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95614A1 - 글래스를 지지하는 카세트 - Google Patents

글래스를 지지하는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95614A1
WO2023195614A1 PCT/KR2023/001564 KR2023001564W WO2023195614A1 WO 2023195614 A1 WO2023195614 A1 WO 2023195614A1 KR 2023001564 W KR2023001564 W KR 2023001564W WO 2023195614 A1 WO2023195614 A1 WO 20231956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
pair
plates
glass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15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5718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43898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956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956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Definitions

  • Figure 2b is a rear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non-transitory' simp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is term refers to cases where data is stored semi-permanently in the storage medium.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emporary storage cases.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101 in a network environmen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 the electronic device 101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2 through a first network 198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second network 199.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 104 or the server 108 through (e.g.,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4 through the server 108.
  • the auxiliary processor 123 may, for example, act on behalf of the main processor 121 while the main processor 121 is in an inactive (e.g., sleep) state, or while the main processor 121 is in an active (e.g., application execution) state. ), together with the main processor 121,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the display module 160, the sensor module 176,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r states related to can be controlled.
  • coprocessor 123 e.g., image signal processor or communication processor
  • may be implemented as part of another functionally related component e.g., camera module 180 or communication module 190. there is.
  • the input module 150 may receive commands or data to be used in a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the processor 120) from outside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a user).
  • the input module 150 may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mouse, keyboard, keys (eg, buttons), or digital pen (eg, stylus pen).
  • the sensor module 176 detects the operating state (e.g., power or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or the external environmental state (e.g., user state)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or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tate. can do.
  • the sensor module 176 includes, for example, a gesture sensor, a gyro sensor, an air pressur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ip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lor sensor, an IR (infrared) sensor, a biometric sensor, 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or light sensor.
  •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can manag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a part of, for example,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 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uses subscriber information (e.g.,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IMSI)) stored i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to communicate with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 subscriber information e.g.,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IMSI)
  •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 the bending area 367 is formed adjacent to one end and may be bent at least twice.
  • the bending area 367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hook 363b and the first support area 363a.
  • the user may use the first The wire 363 can be separated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313a and changed to another first opening 313a adjacent to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wire 363 can stably support the changed side surface 13a of the glass 10.
  • a plurality of second wires 365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pairs to the lower side of the glass 10 ( 13b) can support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 the plurality of fixing rods 320 include a first fixing rod 321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plates 310 and a second fixing ro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plates 310. It includes a rod 322, and the front wire 371 may have one end fixed to the first fixed rod 321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cond fixed rod 322.
  • the cassette 300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one or more glasses 10 includes a pair of plates 310 and a plurality of fixings where both end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pair of plates 310. It includes a frame 305 made of a rod 320 and a plurality of wires 350 connected to the frame 305 and supporting the glass 10, and the plurality of wires 350 are connected to a pair of plates 310. ),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 363 supporting the left or right side (e.g., side surface 13a) of the glass 10 and the lower side 13b of the glass 1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1개 이상의 글래스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카세트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및 한 쌍의 플레이트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봉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연결되고, 글래스를 지지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와이어는, 한 쌍의 플레이트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글래스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지지하는 제1 와이어 및 글래스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 봉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글래스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래스를 지지하는 카세트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글래스를 지지하는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픽셀 또는 서브 픽셀 단위의 동작으로 다양한 색을 표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의 역할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출되는 빛이 통과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글래스를 포함한다. 글래스는 전자 장치의 슬림화를 위하여 박형화됨과 동시에,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하여 강성이 강화되어야 했다. 글래스를 강화하기 위한 공정은, 복수의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고 이를 강화 용액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열처리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 장치의 구조 및 형상의 다양화에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입체 구조를 갖는 2.5D(dimensional) 또는 3D 글래스가 요구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입체 구조를 갖는 박형의 글래스를 강화하기 위한 공정에서, 카세트에 글래스가 부적절하게 적재되거나, 공정 중에 글래스가 부분적으로 파손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치핑(chipping) 불량이 발생한다.
특히, 카세트는 열처리 과정에서 열 변형이 적은 물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데, 이로 인하여 글래스의 접촉 시 치핑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열처리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다소 변형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강화 대상의 글래스의 사이즈 또는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 이전에 사용되었던 카세트를 다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박형의 입체 구조를 갖는 글래스의 강화 공정에서 글래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나아가 다양한 글래스에 적용될 수 있는 카세트에 대한 기술적 요구가 존재하였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문서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1개 이상의 글래스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카세트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봉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를 지지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의 좌측면 또는 우츠면을 지지하는 제1 와이어 및 상기 글래스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봉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1개 이상의 글래스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카세트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봉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를 지지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지지하는 제1 와이어 및 상기 글래스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봉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열 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측면 와이어 각각은, 상기 글래스가 전달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세트는 프레임에 연결되는 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와이어를 통하여 글래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복수의 글래스의 조립 불량 또는 치핑 문제를 감소시키고, 생산 품질 및 생산 수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카세트는 글래스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측면 와이어가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글래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카세트는 입체 구조를 갖는 글래스에 대응하여 전면 와이어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전면 와이어가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글래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세트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글래스가 적재된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글래스가 적재된 카세트의 정면도이다.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글래스가 적재된 카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4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글래스가 적재된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4e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글래스가 적재된 카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세트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와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5d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세트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와이어의 정면도이다.
도 6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봉의 측면도이다.
