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28370A1 - 신체 내에서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신체 내에서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28370A1
WO2023128370A1 PCT/KR2022/019901 KR2022019901W WO2023128370A1 WO 2023128370 A1 WO2023128370 A1 WO 2023128370A1 KR 2022019901 W KR2022019901 W KR 2022019901W WO 2023128370 A1 WO2023128370 A1 WO 202312837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asogastric tube
tube
patient
magnet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9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숙정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오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오산 filed Critical (주)에스엠오산
Publication of WO202312837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2837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sogastric tube whose location in the body can be confirmed using an application and a system that provides instructions for guiding the position of an appropriate nasogastric tube using the nasogastric tube.
  • a nasogastric tube (L-(Levine) tube or Naso-gastric tub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asogastric tube) is intubated and feeding is performed through the tube.
  • the nasogastric tube confirmation procedure by auscultation is not only difficult to distinguish if the accuracy is low or if it is mixed with the patient's bowel or breathing sounds, and a difference in accuracy occurs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medical practitioner. Therefore, in patients who are unconscious or uncooperative, after intubation, a separate X-ray imaging procedure is performed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and then proceed with the diet.
  •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included at the end of the nasogastric tube using an application for measuring the magnetic field on a smart phon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so that general guardians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It aims to develop applications and nasogastric tubes that provide easy-to-understand and usable guidelines.
  • a system for providing a position determination service in the body of a nasogastric tube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stomach through the patient's nose-larynx-esophagus-
  • the nasogastric tube includes a magnet; And when the nasogastric tube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a user terminal for measur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 through a magnetic field sensor and displaying it on an application.
  • the nasogastric tube a tube inserted into the stomach through the esophagus of the patient; an injection unit disposed at one end of the tube and having a stopper opened and closed by a user; and an inle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tube and provided to introduce nutrients into the body of the patient.
  • the inlet portion the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nutrient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flows into the stomach of the patient; and a magne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inlet hole.
  • the inlet unit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membrane separating the inlet hole and the magnet, and the magnet is fixed to a lower end of the inlet hole. (fixed type)
  • nasogastric tube magnet removal type
  • a guide wire connected to the magnet and inserted into the tube may be a detachable type along with the guide wire.
  • the user terminal may measure and display the magnetic field for each preset point where the nasogastric tube is inserted while the application is running.
  • the user can inject nutrition through the nasogastric tube. According to this, the nasogastric tube is pulled out a little or the nasogastric tube is inserted deeper into the body to provide a location determination service so that the magnetic field can be strongly measured in a safe location. If a strong magnetic field is measured in a dangerous area near the airway, the user should stop supplying nutrients through the nasogastric tube, remove the nasogastric tube, visit a hospital, and insert the tube again.
  • Nasogastric tub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atient's nose-pharyngeal-tube inserted into the stomach through the esophagus; an injection unit disposed at one end of the tube and having a stopper opened and closed by a user; and an inle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tube and provided to introduce nutrients into the body of the patient, wherein the inlet is provided so that the nutrients injected through the infusion unit flow into the stomach of the patient. It includes an inlet hole and a magne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let hole.
  • the inlet unit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membrane separating the inlet hole and the magnet, and the magnet is fixed to a lower end of the inlet hole. (fixed type)
  • a nasogastric tube (magnet removal type) further includes a guide wire connected to the magnet and inserted into the tube, and the magnet is detachable together with the guide wire.
  • a user terminal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magnetic field sensor; and a processor that provides a position determination service of the nasogastric tube inside the body using an application, wherein the processor, when the nasogastric tube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application is running, The magnetic field is measured for each predetermined point where the nasogastric tube is inserted through the magnetic field sensor and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 the nasogastric tube a tube inserted into the stomach through the esophagus of the patient; an injection unit disposed at one end of the tube and having a stopper opened and closed by a user; and an inle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tube and provided to introduce nutrients into the body of the patient.
  • the inlet portion the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nutrient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flows into the stomach of the patient; and a magne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inlet hole.
  • the inlet unit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membrane separating the inlet hole and the magnet, and the magnet is fixed to a lower end of the inlet hole.
  • the nasogastric tube further includes a guide wire connected to the magnet and inserted into the tube, and the magnet is detachable together with the guide wire.
  •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nasogastric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method performed by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nasogastric tube, and receives body information of a patient to be inserted into the nasogastric tube. Step; Requesting a magnetic field measurement for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body of the target patient using the terminal; and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nasogastric tube (proper position, need to move, need to remove, etc.)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measur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body of the target patient.
  •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included in the end of the nasogastric tube is measured through the magnetic field senso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and display it on the application, as well a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nasogastric tube. If the location is strange, by providing appropriate guidelines, patients can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even outside the hospital without having to visit the hospital and take an X-ray.
  •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is inserted and placed at the same tim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such as X-ray imaging for position confirmation after inser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golden time for emergency treatment, which has a great effect directly related to life.
  • the nasogastric tube can b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 patients who continuously supply nutrition through a nasogastric tube for a long time (eg, several months or several years) while living at home or in a nursing home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at any time or at any time through the nasogastric tube.
  • the general public without medical knowledge is inform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can be easily grasped, so that the patient or the patient's guardian without medical knowledge can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safe to use.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nasogastric tub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ionary nasogastric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movable nasogastric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gnet provided in a nasogastric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service server provid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nasogastric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asogastric tube insertion position in the body.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body is measured to be located near the sternum, and in detail, the end of the nasogastric tube is inserted into the lungs.
  •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body is measured to be located near the sternum, and in detail, the tip of the nasogastric tube is located in the esophagus.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body is measured to be located near the sternum, and in detail, the end of the nasogastric tube is located in the airway.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body is located near the end of the sternum and the pit of the stomach.
  •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body is located near the stomach.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nasogastric tub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nasogastric tub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nasogastric tub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gnet 132 provided in the nasogastric tub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service server 300 provid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nasogastric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nasogastric tube insertion positions within the body.
  • the system 1 may include a nasogastric tube 10 inserted into a patient's body and a user terminal 200 .
  • the system 1 may include fewer or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5 .
  • the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service server 300 for providing applications to user terminals as shown in FIG. 6 .
  • the system 1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measures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included in the end of the nasogastric tube through the magnetic field sensor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and displays it on the application. Even if patients do not visit a hospital and take an X-ray,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even in a non-hospital location.
  • the system 1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nasogastric tube is used in an emergency situation (eg, gastric lavage, etc.) that requires insertion of a nasogastric tube without consuming time, such as taking X-rays to confirm the position after inser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tube can be checked at the same time as the tube is inserted, it can have the effect of securing the golden time for emergency treatment.
  • an emergency situation eg, gastric lavage, etc.
  • system 1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can eliminate the time required for X-ray imaging or exposure to radiation and additional cost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nasogastric tube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re is.
