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15629A1 -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15629A1
WO2021215629A1 PCT/KR2021/001298 KR2021001298W WO2021215629A1 WO 2021215629 A1 WO2021215629 A1 WO 2021215629A1 KR 2021001298 W KR2021001298 W KR 2021001298W WO 2021215629 A1 WO2021215629 A1 WO 20212156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emi
permanent hair
hair dye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12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민
홍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80009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980855B/zh
Priority to US17/802,874 priority patent/US20230099346A1/en
Publication of WO20212156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156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Definitions

  • it may preferably be a foam type capable of forming foam.
  • the foam-forming ability and foam-retaining power are high, so that the formulation does not flow down when applied to the hair, and it is easy to apply to the inside of the hair.
  • FIG. 2 is a photograph of observing the degree of water draining of Examples (FIG. 2(a)) and Comparative Example (FIG. 2(b))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able 1.
  • the pigment penetr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enzyl alcohol and dipropylene glycol.
  • benzyl alcohol is used as the pigment penetrating agent
  • dipropylene glycol can be used together as the pigment penetrating aid.
  • benzyl alcohol and dipropylene glycol are used together as a pigment penetrant, the color power to the hair can be further improved.
  • benzyl alcoh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2.0 wt%, preferably 0.1 to 1.0 wt%, and most preferably 0.5 to 0.8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dipropylene glyc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4 to 8%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5 to 6%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surfact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5 to 50% by weight, preferably 5 to 40% by weight, more preferably 10 to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surfactant is less than 1.5% by weight, formulation stability is deteriorated, and when it exceeds 50% by weigh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yeing efficiency is lowered.
  • the cationic surfactant is a component that can impart a conditioning effect to the hair, cetrimonium chloride, steatrimonium chloride, steatrimonium chloride / propylene glycol, behentrimonium chloride, behentrimonium Methosulfate, steatrimonium, cocamidopropyl dimethylamine, stearamidopropyl dimethylamine, behenamidopropyl dimethylamine, palmitamidopropyltrimonium chloride, dipalmitoylethylhydroxyethylmonium methosulfate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xtures thereof.
  • the cationic surfacta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20% by weight, preferably 1 to 15% by weight, most preferably 2 to 11, more preferably 3 to 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If the cationic surfactant is less than 0.5% by weight, the conditioning effect of the hair is lowered, and when it is included in excess of 20%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yeing efficiency is lowered.
  • the nonionic surfacta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30% by weight, preferably 4 to 22%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5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the nonionic surfactant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foam retention is lowered, and when it is included in excess of 30%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stickiness occurs.
  • the nonionic surfactant is preferably included in a higher content than the cationic surfactant.
  • a cationic surfactant and an excess of a nonionic surfactant are mixed as a surfacta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oam formulation with excellent foaming power and foam retention.
  • the content of the surfactant relative to the pigment penetrant may be 1: 1.5 to 9.5, preferably 1: 3 to 8, and most preferably 1: 5 to 6.
  • excellent coloring power and formulation stability may be obtained. If the content of the surfactant compared to the pigment penetrant is less than 1: 1.5 or exceeds 1: 9.5, the coloring power is lowered, the water dripping phenomenon is severe, and the formulation is unstable.
  • composition for semi-permanent hair dy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an anti-fading agent, a chelating agent, a pH adjuster, a foaming force adjuster, a thickener, a moisturizer, At least one selected from preservatives, fragrances, and other additives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olykernerium-39, polycutternium-10, polycutternium-22, polykernerium-48, etc. as an anti-fading agent, and glycerin, methylpropane as a foaming force control agent It may include diol, butylene glycol,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sodium benzoate, 1,2-hexanediol, ethylhexylglycerin, and the like as preservatives.
  • the chelating agent may include disodium EDTA and citric acid as the pH adjusting ag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functional additives for hair dyeing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components included in general cosmetic compositions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 Purified water, a chelating agent, glycerin and dipropylene glycol were mixed in a beaker and dissolved by heating to 80°C.
  • the cationic dye was separately dissolved in purified water and then added.
