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00100A1 - 휴대용 음료 저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료 저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00100A1
WO2023200100A1 PCT/KR2023/002077 KR2023002077W WO2023200100A1 WO 2023200100 A1 WO2023200100 A1 WO 2023200100A1 KR 2023002077 W KR2023002077 W KR 2023002077W WO 2023200100 A1 WO2023200100 A1 WO 202320010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orage
temperature
beverage
air
portabl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20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성우
박승규
류정한
오민규
김현기
황성걸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4478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45861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9940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20990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20010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001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that can be moved or carried.
  • beverages sold or traded commercially are served in containers.
  • the drinks include sports drinks, bottled water, fruit juice, and alcohol.
  • the beverage is stored in a low-temperature storage facility or device such as a refrigerator, but the refrigerator is not only maintained at a temperature suitable for a specific beverage. Accordingly, recently, in the case of specific types of beverages (e.g., wine), various dedicated devices, such as wine cellars, have been provided to store the beverage or to store the beverage while maintaining it at a drinking temperature range.
  • a low-temperature storage facility or device such as a refrigerator
  • various dedicated devices such as wine cellars
  • the wine when wine is moved (transported) for drinking outdoors (or in a place without a wine cellar) or temporarily stored outdoors, the wine may lose its unique flavor due to the outdoor environment (temperature).
  • a ventilation fan and an ice pack are provided inside the inner box of the wine delivery box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wine with cold air generated from the ice pack.
  •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by lowering the temperature, but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wine could not b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temperature.
  • prior art document 3 a storage room in which wine is stored is formed within the cooling sink, and a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is installed behind the heat sink equipped with a heat sink with heat dissipation fins and a heat dissipation fan to a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alcoholic beverages, beverages, etc. do.
  • the prior art document 3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has limitations in miniaturizing the overall size of the wine refrigerator because the heat sink and 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are disposed around the circumference (rear) of the storage compartment.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minimize the circumferential width (eg, front-to-back thickness) of the wine refrigerator.
  • the prior art document 3 had difficulty changing the design due to the heat sink.
  •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was placed around the perimeter (rear)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only the adjacent portion of the wine bottle was rapidly cooled locally and the taste changed.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niaturized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multiple beverages to be stored simultaneously, and each beverage to be stored in the same temperature range or in different temperature ranges.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areas where air is sucked and discharged are provided on the same wall surface, and to minimize the problem that may occur in this case where the discharged air is piggybacked by the intake air and is re-absorbed.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by allowing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to be discharged after sufficiently dissipating heat through the heat sink.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osi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beverage storage unit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main body and the outer cover surrounding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discharge passage for heat dissipation to be opened to the bottom of the base of the main body.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external shock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beverage bottle when transporting or storing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beverage bottle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a portable beverage storage are firmly fixed.
  • a storage room in which a beverage bottle is stored within the housing forming the exterior, and an installation spac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room where air is sucked in and discharged can be provided. This ensures that the space where the beverage bottle is stored and the space where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s installed are separated.
  • a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ousing. Through this, the storage room is maintained or adjusted at the set temperature.
  • an inlet port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an outlet port through which air within the installation space is discharged may be formed on one wall of the housing.
  • the intake and discharge ports are provided on the same wall to prevent deterioration in aesthetics and to facilitate air inflow and outflow management.
  • the discharge port can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intake port. Through this,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and intake port is minimized.
  • the discharge port may be locat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intake port. This increases the flow resistance of air flow and improves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 a flow path may be formed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changes at least o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was flowing before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is increases the flow resistance of air flow and improves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 the open area of the discharge port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open area of the intake port. Through this, the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increased to prevent the air from being re-inhaled into the intake port.
  •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located on the floor within the housing. This improves the aesthetics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and prevents discharged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nearby users.
  •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med in the housing can be provided and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intake port. Through thi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inhaled into the intake port, and the size of the gap formed in the housing can be minimized.
  • the intake port and each discharge port can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a partition. This prevent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from being re-inhaled into the intake port.
  • each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is allows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o become faster.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whose upper surface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eat sink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heat sink and may include a fan module that blows air so that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intake port of the housing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 the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case that provides installation space.
  • the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ner case that is located within the outer case and provides a storage room.
  •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formed as a cylinder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closed lower surface for storing beverage bottles.
  •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located between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and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This improves the aesthetics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and prevents discharged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nearby users.
  • a guide member may be included to guide the air sucked in from the intake port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while partitioning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and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Through this, the intake air and discharge air can be separated without mixing with each other.
  • 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horizontal plate partitioning between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and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plate to allow air to pass up and down. Through this, air introduced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can be converted to the up-down direction.
  • 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parti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late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Through this, the suction port located at the center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and the discharge port located on both side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fan module may be provided as an axial fan. Through this, the air sucked from the bottom forward and backward changes direction sharply, improving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may be configured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fan module and the heat sink and the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 the fan module may be provided as a cross-flow fan that sucks air from the top or bottom and discharges the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rough this, the discharge speed of the discharged air is increased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re-inhalation of the air.
  •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may be configured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heat sink and the fan module and the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 a plurality of storage rooms can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is makes it possible to carry multiple beverage bottles.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each storage compartmen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each storage compartment. This allows heat conduction to the bottom of the beverage bottle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storage compartment can be formed to be clos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this, the space between each storage room was reduced to achieve miniaturization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each storage room is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or the gap between the rear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torage rooms. It can be formed longer. This ensures that the storage room is not affected by external temperature.
  • a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between each storage room. This ensured that each storage room was not affected by each other’s temperature.
  • the main body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formed and the exposed portion of the beverage bottle are covered with a flexible cov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ize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can be relatively small.
  • the handle strap provided on the cover has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at both ends, so that they can function as a handle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making handling easy.
  • a temperature set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devic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so it can be stably placed on the ground.
  • a cov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rrounds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so that the cover can adhere to the beverage bottle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cover is relatively reduced.
  • the airflow for discharging cold air or heat from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to the outside flows from the inside of the base to the bottom of the base, so that dust on the ground is not transmitted to the base.
  • the base itself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there is a vibration-proof suppo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n the bottom of the base, so that shock or vibrat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beverage bottle from the outside.
  • the fixing ring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so that when a beverage bottle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the fixing ring adher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bottle and the beverage bottle can be firmly fixed in the storage space.
  • a main body in which a storage space is opened upwardly to accommodate beverage bottles is formed, and a flexible material surrounds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everage bottle stored in the main body and the storage space. It may include a manufactured cover and a temperature setting unit located below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to set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space.
  • the cover may be composed of a lower half where the main body is located and an upper half surrounding the portion of the beverage bottle protruding from the storage space, and the cover entrance in the upper half has a first coupling at both ends.
  • a handle strap having a sphere and a second coupler i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coupler and the second coupler can be combined to form a handle in a state where the upper half and the handle strap are rolled together.
  • a case can form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and a base can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ase, inside the base or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case.
  •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may be installed.
  • air for heat exchange in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can be sucked into the base through a suction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through an discharge hol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It can be.
  • the bottom of the base may protrude downward to form a scut or may be provided with an anti-vibration support to form a gap between the ground and the bottom of the base.
  • the base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a fixing r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bottle.
  •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ring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eck portion inclined between the body and the neck portion of the beverage bottle.
  • At least two storage spaces in which beverage bottles are opened upwardly inside the case are formed by insulating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main body is formed by installing a base at the lower part of the case;
  • a cover having a lower half surrounding the main body and an upper half surrounding the neck protruding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beverage bottle, a cover made of flexible material and provided with a handle strap that serves as a handle, and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space.
  • 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tting unit that is located at the bottom or inside the base and includes a thermoelectric module to set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space.
  • both ends of the handle strap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upler and a second coupler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oupler and the second coupler can be combined to serve as a handle. .
  • air for heat exchange in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can be sucked into the base through a suction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through an discharge hol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It can be.
  • the bottom of the base may protrude downward to form a scut or may be provided with an anti-vibration support to form a gap between the ground and the bottom of the base.
  • the base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a fixing r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an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bottle.
  •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ring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houlder portion slanted between the body and neck of the beverage bottle.
  • the storage space can be formed by an upper holder and a lower holder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the lower holder can be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good heat transfer rate.
  •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includes a thermoelectric module that generates heat or cold air,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 relay that turns on and off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t can be included.
  •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can be installed in a component frame disposed in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on the base.
  • a portable beverage storage device that sets the storage temperature of a beverage using cold air or heat provided from a thermoelectric modul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where beverage bottles are stored.
  • the step of checking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the step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space by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for the beverage and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t may include performing cooling or heating by comparing temperatures.
  • the thermoelectric modul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is lower than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driven to perform heating, and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is optimal storage temperature.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cooling can be performed by driv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can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 the control unit when the type of beverag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can check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and its temperatur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 the intake and discharge ports are provided on the same wall, deterioration in aesthetics is prevented and maintenance for air inflow and outflow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inlet and outlet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so the problem of causing discomfort by providing discharged air directly to the user can be prevented.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circumferential width (or thickness) of the housing because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electric element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 problem of severe temperature changes occurring only in localized areas of the beverage bottle can be solved.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battery to supply power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so it can be used as a portable device in places without power.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charge port smaller than the intake port,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air is discharg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intake port, and the problem of the discharged air being sucked into the intake port can be prevented.
  • partition walls are provided between each storage room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so each storage room is not affected by each other's temperature, or the effect is minimized.
  •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nd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by minimizing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storage room can be formed as close as possible, thereby minimizing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can be further reduced because the gap between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outer case and the storage room is shorter than the gap between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outer case and the storage room. .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and outlet at different heights, it induces a rapid change in air flow to increase flow resistance, thereby lowering the thermal resistance coefficient (R) and improving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nd a cover surrounding the main body, and a temperature sett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base of the case constituting the main body.
  • the cover is designed to surround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stored i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upper half of the cover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and the lower half of the cover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Due to the nature of this configuration, the overall size of the beverage storage can be miniaturized.
  • a handle strap is fixed to the cover entrance of the cover, and the upper half of the cover including the handle strap is rolled up to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and the first coupler and the second coupler on both sides of the handle strap are coupled. It was made into a handle shape. Accordingly, a handle is created by a handle strap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entire beverage storage can be carried by holding this handle, which has the effect of making handling of the beverage storage more convenient.
  • most components including a temperature setting unit can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se constituting the main body and/or the base at the lower part of the case.
  •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which occupies a large amount of weight,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body can be relatively low. Therefore,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can be stably seated on the ground.
  • the cover can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fiber with good waterproofing and insulating properties. Therefore, the upper half of the cover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and surround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and the lower half of the cover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surround the main body.
  • the space occupied by the cover can be minimized.
  • the airflow for discharging heat or cold air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outside enters the inside through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come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of the main body.
  • the base itself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at least part of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cover made of a fiber material surrounds the main body and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so that shock from the outside is not transmitted to the beverage bottle. It also has the effect of blocking transmission.
  • a fixing r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 the fixing r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lanted shoulder portion between the body and neck of the beverage bottle and can firmly fix the beverage bottle in the storage space. Accordingly, the beverage bottle can be firmly fixed within the storage space and not fall out to the outside arbitrarily.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rear view of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member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main 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air flow state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mai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state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plan view of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14 and 15 are main sectional side views showing the air flow state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air flow state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8 and 19 are princip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emperature control part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body separated from the cover in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rts constituting the main body in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ure 21
  •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important parts of the cover constitut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orming a storage spac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forming the storage space shown in Figure 25
  • Figure 27 is a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xing ring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constitut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shown in Figure 28 from another direction.
  • Figure 3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and base constitut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constitut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constitut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5 is a flow chart showing temperature setting in the beverage storage room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6 is a usage state diagram showing the airflow for heat exchange in the beverage storage room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fifth embodiment with a different base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 the housing 100 forms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nd includes an outer case 110 and an inner case 120.
  • the outer case 110 is provided as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at is, the front, both side walls, and bottom of the housing 100 are provided by the outer case 110.
  •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s formed to be open.
  •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outer case 110 is formed to be open.
  • the opened upper part is accommodat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bottle 1 (see attached FIG. 6) stored in the housing 100 is exposed.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bottle 1 is exposed to the front through the front opening part of the outer case 110.
  • a cover member 111 (see FIGS. 1 and 2) may be provid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 the cover member 111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10 and protects it from impact.
  • the cover member 111 may be used to keep the beverage bottle 1 warm (or cold).
  • the cover member 111 is form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 front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e 110.
  • the cover member 111 may be formed of a leather member or a fiber or synthetic resin member that covers the rear, top, and front surfaces of the housing 100.
  • the cover member 111 may be formed as a box with an open bottom to cover the top of the housing 100.
  • the rear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111 is bent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rear cove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inner case 120 form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 the inner case 120 is provided within the outer case 110.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case 120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10. Between the inner case 120 and the outer case 110, an empty space is provided or an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is provided so that the external temperature affects the beverage bottle 1 located in the inner case 120. You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 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an insulating member such as non-woven fabric, foam, or styrofoam, or may be a vacuum insulator sealed from the outside.
  • the inner case 120 is provided with a storage room 121 (see FIGS. 1 and 6).
  • the storage room 121 is a space for storing the beverage bottle 1.
  • the storage chamber 121 may be formed as a cylindrical body with an open top and a closed bottom so that the beverage bottle 1 can be accommodated.