  • the system 1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onveniently and accurately inserting the nasogastric tube into the patient's body.
  • the system 1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is a method for patients who continuously supply nutrition through a nasogastric tube for a long time while living at home or in a nursing hom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use the nasogastric tube at any time during meal times through the nasogastric tube. It has the effect of confirming the location.
  • system 1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informs the general public without medical knowledge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so that patients or their guardians without medical knowledge can use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nutrients safely through a nasogastric tube.
  • the nasogastric tube 10 is inserted through the patient's nose through the pharynx and esophagus into the stomach, and the nasogastric tube 10 may include a magnet 132 .
  • the nasogastric tube 10 may include a tube 110, an injection part 120 and an inlet part 130.
  • the tube 11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patient's esophagus and into the stomach.
  • Such a tube 110 may pass through the nasal cavity into the esophagus and be placed in the stomach.
  • the tube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 the tube 110 may be made of flexible rubber or polymer or a mixture thereof.
  • the tube 11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not denatured or broken by gastric acid or intestinal fluid,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irritating to the digestive mucosa, including the nose.
  • the injection unit 12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tube 110 and may include a stopper 112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user.
  • the injection unit 120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patient's nasal cavity and may be connected to a pouch (not shown) or a syringe containing substances such as drugs, food, and nutrients.
  • the injection unit 120 includes a stopper 121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user, and the stopper 121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the user.
  • the inlet 13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tube 110 and may be provided to introduce nutrients into the patient's body.
  • the inlet 130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inlet 120 disposed at one end of the tube 110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to introduce drugs, food, and nutrients.
  • the inlet 130 may include an inlet hole 131 and a magnet 132 .
  • the inflow hole 131 may be provided to allow drugs, food, and nutrient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unit 120 to flow into the patient's stomach.
  • the magnet 132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let hole 131 , which is the lowermost part of the inlet 130 .
  • the first magnet 1320 may be fixed to the lowermost end of the inlet 130 of the nasogastric tube 10 .
  • the inlet 13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or 133 to separate the inlet hole 131 and the first magnet 1320 so that food or medicin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magnet.
  • the separator 133 may be made of silicon.
  • the separation membrane 133 may prevent at least one of drugs, food, and nutrients flowing into the patient's stomach through the inlet hole 131 from being contaminated or electrically shocked by the first magnet 1320 .
  • the second magnet 1321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inlet 130.
  • the nasogastric tube 1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wire 134 connected to the second magnet 1321 and inserted into the tube 110 .
  • the second magnet 1321 may be formed to be removed together with the guide wire 134 after the tube is inserted and the normal position is confirmed.
  • the guide wire 134 has a handle 135 at one end, the other end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magnet 1321, and the length of the tube 110 minus the length of the second magnet 1321 will be formed.
  • the guide wire 134 may be positioned up to a portion where the stopper 121 of the injection unit 120 is connected.
  • the second magnet 1321 may be coated or wrapped with a specific material.
  • the first magnet 1320 described in FIG. 2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nasogastric tube 10 and may be larger in size than the second magnet 1321 detachable from the nasogastric tube 10 described in FIG. 3 .
  • the weight of the first magnet 1320 may not be enough to damage the stomach wall.
  • the magnet 132 fixed to or detachable from the nasogastric tube 10 may generate a magnetic field at a level measurable by a magnetic field sensor built in the user terminal 10 .
  • Such magnet 132 may be a magnet having a magnetic field strength of about 500 Gauss or more.
  • the magnet 132 includes a neodymium magnet having a magnetic field strength of 2,500 to 5,000 Gauss, a samarium cobalt magnet having a magnetic field strength of 2,500 to 3,500 Gauss, a ferrite magnet having a magnetic field strength of 1,000 to 1,800 Gauss, and a magnetic field strength of 500 Gauss. It may be at least one of an Alico magnet (cast magnet) having a magnetic field strength of 300 to 800 Gauss and a rubber magnet having a magnetic field strength of 300 to 800 Gauss.
  • the user terminal 200 may measur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through the magnetic field sensor 231 and display the measured magnetic field on the application.
  • Such a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tablet PC, and a personal computer (eg, a desktop computer) including a display unit, an input unit,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computer, laptop computer, etc.), workstation, PDA, web pad, etc.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any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nd driving a program such as an application and having a magnetic field sensor can be applied to the user terminal 200 .
  • the user terminal 200 may connect to a web site through the Internet or download an application to measure and display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10 through the web site or application.
  •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 an input unit 220 , a sensing unit 230 , an output unit 240 , a memory 250 and a processor 260 .
  •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fewer or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5 .
  •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user terminal 2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input unit 220 is for inputting video information (or signals), audio information (or signals), data, o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 the user terminal 200 is placed on the front or rear side. At least one camera (not shown) may be provided.
  • the input unit 220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20, the control unit 26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
  • the input unit 220 is a mechanical input means (or a mechanical key, for example, a button located o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user terminal 200, a dome switch, a jog wheel, a jog switches, etc.) and touch input means.
  • a mechanical input means or a mechanical key, for example, a button located o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user terminal 200, a dome switch, a jog wheel, a jog switches, etc.
  • the touch input means consists of a virtual key, a soft key, or a visual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hrough software processing, or on a part other than the touch screen. It may be made of a touch key that is disposed.
  • the virtual key or visual key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ile having various forms, for example, graphic, text, icon, video, or any of these can be made in combination.
  • the sensing unit 23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user terminal 200,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user terminal 200, and user information.
  • the sensing unit 230 may include a magnetic sensor 231 for measuring a magnetic field.
  • the sensing unit 23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sensor, and a gyroscope sensor. ),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R sensor), fingerprint sensor, ultrasonic sensor, optical sensor, for example, a microphone ( microphone), battery gauge, environmental sensor (eg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radiation detection sensor, heat detection sensor, gas detection sensor, etc.), chemical sensor (eg electronic nose, healthcare sensor) , biometric sensors, etc.).
  • the user terminal 200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 the output unit 24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ouch,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241, an audio output unit 242, a haptic module (not shown), and an optical output unit (not shown).
  • a display unit 241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ouch
  • an audio output unit 242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ouch
  • a haptic module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ouch
  • optical output unit can include
  • the display unit 241 can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user.
  • the memory 250 may store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200 .
  • the memory 25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200 , data for oper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the service server 3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lso,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for basic 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200 (eg, incoming and outgoing calls,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iving and outgoing functions).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50,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0, and driven by the processor 26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general operations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in addition to operations related to application programs.
  • the processor 26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250.
  •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FIG. 5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240 . Furthermore, the processor 260 may combine and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200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 the processor 260 may measure and display the magnetic field of each preset point where the nasogastric tube 10 is inserted while an application providing a position determination service of the nasogastric tube 10 inside the body is running.
