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49133A1 -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49133A1
WO2023249133A1 PCT/KR2022/008741 KR2022008741W WO2023249133A1 WO 2023249133 A1 WO2023249133 A1 WO 2023249133A1 KR 2022008741 W KR2022008741 W KR 2022008741W WO 2023249133 A1 WO2023249133 A1 WO 20232491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tensity
curve
pressure
compressio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87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경석
Original Assignee
밸류앤드트러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밸류앤드트러스트(주) filed Critical 밸류앤드트러스트(주)
Publication of WO20232491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491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3Assessment of subject's compliance to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having pressure sensors

Abstract

교정 대상인 신체의 커브(Curve)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압박 강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의복과, 상기 의복에 배치되고 교정 대상인 커브부를 압박하는 커브 압박기와, 상기 의복에 배치되고 상기 커브 압박기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여 상기 커브 압박기의 압박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기와, 상기 커브 압박기 및 상기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압박 강도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
본 발명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AND CORRECTION MONITORING METHOD USING THEREOF)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하여 교정 대상인 신체의 커브(Curve)부와 험프(Hump)부를 압박하여 교정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脊椎, spine)는 사람에게서 목과 등, 허리, 엉덩이, 꼬리뼈 부분에 이르기까지 주요 골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뼈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척추는 7개의 목뼈(경추), 12개의 가슴뼈(흉추), 5개의 허리뼈(요추), 5개의 엉치뼈(천추), 4개의 꼬리뼈(미추)로 구분된다.
한편, 척추 안에는 뇌에서 나온 신경다발로 척수(脊髓, spinal cord)가 존재하며, 이는 중추신경계인 뇌와 말초 신경계인 말초기관들을 잇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척추는 신체의 매우 주요한 부위로써 척추 질환을 앓는 경우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대표적인 척추 질환으로는 경추척추사이원반탈출증, 척추측만증, 요통증후군 및 척추사이원반 탈출증 등이 있다.
특히, 척추측만증(scoliosis)은 대표적인 척추 변형의 하나로 사람의 척추에는 '옆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 또는 '옆으로 굽은 상태'를 뜻하는 '커브'(Curve)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척추측만증은 전체 척추측만증 환자의 절반가량이 10대 청소년일 정도로 성장기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측만의 정도에 따라 다른 조치를 취해야 하나, 병증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단순 관찰조치만 취하는 경우가 많아서 악화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척추측만증의 치료의 목적은, 경도의 커브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고, 중증도 이상의 커브를 교정하고 그 교정을 유지시켜 신체의 균형을 얻고 미용을 호전시키는 것이다.
척추측만증을 조기에 발견한 경우 적절한 보조기 착용 등의 보존적인 방법으로도 심한 커브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보조기구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변형 정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청소년의 경우 성장이 계속되고 있어 그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척추교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불편한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보조기구 사용에 따른 충분한 동기를 부여하지 못해 보조기구의 사용을 쉽게 포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09731호(2011.10.06.)(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척추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척추 커브 등과 같은 척추질환에 대하여 척추 교정과 회복을 위하여 환자가 착용하는 척추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길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내/외피가 기능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등판부와, 등판부에 탈/부착되고 간단한 조작으로 조임이 가능하도록 당김줄 고정구가 구성된 허리밴드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환자 스스로 상기 당김줄 조정구를 이용한 조정이 매우 어려운 구조를 가지는 바, 척추 보조기의 사용 시 필수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자에 따라서 상기 척추측만증은 상기 '커브'(Curve)와 더불어, 신체의 뒤로 돌출된 부분인 '험프(Hump)'도 초래하게 되는데, 상기 커브 및 상기 험프는 환자에 따라서 위치가 다르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커브 및 상기 험프를 압박하기 위한 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커브 또는 상기 험프를 어느 정도의 압박 강도로 압박하여야 하는지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상기 커브 또는 상기 험프의 압박 시간을 준수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교정 대상인 신체의 커브(Curve)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압박 강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환자에게는 교정 장치의 지속적인 착용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 줄 수 있고, 보호자 및 의사에게는 상기 환자가 상기 교정 장치의 착용을 의사의 처방대로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의사에게는 상기 교정 장치의 환자 착용에 대한 주간 및 월간 리포트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커브부의 위치에 맞게 압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강도를 환자 스스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기술적 과제는, 압박센서가 감지하는 압박 강도(압박률), 상기 압박 강도를 이용하여 계산된 착용시간, 및 상기 압박 강도와 착용시간을 이용하여 계산된 순응도를 이용하여 환자의 착용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교정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의복, 커브 압박기, 강도 조절기 및 압력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의복은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커브 압박기는 상기 의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브 압박기는 교정 대상인 신체의 커브(Curve)부를 압박할 수 있다. 상기 강도 조절기는 상기 의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강도 조절기는 상기 커브 압박기와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강도 조절기는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여 상기 커브 압박기의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커브 압박기 및 상기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압박 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커브 압박기 및 상기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근거리 무선통신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의복에는 가이드 레일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커브 압박기 및 상기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커브 압박기 및 상기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는, 바디, 지지플레이트 및 레일 무빙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커브 압박기 및 상기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바디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강도 조절기에는 다이얼 조절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얼 조절기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제1 결합홀 및 제2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홀은 상기 제1 결합홀로부터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홀은 상기 제1 결합홀보다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은 상기 제1 결합홀에 끼움된 후 상기 제2 결합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은, 걸림부, 지지부 및 결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결합홀의 폭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이 폭이 상기 제2 결합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의 일면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결합홀의 폭 및 상기 제2 결합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일면은 상기 걸림부의 상기 일면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상기 일면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부착판 및 가이드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판은 상기 의복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부착판 중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돌기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개구 폭은 상기 가이드홈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도 조절기에는 홀더 고정핀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고정핀은 상기 바디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홀더 고정핀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보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는 상기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에는 상기 홀더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는, 골반밴드(Pelvis Band)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골반밴드는 상기 의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골반밴드는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상기 환자의 골반을 잡아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는, 등판 강화판(Back Reinforcement Plate) 및 험프 패드(Hump Pad)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등판 강화판은 상기 의복의 등판부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험프 패드는 상기 등판 강화판 중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위치와 관련되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어 신체의 험프부를 압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는, 옆구리밴드(Flank Band)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옆구리밴드는 상기 의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옆구리밴드는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상기 환자의 옆구리를 잡아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는, 옆구리 패드(Flank Pad)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옆구리 패드는 상기 옆구리밴드 중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위치와 관련되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어 신체를 압박할 수 있다.
