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01300A1 - 차량 후석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후석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01300A1
WO2023101300A1 PCT/KR2022/018595 KR2022018595W WO2023101300A1 WO 2023101300 A1 WO2023101300 A1 WO 2023101300A1 KR 2022018595 W KR2022018595 W KR 2022018595W WO 2023101300 A1 WO2023101300 A1 WO 202310130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rear seat
electric heater
vehicl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85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태완
엄세동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5672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81639A/ko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DE112022001869.0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22001869T5/de
Publication of WO202310130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013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9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comprising additional venti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28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42Devices in the rear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the rear seat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for the rear seat of a vehicle configured to discharge air to a console vent, a rear seat floor vent, and a B-Pillar by being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for the front seat of a vehicle.
  •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by introducing air from outside the vehicle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or heating or cool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vehicle.
  • the evaporator, a heater core for heating, and air cooled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core are selectively blown to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using a door for switching a blowing mod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rear seat air conditioner.
  •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configured to enable independent air volume control in three zones (driver's seat, front passenger's seat, rear seat).
  • the conventional rear seat air conditioner 10 is connected to the front seat air conditioner to receive air conditioning air and discharge it into the vehicle interior.
  • An air conditioner for all seats in a vehicle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a cooling unit and a heating unit, and a temp door and a mode door.
  • An air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blowing unit for forcibly blowing air into the air passage is provided.
  • the cooling means and the heating means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 the cool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n evaporator, and the heat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 heater core.
  • the temp door is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and controls the opening of the cold air passage bypassing the heater core and the warm ai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 the mode door controls the opening of the air outlet.
  •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 is connected to the front seat air conditioner on one side to form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side, and a blower 30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air inlet.
  •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 includes a mod duct 20, and the mod duct 20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blower 30 through a connection duct 12. Inside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 a mode door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blower 30 in the air flow direction.
  • air conditioning wind selectively flows into the console vent 15 or the mode duct 20.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modduct 20 selectively flows toward the rear seat floor vent 13 or the B-pillar 14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installed inside the modduct 20 .
  •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 includes a separate PTC heater as an electric heater to improve the heating performance of the rear seat.
  • the air conditioner for the rear seat of a vehicle can improve the comfort o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y improv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nsole vent and the B-pillar and minimizing the temperature rise on the side of the console vent.
  • the vehicle rear sea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rear seat air conditioner that is connected to the front seat air conditioner and supplies air conditioning air to the rear seat side of the vehicle, wherei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ront seat air conditioner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for discharging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 the outlet includes a first outlet and a second outlet
  • the electric heater includes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and in an air conditioning mode in which air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in an area close to the second outlet. Only the heating part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 heater part is operated.
  • the discharge port has a first discharge port and a second discharge port formed below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suppresses air flowing toward the second discharge port downstream of the electric heater in an air flow direction from flowing backward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 a backflow prevention means is provided.
  • Partition walls extending parallel to the air flow direction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electric heater.
  • a mode door is provided in the case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the partition wall is disposed between the electric heater and the mode door.
  • the barrier rib is disposed above the middle portion of the electric hea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heater is guid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by the partition wall, respectively.
  • an air conditioning mode in which a mode door is provided in the case to adjust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outlet and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outlet, and air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another air conditioning mode In comparison, a control unit for feeding back the driving voltage value to the driving unit of the mode door is provided so that the mode door is more closed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 a mode door is provided in the case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a door seal is provided along the rim of the mode door to flow air flow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 a case seal filling a gap with the mode door is further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and the case seal is partially formed only in an air flow path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 a tail seal filling a gap with the case is further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de door.
  • vent mode In the vent mode or bi-level mode, only some of the heating units located below the electric heater are controlled to operate, and the number of operating heating units is controlled to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inactive heating units.
  • the case is provided with a blower for blowing air throug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nd the blower is disposed upstream of the electric heater in the air flow direction.
  • the electric heate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outlets and partially operates to heat only air discharged through a specific outlet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according to an air conditioning mode.
  • the air conditioner for the rear seat of a vehicle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for the front seat and supplies air conditioning air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wherei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for the front seat and the other side discharges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includes a discharge duct, and the discharge ducts have different lengths.
  • control unit controls only a partial area of the electric heater to generate heat.
  • the area where the electric heater generates heat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where the length of the discharge duct is relatively long.
  • Control of generating heat in only a part of the electric heater is entered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below a certain temperature, the battery voltage is above a certain volt, the blower is above a certain number of stages, and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for the rear seats i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 the control of generating heat in only a part of the electric heater is performed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specific temperature, the battery voltage is lower than a specific volt, the blower is OFF or the lowest stage, and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rear seat is higher than a specific temperature. is released
  • the air conditioner for the rear seat of a vehicle can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B-filament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temperature increas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console vent.
  •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nsole vent and the B-pillar side can be improved, and the comfort o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temperature rise on the console vent sid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ar seat air conditioner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eat air conditioner and a rear sea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rear sea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of a rear sea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6 and 7 are views illustrating feedback control according to an air conditioning mode of a rear sea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composed of a front seat air conditioner 300 and a rear seat air conditioner 100.
