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77084A1 -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77084A1
WO2023177084A1 PCT/KR2023/001575 KR2023001575W WO2023177084A1 WO 2023177084 A1 WO2023177084 A1 WO 2023177084A1 KR 2023001575 W KR2023001575 W KR 2023001575W WO 2023177084 A1 WO2023177084 A1 WO 20231770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ir dye
hair
dye composition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15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민
김진모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770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770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se change hair dye composi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hair dye composition that undergoes a phase transition from a liquid formulation to a cream formulation when mixed with water and can provide an excellent conditioning effect at the same time as hair dyeing.
  • existing hair dye compositions are generally formed in only one formulation such as gel, cream, or liquid.
  • cream formulations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using a separate tool such as a brush to evenly apply it to the hair, and liquid
  • a separate tool such as a brush
  • liquid In the case of the formulation, there are inconveniences in use, such as liquid flowing down the skin or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 area during dyeing. Additionally, if there is a difference in application time, there is a problem such as the degree of hair dyeing being differ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 a phase transition occurs from a liquid formulation to a cream formulation, making it convenient to use, and not only effectively dyeing hair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also providing a conditioning effect to the hair.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air dye composition.
  • a hair dye composition includes Myristyl Alcohol; and polyol, and when mixed with water, a phase transition may occur from a liquid formulation to a cream formulation.
  • the polyo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thoxydiglycol and butylene glycol.
  • the weight ratio of the butylene glycol to the ethoxydiglycol may be 1:1 to 3.
  • the ethoxydiglyc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butylene glyc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myristyl alcoh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weight ratio of the polyol to the myristyl alcohol may be 1:2 to 8.
  • the hair dy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cationic surfactant.
  • the cationic surfactant may be a mono long-chain alkyl cationic surfactant.
  • the cationic surfacta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ehentrimonium Chloride and Steartrimonium Chloride.
  • the cationic surfacta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hair dye composition that has undergone phase transition to the cream formulation may have a viscosity of 20,000 cP to 50,000 cP.
  • the hair dye composition may have a hair conditioning effect.
  • the hair dye composition may not contain silicone oil.
  • the hair dy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use because a phase transition occurs from a liquid formulation to a cream formulation when mixed with water. All the user needs to do is to evenly apply the liquid hair dye composition on wet hair without any additional tools, and the formulation changes into a cream, allowing the user to effectively dye their hair in a short period of time.
  • the hair dy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hair penetration rate of the dye, thereby providing excellent hair dyeing power and color development power, and can also provide hair treatment effects such as softness and flexibility to the hair at the same time as hair dyeing.
  •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ormulation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of a hair dye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rmulation after phase transition.
  •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ormulation of a hair dye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lor development power of a hair dye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lor development power of a hair dye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ir dye composition, which can undergo a phase transition from a liquid formulation to a cream formulation when mixed with water.
  • the hair dy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myristyl alcohol and polyol.
  • Myristyl Alcohol is an emulsifier for emulsifying ingredients that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and can allow a liquid hair dye composition to be mixed with water to transform into a cream formulation. Additionally, myristyl alcohol can provide moisture and softness to hair, scalp, etc.
  • myristyl alcoh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myristyl alcohol is inclu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5%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cream-type hair dye composition in which the phase transition has occurred is very low and may flow down from the hair when the composition is treated with the hair, and if myristyl alcohol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20% by weight, If included, the viscosity of the cream-type hair dye composition that has undergone a phase transition may be very high, which may reduce the feeling of use and cause skin irrita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 Polyol can help improve the penetration rate of pigment into hair.
  • the present inventor improved the penetration rate of pigments into hair, thereby improving hair dyeing power and color development power.
  • the polyol is Ethoxydiglycol,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Maltitol, It may contain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ositol and sorbitol,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t least one of ethoxydiglycol and butylene glycol.
