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10310A1 - 녹내장 환자의 섬유성 막용 션트 - Google Patents

녹내장 환자의 섬유성 막용 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10310A1
WO2024010310A1 PCT/KR2023/009331 KR2023009331W WO2024010310A1 WO 2024010310 A1 WO2024010310 A1 WO 2024010310A1 KR 2023009331 W KR2023009331 W KR 2023009331W WO 2024010310 A1 WO2024010310 A1 WO 20240103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unt
support member
filter cloth
main body
fibrous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93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선미
서강문
이송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40103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103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81Apparatus for modifying intraocular pressure, e.g. for glauco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nt for fibrous membranes in glaucoma pati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unt that is mounted on the fibrous encapsulation formed at the surgical site after glaucoma surgery such as trabeculectomy and insertion of an aqueous outflow device, and drains the aqueous humor within the fibrous encapsulation. It's about.
  • Glaucoma is an eye disease in which abnormalities occur in the circulation of aqueous humor, which increases the amount of aqueous humor in the eye and increases intraocular pressure.
  • intraocular pressure rises due to glaucoma pressure on the optic nerve and decreased ocular blood flow can cause degeneration of the optic nerve and retina, resulting in loss of vision or visual field defects, and can be accompanied by extreme pain.
  • glaucoma can be managed through pharmacological and surgical treatment.
  • Pharmacological treatment is performed using drugs that inhibit the production of aqueous humor or increase its discharge.
  • drug treatment is generally administered first, and the purpose of drug treatment is to slow the progression of vision loss due to glaucoma.
  • pharmacological treatmen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relieve the increase in intraocular pressure caused by glaucoma as glaucoma progresses, and the frequency of side effects to the drug (conjunctivitis, uveitis, hypersensitivity to the skin around the eye, etc.) is high.
  • surgical treatment to increase aqueous humor drainage involves diverting the aqueous humor that is not draining from the anterior chamber of the eye to the subconjuctival or subtenon, etc. It is accompanied by surgery to allow absorption through other routes.
  • Surgical treatments include trabeculectomy and insertion of an aqueous outflow device.
  • Trabeculectomy is a surgery to drain the aqueous humor by forming an aqueous humor bypass without inserting a device.
  • aqueous humor outflow device insertion surgery is a surgery to discharge aqueous humor from the anterior chamber 110 by inserting an aqueous humor outflow device 150 including an aqueous humor bypass.
  • One side of the waterproof outflow device 150 may be placed within the anterior chamber 110.
  • One side of the waterproof outflow device 150 may be in the form of a pipe.
  • the aqueous humor of the anterior chamber 110 may flow into one side of the aqueous humor outflow device 150.
  • the direction in which the aqueous humor of the anterior chamber 110 flows into the aqueous humor outflow device 150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F1).
  • the other side of the aqueous humor outflow device 150 may be placed outside the sclera 120.
  • the inner aqueous humor in the waterproof outflow device 150 may be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of the waterproof outflow device 150.
  • the direction in which the aqueous humor in the aqueous humor outflow device 150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clera 120 and the conjunctiva 130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F2).
  • a bleb may be formed around the waterproof outflow device 150.
  • the filter cloth formed around the waterproof discharge device 150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aqueous humor spread widely by the first filter bleb 140 may be absorbed into the subconjunctiva or sub-Tenon's capsule and reabsorbed into the blood flow.
  • Fiberization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may progress over time.
  • the fibrous membran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may be referred to as a fibrous encapsulation.
  • the causes of fibrosis of the first filter bleb 140 include reactions to surgical stimulation, preservatives in antiglaucoma eye drops used before and after surgery, inflammatory factors inherent in the aqueous humor of glaucoma patients, and reactions to stimulation due to aqueous humor flow. there is.
  • the fibrous first filter cloth 140 impedes the flow of aqueous humor, the aqueous humor in the first filter cloth 140 cannot escape, and the first filter cloth 140 may swell. This is the main cause of re-elevation of intraocular pressure.
  • a drug that delays fibrosis of the first filter cell 140 during or after surgery is used, the already fibrous part is surgically removed, or the aqueous outflow device 150 is installed in another part of the anterior chamber 110. ), etc. are being implemented.
  • the method of delaying fibrosis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using a drug has the problem of causing side effects to the drug itself (conjunctival ulcer, cataract, etc.).
  • the method of inserting the aqueous outflow device 150 into another part of the anterior chamber 110 involves performing additional surgery on the eye 100 that has already experienced an inflammatory reaction,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inflammation or infection is high.
  • the insertion of the aqueous outflow device 150 is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for a long time, the patient's physical burden increases and the time and financial burden of the surgery may increas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35529 ‘Ophthalmic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8291 ‘Shunt for ocular drainage’
  • the purpose of 'S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00690 'Aqueous Outflow Device with Adjustable Pipe Diame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is to treat the antrum of the anterior chamber 110. Water is bypassed and discharged into the subconjunctiva.
  • the devices of Patent Documents 1 to 3 are mounted on the eyeball 100, they are formed in a shape suitable for mounting on the spherical eyeball 100. Additionally, the devices of Patent Documents 1 to 3 are mounted between the inside of the spherical eye 100 and the subconjunctiva.
  • the first filter cloth 140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convexly from the sclera 120, and as the aqueous humor in the first filter cloth 140 is discharged, the height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protrudes from the sclera 120.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decreasing and the curvature becoming smaller.
  • the shap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is formed to be the same and similar regardless of the type of waterproof outflow device 150 mounted on the eye 100.
  • the eye 100 and the first filter cloth 140 are different in shape and characteristics, a device suitable for mounting on the first filter cloth 140 is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harge the aqueous humor from the filter cloth in a minimally invasive mann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unt that prevents conjunctival thinn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unt for smooth discharge of aqueous hum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unt that can be mounted in multiple numbers.
  • a shunt comprising a main body formed by penetrating the fibrous membrane of a filter cloth (bleb) formed between the sclera and the conjunctiva, and a flow path formed through the main body to discharge the aqueous humor inside the filter cloth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cloth.
  • first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located outside the fibrous membrane, and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located inside the fibrous membrane,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It may include a lower surface facing the sclera, and the flow path may be provided with a shunt penetrating the main body from front to back.
  • a shunt capable of discharging the aqueous humor in the filter cloth in a minimally invasive manner can be provided.