도 6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와이어 및 고정 봉의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 "제2 ",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 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 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 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 (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전면(210a), 상기 전면에 반대되는 후면(210b), 및 전면(210a) 및 후면(210b) 사이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211c)을 갖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210)은 전자 장치(20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의 부품을 수용하고 보호 및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하우징(210)은 전면(210a)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211a), 후면(210b)을 형성하는 후면 플레이트(211b) 및, 전면 플레이트(211a) 및 후면 플레이트(211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211c)을 형성하며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측면 하우징(24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의 전면(2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211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211a)는 적어도 하나의 코팅 레이어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투명한 재질의 폴리머 또는 글래스(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의 후면(2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211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플레이트(211b)는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의 측면(211c)은 전면 플레이트(211a) 및 후면 플레이트(211b)와 결합되고,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사출물(2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출물(240)은 전면 플레이트(211a) 및 후면 플레이트(211b) 사이에 배치되며, 후면 플레이트(211b) 및 사출물(240)은 일체로 심리스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후면 플레이트(211b) 및 사출물(24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예: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래스(213)를 포함하는 전면 플레이트(211a)는 평면 또는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면 플레이트(211a)는 전면(210a)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으로부터 후면 플레이트(2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고, 일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가장자리 영역(212a-1)들, 전면(210a)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으로부터 후면 플레이트(2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고, 타 방향(예: +/-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가장자리 영역(212a-2)들 및, 전면(210a)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으로부터 후면 플레이트(2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복수 개의 제1가장자리 영역(212a-1)들 및 복수 개의 제2가장자리 영역(212a-2)들 사이의 복수 개의 제3가장자리 영역(212a-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후면 플레이트(211b)는 후면(210b)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으로부터 전면 플레이트(211a)를 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되고 일 방향(예: +/-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4가장자리 영역(212b-1)들, 후면(210b)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으로부터 전면 플레이트(211a)를 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고 타 방향(예: +/-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5가장자리 영역(212b-2)들, 및 후면(210b)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으로부터 전면 플레이트(211a)를 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복수 개의 제4가장자리 영역(212b-1)들 및 복수 개의 제5가장자리 영역(212b-2)들 사이의 복수 개의 제6가장자리 영역(212b-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출물(240)은 전면(210a) 및 후면(210b) 사이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으며, 사출물(240)은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출물(240)은 평면 영역인 평면 하우징(242)과 측면 영역인 측면 하우징(24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사출물(240)은 굴곡 영역을 갖거나, 3차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사출물(240)은 금형 사출을 통하여 하나의 몸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의 사출물(240)은 측면 하우징(241)만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측면 하우징(241)과 평면 하우징(242)은 별도로 사출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210)의 측면(211c)에는 음향 증가 버튼(251), 음향 감소 버튼(252) 및 전원 버튼(253)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측면 하우징(241)에는 입력 모듈(250) 각각에 대응되는 전자 소자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261)(예: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61)는 전자 장치(201)의 전면(210a)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1)는 디스플레이 패널 내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1)는 글래스(213)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61)는 전면 플레이트(211a)의 적어도 일부(예: 복수 개의 제1가장자리 영역(212a-1)들, 복수 개의 제2가장자리 영역(212a-2)들 및 복수 개의 제3가장자리 영역(212a-3)들)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61)는 전면 플레이트(211a)의 외부 테두리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61)의 가장자리는 전면 플레이트(211a)의 외부 테두리와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6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센싱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61)는 시각적으로 노출되고 픽셀 또는 복수의 셀을 통해 콘텐츠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 영역(261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면 표시 영역(261a)은 센싱 영역(261a-1) 및 카메라 영역(261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 영역(261a-1)은 화면 표시 영역(261a)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과 오버랩될 수 있다. 센싱 영역(261a-1)은 센서 모듈(276)(예: 도 1의 센서 모듈(176))과 관련된 입력 신호의 투과를 허용할 수 있다. 센싱 영역(261a-1)은 센싱 영역(261a-1)에 중첩되지 않는 화면 표시 영역(261a)과 마찬가지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영역(261a-1)은 센서 모듈(276)이 동작하지 않는 동안,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 영역(261a-2)은 화면 표시 영역(261a)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과 오버랩될 수 있다. 카메라 영역(261a-2)은 제1카메라 모듈(280a, 280b)(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과 관련된 광학 신호의 투과를 허용할 수 있다. 