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850B1 -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 Google Patents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850B1
KR102309850B1 KR1020190139277A KR20190139277A KR102309850B1 KR 102309850 B1 KR102309850 B1 KR 102309850B1 KR 1020190139277 A KR1020190139277 A KR 1020190139277A KR 20190139277 A KR20190139277 A KR 20190139277A KR 102309850 B1 KR102309850 B1 KR 10230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tube
patient
nasogastric tub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546A (ko
Inventor
정재민
Original Assignee
정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민 filed Critical 정재민
Priority to KR102019013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8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53Means for fixing the tube outside of the body, e.g. by a special shape, by fixing it to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비위관에 의하여 통증이 유발되는 등과 같은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을 제시한다. 그 비위관은 환자의 비강을 통과하여 식도로 들어가서 위장에 위치하도록 환자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관과, 내부관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환자의 코 영역 및 비강 영역에 위치하며 통기성을 가진 연결부 및 연결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외부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Levin tube having detachable function}
본 발명은 비위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환자가 움직임이 방해받지 않는 등과 같이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탈부착 기능이 있는 비위관에 관한 것이다.
비위관(Levin Tube)은 의료행위를 시행하기 위한 의료용 튜브의 일종이다. 비위관을 이용한 의료행위는 위장 내부의 가스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감압을 하거나, 약물을 투여하고 위장으로 직접 음식물이나 영양성분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의료행위는 수술 또는 외상 후에 위의 압력을 감소시켜 오심과 구토를 방지하거나 억제한다. 상기 의료행위는 위장의 폐쇄나 출혈부위를 치료하고, 위장 검사를 위한 검체를 확보하며, 위장의 심한 출혈이나 독성을 세척하거나, 위장의 운동기능 진단 등을 시행한다. 상기 비위관은 콧구멍의 한쪽으로 삽입되어 비강을 통과하여 식도로 들어가서 위장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비위관은 국내등록특허 제10-1887639호 등에 의하면, 비위관은 한쪽 콧구멍에 삽입되고,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으며, 약물, 음식물, 영양분 등이 담겨 있는 저장통에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비위관은 의료행위가 시행되지 않는 평상시에도 콧구멍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비위관이 노출되어 있으면, 환자는 평상시에도 한쪽 콧구멍으로만 호흡을 해야 하므로 호흡이 원활하지 않다. 또한, 환자가 몸을 움직일 때, 특히 수면 중에 환자가 비위관을 잡아당겨서 심한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비위관의 노출은 앞에서 제시한 사례 이외에도 환자 및 의료진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비위관에 의하여 통증이 유발되는 등과 같은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은 환자의 비강을 통과하여 식도로 들어가서 위장에 위치하도록 상기 환자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환자의 코 영역 및 비강 영역에 위치하며 통기성을 가진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외부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위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의 통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컵 형상으로 상기 코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강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의 연장되어 상기 코에 걸치는 코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중공을 형성하는 와이어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외력을 부분적으로 흡수하여 변형되는 유연성 및 상기 변형을 원상태로 회복시키려는 탄성력을 가진다.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서로 만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와이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에 의하면, 통기성이 있는 연결부를 활용하여 호흡을 함으로써,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비위관에 의한 통증이 유발되는 등과 같은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위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위관이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위관에 적용되는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위관에 적용되는 제2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비위관은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비위관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기성이 있는 연결부를 활용하여 호흡을 함으로써,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비위관에 의한 통증이 유발되는 등과 같은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통기성이 있는 연결관이 부착된 비위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상기 연결관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비위관(Levin Tube)은 의료행위를 하기 위한 의료용 튜브의 일종으로, 비위관은 위장 내부 가스와 수분의 제거하기 위하여 감압을 하거나, 약물을 투여하고 위장으로 직접 음식물이나 영양성분을 공급하거나, 수술 또는 외상 후에 위의 압력을 감소시켜 오심과 구토를 방지하거나 억제하며, 위장의 폐쇄나 출혈부위를 치료하고, 위장 검사를 위한 검체를 확보하며, 위장의 심한 출혈이나 독성을 세척하거나, 위장의 운동기능 진단 등을 의료행위를 시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위관(1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비위관(100)은 내부관(10), 제1 연결부(20) 및 외부관(30)을 포함한다. 이때, 외부관(30)은 제1 연결부(20)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며, 약물, 음식물, 영양분 등과 같은 물질이 담겨 있는 저장통(BT)에 연결되어 있다. 외부관(30)은 환자의 체외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저장통(BT)에는 비위관(100)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의료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물질(이하, 의료물질)이 저장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통(BT)으로부터 상기 의료물질을 외부관(30)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수단, 예컨대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통(BT)와 외부관(30)과의 연계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외부관(30)은 의료물질이 유동하기 위한 재질인 고분자 물질이 바람직하다.
