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82717A1 -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82717A1
WO2023182717A1 PCT/KR2023/003408 KR2023003408W WO2023182717A1 WO 2023182717 A1 WO2023182717 A1 WO 2023182717A1 KR 2023003408 W KR2023003408 W KR 2023003408W WO 2023182717 A1 WO2023182717 A1 WO 20231827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ontrol signal
switch
curr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34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병길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엔씨 filed Critical (주)케이엔씨
Publication of WO20231827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827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introduction of pulses during the charging proces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 상기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모듈,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을 위해 충전펄스를 공급하며, 서로 병렬 연결된 제1, 2 충전부 및 상기 이차전지의 방전을 위해 방전펄스를 공급하며, 서로 병렬 연결된 제1, 2 방전부를 포함하는 충방전 모듈 및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위해 제1, 2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2 충전부 및 상기 제1, 2 방전부로 공급하고, 상기 전류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전류가 설정된 기준 충전 전류 또는 기준 방전 전류 보다 낮으면, 상기 제1, 2 충전부 또는 상기 제1, 2 방전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 장치
본 발명은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 복수의 충전부 및 방전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용이한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생 에너지원, 특히, 태양광 발전이나 풍력 발전에 기초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함에 있어서,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활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그 발생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점점 요구하는 쪽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로 알려진 리튬 이온 배터리는 충전 사이클의 수가 높으며 긴 수명 및 높은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설계에 따라 그 용량의 30%까지 방전된다. 즉, 그 임계치인 30% 이하로 배터리를 방전하게 되면 리튬 이온 배터리는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 파손되기 때문에, 배터리에 저장된 고유 에너지 30%는 사용자에게 활용되지 못한다. 배터리가 이 임계치 이하로 방전되면, 이온들은 전극 재료(구리, A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극이 파괴될 수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 등 배터리를 생산하여 출고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Aging, 화성공정(Formation), OCV(Open Circuit Voltage) 검사, IR(내부저항) 검사, Grading 등이 있다.
이들 공정 중 화성공정(Formation)은 생산된 O 볼트(Volt)의 배터리를 셀 전압 4.2 V로 충전하고 다시 2.7 V로 방전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최종 3.7 V로 출하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특성 및 품질이 이 공정에서 결정되므로, 화성공정(Formation)은 배터리의 품질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하지만, 화성공정 시, 리튬 이온 배터리는 용량의 80%까지만 충전되는데, 그 이유는, 충전 종단 전압(end-of-charge voltage)에 도달할 때 정상적으로 전류는 제한을 받으며, 그래서, 용량의 나머지 20%는 더 적은 암페어에서 충전되어 시간적인 관점에서 더 적은 에너지가 전지로 저장 또는 쌓이게 되므로, 전지가 100 %까지 충전되려면, 기하 급수적으로 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최근 들어, 화성 공정 시 고(high) 전류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여 배터리의 특성 및 품질을 높이는 추세이며, 충전 및 방전 시 이차전지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방전 및 충전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 복수의 충전부 및 방전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용이한 충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 상기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모듈,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을 위해 충전펄스를 공급하며, 서로 병렬 연결된 제1, 2 충전부 및 상기 이차전지의 방전을 위해 방전펄스를 공급하며, 서로 병렬 연결된 제1, 2 방전부를 포함하는 충방전 모듈 및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위해 제1, 2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2 충전부 및 상기 제1, 2 방전부로 공급하고, 상기 전류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전류가 설정된 기준 충전 전류 또는 기준 방전 전류 보다 낮으면, 상기 제1, 2 충전부 또는 상기 제1, 2 방전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충전부는, 상기 충전 펄스를 공급하기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 입력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온 동작시키는 제1 반전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충전부는, 상기 충전 펄스를 공급하는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 입력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온 동작시키는 제2 반전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1 포토 커플러에 의해 제1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비반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기준전압에 의해 제1 스위치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2 포토 커플러에 의해 제2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비반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기준전압에 의해 제2 스위치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방전부는, 상기 방전 펄스를 