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01453A1 - 풍선 가이드 카테터 - Google Patents

풍선 가이드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01453A1
WO2023101453A1 PCT/KR2022/019302 KR2022019302W WO2023101453A1 WO 2023101453 A1 WO2023101453 A1 WO 2023101453A1 KR 2022019302 W KR2022019302 W KR 2022019302W WO 2023101453 A1 WO2023101453 A1 WO 20231014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theter
unit
balloon
catheter tube
bloo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3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덕희
황선문
송윤선
권보성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ublication of WO20231014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014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0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 A61B2017/00915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 radioactive radiation
    • A61B2017/009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 radioactive radiation for X-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01Angioplasty, e.g. PC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61B2017/22065Functions of balloons
    • A61B2017/22067Block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9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uction of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2017/320716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embolism by dislodg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balloons for removing solid matters, e.g. by grasping or scraping plaque, thrombus or other matters that obstruct the flow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oon guide catheter.
  • a balloon guide catheter for distal access is used for treatment in intravascular mechanical thrombectomy to remove a thrombus,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intracranial acute ischemic stroke.
  • a conventional balloon guide catheter may be placed at the origin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or the inlet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to expand the balloon.
  • the balloon guide catheter can remove the distal and distal branches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and the thrombi occluding the middle cerebral artery as the flow of blood flow in the artery is blocked by the expanded balloon.
  • the balloon guide catheter can maximize the suction force of the thrombus, and to prevent the thrombus from being separated by the blood flow and flying away from the distal part while the thrombus is suctioned or captured and removed.
  • fragments may be generated in the blood clot, and the generated fragments remain in the blood vessel. Due to narrowing of the blood vessel due to negative pressure, Fragments of the clot may not be completely aspirated into the balloon guide catheter.
  • Patent Documen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42631 (published on April 20, 2021)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balloon guide catheter capable of effectively suctioning and removing clots or clot fragments.
  • a balloon guide catheter includes a catheter unit movable along a blood vessel; a balloon unit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theter unit to block blood flow in the blood vessel when inflated; a supply unit providing negative pressure to the catheter unit to suck the blood clot in the blood vessel; and an expansion unit supplying an inflation agent to the balloon unit to inflate the balloon unit, wherein the catheter unit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and a first catheter tube fixed to the other end so as to surround the balloon unit. ; and a second catheter tub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theter tube portion so as to protrude from the balloon unit.
  • the balloon gate catheter may further include a thrombotic stent inserted into the catheter unit to capture the blood clot in the blood vessel.
  • an inlet for providing a catheter hole into which the thrombus or the thrombosis removal stent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catheter tube, and when the thrombus or the thrombosis removal stent is inserted, the catheter hole expands It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s much as possible.
  • the catheter unit is composed of a material that is opaque to radiation and is provided in the first catheter pipe portion a first marker unit; and a second marker portion made of a material that is opaque to radiation and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catheter tube portion.
  • the first catheter tube has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thrombus can move, and a second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theter tube, and the catheter can aspirate the thrombus.
  • a hole may be formed at the end.
  • the expanding agent may include a contrast agent that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through imaging equipment.
  • an elliptical or circular suction hole for sucking fragments of the thrombus may be formed on an outer wall of the second catheter tube.
  •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may have the same diameter as each other.
  • the second catheter tube may have an out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distal end.
  • the second catheter tube may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theter tube so as to be three to five time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alloon unit.
  •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alloon unit may be 3 to 5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atheter tube.
  • the section and area of stenosis due to compression of the blood vessel can be reduced by applying negative pressure at a position closest to the thrombus loc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minimal. This can help to more completely aspirate and remove the clot or fragments of the clot.
  • the contrast medium can be injected into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suction hole, so that the state of the blood vessels around the catheter can be accurately observed as an image.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alloon guid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A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
  • FIG. 2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n inlet when a thrombus or a thrombophlebate stent is inserted into the inlet.
  • FIG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loon guid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blood vessel.
  •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lloon unit is inflated in a state in which a balloon guid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blood vessel.
  • FIG.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rombotic stent is inserted into a balloon guid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connecting', 'supporting', 'connecting', 'supplying', 'transferring', or 'contacting'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supported by,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may be supplied, delivered, or contacted,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alloon guid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a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 FIG.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balloon guid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 Figure 4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loon unit is inflated in a state where the balloon guide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 the balloon guide catheter 10 in order to remove the thrombus (T) in the skull, intravascular mechanical thrombectomy (mechanical thrombectomy)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 the balloon guide catheter 10 may include a catheter unit 100 , a balloon unit 200 , a supply unit 300 and an expansion unit 400 .