  • the storage chamber 121 and the inner case 120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 the storage chamber 121 and the inner case 12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 the cylindrical storage chamber 121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case 120 to form one body.
  • the inner case 120 and the storage chamber 121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 the storage chamber 121 may preferably be made of a metal or ceramic material with excellent heat conduction. However, considering the weight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the storage compartment 121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Alternatively, the storage chamber 121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and a metal thin film or coat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conductivity may be attached or coated on its outer or inner surface.
  • the flo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12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surface of the outer case 110.
  • an installation space 101 (see attached FIGS. 6 and 7) can b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of the storage room 12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ase 110.
  • the space where the beverage bottle 1 is stored (space within the storage room) and the space where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is installed (installation space)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installation space 101 may be provided as a space where a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 the installation space 101 may be configured to allow air to be sucked in and discharged. That is, external air may be sucked into the installation space 101, pass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and the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stallation space 101.
  • the housing 100 further includes a rear cover 130.
  • the rear cover 130 forms the rear of the housing 100.
  • the rear cover 130 may be removably installed on the open rear side of the outer case 110. That is, maintenance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provided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101 is possible by selectively removing the rear cover 130.
  • the outer case 110 and the rear cover 130 may be formed as a single piece. That is, the rear cover 1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ase 110.
  • the rear cover 130 may be formed to have a lower top and bottom height than the outer case 110. That is, when the rear cover 13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outer case 110, a gap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of the rear cover 130 and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110 equal to the height difference.
  • the rear cover 13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sufficient to cover the storage compartment 121 or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This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s 4 and 5.
  • An inlet 141 or an outlet 142 may be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bottom of the rear cover 130 and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110.
  • the air outside the housing 100 is sucked into the installation space 101 by the inlet 141, o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tallation space 101 is sucked into the housing 100 by the outlet 142. )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suction port 141 and the discharge port 142 are formed together in the gap. That is, the suction port 141 and the discharge port 142 are formed together on one wall of the housing 100. This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 design that is superior to the prior art in which holes (suction or discharge ports) are formed on multiple walls.
  • the intake port 141 and the discharge port 142 are formed on the same wall, management of air inflow and outflow (for example, cleaning of the intake port and discharge port, etc.)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gap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100,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directly to the user.
  • a guide member 150 may be provided in the gap to distinguish the suction port 141 and the discharge port 142.
  • the guide member 150 guides external air to be sucked in through the intake port 141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 the guide member 150 provides a flow path that guides the air sucked from the intake port 141 to change at least o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ction direction. This sudden change in direction of the air flow causes turbulence and allows the flow velocity to be lowered.
  • Variables for lowering the thermal resistance coefficient (R) include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h) and the heat dissipation area (surface area of the heat sink) (A), and the heat dissipation area (A) is preset.
  •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h) in order to lower the thermal resistance coefficient (R) so as to increas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h) must be increased.
  •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h) can be increased by providing a high air volume or slowing down the air flow speed to ensure sufficient heat conduction.
  • a sudden change in direction of the air flow induces turbulence to slow the air flow rat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h) and lowering the thermal resistance coefficient (R), thereby achieving high cooling efficiency ( COP) was obtained.
  • COP cooling efficiency
  • R thermal resistance coefficient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maintaining the beverage bottle 1 at a constant temperature (e.g., cold storage) rather than for rapidly cooling the beverage bottle (1) (e.g., refrigeration), the air volume is low. It may be more desirable to slow down the air flow rate.
  • the guide member 150 is a horizontal structure that vertically divides the installation space 101 between the floor of the outer case 110 and the floor of the storage room 121 of the inner case 120.
  •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51a and 151b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plate 151. That is, air can flow between the lower space of the horizontal plate 151 and the upper space of the horizontal plate 151 by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51a and 151b.
  • the communication holes 151a and 151b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hole 151a for passing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41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151b for air flow to the discharge port 142.
  •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51a may be located directly below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of the horizontal plate 151.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1b)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51a).
  • the guide member 150 includes two partition walls 15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late 151 to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110.
  • the two partition walls 152 serve to distinguish the suction port 141 and the discharge port 142. That is, the two partition walls 152 preven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42 from being sucked directly into the intake port 141.
  • the partition wall 152 also functions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floor within the outer case 110 and the horizontal plate 151. That is, the partition wall 152 allows the suction port 141 and the discharge port 142 to have sufficient height.
  • the discharge port 142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uction port 141 by the two partition walls 152 . As a result, the size (height) of the gap formed in the housing 100 (the gap for forming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can be minimized. Since the discharge port 142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uction port 141, re-inhala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into the suction port 141 can be reduced.
  • Each of the discharge ports 142 has a smaller open area than the suction port 141. This structure is intended to ensure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stallation space 101 after being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41 is discharged to each discharge port 142 at a faster flow rate than the flow rate when it is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41. This can further reduce the problem of the discharged air being re-absorbed into the intake port 141.
  • each discharge port 142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at is, the air flowing downward from the installation space 101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1b of the horizontal plate 151 flows at a faster flow rate along the inner surface (surface) of the curved discharge port 142. This is to ensure smooth discharge.
  • the outlet side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142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whose opening area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outlet. As a resul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can be discharged along the curved surface to a position as far away from the intake port 141 as possible. At the same tim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flows along the curved surface and spreads across the ground, so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directly to the user.
  • the inlet 141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whose opening area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inlet. In this case,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41 flows along the curved surface and flows into the intake port, so the phenomenon of re-su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42 can be reduced.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is provided to maintain or control the storage chamber 121 of the housing 100 at a set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01 of the housing 100. That is,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is located between the bottom of the storage chamber 121 of the housing 100 and the horizontal plate 151 of the guide member 150.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210.
  •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is a semiconductor device that generates heat on one surface and absorbs heat on the other surface due to the Peltier effect when electricity is applied.
  •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chamber 121 can be adjusted to drop or rise by us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 thermoelectric element 210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chamber 121.
  • the entire area of the beverage bottle (1) is evenly cooled (or heated) while minimizing the effect on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bottle (1). ) can be.
  • the problem of the taste changing due to local rapid cooling of only the area adjacent to 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can be prevented.
  • thermoelectric element 2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121.
  • heat-conducting material is a material provided for heat transfer, such as thermal grease or thermal compound.
  • thermoelectric element 21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121 by providing a structure into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can be inserted or press-fitted.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 heat sink 220.
  • the heat sink 22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eg, aluminum) to improve heat exchange performance.
  • the heat sink 220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At this time, the heat sink 220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using a heat conductive material, or may be fixed using another coupling structure.
  • the heat sink 220 has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221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 Each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221 is arranged so that air flow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heat sink 220 can be guided to both sides. That is, when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is viewed from the front or rear, each heat radiation fin 221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nt and rear. Accordingly, the air flowing toward the heat sink 220 from the bottom of the heat sink 220 can be discharged toward both sides of the heat sink 220 due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each heat dissipation fin 221.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 fan module 230.
  • the fan module 23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end of the heat dissipation fin) of the heat sink 220.
  • the fan module 230 includes a fan 231 and a fan housing 232 rotated by a motor.
  • the fan housing 232 is formed to be open up and down, and the fan 231 is composed of an axial flow fan installed within the fan housing 232.
  • the beverage bottle 1 to be carried is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121. At this time, the beverage bottle 1 is stored so that its bottom rests on the floor in the storage chamber 121.
  •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s covered with a cover member 111.
  • the cover member 111 covers the top of the housing 100 to prevent damage to the beverage bottle 1 stored in the housing 100. In addition, due to the cover member 111,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121 is not affected by the external temperature or is only slightly affected.
  •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opera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o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r temperature range) within the storage chamber 121.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121 to be maintained at a set temperature (or temperature range).
  • the set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directly set by the user, a preset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type of each beverage, or a temperature set regardless of the beverage. In the case of the temperature set for each beverage, it is desirable to automatically sense the type of the beverage or configure it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When the temperature (or temperature range) in the storage room 121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or temperature range),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operates in the storage room (or, temperature range) among the thermoelectric elements 210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121) Current is supplied so that the surface in contact with it undergoes an endothermic reaction.
  • thermoelectric element 210 when current is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in contact with the storage chamber 121 undergoes an endothermic reaction and absorbs heat from the storage chamber 121.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121 gradually decreases.
  • thermoelectric element 210 Whe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undergoes an endothermic reaction,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emits heat while undergoing an exothermic reaction.
  • the heat emitt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is conducted to the heat sink 220 install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and is radiat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220.
  • the heat sink 220 since the heat sink 220 has a larger surface area than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due to each heat dissipation fin 221, heat gener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flows through the heat sink 220. It can dissipate heat sufficiently.
  •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121 may not be lowered, or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121 may have to be forcibly lowered.
  • the ambient temperature is excessively high or the beverage to be stored must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e.g., 5°C or lower)
  • a low temperature e.g., 5°C or lower
  • sufficient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cannot be achieved simply by dissipating heat from the heat sink 220, so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The heat absorption performance may be reduced.
  • the fan module 230 is selectively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room 121 and the set temperature.
  • the fan 231 of the fan module 230 may be additionally operated. there is.
  •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can be lowered by dissipating heat through the heat sink 220 to external air.
  •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gener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is lowered in this way,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absorb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can be lowered further, and thus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121 can be further lowered.
  • thermoelectric element 210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due to the operation of the fan module 230 is sucked in from the intake port 141 and changes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evious flow direction at least once before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do. Turbulence is generated due to flow resistance caused by this rapid change in air flow,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sink 220 dissipates heat in the heat sink 220 for a correspondingly long period of time. In other words, by inducing turbulence in the air flow without increasing the air volume, the thermal resistance coefficient (R) can be lowered, and a correspondingly high cooling efficiency (COP)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can be obtained. This is the same as the attached Figures 11 and 12.
  • the ai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heat sink 220 while passing through each heat dissipation fin 221 of the heat sink 220 passe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1b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space and reaches the discharge port 142.
  • You are guided to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42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e flow resistance is minimized and the discharge can be smoothly discharged at a high flow rate despite a sharp change in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flow rate of air slows only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heat sink 220, but it is discharged quickly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 the outlet side of the discharge port 142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opening area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outle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will be discharged to a position as far away from the intake port 141 as possible. You can.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flows along the surface provided by the outlet of the curved structure and spreads on the ground, thereby preventing it from being discharged directly to the user.
  •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chamber 121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or temperature range)
  • a current is generat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n contact with the storage chamber 121 undergoes an exothermic reaction. is supplied.
  •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121 can be increased by the exothermic rea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 the fan module 230 is selectively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room 121 and the set temperature.
  • the intake port 141 and the discharge port 142 are provided on the same wall of the housing 100, so that deterioration in aesthetics is prevented and maintenance for air inflow and outflow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 is.
  • the inlet 141 and the discharge port 142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100,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floor (ground) as much as possible, and thus the discharged air is delivered to the user. By providing it directly, problems causing discomfort can be prevented.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circumferential width (or thickness) of the housing 100 becaus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hamber 121, and the beverage bottle 1 The problem of severe temperature changes occurring only in localized areas can be resolved.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further including various additional components to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ler (not shown) for automatic control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 the circuit board (not shown) including the controller is located at least either inside the housing 100 or outside the housing 100, and includes an operation panel for operating the controller or an operation switch 102. may be position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Reference numeral 102 in the attached FIG. 2 may be an example of the operation switch.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battery 300 (see attached FIGS. 1 and 2) to supply power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 the battery 300 may be comprised of at least one of a rechargeable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the battery 300 may be located in a gap between the storage compartment 121 and each corner of the housing 100.
  • a battery installation groove 103 is formed between the two storage chambers 121 and the outer case 1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20, and at least one battery installation groove 103 is installed.
  • the battery 300 may be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 the battery 300 may be located within the intake port 141 and configured to prevent heat generation by the inhaled air.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gured to prevent temperature changes in the storage compartment 121 caused by heat generation from the battery 300.
  • the battery 300 may also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eg, bottom, side, rear, etc.).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storage room 121.
  • two temperature control units 200 can also be provided and one can be installed in each storage room 121. That is, when there are multiple storage rooms 121,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units 200 so that th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differently for each storage room 121.
  • one suction port 141 may be provided, while two discharge ports 142 may be provided.
  • the suction port 141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wo storage chambers 121, and the two discharge ports 142 ar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41.
  • the two discharge holes 142 may be provided at both lower corners of the housing 100, respectively.
  • the two discharge ports (142) are located as far apart as possible and a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intake port (141) to have a faster flow rate,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each discharge port (142) being re-inhaled directly into the intake port (141). You can.
  • a partition wall 160 (see attached FIGS. 6, 8, and 12) is formed between each storage room 121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It can be configured to partition. That is, the space between the two storage rooms 121 and the installation space 101 can be divided from each other by the partition wall 160. As a result, each storage room 121 is not affected by each other's temperature or the effect is minimized.
  • the partition wall 160 may be formed so that one end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20 and the other end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151 forming the guide member 150 in the outer case 110. there is.
  • the separation distance L1 between each storage compartment 121 may b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s L2 and L3 between the storage compartment 121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is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13. This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minimize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 each storage room 121 The closer the separation distance L1 between each storage room 121 is, the more heat can be conducted between them. 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inside each storage room 121 is not provided at a large enough difference to affect each other's temperature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storage room 121 can be formed as close as possible.