공급하기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입력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상기 제3 스위치를 턴온 동작시키는 제3 반전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전부는, 상기 방전 펄스를 공급하는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제4 스위치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입력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상기 제4 스위치를 턴온 동작시키는 제2 반전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3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3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3 포토 커플러에 의해 제3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비반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3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3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3 기준전압에 의해 제3 스위치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제4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4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4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4 포토 커플러에 의해 제4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비반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4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4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4 기준전압에 의해 제4 스위치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2 충전부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류가 상기 기준 충전 전류보다 낮으면, 상기 제1, 2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2 확인 신호를 상기 제1, 2 반전 증폭기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2 방전부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류가 상기 기준 방전 전류보다 낮으면, 상기 제3, 4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3, 4 확인 신호를 상기 제3, 4 반전 증폭기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와 설정된 기준 충전 전류 또는 기준 방전 전류를 비교하여, 복수의 충전부 및 방전부 각각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이상 동작하는 충전부 및 방전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화성 공정(Formation)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충방전 모듈에서 출력되는 충전 펄스들 및 방전 펄스들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1, 2 충전부를 자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제1, 2 충전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제1, 2 방전부를 자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나타낸 제1, 2 방전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개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개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화성 공정(Formation)을 나타낸 도이다.
도 1(a)는 리튬 이차 전지가 제조된 후 전기적인 특성을 지니지 않은 상태이며, 도 1(b)는 화성 공정(Formation)이며, 리튬 이차 전지에 전기적인 특성을 갖도록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층의 형성을 시작하는 상태이며, 도 1(c)는 화성 공정이 완료된 후 전기적인 특성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를 나타낸다.
여기서,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은 리튬 이차 전지의 전기 용량, 성능 및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즉, 도 1(b)는 리튬 이차 전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캐소드 및 애노드로 충전 펄스들 및 방전 펄스들을 서로 번갈아 공급하여 애노드 측에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은 차후 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 시 애노드에서 리튬 이온(Li+)과 다른 물질이 반응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은 일종의 이온 터널기능을 수행하며, 리튬 이온(Li+) 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즉,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은 화성 공정(Formation), 즉 리튬 이차 전지의 최초 충전 공정으로 방전 상태의 셀을 활성화시키는 공정에서 생성할 수 있다.
먼저, 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 시, 리튬 이차 전지로 충전 펄스가 공급되는 경우, 리튬 이온(Li+)는 리튬 이차 전지의 캐소드에서 애노드로 넘어가고, 음극 전해액 내의 첨가물과 반응을 일으켜 애노드 계면의 앞쪽에 얇은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은 전지의 이온 이동량이 많아질때 형성되는 부도체이며, 일단 형성이 되면 차후 전지 충전시 애노드에서 리튬 이온(Li+)과 다른 물질이 반응하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 및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충방전 모듈에서 출력되는 충전 펄스들 및 방전 펄스들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충전 장치(100)는 입력 모듈(110), 충방전 모듈(120), 전류 감지 모듈(130) 및 제어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충전 장치(100)는 이차전지, 예를 들어 리튬 이차전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화성 공정(Formaition)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입력 모듈(110)는 전기적 특징이 없는 이차전지의 정격 용량 정보 및 상기 이차전지의 활성화 시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차전지의 정격 용량 정보는 상기 이차전지의 최대 충전 용량 및 정격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활성화 시작 명령은 상기 이차전지의 최초 충방전을 시작하는 명령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입력 모듈(110)은 상기 이차전지의 방전 상태에서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층의 형성을 시작하는 상기 활성화 시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충방전 모듈(120)은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지그(Jig)에 접촉 결합된 상기 이차전지로 충전을 위한 충전 펄스들(cp) 및 방전을 위한 방전 펄스들(dp)을 공급할 수 있다.
