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38428A1 -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구비한 차량 및 그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구비한 차량 및 그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38428A1
WO2023038428A1 PCT/KR2022/013441 KR2022013441W WO2023038428A1 WO 2023038428 A1 WO2023038428 A1 WO 2023038428A1 KR 2022013441 W KR2022013441 W KR 2022013441W WO 2023038428 A1 WO2023038428 A1 WO 20230384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vehicle
zone
displ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4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경하
추지민
황인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0083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37423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384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384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fron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s in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a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Cars are now evolving from a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to a completely new concept of mobility, such as self-driving vehicles, by incorporating rapidly developed IT technology.
  • An autonomous vehicle refers to a vehicle capable of self-driving by recognizing a driving environment and setting a driving path without a driver's manipulation.
  • the level of automation of these autonomous vehicles can be divided into 6 levels from level 0 to level 5 according to the guidelines (J3016) presented by th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AE).
  • the interior space of autonomous vehicles is changing into another living space.
  •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s changing to an evolving concept such as offices, shopping malls, gyms, and movie theaters.
  • an evolving concept such as offices, shopping malls, gyms, and movie theaters.
  • interest in the structure and interior of the vehicle increases, it is expected that the vehicle will also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rior than the exterior.
  • a first position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are disposed facing the ceiling or floor of a vehicle and the screens are disposed facing each of the seats facing each other.
  • a display device for a self-driving vehicle that is controlled to move between a second position.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33838 discloses an autonomous driving state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n autonomous driving state on a display unit.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79289 discloses an autonomous vehicle that recognizes the movement of a passenger to generate motion data, controls an expanded display according to the generated motion data, or provides contents related to driving information to the expanded display.
  • a large display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riving vehicle are disclosed.
  •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which is a transparent display,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front of the driver, and the first and second images displayed on each display are overlapped.
  • the display merely displays vehicle information and surrounding information and serves only as an auxiliary role for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various purposes in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a vehicle equipped with th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allows a plurality of displays to independently display different screens or expand and display some screens, a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onfigured such that a display is movable according to a position of an occupant, a vehicle equipped with th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a passenger's position on a display, a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 display through a passenger's voice, gesture, and knock-on, a vehicle equipped with th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vehicle, a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vehicle, in which products for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s are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so that the occupants can use the products according to their requirements.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behavior and state of the occupant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cted behavior and state, a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There is a purpos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passenger's voice and operating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voice, a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installed in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and displaying a screen on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and condition of a passenger, a vehicle equipped with th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for differentiating vehicle servic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passenger in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a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s installed in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 a first display may be installed on a side of the inner space toward a first direction
  • a second display may be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toward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ans or integrally configured with each other.
  •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80 to 110 degrees, and preferably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processor that controls a screen to be displayed on a plurality of displays.
  •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may be divided into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 it can be divided into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betwee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zones when a first condition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is met.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first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nd control the second display to display a second screen dependent on the first screen by being expanded from the first screen. That is, a part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is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isplay installed in the first zone toward a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 a third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 the processor may control a third screen dependent on the first screen to be extended from the first screen and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display installed in the first zone toward the first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interior space.
  • a fourth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fourth display.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fourth display to expand and display a fourth screen dependent on the first screen on the fourth display.
  • a plurality of buttons are displayed on the fourth display, and when the button is touched, the processor can control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s to be operated.
  • the occupants feel as if they are on the screen due to the many screens displayed on the side, top, and bottom. You can get the feeling of being in the environment given by the screens, and you can give a sense of presence and reality.
  •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fifth display installed in the second zone toward a four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n the interior space.
  • a fifth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 the fifth display may have a variable size.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to expand and display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dependent on the fifth screen on the fifth screen, respectively.
  • a main screen such as a movie is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and a screen expanded from the main screen i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around the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content more realistically.
  •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sixth display install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on the outer front surface.
  • a sixth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sixth display.
  •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seventh display install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on an exterior rear surface. A seventh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seventh display.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first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nd control the second display to display a second screen dependent on the first screen by being expanded from the first screen. Since the first screen becomes the main content and the second screen is a screen extended from the main content, the main content can be further expanded and viewed. At this time, the expanded screen may be a part of the screen of the entire main content.
  •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voice of the occupant, and the processor move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zones when a movement request for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is input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 the drive unit can be controlled.
  •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and the processor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zones when a movement request for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is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an do.
  •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occupant in a first zone and a secon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occupant in a second zone, wherein the first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in the first zone. If the second sensing unit detects an occupant in the second zone without detecting an occupant in the first zone,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to the second zone.
  • the processor move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to zone 1.
  • the drive unit can be controlled to move.
  • the first and second detector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ace recognition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iris recognition sensor, an image recognition sensor, and an NFC sensor.
  • the 1st and 2nd displays are located in zone 1 and stand by, and when the door is unlocked and opened in the standby state and a movement request for the 1st and 2nd displays is input, the driving unit is driven to drive the display in zone 1. Displays 1 and 2 can be moved to the second zone. In addition, when the closing and locking of the door is sensed whil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moved to the second zone, the driving unit is drive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can be moved to the first zone again.
  • a part of one side of the interior space is opened,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part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may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behavior or state of the occupant.
  • the vehicle may b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a hybrid vehicle, an electric vehicle, or a hydrogen fuel cell vehicle, and preferably may be an autonomous vehicle capable of operating on its own without user manipulation.
  • the vehicle may detect the occupant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respectively, detect the occupant's behavior and state, and analyze the occupant's behavior and state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he vehicle can operate in response to the analyzed behavior and condition.
  • the rear of the interior space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becomes zone 1 and the front becomes zone 2 (zone 2).
  •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may be the concepts of the first inner space and the second inner space, respectively, or the concepts of area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inner spaces.
  • Zone 1 and Zone 2 can be spaces for different purposes, and can be equipped with environments and designs suitable for each purpose.
  • the first zone can be a space for rest and entertainment
  • the second zone can be a space for driving and offices.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may be moved betwee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may be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request of the occupant.
  • a plurality of sensors, cameras, and input/output units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These sensors and cameras can detect whether or not a passenger is on board, the location of the occupant, and the behavior and condition of the occupant. Results detected by the sensors and cameras are delivered to the processor, and the processo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using the detected results. That is,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vehicle so that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and condition of the occupant are perform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ccupant's position.
  •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occupant is drowsy and controls the vehicle to wake up the occupant. In this case, different operations may be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occupant is in the first zone or the second zone.
  • the processor may determine whether the occupant is abnormal.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vehicle to proceed with an operation for safety when an abnormality occurs to the occupant.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vehicle to perform an operation for replacing the shoes.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vehicle to proceed with an operation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can be referred to.
  •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an be operat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vehicle to proceed with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 the voice may include specific words and the processor may cause an ac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words to proceed. For example, when a voice related to 'heat' is recognized,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an be operated. Alternatively, when a voice related to music is recognized, music may be output.
  • the processor can control the vehicle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food can be consumed comfortably in zone 1, and outputs a caution or warning message for safety in zone 2. can be controlled to
  • the vehicle's motion can be controlled to provide coolness or stabilize.
  •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have the following effects.
  •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can be utilized in an environment desired by the occupant.
  • multiple displays may independently display different screens or display partial screens in conjunction or by extension, a variety of pleasures may be provided to occupants.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occupants with ease of use.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asseng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change the desired screen by enabling to recommend and display content suitable for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 the display can be operated through the occupant's voice, gesture, and knock-on, it can be used conveniently and conveniently.
  •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can be displayed on multiple displays so as to be viewed from various angl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seen even from inside the vehicle.
  • displays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a vehicle to display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the front and rear displays so that outsiders can check it,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n accident.
  • products for the convenience of occupants can be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the products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occupants.
  • the behavior and condition of the occupant can be detec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can operate according to the detected behavior and condition.
  • a plurality of displays are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and a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in response to the behavior and condition of the occupant.
  • a vehicle service may be differently provided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passenger in a vehicle interior space.
  • FI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in which a door is open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in which a door is open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in which a right side case is removed from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tate diagram in which some displays installed inside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ved;
  •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in which a front case is removed from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iving unit for moving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from which an upper case is removed from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chematic layout view of a plurality of displ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displays of FIG. 9 are in a first zone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of FIG. 10 have moved to a second zone;
  • FIG.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sensors, cameras, electronic devices, and vehicle products install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omponent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control unit for explaining a control flow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assenger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ed on displays in a first zone when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in a first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displays in a first zone when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in a first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ed on displays viewed by an occupant in a first zone when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located in a first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ed on displays in a second zone when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in a second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9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screen sizes of some displays are var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displays viewed by an occupant in a first zone when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located in a second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and 22 are display layout view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moving first and second displays between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first and second displays between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dentifying a passenger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moving first and second displays after recognizing a main user among vehicle occup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ing a screen on first to fourth displ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ing a screen on first, second, and fifth displ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when a drowsiness of a passenger is detected in a first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when drowsiness is detected while a passenger is driving manually in a second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when sleepiness is detected while a passenger is at work in a second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when a heart rate of a passenger is detected in a first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when a heart rate of a passenger is detected in a second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when a body temperature of an occupant is sensed in a first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when a body temperature of an occupant is sensed in a second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when a occupant's shoes off is detected in a first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when a occupant's shoes off is detected in a second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8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when a hand grip of a passenger is detected in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when recognizing a passenger's voice in a first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when recognizing a passenger's voice in a second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when food intake of a passenger is detected in a first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when food intake of a passenger is detected in a second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when a passenger's stuffiness is detected in a first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when a passenger's stuffiness is detected in a second zo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 the display device may be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s.
  • the plurality of displays may display conten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display one content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by extension.
  •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of vehicles.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an autonomous vehicle.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and the shape of the interior space,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may be chang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y arranging devices and articles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detecting the behavior or condition of the occupant.
  •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ior space And it can be applied to any vehicle that can place the device and the article.
  •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vehicle 10 may b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having an engine, a hybrid vehicle having an engine and an electric mot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n electric motor, a hydrogen fuel cell vehicle having a fuel cell, and the like.
  • the vehicle 10 may be an autonomous vehicle capable of autonomously driving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 a plurality of wheels 80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and a case may constitute an overall appearance.
  • the case may include an upper case 20 , a front case 30 , a rear case 40 , a right case 50 , a left case 60 and a lower case 70 .
  • Some of these cases 20 to 70 may be installed with glass or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outside can be seen from the inside.
  • An inner space S may be formed inside the vehicle 10 by these cases 20 to 70 .
  • An opening 23 opening the inner space S may be formed in one of the right case 50 and the left case 60 .
  • an opening 23 is formed in the right case 40.
  • a door 51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23 may be installed in the opening 23 .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opening 23 and the door 5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vehicles travel on the road. For example, the opening 23 and the door 51 may b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case 50 when the vehicle passes on the right side, and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side case 60 when the vehicle passes on the left side. The occupant P may open the door 51 and get on or off the interior space S through the opening 23 .
  • a handle 52 may be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oor 51 .
  • a passenger may open the door 51 by pulling the handle 52 .
  • the door 51 is opened by lifting it up.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opened by pushin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 a footrest 53 on which the occupant P can step on when getting on and off may be installed below the door 51 in the right side case 50 .
