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926B1 -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926B1
KR950002926B1 KR1019910017544A KR910017544A KR950002926B1 KR 950002926 B1 KR950002926 B1 KR 950002926B1 KR 1019910017544 A KR1019910017544 A KR 1019910017544A KR 910017544 A KR910017544 A KR 910017544A KR 950002926 B1 KR950002926 B1 KR 950002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etection
methylene chloride
urine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461A (ko
Inventor
박종세
최명자
송은영
최정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원희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19910017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926B1/ko
Publication of KR93000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
첨부된 도면은 메타암페타민 음성뇨와 양성뇨의 발색비교 사진임.
본 발명은 테트라브로모페놀프탈렌-에스테르(TBPE)와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여 검출지를 제조하는 새롭고도 진보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검출지는 마약계, 예컨대, 뇨중에 함유된 메타암페타민(methamphetamine), 메톡시펜아민(methoxyphenamine), DL-메틸에페드린(DL-methylephe-drine), 암페타민(amphetamine), 에페드린(ephedrine), 노르에페드린(norephedrine)등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마약계 검출지 제조법은 건식법과 습식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건식법으로 검출지를 제조하는 것이다.
습식법에 있어서, 공지자료(枓瞥硏, 昭和54年度 鑑識科學硏究發表講寅集 化學部會, 1979, p. 16)에 의하면 메타암페타민이나 그 대사산물을 뇨중에 검출하기 위해 TBPE 시약을 사용하여 발색시켰다.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는 벡톤-디킨슨사(Becton-Dickinson, U.S.A.)에서 상품화(Narcotics Identification System)한 것을 이용하거나 로슈사(Roche Diagnostics System lnc. U.S.A.)에서 상품화(Abuscreen ONTRAK™, 한 것을 이용하여 검출하기도 한다. 그러나 습식법으로 메타암페타민이나 그 대사산물을 검출하려면 전문가가 아닌한 분석하기가 곤란하며 많은 시약과 도구, 복잡한 기기가 필요할뿐 아니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건식법으로 제조된 검출지는 수용성 시약을 거름종이 판에 도포하여 뇨에 담구었다가 꺼낸후 그로부터 1-2분내에 발색되는 색상을 보도 표준 색상표와 비교하여 반정량적으로 판정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히로뽕, 메톡시펜아민, DL-메틸에페드린, 암페타임, 에페드린 및 노르에페드린의 검출시약으로 사용하는 TBPE 시약은 유기용매(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여야 하며 TBPE 시약과 마약계와의 반응 생성물도 약알칼리성(pH 7-10)의 유기용매이어야 발색이 잘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공지에서와 같은 단점이 개량된 새롭고도 진보된 검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전문가도 본 발명의 검출지를 사용함으로써 즉석에서 마약계의 존재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검출지로 측정될 수 있는 구체적 화합물과 그 측정범위는 뇨중에 5ppm이상의 메타암페타민, 4ppm이상의 메톡시펜아민, 8ppm이상의 DL-메틸에페드린, 20ppm이상의 암페타민, 8ppm이상의 에페드린, 30ppm이상의 노르에페드린이 단독 또는 두가지 이상 혼합된 경우로, 적자-보라색으로 발색함으로써 검출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TBPE를 메틸렌클로라이드용액에 용해시킨후, 이 용액에 거름종이를 일정시간 침지시킨 다음 실온에서 건조시키고 10%의 붕사액에 다시 침지시켜 pH를 7-10범위로 되게하고 실온에서 건조시켜 검출지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렇게 건조된 검출지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용매하에 마약계 및 그 대사산물과 반응하에 적자-보라색을 나타낸다. TBPE의 화학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pH에 따라 예컨대 pH3.0이하에서는 황색을 띠며, pH4.2이상에서는 청색으로 변한다.
한편 붕사와 메틸렌클로라이드는 공업용, 분석용등 어느 것이나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순도가 높은 분석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거름종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성용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실온이라 함은 용매가 건조될 수 있는 온도, 즉 10-30℃를 뜻한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기본시약제조
① TBPE 시약 :
TBPE 0.1g에 증류수 100ml를 넣어 용해시킨다. 10% 염산은 염산 23.6ml를 증류수 76.4ml를 가해 희석하여 100ml가 되도록 한다. TBPE 용액에 10% 염산을 가한다음 메틸렌클로라이드 100ml를 가해 흔들면 층이 분리된다. 정치후 메틸렌클로라이드층(노란색)을 취하고 이층의 전량이 약 500ml이 되도록 메틸렌클로라이드로 희석한다.