충방전 모듈(120)은 제1, 2 충전부(122, 124) 및 제1, 2 방전부(126, 128)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충방전 모듈(120)는 2개의 충전부 및 방전부로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충전부 및 방전부의 개수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먼저, 제1, 2 충전부(122, 124)는 서로 병렬 연결되며, 제어 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충전 펄스들(cp)을 상기 이차전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2 방전부(126, 128)는 서로 병렬 연결되며, 제어 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방전 펄스들(dp)을 상기 이차전지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2 충전부(122, 124) 및 제1, 2 방전부(126, 128)는 도 4 내지 도 7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류 감지 모듈(130)는 상기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전류 감지 모듈(130)은 충방전 모듈(120)의 동작 중 상기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 모듈(14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상기 정력 용량 정보에 따라 충전 펄스들(cp)의 충전 전류(Ic) 및 방전 펄스들(dp)의 방전 전류(Id)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활성화 시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 모듈(140)은 활성화 시작 시점(TP)부터 상기 이차전지로 고전류의 충전 펄스들(cp) 및 방전 펄스들(dp)을 서로 번갈아 공급되게 충방전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140)은 상기 정격 전류를 기반으로 충전 전류(I1) 및 방전 전류(I2)를 설정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충전 전류(I1)는 상기 정격 전류 대비 1배 내지 3배일 수 있으며, 상기 정격 전류 대비 1배 미만인 경우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 시간이 길어지며, 상기 정격 전류 대비 3배 보다 큰 경우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 시간이 짧아질 수 있으나 과 충전으로 인한 염 반응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방전 전류(I2)는 상기 정격 전류 대비 0.2배 내지 0.5배일 수 있음, 상기 정격 전류 대비 0.2배 미만인 경우 상기 이차전지의 방전 시간이 길어지며, 상기 정격 전류 대비 0.5배 보다 큰 경우 상기 이차전지의 방전 시간이 짧아질 수 있으나 과 장전으로 염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40)은 충전 전류(I1)에 따라 충전 유지 시간(ct)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격 전류 대비 3배인 경우, 충전 전류(I1)의 충전 유지 시간(ct)은 충전 전류(I1)가 상기 정격 전류 대비 1배인 경우보다 긴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충전 전류(I1)의 충전 유지 시간(ct)는 20 ms 내지 100 ms일 수 있으며, 20ms 보다 빠른 경우 충전 전류(I1)가 상기 정격 전류 대비 3배보다 크게 되어 과 충전이 될 수 있으며, 100 ms 보다 긴 경우 충전 전류(I1)가 상기 정격 전류 대비 1배 미만이므로 충전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방전 전류(I2)에 따라 방전 유지 시간(dt)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격 전류 대비 0.5배인 경우, 방전 전류(I2)의 방전 유지 시간(dt)은 방전 전류(I2)가 상기 정격 전류 대비 0.2배인 경우보다 짧은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방전 전류(I2)의 방전 유지 시간(dt)는 5ms 내지 30ms일 수 있으며, 5ms 보다 빠른 경우 방전 전류(I2)에 의한 방전 효과가 낮아지며, 30 ms 보다 긴 경우 방전 전류(I2)의 방전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충전 펄스들(cp)의 충전 유지 시간(ct)은 방전 펄스들(dp)의 방전 유지 시간(dt) 대비 1.5배 내지 5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그리고, 방전 펄스들(dp) 각각의 방전량은 충전 펄스들(cp) 각각의 충전량 대비 0.04배 내지 0.16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량 및 상기 방전량은 전류 및 유지 시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이차전지의 정격 용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와 같이, 충전 장치(100)는 전기적 특성을 갖지 않은 상기 이차전지로 충전 펄스들(cp) 및 방전 펄스들(dp)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차전지 내에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층의 형성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140)은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위해 제1, 2 제어 신호(SC1, SC2)를 제1, 2 충전부(122, 124) 및 제1, 2 방전부(126, 128)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40)은 전류 측정 모듈(130)에서 측정된 상기 전류가 설정된 기준 충전 전류 또는 기준 방전 전류 보다 낮으면, 제1, 2 충전부(122, 124) 및 제1, 2 방전부(126, 128)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 확인 신호(SCP1 내지 SCP4)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을 위해 제1, 2 충전부(122, 124)로 제1 제어신호(SC1)를 공급한 경우, 제어 모듈(140)은 전류 측정 모듈(130)에서 측정된 