카메라 영역(261a-2)은, 카메라 영역(261a-2)과 중첩되지 않는 화면 표시 영역(261a)과 마찬가지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영역(261a-2)은 제1카메라 모듈(280a, 280b)이 동작하지 않는 동안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래스(213)는 디스플레이(261)의 화면 표시 영역(261a)의 전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261)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과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래스(213)는 일반적인 유리 내지 강화 유리일 수 있고, 또는, 반드시 유리 재질로 한정되지 않고, 폴리머 계열의 고분자 화합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래스(213)는 디스플레이(261) 및 전자 장치(201)의 내부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래스(213)는 디스플레이(261)의 일부 구성이거나, 디스플레이(261)를 보호하는 전자 장치(201)의 전면 플레이트(211a)의 일부 구성이거나, 또는 전면 플레이트(211a)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201)의 별도의 구성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래스(213)는 디스플레이(261) 및/또는 전면 플레이트(211a)의 구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입체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래스(213)는 전면 플레이트(211a)의 적어도 일부(예: 복수 개의 제1가장자리 영역(212a-1)들, 복수 개의 제2가장자리 영역(212a-2)들 및 복수 개의 제3가장자리 영역(212a-3)들) 영역에 대응하여 굴곡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오디오 모듈(270)(예: 도 1의 오디오 모듈 (17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70)은 전자 장치(201)의 외부로부터 음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모듈(270)은 하우징(210)의 측면(211c)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오디오 모듈(270)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소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센서 모듈(276)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76)은 전자 장치(201)에 인가된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 모듈(276)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의 전면(210a)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76)은 화면 표시 영역(261a)의 적어도 일부에 센싱 영역(261a-1)을 형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276)은 센싱 영역(261a-1)을 투과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는 지정된 물리량(예: 열, 빛, 온도, 소리, 압력, 초음파)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입력 신호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사용자의 지문, 목소리)와 관련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카메라 모듈(280a, 280b)(예: 도 1의 카메라 모듈 (18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280a, 280b)은, 제1카메라 모듈(280a), 제2카메라 모듈(280b) 및 플래시(280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카메라 모듈(280a)은 하우징(210)의 전면(210a)을 통해 보여지도록 배치되고, 제2카메라 모듈(280b) 및 플래시(280c)는 하우징(210)의 후면(210b)을 통해 보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카메라 모듈(280a)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261)를 통해 커버되도록 하우징(21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카메라 모듈(280a)은 카메라 영역(261a-2)을 투과하는 광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카메라 모듈(280b)은 복수 개의 카메라(예: 듀얼 카메라, 트리플 카메라 또는 쿼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래시(280c)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음향 출력 모듈(255)(예: 도 1의 음향 출력 모듈(155))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5)은 전자 장치(201) 외부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모듈(255)은 하우징(210)의 측면(211c)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홀을 통해 음향을 전자 장치(201)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입력 모듈(250)(예: 도 1의 입력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250)은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 모듈(250)은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측면(211c)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연결 단자(278)(예: 도 1의 연결 단자(17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단자(278)는 측면(211c)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를 일 방향(예: 도 2a의 +Y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연결 단자는 측면(211c)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연결 단자(278)를 기준으로 일 방향(예: 우측 방향)에 음향 출력 모듈(255)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인쇄 회로 기판(291) 및 배터리(292)(예: 도 1의 배터리(18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쇄 회로 기판(291)은 사출물(240)의 평면 하우징(242)에 수용되며, 배터리(292)는 사출물(240)의 배터리슬롯(293)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쇄 회로 기판(291)에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쇄 회로 기판(291) 상에는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가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 (104))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안테나 구조(예: 도 1의 안테나 모듈(197))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회로는 안테나 구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 각각은, 일 실시 예에 따른 1개 이상의 글래스(10)(예: 도 2a의 글래스(213))가 적재된 카세트(300)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e는 도 4d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일 방향(예: +V 방향)으로 글래스(10)가 적재된 카세트(300)를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래스(10)를 지지하는 카세트(300)는 프레임(305) 및 복수의 와이어(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래스(10)는, 도 2a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도 2a의 전자 장치(201))의 전면(예: 도 2a의 전면(210a))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예: 도 2a의 디스플레이(261))를 보호하기 위한 글래스 플레이트 내지 커버 레이어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는 글래스(10)를 포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래스(10)는 태블릿 PC, 노트북,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11)에 배치되는 커버 레이어일 수 있고, 또는, 자동차, 선박, 나아가 건축물과 같은 상대적으로 완제품의 크기가 큰 분야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강화 유리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래스(10)는 전면(11), 전면(11)에 반대되는 후면(12) 및 전면(11)으로부터 후면(12)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측면(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측면(13)은 좌측(예: -U 방향) 또는 우측(예: +U 방향)을 각각 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면(13a), 하측(예: -W 방향)를 향하는 하측면(13b) 및 상측(예: +W 방향)를 향하는 상측면(13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래스(10)의 전면(11)은 전자 장치(201)의 전면(210a) 또는 화면 표시 영역(예: 도 2a의 화면 표시 영역(261a))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는 일 면일 수 있고, 글래스(10)의 후면(12)은 전자 장치(201)의 전면(210a) 또는 화면 표시 영역(261a)과 마주보는 일 면일 수 있고, 글래스(10)의 복수의 측면(13)은 전자 장치의 측면(예: 도 2a의 측면(211c)) 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는 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래스(10)는 2.5D(dimensional) 내지 3D의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1)의 전면(210a)은 측면(211c)으로 이어지는 일부 영역에서 일부 영역이 굴곡진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고, 글래스(10)는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 영역이 굴곡진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61)는 사이드 표시(side display)를 생성하는 엣지(edge) 영역을 포함하여, 화면 표시 영역(261a)을 확장할 수 있고, 또는, 엣지 영역은 다른 영역과 구분되는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글래스(10)는 디스플레이(261)의 엣지 영역에 대응하여 짧은 영역 내에서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글래스(10)는 한 쌍의 사이드면(13a)의 일부 영역이 경사지거나(curved), 휘어지거나(bended), 또는 유연한(flexibl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래스(10)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의 경우, 전자 장치의 슬림화를 위하여 박형의 글래스(10)가 요구되며, 예를 들면, 글래스(10)의 폭 방향(예: V축 방향)의 두께는 수십 내지 수백의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세트(300)는 1개 이상의 글래스(10)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카세트(300)는 글래스(10)의 강화 공정에서 글래스(10)를 지지하는 적재함일 수 있다. 