  • the footrest 53 may be hidden inside the vehicle 10 when the door 51 is closed, and may protrude outside when the door 51 is opened.
  • 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caffold 53 protrudes as an example.
  • the door 51 may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using a portable remote controller (not shown).
  • a door open/close sensor 55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51 is opened or closed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ight case 50 .
  • the door open/close sensor 55 may be, for example, a hall sensor.
  • a sensing magnet 56 may be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door 5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oor open/close sensor 55 when the door 51 is closed. When the door 51 is closed, the hall sensor can detect the sensing magnet 56, but when the door 51 is open, the hall sensor cannot detect the sensing magnet.
  • a door open/close detection signal from the door open/close sensor 55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900 to be described below.
  • the processor 9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oor 51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signal.
  •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Hall sensor and the sensing magnet may of course be changed.
  • the interior space 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10 .
  • it is divided into two zones.
  • it may be divided into three or more zones.
  • a first zone (zone 1) of the two zones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10 and a second zone (zone 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may be concepts of a first internal space S1 and a second internal space S2 divided by each zone in the internal space S, and each of the internal spaces S1 and S2 ) may be the concept of a region formed in Zone 1 and Zone 2 can be spaces for different purposes, and can be equipped with environments and designs suitable for each purpose.
  • the first zone can be a space for rest and entertainment
  • the second zone can be a space for an office.
  • the first zone may be formed relatively wider than the second zone. In the first zone, passengers can not only relax, but also provide a space for playing games or exercising.
  • zone 1 and zone 2 various items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environment of each space can be placed.
  • a chair 85 and a couch 83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zone.
  • small home appliances for vehicles such as a refrigerator 31, a coffee machine 32, an air shower 33, a shoe styler 120, a clothing styler, an oven, and a microwave oven (not shown), and a for entertainment Game machines, exercise equipment,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 a driver's seat 86', an office desk 87, an office chair 86,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zone.
  • a plurality of displays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S).
  • the first display 10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ner space S toward the first direction
  • the second display 2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S toward the second direction.
  •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80 to 110 degrees, and may be preferably installed orthogonally to each other.
  • the first zone may be set initial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can be moved from the first zone to the second zone, and conversely, from the second zone to the first zone.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can be moved betwee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by a driving unit 850 to be described below.
  • the first display 10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eft case 60 side in the inner space S, so that the screen faces the right case 50.
  • it may be installed in revers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oor 51. That is, when the door 51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case 60, the first display 10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ight side case 50 side in the inner space S, so that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case ((60 ).
  • 100 and 200) may be integrally installed, for example, that is, the top of the first display 100 and the side of the second display 200 are integrally connected, or the separated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re combined. They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by means (not shown).
  • a driving unit 850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betwee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100 or 200 .
  • the driving unit 850 may also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case 60 .
  • the driver 850 may mov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10 by driving them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ocessor 900 .
  • a slide rail 84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20 for smooth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
  •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200 coupled to or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first display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lide rail 840 .
  • the slide rail 840 may be installed extending from the first zone to the second zone.
  • At least one roller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200 .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can move smoothly betwee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s the roller is combined with the slide rail 840 and rotates along the slide rail 840 .
  • the driving unit 850 may include an upper frame 810a and a lower frame 810b.
  • One side of the upper frame 810a and the lower frame 810b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100 .
  • the other sides of the upper frame 810a and the lower frame 810b may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ball nut 830 having a certa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 Two holes are installed in the ball nut 830, and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 An upper ball screw 820a and a lower ball screw 820b may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hole.
  • the upper and lower ball screws 820a and 820b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case 60 .
  • the upper and lower ball screws 820a and 820b stably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through the ball nut 830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810a and 810b, and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left side case 60 so as to be moved between the two zones.
  • Threads may be form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ball screws 820a and 820b to correspond to the threads of each hole. Threads form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ball screws 820a and 820b and threads formed on inner surfaces of each hole may be formed such that grooves and pitches are engaged.
  • FIG. 7 show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driving unit 850 is operated.
  • Motors 840a and 840b may be connected to the ball screws 820a and 820b.
  • the motors 840a and 840b may be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processor 900 .
  • the motors 840a and 840b rotate, the ball screws 820a and 820b can rotate.
  • the ball nut 830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10. Since the first display 100 is fixed to the ball nut 830,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lso move along with the ball nut 830.
  • a first sensing unit 81 and a second sensing unit 82 for detecting occupants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S of the vehicle 10 .
  • the first detection unit 81 can detect the occupant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82 can detect the occupant in the second zone.
  •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81 and 8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case 20 of the vehicle 10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respectively.
  •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81 and 82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face recognition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iris recognition sensor, an image recognition sensor, an NFC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units 81 and 82 may be CCTV cameras.
  •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units 81 and 82 may transfer the occupant detection signal to the processor 900 .
  • At least one voice recognition unit 84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S).
  • the voice recognition unit 84 may recognize the voice of the occupant.
  • the voice recognition signal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84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900 .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may be arranged in a first zone (zone 1), which is a set initial position.
  • the first display 100 is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ner space S so that the screen face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splay 200 has the screen on the top of the inner space S in the second direction. It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to face.
  • a control unit 101 capable of setting and chang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00 may be selectively further installed in the first display 100 .
  • the operating unit 101 may be, for example, a dial device (see FIGS. 10 and 11).
  • At least one of the third display 300 and the fourth display 400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first zone.
  • the third display 300 may be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S toward a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t this time, the third display 300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100 . Accordingly, when the first display 100 is in the first zone, the second display 200 is located above the first zone and the third display 300 is located below the first zone based on the first display 100 . 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re located in the first zone, the third display 300 may be installed such that its side portion is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100 .
  • the fourth display 400 may be install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inner space 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100 by a set distance.
  • the fourth display 400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couch 83 is located so that the occupant can comfortably touch the couch 83 while sitting on the couch 83 .
  • a special coa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fourth display 400 so that it can be safely and firmly installed so that passengers can step on it.
  • the third and fourth displays 300 and 400 can display screens so that occupants can relax and enjoy entertainment.
  • a fifth display 500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second zone.
  • the fifth display 500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zone toward a fourth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 the fourth direction may be orthogonal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 the fifth display 500 may be installed on the office desk 87 in the second zone so that the screen faces the rear case 40 of the vehicle 10.
  • the fifth display 500 can be used by the occupant for office work. Also, wh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move from the first zone to the second zone, screens may be displayed on all of the first, second, and fifth displays 100, 200, and 500.
  • a sixth display 60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front case 30 of the vehicle 10 so as to face the front of the vehicle 10
  • a seventh display 600 on the rear case 40 of the vehicle 10. 700 may be further installed to face the rear of the vehicle 10.
  • the sixth display 600 and the seventh display 700 may display driving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vehicle to outsiders in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10 . By checking this information, outsiders can check collisions or emergencies in real time and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zone, which is the initial position. And,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can be moved to the second zone.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third and fourth displays 300 and 400 in the first zone, and disposed close to the fifth display 500 in the second zone.
  • the occupant P can sit on the office chair 86 in the second zone and view the screen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500 and/or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
  • the occupant P sits or leans on the rest chair 85 in the first zone, or sits or lies on the couch 83 to display the first to fourth displays (100 to 400) or the first, second, and fifth displays (100, 200, 500). ) can be seen on the screen.
  • the first to seventh displays 100 to 700 may respectively display screens according to screen control signals output from the processor 900 .
  • a first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00 .
  • the first screen may be the main content desired by the passenger P.
  • the first screen may be, for example, a virtual assistant operating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passenger P or interactive content.
  • the occupant P may indirectly experience an immersive experience.
  • the first display 100 can support rich graphics and multimedia. For example, by using a high-performance GPU to visualize state-of-the-art 3D graphics, passengers can enjoy premium entertainment content through the first scree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00.
  • the vehicle 10 may display a virtual assistant customized for the passenger on the first display 100 and/or other displays by applying an advanced AI engine.
  • the vehicle 10 may allow occupants to more realistically enjoy a sense of realism through natural voice control and a human-machine interface (HMI). It can also provide a premium audio experience, including occupant-specific multi-zone audio, clear in-vehicle communication, and noise and echo cancellation.
  • a second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200 .
  • the second screen may be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That is, a second screen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00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200 as an extension of the first screen.
  • the 'extension' and 'subordinate' mean that the second screen is displayed as a part of the first screen. For example, when tents, chairs, equipment, etc. are displayed at a camping site on the first screen, the camping site of the first screen is further expanded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camping site is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 the second screen is above the first screen, for example, if the first screen is a camping site, the sky and clouds of the camping site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as an upper part of the camping site.
  • the second screen of the sky and clouds is a part of the first screen and may be an extension of the first screen. Accordingly, the second screen can be 'extended' or 'subordinated' to the first screen.
  • a separate and independent second screen that is not dependent on the first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200 according to a passenger's request. That is, a second screen independent of the first screen may be displayed.
  • the third display 300 may display a third screen.
  • the third screen may also be a screen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or may be a separate screen independent of the first screen. For example, a lawn (third screen) subordinate to a virtual space (first screen) of a camping sit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00 may be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300 .
  •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200 and 300 may expand and display an environment in which the virtual assistant exists.
  •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200 and 300 display the second and third screens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100, respectively, so that passengers can enjoy entertainment content through various displays.
  • a fourth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fourth display 400 .
  • the fourth screen may also be a screen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or may be a separate screen independent of the first screen.
  • screens for manipulating the scree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s 100, 200, and 300 may be displayed on the fourth display 400.
  • a plurality of buttons may be displayed on the fourth display 400,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touched, the processor 900 receives a touch signal and displays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s 100, 200, and 300.
  • One screen can be operated among screens 1, 2, and 3.
  • the fourth screen may display menus, items, contents, and the like for manipula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s.
  • a fifth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500 .
  • the fifth screen may also be a screen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or may be a separate screen independent of the first screen.
  • An offic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500 in the second zone.
  • the fifth display 500 can display the fifth screen regardless of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re located. I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re in the second zone, the fifth screen may be a screen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may be dependent screens of the fifth screen. That is, the fifth screen can be the main content and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can be screens subordinate to the main content.
  • the virtual space of the camping site is displayed as a fifth screen on the fifth display 500
  • trees, etc. may be displayed as the first screen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n the left side of the virtual space of the camping site on the first display 100
  • the second display In (200) the sky and clouds can b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as the upper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campsite virtual space. This may also be applied when an office screen is displayed.
  • the specific document can be further expand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 a sixth screen and a seventh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sixth display 600 and the seventh display 700 , respectively.
  • the sixth and seventh screens are screens displayed outside the vehicle 10, and a person outside the vehicle 10 can visually check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and the like.
  •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112 is a UWB (Ultra WideBand) anchor used to measure the position of an occupant in an indoor space.
  • UWB Ultra WideBand
  • a camera unit As shown in FIGS. 12 and 13 , a camera unit, an input/output unit, a sensor unit, a driving unit, a storage unit, a display, 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as well as a small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nsor unit and the camera unit may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P but also the behavior and state of the occupant P.
  • the vehicle 10 may include a processor 900 and the processor 900 may be connected with the other components.