상기 전류가 상기 기준 충전 전류보다 낮으면, 제1, 2 충전부(122, 124)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동작이 아닌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SC1)를 공급하는 동안, 제어 모듈(140)은 제1, 2 충전부(122, 124)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제1, 2 확인 신호(SCP1, SCP2)를 제1, 2 충전부(122, 124)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2 확인 신호(SCP1, SCP2)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동안, 제어 모듈(140)은 전류 측정 모듈(130)에서 측정된 전류를 통하여 제1, 2 충전부(122, 124) 중 적어도 하나가 이상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40)은 제1, 2 충전부(122, 124) 및 제1, 2 방전부(126, 128)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동작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외부로 결과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1, 2 충전부를 자세하게 나타낸 회로도 및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제1, 2 충전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충전부(122)는 제1 반전 증폭기(OP1), 제1 포토 커플러(PT1) 및 제1 스위치(FET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전 증폭기(OP1)의 반전 단자(-)에는 2개의 저항들이 연결되며, 제어 모듈(140)로부터 제1 제어 신호(SC1)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반전 증폭기(OP1)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1 포터 커플러(PT1) 및 하나의 저항이 그라운드(GND)를 사이에 두고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전 증폭기(OP1)는 제1 제어 신호(SC1)이 입력되면, 제1 제어 신호(SC1)를 반전 증폭하여 제1 스위치(FET1)을 스위치 턴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치(FET1)는 제1 반전 증폭기(OP1)에서 반전 증폭된 제1 제어 신호(SC1)에 의해 스위치 턴온되어, 충전 펄스(cp)를 생성하기 위한 전압(Vcc)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충전부(124)는 제2 스위치(FET2), 제2 반전 증폭기(OP2) 및 제2 포토 커플러(P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전 증폭기(OP2)의 반전 단자(-)에는 2개의 저항들이 연결되며, 제어 모듈(140)로부터 제1 제어 신호(SC1)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2 반전 증폭기(OP2)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2 포터 커플러(PT2) 및 하나의 저항이 그라운드(GND)를 사이에 두고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반전 증폭기(OP2)는 제1 제어 신호(SC1)이 입력되면, 제1 제어 신호(SC1)를 반전 증폭하여 제2 스위치(FET2)을 스위치 턴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스위치(FET2)는 제2 반전 증폭기(OP2)에서 반전 증폭된 제1 제어 신호(SC1)에 의해 스위치 턴온되어, 충전 펄스(cp)를 생성하기 위한 전압(Vcc)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포토 커플러(PT1)는 제어 모듈(140)로부터 제1 스위치(FET1)의 스위치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 신호(SCP1)가 입력되면 동작하여, 제1 반전 증폭기(OP1)의 비반전 단자(+)에 마이너스 전압(-Vdd)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1 반전 증폭기(OP1)는 제1 제어 신호(SC1) 및 마이너스 전압(-Vdd)에 의해 제1 스위치(FET1)를 스위치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2 포토 커플러(PT2)는 제어 모듈(140)로부터 제2 스위치(FET2)의 스위치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확인 신호(SCP2)가 입력되면 동작하여, 제2 반전 증폭기(OP2)의 비반전 단자(+)에 마이너스 전압(-Vdd)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2 반전 증폭기(OP2)는 제1 제어 신호(SC1) 및 마이너스 전압(-Vdd)에 의해 제2 스위치(FET1)를 스위치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1, 2 확인 신호(SCP1, SCP2)는 제어 모듈(140)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1, 2 스위치(FET1, FET2)는 서로 병렬 연결되며, 제1 제어 신호(SC1)에 의해 스위치 턴온하여 충전 펄스(cp)을 형성하는 전압(Vcc)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제1, 2 충전부(122, 124)가 정상 동작시 충전 펄스(cp)를 이차전지로 공급하는 회로도이다.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경우, 제어 모듈(140)은 충전 펄스(cp)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1 제어 신호(SC1)를 제1, 2 충전부(122, 124)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2 반전 증폭기(OP1, OP2)의 반전 단자(-)는 제1 제어 신호(SC1)가 입력되며, 제1, 2 반전 증폭기(OP1, OP2)의 비반전 단자(+)는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0V 전압이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2 반전 증폭기(OP1, OP2) 각각은 서로 연결된 2개의 저항에 따라 제1 제어 신호(SC1)를 반전 증폭하여 제1, 2 스위치(FET1, FET2)를 스위치 턴온시킬 수 있다.