  • the cationic surfactant and the nonionic surfactant were mixed in the composition ratio shown in Table 1 below, heated to 80° C., and then dissolved and then added. After cooling to 40° C., benzyl alcohol and a preservative were added, the fragrance was added, stirred well, and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complete the compositions for semi-permanent hair dy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 Examples 1 and 2 are compositions for semi-permanent hair dye in which the content of surfactant is changed
  • Examples 3 to 7 are compositions for semi-permanent hair dye in which the ratio of cationic surfactant and nonionic surfactant is changed within the surfactant content
  • comparison Examples 1 and 2 are compositions for semi-permanent hair colorants using one type of penetrating agent
  • Comparative Examples 3 to 4 are compositions for semi-permanent hair colorants in which the ratio of the penetrant dye and surfactant is changed.
  • Foam reten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dripping of the composition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 the hair color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discharged in bubble type to 20 panelists composed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applied to the hair without bubbles disappearing or flowing down during the color development time (10-15 minutes)
  • the degree to which the shape is maintained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 the coloring power of the hair dye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evaluated to confirm the degree of color development on the hair.
  • the evaluation process is as follows. A gray hair bundle containing about 30% of white hair was prepared. The same amount of the manufactured product based on the weight of the gray hair bundle was applied evenly to the gray hair bundle for 5 minutes, washed with lukewarm water for 5 minutes, and then dried using hot air from a hair dryer. This process was repeated 5 times. The repetitively dyed gray hair bundle was visually observed, and the coloring power was evaluated as high, medium, or low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loring.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and FIG. 1 below.
  •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7 had medium or higher coloring power to hair, and excellent color development power, while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had very poor coloring power.
  • Comparative Example 1 and 2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one of benzyl alcohol and dipropylene glycol was used as the dye penetrant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ion of Examples using both types has much better coloring power.
  • the hair dyed in Experimental Example 2 was put in shampoo solution, shaken for 30 minutes, rinsed in running water for 1 minute, and then dried with hot air with a hair dryer. After repeating this process 5 times, the water draining phenomenon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and FIG. 2 below.
  •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7 have little or no water draining phenomenon, and have excellent color persistence, whereas the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have very severe water loss, so color persistence You can see that this is very low.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benzyl alcohol was not included, the water draining phenomenon occurred seriously.
  • the degree of stickiness at the time of washing the dyed hair with lukewarm water was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 20 panelists composed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asked to evaluate the degree of stickiness when washing in running water after applying the hair dye composition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o their hair.
  • Example 1 does not exist
  • Example 2 does not exist
  • Example 3 does not exist
  • Example 4 does not exist
  • Example 5 a little sticky
  • Example 6 does not exist
  • Example 7 a little sticky
  • each composition is placed in a transparent container, and under 25 °C, 40 °C, 50 °C, 5 °C and CYC (-5 °C ⁇ 40 °C) temperature conditions, 1 After months have elapsed, the separat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 was evaluated by visually observing i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 Examples 1 to 7 had an appropriate ratio of surfactant to pigment penetrant, and had good coloring power, and almost no water loss.
  • the foam was stably maintained after the foam was formed, and stickiness was hardly generated during rinsing, and the formulation was maintained stably for a long time.
  •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dipropylene glycol” was not used among the pigment penetrants had poor coloring power and severe water loss, the formulation was not stably maintained, and "benzyl alcohol” was not used among the pigment penetrants. Comparative Example 2 had poor coloring power and severe water draining, resulting in stickiness. Comparative Example 3, in which the ratio of surfactant to dye penetrant was lower than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the ratio of surfactant to dye penetrant was higher than that of Example, had poor coloring power and severe water loss, and the formulation was stably maintained could not 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염기성 색소와 함께 색소침투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높아 모발 안쪽까지 도포가 용이하고, 염색 후 물빠짐이 적고 착색력이 우수한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본 발명은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염기성 색소와 함께 색소침투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높아 모발 안쪽까지 도포가 용이하고, 염색 후 물빠짐이 적고 착색력이 우수한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색깔로 모발을 염색하여, 개성을 드러낼 수 있게 하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항상 지속되어 왔다. 모발을 염색시키는 염모제는 염료의 모발 침투 정도 및 지속 정도에 따라 영구 염모제, 반영구 염모제 및 일시 염모제로 구별된다.