  • Microphones 101 and 108 and speakers 125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microphones 101 and 180 and the speaker 125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 the armiks 101 and 108 can recognize the voice of the occupant, and the speaker 125 can output information messages, warning messages, songs, and music to the vehicle 10 and the occupant P.
  • a front seat weight sensor 105 and a rear seat weight sensor 116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front seat weight sensor 105 is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office chair 86 in the second zone and can detect whether the occupant is sitting on the chair 86.
  • the rear seat weight sensor 116 is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rest chair 85 or couch 83 in the first zone to detect whether the occupant is sitting on the rest chair 85 or couch 83. .
  • An occupant detection sensor 119 for detecting occupants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occupant detecting sensors 119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to detect whether there is a passenger in the first zone and a passenger in the second zone, respectively.
  • the occupant detecting sensor 119 may be a first detecting unit 81 and a second detecting unit 82 .
  •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may be an important factor when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 This is because when the vehicle 1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tion and state of the occupant, the control process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occupant's position is in the first zone or the second zone.
  • the occupant detecting sensor 119 may detect not only the existence of occupants in the first and second zones, but also whether or not the occupants are boarding the vehicle 10 . In addition, the occupant detecting sensor 119 may recognize and identify the occupant's face and may track the occupant as the occupant moves. 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occupant detection sensors 119 are installed, portions of each detected area may be install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119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face recognition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iris recognition sensor, an image recognition sensor, an NFC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 a plurality of foot detection sensors 126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Foot detection sensors 126 are installed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respectively, to detect whether the occupant takes off his or her shoes.
  • the foot detection sensor 126 may be installed in the shoe styler 120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first zone, and may be installed under the office chair 86 in the second zone.
  • the foot detection sensor 126 may include, for example, an image recogni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the like.
  • a screen knock-on sensor 110 and a refrigerator knock-on sensor 123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screen knock on sensor 110 may be installed on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displays 100 to 400.
  • the screen knock-on sensor 110 can detect a unique sound wave or vibration generated by the knock.
  • the controller 900 may turn on the display in response to a sound wave or vibration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creen knock-on sensor 110 . Turning off the display can also be applied in the same way. Accordingly, the occupant can turn on/off the display only by knocking without using the on/off switch (or button) of the display.
  • the refrigerator knock-on sensor 123 may be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31 .
  • the refrigerator 31 is a see-through refrigerator through which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31 can be seen through a transparent window.
  • a light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refrigerator 31 turns on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above. can be turned on Accordingly, the occupant can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only by knocking.
  • the screen knock-on sensor 110 and the refrigerator knock-on sensor 123 may be, for example, a sound wave sensor or a vibration sensor.
  • the vehicle 10 may include an induction.
  • An induction touch sensor 121 having an induction can be provided.
  • the induction touch sensor 121 may be a sensor for operating induction.
  • Vehicle 1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22 .
  • the temperature sensor 122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 the temperature sensor 122 may set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to a desired temperature by the user.
  • the temperature sensor 122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 a front seat thermal imaging camera 102 and a rear seat thermal imaging camera 117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front seat thermal imaging camera 102 may capture a thermal image of the area of the second zone
  • the rear seat thermal imaging camera 117 may capture a thermal image of the area of the first zone.
  • These thermal imaging cameras 102 and 117 can take pictures of objects including occupants even whe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10 is dark. In particular, the body temperature of the occupant may be captured.
  • a front seat DSM (Driver Status Monitoring) camera 106 , a rear seat DSM camera 115 , and a rear seat PSM (Passenger Status Monitoring) camera 113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front-seat DSM camera 106 and the rear-seat DSM camera 115 may be installed to capture an occupant seated in an office chair 86 serving as a driver's seat when the occupant is driving.
  • the vehicle 10 of this embodiment can either run forward or backward. When driving forward, the front seat DSM camera 106 can photograph the occupant (driver), and when driving rearward, the rear seat DSM camera 115 can photograph the occupant (driver).
  • the rear seat PSM camera 113 may be installed to photograph the occupants in the first zone.
  • Images captured by the front seat DSM camera 106 , the rear seat DSM camera, and the rear seat PSM camera 113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900 .
  • the processor 900 may analyze the behavior, expression, state, and the like of the occupant through an image analysis technique using the received image.
  • a side camera 104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side cameras 104 are for taking pictures of the exterio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10, and are installed in plural at appropriate locations around the outer case constituting the vehicle 10 to take pictures of the exterio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a fitness camera 107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fitness camera 107 may detect fitness motions taken by occupants in the indoor space. If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ccupant performs fitness in the indoor space, for example, screens related to fitness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s.
  • a virtual screen camera 109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virtual screen camera 109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second display 200, for example.
  • the occupant drives the virtual screen camera 109, the occupant in the first zon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photographed.
  • a left gesture camera 111 and a right gesture camera 118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left gesture camera 111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indoor space and the right gesture camera 118 may b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indoor space.
  • the left/right gesture cameras 111 and 118 may capture a gesture of a passenger.
  • a gesture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900 .
  • the controller 900 may analyze the passenger's gesture image to check the passenger's behavior and state.
  • a sleep tracking camera 114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sleep tracking camera 114 can be installed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nd can detect the drowsy state and sleep state of the occupants, respectively.
  • the sleep tracking camera 114 may detect eye blink information of the occupant. For example, the time, speed, frequency, and interval of the occupant's blinking can be detected. In this embodiment, the blinking time is detected. For example, it can detect how long it takes to blink an eye. Using the eye-blink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ccupant is awake, drowsy, or sleeping.
  • a shoe styler driving unit 120a and a back seat driving unit 85b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shoes styler driver 120a is installed in the shoes styler 120 and can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shoes styler 120 according to a door open/clos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900 .
  • the back seat driving unit 85b is installed on the chair 85 for rest and can adjust the angle of the back seat 85a of the chair 85 for rest according to a driv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900 .
  • the shoe styler driving unit 120a and the back seat driving unit 85b may be composed of motor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he rotation of the back seat 85a depend on the rotation direction and amount of rotation of the motor. The angle and direction of rotation can be determined.
  • the input unit 91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passenger P. When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910, the processor 9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vehicle 1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 the input unit 910 may include a mechanical input means and a touch input means.
  • the mechanical input means may be, for example, a dial device 101, a mechanical key, a button, a switch, etc.
  • the touch input means is a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a passenger's touch and may include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there is.
  • the input unit 910 and the display may be integrated or implemented as one module.
  • the display may be implemented as the input unit 910 .
  • the touch sensor may have a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or a touch pad.
  • the fourth display 400 can be a touch input means.
  • each display 100 to 700 can be turned on/off, and screens can be displayed and displayed screens can be set and changed.
  • the communication unit 92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using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 the communication unit 92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 the communication unit 92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receive weather information, road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 the communication unit 920 may use any artificial intelligence (AI) module,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 augmented reality (AR) module, or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VR), robots, drones, 5G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etc. may communicate.
  • AI artificial intelligence
  • AR augmented reality
  • VR Virtual reality
  • robots drones
  • 5G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etc. may communicate.
  • the communication unit 920 may perform short range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920 uses BluetoothTM,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reless (Wi-Fi). -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ies may be used to suppor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920 may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10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by forming wireless area networks.
  • the communication unit 920 may wirelessly exchange data with a passenger's mobile terminal (not shown).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920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road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the mobile terminal. When a passenger gets on the vehicle 10, the communication unit 920 may automatically or manually perform pairing with the passenger's mobile terminal.
  •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930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may obtai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0 using a satellite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81 and 82 can detect occupants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respectively, and the voice recognition unit 84 can recognize the occupant's voice.
  •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units 81 and 82 may recognize and identify the occupant. For example, it can be identified by recognizing the face of the occupant.
  • the occupant may be identified using an image matching technique.
  • Image matching is a technology that compares two different images and finds whether there is an object of the same shape that matches. The method of finding an object in an image converts meaningful features in an image into appropriate numbers and compares the numbers to determine how similar they are. It measures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wo images.
  • Image matching techniques include image template matching, which searches for a matching position with a template image in a reference image, and extracts numerous features from an image and compares them with feature sets of other images. There is Image Feature Matching, which checks for similarity. To this end, the occupant may register a face image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960 to be described later.
  • the storage unit 960 is composed of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etc., and stores programs for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900 and various data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vehicle 10. It can be.
  • the storage unit 960 stores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information of the occupant P, and programs, software, and data requi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Information captured and sensed (recognized, sensed) by the above-described sensor unit, camera unit, and input/output unit may be stored.
  • the storage unit 960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the vehicle 10,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storage unit 96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server outside the communication unit 920 or the interface unit 950. It can be a database server connected via Alternatively, some information and data, programs and softwar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960, and the remaining information and data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database server.
  • the power supply 940 may supply power to the display device and some components of the vehicle 10 .
  • the power supply unit 940 may supply power to, for example, the displays 100 to 700 .
  • a communication unit 920 and an interface unit 950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 the communication unit 92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nd the vehicle 10 .
  • the interface unit 902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smartphone 903 and/or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904 of the vehicle 10 .
  • the processor 900 may directly control the vehicle 10 u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and the camera unit, or may be connected to the ECU 904 through the interface 950 to allow the ECU 904 to control the vehicle. (10) can also be processed to control this operation.
  • the processor 9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some devices constituting the vehicle 10 .
  • the processor 9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850 and the plurality of displays 100 to 700 .
  • the processor 900 may control content to be displayed on each screen on the displays 100 to 700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9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920, and control to set and change the screen.
  • the processor 900 drives the driving unit 85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81 and 82 and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9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920 to drive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 the two displays 100 and 200 can be moved betwee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in the second zone may drive the driver 850 to move to zone 1. I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re already in the first zone, the processor 900 does not drive the driver 850. Similarly, if the first detection unit 81 does not detect an occupant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82 detects an occupant in the second zone, the processor 900 switches the first, The driver 850 may be driven so that the two displays 100 and 200 are moved to the second zone. I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re already in the second zone, the processor 900 and the driver 850 do not operate.
  • the processor 900 drives the driving unit 850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to the first It can also be moved between Zone 2 and Zone 2.
  • the processor 900 may display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s 100 to 700 .
  • a separate screen may be displayed independently for each display 100 to 700, or some displays may display screens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or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 the display of the display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 the processor 900 may control the display device and the vehicle 10 in association with the ECU through the interface unit 950 .
  • the processor 900 may receive open and close signals of the vehicle 10 from the ECU, and the occupant P may use the rest chair 85, the couch 83, the office chair 86, and the driver's seat ( 86') may receive the seating signal.
  • the information of the occupant P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960 in advance.
  • FIG. 14 shows a table showing information of two previously registered passengers.
  • the passenger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the number and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registration status, class, and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81 and 82 may recognize and identify the occupant P, and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900. Accordingly, the processor 900 may compa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passenger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960 to update the current passenger information in real time. Of course, in another example, som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information may be deleted or other information may be added.
  • the first to fourth displays 100 to 400 may display screens according to screen control signals output from the processor 900 .
  • a first screen 111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00 .
  • the first screen 111 may be the main content desired by the passenger P.
  • the first screen 111 may be, for example, a virtual assistant or interactive content. Alternatively, by providing a virtual space within the vehicle 10, the occupant P may indirectly experience an immersive experience.
