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041A -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 - Google Patents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041A
KR20200025041A KR1020180101820A KR20180101820A KR20200025041A KR 20200025041 A KR20200025041 A KR 20200025041A KR 1020180101820 A KR1020180101820 A KR 1020180101820A KR 20180101820 A KR20180101820 A KR 20180101820A KR 20200025041 A KR20200025041 A KR 20200025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catheter
patient
urine ba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841B1 (ko
Inventor
김두원
Original Assignee
김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원 filed Critical 김두원
Priority to KR102018010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8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M1/002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0Gravity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4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pre-formed, e.g. specially adapted to fit with the anatomy of body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이 꺾여서 소변배출이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소변검사를 위해 오염되지 않은 소변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으며, 내부에 소변찌꺼기가 쌓이지 않도록 세척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Indwelling urinary catheter and urine bag}
본 발명은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이 꺾여서 소변배출이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소변검사를 위해 오염되지 않은 소변검체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으며, 내부에 소변찌꺼기가 쌓이지 않도록 세척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유치도뇨관은 환자의 방광 내 소변을 배출하기 위한 요도 카테터로서, 선단부에 소변유입구와 풍선형태로 팽창가능한 유치수단이 구비된 도뇨관체를 가지며, 도뇨관체에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유치수단에 증류수를 공급하는 증류수공급관이 구비되며, 상기 도뇨관체의 기단부에는 상기 증류수공급관이 연장되도록 도뇨관체에서 분기된 분기관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치도뇨관은 도뇨관체의 선단부를 환자의 방광에 삽입하고 유치수단을 팽창시켜서 방광에 유치한 다음, 도뇨관체의 기단부에 소변주머니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거동이 가능한 환자의 경우에는 흔히, 소변주머니를 허벅지나 종아리에 고정시키고, 거동이 힘든 환자의 경우에는 소변주머니를 침대 프레임에 걸어 놓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유치도뇨관은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도뇨관체가 꺾여서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소변찌꺼기가 도뇨관체 내벽에 쌓여 관체가 막히게 되어서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특히, 신장기능이 약하여 소변의 점도가 높은 경우나 혈뇨를 보는 등의 경우에는 소변에 찌꺼기가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찌꺼기에 의해 도뇨관체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유치도뇨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기 소변주머니는 주머니본체와 주머니본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유치도뇨관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연결튜브로 이루어지는데, 다양한 상황에 범용성 있게 사용하기 위해 소변주머니의 연결튜브는 비교적 긴 길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소변주머니의 연결튜브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거동이 가능한 환자의 경우에는 연결튜브가 움직임에 방해가 되어 불편하며, 특히,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튜브가 꺾여서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또한, 환자의 소변을 검사하기 위해 소변을 채취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소변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소변주머니를 유치도뇨관에서 분리하여 유치도뇨관의 기단부를 통해 소변을 채취하고, 다시 소변주머니를 연결하거나 또는 유치도뇨관을 주사바늘로 찔러서 소변을 채취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번거롭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3-0003496호(2003. 01. 1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이 꺾여서 소변배출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범용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소변검사를 위해 오염되지 않은 소변검체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으며, 내부 세척도 용이하여 소변찌꺼기에 의해 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선단부는 환자의 소변이 유입되는 소변유입구(12)와 풍선형태로 팽창되는 유치수단(14)이 구비되어 환자의 방광에 삽입되는 방광삽입부(16)를 이루며, 내부는 상기 소변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이 배출되는 소변배출로를 형성하는 도뇨관체(10); 선단이 상기 유치수단(14)에 연결되도록 상기 도뇨관체(10) 내부에 구비되고, 기단부는 상기 도뇨관체(10)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유치수단(14)에 증류수를 공급하는 증류수공급관(20); 및 상기 도뇨관체(10)의 기단부(17)에서 분기되어 상기 증류수공급관(20)의 기단부를 커버하는 분기관(22);을 포함하는 유치도뇨관에 있어서, 상기 도뇨관체(10)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주름관부(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도뇨관(100)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변이 저장되는 소변주머니본체(32); 및 상기 소변주머니본체(32)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선단에는 연결팁(34)이 구비된 연결관(36);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36)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주름관부(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주머니(20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관(36)과 연결팁(34) 사이에는 쓰리웨이밸브(50)가 구비되어, 상기 쓰리웨이밸브(50)를 통해 환자의 소변을 채취할 수 있도록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유치도뇨관의 도뇨관체와 소변주머니의 유치도뇨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의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으로 이루어져서, 유치도뇨관과 소변주머니의 연결관이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되고 부드럽게 만곡되기 때문에 유치도뇨관이나 수변주머니의 연결관이 꺾이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관이 꺾여서 소변배출이 막히는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의 연결관이 길이방향으로 신축되기 때문에, 이들의 길이를 다소 짧은 길이로 형성하여도 상황에 따라 범용성있게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소변주머니의 경우에 연결관의 길이가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연결관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서 환자의 움직임에 불편함을 초래하였던 문제점도 해소된다.
