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831A -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831A
KR20190054831A KR1020170151836A KR20170151836A KR20190054831A KR 20190054831 A KR20190054831 A KR 20190054831A KR 1020170151836 A KR1020170151836 A KR 1020170151836A KR 20170151836 A KR20170151836 A KR 20170151836A KR 20190054831 A KR20190054831 A KR 2019005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branches
branch
patien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대구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1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831A/ko
Publication of KR2019005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0031
    • A61M1/0011
    • A61M1/0072
    • A61M1/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4Containers with integrated suction means
    • A61M1/68Containers incorporating a flexible member creating suction
    • A61M1/682Containers incorporating a flexible member creating suction bulb-type, e.g. nasal mucus a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2Membrane pumps, e.g. bul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 및 상기 드레인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드레인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 및 상기 드레인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드레인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을 포함하는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1) 상기 드레인의 일단이,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단계, (2) 환자의 환부에 삽입된, 상기 단계 (1)의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의 방향이,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조절되는 단계, 및 (3) 상기 흡인통이, 상기 단계 (2)에서 조절된 드레인의 각각의 가지를 통하여 분비물을 흡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따르면,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 및 드레인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드레인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드레인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신체 내부의 여러 부위에서 체액 등을 흡인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개의 드레인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해야만 함으로써, 환자의 몸에 다수의 수술 자국을 남게 하고, 하나의 드레인을 신체에 삽입하였을 때보다도 더 환자의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하는, 기존 드레인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의 일단에는,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을 흡인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포함되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거나, 각각의 가지의 굵기가 상이하도록 하여,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환부에 필요한 흡인 정도에 따라 흡인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은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일단과,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일단과 타단은 일체화된 구조로 일단과 타단의 결합 부위가 별도로 없어, 결합 부위의 틈으로 인하여 흡인되는 분비물이 흘러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는, 환자의 신체에 삽입시킨 후에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이나 체액, 진물 등을 효율적으로 흡인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일단의 복수개의 가지의 굵기 합이 타단의 하나의 가지의 굵기보다 작도록 하여, 환자의 신체에서 복수개의 가지, 즉 드레인의 일단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A SUCTION DRAIN APPARATUS HAVING TWO OR MORE BRANCHE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과, 산부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성형외과, 이비인후과, 비뇨기과 등 여러 과의 여러 영역에서 수술 후에 수술 부위에서 발생하는 혈액이나 체액 등을 배출하기 위하여 드레인(drain)을 사용하며, 도 1은 일반적인 드레인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일반적인 드레인의 경우, 신체의 한 부위를 통하여 삽입하고, 삽입된 드레인으로 신체 내부의 특정 부분에 대하여, 수술 부위에서 발생된 혈액이나, 체액, 진물 등을 배출시킨다. 신체 내부의 여러 부위에서 혈액이나 체액, 진물 등을 배출해야 하는 경우, 각각의 부위에 따라, 신체에 다수개의 드레인을 삽입해야 한다. 이러한 드레인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47800호(발명의 명칭: 체액 드레인 장치) 등이 있다.
도 2는 드레인을 삽입하였던 자국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2에 나타낸 사진을 통하여, 드레인을 삽입하기 위하여는 환자의 신체에 구멍을 내야만 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구멍은 드레인을 환자의 몸에서 제거한 후에도, 환자에게 수술 자국을 남기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신체 내부의 여러 부위에서 체액 등을 배출해야 하는 경우, 다수개의 드레인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하는 것은, 환자의 몸에 다수의 수술 자국을 남게 하는 것이며, 하나의 드레인을 신체에 삽입하였을 때보다도 더 환자의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한다는 문제가 있다.