  • FIG. 6 a block diagram of a service server 300 provid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nasogastric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 the service server 300 provid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nasogastric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310, a communication unit 330, and a memory 350, and in some embodiments, an input/output unit 370. may also include
  • the processor 310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components within the service server 300 .
  • the communication unit 33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a magnetic field value sensed/measured by the magnetic field sensor 231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s feedback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cessor 310 to the user terminal 200. ) can be transmitted.
  • the memory 350 stores various commands, algorithms, etc. for provid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 the input/output unit 370 allows a manager to input various control signals and data for management of the service server 300, firmware upgrade, and the like, and can also outpu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testing.
  • the service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nasogastric tube location determination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ice server 300 transmits the application and program data capable of executing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user terminal 200
  • the position determination service of the nasogastric tube can be used alone.
  • the user terminal 200 continuously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server 300, and the service server 300 senses the sensor from the user terminal 200. Data may be received and, accordingly, various control signals may be transmitted.
  • the communication unit 330 of the service server 300 receives magnetic field measurement values measur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patient's body through the magnetic field sensor 231 .
  • the processor 310 of the service server 300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asogastric tube within the patient's body based on the received magnetic field measurement value.
  • the processor 310 of the service server 300 generates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the generated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nasogastric tube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30.
  • the processor 310 is a nasogastric tube
  •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feedback information of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or sound out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200 .
  •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nasogastric tube should be removed from the patient's body and reinserte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and the degree (length) to be further inserted may be applied.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asogastric tube insertion position in the body.
  • the processor 260 may provide a tutorial guid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10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through an application, as shown in FIG. 7 .
  • FIG. 7 is a diagram for first explaining the tutorial application and each point in the patient's body, and FIG. 7 does not mean that the insertion of the nasogastric tube 10 has been completed.
  • the processor 260 may provide a tutorial for measuring a magnetic field through the magnetic field sensor 231 while moving the user terminal 200 from the vicinity of the neck to the vicinity of the belly button after the nasogastric tube 10 is inserted into the body.
  • the processor 260 may provide a tutorial for measuring the magnetic field by making the user terminal 200 stay between a plurality of different points shown in FIG. 7 and between them for a preset time.
  • the plurality of different points include a first point 811, a second point 812, and a third point 813 as shown in FIG. 7.
  • the first point 811 is near the sternum and the esophagus.
  • the second point 812 may correspond to the vicinity of the epigastrium, and the third point 813 may correspond to the vicinity of the stomach.
  • Area A may include a region from the sternum to the epigastrium
  • region B may include a lung region
  • region C may include a region near the stomach and duodenum.
  • Positions of the first point 811, the second point 812, and the third point 813 may be equally applied to FIGS. 8 to 12 .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body is measured to be located near the sternum, and in detail, the end of the nasogastric tube is inserted into the lungs.
  • FIG. 8 (A) is a coronal plane, (B) is a sagittal plane, and (C) is a transverse plane of the patient in which the nasogastric tube 10 is inserted. It is a drawing
  • FIG. 8 (C) is a view for showing where the nasogastric tube 10 is inserted in the patient's body airway or esophagus, so for details, refer to (A) and (B) drawings.
  • the processor 260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trongest magnetic field is being measured in region B (lung).
  • the processor 260 may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requesting the user terminal 200 to remove the nasogastric tube 10 from the body.
  • the user measures the magnetic field while moving the terminal 200 from the vicinity of the neck to the vicinity of the navel, and the magnetic field sensor 231 measures the strongest magnetic field in the first area 811 and area A, and As 200 moves downward, the measured magnetic field becomes weaker.
  • the processor 260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You can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body is measured to be located near the sternum, and in detail, the tip of the nasogastric tube is located in the esophagus.
  • (A) is a coronal plane
  • (B) is a sagittal plane
  • (C) is a transverse plane of the patient in which the nasogastric tube 10 is inserted. It is a drawing
  • FIG. 9 (C) is a view for showing where the nasogastric tube 10 is inserted in the patient's body airway and esophagus, so for details, refer to (A) and (B) drawings.
  • the nasogastric tube 10 has been properly inserted into the esophagus and has been inserted up to the vicinity of the sternum.
  • the processor 260 may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for further pushing the nasogastric tube 10 to the user terminal 200 .
  • the processor 260 can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feedback information indicating that it has been properly inserted to the vicinity of the third point 813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agnetic field.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body is measured to be located near the sternum, and in detail, the end of the nasogastric tube is located in the airway.
  • FIG. 10 (A) is a coronal plane, (B) is a sagittal plane, and (C) is a transverse plane of the patient in which the nasogastric tube 10 is inserted. It is a drawing
  • FIG. 10 (C) is a view for showing where the nasogastric tube 10 is inserted between the airway and the esophagus of the patient, for details, refer to drawings (A) and (B).
  • the processor 260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strong magnetic field is being measured near the sternum. are doing
  • the processor 260 may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prompting the user terminal 200 to insert more nasogastric tubes.
  • the processor 260 determines that a strong magnetic field is measured in region B (lung), and as a result of the magnetic field measurement, the nasogastric tube 10 Since the nasogastric tube 10 was inserted incorrectly, feedback information requesting removal of the nasogastric tube 1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
  • the processor 260 provides appropriate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situation, and then makes an accurate determination based on the measured magnetic field.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body is located near the pit of the stomach.
  • the nasogastric tube 10 is inserted up to the second point 812, whereby the processor 260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trongest magnetic field is being measured near the epigastrium.
  • the user measures the magnetic field while moving the terminal 200 from the vicinity of the neck to the vicinity of the navel, and the magnetic field sensor 231 measures the strongest magnetic field near the epigastric region, and a weaker magnetic field in the region outside the epigastric region. This is measured
  • the processor 260 may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requesting insertion of a little more in order to properly insert the nasogastric tube 10 .
  •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body is located near the stomach.
  • the nasogastric tube 10 is inserted up to the third point 813, whereby the processor 260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trongest magnetic field is being measured near the stomach.
  • the user measures the magnetic field while moving the terminal 200 from the vicinity of the neck region to the vicinity of the navel region, and the magnetic field sensor 231 measures the strongest magnetic field near the C region, and the strongest magnetic field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C region. A weak magnetic field is measured.
  • the processor 260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magnetic field measured by the magnetic field sensor 231 as shown in FIGS. 8 to 11, and when providing the feedback information, the measured magnetic field value It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a relative value, and feedback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raph as shown in the figure.
  • the processor 260 may generate a warning sound through the output unit 240 when the magnetic field measured in an area other than area C including camouflage is the largest.
  • the processor may output a warning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42 and output a warning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241 .
  • the user may record how many cm the nasogastric tube exposed out of the nose is fixed before inserting the nasogastric tube 10 into the patient's body. (eg 70 cm).