  • the hair dye composition contains both ethoxydiglycol and butylene glycol, the penetration rate of the dye into the hair can be greatly improv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weight ratio of butylene glycol to ethoxydiglycol may be 1:1 to 3. If the weight ratio of butylene glycol to ethoxydiglycol is less than 1:1 or more than 1:3, the penetration rate of pigment into the hair and the hair coloring power may decrease, causing continuous loss of water from the hair.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 ethoxydiglyc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ethoxydiglycol is included in less than 10% by weight, the coloring power of the hair may be reduced, and if ethoxydiglycol is included in more than 30% by weight, the liquid formulation may not be formed or maintained stably. You ca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 butylene glyc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butylene glycol is included in less than 20% by weight, the coloring power of the hair may be reduced, and if butylene glycol is included in more than 30% by weight, it may irritate the skin and reduce the feeling of us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weight ratio of polyol to myristyl alcohol may be 1:2 to 8, specifically 1:2 to 4, and more specifically 1:2 to 3. If the weight ratio of polyol to myristyl alcohol is less than 1:2, the hair dye composition may be formed as a cream formulation rather than a liquid formulation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or myristyl alcohol may precipitate at low temperatures, and the weight ratio of polyol to myristyl alcohol may be 1:8. If it exceeds , the viscosity of the hair dye composition in which the phase transition has occurred is formed to be very low and may excessively flow down from the hair when the composition is treated with the hai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hair dy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tionic surfactant.
  • Cationic surfactants can provide conditioning benefits to hair, including smoothness, softness, and suppleness.
  • the cationic surfactant may be a mono long chain alkyl cationic surfactant.
  • a mono long-chain alkyl cationic surfactant as a cationic surfactant, the effects such as feeling of use and hair conditioning can be improved.
  • cationic surfactants include Behentrimonium Chloride, Steartrimonium Chloride, Distearyldimonium Chloride, and Dicetyldimonium Chlorid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and specificall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ehentrimonium chloride and steartrimonium chloride.
  • the cationic surfactant contains both behentrimonium chloride and steartrimonium chloride, the effect of hair conditioning can be maximized, such as making hair softer and smooth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cationic surfacta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the cationic surfactant is included in less than 0.5% by weight, the hair conditioning effect may be reduced, and if the cationic surfactant is included in more than 5% by weight, the transparency of the composition may decrease and the feeling of use may worse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hair dy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igment capable of imparting color to hair.
  • the dye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sic dye, acid dye, and oxidant dye.
  • the pigments are Basic Blue 7, Basic Blue 16, Basic Blue 22, Basic Blue 26, Basic Blue 99, Basic Blue 117, Basic Violet 10, Basic Violet 14, Basic Brown 16, Basic Brown 17, Basic Red 2. , Basic Red 12, Basic Red 22, Basic Red 51, Basic Red 76, Basic Red 118, Basic Orange 31, Basic Yellow 28, Basic Yellow 57, Basic Yellow 87, Basic Black 2, HC Blue No.2, HC Blue No.
  • HC Orange No.1, HC Orange No.2, HC Red No.1, HC Red No.3, HC Red, No.7, HC Red No.8, HC Red No.10, HC Red No. 11, HC Red No.13, HC Red No.16, HC Violet No.2, HC Yellow No.2, HC Yellow No.5, HC Yellow No.6, HC Yellow No.7, HC Yellow No.9, HC Yellow No.12, etc. are availabl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igm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1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hair dye composition may contain conventional hair dyes such as fragrance, pH adjuster, antioxidant, neutralizer, functional additive, stabilizer, vitamin, moisturizer, preservative, protein and other additives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ventional hair dyes such as fragrance, pH adjuster, antioxidant, neutralizer, functional additive, stabilizer, vitamin, moisturizer, preservative, protein and other additives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Other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hair dy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liquid formulation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and as it is mixed with water, a phase transition may occur from the liquid formulation to a cream formulation.
  • the hair dye composition in which the phase transition has occurred may have a viscosity of 20,000 cP to 50,000 cP, and specifically, may have a viscosity of 25,000 cP to 50,000 cP.
  • the hair dy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dergoes a phase transition when mixed with water and forms a certain level of viscosity, thereby minimizing dripping from the hair and effectively dyeing the hair. Additionally, the hair conditioning effect was improved by including a specific combination of cationic surfactants. Therefore, the hair dy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dergoes a phase transition from a liquid formulation to a cream formulation when mixed with water,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providing a hair conditioning effect at the same time as hair dyeing.
