의 신규한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LZ-E001(= AG60758) 균주의 분류학적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신규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KCTC 15553BP 균주의 광학 현미경 관찰 결과(도 2(a)) 및 전자 현미경 관찰 결과(도 2(b) 및 (c))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신규 유트렙티엘라 속 (Eutreptiella sp.) KCTC 15553BP 균주의 건조 전 바이오매스의 모습(a)과 건조 후 바이오매스의 모습(b)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신규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KCTC 15553BP 균주의 성장곡선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신규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KCTC 15553BP 균주와 다른 미세조류의 지방산 함량을 비교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신규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KCTC 15553BP 균주의 지방산 조성 분석 그래프이다.
도 7은 신규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KCTC 15553BP 균주의 총 지방산 함량의 조성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방산 생성능을 갖는, 새로운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가 제공되며,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본 발명의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균주는 유트랩티엘라 김나스티카(Eutreptiella gymnastica), 보다 바람직하게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KCTC)에 국내 형식으로 2022년 7월 18일에 기탁번호 KCTC 19016P으로 기탁되고, 나아가 국제 형식으로 2023년 8월 16일에 기탁번호 KCTC 15553BP으로 기탁된 유트랩티엘라 김나스티카(Eutreptiella gymnastica) 균주, 즉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LZ-E001 15553BP 균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신규 유트랩티엘라 김나스티카 신규 스트레인(strain)은 지질 함량이 높으면서 유용한 지방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지방산은 팔미트산(C16:0), 헥사데카테트라에노익산(C16:4), 및 올레인산(C18: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C16 내지 C18의 지방산; 및 팔미트산(C16:0), 헥사데카테트라에노익산(C16:4), 및 올레인산(C18: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지방산은 생산된 전체 지질 중량 중 긴사슬지방산(Long chain fatty acid, C14:0 ~ C24:1) 중량의 약 37 중량%가, 오메가3 지방산인 알파리놀렌산, EPA, 및 DHA로 구성되어 있어, EPA와 DHA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산업과 바이오 오일 산업에 활용될 수 있으며, 배양 시 세포들이 군체를 형성하고 침전되는 특성이 있어 미세조류 배양 공정 경제 상 바람직하여 생산 비용 절감 효과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지방산은 총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45 중량%, 예를 들어 37 내지 40 중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균주, 예를 들어 유트렙티엘라 김나스티카(Eutreptiella gymnastica)KCTC 15553BP 균주의 바이오 매스 색깔은 녹색 계열이 아닌 주황색 내지 적갈색을 띄고 있어 식료품 또는 영양 보충식으로 제형화 될 경우 소비자로 하여금 색상으로 인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균주를 이용한 지방산의 생산방법이 제공되며, 상술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와 관련하여 기재된 기술적 내용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지방산의 생산방법은 지방산 생성능을 갖는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로부터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지방산 생성능을 갖는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균주의 성장 조건으로, 배양 온도는 15℃에서 30℃, 배양 pH는 4 내지 8에서 4일 내지 60일 동안, 예를 들어 6일 내지 24일, 바람직하게는 8일 내지 20일 동안 배양될 수 있으며, 균주 배양 배지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배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균주로부터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는 지방산 생성능을 갖는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에 후속적으로 균주를 포함하는 배양액으로부터 원심분리 공정을 통해 배지 성분이 제거된 균주의 바이오매스를 수확하는 단계; 수확된 바이오매스를 건조한 후 아세틸클로라이드 및 메탄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액을 첨가하여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지방산을 지방산 메틸에스터(FAME)형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환시키는 단계의 결과물에 노르말헥산을 첨가하여 지방산 메틸에스터를 노르말헥산 층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 공정은 8000 내지 9000 rpm의 범위(예를 들어 7000 x g)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그 결과 획득되는 침전물로써 배지 성분이 제거된 균주의 바이오매스를 수확할 수 있다.
