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34939A1 -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34939A1
WO2024034939A1 PCT/KR2023/011044 KR2023011044W WO2024034939A1 WO 2024034939 A1 WO2024034939 A1 WO 2024034939A1 KR 2023011044 W KR2023011044 W KR 2023011044W WO 2024034939 A1 WO2024034939 A1 WO 20240349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oil
circulation line
compressor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10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주영
김건량
이동원
이헌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9984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2147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9983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21471A/ko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349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349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that has noise attenuation and oil separation functions.
  •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moves to a heat exchanger connected through a refrigerant line.
  • This flow of refrigerant generates large flow noise due to pressure changes, speeds, phase changes, etc.
  • a muffler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line connecting the compressor and the heat exchanger to attenuate the vibration or nois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contains a small amount of oil used i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 a typical compressor is equipped with an oil separator that separates and discharges oil when discharging refrigerant, but its function is limited. Therefore, with continuous operation, oil shortage problems may occur within the compressor, which causes the performance of the compressor to deteriorate and durability to decrease.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that can not only reduce noise but also efficiently separate and recover the oil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It is done.
  •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each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and includes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and discharges the refrigerant, an evaporator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ai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compressor, and an evaporator install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said
  • a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n outdoor heat exchanger that exchanges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and outdoor air, and an expansion means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at the inlet side of the evaporator to expand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or,
  • a muffler is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at the outlet side of the compressor to attenuate nois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an oil circulation line is installed to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 the muffler and the compressor.
  • the muffler separates the oil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discharges only the oil-separated refrigerant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at the outlet of the muffler, and discharges the separated oil through the oil circulation line. It may be configured to circulate the oil by discharging it to the compressor.
  • the muffler ha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up and down and has a funnel-shaped structure with a cross-sectional area that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 the muffler is capable of separating the refrigerant and the oil using a centrifugal method by spirally rotating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there is.
  • the muffl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a refrigerant inl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llowing oil-containing refrigerant to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from the outside, and a refrigerant inle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separated from the oil in the internal space. It may include a refrigerant outle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from the main body, and an oil outle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or discharging the oil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in the internal space from the main body.
  • the main body includes a cylindrical upper chamber and a funnel-shaped lower chamber, the refrigerant inlet is provided on a side of the upper chamber, the refrigerant outle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and the oil outlet is provided in the lower chamber. It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center of.
  • the refrigerant inlet is connected to a centrifugal separation guide pipe provided by extending from the side into the internal space, and the centrifugal separation guide pipe has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chamber and the upper section at the tip of the straight portion. It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that is bent in a curve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ab.
  •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collection chamber partially protruding upwar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and the collection chamber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chamber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outlet.
  • the lower chamber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at guides the oil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to rotate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guide the oil outlet.
  • a plurality of the guide protrusions may be arrang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 the guide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il and exten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hamber toward the oil outlet at the lower side.
  • the oil outlet may be equipped with a filt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parated oil.
  • the oil circulation line may be connected to 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at the inlet side of the compressor.
  • the compressor includes a low-pressure section at the front where the refrigerant flows, a high-pressure section at the rear where the refrigerant and the oil are discharged, and an intermediate pressure section between the low-pressure section and the high-pressure section, and the oil circulation line is connected to the low-pressure section. It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intermediate pressure sections.
  • the oil circulation lin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 An expansion valve or orifice may be installed on the oil circulation line.
  • the nois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can be attenuated, and the oil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can be efficiently separated and recovered, and the durability of the compressor can be improved by circulating it back to the compressor.
  •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conditioner mode in the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of Figure 1.
  •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pump mode in the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of FIG. 1.
  •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uffler and the oil circulation line in the vehicle heat management system of Figure 1.
  •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uffler and the oil circulation line in the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of Figure 1.
  •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uff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ffler of Figure 6.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 along line I-I in Figure 7.
  • 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uff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ffler of Figure 9.
  •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ff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ffler of Figure 11.
  • one component in the case where one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another component, (on or under) includes both components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that are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components. Additionally,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conditioner mode in the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in FIG. 1
  •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in FIG. 1. This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heat pump mode.
  •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uffler and the oil circulation line in the vehicle heat management system of FIG. 1
  • FIG. 5 is a configuration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uffler and the oil circulation line in the vehicle heat management system of FIG. 1. It is also a degree.
  • the thermal management system 10 for a vehicle includes a compressor 100, an indoor heat exchanger 110, an expansion means 120,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130 on 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 the evaporator 140 is sequentially connected, and can be applied to electric vehicles or hybrid vehicle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it to gener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 R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 bypass line (RB) is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to bypass the expansion means 120 and the evaporator 140, and a direction change valve 160 is installed at a branch point of the bypass line (RB). Can be installed.
  •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flows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the expansion means 120, the evaporator 140, and the compressor 100. It can be configured to cycle sequentially.
  •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functions as a condenser
  • the evaporator 140 functions as an evaporator.