  • the catheter unit 100 may be a tube-shaped catheter movable along the blood vessel B.
  • the catheter unit 100 When the catheter unit 100 is located at the origin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or the inlet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and the flow of blood in the internal carotid artery is blocked by the balloon unit 200, the distal and distal branches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and the middle cerebral artery are occluded. A blood clot (T) can be removed.
  • T blood clot
  • the catheter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catheter tube 110 , a second catheter tube 120 , a first marker unit 130 and a second marker unit 140 .
  • the first catheter tube 110 may have a tube shape in which a first flow path 113 through which the thrombus T is movable is provided therein.
  •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atheter tube 110 that is, the diameter of the first flow path 113 may be 1.44 mm (0.056 inch) or more.
  •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atheter tube 11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2 mm.
  • the first catheter tube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300 .
  • the first catheter tube 110 may receive a negative pressure from the supply unit 300 or a contrast agent.
  • the balloon unit 200 may be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theter tube 110 so as to surround it.
  •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theter tube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
  •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may integrally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theter tube 110 so as to protrude from a portion where the balloon unit 200 is located.
  •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may be ext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theter tube 110 to allow the end of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to approach the distal end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or the middle cerebral artery.
  •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may extend more than 5 cm from the balloon unit 200, preferably 5 cm to 6 cm. Compared to the length of the balloon unit 200, the length L1 of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is longer than the length L2 of the balloon unit 200 by 3 to 5 times the first catheter tube 110. ) It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 a second flow path 123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113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
  • the second flow path 123 may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flow path 113 .
  • the diameter of the second passage 123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1.44 mm (0.056 inch).
  •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may have an out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theter tube portion 12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nd, the second catheter tube portion 120 can stably enter the blood vessel B to the distal end.
  • the outer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may be 10° to 25°.
  • An inlet 150 providing a catheter hole 121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
  • a thrombus or a thrombophlebate stent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inlet 150 through the catheter hole 121 .
  • the length of the inlet 150 may be 3 to 5 mm. Since the inlet 15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 thrombus or a thrombotic stent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through the catheter hole 121 .
  • the catheter hole 121 of the inlet 150 may be enlarged.
  • the inlet 150 may be changed to a funnel shape providing an inner diameter surfac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end (see FIG. 2B).
  • the catheter unit 100 when negative pressure is supplied to the catheter unit 100, blood clots T in the bloodstream can be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theter unit 100 through the catheter hole 121, and when providing the contrast medium to the catheter unit 100, The contrast medium in the catheter unit 100 may be discharged into the blood vessel B through the catheter hole 121 .
  • the contrast agent flows into the blood vessel B through the catheter unit 100, the operator can accurately observe the state of the blood vessel B around the catheter through imaging equipment.
  • a suction hole 122 may be formed on an outer wall of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
  • the suction hole 122 may have an elliptical or circular shape.
  • blood clots T in the bloodstream can be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theter unit 100 through the suction hole 122, and when the contrast agent is supplied to the catheter unit 100, the catheter unit The contrast medium in 100 may be discharged into the blood vessel B through the suction hole 122 .
  •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
  • the suction hole 122 may have a diameter of 1 mm or more.
  • the elliptical or circular suction hole 122 is composed of a pair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ction hole 122 is elliptical or circular.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one suction hole 122 is formed to penetrate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theter pipe portion 120, or three or more suction holes 122 are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second catheter pipe portion 120. It may be spaced apart in various numbers in the direction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first marker unit 130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catheter tube 110 where the balloon unit 200 is located. Since the first marker unit 13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opaque to radiation, an operator can observe the first marker unit 130 through imaging equipment.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effectively block the blood flow in the blood vessel B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theter unit 100 so that the balloon unit 200 is located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external carotid artery.
  • the second marker unit 140 may be attached to an end of the second catheter tube unit 120 .
  • the second marker unit 140 may be positioned about 3 mm a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atheter tube unit 120 . Since the second marker unit 14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opaque to radiation, the operator can observe the second marker unit 140 through imaging equipment, and through this, the operator can observe the catheter unit in the blood vessel B ( 100) can be checked.
  • the first marker unit 130 and the second marker unit 140 are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theter tube 110 and the end of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marker unit can be attached to various positions of the catheter unit 100 and the balloon unit 200.
  • the marker unit may be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central, proximal, or distal end of the catheter unit/balloon unit.