  • the user can measure the position of the inner end of the nasogastric tube 10 (the position of the magnet 132) using an application and mark it on the body.
  • the user may mark the position just below the left rib, 2 cm above the rib, 2 cm below the rib, 20 cm below the left nipple, or 5 cm below the tip of the pit and 3 cm to the left.
  • the position of the digestive organs such as the stomach, may change depending on the patient's sitting or lying state, so measurements must be made in the same posture.
  • the user may check the position of the tip of the nasogastric tube 10 exposed outside the nose. For example,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position of the tip of the exposed nasogastric tube 10 is 65 cm, which is 5 cm smaller than when it was initially fixed at 70 cm.
  • the position where the magnetic field at the end of the nasogastric tube is detected is 5 cm away from the ref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nasogastric tube is detected.
  • the user can push the end of the nasogastric tube 10 as much as the difference, and measur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132 using the magnetic field sensor 231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 the user terminal 200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to be the largest in the region where the patient's stomach is located, and display it on the application.
  • the user can inject air into the nasogastric tube 10 using a syring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magnetic field strength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check whether the patient coughs or hears a growling sound from the stomach. there is.
  • the nasogastric tube is properly inserted into the stomach, so the user can inject food through the nasogastric tube.
  •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nasogastric tube 10 exposed outside the nose is 35 cm, which is 35 cm shorter than when it was initially fixed at 70 cm.
  • the user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magnet 132 of the nasogastric tube inserted into the body of the pati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 the user terminal 200 may measure the largest magnetic field near the epigastrium and display it on the application.
  •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a message to insert the nasogastric tube 10 a little more when the magnetic field is the largest in the epigastric region.
  • the user can inject air into the nasogastric tube 10 using a syring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magnetic field strength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check whether the patient coughs or hears a growling sound from the stomach. there is.
  • the user may visit the hospital without injecting food and removing or maintaining the nasogastric tube 10 .
  •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the processor 260 of the user terminal 200 or by the processor 310 of the service server 300 .
  • this expression will be expressed as being performed by the processor 260 or 310.
  • the processor 260 or 310 may request input of patient's body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 the body information means height (cm), and in detail, the processor 260 or 310 may request to measure and input the length from the patient's neck to the navel.
  • the processor 260 or 310 may calculate the length of the nasogastric tube 10 to be inserted into the target patient based on the body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 the processor 260 or 310 may provi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length to which the nasogastric tube 10 should be inserted or the insertion leaving the exposed nasogastric tube 10 to some extent.
  • the method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nasogastric tube includes receiving body information of a target patient into whom the nasogastric tube is to be inserted, and inserting the nasogastric tube into the body of the target patient based on the received body information. Calculating the length of the nasogastric tube that should be performed, providing the calculated length of the nasogastric tube to a terminal, and instructing the insertion of the nasogastric tube, using the terminal to generate magnetic fields for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body of the target patient. Requesting a measurement, and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nasogastric tube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measur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body of the target patient.
  •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service server 300 may be applied as the device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nasogastric tube.
  • nasogastric tube 110 tube
  • processor 330 communication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식도를 통해 위로 삽입되는 비위관-상기 비위관은, 자석을 포함함- 및 상기 비위관이 상기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자기장 센서를 통해 상기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체 내에서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신체 내에서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비위관과 이를 이용하여 적절한 비위관의 위치를 안내하는 지침을 제공하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 손상, 흡인성 폐렴을 비롯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입으로 식이가 힘든 연하곤란 환자들에게 위장내로의 안전한 영양공급은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 문제이다.
이러한 연하곤란 환자들에게 원활한 영양 공급을 위해 비-위 관(L-(Levine)tube 또는 Naso-gastric tube, 이하, 비위관이라고 명칭함)이 삽관되고 해당 관을 통해 영영공급을 시행한다.
그러나, 비위관 삽입시 기도로 잘못 삽입되거나 위 내에 거치되지 않고 식도에 거치된 상태에서 유동식이 공급되는 경우 유동식의 기도 흡입으로 흡인성 폐렴을 포함한 합병증이 유발되거나 심하게는 폐혈증으로 진행되어 사망에 이르는 증례도 적지 않게 발생한다.
또한, 중주신경계 손상에 의한 기침반사(삼킴반사)가 소실되거나 삼킴근육의 감각 신경 저하되어 구강, 식도, 내의 음식물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 정신 지체 등의 원인으로 인지기능 저하가 있어 표현 장애가 있는 환자에서는 비-위관이 기도내로 혹은 잘못된 장소에 거치되더라도 환자의 시진視診 만으로 확인하기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 내에서는 의료인이 청진기 등을 활용한 위내 청진소견으로 간접적으로 비위관 위치를 파악하거나 흉부(또는 복부) X-선 촬영을 통해 직접적으로 비위 관의 위치를 확인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청진으로 비위관 확인 절차는 정확도가 낮거나 환자의 장음, 호흡음 등과 섞이면 구분이 힘들뿐 아니라 의료인의 숙련도에 따라 정확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그래서 의식이 없거나, 협조되지 않는 환자들에서는 삽관 후 별도의 X-선 촬영 절차를 진행하여 비위관 위치 확인 후에 식이를 진행한다. 이런 과정들은 환자와 의료진에 시간적, 경제적 부담이외에도 방사선 노출에 대한 위험성이 상존한다.