상기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은 60 내지 90℃에서 30분 내지 1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0 내지 90℃에서 30분 내지 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전환시키는 단계의 결과물에 노르말헥산을 첨가하여 메탄올 층의 지방산 메틸에스터를 액체:액체 추출 과정을 통해 지방산을 노르말헥산 층으로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추출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산 촉매, 알코올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펜탄, 헥산, 헵탄, 사이클로 헥산, 톨루엔,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틸클로라이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탄올,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제주도 북쪽 해역의 해수로부터 20 μm 메쉬 플랑크톤 그물을 사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유트렙티엘라(Eutreptiella) 속과 유사한 세포를 광학현미경을 통해 분리하였다. 이때 상세한 분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료는 f/2 액체 배지(Marine Water Enrichment Solution, Sigma-Aldrich, St. Louis, Missouri, USA)가 분주 되어있는 48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1차 배양을 하였다. 이후, 끝 부분을 가열하여 모세관으로 변형시킨 파스퇴르 튜브를 이용하여 단일 세포를 시료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일 세포는 f/2 배지가 분주 되어있는 12 웰 플레이트로 이동시켜 온도 23℃, 광도 50 μE m-2 s-1, 12:12 h (light:dark)조건에서 배양되었다.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해 18S ribosomal RNA 유전자 서열 및 chloroplast SSU 유전자 서열의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도 1과 같이 유트렙티엘라(Eutreptiella) 속 균주로 동정되었고, 이를 유트렙티엘라 김나스티카(Eutreptiella gymnastica) LZ-E001 로 명명하였다. 상기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KCTC)에 2023년 8월 16일에 기탁번호 KCTC 15553BP 로 기탁하였다.
한편, 상기 균주의 광학 현미경 및 전자 현미경 관찰 결과는 도 2와 같으며, 상기 균주의 건조 전 바이오매스의 모습(도 3(a))과 건조 후 바이오매스의 모습(도 3(b))을 도 3에 나타내었다.
2. 유트렙티엘라(Eutreptiella) 속 균주의 배양
상기 1.에서 획득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를 f/2 배지 100 mL가 들어있는 250 mL 삼각 플라스크에서 온도 23℃, 광도 50 μE m-2 s-1, 교반 120 rpm, 12:12 h (light:dark) 조건에서 30일의 기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상기 균주의 성장 곡선은 도 4와 같았다.
3. 유트렙티엘라(Eutreptiella) 속 균주의 지방산 성분의 확인
상기 1.에서 획득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를 f/2 배지 100 mL가 들어있는 250 mL 삼각 플라스크에서 온도 23 ℃, 광도 50 μE m-2 s-1, 교반 120 rpm, 12:12 h (light:dark) 조건에서 12일의 기간 동안 배양한 후, 7,000 g, 4 ℃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바이오 매스를 수확하였다.
비교를 위해 일본국립환경연구소의 NIES-collection (Microbial Culture Collection at the NIES)에서 분양받은 3종의 유글레노이드(euglnoid), 즉 유글레나 그라실리스(Euglena gracilis) NIES-47, 유트렙티엘라 짐나스티카(Eutreptiella gymnastica) NIES-381, 및 유트렙티엘라(Eutreptiella sp.) NIES-2305를 상기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바이오매스를 수확하였다.