기존의 드레인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이나 체액, 진물 등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와 관련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 및 드레인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드레인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드레인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신체 내부의 여러 부위에서 체액 등을 흡인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개의 드레인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해야만 함으로써, 환자의 몸에 다수의 수술 자국을 남게 하고, 하나의 드레인을 신체에 삽입하였을 때보다도 더 환자의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하는, 기존 드레인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의 일단에는,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을 흡인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포함되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거나, 각각의 가지의 굵기가 상이하도록 하여,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환부에 필요한 흡인 정도에 따라 흡인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드레인은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일단과,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일단과 타단은 일체화된 구조로 일단과 타단의 결합 부위가 별도로 없어, 결합 부위의 틈으로 인하여 흡인되는 분비물이 흘러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는, 환자의 신체에 삽입시킨 후에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이나 체액, 진물 등을 효율적으로 흡인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일단의 복수개의 가지의 굵기 합이 타단의 하나의 가지의 굵기보다 작도록 하여, 환자의 신체에서 복수개의 가지, 즉 드레인의 일단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는,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 및
상기 드레인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드레인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단의 복수개의 가지의 굵기 합이 상기 타단의 하나의 가지의 굵기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의 일단에는,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을 흡인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포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크기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크기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레인은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일단과,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은 일체화된 구조인, 유연한 재질로 된 튜브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인 일단은, 환자의 신체에 삽입시킨 후에 방향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레인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레인은,
라텍스, 실리콘, 폴리염화비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 및 상기 드레인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드레인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을 포함하는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1) 상기 드레인의 일단이,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단계;
(2) 환자의 환부에 삽입된, 상기 단계 (1)의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의 방향이,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조절되는 단계; 및
(3) 상기 흡인통이, 상기 단계 (2)에서 조절된 드레인의 각각의 가지를 통하여 분비물을 흡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의 일단에는,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을 흡인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포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크기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크기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레인은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일단과,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은 일체화된 구조인, 유연한 재질로 된 튜브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인 일단은, 환자의 신체에 삽입시킨 후에 방향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레인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따르면,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 및 드레인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드레인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드레인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신체 내부의 여러 부위에서 체액 등을 흡인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개의 드레인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해야만 함으로써, 환자의 몸에 다수의 수술 자국을 남게 하고, 하나의 드레인을 신체에 삽입하였을 때보다도 더 환자의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하는, 기존 드레인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의 일단에는,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을 흡인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포함되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거나, 각각의 가지의 굵기가 상이하도록 하여,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환부에 필요한 흡인 정도에 따라 흡인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은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일단과,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일단과 타단은 일체화된 구조로 일단과 타단의 결합 부위가 별도로 없어, 결합 부위의 틈으로 인하여 흡인되는 분비물이 흘러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는, 환자의 신체에 삽입시킨 후에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이나 체액, 진물 등을 효율적으로 흡인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일단의 복수개의 가지의 굵기 합이 타단의 하나의 가지의 굵기보다 작도록 하여, 환자의 신체에서 복수개의 가지, 즉 드레인의 일단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레인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드레인을 삽입하였던 자국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사진.
도 3은 일반적인 흡입 드레인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환자의 몸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일반적인 흡입 드레인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3에 나타낸 일반적인 흡입 드레인 장치는, 드레인 하나에서 하나의 신체 내부의 혈액이나 체액, 진물 등을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수의 신체 부위에서 혈액 등을 배출해야 하는 경우, 각각의 부위에 따라, 신체에 다수개의 드레인을 삽입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환자의 신체에 다수개의 구멍을 내야만 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구멍은 드레인을 환자의 몸에서 제거한 후에도, 환자에게 수술 자국을 남기게 되고, 하나의 드레인을 신체에 삽입하였을 때보다 환자의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한다는 문제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10)는,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100), 및 드레인(100)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드레인(100)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200)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드레인(100)은,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어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흡인통(200)은 드레인(100)의 각각의 가지를 통하여 배출되는 분비물들을 흡인하는 역할을 하며, 흡인된 분비물을 모아두는 저장소와 같은 역할을 한다.
드레인(100)의 일단은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이며, 일단의 복수개의 가지 각각의 굵기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일단의 복수개의 가지의 굵기 합이 타단의 하나의 가지의 굵기보다 작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신체에서 복수개의 가지를 환자의 몸 밖으로 빼내는 과정, 즉, 드레인의 일단을 환자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드레인(100)의 일단에 3개의 가지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100)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라텍스, 실리콘, 폴리염화비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나, 물론, 상기에 나열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드레인(100)은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일단과,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일단과 타단은 일체화된 구조인, 유연한 재질로 된 튜브 형상이다. 