  •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100 has a difference large enough to affect the temperature of each storage compartment 121. Accordingly, the separation distances (L2, L3)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10, which is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storage chamber 121 ar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L1 between each storage chamber 121 to provide sufficient It is desirable to ensure an insulating distance.
  • the outer surfaces of the outer case 110 on both sides are completely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front and rear walls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outer case 110 are covered with a cover member 111.
  • the distance L3 between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outer case 110 and the storage room 121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L2 between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outer case 110 and the storage room 121.
  • the attached Figures 14 and 15 show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let 141 and outlet 142 formed in the housing 100 ar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That is, because the inlet 141 and the outlet 142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a sudden change in air flow is induced to increase flow resistance, thereby lowering the thermal resistance coefficient (R) and improving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 the positions of the intake port 141 and the outlet 142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fan module 230.
  • each heat dissipation fin 22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a result, the air flowing in from the lower part of the heat sink 220 can flow in the front-back direction along the gap between each heat dissipation fin 221.
  • an intake port 141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between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110 and the bottom of the rear cover 130. is provided and a discharge port 142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 the lower side of the fan module 230 is provided as an empty space, there is a concern that air may not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rea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nd stagnation may occur between the fan module 230 and the outlet port 142. There is. As a result, the air flows through the fan module 230 and is provided to the heat sink 220, and then is guided by each heat dissipation fin 221 of the heat sink 22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desirable.
  • the attached Figures 16 and 17 show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cross-flow fan in which the fan module 230 sucks air from the top (or bottom) and then discharges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intake port 141 may be located behind the heat sink 220, and the discharge port 142 may be provided below the intake port 141.
  • the fan module 230 When the fan module 230 is provided as a cross-flow fan, air passes between each heat dissipation fin 221 of the heat sink 220 through the intake port 141 and then flows downward to the fan module 230. Continuing, the air rotat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n module 230 and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fan module 23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 the air outlet 232a of the fan housing 232 may be located eccentrically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fan 231. In other words, the air discharge force can be increased by positioning the air outlet 232a around one circumference of the fan housing 232.
  • the air outlets formed in the fan housing 232 of the fan module 230 are arranged so that they are not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do. That is, when the fan module 230 is provided as a cross-flow fan and two storage rooms 121 are provided, the separation distance L4 between each air outlet of each fan module 230 is It can be arranged to be located farth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L5) of. Through this, the discharged air is not concentrated in a specific location and the re-inhalation phenomenon can be minimized. This is the same as the attached Figure 18.
  • the fan module 230 may include both a transverse flow fan and an axial flow fan.
  • the fan module (right fan module in the drawing) 230 provided in one storage room 121 is formed as a cross-flow fan, and the fan module provided in the other storage room 121 ( The left fan module (230) in the drawing can be formed as an axial fan.
  • the intake and discharge ports may be formed differently for each fan module 230.
  • an intake port 141 is formed at the upper rear side of the fan 231, and an discharge port 14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an 231. It can be.
  • an inlet 141 may be formed in the rear lower part of the fan 231, and an outlet 142 may be formed on a side of the inlet 141.
  • each thermoelectric element 210 is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storage rooms 121, while only one fan module 230 or heat sink 220 is provided. It could be.
  • thermoelectric elements 210 and two fan modules 230 may be combined and provided in one heat sink 220.
  • the fan module that forms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fans, and the positions of the inlet and outlet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an.
  • the structure of one embodiment in which the discharge port 142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take port 141 is more preferable in terms of excellent aesthetics and prevention of re-inhalation of discharged air.
  • FIGS. 21 to 37 show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 the main body 10 may form a skeleton.
  • the main body 10 may have opposite front and rear sides that are flat with reference to FIG. 21 .
  •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curved.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constitu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bottle 1.
  • the main body 1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wo beverage bottles 1, but it can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various numbers of beverage bottles 1.
  • beverage bottles 1 can be stored in the main body 10 in rows left and right.
  • the beverage bottles 1 may be arranged and stored to form the vertices of a triangle or a square.
  • the number of beverage bottles 1 stored in the main body 10 may be multiple.
  • two beverage bottles 1 are stored in consideration of the portability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 the body of the beverage bottle 1 may b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1 may protrude toward the top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the drawing.
  • the cover 12 can be made of a fi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heat insulating and waterproof and has flexible properties.
  • the cover 12 is similar in shape to a pocket for storing items.
  • the cover 12 may surround all or part of the main body 10.
  • the cover 12 has a cover entrance 13 at the top,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enter the inside of the cover 12 through the cover entrance 13. there is.
  • a beverage bottle (1) can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26) formed in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over entrance (13).
  • the cover 1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but as can be seen in FIG. 21, about half of the cover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have a shape that allows the main body 10 to be accommodated therein. That is, the lower half of the cover 12 may have a shape that allows i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the upper half of the cover 12 may extend longer than the top of the main body 10.
  • a handle strap 14 may be installed at the cover entrance 13 of the cover 12.
  • the handle strap 14 includes first and second couplers 18 and 18' coupled to the strap body 16.
  • the string body 16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entrance 13, and is coupled to the cover 12.
  • the string body 16 has portions that protrude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cover entrance 13.
  • the first coupler 18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part, and the second coupler 18'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 the first coupler 18 and the second coupler 18' are male and female fasteners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can be coupled and separated using elastic deformation.
  • first coupler 18 and the second coupler 18'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other than fasteners that use elastic deformation.
  • snap buttons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used as the first coupler 18 and the second coupler 18'.
  • Velcro aka snapper
  • Velcro which has hooks and hooks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may be used as the first coupler 18 and the second coupler 18'.
  • the penetration portion 12' may be formed in an area where the suction holes 36 of the base 3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formed. External air can enter the suction hole 36 through the penetration part 12'.
  • a penetrating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12, that is, the bottom where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is loc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6' of the base 3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enetration par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12.
  • the cover 12 may have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shown. That is, the cover 12 may be configur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base 3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o the outside.
  • a structure for fixing the cover 12 can be placed on the base 34 or the case 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cover 12 can be formed to penetrate upward and downward.
  • Velcro can be plac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12 to enable them to be coup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 zippers that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may be plac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n the main body 10 side and the cover 12. In this way, the base 34 portion of the main body 10 can be exposed.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penetration portion 12' in the cover 12.
  • a case 2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10.
  •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20 may be made to have the same external shape as the main body 10 described above.
  • a case space 22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ase 20 vertically.
  • the upper holder 24, lower holder 30, insulation material 32, etc. described below may be located within the case space 22.
  • the case 20 may b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 the case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relatively good insulation properties.
  • An upper holder 24, a lower holder 30, and an insulator 32 may be installed in the case space 22 of the case 20.
  • the upper holder 24 and lower holder 30 create a space in which the beverage bottle 1 is stored.
  • the upper holder 24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 the upper holder 24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cylindrical holder bodies 24'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late 25.
  • the connection plate 25 may form the upper exterior of the main body 10.
  • the holder body 24'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hat is open up and down. There are two holder bodies 24' in this fourth embodiment, but there may be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everage bottles 1 accommodated.
  • a storage space 26 in which the beverage bottle 1 is located may be formed inside the holder body 24'.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26 may be opened through the connection plate 25.
  • a fixing ring 28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26.
  • the fixing ring 28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An example of a material used to make the fixing ring 28 may be rubber.
  • the fixing ring 2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houlder of the beverage bottle 1 so that the beverage bottle 1 can be pulled out of the storage space 26 only by applying a certain force or more. In other words, even if the main body 10 is tilted or turned over, the beverage bottle 1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storage space 26 arbitrarily.
  • the fixing ring 28 may be fixed and installed on the connection plate 25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26.
  • the part where the drink is filled in the beverage bottle 1 is called the body
  • the part where the drink is filled and discharged into the body is called the neck
  • the inclined part between the body and the neck is called the shoulder.
  • the fixing ring 28 may serve to fix the beverage bottle 1 when the beverage bottle 1 is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26.
  • beverage bottles (1) whose body diamete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can be fixed in the storage space (26) by varying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fixing ring (28). Accordingly, various beverage bottles 1 having diameter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can be firmly fixed by the fixing ring 28.
  • the fixing ring 28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26 in addition to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26.
  • the lower holder 30 can form the storage space 26 in cooperation with the holder body 24' of the upper holder 24.
  • the lower holder 3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holder body 24'.
  • the upper part of the lower holder 30 is open and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space 26 inside the holder body 24', and the lower part is closed.
  • the bottom of the lower holder 30 may be flat so that the beverage bottle 1 can be seated, or may be shap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of the beverage bottle 1.
  • the lower holder 3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good heat transfer rate.
  • the lower holder 30 may be made of aluminum, for example.
  • an insulating material 32 surrounding the holder body 24' and the lower holder 30.
  • the insulating material 32 is shown as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holder body 24' and the lower holder 30,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 a foam insulating material 32 may be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case 20 and the upper holder 24 and lower holder 30 to form an insulating layer.
  • the insulation material 32 may serve to block heat transfer between the insertion space 26 and the outside.
  • Figure 26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holder 24 and the lower holder 30 are combined into one.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124 that can be used in place of the upper holder 24 and the lower holder 30 is disclosed.
  • the holder 124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a cylindrical holder body 124' by a connecting plate 125.
  • An insertion space 126 may be formed inside the holder body 124' where the body portion of the beverage bottle 1 is located.
  • the holder 124 may be entirely made of a material with good heat transfer rate.
  • An insulating material 132 may be positioned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124'.
  • the base 34 may be installed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se 20.
  • the base 3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base 34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an block the transmission of shock or vibration.
  • an installation space 34' may be formed inside the base 34 to be open upward.
  • the component frame 50 of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34'.
  • a side wall 35 may be formed to partition the installation space 34' of the base 34 from the surrounding area.
  • a locking rib 35 may be formed surrounding the upper edg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35.
  • the locking rib 35 may be configured for coupling with the case 20.
  • Various methods may be used to combine the case 20 and the base 34. For example, there may be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a snap coupling method with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and a method using fasteners such as screws.
  •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36 may be formed in the base 34 to communicate with the installation space 34' and the outside.
  • the suction hole 36 may be formed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34. In the illustrated fourth embodiment, it is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wall 35.
  • the suction hole 36 may be formed in an outer surface area of the base 34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34'. External air can enter the installation space 34' through the suction hole 36.
  • the suction hole 36 may be formed only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enetration portion 54' of the component frame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 a discharge hole 36'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space 34' of the base 34.
  • the discharge hole 36' is a portion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of the base 34.
  • the discharge hole 36' can be formed only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enetration portion 52' of the component frame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 a scut 37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base 34.
  • the scut 37 may be formed around the bottom edge of the base 34. Due to the presence of the scut 37,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base 34 and the ground on which the main body 10 is seated.
  •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lots 38 may be formed in the scut 37.
  • the communication slot 38 serves to communicate the space formed by the scut 37 on the bottom of the base 34 with the outside when the base 34 is seated on the ground.
  • the communication slot 38 may be formed in the entire area of the scut 37. Air coming out through the discharge hole 36' can flow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slot 38.
  • the scut 37 and communication slot 38 can also serve to ensure that the base 34 is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while minimiz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 a temperature setting unit 40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34' of the base 34 and/or in the lower part of the case space 22 of the case 20.
  •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40 serves to set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space 26.
  • a thermoelectric module 42 may be used to set the temperature in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40.
  • thermoelectric module 42 has a thermoelectric element 43.
  • thermoelectric element 43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43, one surface becomes hot and the other surface becomes cold due to the Peltier effect. Using this,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space 26 is appropriately set.
  • a heat sink 44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3.
  • the heat sink 44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45.
  • the heat dissipation fin 45 protrude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3.
  • a fan unit 47 may be installed to be seated at the end of the heat dissipation fin 45.
  • the fan unit 47 includes a fan 48 rotated by a motor.
  • the fan 48 can suck air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nd discharge it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herefore, when the fan 48 is driven,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intake hole 36 of the base 34, this air exchanges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fin 45,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fan 48. I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hole 36'.
  • thermoelectric module 42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3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holder 30.
  • the thermoelectric element 43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42 may protrude slightly above the component frame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thermoelectric element 43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42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holder 30 by applying thermogrease and using an engineering adhesive.
  •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40 may be installed on the component frame 50.
  • the component frame 50 may be located in the installation space 34' of the base 34.
  • the component frame 50 may be located within the case space 22 of the case 20.
  • the component frame 50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ase space 22. This is to ensure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body 10 is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 the component frame 5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installation space 34'.
  • the component frame 50 has an overall open top shape, and the discharge penetration portion 52' and suction penetration portion 5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penetrated.
  • the component frame 50 may have a bottom plate 52 of a predetermined area.
  • the bottom plate 52 may be seated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pace 34'.
  • a discharge penetration portion 52'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late 52.
  • the discharge penetration portion 52'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ottom plate 52.
  • the discharge penetration portion 5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hole 36'.
  • a suction penetrating portion 5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plate 54.
  • the suction penetrating portion 54'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plate 54.
  • the suction penetrating portion 5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hole 36.
  • a battery 56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plate 52 of the component frame 50.