상기 험프 패드 및 상기 옆구리 패드는, 베이스 및 쿠션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등판 강화판 또는 상기 옆구리밴드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쿠션돌기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돌기는 신체를 압박하는 쿠션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 내에는 금속재질의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는, 포인트밴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밴드는 상기 의복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밴드에는 상하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금속 포인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복의 전면부 중앙에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지퍼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환자가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의복에 배치되는 커브 압박기 및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압력센서가 제1 기준압력을 감지하는 의복 착용 감지 단계와, 상기 환자가 상기 의복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가 제2 기준압력을 감지하는 밴드 착용 감지 단계와, 상기 제1 기준압력과 상기 제2 기준압력이 감지된 후, 상기 압력센서가 소정 시간간격에 따라 압박 강도를 측정하는 압박 강도 감지 단계와, 상기 압박 강도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압박 강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환자의 가압 상태를 분석하는 가압 상태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상태는 상기 제1 기준압력 및 상기 제2 기준압력을 기초로 적어도 3개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상태는,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환자에게 통증이 수반되지 않는 최대압력 이상인 과다 압박 상태,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제1 기준압력과 상기 제2 기준압력의 평균값인 평균압력 이상이고 상기 최대압력 미만인 정상 압박 상태,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제1 기준압력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압력과 상기 평균압력 간의 편차를 감산한 최소압력 이상이고 상기 평균압력 미만인 밴드 미착용 상태, 및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최소압력 미만인 장치 미착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제1 기준압력 및 상기 제2 기준압력과 별도의 처방압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받는 처방압력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상태는,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환자에게 통증이 수반되지 않는 최대압력 이상인 과다 압박 상태,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처방압력 이상이고 상기 최대압력 미만인 정상 압박 상태,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제1 기준압력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압력과 상기 제1 기준압력 및 상기 제2 기준압력의 평균값인 평균압력 간의 편차를 감산한 최소압력 이상이고 상기 처방압력 미만인 밴드 미착용 상태, 및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최소압력 미만인 장치 미착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압박 강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착용시간을 함께 표시하고, 상기 착용시간은 상기 가압 상태가 상기 정상 압박 상태, 및 상기 밴드 미착용 상태인 시간을 합산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압박 강도 및 상기 착용시간을 기초로 산출된 순응도에 따라 상기 환자의 가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안내메세지를 부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가압 상태가 상기 과다 압박 상태로 분석되면, 상기 커브 압박기 및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강도 조절기와 상기 커브 압박기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여 상기 커브 압박기의 압박 강도를 조절하는 릴리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교정 대상인 신체의 커브(Curve)부와 근접한 위치인 커브 압박기 및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센서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압력센서가 압박 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교정 대상인 신체의 커브부를 압박하는 커브 압박기의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상기 커브부의 위치에 맞게 상기 커브 압박기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커브부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상기 커브 압박기의 압박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기의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상기 강도 조절기를 조작하여 상기 커브 압박기의 압박 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골반밴드가 상기 환자의 골반을 잡아주기 때문에,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위치와 관련되는 임의의 위치에 험프 패드를 부착하여,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상기 임의의 위치에 돌출된 신체의 험프부를 상기 험프 패드가 압박하기 때문에,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옆구리밴드가 상기 환자의 옆구리를 잡아주기 때문에,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위치와 관련되는 임의의 위치에 옆구리 패드를 부착하여,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상기 임의의 위치를 상기 옆구리 패드가 압박하기 때문에,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상기 험프 패드 및 상기 옆구리 패드에 금속재질의 와이어가 배치되고, 포인트밴드에는 복수개의 금속 포인트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신체 교정 장치를 착용한 채로 촬영한 엑스레이 사진에 상기 금속재질의 와이어 및 상기 금속 포인트가 나타나게 되므로, 의사는 상기 엑스레이 사진에서 상기 와이어 및 상기 금속 포인트를 관찰하여 환자의 커브부 및 험프부의 위치 및 상태를 쉽게 진료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박 강도를 분석하여 환자가 정상적으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의사는 이에 따른 적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처방압력을 입력하여 상기 처방압력을 기초로 가압 상태가 구분되어 분석되므로, 환자에게 개별화, 최적화된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압박 강도와 착용시간을 기초로 산출되는 순응도에 따라 환자의 가압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안내메세지를 출력하므로, 환자의 올바른 장치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과도한 압박 강도가 환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여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강도 조절기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바디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바디 및 지지플레이트의 결합 순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의복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험프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옆구리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포인트밴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통신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
도 16은 도 15에 따른 교정 모니터링 방법에서 제1 기준압력 및 제2 기준압력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5에 따른 교정 모니터링 방법에서 평균압력 및 최소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측정되는 압박 강도에 따라 분석되는 가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처방압력을 통해 측정되는 압박 강도에 따라 분석되는 가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일일 압박률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일별 착용시간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 의복 20 : 지퍼
100 : 강도 조절기 100a : 커브 압박기
101 : 압력센서 102 : 근거리 무선통신부
105 : 와이어 110 : 바디
113 : 관통홀 117 : 홀더 고정핀
117a : 걸림돌기 120 : 다이얼 조절기
140 : 지지플레이트 143 : 보스부
143a : 걸림홈 145 : 레일 무빙 블록
145a : 걸림부 145b : 지지부
145c : 결합부 145e : 가이드홈
145f : 개구부 147a : 제1 결합홀
147b : 제2 결합홀 150 : 가이드 레일
151 : 부착판 152 : 가이드돌기
160 : 골반밴드 170 : 등판 강화판
180 : 험프 패드 181, 201 : 베이스
182, 202 : 쿠션돌기 183, 203 : 와이어
190 : 옆구리밴드 200 : 옆구리 패드
210 : 포인트밴드 215 : 금속 포인트
300, 400, 500 : 사용자 단말기
S100 : 처방압력 입력 단계 S110 : 의복 착용 감지 단계
S120 : 밴드 착용 감지 단계 S130 : 압박 강도 감지 단계
S140 : 가압 상태 분석 단계 S150 : 디스플레이 단계
S160 : 릴리징 단계
P1 : 제1 기준압력 P2 : 제2 기준압력
Pavg : 평균압력 Ps : 처방압력
PMAX : 최대압력 Pmin : 최소압력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의복(10)과, 커브 압박기(100a)와, 강도 조절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복(10)은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상의로 구성될 수 있다. 의복(10)은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조끼(민소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의복(10)은 반드시 조끼 형태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반소매 또는 긴소매 등 다양한 형태의 상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의복(10)은 직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의복(10)은 합성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의복(10)을 포함하기 때문에, 환자가 신체 교정 장치(1)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의복(10)의 전면부 중앙에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지퍼(20)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퍼(20)를 열고 양쪽 팔을 의복(10)의 상부 좌우측에 형성된 홀에 통과시켜 상반신에 걸친 후, 지퍼(20)를 다시 닫아 의복(10)을 상반신에 착용함으로서, 신체 교정 장치(1)를 쉽게 착용할 수 있다.
커브 압박기(100a)는 의복(10)에 배치될 수 있다. 커브 압박기(100a)는 교정 대상인 신체의 커브(Curve)부를 압박할 수 있다. 커브 압박기(100a)는 와이어(105)를 통해 강도 조절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브 압박기(100a)는 크게 두 개의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커브 압박기는(100a)는, 의복(10)에 고정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105)에 의해 당겨져서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제2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트에는 샤프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강도 조절기(100)는 의복(10)에 커브 압박기(100a)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커브 압박기(100a)는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의복(10)의 후방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강도 조절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조절될 수 있도록 의복(10)의 전방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강도 조절기(100)는 커브 압박기(100a)와 와이어(105)로 연결될 수 있다. 강도 조절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와이어(105)의 감김 및 풀림량이 조절되어 사용자는 커브 압박기(100a)의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의복(10)에는 가이드 레일(15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0)은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물론, 가이드 레일(150)은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도 있다.
가이드 레일(150)이 커브 압박기(100a)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경우, 커브 압박기(100a)의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상기 커브부의 위치에 맞게 커브 압박기(100a)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커브부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50)이 강도 조절기(10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경우, 강도 조절기(100)의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강도 조절기(100)를 조작하여 커브 압박기(100a)의 압박 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0)은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 중 적어도 하나를 신체의 임의 위치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0)은, 커브 압박기(100a)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50)로 구성될 수 있고, 강도 조절기(10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5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레일(150)은, 커브 압박기(100a)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반드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50)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1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50)은, 강도 조절기(10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반드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50)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150)로 구성될 수 있다.
커브 압박기(100a), 강도 조절기(100) 및 가이드 레일(150)은, 의복(10)에 결합되어, 의복(10)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레일(150)만 의복(10)에 결합되어 고정 배치되고,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는 가이드 레일(15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는, 의복(10) 중 척추측만증으로 인한 상기 커브부를 교정하기 위한 부위인, 교정 환자의 좌측 옆구리와 대응되는 부위와, 교정 환자의 우측 옆구리와 대응되는 부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의복(10)의 우측에는, 교정 환자의 우측 옆구리 측에 위치된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두 쌍의 가이드 레일(150)이 배설될 수 있다.