또한, 의식 없거나 섬망 등으로 협조가 되지 않는 환자에서 지속적으로 경직(spasticity)이 발생하거나, 경련(seizure)을 일으키거나, 구역 반사 (gag reflex) 등을 일으키거나 콧줄을 제거하려고 하거나, 몸을 움직이는 동요 (agitation) 상태의 환자는 정상적으로 삽입했던 비위관도 위치가 바뀌어 입안에서 비-위관이 꼬이거나, 위에서 식도 쪽으로 올라오는 등의 비위관 위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약물 중독사고 등에 의한 위세척 목적의 비-위관 삽입 시 응급처치 특성상 X-선 촬영 등을 위한 시간적 여유가 없어 현장(침상 혹은 구급차, 응급 구조상황)에서의 실시간으로 비-위관 삽관 성공여부에 대한 평가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다양한 원인으로 (뇌졸중 급성기 치료가 끝났지만 구강 식이가 불가능한 환자, 척수 손상환자, 두경부 수술 환자, 뇌성마비, 정신지체 등) 외래 기반으로 자가에서 비위관을 통해 식이를 공급받는 환자의 경우 비위관의 거치 정확성을 일반인 수준의 보호자가 확인하기 어려워 기도흡인 위험에 상시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환자들이 병원에 입원한 상태가 아닌 경우 X-선 촬영을 안하고도 환자나 보호자가 직접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비위관 위치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기 위한 대안이 절실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폰에 자기장을 측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끝에 포함되는 자석의 자기장을 측정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판단하여 일반 보호자들이 비위관의 위치를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비위관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신체 내부에서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환자의 코-인후두-식도를 통해 위로 삽입되는 비위관-상기 비위관은, 자석을 포함함-; 및 상기 비위관이 상기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자기장 센서를 통해 상기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위관은, 상기 환자의 식도를 통해 위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단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는 마개를 구비하는 주입부; 및 상기 튜브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신체 내부에 영양분을 유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주입부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영양분이 상기 환자의 상기 위로 유입되는 유입홀; 및 상기 유입홀 하단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자석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유입홀 하단에 고정된 상태인 것이다. (고정형)
또한, 다른 예의 상기 비위관으로 (자석 제거형), 상기 자석과 연결되어 상기 튜브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탈부착 가능한 종류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비위관이 삽입되는 기 설정된 지점 별 상기 자기장을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자기장이 비위관을 통한 영양 주입이 안전한 위치에서 가장 강하게 작용하면 사용자는 비위관을 통해 영양 주입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비위관의 위치가 적절하지 않은 곳에서 자기장의 크기가 강하게 측정되면 가이드 라인에 따라 비위관을 조금 빼거나, 비위관을 체내로 더 깊숙히 집어넣어 자기장이 안전한 위치에서 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한다. 만약 기도 근처의 위험한 부위에서 자기장이 강하게 측정되면 사용자는 비위관을 통한 영양 공급을 중단하고, 비위관을 제거한 뒤 병원을 방문하여 다시 비위관을 꼽아야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은, 환자의 코-인후두-식도를 통해 위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단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는 마개를 구비하는 주입부; 및 상기 튜브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신체 내부에 영양분을 유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주입부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영양분이 상기 환자의 상기 위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 하단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자석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유입홀 하단에 고정된 상태인 것이다. (고정형)
또한, 다른 예의 비위관 (자석 제거형)은 상기 자석과 연결되어 상기 튜브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탈부착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자기장 센서; 및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신체 내부에서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위관이 상기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자기장 센서를 통해 상기 비위관이 삽입되는 기 설정된 지점 별 상기 자기장을 측정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비위관은, 상기 환자의 식도를 통해 위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단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는 마개를 구비하는 주입부; 및 상기 튜브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신체 내부에 영양분을 유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유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주입부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영양분이 상기 환자의 상기 위로 유입되는 유입홀; 및 상기 유입홀 하단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자석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유입홀 하단에 고정된 상태인 것이다.
또한, 상기 비위관은, 상기 자석과 연결되어 상기 튜브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탈부착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방법은, 비위관의 위치 판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상기 비위관을 삽입할 대상 환자의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환자의 신체 복수의 지점에 대한 자기장 측정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환자의 신체 복수의 지점에 대하여 측정된 자기장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비위관의 삽입 정도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적절한 위치, 위치 이동 필요, 제거 필요 등)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자기장 센서를 통해 비위관의 끝에 포함되는 자석의 자기장을 측정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판단하여 애플리케이션에 표시할 뿐만 아니라, 비위관의 위치가 이상한 경우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환자들이 병원에 방문하여 X-ray 촬영을 하지 않아도, 병원이 아닌 곳에서도 환자의 신체 삽입된 비위관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위관 삽입이 필요한 응급상황(예 위세척 등)에서 삽입 후 위치 확인을 위한 X-ray 촬영 등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비위관 삽입과 동시에 거치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응급처치의 골든타임 확보가 가능하여 생명과 직결되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위관이 올바른 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X-ray 촬영에 의한 시간 소요 또는 방사선 노출 그리고 추가적인 비용을 배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위관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집이나 요양원에 거주하면서 오랜 시간(예: 수개월 또는 수년) 비위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영양공급을 하는 환자들이 비위관을 통한 식이 시간이나 언제든 비위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비위관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알려줌으로써, 의료지식이 없는 환자 혹은 환자의 보호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파악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위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형 비위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거형 비위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위관에 구비되는 자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신체 내 비위관 삽입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신체 내 삽입된 비위관이 복장뼈 부근에 위치한 것으로 측정되며, 상세하게는 비위관의 끝이 폐까지 삽입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신체 내 삽입된 비위관이 복장뼈 부근에 위치한 것으로 측정되며, 상세하게는 비위관의 끝이 식도 내에 위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신체 내 삽입된 비위관이 복장뼈 부근에 위치한 것으로 측정되며, 상세하게는 비위관의 끝이 기도 내에 위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신체 내 삽입된 비위관이 복장뼈 끝, 명치 부근에 위치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신체 내 삽입된 비위관이 위장 부근에 위치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위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위관(10)에 구비되는 자석(132)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00)의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신체 내 비위관 삽입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신체 내부에서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시스템(1)은 환자의 신체에 삽입되는 비위관(1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1)은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1)은 도 6과 같이 사용자 단말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자기장 센서를 통해 비위관의 끝에 포함되는 자석의 자기장을 측정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판단하여 애플리케이션에 표시함으로써 환자들이 병원에 방문하여 X-ray 촬영을 하지 않아도 병원이 아닌 곳에서도 환자의 신체 삽입된 비위관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시스템(1)은 비위관 삽입이 필요한 응급상황(예: 위세척 등)에서 삽입 후 위치 확인을 위한 X-ray 촬영 등 시간의 소요없이 비위관 삽입과 동시에 거치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응급처치 골든타임 확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시스템(1)은 비위관이 올바른 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X-ray 촬영에 의한 시간 소요 또는 방사선 노출 그리고 추가적인 비용을 배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시스템(1)은 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위관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시스템(1)은 집이나 요양원에 거주하면서 오랜 시간 비위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영양공급을 하는 환자들이 비위관을 통한 식이 시간이나 언제든 비위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시스템(1)은 의료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비위관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알려줌으로써, 의료지식이 없는 환자 혹은 환자의 보호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비위관을통해 안전하게 영양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위관(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비위관(10)은 환자의 코를 통해 인후두, 식도를 통해 위로 삽입되는 것으로, 비위관(10)은 자석(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위관(10)은 튜브(110), 주입부(120) 및 유입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튜브(110)는 환자의 식도를 통해 위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110)는 비강을 통과하여 식도로 들어가서 위장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110)는 환자의 신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튜브(110)는 유연한 고무 또는 고분자 또는 그들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110)는 위산이나 장액에 의해 변성이 발생하거나 부러지지 않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접촉하는 코를 포함한 소화기 점막에 자극적이지 않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입부(120)는 튜브(110)의 일단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는 마개(1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입부(120)는 환자의 비강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으며, 약물, 음식물, 영양분 등과 같은 물질이 담겨 있는 저장통(미도시) 파우치 혹은 주사기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주입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는 마개(121)를 포함하며, 마개(121)는 사용자가 쉽게 개폐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유입부(130)는 튜브(110)의 타단에 배치되고, 환자의 신체 내부에 영양분을 유입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유입부(130)는 튜브(110)의 일단에 배치되는 주입부(120)와는 반대쪽에 배치되고, 환자의 신체에 삽입되어 약물, 음식물 및 영양분 등을 유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부(130)는 유입홀(131) 및 자석(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입홀(131)은 주입부(120)를 통해 주입되는 약물, 음식물 및 영양분 등이 환자의 위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석(132)는 유입부(130)의 최하단인 유입홀(131)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를 기반으로 비위관(10)에 자석이 고정되거나 탈부착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일예로, 도 2를 참조하면, 비위관(10)은 유입부(130)의 최하단에 제1 자석(1320)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부(130)는 유입홀(131)과 제1 자석(1320) 사이를 분리하여 음식물이나 약물이 자석과 접촉하지 않도록 분리막(13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막(133)은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막(133)은 유입홀(131)을 통해 환자의 위로 유입되는 약물, 음식물 및 영양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자석(1320)에 의해 오염 또는 감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을 보면, 비위관(10)은 유입부(130)의 최하단에 제2 자석(1321)이 위치될 수 있다.