  • a second screen 211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200 .
  • the second screen 211 may be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111 . That is, the second screen 211 dependent on the first screen 111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00 may be extended from the first screen 111 and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200 .
  • 15 and 16 show examples of the first screen 111 and the second screen 211 .
  • the first screen 111 is a virtual space for, for example, a camping site, and displays camping tents, chairs, equipment, etc., and the second screen 211 expands the camping virtual spac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111.
  •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sky and clouds in the virtual space of the camping site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211 as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creen 111 .
  • the second screen 211 of the sky and clouds may be expanded from the first screen 111 of the campsite virtual space, and the second screen 211 may be a screen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111 will be.
  • a separate and independent second screen 211 that is not dependent on the first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200 according to a passenger's request.
  • a separate second screen 211 independent of the first screen 111 may be displayed.
  • a third screen 311 may be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300 .
  • the third screen 311 may also be a screen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111 or may be a separate screen independent of the first screen 111 .
  • 15 and 16 show an example in which a lawn (third screen) subordinate to the camping virtual space (first scree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00 is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300 as an example.
  •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200 and 300 display the second and third screens 211 and 311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111 of the first display 100, respectively, so that passengers can use various It is possible to enjoy entertainment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and furthermore, by providing an indoor environment suitable for a specific purpo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frastructure that guarantees comfort and practicality to occupants.
  • a fourth screen 411 may be displayed on the fourth display 400 .
  • the fourth screen 411 may also be a screen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111 or may be a separate screen independent of the first screen 111 .
  • FIG. 15 shows an example in which a fourth screen 411 independent of the first screen 111 is displayed
  • FIG. 1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ourth screen 411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111 is expanded and displayed is shown 15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for manipulating the scree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s 100, 200, and 300.
  • a plurality of buttons 412 may be displayed on the fourth display 400,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412 is touched, the processor 900 receives a touch signal and displays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s 100, 200, and 300. ), one of the screens 1, 2, and 3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manipulated.
  • the fourth screen 411 may display menus, items, contents, and the like for manipula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s. 16 shows an example of the fourth screen 411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111 .
  •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urther expanded to the left in the camping virtual space may be displayed on the fourth screen 411.
  • a fourth screen 411 such as trees, hills, and lakes may be displayed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camping virtual spac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111 .
  • FIG. 17 shows the occupant P sitting on the couch 83 and viewing the screens displayed on the first to fourth displays 100 to 400.
  • the second, third, and fourth screens 211 , 311 , and 411 are dependent on the first screen 111 and may become screens expanded from the first screen 111 .
  • only a part 215a of the cloud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111, and another part 215b of the cloud is displayed as an extension from the part 215a on the second screen 211.
  • a part 216a of the tree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111, and another part 216b of the tree is expanded and displayed on the third screen 311.
  • a part 217a of the hill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111, and another part 217b of the hill is expanded and displayed on the fourth screen 311.
  • the second, third, and fourth screens 211, 311, and 411 that are further expanded from the first screen 111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00 are displayed o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displays 200, 300, and 400, so that the occupant P ) can make you feel as if you are in the environment provided by the screens and give a sense of realism and reality due to the many screens displayed on the side, top, and bottom.
  • a fifth screen 511 may be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500 .
  • the fifth screen 511 may also be a screen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111 or may be a separate screen independent of the first screen 111 .
  • An offic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500 in the second zone.
  • the fifth display 500 can display the fifth screen 511 regardless of wher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re located. I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re in the second zone, the fifth screen 511 may be a screen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111 .
  • FIG. 1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re in the second zone and the fifth screen 411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111 is expanded and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500 .
  • the camping virtual space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111
  •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urther expanded to the right in the camping virtual space may be displayed on the fifth screen 511.
  • a fifth screen 511 such as a tree may be displayed as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camping virtual spac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111 .
  •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111 and 211 may be screens subordinate to the fifth screen 511 . That is, the fifth screen 511 can be the main content, and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111 and 211 can be screens subordinate to the main content.
  • the camping virtual space may be displayed as a fifth screen 511 on the fifth display 500, and trees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as the first screen 111 on the left side of the camping site virtual space on the first display 100.
  • the second display 200 can display the sky, clouds, wind, birds, etc. as the second screen 211 as the upper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camping site virtual space. This may also be applied when an office screen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a specific office document is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500, the specific document can be further expand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 any one or more of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displays 200 to 500 may be turned off.
  • the fifth screen 511 is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500,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may be turned off.
  • the fifth display 50 may have a variable size. 19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ize of the fifth screen displayed by varying the size of the fifth display 500 is varied.
  • the fifth display 5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desk 87 through an opening (not shown) to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87, and conversely, a certain length to the outside. may be withdrawn as much as
  • the fifth display 500 When the fifth display 500 is not used, it may be lowered into the inside of the desk 87 so that i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or only a minimum length is visible.
  • the fifth display 500 When the fifth display 500 is to be used, it can be raised to the outside of the desk 87 . The raised height can be changed.
  • An elevating device may be disposed inside the desk 87 to elevate the fifth display 500 .
  • the fifth display 500 may be a rollable display.
  • the rollable display is supported by a support (not shown) formed on a side surface, and when descending, the display rolls down while being rolled up.
  •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111 and 211 are dependent on the fifth screen 511, and a screen extended from the fifth screen 511 is shown.
  • a sunrise screen is displayed on the fifth screen 511
  • trees around the sunrise screen ar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111
  • clouds above the sunrise screen ar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211.
  •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111 and 211 which are further expanded from the fifth screen 511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100, are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so that the occupants P can view the front and side surfaces.
  • the main screen of the movie is displayed on the fifth display 500 and the expanded screen of the movie i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so that the movie can be watched more realistically.
  • 21 and 22 show examples in which different types and numbers of displays are installed in different types of vehicles.
  •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existing passenger cars or vans.
  • the number and shape of the displays installed in the vehicle may be changed. 21, two displays 100 are installed on the side, two displays 800 on the center, one display 200 on the top, and one display 500 on the front of the vehicle 10.
  • the upper display 200 may be installed in a size sufficient to almost fill the upper surface.
  • one display 100 , 200 , 300 is installed on the sid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nd displays 600, 700 are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vehicle 10, respectively.
  • the side and upper displays 100 and 200 may be formed long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than their width.
  • some of the displays may be removed or additionally installed in other location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type of vehicle, the shape of the interior space (S), displayed content, etc. that can be changed
  • FIG. 2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oving first and second displays between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s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stand by in the first zone (S101).
  • the processor 900 operate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in the first zone.
  • the driving unit 850 may be driven so that (100, 200) is moved to the second zone (S104). By driving the driving unit 850,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can be moved to the second zone (S105).
  • the door open/close sensor 55 may detect the door open, and the processor 900 may receive a door open signal from the door open/close sensor 55 .
  • the movement request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may be inpu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movement request may be input by a voice command of the passenger P, or a movement request may be input through a specific app in a pre-registered mobile terminal of the passenger P. At this time, unlik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1 ,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51 may be confirmed from the vehicle ECU 904 .
  • the processor 900 move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in the second zone.
  • the driving unit 850 may be driven to move to the first zone (S107). By driving the driving unit 850,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may move from the second zone to the first zone and return to their initial positions (S108).
  • FIG. 2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first and second displays between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s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cessor 900 operates the driving unit 850.
  • the processor 900 requests the first movement if the first detection unit 81 does not detect the occupant P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82 detects the occupant P in the second zone. This can be input.
  • the processor 900 drives the driving unit 850 (S206)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re moved to the first zone (S207).
  • the processor 900 requests the second movement if the second detection unit 82 does not detect the occupant P in the second zone and the first detection unit 81 detects the occupant P in the first zone. This can be input.
  • FIG. 25 shows a method of identifying a passenger P in the vehicle 10 as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are located in the first zone, which is the initial position, and stand by (S301).
  • S301 When it is detected that an occupant P is boarding in the first zone (S302)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door 51 is locked (S30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two or more occupants (P) (S304). If there is only one occupant, the occupant is recognized as the main user (S305), and if there are two or more occupants, it is checked whether the registered main user can be determined (S306). If the main user can be determined, the main user is recognized (S305). In step S305, if the main user cannot be determined because the main user is not on board, the passenger who boarded first is recognized as the main user (S307).
  • 26 shows a method of moving first and second displays after recognizing a main user among occupants as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user is tracked (S403).
  • tracking of the main user may be performed using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81 and 82 . Areas detectable by the first and second detectors 81 and 82 may overlap, and tracking of the main user may be possible by combining detection results from the first and second detectors 81 and 82 .
  • the processor 900 drives the driver 850 (S405)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from the first zone to the second zone. It can be moved to (S406).
  • the processor 900 may drive the driving unit 850 (S408)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from the second zone to the first zone (S408). S409).
  • Main user being in zone 1, leaving zone 1, being in zone 2, leaving zone 2, moving from zone 1 to zone 2, moving from zone 2 to zone 2 Movement to Zone 1 can be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81 and 82.
  • FIG. 27 shows a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on first to fourth displays as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cessor 900 sends The first screen 111 can be displayed (S503).
  • the processor 900 may display screens extended from the first screen 111 as second, third, and fourth screens 211, 311, and 411 subordinate to the first screen 111 o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displays 200, 300, and 400. Yes (S504).
  • FIG. 28 shows a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on first, second, and fifth displays as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cessor 900 sends A fifth screen 511 can be displayed (S603).
  • the processor 900 may display a screen extended from the fifth screen 511 as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111 and 211 subordinate to the fifth screen 511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00 and 200 ( S604).
  • the processor 900 operates the driving unit 850 After moving the 1st and 2nd displays 100 and 200 to the 2nd zone by driving, the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1st, 2nd and 5th displays 100, 200 and 500.
  • a plurality of displays ar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and an independent screen is displayed on each display, or some screens are linked and expanded to display, so that passengers can enjoy content more honest. be able to enjoy Realism can be further doubled and interest can be further increased by using peripheral devices such as an audio devic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 the processor 9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in various forms.
  • Processor 9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vehicle 10 independently or in conjunction with ECU 904 .
  • the processor 900 may analyze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camera unit and the captured imag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to correspond to the analyzed result.
  • the sensor unit and the camera unit detect the occupant's position and the occupant's action and state, and transmit the detected result to the processor 900 .
  • the processor 900 may analyze the received detection result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in response to the behavior and con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may proce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That is, even if the same action or state is sensed from the occupant, different motions may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occupant's position.
  • the processor 9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occupant performs the same action in the first zone or the second zone.
  • 29 to 3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an occupant's act of falling asleep with eyes clos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ccupant detecting sensor 119 may detect the occupant and the occupant's position.
  • the occupant detecting sensors 119 are installed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respectively.
  • the sleep tracking camera 114 can detect the eye blink time by checking the eye portion P1 of the passenger P.
  • the occupant's position and blinking time may be detected by combining a camera with another sensor, radar, lidar, or the like.
  • a sleep tracking radar may be used instead of the sleep tracking camera 114 .
  • the processor 900 may determine whether the occupant is sleepy by using the eye blink time detected by the sleep tracking camera 114 . For example, if the blinking time is 75 ms to 400 m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in an awake state, if it is more than 400 ms, it can be determined that he is in a drowsy state, and if it is more than 800 ms, it can be determined that he is in a sleeping state.