  •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0 is connected to the front seat air conditioner 300 to receive air conditioning air and discharge it into the vehicle interior.
  • the electric seat air conditioner 300 includes a main case 310, a blowing unit 400, a cooling means and a heating means, a temp door and an electric seat mode door.
  • An air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main case 310, an air inlet is formed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 the blow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blow internal or external air through the air passage inside the main case 310 .
  • the cooling means and the heating means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side the main case 310 .
  • the cool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n evaporator, and the heat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 heater core.
  • the temp door is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and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by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cold air passage bypassing the heater core and the warm ai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 the front seat mode door adjusts the opening of a plurality of air outlets.
  • the front seat mode door includes a dip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defrost vent, a vent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face vent, and a floor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floor vent.
  •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0 is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air outlets of the front seat air conditioner 300 and is configured to supply cooled or heated air conditioning air to the rear seat side of the vehicle through an evaporator or a heater core.
  •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0 includes a case 101, a blower 110, an electric heater 104, and a mode door 106.
  • the case 101 has an inlet 102 formed on one side, and the inlet 102 is connected to the front seat air conditioner 3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charging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01 .
  • the air conditioning air introduced from the front seat air conditioner 300 through the inlet 102 moves into the case 101 .
  • the outlet of the case 101 includes a first outlet 107 and a second outlet 108 .
  • the first outlet 107 is connected to a console vent for discharging air conditioning air toward the face of a passenger.
  • the second outlet 108 is connected to the rear seat floor vent 130 for discharging air conditioning air toward the feet of passengers and the B-filament vent 140 for discharging air conditioning air toward the upper side of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blower 110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inlet 102 of the case 101 in the air flow direction.
  • the blower 110 is composed of a blower motor and a blower wheel,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wind introduced from the inlet 102 can be blown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 the rotary shaft of the blower motor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lower wheel rotates horizontally.
  •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03 formed at the top of the blower 110 moves horizontally through the outlet port 109 by the blower 110 .
  • the blower 110 is disposed upstream of the electric heater 104 in the air flow direction.
  •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0 includes a mod duct 160, and the mod duct 160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blower 110 through a connection duct 120. Inside the mode duct 160, a door is provided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directed to the rear seat floor vent 130 and the amount of air directed to the B-pillar vent 140. That is, the downstream passage of the case 101 in the air flow direc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wo. One is the flow path of air heading to the console vent through the first outlet 107 opened at the top of the case 101, and the other is the mode duct through the second outlet 108 opened at the bottom of the case 101. It is a flow path of air toward (160).
  • the air flowing through the mod duct 160 selectively flows toward the rear seat floor vent 130 or the B-pillar vent 14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rotation operation of the door.
  • the air flowing toward the B-pillar vent 140 extend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mode duct 160 and moves along the B-pillar duct 170 extending upward, passing through the B-pillar vent 140 to the vehicle. discharged into the posterior
  • the first outlet 107 of the case 101 toward the console vent is located above the second outlet 108 of the case 101 toward the B-pillar vent 140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130.
  • the modduct 160 extends from the second outlet 108 of the case 101 toward the B-pillar vent 140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130 through the connection duct 120, and again the modduct ( A B-pillar 170 extends upward from 160 .
  • a B-filament 14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filament 170 so that air conditioning air is discharged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 the electric heater 104 is provided in the case 101 to heat the air passing through it. That is, the electric heater 104 is composed of a PTC heater that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heater 104 is heated.
  • the electric heater 104 has a plurality of operation areas, and the plurality of operation areas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air conditioning mode. That is, in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part of the electric heater 104 is operated in the first air conditioning mode.
  • the first air conditioning mode is an air conditioning mode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B-filament 140, and is a vent mode or a bi-level mode.
  • the electric heater 104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plurality of outlets and partially operates to heat only the air discharged through a specific outlet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mode.
  • the mode door 106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ase 101 in the air flow direction.
  • the mode door 106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electric heater 104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controls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07 and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108. As the mode door 106 rotat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heater 104 flows into the first outlet 107 or the second outlet 108 .
  • the mode door 106 closes the first discharge port 107 and opens only the second discharge port 108 so that all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heater 104 flows into the mode duct 160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130 ) or B-filament 140.
  • the mode door 106 closes the second discharge port 108 and opens only the first discharge port 107 so that all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heater 104 may be discharged to the console vent.
  • the mode door 106 opens both the first discharge port 107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08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heater 104 is directed to the console vent or the rear seat floor vent 130 or the B-filament vent. (140).
  • the electric heater 104 has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electric heater 104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111 , a second heating unit 112 and a third heating unit 113 .
  • the first heating unit 111, the second heating unit 112, and the third heating unit 113 are heating elements that generate heat when power is applied, and may be formed of PTC elements, and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op to bottom. The number of heating units may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ckage.
  •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0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is,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in which air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07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08, the control unit operates only the heating part of the electric heater 104 corresponding to the area close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108. control as much as possible
  •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of the electric heater 104 and controls only some of the heating units located below the electric heater 104 to operate in the vent mode or the bi-level mod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number of operating heating units to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inactive heating units.