내부관(10)은 비강을 통과하여 식도로 들어가서 위장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내부관(10)은 환자의 체내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말한다. 내부관(10)는 도관(11) 및 배출구(14)를 포함한다. 도관(11)은 상기 의료물질을 투입하기 위한 튜브이다. 도관(11)은 자발적인 식사가 어려운 환자에게 약물이나 음식물을 공급하거나, 산소를 공급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비강을 통하여 삽입된다. 도관(11)은 유연한 고무 또는 고분자 또는 그들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관(11)은 독성이 적고 유연하며, 위산이나 장액에 의해 변성이 발생하거나 부러지지 않고, 접촉하는 코를 포함한 소화기 점막에 자극적이지 않은 재질이 바람직하다.
도관(11)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실리콘 재질 등이 바람직하다. 도관(11)은 장기간 사용하면, 위산의 영향으로 변성되어 딱딱해지거나, 이로 인해 장천공이 발생하고 위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실리콘 재질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재질은 체내에 삽입을 하여도 안전하며, 연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삽입되어 장시간 사용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불편함이 줄어든다. 다만, 지나치게 유연한 실리콘 재질은 삽입이 어렵고, 환자가 거북함이 늘어나므로 실리콘 재질을 보다 단단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배출구(14)는 단부 또는 도관(11)의 외벽에 구멍을 뚫어 형성되어, 의료물질을 배출한다. 배출구(14)는 제시된 하나의 사례에 불과하며, 배출이라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부가적인 수단, 예컨대 단부의 캡이 추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내부관(10)에는 위치확인선(12) 또는 눈금(13)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확인선(12)은 도관(11)의 내벽에 부착되며, x-ray의 감광에 의하여 위장에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한다. 위치확인선(12)은 도관(11)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의료물질의 공급을 방해하거나 신체를 자극하지 않는다. 눈금(13)은 도관(11)이 체외로 빠져 나오거나 삽입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0)는 일측에는 내부관(10)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외부관(30)이 삽입되거나 분리된다. 제1 연결부(20)는 연결부 몸체(21), 복수개의 통기공(22) 및 코걸이(23)를 포함한다. 연결부 몸체(21)는 컵(cup) 형태로써 내부에는 외부관(30)이 삽입된다. 연결부 몸체(21)는 내부식성, 인체 친밀성에 부합하는 인체에 무해하고 부식에 강한 재질이 좋으며, 구체적으로, Co-Cr 합금, 스테인리스강, 니티놀(Nitinol), 코발트-크롬-몰리브덴합금(CoCrMo), Ti 합금, 백금 합금을 이루어지거나,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에 백금과 같은 부식방지 물질이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통기공(22)은 환자가 호흡할 때, 제1 연결부(20)의 내부 및 외부로 통기가 이루어진다. 통기공(22)의 크기 및 개수는 통기 효과를 발휘하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외부관(30)이 삽입되기 위하여, 외부관(30)의 외경은 도관(11)의 내경보다 작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위관(100)이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때, 비위관(100)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환자에게 의료물질을 투입하기 위하여, 외부관(30)을 제1 연결부(20)를 거쳐 내부관(10)으로 외부관(30)의 일부를 삽입한다(a). 외부관(30)의 일부가 내부관(10)에 삽입되면, 상기 의료물질을 환자에게 투입한다. 상기 의료물질의 투입이 완료되면, 외부관(30)을 제1 연결부(20)로부터 분리한다(b). 다시 말해, 비위관(100)의 내부관(10) 및 외부관(30)은 의료물질이 투입될 때에만 서로 연결되고, 투입되지 않을 때에는 내부관(10) 및 외부관(30)은 분리된다. 이렇게 되면, 환자는 의료물질이 투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호흡이 원활하고, 몸을 움직이더라도 비위관(100)을 잡아당기는 상황 자체가 사라지므로 통증을 유발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의료진은 환자의 불편함으로 초래되는 부수적인 업무 등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위관(100)에 적용되는 제1 연결부(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비위관(100)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제1 연결부(20)는 연결부 몸체(21), 복수개의 통기공(22) 및 코걸이(23)를 포함한다. 연결부 몸체(21)는 코 영역(A) 및 비강 영역(B)에 걸치도록 하는 길이(L)을 가진다. 코 및 비강 영역(A, B)의 길이는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 달라지나, 평균적으로 약 7cm이다. 연결부 몸체(21)의 길이(L)는 코 및 비강 영역(A, B)의 길이에 부합되도록 설정된다.