  • the processor 900 may proceed with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when the blinking time is greater than a set reference value (eg, 400 ms).
  • a set reference value eg, 400 ms
  • the processor 900 takes the occupant P as an action to take a res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so that a process required for rest is performed by determining.
  • a process required for rest may include a process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 seat 85a constituting the chair 85 for rest by driving the back seat driver 85b. This may be for inducing a comfortable sleep to the occupant.
  • the processor 900 may operate the sleep tracking camera 114 to perform non-contact sleep trackin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ccupant P maintains a sleep state or wakes up from sleep.
  • the processor 90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in manual driving (driving) or working. Determination of manual driving can be processed by receiving confirmation from the ECU 904 of the vehicle 10 whether the steering wheel is out of state and the fifth display 15 is inserted into the desk 87 as a driving mode. . Determination of whether work is in progress can be processed by receiving confirmation from the ECU 904 of the vehicle 10 whether the steering wheel is in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wheel is in a state and the fifth display 15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fth display 15 protrudes outward from the desk 87 in a work mode. there is.
  •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may be controlled so that a process of waking up from drowsiness proceeds.
  • the process of waking up from drowsines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 of generating vibration in the office chair 86 on which the occupant P is sitting.
  • at least one process of tightening the seat belt connected to the chair 86, opening the window of the second zone,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by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128 will be further performed. may be
  • the processor 900 also performs a process of waking the occupant P from sleepiness.
  •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may be controlled to proceed.
  • a process of waking up from drowsiness may be the same as that of FIG. 30 .
  • a process of outputting a voice message recommending drinking water from the refrigerator 31 may be further performed.
  • the sleep tracking camera 114 may detect the heart rate of the occupant P.
  • the front seat DSM camera 106, the rear seat PSM camera 113, and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119 may also detect the heart rate of the occupant P. For example, when the occupant P inhales and exhales, these sensors and cameras may measure the heart rate by detecting motion information of clothes in the chest area P2.
  • the processor 90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occupant P using the detected heart rate. For example, the processor 900 determines that the heart rate is in a normal state if it is in the average range (60 to 100 bpm), determines that it is in a sleep state if it is 10 bpm or more lower than the average range, determines it as tachycardia if it is above the average range, and determines bradycardia if it is less than 40 bps. can judge In addition, the processor 900 may check the regularity of heartbeats and determine irregular pulses and skipped pulses.
  • the processor 900 determines that the occupant P has entered the surface of the water.
  • a process necessary for sleeping may include a process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 seat 85a of the chair 85 by driving the back seat driver 85b. This is to allow occupants to have a comfortable sleep.
  • the processor 900 may operate the sleep tracking camera 114 to perform non-contact sleep trackin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ccupant P maintains a sleep state or wakes up from sleep.
  • the processor 900 determine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occupant P, and the occupant (P)
  •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may be controlled so that a process necessary for the safety of P) proceeds.
  • a process necessary for safety may include a process of switching to an autonomous driving mode when the vehicle 10 is an autonomous vehicle. This may be in preparation for a case where the occupant cannot drive manually.
  • the processor 900 connects the phone to a preset emergency casting service center and transmits the location, and displays an emergency on the sixth and seventh displays 600 and 700. At least one process of displaying a screen notifying the outside may be further performed.
  • the processor 900 may control a voice message recommending to replace a driver to be output when there are two or more passengers.
  • the front seat thermal imaging camera 102 and the rear seat thermal imaging camera 117 can detect the body temperature of the occupant P.
  • the front seat thermal imaging camera 102 may detect the body temperature of the occupant P in the second zone
  • the rear seat thermal imaging camera 117 may detect the body temperature of the occupant P in the first zone.
  • the processor 90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occupant P using the body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s 102 and 117, respectively. If the body temperature is in the average range (eg, 37 to 38 ° C),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state, and if it is above the average range or below the average range, it can be determined as an abnormal state.
  • the average range eg, 37 to 38 ° C
  • the processor 900 determines that the occupant P is exercising and maintains a temperature suitable for exercise.
  •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may be controlled to proceed.
  • the action detected by the fitness camera 107 or the left/right gesture cameras 111 and 118 may be referred to.
  • a process for maintaining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exercise may include a process of adjusting air conditioning in the first zone.
  • an air conditioning system (not shown) may be operated to deliver cold wind to the first zone.
  • At least one or more of a process of displaying a screen related to exercise on a display as a process for maintaining a temperature suitable for exercise, a process of outputting a voice message recommending intake of water and beverages, and a process of outputting music suitable for exercise. Further processes may be included.
  • the processor 900 may perform a process for safety.
  • a safety proces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process of switching to remote medical treatment mode and connecting to a hospital,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nearby hospital and moving to the hospital searched for in autonomous driving mode, and the process of calling an acquaintance to inform them of the situation. may be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not exercising may refer to a result detected by the fitness camera 107 or the left/right gesture cameras 111 and 118.
  • the processor 900 determines that the occupant P is in an emotionally excited state and proceeds with a process for stabiliz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as much as possible. At this time, when determining emotional excitement, the results detected by the front seat DSM camera 106, the rear seat PSM camera 113, and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119 may be referred to. For example, by analyzing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occupant P,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he or she is in an excited state.
  • the process for stabiliza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cess of outputting a voice message recommending stopping what you are doing and resting, outputting a voice message recommending drinking, and outputting soft music. there is.
  • the processor 900 may perform a process for safety as shown in FIG. 33 .
  • a safety proces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process of switching to remote medical treatment mode and connecting to a hospital,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nearby hospital and moving to the hospital searched for in autonomous driving mode, and the process of calling an acquaintance to inform them of the situation. may be
  • the foot detection sensor 126 may detect whether the occupant P is putting on shoes (shoes on) and taking off shoes (shoes off). Foot detection sensors 126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respectively.
  • the processor 900 may control the vehicle 10 to perform different opera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P and a shoe on/off detection result.
  • the processor 900 allows the occupant P to change the shoes 131.
  •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may be controlled so that a process for exchanging shoes is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action to be reported.
  • a process for changing shoe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 of opening the door of the shoes styler 120 by driving the shoes styler driving unit 120a.
  • a process for safety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 of outputting a voice message notifying shoes off.
  • the left/right gesture cameras 111 and 118 may detect a gesture of the hand part P3 of the occupant P.
  • the left/right gesture cameras 111 and 118 may detect a motion of the occupant P by hand-slapping.
  • the voice of the occupant P may be recognized through the microphones 101 and 108 .
  • a voice related to 'heat' can be recognized. For example, among the voices of the occupant P, voices such as 'It's hot', 'It's hot', and 'It seems hot' can be recognized.
  • the processor 900 may control the vehicle 10 to perform a differ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P when the passenger P's hand-washing or 'heat'-related voice is recognized.
  • the processor 900 determines that the space where the occupant P is located is hot and appropriately
  • the vehicle 10 may be controlled so that a process for making the temperature is performed.
  • a process for making it an appropriate temperature may include a process of adjusting the air conditioning in the first zone.
  • an air conditioning system (not shown) may be operated to deliver cold wind to the first zone. Air conditioning can be adjusted by selecting between partial air conditioning for the location where the occupant P is located and overall air conditioning for the first zone.
  • at least one of a process of opening a window of the vehicle 10 and a process of outputting a voice message recommending drinking water from the refrigerator may be further included as a process for setting the temperature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 the same process may be performed even when the occupant P is detected in the second zone. That is, when the occupant P is detected in the second zone and the occupant P's hand-slapping action is detected, the processor 900 may control the vehicle 10 to adjust air conditioning to the second zone.
  • the processor 900 may determine whether to change the air conditioning by referr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22 . For example, when hand washing is detected, the indoor temperature may be checked, and the air conditioning may be changed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average temperature (17 to 24° C.).
  •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can be controlled by combining the voice of the passenger P recognized by the microphones 101 and 108 with the behavior and state of the passenger P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camera. .
  • the processor 900 determines that it is an action to listen to music and outputs the music.
  •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process for processing proceeds.
  • the process of outputting music includes, for example, a process of outputting a sound source through the speaker 125, a process of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125 at the location where the occupant P is located, and displaying a screen related to the music on the display. At least one of the processes may be included.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40 , the same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occupant P is detected in the second zone.
  • At least one of the front seat DSM camera 106 , the rear seat PSM camera 113 , and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119 may detect that the occupant P eats food 132 .
  • the left/right gesture cameras 111 and 118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occupant P has consumed food.
  • the processor 900 determines that the occupant P eats while resting, so that the food can be consumed comfortably.
  •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process of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can be ingested proceeds.
  • Such a proces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 of displaying a screen or environment related to food on a display, a process of outputting comfortable music, a process of operating a ventilation system (not shown), and the like.
  • Zone 1 provides a driving and office environment, so you may need to be careful when eating and drinking.
  • a warning message can be output,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ccupant P is driving in the second zone, a warning message can be output.
  • a process of converting nearby home appliances (such as a refrigerator) into a lock mode may be further performed.
  • gesture cameras 111 and 118 may check hand movements of the occupant P to detect an action of hitting the chest P2 or frequent sighs through the microphones 101 and 108.
  • the processor 900 determines that the occupant P feels stuffy.
  •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may be controlled to proceed with a process for providing coolness by determining that a request is made.
  • the process for providing coolness includes, for example, a process of opening a window of the vehicle 10, a process of displaying a screen on a display so that a user can feel cool, a process of ventilating the air inside, and a scent helpful for respiratory disease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cess of blowing out, a process of entering into a remote medical treatment mode and connecting to a hospital.
  • the processor 900 detects an abnormality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is controlled so that a process for safety proceeds.
  • the process for safety includes, for example, a process of opening the window of the vehicle 10, a process of switching to an autonomous driving mode if the vehicle 10 is an autonomous vehicle, and outputting a voice message recommending a break by guiding the vehicle to the should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cess and a process of displaying a warning for safety on the sixth and seventh displays.
  • the processor 900 may refer to the heart r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leep tracking camera 114 when performing a process for providing coolness and a process for safety. The above processes may be performed when the heart rate of the occupant P is out of the average range (60 to 100 bpm).
  • the vehicle control metho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the behavior and condition of the occupant, analyzes the behavior and condition according to the occupant's posi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ailored to the occupant. do.
