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96284A1 - 마약검출용 키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약의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마약검출용 키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약의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96284A1
WO2023096284A1 PCT/KR2022/018381 KR2022018381W WO2023096284A1 WO 2023096284 A1 WO2023096284 A1 WO 2023096284A1 KR 2022018381 W KR2022018381 W KR 2022018381W WO 2023096284 A1 WO2023096284 A1 WO 20230962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mbrane
drug
drug detection
detection kit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83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희선
안소라
한미리
문정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0962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962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9Absorbents; Gels to retain a flui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g detection ki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rug detection kit, and a method of detecting drug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ugs contained in alcohol or beverages can be quickly and simply detected. It relates to a kit for detecting narcotics,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kit for detecting narcotics, and a method for detecting narcotics using such a kit for detecting narcotics.
  • GHB gamma hydroxy butyrate
  • Rohypnol flunitrazepam
  • methamphetamine and opium narcotics which are most abused in Korea.
  •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to detect alkaloids, it is difficult for drug investigators to use it at a crime scene because a solution must be prepared in advance and transported in a container.
  •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itself has a reddish brown color, even if it is added to beverages, the color change inherent to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cannot be observed due to the color of the beverage itself. It was difficult to do.
  •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has been mainly used only to identify powdered narcotics collected at crime scenes.
  • a method of detecting narcotics using a detection strip is widely used for samples derived from the human body.
  • the sample to be tested moves along the membrane by capillary action, so if there is a narcotic to be detected in the sample, the narcotic reacts with the colored particulate-drug antibody to form a complex.
  • this complex reaches the membrane where the drug conjugate is permanently bound, it competes with the drug conjugate.
  • color development appears at the drug binding agent site, and as a result of this color developmen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ug can be determined.
  • the value as a product varies depending on the detection sensitivity capable of detecting the drug to a very small concentration and the color intensity capable of facilitating the determination of the result.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3-0008461
  •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15344
  • 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5-0012072
  • 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0-0006780
  • Patent Document 5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3-0013732
  • Patent Document 6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32336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 for detecting drugs that can quickly and simply check whether or not drugs are contained in alcoholic beverages or beverages through color chang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g detection kit that can be quickly and simply identified regardless of the type of liquor or beverage.
  • the present invention is aimed at the precipitation reaction of alkaloids, targeting methamphetamine, MDMA (methylenedioxy methamphetamine, ecstasy), ketamine, cocaine, methylphenidate, and mesketnon, which are the most problematic narcotics among drugs with a secondary or higher amine structur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ection kit and method that can quickly and simply check whether or not these narcotics are contained in alcoholic beverages or beverages through color change by using strips pre-adsorbed with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 It includes a drug detection strip equipped with a membrane adsorbed with a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 the membrane contains an amine functional group
  • the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is variably fixed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without being chemically bonded to the membrane, providing a drug detection kit.
  • the potassium ion of the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binds to the amine group of the drug, and the hexachloroplatinic acid that has lost the potassium ion binds to the membrane and fixes it on the surface It becomes.
  • the strip preferably includes a sample pad, a membrane and an absorption pad.
  • the membrane contains nitrocellulose
  • the strip is disposed on a backing card so that the sample pad, the nitrocellulose membrane, and the absorption pa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drug detection kit may be used to detect any one drug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mphetamine, MDMA, ketamine, methylphenidate, mesketnon, and cocaine.
  • It provides a method for detecting narcotics including the step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lor development.
  • the drug in the method for detecting the drug, preferably, the drug can be detected within 1 minute from contact with the liquid sample to confirmation of color development.
  • a drug comprising the step of adsorbing a solution of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to a membrane so that the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is variably fixed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withou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membrane containing an amine functional group.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tection kit is provided.
  •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include preparing a drug detection strip by arranging a sample pad, a membrane, and an absorption pad on a backing car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dsorbing a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on the membrane; and drying the strip to which the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is adsorbed.
  •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immerses the strip adsorbed with the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used in the precipitation reaction of alkaloids into a liquid such as liquor or beverage to detect methamphetamine, MDMA, By the reaction of ketamine, cocaine, methylphenidate, mesketnon, etc. with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strip,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these narcotics are incorporated within one minute.
  •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ugs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strip regardless of the type or color of various alcoholic beverages or beverages.
  •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detect the presence of drugs contained in various liquids with the naked eye, it can be used by ordinary people who are at risk of sex crimes using club drugs, as well as police officers and drug investigators dispatched to the scene. Experts can also use 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drugs are present in alcohol or beverages.
  •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ordinary people to protect themselves at the scene of a crime, and can be usefully used by experts such as the police to arrest criminals in action at the scene.
  •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asy and simple method of use, is light and easy to carry due to its small size, is easy to transport, and has low manufacturing cost because it does not require special packaging.
  •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harmful substances such as sulfuric acid and aldehyde, which have been used for drug detection in the field, it can also contribute to heal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 FIG. 1 is a side view of a strip structure used in a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rug detection kit (left) and an actual photograph (right) in which a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which is a reagent for drug detection, is applied to a drug detection strip.
  • Figure 3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detecting methamphetamine in beverages using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detecting MDMA in beverages using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detecting ketamine in beverages using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detecting cocaine in beverages using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detecting methylphenidate in beverages using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ug detection kit including a drug detection strip equipped with a membrane adsorbed with a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a method for detecting drugs using the ki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kit provides
  •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ug detection strip, and the drug detection strip includes a membrane containing an amine functional group and a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adsorbed on the membrane. .
  •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can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can be obtained by reacting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with potassium iodide as shown in the following reaction formula.
  • the membrane contains amine functional groups.
  • Membrane containing an amine functional group includes a functionalized cellulose membrane, a deprotonated chitosan membrane, and the like.