  •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functions as a condenser like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flows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the external expansion means 125,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the bypass line (RB), and the compressor ( 100) may be configured to cycle sequentially.
  •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functions as a condenser
  •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functions as an evaporator.
  • the direction of refrigerant circulation is the same in air conditioner mode and heat pump mode, so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can be shared, preventing refrigerant stagnation that occurs when the refrigerant does not flow, and simplifying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You can.
  • the compressor 100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an engine or motor, compresses the introduced refrigerant, and then discharges it in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state.
  • This compressor 100 compress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and introduced from the evaporator 140 in the air conditioner mode and supplies it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in the heat pump mode,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the bypass line (RB) is compressed and suppli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is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50 and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on the outlet side of the compressor 100 to exchange air flowing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50 and the compressor 100. It is configured to heat exchange the discharged refrigerant.
  • R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 the evaporator 140 is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50, and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on the inlet side of the compressor 100 to transfer air flowing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50 to the compressor 100. It is configured to heat exchange the flowing refrigerant.
  • R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the evaporator 1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50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 the evaporator 14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may be installed sequentially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flow direction with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50.
  •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xpansion means 120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140, and at this time, the air flowing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50 through a blower (not shown)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140), it exchanges heat with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inside the evaporator 140 and is converted into cold air, which is then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to cool it.
  •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is suppli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the air flowing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50 through a blower (not shown) is suppli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 a blower (not shown)
  •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20) it exchanges heat with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in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20) and is converted into warm air, which is then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to heat it.
  • a temperature control door 155 that controls the amount of air bypass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can be installed.
  • an electric heater 115 may be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50 adjacent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to improve heating performance.
  • electrically heated heater 115 may include a PCT heater.
  •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is install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50 and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to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and outdoor air.
  •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engine room, and a fan 135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to forcibly blow outside air towar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 the external expansion means 125 is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and supplies supply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mode or heat pump mode.
  • the refrigerant is selectively expanded.
  • the bypass line (RB) is installed to connect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on the inlet side of the expansion means 120 and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on the outlet side of the evaporator 140, and circulates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 the refrigerant is allowed to selectively bypass the expansion means 120 and the evaporator 140.
  • a direction change valve 160 is installed at the branch point of the bypass line (RB) and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and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depending on the air conditioner mode or heat pump mode flows through the bypass line ( RB) or the expansion means 120 changes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 a heat supply means 180 may be installed on the bypass line RB to supply heat to the refrigerant flowing along the bypass line RB.
  • the heat supply means 180 includes a refrigerant heat exchange unit 181a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bypass line (RB) flows, and a refrigerant heat exchange unit so as to supply the waste heat of the 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190 to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bypass line (RB).
  • a refrigerant heat exchange unit 181a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bypass line (RB) flows
  • a refrigerant heat exchange unit so as to supply the waste heat of the 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190 to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bypass line (RB).
  • This can be achieved by installing a water-cooled heat exchanger 181 on one side of (181a) to enable heat exchange and including a coolant heat exchanger 181b through which coolant circulating through the 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190 flows.
  • the coolant circulating through the coolant heat exchange unit 181b supplies the waste heat of the 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190 to the refrigerant circulating through the refrigerant heat exchange section 181a on the bypass line (RB), and the 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 Heat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recovering the heat source from waste heat (190).
  • the vehicle electrical equipment 190 may typically include a motor, an inverter, etc.
  • An accumulator 170 may be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at the inlet side of the compressor 100.
  • the accumulator 170 separates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eous refrigerant among the refrigerants supplied to the compressor 100 so that only the gaseous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compressor 100.
  • a muffler 200 may be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connecting the compressor 10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 This muffler 200 may be provided to attenuate noise generated by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and to separate oil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generates significantly large flow noise due to complex factors such as phase change, pressure change, and speed change.
  •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contains a small amount of oil.
  • an oil separator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outlet side to separate and discharge oil when discharging refrigerant, but its function is limited. Therefore, with continuous operation, an oil shortage problem may occur within the compressor 100, which causes the performance of the compressor 100 to deteriorate and durability to decrease.
  • the muffler 200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at the outlet side of the compressor 100 to attenuate such noise, and may also be provided to separate oil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 R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 an oil circulation line (RC) may be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to connect the muffler 200 and the compressor 100.
  • This oil circulation line can be installed to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00, and is a drain loop circuit that sends the oil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in the muffler 200 back to the compressor 100 to ensure circulation. can be implemented.
  • the muffler 200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on the outlet side of the compressor 100, attenuates the nois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100, and separates the oil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
  • the refrigerant in the gaseous state from which the oil has been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and the separated oil is discharged to the compressor 100 through the oil circulation line (RC) to achieve oil circulation. It is configured to circulate oil in connection with the line (RC).