  • the air conditioning mode in which air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107 and the second outlet 108 is a vent mode in which the air volume ratio between the first outlet 107 and the second outlet 108 is 5:5 or the first outlet ( 107)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08 may be in a bi-level mode in which the air volume ratio is 4:6.
  • the first heating unit 111 is not operated,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12 and the third heating unit ( 113) only works. Therefore, amo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heater 104,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elatively upper part is not heated by the first heating unit 111 and flows to the first outlet 107 at the upper part,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elatively middle and lower part is heated by the second heating unit 112 and the third heating unit 113 and flows into the second outlet 108 at the bottom.
  •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0 includes a backflow prevention means.
  •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lectric heater 104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suppresses the air flowing toward the second discharge port 108 from flowing backward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107.
  •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minimizes the amount of air flowing backwar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reby minimizing the drop in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108 .
  •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ulkhead,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al,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opening of a mode door, or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thereof.
  •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0 includes a partition wall 105 .
  • the partition wall 105 is provided in the internal air passage of the case 101 and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rear end of the electric heater 104 parallel to the air flow direction.
  • the barrier rib 105 may be close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electric heater 104 or may extend from the electric heater 104 integrally toward the rear. Alternatively, the barrier rib 105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spaced very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electric heater 104 .
  • the bulkhead 105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case 101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 the partition wall 105 is disposed between the electric heater 104 and the mode door 106.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105 is disposed above the middle portion of the electric heater 104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way, as the partition wall 105 is disposed between the electric heater 104 and the mode door 106, the end of the mode door 106 passes through the electric heater 104 at a position facing the partition wall 105. One air is guid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107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08 by the partition wall 105, respectively.
  •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outlet 107 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outlet 108 are separated to improv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more comfortably. can do.
  • the partition wall 105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ctric heater 104, the air in the lower passage of the case 101 can be heated to a higher temperature.
  • the rear seat air conditioner 100 includes a door seal 115.
  • the door seal 115 extends along the edge of the mode door 106 and seals a gap between the case 101 and the mode door 106 .
  • the door seal 115 prevents air from the lower passage in the case 101 from escaping to the upper passag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ase 101 and the mode door 106, thereby suppressing the flow of air flow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 the door seal 115 fills the gap with the partition wall 105 at a position facing the partition wall 105 to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air leak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 a case seal 116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se 101 .
  • the case seal 116 fills the gap between the case 101 and the mode door 106.
  • the case seal 116 together with the door seal 115, functions to reduce the amount of air leak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 the case seal 116 is partially formed only in the air flow path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107. Therefore, at the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mode door 106 faces the partition wall 105,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07 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108 are separated,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more comfortably. there is.
  • a tail seal 117 is further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118 of the mode door 106.
  • an appropriate gap is form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118 and the inner wall of the case 101.
  • the tail seal 117 fills the gap between the rotating shaft 118 and the case 101 so that the mode door 106 can smoothly rotate and operate while minimizing the reverse flow of air from the lower side in the case 101 upward.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de door 106 so that the mode door 106 is more closed toward the first outlet 107 compared to other air conditioning modes.
  • the driving voltage value is fed back to the driving unit.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de door 106 to a position of B.
  • A is a position where th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 B is a position where th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B is a direction that closes the first discharge port 107 more than A.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de door 106 to the position D.
  • C is a position where th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 D is a position where th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D is a direction that closes the first discharge port 107 more than C.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voltage value of the mode door 106 without feedback.
  • the mode door 106 is controlled to be further closed toward the first outlet 107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pillar side discharge temperature by reducing the amount of warm air directed to the console vent and relatively increasing the amount of warm air directed to the second outlet 108 .
  • the vent mode or bi-level mode when only the lower two rows of the electric heaters 104 were operated (On), it was confirmed that the B-filament temperature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console vent temperature slightly increased.
  •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of the case 101 includes a discharge duct, and the lengths of the discharge duc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discharge duct includes a B-pillar duct 170, a floor duct, a console duct, and the like.
  • the control unit controls only a portion of the electric heater 104 to generate heat.
  • the area generating heat of the electric heater 104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in which the length of the discharge duct is relatively long. That is, since the length of the B-piladuct 170 is longer than that of the console duct, only the lower region of the electric heater 104 corresponding to (close to) the second outlet 108 is controlled to generate heat.
  • the control of generating heat only in some areas of the electric heater 104 is entered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below a specific temperature, the battery voltage is above a certain volt, the blower 110 is above a certain number of stages, and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for the rear seats i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That is, the control unit enters the control of heating only a part of the electric heater 104 only when all entry conditions other than the air conditioning mode are satisfied.
  • the control of generating heat only in some areas of the electric heater 104 is performed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above a specific temperature, the battery voltage is below a specific volt, the blower 110 is OFF or the lowest stage, and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for the rear seat is above a specific temperature. In either case, it is relea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콘솔벤트와 B-필라 측간의 온도차를 개선함과 아울러 콘솔벤트측의 온도 상승은 최소화하여 차량 후석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 후석 공조장치는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어 차량 후석 측으로 공조풍을 공급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에 차량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열히터는 복수의 작동영역을 구비하고, 해당 작동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공조모드에 연동하여 작동된다.