  • the membrane is a nitrocellulose membrane containing nitrocellulose.
  • membranes such as hydrophilic nylon membranes,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s, polyethersulfone membranes, or the like, or membranes in which an amine functional group is introduced into these membranes may be used as needed.
  • the 'adsorp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membrane is variably fixed to the surface of the membrane by physical force or the like without chemical bonding. For example, it may be adsorbed and fixed to the membrane surface by electrostatic attraction.
  • the adsorption of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to the nitrocellulose membrane used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umed to be fixed by electrostatic attraction of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to the amine functional group of the membrane. Since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is fixed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in a variable state by physical force, when immersed in a liquid sample, it flows along with the sample and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surface.
  •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alone binds to the amine functional group of the membrane and becomes fixed to the membrane surface. This is because 4 of the 6 Cl- in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can bond with H of 2H 2 O (donal bonding) and the remaining 2 can bond with the amine group of the nitrocellulose membrane.
  •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formed by the reaction with potassium iodide does not bind to the amine functional group of the membrane and is therefore not chemically fixed to the membrane. This is because 4 out of 6 Cl- of hydrogen hexachloride bond with H of 2H 2 O and the other 2 bond with potassium, so there is no remaining reactive group that can bond with the amine group of the membrane.
  • the potassium ion of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binds to the amine group of the drug, and the hexachloroplatinic acid that has lost the potassium ion It combines with the amine group of the membrane to form a precipitate on the surface and is fixed. At this time, hexachloroplatinic acid can form a coordinate bond with the amine group of the drug at the same time.
  •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adsorbed on the membrane flows together with the sample. Hexachloroplatinic acid combined with the membrane forms a gray precipitate, which is presumed to have its own colo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 transport system by chemical bonding.
  • the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adsorbed on the membrane in the strip is, most preferably, a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solution dissolved in ultrapure water at a concentration of 10 to 100 mg/ml and a solution of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dissolved in ultrapure water at a concentration of 300 to 500 mg/ml.
  • a reagent obtained by mixing a 3-fold dilution of potassium iodide solution in a volume ratio of 1:1 can be used. At this time, it is most preferable to adsorb 2-3 ⁇ l of the reagent to the membrane.
  • the strip preferably includes a sample pad, a membrane and an absorption pad. More preferably, the sample pad, the nitrocellulose membrane, and the absorption pad are plac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acking card.
  • the backing card preferably includes a layered structure in which polyvinyl chloride, a polymer adhesive, and a release paper are laminated.
  • the drug to be detected in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ug having a secondary or higher amine group.
  • Drugs with a secondary or higher amine group include methamphetamine, MDMA, ketamine, methylphenidate, mesketnon, cocaine and the like.
  • Liquid samples that are subject to drug detection include various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and beverages such as soju, beer, red wine, white wine, orange juice, and cola.
  •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simply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ugs through color change regardless of the type of liquor or beverage.
  • Drug detection using the drug detection kit is usually possible within 1 minute, including confirmation of color development. For accurate results, it is desirable to check the color development within 30 minutes at the latest.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rug detection kit is a step of adsorbing a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to a membrane containing an amine functional group, that is,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in a state where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is not chemically bonded to the membrane It includes adsorbing so that it is variably fixed.
  • the manufacturing method preferably,
  • preparing a drug detection strip by arranging a sample pad, a membrane, and an absorption pad on a backing car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dsorbing a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on the membrane; and drying the strip to which the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is adsorbed.
  • a step of preparing a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by reacting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with potassium iodide is further included.
  • the strip is prepared by placing a membrane on the backing card, placing an absorbent pad on one side of the membrane to overlap the membrane, and placing a sample pad on the other side to overlap the membrane.
  • the membrane includes nitrocellulose
  • the backing card includes a layer structure in which polyvinyl chloride, a polymer adhesive, and a release paper are stacked,
  •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IV) is dissolved in ultra pure water to prepare a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10 to 100 mg/ml.
  • a potassium iodide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300 to 500 mg/ml is prepared by dissolving potassium iodide in ultrapure water.
  • the potassium iodide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300 to 500 mg/ml is diluted three times using ultrapure water as a solvent.
  • the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solution and the diluted potassium iodide solution are mixed in a volume ratio of 1:1 to prepare a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which is a drug detection reagen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vortex mixing for mixing.
  • the drug detection strip has a form in which a sample pad, a nitrocellulose membrane, and an absorption pad are attached to a backing car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trip for detecting drugs preferably has a size of 7 to 10 mm in width x 60 to 90 mm in length.
  • the backing card has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polyvinyl chloride, a polymer adhesive, and a release paper are laminated.
  • the backing card preferably has a size of 7 to 10 mm in width x 60 to 80 mm in length, and more preferably has a size of 8 mm in width x 60 mm in length.
  • a glass fiber is used as a sample pad.
  • the sample pad preferably has a size of 7 to 10 mm in width x 20 to 30 mm in length, and more preferably has a size of 8 mm in width x 20 mm in length.
  • the nitrocellulose membrane preferably has a size of 7 to 10 mm in width x 14 to 24 mm in length, and more preferably has a size of 8 mm in width x 14 mm in length.
  • a cellulose membrane is used as an absorbent pad.
  • the absorbent pad preferably has a size of 7 to 10 mm in width x 30 to 40 mm in length, and more preferably has a size of 8 mm in width x 30 mm in length.
  • the drug detection stri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s follows.
  • a nitrocellulose membrane is placed on the backing card, an absorbent pad is placed to overlap the nitrocellulose membrane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itrocellulose membrane, and a sample pad is placed to overlap the nitrocellulose membrane on the other side. It is desirable to produce a detection strip.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nitrocellulose membrane and the absorption pad, and the nitrocellulose membrane and the sample pad overlap each other by about 2 mm.
