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54911A1 - 훈연 기능을 가지는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훈연 기능을 가지는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54911A1
WO2023054911A1 PCT/KR2022/012970 KR2022012970W WO2023054911A1 WO 2023054911 A1 WO2023054911 A1 WO 2023054911A1 KR 2022012970 W KR2022012970 W KR 2022012970W WO 2023054911 A1 WO2023054911 A1 WO 20230549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moke
capsule
unit
cooking
ch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29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성구
문윤원
김무경
김효석
유호현
정상진
장경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549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549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7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in a gaseous atmosphere with forced air or gas circulation, in vacuum or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13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Definitions

  • Embodiments are directed to providing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smoking function.
  • a cooking appliance oper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When cooking a cooking object, for example, food, a cooking appliance oper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may be used. Examples of such cooking appliances include an electric oven, a microwave oven, and a microwave hot air fryer (air fryer). In such a cooking appliance, a cooking object is cooked by applying hot air or irradiating microwaves to the cooking object.
  • a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cooking chamber providing a cooking space in which a cooking object is disposed, a heating member for heating the cooking object, and a smoking module for smoking the cooking object,
  • the smoking module The smoking module,
  • a capsule placement unit into which capsules containing smoke chips are inserted and placed;
  • a smoke generating unit generating smoke by heating the smoke chips inside the capsule disposed in the capsule placing unit;
  • It may include a; smoke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smoke chips to the cooking chamber.
  • the capsule disposing unit may include a se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an outer shape of the capsule, and the smok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apsul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apsule disposing unit.
  • the smoke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combustion heater movable between a protruding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seating groove to penetrate the end of the capsule and a retracted position not protruding from the seating groove so that the capsule can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 the combustion heater can move from the retracted position to the protruding position.
  • the combustion heater may heat the smoke chips to a temperature of 480 °C or less.
  • an end of the combustion heater may have a pointed shape so as to pass through one end of the capsule.
  • the smok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smok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apsule dispensing unit and the cooking chamber and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moke moves, and a blower disposed in the smoke passage to control a moving direction of the smoke. there is.
  • the smoke detector may further include a smoke sensor that senses smoke moving through the smoke passage.
  • the smoke detector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emitted light.
  • the smoke detector may be disposed upstream of the blower.
  • the smoke passag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smoke may circulate, and the smok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disposed in the smoke passage to remove the smoke using a liquid.
  • the filter may include a liquid cartridge that stores the liquid and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 the filter may further include a purification filter for purifying air.
  • the heat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heat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or apply microwaves to the cooking object.
  • a basket accommodating smoked chips
  • It may include a; a smoke discharge unit disposed at one end of the basket and configured to pass smoke generated from the smoke chips.
  • a capsule lid that blocks the smoke discharge unit and is removable from the basket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smoke discharge unit may have a mesh structure configured to block leakage of the smoke chips and pass smoke generated from the smoke chips.
  • a size of a mesh hole of the smoke discharge unit may be smaller than a size of the smoke chip.
  • the size of the smoke chip may be 5 mm or less to enable combustion by a combustion heater.
  • a through hole into which a combustion heater can be inserted and a cover member covering the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aske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magnetic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moking module of an electronic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mok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moking module of Figure 4 cut parallel to the side.
  • 6A and 6B are views illustrating movement of a combustion heater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a capsule door.
  •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capsule of FIG. 7 .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moke transfer unit of a smok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mok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 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that can easily smoke when cooking foo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cooking device 1 includes a cooking chamber 11 providing a cooking space in which a cooking object is disposed, a heating member 13 for heating the cooking object, and smoking the cooking object. It includes a smoking module 100 for
  • the microwave cooking device 1 may be an electric oven, a microwave oven, a microwave oven, or a microwave hot air blower.
  • the type of the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 the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1 may have an electric oven function and a microwave oven function, or may have an electric oven function and an electronic hot air blower function.
  • the electronic cooking device 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referred to as a cooking device if it is a device that is oper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cooks.
  • the cooking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1 may be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regular hexahedr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ooking spac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 the cooking chamber 11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hamber door 12 .
  • the heating member 13 directly or indirectly heats a cooking object disposed in the cooking chamber 11 .
  • the heating member 13 may heat the cooking object by various heating methods.
  • the heating member 13 may heat the cooking object by convection heat by heating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11 .
  • the heating member 13 may irradiate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 with microwaves to heat an object to be cooked through dielectric heating.
  • the heating member 13 may have various heating method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1 .
  • the controller 2 may include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mber 13 .
  • the processor of the control unit 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member 13 , the input unit 3 , the display 4 , the speaker 5 , the smoking module 1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6 .
  • the processor of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heating member 13, the smoking module 100, the speaker 5, and the display 4 based on the user's input obtained through the input unit 3.
  • the communication unit 6 may be connected to a server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However, the communication unit 6 is an optional configuration and may be excluded as needed.
  • the user may input a recipe, cooking time, cooking method, etc. of the cooking target through the input unit 3 .
  • the controller 2 controls the heating member 13 and the smoking module 100 based on user input.
  • the controller 2 may visually and audibly provide information on the cooking state, cooking time, and cooking method of the object to be cooked through the display 4 and the speaker 5 .