또한, 의복(10)의 좌측에는, 교정 환자의 좌측 옆구리 측에 위치된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두 쌍의 가이드 레일(150)이 배설될 수 있다.
따라서, 의복(10)에는 좌측 커브 압박기(100a) 및 좌측 강도 조절기(100)와, 우측 커브 압박기(100a) 및 우측 강도 조절기(100a)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총 8개의 가이드 레일(150)이 설치될 수 있다.
의복(10)의 외측에는 Y자형 압박 밴드(Y)가 설치될 수 있다. Y자형 압박 밴드(Y)는 제1 단부(Y1), 제2 단부(Y2) 및 제3 단부(Y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Y1)는 교정 환자의 등 부위에서 좌측 어깨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단부(Y2)는 제1 단부(Y1)로부터 교정 환자의 등 부위에서 우측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3 단부(Y3)는 제1단부(Y1) 및 제2단부(Y2)의 중간 부분에서 분지되어 교정 환자의 등 부위에서 좌측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의복(10)의 외측에는 L자형 압박 밴드(L)가 설치될 수 있다. L자형 압박 밴드(L)는 제1 단부(L1), 제2 단부(L2) 및 제3 단부(L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L1)는 교정 환자의 등 부위에서 우측 어깨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단부(L2)는 제1 단부(L1)로부터 교정 환자의 좌측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3 단부(L3)는 제2단부(L2)로부터 교정 환자의 등 부위 및 우측 허리를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커브 압박기(100a)는, 교정 환자의 교정이 필요한 부위인 상기 커브부에 해당하는 신체 외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브부에 소정의 교정 압력을 가함으로써, 교정 환자의 상기 커브부를 교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브 압박기(100a)는, 강도 조절기(100)의 와이어(105) 감김 및 풀림량이 조절될 때 교정 환자의 신체 외부에 압박되는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강도 조절기(100)를 이용하여 와이어(105)를 감으면, 커브 압박기(100a)는 교정 환자의 신체 외부를 높은 압력으로 압박할 있다. 반대로, 강도 조절기(100)를 이용하여 와이어(105)를 풀면, 커브 압박기(100a)는 교정 환자의 신체 외부에 가한 압박을 해제할 수 있다.
강도 조절기(100)는 의복(10)의 둘레방향으로 커브 압박기(100a)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와이어(105)를 통해 연결된 커브 압박기(100a)의 신체 외부에 대한 압박 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골반밴드(Pelvis Band,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골반밴드(160)는 의복(1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골반밴드(160)는 의복(10) 중 환자의 골반과 대응되는 부분을 감싸서 환자의 골반을 감쌀 수 있다.
골반밴드(160)는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상기 환자의 골반을 잡아줄 수 있다. 따라서,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한편,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가 가이드 레일(150)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지만, 가이드 레일(150)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 후술할 바디(110), 지지플레이트(140) 및 레일 무빙 블록(145)을 공통 구성으로 가질 수 있다. 다만, 강도 조절기(100)와는 달리 커브 압박기(100a)의 바디(110)에는, 후술할 다이얼 조절기(120) 및 다이얼 커버(13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강도 조절기(100)의 구체적인 구성만을 설명하고, 커브 압박기(100a)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강도 조절기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바디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바디 및 지지플레이트의 결합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강도 조절기(100)는 바디(110)와, 지지플레이트(140)와, 레일 무빙 블록(145)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0)는 강도 조절기(100)의 외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11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의복(10)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40)는 바디(110) 및 가이드 레일(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40)는 바디(110)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 무빙 블록(145)은 지지플레이트(140)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 무빙 블록(145)은 가이드 레일(150)에 가이드 레일(15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레일 무빙 블록(145)은 가이드 레일(150) 하나당 한 쌍의 레일 무빙 블록(145)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0)에 하나에 설치되는 레일 무빙 블록(145)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레일 무빙 블록(145)이 가이드 레일(150)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바디(110)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50) 간의 이격거리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바디(110)는 교정 환자의 신체 굴곡에 대응되도록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강도 조절기(100)는 다이얼 조절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조절기(120)는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105)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이얼 조절기(120)는 바디(110)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와이어(105)는 다이얼 조절기(12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강도 조절기(100)는 다이얼 조절기(120)를 덮는 다이얼 커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커버(130)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이얼 조절기(120)를 외부에서 커버할 수 있으며,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는 동작으로 다이얼 조절기(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강도 조절기(100)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05)는 커브 압박기(100a)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커브 압박기(100a)는, 강도 조절기(100)의 다이얼 조절기(120)의 외주면에 와이어(105)가 감길 때 교정 부위인 신체 외관 부위를 압박할 수 있고, 강도 조절기(100)의 다이얼 조절기(120)의 외주면에서 와이어(105)가 풀릴 때 압박이 해제될 수 있다.
바디(110)는 지지플레이트(140)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140)는 4개의 레일 무빙 블록(145)을 매개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50)에 가이드 레일(15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40)는 바디(110)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40)의 외측면은 바디(110)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지지플레이트(14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레일 무빙 블록(145)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4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레일 무빙 블록(145)을 통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5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강도 조절기(100)는 홀더 고정핀(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 고정핀(117)은 바디(110) 및 지지플레이트(140)를 결합할 수 있다. 바디(110) 및 지지플레이트(140) 각각의 모서리부는 복수개의 홀더 고정핀(117)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바디(110)에는 관통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3)은 바디(110)의 모서리부에 하나씩 형성되어, 바디(110)에는 복수개의 관통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40)에는 관통홀(113)로 삽입되는 보스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143)는 지지플레이트(14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143)는 지지플레이트(140) 중 바디(110)를 대향하는 외측면에서 바디(11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40)는 바디(110)와 대응되는 형상인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보스부(143)는 지지플레이트(140)의 모서리부에 하나씩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140)에는 4개의 보스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143)에는 홀더 고정핀(117)이 삽입될 수 있다. 즉, 보스부(143)가 바디(110)의 관통홀(113)로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 고정핀(117)은 홀더 고정핀(117)의 머리부를 제외한 부분이 바디(110)의 외측에서 보스부(143)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홀더 고정핀(117)의 머리부는 바디(110)의 관통홀(113) 내벽의 돌기에 걸림될 수 있다.