  • 2-3 ⁇ l of the drug detection reagent i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nitrocellulose membrane of the prepared drug detection strip and adsorbed thereto.
  • the drug detection strip to which the drug detection reagent is applied is dried at 35 to 39° C. for 50 to 70 minutes to prepare a drug detection kit.
  • a method of detecting drugs using the drug dete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 the black circle (up to the circle with black border) on the reagent part for drug detection adsorbed on the nitrocellulose membrane part included) appears. It is preferable that the sample pad is immersed in liquid about 15 to 25 mm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ample pad.
  • Drugs such as methamphetamine, MDMA, ketamine, cocaine, methylphenidate, and meschnone with secondary or higher amine structures in the molecule contained in the sample while rising to the top of the strip by capillary action, leaving the color inherent to liquor and beverages. However, it reacts with the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adsorbed on the membrane, and a round dot appears. If a black circle (including a circle with a black border) appears, it is determined as positive, and if a black circle does not appear, it is determined as negative.
  • the time required to detect narcotics using the drug detection kit is usually within 1 minute. For accurate results, it is desirable to check the color development within 30 minutes at the latest.
  • drug components contained in various liquids can be simply and quickly detected without the influence of the target liquid through the color development of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adsorbed on the strip of the drug detection kit. .
  •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KOJIMA CHEMICALS CO., LTD., CAS 26023-84-7/18497-13-7, purchased from Duksan Science) was added to ultrapure water (Dainbaiu Co., Ltd., CBW3060, 1 liter capacity product). It was dissolved to prepare a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40 mg/ml.
  • a potassium iodide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00 mg/ml was prepared by dissolving potassium iodide (Sigma aldrich, 221945-100G) in ultrapure water.
  • the potassium iodide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00 mg/ml was diluted 3-fold using ultrapure water as a solvent.
  • the hydrogen hexachloroplatinic acid solution and the diluted potassium iodide solution were mixed at a volume ratio of 1:1 by vortex mixing to prepare a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solution as a reagent for drug detection.
  • FIG. 3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a reagent for drug detection, is shown in FIG. 3, and hexachloroplatinic acid and potassium iodide, two compounds used for its preparation, are shown in FIG.
  • a backing card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polyvinyl chloride, polymer adhesive, and release paper are laminated was cut into a size of 8 mm wide ⁇ 60 mm long.
  • glass fiber BORE DA BIOTECH, Grade 8964 was cut into a size of 8 mm wide ⁇ 20 mm long.
  • a nitrocellulose membrane PALL, VIV9025100R was cut into a size of 8 mm wide ⁇ 14 mm long.
  • As an absorbent pad a cellulose membrane (BORE DA BIOTECH, Grade 222) was cut into a size of 8 mm wide ⁇ 30 mm long.
  • the 3-layer backing paper of the backing card was peeled off. Place the nitrocellulose membrane on the adhesive side of the backing card. On one side of the nitrocellulose membrane o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nitrocellulose membrane and the backing card, the absorbent pad overlaps the nitrocellulose membrane by 2 mm, and the sample pad on the other side of the nitrocellulose membrane overlaps the nitrocellulose membrane by 2 mm.
  • the strips were prepared by positioning them so as to overlap to an extent.
  • FIG. 1 A side view of the drug detection strip structure prepar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1 .
  • the drug detection kit prepar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2 .
  • liquids including soju, beer, red wine, white wine, orange juice, and cola, were used as liquids to confirm drug content, and methamphetamine was included in each beverage at a concentration of 0.5 (v/v)%. prepared.
  • the drug detection kit prepared in Example 1 was immersed to about 1.5 cm in a beverage containing methamphetamine. After immersing the strip and waiting for 10 to 15 seconds, it was confirmed that a black circle (including a circle with a black border) appeared on the top of the strip. When a black circle appeared, it was determined as positive, and when a black circle did not appear, it was determined as negativ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
  • methamphetamine contained in soju, beer, red wine, white wine, orange juice and cola is mixed with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adsorbed on the strip. Through the reaction, it can be detected simply and quickly without the influence of drinking water.
  • liquids to check for drug content 6 types of soju, beer, red wine, white wine, orange juice and cola are used, and MDMA is included in each beverage at a concentration of 0.5 (v/v)%. did
  • MDMA contained in soju, beer, red wine, white wine, orange juice, and cola is mixed with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adsorbed on the strip. Through the reaction, it can be detected simply and quickly without the influence of drinking water.
  • liquids to check for drug content 6 types of soju, beer, red wine, white wine, orange juice and cola are used, and ketamine is included in each drink at a concentration of 0.5 (v/v)%. did
  • ketamine contained in soju, beer, red wine, white wine, orange juice, and cola is mixed with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adsorbed on the strip. Through the reaction, it can be detected simply and quickly without the influence of drinking water.
  • liquids to check for drug content 6 types of soju, beer, red wine, white wine, orange juice and cola are used, and each drink contains mesknon at a concentration of 0.5 (v/v)% prepared it.
  • 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adsorbed to the strip of mesknon contained in soju, beer, red wine, white wine, orange juice and cola It can be detected simply and quickly without the influence of drinking water through the reaction with
  • liquids to check whether they contain drugs 6 types of soju, beer, red wine, white wine, orange juice and cola are used, and methylphenidate is included in each beverage at a concentration of 0.5 (v/v)% prepared it.
  • Soju was used as a liquid to confirm the drug cont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약검출용 키트, 마약검출용 키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마약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술이나 음료수에 함유된 마약의 존재 여부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는 마약검출용 키트, 이러한 마약검출용 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마약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용액을 흡착시킨 멤브레인이 구비된 마약검출용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아민 기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은 멤브레인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멤브레인의 표면에 가변적으로 고정된다.