또, 소변주머니의 연결관에 쓰리웨이밸브가 구비되면, 쓰리웨이밸브를 통해소변검체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쓰리웨이밸브를 통해 유치도뇨관 또는 소변주머니의 연결관으로 세척액을 주입하여 유치도뇨관의 도뇨관체 또는 연결관 내부에 쌓인 소변찌꺼기를 세척할 수 있으므로, 소변찌꺼기에 의해 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도뇨관체 및 연결관의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주름관부 내부에 소변찌꺼기가 상대적으로 더 잘 쌓이게 되므로 도뇨관체 및 연결관의 세척의 필요성이 더욱 높으므로, 본 발명에서 쓰리웨이밸브가 구비된 구성은 상당히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치도뇨관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치도뇨관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의 외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의 외관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치도뇨관의 외관도로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방광에 유치되는 유치도뇨관(100)이다.
이러한 유치도뇨관은 도뇨관체(10)를 포함하는데, 도뇨관체(10)의 선단부는 환자의 소변이 유입되는 소변유입구(12)와 풍선형태로 팽창되는 유치수단(14)이 구비되어 환자의 방광에 삽입되는 방광삽입부(16)를 이루며. 도뇨관체(10)의 내부는 상기 소변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이 배출되는 소변배출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도뇨관체(10)의 기단부(17)는 소변주머니와 연결되어 도뇨관체(10)에 배출되는 소변은 소변주머니에 저장된다.
그리고 도뇨관체(10)의 내부에는 선단부가 상기 유치수단(14)에 연결되어 유치수단(14)에 유치수단을 부풀리기 위한 유체인 증류수를 공급하는 증류수공급관(20)이 구비되는데, 증류수공급관(20)의 기단부는 도뇨관체(10) 외부로 돌출되고, 도뇨관체(10)의 기단부(17)에는 상기 증류수공급관(20)의 기단부를 커버하도록 분기된 분기관(24)이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25는 증류수를 주입 및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분기관(24)의 단부에 구비된 포트(25)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뇨관체(10)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주름관부(18)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뇨관체(10)의 방광삽입부(16)와 기단부(17)를 제외하고 도뇨관체(10)가 전체적으로 주름관부(18)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와 같이 도뇨관체(10)의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부(18)로 이루어지면, 유치도뇨관을 장착한 상태에서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도뇨관체(10)가 신축되고 부드럽게 만곡되기 때문에 유치도뇨관에 의해 환자가 움직이는데 방해되지 않고 불편함이 적으며, 특히, 도뇨관체(10)가 꺾여서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종래의 문제점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도뇨관체(10)가 주름관부(18)에 의해 신축되기 때문에 도뇨관체(1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하여도 환자의 신체조건이나 착용 상황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지 않고 범용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주름관부(18)가 도뇨관체(10)의 기단부(17)에서 선단 측으로 다소 이격된 위치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유치도뇨관(10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소변주머니(200)를 보인 것이다.