연결부 몸체(21)는 테이퍼(taper) 형태로 코 영역(A)으로부터 비강 영역(B)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W1 → W2). 연결부 몸체(21)의 테이퍼진 형상은 코 및 비강 영역(A, B)의 형상을 고려한 것이다. 통기공(22)은 환자가 호흡할 때 공기가 유통(a)하도록 하여 환자의 호흡이 원활하게 한다. 환자의 호흡이 원활한 이유는 평상시에는 외부관(30)이 분리되어 호흡이 가능하고, 또한 통기공(22)이 존재하므로 호흡을 보다 쉽게 한다. 코걸이(23)는 제1 연결부(2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코에 걸친다. 코걸이(23)는 제1 연결부(20)가 비강 영역(B)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코걸이(23)의 형태는 비강 영역(B)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목적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코걸이(23)는 연결부 몸체(2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고무 성분을 포함한 고분자 물질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위관(100)에 적용되는 제2 연결부(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제2 연결부(40)는 와이어를 이용한 와이어 중공체(41)를 적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연결부(2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제2 연결부(40)는 제1 연결부(20)와 같이 길이(L) 및 폭(W1, W2)을 가진다. 제2 연결부(40)는 와이어 중공체(41)는 중공을 이루는 와이어 구조체(41a) 및 와이어 구조체(41a)를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41b)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구조체(41a)는 와이어가 중공의 외벽을 이루면서, 불규칙하게 굽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외벽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와이어 구조체(41a)의 와이어는 서로 만나지 않고, 와이어 구조체(41a)들은 와이어 연결부(41b)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좋다. 와이어 중공체(41)는 와이어 구조체(41a) 및 와이어 연결부(41b) 사이에는 빈 공간인 통기부(42)를 형성한다.
와이어 중공체(41)는 외부의 충격이나 형상에 의한 외력에 대하여,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하는 성질을 가진다. 예를 들어, 코 및 비강 영역(A, B)에 삽입하였을 때, 길이(L) 또는 폭(W1, W2)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든 방향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삽입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지닌다. 제2 연결부(40)가 코 및 비강 영역(A, B)의 형태를 회복하려는 특성으로 인하여, 코 및 비강 영역(A, B)을 확장시키고 그 확장된 상태의 중공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외력은 와이어 구조체(41a)의 전체에 걸쳐 흡수되지 않고, 상기 외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와이어 구조체(41a)에 흡수된다. 와이어 중공체(41)에 외력이 가해지면, 와이어 구조체(41a)는 그에 부응하여 형상이 변경된다. 상기 외력에 의해, 빈 공간인 통기부(42)의 모양을 변화되어, 상기 외력을 흡수한다. 외력이 가해진 부분의 형상이 변화되므로, 와이어 구조체(41a)는 유연하다고 할 수 있다.
와이어 중공체(41)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춘 와이어 중공체(41)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상기 외력은 와이어 구조체(41a)의 전체에 걸쳐 흡수되지 않고, 상기 외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와이어 구조체(41a)에 흡수된다. 예컨대, 외력이 와이어 구조체(41a) 길이(L)의 중심 부분에 가해졌다면,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중심 부분의 통기부(42)의 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외력을 흡수한다. 다시 말해, 상기 외력은 와이어 구조체(41a) 전체의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통기부(42)의 형태가 변화되었더라도, 변화된 통기부(42)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특성을 가진다. 와이어 중공체(41)는 유연한 특성, 탄성력을 포함한다.