  • a shunt that prevents conjunctival thinning may be provided.
  • a shunt that smoothly discharges aqueous humor can be provided.
  • a plurality of shunts can be provided on a fibrous membrane.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eyeball 100 in which the first filter cloth 140 is formed around the waterproof outflow device 150.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hun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first filter cloth 140 of Figure 1.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unt 200 of Figure 2.
  • Figure 4 is a top view of the shunt 200 of Figure 3.
  •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shunt 1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hunt 2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aqueous humor in the first filter cloth 140 of FIG. 2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shunt 200.
  •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 filter cloth 170 formed due to the aqueous humor discharged through the shunt 200 of Figure 7.
  • 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additional shunt 200' mounted on the second filter cloth 170 of FIG. 8.
  •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 additional shunt (200”) mounted on the first filter cloth 140 of FIG. 8.
  •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at the same time,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at in which they are described.
  • membranes, regions, components, etc. when membranes, regions, components, etc. are connected, not only are the membranes, regions, and component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other membranes, regions, and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membranes, regions, and components. This includes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hun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first filter cloth 140 of Figure 1.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unt 200 of Figure 2.
  • the first filter cloth 140 may be formed around the waterproof outflow device 150.
  • the first filter cloth 140 may contain aqueous humor discharged from the anterior chamber 110 or the aqueous humor outflow device 150.
  • the first filter cloth 140 may be formed to protrude convexly from the sclera 120.
  • the first filter cloth 140 may include a first fibrous membrane 141 surrounding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may be formed by fiberizing the membran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first filter cloth 140 may include a first internal space 142 formed between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and the sclera 120.
  • the aqueous humor may be filled in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 the first filter cloth 140 may be formed to protrude convexly from the sclera 120.
  •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may be formed between the sclera 120 and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shunt 200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one end 201 to the other end 202.
  • one end 201 of the shunt 200 may be the front end of the shunt 200 .
  • the other end 202 of the shunt 200 may be a rear end of the shunt 200.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unt 200 may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from one end 201 to the other end 202.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unt 200 may be forward-backward.
  • One end 201 of the shunt 200 may face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 One end 201 of the shunt 200 may be located outside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other end 202 of the shunt 200 may face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other end 202 of the shunt 200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other end of the shunt 200 may be located within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 the shunt 200 may include a main body 210 .
  • the main body 21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unt 200.
  • the main body 2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the body 210 may be disposed through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top and bottom in FIG. 3)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clera 120.
  • the main body 210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Because of this,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may be placed outside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10 may be placed inside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The width of the main body 210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210.
  • the shunt 2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220.
  •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first support members 2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10 that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210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10 .
  •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10.
  •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is cau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to prevent the shunt 200 from falling into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front of the main body 210 may be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by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and the conjunctiva 130.
  •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junctiva 130.
  • the shunt 200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member 230.
  •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10.
  •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second support members 23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10 that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0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10.
  •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10.
  •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to prevent the shunt 200 from falling out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rear of the main body 210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extends.
  • the height H S of the shunt 200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proof outflow device 150.
  • the height of the main body 210,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are the height of the shunt 200 (H S ) may be the same.
  • the shunt 200 may include a flow path 240 formed in the main body 210.
  • the flow path 240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main body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low path 24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main body 210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 the flow path 240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hole.
  • the flow path 240 may be formed as an oval-shaped hole.
  • the flow path 240 may be formed as a semi-elliptical hole.
  • the passage 240 may be formed sufficiently wide so that the inner waterproofing water inside the first filter cloth 14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through the passage 240.
  • the width of the flow path 240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flow path 240.
  • the width of the flow path 240 may be sufficiently long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enter of the flow path 240 is not pressed by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hunt 200.
  •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hunt 200 may be the force of the tissue surrounding the shunt 200, the force of blinking the eye 100, etc.
  •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may be connected by the flow path 240.
  • the inner aqueous humor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may be connected 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er cloth 140 and the conjunctiva 130 by the flow path 240. Since the pressure of the aqueous humor in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is high, it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pressure side through the flow path 240. For example, the aqueous humor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may be discharg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er cloth 140 and the conjunctiva 130.
  • the shunt 200 may include an installation groove 250 formed around the main body 210,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 the installation groove 250 may be formed with both sides open in the height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hunt 200.
  • the installation groove 250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opposite side of the flow path 24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unt 200.
  •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250. Because of this,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may not enter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Because of this,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disposed inside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may not fall out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edges of the shunt 200 may be rounded. As a result, damage inflicted to the conjunctiva 130 by the edges of the shunt 200 can be minimized. When damage is done to the conjunctiva 130, the fine tissues within the conjunctiva 130 may be stimulated, thereby promoting ulceration or fibrosis.
  • the corners of the flow path 240 may be rounded. As a result, the impact strength or fracture resistance around the flow path 240 may be improved.
  • the shunt 200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 the main body 210,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 the flexibility of the shunt 200 is improved, and foreign body sensation caused by the shunt 200 can be reduced when the eye 100 or eyelids move.
  • the risk of the eyeball 100 being damaged by the shunt 200 may be reduced.
  • the shunt 200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with minimal procedures.
  • the shunt 200 may be formed of a sterilized silicone material.
  • the shunt 200 may be formed of medical grade implantable silicone material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 the shunt 200 may be formed comprising MED-4830 from Nusil.
  • Figure 4 is a top view of the shunt 200 of Figure 3.
  •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is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and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thickness t1.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is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and can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thickness t2.
  • the first thickness t1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econd thickness t2. Because of this, the foreign body sensation caus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can be reduced.
  • the second thickness t2 may be thicker than the first thickness t1. Because of this, it may be difficult for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er cloth 140 to fall out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If the second thickness t2 is too thin,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is likely to be folded toward the other end 202 of the main body 210, so the pressure inside the first filter cloth 140 or applied to the shunt 200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may be folded and come out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due to an external force.
  •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may be formed to sufficiently extend from the main body 210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to fall out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first thickness t1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second thickness t2. This may make it difficult for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to enter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shap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and the shap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are formed similarly,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hunt 200 can be changed and used.
  •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shunt 1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ront of the main body 1210 may be formed to become closer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210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210 increases.
  • the front of the main body 121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 the fro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220 may be formed to become closer to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220 as th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1210 increases.