소변주머니(200)는 소변이 저장되는 소변주머니본체(32)와, 소변주머니본체(32)의 상단에 연결되어 선단에는 유치도뇨관(100)의 기단부(17)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팁(34)이 구비된 연결관(36)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연결관(36)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주름관부(38)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연결관(34)의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부(38)로 이루어짐에 따라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관(36)이 부드럽게 만곡되기 때문에 연결관(36)이 꺾여서 소변이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관(36)의 길이가 신축되기 때문에 연결관(36)을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하여도 상황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지 않고 범용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변주머니(200)를 수술용, 병상용, 거동가능한 환자용 등으로 구분하여 연결관(36)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관(36)에 주름관부(38)가 형성되어 연결관(36)의 길이가 신축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연결관(36)의 길이를 다소 짧게 형성하여도 사용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연결관(36)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서 사용에 불편함이 초래되는 종래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소변주머니(200)의 변형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36)의 선단부에 쓰리웨이밸브(3방향밸브)(50)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관(36)과 연결팁(34) 사이에 쓰리웨이밸브(50)가 구비되는데, 쓰리웨이밸브(50)의 3개의 단부(51,52,53) 중에서 상호 대향되게 위치되어 직선상에 위치되는 2개의 단부(51,52)가 각각 연결관(36)과 연결팁(34)에 결합되고, 이들 단부에 직교되는 나머지 단부(53)에는 소변을 채취하기 위한 포터(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소변검사를 위해 환자의 소변을 채취하여야 하는 경우에 쓰리웨이밸브(50)를 조작하여 소변주머니본체(32) 측으로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포터(52)와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여 소변을 채취한다.
이와 같이 소변주머니(200)에 쓰리웨이밸브(50)가 구비됨에 따라 환자의 소변을 채취하기 위해 소변주머니(200)를 유치도뇨관(100)에서 분리하고 다시 연결하는 등의 수고를 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소변을 채취할 수 있다. 특히, 쓰리웨이밸브(50)가 연결관(36)의 선단부에 위치됨에 따라 소변주머니(200)로 유입되기 직전의 상대적으로 오염이 덜 된 소변을 채취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한편, 신장기능이 약하여 소변의 점도가 높은 경우나 혈뇨를 보는 등의 경우에는 소변에 찌꺼기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소변찌꺼기가 도뇨관체(10) 및 연결관(36)에 쌓이면 도뇨관체(10) 및 연결관(36)이 막혀서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도뇨관체(10) 및 연결관(36)을 세척해주어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소변주머니(200)의 연결관(36) 쓰리웨이밸브(50)가 구비되면, 쓰리웨이밸브(50)를 통해 세척액을 주입하여 도뇨관체(10)와 연결관(36)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쓰리웨이밸브(50)를 조절하여 세척액이 도뇨관체(10)로 주입되거나 연결관(36) 및 소변주머니본체(32) 쪽으로 주입되도록 조절하여 도뇨관체(10) 및 연결관(36)을 세척한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도뇨관체(10) 및 연결관(36)의 일부가 주름관부(18,38)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주름관부(18,38) 내에 소변찌꺼기가 종래의 도뇨관체나 연결관에 비해 더 쉽게 쌓이게 되므로 도뇨관체(10) 및 연결관(36)을 세척해 주어야 할 필요성이 더 높아지므로, 이러한 발명에 쓰리웨이밸브(50)를 연결시키는 것은 상당히 유용하다.

Claims (4)

  1. 선단부는 환자의 소변이 유입되는 소변유입구(12)와 풍선형태로 팽창되는 유치수단(14)이 구비되어 환자의 방광에 삽입되는 방광삽입부(16)를 이루며, 내부는 상기 소변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이 배출되는 소변배출로를 형성하는 도뇨관체(10);
    선단이 상기 유치수단(14)에 연결되도록 상기 도뇨관체(10) 내부에 구비되고, 기단부는 상기 도뇨관체(10)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유치수단(14)에 증류수를 공급하는 증류수공급관(20);
    상기 도뇨관체(10)의 기단부(17)에서 분기되어 상기 증류수공급관(20)의 기단부를 커버하는 분기관(22);을 포함하는 유치도뇨관에 있어서,
    상기 도뇨관체(10)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주름관부(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도뇨관(100).