② 붕사액:
붕사 10g을 증류수 100ml에 녹인다.
2. 검출지 제조
TBPE 시약에 여과지를 첨지시킨후 실온의 암소에서 건조시킨다. 완전히 건조된 여지를 10% 붕사액에 침지시키고 실온에서 건조시킨다.
3.검출방법
① 메타암페타민
i) 검출지의 한쪽 끝에 검뇨를 떨어뜨린다.
ⅱ) 다른 한쪽 끝에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순차적으로 떨어뜨려 흡수시킨다.
ⅲ) 양성시료인 경우 시료와 용매가 검출지를 따라 확산되는 상태에서 두 액체층이 검출지의 중앙부근에서 만나게 되며, 뇨층의 메타암페타민이 메틸렌클로라이드 층으로 옮겨가 시약과 반응하여 경계면에서 적자-보라색을 나타냈다.
ⅳ) 음성뇨에서는 검출지가 젖어서 검출지 본래의 색인 파랑색만 진해지며,5ppm이상의 메타암페타민양성노에서는 적자-보라색으로 나타났다.
② 메톡시펜아민
ⅰ) 검출지의 한쪽 끝에 검뇨를 떨어뜨린다.
ⅱ) 다른 한쪽 끝에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순차적으로 떨어뜨려 흡수시킨다.
ⅲ) 양성시료인 경우 시료와 유기용매가 확산되는 상태에서 두 액체층이 검출지의 중앙부근에서 만나게 되며 뇨층의 메톡시펜아민이 메틸렌클로라이드 층으로 옮겨가 시약과 반응하여 경계면에서 적자-보라색선을나타냈다.
ⅳ) 음성뇨에서는 검출지가 젖어서 검출지 본래의 색인 파랑색만 진해지며 4ppm이상의 메톡시펜아민 양성뇨에서는 적자-보라색으로 나타났다.
③ DL-메틸에페드린
ⅰ) 검출지의 한쪽 끝에 검뇨를 떨어뜨린다,
ⅱ) 다른 한쪽 끝에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순차적으로 떨어뜨려 흡수시킨다.
ⅲ) 양성시료인 경우, 시료와 유기용매가 확산되는 상태에서 두액체층이 검출지의 중앙부근에서 만나게되며 뇨층의 DL-메틸에페드린이 메틸렌클로라이드 층으로 옮겨가 시약과 반응하여 적자-보라색 선을 나타냈다.
ⅳ) 음성뇨에서는 검출지가 젖어서 검출지 본래의 색인 파랑색만 진해지며 8ppm이상의 DL-메틸에페드린 양성뇨에서는 적자-보라색으로 나타났다,
④ 암페타민
i) 검출지의 한쪽 끝에 뇨를 떨어뜨린다.
ⅱ) 다른 한쪽 끝에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순차적으로 떨어뜨려 흡수시킨다.
ⅲ) 양성시료인 경우 시료와 유기용매가 확산되는 상태에서 두 액체층이 검출지의 중앙부근에서 만나게되며 뇨층의 암페타민이 메틸렌클로라이드 층으로 옮겨가 시약과 반응하여 경계면에서 적자-보라색 선을 나타냈다.
ⅳ) 음성뇨에서는 검출지가 젖어서 검출지 본래의 색인 파랑색만 진해지며 20ppm이상의 암페타민 양성뇨에서는 적자-보라색으로 나타났다.
⑤ 에페드린
i) 검출지의 한쪽 끝에 검뇨를 떨어뜨린다.
ⅱ) 다른 한쪽 끝에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순차적으로 떨어뜨려 흡수시킨다.
ⅲ) 양성시료인 경우 시료와 유기용매가 확산되는 상태에서 두액체층이 검출지의 중앙부근에서 만나게 되며 뇨층의 에페드린이 메틸렌클로라이드 층으로 옮겨가 시약과 반응하여 경계면에서 적자-보라색을 나타냈다.