카세트(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글래스(10)와 함께 열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래스(10)의 강화 공정에서, 글래스(10) 및 카세트(300)는 대략 250도 이상의 고온의 용액에 투입될 수 있고, 600 도 내외로까지 가열될 수 있고, 또는 급속 냉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강화 후 글래스(10)는 강화 전 글래스(10)보다 굽힘 강도 또는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고, 및/또는 내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세트(300)는 프레임(305) 및 복수의 와이어(3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305)은 카세트(3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 부품 및 복수의 글래스(10)를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일 수 있고, 복수의 와이어(350)는 프레임(305)에 지지되고, 복수의 글래스(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305)은,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열 변형이 적은 열 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의 일 종인 SUS3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305)은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 및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봉(3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 각각은 일 방향(예: W-U 평면 방향)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플레이트(310) 중 하나는 다른 하나와 수직한 방향(예: V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플레이트(310) 각각은 고정 봉(320)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 영역(30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영역(303)은 고정 봉(320)의 일부 영역이 인입되는 개구일 수 있고, 또는 홈 구조일 수 있다. 또는, 고정 영역(303)은 고정 봉(320)과 한 쌍의 플레이트(310)를 고정하는 접착성 부재가 도포되거나, 고정 봉(320)을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측면 와이어(361)가 체결되기 위한 개구(예: 도 5c의 제1 개구(313a) 및 제2 개구(313b)) 및 체결 홈(예: 도 5c의 제1 체결 홈(315a) 및 제2 체결 홈(315b))를 포함할 수 있고, 중심 홀(예: 도 5c의 중심 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을 포함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 및 측면 와이어(361)에 대하여는, 도5a 내지 도 5d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봉(320)은 양 단부 각각이 한 쌍의 플레이트(310) 각각의 고정 영역(303)에 고정되어, 한 쌍의 플레이트(310)를 연결하며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봉(320)은 한 쌍의 플레이트(310)가 이격된 일 방향(예: V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내지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봉(320)은 전면 와이어(371)가 체결되어 고정되기 위한 걸이 홈(예: 도 6c의 걸이 홈(325))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을 포함하는 고정 봉(320) 및 전면 와이어(371)에 대하여는, 도6a 내지 도 6d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 사이에는 복수의 고정 봉(320)이 고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수의 고정 봉(320)은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복수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거나, 글래스(10)의 양 사이드면(13a)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세트(300)에는 복수의 글래스(10)가 일 방향(예: U축 방향), 예를 들면 사이드면(13a)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열로 배열되고, 개별적인 열에는 복수의 글래스(10)가 전면(11) 방향(예: V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a 이하에서의 카세트(300)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를 대상으로 하는, 즉 수직 방향(예: W축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글래스(10)를 적재하기 위한 카세트(300)를 예시로 설명하고, 이 경우, 복수의 글래스(10)는 사이드면(13a) 방향으로 2열 이상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 실시 예에서 하나의 카세트(300)는 복수의 글래스(10)를 1열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블릿 PC에 결합되는 글래스(10)와 같이 하나의 글래스(10)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카세트(300)는 복수의 글래스(10)를 1열로 배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와이어(350)는 프레임(305)에 연결되어 글래스(1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와이어(350)는 고정 봉(32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직경은 약 1mm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와이어(350)는 접하는 글래스(10)의 부위, 프레임(305)에 연결되는 구조 또는 형상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기준으로 측면 와이어(361) 및 전면 와이어(37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 와이어(361)는 글래스(10)의 복수의 측면(13) 중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일 수 있고, 전면 와이어(371)는 글래스(10)의 전면(11)을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면 와이어(361)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일 수 있고, 전면 와이어(371)는 복수의 고정 봉(320)에 연결되는 와이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면 와이어(361)는 글래스(10)의 복수의 측면(13) 중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는 사이드면(13a)을 지지하는 제1 와이어(363) 및 글래스(10)의 복수의 측면(13) 중 하측을 향하는 하측면(13b)을 지지하는 제2 와이어(3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363) 및 제2 와이어(365)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종류 및 형상의 와이어일 수 있고, 또는 서로 상이한 와이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와이어(371)는 글래스(10)의 전면(11)을 지지하할 수 있다. 전면 와이어(371)는 글래스(10)를 전면(11) 방향(예: -V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글래스(10)와 구획할 수 있다. 전면 와이어(371)는 하나의 열 내에서 배열되는 글래스(10)가 상호 이격되도록 글래스(10)의 전면(11) 및/또는 후면(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와이어(371)는 하나의 열 내에서 글래스(10)가 다른 글래스(10)와 접촉하지 않도록 글래스(10)의 전면(11) 방향(예: V 축 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4d의 평면도를 참고하면, 복수의 와이어(350)는 카세트(300) 내부에서 복수의 글래스(10)를 개별적으로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체 구조를 갖는 글래스(10)는 전면(11) 방향(예: V축 방향)으로는 전면 와이어(371)에 의하여 다른 글래스(10)와 구획되고, 사이드면(13a) 방향(예: U축 방향)으로는 제1 와이어(363)에 의하여 다른 글래스(10)와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와이어(363) 및 전면 와이어(371)는, 글래스(10)의 일부 영역과 상시 접촉하며 글래스(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또는 글래스(10)로부터 다소 이격되어 글래스(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4e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전면 와이어(371)의 형상 및 구조는 개별적인 글래스(1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전면 와이어(371)는 글래스(10)의 전면(11)에 평행한 일 방향(예: U-W 평면 방향)에 평행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면(11)이 바라보는 방향(예: V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는, 특히, 입체 구조를 갖는 글래스(10)의 적재에 유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측면 와이어(361) 각각은, 글래스(10)가 전달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실리콘, 러버 또는 폴리 우레탄(PU)과 같은 탄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탄성 개량된 특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면 와이어(371)는 측면 와이어(36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세트(300)는 프레임(305)에 연결되는 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와이어(350)를 통하여 복수의 글래스(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력을 갖는 제2 와이어(365)는 글래스(10)가 카세트(300)로 인입되는 방향(예: -W 방향)으로 완충 효과를 제공하고, 글래스(10)의 인입 및 분리 과정에서 글래스(1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비교 예에서, 프레임(305)에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35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고정 봉(320)과 같은 프레임(305) 자체의 구조에 의하여 복수의 글래스(10)가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고정 봉(320)은 글래스(10)의 강화 과정에서 변형이 적도록 상대적으로 탄성이 낮은 강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글래스(10)의 인입 카세트(300)의 이송 과정에서 조립 불량 또는 치핑 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고정 봉(320)이 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탄성 물질이 도포되는 경우에는, 열처리가 반복됨에 따라 고정 봉(320)이 변형되어 카세트(300)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변형에 의한 조립 불량 또는 치핑 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는, 프레임(305)은 외관을 유지하며 복수의 와이어(350)를 고정하기 위하여 강성이 높고 