Description

마약검출용 키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약의 검출방법
본 발명은 마약검출용 키트, 마약검출용 키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마약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술이나 음료수에 함유된 마약의 존재 여부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는 마약검출용 키트, 이러한 마약검출용 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마약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주류나 음료에 넣은 클럽 약물을 이용한 성범죄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클럽 약물을 이용한 성범죄에 위험을 느끼는 일반인이나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이 각종 주류나 음료에 함유된 마약류의 존재 여부를 신속하게 육안식별이 가능하게 탐지할 수 있는 검출 키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음료수나 술에 마약류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 이를 현장에서 바로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검출 키트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마약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으로는, 최근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물뽕이라고 불리우는 GHB(gamma hydroxy butyrate)를 검출하기 위한 기구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또한 GHB, 케타민, 로히프놀(플루니트라제팜)에 의한 약물성범죄를 막기 위해 스마트 빨대를 개발한 사례, 손톱 매니큐어의 색이 변하도록 하는 제품 등 다양한 제품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남용이 되고 있는 메트암페타민(methamphetamine), 아편계 마약류 등을 검출하기 위해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편 마약 탐지를 위해 마약 수사관들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키트의 경우에도 진한 황산, 포름알데히드, 염산, 클로로포름 등의 몇 가지 시약을 순서에 따라 섞어서 색의 변화를 통해 마약류의 존재를 확인해야 하므로 복잡하여 현장에서 적용에 어려움이 있고 작업자가 선호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키트에 포함된 물질이 몸에 해로운 물질로 사용자의 신체에 위해를 미칠 보건상의 문제가 있고, 대부분 심한 냄새가 나는 위험물질로 취급 관리 및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도 있다.
마약 감정을 하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는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마약을 분리한 다음 발색시약을 뿌려서 색변화를 통해 마약의 존재를 확인하고 있다. 이 방법은 정확성은 높으나,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마약을 분리하여야 하므로 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알칼로이드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의 경우는, 미리 용액을 만들어 용기에 넣고 운반해야 하므로 마약 수사관들이 범죄 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자체가 적갈색을 띠고 있어서 음료수 중에 넣어도 음료수 자체 색의 영향으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고유의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없으므로, 주류나 음료 중에 함유된 마약류의 확인에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지금까지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은 범죄 현장에서 채취되는 분말 상태의 마약을 확인하는 데만 주로 이용되었다. 특히 일반인의 경우, 다른 사람이 몰래 주류나 음료에 넣은 마약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간단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게 확인을 할 수 있어야 하므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의 현장 사용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한편, 검출지를 사용하여 마약을 검출하는 방법은 인체에서 유래한 시료를 대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검출지를 사용하여 마약을 검출하는 방법은, 검사 대상인 시료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멤브레인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시료 속에 검출하고자 하는 마약이 있으면 이 마약은 착색미립자-마약항체와 반응하여 복합체를 형성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 복합체가 멤브레인의 마약접합체가 영구적으로 결합된 부위에 도달하면 마약접합체와 경쟁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그 결과 마약접합제 부위에서 발색이 나타나게 되며, 이 발색의 결과로 약물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약물의 유무를 판정하는 경우, 약물을 미량의 농도까지 검출할 수 있는 검출 민감도와, 결과의 판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색깔의 강도에 따라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달라지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3-0008461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9-0015344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5-0012072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0-0006780호
(특허문헌 5)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3-0013732호
(특허문헌 6)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32336호
일반인이나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방법으로 각종 주류나 음료에 함유된 마약류의 존재 유무를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는 마약검출용 키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주류나 음료수 중에 마약류가 함유되었는지 여부를 색 변화를 통해 신속하고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마약검출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류나 음료수의 종류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마약검출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2급 이상 아민 구조를 가진 약물 중 가장 문제가 되는 마약류인 메트암페타민, MDMA(methylenedioxy methamphetamine, 엑스터시), 케타민, 코카인, 메틸페니데이트, 메스케치논 등을 대상으로 알칼로이드의 침전반응에 활용되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을 미리 흡착시킨 스트립을 사용함으로써 주류나 음료수 중에 이러한 마약류가 함유되었는지 여부를 색 변화를 통해 신속하고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검출 키트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용액을 흡착시킨 멤브레인이 구비된 마약검출용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아민 기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은, 상기 멤브레인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멤브레인의 표면에 가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마약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흡착시킨 멤브레인은,
2급 이상 아민기를 가진 약물이 포함된 액상 시료와 접촉하면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의 칼륨 이온이 상기 약물의 아민기과 결합하고, 칼륨 이온을 잃은 헥사클로로플라틴산은 멤브레인과 결합하여 표면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시료패드, 멤브레인 및 흡수패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멤브레인은 나이트로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은 백킹카드 위에 길이방향으로 시료패드,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및 흡수패드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마약검출용 키트는, 메트암페타민, MDMA, 케타민, 메틸페니데이트, 메스케치논, 코카인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약물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약검출용 키트에 포함된 마약검출용 스트립을 액상 시료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접촉을 적어도 10~15초 동안 유지시켜 시료를 스트립에 흡수시키는 단계; 및