영구 염모제는 한번의 염색으로 원하는 색을 얻을 수 있으며, 지속성이 좋은 장점이 있는 반면, 모발의 손상이 심하고,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자극적 물질을 내포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반면, 반영구 염모제는 색상의 지속력은 떨어지나, 모발에 자극이 적고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낮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짧은 시간에 발색되기 때문에 최근 바쁜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영구 염모제는 염료가 모발 내부로 침투하는 것과 달리, 반영구 염모제는 염료가 모발 표면에 이온 결합으로 붙어있기 때문에 염착 효과가 약하여 지속력이 약하고, 원하는 염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모발에 장시간 접촉시키거나 수회 반복 사용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염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색소의 함량을 늘리면 피부 염착 문제가 발생하고, 색소 침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벤질알코올 등의 색소침투제를 증가시키면 모발의 컨디셔닝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모발의 컨디셔닝을 향상시키고자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늘리게 되면 염색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반영구 염모제는 크림, 분말, 액상, 버블 및 에어로졸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중, 시중에서 많이 판매되는 크림 타입은, 그 제형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브러시를 사용하여 모발에 도포하기 때문에 모발의 안쪽까지 도포하기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균일하지 못한 모발 염색이 일어나 얼룩이 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발색력과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모발 안쪽까지 도포가 용이한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염기성 색소와 함께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거품 형성 및 유지력이 높아 모발 안쪽까지 도포가 용이하고, 염색 후 물빠짐이 적고 착색력이 우수한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염기성 색소, 색소침투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소침투제는 벤질알코올 및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프로필렌글리콜,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베헨트리모늄 메토설페이트, 스테아트리모늄, 코카미도프로필 디메칠아민, 스테아라미도프로필 디메칠아민, 베헨아미도프로필 디메칠아민, 팔미타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디팔미토일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데실 글루코시드, C12-14 파레스-12, 코코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라우레스-4, 라우레스-12, 옥틸 글루코시드, 노닐 글루코시드, 옥틸 말토시드, 옥틸 싸이오글루코시드, 코코넛 오일 알킬 글루코시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소침투제 대비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 : 1.5 내지 9.5 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 대비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 : 1.5 내지 5.5 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해 높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질알코올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상기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액상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거품을 형성할 수 있는 폼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은 염색 후 물빠짐이 적고 착색력이 우수하여 염색효율이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 사용으로 인하여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높아 모발 도포 시 제형이 흘러내리지 않으며, 모발 안쪽까지 도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균일한 모발 염색을 할 수 있으며, 염색 시 피부 염착을 최소화하고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표 1의 성분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도 1(a)) 및 비교예(도 1(b))의 착색력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표 1의 성분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도 2(a)) 및 비교예(도 2(b))의 물빠짐 정도를 관찰한 사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염기성 색소와 함께 색소침투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우수한 폼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은 염기성 색소, 색소침투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염기성 색소는 모발에 착색 효과를 주는 것으로, 염료의 이온이 양이온인 염료를 의미한다. 염기성 색소는 양전하를 갖기 때문에 음전하를 갖는 모발에 정전기적 인력으로 흡착된다.