홀더 고정핀(117)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117a)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17a)는 홀더 고정핀(117) 중 보스부(143)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스부(143)에는 홀더 고정핀(117)과 체결되는 걸림홈(143a)이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143)의 상기 홈 내측에는 홀더 고정핀(117)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17a)가 걸림되는 걸림홈(143a)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홀더 고정핀(117)을 보스부(143)의 내측으로 삽입한 다음, 홀더 고정핀(117)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홀더 고정핀(117)의 걸림돌기(117a)가 보스부(143)의 걸림홈(143a)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바디(110) 및 지지플레이트(14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15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레일(150)에 2개의 레일 무빙 블록(145)이 배치되어 지지플레이트(140)의 폭방향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 레일(150)에 2개의 레일 무빙 블록(145)이 배치되어 지지플레이트(140)의 폭방향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지지플레이트(140)에는 다수의 장착홀(147)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장착홀(147)은 제1 결합홀(147a) 및 제2 결합홀(147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플레이트(140)에는 제1 결합홀(147a) 및 제2 결합홀(147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147b)은 제1 결합홀(147a)로부터 레일 무빙 블록(145)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홀(147b)은 제1 결합홀(147a)보다 레일 무빙 블록(145)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레일 무빙 블록(145)은 제1 결합홀(147a)에 끼움된 후 제2 결합홀(147b)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지지플레이트(140)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 무빙 블록(145)은 걸림부(145a), 지지부(145b) 및 결합부(145c)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45a)는 레일 무빙 블록(145)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제1 결합홀(147a)의 폭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45a)는 레일 무빙 블록(145)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제2 결합홀(147b)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45b)는 레일 무빙 블록(145)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제1 결합홀(147a)의 폭 및 제2 결합홀(147b)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45) 및 지지부(145b)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140) 중 제2 결합홀(147b)의 양측에 배치된 부분이 삽입되는 걸림홈(145d)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 무빙 블록(145)의 걸림부(145a)가 작업자에 의해 제1 결합홀(147a)에 끼움된 후 제2 결합홀(147b)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지지플레이트(140) 중 제2 결합홀(147b)의 양측에 배치된 부분인 걸림홈(145d)에 걸림되기 때문에, 레일 무빙 블록(145)은 지지플레이트(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 무빙 블록(145)이 지지플레이트(140)에 결합된 상태일 때에는, 걸림부(145a)의 일면은 지지플레이트(140)의 외측면에 접촉될 수 있고, 지지부(145b)의 일면은 지지플레이트(14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45a)의 상기 일면과 지지부(145b)의 상기 일면은 서로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145a)의 상기 일면은 걸림부(145a)의 내측면일 수 있고, 지지부(145b)의 상기 일면은 지지부(145b)의 외측면일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40)에는 제1 결합홀(147a) 및 제2 결합홀(147b)이 다수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147a) 및 제2 결합홀(147b)은 상호 연결된 구멍으로써, 제1 결합홀(147a)의 길이 및 폭은 레일 무빙 블록(145)의 걸림부(145a)의 길이 및 폭보다 크게 형성되되, 제2 결합홀(147b)의 길이 및 폭은 레일 무빙 블록(145)의 걸림부(145a)의 길이 및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무빙 블록(145)의 걸림부(145a)는 제1 결합홀(147a)을 관통할 수 있으나, 제2 결합홀(147b)을 관통할 수는 없다.
아울러, 레일 무빙 블록(145)의 지지부(145b)의 길이 및 폭은, 지지플레이트(140)의 제1 결합홀(147a) 및 제2 결합홀(147b)의 길이 및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무빙 블록(145)의 지지부(145b)는, 상대적으로 큰 구멍인 제1 결합홀(147a)과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인 제2 결합홀(147b)을 모두 관통할 수 없고, 지지플레이트(14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물론, 레일 무빙 블록(145)의 걸림부(145a)와 지지부(145b) 사이는 상호 연결부(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하여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레일 무빙 블록(145)이 제2 결합홀(147b) 측으로 슬라이딩 무빙될 수 있도록 그 길이 및 폭의 크기는 제2 결합홀(147b)의 길이 및 폭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레일 무빙 블록(145)의 걸림부(145a)를 지지플레이트(140)의 제1 결합홀(147a)을 관통시켜 레일 무빙 블록(145)의 지지부(145b)가 지지플레이트(140)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레일 무빙 블록(145)을 제2 결합홀(147b) 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 핀(144)을 지지플레이트(140)에 형성된 고정홀(149)을 관통시켜 고정시키면, 레일 무빙 블록(145)을 지지플레이트(140)에 결합하는 공정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지지플레이트(140)의 4개소에 제1 결합홀(147a) 및 제2 결합홀(147b)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1 결합홀(147a) 및 제2 결합홀(147b)에 4개의 레일 무빙 블록(145)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45c)는 지지부(145b)의 타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45b)의 타면은 지지부(145b)의 내측면일 수 있다. 결합부(145c)에는 가이드 레일(1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145e)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0)은 부착판(151) 및 가이드돌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판(151)은 의복(110)에 결합될 수 있다. 부착판(151)은 의복(110)에 봉제 및 본딩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52)는 부착판(151) 중 레일 무빙 블록(145)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52)는 레일 무빙 블록(145)의 결합부(145c)에 형성된 가이드홈(145e)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부착판(151)은 의복(10)의 외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되, 가이드돌기(152)가 부착판(151)의 부착점을 기준으로 자유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레일 무빙 블록(145)의 결합부(145c)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45e)과, 가이드 레일(15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52)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서, 가이드돌기(152)가 가이드홈(145e)에 삽입되어 레일 무빙 블록(145)이 가이드 레일(150)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일 때, 레일 무빙 블록(145)이 원활하게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레일 무빙 블록(145)의 결합부(145c)에는 가이드홈(145e)의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145f)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0)의 가이드돌기(152)가 가이드홈(145e)에 삽입된 상태일 때, 개구부(145f)에는 가이드 레일(150)의 부착판(151)이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145f)의 개구 폭은 가이드홈(145e)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가이드돌기(152)가 가이드홈(145e)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45f)의 개구 폭은 부착판(151)의 두께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서, 레일 무빙 블록(145)이 원활하게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52)의 직경은 부착판(151)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52)의 직경은 레일 무빙 블록(145)의 결합부(145c)에 형성된 가이드홈(145e)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 무빙 블록(145)의 결합부(145c)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45c)의 내경은 가이드 레일(150)의 가이드돌기(152)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서, 커브 압박기(100a) 또는 강도 조절기(10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 시, 레일 무빙 블록(145)는 가이드돌기(152)에 걸림되지 않고 가이드돌기(152)를 따라 용이하게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교정 환자가 상반신에 착용하는 의복(10)에 배치되어 척추측만증 증상을 앓고 있는 교정 환자의 신체 일부를 압박하도록 구비되되, 신체 외부의 어느 일 지점에서 특정 지점으로 압박 부위가 변경되도록 가이드 레일(150)을 따라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 중 적어도 하나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반드시 교정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의복(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되는 의류 또는 기구에 적용됨으로써 그 범용성을 확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추가되는 바, 이에 대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의복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험프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옆구리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골반밴드(Pelvis Band, 160), 등판 강화판(Back Reinforcement Plate, 170), 험프 패드(Hump Pad, 180), 옆구리밴드(Flank Band, 190) 및 옆구리 패드(Flank Pad, 190)를 포함할 수 있다.
골반밴드(160)는 의복(1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골반밴드(160)의 일부는 의복(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골반밴드(160)의 나머지부는 의복(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골반밴드(160)는 의복(10) 중 환자의 골반과 대응되는 부분을 감싸서 환자의 골반을 감쌀 수 있다. 골반밴드(160)는 환자의 골반을 탄력적으로 압박할 있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골반밴드(160)는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상기 환자의 골반을 잡아줄 수 있다. 따라서,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등판 강화판(170)은 의복(10)의 등판부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등판 강화판(170)은 의복(10)의 등판부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환자의 등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해줌으로서,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등판 강화판(170)에는 상하로 긴 개구홀(174)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홀(174)은 등판 강화판(170)의 좌우측 사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홀(174)은 환자의 등뼈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환자가 신체 교정 장치(1)를 착용한 상태일 때, 환자의 굽어진 등뼈는 단단한 재질의 등판 강화판(170)에 접촉되지 않고 개구홀(174)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환자는 신체 교정 장치(1)의 착용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험프 패드(180)는 등판 강화판(174) 중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위치와 관련되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어 신체의 험프부를 압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위치는 환자 또는 의사에 의해 임의적으로 선택된 위치일 수 있다.
험프 패드(180)는 베이스(181) 및 쿠션돌기(18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81)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81)는 등판 강화판(170)에 부착될 수 있다. 쿠션돌기(182)는 베이스(18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쿠션돌기(182)는 신체를 압박하는 쿠션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181)는 쿠션돌기(182)를 지지할 수 있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81)의 타면에는 벨크로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벨크로를 통해 험프 패드(180)는 등판 강화판(170)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81)의 테두리 내에는 금속재질의 와이어(183)가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183)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등판 강화판(170)에 험프 패드(180)를 부착한 상태로 신체 교정 장치(1)를 착용한 후 엑스레이 사진을 촬영하면, 촬영된 엑스레이 사진에 와이어(183)가 하얀색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사는 엑스레이 사진에서 와이어(183)를 관찰하여 상기 험프부의 위치 및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옆구리밴드(190)는 의복(10)에 배치될 수 있다. 옆구리밴드(190)의 일부는 의복(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옆구리밴드(190)의 나머지부는 의복(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옆구리밴드(190)는 의복(10) 중 환자의 옆구리와 대응되는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옆구리밴드(190)는 환자의 옆구리를 탄력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옆구리밴드(190)는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상기 환자의 옆구리를 잡아줄 수 있다. 따라서,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옆구리 패드(200)는 옆구리밴드(190) 중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위치와 관련되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어 신체를 압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위치는 환자 또는 의사에 의해 임의적으로 선택된 위치일 수 있다.