발색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약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마약의 검출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액상 시료와의 접촉에서 발색 유무의 확인까지 1분 이내에 마약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Potassium hexachloroplatinate)이 아민 기능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멤브레인의 표면에 가변적으로 고정되도록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멤브레인에 흡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약검출용 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백킹카드 위에 시료패드, 멤브레인 및 흡수패드가 접하도록 배치하여 마약검출용 스트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에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이 흡착된 스트립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는 알칼로이드의 침전반응에 활용되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흡착시킨 스트립을 주류나 음료수와 같은 액체에 담그기만 하면, 액체에 함유된 마약성분인 메트암페타민, MDMA, 케타민, 코카인, 메틸페니데이트, 메스케치논 등과 스트립 표면에 존재하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의 반응에 의해 1분 이내에 빠르게 이러한 마약류의 혼입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는 각종 주류나 음료수의 종류나 색상에 관계없이 스트립의 색 변화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약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는 각종 액체에 함유된 마약류의 존재를 육안식별로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으므로, 클럽 약물을 이용한 성범죄에 위험을 느끼는 일반인은 물론,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 마약수사관 등의 전문가도 주류나 음료수에 마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는, 일반인이 범죄 현장에서 스스로를 보호하는데 활용할 수 있고, 경찰 등의 전문가가 현장에서 현행범의 검거를 위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는 사용방법이 쉽고 간단하며, 크기가 작아 가볍고 휴대하기 쉬우며, 운반이 간단하고, 특수포장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는 종래 현장에서 마약탐지를 위해 사용되던 황산, 알데하이드 등의 유해물질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보건 및 환경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에 사용되는 스트립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마약검출용 스트립에 마약검출용 시약인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적용한 마약검출용 키트(왼쪽) 및 실물 사진(오른쪽)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음료 내 메트암페타민을 검출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음료 내 MDMA를 검출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음료 내 케타민을 검출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음료 내 코카인을 검출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음료 내 메스케티논을 검출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음료 내 메틸페니데이트를 검출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농도별 메트암페타민을 검출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용액을 흡착시킨 멤브레인이 구비된 마약검출용 스트립을 포함하는 마약검출용 키트, 이 키트를 이용하여 마약을 검출하는 방법 및 이 키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는 마약검출용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마약검출용 스트립은 아민 기능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과, 이 멤브레인에 흡착되어 있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용액을 포함한다.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은 아래와 같은 구조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식 1]
Figure PCTKR2022018381-appb-img-000001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은 아래 반응식과 같이 수소 헥사클로로플라틴산과 요오드화칼륨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22018381-appb-img-000002
상기 멤브레인은 아민 기능기를 포함한다. 아민 기능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에는 기능화된 셀룰로오스 멤브레인(Functionalized cellulose membrane), 탈양자화된 키토산 멤브레인(Deprotonated chitosan membran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나이트로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이다.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외에도 친수성 나일론 멤브레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멤브레인(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폴리에테르설폰 멤브레인(Polyethersulfone membrane) 등의 멤브레인 또는 이들 멤브레인에 아민 기능기를 도입한 것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착'은 화학적 결합없이 멤브레인 표면에 물리적인 힘 등에 의해 가변적으로 고정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멤브레인 표면에 흡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이 흡착되는 것도 멤브레인의 아민 기능기에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이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이 멤브레인 표면에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가변적인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액상 시료에 담그면 시료와 함께 흘러가 쉽게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수소 헥사클로로플라틴산은 단독으로는 멤브레인의 아민 기능기와 결합하여 멤브레인 표면에 고정되게 된다. 이는 수소 헥사클로로플라틴산에 있는 6개의 Cl- 중 4개는 2H2O의 H와 결합(donal bonding)하고 나머지 2개는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의 아민기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오드화칼륨과의 반응으로 형성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은 멤브레인의 아민 기능기와 결합하지 않으므로 멤브레인에 화학적으로 고정되지 않는다. 이는 수소 헥사클로라이드의 6개의 Cl- 중 4개는 2H2O의 H와 결합(donal bonding)하고 나머지 2개는 칼륨과 결합하게 되므로, 멤브레인의 아민기와 결합할 수 있는 남은 반응기가 없기 때문이다.
멤브레인에 물을 포함하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이 흡착되면 2H2O의 O와 H는 Cl- 뿐만 아니라 멤브레인의 아민기와도 공유 패킹을 형성한다. 이때 2급 이상의 아민 작용기를 지닌 화학물질이 침투하면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의 칼륨이온이 탈양자(deprotonation)와 유사한 반응으로 아민과 결합하게 된다. 칼륨이온을 잃은 헥사클로로플라틴산은 2개의 Cl-가 멤브레인과 결합하여 표면에 고정이 발생되어 침전이 형성된다. 시료에 아민기가 없는 경우에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은 액상시료와 함께 흘러가 침전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약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액상 시료에 2급 이상 아민기를 가진 약물이 포함되어 있으면,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의 칼륨 이온이 약물의 아민기과 결합하고, 칼륨 이온을 잃은 헥사클로로플라틴산은 멤브레인의 아민기과 결합하여 표면에 침전을 형성하며 고정되게 된다. 이때 헥사클로로플라틴산은 동시에 약물의 아민기와도 배위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시료에 2급 이상 아민기를 가진 약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멤브레인에 흡착되어 있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이 시료와 함께 흘러가게 된다. 멤브레인과 결합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은 회색의 침전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화학결합에 의한 전자전달계의 특성으로 인해 고유의 색이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기 스트립에서 멤브레인에 흡착시킨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초순수에 10~100mg/㎖ 농도로 용해시킨 수소 헥사클로로플라틴산 용액과 초순수에 300~500mg/㎖ 농도로 용해시킨 요오드화칼륨 용액의 3배 희석액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시약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멤브레인에 상기 시약을 2~3㎕ 흡착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시료패드, 멤브레인 및 흡수패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백킹카드 위에 길이방향으로 시료패드,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및 흡수패드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백킹카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머 점착제 및 이형지가 적층된 층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약물은 2급 이상 아민기를 가진 약물이다. 2급 이상 아민기를 가진 약물은, 메트암페타민, MDMA, 케타민, 메틸페니데이트, 메스케치논, 코카인 등을 포함한다.