본 발명의 염기성 색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염기성 블루 3, 염기성 블루 6, 염기성 블루 7, 염기성 블루 9, 염기성 블루 26, 염기성 블루 41, 염기성 블루 47, 염기성 블루 99, 염기성 브라운 4, 염기성 브라운 16, 염기성 브라운 17, 염기성 그린 1, 염기성 그린 4, 염기성 오렌지 1, 염기성 오렌지 2, 염기성 오렌지 31, 염기성 레드 1, 염기성 레드 1:1, 염기성 레드 2, 염기성 레드 22, 염기성 레드 46, 염기성 레드 51, 염기성 레드 76, 염기성 레드 118, 염기성 바이올렛 1, 염기성 바이올렛 2, 염기성 바이올렛 3, 염기성 바이올렛 4, 염기성 바이올렛 10, 염기성 바이올렛 11:1, 염기성 바이올렛 14, 염기성 바이올렛 16, 염기성 옐로우 11, 염기성 옐로우 28, 염기성 옐로우 40, 염기성 옐로우 57 및 염기성 옐로우 87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염기성 색소는 원하는 색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기성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컬러에 따라 중량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염기성 색소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01 미만인 경우 발색력이 저하되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 염착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색소침투제는 색소의 침투력을 향상시키는 성분으로, 모발의 큐티클 안쪽으로 색소를 침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색소침투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2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색소침투제가 0.1 중량% 미만인 경우 착색력이 떨어지며, 1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모발에 손상이 심해 컨디셔닝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색소침투제는 벤질알코올 및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색소침투제로 벤질알코올을 사용하면서, 색소침투보조제로 디플로필렌글라이콜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색소침투제로 벤질알코올과 디프로필렌클라이콜을 함께 사용할 경우, 모발에 대한 발색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벤질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뿐만 아니라 거품 형성능과 거품 유지력을 확보하여 모발에서 제형이 흘러내리지 않는 폼 타입 제형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1.5 중량% 미만인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5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염색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성분으로,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프로필렌글리콜,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베헨트리모늄 메토설페이트, 스테아트리모늄, 코카미도프로필 디메칠아민, 스테아라미도프로필 디메칠아민, 베헨아미도프로필 디메칠아민, 팔미타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디팔미토일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0.5 중량% 미만인 경우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가 떨어지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염색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거품을 형성 및 유지할 수 있는 제형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데실 글루코시드, C12-14 파레스-12, 코코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라우레스-4, 라우레스-12, 옥틸 글루코시드, 노닐 글루코시드, 옥틸 말토시드, 옥틸 싸이오글루코시드, 코코넛 오일 알킬 글루코시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2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1 중량% 미만인 경우 폼 유지력이 떨어지고,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끈적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해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과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혼합될 경우 거품력과 거품 유지력이 우수한 폼 제형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양이온 계면활성제 대비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 : 1.5 내지 5.5, 바람직하게는 1 : 2.5 내지 4.5,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3일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상기 비율로 포함될 때, 거품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 대비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 1.5 미만일 경우에는 거품 유지력이 떨어지고, 양이온 계면활성제 대비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 5.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끈적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색소 침투제 대비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 : 1.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 : 3 내지 8,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5 내지 6일 수 있다. 색소 침투제와 계면활성제가 상기 비율로 포함될 때 우수한 착색력과 제형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색소 침투제 대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 1.5 미만이거나 1 : 9.5를 초과하는 경우, 착색력이 떨어지고, 물빠짐 현상이 심하며, 제형이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퇴색방지제, 킬레이팅제, pH 조절제, 폼력 조절제, 증점제, 보습제, 보존제, 향 및 기타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퇴색방지제로 폴리커너늄-39, 폴리커터늄-10, 폴리커터늄-22, 폴리커너늄-48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폼력 조절제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보존제로 벤조산나트륨, 1,2-헥산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킬레이팅제로는 디소듐이디티에이, pH 조절제로 시트릭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염모 기능성 첨가제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은 액상 제형일 수 있다. 모발의 안쪽까지 도포하기 쉽지 않은 종래의 크림 제형의 염모제와는 달리, 액상 제형으로 모발 안쪽까지 도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은 거품 형성이 가능한 폼 타입 제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을 도포한 뒤 문지르면 거품이 형성되고, 거품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균일한 모발 염색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염기성 색소와 함께 색소침투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은, 거품형성능과 거품 유지력이 우수하여 모발에서 제형이 흘러내리지 않아 모발 안쪽까지 균일하게 염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실시예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이커에 정제수, 킬레이팅제, 글리세린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을 혼합한 후 80℃로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양이온 색소를 별도로 정제수에 용해 후 투입하였다.
또한,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로 혼합한 후 80℃로 가온하여 용해 후 투입하였다. 40℃까지 냉각하여 벤질알코올, 보존제를 첨가한 후, 향을 투입하고 잘 교반하여 이를 상온까지 냉각시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1 및 2는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변화시킨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이고, 실시예 3 내지 7은 계면활성제 함량 내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비율을 변화시킨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이며, 비교예 1 내지 2는 1종의 색소침투제를 사용한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이고, 비교예 3 내지 4는 색소침투제와 계면활성제의 비율을 변화시킨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이다.