  • FIG.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moking module 100 of the electromagnetic cooking applian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mok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moking module 100 of FIG. 4 cut parallel to a side surface.
  • the smoking module 100 includes a capsule arranging unit 110 , a smoke generating unit 120 , and a smoke transfer unit 130 .
  • a capsule 200 including a smoke chip 201 is inserted and placed in the capsule dispensing unit 110 .
  • the capsule disposing unit 110 includes a seating groove 111 in which the capsule 200 is seated.
  • the seating groove 11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apsule 200 .
  • the capsule disposing unit 11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apsule door 112 .
  • the smoke generator 120 heats the smoke chip 201 so that smoke is generated in the smoke chip 201 inside the capsule 200 .
  • the smoke generator 120 penetrates one side of the capsule 200 disposed in the capsule dispensing unit 110 to heat the smoke chip 201 .
  • the smoke generator 120 includes a combustion heater 121 configured to heat the smoke chips 201 . Operation of the combustion heater 12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 .
  • the combustion heater 121 is movable between a protruding position 121a that protrudes from the seating groove 111 and a retracted position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seating groove 111 (FIG. 6a: 121b).
  • the combustion heater 121 penetrates the end 122 of the capsule 200 when it is in the protruding position 121a and is not inserted into the capsule 200 when it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121b.
  • the combustion heater 121 may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apsule door 112 .
  • FIG. 6A and 6B are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heater 121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psule door 112.
  • the combustion heater 121 is located in the retracted position 121b.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apsule 200 into the seating groove 111 of the capsule disposing unit 110, contact of the combustion heater 121 with the capsule 200 is blocked.
  • the combustion heater 121 moves to the retracted position 121b. moves to the projecting position 121a. In the course of moving the combustion heater 121 to the protruding position 121a, the end 122 of the combustion heater 121 passes through the end of the capsule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capsule 200.
  • the combustion heater 121 inserted into the capsule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moke chips 201 accommodated inside the capsule 200 . Then, when the combustion heater 121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2, the combustion heater 121 heats the smoke chips 201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burn them. For example, the combustion heater 121 may heat the smoke chip 201 to a temperature of 480 °C or les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xygen is supplied to the capsule dispensing unit 110 from the outside. Through this, the combustion heater 121 incompletely burns the smoke chips 201 inside the capsule 200, and smoke may be generated.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heater 121 may be 150 ° C. or higher for combustion of the smoke chips 201 .
  • the end 122 of the combustion heater 121 may have a pointed shape.
  • the combustion heater 121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portion 122 . Through this, when the combustion heater 121 moves to the protruding position 121a, one end of the capsule 200 can be easily penetrated.
  • Smoke is generated inside the capsule 200 by the smoke generator 120, and the smok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capsule 200.
  • the capsule 200 used in such a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moke chips 201 are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heating and smoke discharge by the combustion heater 121 are easy. .
  •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aps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capsule 200 of FIG. 7 .
  • the capsule 200 includes smoke chips 201, a basket 210 accommodating the smoke chips 201, and a smoke discharge unit 220 disposed at an end of the basket 210. .
  • the smoke chip 201 When the smoke chip 201 is heated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moke is generated.
  • the smoke may have a certain smoky flavor.
  • the material of the smoking chip 20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pple wood, oak wood, vine wood, cherry wood, jujube wood, hickory wood, peach wood, and musket wood.
  • the smoke chips 201 may be made by cutting or pulverizing at least one of apple trees, oak trees, vine trees, cherry trees, jujube trees, hickory trees, peach trees, and musket trees, or by processing pulverized pieces.
  • the smoke chip 201 may have a small size to enable combustion by the combustion heater 121 .
  • the smoke chips 201 may have a sawdust shape.
  • the size of the smoke chips 201 may be 5 mm or less.
  • the size of the smoke chips 201 may be an average size when the size of the smoke chips 201 contained in the capsule 200 is not constant.
  • a through hole 211 into which a combustion heater 121 can be inserted and a cover member 212 covering the through hole 211 are provided.
  • the cover member 212 may have a structure and material that is easily penetrated by the combustion heater 121 .
  • the cover member 212 may be in the form of an aluminum foil.
  • 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the cover member 21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 a smoke discharge unit 220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asket 210 .
  • the smoke discharge unit 220 may have a mesh structure configured to block leakage of the smoke chips 201 and allow smoke generated from the smoke chips 201 to pass through.
  • the size of the mesh hole 221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moke chip 201.
  • the size of the mesh hole 221 may be smaller than the minimum size of the smoke chips 201.
  • the mesh hole 221 may have a size of 1 mm or less.
  • a capsule lid 23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moke discharge unit 220 .
  • the capsule lid 230 blocks the smoke outlet 220 and can be removed from the basket 210.
  • the capsule lid 230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an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by a user.
  • the capsule lid 230 may be in the form of aluminum foil.
  • 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the capsule lid 23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 the capsule 200 Before using the capsule 200, leakage of the smoke chips 201 through the capsule lid 230 and the smoke outlet 220 is blocked, and the fragrance of the smoke chips 201 is prevented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 the user When using the capsule 200, as shown in FIG. 8, the user separates the capsule lid 230 from the basket 210, and the capsule 200 from which the capsule lid 230 is separated is placed in the capsule of the electronic cooking device 1. It is inserted and placed in the placement unit 110.