  • the balloon unit 200 may block the blood flow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through expansion. Since the blood flow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is blocked by the balloon unit 200, the suction force of the thrombus T by the catheter unit 100 can be maximized, and while the thrombus T is removed by suction or cap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thrombus T is detached and moved to a distal part.
  • the balloon unit 200 may be in the form of a balloon that can be infla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theter unit 100 .
  • the balloon unit 200 may b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theter tube 120 .
  • the balloon unit 200 may block blood flow through the blood vessel B through expansion.
  • the maximum expansion diameter W2 of the balloon unit 200 may be 3 to 5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W1 of the first catheter tube 110. there is.
  • the maximum expansion diameter of the balloon unit 200 may be 6 to 10 mm.
  • the supply unit 300 may provide the catheter unit 100 with negative pressure for sucking the blood clot T in the blood vessel B. Also, the supply unit 300 may provide a contrast medium to the catheter unit 100 .
  • the supply unit 300 may be a catheter or syringe capable of providing negative pressure. Since the supply unit 300 is a conventional catheter or syringe capable of providing negative press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inflation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balloon unit 200 to supply an inflation agent to the balloon unit 200 .
  • an inflation agent a contrast agent that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through imaging equipment may be used.
  • the operator can accurately observe the location of the balloon unit 200 containing the contrast medium through imaging equipment.
  • These supply unit 300 and expansion unit 400 may be a catheter or syringe coupled into one through a connector.
  • FIG.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rombotic stent is inserted into a balloon guid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thrombotic stent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catheter unit 100 .
  • the thrombotic stent 500 maintains a contracted state within the catheter unit 100, but may maintain an expanded state in its original shape due to restoring force outside the catheter unit 100.
  • the thrombotic stent 500 when the thrombotic stent 500 is inserted into the catheter unit 100 and pushed, the thrombotic stent 500 is in a contracted state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13 and the second flow path 123 of the catheter unit 100 After being moved, when discharged through the catheter hole 121, the thrombus T may be captured while the thrombotic stent 500 expands to its original state. Thereafter, when the thrombotic stent 500 is pulled from the catheter unit 100, the thrombotic stent 500 in which the thrombus T is captured can be recovered into the catheter unit 100.
  • the catheter unit 100 When the catheter unit 100 is used alone, first, as shown in FIG. 3, the catheter unit 100 is plac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location where the thrombus T occurs. For example,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unit 100 may be appro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or the middle cerebral artery, and the balloon unit 200 may be located at a connection point of the external carotid artery.
  • the expansion unit 400 supplies an expansion agent to the balloon unit 200.
  • the balloon unit 200 The junction of the external carotid artery and the blood flow to the internal carotid artery can be blocked.
  • the catheter unit 100 and the thrombotic stent 500 are used together, the catheter unit 100 is plac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location where the thrombus T occurs, and then the balloon unit 200 is inflated. It blocks the blood flow of the blood vessel (B).
  • the thrombotic stent 500 is inserted into the catheter unit 100 to capture the blood clot T in the blood vessel B. And, by supplying negative pressure to the catheter unit 100, the blood clot T and the fragment C of the blood clot T in the blood vessel B are transferred through the catheter hole 121 and the suction hole 122 of the catheter unit 100. It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catheter unit 100.
  • the section and area of stenosis caused by compression of the blood vessel are reduced by applying negative pressure at a position as close as possible to the location of the thrombus.
  • blood clots that may occur due to stagnation of blood flow are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of the catheter unit, thereby reducing the remaining blood clots in the blood vessels. It can effectively remove blood clots through the suction hole of the catheter unit, as well as the contrast agent can be injected into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suction hole, so the state of the blood vessels around the catheter can be accurately observed with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풍선 가이드 카테터는 혈관을 따라 이동가능한 카테터 유닛과, 팽창시 혈관의 혈류를 차단하도록 상기 카테터 유닛의 둘레면에 마련되는 벌룬 유닛과, 혈관 내 혈전을 흡인하기 위한 음압을 상기 카테터 유닛에 제공하는 공급 유닛과, 벌룬 유닛이 팽창되도록 벌룬 유닛에 팽창제를 공급하는 팽창 유닛을 포함한다. 카테터 유닛은 일단부에 공급 유닛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벌룬 유닛이 감싸도록 고정되는 제1 카테터 관부와, 벌룬 유닛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1 카테터 관부의 상기 타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 카테터 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풍선 가이드 카테터
본 발명은 풍선 가이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위부 접근을 위한 풍선 가이드 카테터는, 두개내의(intracranial) 급성 허혈성 뇌졸중의 원인 중 하나인 혈전을 제거하기 위한 혈관내 기계적혈전제거술(mechanical thrombectomy )에 치료 용도로 사용된다.