Figure PCTKR2022018381-appb-img-000003
상기 마약검출의 대상이 되는 액상 시료는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오렌지주스, 콜라 등의 다양한 종류의 주류와 음료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는 주류나 음료수의 종류에 관계없이 색 변화를 통해 신속하고 간단하게 마약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한 본 발명의 마약 검출방법은,
상기 마약검출용 키트에 포함된 마약검출용 스트립을 액상 시료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접촉을 적어도 10~15초 동안 유지시켜 시료를 스트립에 흡수시키는 단계; 및 발색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트립의 시료패드 부분을 마약혼입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주류, 음료수 등의 액상 시료에 담그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스트립의 위쪽으로 올라오면서 시료에 함유된 분자 내 2급 이상의 아민구조를 가진 메트암페타민, MDMA, 케타민, 코카인, 메틸페니데이트, 메스케치논 등의 약물만 멤브레인에 흡착되어 있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과 반응하게 된다. 따라서 주류, 음료수 등의 종류나 색상에 관계 없이 아민기를 갖는 약물만 반응하여 발색이 이루어지게 된다. 시료에 아민기를 포함하는 약물이 있으면,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의 칼륨 이온이 약물의 아민기와 결합하고, 칼륨 이온을 잃은 헥사클로로플라틴산은 멤브레인과 결합하여 표면에 고정되게 된다. 반대로, 시료에 아민기를 포함하는 약물이 없으면, 멤브레인에 흡착되어 있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이 시료와 함께 흘러가게 된다.
상기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한 마약탐지는 발색 유무의 확인까지 포함하여 통상 1분 이내에 가능하다. 정확한 결과를 위해서는 늦어도 30분 이내에 발색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약검출용 키트의 제조방법은,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아민 기능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에 흡착시키는 단계, 즉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이 멤브레인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멤브레인의 표면에 가변적으로 고정되도록 흡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백킹카드 위에 시료패드, 멤브레인 및 흡수패드가 접하도록 배치하여 마약검출용 스트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에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이 흡착된 스트립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 헥사클로로플라틴산과 요오드화칼륨을 반응시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립은, 상기 백킹카드 위에 멤브레인을 배치하고, 멤브레인 길이방향의 한쪽에는 흡수패드를 멤브레인과 겹쳐지도록 배치하고, 다른 쪽에는 시료패드를 멤브레인과 겹쳐지도록 배치하여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멤브레인은 나이트로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 상기 백킹카드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머 점착제 및 이형지가 적층된 층구조를 포함하며,
이하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제조된 키트를 이용하여 마약을 검출하는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시약의 제조
초순수(Ultra pure water)에 수소 헥사클로로플라틴산(IV)을 용해시켜 10~100mg/㎖ 농도의 수소 헥사클로로플라틴산 용액을 제조한다.
초순수에 요오드화칼륨을 용해시켜 300~500mg/㎖ 농도의 요오드화칼륨용액을 제조한다.
초순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300~500mg/㎖ 농도의 요오드화칼륨용액을 3배 희석한다.
상기 수소 헥사클로로플라틴산 용액과 상기 희석된 요오드화칼륨용액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마약검출용 시약인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혼합은 볼텍스 믹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마약검출용 스트립의 제조
마약검출용 스트립은 백킹카드 위에 시료패드,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및 흡수패드가 길이방향으로 접하면서 부착된 형태를 가진다.
마약검출용 스트립은 가로 7~10㎜×세로 60~90㎜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킹카드(Backing card)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폴리머 점착제 및 이형지가 적층된 3층 구조를 가진다. 백킹카드는 가로 7~10㎜×세로 60~80㎜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로 8㎜×세로 60㎜ 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시료패드(Sample pad)로는 유리섬유를 사용한다. 시료패드는 가로 7~10㎜×세로 20~30㎜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로 8㎜×세로 20㎜ 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 NC 멤브레인)은 가로 7~10㎜×세로 14~24㎜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로 8㎜×세로 14 ㎜ 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패드(Absorbent pad)로는 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사용한다. 흡수패드는 가로 7~10㎜×세로 30~40㎜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로 8㎜×세로 30㎜ 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스트립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이면지를 제거한 백킹카드 위에 길이방향으로 시료패드,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및 흡수패드가 접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백킹카드 위에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배치하고,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길이방향의 한쪽에는 흡수패드를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과 겹쳐지도록 배치하고, 다른 쪽에는 시료패드를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과 겹쳐지도록 배치하여 마약검출용 스트립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과 흡수패드,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과 시료패드는 각각 2㎜ 정도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마약검출용 키트의 제조
상기 제조된 마약검출용 스트립의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중앙에 상기 마약검출용 시약 2~3㎕를 인가하여 흡착시킨다.
마약검출용 시약이 인가된 마약검출용 스트립은 35~39℃에서 50~70분 동안 건조시켜 마약검출용 키트를 제조한다.
4.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한 마약 검출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마약을 검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마약검출의 대상이 되는 액체에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의 시료패드부분을 담그고 10~15초 동안 기다린 후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부분에 흡착된 마약검출용 시약 부분에 검은 원(검은 테두리의 원까지 포함)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시료패드는 시료패드의 크기에 따라 15~25㎜ 정도를 액체에 담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세관 현상에 의해 스트립의 위쪽으로 올라오면서 주류, 음료수 고유의 색은 남고 시료에 함유된 분자 내 2급 이상의 아민구조를 가진 메트암페타민, MDMA, 케타민, 코카인, 메틸페니데이트, 메스케치논 등의 약물만 멤브레인에 흡착되어 있는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과 반응하여 동그란 점이 나타나게 된다. 검은 원(검은 테두리의 원까지 포함)이 나타나면 양성으로 판별하고, 검은 원이 나타나지 않으면 음성으로 판별한다.