일단과 타단은 일체화된 구조로 일단과 타단의 결합 부위가 별도로 없어, 결합 부위의 틈으로 인하여 흡인되는 분비물이 흘러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100)의 복수개의 가지의 일단에는,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을 흡인하는 하나 이상의 홀(110)이 포함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110)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동일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110)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홀(110)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가지의 굵기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이 상이해지는바, 굵기의 차이를 이용하여 흡인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10)에 있어서, 드레인(100)의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110)의 크기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110)의 크기를,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홀(110)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각각의 환부에 필요한 흡인 정도에 따라 흡인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환자의 몸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10)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이나 체액, 진물 등을 흡인하여 배출시키는 경우, 하나의 드레인(100)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신체 내부의 여러 부위에서 체액 등을 흡인할 수 있으며, 이로써, 최소한의 수술 자국을 남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100)의 복수개의 가지는, 환자의 신체에 삽입시킨 후에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이나 체액, 진물 등을 효율적으로 흡인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의의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10)를 이용하는 방법은,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100), 및 드레인(100)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드레인(100)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200)을 포함하는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드레인(100)의 일단이,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단계(S100), 환자의 환부에 삽입된, 단계 S100의 드레인(100)의 복수개의 가지의 방향이,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조절되는 단계(S200), 및 흡인통(200)이, 단계 S200에서 조절된 드레인(100)의 각각의 가지를 통하여 분비물을 흡인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단계들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들은,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10)와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따르면,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 및 드레인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드레인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드레인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신체 내부의 여러 부위에서 체액 등을 흡인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개의 드레인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해야만 함으로써, 환자의 몸에 다수의 수술 자국을 남게 하고, 하나의 드레인을 신체에 삽입하였을 때보다도 더 환자의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하는, 기존 드레인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의 일단에는,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을 흡인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포함되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거나, 각각의 가지의 굵기가 상이하도록 하여,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환부에 필요한 흡인 정도에 따라 흡인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드레인은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일단과,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일단과 타단은 일체화된 구조로 일단과 타단의 결합 부위가 별도로 없어, 결합 부위의 틈으로 인하여 흡인되는 분비물이 흘러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는, 환자의 신체에 삽입시킨 후에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이나 체액, 진물 등을 효율적으로 흡인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일단의 복수개의 가지의 굵기 합이 타단의 하나의 가지의 굵기보다 작도록 하여, 환자의 신체에서 복수개의 가지, 즉 드레인의 일단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100: 드레인
110: 홀
200: 흡인통

Claims (20)

  1.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 및
    상기 드레인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드레인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의 복수개의 가지의 굵기 합이 상기 타단의 하나의 가지의 굵기보다 작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의 일단에는,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을 흡인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크기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크기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은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일단과,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은 일체화된 구조인, 유연한 재질로 된 튜브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인 일단은, 환자의 신체에 삽입시킨 후에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은,
    라텍스, 실리콘, 폴리염화비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12. 드레인 장치로서,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드레인; 및 상기 드레인의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드레인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분비물을 흡인하는 흡인통을 포함하는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1) 상기 드레인의 일단이,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단계;
    (2) 환자의 환부에 삽입된, 상기 단계 (1)의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의 방향이,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조절되는 단계; 및
    (3) 상기 흡인통이, 상기 단계 (2)에서 조절된 드레인의 각각의 가지를 통하여 분비물을 흡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의 일단에는, 환자의 신체 내의 분비물을 흡인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가지에 따른 흡인력을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크기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지에 포함된 홀의 크기는, 각각의 가지에 따라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은 복수개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일단과, 하나의 가지를 갖는 형태의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은 일체화된 구조인, 유연한 재질로 된 튜브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의 복수개의 가지인 일단은, 환자의 신체에 삽입시킨 후에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KR1020170151836A 2017-11-14 2017-11-14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20190054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836A KR20190054831A (ko) 2017-11-14 2017-11-14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836A KR20190054831A (ko) 2017-11-14 2017-11-14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831A true KR20190054831A (ko) 2019-05-22

Family

ID=6668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836A KR20190054831A (ko) 2017-11-14 2017-11-14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48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408A (ko) * 2020-01-10 2021-07-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액관
KR20220050354A (ko) * 2020-10-16 2022-04-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408A (ko) * 2020-01-10 2021-07-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액관
KR20220050354A (ko) * 2020-10-16 2022-04-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835B2 (en) Compliant guard for use with an aspiration instrument
EP0375676A1 (en) A drainage tube for sinus maxillaris, a means for its insertion and a means for making a hole for its positioning
US8529546B2 (en) Sinusal guide cannula and kit for irrigation, suction and washing
EP3081238A2 (en) Suction-irrigation head
CA2576423A1 (en) Sterile tubing sheath
KR20190054831A (ko) 2개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흡입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346089B1 (ko) 배액관
US10973504B2 (en) Retractor suction catheter
JP2005211453A (ja) 内視鏡
US9930918B2 (en) Hands-free suctioning device
CN101454043B (zh) 伤口抽吸钉装置
US9649416B2 (en) Retractor suction catheter
CN209662396U (zh) 一种防堵塞引流管
CN205759117U (zh) 嵌入式腹腔双套管
US20150005737A1 (en) Withdrawal catheter and method
ES2941335T3 (es) Sistema y método de desatasco por aspiración
KR20190054809A (ko) 환자의 몸에 고정된 상태로 샤워가 가능하도록 하는 드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JP2016013436A (ja) バルトリン管膿瘍の治療のための排膿管
CN205849863U (zh) 用于骨科手术的防堵塞负压吸引器
CN213432053U (zh) 一种用于持续冲洗的引流液收集装置
RU4592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ружного дренирования псевдокист поджелудочной железы
KR20200025041A (ko)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
CN106137407A (zh) 一种新型骨科手术用吸引器
US20220379004A1 (en) Drug assisted wound drainage line
KR200488954Y1 (ko) 의료용 흡입기의 배액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