  •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22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210.
  • the front of the main body 1210 and the fro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22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protrudes convexly toward the center of the shunt 1200.
  • the front of the shunt 1200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 the feeling of a foreign body caused by the front of the shunt 1200 can be reduced. Additionally, damage to the conjunctiva 130 (see FIG. 2) caused by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210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220 can be minimized.
  •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hunt 2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20 may be formed to become closer to the sclera 120 (see FIG. 2) as th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2210 increases.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2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210.
  •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210 may be rounded.
  •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2210 may be formed to become closer to the sclera 120 as it move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2210 in the width direction.
  •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21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may be continuously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20.
  • the conjunctiva 130 is formed by the shape of the main body 2210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2220. , see Figure 2) damage can be minimized. Additionally, the foreign body sensation caused by the main body 2210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2220 can be reduced.
  • the second support member (not shown, see 230 in FIG. 3)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220.
  •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210 may be formed to be entirely simi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2210.
  •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may be continuously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of the main body 2210.
  •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located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see Figure 2), and the main body 2210 penetrates the first filter cloth 140, so the shape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main body 2210 Damage to the first filter cloth 140 can be minimized.
  • the inner aqueous humor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will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as shown in FIG. 7.
  • the aqueous humor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may be discharged into the subconjunctival space 160 through the shunt 200.
  • the direction in which the aqueous humor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for example, the subconjunctival space 160) through the shunt 200 can be referred to as the third direction (F3). .
  • the aqueous humor of the anterior chamber 110 may move through the first direction (F1), the second direction (F2), and the third direction (F3).
  • the pressure increase due to the aqueous humor is alleviated, so the pressur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and the pressure of the eye 100 (see FIG. 1) (intraocular pressure) can be reduced.
  • the shunt 200 When attaching the shunt 200 to the first filter cloth 140, the shunt 200 is mounted as close to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first filter cloth 140 and the sclera 120 as possible to eliminate the foreign body sensation caused by the shunt 200 and Damage to the conjunctiva 130 can be minimized.
  • the upper surface of the shunt 200 when mounting the shunt 200 on the first filter cloth 140, the upper surface of the shunt 200 is plac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proof outflow device 150, so that the foreign body sensation caused by the shunt 200 and the conjunctiva 130 are prevented. ) damage can be minimized.
  • the height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height H1
  • the height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height H2.
  • the second height H2 may be lower than the first height H1.
  • a second filter cloth 170 which is a new filter cloth, may be formed outside the shunt 200 as shown in FIG. 8.
  • the aqueous humo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can be spread widely by the second filter cloth 170 and absorbed into the blood flow.
  • a shunt 200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first filter cloth 140 or the second filter cloth 170 to discharge the aqueous humor in the first filter cloth 140 or the second filter cloth 170.
  • the additionally installed shunt 200 may be installed in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previously installed shunt 200.
  • 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additional shunt 200' mounted on the second filter cloth 170 of FIG. 8.
  • An additional shunt 200'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filter cloth 170.
  • an additional shunt 200' can be mounted on the second fibrous membrane 171 of the second filter cloth 170.
  • the aqueous humor in the second filter cloth 17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lter cloth 170 by the additional shunt 200'.
  • the aqueous humor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172 may be discharg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njunctiva 130 and the sclera 120 by the additional shunt 200'.
  • the direction in which the aqueous humor in the second filter cloth 17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lter cloth 170 by the additional shunt 200' may be referred to as the fourth direction F4.
  • the fourth direction F4 may be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F3.
  • the aqueous humor of the anterior chamber 110 may move through the first direction (F1), the second direction (F2), the third direction (F3), and the fourth direction (F4).
  • a third filter cloth 180 which is a new filter cloth, may be formed outside the additional shunt 200'.
  • the aqueous humo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cloth 170 to the third filter cloth 180 may be spread widely by the third filter cloth 180 and absorbed into the blood flow.
  • the third filter cloth 180 becomes fibrous to form a third fibrous membrane 181, and the aqueous humor may accumulate in the third internal space 182.
  •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 additional shunt (200”) mounted on the first filter cloth 140 of FIG. 8.
  • An additional shunt (20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shunt 200 and the additional shunt 200” may be arranged with the waterproof outflow device 150 therebetween.
  • shunt 200 and additional shunts 200” may be plac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rnea. For example, if the first filter cloth 140 is installed at 9 o'clock (left side in the drawing), the additional shunt (200”) may be installed at the 3 o'clock direction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additional shunt (200) is installed at the 6 o'clock direction (lower side in the drawing)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Can be installed.
  • the aqueous humor in the first filter cloth 14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by the additional shunt (200”).
  • the aqueous humor in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may be discharg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njunctiva 130 and the sclera 120 by an additional shunt 200”.
  • the direction in which the aqueous humor in the first filter cloth 1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by the additional shunt (200”) can be referred to as the fifth direction (F5).
  • the fifth direction F5 may form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third direction F3.
  • the fifth direction (F5) may be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ird direction (F3).
  • the aqueous humor of the anterior chamber 110 moves through the first direction (F1), the second direction (F2), and the third direction (F3), or moves through the first direction (F1), the second direction (F2), and the fifth direction (F3). You can move through direction (F5).
  • a third filter cloth 180' which is a new filter cloth, may be formed outside the additional shunt 200".
  • the aqueous humor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er cloth 140 to the third filter cloth 180' may be spread widely by the third filter cloth 180' and absorbed into the blood flow.
  • the filter cloths 140, 170, and 180 may refe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the second filter cloth 170, and the third filter cloth 180.
  • the shunt 200 may be mounted on a plurality of filter cloths 140, 170, and 180 that are fiberized and have an increased internal pressure.
  • the shunt 200 can be applied to the filter cells 140, 170, and 180 formed by the aqueous outflow device 150, as well as the filter cells formed by trabeculectomy.
  • the area for surgery can be prepared through a general anesthesia and sterilization process.
  • the area to be operated on can be exposed using drugs or stay sutures.
  • the area to install the shunt 20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tient's aqueous outflow device 150.
  • the aqueous humor outflow device 150 is moun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eyeball 100, the upward or downward portion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can be determined as the site for mounting the shunt 200. there is.
  • the area where the shunt 200 will be installed may be determined as close to the sclera 120 as possible.