  • the battery 56 supplies power to drive the thermoelectric module 42 and the fan 47.
  • the battery 56 may be located between thermoelectric modules 42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52 of the component frame 50.
  • On the battery 56 there may be a board 58 provided with a circuit for driv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42.
  • the relay 59 may protrude upward within the component frame 50. When the relay 59 protrudes in this way, it can be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space between the lower holders 30. This state can be seen in Figure 33.
  • the input unit 60 may use a touch screen or touch panel, and may display the operating status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 the control unit 62 may be a processor mounted on the board 58.
  • the control unit 62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42. Temperature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62 can be provid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4.
  • the temperature sensor 64 can measure and provide the beverag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bottle 1 in the storage space 26.
  • the temperature sensor 64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holder 24 and/or lower holder 30. When installing one temperature sensor 64 for one storage space 26, it is better to install it on the lower holder 30. This is to take into account cases where the beverage bottle 1 contains less than half of the beverage.
  • Data required for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62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6.
  •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T) of a specific beverage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66,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type of beverage, the storage unit 66 stores the corresponding optimal storage temperature (T). It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62.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unit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itions the beverage bottle (1) in the insertion space (26) formed in the upper holder (24) and lower holder (30) of the main body (10), and uses the cover (12) as the beverage bottle (1).
  • the main body 10 and the beverage bottle 1 are moved or stored by shielding them from the outside.
  • the cover 12 is wrapped around the upper half of the cover several times with the handle strap 14, with each beverage bottle 1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26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over opening 13. .
  • the handle strap 14 near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1
  • the first coupler 18 and the second coupler 18' at both ends of the strap body 16 are joined, Make it as shown in Figure 24.
  • the part where the first coupler 18 and the second coupler 18' are joined can serve as a handle. In this state, it can be stored by seating it on the ground, and the beverage storage can be carried by holding the handle made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string body (16).
  • the first coupler (18) and the second coupler (18') are disconnected, and the upper half of the cover and the handle strap (14) are rolled up. release.
  • the upper half of the cover 12 is lowered so that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1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6 of the main body 10 is exposed. In this state, if the user holds and pulls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1, the beverage bottle 1 may come out of the storage space 26. After pouring a drink into a glass, you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drink at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T) by inserting the drink bottle (1) back into the storage space (26).
  • the depth of the storage space 26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cylindrical body of the beverage bottle 1,
  •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1) protrudes out of the storage space (26).
  • the fixing ring (28) may surround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everage bottle (1)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it. Accordingly, the beverage bottle 1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26 may be firmly fixed within the storage space 26.
  • the temperature sensor 64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space 26 or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4 is optimally stored in the control unit 62. It is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T).
  • the control unit 62 If the detected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T), the control unit 62 operates the thermoelectric module 42, allowing cooling to proceed (S50). That is, cold air is generat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43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42 and transmitted to the storage space 26.
  • the control unit 62 operates the thermoelectric module 42 to proceed with heating (S70). That is, the thermoelectric element 43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42 Heat is generated and transferred to the storage space (26).
  • step S60 If it is determined in S60 that the detected temperature is not lower than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T), that is, if the sensed temperature is the same as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 again to perform temperature detection. Then, while proceeding with steps S50 and S70, the temperature is detected by moving to step S30, and the steps after S30 are repeatedly performed.
  •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T) is used in steps S40 and S60 to determine the cooling progress and heating progress.
  • 1 to 2°C is added to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T). It can be based on the added temperature, and in S60, it can be based on the temperature by subtracting 1 ⁇ 2°C from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T). This is to prevent the thermoelectric module 42 from being turned on and off too frequently.
  • the heat or cold air transferred to the heat sink 44 may be transferred to an air current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fan 48 of the fan unit 47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airflow (dotted arrow) formed by the fan 48 enters the heat sink 44 through the suction hole 36 of the base 34.
  • Heat transfer occurs as air passes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ins 45 of the heat sink 44, and the heat-transferred air passes through the fan 48 and the discharge hole 36' to the base 3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36' of the base 34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scut 37 of the base 34,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slot 38 formed in the scut 37.
  • thermoelectric element 43 It flows to the outside of the base 34.
  • ai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 formed in the cover 1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solid arrow indicates that heat or cold air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43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space 26.
  • Figure 37 shows a portabl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ase 434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from the base 34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used. Therefore,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434.
  •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base 434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 a plurality of anti-vibration supports 434'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ase 434.
  • the anti-vibration support 43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refore, shock or vibration can be absorbed by the vibration isolation support 434'.
  • the anti-vibration support 434' may form a gap between the bottom of the base 434 and the ground.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434 may flow through this gap.
  • the anti-vibration support 434' may have a flat disk shape.
  • the base 434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case 420.
  • the base 434 may be partially integrated with the case 420 and extend from the case 434 .
  • the base 434 may b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may include a base side wall 435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and a base plate 435' constituting the bottom.
  • the base side wall 435 and the base plate 435' may be made separately.
  • the anti-vibration support 434'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435'.
  • a suction hole 436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enters the base 434, may be formed in the base side wall 435.
  • the area where the suction hole 436 is formed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enetration portion of the component frame as in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 a discharge hole 436' may be formed in the base plate 435'.
  • the discharge hole 436' is a portion through which heat-exchanged air flowing in the base 43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discharge hole 436' is form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ase plate 435', but as in the above embodiment, it may be formed only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enetration portion of the component frame.
  • the portable beverage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병이 수납되는 수납실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수납실을 설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하우징의 어느 한 벽면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다. 이로써, 심미감 저하를 방지하고 공기 유출입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음료 저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본 발명은 이동이나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거나 거래되는 음료는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음료에는 스포츠음료, 생수, 과일주스, 술 등이 있다.
상기 음료는 특정한 온도 범위를 유지하면서 보관하거나 특정 온도 범위를 유지하면서 음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음료는 냉장고와 같은 저온 저장시설이나 장치에 보관되지만, 상기 냉장고가 특정 음료에 적합한 온도로만 유지되는 것이 아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특정 종류의 음료(예컨대, 와인)의 경우 와인셀러와 같이 해당 음료의 보관 혹은, 음용 온도 범위로 유지하면서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전용의 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와인을 실외(혹은, 와인셀러가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음용하고자 이동(운반)하거나, 실외에서 일시 보관할 경우 실외 환경(온도)에 의해 해당 와인 특유의 풍미를 잃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971396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 제10-2228453호(선행문헌 2),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5179호(선행문헌 3) 등에서와 같이 와인의 이동(운반) 혹은, 실외의 보관시 해당 와인의 온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의 경우 와인배달상자의 내부상자 내에 환기팬과 아이스팩을 구비하여 아이스팩에서 발생하는 냉기로 와인의 온도를 낮춰주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 1에서는 온도를 낮춰서 유지할 뿐 외부 온도에 대응하여 와인의 보관 온도를 조절할 수는 없었다.
상기 선행문헌 2의 경우 보냉박스에 아이스팩을 구비하여 상기 아이스팩에서 발생하는 냉기로 와인의 온도를 낮춰주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 2도 외부 온도에 대응하여 와인의 보관 온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선행문헌 3의 경우 냉각씽크 내에 와인이 수납되는 수납실이 형성되고, 방열핀이 형성된 방열판 및 방열팬이 장착된 히트싱크의 후방으로 열전반도체소자가 설치되어 주류나 음료 등의 온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한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 3은 히트싱크 및 열전반도체소자가 수납실의 둘레(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와인 냉장기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와인 냉장기의 둘레측 폭(예컨대, 전후 두께)를 최소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 3은 히트싱크로 인해 디자인을 변경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 3은 냉장기 몸체의 측부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선행문헌 3은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전후 두께가 두꺼워졌고, 제품을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 3의 경우 열전반도체소자가 수납실의 둘레(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와인병 중 인접 부위만 국부적으로 급속히 차가워져 맛이 변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된 휴대용 음료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음료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고, 각 음료는 동일한 온도 범위로 저장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온도 범위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영역이 동일 벽면에 제공되도록 하고, 이의 경우 야기될 수 있는 토출 공기가 흡입 공기에 편승되어 재흡입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히트싱크를 충분히 방열한 후 토출되도록 하여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저장고 전체의 무게중심을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음료병의 목부를 둘러싸는 외부커버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을 위한 배출유로가 본체의 베이스 저면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운반이나 보관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음료병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음료병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에는 음료병이 수납되는 수납실과, 상기 수납실의 저부에 위치되면서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설치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병이 수납되는 공간과 온도 조절부가 설치되는 공간이 분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하우징의 설치공간에는 온도 조절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납실을 설정 온도로 유지 또는, 조절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하우징의 어느 한 벽면에는 설치공간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설치공간 내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구와 토출구를 동일한 벽면에 제공하여 심미감 저하를 방지하고 공기 유출입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토출구는 흡입구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구와 흡입구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토출구는 흡입구와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 유동의 유동저항을 증가시켜 방열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토출구로 토출되기 전에 유동하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전환되도록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 유동의 유동저항을 증가시켜 방열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흡입구의 개방 면적보다 토출구의 개방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켜 해당 공기가 흡입구로 재흡입됨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설치공간은 하우징 내의 바닥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토출 공기가 주변 사용자에게 토출됨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하우징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흡입구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로 재흡입됨이 방지될 수 있고, 하우징에 형성되는 틈새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흡입구와 각 토출구는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로 재흡입됨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각 토출구의 적어도 어느 한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더욱 빨라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온도 조절부는 상면이 수납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음료병 중 가장 두꺼운 부위의 온도 조절을 통해 음료병의 특정 부위가 과도히 냉각(혹은, 가열)되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온도 조절부는 열전소자의 저면에 제공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온도 조절부는 히트싱크의 저면에 제공되며, 하우징의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된 후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송풍하는 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하우징은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아웃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하우징은 아웃케이스 내에 위치되면서 수납실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수납실은 음료병의 수납을 위해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은 폐쇄된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설치공간은 아웃케이스의 바닥과 이너케이스의 바닥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심미감이 향상되고, 토출 공기가 주변 사용자에게 토출됨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아웃케이스의 바닥과 이너케이스의 바닥 사이를 구획하면서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가이드부재는 아웃케이스의 바닥과 이너케이스의 바닥 사이를 구획하는 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수평플레이트에는 상하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다수의 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가이드부재는 수평플레이트의 양 측 저면으로부터 이너케이스의 바닥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너케이스와 아웃케이스 바닥 사이의 중앙측에 위치되는 흡입구와 그 양 측에 위치되는 토출구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팬모듈은 축류팬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가 급격한 방향 전환을 이루도록 하여 방열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팬모듈 및 히트싱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팬모듈은 상부 혹은, 저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횡류팬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 공기의 토출 속도를 증가시켜 해당 공기가 재흡입되는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히트싱크와 팬모듈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수납실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음료병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온도 조절부는 각 수납실의 온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각 수납실의 저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납실에 수납되는 음료병의 바닥으로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각 수납실 간의 이격 거리는 하우징의 내벽면과 상기 수납실 간의 이격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수납실 사이의 공간을 줄여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소형화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수납실이 복수로 제공될 경우 하우징의 양 측 외면과 각 수납실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외면 혹은, 하우징의 후방측 외면과 상기 수납실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납실이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수납실이 복수로 제공될 경우 각 수납실 사이에는 구획벽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수납실이 서로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음료병의 노출된 부분을 플렉시블한 커버로 감싸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커버에 구비된 손잡이끈의 양단에 제1 및 제2결합구가 있어서 이들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수납공간의 하부에 해당되는 본체의 하측에 온도설정유니트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체 장치의 무게중심이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지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플랙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진 커버가 본체에서 돌출된 음료병의 목부를 둘러싸므로, 커버가 음료병에 밀착될 수 있어 커버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온도설정유니트에서 나오는 냉기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류가 베이스의 내부에서 베이스의 저면으로 유동되므로 베이스에 지면에 있는 먼지 등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베이스 자체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베이스의 저면에 탄성재질로 만들어진 방진받침이 있어서 충격이나 진동이 외부에서 음료병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고정링이 수납공간의 내면에 있어서, 수납공간에 음료병이 삽입되면 음료병의 외면에 고정링이 밀착되면서 음료병이 수납공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내부에 상부로 개구되게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음료병이 