  • the hair dy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contain silicone oil.
  • Silicone oil is colorless, odorless, transparent, and can provide a conditioning effect, so it has been used in various hair-related compositions.
  • phase separation occurs within the composition, which is not good in terms of long-term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 the hair dy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tain silicone oil, thereby improving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and can also provide a hair conditioning effect by replacing silicone oil with a cationic surfactant.
  • hair dy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prepared using the ingredients listed in Table 1 below.
  • the unit of ingredient content in Table 1 is weight%.
  • Examples 1 to 5 are hair dye compositions in which the content of myristyl alcohol was adjusted with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s 6 to 8 were hair dye compositions in which the contents of ethoxydiglycol and butylene glycol were adjusted with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air dye composition with adjusted ratio.
  • a comparative example of a hair dy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using the ingredients listed in Table 2 below.
  • the unit of ingredient content in Table 2 is weight%.
  •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re hair dye compositions in which the emulsifier component was changed outside the scope of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are hair dye compositions in which the content of myristyl alcohol was adjusted outside the scope of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parative Example 6 is a hair dye composition excluding the component of ethoxydiglycol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parative Examples 7 to 9 are hair dye compositions containing ethoxydiglycol and butylene glycol outside the scope of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hair dye composition in which the content and ratio of are adjusted.
  • Comparative Examples 10 to 14 are hair dye compositions in which the type and content of the cationic surfactant were adjusted outside the scope of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 is the same as Examples 1 to 8.
  • the dye penetration rate into hair was evaluated for the hair dye compositions according to Examples 4, 6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6 to 9,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 the evaluation method is as follows. After applying each hair dye composition sufficiently to wet hair, the hair was massaged to change phase from the liquid formulation to the cream formulation. After 5 minutes, the hair dye composition was rinsed cleanly with lukewarm water, and the hair was sufficiently dried. Afterwards, using a color difference meter (Spectrophotometer CM-600d, Konica Minolta), the color difference was measured five times for the dyed hair and the average value was calculated. The L (Lightness) value, which is an indicator of hair darkness, was measured on dyed hair after being corrected using a black plate standard.
  • ⁇ L* L 2 - L 1
  • ⁇ a* a 2 - a 1
  • ⁇ b* b 2 - b 1
  • L 1 , a 1 and b 1 are the L, a and b values of the hair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 L 2 , a 2 and b 2 mean the L, a and b values of the hair after dyeing.
  • the experimental method is as follows. Each hair dye composition was applied to 5cm of the middle part of the hair, rinsed with lukewarm water, dried,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was measured using a NEO-TRIBO FCMS170 equipment to evaluate the hair conditioning effect. The friction coefficient was measured five times and the average of the three friction coefficient values excluding the highest and lowest values was calcu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염모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 및 폴리올을 포함하며, 물과 혼합됨에 따라 액상 제형에서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Description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
