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32388A1 -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32388A1
WO2023132388A1 PCT/KR2022/000291 KR2022000291W WO2023132388A1 WO 2023132388 A1 WO2023132388 A1 WO 2023132388A1 KR 2022000291 W KR2022000291 W KR 2022000291W WO 2023132388 A1 WO2023132388 A1 WO 20231323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circuit breaker
sliding
suppor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02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기택
김경탁
Original Assignee
(주)에코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파워텍 filed Critical (주)에코파워텍
Priority to PCT/KR2022/00029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32388A1/ko
Publication of WO20231323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323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1Bus-bar arrangements for rack-mounted device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형태의 슬라이딩프레임이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차단기의 폭에 맞추어 복수개의 슬라이딩프레임을 연결하여 차단기에 고정시키도록 하며, 차단기가 고정된 슬라이딩프레임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여 차단기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단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차단기를 안정적으로 받치면서 차단기의 쉽고 안전한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본 발명은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형태의 슬라이딩프레임이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차단기의 폭에 맞추어 복수개의 슬라이딩프레임을 연결하여 차단기에 고정시키도록 하며, 차단기가 고정된 슬라이딩프레임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여 차단기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단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차단기를 안정적으로 받치면서 차단기의 쉽고 안전한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 또는 배전반은 차단기, 개폐기 등을 함체 내에 장착하여 전력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각 위치에 선택적으로 분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분전반에는 메인차단기와 개별차단기가 형성되어 분전반으로 공급되는 전력과 각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메인차단기를 통과하는 전력은 R-S-T-N 상으로 나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모선부스바(100)로 공급되고, 모선부스바(100)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분기부스바(200)가 연결되어 개별차단기(400)로 각 상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모선부스바(100)와 분기부스바(200)의 연결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기부스바(200)를 절곡되도록 형성하고 모선부스바(100)와 분기부스바(200)을 볼트(300) 체결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분기부스바(200)의 제조공정이 까다롭고 작업시에도 각 분기부스바(200)를 볼트(300)에 의해 모선부스바(100)에 체결하도록 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우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모선부스바(100)에 연결용 커넥터(500)를 착탈식으로 결합시키고, 연결용 커넥터(500)에 개별차단기(400)를 연결하도록 하여 감전 위험을 줄이면서 쉽고 신속한 분전반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만, 연결용 커넥터(500)를 착탈식으로 결합시킴에 따라 개별차단기(4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개별차단기(400) 각각을 별도의 패널에 일일이 고정시켜야 함에 따라 그 설치가 번거로웠고, 다양한 크기의 개별차단기(4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2046904호(2019. 11. 14. 등록)"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분전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모듈형태의 슬라이딩프레임이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차단기의 폭에 맞추어 복수개의 슬라이딩프레임을 연결하여 차단기에 고정시키도록 하며, 차단기가 고정된 슬라이딩프레임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여 차단기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단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차단기를 안정적으로 받치면서 차단기의 쉽고 안전한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프레임 사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딩프레임 사이의 체결 완료시에는 서로 고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딩프레임 사이의 안정적이고 정확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프레임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슬라이등프레임의 원활한 슬라이딩과 차단기의 효율적인 열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는 차단기 바닥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차단기의 폭에 따라 복수개가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하여 차단기를 지지하는 슬라이딩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딩프레임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되면서 지지되는 제2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일측 상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가이드단과; 상기 절곡가이드단의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끝단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는 외측지지단과;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일측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지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슬라이딩부는 상기 외측지지단 및 내측지지단 상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타측 하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되는 끝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절곡단과; 상기 