Description

차량 후석 공조장치
본 발명은 차량 후석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어 콘솔벤트, 후석플로어벤트 및 B-Pillar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차량 후석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
차량의 후석 공조를 위해 콘솔 측에 별도의 후석 공조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도 1은 종래의 후석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공조장치는 3존(운전석, 조수석, 후석)의 독립적인 풍량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종래의 후석 공조장치(10)는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어 공조풍을 공급받고 차량 실내로 토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차량 전석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와, 냉각수단 및 가열수단과, 템프도어 및 모드도어를 포함한다.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며, 내부의 공기 유로로 공기를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유닛이 구비된다. 냉각수단 및 가열수단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순차로 설치된다. 냉각수단은 증발기로 구성되며, 가열수단은 히터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 템프도어는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히터코어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온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모드도어는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후석 공조장치(10)는 일측에 전석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공기유입구의 하류에 블로워(30)를 구비한다. 후석 공조장치(10)는 모드덕트(20)를 구비하며, 모드덕트(20)는 연결덕트(12)를 통해 블로워(30) 하류측에 연결된다. 후석 공조장치(10) 내부에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블로워(30) 하류에 모드도어를 구비한다.
상기 모드도어의 작동에 따라, 공조풍이 콘솔벤트(15) 또는 모드덕트(20)로 선택적으로 유동한다. 모드덕트(20)로 토출되는 공기는 모드덕트(20) 내부에 설치된 도어의 작동에 따라 후석플로어벤트(13) 또는 B-필라(14) 측으로 선택적으로 유동한다. 한편, 후석 공조장치(10)에는 후석의 난방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전열히터인 별도의 PTC히터를 구비한다.
종래의 후석 공조장치(10)는 겨울철 B-필라(14) 측으로 냉풍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로워(30)의 상류측 온도를 기준으로 일정 온도 이상에서만 B-필라(14) 측으로 바람이 나오도록 설정된다.
종래의 후석 공조장치(10)는 벤트모드 또는 바이레벨모드에서 콘솔벤트(15)와 B-필라(14) 측으로 바람이 토출되는데, B-필라 덕트(19)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면서 열손실이 발생하여 콘솔벤트(15) 측과 B-필라(14) 측간의 온도차가 크게 발생한다. 이로 인해, 차량 후석의 쾌적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석 공조장치(10)에 설치된 PTC히터를 최대 난방으로 풀(Full)로 작동하게 되면 B-필라(14) 측의 토출 온도는 상승하지만, 콘솔벤트(15) 측의 토출 온도도 함께 상승하게 되어, 콘솔벤트(15) 측과 B-필라(14) 측간의 온도차는 개선되지 않으면서 차량 후석의 쾌적성이 역시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콘솔벤트와 B-필라 사이의 온도차를 개선함과 아울러 콘솔벤트측의 온도 상승은 최소화하여 차량 후석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 공조장치는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어 차량 후석 측으로 공조풍을 공급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에 차량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열히터는 복수의 작동영역을 구비하고, 해당 작동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공조모드에 연동하여 작동된다.
상기 토출구는 제1 토출구 및 제2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열히터는 복수의 발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공조모드시, 제2 토출구와 가까운 영역에 대응되는 전열히터 부위의 발열부만 작동된다.
상기 토출구는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1 토출구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하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전열히터의 하류측에 제2 토출구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제1 토출구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전열히터의 후단에서 공기 유동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된 격벽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에 제1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와 제2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모드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은 전열히터와 모드도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격벽은 상하 방향으로 전열히터의 중간부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모드도어의 단부가 격벽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전열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격벽에 의해 각각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안내된다.
상기 케이스에 제1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와 제2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모드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공조모드시, 다른 공조모드에 비해 상기 모드도어를 제1 토출구를 향해 더 닫히도록 모드도어의 구동부에 구동전압값을 피드백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에 제1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와 제2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모드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모드도어의 테두리를 따라 도어씰이 구비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억제한다.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모드도어와의 간극을 메우는 케이스씰이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씰은 제1 토출구 측으로 향하는 공기 유동 경로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드도어의 회전축에 케이스와의 간극을 메우는 꼬리씰이 더 구비된다.
벤트모드 또는 바이레벨 모드시, 전열히터의 하부에 위치한 일부의 발열부만 작동하도록 제어하며, 작동되는 발열부의 개수가 미작동되는 발열부의 개수보다 더 많도록 제어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의 토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워가 구비되고, 상기 블로워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전열히터의 상류에 배치된다.
상기 전열히터는 복수의 토출구 전단에 배치되어 공조 모드에 따라서 복수의 토출구 중 특정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만 가열할 수 있도록 일부만 작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 후석 공조장치는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어 차량 후석 측으로 공조풍을 공급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에 차량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히터를 포함하며, 공조모드에 따라서 전열히터의 발열영역을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토출구는 각각 토출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 덕트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토출구로 동시에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전열히터의 일부 영역만 발열하도록 제어한다.