  • the conjunctiva 130 may be cut to expose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conjunctiva 130 in the area where the shunt 200 is mounted can be held with conjunctival forceps and bluntly separated with Stevens or Westcott tenotomy scissors to expose a portion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conjunctiva 130 is incised while avoiding the blood vessels of the conjunctiva 130, but if it is difficult to avoid the blood vessels of the conjunctiva 130, the conjunctiva 130 is incised after hemostatic treatment such as cauterization, and bleeding occurring during the incision is treated. Hemostasis can be administered.
  • a portion of the exposed first fibrous membrane 141 of the filter cloth 140 may be cut or excised to provide a space for the shunt 200 to be installed.
  • a portion of the exposed first fibrous membrane 141 may be cut or excised with a blade or a special punch to provide a space for the shunt 200 to be installed.
  •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may be cut long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hunt 200.
  • the shunt 200 may be mounted at an incision site in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 the shunt 20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by inserting it into an incision in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using forceps.
  • the second support member 230 can be allowed to enter the first internal space 142 inside the first filter cloth 140.
  • the cut portion of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is cut using a suture after mounting the shunt 200. can be sutured.
  • the aqueous humor in the first filter cloth 1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cloth 140 through the shunt 200, and the conjunctiva 130 can be sutured using a suture.
  • the surgery to install the shunt 200 on the first fibrous membrane 141 is performed minimally invasively, so the physical and financial burden on the patient due to the surgery is reduced, and the patient's recovery speed can be accelerated. Additionally, since damage to the first filter cloth 140 is minimized, the possibility of conjunctival ulcers can be reduc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공막과 결막 사이에 형성된 여과포(bleb)의 섬유성 막을 관통하여 상기 여과포 내부의 안방수를 결막하로 배출함으로써 안압을 하강시키는, 녹내장 환자의 섬유성 막용 션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녹내장 환자의 섬유성 막용 션트
본 발명은 녹내장 환자의 섬유성 막용 션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섬유주절제술, 방수유출장치 삽입술 등의 녹내장 수술 후 수술 부위에 형성되는 섬유성 막(fibrous encapsulation)에 장착하여, 상기 섬유성 막 내의 안방수(aqueous humor)를 배출시키는, 션트에 관한 것이다.
녹내장(glaucoma)은 안방수(aqueous humor) 순환에 이상이 생겨, 안구 내에 상기 안방수의 양이 증가하며 안압이 높아지는 안과 질환이다. 녹내장에 의해 안압이 상승하면 시신경의 압박과 안구 혈류 저하에 의해 시신경과 망막의 변성, 그로 인한 시력 소실 또는 시야 결손 등이 나타나고, 극심한 통증이 동반될 수 있다.
안방수 배출 장애를 원인으로 하는 진행성 안압 상승은 비가역적인 시력 소실을 유발하기 때문에, 안압을 정상으로 유지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약물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녹내장을 관리할 수 있다.
약물적 치료는 안방수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안방수의 배출을 증가시키는 기전의 약물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녹내장 치료시 일반적으로 약물적 치료부터 행해지며, 약물적 치료의 목적은 녹내장으로 인한 시력 소실의 진행을 늦추는 데 있다. 하지만 약물적 치료는 녹내장이 진행될수록 녹내장에 의한 안압 상승을 충분히 완화시키기 어렵고, 약물에 대한 부작용(결막염, 포도막염, 안구 주변 피부 과민반응 등)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다양한 녹내장 수술 중 안방수 배출 증가법으로서의 수술적 치료는 안구 내 전안방(anterior chamber)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있는 안방수를 결막하(subconjuctival) 또는 테논낭하(subtenon) 등으로 우회시키는 등, 안방수가 안구 이외의 다른 경로로 흡수되게 하는 수술을 동반한다. 섬유주절제술(trabeculectomy), 방수유출장치 삽입술 등이 수술적 치료에 해당한다.
섬유주절제술은 장치의 삽입 없이 안방수 우회로를 형성하여 안방수를 배출하는 수술이다.
방수유출장치 삽입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방수 우회로를 포함하는 방수유출장치(150)를 삽입하여 전안방(110)의 안방수를 배출하는 수술이다.
방수유출장치(150)의 일측은 전안방(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유출장치(150)의 일측은 관의 형태일 수 있다. 전안방(110)의 안방수는 방수유출장치(150)의 일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전안방(110)의 안방수가 방수유출장치(150)로 유입되는 방향을 제1 방향(F1)이라 할 수 있다.
방수유출장치(150)의 타측은 공막(1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유출장치(150) 내의 안방수는 방수유출장치(150)의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방수유출장치(150) 내의 안방수가 공막(120)과 결막(13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는 방향을 제2 방향(F2)이라 할 수 있다.
방수유출장치(150) 삽입 후 수주 경과 시 방수유출장치(150) 주위에 여과포(bleb)가 형성될 수 있다. 방수유출장치(150) 주위에 형성되는 상기 여과포를 제1 여과포(140)라 할 수 있다. 제1 여과포(140)에 의해 넓게 퍼진 안방수는 결막하 또는 테논낭하에 흡수되어 혈류의 흐름에 재흡수될 수 있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1 여과포(140)의 섬유화가 진행될 수 있다. 섬유화된 제1 여과포(140)의 막을 섬유성 막(fibrous encapsulation)이라 할 수 있다. 제1 여과포(140)가 섬유화되는 원인에는 수술 자극에 대한 반응, 수술 전후에 사용되는 항녹내장 안약의 보존제, 녹내장 환자의 안방수에 내재된 염증 인자, 안방수 흐름에 따른 자극에 대한 반응 등이 있다.
섬유화된 제1 여과포(140)는 안방수의 흐름을 저해하므로,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어 제1 여과포(140)가 부풀어오를 수 있다. 이는 안압을 재상승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수술 중 또는 수술 후에 제1 여과포(140)의 섬유화를 지연시키는 약물을 사용하거나, 이미 섬유화된 부분을 수술적으로 제거하거나, 전안방(110)의 다른 부위에 방수유출장치(150)를 삽입하는 방법 등이 실시되고 있다.
약물을 이용하여 제1 여과포(140)의 섬유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은, 약물 자체에 대한 부작용(결막 궤양, 백내장 등)을 야기한다는 문제가 있다.