  •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office space, rest space, and entertainment space, as well as driving. Therefore,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convenience and enjoyment as well as safe movement to the occupants by recognizing the occupant's behavior and condition so that the vehicle can be operated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occup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1디스플레이가 제1방향을 향해 설치되고, 제2디스플레이가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향해 설치된다. 이때, 제1디스플레이와 제2디스플레이는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제1,2디스플레이는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구비한 차량 및 그 차량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구비한 차량 및 그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이제 단순한 이동수단에서 벗어나 비약적으로 발전한 IT 기술을 접목하여 자율주행차량과 같이 완전히 새로운 모빌리티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자율주행차량(Autonomous Vehicle)은 운전자의 조작없이 차량이 주행환경을 인식하여 주행경로를 설정하여 스스로 운행이 가능한 차량을 말한다.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의 자동화 수준(level of automation)은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AE)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J3016)에 따라 레벨 0부터 레벨 5까지, 6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자율주행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가까운 미래에 SAE 레벨 3(Conditional Automation)을 넘어 SAE 레벨 4(High Automation)와 SAE 레벨 5(Full Automation)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맞물려 자율주행차량의 내부공간은 또 다른 생활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공간이 사무실, 쇼핑몰, 체육관, 영화관 등으로 진화하는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 특히 차량 내부의 구조와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차량도 외관보다 실내에 더 큰 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자율주행차량이 단순한 이동수단을 벗어나 다양한 환경과 목적을 가지게 됨으로써 모빌리티의 컨셉도 변화하고 있고, 특히 실내환경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 차량 내에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의 실내환경을 변화시키고 디스플레이를 통한 인카서비스(In-Car Service)의 다양성을 지원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40806호(선행문헌 1)에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차량의 천장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위치와 화면이 서로 마주하는 좌석 각각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조절되는 자율주행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33838호(선행문헌 2)에는 자율주행 상태를 입력받아 표시부에 표시하는 차량의 자율주행 상태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79289호(선행문헌 3)에는 탑승자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모션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모션데이터에 따라 확장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거나 주행정보 관련 콘텐츠를 확장된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대형 디스플레이 인터랙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50701호(선행문헌 4)에는 운전자 전방으로 제1디스플레이부와 투명 디스플레이인 제2디스플레이부가 이격되게 설치되고 운전자가 각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1,2이미지가 중첩된 이미지로 인식하도록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 1-4를 비롯하여 종래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가 단순히 차량정보와 주변정보를 단순히 표시하는 정도이고 자율주행시스템의 보조적인 역할에 불과하다.
향후 자율주행차량에서 다양한 목적에 맞는 인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차량의 실내 환경과 구조 및 디자인의 변화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공간을 여러 목적에 맞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가 각각 서로 다른 화면을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일부 화면을 확장하여 표시할 수도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가 탑승자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탑승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음성, 제스쳐, 노크온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변환경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공간에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제품들이 구비되어 탑승자가 요구하는 사항에 맞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탑승자의 행동과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행동과 상태에 맞게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에 대응하도록 차량을 동작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탑승자의 행동과 상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에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탑승자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서비스를 다르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중 제1디스플레이는 내부공간의 측부에 제1방향을 향해 설치되고, 제2디스플레이는 내부공간의 상부에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디스플레이와 제2디스플레이는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서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방향 및 제2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80~110도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직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내부공간은 복수개의 존(zo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의 내부공간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제1존과 제2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 및 제2디스플레이는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2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조건이 되면 제1,2디스플레이가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디스플레이에는 제1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2디스플레이에는 제1화면에 종속된 제2화면이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일부분이 제2화면에 표시된다는 것이다.
차량은 내부공간의 하부에 제2방향에 대향하는 제3방향을 향해 제1존에 설치된 제3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디스플레이에는 제3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2디스플레이가 제1존에 있는 경우 제3디스플레이에 제1화면에 종속된 제3화면이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은 내부공간의 측부에 제1방향을 향해 제1존에 설치된 제4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디스플레이에 제4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4디스플레이에 제1화면에 종속된 제4화면이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4디스플레이에는 복수개의 버튼이 표시되고 버튼이 터치되면 프로세서는 제1,2,3화면 중 하나가 조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3,4디스플레이에 제1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제1화면에서 더 확장되는 제2,3,4화면를 표시함으로써 탑승자는 측면, 상부, 하부에 표시되는 많은 화면들로 인해 마치 그 화면들이 주는 환경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고 현장감과 현실감을 줄 수 있다.
차량은 내부공간에 제1,2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제4방향을 향해 제2존에 설치된 제5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디스플레이에는 제5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5디스플레이는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2디스플레이에 제5화면에 종속된 제1,2화면이 제5화면에서 각각 확장되어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제5디스플레이에 영화와 같은 메인 화면을 표시하고 주변의 제1,2디스플레이에 메인 화면에서 확장된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콘텐츠를 더 실감나게 볼 수 있다.
차량은 외부 전면에 차량의 전방을 향해 설치된 제6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디스플레이에는 제6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외부 후면에 차량의 후방을 향해 설치된 제7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7디스플레이에는 제7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디스플레이에는 제1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2디스플레이에는 제1화면에 종속된 제2화면이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화면은 메인 콘텐츠가 되고 제2화면은 메인 콘텐츠에서 확장된 화면이므로 메인 콘텐츠를 주변에 더 확장하여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확장된 화면은 전체 메인 콘텐츠의 화면 중 일부가 될 수 있다.
차량은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음성인식부를 통해 제1,2디스플레이의 이동요청이 입력되면 제1,2디스플레이를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제1,2디스플레이의 이동요청이 입력되면 제1,2디스플레이를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은 제1존의 탑승자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제2존의 탑승자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2디스플레이가 제1존에 있는 상태에서 제1감지부가 제1존의 탑승자를 감지하지 않고 제2감지부가 제2존에서 탑승자를 감지하면 프로세서는 제1,2디스플레이가 제2존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2디스플레이가 제2존에 있는 상태에서 제2감지부가 제2존의 탑승자를 감지하지 않고 제1감지부가 제1존에서 탑승자를 감지하면 프로세서는 제1,2디스플레이가 제1존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2감지부는 안면인식센서, 지문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 이미지인식센서, NFC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상태에서는 제1,2디스플레이가 제1존에 위치하여 대기하고, 대기상태에서 도어가 잠김해제 및 개방되고 제1,2디스플레이의 이동요청이 입력되면, 구동부가 구동되어 제1존에 있는 제1,2디스플레이가 제2존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디스플레이가 제2존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어의 닫힘 및 잠김이 감지되면 구동부가 구동되어 제1,2디스플레이가 다시 제1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챠량은 내부공간의 일측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차량에는 개방된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탑승자의 행동이나 상태에 대응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차량은 내연기관차량, 하이브리드차량, 전기차량, 수소연료전지차량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운행가능한 자율주행차량이 될 수 있다.
차량은 제1존 및 제2존에서 탑승자를 각각 감지하고, 탑승자의 행동 및 상태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위치에 따른 행동 및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은 그 분석된 행동 및 상태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내부공간의 후방이 제1존(zone 1)이 되고 전방이 제2존(zone 2)이 된다.
제1존과 제2존은 내부공간에서 각각 제1내부공간과 제2내부공간의 개념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제1,2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영역의 개념이 될 수도 있다. 제1존과 제2존은 다른 목적으로 공간이 될 수 있고, 각각의 목적에 맞는 환경과 다자인을 갖출 수 있다. 예컨대, 제1존은 휴식 및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공간이 될 수 있고, 제2존은 드라이빙 및 오피스를 위한 공간이 될 수 있다.
제1,2디스플레이는 탑승자의 위치에 따라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될 수 있다. 제1,2디스플레이는 탑승자의 이동요청에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차량에는 복수개의 센서와 카메라, 그리고 입출력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센서와 카메라는 탑승자의 승차여부, 탑승자의 위치, 탑승자의 행동 및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와 카메라에서 감지된 결과는 프로세서로 전달되고 프로세서는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탑승자의 위치에 따라 탑승자의 행동 및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들이 차량에서 진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 또는 카메라에서 탑승자의 눈깜빡임 시간을 감지하면 프로세서는 탑승자의 졸음 여부를 판단하여 졸음을 깨우는 동작이 진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가 제1존에 있는지, 아니면 제2존에 있는지에 따라 다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 또는 카메라에서 탑승자의 심박수를 감지하면 프로세서는 탑승자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탑승자에게 이상이 발생하면 안전을 위한 동작이 진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 또는 카메라에서 탑승자의 슈즈 온/오프를 감지하면 프로세서는 신발 교체를 위한 동작이 진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 또는 카메라에서 탑승자의 손부채질을 감지하면 프로세서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이 진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공간의 온도를 참조할 수 있다. 온도의 조절을 위해 공조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다.
센서 또는 카메라에서 음성을 인식하면 프로세서는 음성에 대응하는 동작이 진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음성은 특정 단어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특정 단어에 대응하는 동작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더위'와 관련된 음성이 인식되면 공조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음악과 관련된 음성이 인식되면 음악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센서 또는 카메라에서 탑승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는 제1존에서는 음식물을 편안하게 섭취할 수 있는 환경이 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제2존에서는 안전을 위해 주의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 수 있다.
센서 또는 카메라에서 탑승자가 가슴을 치거나 한숨을 쉬거나 심박수에 이상이 감지되면 시원함을 제공하거나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그리고 그 차량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공간을 다양한 목적에 맞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목적에 맞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원하는 환경으로 차량의 실내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중 디스플레이가 각각 서로 다른 화면을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일부 화면을 연계하거나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에게 다양한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중 디스플레이가 탑승자의 위치와 요청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탑승자에게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위치에 맞는 콘텐츠를 추천 및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탑승자가 원하는 화면을 빠르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음성, 제스쳐, 노크온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동작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중 디스플레이에 차량의 주변환경을 여러 각도에서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내부에서도 주변환경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전후방 디스플레이에 차량의 상태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외부 사람들이 이를 확인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공간에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제품들이 구비될 수 있고 탑승자가 요구하는 사항에 맞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탑승자의 행동과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행동과 상태에 맞게 차량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에 대응하도록 차량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탑승자의 행동과 상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에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탑승자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서비스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도어가 개방된 차량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우측면케이스가 제거된 차량의 내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일부 디스플레이가 이동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전면케이스가 제거된 차량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상면케이스가 제거된 차량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디스플레이의 개략적인 배치도.
도 10은 도 9의 제1,2디스플레이가 제1존에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제1,2디스플레이가 제2존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카메라, 전자기기, 차량용품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의 동작에 따른 제어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보인 구성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식별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2디스플레이가 제1존에 있을 때 제1존에 있는 디스플레이들에 표시된 화면의 일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2디스플레이가 제1존에 있을 때 제1존에 있는 디스플레이들에 표시된 화면의 다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2디스플레이가 제1존에 있을 때 제1존에 있는 탑승자가 바라보는 디스플레이들에 표시된 화면의 일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2디스플레이가 제2존에 있을 때 제2존에 있는 디스플레이들에 표시된 화면의 일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보인 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2디스플레이가 제2존에 있을 때 제1존에 있는 탑승자가 바라보는 디스플레이들에 표시된 화면의 다른 예시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 배치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2디스플레이를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시키는 차량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2디스플레이를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시키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를 식별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탑승자 중 주사용자를 인식한 이후에 제1,2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차량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4디스플레이에 화면을 표시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2,5디스플레이에 화면을 표시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1존에서 탑승자의 졸음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2존에서 탑승자가 수동주행 중일 때 졸음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2존에서 탑승자가 업무중일 때 졸림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1존에서 탑승자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2존에서 탑승자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1존에서 탑승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2존에서 탑승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1존에서 탑승자의 신발벗음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2존에서 탑승자의 신발벗음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1존 및 제2존에서 탑승자의 손부채질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1존에서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2존에서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1존에서 탑승자의 음식물 섭취를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2존에서 탑승자의 음식물 섭취를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1존에서 탑승자의 답답함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2존에서 탑승자의 답답함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는 상호 독립적으로 콘텐츠를 각각 표시할 수도 있고 하나의 콘텐츠를 서로 연계 및 확장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자율주행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차량의 종류와 내부공간의 형태에 따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개수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공간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와 물품을 배치하고 탑승자의 행동이나 상태를 감지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량은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장치와 물품을 배치할 수 있는 차량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10)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10)은 엔진을 구비한 내연기관차량, 엔진과 전기모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차량, 전기모터를 구비하는 전기차량, 연료전지를 구비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운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량일 수도 있다.