수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음료병의 돌출된 부분을 둘러싸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진 커버와,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가 위치되는 하반부와 상기 수납공간에서 돌출된 음료병의 부분을 감싸는 상반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반부에 있는 커버입구에는 양단에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있는 손잡이끈이 설치되어 상기 상반부와 손잡이끈이 함께 말아진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결합되어 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외관을 케이스가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베이스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의 내부나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에 상기 온도설정유니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온도설정유니트에서 열교환을 위한 공기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베이스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베이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스컷트가 형성되거나 방진받침이 구비될 수 있어 지면과 베이스의 저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수납공간의 내면에는 탄성재질로 된 고정링이 설치되어 상기 음료병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잇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고정링은 상기 음료병의 몸체와 목부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된 목부에 내면이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케이스의 내부에 상부로 개구되게 음료병이 수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납공간이 단열재에 의해 단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베이스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하반부와 음료병에서 수납공간으로부터 돌출된 목부를 둘러싸는 상반부를 가지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손잡이끈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나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열전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수납공간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끈의 양단에는 서로 결합되는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온도설정유니트에서 열교환을 위한 공기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베이스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베이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스컷트가 형성되거나 방진받침이 구비될 수 있어 지면과 베이스의 저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수납공간의 내면에는 탄성재질로 된 고정링이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음료병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고정링은 상기 음료병의 몸체와 목부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된 어께부에 내면이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부홀더는 열전달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온도설정유니트는, 열기나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모듈과, 상기 열전모듈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열전모듈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에 따르면, 상기 온도설정유니트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부품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제어방법에 따르면, 본체에 형성되어 음료병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하부에 위치되는 열전모듈에서 제공되는 냉기나 열기를 사용하여 음료의 보관온도를 설정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제어방법에 있어서, 음료의 종류에 따른 최적저장온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수납공간의 온도를 온도감지센서가 측정하는 단계와, 해당 음료에 대한 최적저장온도와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냉각이나 가열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제어방법에 따르면,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최적저장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열전모듈을 구동하여 가열을 수행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최적저장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열전모듈을 구동하여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제어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적저장온도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제어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적저장온도는 입력부를 통해 음료의 종류가 입력되면 제어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음료의 최적저장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음료저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동일한 벽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심미감 저하가 방지되고, 공기 유출입을 위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하우징의 바닥측 부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토출 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되어 불쾌감을 야기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열전소자가 수납실의 바닥에 제공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둘레측 폭(또는, 두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열전소자가 수납실의 바닥에 제공되기 때문에 음료병의 국부적인 부위에만 온도 변화가 심하게 발생되었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온도 조절부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추가로 제공되기 때문에 전원이 없는 장소에서 휴대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토출구가 흡입구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이로써 공기는 흡입구로부터 최대한 먼 곳에 이르기까지 토출되고, 상기 토출 공기가 흡입구로 흡입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중 각 수납실 사이에 구획벽이 제공되기 때문에 각 수납실은 서로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혹은, 영향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각 수납실 간의 이격 거리는 하우징의 내벽면과 상기 수납실 간의 이격 거리보다 짧게 위치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좌우 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각 수납실 내부의 온도는 서로의 온도에 영향을 미칠만큼 큰 차이로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각 수납실 간의 이격 거리를 최대한 가까이 형성할 수가 있고, 이로써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좌우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아웃케이스의 전후 벽면과 수납실 사이의 간격이 상기 아웃케이스의 양 측 벽면과 상기 수납실 사이의 간격 보다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휴대용 음료조장고의 전후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급격한 공기 유동의 전환을 유도하여 유동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열저항계수(R)를 낮춰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본체와 본체를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는데,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하부와 베이스 사이에 온도설정유니트를 배치하였다. 상기 커버는 본체에 수납된 음료병의 목부와 상기 본체를 둘러감싸도록 되어 있어, 상기 커버의 상반부가 음료병의 목부와 상기 커버의 하반부가 본체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성상 전체적으로 음료저장고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의 커버입구에는 손잡이끈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손잡이끈을 포함하는 커버의 상반부를 음료병의 목부 위치까지 말아서 상기 손잡이끈의 양측에 있는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를 결합하여 손잡이 형태로 만들었다. 따라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손잡이끈에 의해 손잡이가 만들어지게 되어, 이 손잡이를 잡고 전체 음료저장고를 운반할 수 있어 음료저장고의 취급이 보다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하부 및/또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있는 베이스 내에 온도설정유니트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의 하부 쪽에 많은 무게를 차지하는 온도설정유니트가 위치되어 본체의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음료저장고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는 유연한 재질이고 방수와 단열성이 좋은 섬유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의 상반부는 음료병의 목부에 밀착되어 음료병의 목부를 감싸고 커버의 하반부는 본체의 외면에 밀착되어 본체를 감쌀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된 커버를 사용함에 의해 커버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전소자에서 나오는 열기나 냉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류가 본체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서 본체의 저면을 통해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른 기류형성에 의해 음료저장고가 안착되는 지면 상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음료저장고의 케이스나 베이스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자체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최소한 일부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되고 섬유재질로 된 커버가 본체와 음료병의 목부를 감싸도록 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음료병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수납공간에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고정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은 음료병의 몸체와 목부 사이에 해당되는 경사진 어께부에 밀착되어 음료병을 수납공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병이 수납공간 내에 견고하고 고정되고 외부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전방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후방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가이드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 조절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평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 조절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 조절부 및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8 및 도 19은 본 발명의 제3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 조절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0는 본 발명의 제3실시례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 조절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에서 본체가 커버 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제4실시례에서 본체를 구성하는 부품들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 제4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 제4실시례의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 제4실시례에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 제4실시례에서 고정링이 수납공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 제4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베이스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저면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 제4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설정유니트와 베이스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 제4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설정유니트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 제4실시례를 구성하는 열전모듈의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 제4실시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 제4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5는 본 발명 제4실시례의 음료저장고에서 온도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보인 순서도
도 36은 본 발명 제4실시례의 음료저장고에서 열교환을 위한 기류가 유동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37은 본 발명에서 베이스의 구성이 달리된 제5실시례의 부분사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하우징(100)이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며, 아웃케이스(110)와 이너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케이스(110)는 하우징(100)의 외면으로 제공된다. 즉, 상기 아웃케이스(110)에 의해 하우징(100)의 전면과 양 측 벽면 및 바닥면이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전면 중 상단 부위는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되는 상단 부위로는 하우징(100) 내에 수납되는 음료병(1)(첨부된 도 6 참조)의 상단 부위가 노출되도록 수납된다. 즉, 상기 음료병(1)의 상단 부위는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전면 개방 부위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에는 커버부재(111)(도 1 및 도 2 참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11)는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커버부재(111)는 음료병(1)을 보온(또는, 보냉)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11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개방된 전면 상단 부위를 덮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커버부재(111)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과 상면 및 전면을 덮는 가죽 재질의 부재 혹은, 섬유나 합성수지 재질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버부재(111)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111)의 후방측 하단은 후술될 후방커버(130)의 하단을 감쌀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된다.
상기 이너케이스(120)는 하우징(100)의 내면을 형성한다. 상기 이너케이스(120)는 상기 아웃케이스(110) 내에 제공된다.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아웃케이스(110) 사이는 빈 공간으로 제공되거나 혹은, 단열재(도시는 생략됨)가 제공되면서 외부 온도가 이너케이스(120) 내에 위치되는 음료병(1)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예컨대, 부직포나 발포폼 혹은, 스티로폼 등과 같이 단열 가능한 부재이거나, 외부로부터 밀폐된 진공단열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20)에는 수납실(121)(도 1 및 도 6 참조)이 제공된다. 상기 수납실(121)은 음료병(1)의 수납을 위한 공간이다. 상기 수납실(121)은 상기 음료병(1)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이 폐쇄된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실(121)과 상기 이너케이스(120)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납실(121)과 상기 이너케이스(120)는 서로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이너케이스(120)에 상기 원통형의 수납실(121)이 설치되면서 한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이너케이스(120)와 수납실(121)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수납실(121)은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이나 세라믹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무게를 고려하여 상기 수납실(121)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수납실(121)은 수지 재질로 형성되되 그의 외표면 혹은, 내표면에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박막이나 코팅재가 부착 혹은,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실(121)의 바닥은 상기 아웃케이스(110)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납실(121)의 바닥과 상기 아웃케이스(110) 내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공간(101)(첨부된 도 6 및 도 7 참조)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병(1)이 수납되는 공간(수납실 내의 공간)과 온도 조절부(200)가 설치되는 공간(설치공간)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01)은 후술될 온도 조절부(20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01) 내로는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공기가 상기 설치공간(101) 내로 흡입되어 온도 조절부(200)를 경유한 후 설치공간(101)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후방커버(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방커버(130)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을 형성한다.
상기 후방커버(130)는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개방된 후면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커버(130)의 선택적인 분리로 상기 설치공간(101) 내부에 제공되는 온도 조절부(200)에 대한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아웃케이스(110)와 후방커버(130)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아웃케이스(110)에 후방커버(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130)는 상기 아웃케이스(110)보다 상하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커버(130)가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후면에 설치될 경우 서로의 높이 차이만큼 후방커버(130)의 바닥과 아웃케이스(110)의 바닥 사이에 틈새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130)는 상기 수납실(121) 혹은, 상기 온도 조절부(200)를 가릴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후방커버(130)의 바닥과 아웃케이스(110)의 바닥 사이에 틈새에는 흡입구(141) 혹은, 토출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41)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는 상기 설치공간(101) 내부로 흡입되거나 혹은, 상기 토출구(142)에 의해 상기 설치공간(101)을 경유한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틈새에 상기 흡입구(141)와 상기 토출구(142)가 함께 형성된다. 즉, 하우징(100)의 어느 한 벽면에 흡입구(141)와 토출구(142)가 함께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복수 벽면에 구멍(흡입구 또는, 토출구)을 형성한 종래 기술보다 우수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141)와 토출구(142)가 동일한 벽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 유출입을 위한 관리(예컨대, 흡입구 및 토출구의 청소 등)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틈새는 하우징(100)의 가장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토출구(14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토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틈새에는 상기 흡입구(141) 및 토출구(142)를 구분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5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외부 공기가 상기 흡입구(141)로 흡입된 후 토출구(142)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상기 흡입구(141)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전환되도록 안내하는 유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공기 유동의 급격한 방향 전환으로 난류를 야기하여유속을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전소자가 높은 냉각효율(COP)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열저항계수(R=1/h*A)를 낮춰 방열을 최대한 잘 되게 하여야 한다. 상기 열저항계수(R)를 낮추기 위한 변수에는 대류 열전달계수(h)와 방열면적(히트싱크의 표면적)(A)이 포함되며, 상기 방열면적(A)은 미리 설정된다.
이를 고려할 때 방열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열저항계수(R)를 낮추기 위해서는 대류 열전달계수(h)를 높여야 한다.
상기 대류 열전달계수(h)는 높은 풍량을 제공하거나 혹은, 충분한 열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 속도를 늦춤으로써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기 유동의 급격한 방향 전환으로 난류 발생을 유도하여 공기의 유속을 늦추고, 이를 통해 대류 열전달계수(h)를 높여 열저항계수(R)를 낮춤으로써 높은 냉각효율(COP)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높은 풍량을 제공하여 대류 열전달계수(h)를 높여 열저항계수(R)를 낮춤으로써 높은 냉각효율(COP)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가 음료병(1)을 급속히 차갑게 하는 용도(예컨대, 냉장)로 사용되기 보다는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용도(예컨대, 보냉)로 사용되기 때문에 낮은 풍량으로 공기 유속을 늦추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상기 아웃케이스(110) 내의 바닥과 이너케이스(120)의 수납실(121) 바닥 사이의 설치공간(101)을 상하로 구획하는 수평플레이트(151)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151)에는 다수의 연통공(151a,151b)이 형성된다. 즉, 상기 다수의 연통공(151a,151b)에 의해 상기 수평플레이트(151)의 하측 공간과 상기 수평플레이트(151)의 상측 공간은 서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통공(151a,151b)은 흡입구(141)로 흡입된 공기의 통과를 위한 제1연통공(151a)과, 토출구(142)로의 공기 유동을 위한 제2연통공(151b)이 포함된다. 상기 제1연통공(151a)은 상기 수평플레이트(151) 중 온도 조절부(200)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공(151b)은 상기 제1연통공(151a)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상기 수평플레이트(151)의 양 측 저면으로부터 상기 아웃케이스(110) 내의 바닥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두 격벽(152)을 포함한다. 상기 두 격벽(152)은 흡입구(141)와 토출구(142)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두 격벽(152)에 의해 토출구(14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141)로 곧장 흡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격벽(152)은 상기 아웃케이스(110) 내의 바닥과 수평플레이트(151) 간이 일정 거리로 유지하는 기능도 한다. 즉, 상기 격벽(152)에 의해 흡입구(141)와 토출구(142)가 충분한 높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두 격벽(152)에 의해 상기 토출구(142)는 상기 흡입구(141)의 양 측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틈새(흡입구와 토출구의 형성을 위한 틈새)의 크기(높이)는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42)가 흡입구(141)의 양 측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토출구(142)로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141)로 재흡입됨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토출구(142)는 상기 흡입구(141)보다 개방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흡입구(141)로 흡입된 후 설치공간(101)을 경유한 공기가 흡입구(141)로 흡입될 때의 유속보다 더욱 빠른 유속으로 각 토출구(142)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상기 토출 공기가 흡입구(141)로 재흡입되는 문제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상기 각 토출구(142)의 적어도 어느 한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설치공간(101)에서 상기 수평플레이트(151)의 제2연통공(151b)을 통과하여 하향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곡면으로 이루어진 토출구(142)의 내면(표면)을 따라 더욱 빠른 유속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토출구(142)의 출구측 부위는 출구로 갈수록 점차 개구면적이 확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토출구(14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곡면을 타고 상기 흡입구(141)로부터 최대한 먼 위치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토출구(142)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곡면을 따라 유동되면서 지면으로 깔려 흐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직접 토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41)로의 공기 유입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141)는 입구로 갈수록 점차 개구면적이 확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흡입구(141)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곡면을 타고 흐르면서 흡입구로 유입되기 때문에 토출구(142)로 토출되는 공기의 재 흡입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온도 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조절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실(121)을 설정 온도로 유지 또는,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온도 조절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01)에 설치된다. 즉, 상기 온도 조절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실(121) 바닥과 가이드부재(150)의 수평플레이트(151) 사이에 위치된다.