섬유화된 제1 여과포(140)의 섬유조직을 제거하는 수술은 침습적인 측면이 크기 때문에, 환자의 회복 속도가 느리고, 수술 후 감염이나 결막 약화로 인한 다른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1 여과포(140)의 섬유조직을 제거했을 때, 생체 특성상 더 빠른 섬유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술 후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다.
전안방(110)의 다른 부위에 방수유출장치(150)를 삽입하는 방법은, 이미 염증반응을 겪은 안구(100)에 추가 수술을 하는 방식이므로, 염증이나 감염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수유출장치(150) 삽입술은 장시간 전신 마취 상태에서 진행되므로 환자의 신체적인 부담이 증가하고, 수술에 대한 시간적, 금전적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침습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를 배출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공개 특허공보 제10-2007-0035529호 '안과용 임플란트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이하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8291호 '안구 배수용 션트 스텐트'(이하 '특허문헌 2')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0690호 '관직경 조절이 가능한 방수유출장치'(이하 '특허문헌 3')의 목적은 전안방(110)의 안방수를 결막하로 우회하여 배출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내지 3의 장치는 안구(100)에 장착되므로, 구 형태의 안구(100)에 장착하기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특허문헌 1 내지 3의 장치는 구 형태의 안구(100) 내부와 결막하 사이에 장착된다.
안구(100)의 형태와 달리, 제1 여과포(140)는 공막(120)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가 배출됨에 따라 공막(120)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감소하며 곡률이 작아지는 특징이 있다. 제1 여과포(140)의 형상은 안구(100)에 장착되는 방수유출장치(150)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구(100)와 제1 여과포(140)는 형태 및 특징에 있어 차이가 있으므로, 제1 여과포(140)에 장착하기 적합한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최소침습적으로 여과포 내의 안방수를 배출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결막 박화를 방지하는 션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방수의 배출이 원활한 션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로 장착할 수 있는 션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공막과 결막 사이에 형성된 여과포(bleb)의 섬유성 막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여과포 내부의 안방수를 상기 여과포의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션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섬유성 막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섬유성 막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공막을 마주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본체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션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내장 환자의 섬유성 막용 션트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최소침습적으로 여과포 내의 안방수를 배출할 수 있는 션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결막 박화를 방지하는 션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안방수의 배출이 원활한 션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섬유성 막에 복수로 장착할 수 있는 션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방수유출장치(150) 주변에 제1 여과포(140)가 형성된 안구(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여과포(14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션트(200)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션트(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션트(2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션트(12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션트(22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가 션트(200)를 통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션트(200)를 통해 배출된 안방수로 인하여 제2 여과포(170)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제2 여과포(170)에 추가 션트(200')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제1 여과포(140)에 추가 션트(200”)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와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제1 여과포(14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션트(200)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션트(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 여과포(140)는 방수유출장치(150)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여과포(140)는 전안방(110) 또는 방수유출장치(150)로부터 유출된 안방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여과포(140)는 공막(120)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여과포(140)는, 제1 여과포(140)를 둘러싸는 제1 섬유성 막(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섬유성 막(141)은 제1 여과포(140)의 막이 섬유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여과포(140)는, 제1 섬유성 막(141)과 공막(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내부공간(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방수는 제1 내부공간(142) 내에 채워질 수 있다.
방수유출장치(150)의 위치 또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제1 여과포(140)는 공막(120)에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공간(142)은 공막(120)과 제1 섬유성 막(14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션트(200)는 일단(201)에서 타단(202)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션트(200)의 일단(201)은 션트(200)의 전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션트(200)의 타단(202)은 션트(200)의 후단일 수 있다. 션트(200)의 길이 방향은 일단(201)에서 타단(202)을 향하는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션트(200)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일 수 있다.
션트(200)의 일단(201)은 제1 여과포(140)의 외측을 향할 수 있다. 션트(200)의 일단(201)은 제1 섬유성 막(14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션트(200)의 타단(202)은 제1 여과포(140)의 내측을 향할 수 있다. 션트(200)의 타단(202)은 제1 섬유성 막(14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션트(200)의 타단은 제1 내부공간(14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션트(200)는,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션트(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는 제1 섬유성 막(141)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체(210)의 하면(도 3 상 하측)은 공막(120)을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체(210)는 제1 섬유성 막(141)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체(210)의 일측은 제1 섬유성 막(141) 외측에 배치되고, 본체(210)의 타측은 제1 섬유성 막(141)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210)의 폭은 본체(21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션트(200)는, 제1 지지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0)는 본체(2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0)는 제1 여과포(1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0)는 제1 섬유성 막(14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0)는 본체(2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0)는 본체(210)의 상기 양측면에서 제1 본체(2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0)는 본체(210)의 상기 양측면에서 제1 여과포(14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0)는 제1 섬유성 막(141)의 외측면에 걸려, 션트(200)가 제1 섬유성 막(141)의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본체(210)의 전방은 제1 지지부재(220)에 의해 제1 섬유성 막(141)의 외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0)는 제1 섬유성 막(141)과 결막(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0)는 제1 섬유성 막(141)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0)는 결막(130)에 접할 수 있다.
션트(200)는, 제2 지지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0)는 본체(2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0)는 제1 여과포(1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0)는 제1 섬유성 막(14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0)는 본체(2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0)는 본체(210)의 상기 양측면에서 본체(2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0)는 본체(210)의 상기 양측면에서 제1 여과포(14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0)는 제1 섬유성 막(141)의 내측면에 걸려, 션트(200)가 제1 섬유성 막(141)의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본체(210)의 후방은 제2 지지부재(230)에 의해 제1 섬유성 막(141)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0)는 제1 섬유성 막(141)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0)는 제1 지지부재(220)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션트(200)의 높이(HS)는 방수유출장치(15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션트(200)의 상단이 평평하게 형성될 경우, 본체(210)의 높이, 제1 지지부재(220)의 높이 및 제2 지지부재(230)의 높이는 션트(200)의 높이(HS)와 동일할 수 있다.