돌출절곡단의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끝단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돌출단과; 상기 돌출절곡단의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끝단에서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는 외측돌출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돌출단 및 외측돌출단은 인접하는 받침지지장치의 외측지지단 및 내측지지단 상에 각각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단은 상부 일 지점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지지단은 상부 일 지점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지지홈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돌출단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함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돌출단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은 지지구조물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밀착고정부와, 상기 밀착고정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차단기 바닥과 밀착결합하는 절곡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곡돌출부는 차단기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관통형성되는 결합공과, 차단기의 열이 방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방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듈형태의 슬라이딩프레임이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차단기의 폭에 맞추어 복수개의 슬라이딩프레임을 연결하여 차단기에 고정시키도록 하며, 차단기가 고정된 슬라이딩프레임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여 차단기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단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차단기를 안정적으로 받치면서 차단기의 쉽고 안전한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프레임 사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딩프레임 사이의 체결 완료시에는 서로 고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딩프레임 사이의 안정적이고 정확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프레임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슬라이등프레임의 원활한 슬라이딩과 차단기의 효율적인 열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분전반의 부스바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종래 조립식 분전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제1슬라이딩부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제2슬라이딩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제2슬라이딩부의 내측돌출단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제2슬라이딩부의 단면도
도 9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 시스템의 차단기 해체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2는 차단기 해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3은 차단기 해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측면도
도 16은 도 13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해체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 도면에 사용되는 부호의 설명
1: 슬라이딩프레임 11: 밀착고정부
111: 고정공 13: 절곡돌출부
131: 결합공 133: 방열공
2: 제1슬라이딩부 21: 절곡가이드단
211: 삽입홈 23: 외측지지단
231: 함입홈 25: 내측지지단
251: 지지홈 3: 제2슬라이딩부
31: 돌출절곡단 33: 내측돌출단
331: 돌출돌기 35: 외측돌출단
351: 삽입돌기 T: 차단기
4: 본체부 41: 수용홈
43: 관통홀 45: 끼움홈
47: 삽입홈 5: 손잡이부
51: 제1결합공 53: 제2결합공
6,6': 돌출지지부 61: 삽입고정부재
63: 돌출삽입부재 65: 끼움체
651: 끼움공 653: 결합홈
67: 돌출부재
* 종래기술에 사용되는 부호의 설명
100: 모선부스바 200: 분기부스바
300: 볼트 400: 개별차단기
500: 연결용 커넥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분전반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를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는 차단기(T) 하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차단기(T)의 폭에 따라 복수개가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하여 차단기(T)를 지지하는 슬라이딩프레임(1)과;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딩프레임(1)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슬라이딩부(2)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2)와 슬라이딩되면서 지지되는 제2슬라이딩부(3);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는 배경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2046904호("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분전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차단기(T)의 하측에서 차단기(T)를 받치도록 하며, 분전반이 설치되는 함체, 판넬 등의 지지구조물 상에서 차단기(T)가 지지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받침지지장치는 모듈 형태로 형성되어 차단기(T)의 바닥에 고정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지지장치는 차단기(T)의 폭에 맞추어 복수개로 차단기(T) 바닥에 고정되며, 차단기(T)의 바닥을 받친 상태에서 서로 슬라이딩되어 차단기(T)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받침지지장치는 복수개가 차단기(T)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접한 차단기(T)의 받침지지장치 사이를 슬라이딩 하면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며, 차단기(T)에 연결된 연결용 커넥터(500)가 모선부스바(100)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지지장치는 각 차단기(T)의 위치에서 슬라이딩 형태로 밀어넣기만 하면 간단하게 정확한 위치에서 차단기(T)를 모선부스바(100)에 장착할 수 있고, 차단기(T)를 교체 또는 해제할 때에도 받침지지장치만을 슬라이딩 형태로 꺼내어 감전 위험을 줄이면서 간단하게 교체 또는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지지장치는 슬라이딩되는 받침지지장치 사이도 서로 일정 위치에서 지지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차단기(T)를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은 차단기(T) 바닥에 고정되어 차단기(T)를 지지하며, 차단기(T)가 함체, 판넬 등의 