수확한 바이오매스를 동결건조 한 후, 5%(v/v)의 아세틸클로라이드/메탄올 용액(아세틸클로라이드:메탄올 = 5:100 , 부피비)을 첨가하여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지방산을 지방산 메틸에스터(FAME)형태로 전환시키기는 직접-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고, 노르말헥산을 첨가하여 메탄올 층의 지방산 메틸에스터를 노르말헥산 층으로 액체-액체 추출 과정을 통해 추출하여 미리스트산 (C14:0)이상의 긴사슬 지방산 함량을 각각 분석하였고, 본 연구결과의 3종의 균주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 및 도 5와 같이 유트렙티엘라(Eutreptiella) 속 균주의 지방산 함량이 높고, 특히 본 발명의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KCTC 15553BP 균주의 지방산 함량이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 본 발명의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KCTC 15553BP 균주, 그 외 다른 유글레노이드 3 종의 미세조류의 지방산 조성 비교
Figure PCTKR2023012614-appb-img-000001
한편,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외부 표준물질(Supelco 37 component FAME Mix, CRM47885, Supelco, USA)을 분석한 결과, 도 6과 같이 EPA, DHA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결과 피크 면적 값을 통해 유트렙티엘라(Eutreptiella) 속 균주의 총 지방산 조성의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 도 7과 같이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는 전체 긴사슬지방산의 40% 수준이 유용한 지방성분인 ALA과 EPA, DHA등의 오메가3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KCTC 15553BP 균주의 바이오 매스 색깔은 진한 적갈색을 띄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진한 녹색을 띄고 있는 기존 미세 조류와 달리, 주황색 내지 적갈색을 띄고 있어 식료품 또는 영양 보충식으로 제형화 될 경우 소비자로 하여금 색상으로 인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Figure PCTKR2023012614-appb-img-000002

Claims (11)

  1. 지방산 생성능을 갖는, 유트렙티엘라 속(Eutreptiella sp.)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는 유트렙티엘라 김나스티카(Eutreptiella gymnastica)KCTC 15553BP 균주인,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팔미트산(C16:0), 헥사데카테트라에노익산(C16:4), 및 올레인산(C18: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C16 내지 C18의 지방산; 및 팔미트산(C16:0), 헥사데카테트라에노익산(C16:4), 및 올레인산(C18: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4. 지방산 생성능을 갖는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로부터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생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는 유트렙티엘라 김나스티카(Eutreptiella gymnastica)KCTC 15553BP 균주인, 지방산의 생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팔미트산(C16:0), 헥사데카테트라에노익산(C16:4), 및 올레인산(C18: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C16 내지 C18의 지방산; 및 팔미트산(C16:0), 헥사데카테트라에노익산(C16:4) 및 올레인산(C18: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지방산의 생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총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45 중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지방산의 생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균주를 포함하는 배양액으로부터 원심분리 공정을 통해 배지 성분이 제거된 바이오매스를 수확하는 단계;
    수확된 바이오매스를 건조한 후 아세틸클로라이드 및 메탄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액을 첨가하여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지방산을 지방산 메틸에스터(FAME)형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환시키는 단계의 결과물에 노르말헥산을 첨가하여 지방산 메틸에스터를 노르말헥산 층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지방산의 생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은 60 내지 90℃에서 30분 내지 12 시간 동안 수행되는, 지방산의 생산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산 촉매, 알코올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지방산의 생산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펜탄, 헥산, 헵탄, 사이클로 헥산, 톨루엔,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틸클로라이드, 메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탄올,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지방산의 생산방법.
PCT/KR2023/012614 2022-08-26 2023-08-25 신규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지방산의 생산방법 WO202404373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664A KR20240029348A (ko) 2022-08-26 2022-08-26 신규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지방산의 생산방법
KR10-2022-0107664 2022-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3739A1 true WO2024043739A1 (ko) 2024-02-29

Family

ID=9001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2614 WO2024043739A1 (ko) 2022-08-26 2023-08-25 신규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지방산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9348A (ko)
WO (1) WO202404373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6067A (ja) * 2008-04-02 2011-05-26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Δ4デサチュラーゼ、および多価不飽和脂肪酸の製造におけるその使用
KR101502355B1 (ko) * 2014-08-20 2015-03-16 주식회사 한울엔지니어링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에 의한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 전환용 지질의 추출 방법
CN112540134A (zh) * 2020-11-02 2021-03-23 暨南大学 一种海洋微藻脂肪酸的提取检测方法