마약검출용 키트를 사용하여 마약류를 검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통상 1분 이내이다. 정확한 결과를 위해서는 늦어도 30분 이내로 발색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사용하면 다양한 액체에 함유된 마약성분을 마약검출용 키트의 스트립에 흡착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의 발색을 통해 대상 액체의 영향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마약검출용 시약의 제조
초순수(다인바이우(주), CBW3060, 1ℓ용량제품)에 수소 헥사클로로플라틴산(KOJIMA CHEMICALS CO., LTD., CAS 26023-84-7/18497-13-7, 덕산과학에서 구입)를 용해시켜 40mg/㎖ 농도의 수소 헥사클로로플라틴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초순수에 요오드화칼륨(Sigma aldrich, 221945-100G)을 용해시켜 400mg/㎖ 농도의 요오드화칼륨용액을 제조하였다.
초순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400mg/㎖ 농도의 요오드화칼륨용액을 3배 희석하였다.
상기 수소 헥사클로로플라틴산 용액과 상기 희석된 요오드화칼륨용액을 1:1의 부피비로 볼텍스 믹싱으로 혼합하여 마약검출용 시약인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제조하였다.
마약검출용 시약인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을 도 3에 나타내고,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2가지 화합물인 헥사클로로플라틴산과 요오드화칼륨을 도 4에 나타내었다.
(2) 마약검출용 스트립의 제조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머 점착제 및 이형지가 적층된 3층 구조를 가진 백킹카드(BORE DA BIOTECH)를 가로 8㎜×세로 60㎜ 크기로 재단하였다. 시료패드로는 유리섬유(BORE DA BIOTECH, Grade 8964)를 가로 8㎜×세로 20㎜ 크기로 재단하였다.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PALL, VIV9025100R)을 가로 8㎜×세로 14 ㎜ 크기로 재단하였다. 흡수패드로는 셀룰로오스 멤브레인(BORE DA BIOTECH, Grade 222)을 가로 8㎜×세로 30㎜ 크기로 재단하였다.
먼저, 백킹카드의 3층 이면지를 박리하였다.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백킹카드의 점착면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과 백킹카드 점착면 위에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의 한쪽에는 흡수패드가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과 2㎜ 정도 겹쳐지도록 하고,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의 다른 쪽에는 시료패드가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과 2㎜ 정도 겹쳐지도록 위치시켜 스트립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마약검출용 스트립 구조의 측면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3) 마약검출용 키트의 제조
상기 제조된 마약검출용 스트립의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중앙에 상기 마약검출용 시약 2.5㎕를 인가하였다. 마약검출용 시약이 인가된 마약검출용 스트립은 37℃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켜 마약검출용 키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마약검출용 키트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메트암페타민의 검출
마약의 함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액체로는,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의 6종을 사용하고, 각 음료에 메트암페타민을 0.5(v/v)% 농도로 포함시켜 준비하였다.
메트암페타민이 포함된 음료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마약검출용 키트를 약 1.5cm까지 담갔다. 스트립을 담그고 10~15초 동안 기다린 후 스트립의 윗면에 검은 원(검은 테두리의 원까지 포함)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검은 원이 나타나면 양성으로 판별하고, 검은 원이 나타나지 않으면 음성으로 판별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사용하면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인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에 함유된 메트암페타민을 스트립에 흡착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과의 반응을 통해 음료수의 영향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험예 2>
MDMA의 검출
마약의 함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액체로는,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의 6종을 사용하고, 각 음료에 MDMA를 0.5(v/v)% 농도로 포함시켜 준비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스트립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사용하면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인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에 함유된 MDMA를 스트립에 흡착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과의 반응을 통해 음료수의 영향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험예 3>
케타민의 검출
마약의 함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액체로는,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의 6종을 사용하고, 각 음료에 케타민을 0.5(v/v)% 농도로 포함시켜 준비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스트립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사용하면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인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에 함유된 케타민을 스트립에 흡착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과의 반응을 통해 음료수의 영향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험예 4>
코카인의 검출
마약의 함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액체로는,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의 6종을 사용하고, 각 음료에 코카인을 0.5(v/v)% 농도로 포함시켜 준비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스트립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사용하면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인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에 함유된 코카인을 스트립에 흡착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과의 반응을 통해 음료수의 영향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험예 5>
메스케치논의 검출
마약의 함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액체로는,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의 6종을 사용하고, 각 음료에 메스케치논을 0.5(v/v)% 농도로 포함시켜 준비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스트립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사용하면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인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에 함유된 메스케치논을 스트립에 흡착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과의 반응을 통해 음료수의 영향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험예 6>
메틸페니데이트 검출
마약의 함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액체로는,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의 6종을 사용하고, 각 음료에 메틸페니데이트를 0.5(v/v)% 농도로 포함시켜 준비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스트립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사용하면 소주, 맥주, 레드와인, 화인트와인, 오렌지주스 및 콜라에 함유된 메틸페니데이트를 스트립에 흡착된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과의 반응을 통해 음료수의 영향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험예 7>
소주 내 농도별 메트암페타민의 검출
마약의 함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액체로는 소주를 사용하였다. 소주에 메트암페타민을 0.05(v/v)%, 0.1(v/v)%, 0.2(v/v)%, 0.3(v/v)%, 0.4(v/v)%, 0.5(v/v)%, 0.6(v/v)%, 0.8(v/v)% 및 1(v/v)%로 포함시켜 준비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스트립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마약검출용 키트를 사용하면 0.05(v/v)%와 0.1(v/v)%의 낮은 농도일 때에도 블랭크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희미한 원형이 확인되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원형이 진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Potassium hexachloroplatinate) 용액을 흡착시킨 멤브레인이 구비된 마약검출용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아민 기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은, 상기 멤브레인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멤브레인의 표면에 가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약검출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흡착시킨 멤브레인은,
    2급 이상 아민기를 가진 약물이 포함된 액상 시료와 접촉하면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의 칼륨 이온이 상기 약물의 아민기과 결합하고, 칼륨 이온을 잃은 헥사클로로플라틴산은 멤브레인과 결합하여 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약검출용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시료패드, 멤브레인 및 흡수패드를 포함하는, 마약검출용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나이트로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은, 백킹카드 위에 길이방향으로 시료패드,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및 흡수패드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약검출용 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약검출용 키트는, 메트암페타민, MDMA, 케타민, 메틸페니데이트, 메스케치논, 코카인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약물을 검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약검출용 키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약검출용 키트에 포함된 마약검출용 스트립을 액상 시료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접촉을 적어도 10~15초 동안 유지시켜 시료를 스트립에 흡수시키는 단계; 및
    발색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약의 검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약은, 메트암페타민, MDMA, 케타민, 메틸페니데이트, 메스케치논, 코카인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약의 검출방법.