뇌강내의 혈전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 풍선 가이드 카테터는 내경동맥 기시부 또는 내경동맥 입구부에 위치되어 풍선을 확장할 수 있다. 풍선이 확장되면, 확장된 풍선에 의해 동맥 내 혈류의 흐름이 차단됨에 따라, 풍선 가이드 카테터는 내경동맥 원위부와 말단 분지부 및 중대뇌동맥을 폐색하고 있는 혈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내경동맥의 혈류 차단을 통해, 혈전의 흡인력을 최대화할 수 있고, 혈전을 흡인 또는 포획하여 제거하는 중 혈류에 의해 이탈하여 원위부를 날라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풍선 가이드 카테터를 통해 흡인기로 음압을 가하는 경우, 내경동맥의 일부분에서 혈관 압착으로 인한 혈관의 협착이 발생할 수 있고, 음압에 의한 혈관의 협착은 혈전이 카테터 안으로 흡인되는 과정에서 혈전이 협착부위에 의해 눌리기 때문에 정상적인 풍선 가이드 카테터의 흡인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혈전이 풍선 가이드 카테터의 내부로 흡인되거나, 혈전이 스텐트에 잡히게 되는 과정에서, 혈전에 파편이 발생될 수 있고, 발생된 파편은 혈관 내에 남아 있게 되는데, 음압으로 인한 혈관의 협착으로 인해, 혈전의 파편이 풍선 가이드 카테터에 완전하게 흡인되지 못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10-2021-0042631호(2021. 04. 20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혈전 또는 혈전의 파편을 효과적으로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풍선 가이드 카테터는, 혈관을 따라 이동가능한 카테터 유닛; 팽창시 상기 혈관의 혈류를 차단하도록 상기 카테터 유닛의 둘레면에 마련되는 벌룬 유닛; 상기 혈관 내 혈전을 흡인하기 위한 음압을 상기 카테터 유닛에 제공하는 공급 유닛; 및 상기 벌룬 유닛이 팽창되도록 상기 벌룬 유닛에 팽창제를 공급하는 팽창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 유닛은 일단부에 상기 공급 유닛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벌룬 유닛이 감싸도록 고정되는 제1 카테터 관부; 및 상기 벌룬 유닛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카테터 관부의 타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 카테터 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풍선 가이트 카테터는 상기 혈관 내 혈전을 포획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유닛에 삽입되는 혈전제거 스텐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카테터 관부의 끝단에는 상기 혈전 또는 상기 혈전제거 스텐트가 삽입 가능한 카테터홀을 제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혈전 또는 상기 혈전제거 스텐트가 삽입될 때, 상기 카테터홀이 확경되도록 신축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 유닛은 방사선이 불투과되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카테터 관부에 마련되는 제1 마커부; 및 방사선이 불투과되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카테터 관부의 끝단에 마련되는 제2 마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테터 관부에는 상기 혈전이 이동 가능한 제1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카테터 관부에는 상기 제1 유로에 연통되는 제2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혈전이 흡인 가능한 카테터홀이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제는 영상장비를 통해 외부에서 식별 가능한 조영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카테터 관부의 외벽에는 상기 혈전의 파편을 흡인하기 위한 타원형 또는 원형의 흡인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는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카테터 관부는 상기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카테터 관부는 상기 벌룬 유닛의 길이보다 3배 내지 5배 만큼 더 길어지도록 상기 제1 카테터 관부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룬 유닛이 최대 확장 직경은 상기 제1 카테터 관부의 직경보다 3배 내지 5배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테터 유닛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카테터 유닛과 혈전제거 스텐트가 같이 사용하더라도, 혈전 위치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서 음압을 가함으로써, 혈관의 압착으로 인한 협착의 구간과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는 혈전 또는 혈전의 파편을 보다 완전하게 흡인하여 제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벌룬 유닛의 확장으로 인하여 벌룬 유닛의 윗부분에 접하는 혈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혈류의 정체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혈전을 카테터 유닛의 흡인홀로 흡인함으로써, 혈관 내 잔류하는 혈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테터 유닛의 흡인홀을 통해 혈전의 흡인뿐만 아니라, 흡인홀을 통해 조영제를 혈관 내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카테터의 주변 혈관의 상태를 영상으로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가이드 카테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2b는 