  • the muffler 200 is cylindrical extending up and down and may have a funnel-shaped structure whos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dditionally,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may be rotated in a spiral manner to separate the refrigerant and oil using a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 the muffler 200 has a refrigerant inlet 201 on the upper sid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flows and can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on the outlet side of the compressor 100.
  • a refrigerant outlet 20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rough which the oil-separated refrigerant is discharg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at the inlet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 the gaseous refrigerant which rotates in a spiral manne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uffler 200 and is centrifuged from the oil,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202 at the top and goes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along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It flows.
  • R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 the muffler 200 has an oil outlet 203 at the bottom center that discharges separated oil and can be connected to the oil circulation line (RC).
  • RC oil circulation line
  • the oil circulation line (RC)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on the inlet side of the compressor 100, and thus the muffler 20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00 through the oil circulation line (RC). can be indirectly connected to.
  • the oil with hig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is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by centrifugation and settles at the bottom of the muffler 200, and is deposited through the oil outlet ( 203), flows along the oil circulation line (RC) to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at the inlet side of the compressor 100, and then can be returned to the compressor 100 together with the refrigerant.
  • the oil circulation line (RC) may be configur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 R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 the diameter of the oil circulation line (RC)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to prevent cooling performance from deteriorating.
  • An expansion valve 250 may be installed on the oil circulation line (RC).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n orifice instead of the expansion valve 250.
  • the oil circulation line (RC) may b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00, and accordingly, the muffler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00 through the oil circulation line (RC).
  • the compressor 100 has a low-pressure section (A1) at the front where refrigerant flows in, a high-pressure section (A3) at the rear where refrigerant and oil are discharged, and an intermediate pressure section (A2) between the low-pressure section (A1) and the high-pressure section (A3).
  • A1 low-pressure section
  • A3 high-pressure section
  • A2 intermediate pressure section between the low-pressure section (A1) and the high-pressure section (A3).
  • the oil circulation line (RC) may be connected to either the low pressure section (A1) or the medium pressure section (A2) of the compressor 100.
  • the oil circulation line (RC) is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low pressure section (A1) of the compressor 100, bu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oil flows smoothly into the compressor 100 due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acting within the oil circulation line (RC) and is reinjected into the compressor 100.
  • the durability of the compressor 100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oil shortage problems from occurring within the compressor 100.
  •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uff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ffler of FIG. 6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I-I in FIG. 7.
  • the muffler 200 may include a main body 210, a refrigerant inlet 201, a refrigerant outlet 202, and an oil outlet 203.
  • the main body 210 is a housing member having an internal space 210a, and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 the oil and the refrigerant in the internal space 210a when refrigerant containing oil flows in.
  • the main body 210 may include an upper chamber 211 and a lower chamber 212 disposed below the upper chamber 211.
  • the upper chamber 211 may be entire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ower chamber 212 may be entirely formed in a funnel shape. Additionally, the lower end of the upper chamber 211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hamber 212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form a single main body 210.
  • the main body 210 may have an overall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 the refrigerant inlet 201 may allow refrigerant containing oil to flow from the outside into the internal space 210a of the main body 210.
  • the refrigerant inlet 20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upper chamber 211. This refrigerant inlet 201 may b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00 through 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 R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may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210a of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201 along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in a state containing oil.
  • R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 the refrigerant inlet 201 may be connected to a centrifugal separation guide pipe 220 that extends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210 to the internal space 210a.
  • the centrifugal separation guide tube 220 has a straight portion 221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chamber 211 and a curve that is bent from the tip of the straight portion 221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11. It may include part 222.
  • the tip of the curved portion 222 is preferably disposed approximately midway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11 and the central axis C of the upper chamber 211 when viewed from the top. Additionally, the opening 223 provided at the tip of the curved portion 222 may be arranged to fac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11 at an angle.
  • the tip of the curved portion 222 extends too deeply to the central axis of the upper chamber 211, centrifugal force to separate the oil and refrigerant is not sufficiently generated, and it extends too shallowly adjacen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11. If this happen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opening 223 may strongly collide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ausing a problem in that it cannot rotat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oil-containing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centrifugal separation guide pipe 220 rotates and descend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11, and rotates spiral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212, causing the refrigerant and oil to flow together. Can be centrifuged.
  • the lower chamber 212 has a funnel-shaped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bottom, the speed of spiral rota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212 gradually increases, and thus the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increase relatively. This large oil can effectively separate from the refrigerant and settle at the bottom of the lower chamber 212.
  • the refrigerant outlet 202 can discharge the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oil in the internal space 210a from the main body 210.
  • the refrigerant outlet 20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11. This refrigerant outlet 202 may be connect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through 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 R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 the refrigerant outlet 202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11 so that the gaseous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oil can be smoothly discharged.
  • only the refrigerant from which the oil has been separated is suppli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along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A), thereby improving heat dissipation.
  • the oil outlet 203 can discharge the oil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in the internal space 210a from the main body 210.
  • the oil outlet 203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center of the lower chamber 212. This oil outlet 203 may b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00 through an oil circulation line (RC).