전열히터의 발열하는 영역은 토출 덕트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토출구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전열히터의 일부 영역만 발열하는 제어는, 외기온이 특정 온도 이하, 배터리 전압이 특정 볼트 이상, 블로워가 특정 단수 이상, 후석 목표토출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진입한다.
상기 전열히터의 일부 영역만 발열하는 제어는, 외기온이 특정 온도 이상, 배터리 전압이 특정 볼트 이하, 블로워가 오프(OFF) 또는 최저 단수, 후석 목표토출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인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 공조장치는 B-필라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콘솔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상승량은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콘솔벤트와 B-필라 측간의 온도차를 개선함과 아울러 콘솔벤트측의 온도 상승은 최소화하여 차량 후석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석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석 공조장치 및 후석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석 공조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석 공조장치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석 공조장치의 공조모드에 따른 피드백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 후석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석 공조장치(300) 및 후석 공조장치(100)로 구성된다. 후석 공조장치(100)는 전석 공조장치(300)에 연결되어 공조풍을 공급받고 차량 실내로 토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전석 공조장치(300)는 메인케이스(310)와, 송풍유닛(400)과, 냉각수단 및 가열수단과, 템프도어 및 전석모드도어를 포함한다.
메인케이스(310)의 내부에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복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다. 송풍유닛(400)은 메인케이스(310) 내부의 공기 유로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냉각수단 및 가열수단은 메인케이스(310)의 내부에 순차로 설치된다. 냉각수단은 증발기로 구성되며, 가열수단은 히터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
템프도어는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히터코어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온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전석모드도어는 복수의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전석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도어, 페이스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도어, 플로어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후석 공조장치(100)는 전석 공조장치(300)의 복수의 공기토출구 중 하나에 연결되어, 증발기 또는 히터코어를 통과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조풍을 차량 후석 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후석 공조장치(100)는 케이스(101)와, 블로워(110)와, 전열히터(104) 및 모드도어(106)를 구비한다.
케이스(101)는 일측에 유입구(102)가 형성되며, 유입구(102)가 전석 공조장치(300)에 연결된다. 또한, 케이스(101)의 타측에 차량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다. 전석 공조장치(300)로부터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공조풍은 케이스(101)의 내부로 이동한다.
케이스(101)의 토출구는 제1 토출구(107) 및 제2 토출구(108)를 구비한다. 제1 토출구(107)는 공조풍을 탑승객 얼굴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콘솔벤트에 연결된다. 제2 토출구(108)는 공조풍을 탑승객 발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후석플로어벤트(130)와, 공조풍을 차량 폭방향 양측의 상부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B-필라벤트(140)에 연결된다.
블로워(11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케이스(101)의 유입구(102) 하류에 배치된다. 블로워(110)는 블로워모터 및 블로워휠로 구성되어, 유입구(102)로부터 유입된 공조풍을 차량 후석까지 불어낼 수 있도록 한다. 블로워(110)는 블로워모터의 회전축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블로워휠이 수평회전한다. 블로워(110)의 상부에 형성된 흡기구(103)로 흡입된 공기는 블로워(110)에 의해 배출구(109)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블로워(11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전열히터(104)의 상류에 배치된다.
후석 공조장치(100)는 모드덕트(160)를 구비하며, 모드덕트(160)는 연결덕트(120)를 통해 블로워(110) 하류측에 연결된다. 모드덕트(160) 내부에는 후석플로어벤트(130)로 향하는 공기양과 B-필라벤트(140)로 향하는 공기양을 조절하는 도어가 구비된다. 즉, 공기 유동 방향으로 케이스(101)의 하류측 유로는 크게 2개로 나뉜다. 하나는 케이스(101)의 상부에 개구된 제1 토출구(107)를 통해 콘솔벤트로 향하는 공기의 유로이며, 다른 하나는 케이스(101)의 하부에 개구된 제2 토출구(108)를 통해 모드덕트(160)로 향하는 공기의 유로이다.
모드덕트(160)로 유동하는 공기는 전술한 도어의 회전 작동에 따라 후석플로어벤트(130) 또는 B-필라벤트(140) 측으로 선택적으로 유동한다. B-필라벤트(140)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모드덕트(160)에서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다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B-필라덕트(170)를 따라 이동하여 B-필라벤트(140)를 통해 차량 후석으로 토출된다.
또한, 콘솔벤트 측으로 향하는 케이스(101)의 제1 토출구(107)는 B-필라벤트(140) 및 후석플로어벤트(130) 측으로 향하는 케이스(101)의 제2 토출구(108)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아울러, B-필라벤트(140) 및 후석플로어벤트(130) 측으로 향하는 케이스(101)의 제2 토출구(108)에서 연결덕트(120)를 통해 모드덕트(160)가 연장되고, 다시 모드덕트(160)에서 상부 방향으로 B-필라덕트(170)가 연장된다. B-필라덕트(170)의 상측 단부에는 B-필라벤트(140)가 형성되어 차량 후석으로 공조풍이 토출된다.