비위관(10)은 제2 자석(1321)과 연결되어 튜브(110)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석(1321)은 튜브 삽입 후, 정상 위치 확인 후 가이드 와이어(134)와 함께 제거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134)는 일단에 손잡이(135)가 구비되고, 타단이 제2 자석(1321)과 연결될 수 있으며, 튜브(110)의 길이에 제2 자석(1321)의 길이를 뺀 길이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와이어(134)는 주입부(120)의 마개(121)가 연결되는 부분까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자석(1321)은 특정 재질로 코팅되거나, 감싸질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제1 자석(1320)은 비위관(1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 3에서 설명한 비위관(10)에서 탈부착 가능한 제2 자석(1321)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석(1320)의 무게는 위벽에 손상을 줄 정도를 아닌 무게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자석(132)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비위관(10)에 고정되거나 탈부착되는 자석(132)은 사용자 단말(10)에 내장된 자기장 센서가 측정 가능한 수준의 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석(132)은 약 500Gauss 이상의 자기장 세기를 가지는 자석일 수 있다.
자석(132)은 자기장의 세기가 2,500 내지 5,000 Gauss을 가지는 네오디뮴 자석, 자기장의 세기가 2,500 내지 3,500 Gauss을 가지는 사마륨 코발트 자석, 자기장의 세기가 1,000 내지 1,800 Gauss을 가지는 페라이트 자석, 자기장의 세기가 500 내지 800 Gauss을 가지는 알리코 자석(주조자석), 자기장의 세기가 300 내지 800 Gauss을 가지는 고무 자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비위관(10)이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자기장 센서(231)를 통해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디스플레이 수단, 입력 수단, 통신기능 등이 포함되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의 설치, 구동이 가능하고, 자기장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장치라면 무엇이든 사용자 단말(200)로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넷을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비위관(10)의 위치를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입력부(220), 센싱부(230), 출력부(240), 메모리(250) 및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는 전면 또는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부(22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20)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230)는 사용자 단말기(200) 내 정보, 사용자 단말기(2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230)는 자기장 측정을 위한 자기장 센서(231, magnetic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3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용자 단말(200)은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41), 음향 출력부(242), 햅틱 모듈(미도시), 광 출력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41)는 터치 센서 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단말(2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2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사용자 단말(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외부 단말(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2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50)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20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260)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외부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5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26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비위관(10)의 신체 내부에서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에서, 비위관(10)이 삽입되는 기 설정된 지점 별 자기장을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00)는 프로세서(310), 통신부(330), 메모리(350)를 포함하며, 몇몇 실시예에서 입출력부(3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서비스 서버(300) 내 구성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통신부(330)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자기장 센서(231)에서 센싱/측정된 자기장 값을 수신하고,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비위관의 위치 판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명령어, 알고리즘 등이 저장되어 있다.
입출력부(370)는 관리자가 서비스 서버(300)의 관리,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위해 각종 제어신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테스트를 위한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위관의 위치 판단 서버(300)로 실시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가 단말(200)을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게 되면, 비위관의 위치 판단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이후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없이도 사용자 단말(200) 단독으로 비위관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이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하고, 서비스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각종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300)의 통신부(330)는 환자의 신체 복수의 지점에 대하여 자기장 센서(231)를 통해 측정된 자기장 측정값을 수신한다.
서비스 서버(300)의 프로세서(310)는 수신된 자기장 측정값을 기반으로, 환자의 신체 내 비위관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서비스 서버(300)의 프로세서(310)는 생성된 비위관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33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프로세서(310)는 비위관의 위치 정보와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정보는 비위관을 환자의 신체로부터 제거한 후 다시 삽입하라는 정보, 현재 비위관의 위치와 더 삽입되어야 하는 정도(길이)를 알려주는 정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신체 내 비위관 삽입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도 7과 같이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된 비위관(10)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튜토리얼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튜토리얼 애플리케이션과 환자의 신체 내 각 지점을 먼저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로 비위관(10)의 삽입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260)는 비위관(10)을 신체 내에 삽입한 후 사용자 단말(200)을 목 부위 근처에서 배꼽 부위 근처로 이동시키면서 자기장 센서(231)를 통해 자기장을 측정하라는 튜토리얼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이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200)을 도 7에 도시된 복수의 서로 다른 지점과 그 사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머무르도록 하여 자기장을 측정하라는 튜토리얼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서로 다른 지점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지점(811), 제2 지점(812) 및 제3 지점(813)을 포함한다.