본 발명은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물과 혼합 시 액상 제형에서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며, 모발 염색과 동시에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외모, 모발의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시적 염모제, 반영구적 염모제, 영구적 염모제 등의 모발을 염색할 수 있는 염모제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염모제 제품의 조성물은 모발에 강한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염모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젤, 크림, 액상 등 하나의 제형으로만 형성되는데, 크림 제형의 경우 브러시 등의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모발에 골고루 도포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고, 액상 제형의 경우 염색 중 액체가 피부로 흘러내리거나 주변이 오염되는 등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도포 시간에 차이가 발생할 경우 모발의 염색의 정도가 상이해지는 등의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과 혼합 시 액상 제형에서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나 사용이 편리하고,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모발을 염색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염모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 및 폴리올을 포함하며, 물과 혼합됨에 따라 액상 제형에서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은, 에톡시다이글라이콜(Ethoxydiglycol) 및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톡시다이글라이콜 대비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의 중량비는 1 : 1 내지 3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톡시다이글라이콜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스틸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스틸 알코올 대비 상기 폴리올의 중량비는 1 : 2 내지 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모노 장쇄 알킬 양이온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베헨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및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Steartrimonium Chlo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난 염모제 조성물은, 20,000cP 내지 50,000cP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silicon oil)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물과 혼합됨에 따라 액상 제형에서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별도의 도구 없이 젖은 모발 상태에서 액상 제형의 염모제 조성물을 골고루 도포하기만 하면, 제형이 크림으로 바뀌면서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모발을 염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염료의 모발 침투율이 높아 모발 염색력 및 발색력이 뛰어나며, 모발 염색과 동시에 모발에 부드러움, 유연함 등의 모발 트리트먼트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 직후의 제형과 상전이 후의 제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 직후의 제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모제 조성물의 발색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염모제 조성물의 발색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물과 혼합됨에 따라 액상 제형에서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미리스틸 알코올 및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은, 서로 혼합되지 않은 성분들을 유화시키기 위한 유화제로서, 액상 제형의 염모제 조성물이 물과 혼합되어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리스틸 알코올은 모발, 두피 등에 보습, 부드러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미리스틸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미리스틸 알코올이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전이가 이루어진 크림 제형의 염모제 조성물의 점도가 매우 낮게 형성되어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 시 모발로부터 흘러내릴 수 있고, 미리스틸 알코올이 20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상전이가 이루어진 크림 제형의 염모제 조성물의 점도가 매우 높게 형성되어 사용감이 저하되고 피부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폴리올은, 모발에 대한 색소의 침투율이 향상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염모제 조성물에 특정 폴리올을 선별 적용함으로써, 모발에 대한 색소의 침투율을 향상시켜, 모발 염색력 및 발색력을 향상시켰다.
실시예에 따라, 폴리올은 에톡시다이글라이콜(Ethoxydi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말티톨(Maltitol), 이노시톨(Inositol) 및 솔비톨(Sorbit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에톡시다이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염모제 조성물이 에톡시다이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모발에 대한 색소의 침투율이 매우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에톡시다이글라이콜 대비 부틸렌글라이콜의 중량비는 1 : 1 내지 3일 수 있다. 에톡시다이글라이콜 대비 부틸렌글라이콜의 중량비가 1 : 1 미만이거나 1 : 3을 초과할 경우, 모발에 대한 색소의 침투율과 모발 발색력이 저하되어 모발로부터 물 빠짐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에톡시다이글라이콜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에톡시다이글라이콜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모발의 발색력이 저하될 수 있고, 에톡시다이글라이콜이 30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액상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거나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부틸렌글라이콜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부틸렌글라이콜이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모발의 발색력이 저하될 수 있고, 부틸렌글라이콜이 30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피부에 자극을 가하는 등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미리스틸 알코올 대비 폴리올의 중량비는 1 : 2 내지 8이고, 구체적으로 1 : 2 내지 4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1 : 2 내지 3일 수 있다. 