지지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차단기(T)의 길이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은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차단기(T) 바닥을 지지하도록 하며, 차단기(T)의 폭에 맞추어 복수개가 차단기(T) 바닥을 지지하면서 차단기(T)에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은 양측으로 제1슬라이딩부(2) 및 제2슬라이딩부(3)가 형성되어 서로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슬라이딩프레임(1)을 차단기(T) 바닥에 고정시킬 때, 또는 슬라이딩프레임(1)이 장착된 차단기(T)를 모선부스바(100)에 장착시킬 때에도 슬라이딩프레임(1) 사이를 슬라이딩 시키면서 쉽고 신속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차단기(T)를 장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은 지지구조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차단기(T)와 결합하도록 하여 슬라이딩프레임(1)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차단기(T)에서 발생되는 열이 바닥측으로도 배출되는 공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고정부(11) 및 절곡돌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고정부(11)는 지지구조물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모선부스바(100)의 반대측 방향에 형성되어 일정 폭으로 지지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밀착고정부(11)는 별도의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공(1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수단을 통해 지지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곡돌출부(13)는 밀착고정부(11)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지지구조물과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차단기(T)와 밀착되는 일정 너비의 평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절곡돌출부(13)는 차단기(T)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차단기(T)의 바닥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차단기(T)와 지지구조물 사이가 일정 높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곡돌출부(13)의 양측으로는 제1슬라이딩부(2) 및 제2슬라이딩부(3)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슬라이딩프레임(1)의 제1슬라이딩부(2) 및 제2슬라이딩부(3)가 서로 슬라이딩 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절곡돌출부(13)가 지지구조물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차단기(T)의 바닥에 고정됨에 따라 슬라이딩프레임(1)과 지지구조물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슬라이딩프레임(1)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절곡돌출부(13)와 지지구조물 사이의 공간을 통해 차단기(T)의 열이 배출되도록 하여 차단기(T)의 과열 방지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돌출부(13)는 밀착고정부(11)로부터 절곡되어 지지구조물과 이격되는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차단기(T)의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더라도 차단기(T)가 슬라이딩프레임(1)을 통해 지지구조물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제1슬라이딩부(2) 및 제2슬라이딩부(3)의 위치를 변경하여 절곡돌출부(13)의 높이가 상이하더라도 제1슬라이딩부(2) 및 제2슬라이딩부(3)가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체결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곡돌출부(13)는 복수개의 결합공(1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공(131)을 통해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차단기(T)와 결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를 절곡돌출부(13)와 결합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프레임(1)을 슬라이딩시켜 차단기와 결합된 연결용 커넥터(500)가 모선부스바(100)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돌출부(13)는 복수개의 방열공(133)도 관통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차단기(T)의 열이 방열공(133)을 통해 배출되어 절곡돌출부(13)와 지지구조물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2)는 슬라이딩프레임(1)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슬라이딩부(3)와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슬라이딩부(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가이드단(21), 외측지지단(23), 내측지지단(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가이드단(21)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의 일측 상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돌출된 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곡가이드단(21)은 슬라이딩프레임(1)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으로 절곡되는 공간 내측으로는 삽입홈(21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211)으로는 제2슬라이딩부(3)의 후술할 돌출절곡단(31)이 삽입되어 통과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2슬라이딩부(3)가 제1슬라이딩부(2)에 지지되며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지단(23)은 상기 절곡가이드단(21)의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끝단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전후측 절곡가이드단(21)을 연결하면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211)을 통과한 제2슬라이딩부(3)는 후술할 내측돌출단(33)이 외측지지단(23) 상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단(23) 상에는 일 지점에 함입홈(231)이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돌출단(33)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후술할 돌출돌기(331)가 함입홈(23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함입홈(231)은 외측지지단(23)의 중앙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슬라이딩부(2) 및 제2슬라이딩부(3)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돌출돌기(331)가 함입홈(231)에 삽입·지지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체결이 가능하고 제1슬라이딩부(2) 및 제2슬라이딩부(3)가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측지지단(25)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의 