역할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정제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색소
침투제
벤질알코올 5.5 5.5 5.5 5.5 5.5 5.5 5.5 5.5 - 5.5 5.5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 5.5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3.68 7.31 11 8.25 6.6 16.5 4.73 11 11 1.82 18.3
비이온 계면활성제 데실 글루코사이드, C12-14 파레스-12 7.32 14.69 22 24.75 26.4 16.5 28.27 22 22 3.68 36.66
11 22 33 33 33 33 33 33 33 5.5 55
염기성색소 BASIC RED 51 0.5
퇴색 방지제 폴리커터늄-39 0.07
킬레이팅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1
pH 조절제 시트릭산 0.05
폼력 조절제 글리세린 6
보존제 소듐벤조에이트 0.3
향료 0.1
실험예 1: 폼 유지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의 흘러내림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폼 유지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표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20-30대 여성으로 구성된 패널 20명에게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을 버블 타입으로 토출하여 모발에 도포하여 발색시간(10-15분) 동안 거품이 사라지거나 흘러내리지 않고 형상이 유지되는 정도를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도록 하였다.
구분 폼 유지력 구분 폼 유지력
실시예1 비교예1
실시예2 비교예2
실시예3 비교예3
실시예4 비교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평가 기준>
상: 흘러내리지 않음, 중: 약간 흘러내림, 하: 흘러내림 심함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조성물은 대부분 폼 유지력이 중 이상으로, 모발에서 제형이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품이 유지되는 반면, 비교예의 조성물은 거품이 심하게 흘러내려 폼 유지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특정 비율로 혼합된 경우 폼 유지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착색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염모제 조성물의 모발에 대한 발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착색력을 평가하였다.
평가 과정은 다음과 같다. 흰색 모발이 약 30% 내외 포함된 새치모 묶음을 준비하였다. 상기 새치모 묶음과 무게 기준으로 동량의 제조품을 새치모 묶음에 5분간 골고루 도포한 다음 5분간 미온수로 세척한 후 헤어드라이어의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상기 과정을 5회 반복하였다. 상기 반복하여 염색한 새치모 묶음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착색된 정도에 따라 착색력을 상, 중, 하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착색력 구분 착색력
실시예1 비교예1
실시예2 비교예2
실시예3 비교예3
실시예4 비교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상기 표 3 및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조성물은 모발에 착색력이 중 이상으로, 색상의 발색력이 우수한 반면, 비교예의 조성물은 착색력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소침투제로 벤질알코올과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중 1종만 사용한 경우(비교예 1 및 2)에 비해, 2종 모두를 사용한 실시예의 조성물이 착색력이 훨씬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물빠짐 정도 평가
상기 실험예 2에서 염색된 모발을 삼푸액에 넣어 30분간 흔들어 준 후 흐르는 물에 1분간 헹군 뒤 헤어드라이어로 열풍 건조시켰다. 이 과정을 5회 반복한 다음 물빠짐 현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물빠짐 정도 구분 물빠짐 정도
실시예1 다소 있음 비교예1 심함
실시예2 다소 있음 비교예2 심함
실시예3 거의 없음 비교예3 심함
실시예4 거의 없음 비교예4 심함
실시예5 거의 없음
실시예6 다소 있음
실시예7 다소 있음
상기 표 4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조성물은 물빠짐 현상이 약간 발생하거나 거의 없어, 색상의 지속력이 우수한 반면, 비교예의 조성물은 물빠짐 정도가 매우 심해 색상 지속력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벤질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물빠짐 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색소침투제로 벤질알코올과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중 1종만 사용하거나(비교예 1 및 2), 색소침투제 대비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특정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비교예 3 및 4)에 비해, 2종의 색소침투제를 사용하고 색소침투제 대비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특정 비율에 속하는 경우 색상지속력이 훨씬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끈적임 정도 평가
염색한 모발을 미온수로 세척시의 끈적임 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표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20-30대 여성으로 구성된 패널 20명에게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한 뒤, 흐르는 물에 세척시의 끈적임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구분 끈적임 정도
실시예1 없음
실시예2 없음
실시예3 없음
실시예4 없음
실시예5 약간 끈적임
실시예6 없음
실시예7 약간 끈적임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조성물은 약간의 끈적임이 발생하거나 끈적임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양이온 계면활성제 대비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특정 비율 이상인 실시예 5 및 7은 다른 실시예에 비해 약간의 끈적임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장기 안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염모제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조성물을 투명 용기에 담고, 25℃, 40℃, 50℃, 5℃ 및 CYC(-5℃~40℃) 온도 조건 하에서, 1개월이 경과한 후 온도조건에 따른 분리 현상 등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표시하였다.