옆구리 패드(200)는 험프 패드(18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옆구리 패드(200)는 험프 패드(180)보다는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옆구리 패드(200)는, 험프 패드(180)와 형상만 다르고 동일한 구성으로서 형성되어서, 베이스(201) 및 쿠션돌기(20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1)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1)는 옆구리밴드(190)에 부착될 수 있다. 쿠션돌기(202)는 베이스(20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쿠션돌기(202)는 신체를 압박하는 쿠션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201)는 쿠션돌기(202)를 지지할 수 있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1)의 타면에는 벨크로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벨크로를 통해 옆구리 패드(200)는 옆구리밴드(190)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201)의 테두리 내에는 금속재질의 와이어(203)가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203)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옆구리밴드(190)에 옆구리 패드(200)를 부착한 상태로 신체 교정 장치(1)를 착용한 후 엑스레이 사진을 촬영하면, 촬영된 엑스레이 사진에 와이어(203)가 하얀색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사는 엑스레이 사진에서 와이어(203)를 관찰하여 상기 커브부 및 상기 험프부의 위치 및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험프 패드(180) 및 옆구리 패드(200)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와이어(183, 203)가 배치되기 때문에, 의사는 엑스레이 사진에서 와이어(183, 203)를 관찰하여 상기 커브부 및 상기 험프부의 위치 및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엑스레이 사진에서 상기 커브부 및 상기 험프부의 위치 및 상태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후술할 포인트밴드(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포인트밴드(210)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1에 포인트밴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의복(10)에는 포인트밴드(210)가 부착될 수 있다. 포인트밴드(210)는 의복(10)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위치는 의사에 의해 임의적으로 선택된 위치일 수 있다.
포인트밴드(210)에는 상하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금속 포인트(215)가 배치될 수 있다. 금속 포인트(215)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의복(10)에 포인트밴드(210)를 부착한 상태로 신체 교정 장치(1)를 착용한 후 엑스레이 사진을 촬영하면, 촬영된 엑스레이 사진에 금속 포인트(215)가 하얀색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사는 엑스레이 사진에서 금속 포인트(215)를 관찰하여 상기 커브부 및 상기 험프부의 위치 및 상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강도 조절기(100)에는 압력센서(101)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압력센서(101)는 반드시 강도 조절기(100)에만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압력센서(101)는 상하로 위치가 조절되는 구성인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압력센서(101)는 Y자형 압박 밴드(Y), L자형 압박 밴드(L), 골반밴드(160) 및 옆구리밴드(19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압력센서(101)가 본 실시예와 같이 상하로 위치가 조절되는 구성인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경우, 교정대상인 신체의 커브부의 위치에 따라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교정대상인 상기 커브부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압박 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압력센서(101)는 커브 압박기(100a)의 압박 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센서(101)는,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 정전 용량형 압력센서 또는 압전식 압력센서일 수 있다.
강도 조절기(100)에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0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근거리 무선통신부(102)는 반드시 강도 조절기(100)에만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근거리 무선통신부(102)는, 상하로 위치가 조절되는 구성인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압력센서(101)와 함께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될 수 있다.
척추측만증 환자는 좌측 척추측만증 환자 또는 우측 척추측만증 환자가 있으므로, 압력센서(101) 및 근거리 무선통신부(102)는 상기 좌측 척추측만증 환자 및 상기 우측 척추측만증 환자 모두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는 의복(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압력센서(101) 및 근거리 무선통신부(102)는, 의복(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측에 설치된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와, 의복(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우측에 설치된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부(102)는 압력센서(101)가 감지한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에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02)와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30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통신부(102, 302)는 블루투스 통신부 또는 와이파이 통신부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은 압력센서(101)가 감지한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관리 서비스 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를 제조하여 판매하는 사업자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교정관리 서비스 앱이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는, 커브 압박기(100a)의 압박 강도(압박률)와, 상기 압박 강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신체 교정 장치(1)의 착용시간과, 상기 압박 강도 및 착용시간을 이용하여 계산한 교정 환자의 순응도(compliance) 등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에 설치된 상기 교정관리 서비스 앱은, 압력센서(101)가 감지한 상기 압박 강도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고, 압력센서(101)가 감지한 상기 압박 강도가 유지되는 시간을 신체 교정 장치(1)의 착용시간으로 계산한 후, 상기 착용시간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압박 강도 및 상기 착용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순응도를 계산한 후, 상기 순응도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는 상기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설치하여 상기 교정관리 서비스 앱에 출력되는 상기 압박 강도, 상기 착용시간 및 상기 순응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는 모바일 폰, 태블릿 PC일 수 있다.
상기 교정관리 서비스 앱에서 출력되는 상기 압박 강도, 상기 착용시간 및 상기 순응도는 그래프 또는 숫자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교정관리 서비스 앱의 상기 압박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척추측만증 환자에게는 본 발명의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의 착용시간(예를 들면, 18시간 이상)을 준수하는지와, 상기 압박 강도를 올바르게 유지하는지가 중요한데, 본 발명의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에는 압력센서(101) 및 근거리 무선통신부(10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신체 교정 장치(1)의 착용시간을 준수하는지와, 상기 압박 강도를 올바르게 유지하는지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실행하면,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 화면의 하단부에 홈 아이콘, 차트 아이콘 및 설정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차트 아이콘은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 화면의 하단부 중앙에 표시될 수 있고, 상기 홈 아이콘은 상기 차트 아이콘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아이콘은 상기 차트 아이콘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홈 아이콘의 아래에는 홈이라는 글씨가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차트 아이콘의 아래에는 차트라는 글씨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아이콘의 아래에는 설정이라는 글씨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홈 아이콘을 터치할 시 도 1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의 화면이 홈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차트 아이콘을 터치할 시 도 1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의 화면이 차트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설정 아이콘을 터치할 시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의 화면은 설정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설정 아이콘을 터치한 후 표시되는 상기 설정 화면에 의사가 처방한 신체 교정 장치(1)의 착용시간 및 압박 강도(압박률)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홈 화면에는 도 13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 화면에서 입력한 압박 강도 대비 현재 압박률이 원형의 그래프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화면에서 입력한 착용시간에 대한 현재 착용시간이 좌우로 긴 직선형의 그래프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차트 화면에는 도 13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 화면에서 입력한 착용시간에 대한 일별 착용시간이 상하로 긴 직선형의 그래프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화면에서 입력한 압박 강도 대비 일별 압박률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속적인 직선형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통신 상태도이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는 네트워크 통신부(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는 네트워크 통신부(304)를 통해 서버(6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는 환자용 단말기(300), 보호자용 단말기(400), 의사용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용 단말기(300)는 환자가 소지할 수 있고, 보호자용 단말기(400)는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소지할 수 있으며, 의사용 단말기(500)는 상기 환자가 외래하는 병원의 담당 의사가 소지할 수 있다.