내열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와이어(350)는 글래스(10)가 받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와이어(350)는 프레임(305)에 결합되는 위치의 이동이 용이하고, 복수의 와이어(350)의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프레임(305)은 실질적으로 복수의 글래스(10)와 직접 접촉하며 지지하지 않고, 복수의 와이어(350)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카세트(300)는 복수의 글래스(10)를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글래스(10)의 치핑 불량을 감소시키고, 생산 수율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카세트(300)의 유지 관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글래스(10)를 적재하기 위한 카세트(300)의 구성 중, 측면 와이어(361) 및 한 쌍의 프레임(305)의 도면 및 이에 대한 내용(도 5a 내지 도 5d 참조)과, 전면 와이어(371) 및 고정 봉(320)의 도면 및 이에 대한 내용(도 6a 내지 도 6d 참조)을 각각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독립적으로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의 카세트(300)에 적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구성이 변경 또는 교체되어 다른 구성과 함께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의 카세트(3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세트(300)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와이어(361)의 측면도이고,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정면도이고, 도 5d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정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고하면,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복수의 개구(313a, 313b) 및 복수의 체결 홈(315a, 315b)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측면 와이어(361)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후크(363b 또는 365b) 및 벤딩 영역(367)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363)는 복수의 글래스(10)의 사이드면(13a)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 영역(363a), 제1 와이어(363)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제1 후크(363b), 제1 지지 영역(363a)과 제1 후크(363b) 사이에 형성되는 벤딩 영역(367)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후크(363b)는 제1 와이어(363)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후크(363b)는 제1 와이어(363)가 연장되던 방향(예: -V 방향)으로부터 다른 방향(예: W 축 또는 U축 방향) 절곡되어, 제1 와이어(36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후크(363b)의 말단은 제1 와이어(363)가 연장되던 방향(예: -V 방향)의 반대 방향(예: +V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벤딩 영역(367)은 일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벤딩 영역(367)은 제1 후크(363b) 및 제1 지지 영역(363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벤딩 영역(367)은, 벤딩 영역(367) 전(예: 제1 지지 영역(363a)에 인접한 부분)과 비교하여, 제1 와이어(363)가 연장되는 방향을 벤딩 영역(367) 내에서 적어도 2회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 영역(367)은, 벤딩 영역(367) 후(예: 제1 후크(363b)에 인접한 부분)에 제1 와이어(363)의 연장되는 방향이 벤딩 영역(367) 전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벤딩 영역(367)을 통하여, 제1 와이어(363)는 길이 방향(예: -V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연장 및 축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와이어(363)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선택적으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고, 제1 와이어(363)는 길이 방향으로 유연성이 요구될 수 있다. 벤딩 영역(367)은 제1 와이어(363)가 길이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연장 또는 축소되게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벤딩 영역(367)을 통하여, 제1 와이어(363)는 소정의 간격으로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고, 제1 와이어(363)가 지지하는 글래스(10)가 사이드면(13a) 방향으로 받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카세트(300)에 글래스(10)가 인입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또는 글래스(10)를 적재한 카세트(300)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글래스(10)는 사이드면(13a)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치핑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의 제1 와이어(363)는, 벤딩 영역(367)을 통하여 제1 와이어(363)가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길이가 변경되며 제1 와이어(363)가 받는 힘을 완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와이어(363)가 통과하도록 개방된 제1 개구(313a) 및 제1 후크(363b)의 말단이 체결되는 제1 체결 홈(315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와이어(363)의 일 단부는 제1 개구(313a)를 관통하여 통과하고, 제1 후크(363b)의 구조에 의하여, 제1 와이어(363)의 말단은 제1 체결 홈(315a)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개구(313a) 및 제1 체결 홈(315a)은, 한 쌍의 플레이트(310)를 바라보는 방향(예: +V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예: W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개구(313a) 및 제1 체결 홈(315a) 사이의 이격된 간격은 제1 후크(363b)의 상하 방향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체결 홈(315a)은 제1 와이어(363)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홈(groove)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제1 와이어(363)의 단부가 통과하도록 개방된 개구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제1 개구(313a)를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와이어(363)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제1 개구(313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하나의 제1 와이어(363)가 선택적으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는 제1 개구(313a)를 복수로 포함하여, 사용자는 카세트(300)에서 제1 와이어(363)의 체결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개구(313a)는 글래스(10)의 사이드면(13a)이 바라보는 좌우 방향(예: U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카세트(300)는 수용하는 글래스(10)의 폭을 고려하여 제1 와이어(363)가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하나의 카세트(300)가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의 글래스(1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세트(300)가 지지하는 복수의 글래스(10)가 좌우 방향(예: U축 방향)의 폭이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와이어(363)를 복수의 제1 개구(313a) 중 하나에서 분리하고,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제1 개구(313a)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좌우 방향의 위치 변경에 의하여, 제1 와이어(363)는 변경된 글래스(10)의 사이드면(13a)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5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개구(313a)는 글래스(10)의 하측면(13b)이 바라보는 상하 방향으로(예: W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카세트(300)는 수용하는 글래스(10)의 형상 또는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제1 와이어(363)가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하나의 카세트(300)가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의 글래스(1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세트(300)가 지지하는 복수의 글래스(10)의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 상하 방향의 길이가 변경되는 경우, 또는 무게 중심이 하측 방향에 위치하게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와이어(363)를 복수의 제1 개구(313a) 중 하나에서 분리하고,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제1 개구(313a)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하 방향의 위치 변경에 의하여, 제1 와이어(363)는 변경된 글래스(10)의 사이드면(13a)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복수의 제1 개구(313a)의 위치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카세트(300)가 수용하는 글래스(10)에 대응하여 제1 와이어(36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자유로운 위치 변경에 의하여, 하나의 카세트(300)가 수용할 수 있는 글래스(10)의 종류 및 사이즈가 다양해질 수 있고, 카세트(300)의 활용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복수의 