일측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외측지지단(23)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지지단(25)과 외측지지단(23)의 사이로 상기 제2슬라이딩부(3)의 돌출절곡단(31)이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며, 내측지지단(25) 상에는 제2슬라이딩부(3)의 외측돌출단(35)이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상기 제2슬라이딩부(3)는 내측지지단(25) 및 외측지지단(23) 상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통한 차단기(T)의 설치 또는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지지단(25) 상에는 지지홈(251)이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전후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251)에는 제2슬라이딩부(3)의 외측돌출단(35)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35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돌기(331)가 함입홈(231)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돌기(351)도 지지홈(25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슬라이딩부(2,3)의 정해진 위치에서의 고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딩부(3)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인접한 슬라이딩프레임(1)의 제1슬라이딩부(2)와 슬라이딩 체결되는 구성으로, 인접한 슬라이딩프레임(1) 사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슬라이딩부(3)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절곡단(31), 내측돌출단(33), 외측돌출단(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절곡단(31)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의 타측 하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돌출되는 끝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절곡단(31)은 상기 제1슬라이딩부(2)의 삽입홈(211)을 통해 제1슬라이딩부(2) 내에 삽입되며, 돌출절곡단(31) 양측으로 돌출되는 내측돌출단(33) 및 외측돌출단(35)이 제1슬라이딩부(2)의 외측지지단(23) 및 내측지지단(25) 상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상기 내측돌출단(33)은 상기 돌출절곡단(31)의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끝단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돌출절곡단(31)의 일 지점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돌출단(33)은 상기 제1슬라이딩부(2)의 외측지지단(23) 상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331)를 포함하여 외측지지단(23)의 함입홈(231)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돌기(331)는 함입홈(231)과 같이 내측돌출단(33)의 전후 방향 중심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2슬라이딩부(2,3)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함입홈(2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측돌출단(35)은 상기 돌출절곡단(31)의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끝단에서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돌출절곡단(31)을 따라 전후 방향에 걸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돌출단(35)은 상기 제1슬라이딩부(2)의 내측지지단(25) 상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며, 외측돌출단(35) 하측으로는 삽입돌기(351)가 돌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351)는 내측지지단(25)의 지지홈(251)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지홈(251)과 같이 전후 양측에 대칭으로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지지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프레임(1)이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부(2)의 함입홈(231)에는 제2슬라이딩부(3)의 돌출돌기(331)가 삽입되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부(2)의 지지홈(251)에는 제2슬라이딩부(3)의 삽입돌기(351)가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제1,2슬라이딩부(2,3)가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식 분전반 시스템을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립식 분전반 시스템은 차단기(T)를 해체하기 위한 조립식 분전반용 차단기 해체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분전반용 차단기 해체장치는 차단기(T) 상에 지지되어 일정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는 본체부(4)와, 상기 본체부(4) 상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5)와, 상기 본체부(4)의 전측 하부로 돌출되어 차단기(T)의 전원측에 지지되는 돌출지지부(6)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조립식 분전반용 차단기 해체장치는 돌출지지부(6)를 차단기(T)의 전원측, 즉 연결용 커넥터(400)에 의해 모선부스바(100)와 연결되는 차단기(T)의 전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손잡이부(5)를 잡고 해체장치를 당기도록 하여 차단기(T)를 모선부스바(100)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립식 분전반용 차단기 해체장치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활선 상태에서도 손잡이부(5)만을 잡고 차단기(T)를 해체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의 공급을 중단하지 않으면서 감전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차단기(T)의 교체, 해체 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 해체장치에 의해 차단기(T)를 당길 경우 모선부스바(100)에 탈착식으로 결합된 연결용 커넥터(500)가 함께 당겨지며 모선부스바(100)로부터 차단기(T)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4)는 차단기(T) 상부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그 상측으로는 손잡이부(5)가 형성되고, 그 전측의 하부로는 상기 돌출지지부(6)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4)를 차단기(T) 상에 올린 상태에서 돌출지지부(6)가 차단기(T)의 전원측에 지지되도록 하고, 손잡이부(5)에 의해 본체부(4)를 당겨 차단기(T)가 모선부스바(100)로부터 해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4)는 차단기(T) 상에 올려놓았을 때 차단기(T)의 스위치(T2)가 형성되는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그 바닥에서 상측으로 일정 