  8.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Potassium hexachloroplatinate)이 아민 기능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멤브레인의 표면에 가변적으로 고정되도록 헥사클로로플라틴산칼륨 용액을 멤브레인에 흡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약검출용 키트의 제조방법.
PCT/KR2022/018381 2021-11-24 2022-11-21 마약검출용 키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약의 검출방법 WO202309628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724 2021-11-24
KR1020210163724A KR102665445B1 (ko) 2021-11-24 2021-11-24 마약검출용 키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약의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6284A1 true WO2023096284A1 (ko) 2023-06-01

Family

ID=8653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8381 WO2023096284A1 (ko) 2021-11-24 2022-11-21 마약검출용 키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약의 검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5445B1 (ko)
WO (1) WO2023096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199B1 (ko) 2023-10-18 2024-04-24 대한민국 신속 약품 검사 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2397A1 (en) * 1982-12-08 1984-06-21 Medical Diagnostics Inc Drug abuse test indicato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992296A (en) * 1987-05-26 1991-02-12 Gibson Jacob J Abuse-type drug test pap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950012072A (ko) * 1993-10-09 1995-05-16 김은영 면역분석법을 이용한, 여러 종류의 마약류 동시검출용 건식시험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9990015344A (ko) * 1997-08-05 1999-03-05 허일섭 즉석 마약검출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00039989A (ko) * 2018-10-08 2020-04-17 한국과학기술원 1차원 나노섬유 구조에 마약감지용 색변화 염료 물질이 결착된 마약 지시용 복합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 색변화 센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780B1 (ko) 1986-10-27 1990-09-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더블 스캔 주사시 수직 피이킹 회로
KR950002926B1 (ko) 1991-10-07 1995-03-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
KR950010395B1 (ko) 1991-12-30 1995-09-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약계의 간이 검출법 및 검출용 킷트
KR101332336B1 (ko) 2013-05-07 2013-11-22 (주)래피젠 프로존 효과를 회피할 수 있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2397A1 (en) * 1982-12-08 1984-06-21 Medical Diagnostics Inc Drug abuse test indicato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992296A (en) * 1987-05-26 1991-02-12 Gibson Jacob J Abuse-type drug test pap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950012072A (ko) * 1993-10-09 1995-05-16 김은영 면역분석법을 이용한, 여러 종류의 마약류 동시검출용 건식시험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9990015344A (ko) * 1997-08-05 1999-03-05 허일섭 즉석 마약검출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00039989A (ko) * 2018-10-08 2020-04-17 한국과학기술원 1차원 나노섬유 구조에 마약감지용 색변화 염료 물질이 결착된 마약 지시용 복합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 색변화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618A (ko) 2023-05-31
KR102665445B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96284A1 (ko) 마약검출용 키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약의 검출방법
US20100081188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drugs in a beverage
US3915639A (en) Drug abuse dipstick
KR930010216B1 (ko) 모사방지용 보호필름
WO2014196803A1 (en) A strip for rapid testing having a variable control line and a diagnosis kit using the same
EP0415679A2 (en) Blood separation and analyte detection techniques
Scott et al. Analysis and survey of ground black, white, and capsicum peppers for aflatoxins
WO2014181980A1 (ko) 프로존 효과를 회피할 수 있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EP1186889A1 (en) Housing of immunochromatography apparatus
US8056498B2 (en) Inspection and testing indicator
ES2155057T3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medir el hdl-colesterol, por precipitacion en una fase solida.
GB2435510A (en) Enzyme detection product and methods
EP0233063B1 (en) Process and kit for drug detection
CN113552361A (zh) 一种半定量检测金刚烷胺的试纸条及其制备方法和应用
Laskar et al. Modified ninhydrin spray reag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amino acids on thin-layer chromatography plates
CN101135685A (zh) 海洛因快速检测装置
JPS63210772A (ja) 乾燥試験片及びそれを用いた被検流体中の分析成分の検出方法
Adungo et al. Comparative determination of Plasmodium falciparum sporozoite rates in Afrotropical Anopheles from Kenya by dissection and ELISA
WO2017131270A1 (ko) 나노포어를 이용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저해제 스크리닝 방법
JP2006300739A (ja) 試験紙及びその製造方法
Jain et al. Thin-layer chromatographic screening and confirmation of basic drugs of abuse in urine
CN105181915B (zh) 一种植物油中污染物快速免疫检测方法和应用
WO2020241999A1 (ko) 스위치 성 부착반응을 이용한 친화 분리 시스템 및 방법
Ikari et al. ATP, thapsigargin and cAMP increase Ca2+ in rat hepatocytes by activating three different Ca2+ influx pathways
CN211741306U (zh) 一种检测孔雀石绿的胶体金试纸条和胶体金试剂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989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