션트(200)는, 본체(210)에 형성되는 유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240)는 본체(210)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240)는 본체(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240)는 사각 형태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240)는 타원 형태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240)는 반타원 형태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240)는 제1 여과포(140) 내부의 안방수가 유로(240)를 통해 제1 여과포(1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유로(240)의 폭은 유로(24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유로(240)의 폭은 션트(20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유로(240)의 중심이 눌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션트(200)에 작용하는 외력은 션트(200) 주변 조직의 힘, 안구(100)를 깜빡이는 힘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유로(240)의 형상에 의해 유로(240)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유로(240)의 단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로(240)가 형성되는 본체(210)의 높이 또한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가 유로(24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유로(240)에 의해 제1 여과포(140)의 내부와 제1 여과포(140)의 외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내부공간(142)의 안방수가 제1 여과포(14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240)에 의해 제1 내부공간(142)은 제1 여과포(140)와 결막(1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부공간(142)의 안방수는 압력이 높은 상태이므로, 유로(240)를 통해 압력이 낮은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공간(142)의 안방수가 제1 여과포(140)와 결막(1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션트(200)는, 본체(210)와 제1 지지부재(220)와 제2 지지부재(230)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설치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홈(250)은 션트(200)의 높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양쪽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250)은 션트(200)의 폭 방향으로 유로(240)의 반대편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섬유성 막(141)은 설치홈(25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섬유성 막(14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220)가 제1 내부공간(142)으로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섬유성 막(14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230)가 제1 여과포(140) 밖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션트(200)의 모서리는 라운딩(rounding) 가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션트(200)의 모서리에 의해 결막(130)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막(130)에 손상이 가해지면, 결막(130) 내의 미세한 조직들이 자극을 받아 궤양 또는 섬유화가 촉진될 수 있다.
유로(240)의 모서리는 라운딩 가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로(240) 주변의 충격강도 또는 내파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션트(200)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 제1 지지부재(220) 및 제2 지지부재(230)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션트(200)의 유연성이 향상되어, 안구(100) 또는 눈꺼풀 운동시 션트(200)에 의한 이물감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안구(100) 또는 안구(100) 주변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션트(200)에 의해 안구(100)가 손상될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션트(200)의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해지므로, 짧은 시간 내에 최소한의 절차로 션트(200)를 장착 및 제거할 수 있다.
션트(200)는 멸균 처리된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션트(200)는 인체 내 삽입 가능한 의료용 실리콘(medical grade implantable silicone)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션트(200)는 누실사(Nusil社)의 MED-48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션트(200)는 신체 내 안정성이 향상되어, 션트(200)에 대한 거부반응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션트(200)의 평면도이다. 제1 지지부재(220)의 두께는 제1 지지부재(220)의 길이이며, 제1 두께(t1)라 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0)의 두께는 제2 지지부재(230)의 길이이며, 제2 두께(t2)라 할 수 있다.
제1 두께(t1)는 제2 두께(t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여과포(14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220)로 인한 이물감이 감소될 수 있다.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여과포(14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230)가 제1 섬유성 막(141)의 외측으로 빠지기 어려워질 수 있다. 제2 두께(t2)가 너무 얇을 경우, 제2 지지부재(230)가 본체(210)의 타단(202) 쪽으로 접히기 쉬워지므로, 제1 여과포(140) 내부의 압력 또는 션트(2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2 지지부재(230)가 접혀 제1 여과포(140)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0)가 제1 섬유성 막(141) 외측으로 빠지기 어렵도록, 제2 지지부재(230)는 본체(210)로부터 충분히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제1 두께(t1)는 제2 두께(t2)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지지부재(220)가 제1 섬유성 막(141) 내측으로 들어가기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220)의 형상과 제2 지지부재(230)의 형상이 유사하게 형성되어, 션트(200)의 내측과 외측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션트(12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체(1210)의 전면은 본체(1210)의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본체(1210)의 후면에 가까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210)의 전면은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220)의 전면은 본체(1210)에서 멀어질수록 제1 지지부재(1220)의 후면에 가까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재(1220)의 전면은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1210)의 전면과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210)의 전면과 제1 지지부재(1220)의 전면은 션트(1200)의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션트(1200)의 전면은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션트(1200)의 전면에 인한 이물감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체(1210)의 전측과 제1 지지부재(1220)에 의한 결막(130, 도 2 참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션트(22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1 지지부재(2220)의 상면은 본체(2210)에서 멀어질수록 공막(120, 도 2 참조)에 가까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재(2220)의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본체(2210)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20)의 상면과 본체(2210)의 상면의 연결 부위는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본체(2210) 전방의 상면은 본체(2210)의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공막(120)에 가까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210)의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1 지지부재(2220)의 상면과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210) 전방의 상면과 제1 지지부재(2220)의 상면은 결막(130, 도 2 참조)과 가깝게 위치하므로, 본체(2210)와 제1 지지부재(2220)의 형상에 의해 결막(130,도 2 참조)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체(2210)와 제1 지지부재(2220)로 인한 이물감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미도시, 도 3의 230 참조)는 제1 지지부재(2220)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2210)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본체(2210) 전방의 상면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상면은 본체(2210) 후방의 상면과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제1 여과포(140, 도 2 참조)의 내측면과 가깝게 위치하고, 본체(2210)는 제1 여과포(140)를 관통하므로, 상기 제2 지지부재와 본체(2210)의 형상에 의해 제1 여과포(140)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여과포(140)에 션트(200)를 장착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공간(142)의 안방수가 제1 여과포(14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션트(200)를 통해 제1 내부공간(142)의 안방수가 결막하 공간(16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내부공간(142)의 안방수가 션트(200)를 통해 제1 여과포(140)의 외측(예를 들어 결막하 공간(160))으로 배출되는 방향을 제3 방향(F3)이라 할 수 있다. 전안방(110)의 안방수는 제1 방향(F1), 제2 방향(F2) 및 제3 방향(F3)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가 배출되면 상기 안방수에 의한 압력 상승이 완화되므로, 제1 여과포(140)의 압력 및 안구(100, 도 1 참조)의 압력(안압)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여과포(140)에 션트(200)를 장착할 때, 션트(200)를 제1 여과포(140)와 공막(120)의 연결 부위에 최대한 인접하게 장착하여, 션트(200)에 의한 이물감 및 결막(13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여과포(140)에 션트(200)를 장착할 때, 션트(200)의 윗면이 방수유출장치(150)의 윗면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장착하여, 션트(200)에 의한 이물감 및 결막(13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내부공간(142)의 높이를 제1 높이(H1)라 하고, 도 7에서 제1 내부공간(142)의 높이를 제2 높이(H2)라 할 수 있다. 제2 높이(H2)는 제1 높이(H1)보다 낮을 수 있다. 션트(200)에 의해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가 제1 여과포(140) 외측으로 배출되면 제1 높이(H1)가 낮아져 제2 높이(H2)가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여과포(140) 내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가 제3 방향(F3)으로 계속해서 유출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션트(200)의 외측에 새로운 여과포인 제2 여과포(1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여과포(140) 외측으로 배출된 안방수는 제2 여과포(170)에 의해 넓게 퍼져 혈류의 흐름에 흡수될 수 있다.