높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41)을 포함하도록 하며, 수용홈(41) 상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43)이 형성되어 다양한 스위치(T2)의 크기에도 간섭없이 본체부(4)를 차단기(T) 상에 올려놓고 차단기(T)를 해체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는 본체부(4) 상측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본체부(4)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5)를 잡은 상태에서 후측 방향으로 당겨 돌출지지부(6)에 걸린 차단기(T)가 모선부스바(100)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6)는 본체부(4)의 전측 바닥에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차단기(T)의 전원단자(T1)측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차단기(T)는 일반적으로 모선부스바(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의 연결을 위해 차단기(T)의 전측에 일정 깊이 함입되는 복수의 전원단자(T1)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돌출지지부(6)는 차단기(T)의 전원단자(T1) 측에 삽입되도록 하여 차단기(T)를 정확하게 당겨 분리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6)는 전원단자(T1) 측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갖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지지부(6)는 전원단자(T1) 측의 깊이에 맞추어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단자(T1) 측의 깊이에 맞추어 길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지지부(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고정부재(61) 및 돌출삽입부재(63)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부재(61)는 본체부(4)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본체부(4) 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고정부재(61)는 하측의 돌출삽입부재(63)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자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삽입부재(63)는 상기 삽입고정부재(61)와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본체부(4)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차단기(T)의 전원단자(T1) 측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돌출삽입부재(63)는 다양한 형상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단자(T1) 측의 깊이, 형상 등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전원단자(T1) 측의 형태에 따라 삽입고정부재(61)에 결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삽입부재(63)는 삽입고정부재(61)와 결합하는 측에 자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고정부재(61)와 자성에 의해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조립식 분전반용 차단기 해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차단기 해체장치는 돌출지지부(6')가 손잡이부(5) 및 본체부(4)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지지부(6')는 차단기(T) 전원단자(T1) 측의 형태에 맞추어 돌출지지부(6') 자체의 형상이 다양하게 제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원단자(T1) 측의 형태에 따라 돌출지지부(6')를 교체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지지부(6')는 본체부(4) 및 손잡이부(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끼움체(65)와, 상기 끼움체(65)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차단기(T) 전측에 지지되는 돌출부재(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체(65)는 본체부(4) 및 손잡이부(5)에 날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으로, 본체부(4)의 전측에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체(65)는 그 하측으로 돌출부재(67)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며, 돌출부재(67)가 차단기(T)의 전원단자(T1) 측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끼움체(65)는 전후 방향으로 끼움공(651)이 관통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끼움공(651)에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본체부(4)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체(65)는 상부에 일정 깊이 함입되는 결합홈(6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653) 상에는 끼움체(65)와 손잡이부(5)를 결합시키는 별도의 결합수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홈(653) 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5)의 후술할 제1결합공(51)을 통과하는 볼트 등의 결합수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67)는 끼움체(65)의 전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차단기(T)의 전원단자(T1) 측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67)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과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기(T)의 전원단자(T1) 형상에 맞추어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체하려는 차단기(T)의 전원단자(T1)에 맞는 돌출부재(67)가 형성된 끼움체(65)를 본체부(4) 및 손잡이부(5)에 결합시켜 차단기(T)의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4)는 끼움체(65) 및 손잡이부(5)와의 탈착을 위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45) 및 삽입홈(47)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끼움홈(45)은 본체부(4)의 전측에 전후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끼움체(65)의 끼움공(65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본체부(4)와 끼움체(65)를 결합시키는 별도의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47)은 본체부(4)의 후측 상부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손잡이부(5)의 후술할 제2결합공(53)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별도의 결합수단 삽입으로 손잡이부(5)와 본체부(4)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5)는 끼움체(65) 및 본체부(4)와의 탈착 가능한 결합을 위해 전후측에 각각 제1,2결합공(51,53)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결합공(51)은 상기 결합홈(653)에 제2결합공(53)은 삽입홈(47)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손잡이부(5)를 끼움체(65) 및 본체부(4)에 결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차단기 바닥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차단기의 폭에 따라 복수개가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하여 차단기를 지지하는 슬라이딩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딩프레임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되면서 지지되는 제2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일측 상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가이드단과;