혈전 또는 혈전제거 스텐트가 유입구로 삽입될 때, 유입구의 형상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가이드 카테터가 혈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가이드 카테터가 혈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벌룬 유닛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가이드 카테터에 혈전제거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가이드 카테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a은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2b는 혈전 또는 혈전제거 스텐트가 유입구로 삽입될 때, 유입구의 형상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가이드 카테터가 혈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가이드 카테터가 혈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벌룬 유닛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가이드 카테터(10)는, 두개(頭蓋) 내의 혈전(T)을 제거하기 위해, 혈관 내 기계적혈전제거술(mechanical thrombectomy)의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풍선 가이드 카테터(10)는 카테터 유닛(100), 벌룬 유닛(200), 공급 유닛(300) 및 팽창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테터 유닛(100)은 혈관(B)을 따라 이동 가능한 튜브 형태의 카테터일 수 있다. 카테터 유닛(100)은 내경동맥 기시부 또는 내경동맥 입구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내경동맥의 혈류의 흐름이 벌룬 유닛(200)에 의해 차단되면, 내경동맥 원위부와 말단 분지부 및 중대뇌동맥을 폐색하고 있는 혈전(T)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카테터 유닛(100)은 제1 카테터 관부(110), 제2 카테터 관부(120), 제1 마커부(130) 및 제2 마커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테터 관부(110)는 혈전(T)이 이동 가능한 제1 유로(113)가 내부에 마련되는 튜브 형태일 수 있다. 제1 카테터 관부(110)의 내경, 다시 말해 제1 유로(113)의 직경은 1.44mm(0.056inch) 이상일 수 있다. 제1 카테터 관부(110)의 외경은 2mm 이상일 수 있다.
제1 카테터 관부(110)의 일단부는 공급 유닛(3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카테터 관부(110)는 공급 유닛(300)으로부터 음압을 공급받거나, 조영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카테터 관부(110)의 타단 둘레면에는 벌룬 유닛(200)이 감싸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1 카테터 관부(110)의 타단부는 제2 카테터 관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카테터 관부(120)는 벌룬 유닛(200)이 위치한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1 카테터 관부(110)의 타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제2 카테터 관부(120)의 끝단이 내경동맥 말단부 또는 중대뇌동맥 위치까지 접근시키기 위해, 제2 카테터 관부(120)는 제1 카테터 관부(110)의 타단부에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 관부(120)는 벌룬 유닛(200)으로부터 5cm 이상, 바람직하게는 5cm 내지 6cm 연장될 수 있다. 벌룬 유닛(200)의 길이와 비교하면, 제2 카테터 관부(120)의 길이(L1)는 벌룬 유닛(200)의 길이(L2)보다 3배 내지 5배 만큼 더 길어지도록 제1 카테터 관부(110)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카테터 관부(120)에는 제1 유로(113)에 연통되는 제2 유로(123)가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로(123)는 제1 유로(113)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유로(123)의 직경은 1.44mm(0.056inch) 이상일 수 있다.
제2 카테터 관부(120)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카테터 관부(120)의 외면은 끝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제2 카테터 관부(120)는 혈관(B)의 말단부까지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카테터 관부(120)의 외면 경사각도는 10°내지 25°일 수 있다.
제2 카테터 관부(120)의 끝단에는 카테터홀(121)을 제공하는 유입구(150)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150)는 카테터홀(121)을 통해 혈전 또는 후술하는 혈전제거 스텐트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입구(150)의 길이는 3~5 mm일 수 있다. 이 유입구(150)는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므로, 혈전 또는 후술하는 혈전제거 스텐트는 카테터홀(121)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제2 카테터 관부(1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혈전 또는 혈전제거 스텐트가 유입구(150)로 삽입될 때, 유입구(150)의 카테터홀(121)은 확경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150)는 끝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되는 내경면을 제공하는 깔대기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도 2b 참고).