첨부된 도 10과 같이 상기 온도 조절부(200)에는 열전소자(2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210)는 전기가 가해질 경우 펠티에 효과에 의해 일측 표면은 발열하고 타측 표면은 흡열하는 반도체소자이다. 이러한 열전소자(210)에 의해 상기 수납실(121) 내의 온도가 떨어지거나 혹은, 올라가면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210)는 그의 일면이 상기 수납실(121)의 바닥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음료병(1) 중 가장 두꺼운 부위에 열을 가하거나 혹은, 열을 흡수함으로써 음료병(1) 내의 음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음료병(1)의 전 부위가 고르게 냉각(혹은, 가열)될 수 있다. 이로써, 열전반도체소자와의 인접 부위만 국부적으로 급속히 차가워져 맛이 변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210)와 상기 수납실(121)의 바닥면 사이에는 열전도물질(Heat thansfer paste)(도시는 생략됨)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도물질은 써멀 그리스(thermal greses) 혹은, 써멀 컴파운드(thermal greses)와 같이 열전달을 위해 제공되는 물질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납실(121)의 바닥면에 상기 열전소자(210)가 삽입 또는, 압입 결합될 수 있는 구조물이 제공되면서 상기 열전소자(21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10과 같이 상기 온도 조절부(200)에는 히트싱크(2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220)는 열교환 성능의 향상을 위해 금속 재질(예컨대, 알루미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220)는 상기 열전소자(210)의 타면(일면과는 반대측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트싱크(220)는 상기 열전소자(210)의 타면에 열전도물질을 이용하여 부착되거나 혹은, 다른 결합 구조물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220)는 상기 열전소자(210)와의 대향면과는 반대측 표면에 다수의 방열핀(221)을 가진다. 상기 각 방열핀(221)은 히트싱크(22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유동된 공기가 양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휴대용 음료저장고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봤을 때 각 방열핀(221)은 전후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히트싱크(220)의 저부로부터 히트싱크(22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각 방열핀(221)의 배치 구조에 의해 상기 히트싱크(220)의 양 측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0과 같이 상기 온도 조절부(200)에는 팬모듈(230)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모듈(230)은 상기 히트싱크(220)의 바닥면(방열핀의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모듈(230)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231) 및 팬하우징(232)을 포함한다. 상기 팬하우징(232)은 상하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팬(231)은 상기 팬하우징(232) 내에 설치되는 축류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팬모듈(230)에 의해 흡입구(141)로 흡입되어 수평플레이트(151)의 제1연통공(151a)과 팬모듈(230) 및 히트싱크(22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히트싱크(220)의 측부로 토출되는 공기 유동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히트싱크(220)의 측부로 토출된 공기는 제2연통공(151b)을 통과한 후 토출구(142)의 안내를 받아 외부로 토출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휴대하고자 하는 음료병(1)을 수납실(121)에 수납한다. 이때, 상기 음료병(1)은 그의 바닥이 상기 수납실(121) 내의 바닥에 얹히도록 수납한다.
그리고, 상기 음료병(1)의 수납후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부재(111)로 덮는다.
상기 커버부재(111)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을 덮음으로써 상기 하우징(100) 내에 수납된 음료병(1)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11)로 수납실(121) 내부의 온도는 외부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미미하게만 받게 된다.
상기 음료병(1)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혹은, 수납실(121) 내의 온도(또는, 온도 범위)에 따라 온도 조절부(200)가 수동 혹은, 자동으로 동작된다. 상기 온도 조절부(200)는 수납실(121)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또는, 온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상기 설정 온도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온도이거나 각 음료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 혹은, 음료에 상관없이 설정되는 온도일 수 있다. 각 음료에 따라 설정된 온도의 경우에는 해당 음료의 종류를 자동으로 센싱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조절부(200)는 상기 수납실(121) 내의 온도(또는, 온도 범위)가 설정 온도(또는, 온도 범위)보다 높을 경우 온도 조절부(200)의 열전소자(210) 중 수납실(121)에 접촉된 표면이 흡열 반응을 하도록 전류를 공급한다.
즉, 상기 열전소자(210)로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열전소자(210)의 수납실(121)에 접촉된 일면이 흡열 반응을 하면서 상기 수납실(121)의 열을 흡수한다. 이로 인해 상기 수납실(121)의 온도는 점차 하락된다.
상기 열전소자(210)의 일면이 흡열 반응을 할 경우 상기 열전소자의 타면은 발열 반응을 하면서 열을 방출한다. 이렇게 열전소자(210)의 타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상기 열전소자(210)의 타면에 설치된 히트싱크(220)로 전도되면서 상기 히트싱크(220)의 표면을 통해 방열된다. 이때, 상기 히트싱크(220)는 각 방열핀(221)에 의해 상기 열전소자(210)의 타면보다 넓은 표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열전소자(210)의 타면에서 발생된 열이 히트싱크(220)를 통해 충분히 방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납실(121)의 냉각이 수행되더라도 수납실(121)의 온도가 낮아지지 않거나 혹은, 강제적으로 수납실(121)의 온도를 낮추어야 할 경우가 있다. 예컨대, 주위 온도가 과도히 높거나 보관하고자 하는 음료가 낮은 온도(예컨대, 5℃ 이하)로 보관되어야 할 경우에는 단순히 히트싱크(220)의 방열만으로는 충분한 방열성능을 이룰 수 없어서 열전소자(210)의 흡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실(121)의 온도를 낮추는 과정에서 팬모듈(230)은 수납실(121) 온도와 설정 온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예컨대, 상기 수납실(121)의 온도를 빠르게 낮춰야 할 경우 혹은, 수납실(121)의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팬모듈(230)의 팬(231)이 추가로 동작될 수 있다.
이렇게 팬모듈(230)의 팬(231)이 동작되면 흡입구(141)로부터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해당 팬모듈(230)을 통과한 후 히트싱크(220)로 제공되어 히트싱크(220)를 방열하는 공기 유동이 발생된다.
즉, 외부 공기로 히트싱크(220)를 방열시킴으로써 열전소자(210)의 발열측 표면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열전소자(210)의 발열측 표면 온도가 낮아질 경우 상기 열전소자(210)의 흡열측 표면 온도는 더욱 낮아질 수 있고, 이로써 수납실(121)의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팬모듈(230)의 동작으로 히트싱크(220)를 방열하는 공기는 흡입구(141)로부터 흡입되어 토출구(142)로 토출되기 전까지 적어도 한 번 이상 이전 유동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공기 유동의 급격한 전환에 의한 유동 저항으로 난류가 발생되고, 히트싱크(220)를 경유하는 공기는 그 만큼 오래동안 상기 히트싱크(220)를 방열하게 된다. 즉, 풍량을 높이지 않아도 공기 유동의 난류 발생을 유도함에 따라 열저항계수(R)가 낮아질 수 있고, 그만큼 높은 열전소자(210)의 냉각효율(COP)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1 및 도 12와 같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220)의 각 방열핀(221)을 통과하면서 히트싱크(220)의 측부로 토출된 공기는 해당 공간의 하측에 위치된 제2연통공(151b)을 통과하여 토출구(142)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142)의 내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급격한 방향 전환에도 불구하고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면서 빠른 유속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즉, 공기는 히트싱크(220)를 지나는 과정에서만 유속이 느려질 뿐 토출되는 과정에서는 빠르게 토출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142)의 출구측 부위는 출구로 갈수록 점차 개구면적이 확장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토출구(142)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구(141)로부터 최대한 먼 위치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토출구(142)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곡면 구조의 출구가 제공하는 표면을 따라 유동되면서 지면으로 깔려 흐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직접 토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만일, 수납실(121) 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또는, 온도 범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온도 조절부(200)의 열전소자(210) 중 수납실(121)에 접촉된 표면이 발열 반응을 하도록 전류가 공급된다. 즉, 상기 열전소자(210)의 발열 반응에 의해 수납실(121)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납실(121)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팬모듈(230)은 수납실(121) 온도와 설정 온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흡입구(141)와 토출구(142)가 하우징(100)의 동일한 벽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심미감 저하가 방지되고, 공기 유출입을 위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흡입구(141) 및 토출구(142)가 하우징(100)의 바닥측 부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공기는 최대한 바닥(지면)으로 토출될 수 있고, 이로써 토출 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되어 불쾌감을 야기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열전소자(210)가 수납실(121)의 바닥에 제공되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둘레측 폭(또는, 두께)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음료병(1)의 국부적인 부위에만 온도 변화가 심하게 발생되었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전술된 제1실시예의 구조에 다양한 추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온도 조절부(200)의 자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도시는 생략됨)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회로기판(도시는 생략됨)은 하우징(100) 내부나 하우징(100)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조작패널 혹은, 조작스위치(102)는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의 도면부호 102는 상기 조작스위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온도 조절부(200)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00)(첨부된 도 1 및 도 2 참조)가 추가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의 경우, 상기 배터리(300)는 충전식 배터리 혹은, 교체식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한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배터리(300)가 교체식일 경우 상기 배터리(300)는 하우징(100)의 내부 중 수납실(121)과 각 모서리 사이의 틈새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13과 같이 이너케이스(120)의 상면 중 두 수납실(121)과 아웃케이스(110) 사이에 배터리 설치홈(103)을 형성하여 상기 배터리 설치홈(10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터리(300)는 흡입구(141) 내에 위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발열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배터리(300)의 발열로 인해 야기되는 수납실(121)의 온도 변화가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터리(300)는 혹은, 하우징(100) 외면(예컨대, 바닥면, 측면, 후면 등)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수납실(121)이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다.
하지만, 공간 효율을 고려할 때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수납실(121)은 복수로 제공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수납실(121)이 두 개인 것을 그 예로 도시되고 있다.
이렇게 수납실(121)이 두 개로 제공될 경우에는 온도 조절부(200) 역시 두 개로 제공되면서 각각의 수납실(121)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즉, 수납실(121)이 복수일 경우 각 수납실(121)마다 온도가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 있도록 온도 조절부(200)도 복수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수납실(121)이 복수일 경우 흡입구(141)는 하나로 제공되는 반면, 토출구(142)는 두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의 도면(첨부된 도 6과 도 8 및 도 12 참조)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구(141)는 두 수납실(121)의 저부에 위치되고, 두 토출구(142)는 상기 흡입구(141)의 양 측에 각각 하나씩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토출구(142)는 하우징(100)의 하단 양 모서리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두 토출구(142)가 최대한 멀리 위치되고 흡입구(141)보다 확연히 작게 형성하여 더욱 빠른 유속을 갖도록 함으로써 각 토출구(14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141)로 곧장 재흡입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실(121)이 복수로 제공될 경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각 수납실(121) 사이를 구획벽(160)(첨부된 도 6과 도 8 및 도 12 참조)이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벽(160)에 의해 두 수납실(121) 사이의 공간 및 설치공간(101)이 서로 구획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각 수납실(121)은 서로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혹은, 영향이 최소화된다.
상기 구획벽(160)은 일단이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아웃케이스(110) 내의 가이드부재(150)를 이루는 수평플레이트(151)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수납실(121) 간의 이격 거리(L1)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면과 상기 수납실(121) 간의 이격 거리(L2,L3)보다 짧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좌우 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수납실(121) 간의 이격 거리(L1)가 가까울 수록 서로의 열이 전도될 수 있다. 하지만, 각 수납실(121) 내부의 온도는 서로의 온도에 영향을 미칠만큼 큰 차이로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각 수납실(121) 간의 이격 거리를 최대한 가까이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각 수납실(121) 사이에 상기 구획벽(160)이 위치될 경우 각 수납실(121) 간의 대류에 의한 열전도가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하우징(100)의 외부 온도는 각 수납실(121)의 온도에 영향을 미칠만큼 큰 차이로 제공된다. 이로써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인 아웃케이스(110)의 외면과 상기 수납실(121)까지의 이격 거리(L2,L3)는 상기 각 수납실(121) 간의 간격(L1)보다 길게 형성하여 충분한 단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외면 중 양 측 벽면의 경우 외부 환경에 온전히 노출되는 벽면이고,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외면 중 전후 벽면의 경우는 커버부재(111)로 감싸여진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전후 벽면과 상기 수납실(121) 사이의 간격(L3)을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양 측 벽면과 상기 수납실(121) 사이의 간격(L2) 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전후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첨부된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휴대용 음료저장고가 도시되고 있다.
본 발명 제2실시예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흡입구(141)와 배출구(142)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된다. 즉, 흡입구(141)와 배출구(142)가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급격한 공기 유동의 전환을 유도하여 유동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열저항계수(R)를 낮춰 방열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의 경우 상기 흡입구(141)와 배출구(142)의 위치는 상기 팬모듈(23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기 팬모듈(230)이 축류팬으로 제공될 경우 흡입구(141)는 아웃케이스(110)의 바닥과 후방커버(130)의 바닥 사이 중 바닥측에 형성하고 배출구(142)는 상기 흡입구(14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전방 또는, 후방에서 봤을 때 각 방열핀(221)은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히트싱크(220)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각 방열핀(221) 사이의 간격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축류팬으로 제공되는 팬모듈(230)이 상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하측으로 배출하도록 배치될 경우 아웃케이스(110)의 바닥과 후방커버(130)의 바닥 사이 중 상측에 흡입구(141)가 제공되고 하측에 토출구(142)가 제공된다. 하지만, 상기 팬모듈(230)의 하측은 빈 공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공기가 후방(토출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원활히 토출되지 못하고 팬모듈(230)과 토출구(142) 사이에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로써 공기가 팬모듈(230)을 통과하여 히트싱크(220)로 제공된 후 히트싱크(220)의 각 방열핀(221)에 의한 안내를 받아 토출구(142)로 토출되도록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휴대용 음료저장고가 도시되고 있다.