구분 제형장기안정성 구분 제형장기안정성
실시예1 안정 비교예1 불안정
실시예2 안정 비교예2 불안정
실시예3 안정 비교예3 향 분리 및 색소 석출로 불안정
실시예4 안정 비교예4 불안정
실시예5 안정
실시예6 안정
실시예7 안정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7의 조성물은 매우 안정적인 제형이 장기간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색소침투제 1종만을 사용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제형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였고, 색소침투제 대비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실시예에 비해 낮은 비교예 3은 향이 분리되고 색소가 석출되는 등 제형이 매우 불안정하였다. 색소침투제 대비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실시예에 비해 높은 비교예 4 또한 제형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은 색소침투제 대비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적절하여, 착색력이 좋고, 물빠짐 현상도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거품이 형성된 후 거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헹굼 시 끈적임이 거의 발생되지 않았으며 제형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반면, 색소침투제 중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1은 착색력이 좋지 않고 물빠짐 현상이 심하며,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였고, 색소침투제 중 "벤질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2는 착색력이 좋지 않고 물빠짐 현상이 심하여, 끈적임이 발생하였다. 색소침투제 대비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실시예에 비해 낮은 비교예 3와 색소침투제 대비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실시예에 비해 높은 비교예 4는 착색력이 좋지 않고 물빠짐 현상이 심하였고,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로서,
    염기성 색소, 색소침투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침투제는 벤질알코올 및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프로필렌글리콜,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베헨트리모늄 메토설페이트, 스테아트리모늄, 코카미도프로필 디메칠아민, 스테아라미도프로필 디메칠아민, 베헨아미도프로필 디메칠아민, 팔미타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디팔미토일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데실 글루코시드, C12-14 파레스-12, 코코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라우레스-4, 라우레스-12, 옥틸 글루코시드, 노닐 글루코시드, 옥틸 말토시드, 옥틸 싸이오글루코시드, 코코넛 오일 알킬 글루코시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 침투제 대비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 : 1.5 내지 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 대비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 : 1.5 내지 5.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해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벤질알코올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상기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거품을 형성할 수 있는 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PCT/KR2021/001298 2020-04-20 2021-02-01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WO2021215629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09551.2A CN114980855B (zh) 2020-04-20 2021-02-01 泡沫式的半永久性染发剂用组合物
US17/802,874 US20230099346A1 (en) 2020-04-20 2021-02-01 Foam type semi-permanent hair dyeing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223A KR102164724B1 (ko) 2020-04-20 2020-04-20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KR10-2020-0047223 2020-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629A1 true WO2021215629A1 (ko) 2021-10-28

Family

ID=7288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1298 WO2021215629A1 (ko) 2020-04-20 2021-02-01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99346A1 (ko)
KR (1) KR102164724B1 (ko)
CN (1) CN114980855B (ko)
TW (1) TWI799831B (ko)
WO (1) WO2021215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724B1 (ko) * 2020-04-20 2020-10-13 한국콜마주식회사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CN116709647B (zh) * 2023-05-29 2024-03-08 宁波科浩达电子有限公司 一种印制电路板的制备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7026A (ja) * 2010-11-01 2012-05-24 Hoyu Co Ltd 毛髪化粧料組成物、毛髪化粧料組成物の使用方法、及び毛髪化粧料用品
JP2012162466A (ja) * 2011-02-03 2012-08-30 Cota Co Ltd 染毛料
JP2017095373A (ja) * 2015-11-19 2017-06-01 株式会社ヘアテック・ジャパン 後発泡型染毛組成物
JP2020033495A (ja) * 2018-08-31 2020-03-0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塩基性染料とアミノ酸を含有する化合物、染毛用染料および染毛用組成物
KR102164724B1 (ko) * 2020-04-20 2020-10-13 한국콜마주식회사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5557A1 (fr) * 1984-09-27 1986-04-03 Oreal Composition tinctoriale pour fibres keratiniques renfermant au moins une nitro-2 paraphenylenediamine n-substituee cosolubilisee et procede de teinture de fibres keratiniques correspondant
FR2717801B1 (fr) * 1994-03-24 1996-06-07 Oreal 2-nitro p-phénylènediamines soufrées en position 5,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compositions tinctoriales les contenant et leur utilisation en teinture des fibres kératiniques.