  • the smoke chips 201 are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er 121 to generate smoke.
  • Smoke generated in the capsule 200 is transported to the cooking chamber 11 by the smoke transfer unit 130 .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moke transfer unit 130 of the smok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1 of FIG. 2 cut parallel to the front.
  • the smoke transfer unit 130 includes a smoke passage 131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smoke moves, and a blower 133 disposed in the smoke passage 131 to control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moke.
  • a smoke passage 131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smoke moves
  • a blower 133 disposed in the smoke passage 131 to control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moke.
  •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33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 .
  • the smoke passage 131 communicates with the capsule disposing unit 110 and the cooking chamber 11 . Accordingly, smoke generated in the capsule dispensing unit 110 may be transferred to the cooking chamber 11 .
  • a smoke hole 1310 connected to the cooking chamber 11 is provided in the smoke passage 131 .
  • the blower 133 includes a blowing fan that moves smok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the blowing fan may move the smok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Accordingly, the smoke discharged from the capsule disposing unit 110 moves from the right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 to the top along the smoke passage 131 . During this process, smoke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 through the smoke hole 1310, and smoking may be performed on a cooking target locat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11.
  • blower 133 In the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a single blower 133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is mainly illust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blowers 133 may be disposed in various locations.
  • the smoking module 100 further includes a smoke detector 140 disposed in the smoke passage 131 to detect smoke moving through the smoke passage 131 .
  • the smoke detector 140 may detect smoke generation or smoke concentration.
  • the controller 2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blower 133 and the combustion heater 121 based on a result detected by the smoke detector 140 .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 smoke is generated by the smoke detector 140,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heater 121 may be increased 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133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smoke.
  • the smoke detector 140 may be disposed upstream of the blower 133 . Through this, smoke in a state before being dispersed by the blower 133 can be measured.
  • the smoke sensor 140 is a sensor for detecting smoke particles included in smoke, and an optical sensor may be used.
  • the smoke detector 140 may include a light emitter 141 that emits ligh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moke, and a light receiver 142 that receives the emitted light.
  • the light emitting unit 141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42 may include a photodiode.
  • the light emitting unit 141 may emit ligh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moving direction of smoke (or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moke passage 131).
  • a moving direction of smoke or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moke passage 131.
  • the smoke detector 140 may detect whether or not smoke is generate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moke.
  • the configuration of the smoke detector 14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detect smoke.
  • the smoke detection unit 140 may include 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method such as a light scattering type or an ionization type in addition to a photosensitive type.
  • the smoking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150 for minimizing smoke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cooking device 1 .
  • a filter 150 is disposed in the smoke passage 131 and may be configured to remove smoke.
  • the smoke passage 13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smoke can circulate.
  • the smoke passage 13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smoke may mov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oking chamber 11 . The smoke may sequentially move through the right part, the upper part, the left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cooking chamber 11 along the smoke passage 131 .
  • the filter 150 may be configured to remove smoke using the liquid w.
  • the filter 150 may include a liquid cartridge 151 storing liquid w.
  • Water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the liquid (w).
  • the example of the liquid (w)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it is a liquid that absorbs smoke and does not burn.
  • the filter 150 is disposed in the smoke passage 131, and the smoke moving through the smoke passage 131 is exposed to the liquid w stored in the liquid cartridge 151. While the smoke passes over the liquid w, for example, water, the upper surface of the smoke and the liquid w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the process, some of the smoke particles included in the smoke may be absorbed into the water. The smoke repeated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quid w of the filter 150 while circulating through the smoke passage 131, thereby diluting the smoke concentration.
  • the liquid w for example, water
  • the liquid w stored in the liquid cartridge 151 may be in a wide spread state with a low height.
  • each of the horizontal width (a; see FIG. 4) and the vertical width (b) of the liquid (w)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h).
  • each of the horizontal width (a) and the vertical width (b) of the liquid (w) may be larger than twice the height (h).
  • the liquid cartridge 151 is detachable from the body 7. Accordingly, the liquid w stored in the liquid cartridge 151 can be easily exchanged or replenished. For example, the liquid cartridge 151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7, the liquid w stored in the liquid cartridge 151 discarded, filled with a new liquid w, and then mounted on the main body 7 again. there is.
  • the filter 150 may further include a purification filter 152 for purifying air.
  • the purification filter 152 may be a HEPA filter. The smoke-diluted air is purified once again by the purification filter 152, and smoke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cooking device 1.
  • the user Before smoking the cooking object, the user removes the capsule lid 230 from the prepared capsule 200 .
  • the smoke discharge part 220 of the capsule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removing the capsule lid 230 .
  • the user opens the capsule door 112, and inserts and places the capsule 200 with the smoke discharge unit 220 exposed into the seating groove 111 of the capsule dispensing unit 110.
  • the combustion heater 121 is located at the retracted position 121b in the seating groove 111.
  • the user closes the capsule door 112 to seal the capsule dispensing unit 110 so that smok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 the combustion heater 121 moves from the retracted position 121b to the protruding position 121a.
  • the combustion heater 121 is inserted into the capsule 200 and contacts the smoke chips 201.
  • the controller 2 heats the combustion heater 121 to generate smoke from the smoke chips 201 .