전열히터(104)는 케이스(101)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즉, 전열히터(104)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PTC히터 등으로 구성되어, 전열히터(104)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열된다. 전열히터(104)는 복수의 작동영역을 구비하고, 복수의 작동영역은 공조모드에 연동하여 작동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석 공조장치(100)는 제1 공조모드시, 전열히터(104)의 일부만 작동된다. 이 경우, 제1 공조모드는 B-필라벤트(140)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모드로서, 벤트모드(Vent Mode) 또는 바이레벨모드(Bi-level Mode)이다.
즉, 전열히터(104)는 복수의 토출구 전단에 배치되어 공조 모드에 따라서 복수의 토출구 중 특정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만 가열할 수 있도록 일부만 작동한다.
모드도어(106)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케이스(101)의 하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드도어(106)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전열히터(104)의 하류에 배치되어, 제1 토출구(107)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과 제2 토출구(108)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모드도어(106)의 회전 작동에 따라, 전열히터(104)를 통과한 공기는 제1 토출구(107)로 유동하거나 제2 토출구(108)로 유동한다.
즉, 모드도어(106)는 제1 토출구(107)를 폐쇄하고 제2 토출구(108)만을 개방하여, 전열히터(104)를 통과한 공기가 전부 모드덕트(160)로 흘러 후석플로어벤트(130) 또는 B-필라벤트(140)로 토출될 수 있다. 또는, 모드도어(106)는 제2 토출구(108)를 폐쇄하고 제1 토출구(107)만을 개방하여, 전열히터(104)를 통과한 공기가 전부 콘솔벤트로 토출될 수 있다. 또는, 모드도어(106)는 제1 토출구(107) 및 제2 토출구(108)를 모두 개방하여, 전열히터(104)를 통과한 공기가 콘솔벤트 또는 후석플로어벤트(130) 또는 B-필라벤트(140)로 토출될 수 있다.
전열히터(104)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발열부를 구비한다. 즉, 전열히터(104)는 제1 발열부(111), 제2 발열부(112) 및 제3 발열부(113)를 구비한다. 제1 발열부(111), 제2 발열부(112) 및 제3 발열부(113)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발열체로서 PTC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차로 배치된다. 발열부의 개수는 패키지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특히, 특정 공조모드시, 제2 토출구(108)와 가까운 영역에 대응되는 전열히터(104) 부위의 발열부만 작동하도록 제어된다. 후석 공조장치(100)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즉, 제1 토출구(107)와 제2 토출구(108)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공조모드시, 제어부는 제2 토출구(108)와 가까운 영역에 대응되는 전열히터(104) 부위의 발열부만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전열히터(104)의 구동부와 연결되어, 벤트모드 또는 바이레벨 모드시, 전열히터(104)의 하부에 위치한 일부의 발열부만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작동되는 발열부의 개수가 미작동되는 발열부의 개수보다 더 많도록 제어한다. 제1 토출구(107)와 제2 토출구(108)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공조모드는 제1 토출구(107)와 제2 토출구(108)의 풍량 비율이 5:5인 벤트모드 또는 제1 토출구(107)와 제2 토출구(108)의 풍량 비율이 4:6인 바이레벨모드일 수 있다.
즉, 제1 토출구(107)와 제2 토출구(108)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공조모드시, 제1 발열부(111)는 미작동되며, 제2 발열부(112) 및 제3 발열부(113)만 작동된다. 따라서, 전열히터(104)를 통과하는 공기 중 비교적 상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1 발열부(111)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상부의 제1 토출구(107)로 흐르며, 비교적 중간 및 하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2 발열부(112) 및 제3 발열부(113)에 의해 가열되어 하부의 제2 토출구(108)로 흐른다.
B-필라벤트(140)로 토출되는 공기는 반드시 B-필라덕트(170)를 통과하게 되므로, 가열된 공기가 B-필라덕트(170)를 통과하면서 열손실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전열히터(104)의 하단 2열만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 토출구(108)에만 뜨거운 공기가 공급되어 B-필라벤트(140) 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따라서, B-필라벤트(140)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콘솔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상승량은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석 공조장치(100)는 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역류방지수단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전열히터(104)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제2 토출구(108)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제1 토출구(107)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한다.
전술한 것처럼, 전열히터(104)의 하단 2열만 작동하도록 제어하더라도 하측 유로가 상측 유로 대비 공기 저항이 크기 때문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역류하는 공기가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역류방지수단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역류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여, 제2 토출구(108)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역류방지수단은 격벽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씰(Seal)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모드도어의 개도량 제어로 구현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후석 공조장치(100)는 격벽(105)을 구비한다. 격벽(105)은 케이스(101)의 내부 공기 유로에 구비되며, 전열히터(104)의 후단에서 공기 유동 방향으로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격벽(105)은 전열히터(104)의 후단에 밀착되어 결합되거나 전열히터(104)로부터 일체로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격벽(105)은 전열히터(104)의 후단과 매우 인접하게 이격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격벽(105)은 차량 폭방향으로 케이스(101)의 양측까지 연장 형성된다.