제1, 2 스위치(FET1, FET2)는 스위치 턴온하여 서로 연결된 전압(Vcc)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충전 펄스(cp)를 이차 전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류 측정 모듈(130)은 이차 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 모듈(14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충전 펄스(cp)를 이차전지로 공급하는 중 제1, 2 충전부(122, 124) 중 정상 동작하지 않는 충전부를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와 같이 충전 펄스(cp)를 이차전지로 공급하는 중 제1, 2 스위치(FET1, FET2)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어 모듈(140)은 도 5에서와 같이 이차 전지로 충전 펄스(cp)가 공급되는 중 전류 측정 모듈(130)에서 측정된 전류가 설정된 기준 충전 전류보다 낮은 경우, 제1, 2 충전부(122, 124) 중 적어도 하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제1 충전부(122)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①), 제어 모듈(140)은 제1 확인 신호(SCP1)을 제1 포토 커플러(PT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포토 커플러(PT1)은 턴온 동작하여, 연결된 마이너스 전압(-Vdd)을 제1 반전 증폭기(OP1)의 비반전 단자(+)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반전 증폭기(OP1)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1 제어 신호(SC1)가 공급되며, 제1 반전 증폭기(OP1)은 제1 제어 신호(SC1) 및 마이너스 전압(-Vdd)를 반전 증폭할 수 있다.
이때, 제1 반전 증폭기(OP1)에서 반전 증폭된 전압은 제1 스위치(FET1)를 스위치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1 스위치(FET1)가 턴오프되는 경우, 충전 펄스(cp)는 제2 충전부(124)에서 출력되는 전압(Vcc)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스위치(FET1)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제어 모듈(140)은 전류 측정 모듈(130)에서 측정된 전류를 확인하여, 제1 충전부(122)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2 충전부(124)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②), 제어 모듈(140)은 제2 확인 신호(SCP2)을 제2 포토 커플러(PT2)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 포토 커플러(PT2)은 턴온 동작하여, 연결된 마이너스 전압(-Vdd)을 제2 반전 증폭기(OP2)의 비반전 단자(+)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반전 증폭기(OP1)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1 제어 신호(SC1)가 공급되며, 제2 반전 증폭기(OP1)은 제1 제어 신호(SC1) 및 마이너스 전압(-Vdd)를 반전 증폭할 수 있다.