제1 개구(313a) 각각에 대응되도록 제1 체결 홈(315a)을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크(363b)는 복수의 제1 체결 홈(315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개구(313a) 및 제1 체결 홈(315a)은 하나의 쌍을 이룰 수 있고, 한 쌍의 제1 개구(313a) 및 제1 체결 홈(315a)은 다른 쌍의 제1 개구(313a) 및 제1 체결 홈(315a)과 일정 간격(예: 3 mm) 및/또는 일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중심 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홀(311)은, 카세트(300)가 글래스(10)의 강화 과정에서 고온으로 가열되거나 및 급속 냉각되는 열처리되는 과정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발생할 수 있는 휨 또는 변형을 방지하거나 또는 줄여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1 개구(313a) 각각은 중심 홀(311)과 연속적으로 개방되도록 중심 홀(311)의 경계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c의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서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진 중심 홀(3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홀(311)은 복수의 제1 개구(313a)와 일체로 또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심 홀(311)을 통하여 복수의 제1 개구(313a)는 상호 연속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 와이어(363)가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제1 와이어(363)는 중심 홀(311)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다른 제1 개구(313a)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와이어(363)는 벤딩 영역(367)을 통하여 소정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사용자는 제1 와이어(363)를 당겨 제1 후크(363b)를 제1 체결 홈(315a)에서 분리시킨 후, 제1 와이어(363)가 중심 홀(311)을 통과하여 인접한 다른 제1 개구(313a)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제1 와이어(36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글래스(10)의 복수의 측면(13)이 바라보는 방향을 바라보는 외측면(312)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1 개구(313a) 각각은,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외측면(312)의 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개방되도록,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외측면(312)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 내부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c의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서 상부 방향(예: +W 방향)에 형성되는 제1 개구(313a)와 같이, 복수의 제1 개구(313a)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외측면(312)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측면(312)을 통하여 복수의 제1 개구(313a)는 상호 연속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 와이어(363)가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제1 와이어(363)는 외측면(312)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다른 제1 개구(313a)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와이어(363)에 대하여 상술한 내용은 제2 와이어(365)에 대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와이어(365)는 복수의 글래스(10)의 하측면(13b)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 영역(365a),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제2 후크(36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와이어(365)는, 제1 와이어(363)의 벤딩 영역(367)과 유사하게, 제2 지지 영역(365a)과 제2 후크(365b) 사이에 형성되는 벤딩 영역(36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와이어(365)가 통과하도록 개방된 제2 개구(313b) 및 제2 후크(365b)의 말단이 체결되는 제2 체결 홈(315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개구(313b) 및 제2 체결 홈(315b)은, 제1 개구(313a) 및 제1 체결 홈(315a)에 대한 상술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게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복수의 제2 개구(313b) 및 이에 대응되도록 제2 체결 홈(315b)을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크(365b)는 복수의 제2 체결 홈(315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2 개구(313b) 및 제2 체결 홈(315b)은 하나의 쌍을 이룰 수 있고, 한 쌍의 제2 개구(313b) 및 제2 체결 홈(315b)은 다른 쌍의 제2 개구(313b) 및 제2 체결 홈(315b)과 일정 간격(예: 3 mm) 및/또는 일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개구(313b) 및 제2 체결 홈(315b)에 체결되는 제2 와이어(365)는, 글래스(10)의 하측면(13b)을 지지할 수 있고, 글래스(10)의 하중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만약 글래스(10)의 하중에 의하여 제2 와이어(365)가 휘어지거나, 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제2 와이어(365)의 보강이 필요하다면, 카세트(300)는 제2 와이어(365)를 추가하여 글래스(10)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제2 개구(313b) 및 제2 체결 홈(315b)을 기준으로, 복수의 쌍에 대하여 복수의 제2 와이어(365)가 각각 체결되어 글래스(10)의 하측면(13b)의 복수의 영역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제2 개구(313b)를 복수로 포함되고, 제2 와이어(365)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제2 개구(313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 개구(313b)는 복수의 제1 개구(313a)에 대한 상술한 설명에 유사하게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 개구(313b)는 중심 홀(311)과 연속적으로 개방되도록 중심 홀(311)의 경계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와이어(365)를, 제1 와이어(363)에 대한 상술한 설명과 같이, 용이하게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세트(300)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와이어(371)의 정면도이고, 도 6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봉(320)의 측면도이고, 도 6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와이어(371) 및 고정 봉(320)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와이어(371)는 제3 후크(371b)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고정 봉(320)은, 제1 고정 봉(321) 및 제2 고정 봉(322)을 포함하고, 각각의 고정 봉(320)에는 복수의 걸이 홈(32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와이어(371)는 복수의 글래스(10)의 전면(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제3 지지 영역(371a) 및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제3 후크(371b)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후크(371b)는 제3 와이어(373)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후크(371b)는 제3 와이어(373)가 연장되던 방향으로부터 다른 방향 절곡되어, 제3 와이어(37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지지 영역(371a)은 글래스(10)의 전면(11)을 지지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래스(10)는 전면(11) 방향(예: V축 방향)으로 일부 영역이 돌출되는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지지 영역(371a)은, 입체 구조의 글래스(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글래스(10)의 전면(11) 및 후면(12) 구조에 대응하여 다양한 구조로 복수 회 절곡될 수 있고,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지지 영역(371a)은 전면(11) 방향(예: V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와이어(371)는, 글래스(10)의 전면(11)을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글래스(10)의 전면(11)의 좌우 방향(예: U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예: W축 방향)으로 각각 지지하도록 제3 와이어(373) 및 제4 와이어(3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와이어(373) 및 제4 와이어(374)의 배치 구조는 글래스(10)의 입체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와이어(373)는 글래스(10)의 전면(11) 중 좌측의 사이드면(13a)에 인접한 영역을 지지할 수 있고, 제4 와이어(374)는 글래스(10)의 전면(11) 중 우측의 사이드면(13a)에 인접한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와이어(373) 및 제4 와이어(374)는 각각 글래스(10)의 하측면(13b) 및 상측면(13c)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호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 봉(320) 각각은 제3 후크(371b)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걸이 홈(32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걸이 홈(325)은 글래스(10)의 전면(11)이 향하는 방향(예: V축 방향), 또는 복수의 고정 봉(320) 각각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호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걸이 홈(325) 각각은 복수의 고정 봉(320)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 봉(320)은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봉(321) 및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 봉(3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개의 열에 배열되는 글래스(10)를 기준으로, 제1 고정 봉(321) 및 제2 고정 봉(322) 각각은, 글래스(10)의 양 사이드면(13a)에 인접하여 좌측 및 우측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와이어(371) 중 하나의 일 단부는 제1 고정 봉(321)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제2 고정 봉(32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와이어(373)는 글래스(10)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 봉(321) 및 제2 고정 봉(322)에 지지되고, 제4 와이어(374)는 글래스(10)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 봉(321) 및 제2 고정 봉(322)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와이어(373) 및 제4 와이어(374)는 글래스(10)의 전면(11)을 좌우 방향(예: U축 방향)으로 분할하고, 제3 와이어(373) 및 제4 와이어(374) 각각은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예: W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글래스(10)를 지지함으로써, 전면 와이어(371)는 글래스(10)의 전면(11)을 좌우 방향뿐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래스(1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카세트(300)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 및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봉(320)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305) 및 프레임(305)에 연결되고, 글래스(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와이어(350)를 포함하고, 복수의 와이어(350)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글래스(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예: 사이드면(13a))을 지지하는 제1 와이어(363) 및 글래스(10)의 하측면(13b)을 지지하는 제2 와이어(365)를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 봉(320)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글래스(10)의 전면(11)을 지지하는 전면 와이어(37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와이어(363) 및 제2 와이어(365) 각각은, 글래스(10)가 전달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와이어(363)는,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제1 후크(363b)를 포함하고,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제1 와이어(363)가 통과하도록 개방된 제1 개구(313a) 및 제1 후크(363b)의 말단이 체결되는 제1 체결 홈(315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제1 개구(313a)를 복수로 포함하고, 제1 와이어(363)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제1 개구(313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개구(313a)는, 글래스(10)의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개구(313a)는, 글래스(10)의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복수의 제1 개구(313a) 각각에 대응되도록 제1 체결 홈(315a)을 복수로 포함하고, 제1 후크(363b)는, 복수의 제1 체결 홈(315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심 홀(311)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1 개구(313a) 각각은, 중심 홀(311)과 연속적으로 개방되도록 중심 홀(311)의 경계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글래스(10)의 측면(13)이 바라보는 방향을 바라보는 외측면(312)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1 개구(313a) 각각은,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외측면(312)의 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개방되도록,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외측면(312)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 내부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와이어(365)는,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제2 후크(365b)를 포함하고,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제2 와이어(365)가 통과하도록 개방된 제2 개구(313b) 및 제2 후크(365b)의 말단이 체결되는 제2 체결 홈(315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제2 개구(313b)를 복수로 포함하고, 제2 와이어(365)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제2 개구(313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와이어(363) 및 제2 와이어(365) 중 적어도 일부는, 일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되는 벤딩 영역(36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와이어(371)는,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제3 후크(371b)를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 봉(320) 각각은, 전면(11)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전면 와이어(371)의 제3 후크(371b)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걸이 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고정 봉(320)은,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봉(321) 및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 봉(322)을 포함하고, 전면 와이어(371)는, 일 단부는 제1 고정 봉(321)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제2 고정 봉(322)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고정 봉(321) 및 제2 고정 봉(322) 각각은, 글래스(10)를 기준으로,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에 인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고, 전면 와이어(371)는, 복수의 고정 봉(320) 중 글래스(10)의 좌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고정 봉(321) 및 제2 고정 봉(322)에 지지되는 제3 와이어(373) 및 복수의 고정 봉(320) 중 글래스(10)의 우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고정 봉(321) 및 제2 고정 봉(322)에 지지되는 제4 와이어(374)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1개 이상의 글래스(1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카세트(300)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 및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봉(320)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305) 및 프레임(305)에 연결되고, 글래스(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와이어(350)를 포함하고, 복수의 와이어(350)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글래스(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예: 사이드면(13a))을 지지하는 제1 와이어(363) 및 글래스(10)의 하측면(13b)을 지지하는 제2 와이어(365)를 포함하고, 및 복수의 고정 봉(320)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글래스(10)의 전면(11)을 지지하는 전면 와이어(371)를 포함하고, 프레임(305)은,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열 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측면 와이어(361) 각각은, 글래스(10)가 전달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와이어(363)는,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제1 후크(363b)를 포함하고,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제1 와이어(363)가 통과하도록 개방된 복수의 제1 개구(313a) 및 제1 후크(363b)의 말단이 체결되는 제1 체결 홈(315a)을 포함하고, 제1 와이어(363)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제1 개구(313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한 쌍의 플레이트(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복수의 제1 개구(313a) 각각에 대응되도록 제1 체결 홈(315a)을 복수로 포함하고, 제1 후크(363b)는, 복수의 제1 체결 홈(315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개구(313a)는, 글래스(10)의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플레이트(310)는, 한 쌍의 플레이트(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심 홀(311)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1 개구(313a) 각각은, 중심 홀(311)과 연속적으로 개방되도록 중심 홀(311)의 경계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310)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 상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5)