예컨대, 카테터 유닛(100)의 음압 공급시, 혈류 내 혈전(T)은 카테터홀(121)을 통해 카테터 유닛(100)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고, 카테터 유닛(100)의 조영제 제공시, 카테터 유닛(100) 내 조영제가 카테터홀(121)을 통해 혈관(B)으로 배출될 수 있다. 조영제가 카테터 유닛(100)을 통해 혈관(B)으로 유입되면, 시술자는 영상장비를 통해 카테터의 주변 혈관(B)의 상태를 영상으로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제2 카테터 관부(120)의 외벽에는 흡인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흡인홀(122)은 타원형 또는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카테터 유닛(100)의 음압 공급시, 혈류 내 혈전(T)이 흡인홀(122)을 통해 카테터 유닛(100)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고, 카테터 유닛(100)의 조영제 제공시, 카테터 유닛(100) 내 조영제가 흡인홀(122)을 통해 혈관(B)으로 배출될 수 있다. 흡인홀(122)은 제2 카테터 관부(120)의 외벽에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흡인홀(122)의 직경은 1mm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원형 또는 원형의 흡인홀(122)은 제2 카테터 관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흡인홀(122)은 타원형 또는 원형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1개의 흡인홀(122)이 제2 카테터 관부(120)의 외면에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3개 이상의 흡인홀(122)이 제2 카테터 관부(120)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다양한 개수로 이격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마커부(130)는 벌룬 유닛(200)이 위치한 제1 카테터 관부(11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마커부(130)는 방사선이 불투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므로, 시술자는 영상장비를 통해 제1 마커부(130)를 관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벌룬 유닛(200)이 외경동맥의 연결지점에 위치되도록 카테터 유닛(1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혈관(B) 내 혈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2 마커부(140)는 제2 카테터 관부(120)의 끝단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제2 마커부(140)는 제2 카테터 관부(120)의 선단에서 약 3mm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2 마커부(140)는 방사선이 불투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므로, 시술자는 영상장비를 통해 제2 마커부(140)를 관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술자는 혈관(B) 내 카테터 유닛(100)의 끝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마커부(130) 및 제2 마커부(140)는 제1 카테터 관부(110)의 타단부 및 제2 카테터 관부(120)의 끝단에 부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마커부는 카테터 유닛(100) 및 벌룬 유닛(200)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마커부는 카테터 유닛/벌룬 유닛의 중앙부 또는 근위, 원위 말단부 등에 추가로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벌룬 유닛(200)은 팽창을 통해 내경동맥의 혈류를 차단할 수 있다. 벌룬 유닛(200)에 의해 내경동맥의 혈류가 차단됨으로써, 카테터 유닛(100)에 의한 혈전(T)의 흡인력이 최대가 될 수 있고, 혈전(T)을 흡인 또는 포획하여 제거하는 중, 혈류에 의해 혈전(T)이 이탈하여 원위부로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벌룬 유닛(200)은 카테터 유닛(100)의 둘레면에서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는 풍선 형태일 수 있다. 벌룬 유닛(200)은 제2 카테터 관부(120)의 타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벌룬 유닛(200)이 혈관(B)(일 예로, 내경동맥)에 위치될 때, 벌룬 유닛(200)은 팽창을 통해 혈관(B)을 흐르는 혈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벌룬 유닛(200)이 최대로 팽창될 때, 벌룬 유닛(200)의 최대 확장 직경(W2)은 제1 카테터 관부(110)의 직경(W1)보다 3배 내지 5배 더 큰 크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카테터 유닛(100) 2mm일 때, 벌룬 유닛(200)의 최대 확장 직경은 6~10mm일 수 있다.
공급 유닛(300)은 혈관(B) 내 혈전(T)을 흡인하기 위한 음압을 카테터 유닛(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급 유닛(300)은 조영제를 카테터 유닛(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급 유닛(300)은 음압을 제공할 수 있는 카테터 또는 주사기일 수 있다. 공급 유닛(300)은 음압을 제공할 수 있는 통상의 카테터 또는 주사기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팽창 유닛(400)은 벌룬 유닛(200)에 팽창제를 공급하도록 벌룬 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팽창제로는 영상장비를 통해 외부에서 식별 가능한 조영제가 사용될 수 있다. 조영제가 벌룬 유닛(200)에 조영제가 공급되면, 시술자는 조영제가 수용된 벌룬 유닛(200)의 위치를 영상장비를 통해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들 공급 유닛(300) 및 팽창 유닛(400)은 커넥터를 통해 하나로 결합된 카테터 또는 주사기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가이드 카테터에 혈전제거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유닛(100)에는 혈전제거 스텐트(500)가 삽입될 수 있다. 혈전제거 스텐트(500)는 카테터 유닛(100) 내에서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카테터 유닛(100)의 외측에서는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혈전제거 스텐트(500)를 카테터 유닛(100)에 삽입하여 푸시하면, 혈전제거 스텐트(500)가 수축된 상태로 카테터 유닛(100)의 제1 유로(113) 및 제2 유로(123)를 이동된 후, 카테터홀(121)을 통해 배출되면, 혈전제거 스텐트(500)가 원래 상태로 확장되면서 혈전(T)이 포획될 수 있다. 이후, 혈전제거 스텐트(500)를 카테터 유닛(100)에서 당기면, 혈전(T)이 포획된 혈전제거 스텐트(500)는 카테터 유닛(10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테터 유닛(100)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먼저, 도 3에서 보듯이, 카테터 유닛(100)을 혈전(T)이 발생된 위치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일 예로, 카테터 유닛(100)의 끝단은 내경동맥 말단부 또는 중대뇌동맥 위치까지 접근될 수 있고, 벌룬 유닛(200)은 외경동맥의 연결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카테터 유닛(100)을 혈전(T)이 발생된 위치에 근접 위치되면, 도 3에서 보듯이, 팽창 유닛(400)이 벌룬 유닛(200)에 팽창제를 공급하는데, 이때, 벌룬 유닛(200)은 외경동맥의 연결지점과 내경동맥의 혈류를 차단할 수 있다.