  • RC oil circulation line
  • the oil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rotates in a spiral shape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212 and moves downward by gravity to collect. Therefore, for smooth discharge of oil, the oil outlet 203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bottom center of the lower chamber 212.
  • the liquid oil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hamber 212 through collision and spiral rota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is lowered in temperature and flows into the compressor (100) along the oil circulation line (RC) connected to the oil outlet 203. ) can be circulated. Through this, the durability of the compressor 100 can be improved.
  • the oil outlet 203 may be equipped with a filter 230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parated oil.
  • the refrigerant outlet 202 and the oil outlet 203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the same axis. That is, the center of the refrigerant outlet 202 and the center of the oil outlet 203 may be located on the same central axis (C).
  •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refrigerant outlet 202 and the oil outlet 203 is not limited to this,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refrigerant outlet 202 and the oil outlet 203 may be arranged on different axes.
  • FIG. 9 and 10 schematically show a muffl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muffl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9 and 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uffl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 the muffl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9 and 10 is different in that the main body 210 further includes a collection chamber 213.
  • the main body 210 further includes a collection chamber 213.
  • Figure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uff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ffler of Figure 9.
  • the main body 210 may further include a collection chamber 213 provided in the upper chamber 211.
  • the collection chamber 213 may be provided as a space where gaseous refrigerant separated from oil collects a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hamber 211.
  • the collection chamber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chamber 211, and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partially protrudes upwar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11.
  • a refrigerant outlet 202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chamber 213.
  • This collection chamber 213 allows the gaseous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oil to collect in the upper central area of the upper chamber 211 and discharge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202, thereby ensuring smooth and efficient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You can.
  • 11 and 12 schematically show a muffl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muffl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1 and 1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uffl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 the muffl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1 and 12 is different in that the main body 210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240.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ffler for a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ffler of FIG. 11.
  • the lower chamber 12 of the main body 21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240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 the guide protrusions 240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212,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 the guide protrusion 240 guides the oil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through centrifugation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10 to rotate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212 and toward the oil outlet 203 below by gravity. You can.
  • These guide protrusions 240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il,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hamber 212 toward the lower oil outlet 203.
  • noise caused by the flow of refrigerant can be attenu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oil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is efficiently separated through centrifugation, so that only the refrigerant is transferr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 110), the amount of heat dissipation can be improved.
  • the durability of the compressor 100 can be improved by circulating the separated oil back into the compressor 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머플러로 유입시켜 냉매의 소음을 감쇄하고, 아울러 냉매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여 냉매만 실내열교환기로 흐르도록 하고, 분리된 오일은 다시 압축기로 순환시켜 압축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 감쇄와 오일 분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서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냉매라인을 통해 연결된 열교환기로 이동한다. 이러한 냉매의 흐름은 압력변화, 속도, 상변화 등으로 인해 큰 유동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라인에 머플러를 연결하여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진동 또는 소음을 감쇄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에는 소량이지만 압축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오일이 함유되어 토출된다.
통상의 압축기에는 냉매를 배출할 때에 오일을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오일 분리기가 설치되어 있지만 기능이 제한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운행에 따라 압축기 내에 오일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음을 감쇄함은 물론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에 함유된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냉매순환라인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공조케이스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 상기 증발기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상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냉매순환라인상에는, 상기 압축기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상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소음을 감쇄하도록 하는 머플러와, 상기 머플러와 상기 압축기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오일순환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머플러는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며, 상기 오일이 분리된 냉매만을 상기 머플러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을 통해 배출하고, 상기 분리된 오일을 상기 오일순환라인을 통해서 상기 압축기로 배출하여 상기 오일이 순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머플러는 상하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깔때기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냉매를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원심분리 방식으로 상기 냉매와 상기 오일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머플러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오일이 함유된 냉매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냉매 유입구, 상기 본체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오일과 