  • the generated smok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psule 200 through the smoke discharge unit 220, and the discharged smoke moves to a moving passage connected to the capsule dispensing unit 110.
  • the control unit 2 operates the blower 133 to move the smoke in the smoke passage 131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Smoke moving through the smoke passage 131 is supplied to the cooking chamber 11 through the smoke hole 1310 .
  • the smoke moving into the cooking chamber 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oking object.
  • Smoke is repeatedly supplied through the smoke hole 1310 while circulating through the smoke passage 131, and through this, the cooking object can be smoked.
  • the smoke is removed little by little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liquid w of the filter 150 .
  • the smoke is removed and the air is purified.
  • Smoke is further removed by a purification filter 152. Accordingly, only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1, and smoke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 the user can finish post-processing according to the smoking by simply opening the capsule door 112 and removing the capsule 200 in which the burnt smoke chips 201 are stored.
  • the cooking device encapsulates the smoking chips, so that the encapsulated smoking chips ar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electronic cooking device without the cumbersome work of adjusting the amount of the smoking chips or removing the burnt smoke chips.
  • Smoking can be performed when cooking food with only a simpl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대상이 배치되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 챔버와, 상기 조리 대상을 가열하는 가열 부재와, 상기 조리 대상을 훈연시키기 위한 훈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훈연 모듈은, 훈연칩을 포함하는 캡슐이 삽입 및 배치되는 캡슐 배치부; 상기 캡슐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캡슐의 일측을 관통하며, 상기 캡슐 내부의 훈연칩에서 연기가 발생하도록 상기 훈연칩을 가열하는 연기 생성부; 및 상기 훈연칩에서 발생한 연기를 상기 조리 챔버로 이송하는 연기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훈연 기능을 가지는 조리 기기
실시예들은 훈연 기능을 가지는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조리 대상, 예를 들어 음식을 조리할 때,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조리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 기기의 예로는, 전기 오븐, 전자 레인지, 전자 열풍기(에어 프라이어) 등이 있다. 이러한 조리 기기에서는, 조리 대상에 열풍을 가하거나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조리 대상을 조리하게 된다.
한편, 다이어트, 캠핑 등으로 인해 음식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 중 하나로 조리 대상을 훈연시킨 훈제 음식에 대한 수요가 있다. 전자 조리 기기에서,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전자 조리 기기에 훈연칩을 직접 넣고 연소시키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훈연칩을 준비하는 과정, 그리고 조리 이후에 훈연칩을 제거하는 과정이 상당히 번거로울 수 있으며, 훈연칩의 양에 따라 음식의 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음식의 향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조리 기기는, 조리 대상이 배치되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 챔버와, 상기 조리 대상을 가열하는 가열 부재와, 상기 조리 대상을 훈연시키기 위한 훈연 모듈을 포함하는 기기로서,
상기 훈연 모듈은,
훈연칩을 포함하는 캡슐이 삽입 및 배치되는 캡슐 배치부;
상기 캡슐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캡슐 내부의 훈연칩을 가열하여 연기를 발생시키는 연기 생성부; 및
상기 훈연칩에서 발생한 연기를 상기 조리 챔버로 이송하는 연기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 배치부는 상기 캡슐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훈연 모듈은 상기 캡슐 배치부를 개폐하는 캡슐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기 생성부는, 상기 캡슐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안착홈에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안착홈에 상기 캡슐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홈에 돌출되지 않는 후퇴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연소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 도어를 닫을 때, 상기 연소 히터는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소 히터는 480 ℃ 이하의 온도로 상기 훈연칩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연소 히터가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캡슐의 일 단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연소 히터의 단부는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기 이송부는, 상기 캡슐 배치부 및 상기 조리 챔버에 연통하며, 상기 연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기 통로와, 상기 연기 통로에 배치되어, 상기 연기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기 통로를 이동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기 감지부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기 감지부는 상기 송풍기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기 통로는 연기가 순환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훈연 모듈은, 액체를 이용하여 상기 연기를 제거하며 상기 연기 통로에 배치된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액체를 보관하며,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한 액체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를 가열하거나 상기 조리 대상에 마이크로파를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캡슐은,
훈연 기능을 가지는 전자 조리 기기에 사용되는 캡슐로서,
훈연칩을 수용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일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훈연칩에서 발생한 연기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연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기 배출부를 차단하며,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제거가 가능한 캡슐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기 배출부는 상기 훈연칩의 누설을 차단하고 상기 훈연칩에서 발생한 연기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기 배출부의 메쉬 구멍의 크기는 상기 훈연칩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훈연칩의 크기는, 연소 히터에 의해 연소가 가능하도록 5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의 타 단부에는 연소 히터가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조리 기기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조리 기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조리 기기의 훈연 모듈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훈연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훈연 모듈을 측면과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캡슐 도어의 개폐에 따른 연소 히터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캡슐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훈연 모듈의 연기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실시예의 목적은, 음식 조리시에 간편하게 훈연을 실시할 수 있는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조리 기기(1)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조리 기기(1)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조리 기기(1)는 조리 대상이 배치되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 챔버(11)와, 조리 대상을 가열하는 가열 부재(13)와, 조리 대상을 훈연시키기 위한 훈연 모듈(100)을 포함한다.