환자용 단말기(30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302)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부(102)와 통신하여,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의 압력센서(101)가 감지한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환자용 단말기(300)의 네트워크 통신부(304)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600)와 통신하여, 수신된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6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서버(600)는 환자용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용 단말기(400) 및 의사용 단말기(300)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부(304)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600)와 통신하여, 서버(600)에 저장된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6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의 압력센서(101)가 감지한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는 환자용 단말기(300), 보호자용 단말기(400) 및 의사용 단말기(500)와 공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언급하거나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 도 16은 도 15에 따른 교정 모니터링 방법에서 제1 기준압력 및 제2 기준압력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7은 도 15에 따른 교정 모니터링 방법에서 평균압력 및 최소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12, 및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의복 착용 감지 단계(S110), 밴드 착용 감지 단계(S120), 압박 강도 감지 단계(S130), 및 디스플레이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복 착용 감지 단계(S110)에서, 환자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 중 의복(10)을 착용할 수 있고, 환자가 의복(10)을 착용한 상태에서 의복(10)에 배치되는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압력센서(101)가 제1 기준압력(P1)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기준압력(P1)을 기초로, 후술하는 가압 상태가 분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 중 의복(10)을 정상적으로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압박 강도 감지 단계(S120)에서, 환자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 중 의복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밴드를 착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밴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의 일 구성인 L자형 압박밴드(L), Y자형 압박밴드(Y), 골반밴드(160), 옆구리밴드(190), 및 포인트밴드(2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가 적어도 하나의 밴드를 착용하면, 환자의 신체는 의복(10)만을 착용하였을 때보다 가압될 수 있다. 이 때, 압박 강도 감지 단계(S120)에서, 환자가 의복(1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압력센서(101)는 제2 기준압력(P2)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기준 압력(P2)을 기초로, 후술하는 가압 상태가 분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 중 적어도 하나의 밴드(L, Y, 160, 190, 210)를 정상적으로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압박 강도 감지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 강도 감지 단계(S130)에서, 압력센서(101)는 소정 시간간격에 따라 압박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압박 강도 감지 단계(S130)는 의복 착용 감지 단계(S110)에서 제1 기준압력(P1)을 감지하고, 밴드 착용 감지 단계(S120)에서 제2 기준압력(P2)을 감지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압박 강도 측정 단계(S130)에서, 압력센서(101)는 일반적으로 소비전력이 최소화된 슬립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간격마다(예를 들면, 1분 내지 5분) 동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동작 모드에서 압력센서(101)는 환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박강도는 kgf 단위로 측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압력센서(101)가 압박 강도를 측정하면, 상기 압력센서(101)는 무선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 중 적어도 하나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측정된 압박 강도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력 센서(101)는 환자용 단말기(300)에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측정된 압박 강도를 전송할 수 있고, 환자용 단말기(300)는 측정된 압박 강도를 네트워크를 통해 보호자용 단말기(400), 의사용 단말기(500), 및 서버(6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압박 강도가 전송되고 일정한 대기시간(예를 들면, 10초)이 경과하면, 압력센서(101)에 내장된 메모리에 측정된 압박 강도가 저장되고 압력센서(101)는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만약 압력센서(101)가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 및 서버(600) 중 어느 하나와도 연결되지 않은 경우, 압력센서(101)에 내장된 메모리에 측정된 압박 강도가 저장되고 압력센서(101)는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디스플레이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15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는 압박 강도 감지 단계(S130)에서 측정된 압박 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는 압박 강도를 원형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는 압박 강도를 꺾은선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150)에서 압박 강도를 표시할 때, 압박 강도는 시간별 평균 압박 강도로 표시될 수 있으나, 반드시 나열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환자, 보호자, 의사가 각각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를 통해, 사용자(환자, 보호자, 의사 중 적어도 하나)는 환자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를 올바르게 착용하여 척추 교정이 원활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가압 상태 분석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상태 분석 단계(S140)에서, 측정된 압박 강도에 따라 환자의 가압 상태가 분석될 수 있다. 즉, 측정된 압박 강도를 통해 환자의 신체가 정상적으로 교정되고 있는지 분석될 수 있다. 가압 상태 분석 단계(S140)는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 및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와 통신하는 서버(600) 중 적어도 하나의 연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압 상태 분석 단계(S140)에서 측정된 압박 강도가 분류되는 가압 상태의 범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측정되는 압박 강도에 따라 분석되는 가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가압 상태는 제1 기준압력(P1) 및 제2 기준압력(P2)을 기초로 적어도 3개의 상태를 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압 상태는 환자가 의복(10)을 착용하지 않은 장치 미착용 상태, 환자가 의복(10)을 착용하였으나 밴드를 착용하지 않은 밴드 미착용 상태, 환자가 의복(10)과 밴드를 착용한 정상 착용 상태, 및 환자가 의복(10)과 밴드를 착용하였으나 압박 강도가 환자에 신체에 과도하게 부여되는 과다 압박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들은 전술한 제1 기준압력(P1)과 제2 기준압력(P2)을 기초로 구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과다 압박 상태는 환자에게 통증이 수반되지 않는 최대압력(PMAX) 이상의 압박 강도를 가지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최대압력(PMAX) 이상의 압박 강도가 환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경우, 환자는 가압력에 의한 통증(예를 들면, 흉통), 및 호흡 곤란 등과 같은 불편을 경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최대압력(PMAX)은 5kgf일 수 있으나, 반드시 개시된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상 착용 상태는 측정된 압박 강도(P)가 제1 기준 압력(P1)과 제2 기준압력(P2)의 평균값인 평균압력(Pavg; 0.5*(P1+P2)) 이상이고 최대압력(PMAX) 미만인 상태일 수 있다. 압박 강도가 정상 착용 상태 범위 이내인 경우, 환자는 자세 교정을 위해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를 정확하게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밴드 미착용 상태는 측정된 압박 강도(P)가 최소압력(Pmin) 이상이고 평균압력(Pavg) 미만인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최소압력(Pmin)은, 제1 기준압력(P1)으로부터 제1 기준압력(P1)과 평균압력(Pavg) 간의 편차(d)를 감산한 압력(Pavg - d)일 수 있다. 즉, 최소압력(Pmin)은 (1.5*P1 - 0.5*P2)일 수 있다. 압박 강도(P)가 밴드 미착용 상태 범위 이내인 경우, 환자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 중 의복(10)은 착용하였으나 의복(1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밴드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미착용 상태는 측정된 압박 강도(P)가 최소압력(Pmin) 미만인 상태일 수 있다. 압박 강도(P)가 장치 미착용 상태 범위 이내인 경우, 환자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 중 의복(10)을 정상적으로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가압 상태가 장치 미착용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환자는 의복(10)을 착용하지 않았거나, 의복(10)의 지퍼(20)를 체결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 상태 분석 단계(S130)를 통해 환자의 가압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신체가 정상적으로 교정되고 있는지 여부가 정확하게 분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의 다른 예시에서 처방압력을 입력함에 따라 가압 상태 분석 단계(S140)에서 적용되는 가압 상태의 상이한 범위 기준이 적용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처방압력을 통해 측정되는 압박 강도에 따라 분석되는 가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처방압력 입력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방압력 입력 단계(S100)는 가압 상태 분석 단계(S14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처방압력 입력 단계(S100)는 의복 착용 감지 단계(S110)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밴드 착용 감지 단계(S120)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처방압력 입력 단계(S100)는 압박 강도 감지 단계(S130)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처방압력 입력 단계(S10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에 표시되는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환자의 일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환자의 신체를 교정하기 위해 필요한 처방압력(Ps) 및 처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처방압력(Ps)은 환자가 진료를 통해 의사로부터 처방받은 권장 압박 강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압력센서(101)에 의해 감지된 제1 기준압력(P1)과 제2 기준압력(P2)과 별도의 처방압력(Ps)을 입력받으며, 상기 처방압력(Ps)을 기초로 가압 상태가 구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다 압박 상태, 정상 압박 상태, 밴드 미착용 상태, 및 장치 미착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과다 압박 상태와 장치 미착용 상태의 범위는 전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정상 압박 상태는 측정된 압박 강도(P)가 처방압력(Ps) 이상이고 최대압력(PMAX) 미만인 상태일 수 있고, 밴드 미착용 상태는 측정된 압박 강도(P)가 최소압력(Pmin) 이상이고 처방압력(Ps) 미만인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방압력(Ps)을 기초로 가압 상태가 구분되어 분석되므로, 환자에게 개별화, 최적화된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으며, 환자에게 보다 적합한 신체 교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착용시간이 표시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일일 압박률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일별 착용시간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단계(S150)는 압박 강도(P)를 이용하여 계산한 착용시간을 함께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에 표시할 수 있다. 