시간이 경과되면 제2 여과포(170)가 섬유화되어 안방수의 흡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여과포(140) 또는 제2 여과포(170)에 추가적으로 션트(200)를 장착하여 제1 여과포(140) 또는 제2 여과포(170) 내의 안방수를 배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션트(200)는 기존에 장착된 션트(200)와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제2 여과포(170)에 추가 션트(200')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추가 션트(200')는 제2 여과포(17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션트(200')는 제2 여과포(170)의 제2 섬유성 막(171)에 장착될 수 있다.
추가 션트(200')에 의해 제2 여과포(170) 내의 안방수가 제2 여과포(17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션트(200')에 의해 제2 내부공간(172) 내의 안방수가 결막(130)과 공막(120) 사이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추가 션트(200')에 의해 제2 여과포(170) 내의 안방수가 제2 여과포(170) 외측으로 배출되는 방향을 제4 방향(F4)이라 할 수 있다. 제4 방향(F4)은 제3 방향(F3)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전안방(110)의 안방수는 제1 방향(F1), 제2 방향(F2), 제3 방향(F3) 및 제4 방향(F4)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제2 여과포(170) 내의 안방수가 제4 방향(F4)으로 계속해서 유출되면, 추가 션트(200')의 외측에 새로운 여과포인 제3 여과포(18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여과포(170)에서 제3 여과포(180)로 배출된 안방수는 제3 여과포(180)에 의해 넓게 퍼져 혈류의 흐름에 흡수될 수 있다. 시간이 경과되면 제3 여과포(180)가 섬유화되어 제3 섬유성 막(181)이 형성되고, 안방수가 제3 내부공간(182)에 고일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제1 여과포(140)에 추가 션트(200”)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추가 션트(200”)는 제1 여과포(14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션트(200)와 추가 션트(200”)는 방수유출장치(15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션트(200)와 추가 션트(200”)는 각막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여과포(140)의 9시 방향(도면상 좌측)에 장착됐다면, 추가 션트(200”)는 제1 여과포(140)의 3시 방향(도면상 우측)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션트(200)가 제1 여과포(140)의 9시 방향(도면상 좌측)에 장착됐다면, 추가 션트(200”)는 제1 여과포(140)의 6시 방향(도면상 하측)에 장착될 수 있다.
추가 션트(200”)에 의해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가 제1 여과포(14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션트(200”)에 의해 제1 내부공간(142) 내의 안방수가 결막(130)과 공막(120) 사이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추가 션트(200”)에 의해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가 제1 여과포(140) 외측으로 배출되는 방향을 제5 방향(F5)이라 할 수 있다. 제5 방향(F5)은 제3 방향(F3)에 대해 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방향(F5)은 제3 방향(F3)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전안방(110)의 안방수는 제1 방향(F1), 제2 방향(F2) 및 제3 방향(F3)을 통해 이동하거나, 제1 방향(F1), 제2 방향(F2) 및 제5 방향(F5)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가 제5 방향(F5)으로 계속해서 유출되면, 추가 션트(200”)의 외측에 새로운 여과포인 제3 여과포(18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여과포(140)에서 제3 여과포(180')로 배출된 안방수는 제3 여과포(180')에 의해 넓게 퍼져 혈류의 흐름에 흡수될 수 있다.
여과포(140,170,180)는 제1 여과포(140), 제2 여과포(170)와 제3 여과포(180)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션트(200)는 섬유화되어 내부 압력이 높아진 여과포(140,170,180)에 복수로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션트(200)를 방수유출장치(150) 주변에 형성된 제1 여과포(140)에 장착하는 수술 방법에 대해 서술하도록 한다. 션트(200)는 방수유출장치(150)로 인해 형성된 여과포(140,170,180) 외에, 섬유주절제술로 인해 형성된 여과포에도 적용 가능하다.
일반적인 마취 과정과 멸균 과정을 거쳐 수술할 부위를 준비할 수 있다. 수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약물 또는 스테이 봉합사(stay suture)를 통해 수술할 부위를 노출할 수 있다.
섬유화된 제1 여과포(140)의 범위를 확인한 후, 환자의 방수유출장치(150)의 위치에 따라 션트(200)를 장착할 부위를 결정할 수 있다. 방수유출장치(150)가 안구(100)의 가쪽(lateral)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 제1 여과포(140)의 위쪽(upward) 또는 아래쪽(downward)이 션트(200)를 장착할 부위로 결정될 수 있다. 션트(200)를 장착할 부위는 최대한 공막(120)에 가까운 부위로 결정될 수 있다.
결막(130)을 절개하여 제1 여과포(140)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션트(200)가 장착되는 부위의 결막(130)을 결막겸자로 잡고 스티븐스나 웨스트콧 가위(Stevens or Westcott tenotomy scissors)로 둔성분리하여 제1 여과포(140)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결막(130)의 혈관을 피하여 결막(130)을 절개하되, 결막(130)의 혈관을 피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소작술(cauterization) 등의 지혈 처치 후 결막(130)을 절개하고, 절개시 일어나는 출혈에 대한 지혈 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노출된 제1 여과포(140)의 제1 섬유성 막(141)의 일부를 절개 또는 절제하여, 션트(200)가 장착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된 제1 섬유성 막(141)의 일부를 블레이드(blade) 또는 특수펀치로 절개 또는 절제하여, 션트(200)가 장착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성 막(141)은 션트(200)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절개될 수 있다.
션트(200)는 제1 섬유성 막(141)의 절개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션트(200)는 겸자에 의해 제1 섬유성 막(141)의 절개 부위에 집어넣어 제1 섬유성 막(141)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지지부재(230)가 제1 여과포(140)의 내부인 제1 내부공간(142)으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제1 섬유성 막(141)의 절개 부위의 길이가 션트(200)의 폭에 비해 과도하게 길게 형성되었을 경우, 션트(200) 장착 후 봉합사를 이용하여 제1 섬유성 막(141)의 절개 부위를 봉합할 수 있다.