미리스틸 알코올 대비 폴리올의 중량비가 1 : 2 미만일 경우, 염모제 조성물이 제조 직후 액상 제형이 아닌 크림 제형으로 형성되거나 저온에서 미리스틸 알코올이 석출될 수 있고, 미리스틸 알코올 대비 폴리올의 중량비가 1 : 8을 초과할 경우, 상전이가 이루어진 염모제 조성물의 점도가 매우 낮게 형성되어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 시 모발로부터 과도하게 흘러내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모발에 매끄러움, 부드러움 및 유연함 등의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모노 장쇄 알킬 양이온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모노 장쇄 알킬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감, 모발 컨디셔닝 등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베헨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Steartrimonium Chloride), 다이스테아릴다이모늄클로라이드(Distearyldimonium Chloride) 및 다이세틸다이모늄클로라이드(Dicetyldimon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베헨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베헨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모발이 보다 부드러워지고 매끄러워지는 등 모발 컨디셔닝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모발 컨디셔닝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조성물의 투명도가 저하되고 사용감이 악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모발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는 색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소는 염기성 염료(Basic Dye), 산성 염료(Acid Dye) 및 산화성 염료(Oxidant Dy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소는, 베이직 블루 7, 베이직 블루 16, 베이직 블루 22, 베이직 블루 26, 베이직 블루 99, 베이직 블루 117, 베이직 바이올렛 10, 베이직 바이올렛 14, 베이직 브라운 16, 베이직 브라운 17, 베이직 레드 2, 베이직 레드 12, 베이직 레드 22, 베이직 레드 51, 베이직 레드 76, 베이직 레드 118, 베이직 오렌지 31, 베이직 옐로우 28, 베이직 옐로우 57, 베이직 옐로우 87, 베이직 블랙 2, HC블루 No.2, HC블루 No.8, HC오렌지 No.1, HC오렌지 No.2, HC레드 No.1, HC레드 No.3, HC레드, No.7, HC레드 No.8, HC레드 No.10, HC레드 No.11, HC레드 No.13, HC레드 No.16, HC바이올렛 No.2, HC옐로우 No.2, HC옐로우 No.5, HC옐로우 No.6, HC옐로우 No.7, HC옐로우 No.9, HC옐로우 No.12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염모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향,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중화제, 기능성 첨가제, 안정화제, 비타민, 보습제, 방부제, 단백질 및 기타 첨가제 등과 같은 통상의 염모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기타 유효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제조 직후에는 액상 제형으로 형성되고, 물과 혼합됨에 따라 액상 제형에서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상전이가 일어난 염모제 조성물은 20,000cP 내지 50,000cP의 점도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25,000cP 내지 50,000cP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물과 혼합 시 상전이가 일어나며 일정 수준의 점도를 형성함으로써, 모발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이 최소화되고 효과적으로 모발을 염색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특정 조합으로 포함시켜,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물과 혼합됨에 따라 액상 제형에서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며, 모발 염색과 동시에 모발 컨디셔닝 효과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silicon oil)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은 무색, 무취, 투명하며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모발 관련 조성물에 사용되었으나, 이와 같은 실리콘 오일을 조성물에 포함하게 되면 조성물 내에서 상 분리가 일어나는 등 제형의 장기적인 안정도 측면에서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아 제형의 장기적인 안정도를 향상시키면서, 실리콘 오일을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대체 사용하여 모발 컨디셔닝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실험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제조
(1) 실시예 1 내지 8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의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1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서 미리스틸 알코올의 함량을 조절한 염모제 조성물이고, 실시예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서 에톡시다이글라이콜와 부틸렌글라이콜의 함량 및 비율을 조절한 염모제 조성물이다.
Figure PCTKR2023001575-appb-img-000001
구체적으로, 정제수, 폴리올을 혼합하여 80℃까지 가온한 후, 색소를 투입하여 가온 융해하였다. 이후,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완전히 녹으면 유화제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가온 융해하였다. 그 다음, 40℃의 온도로 냉각한 뒤, 에탄올, 벤질 알코올, 향을 투입시켜 실시예 1 내지 8의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2) 비교예 1 내지 14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의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표 2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비교예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밖에서 유화제의 성분을 변경한 염모제 조성물이고, 비교예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밖에서 미리스틸 알코올의 함량을 조절한 염모제 조성물이다. 또한, 비교예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톡시다이글라이콜의 성분을 제외한 염모제 조성물이고, 비교예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밖에서 에톡시다이글라이콜과 부틸렌글라이콜의 함량 및 비율을 조절한 염모제 조성물이다. 또한, 비교예 10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밖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을 조절한 염모제 조성물이다.
Figure PCTKR2023001575-appb-img-000002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실시예 1 내지 8과 동일하다.
실험예
(1) 실험예 1: 제조 직후의 제형 및 상전이 후의 점도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에 대하여 제조 직후의 제형을 육안으로 관찰해 판단하고, 각각의 염모제 조성물과 물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한 후 상전이가 이루어지면 Brookfield Viscosmeter LVT를 사용해 스핀 No. 4 및 스핀속도 6rpm 조건으로 점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23001575-appb-img-000003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모두 제조 직후의 제형이 액상 제형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상전이 후의 점도는 20,000cP 내지 50,000cP로 적합한 점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실시예 1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에 대한 제조 직후의 사진 및 상전이 후의 사진을 도 1의 (a) 및 (b)에 나타내었다.