전열히터(104)의 후단에 격벽(105)을 구성함으로써, 케이스(101)의 하측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이동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격벽(105)은 전열히터(104)와 모드도어(106) 사이에 배치된다. 아울러, 격벽(105)은 상하 방향으로 전열히터(104)의 중간부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격벽(105)이 전열히터(104)와 모드도어(106)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모드도어(106)의 단부가 격벽(105)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전열히터(104)를 통과한 공기가 격벽(105)에 의해 각각 제1 토출구(107)와 제2 토출구(108)로 안내된다.
따라서, 전술한 것처럼 특정 공조모드에서 전열히터(104)의 발열부를 부분적으로 제어할 때 제1 토출구(107)로 흐르는 공기와 제2 토출구(108)로 흐르는 공기를 분리하여 공조 성능을 더욱 쾌적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격벽(105)이 전열히터(104)의 상부측에 배치됨에 따라, 케이스(101)의 하측 유로의 공기를 더욱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한편, 후석 공조장치(100)는 도어씰(115)을 구비한다. 도어씰(115)은 모드도어(106)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케이스(101)와 모드도어(106) 간의 틈을 씰링(Sealing)한다. 도어씰(115)은 케이스(101)와 모드도어(106) 간의 틈을 통해 케이스(101) 내의 하측 유로의 공기가 상측 유로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억제한다. 아울러, 도어씰(115)은 격벽(105)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격벽(105)과의 틈을 메워 하부에서 상부로 리크(Leak)되는 공기의 양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1)의 측면에는 케이스씰(1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씰(116)은 케이스(101)와 모드도어(106)간의 간극을 메운다. 케이스씰(116)은 도어씰(115)과 함께 하부에서 상부로 리크(Leak)되는 공기의 양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케이스씰(116)은 제1 토출구(107) 측으로 향하는 공기 유동 경로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모드도어(106)의 단부가 격벽(105)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제1 토출구(107)로 흐르는 공기와 제2 토출구(108)로 흐르는 공기를 분리하여 공조 성능을 더욱 쾌적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모드도어(106)의 회전축(118)에 꼬리씰(117)이 더 구비된다. 모드도어(106)과 케이스(101) 내에서 원활히 회전 작동하기 위해, 회전축(118)과 케이스(101) 내벽 간에는 적절한 유격이 형성된다. 꼬리씰(117)은 회전축(118)과 케이스(101) 간의 틈을 메워 모드도어(106)가 원활히 회전 작동 가능하면서 케이스(101) 내의 하측 공기가 상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공조모드시, 다른 공조모드에 비해 모드도어(106)를 제1 토출구(107)를 향해 더 닫히도록 모드도어(106)의 구동부에 구동전압값을 피드백한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벤트모드(Vent Mode)시, 제어부는 모드도어(106)를 B의 위치로 제어한다. A는 본 발명의 제어가 미적용된 위치이고, B는 본 발명의 제어가 적용된 위치이다. B는 A보다 제1 토출구(107)를 더 닫는 방향이다.
또한, 바이레벨모드(Bi-level Mode)시, 제어부는 모드도어(106)를 D의 위치로 제어한다. C는 본 발명의 제어가 미적용된 위치이고, D는 본 발명의 제어가 적용된 위치이다. D는 C보다 제1 토출구(107)를 더 닫는 방향이다. 아울러, 벤트모드 또는 바이레벨모드 이외의 모드시(플로어모드 등), 제어부는 모드도어(106)를 피드백없이 구동전압값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벤트모드 또는 바이레벨모드시, 모드도어(106)를 제1 토출구(107)를 향해 더 닫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콘솔벤트로 향하는 온풍양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제2 토출구(108)로 향하는 온풍량을 늘려 B-필라측 토출온도를 개선 가능한 것이다. 벤트모드 또는 바이레벨모드시, 전열히터(104)의 하단2열만 작동(On)하였을 때, 콘솔벤트 온도는 소폭 상승한 반면에 B-필라벤트 온도는 대폭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리하면, 제1 토출구(107)와 제2 토출구(108)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공조모드시, 제2 토출구(108)와 가까운 영역에 대응되는 전열히터(104) 부위의 발열부만 작동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는 공조모드에 따라서 전열히터(104)의 발열영역을 다르게 제어한다. 한편, 케이스(101)의 복수의 토출구는 각각 토출 덕트를 구비하며, 토출 덕트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토출 덕트는 B-필라덕트(170), 플로어덕트, 콘솔덕트 등을 구비한다.
즉, 제어부는 복수의 토출구로 동시에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전열히터(104)의 일부 영역만 발열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전열히터(104)의 발열하는 영역은 토출 덕트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토출구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즉, B-필라덕트(170)는 콘솔덕트에 비해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므로, 제2 토출구(108)에 대응하는(가까운) 전열히터(104)의 하부 영역만 발열하도록 제어한다.
토출 덕트의 길이가 길면 열손실이 많이 발생하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벤트에 대응하는 전열히터(104)의 일부 영역만 발열하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제1 토출구(107)와 제2 토출구(108) 중 하나로만 공기가 토출되는 공조모드인 경우, 상하 온도차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전열히터(104) 전체를 온(ON)하거나 오프(OFF) 제어한다.