분리된 상기 냉매를 상기 본체에서 배출시키는 냉매 배출구, 및 상기 본체의 다른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냉매와 분리된 상기 오일을 상기 본체에서 배출시키는 오일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원통 형상의 상부실과 깔때기 형상의 하부실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 유입구는 상기 상부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냉매 배출구는 상기 상부실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오일 배출구는 상기 하부실의 하단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유입구는 상기 측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원심분리 유도관과 연결되며, 상기 원심분리 유도관은 상기 상부실의 중심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선단에서 상기 상부실의 내주면을 향해 곡선을 그리며 절곡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실의 상면 중앙에 상부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포집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실은 상기 상부실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가지며, 상기 냉매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은 내주면에 상기 냉매와 분리된 상기 오일이 상기 내주면을 따라서 회전하며 상기 오일 배출구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복수개가 상기 내주면을 따라서 배열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오일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곡선형태로 상기 하부실의 상측에서 하측의 상기 오일 배출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배출구에는 상기 분리된 오일 내에 함유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오일순환라인은 상기 압축기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선단의 저압구간, 상기 냉매와 상기 오일이 배출되는 후단의 고압구간, 상기 저압구간과 상기 고압구간 사이의 중간압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순환라인은 상기 저압구간과 상기 중간압구간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오일순환라인은 지름의 크기가 상기 냉매순환라인의 지름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순환라인상에는 팽창밸브 또는 오리피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머플러는 상기 오일이 분리된 냉매만을 상기 냉매순환라인을 통해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소음을 감쇄함은 물론 냉매에 함유된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고, 이를 다시 압축기로 순환시킴으로써 압축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서 에어컨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서 히트펌프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서 머플러와 오일순환라인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서 머플러와 오일순환라인의 다른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I-I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서 에어컨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서 히트펌프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서 머플러와 오일순환라인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1의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서 머플러와 오일순환라인의 다른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10)은 냉매순환라인(RA)상에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110), 팽창수단(120), 실외열교환기(130), 증발기(14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등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냉매순환라인(RA)상에는 팽창수단(120)과 증발기(140)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라인(RB)이 설치되며, 바이패스라인(RB)의 분기지점에는 방향전환밸브(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컨 모드시에는, 도 2와 같이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가 실내열교환기(110), 실외열교환기(130), 팽창수단(120), 증발기(140), 압축기(100)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실내열교환기(110)는 응축기 역할을 수행하고, 증발기(140)는 증발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130)는 실내열교환기(110)와 같은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된다.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가 실내열교환기(110), 외부팽창수단(125), 실외열교환기(130), 바이패스라인(RB), 압축기(100)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실내열교환기(110)는 응축기 역할을 수행하고, 실외열교환기(130)는 증발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에어컨 모드 및 히트펌프 모드시 냉매 순환방향이 동일하여 냉매순환라인(RA)을 공용화할 수 있고, 냉매가 흐르지 않을 때 발생하는 냉매 정체현상을 방지하며, 냉매순환라인(RA)도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10)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압축기(100)는 엔진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유입된 냉매를 압축한 후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기(100)는, 에어컨 모드시 증발기(140)측에서 배출되어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실내열교환기(110)측으로 공급하게 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실외열교환기(130)측에서 배출되어 바이패스라인(RB)을 통과하여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실내열교환기(110)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실내열교환기(110)는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압축기(10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A)과 연결되어 공조케이스(15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증발기(140)는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압축기(100)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RA)과 연결되어 공조케이스(15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압축기(100)로 유동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실내열교환기(110)와 증발기(140)는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조케이스(150) 내의 공기유동방향 상류측에서부터 증발기(140)와 실내열교환기(110)가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컨 모드시에는, 팽창수단(120)에서 배출된 저온 저압의 냉매가 증발기(140)로 공급되고, 이때 블로어(미도시)를 통해 공조케이스(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증발기(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발기(140) 내부의 저온 저압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풍으로 바뀐 뒤, 차량 실내로 토출되어 냉방하게 된다.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실내열교환기(110)로 공급되고, 블로어(미도시)를 통해 공조케이스(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실내열교환기(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실내열교환기(20) 내부의 고온 고압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온풍으로 바뀐 뒤, 차량 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된다.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서 증발기(140)와 실내열교환기(110)의 사이에는, 실내열교환기(110)를 바이패스하는 공기의 양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는 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내열교환기(110)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전기 가열식 히터(11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기 가열식 히터(115)는 PCT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30)는 공조케이스(150)의 외부에 설치되며, 냉매순환라인(RA)과 연결되어 냉매순환라인(RA)을 순환하는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게 된다.
실시예에서, 실외열교환기(130)는 차량 엔진룸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외기를 실외열교환기(130)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팬(135)이 구비될 수 있다.
외부팽창수단(125)은 실내열교환기(110)와 실외열교환기(130) 사이의 냉매순환라인(RA)상에 설치되며, 에어컨 모드 또는 히트펌프 모드에 따라 실외열교환기(130)측으로 공급되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팽창시키게 된다.
바이패스라인(RB)은 팽창수단(120)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RA)과 증발기(14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A)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냉매순환라인(RA)을 순환하는 냉매가 팽창수단(120) 및 증발기(140)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하도록 한다.
바이패스라인(RB)과 냉매순환라인(RA)의 분기지점에는 방향전환밸브(160)가 설치되며, 에어컨 모드 또는 히트펌프 모드에 따라 실외열교환기(130)를 통과한 냉매가 바이패스라인(RB) 또는 팽창수단(120)으로 흐르도록 냉매의 흐름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바이패스라인(RB)상에는 바이패스라인(RB)을 따라서 흐르는 냉매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수단(180)이 설치될 수 있다.