벌룬 유닛(200)에 의해 혈류가 차단되면, 혈관(B) 내 혈전(T)을 흡인하기 위한 음압이 카테터 유닛(100)에 공급된다. 음압이 카테터 유닛(100)에 공급되면, 압력 차이에 의해, 혈관(B) 내 혈전(T)과 혈전(T)의 파편(C)은 카테터 유닛(100)의 카테터홀(121) 및 흡인홀(122)을 통해 카테터 유닛(10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카테터 유닛(100) 및 혈전제거 스텐트(500)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카테터 유닛(100)을 혈전(T)이 발생된 위치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시킨 후, 벌룬 유닛(200)을 팽창시켜 혈관(B)의 혈류를 차단한다.
벌룬 유닛(200)에 의해 혈류가 차단되면, 도 5에서 보듯이, 혈전제거 스텐트(500)를 카테터 유닛(100)에 삽입하여 혈관(B) 내 혈전(T)을 포획한다. 그리고 음압을 카테터 유닛(100)에 공급하여 혈관(B) 내 혈전(T)과 혈전(T)의 파편(C)을 카테터 유닛(100)의 카테터홀(121) 및 흡인홀(122)을 통해 카테터 유닛(100)의 내부로 회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테터 유닛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카테터 유닛과 혈전제거 스텐트가 같이 사용하더라도, 혈전 위치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서 음압을 가함으로써, 혈관의 압착으로 인한 협착의 구간과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벌룬 유닛의 확장으로 인하여 벌룬 유닛의 윗부분에 접하는 혈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혈류의 정체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혈전을 카테터 유닛의 흡인홀로 흡인함으로써, 혈관 내 잔류하는 혈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카테터 유닛의 흡인홀을 통해 혈전의 흡인뿐만 아니라, 흡인홀을 통해 조영제를 혈관 내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카테터의 주변 혈관의 상태를 영상으로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1)

  1. 혈관을 따라 이동가능한 카테터 유닛;
    팽창시 상기 혈관의 혈류를 차단하도록 상기 카테터 유닛의 둘레면에 마련되는 벌룬 유닛;
    상기 혈관 내 혈전을 흡인하기 위한 음압을 상기 카테터 유닛에 제공하는 공급 유닛; 및
    상기 벌룬 유닛이 팽창되도록 상기 벌룬 유닛에 팽창제를 공급하는 팽창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 유닛은
    일단부에 상기 공급 유닛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벌룬 유닛이 감싸도록 고정되는 제1 카테터 관부; 및
    상기 벌룬 유닛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카테터 관부의 상기 타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 카테터 관부를 포함하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내 혈전을 포획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유닛에 삽입되는 혈전제거 스텐트를 더 포함하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테터 관부의 끝단에는
    상기 혈전 또는 상기 혈전제거 스텐트가 삽입 가능한 카테터홀을 제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혈전 또는 상기 혈전제거 스텐트가 삽입될 때, 상기 카테터홀이 확경되도록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유닛은
    방사선이 불투과되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카테터 관부에 마련되는 제1 마커부; 및
    방사선이 불투과되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카테터 관부의 끝단에 마련되는 제2 마커부를 더 포함하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테터 관부에는
    상기 혈전이 이동 가능한 제1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카테터 관부에는
    상기 제1 유로에 연통되는 제2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혈전이 흡인 가능한 카테터홀이 끝단에 형성되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제는
    영상장비를 통해 외부에서 식별 가능한 조영제를 포함하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테터 관부의 외벽에는
    상기 혈전의 파편을 흡인하기 위한 타원형 또는 원형의 흡인홀이 형성되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는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테터 관부는
    상기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외경을 갖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테터 관부는
    상기 벌룬 유닛의 길이보다 3배 내지 5배만큼 더 길어지도록 상기 제1 카테터 관부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풍선 가이드 카테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 유닛이 최대 확장 직경은
    상기 제1 카테터 관부의 직경보다 3배 내지 5배 더 큰,
    풍선 가이드 카테터.