ⅳ) 음성뇨에서는 검출지가 젖어서 검출지 본래의 색인 파랑색만 진해지며 8ppm이상의 에페드린 양성뇨에서는 적자-보라색으로 나타났다.
⑥ 노르에페드린
i) 검출지의 한쪽 끝에 검뇨를 떨어뜨린다.
ⅱ) 다른 한쪽 끝에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순차적으로 떨어뜨려 흡수시킨다.
ⅲ) 양성시료인 경우 시료와 유기용매가 확산되는 상태에서 두액체층의 검출지의 중앙부근에서 만나게 되며 뇨층의 노르에페드린이 메틸렌클로라이드 층으로 옮겨가 시약과 반응하여 경계면에서 적자-보라색을 나타냈다.
iv) 음성뇨에서는 검출지가 젖어서 검출지 본래의 색인 파랑색만 진해지며 30ppm이상의 노르에페드린양성뇨에서는 적자-보라색으로 나타났다.

Claims (3)

  1. 테트라브로모페놀프탈렌-에틸에스테르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한 용액에 거름종이를 침지ㆍ건조한다음, 10% 붕사액에 침지ㆍ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마약계로서 메타암페타민 메톡시펜아민, DL-메틸에페드린, 암페타민, 에페드린, 노르에페드린 중에서 단독 또는 두가지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 방법 .
  3. 제1항에 있어서, 건조온도가 10-30℃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
KR1019910017544A 1991-10-07 1991-10-07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 KR950002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544A KR950002926B1 (ko) 1991-10-07 1991-10-07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544A KR950002926B1 (ko) 1991-10-07 1991-10-07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461A KR930008461A (ko) 1993-05-21
KR950002926B1 true KR950002926B1 (ko) 1995-03-28

Family

ID=1932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544A KR950002926B1 (ko) 1991-10-07 1991-10-07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445B1 (ko) 2021-11-24 2024-05-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마약검출용 키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약의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461A (ko) 199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cholas et al. [144] Determination of nitrate and nitrite
FrederickáSmith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iron in raw and treated municipal water supplies by use of 4: 7-diphenyl-1: 10-phenanthroline
Sawicki Fluorimetric determination of nitrate
Noble Determination of trace Kjeldahl nitrogen in petroleum stocks
KR950002926B1 (ko) 마약계 검출지의 제조방법
Downing et al. Modification of Schechter method of estimating DDT residue
Tsuboughi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Benzethonium with Tetrabromophenolphthalein Ethyl Ester
Bambach DEtermination of Lead by Dithizone
White et al. Determination of lithium in rocks
CN1117278C (zh) 用于检测甲醛、甲醇成分的试纸及其检测方法
Yagoda Determination of Aliphatic Nitrate Esters-A Colorimetric Method
Hata et al.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ammonia-nitrogen after preconcentration as indothymol on a glass-fiber filter in the presence of a cationic surfactant
Yamamoto et al. Indirect atomic-absorption determination of ppm levels of arsenic by combustion of an MIBK extract of arsenomolybdic acid
Miller et al. Determination of Diphenylmercury Alone in Presence of Phenyl Mercuric Compounds
Dasgupta et al.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trace sulfate in water
SU833491A1 (ru) Экстракционно-фотометрический способОпРЕдЕлЕНи СуРьМы B бРОНзАХ
Johnson et al. A SPECIFIC SOLVENT‐EXTRACTION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QUANTITIES OF FLUORIDE
Vijayakumar et al. Fluorimetric determination of trace quantities of mercury as an ion-association complex with rhodamine 6G in the presence of iodide
Chan et al. Fluorescent sensor based on newly synthesized fluorescein octadecyl ether octadecyl ester (FODEE) for direct determination of phenols in aqueous solutions
US7101716B2 (en) Formaldehyde detecting material
JP2003207498A (ja) ホルムアルデヒド測定用試薬及びそれを用いたホルムアルデヒドの測定方法
SU1377688A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ацеклидина
SU827394A1 (ru) Способ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и магни
SU702279A1 (ru) Способ количественного определени 2,7-формальдегиддинафталинсульфоната /6,3/аммони
Nasu et al.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phosphate in natural water after flotation as an ion pair of molybdophosphate with rhodamine 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