전자 조리 기기(1)는 전기 오븐, 전자 오븐, 전자 레인지 또는 전자 열풍기일 수 있다. 다만, 전자 조리 기기(1)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조리 기기(1)는 전기 오븐 기능과 전자 레인지 기능을 가지는 형태이거나, 전기 오븐 기능과 전자 열풍기 기능을 가지는 형태 등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자 조리 기기(1)는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조리가 진행되는 기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조리 기기로 불릴 수 있다.
조리 챔버(11)의 조리 공간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조리 공간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조리 챔버(11)는 챔버 도어(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가열 부재(13)는 조리 챔버(11)에 배치된 조리 대상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한다. 가열 부재(13)는 다양한 가열 방식에 의해 조리 대상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부재(13)는 조리 챔버(11)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여 대류열로 조리 대상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부재(13)는 조리 챔버(11)의 내부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유전 가열을 통해 조리 대상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 부재(13)는 전자 조리 기기(1)의 종류에 따라 가열 방식이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2)는 가열 부재(13)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의 프로세서는 가열 부재(13), 입력부(3), 디스플레이(4), 스피커(5), 훈연 모듈(100) 및 통신부(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의 프로세서는 입력부(3)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가열 부재(13), 훈연 모듈(100), 스피커(5), 디스플레이(4)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6)는 서버, 외부 전자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통신부(6)는 선택적인 구성으로, 필요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를 통해 조리 대상의 레시피, 조리 시간, 조리 방식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열 부재(13) 및 훈연 모듈(10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는 디스플레이(4) 및 스피커(5)를 통해, 조리 대상의 조리 상태, 조리 시간, 조리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조리 기기(1)의 훈연 모듈(100)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훈연 모듈(100)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훈연 모듈(100)을 측면과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훈연 모듈(100)은 캡슐 배치부(110), 연기 생성부(120), 연기 이송부(130)를 포함한다.
캡슐 배치부(110)에는 훈연칩(201)을 포함하는 캡슐(200)이 삽입 및 배치된다. 캡슐 배치부(110)는 캡슐(200)이 안착되는 안착홈(111)을 포함한다. 안착홈(111)은 캡슐(200)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안착홈(111)을 통해 캡슐(200)은 캡슐 배치부(110)에서 일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캡슐 배치부(110)는 캡슐 도어(1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연기 생성부(120)는 캡슐(200) 내부의 훈연칩(201)에서 연기가 발생하도록 훈연칩(201)을 가열한다. 연기 생성부(120)는 캡슐 배치부(110)에 배치된 캡슐(200)의 일측을 관통하여, 훈연칩(201)을 가열한다. 연기 생성부(120)는 훈연칩(201)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연소 히터(121)를 포함한다. 연소 히터(121)는 제어부(2)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연소 히터(121)는 안착홈(111)에서 돌출되는 돌출 위치(121a)와 안착홈(111)에 돌출되지 않는 후퇴 위치(도 6a: 121b) 사이로 이동 가능하다. 연소 히터(121)는 돌출 위치(121a)일 때 캡슐(200)의 단부(122)를 관통하며, 후퇴 위치(121b)일 때 캡슐(200)에 삽입되지 않는다. 연소 히터(121)는 캡슐 도어(112)의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캡슐 도어(112)의 개폐에 따른 연소 히터(121)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캡슐 도어(112)가 열린 상태일 때, 연소 히터(121)는 후퇴 위치(121b)에 위치한다. 그에 따라, 캡슐 배치부(110)의 안착홈(111)에 캡슐(20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연소 히터(121)가 캡슐(200)에 접촉하는 것이 차단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캡슐 배치부(110)의 안착홈(111)에 캡슐(200)을 삽입 및 배치한 후, 캡슐 도어(112)를 닫을 때, 연소 히터(121)는 후퇴 위치(121b)에서 돌출 위치(121a)로 이동한다. 연소 히터(121)가 돌출 위치(121a)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소 히터(121)의 단부(122)가 캡슐(200)의 단부를 관통하며 캡슐(2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캡슐(200) 내부로 삽입된 연소 히터(121)는 캡슐(2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훈연칩(201)과 접촉된다. 이후, 제어부(2)에 의해 연소 히터(121)가 작동하게 되면, 연소 히터(121)는 훈연칩(201)을 연소시키기 위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한다. 예를 들어, 연소 히터(121)는 480 ℃ 이하의 온도로 훈연칩(201)을 가열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캡슐 배치부(110)에는 외부로부터 산소가 공급된다. 이를 통해, 연소 히터(121)가 캡슐(200) 내부의 훈연칩(201)을 불완전 연소시켜, 연기가 발생할 수 있다. 연소 히터(121)의 가열 온도는 훈연칩(201)의 연소를 위해 150 ℃ 이상일 수 있다.
연소 히터(121)의 단부(122)는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소 히터(121)는 단부(122)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소 히터(121)가 돌출 위치(121a)로 이동할 때, 캡슐(200)의 일 단부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다.
연기 생성부(120)에 의해 캡슐(200) 내부에 연기가 발생하며, 캡슐(200)의 타 단부를 통해 연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조리 기기(1)에 사용되는 캡슐(200)은 연소 히터(121)에 의한 가열 및 연기 배출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훈연칩(201)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캡슐(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캡슐(200)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캡슐(200)은 훈연칩(201)과, 훈연칩(201)을 수용하는 바스켓(210)과, 바스켓(210)의 단부에 배치된 연기 배출부(220)를 포함한다.