열공급수단(180)은 차량 전장품(190)의 폐열을 바이패스라인(RB)을 흐르는 냉매에 공급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라인(RB)을 흐르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열교환부(181a), 냉매 열교환부(181a)의 일측에 열교환 가능하게 구비되어 차량 전장품(190)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수 열교환부(181b)를 포함하는 수냉식 열교환기(181)를 설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히트펌프 모드시 냉각수 열교환부(181b)를 순환하는 냉각수는 차량 전장품(190)의 폐열을 바이패스라인(RB)상의 냉매 열교환부(181a)를 순환하는 냉매에 공급하게 되며, 차량 전장품(190)의 폐열로부터 열원을 회수함으로써 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 전장품(190)으로는 대표적으로 모터, 인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압축기(100)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RA)상에는 어큐뮬레이터(170)가 설치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170)는 압축기(100)로 공급되는 냉매 중에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여 압축기(100)로 기상 냉매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압축기(100)와 실내열교환기(110)를 연결하는 냉매순환라인(RA)상에는 머플러(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머플러(200)는 압축기(100)에서 배출되는 냉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하고, 냉매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압축기(100)에서 배출되는 냉매는 상변화, 압변화, 속도변화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상당히 큰 유동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압축기(100)에서 배출되는 냉매에는 소량의 오일이 함유된 상태로 배출되게 된다. 통상의 압축기(100)에는 냉매를 배출할 때 오일을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출구측 내부에 오일 분리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지만 기능이 제한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운행에 따라 압축기(100) 내에 오일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압축기(100)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머플러(200)는 이러한 소음을 감쇄하기 위해 압축기(10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A)에 설치되며, 아울러 냉매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냉매순환라인(RA)상에는 머플러(200)와 압축기(100)를 연결하도록 오일순환라인(RC)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순환라인(RC)은 압축기(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머플러(200)에서 냉매와 분리된 오일을 다시 압축기(100)로 보내어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레인 루프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200)는 압축기(10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A)에 설치되어 압축기(10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의 소음을 감쇄하고, 냉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한다. 그리고, 오일이 분리된 기상 상태의 냉매만을 냉매순환라인(RA)을 통해 실내열교환기(110)로 배출하고, 분리된 오일을 오일순환라인(RC)을 통해서 압축기(100)로 배출함으로써 오일순환라인(RC)과 연계하여 오일이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머플러(200)는 상하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깔때기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냉매를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원심분리 방식으로 냉매와 오일을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머플러(200)는 측면 상부에 압축기(10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201)를 구비하여 압축기(10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A)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면에 오일이 분리된 냉매를 배출하는 냉매 배출구(202)를 구비하여 실내열교환기(110)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RA)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머플러(200)의 내부공간에서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오일과 원심분리된 기상 상태의 냉매는 상측의 냉매 배출구(202)를 통해 배출되어 냉매순환라인(RA)을 따라 실내열교환기(110)로 흐르게 된다. 이 경우, 기상 상태의 냉매만이 실내열교환기(110)로 공급되게 되므로 방열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머플러(200)는 하단 중심에 분리된 오일을 배출하는 오일 배출구(203)를 구비하여 오일순환라인(RC)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오일순환라인(RC)은 압축기(100)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RA)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머플러(200)는 오일순환라인(RC)을 통해서 압축기(100)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머플러(200)의 상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냉매가 내부공간에서 나선형으로 회전함에 따라 점도와 비중이 큰 오일은 원심분리 방식으로 냉매에서 분리되어 머플러(200)의 하단으로 침전되며, 오일 배출구(203)를 통해서 배출되어 오일순환라인(RC)을 따라서 압축기(100)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RA)으로 흐른 후 냉매와 함께 다시 압축기(100)로 회수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순환라인(RC)은 지름의 크기가 냉매순환라인(RA)의 지름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오일순환라인(RC)의 지름의 크기가 이러한 오일순환라인(RC)이 연결되는 냉매순환라인(RA)의 지름의 크기보다 크게 되면 압축기(100)로 회수되는 냉매의 유량이 많아지게 되어 냉방 성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냉매와 오일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오일순환라인(RC)을 통해 압축기(100)로 회수되는 오일에는 소량이지만 냉매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회수되는 냉매의 유량 증가는 냉방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오일순환라인(RC)의 지름의 크기를 냉매순환라인(RA)의 지름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함으로써 냉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오일순환라인(RC)상에는 팽창밸브(25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팽창밸브(250) 대신 오리피스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서와 같이, 오일순환라인(RC)은 압축기(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머플러(200)는 오일순환라인(RC)을 통해서 압축기(1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00)는 냉매가 유입되는 선단의 저압구간(A1), 냉매와 오일이 배출되는 후단의 고압구간(A3), 저압구간(A1)과 고압구간(A3) 사이의 중간압구간(A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일순환라인(RC)은 압축기(100)의 저압구간(A1)과 중간압구간(A2)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오일순환라인(RC)이 압축기(100)의 저압구간(A1)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압축기(100)의 중간압구간(A2)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오일순환라인(RC) 내에 작용하는 차압에 의해 오일이 압축기(100)로 원활하게 유동하여 압축기(100) 내로 재주입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압축기(100) 내에 오일부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머플러(2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I-I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200)는 본체(210), 냉매 유입구(201), 냉매 배출구(202), 오일 배출구(2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내부공간(210a)을 가지는 하우징 부재로서, 오일이 함유된 냉매가 유입되면 내부공간(210a)에서 오일과 냉매를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210)는 상부실(211) 및 상부실(21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실(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실(211)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실(212)은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실(211)의 하단과 하부실(212)의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단일의 본체(21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본체(210)는 전체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냉매 유입구(201)는 외부로부터 오일이 함유된 냉매를 본체(210)의 내부공간(210a)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냉매 유입구(201)는 본체(21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상부실(211)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매 유입구(201)는 냉매순환라인(RA)을 통해 압축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0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오일을 함유한 상태로 냉매순환라인(RA)을 따라 냉매 유입구(201)를 통해서 본체(210)의 내부공간(210a)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냉매 유입구(201)는 본체(210)의 측면에서 내부공간(210a)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원심분리 유도관(220)과 연결될 수 있다.