션트(200) 장착 후 제1 여과포(140) 내의 안방수가 션트(200)를 통해 제1 여과포(140)의 외측으로 배출됨을 확인하고, 봉합사를 이용하여 결막(130)을 봉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섬유성 막(141)에 션트(200)를 장착하는 수술은 최소침습적으로 행해지므로, 수술에 대한 환자의 신체적, 금전적 부담이 줄어들고, 환자의 회복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여과포(140)에 가해지는 손상이 최소화되므로 결막 궤양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공막과 결막 사이에 형성된 여과포(bleb)의 섬유성 막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여과포 내부의 안방수를 상기 여과포의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션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섬유성 막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섬유성 막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공막을 마주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본체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션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폭은,
    상기 본체의 높이보다 큰,
    션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높이는,
    상기 여과포 내에 배치되는 방수유출장치의 높이보다 작은,
    션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폭은,
    상기 유로의 높이보다 큰,
    션트.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섬유성 막의 외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섬유성 막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션트.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션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성 막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션트.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여과포와 상기 공막의 연결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션트.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보다 얇게 형성되는,
    션트.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두께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션트.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전면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후면에 가까워지는 곡면을 포함하는,
    션트.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면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상면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공막에 가까워지는 곡면을 포함하는,
    션트.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은,
    상기 본체의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공막에 가까워지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곡면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곡면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곡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션트.
  1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는,
    라운딩 처리된 모서리를 포함하는,
    션트.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라운딩 처리된 모서리를 포함하는,
    션트.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성 막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션트 및 제2 션트를 포함하는,
    션트.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션트와 상기 제2 션트는,
    상기 여과포 내에 배치되는 방수유출장치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션트.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션트와 상기 제2 션트는,
    각막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션트.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의 상기 섬유성 막에 장착되는 제1 션트, 및
    상기 여과포의 외부로 배출된 상기 안방수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와 연결되는 제2 여과포의 섬유성 막에 장착되는 제2 션트;를 포함하는,
    션트.
PCT/KR2023/009331 2022-07-05 2023-07-03 녹내장 환자의 섬유성 막용 션트 WO202401031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539A KR20240005440A (ko) 2022-07-05 2022-07-05 녹내장 환자의 섬유성 막용 션트
KR10-2022-0082539 2022-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0310A1 true WO2024010310A1 (ko) 2024-01-11

Family

ID=8945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9331 WO2024010310A1 (ko) 2022-07-05 2023-07-03 녹내장 환자의 섬유성 막용 션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5440A (ko)
WO (1) WO202401031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08B1 (ko) * 2000-01-12 2007-11-27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안내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12246B1 (ko) * 2016-07-18 2018-01-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압 조절용 녹내장 방수유출장치
CN109223302A (zh) * 2018-11-21 2019-01-18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一种房水引流装置及制造方法
KR20210109644A (ko) * 2017-11-08 2021-09-06 아큐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수동으로 조정가능한 안내 유동 조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5529A (ko) 2004-06-01 2007-03-30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안과용 임플란트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방법
KR20200118291A (ko) 2019-04-04 2020-10-15 타이완 파이버 옵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안구 배수용 션트 스텐트
KR102388341B1 (ko) 2020-06-26 2022-04-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직경 조절이 가능한 방수유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08B1 (ko) * 2000-01-12 2007-11-27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안내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12246B1 (ko) * 2016-07-18 2018-01-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압 조절용 녹내장 방수유출장치
KR20210109644A (ko) * 2017-11-08 2021-09-06 아큐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수동으로 조정가능한 안내 유동 조절
CN109223302A (zh) * 2018-11-21 2019-01-18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一种房水引流装置及制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LIMI ALI, KOVALYUK NATALYA, HARASYMOWYCZ PAUL J.: "Tube shunt revision with excision of fibrotic capsule using mitomycin c with and without ologen—a collagen matrix implant: a 3-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GLAUCOMA, NEW YORK, NY, US, vol. 28, no. 11, 1 November 2019 (2019-11-01), US , pages 989 - 996, XP009552346, ISSN: 1057-0829, DOI: 10.1097/IJG.000000000000137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440A (ko)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wing et al. Needle revision with and without 5-fluorouracil for the treatment of failed filtering blebs
US4886488A (en) Glaucoma drainage the lacrimal system and method
US4604087A (en) Aqueous humor drainage device
US6962573B1 (en) C-shaped cross section tubular ophthalmic implant for reduction of intraocular pressure in glaucomatous eyes and method of use
Hodkin et al. Early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Baerveldt implant in complicated glaucomas
US11980574B2 (en) Ocular device for treating glaucoma and related minimally invasive glaucoma surgery method
CA1295907C (en) Glaucoma drainage in the lacrimal system
Molteno et al. The vicryl tie technique for inserting a draining implant in the treatment of secondary glaucoma
US4787885A (en) Hydrogel seton
Kishi et al. The role of the premacular liquefied pocket and premacular vitreous cortex in idiopathic macular hole development
US200502831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of glaucoma and lowering intraocular pressure
JP2002521145A (ja) 緑内障治療用の縫合を使用しない移植可能な器具および方法
Roy et al. Baerveldt implant in refractory glaucoma: long-term results and factors influencing outcome
EP0168201A1 (en) Aqueous humour drainage device
CZ20013822A3 (cs) Zkratové zařízení a způsob jeho pouľití při léčbě glaukomu
US4461295A (en) Laser punctal occlusion
RU2197206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лаукомы
WO2024010310A1 (ko) 녹내장 환자의 섬유성 막용 션트
Dutton Orbital complications of paranasal sinus surgery
RU2307631C1 (ru)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вторичной закрытоугольной глаукомы
WO2020046054A1 (ko) 형태 및 물성 변경이 용이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Kozarsky Review of Surgical Management for Closed-Angle Glaucoma
Khoo et al. Cessation of ocular hypertensive attacks following iStent trabecular micro-bypass stent implantation in a patient with Posner-Schlossman syndrome: a case report
CA1238833A (en) Aqueous humor drainage device
Wilson Cataract surgical problem: Re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357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