PCT/KR2022/019302 2021-12-01 2022-11-30 풍선 가이드 카테터 WO202310145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143 2021-12-01
KR1020210170143A KR102608437B1 (ko) 2021-12-01 2021-12-01 풍선 가이드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453A1 true WO2023101453A1 (ko) 2023-06-08

Family

ID=8661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9302 WO2023101453A1 (ko) 2021-12-01 2022-11-30 풍선 가이드 카테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8437B1 (ko)
WO (1) WO20231014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075B1 (ko) 2024-01-03 2024-04-04 이정현 풍선 카테터 결합형 병변 확장용 커팅 와이어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560A (ja) * 1999-08-27 2003-07-29 コラ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デバイスおよび石灰化した脈管閉塞の処置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方法
US20050033347A1 (en) * 2003-07-30 2005-02-10 Scimed Life Systems, Inc. Embolic protection aspirator
US20070038239A1 (en) * 2003-05-27 2007-02-15 Ritchie James D Asymmetrically inflating flexi-tip gastroplasty calibration tube
US20180280664A1 (en) * 2013-03-15 2018-10-04 Robert E. Michler Heart Vent Catheter and Method of Use
US20210321867A1 (en) * 2019-01-09 2021-10-21 Vena Medical Holdings Corp. Cerebrovascular pathology viewing and treatme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064A (ja) * 1988-08-03 1990-02-23 Toa O カテーテルを用いた血管内血栓の血栓除去装置
AU2017254847A1 (en) * 2016-11-28 2018-06-14 Neuravi Limited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al of acute blockages from blood vessels
KR102371973B1 (ko) 2019-10-10 2022-03-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전 배출이 가능한 혈전제거 카테터 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560A (ja) * 1999-08-27 2003-07-29 コラ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デバイスおよび石灰化した脈管閉塞の処置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方法
US20070038239A1 (en) * 2003-05-27 2007-02-15 Ritchie James D Asymmetrically inflating flexi-tip gastroplasty calibration tube
US20050033347A1 (en) * 2003-07-30 2005-02-10 Scimed Life Systems, Inc. Embolic protection aspirator
US20180280664A1 (en) * 2013-03-15 2018-10-04 Robert E. Michler Heart Vent Catheter and Method of Use
US20210321867A1 (en) * 2019-01-09 2021-10-21 Vena Medical Holdings Corp. Cerebrovascular pathology viewing and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725A (ko) 2023-06-09
KR102608437B1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101453A1 (ko) 풍선 가이드 카테터
US4198960A (en) Apparatus for removing a foreign matter having individually operable trapping and flexing wires, a central channel for illumination, suction and injection and a laterally disposed bore for feeding fluids
CN103327882A (zh) 子宫镜检查系统
WO2012030101A2 (ko)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WO2016064077A1 (en) Catheter assembly
WO2016089002A1 (ko) 스네어
WO2011102653A2 (ko) 마이크로카데터를 이용한 스텐트 전달장치
WO2017146470A1 (ko) 안전 카테터 조립체
JPH0543114U (ja) 自走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内視鏡
WO2021246724A1 (ko) 결석 제거 장치
WO2021025440A2 (ko) 혈전 포집용 그물망과 혈전 흡입 카테터를 이용한 하지정맥 혈전 제거기 및 그 이용 방법
US20210260335A1 (en) Medical therapy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18124554A1 (ko) 내시경 커버 장착장치
JP7154317B2 (ja) オーバーチューブ
US11406245B2 (en) Overtube
WO2021020751A1 (ko) 카테터 시스템
US20200330082A1 (en) Endoscopic Cannula for Fallopian Tube Access
GB2501490A (en) Catheter for removing objects from body passages
KR20190054831A (ko)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WO2011081293A2 (ko) 질 스페큘럼
CN211560264U (zh) 鼻腔保护套及鼻腔保护装置
CN112587202A (zh) 一种血栓抽吸导管
JP3963577B2 (ja) 管内抽水装置
EP3310241A1 (en) Endoscopic device with drip flange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an operative procedure
WO2019212154A1 (ko) 확장 시술용 캐뉼라 삽입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018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