JP5976995B2 (ja) * 2011-02-28 2016-08-24 ホーユー株式会社 染毛剤、その使用方法及び染毛剤用品
KR101076914B1 (ko) * 2011-04-22 2011-10-25 동성제약주식회사 거품형 모발 염색제 조성물
WO2017117522A1 (en) * 2015-12-31 2017-07-06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diimides and amino compounds for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EP3501488B1 (en) * 2017-12-21 2021-04-14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GmbH Aqueous silicone polymer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7026A (ja) * 2010-11-01 2012-05-24 Hoyu Co Ltd 毛髪化粧料組成物、毛髪化粧料組成物の使用方法、及び毛髪化粧料用品
JP2012162466A (ja) * 2011-02-03 2012-08-30 Cota Co Ltd 染毛料
JP2017095373A (ja) * 2015-11-19 2017-06-01 株式会社ヘアテック・ジャパン 後発泡型染毛組成物
JP2020033495A (ja) * 2018-08-31 2020-03-0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塩基性染料とアミノ酸を含有する化合物、染毛用染料および染毛用組成物
KR102164724B1 (ko) * 2020-04-20 2020-10-13 한국콜마주식회사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80855B (zh) 2023-10-27
US20230099346A1 (en) 2023-03-30
KR102164724B1 (ko) 2020-10-13
CN114980855A (zh) 2022-08-30
TWI799831B (zh) 2023-04-21
TW202139965A (zh)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2359A (en) Hair colorants
US3578387A (en) Dyeing hair while simultaneously lightening its color
WO2021215629A1 (ko) 폼 타입의 반영구 염모제용 조성물
US5474578A (en) Erasable hair dyeing process
US3649160A (en) Dyeing human hair with oxidation bases and an indoline coupler
EP1039876B1 (en) Direct hair dye compositions and methods containing novel anthraquinone mixtures
KR100391695B1 (ko) 양이온성 직접 염료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케라틴섬유 염색용 조성물
EP0429855A1 (en) Hair dye composition
US3563684A (en) Dyeing keratinic fibers and human hair with para-diamines and couplers
EP0137178B2 (en) Colouring shampoo
EP0818193B1 (en) Quaternized blue anthraquinone hair dyes in an isatin/amine dye system
KR20020023121A (ko) 산성 염모료(染毛料) 조성물
KR102458780B1 (ko) 상전이 염모제 조성물
EP1108417B1 (en) Hair colorant composition
JP2004043431A (ja) 毛髪染色剤
WO2024090925A1 (ko) 포타슘알룸 및 폴리우레탄-10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JPS62416A (ja) 染毛剤
JPH10212219A (ja) 頭髪用酸性染毛料組成物
WO2020159290A1 (ko) 모발 염색용 제제
KR20050074860A (ko)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JPH01503240A (ja) 2,6―ジニトロアニリン誘導体を含有する毛髪用染色剤及び新規2,6―ジニトロアニリン誘導体
JPH1179959A (ja) 染毛料
WO2023171931A1 (ko) 모발 착색 샴푸 조성물
KR20040037765A (ko) 산성 염모제 조성물
MXPA00000250A (en) Direct hair dye compositions and methods containing novel anthraquinone mix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921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921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