전열히터(104)의 일부 영역만 발열하는 제어는, 외기온이 특정 온도 이하, 배터리 전압이 특정 볼트 이상, 블로워(110)가 특정 단수 이상, 후석 목표토출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진입한다. 즉, 제어부는 공조모드 이외의 진입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전열히터(104)의 일부 영역만 발열하는 제어로 진입한다. 아울러, 전열히터(104)의 일부 영역만 발열하는 제어는, 외기온이 특정 온도 이상, 배터리 전압이 특정 볼트 이하, 블로워(110)가 오프(OFF) 또는 최저 단수, 후석 목표토출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인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해제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어 차량 후석 측으로 공조풍을 공급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에 차량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열히터는 복수의 작동영역을 구비하고, 복수의 작동영역은 공조모드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제1 토출구 및 제2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열히터는 복수의 발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공조모드시, 제2 토출구와 가까운 영역에 대응되는 전열히터 부위의 발열부만 작동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1 토출구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하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전열히터의 하류측에 제2 토출구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제1 토출구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차량 후석 공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히터의 후단에서 공기 유동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된 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제1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와 제2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모드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은 전열히터와 모드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하 방향으로 전열히터의 중간부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모드도어의 단부가 격벽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전열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격벽에 의해 각각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안내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제1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와 제2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모드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공조모드시, 다른 공조모드에 비해 상기 모드도어를 제1 토출구를 향해 더 닫히도록 모드도어의 구동부에 구동전압값을 피드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제1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와 제2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모드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모드도어의 테두리를 따라 도어씰이 구비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억제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모드도어와의 간극을 메우는 케이스씰이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씰은 제1 토출구 측으로 향하는 공기 유동 경로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도어의 회전축에 케이스와의 간극을 메우는 꼬리씰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12. 제2 항에 있어서,
    벤트모드 또는 바이레벨 모드시, 전열히터의 하부에 위치한 일부의 발열부만 작동하도록 제어하며,
    작동되는 발열부의 개수가 미작동되는 발열부의 개수보다 더 많도록 제어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의 토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워가 구비되고, 상기 블로워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전열히터의 상류에 배치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히터는 복수의 토출구 전단에 배치되어 공조 모드에 따라서 복수의 토출구 중 특정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만 가열할 수 있도록 일부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15.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어 차량 후석 측으로 공조풍을 공급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전석 공조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에 차량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히터를 포함하며,
    공조모드에 따라서 전열히터의 발열영역을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복수의 토출구는 각각 토출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 덕트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토출구로 동시에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전열히터의 일부 영역만 발열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전열히터의 발열하는 영역은 토출 덕트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토출구에 대응하는 영역인 차량 후석 공조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전열히터의 일부 영역만 발열하는 제어는,
    외기온이 특정 온도 이하, 배터리 전압이 특정 볼트 이상, 블로워가 특정 단수 이상, 후석 목표토출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진입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히터의 일부 영역만 발열하는 제어는,
    외기온이 특정 온도 이상, 배터리 전압이 특정 볼트 이하, 블로워가 오프(OFF) 또는 최저 단수, 후석 목표토출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인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해제되는 차량 후석 공조장치.
PCT/KR2022/018595 2021-11-30 2022-11-23 차량 후석 공조장치 WO202310130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22001869.0T DE112022001869T5 (de) 2021-11-30 2022-11-23 Fondklimagerät für fahrze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869 2021-11-30
KR20210167869 2021-11-30
KR1020220156723A KR20230081639A (ko) 2021-11-30 2022-11-21 차량 후석 공조장치
KR10-2022-0156723 2022-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300A1 true WO2023101300A1 (ko) 2023-06-08

Family

ID=8661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8595 WO2023101300A1 (ko) 2021-11-30 2022-11-23 차량 후석 공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DE (1) DE112022001869T5 (ko)
WO (1) WO202310130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8213A (ja) * 1985-02-15 1986-08-21 Hitachi Ltd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1150925A (ja) * 1999-11-24 2001-06-05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136094A (ko) * 2010-06-14 2011-12-2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2016068885A (ja) * 2014-10-01 2016-05-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20180029128A (ko) * 2016-09-09 2018-03-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8213A (ja) * 1985-02-15 1986-08-21 Hitachi Ltd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1150925A (ja) * 1999-11-24 2001-06-05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136094A (ko) * 2010-06-14 2011-12-2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2016068885A (ja) * 2014-10-01 2016-05-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20180029128A (ko) * 2016-09-09 2018-03-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2001869T5 (de)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6821A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WO2018221975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034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70068566A (ko) 차량용 이층류 공조장치
WO2023101300A1 (ko) 차량 후석 공조장치
KR20170121069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759108B2 (ja) 自動車の車室の換気、暖房、および/または空調装置
JPH08132852A (ja) 車両用エアコンユニット
JPH075824U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30019702A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WO2019054710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718391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1167329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03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075206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21145712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01299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WO2021235859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7131264A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S6280118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WO2020242073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081639A (ko) 차량 후석 공조장치
WO202223121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3191323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4019348A1 (en) Quad zone booster intake lpm cool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016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2001869

Country of ref document: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