차량(10)에는 복수개의 바퀴(80)가 설치될 수 있고, 케이스가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는 상면케이스(20), 전면케이스(30), 후면케이스(40), 우측면케이스(50), 좌측면케이스(60) 및 하면케이스(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케이스(20~70)들 중 일부에는 내부에서 외부를 볼 수 있도록 글라스 또는 투명재질로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케이스들(20~70)에 의해 차량(10)의 내부에 내부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면케이스(50) 또는 좌측면케이스(60) 중 하나에는 내부공간(S)을 개방하는 개구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케이스(40)에 개구부(23)가 형성된다. 개구부(23)에는 개구부(23)를 개폐하는 도어(51)가 설치될 수 있다. 개구부(23) 및 도어(51)의 설치위치는 도로에서 차량이 통행하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개구부(23) 및 도어(51)는 차량이 우측통행을 하는 경우 우측면케이스(50)에 설치될 수 있고 반대로 좌측통행을 하는 경우 좌측면케이스(60)에 설치될 수 있다. 탑승자(P)는 도어(51)를 오픈하여 개구부(23)를 통해 내부공간(S)으로 승차하거나 내부공간(S)으로부터 하차할 수 있다.
도어(51)에는 외면에 손잡이(52)가 설치될 수 있다. 탑승자는 손잡이(52)를 당겨서 도어(51)를 오픈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51)를 위로 올려서 오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밀어서 오픈할 수도 있다. 우측면케이스(50)에는 도어(51)의 하방에 탑승자(P)가 승하차시에 발을 디딜 수 있는 발판(53)이 설치될 수 있다. 발판(53)은 도어(51)가 클로즈된 상태일 때는 차량(10)의 내부에 숨겨져 있다가 도어(51)가 오픈되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에는 일례로 발판(53)이 돌출된 상태가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51)는 휴대용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우측면케이스(50)의 일측에는 도어(51)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센서(55)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개폐센서(55)는 예를 들어 홀센서가 될 수 있다. 도어(51)의 측면에는 도어(51)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도어개폐센서(55)에 대응하는 위치에 센싱자석(56)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51)가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홀센서가 센싱자석(56)을 감지할 수 있고, 도어(51)가 오픈되면 홀센서는 센싱자석을 감지할 수 없다. 도어개폐센서(55)의 도어개폐 감지신호는 아래에서 설명할 프로세서(900)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도어개폐 감지신호에 따라 도어(51)의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센서와 센싱자석의 설치위치는 물론 변경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듯이, 내부공간(S)은 차량(10)의 전후방향으로 복수개의 존(zo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존으로 구분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3개 이상의 존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우측방향을 전방으로 볼 때, 2개의 존 중 제1존(zone 1)은 차량(10)의 전후방향에서 후방쪽에 형성되고 제2존(zone 2)은 전방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존과 제2존은 내부공간(S)에서 각각의 존별로 구분된 제1내부공간(S1)과 제2내부공간(S2)의 개념이 될 수 있고, 각각의 내부공간(S1,S2)에 형성되는 영역의 개념이 될 수도 있다. 제1존과 제2존은 다른 목적으로 공간이 될 수 있고, 각각의 목적에 맞는 환경과 다자인을 갖출 수 있다. 예컨대, 제1존은 휴식 및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공간이 될 수 있고, 제2존은 오피스를 위한 공간이 될 수 있다. 제2존에 비해 제1존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존에서는 탑승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이나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존 및 제2존에는 각 공간의 목적 및 환경에 맞는 다양한 물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존에는 휴식용 의자(85)와 카우치(8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냉장고(31), 커피머신(32), 에어샤워(33), 슈즈스타일러(120), 의류스타일러, 오븐, 전자레인지(미도시) 등과 같은 차량용 소형 가전기기와,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게임기, 운동기구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존에는 운전석 의자(86'), 사무용 데스크(87), 사무용 의자(8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내부공간(S)에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중 제1디스플레이(100)는 내부공간(S)의 측부에 제1방향을 향해 설치되고 제2디스플레이(200)는 내부공간(S)의 상부에 제2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제1방향과 제2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80~110도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직교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존은 제1,2디스플레이(100,200)의 설정된 초기위치가 될 수 있다. 제1,2디스플레이(100,200)는 제1존에서 제2존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반대로 제2존에 제1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2디스플레이(100,200)는 아래에 설명할 구동부(850)에 의해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100)는 내부공간(S)에서 좌측면케이스(60)측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화면이 우측면케이스(50)를 향할 수 있다. 물론 도어(51)의 설치위치에 따라 반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도어(51)가 좌측면케이스(60)에 설치되는 경우 제1디스플레이(100)는 내부공간(S)에서 우측면케이스(50)측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화면이 좌측면케이스((60)를 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2디스플레이(200)는 내부공간(S)에서 상면케이스(20)측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하면케이스(70)를 향할 수 있다. 이때, 제1,2디스플레이(100,200)는 예컨대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디스플레이(100)의 상부와 제2디스플레이(200)의 측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또는, 분리된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제1디스플레이(100,200)의 후면에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를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85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850)는 또한 좌측면케이스(60)의 내측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850)는 프로세서(90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1,2디스플레이(100,200)를 차량(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2디스플레이(100,2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면케이스(20)의 내면에는 슬라이드레일(84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100)에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설치된 제2디스플레이(200)의 후면은 슬라이드레일(840)에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드레일(840)은 제1존에서 제2존까지 확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200)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롤러가 슬라이드레일(840)과 결합되어 슬라이드레일(840)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1존과 제2존 간에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850)는 상부프레임(810a)와 하부프레임(8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810a)과 하부프레임(810b)의 일측은 제1디스플레이(100)의 하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810a)과 하부프레임(810b)의 타측은 세로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볼너트(830)의 일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볼너트(830)에는 2개의 홀이 설치되며 홀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홀에는 상부 볼나사(820a)와 하부 볼나사(820b)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볼나사(820a,820b)는 좌측면케이스(60)의 내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 및 하부 볼나사(820a,820b)는 볼너트(830)와 상부 및 하부 프레임((810a,810b)를 통해 제1,2디스플레이(100,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제1,2존 간에 이동시키도록 좌측면케이스(60)에 단단히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볼나사(820a,820b)의 외주면에는 각 홀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볼나사(820a,820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각 홀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홈과 피치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구동부(850)가 동작되는 상태도가 도시된다. 볼나사(820a,820b)에는 모터(840a,840b)가 연결될 수 있다. 모터(840a,840b)는 프로세서(9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모터(840a,840b)가 회전하면 볼나사(820a,820b)가 회전할 수 있다. 볼나사(820a,820b)와 볼너트(830)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볼너트(830)가 차량(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디스플레이(100)가 볼너트(830)에 고정설치되므로 볼너트(830)와 함께 제1,2디스플레이(100,200)도 이동하게 된다.
다시 도 4를 보면, 차량(10)의 내부공간(S)에는 탑승자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81)과 제2감지부(8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감지부(81)는 제1존에 있는 탑승자를 감지할 수 있고 제2감지부(82)는 제2존에 있는 탑승자를 감지할 수 있다. 제1,2감지부(81,82)는 각각 제1존 및 제2존에 차량(10)의 상면케이스(20)의 내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2감지부(81,82)는 예컨대 안면인식센서, 지문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 이미지인식센서, NFC센서, 적외선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2감지부(81,82)는 CCTV 카메라가 될 수도 있다. 제1,2감지부(81,82)는 탑승자 감지신호를 프로세서(900)로 전달할 수 있다.
내부공간(S)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인식부(8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음성인식부(84)는 탑승자가 하는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음성인식부(84)에서 인식된 음성인식신호는 프로세서(9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는 차량(10)의 내부공간(S)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100~700)가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초기상태에 제1,2디스플레이(100,200)는 설정된 초기위치인 제1존(zone 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100)는 내부공간(S)의 일측부에 화면이 제1방향을 향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디스플레이(200)는 내부공간(S)의 상부에 화면이 제2방향으로 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100)에는 제1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조작부(101)가 선택적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101)는 예컨대 다이얼장치가 될 수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제1존에는 제3디스플레이(300)와 제4디스플레이(400)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3디스플레이(300)는 내부공간(S)의 하부에 제2방향에 대향하는 제3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3디스플레이(300)는 제1디스플레이(100)의 초기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디스플레이(100)가 제1존에 있을 때는 제1디스플레이(100)를 기준으로 제1존의 상부에는 제2디스플레이(200)가 있고 하부에는 제3디스플레이(300)가 있게 된다. 또한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1존에 있는 경우 제3디스플레이(300)는 측부가 제1디스플레이(100)의 하부와 이웃하게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4디스플레이(400)는 제1디스플레이(100)로부터 설정거리로 이격되게 내부공간(S)의 측부에 제1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제4디스플레이(400)는 탑승자가 카우치(83)에 앉아서 편하게 터치할 수 있도록 카우치(83)가 있는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4디스플레이(400)의 표면에는 특수 코팅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탑승자가 밟아도 될 정도로 안전하고 튼튼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4디스플레이(300,400)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1존에 있을 때에는 탑승자가 휴식 및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도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2존에는 제5디스플레이(5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5디스플레이(500)는 제1,2,3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4방향을 향해 제2존에 설치될 수 있다. 제4방향은 예컨대 제1,2,3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5디스플레이(500)는 제2존에서 사무용 데스크(87)에 화면이 차량(10)의 후면케이스(40)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5디스플레이(500)는 탑승자가 사무를 볼 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1존에서 제2존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1,2,5디스플레이(100,200,500)에 모두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차량(10)의 전면케이스(30)에는 제6디스플레이(600)가 차량(10)의 전방을 향하도록 더 설치될 수 있고, 차량(10)의 후면케이스(40)에는 제7디스플레이(700)가 차량(10)의 후방을 향하도록 더 설치될 수 있다.