훈연칩(201)은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연기가 발생한다. 연기는 소정의 훈제향을 가질 수 있다. 훈연칩(201)의 재질은 사과나무, 참나무, 포도나무, 벚나무, 대추나무, 히커리, 복숭아나무, 머스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훈연칩(201)은 사과나무, 참나무, 포도나무, 벚나무, 대추나무, 히커리, 복숭아나무, 머스킷 중 적어도 하나를 자르거나 분쇄하여 만들어지거나, 분쇄된 조각들을 가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훈연칩(201)은 연소 히터(121)에 의해 연소가 가능하도록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훈연칩(201)은 톱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훈연칩(201)의 크기는 5 mm 이하일 수 있다. 훈연칩(201)의 크기는, 캡슐(200) 내부에 담겨 있는 훈연칩(201)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평균 크기일 수 있다.
바스켓(210)의 일 단부에는 연소 히터(121)가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211)과 관통 구멍(211)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212)가 마련된다. 커버 부재(212)는 연소 히터(121)에 의해 관통이 용이한 구조 및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부재(212)는 알루미늄 호일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커버 부재(212)의 구조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바스켓(210)의 타 단부에는 연기 배출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연기 배출부(220)는 훈연칩(201)의 누설을 차단하고 훈연칩(201)에서 발생한 연기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한 예로서, 메쉬 구멍(221)의크기는 훈연칩(20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쉬 구멍(221)의 크기는 훈연칩(201)의 최소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메쉬 구멍(221)의 크기는 1 mm 이하일 수 있다.
연기 배출부(220)의 외측에는 캡슐 뚜껑(230)이 배치될 수 있다. 캡슐 뚜껑(230)은 연기 배출부(220)를 차단하며, 바스켓(210)으로부터 제거가 가능하다. 캡슐 뚜껑(230)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제거되도록 유연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뚜껑(230)은 알루미늄 호일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캡슐 뚜껑(230)의 구조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캡슐(200)의 사용 전에는 캡슐 뚜껑(230)을 통해, 연기 배출부(220)를 통해 훈연칩(201)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고, 훈연칩(201)의 향이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한다. 캡슐(200)을 사용할 때, 도 8과 같이, 사용자는 캡슐 뚜껑(230)을 바스켓(210)으로부터 분리하고, 캡슐 뚜껑(230)이 분리된 캡슐(200)을 전자 조리 기기(1)의 캡슐 배치부(110)에 삽입 및 배치한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캡슐 배치부(110)에 배치된 캡슐(200)에서는 훈연칩(201)이 연소 히터(121)에 의해 가열되어 연기가 발생한다. 캡슐(200)에서 발생한 연기는 연기 이송부(130)에 의해 조리 챔버(11)로 이송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훈연 모듈(100)의 연기 이송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의 전자 조리 기기(1)를 정면과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연기 이송부(130)는 연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기 통로(131)와, 연기 통로(131)에 배치되어 연기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송풍기(133)를 포함한다. 송풍기(133)는 제어부(2)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연기 통로(131)는 캡슐 배치부(110)와 조리 챔버(11)에 연통한다. 그에 따라, 캡슐 배치부(110)에서 발생한 연기를 조리 챔버(11)로 전달할 수 있다. 연기 통로(131)에는 조리 챔버(11)와 연결된 연기 구멍(1310)이 마련된다.
송풍기(133)는 연기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송풍팬은 연기를 소정 방향,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캡슐 배치부(110)에서 배출된 연기는 연기 통로(131)를 따라 조리 챔버(11)의 우측에서 상부로 이동한다. 그 과정에서, 연기는 연기 구멍(1310)을 통해 조리 챔버(11)의 내부로 공급되며, 조리 챔버(11) 내부에 위치한 조리 대상에 훈연이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송풍기(133)가 우측에 단수 개가 배치된 예를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송풍기(133)는 복수 개로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훈연 모듈(100)은, 연기 통로(131)에 배치되어 연기 통로(131)를 이동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부(140)를 더 포함한다. 연기 감지부(140)는 연기의 발생 여부 또는 연기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연기 감지부(140)에 의해 검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송풍기(133) 및 연소 히터(121)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기 감지부(140)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연소 히터(121)의 온도를 높이거나, 연기의 농도에 따라 송풍기(13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연기 감지부(140)는 송풍기(133)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송풍기(133)에 의해 분산되기 전 상태의 연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연기 감지부(140)는 연기에 포함된 연기 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기 감지부(140)는 연기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141)와,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41)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광부(142)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발광부(141)는 연기의 이동 방향(또는 연기 통로(131)의 연장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연기가 발광부(141)와 수광부(142) 사이에 형성된 광로에 들어오면, 연기 입자(s)에 의해 흡수 또는 산란이 나타나게 되며, 그에 따라 수광부(142)에 들어오는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를 통해, 연기 감지부(140)는 연기의 발생 여부 및 연기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연기 감지부(140)의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기 감지부(140)는 감광식 외에도 광산란식, 이온화식 등 다른 방식에 따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훈연 모듈(100)은 전자 조리 기기(1)의 외부로 연기의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필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150)는 연기 통로(131)에 배치되며, 연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1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및 도 11을 참조하면, 연기 통로(131)는 연기가 순환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기 통로(131)는 연기가 조리 챔버(11)의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기는 연기 통로(131)를 따라, 조리 챔버(11)의 우측부, 상부, 좌측부, 하부를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150)는 액체(w)를 이용하여 연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50)는 액체(w)를 보관하는 액체 카트리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w)의 예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액체(w)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연기를 흡수하고 불에 타지 않는 액체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필터(150)는 연기 통로(131)에 배치되며, 연기 통로(131)를 이동하는 연기는 액체 카트리지(151)에 보관된 액체(w)에 노출된다. 연기가 액체(w), 예를 들어, 물 위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연기와 액체(w)의 상면이 접촉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연기에 포함된 연기 입자의 일부가 물에 흡수될 수 있다. 연기는 연기 통로(131)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필터(150)의 액체(w)에 반복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연기의 농도를 희석시킬 수 있다.