이때, 제2 반전 증폭기(OP1)에서 반전 증폭된 전압은 제2 스위치(FET2)를 스위치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2 스위치(FET2)가 턴오프되는 경우, 충전 펄스(cp)는 제1 충전부(122)에서 출력되는 전압(Vcc)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스위치(FET2)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제어 모듈(140)은 전류 측정 모듈(130)에서 측정된 전류를 확인하여, 제2 충전부(124)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140)는 제1, 2 스위치(FET1, FET2)를 제1, 2 확인 신호(SCP1, SCP2)로 강제적으로 스위치 턴오프되도록 하며, 제1, 2 스위치(FET1, FET2)가 스위치 턴오프되지 않으며, 제1, 2 스위치(FET1, FET2)가 정상 동작 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제1, 2 방전부를 자세하게 나타낸 회로도 및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나타낸 제1, 2 방전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방전부(126)는 제3 반전 증폭기(OP3), 제3 포토 커플러(PT3) 및 제3 스위치(FET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반전 증폭기(OP3)의 반전 단자(-)에는 2개의 저항들이 연결되며, 제어 모듈(140)로부터 제2 제어 신호(SC2)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3 반전 증폭기(OP3)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3 포터 커플러(PT1) 및 하나의 저항이 그라운드(GND)를 사이에 두고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반전 증폭기(OP3)는 제2 제어 신호(SC2)이 입력되면, 제2 제어 신호(SC1)를 반전 증폭하여 제3 스위치(FET3)을 스위치 턴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3 스위치(FET3)는 제3 반전 증폭기(OP3)에서 반전 증폭된 제2 제어 신호(SC1)에 의해 스위치 턴온되어, 방전 펄스(dp)를 생성하기 위한 전압(-Vcc)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전부(128)는 제4 스위치(FET4), 제4 반전 증폭기(OP4) 및 제4 포토 커플러(PT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반전 증폭기(OP4)의 반전 단자(-)에는 2개의 저항들이 연결되며, 제어 모듈(140)로부터 제2 제어 신호(SC2)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4 반전 증폭기(OP4)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4 포터 커플러(PT4) 및 하나의 저항이 그라운드(GND)를 사이에 두고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4 반전 증폭기(OP4)는 제2 제어 신호(SC2)이 입력되면, 제2 제어 신호(SC2)를 반전 증폭하여 제4 스위치(FET4)을 스위치 턴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4 스위치(FET4)는 제4 반전 증폭기(OP4)에서 반전 증폭된 제1 제어 신호(SC2)에 의해 스위치 턴온되어, 방전 펄스(dp)를 생성하기 위한 전압(-Vcc)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포토 커플러(PT3)는 제어 모듈(140)로부터 제3 스위치(FET3)의 스위치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3 확인 신호(SCP3)가 입력되면 동작하여, 제3 반전 증폭기(OP3)의 비반전 단자(+)에 플러스 전압(Vdd)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3 반전 증폭기(OP3)는 제2 제어 신호(SC3) 및 플러스 전압(Vdd)에 의해 제3 스위치(FET1)를 스위치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4 포토 커플러(PT4)는 제어 모듈(140)로부터 제4 스위치(FET2)의 스위치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4 확인 신호(SCP4)가 입력되면 동작하여, 제4 반전 증폭기(OP4)의 비반전 단자(+)에 플러스 전압(Vdd)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4 반전 증폭기(OP4)는 제2 제어 신호(SC2) 및 플러스 전압(Vdd)에 의해 제4 스위치(FET4)를 스위치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3, 4 확인 신호(SCP3, SCP4)는 제어 모듈(140)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3, 4 스위치(FET3, FET4)는 서로 병렬 연결되며, 제2 제어 신호(SC1)에 의해 스위치 턴온하여 방전 펄스(dp)을 형성하는 전압(-Vcc)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은 제1, 2 방전부(126, 128)가 정상 동작시 방전 펄스(dp)를 이차전지로 공급하는 회로도이다.
이차 전지를 방전하는 경우, 제어 모듈(140)은 방전 펄스(cp)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신호(SC2)를 제1, 2 방전부(126, 128)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3, 4 반전 증폭기(OP3, OP4)의 반전 단자(-)는 제2 제어 신호(SC2)가 입력되며, 제3, 4 반전 증폭기(OP3, OP4)의 비반전 단자(+)는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0V 전압이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4 반전 증폭기(OP3, OP4) 각각은 서로 연결된 2개의 저항에 따라 제2 제어 신호(SC2)를 반전 증폭하여 제3, 4 스위치(FET3, FET4)를 스위치 턴온시킬 수 있다.