제1 지점(811)은 복장뼈, 식도 부근이고, 제2 지점(812)은 명치 부근, 제3 지점(813)은 위 부근이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A 영역은 복장뼈로부터 명치까지의 영역, B 영역은 폐 영역, C 영역은 위, 십이지장 근처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지점(811), 제2 지점(812), 제3 지점(813)의 위치는 도 8 내지 도 1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신체 내 삽입된 비위관이 복장뼈 부근에 위치한 것으로 측정되며, 상세하게는 비위관의 끝이 폐까지 삽입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A)는 비위관(10)이 삽입된 환자의 신체 관상면(Coronal Plane), (B)는 신체 시상면(Sagittal Plane), (C)는 횡단면(Transverse Plane)을 각각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8 (C)의 횡단면 도면은 비위관(10)이 환자의 신체 기도, 식도 중 어디에 삽입되어 있는지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므로, 상세한 사항은 (A), (B)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비위관(10)이 식도가 아닌 기도로 잘못 삽입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프로세서(260)는 B 영역(폐)에서 가장 강한 자기장이 측정되고 있다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60)는 사용자 단말(200)로 비위관(10)을 신체로부터 제거하라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단말(200)을 목 부위 근처에서 배꼽 부위 근처로 이동시키며 자기장을 측정하게 되며, 자기장 센서(231)는 제1 영역(811), A 영역에서 가장 강한 자기장을 측정하고 단말(200)이 아래로 이동될수록 측정되는 자기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비위관(10)이 잘못 삽입된 경우뿐 아니라 비위관(10)이 덜 삽입된 상태에서도 제1 지점(811) 근처에서 가장 강한 자기장이 측정되기 때문에, 프로세서(260)는 도 8와 같은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신체 내 삽입된 비위관이 복장뼈 부근에 위치한 것으로 측정되며, 상세하게는 비위관의 끝이 식도 내에 위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 (A)는 비위관(10)이 삽입된 환자의 신체 관상면(Coronal Plane), (B)는 신체 시상면(Sagittal Plane), (C)는 횡단면(Transverse Plane)을 각각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9 (C)의 횡단면 도면은 비위관(10)이 환자의 신체 기도, 식도 중 어디에 삽입되어 있는지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므로, 상세한 사항은 (A), (B)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비위관(10)이 식도로 제대로 삽입되었으며 현재 복장뼈 부근까지 삽입된 것으로 측정되고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60)는 사용자 단말(200)로 비위관(10)을 더 밀어넣으라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그대로 비위관(10)을 더 밀어넣게 되면 위장까지 삽입되어 프로세서(260)는 자기장 측정 결과 제3 지점(813) 근처까지 올바르게 삽입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신체 내 삽입된 비위관이 복장뼈 부근에 위치한 것으로 측정되며, 상세하게는 비위관의 끝이 기도 내에 위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 (A)는 비위관(10)이 삽입된 환자의 신체 관상면(Coronal Plane), (B)는 신체 시상면(Sagittal Plane), (C)는 횡단면(Transverse Plane)을 각각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0 (C)의 횡단면 도면은 비위관(10)이 환자의 신체 기도, 식도 중 어디에 삽입되어 있는지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므로, 상세한 사항은 (A), (B)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위관(10)이 식도가 아닌 기도로 잘못 삽입되었으며, 아직 폐의 좌/우로 분지하기 전으로 프로세서(260)는 복장뼈 부근에서 강한 자기장이 측정되고 있다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단계에서 비위관(10)이 식도와 기도 중 어디에 삽입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프로세서(260)는 사용자 단말(200)로 비위관을 좀 더 삽입해보라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그대로 비위관(10)을 더 밀어넣게 되면 비위관(10)이 폐로 삽입되며, 프로세서(260)는 B 영역(폐)에서 강한 자기장이 측정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자기장 측정 결과 비위관(10)이 잘못 삽입되었기 때문에 비위관(10)을 제거하라는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60)는 각각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그 후 측정된 자기장에 따라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신체 내 삽입된 비위관이 명치 부근에 위치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비위관(10)이 제2 지점(812)까지 삽입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프로세서(260)는 명치 근처에서 가장 강한 자기장이 측정되고 있다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단말(200)을 목 부위 근처에서 배꼽 부위 근처로 이동시키며 자기장을 측정하게 되며, 자기장 센서(231)는 명치 근처에서 가장 강한 자기장을 측정하고, 명치 외 영역에서는 이보다 약한 자기장이 측정된다.
그리고, 프로세서(260)는 비위관(10)의 올바른 삽입을 위해서 조금 더 삽입하도록 요청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신체 내 삽입된 비위관이 위장 부근에 위치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비위관(10)이 제3 지점(813)까지 삽입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프로세서(260)는 위 근처에서 가장 강한 자기장이 측정되고 있다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단말(200)을 목 부위 근처에서 배꼽 부위 근처로 이동시키며 자기장을 측정하게 되며, 자기장 센서(231)는 C 영역 근처에서 가장 강한 자기장을 측정하고, C 영역 외의 영역에서는 이보다 약한 자기장이 측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자기장 센서(231)를 통해 측정된 자기장의 값에 따라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떄 측정된 자기장 값을 상대적인 값으로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래프의 형태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260)는 위장을 포함하는 C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서 측정된 자기장이 가장 큰 경우, 출력부(240)를 통해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음향 출력부(242)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241)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으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신체 내부에서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비위관(10)을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전에 코밖으로 노출된 비위관이 몇 cm에 고정이 되어 있는지 기록해 놓을 수 있다. (예컨대, 70cm).
또한, 사용자는 비위관(10)이 환자의 신체 내부에 정상적으로 위치했을 때 비위관(10) 안쪽 끝의 위치(자석(132)의 위치)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측정하여 몸에 표시해 놓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왼쪽 갈비뼈 바로 밑, 갈비뼈 2cm 위, 갈비뼈 2cm 아래, 왼쪽 젖꼭지 20cm밑, 혹은 명치끝 아래5cm 왼쪽으로 3cm 위치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비위관(10) 삽입시 환자가 앉은 상태, 누워 있는 상태에 따라 위 등 소화기관의 위치가 바뀌어 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같은 자세에서 측정해야 한다.