    상기 절곡가이드단의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끝단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는 외측지지단과;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일측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지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슬라이딩부는 상기 외측지지단 및 내측지지단 상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타측 하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되는 끝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절곡단과;
    상기 돌출절곡단의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끝단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돌출단과;
    상기 돌출절곡단의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끝단에서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는 외측돌출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돌출단 및 외측돌출단은 인접하는 받침지지장치의 외측지지단 및 내측지지단 상에 각각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단은
    상부 일 지점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지지단은 상부 일 지점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지지홈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돌출단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함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돌출단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은
    지지구조물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밀착고정부와, 상기 밀착고정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차단기 바닥과 밀착결합하는 절곡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돌출부는
    차단기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관통형성되는 결합공과, 차단기의 열이 방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방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PCT/KR2022/000291 2022-01-07 2022-01-07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WO202313238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0291 WO2023132388A1 (ko) 2022-01-07 2022-01-07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0291 WO2023132388A1 (ko) 2022-01-07 2022-01-07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388A1 true WO2023132388A1 (ko) 2023-07-13

Family

ID=8707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0291 WO2023132388A1 (ko) 2022-01-07 2022-01-07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3238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087Y1 (ko) * 2005-01-14 2005-04-07 김동 차단기 받침대
JP2012234711A (ja) * 2011-04-30 2012-11-29 Tempearl Ind Co Ltd 回路遮断器の取付構造
KR20140047784A (ko) * 2012-10-14 2014-04-23 김영욱 차단기 받침대
KR20170001323A (ko) * 2015-06-26 2017-01-04 윤여관 차단기용 받침대
KR101795719B1 (ko) * 2015-10-08 2017-11-10 주식회사 피플웍스 확장형 배터리 셀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087Y1 (ko) * 2005-01-14 2005-04-07 김동 차단기 받침대
JP2012234711A (ja) * 2011-04-30 2012-11-29 Tempearl Ind Co Ltd 回路遮断器の取付構造
KR20140047784A (ko) * 2012-10-14 2014-04-23 김영욱 차단기 받침대
KR20170001323A (ko) * 2015-06-26 2017-01-04 윤여관 차단기용 받침대
KR101795719B1 (ko) * 2015-10-08 2017-11-10 주식회사 피플웍스 확장형 배터리 셀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02459A1 (ko) 난연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연결장치
US6603075B1 (en) Vertical bus power connector
US10045456B2 (en) Horizontal uninterrupted power supply design
JPH08280121A (ja) フィールドバス接続モジュール
WO2020262756A1 (ko) 전동킥보드를 위한 이동형 스테이션
CN111971859B (zh) 触摸保护汇流排系统
WO2013058528A1 (ko) 전선 연결장치
CA2154614A1 (en) Mounting device for rj connection elements for communication and data transfer (patch panel)
WO2023132388A1 (ko)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WO2023132389A1 (ko) 조립식 분전반용 차단기 해체장치
WO2016108639A1 (ko) 전원부 직결형 엘이디 조명장치
WO2017069387A1 (ko)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WO2012173393A2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WO2020060061A1 (ko) 전원 공급 장치
WO2020204344A1 (ko) 전원 분배장치
WO2014200277A1 (ko) 부스바 키트
US20130294035A1 (en) Device for Accommodating Mounting Rail Module Cases
WO2021020625A1 (ko) 원포드 지퍼락용 클램프 모듈
WO2020059921A1 (ko) 고정수단
WO2023132390A1 (ko) 조립식 저압반
CN216649880U (zh) 一种软交换通信系统用交换机
WO2021125473A1 (ko) 조명장치
WO2018088792A2 (ko) 배전선 처리용 절연 랙크
KR20230106912A (ko) 조립식 분전반용 받침지지장치
WO2022025731A1 (ko) 파워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189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