본 발명 제3실시예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팬모듈(230)이 상부(또는, 저부)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둘레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횡류팬으로 제공되는 경우이다. 이렇게 팬모듈(230)이 횡류팬으로 제공될 경우 흡입구(141)는 히트싱크(220)의 후방에 위치되고, 토출구(142)는 상기 흡입구(141)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모듈(230)이 횡류팬으로 제공될 경우 공기는 흡입구(141)를 통해 히트싱크(220)의 각 방열핀(221) 사이를 경유한 후 상기 팬모듈(230)로 하향 전환한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는 상기 팬모듈(2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팬모듈(230)의 후방으로 배출된 후 토출구(142)로 토출된다.
상기 팬모듈(230)이 횡류팬으로 제공될 경우 팬하우징(232)의 공기 출구(232a)는 팬(231)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한 측으로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팬하우징(232)의 어느 한 둘레에 상기 공기 출구(232a)가 위치됨으로써 공기의 토출력이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상기 팬모듈(230)이 횡류팬으로 제공되고 수납실(121)이 두 개로 제공될 경우 상기 팬모듈(230)의 팬하우징(232)에 형성되는 공기 출구는 서로 이웃하게 위치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팬모듈(230)이 횡류팬으로 제공되고 수납실(121)이 두 개로 제공될 경우 상기 각 팬모듈(230)의 각 공기 출구간 이격 거리(L4)는 각 팬모듈(230) 서로의 이격 거리(L5)보다 멀리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 공기는 특정 위치로 집중되지 않아 재흡입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8과 같다.
한편, 상기 팬모듈(230)은 횡류팬과 축류팬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19와 같이 어느 한 수납실(121)에 제공되는 팬모듈(도면상 우측 팬모듈)(230)은 횡류팬으로 형성하고, 다른 한 수납실(121)에 제공되는 팬모듈(도면상 좌측 팬모듈)(230)은 축류팬으로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의 경우, 흡입구와 토출구는 각 팬모듈(230)마다 달리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두 팬모듈(230) 중 횡류팬으로 이루어진 팬모듈(230)의 경우 팬(231)의 후방측 상부에 흡입구(141)가 형성되고, 팬(231)의 후방에 토출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축류팬으로 이루어진 팬모듈(230)의 경우 팬(231)의 후방측 하부에 흡입구(14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41)의 측부에 토출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부(200)가 복수로 제공될 경우 각 열전소자(210)는 각 수납실(121)의 갯수만큼 제공되는 반면, 팬모듈(230) 또는, 히트싱크(220)는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히트싱크(220)에 두 열전소자(210)와 두 팬모듈(230)이 결합되어 제공될 수가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를 이루는 팬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팬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팬의 종류에 따라 흡입구와 토출구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흡입구(141)의 양 측에 토출구(142)가 위치되는 일 실시예의 구조가 우수한 심미감 및 토출 공기의 재흡입 방지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21 내지 도 37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휴대용 음료저장고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 제4실시예를 상기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제4실시예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본체(10)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도 21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전후의 측면이 평면으로 될 수 있고. 좌우의 측면이 곡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의 측면을 구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은 음료병(1) 외면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음료병(1)이 수납될 수 있도록 본체(10)가 구성되어 있으나, 다양한 갯수의 음료병(1)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에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음료병(1)이 좌우로 열을 지어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다수개의 음료병(1)을 평면으로 볼 때, 음료병(1)이 삼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거나 사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수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0)에 수납되는 음료병(1)의 갯수는 다수개로 될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된 제4실시예에서는 음료저장고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2개의 음료병(1)이 수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음료병(1)의 몸체가 수납될 수 있고, 음료병(1)의 목부분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된 음료병(1)의 부분을 둘러싸도록 커버(1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버(12)는 단열과 방수가 가능하고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는 섬유나 합성수지 재질로 된 것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12)는 그 형상이 물건을 수납하는 주머니와 유사하다. 상기 커버(12)는 상기 본체(10) 전체 또는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커버(12)는, 도 2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입구(13)가 상부에 있어서, 상기 커버입구(13)를 통해서 상기 본체(10)가 상기 커버(12)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커버입구(13)를 통해서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수납공간(26)에 음료병(1)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되어 있지만, 도 2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절반 정도는 상기 본체(10)가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커버(12)의 하반부는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12)의 상반부는 상기 본체(10)의 상단보다 상부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의 커버입구(13)에는 손잡이끈(1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끈(14)은 끈본체(16)와 서로 결합되는 제1,2결합구(18,18')를 포함한다. 상기 끈본체(16)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고, 상기 커버입구(13)의 외면을 둘러 커버(1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끈본체(16)에는 상기 커버입구(13)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있다. 상기 돌출된 부분의 일측에 상기 제1결합구(18)가 설치되고, 타측에 제2결합구(1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구(18)와 제2결합구(18')는 서로 결합되는 암수 파스너로서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결합구(18)와 제2결합구(18')가 탄성변형을 이용하는 파스너 이외에도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결합되는 똑딱이 단추가 제1결합구(18)와 제2결합구(18')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서로 결합되는 갈고리와 걸림고리가 각각 있는 벨크로(일명 찍찍이)가 제1결합구(18)와 제2결합구(18')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12)의 하반부 아래쪽을 둘러서는 관통부(1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관통부(12')는 아래에서 설명될 베이스(34)의 흡입공(36) 들이 형성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공(36)으로 들어갈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버(12)의 바닥, 즉 상기 본체(10)의 저면이 위치되는 바닥에도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베이스(34)의 배출공(36')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2)는 도시된 제4실시예의 구성과는 달리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커버(12)가 아래에서 설명될 베이스(34)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베이스(34)나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스(20)에 상기 커버(12)의 고정을 위한 구성을 둘 수 있고, 상기 커버(12)는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본체(10) 측과 커버(12)의 대응되는 위치에 벨크로를 두어 서로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본체(10) 측과 커버(12)의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결합되고 분리되는 지퍼를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10)의 베이스(34)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커버(12)에 관통부(12')의 구성을 두지 않아도 된다.
상기 본체(10)의 외관을 케이스(2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위에서 설명된 본체(10)의 외관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외면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케이스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공간(22) 내에는 아래에서 설명된 상부홀더(24), 하부홀더(30), 단열재(32)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상대적으로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케이스공간(22) 내에는 상부홀더(24)와 하부홀더(30) 그리고 단열재(32)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홀더(24)와 하부홀더(30)는 음료병(1)이 수납되는 공간을 만든다. 상기 상부홀더(24)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홀더(24)는 원통형으로 된 2개의 홀더본체(24')가 연결판(25)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연결판(25)은 상기 본체(1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더본체(24')는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홀더본체(24')는 본 제4실시예에서는 2개가 있으나, 수납되는 음료병(1)의 갯수에 대응되는 갯수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홀더본체(24')의 내부에는 음료병(1)이 위치되는 수납공간(2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6)의 입구는 상기 연결판(25)을 관통하여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6)의 입구에는 고정링(2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28)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링(28)을 만드는 재질의 예로서 고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링(28)은 음료병(1)의 어깨부에 밀착되어 음료병(1)이 수납공간(26)에서 일정 이상의 힘에 의해서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즉, 본체(1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지더라도 음료병(1)이 수납공간(26)에서 임의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링(28)은 상기 수납공간(26)의 입구에 해당되는 상기 연결판(25)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음료병(1)에서 음료가 채워지는 부분을 몸체라고 하고, 상기 몸체 내부로 음료가 채워지고 배출되는 부분을 목부라고 하고, 상기 몸체와 목부 사이의 경사진 부분을 어깨부라고 한다.
상기 고정링(28)은 상기 수납공간(26)에 음료병(1)이 위치되어 있을 때, 음료병(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몸체의 직경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음료병(1) 들은 상기 고정링(28)의 압축정도가 달라지면서 수납공간(26)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링(28)에 의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직경을 가지는 다양한 음료병(1)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28)은 상기 수납공간(26)의 입구 외에도 상기 수납공간(26) 내면에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홀더(30)는, 도 2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홀더(24)의 홀더본체(24')와 협력하여 상기 수납공간(2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홀더(30)는 상기 홀더본체(24')와 같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홀더(30)는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홀더본체(24') 내부의 수납공간(26)과 연통되고 하부는 막혀있다. 상기 하부홀더(30)의 바닥은 음료병(1)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되거나 음료병(1)의 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홀더(30)는 열전달율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홀더(3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본체(24')와 하부홀더(30)를 둘러서는 단열재(32)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열재(32)가 상기 홀더본체(24')와 하부홀더(30)의 외면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스(20)와 상부홀더(24) 및 하부홀더(30) 사이의 공간에 발포성 단열재(32)가 충진되어 단열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열재(32)는 상기 삽입공간(26)과 외부 사이에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26에는 상기 상부홀더(24)와 하부홀더(30)가 하나로 합쳐진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홀더(24)와 하부홀더(30)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는 홀더(124)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홀더(124)는 원통형상의 홀더본체(124')의 상부가 연결판(125)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본체(124')의 내부에는 음료병(1)의 몸체 부분이 위치되는 삽입공간(1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124)는 열전달율이 좋은 재질로 전체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본체(124')의 외면을 둘러서는 단열재(132)가 위치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본체(10)의 하단에는 베이스(3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34)는 상기 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4)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34)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 충격이나 진동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34)의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되게 설치공간(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3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온도설정유니트(40)의 부품프레임(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4)의 설치공간(34')을 주변과 구획하도록 측벽(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35)의 외면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림리브(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35)는 상기 케이스(2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와 베이스(34)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변형가능한 구조의 스냅결합방식, 나사 등의 체결구를 사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34)에서 상기 설치공간(34')과 외부를 연통하도록 다수개의 흡입공(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공(36)은 상기 베이스(34)의 외면을 둘러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벽(35)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공(36)은 상기 설치공간(34')과 대응되는 베이스(34)의 외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공(36)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설치공간(34')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흡입공(36)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프레임(50)의 흡입관통부(54')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34)의 설치공간(34') 바닥을 관통하여서는 배출공(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36')은 상기 베이스(34)의 바닥을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배출공(36')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프레임(50)의 배출관통부(52')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4)의 저면에는 스컷트(37)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컷트(37)는 상기 베이스(34)의 저면 가장자리를 둘러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컷트(37)의 존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34)의 저면과 상기 본체(10)가 안착되는 지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컷트(37)에는 다수개의 연통슬롯(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슬롯(38)은 상기 베이스(34)가 지면에 안착되었을 때, 베이스(34)의 저면에 상기 스컷트(37)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통슬롯(38)은 상기 스컷트(37)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슬롯(38)을 통해서는 상기 배출공(36')을 통해서 나온 공기가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스컷트(37)와 연통슬롯(38)은 베이스(34)가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4)의 설치공간(34') 및/또는 케이스(20)의 케이스공간(22) 하부에는 온도설정유니트(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설정유니트(40)는 상기 수납공간(26) 내부의 온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도설정유니트(40)에서 온도설정을 위해서 열전모듈(42)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42)은, 도 3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전소자(43)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전소자(43)는 전기가 가해지면 펠티에 효과에 의해 일측 표면은 뜨겁게 되고 타측 표면은 차갑게 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공간(26)의 온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열전소자(43)의 일측 표면에는 히트싱크(44)가 설치된다. 상기 히트싱크(44)에는 방열핀(45)이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45)은 상기 열전소자(43)의 반대편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방열핀(45) 끝부분에 안착되게 팬유니트(4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유니트(47)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48)이 있다. 상기 팬(48)은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회전축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48)이 구동되면 상기 베이스(34)의 흡입공(36)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이 공기는 상기 방열핀(45)을 통과하면서 열교환하고 상기 팬(48)을 거쳐서 상기 배출공(36')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42)에서 상기 열전소자(43)의 타측 표면은 상기 하부홀더(3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열전모듈(42)의 열전소자(43)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프레임(50) 상부로 조금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42)의 열전소자(43)는 상기 하부홀더(30)의 저면에 써머그리스를 도포하고 엔지니어링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설정유니트(40)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부품프레임(5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품프레임(50)은 상기 베이스(34)의 설치공간(34')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부품프레임(50)인 상기 케이스(20)의 케이스공간(2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품프레임(50)은 케이스공간(22)의 최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본체(10)의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부품프레임(50)은 상기 설치공간(34')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품프레임(50)은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상이고, 아래에서 설명될 배출관통부(52')와 흡입관통부(54') 부분은 관통되어 있다.