한편, 미리스틸 알코올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로 대체한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제조 직후의 제형이 크림 제형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에 대한 제조 직후의 사진을 도 2의 (a) 내지 (c)에 순차적으로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유화제로서 미리스틸 알코올을 사용함으로써,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 직후 제형을 액상으로 형성 및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리스틸 알코올이 소량으로 포함된 비교예 4의 경우, 제조 직후의 제형은 액상이었으나, 상전이 후의 점도는 15,000cP로 매우 낮게 형성되어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할 때 모발로부터 흘러내리는 등 사용감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리스틸 알코올이 과량으로 포함된 비교예 5의 경우, 제조 직후의 제형은 액상이었으나, 상전이 후의 점도는 65,000cP로 매우 높게 형성되어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할 때 피부 자극이 유발되는 등 사용감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미리스틸 알코올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함으로써, 상전이 후 적합한 점도를 갖고 사용감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2) 실험예 2: 모발에 대한 색소 침투율 평가
상기 실시예 4, 6 내지 8 및 비교예 6 내지 9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에 대하여 모발에 대한 색소 침투율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염모제 조성물을 젖은 모발에 충분히 도포한 뒤, 모발을 마사지하여 액상 제형에서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면, 5분 후 미온수로 깨끗이 헹궈내고, 모발을 충분히 건조하였다. 이후, 색차계(Spectrophotometer CM-600d, Konica Minolta)를 사용하여, 염색된 모발에 대하여 색차를 5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모발의 암도 지표인 L(명도, Lightness) 값은 흑색판 표준으로 보정한 후 염색된 모발을 측정하였다. 또한, ΔE 값(색차값)은 L, a(적색-녹색 색도, red-green chromaticity) 및 b(황색-청색 색도, yellow-blue chromaticity) 값을 측정하여 ΔΕ={(ΔL*)2+(Δa*)2+(Δb*)2}1/2 식으로 도출하였다. 상기 식에서 ΔL* = L2 - L1, Δa* = a2 - a1, Δb* = b2 - b1이고, L1, a1 및 b1은 도포 직후 모발의 L, a 및 b 값이며, L2, a2 및 b2는 염색된 후 모발의 L, a 및 b 값을 의미한다.
Figure PCTKR2023001575-appb-img-000004
실험 결과, 실시예 4 및 6 내지 8의 경우, L 값은 낮고 ΔΕ 값은 높게 측정되어 모발에 대한 색소의 침투율이 매우 우수하고 모발의 발색력 또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및 6 내지 8에 의하여 염색이 이루어진 모발의 사진을 도 3의 (a) 내지 (d)에 순차적으로 나타내었다.
한편, 에톡시다이글라이콜이 제외된 비교예 6, 에톡시다이글라이콜 대비 부틸렌글라이콜의 비율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7 내지 9의 경우, L 값은 높고 ΔΕ 값은 낮게 측정되어 모발에 대한 색소의 침투율과 모발의 발색력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6 내지 9에 의하여 염색이 이루어진 모발의 사진을 도 4의 (a) 내지 (d)에 순차적으로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에톡시다이글라이콜 대비 부틸렌글라이콜의 비율이 1 : 1 내지 3이 되도록 에톡시다이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모발에 대한 색소의 침투율과 모발의 발색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3) 실험예 3: 모발 컨디셔닝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 10 내지 14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에 대하여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염모제 조성물을 모발의 중간 부분 5cm에 도포 후 미온수로 헹궈낸 뒤 건조한 다음 NEO-TRIBO FCMS170 장비를 사용해 마찰계수를 측정하여,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평가하였다. 마찰계수는 5회씩 측정 후 가장 높은 값과 가장 낮은 값을 제외한 3개의 마찰계수의 값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였다.