사용자는 코 밖으로 노출된 비위관(10) 끝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노출된 비위관(10)의 끝의 위치가 65cm로 처음 70cm 고정때보다 5cm 줄어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비위관(10)을 처음 삽입했을 때 비위관 끝이 감지된 ref 위치에서, 비위관 끝의 자기장이 감지되는 위치가 5cm 떨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비위관(10)의 끝을 차이나는 만큼 밀어 넣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자기장 센서(231)를 이용하여 자석(13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자기장의 크기가 환자의 위가 위치된 부분에서 가장 큰 것으로 측정하여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된 자기장 세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실린지를 이용하여 비위관(10)에 공기를 주입하여 환자가 기침을 하는지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들리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들리는 경우, 비위관이 위에 제대로 잘 들어간 것이므로 사용자는 비위관을 통해 식이를 주입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는 코 밖으로 노출된 비위관(10) 끝의 위치가 35cm로 처음 70cm 고정때보다 35cm 줄어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된 비위관의 자석(132)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명치 근처에서 자기장이 가장 큰 것으로 측정하여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명치 부분에서 자기장이 가장 큰 경우, 비위관(10)을 조금 더 삽입하라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된 자기장 세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실린지를 이용하여 비위관(10)에 공기를 주입하여 환자가 기침을 하는지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들리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기침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식이를 주입하지 않고, 비위관(10)을 제거 또는 유지 상태로 병원에 방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추가적으로 가능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해당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260)가 수행할 수도 있고, 서비스 서버(300)의 프로세서(31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표현에 대하여 프로세서(260 or 310)가 수행하는 것으로 표기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260 or 31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환자의 신체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신체정보는 신장(cm)를 의미하며 상세하게는, 프로세서(260 or 310)는 환자의 목으로부터 배꼽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60 or 31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환자에게 삽입되어야 하는 비위관(10)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60 or 310)는 산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비위관(10)을 삽입해야 되는 길이, 혹은 삽입하고 노출된 비위관(10)을 어느 정도 남기고 삽입하라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비위관의 위치 판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비위관을 삽입할 대상 환자의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어야 하는 비위관의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비위관의 길이를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비위관의 삽입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환자의 신체 복수의 지점에 대한 자기장 측정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환자의 신체 복수의 지점에 대하여 측정된 자기장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비위관의 삽입 정도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비위관의 위치 판단 장치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비스 서버(300)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부호의 설명]
10: 비위관 110: 튜브
120: 주입부 121: 마개
130: 유입부 131: 유입홀
132: 자석 1320: 제1 자석
1321: 제2 자석 134: 가이드 와이어
135: 손잡이 133: 분리막
20: 기도 30: 식도
200: 사용자 단말 210: 통신부
220: 입력부 230: 센싱부
240: 출력부 250: 메모리
260: 프로세서 300: 서비스 서버
310: 프로세서 330: 통신부
350: 메모리 370: 입출력부

Claims (15)

  1. 환자의 식도를 통해 위로 삽입되는 비위관-상기 비위관은, 자석을 포함함-; 및
    상기 비위관이 상기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자기장 센서를 통해 상기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신체 내부에서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위관은,
    상기 환자의 식도를 통해 위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단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는 마개를 구비하는 주입부; 및
    상기 튜브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신체 내부에 영양분을 유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유입부;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신체 내부에서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주입부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영양분이 상기 환자의 상기 위로 유입되는 유입홀; 및
    상기 유입홀 하단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신체 내부에서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자석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유입홀 하단에 고정된 상태인 것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신체 내부에서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위관은,
    상기 자석과 연결되어 상기 튜브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탈부착 가능한 것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신체 내부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비위관이 삽입되는 기 설정된 지점 별 상기 자기장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신체 내부에서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7. 환자의 식도를 통해 위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단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는 마개를 구비하는 주입부; 및
    상기 튜브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신체 내부에 영양분을 유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주입부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영양분이 상기 환자의 상기 위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 하단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비위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자석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유입홀 하단에 고정된 상태인 것인, 비위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과 연결되어 상기 튜브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탈부착 가능한 것인, 비위관.
  10. 자기장 센서; 및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위관의 신체 내부에서의 위치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위관이 상기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자기장 센서를 통해 상기 비위관이 삽입되는 기 설정된 지점 별 상기 자기장을 측정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위관은,
    상기 환자의 식도를 통해 위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단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는 마개를 구비하는 주입부; 및
    상기 튜브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신체 내부에 영양분을 유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유입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주입부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영양분이 상기 환자의 상기 위로 유입되는 유입홀; 및
    상기 유입홀 하단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자석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유입홀 하단에 고정된 상태인 것인, 사용자 단말.
  14. 비위관의 위치 판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상기 비위관을 삽입할 대상 환자의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환자의 신체 복수의 지점에 대한 자기장 측정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환자의 신체 복수의 지점에 대하여 측정된 자기장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비위관의 삽입 정도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위관의 위치 판단 방법.
  15.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4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CT/KR2022/019901 2021-12-28 2022-12-08 신체 내에서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312837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055A KR102512976B1 (ko) 2021-12-28 2021-12-28 신체 내에서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1-0190055 2021-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370A1 true WO2023128370A1 (ko) 2023-07-06

Family

ID=8580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9901 WO2023128370A1 (ko) 2021-12-28 2022-12-08 신체 내에서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2976B1 (ko)
WO (1) WO202312837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633A (ko) * 1996-06-17 2000-03-25 로버트 골든. 환자 몸 내부의 삽입 및 검출용 의료용 튜브
JP2010000202A (ja) * 2008-06-19 2010-01-07 Yoshihiro Ishikawa 医療用チューブ又は薬剤の誘導システム
JP2013085642A (ja) * 2011-10-17 2013-05-13 Tokyo Denki Univ 医療用チューブの先端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当該システムに適用する医療用チューブ
KR20160020006A (ko) * 2014-08-12 2016-02-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자극을 통하여 튜브의 삽입 위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관내 삽관튜브 및 기관내 삽관시스템
KR20180079952A (ko) * 2017-01-03 2018-07-11 이세효 유도철심을 사용하여 이물감을 감소시킨 위장용 영양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850B1 (ko) 2019-11-04 2021-10-07 정재민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633A (ko) * 1996-06-17 2000-03-25 로버트 골든. 환자 몸 내부의 삽입 및 검출용 의료용 튜브
JP2010000202A (ja) * 2008-06-19 2010-01-07 Yoshihiro Ishikawa 医療用チューブ又は薬剤の誘導システム
JP2013085642A (ja) * 2011-10-17 2013-05-13 Tokyo Denki Univ 医療用チューブの先端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当該システムに適用する医療用チューブ
KR20160020006A (ko) * 2014-08-12 2016-02-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자극을 통하여 튜브의 삽입 위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관내 삽관튜브 및 기관내 삽관시스템
KR20180079952A (ko) * 2017-01-03 2018-07-11 이세효 유도철심을 사용하여 이물감을 감소시킨 위장용 영양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976B1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4228A (en) Electrode endotracheal tube
US97006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ubation
WO2012043911A1 (ko) 적정공기환기를 위한 bvm
WO2012033244A1 (ko) 자가진찰방법 및 자가진찰장치
Lim et al. Awake supraglottic airway guided flexible bronchoscopic intubation in patients with anticipated difficult airways: a case series and narrative review
WO2016024829A1 (ko) 보행 교정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76462A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128370A1 (ko) 신체 내에서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Siamdoust et al. Comparison of the success rate of intubation between the LMA fastrach and AirQ-ILA methods in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surgery during general anaesthesia
WO2019172563A1 (ko) Vr 또는 ar을 기반으로 하는 병원에서의 진료 체험 제공 시스템
WO2022173103A1 (ko)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010795A1 (ko) 에피 체크 포인트
WO2017126831A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10121155A1 (en) Tube position monitoring system
Weiss et al. Video-intuboscopic assistance is a useful aid to tracheal intubation in pediatric patients
WO2023106692A1 (ko) 약물 순응도 관리 시스템
WO2023282451A1 (ko) 내면 집중력 훈련 방법 및 장치
WO2012015093A1 (ko) 원격진료방법 및 전자기기
Wu et al. Role of Trachway versus conventional modes of intubation in difficult airway management in COVID-19 setups
WO2013142915A1 (en) Endotracheal tube introducer
WO2022163882A1 (ko)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WO2023167415A1 (ko) 인공지능 기반의 중환자를 위한 맞춤형 영양지원 방법 및 장치
WO2023120873A1 (ko)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19225769A1 (ko) 설골상근 운동 시스템
EP37326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healthcare ad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165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