원심분리 유도관(220)은 상부실(211)의 중심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직선부(221) 및 직선부(221)의 선단에서 상부실(211)의 내주면을 향해 곡선을 그리며 절곡되는 곡선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부(222)의 선단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대략 상부실(211)의 내주면과 상부실(211)의 중심축(C) 사이의 중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곡선부(222) 선단에 구비되는 개구(223)는 상부실(211)의 내주면과 경사지게 비스듬히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곡선부(222)의 선단이 상부실(211)의 중심축까지 지나치게 깊게 연장되게 되면 오일과 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원심력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게 되고, 상부실(211)의 내주면에 인접하여 지나치게 얕게 연장되게 되면 개구(223)에서 토출된 냉매가 내주면에 강하게 충돌하여 내주면을 따라서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원심분리 유도관(220)을 통해서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오일 함유 냉매는 상부실(21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하강하고, 하부실(212)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냉매와 오일이 원심분리될 수 있다.
특히, 하부실(212)이 단면적이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깔때기 형상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하부실(212)의 내주면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속도는 점차 빨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점도와 비중이 큰 오일은 냉매와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하부실(212)의 하단에 침전될 수 있다.
냉매 배출구(202)는 내부공간(210a)에서 오일과 분리된 냉매를 본체(210)에서 배출시킬 수 있다.
냉매 배출구(202)는 본체(210)의 타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상부실(21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매 배출구(202)는 냉매순환라인(RA)을 통해 실내열교환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오일과 분리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냉매 배출구(202)는 상부실(211)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일이 분리된 냉매만이 냉매순환라인(RA)을 따라서 실내열교환기(110)로 공급되도록 하여 방열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오일 배출구(203)는 내부공간(210a)에서 냉매와 분리된 오일을 본체(210)에서 배출시킬 수 있다.
오일 배출구(203)는 본체(210)의 다른 타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하부실(212)의 하단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 배출구(203)는 오일순환라인(RC)을 통해 압축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냉매와 분리된 오일은 하부실(212)의 내주면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모이게 된다. 따라서, 오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오일 배출구(203)는 하부실(212)의 하단 중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10)의 내부면과의 충돌 및 나선형 회전을 통해 하부실(212) 하단에 모인 액상의 오일은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오일 배출구(203)와 연결된 오일순환라인(RC)을 따라서 압축기(100)로 순환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압축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오일 배출구(203)에는 분리된 오일 내에 함유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23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냉매 배출구(202)와 오일 배출구(203)는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냉매 배출구(202)의 중심과 오일 배출구(203)의 중심은 동일한 중심축(C) 선상에 놓일 수 있다.