착용시간은 환자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를 착용한 시간을 합산하여 계산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시간은 전술한 가압 상태가 정상 압박 상태 및 밴드 미착용 상태인 시간을 합산하여 계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착용시간은 과다 압박 상태인 시간을 더 합산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즉, 착용시간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의 의복(10)과 적어도 하나의 밴드를 모두 완벽하게 착용하지 않더라도, 밴드 미착용 상태인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시간이 임계 착용시간 이상이지만 가압 강도가 임계 가압 강도 미만인 경우, 환자는 완전히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를 착용하는 것을 포기한 것이 아니므로, 가압 강도만을 보다 높임으로써 환자의 정상적인 장치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일 시간별 압박률 그래프가 나타난다. 일일 압박률 그래프는 전술한 압력센서(101)가 임의의 제1 시점에서 임의의 제1 압박 강도(Pa)를 감지하고, 임의의 제2 시점에서 임의의 제2 압박 강도(Pb)를 감지한 경우, 임의의 제1 시점과 임의의 제2 시점 사이의 압박 강도(P)는 제1 압박 강도(Pa)와 제2 압박 강도(Pb)를 보간하는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일일 시간별 압박률 그래프는 시간별 적어도 1회 측정된 압박 강도(P)들의 평균값으로 계산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일일 시간별 압박률 그래프에서, 정상 압박 상태에서의 압박 강도와 밴드 미착용 상태에서의 압박 강도가 일정한 영역에 패턴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패턴 영역 내에 압박 강도가 위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환자의 정상적인 커브부 압박이 수행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별 착용시간 그래프가 나타난다. 일별 착용시간 그래프는 하루동안 밴드 미착용 상태인 시간과 정상 압박 상태인 시간을 합산함으로서 계산 및 도시될 수 있다. 일별 착용시간 그래프는 정상 압박 상태시간 그래프, 밴드 미착용 상태시간 그래프, 및 정상 압박 상태시간과 밴드 미착용 상태시간을 합산한 착용시간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별 착용시간 그래프에서, 임계 착용시간 이상의 시간이 일정한 영역에 패턴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임계 착용시간인 18시간 이상의 영역이 패턴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패턴 영역 내에 착용시간이 위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환자가 충분한 착용시간을 준수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내용 이외에도, 주별 착용시간 그래프, 월별 착용시간 그래프가 추가적으로 계산 및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통계화된 착용시간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순응도에 따라 환자의 가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안내메세지가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에서, 디스플레이 단계(S150)는 압박 강도(P) 및 착용시간을 기초로 산출된 순응도에 따라 환자의 가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안내메세지를 부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평균 압박 강도(P)가 임계 압박 강도 미만이고, 평균 착용시간이 임계 착용시간 미만인 경우, 환자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를 착용하는 습관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순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낮은 압박 강도부터 꾸준한 착용시간을 들여 착용할 것을 권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낮은 순응도에서 환자의 가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밴드를 필수적으로 착용하지 않더라도 의복(10)을 착용하는 시간을 늘려갈 것을 권유하는 취지의 안내메세지가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평균 압박 강도(P)가 임계 압박 강도 미만이고, 평균 착용시간이 임계 착용시간 이상인 경우, 환자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를 꾸준하게 착용하는 습관은 형성되어 있으나, 압박 강도(P)가 약하여 순응도가 중간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존의 압박 강도(P)보다 보다 더 높은 압박 강도(P)로 장치를 착용할 것을 권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중간 순응도에서의 환자의 가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밴드의 착용을 확인하여 압박 강도를 상승시켜 교정 효율을 극대화할 것을 권유하는 취지의 안내메세지가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다른 예시로, 평균 압박 강도(P)가 임계 압박 강도 이상이고, 평균 착용시간이 임계 착용시간 이상인 경우, 환자는 정확하게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를 착용하고 있고 순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현재의 착용 습관을 유지할 것을 권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높은 순응도에서, 환자의 가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환자의 착용 습관을 유지할 것을 권유하는 취지의 안내메세지가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박 강도(P)와 착용시간을 기초로 산출된 순응도에 따라 환자의 가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안내메세지가 출력됨으로써, 환자는 보다 효과적인 신체 교정을 위한 장치 조절을 수행할 수 있고, 신체 교정 효율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단계(S15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에 표시되는 내용은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환자는 환자가 소지한 환자용 단말기(300)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정상적으로 신체 교정이 수행되는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순응도에 따라 출력되는 안내메세지를 통해 신체 교정의 긍정적인 동기부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른 예시로, 환자의 보호자는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용 단말기(400)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환자와 접촉하지 않더라도 환자의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의 착용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호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이점이 있다. 또다른 예시로, 의사는 의사용 단말기(500)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일별, 주별, 월별로 환자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를 착용하여 생성된 통계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환자의 착용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후속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단계(S150)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부합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릴리징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릴리징 단계(S16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 또는 서버(600)는 가압 상태가 과다 압박 상태로 분석되면,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에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인가된 제어 신호에 따라, 강도 조절기(100)와 커브 압박기(100a)를 연결하는 와이어(105)의 감김 및 풀림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커브 압박기(100a)의 압박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압박 강도(P)가 최대압력(PMAX) 이상인 경우 상기 가압 상태는 과도 압박 상태로 판단될 수 있고, 와이어가 느슨해지도록 제어되어 상기 가압 상태를 정상 압박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를 통해 환자의 신체에 과도한 압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압박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신체 압박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통증 또는 호흡 곤란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교정 대상인 신체의 커브(Curve)부와 근접한 위치인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센서(101)가 설치되기 때문에, 압력센서(101)가 압박 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압력센서(101)가 감지한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00, 400, 500)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커브 압박기(100a)의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상기 커브부의 위치에 맞게 커브 압박기(100a)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커브부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커브 압박기(100a)의 압박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기(100)의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강도 조절기(100)를 조작하여 커브 압박기(100a)의 압박 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골반밴드(160)가 상기 환자의 골반을 잡아주기 때문에,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위치와 관련되는 임의의 위치에 험프 패드(180)를 부착하여,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상기 임의의 위치에 있는 신체의 험프부를 험프 패드(180)가 압박하기 때문에,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옆구리밴드(190)가 상기 환자의 옆구리를 잡아주기 때문에,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위치와 관련되는 임의의 위치에 옆구리 패드(200)를 부착하여,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상기 임의의 위치를 옆구리 패드(200)가 압박하기 때문에, 커브 압박기(100a)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험프 패드(180) 및 옆구리 패드(200)에 금속재질의 와이어(183, 203)가 배치되고, 포인트밴드(210)에는 복수개의 금속 포인트(215)가 배치되기 때문에, 신체 교정 장치(1)를 착용한 채로 촬영한 엑스레이 사진에 상기 금속재질의 와이어(183, 203) 및 금속 포인트(215)가 나타나게 되므로, 의사는 상기 엑스레이 사진에서 와이어(183, 203) 및 금속 포인트(215)를 관찰하여 환자의 상기 커브부 및 상기 험프부 위치 및 상태를 쉽게 진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는, 교정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의복(10)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경추 측에 착용되는 경추 의복부, 환자의 요추 측에 착용되는 요추 의복부, 환자의 팔 또는 손에 착용되는 아암 의복부 및 환자의 다리 또는 발에 착용되는 레그 의복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박 강도를 분석하여 환자가 정상적으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의사는 이에 따른 적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처방압력을 입력하여 상기 처방압력을 기초로 가압 상태가 구분되어 분석되므로, 환자에게 개별화, 최적화된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압박 강도와 착용시간을 기초로 산출되는 순응도에 따라 환자의 가압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안내메세지를 출력하므로, 환자의 올바른 장치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은, 과도한 압박 강도가 환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커브 압박기(100a) 및 강도 조절기(1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여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교정 대상인 신체의 커브(Curve)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압박 강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25)

  1.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의복;
    상기 의복에 배치되고, 교정 대상인 신체의 커브부를 압박하는 커브 압박기;
    상기 의복에 배치되고, 상기 커브 압박기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여 상기 커브 압박기의 압박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기;