1개 이상의 글래스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카세트에 있어서,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봉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를 지지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지지하는 제1 와이어 및 상기 글래스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봉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 와이어를 포함하는, 카세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 각각은,
상기 글래스가 전달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카세트.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는,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제1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개방된 제1 개구 및 상기 제1 후크의 말단이 체결되는 제1 체결 홈을 포함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개구를 복수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제1 개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는,
상기 글래스의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는,
상기 글래스의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제1 개구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체결 홈을 복수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복수의 제1 체결 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심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개구 각각은,
상기 중심 홀과 연속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중심 홀의 경계에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상기 글래스의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바라보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개구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외측면의 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외측면에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내부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는,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개방된 제2 개구 및 상기 제2 후크의 말단이 체결되는 제2 체결 홈을 포함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구를 복수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제2 개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 중 적어도 일부는,
일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면 와이어는,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제3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봉 각각은,
상기 전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와이어의 제3 후크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걸이 홈을 포함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봉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봉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 봉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와이어는,
일 단부는 상기 제1 고정 봉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2 고정 봉에 고정되는, 카세트.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봉 및 상기 제2 고정 봉 각각은,
상기 글래스를 기준으로,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에 인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 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고정 봉 중 상기 글래스의 좌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 봉 및 상기 제2 고정 봉에 지지되는 제3 와이어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봉 중 상기 글래스의 우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 봉 및 상기 제2 고정 봉에 지지되는 제4 와이어를 포함하는, 카세트.
PCT/KR2023/001564 2022-04-06 2023-02-03 글래스를 지지하는 카세트 WO20231956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016 2022-04-06
KR20220043016 2022-04-06
KR1020220057181A KR20230143898A (ko) 2022-04-06 2022-05-10 글래스를 지지하는 카세트
KR10-2022-0057181 2022-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5614A1 true WO2023195614A1 (ko) 2023-10-12

Family

ID=8824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1564 WO2023195614A1 (ko) 2022-04-06 2023-02-03 글래스를 지지하는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9561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153B1 (ko) * 2000-10-05 2003-03-15 케이 이엔지(주)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KR20040044706A (ko) * 2002-11-21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Lcd용 글라스 적재 카세트
KR20050049212A (ko) * 2003-11-21 2005-05-25 (주)상아프론테크 글래스 수납 카세트
KR100563648B1 (ko) * 2005-03-08 2006-03-29 케이 이엔지(주)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글라스 적재 카세트
CN102161410A (zh) * 2010-12-20 2011-08-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卡匣
KR20140030702A (ko) * 2012-09-03 2014-03-12 이계동 평판디스플레이용 박막 글래스 카세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153B1 (ko) * 2000-10-05 2003-03-15 케이 이엔지(주)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KR20040044706A (ko) * 2002-11-21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Lcd용 글라스 적재 카세트
KR20050049212A (ko) * 2003-11-21 2005-05-25 (주)상아프론테크 글래스 수납 카세트
KR100563648B1 (ko) * 2005-03-08 2006-03-29 케이 이엔지(주)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글라스 적재 카세트
CN102161410A (zh) * 2010-12-20 2011-08-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卡匣
KR20140030702A (ko) * 2012-09-03 2014-03-12 이계동 평판디스플레이용 박막 글래스 카세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0760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that radiates waves by a non-conducting portion
WO2022139376A1 (ko) 코일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39302A1 (ko)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45767A1 (ko) 광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95614A1 (ko) 글래스를 지지하는 카세트
WO2022215964A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75632A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50591A1 (ko) 안테나 모듈과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80730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4117739A1 (ko) 연결 부재를 지지하는 탄성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49695A1 (ko) 듀얼 디바이스와, 상기 듀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53911A1 (ko) 전자 장치의 내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54317A1 (ko) 카메라 모듈의 접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90866A1 (ko) 쉴드 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239093A1 (ko) 방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117723A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31630A1 (ko) 전자 장치
WO2022220619A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25117A1 (ko) 접지 구조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49955A1 (ko)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75946A1 (ko) 내부 구조물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18107A1 (ko) 방수 구조가 적용된 전자 장치
WO2022234980A1 (ko) 음향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393A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39454A1 (ko) 회로 기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848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