액체 카트리지(151)에 보관된 액체(w)는 낮은 높이로 넓게 퍼진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w)는 가로 폭(a; 도 4 참조), 세로 폭(b) 각각이 높이(h)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w)는 가로 폭(a), 세로 폭(b) 각각이 높이(h)의 2배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150)의 액체(w)와 연기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액체 카트리지(151)는 본체(7)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그에 따라, 액체 카트리지(151)에 보관된 액체(w)를 쉽게 교환 또는 보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카트리지(151)를 본체(7)로부터 분리하여, 액체 카트리지(151)에 보관된 액체(w)를 버리고 새로운 액체(w)로 채운 후, 본체(7)에 다시 장착할 수 있다.
필터(150)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 필터(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 필터(152)는 헤파 필터일 수 있다. 정화 필터(152)에 의해, 연기가 희석된 공기를 다시 한번 정화하여, 전자 조리 기기(1) 외부로 연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조리 기기(1)를 이용하여, 조리 대상을 훈연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조리 대상을 훈연시키기 전에, 사용자는 준비된 캡슐(200)에서 캡슐 뚜껑(230)을 제거한다. 캡슐 뚜껑(230)을 제거하여, 캡슐(200)의 연기 배출부(22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사용자는 캡슐 도어(112)를 열고, 연기 배출부(220)가 노출된 상태의 캡슐(200)을 캡슐 배치부(110)의 안착홈(111)에 삽입 및 배치한다. 이 때, 안착홈(111)에는 연소 히터(121)가 후퇴 위치(121b)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는 캡슐 도어(112)를 닫아, 캡슐 배치부(110)를 외부로 연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시킨다. 캡슐 도어(112)를 닫는 동작과 연동하여, 연소 히터(121)가 후퇴 위치(121b)에서 돌출 위치(121a)로 이동한다. 연소 히터(121)가 돌출 위치(121a)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소 히터(121)는 캡슐(200) 내부로 삽입되어, 훈연칩(201)들과 접촉한다.
제어부(2)는 연소 히터(121)를 가열하여, 훈연칩(201)에서 연기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연기는 연기 배출부(220)를 통해 캡슐(200)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연기는 캡슐 배치부(110)에 연결된 이동 통로로 이동한다. 제어부(2)는 송풍기(133)를 가동시켜 연기 통로(131)에서 연기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연기 통로(131)를 통해 이동하는 연기는 연기 구멍(1310)을 통해 조리 챔버(11)로 공급된다. 조리 챔버(11)로 이동한 연기는 조리 대상과 접촉한다. 연기는 연기 통로(131)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연기 구멍(1310)을 통해 반복적으로 공급되며, 이를 통해 조리 대상을 훈연시킬 수 있다.
조리 대상에 대한 훈연이 진행되는 동안 또는 훈연이 완료된 이후에, 연기는 필터(150)의 액체(w)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조금씩 제거된다. 연기(w)가 순환 이동하면서, 필터(150)의 액체에 반복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연기가 제거되어 공기가 정화된다. 연기는 정화 필터(152)에 의해 추가적으로 제거된다. 그에 따라, 전자 조리 기기(1)의 외부로는 정화된 공기만이 배출되며, 연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를 끝낸 후, 캡슐 도어(112)를 열고, 연소된 훈연칩(201)이 보관된 캡슐(200)을 제거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훈연에 따른 뒷처리를 마무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조리 기기는 훈연칩을 캡슐화함으로써, 훈연칩의 양을 조절하거나 연소된 훈연칩을 제거하기 위한 번거로운 작업 없이, 캡슐화된 훈연칩을 전자 조리 기기에 삽입 및 제거하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음식 조리시에 훈연을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Claims (15)

  1. 조리 대상이 배치되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 챔버(11)와, 상기 조리 대상을 가열하는 가열 부재(13)와, 상기 조리 대상을 훈연시키기 위한 훈연 모듈(100)을 포함하는 전자 조리 기기로서,
    상기 훈연 모듈은,
    훈연칩(201)을 포함하는 캡슐(200)이 삽입 및 배치되는 캡슐 배치부(110);
    상기 캡슐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캡슐 내부의 훈연칩을 가열하여 연기를 발생시키는 연기 생성부(120); 및
    상기 훈연칩에서 발생한 연기를 상기 조리 챔버로 이송하는 연기 이송부(130);를 포함하는, 훈연 기능을 가진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배치부는 상기 캡슐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111)을 포함하며,
    상기 훈연 모듈은 상기 캡슐 배치부를 개폐하는 캡슐 도어(112)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생성부는,
    상기 캡슐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캡슐의 단부를 관통하는 돌출 위치(121a)와, 상기 캡슐 배치부에 상기 캡슐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후퇴된 후퇴 위치(121b) 사이로 이동 가능한 연소 히터(121)를 포함하며,
    상기 훈연 모듈은 상기 캡슐 배치부를 개폐하는 캡슐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 도어를 닫을 때, 상기 연소 히터는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조리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히터는 480 ℃ 이하의 온도로 상기 훈연칩을 가열하는, 조리 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히터가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캡슐의 일 단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연소 히터의 단부는 뾰족한 형상을 가지는, 조리 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이송부는,
    상기 캡슐 배치부 및 상기 조리 챔버에 연통하며, 상기 연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기 통로(131)와,