제3, 4 스위치(FET3, FET4)는 스위치 턴온하여 서로 연결된 전압(-Vcc)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방전 펄스(cp)를 이차 전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류 측정 모듈(130)은 이차 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 모듈(14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방전 펄스(dp)를 이차전지로 공급하는 중 제1, 2 방전부(126, 128) 중 정상 동작하지 않는 방전부를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과 같이 방전 펄스(dp)를 이차전지로 공급하는 중 제3, 4 스위치(FET3, FET4)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어 모듈(140)은 도 8에서와 같이 이차 전지로 방전 펄스(dp)가 공급되는 중 전류 측정 모듈(130)에서 측정된 전류가 설정된 기준 방전 전류보다 낮은 경우, 제1, 2 방전부(126, 128) 중 적어도 하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제1 방전부(126)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③), 제어 모듈(140)은 제3 확인 신호(SCP3)을 제3 포토 커플러(PT3)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3 포토 커플러(PT3)은 턴온 동작하여, 연결된 플러스 전압(Vdd)을 제3 반전 증폭기(OP3)의 비반전 단자(+)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반전 증폭기(OP3)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2 제어 신호(SC2)가 공급되며, 제3 반전 증폭기(OP3)은 제2 제어 신호(SC1) 및 플러스 전압(Vdd)를 반전 증폭할 수 있다.
이때, 제3 반전 증폭기(OP3)에서 반전 증폭된 전압은 제3 스위치(FET3)를 스위치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3 스위치(FET3)가 턴오프되는 경우, 방전 펄스(dp)는 제2 방전부(128)에서 출력되는 전압(-Vcc)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스위치(FET3)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제어 모듈(140)은 전류 측정 모듈(130)에서 측정된 전류를 확인하여, 제1 방전부(126)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2 방전부(128)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④), 제어 모듈(140)은 제4 확인 신호(SCP4)을 제4 포토 커플러(PT4)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4 포토 커플러(PT4)은 턴온 동작하여, 연결된 플러스 전압(Vdd)을 제4 반전 증폭기(OP4)의 비반전 단자(+)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반전 증폭기(OP4)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2 제어 신호(SC1)가 공급되며, 제4 반전 증폭기(OP4)은 제2 제어 신호(SC2) 및 플러스 전압(Vdd)를 반전 증폭할 수 있다.
이때, 제4 반전 증폭기(OP4)에서 반전 증폭된 전압은 제4 스위치(FET4)를 스위치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4 스위치(FET4)가 턴오프되는 경우, 방전 펄스(dp)는 제1 방전부(126)에서 출력되는 전압(-Vcc)과 동일할 수 있다.