    상기 커브 압박기 및 상기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압박 강도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브 압박기 및 상기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상기 압박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교정관리 서비스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복에 배치되고, 상기 커브 압박기 및 상기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브 압박기 및 상기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는,
    외관 형상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에 결합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 무빙 블록;을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도 조절기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는 다이얼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제1 결합홀과, 상기 제1 결합홀로부터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결합홀보다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작은 제2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은 상기 제1 결합홀에 끼움된 후 상기 제2 결합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은,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결합홀의 폭 이하이고, 상기 제2 결합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일면이 접촉되는 걸림부;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결합홀의 폭 및 상기 제2 결합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의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일면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의복에 결합되는 부착판; 및
    상기 부착판 중 상기 레일 무빙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돌기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개구 폭은 상기 가이드홈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도 조절기는,
    상기 바디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홀더 고정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고 상기 홀더 고정핀이 삽입되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복에 배치되고,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상기 환자의 골반을 잡아주는 골반밴드를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등판부 내측면에 배치되는 등판 강화판; 및
    상기 등판 강화판 중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위치와 관련되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어 신체의 험프부를 압박하는 험프 패드;를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의복에 배치되고,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할 시, 상기 환자의 옆구리를 잡아주는 옆구리밴드를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옆구리밴드 중 상기 커브 압박기가 상기 커브부를 압박하는 위치와 관련되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어 신체를 압박하는 옆구리 패드;를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험프 패드 및 상기 옆구리 패드는,
    상기 등판 강화판 또는 상기 옆구리밴드에 부착되는 판형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신체를 압박하는 쿠션력을 가지는 쿠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 내에는 금속재질의 와이어가 배치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고, 상하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금속 포인트가 배치된 포인트밴드를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전면부 중앙에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지퍼가 설치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상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환자가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의복에 배치되는 커브 압박기 및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압력센서가 제1 기준압력을 감지하는 의복 착용 감지 단계;
    상기 환자가 상기 의복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가 제2 기준압력을 감지하는 밴드 착용 감지 단계;
    상기 제1 기준압력과 상기 제2 기준압력이 감지된 후, 상기 압력센서가 소정 시간간격에 따라 압박 강도를 측정하는 압박 강도 감지 단계; 및
    상기 압박 강도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교정 상태 모니터링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압박 강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환자의 가압 상태를 분석하는 가압 상태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상태는 상기 제1 기준압력 및 상기 제2 기준압력을 기초로 적어도 3개의 상태를 포함하는 교정 상태 모니터링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가압 상태는,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환자에게 통증이 수반되지 않는 최대압력 이상인 과다 압박 상태;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제1 기준압력과 상기 제2 기준압력의 평균값인 평균압력 이상이고 상기 최대압력 미만인 정상 압박 상태;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제1 기준압력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압력과 상기 평균압력 간의 편차를 감산한 최소압력 이상이고 상기 평균압력 미만인 밴드 미착용 상태; 및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최소압력 미만인 장치 미착용 상태;를 포함하는 교정 상태 모니터링 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압력 및 상기 제2 기준압력과 별도의 처방압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받는 처방압력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상태는,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환자에게 통증이 수반되지 않는 최대압력 이상인 과다 압박 상태;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처방압력 이상이고 상기 최대압력 미만인 정상 압박 상태;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제1 기준압력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압력과 상기 제1 기준압력 및 상기 제2 기준압력의 평균값인 평균압력 간의 편차를 감산한 최소압력 이상이고 상기 처방압력 미만인 밴드 미착용 상태; 및
    상기 압박 강도가 상기 최소압력 미만인 장치 미착용 상태;를 포함하는 교정 상태 모니터링 방법.
  23. 청구항 21 및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압박 강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착용시간을 함께 표시하고,
    상기 착용시간은 상기 가압 상태가 상기 정상 압박 상태, 및 상기 밴드 미착용 상태인 시간을 합산하여 계산되는 교정 상태 모니터링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압박 강도 및 상기 착용시간을 기초로 산출된 순응도에 따라 상기 환자의 가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안내메세지를 부가적으로 출력하는 교정 상태 모니터링 방법.
  25. 청구항 21 및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상태가 상기 과다 압박 상태로 분석되면, 상기 커브 압박기 및 강도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강도 조절기와 상기 커브 압박기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여 상기 커브 압박기의 압박 강도를 조절하는 릴리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정 상태 모니터링 방법.
PCT/KR2022/008741 2022-06-20 2022-06-21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 WO202324913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710A KR20230173896A (ko) 2022-06-20 2022-06-20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
KR10-2022-0074710 2022-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9133A1 true WO2023249133A1 (ko) 2023-12-28

Family

ID=8937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8741 WO2023249133A1 (ko) 2022-06-20 2022-06-21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3896A (ko)
WO (1) WO202324913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7327B2 (ja) * 2007-12-20 2011-08-17 鈴木義肢装具株式会社 側彎矯正装具
KR20210016209A (ko) * 2019-08-02 2021-02-15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최적의 3 포인트 프레셔 기능을 구현하는 척추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척추측만증 관리 시스템
KR102236018B1 (ko) * 2018-12-20 2021-04-05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KR102278478B1 (ko) * 2016-12-05 2021-07-16 조용선 계측분석방법을 적용한 측만증 교정장치
KR102322350B1 (ko) * 2019-12-09 2021-11-09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73B1 (ko)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7327B2 (ja) * 2007-12-20 2011-08-17 鈴木義肢装具株式会社 側彎矯正装具
KR102278478B1 (ko) * 2016-12-05 2021-07-16 조용선 계측분석방법을 적용한 측만증 교정장치
KR102236018B1 (ko) * 2018-12-20 2021-04-05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KR20210016209A (ko) * 2019-08-02 2021-02-15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최적의 3 포인트 프레셔 기능을 구현하는 척추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척추측만증 관리 시스템
KR102322350B1 (ko) * 2019-12-09 2021-11-09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896A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47643A2 (ko) 흉부측정기, 척추 측만증 교정시스템, 원격척추 진단시스템 및 웨어러블 측정기
WO2019050080A1 (ko) 에어 매트리스 시스템 및 에어 매트리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15142071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9107661A1 (ko) 알람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
WO2016204496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f peripheral device
EP3220815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ioelectrical signals
WO20170341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ength of an object using an electronic devices
WO2019054621A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660A1 (ko)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
WO2019107657A1 (ko) 에어 베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
WO2019107658A1 (ko)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
WO2015030409A1 (ko) 의료용 삽입 장치
WO2023249133A1 (ko)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
WO2015034154A1 (ko) 안구건조증 치료장치
WO2020050497A1 (ko)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WO2021225270A1 (ko) 스마트 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0050496A1 (ko)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과검사방법
WO2022035007A1 (ko)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WO2019240540A1 (ko)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240564A1 (ko) 생체 데이터 획득용 탈착식 기능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25268A1 (ko) 스마트 매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1075695A1 (ko) 방사선 치료를 위한 브래지어
WO2021225271A1 (ko) 스마트 매트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1025346A1 (ko) 웨어러블 헬스 케어 시스템
WO2022039357A1 (ko) 용접 정보 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480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