    상기 연기 통로에 배치되어, 상기 연기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송풍기(133)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통로를 이동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부(140)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부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141)와,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142)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부는 상기 송풍기의 상류에 배치된, 조리 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통로는 연기가 순환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훈연 모듈은, 액체를 이용하여 상기 연기를 제거하며 상기 연기 통로에 배치된 필터(150)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액체를 보관하며, 탈착 가능한 액체 카트리지(151)와,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필터(152)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를 가열하거나 상기 조리 대상에 마이크로파를 가하도록 구성된, 조리 기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배치부에 배치되는 상기 캡슐은,
    상기 훈연칩을 수용하는 바스켓(210)과
    상기 바스켓의 일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훈연칩에서 발생한 연기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연기 배출부(220)와,
    상기 연기 배출부를 차단하며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제거가 가능한 캡슐 뚜껑(230)을 포함하며,
    상기 훈연칩의 크기는, 상기 연소 히터에 의해 연소가 가능하도록 5 mm 이하인, 조리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배출부는 상기 훈연칩의 누설을 차단하고 상기 훈연칩에서 발생한 연기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메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기 배출부의 메쉬 구멍의 크기는 상기 훈연칩의 크기보다 작은, 조리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의 타 단부에는 상기 연소 히터가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211)과, 상기 관통 구멍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212)가 마련된, 조리 기기.
PCT/KR2022/012970 2021-10-01 2022-08-30 훈연 기능을 가지는 조리 기기 WO202305491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136A KR20230047822A (ko) 2021-10-01 2021-10-01 훈연 기능을 가지는 조리 기기
KR10-2021-0131136 2021-10-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4911A1 true WO2023054911A1 (ko) 2023-04-06

Family

ID=8578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2970 WO2023054911A1 (ko) 2021-10-01 2022-08-30 훈연 기능을 가지는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7822A (ko)
WO (1) WO202305491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1610A (ko) * 2011-09-21 2013-03-29 채형원 훈제조리기
KR101404122B1 (ko) * 2012-11-06 2014-06-10 이현우 음식물 구이 장치
KR101826787B1 (ko) * 2017-05-19 2018-02-08 주식회사 듀얼라인 다용도 복합 조리기
KR101871419B1 (ko) * 2016-08-25 2018-06-26 문병호 구이용 육류의 잡냄새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10271559B2 (en) * 2015-08-27 2019-04-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mok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1610A (ko) * 2011-09-21 2013-03-29 채형원 훈제조리기
KR101404122B1 (ko) * 2012-11-06 2014-06-10 이현우 음식물 구이 장치
US10271559B2 (en) * 2015-08-27 2019-04-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moking device
KR101871419B1 (ko) * 2016-08-25 2018-06-26 문병호 구이용 육류의 잡냄새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826787B1 (ko) * 2017-05-19 2018-02-08 주식회사 듀얼라인 다용도 복합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822A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17183A2 (ko) 스팀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07183789A (zh) 发热装置、加热不燃烧烟具及恒温烟气释放方法
WO2009134025A2 (ko) 열 및 연기 화재감지장치 복합시험기
WO2023054911A1 (ko) 훈연 기능을 가지는 조리 기기
WO2018016847A1 (ko)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WO2020130541A1 (en) Oven
WO2010117180A2 (ko) 조리기기
WO2010126334A2 (en) Cooking range
US20220183358A1 (en) Atomizer having air pressure surge bin and application thereof
WO2013073751A1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DE59505106D1 (de) Vorrichtung zum Abführen von Wrasen aus einem Backofen
KR101659019B1 (ko) 조리기기
EP3870009A1 (en) Heating cooker including three dimensional measuring device
WO2016068567A1 (ko)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KR101835805B1 (ko)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CN100578092C (zh) 微波炉
WO2016114441A1 (ko) 이동식 무연 조리기
WO2017213434A1 (en) Packing member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6129914A1 (en) Cooking apparatus
KR101263872B1 (ko) 조리기기
KR101881449B1 (ko) 에스엠티 공정용 리플로우 솔더링 장치
WO2022215914A1 (ko) 조리 기기
WO2020116814A1 (en) Heating cooker including three dimensional measuring device
WO2020171301A1 (ko) 양면 구이팬
WO2009145566A2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766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