상기 부품프레임(50)은 소정 면적의 바닥판(5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52)은 상기 설치공간(34')의 바닥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52)에는 배출관통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통부(52')는 상기 바닥판(5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통부(52')는 상기 배출공(3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5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측판(5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측판(54)은 상기 설치공간(34')의 내측면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측판(54)의 일측에는 흡입관통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통부(54')는 상기 측판(5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통부(54')는 상기 흡입공(3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프레임(50)의 바닥판(52) 상에는 배터리(56)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6)는 상기 열전모듈(42)과 팬(47)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56)는 상기 부품프레임(50)의 바닥판(52) 양단에 설치된 열전모듈(4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6) 상에는 상기 열전모듈(42)의 구동을 위한 회로가 구비되는 기판(5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56) 상에는 또한 상기 배터리(56)의 전원을 상기 열전모듈(42)로 전달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릴레이(5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릴레이(59)는 상기 부품프레임(50) 내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릴레이(59)가 돌출되면 상기 하부홀더(30)의 사이에 해당되는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33에서 볼 수 있다.
한편, 도 34에 도시된 블럭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입력부(6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60)는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음료저장고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62)는 상기 기판(58)에 실장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62)는 상기 열전모듈(4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2)의 동작에 필요한 온도데이터는 온도감지센서(64)가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64)는 상기 수납공간(26)에 있는 음료병(1)의 음료온도를 측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온도감지센서(64)는 상기 상부홀더(24) 및/또는 하부홀더(3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수납공간(26)에 대하여 하나의 온도감지센서(64)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홀더(30) 쪽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는 음료병(1)에 음료가 절반 이하만 담겨 있는 경우 등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부(62)의 제어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는 저장부(66)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음료의 최적저장온도(T)가 상기 저장부(66)에 미리 저장되어 사용자가 음료의 종류를 선택하면, 이에 대응되는 최적저장온도(T)를 상기 저장부(66)가 상기 제어부(62)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제4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음료저장고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제4실시예의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상기 본체(10)의 상부홀더(24)와 하부홀더(30) 내에 형성된 삽입공간(26) 내에 음료병(1)을 위치시키고, 상기 커버(12)로 본체(10)와 음료병(1)을 외부와 차폐하여 이동하거나 보관하게 된다.
상기 커버(12)는 커버입구(13)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수납공간(26)에 음료병(1)을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상반부를 상기 손잡이끈(14)과 함께 여러 번 감는다. 이와 같이, 음료병(1)의 목부 근처에 손잡이끈(14)이 있도록 한 상태에서, 끈본체(16) 양단의 제1결합구(18)와 제2결합구(18')를 결합시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든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결합구(18)와 제2결합구(18')가 결합된 부분이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지면에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고, 끈본체(16)의 양단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손잡이를 잡고 음료저장고를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음료병(1)에 있는 음료를 음용할 때에는, 상기 제1결합구(18)와 제2결합구(18')의 결합을 해제하고, 커버상반부와 손잡이끈(14)이 말려 있는 상태를 풀어 준다. 다음으로 커버(12)의 상반부를 아래로 내려서 상기 본체(10)의 수납공간(26)에 수납되어 있는 음료병(1)의 목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음료병(1)의 목부를 사용자가 잡고 당기면 상기 음료병(1)이 수납공간(26)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 음료를 잔에 따른 후에는 음료병(1)을 다시 수납공간(26)에 삽입하여 두게 되면 지속적으로 최적저장온도(T)로 음료의 온도를 유지할 수있다.
상기 본체(10)의 수납공간(26)에 음료병(1)을 삽입하면, 상기 수납공간(26)의 깊이가 상기 음료병(1)의 원통형의 몸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음료병(1)의 목부는 상기 수납공간(26)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음료병(1)은 상기 수납공간(26)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링(28)이 음료병(1)의 어깨부를 둘러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간(26)에 삽입된 음료병(1)이 수납공간(26)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3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60)를 통해 음료의 종류를 입력하면(S10), 상기 제어부(62)가 저장부(66)에 저장된 최적저장온도(T)를 확인한다.(S20) 물론 사용자가 음료의 종류를 입력하는 대신에 직접 최적저장온도(T)를 입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온도감지센서(64)가 상기 수납공간(26)의 온도 또는 음료의 온도를 감지한다.(S30) 상기 온도감지센서(64)에서 감지된 온도는 상기 제어부(62)에서 최적저장온도(T)와 비교된다.(S40) 감지된 온도가 최적저장온도(T) 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2)가 상기 열전모듈(42)를 동작시키는데, 냉각이 진행되도록 한다.(S50) 즉, 상기 열전모듈(42)의 열전소자(43)에서 냉기가 발생되어 상기 수납공간(26)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S40에서 상기 온도감지센서(64)에서 감지된 온도가 최적저장온도(T)와 같거나 낮은 경우에는 다시 최적저장온도(T)보다 감지된 온도가 더 낮은 지를 판단한다.(S60) 만약 감지된 온도가 최적저장온도(T)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62)는 상기 열전모듈(42)을 동작시켜 가열을 진행한다.(S70) 즉, 상기 열전모듈(42)의 열전소자(43)에서 열기가 발생되어 상기 수납공간(26)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만약, S60에서 최적저장온도(T)보다 감지된 온도가 낮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즉 감지된 온도가 최적저장온도(T)와 같은 경우에는 다시 S30단계로 진행하여 온도감지를 수행한다. 그리고 S50과 S70단계를 진행하면서, S30단계로 이동하여 온도감지를 수행하고, S30 이후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도 35에 도시된 예에서는 냉각진행과 가열진행의 판단을 위해 최적저장온도(T)를 기준으로 S40과 S60단계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S40에서는 최적저장온도(T)에 1~2℃를 더한 온도를 기준으로 할 수 있고, S60에서는 최적저장온도(T)에서 1~2℃를 빼 온도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이는 열전모듈(42)이 너무 자주 온오프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히트싱크(44)로 전달된 열기나 냉기는 상기 팬유니트(47)의 팬(48)이 회전함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는 도 36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팬(48)에 의해 형성된 기류(점선 화살표)가 상기 베이스(34)의 흡입공(36)을 통해 상기 히트싱크(44)로 들어간다. 상기 히트싱크(44)의 상기 방열핀(45) 사이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전달이 이루어지고, 열을 전달받은 공기는 상기 팬(48)을 지나 상기 배출공(36')을 거쳐 상기 베이스(34)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베이스(34)의 배출공(36')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베이스(34)의 스컷트(37)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배출되고, 상기 스컷트(37)에 형성된 연통슬롯(38)을 통해 베이스(34)의 외부로 유동된다. 물론, 상기 본체(10)가 상기 커버(12)의 내부에 있을 때에는 공기가 상기 커버(12)에 형성된 관통공(12')을 통과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도 36에서 실선 화살표는 열전소자(43)에서 나온 열기나 냉기가 수납공간(26)으로 전달되는 것을 표시한다.
도 37에는 본 발명 제5실시예의 휴대용 음료저장고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위에서 설명된 제4실시예의 베이스(34)와 다른 구성을 가지는 베이스(434)가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434)의 구성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434) 이외의 다른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베이스(434)의 저면에는 방진받침(434')이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진받침(434')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진받침(434')에 의해 충격이나 진동의 흡수가 가능하다. 상기 방진받침(434')은 상기 베이스(434)의 저면과 지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틈새를 통해 상기 베이스(434)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방진받침(434')은 납작한 원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 제5실시예의 베이스(434)는 그 횡단면 형상이 케이스(420)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434)는 상기 케이스(420)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434)와 일체로 되어 상기 케이스(434)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434)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외측면을 구성하는 베이스측벽(435)과 바닥을 구성하는 베이스판(4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측벽(435)과 베이스판(435')은 별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435')의 저면에 상기 방진받침(434')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측벽(435)에는 외부의 공기가 베이스(434) 내부로 들어가는 통로인 흡입공(4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공(436)이 형성되는 영역은 위에서 설명된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부품프레임의 흡입관통부와 대응되는 위치이다. 상기 베이스판(435')에는 배출공(4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436')은 상기 베이스(434) 내를 유동하면서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도면에는 상기 배출공(436')이 베이스판(435')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만, 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부품프레임의 배출관통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음료저장고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음료병이 수납되는 수납실과 상기 수납실의 저부에 위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면서 상기 수납실을 설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벽면에는 상기 설치공간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설치공간 내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기 전에 유동하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전환되도록 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의 측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와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흡입구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와 각 토출구는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토출구의 적어도 어느 한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면이 상기 수납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저면에 제공되는 히트싱크와,
    상기 히트싱크의 저면에 제공되며, 공기를 송풍하는 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 내에 위치되며, 상기 수납실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케이스의 바닥과 이너케이스의 바닥 사이를 구획하면서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듈은 저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축류팬으로 제공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팬모듈 및 상기 히트싱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토출구로 토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는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팬모듈은 상부 혹은, 저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횡류팬으로 제공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히트싱크와 상기 팬모듈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토출구로 토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11. 음료병이 수납되는 수납실과, 공기가 통과하는 설치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설치공간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설치공간 내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면서 상기 수납실을 설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실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제공되고,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각 수납실의 온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각 수납실의 저부에 각각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납실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수납실 간의 이격 거리보다 짧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측 외면과 상기 수납실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외면 혹은, 하우징의 후방측 외면과 상기 수납실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14. 내부에 상부로 개구되게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음료병이 수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음료병의 돌출된 부분을 둘러싸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진 커버와,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유니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가 위치되는 하반부와 상기 수납공간에서 돌출된 음료병의 부분을 감싸는 상반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반부에 있는 커버입구에는 양단에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있는 손잡이끈이 설치되어 상기 상반부와 손잡이끈이 함께 말아진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결합되어 손잡이를 구성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16. 케이스의 내부에 상부로 개구되게 음료병이 수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납공간이 단열재에 의해 단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베이스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하반부와 음료병에서 수납공간으로부터 돌출된 목부를 둘러싸는 상반부를 가지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손잡이끈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나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열전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수납공간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유니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끈의 양단에는 서로 결합되는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하부홀더는 열전달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휴대용 음료저장고.
  19. 본체에 형성되어 음료병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하부에 위치되는 열전모듈에서 제공되는 냉기나 열기를 사용하여 음료의 보관온도를 설정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제어방법에 있어서,
    음료의 종류에 따른 최적저장온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수납공간의 온도를 온도감지센서가 측정하는 단계와,
    해당 음료에 대한 최적저장온도와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냉각이나 가열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저장온도는 입력부를 통해 음료의 종류가 입력되면 제어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음료의 최적저장온도를 확인하는 휴대용 음료저장고의 온도제어방법.
PCT/KR2023/002077 2022-04-11 2023-02-13 휴대용 음료 저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WO202320010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789A KR20230145861A (ko) 2022-04-11 2022-04-11 휴대용 음료 저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KR10-2022-0044789 2022-04-11
KR10-2022-0099400 2022-08-09
KR1020220099400A KR20240020990A (ko) 2022-08-09 2022-08-09 휴대용 음료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0100A1 true WO2023200100A1 (ko) 2023-10-19

Family

ID=8832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2077 WO2023200100A1 (ko) 2022-04-11 2023-02-13 휴대용 음료 저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20010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346A (ko) * 2002-12-30 2004-07-06 지엘시스텍주식회사 분리형 화장품 냉장고
US20050082298A1 (en) * 1999-09-30 2005-04-21 Gano John Iii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items with containers
US20180087812A1 (en) * 2016-09-27 2018-03-29 Extreme Laser Technologies, Inc. Single beverage container thermo electric cooler
KR20210113006A (ko) * 2020-03-06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용 냉장고
KR20220027144A (ko) * 2019-06-25 2022-03-07 엠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쿨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2298A1 (en) * 1999-09-30 2005-04-21 Gano John Iii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items with containers
KR20040060346A (ko) * 2002-12-30 2004-07-06 지엘시스텍주식회사 분리형 화장품 냉장고
US20180087812A1 (en) * 2016-09-27 2018-03-29 Extreme Laser Technologies, Inc. Single beverage container thermo electric cooler
KR20220027144A (ko) * 2019-06-25 2022-03-07 엠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쿨러
KR20210113006A (ko) * 2020-03-06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용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74432A1 (ko) 냉장고
WO2018101750A1 (ko) 냉장고
AU2018220497B2 (en) Refrigerator, refrigerating or warming apparatus, and vacuum adiabatic body
WO2011081498A2 (en) Refrigerator
WO2016036213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1081500A2 (en) Refrigerator
WO2017175976A1 (ko) 히터 어셈블리
WO2020145717A1 (ko) 조리기기
WO2019139359A1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07188A1 (ko) 오븐
WO2019074274A1 (ko) 미러 캐비닛 장치
WO2015105333A1 (ko) 냉장고
WO2018143699A1 (ko) 냉온장고
WO2020226463A1 (ko) 블렌더
WO2018174468A1 (ko) 냉장고
WO2019066508A1 (ko) 수건 관리 장치
WO2023200100A1 (ko) 휴대용 음료 저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WO2018021857A1 (ko)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WO2018169328A1 (ko) 냉장고
WO2017039194A1 (ko) 냉장고
WO2019066509A1 (ko) 수건 관리 장치
WO2021096289A1 (ko) 냉장고
WO2021141156A1 (ko) 냉장고
WO2018062645A1 (ko)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39389A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884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