KR20220060761A (ko) * 2020-11-05 2022-05-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글레나 그라실리스 균주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물질의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6067A (ja) * 2008-04-02 2011-05-26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Δ4デサチュラーゼ、および多価不飽和脂肪酸の製造におけるその使用
KR101502355B1 (ko) * 2014-08-20 2015-03-16 주식회사 한울엔지니어링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에 의한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 전환용 지질의 추출 방법
CN112540134A (zh) * 2020-11-02 2021-03-23 暨南大学 一种海洋微藻脂肪酸的提取检测方法
KR20220060761A (ko) * 2020-11-05 2022-05-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글레나 그라실리스 균주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물질의 생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UO RITA C, ZHANG HUAN, STUART JAMES D, PROVATAS ANTHONY A, HANNICK LINDA, LIN SENJIE, , , , , , : "ABUNDANT SYNTHESIS OF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EUTREPTIELLA SP. (EUGLENOZOA) REVEALED BY CHROMATOGRAPHIC AND TRANSCRIPTOMIC ANALYSES 1", JOURNAL OF PHYCOLOGY, PHYCOLOGICAL SOCIETY OF AMERICA , NEW YORK , NY, US, vol. 57, no. 2, 1 April 2021 (2021-04-01), US , pages 577 - 591, XP093142866, ISSN: 0022-3646, DOI: 10.1111/jpy.13105-20-1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348A (ko)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Chang et al. Biodiscovery of new Australian thraustochytrids for production of biodiesel and long-chain omega-3 oils
Lim et al. Isolation and evaluation of oil-producing microalgae from subtropical coastal and brackish waters
JP5608640B2 (ja) ナビクラ属に属する微細藻類、該微細藻類の培養による油分の製造方法、該微細藻類の乾燥藻体、および該微細藻類を培養する工程を有する二酸化炭素固定方法
Lu et al. Heterotrophic growth and nutrient productivities of Tetraselmis chuii using glucose as a carbon source under different C/N ratios
Lin et al. Isolation of a novel strain of Monoraphidium sp. and characterization of its potential for α-linolenic acid and biodiesel production
Palanisamy et al. Production of lipids by Chaetoceros affinis in media based on palm oil mill effluent
Sharmin et al. Growth, fatty acid, and lipid composition of marine microalgae Skeletonema costatum available in Bangladesh coast: consideration as biodiesel feedstock
Paramasivam et al. Biomass and lipid production from indigenous Nannochloropsis sp. by employing stress factors for improved biodiesel production
WO2014109438A1 (ko) 북극 해양에서 분리한 전분 및 지질 고생산 미세조류 클로렐라 세포주 및 이의 용도
WO2015174588A1 (ko) 감마선 조사에 의해 바이오매스, 전분 및 지질 함량이 증진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레인하드티 변이체 및 이의 용도
RU2603748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ригодног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двигателе сложного метилового эфира жирных кислот
Ahiahonu et al. Bioprospecting wild South African microalgae as a potential third-generation biofuel feedstock, biological carbon-capture agent and for nutraceutical applications
Trejo et al. Explo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 in cyanobacteria for a wide range of algae-based biofuels
KR101424852B1 (ko)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클로렐라 불가리스 cv-16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Indrayani et al. Growth, biomass and lipid productivity of a newly isolated tropical marine diatom, Skeletonema sp. UHO29,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ies
WO2024043739A1 (ko) 신규한 유트렙티엘라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지방산의 생산방법
Tran et al. Evaluating the potential use of myxomycetes as a source of lipids for biodiesel production
Mansa et al. Comparative studies of cell growth, total lipid and methyl palmitate of Ankistrodesmus sp. in phototrophic, mixotrophic and heterotrophic cultures for biodiesel production
Estudillo-del Castillo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lipid profiles of some tropical microalgae: An assessment of their potential as biofuel source
KR101839411B1 (ko)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을 고농도로 포함한 바이오오일 생산 미세조류인 파라클로렐라 속 ksn1 균주 및 이의 용도
Hariram et al. Scenedesmus obliquus and Chlorella vulgaris–A Prospective Algal Fuel Source
Eshak et al. Isochrysis maritima billard and gayral isolated from penang national park coastal waters as a potential microalgae for aquaculture
KR102455445B1 (ko) 신규한 미세조류 에프레니움 보라튬 mabiklp88 및 그 용도
WO2019078398A2 (ko)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및 고염 조건에서 지질 생산성 및 세포 생장률이 우수한 클로렐라 속 abc-001 균주 및 이의 용도
Ungwiwatkul et al. Study on the Potential for Biodiesel Production of Microalgal Consortia from Brackish Water Environment in Rayong Province, Thai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577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