와이어 구조체(41a)의 탄성력은 착용감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탄성력이 지나치게 크면, 와이어 중공체(41)가 삽입되었을 때, 비강 내부를 압박하여 착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탄성력이 지나치게 작으면, 원상태로 회복되려는 특성을 가지기 어렵다. 필요에 따라, 와이어 구조체(41a)는 와이어 연결부(41b)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와이어 연결부(41b)는 와이어 중공체(41)가 물리적으로 안정된 형상을 가지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만일, 와이어 연결부(41b)가 없어도 상기 안정된 형상을 유지한다면, 와이어 연결부(41b)를 두지 않을 수 있다. 와이어 연결부(41b)의 개수는 상기 안정된 형상을 유지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0)는 와이어 중공체(41)의 탄성력을 활용하여, 제2 연결부(40)는 코 및 비강 영역(A, B)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제2 연결부(40)는 코 및 비강 영역(A, B)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더불어, 제2 연결부(40)는 통기부(42)가 존재하므로, 환자가 호흡할 때 공기가 유통(a)하도록 하여 환자의 호흡이 원활하게 한다. 즉, 제2 연결부(40)는 제1 연결부(10)과 같이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면서, 코 및 비강 영역(A, B)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킨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내부관 11; 도관
12; 위치확인선 13; 눈금
20, 40; 제1 및 제2 연결부
21; 연결부 몸체
22; 통기공 23; 코걸이
30; 외부관 41; 와이어 중공체
41a; 와이어 구조체 41b; 와이어 연결부
42; 통기부

Claims (7)

  1. 환자의 비강을 통과하여 식도로 들어가서 위장에 위치하도록, 상기 환자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관;
    상기 내부관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환자의 코 영역 및 비강 영역에 위치하며, 통기성을 가진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외부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중공을 형성하는 와이어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외력을 부분적으로 흡수하여 변형되는 유연성 및 상기 변형을 원상태로 회복시키려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컵 형상으로 상기 코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강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의 연장되어 상기 코에 걸치는 코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서로 만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와이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KR1020190139277A 2019-11-04 2019-11-04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KR102309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77A KR102309850B1 (ko) 2019-11-04 2019-11-04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77A KR102309850B1 (ko) 2019-11-04 2019-11-04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546A KR20210053546A (ko) 2021-05-12
KR102309850B1 true KR102309850B1 (ko) 2021-10-07

Family

ID=7591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277A KR102309850B1 (ko) 2019-11-04 2019-11-04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3400A (ko) 2022-11-03 2024-05-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부 체온 측정이 가능한 비위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976B1 (ko) 2021-12-28 2023-03-2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 내에서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하여 비위관의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767B2 (ja) * 1991-08-01 2001-08-27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剤の製造方法
KR101573322B1 (ko) 2014-05-29 2015-12-02 메디코코(주)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
JP2019180567A (ja) 2018-04-04 2019-10-24 株式会社パタカラ 鼻腔挿入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560A (ko) * 2015-08-10 2017-02-20 안종요 의료용 비위관의 삽관 거치기구
JP3202767U (ja) * 2015-12-10 2016-02-18 許秉毅 分割式フィーディング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767B2 (ja) * 1991-08-01 2001-08-27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剤の製造方法
KR101573322B1 (ko) 2014-05-29 2015-12-02 메디코코(주)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
JP2019180567A (ja) 2018-04-04 2019-10-24 株式会社パタカラ 鼻腔挿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3400A (ko) 2022-11-03 2024-05-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부 체온 측정이 가능한 비위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546A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5212B2 (en) Transtracheal catheter apparatus
US7171962B1 (en) Soft oral airway for intravenous anesthesia and method of use
US5199427A (en) Multi-layered transtracheal caatheter
JP6972284B2 (ja) 挿管可能なエアウェイ装置
US20070277831A1 (en) Nasal assembly and method of positioning nasogastric tubing
US8833373B2 (en) Nasally inserted airway opening device for obstructive sleep apnea treatment
JPH06502337A (ja) マイクロ気管カテーテル・ボス・アッセンブリー用方法及び装置
US20140128676A1 (en) Non-Rebreathing Mask With Closeable Aperture and Auxilliary Flow Tube
TW201217014A (en) Artificial airway device
KR102309850B1 (ko) 탈부착 기능을 가진 비위관
EP1433494B1 (en) Esophagus stoma button
JP2009508645A5 (ko)
WO1992007603A1 (en) Multi-layered transtracheal catheter
US20050171468A1 (en) Gastric aspirate intestinal feeding tube
US9795770B1 (en) Bendable nasal airway tube device and method of bending same
WO2009141598A2 (en) Medical apparatus
EP2812060B1 (en) Tracheal aid
US20150352304A1 (en) Bite Proof Endotracheal Tube
CN217612362U (zh) 一种多功能气管插管导管
JP2001346887A (ja) 食道瘻ボタン
RU2739347C1 (ru) Эндотрахеальная трубка (варианты)
KR102295322B1 (ko) 레빈 튜브의 삽입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빈 튜브 복합체
JP3153651U (ja) 脱落防止カフ付き経鼻経管栄養カテーテル
CN209286208U (zh) 一种防脱落、防返流胃管
US20190099572A1 (en) Airway Device for Placement in Upper Respiratory 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