Figure PCTKR2023001575-appb-img-000005
실험 결과, 실시예 4의 경우, 마찰계수가 0.081로 낮게 측정되어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및 베헨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대체한 비교예 10,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및 베헨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중 하나가 제외된 비교예 11 내지 14의 경우, 마찰계수가 모두 0.085 이상으로 높게 측정되어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및 베헨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염모제 조성물로서,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 및 폴리올을 포함하고,
    물과 혼합됨에 따라 액상 제형에서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에톡시다이글라이콜(Ethoxydiglycol) 및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톡시다이글라이콜 대비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의 중량비는 1 : 1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톡시다이글라이콜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스틸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스틸 알코올 대비 상기 폴리올의 중량비는 1 : 2 내지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모노 장쇄 알킬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베헨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및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Steartrimonium Chlo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제형으로 상전이가 일어난 염모제 조성물은, 20,000cP 내지 50,000cP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silicon oil)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PCT/KR2023/001575 2022-03-18 2023-02-03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 WO202317708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836 2022-03-18
KR1020220033836A KR102458780B1 (ko) 2022-03-18 2022-03-18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084A1 true WO2023177084A1 (ko) 2023-09-21

Family

ID=8378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1575 WO2023177084A1 (ko) 2022-03-18 2023-02-03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58780B1 (ko)
TW (1) TW202337423A (ko)
WO (1) WO2023177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780B1 (ko) * 2022-03-18 2022-10-26 한국콜마주식회사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400A (ko) * 1998-05-20 1999-12-27 티.씨. 인판티노 저수분비휘발성유기화합물모발광택제및염색조성물
KR20020013116A (ko) * 2000-08-11 2002-02-20 유상옥,송운한 염모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030095849A (ko) * 2002-06-15 2003-12-24 (주) 아름다운 화장품 액상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
KR20130035708A (ko) * 2011-09-30 2013-04-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우유와 섞어 사용하는 컨디셔닝 조성물
KR102271694B1 (ko) * 2021-01-29 2021-06-30 신인호 자기유화형 액상 트리트먼트 화장료 조성물
KR102458780B1 (ko) * 2022-03-18 2022-10-26 한국콜마주식회사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8756B2 (ja) * 2006-05-17 2013-08-07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KR102276289B1 (ko) * 2020-10-26 2021-07-12 주식회사 엔베코코스메틱 모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400A (ko) * 1998-05-20 1999-12-27 티.씨. 인판티노 저수분비휘발성유기화합물모발광택제및염색조성물
KR20020013116A (ko) * 2000-08-11 2002-02-20 유상옥,송운한 염모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030095849A (ko) * 2002-06-15 2003-12-24 (주) 아름다운 화장품 액상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
KR20130035708A (ko) * 2011-09-30 2013-04-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우유와 섞어 사용하는 컨디셔닝 조성물
KR102271694B1 (ko) * 2021-01-29 2021-06-30 신인호 자기유화형 액상 트리트먼트 화장료 조성물
KR102458780B1 (ko) * 2022-03-18 2022-10-26 한국콜마주식회사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780B1 (ko) 2022-10-26
TW202337423A (zh) 202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177084A1 (ko)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
US6746492B2 (en) Semipermanent hair dye composition
USRE38441E1 (en) Solvent-based non-drying lipstick
WO2018097584A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5601620A (en) Acidic hair dye compositions which comprise acid dyes, benzyl alchol, and polysiloxanes
WO2023096054A1 (ko) 염모제 조성물
WO2019004627A1 (ko)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221228A1 (ko) 이종의 유기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4224753A (zh) 一种油包水型乳化组合物、粉底液及其制备方法
WO2021215629A1 (ko)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WO2017057868A1 (ko) 성형이 가능한 모발 케어용 조성물
CN113143786A (zh) 一种丝绒哑光质地唇釉及其制备方法
WO2015108383A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60227A1 (ko)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2020122342A1 (ko) 광택감과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235789A1 (ko)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27221A2 (ko)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WO2021251566A1 (ko) 무기 점증제 및 유기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085677A1 (ko)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184814A1 (ko) 실리콘 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92768A1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62408A1 (ko) 수분산 오일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88831A1 (ko)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8101686A1 (ko)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WO2018207985A1 (ko) 두 단계로 색상이 변화하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709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