  2. 소변이 저장되는 소변주머니본체(32);
    상기 소변주머니본체(32)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선단에는 연결팁(34)이 구비된 연결관(36);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36)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주름관부(38)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주머니(2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6)과 연결팁(34) 사이에는 쓰리웨이밸브(50)가 구비되어,
    상기 쓰리웨이밸브(50)를 통해 환자의 소변을 채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주머니.
  4. 선단부는 환자의 소변이 유입되는 소변유입구(12)와 풍선형태로 팽창되는 유치수단(14)이 구비되어 환자의 방광에 삽입되는 방광삽입부(16)를 이루고, 내부는 상기 소변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이 배출되는 소변배출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주름관부(18)로 이루어진 도뇨관체(10)를 포함하는 유치도뇨관(100); 및
    소변이 저장되는 소변주머니본체(32)와, 상기 소변주머니본체(32)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선단에는 상기 도뇨관체(10)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연결팁(34)이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주름관부(38)로 이루어진 소변주머니(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 세트.
KR1020180101820A 2018-08-29 2018-08-29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 KR102163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20A KR102163841B1 (ko) 2018-08-29 2018-08-29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20A KR102163841B1 (ko) 2018-08-29 2018-08-29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41A true KR20200025041A (ko) 2020-03-10
KR102163841B1 KR102163841B1 (ko) 2020-10-12

Family

ID=6980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820A KR102163841B1 (ko) 2018-08-29 2018-08-29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8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6782A1 (en) * 2020-08-25 2022-03-03 Angele Innovations, Llc Device for in-flight urine elimin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496A (ko) 2001-07-03 2003-01-10 김기웅 안전 방광내 유치 풍선형 도뇨관
US20070244468A1 (en) * 2006-04-13 2007-10-18 Nick Kostandaras Safety Device for Use with Catheters
US20170224977A1 (en) * 2016-02-08 2017-08-10 Webb Medical LLC Urinary catheter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of irrigating a urinary catheter
KR101831101B1 (ko) * 2017-01-02 2018-02-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소변 채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496A (ko) 2001-07-03 2003-01-10 김기웅 안전 방광내 유치 풍선형 도뇨관
US20070244468A1 (en) * 2006-04-13 2007-10-18 Nick Kostandaras Safety Device for Use with Catheters
US20170224977A1 (en) * 2016-02-08 2017-08-10 Webb Medical LLC Urinary catheter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of irrigating a urinary catheter
KR101831101B1 (ko) * 2017-01-02 2018-02-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소변 채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6782A1 (en) * 2020-08-25 2022-03-03 Angele Innovations, Llc Device for in-flight urine eli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841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25729A1 (en) Transanal colorectal irrigators
JP6467255B2 (ja) 結石回収装置
US10668249B2 (en) Clean intermittent catheter having external flow paths
CN107427669B (zh) 球囊导管用单元以及尿道留置球囊导管
CN102458218A (zh) 带流体清洁的内窥镜系统
JP2015181940A (ja) 結石回収装置
KR20200025041A (ko)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
US9108020B1 (en) Female urethral catheterization device
CN207640727U (zh) 普外科冲洗装置
CN107007923B (zh) 多功能导尿管
CN106730255B (zh) 留置导尿管及导尿组件
US7857807B2 (en) Intra-urethral catheters
JP3120415B2 (ja) 洗浄吸引カテーテル
CN210020532U (zh) 一种新型泌尿外科用导尿装置
JP2004357846A (ja) 注腸カテーテル
CN210963312U (zh) 一种三腔密闭式可收集灌肠器
CN208710640U (zh) 一种可伸缩适时塑形的冲洗装置
CN203564635U (zh) 医用引流管
CN206688007U (zh) 留置导尿管及导尿组件
CN217697424U (zh) 一种尿道引流装置
CN216777716U (zh) 一种泌尿外科手术导尿管
CN109199530A (zh) 一种具有清洁血块、组织碎片功能的引流管组件
CN216222495U (zh) 一种普外科用术前灌肠装置
CN213189458U (zh) 一种泌尿科输尿管软镜冲洗器
CN217854029U (zh) 一种肠道持续灌洗一体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