제4 스위치(FET4)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제어 모듈(140)은 전류 측정 모듈(130)에서 측정된 전류를 확인하여, 제2 방전부(128)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140)는 제3, 4 스위치(FET3, FET4)를 제3, 4 확인 신호(SCP3, SCP4)로 강제적으로 스위치 턴오프되도록 하며, 제3, 4 스위치(FET3, FET4)가 스위치 턴오프되지 않으며, 제3, 4 스위치(FET3, FET4)가 정상 동작 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 상기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모듈;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을 위해 충전펄스를 공급하며, 서로 병렬 연결된 제1, 2 충전부 및 상기 이차전지의 방전을 위해 방전펄스를 공급하며, 서로 병렬 연결된 제1, 2 방전부를 포함하는 충방전 모듈; 및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위해 제1, 2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2 충전부 및 상기 제1, 2 방전부로 공급하고, 상기 전류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전류가 설정된 기준 충전 전류 또는 기준 방전 전류 보다 낮으면, 상기 제1, 2 충전부 또는 상기 제1, 2 방전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부는,
    상기 충전 펄스를 공급하기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 입력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온 동작시키는 제1 반전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충전부는,
    상기 충전 펄스를 공급하는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 입력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온 동작시키는 제2 반전 증폭기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1 포토 커플러에 의해 제1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비반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기준전압에 의해 제1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충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2 포토 커플러에 의해 제2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비반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기준전압에 의해 제2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충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전부는,
    상기 방전 펄스를 공급하기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입력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상기 제3 스위치를 턴온 동작시키는 제3 반전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전부는,
    상기 방전 펄스를 공급하는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제4 스위치;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입력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상기 제4 스위치를 턴온 동작시키는 제2 반전 증폭기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3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3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3 포토 커플러에 의해 제3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비반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3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3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3 기준전압에 의해 제3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충전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4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4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4 포토 커플러에 의해 제4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비반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4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4 반전 증폭기는,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4 기준전압에 의해 제4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충전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충전부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류가 상기 기준 충전 전류보다 낮으면, 상기 제1, 2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2 확인 신호를 상기 제1, 2 반전 증폭기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충전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방전부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류가 상기 기준 방전 전류보다 낮으면, 상기 제3, 4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3, 4 확인 신호를 상기 제3, 4 반전 증폭기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충전 장치.
PCT/KR2023/003408 2022-03-21 2023-03-14 충전 장치 WO202318271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466 2022-03-21
KR1020220034466A KR102585723B1 (ko) 2022-03-21 2022-03-21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2717A1 true WO2023182717A1 (ko) 2023-09-28

Family

ID=8810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3408 WO2023182717A1 (ko) 2022-03-21 2023-03-14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5723B1 (ko)
WO (1) WO202318271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202A (ko) * 2010-02-22 2011-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밸런싱부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JP2013500548A (ja) * 2009-07-24 2013-01-07 ルノー・エス・アー・エス 電池と車両両の車載電力系統との切断および接続を行なうための装置の動作を診断する方法
JP2014030281A (ja) * 2012-07-31 2014-02-13 Denso Corp 電源システム
KR20140136844A (ko) * 2013-05-21 2014-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KR20210050989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전 스위치부 이상 감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0548A (ja) * 2009-07-24 2013-01-07 ルノー・エス・アー・エス 電池と車両両の車載電力系統との切断および接続を行なうための装置の動作を診断する方法
KR20110096202A (ko) * 2010-02-22 2011-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밸런싱부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JP2014030281A (ja) * 2012-07-31 2014-02-13 Denso Corp 電源システム
KR20140136844A (ko) * 2013-05-21 2014-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KR20210050989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전 스위치부 이상 감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951A (ko) 2023-10-04
KR102585723B1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2385A1 (ko) 스위치 부품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9027190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9117607A1 (ko) 배터리 팩의 음극 컨택터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9117606A1 (ko) 배터리 팩의 양극 컨택터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9066214A1 (ko) 배터리 모듈 균등화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8186573A1 (ko) 차량 구동용 전력 공급 시스템
WO2019059567A1 (ko)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0017817A1 (ko) 스위치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2154498A1 (ko) 배터리 뱅크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9151781A1 (ko)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WO2021054716A1 (ko) 배터리 전압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상태 사전 감지 시스템
WO2020166914A1 (ko) 충전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WO2020145768A1 (ko) 배터리 팩 진단 장치
WO2022145822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1066357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WO2022080837A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2071776A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WO2023182717A1 (ko) 충전 장치
WO2021040217A1 (ko)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셀 안정화 방법 및 시스템
WO2020111899A1 (ko)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9027144A1 (ko) Dc-dc 전압 컨버터 및 전압 레귤레이터를 갖는 차량 전기 시스템을 위한 진단 시스템
WO2020149557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1246655A1 (ko)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1157920A1 (ko) 배터리 랙의 개별 방전 시스템 및 방법
WO2022080835A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752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