물론, 냉매 배출구(202)와 오일 배출구(203)의 배치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 냉매 배출구(202)와 오일 배출구(203)는 서로 상이한 축선상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200')는 도 6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200)와 기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200')의 경우 본체(210)가 포집실(213)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210)는 상부실(211)에 구비되는 포집실(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집실(213)은 오일과 분리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상부실(211)의 상부에서 모이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포집실은 상부실(211)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가지며, 상부실(211)의 상면 중앙에 상부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포집실(213)의 상면에는 냉매 배출구(20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포집실(213)은 오일과 분리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상부실(211)의 상부 중앙영역에 모이도록 하여 냉매 배출구(202)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의 배출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200'')는 도 9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200')와 기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200'')의 경우 본체(210)가 가이드돌기(240)를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열관리 시스템용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210)의 하부실(12)은 내주면에 가이드돌기(24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240)는 하부실(212)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가 내주면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40)는 본체(210)의 내부공간에서 원심분리를 통해서 냉매와 분리된 오일이 하부실(212)의 내주면을 따라서 회전하며 중력에 의해 아래쪽의 오일 배출구(203)를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돌기(240)는 오일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곡선형태로 하부실(212)의 상측에서 하측의 오일 배출구(203)를 향하여 연장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의 유동에 따른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압축기(100)에서 배출되는 냉매에 함유된 오일을 원심분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냉매만을 실내열교환기(110)로 보냄으로써 방열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한 오일은 압축기(100)로 다시 순환시킴으로써 압축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냉매순환라인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공조케이스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 상기 증발기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상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냉매순환라인상에는, 상기 압축기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상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소음을 감쇄하도록 하는 머플러와, 상기 머플러와 상기 압축기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오일순환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머플러는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며, 상기 오일이 분리된 냉매만을 상기 머플러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을 통해 배출하고, 상기 분리된 오일을 상기 오일순환라인을 통해서 상기 압축기로 배출하여 상기 오일이 순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는 상하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깔때기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냉매를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원심분리 방식으로 상기 냉매와 상기 오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오일이 함유된 냉매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냉매 유입구;
    상기 본체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오일과 분리된 상기 냉매를 상기 본체에서 배출시키는 냉매 배출구; 및
    상기 본체의 다른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냉매와 분리된 상기 오일을 상기 본체에서 배출시키는 오일 배출구;
    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 형상의 상부실과 깔때기 형상의 하부실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 유입구는 상기 상부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냉매 배출구는 상기 상부실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오일 배출구는 상기 하부실의 하단 중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입구는 상기 측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원심분리 유도관과 연결되며,
    상기 원심분리 유도관은 상기 상부실의 중심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선단에서 상기 상부실의 내주면을 향해 곡선을 그리며 절곡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실의 상면 중앙에 상부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포집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실은 상기 상부실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가지며, 상기 냉매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실은 내주면에 상기 냉매와 분리된 상기 오일이 상기 내주면을 따라서 회전하며 상기 오일 배출구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복수개가 상기 내주면을 따라서 배열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오일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곡선형태로 상기 하부실의 상측에서 하측의 상기 오일 배출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배출구에는 상기 분리된 오일 내에 함유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순환라인은 상기 압축기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순환라인은 지름의 크기가 상기 냉매순환라인의 지름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선단의 저압구간, 상기 냉매와 상기 오일이 배출되는 후단의 고압구간, 상기 저압구간과 상기 고압구간 사이의 중간압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순환라인은 상기 저압구간과 상기 중간압구간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순환라인상에는 팽창밸브 또는 오리피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머플러는 상기 오일이 분리된 냉매만을 상기 냉매순환라인을 통해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PCT/KR2023/011044 2022-08-10 2023-07-28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WO202403493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848 2022-08-10
KR1020220099848A KR20240021475A (ko) 2022-08-10 2022-08-10 차량 열관리 시스템용 머플러
KR1020220099833A KR20240021471A (ko) 2022-08-10 2022-08-10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KR10-2022-0099833 2022-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4939A1 true WO2024034939A1 (ko) 2024-02-15

Family

ID=8985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1044 WO2024034939A1 (ko) 2022-08-10 2023-07-28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3493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9004A (ja) * 2007-12-05 2009-06-25 Denso Corp アキュムレータ
WO2010097874A1 (ja) * 2009-02-27 2010-09-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2017020768A (ja) * 2015-07-14 2017-01-2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遠心分離式オイルセパ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CN110465139A (zh) * 2018-05-12 2019-11-19 汤秉辉 油气分离装置
JP2020051645A (ja) * 2018-09-25 2020-04-02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消音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9004A (ja) * 2007-12-05 2009-06-25 Denso Corp アキュムレータ
WO2010097874A1 (ja) * 2009-02-27 2010-09-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2017020768A (ja) * 2015-07-14 2017-01-2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遠心分離式オイルセパ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CN110465139A (zh) * 2018-05-12 2019-11-19 汤秉辉 油气分离装置
JP2020051645A (ja) * 2018-09-25 2020-04-02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消音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12275A1 (ko)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WO2017126836A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WO2018012818A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WO2018155886A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WO2018105927A1 (ko)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WO2018105928A1 (ko)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WO2021215695A1 (ko) 자동차용 히트 펌프 시스템
WO2019066330A1 (ko) 자동차의 통합 열관리 시스템
WO2017126833A2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WO2016017939A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WO2011108780A1 (ko) 칠러
WO2014175589A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WO2013035908A1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vehicles
WO2013002529A2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2005217A1 (en) Heat pump arrangement with indirect battery heating for battery-operated motor vehicles and method of operating a heat pump arrangement
WO2018016902A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1025426A1 (ko)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circuit for vehicle}
WO2018155871A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WO2024034939A1 (ko)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WO202004587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0013506A1 (ko) 특히 전기 자동차용 콤팩트 열 교환기 유닛 및 공기 조화 모듈
EP3126750A1 (e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0204570A1 (ko)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WO2021101119A1 (en) Air conditioner
WO2021071276A1 (en) Air conditioner and venti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528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