제6디스플레이(600)와 제7디스플레이(700)는 차량(10)의 전방 및 후방에 있는 외부 사람들에게 차량의 주행정보, 상태정보, 알림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외부 사람들은 이러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충돌이나 비상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듯이 초기상태에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초기위치인 제1존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 보듯이 제1,2디스플레이(100,200)는 제2존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디스플레이(100,200)는 제1존에 있으면 제3,4디스플레이(300,400)와 가깝게 배치되고, 제2존에 있으면 제5디스플레이(500)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탑승자(P)는 제2존에 있는 사무용 의자(86)에 앉아서 제5디스플레이(500) 및/또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또한 탑승자(P)는 제1존에 있는 휴식용 의자(85)에 앉거나 기대어 또는 카우치(83)에 앉거나 누워서 제1-4디스플레이(100~400) 또는 제1,2,5디스플레이(100,200,5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제1~7디스플레이(100~700)는 프로세서(900)에서 출력되는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100)에는 제1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1화면은 탑승자(P)가 원하는 메인 콘텐츠가 될 수 있다. 제1화면은 예컨대 탑승자(P)의 기호에 따라 동작하는 가상 비서(Virtual Assistant), 상호작용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또는, 차량(10) 내에서 가상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탑승자(P)로 하여금 몰입형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100)는 풍부한 그래픽과 멀티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고성능 GPU를 이용하여 최첨단 3D 그래픽의 시각화 구현함으로써 탑승자가 제1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제1화면을 통해 프리미엄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첨단 AI엔진을 적용하여 탑승자 맞춤형 가상 비서를 제1디스플레이(100) 및/또는 다른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10)에는 내츄럴 보이스 컨트롤(natural voice control),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human-machine interface)를 통해 탑승자가 현장감을 더 실감나게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자 맞춤형 다중 영역 오디오, 명확한 차량 내 커뮤니케이션, 잡음 및 에코 제거 기능을 포함한 프리미엄 오디오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2디스플레이(200)에는 제2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2화면은 제1화면에 종속될 수 있다. 즉, 제2디스플레이(200)에는 제1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제1화면에 종속된 제2화면이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 및 '종속'은 제2화면이 제1화면의 일부분으로서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1화면에 캠핑장에서 텐트, 의자, 장비 등이 표시되는 경우 제2화면에는 제1화면의 캠핑장이 더 확장되어 캠핑장의 주변환경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제2화면은 제1화면의 상부에 있으므로 예컨대 제1화면이 캠핑장이면 제2화면에는 캠핑장의 상부로서 캠핑장의 하늘과 구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렇듯, 하늘과 구름의 제2화면은 제1화면의 일부로서 제1화면이 더 확장된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화면은 제1화면에 '확장된' 또는 '종속된' 화면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제2디스플레이(200)에는 탑승자의 요청에 따라 제1화면에 종속되지 않는, 별개의 독립적인 제2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제1화면과는 독립적인 제2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제3디스플레이(300)는 제3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3화면도 제1화면에 종속된 화면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제1화면과는 독립적인 별개의 화면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3디스플레이(300)에 제1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된 캠핑장의 가상공간(제1화면)에 종속된 잔디밭(제3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디스플레이(100)에 제1화면으로 가상 비서가 표시되는 경우 제2,3디스플레이(200,300)는 가상 비서가 있는 환경을 확장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10)에서는 제2,3디스플레이(200,300)는 제1디스플레이(100)의 제1화면에 종속된 제2,3화면을 각각 표시함으로써 탑승자는 여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즐길 수 있고, 나아가 특정한 목적에 맞는 실내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에게 편안함과 실용성을 보장하는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4디스플레이(400)에는 제4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4화면도 제1화면에 종속된 화면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제1화면과는 독립적인 별개의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제4디스플레이(400)에는 제1,2,3디스플레이(100,200,300)의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4디스플레이(400)에는 복수개의 버튼이 표시될 수 있고 복수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가 터치되면 프로세서(900)는 터치신호를 수신하여 제1,2,3디스플레이(100,200,300)에 표시되는 제1,2,3화면 중 하나의 화면을 조작할 수 있다. 제4화면은 예컨대 제1,2,3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 콘텐츠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제5디스플레이(500)에는 제5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5화면도 제1화면에 종속된 화면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제1화면과는 독립적인 별개의 화면이 될 수 있다. 제2존에 있는 제5디스플레이(500)에는 사무용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5디스플레이(500)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있는 위치와 무관하게 제5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2존에 있으면 제5화면은 제1화면에 종속된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2화면이 제5화면의 종속된 화면이 될 수도 있다. 즉, 제5화면이 메인 콘텐츠가 되고 제1,2화면은 메인 콘텐츠에 종속된 화면들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제5디스플레이(500)에 캠핑장의 가상공간이 제5화면으로 표시되고 제1디스플레이(100)에는 캠핑장 가상공간의 좌측 주변환경으로 나무 등이 제1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고 제2디스플레이(200)에는 캠핑장 가상공간의 상부 주변환경으로 하늘과 구름 등이 제2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사무용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문서가 제5디스플레이(500)에 표시될 때 제1,2디스플레이(100,200)에는 특정 문서가 더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제6디스플레이(600)와 제7디스플레이(700)에는 각각 제6화면과 제7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6,7화면은 차량(10)의 외부로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차량(10)의 외부에 있는 사람이 차량(10)의 정보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112는 실내공간에서 탑승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UWB(Ultra WideBand) 앵커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차량(10)에는 차량용 소형 전자기기를 비롯하여 카메라부, 입출력부, 센서부, 구동장치, 저장부, 디스플레이, 통신모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와 카메라부는 탑승자(P)의 위치뿐만 아니라 탑승자(P)의 행동 및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프로세서(900)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900)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들과 연결될 수 있다.
차량(10)에는 마이크(101,108)와 스피커(125)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101,180)와 스피커(125)는 제1존과 제2존에 복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아미크(101,108)은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고, 스피커(125)는 차량(10)과 탑승자(P)에 대한 안내메시지, 경고메시지, 노래, 음악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차량(10)에는 전석체중감지센서(105)와 후석체중감지센서(116)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전석체중감지센서(105)는 제2존에 있는 사무용 의자(86)의 시트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의자(86)에 앉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후석체중감지센서(116)는 제1존에 있는 휴식용 의자(85) 또는 카우치(83)의 시트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휴식용 의자(85) 또는 카우치(83)에 앉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10)에는 탑승자를 감지하는 탑승자감지센서(119)가 설치될 수 있다. 탑승자감지센서(119)는 제1존과 제2존에 각각 설치되어 제1존에 탑승자가 있는지와 제2존에 탑승자가 있는지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탑승자감지센서(119)는 제1감지부(81)와 제2감지부(82)가 될 수도 있다. 탑승자의 위치는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때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 이는 탑승자의 동작 및 상태에 따라 차량(10)을 제어하는 경우 탑승자의 위치가 제1존인지 및 제2존인지에 따라 제어과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탑승자감지센서(119)는 제1,2존에서의 탑승자의 존재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차량(10)에 탑승하는지 여부도 감지할 수 있다. 더하여, 탑승자감지센서(119)는 탑승자의 얼굴을 인지하여 식별할 수도 있고 탑승자가 이동함에 따라 탑승자를 트래킹(tracking)할 수도 있다. 이에 탑승자감지센서(119)는 복수개로 설치될 때 각각 감지되는 구역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탑승자감지센서(119)는 예컨대 안면인식센서, 지문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 이미지인식센서, NFC센서, 적외선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차량(10)에는 복수개의 발감지센서(126)가 설치될 수 있다. 발감지센서(126)은 제1존과 제2존에 각각 설치되어 탑승자가 신발을 벗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발감지센서(126)는 제1존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슈즈스타일러(120)에 설치될 수 있고, 제2존에서는 사무용 의자(86)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발감지센서(126)는 예컨대 이미지인식센서, 적외선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10)에는 스크린노크온센서(110)와 냉장고노크온센서(123)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노크온센서(110)는 제1~4디스플레이(100~400)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탑승자가 디스플레이에 노크를 하면 스크린노크온센서(110)가 노크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의 음파 또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스크린노크온센서(110)에서 전송된 음파 또는 진동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를 온(ON)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오프도 역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탑승자는 디스플레이의 온/오프 스위치(또는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도 노크만으로 디스플레이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냉장고노크온센서(123)는 냉장고(31)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장고(31)는 투명창을 내부를 볼 수 있는 씨쓰루 냉장고로서 탑승자는 냉장고(31)에 노크를 하면 상기와 같은 원리로 냉장고(31)의 내부에 설치된 조명(미도시)이 온될 수 있다. 이로써 탑승자는 노크만으로 냉장고의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스크린노크온센서(110)와 냉장고노크온센서(123)는 예컨대 음파감지센서 또는 진동감지센서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로서 차량(10)은 인덕션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인덕션를 구비한 인덕션터치센서(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인덕션터치센서(121)는 인덕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센서가 될 수 있다.
차량(10)은 온도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22)는 내부공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122)는 내부공간의 온도를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온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온도센서(122)는 복수개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10)에는 전석열화상카메라(102)와 후석열화상카메라(117)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전석열화상카메라(102)는 제2존의 영역에 대한 열화상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후석열화상카메라(117)는 제1존의 영역에 대한 열화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들 열화상카메라(102,117)는 차량(10)의 내부공간이 어두운 상황에서도 탑승자를 비롯하여 물체를 촬영할 수 있다. 특히, 탑승자의 체온을 촬영할 수 있다.
차량(10)에는 전석DSM(Driver Status Monitoring)카메라(106)와 후석DSM카메라(115), 그리고 후석PSM(Passenger Status Monitoring)카메라(113)가 설치될 수 있다. 전석DSM카메라(106)과 후석DSM카메라(115)는 탑승자가 운전중일 때 운전석이 되는 사무용 의자(86)에 착석한 탑승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10)은 전방으로 주행할 수도 있고 후방으로도 주행할 수도 있다. 전방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전석DSM카메라(106)가 탑승자(운전자)를 촬영할 수 있고 후방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후석DSM카메라(115)가 탑승자(운전자)를 촬영할 수 있다. 후석PSM카메라(113)는 제1존에 있는 탑승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석DSM카메라(106), 후석DSM카메라, 및 후석PSM카메라(113)에서 촬영된 영상은 프로세서(900)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이미지분석기법을 통해 탑승자의 행동, 표정, 상태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차량(10)에는 사이드카메라(104)가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카메라(104)는 차량(10)의 외부 및 주변 환경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10)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의 주변으로 적절한 위치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외부 및 주변의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차량(10)에는 피트니스카메라(107)가 설치될 수 있다. 피트니스카메라(107)는 실내공간에서 탑승자가 취하는 피트니스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탑승자가 실내공간에서 피트니스를 수행하는지를 판단하면, 예컨대 제1,2,3디스플레이에 피트니스와 관련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10)에는 버츄얼스크린카메라(109)가 설치될 수 있다. 버츄얼스크린카메라(109)는 예컨대 제2디스플레이(20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탑승자가 버츄얼스크린카메라(109)를 구동시키면 제1존에 있는 탑승자와 그 주변의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차량(10)에는 좌측제스쳐카메라(111)와 우측제스쳐카메라(118)가 설치될 수 있다. 좌측제스쳐카메라(111)는 실내공간의 좌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우측제스쳐카메라(118)은 실내공간의 우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좌/우측제스쳐카메라(111,118)는 탑승자의 제스쳐를 촬영할 수 있다. 제스쳐 영상은 제어부(9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탑승자의 체스쳐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자의 행동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10)에는 수면추적카메라(114)가 설치될 수 있다. 수면추적카메라(114)는 제1존과 제2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 탑승자가 졸음 상태와 수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탑승자가 제2존에서 수동운전 중일 때 졸음운전은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졸음을 사전에 감지하여 사전에 조취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존에서도 탑승자가 휴식을 취하는 중에 졸음이 몰려온다면 수면을 위한 동작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면추적카메라(114)는 탑승자의 눈깜빡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탑승자의 눈깜빡임의 시간, 속도, 횟수, 간격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눈깜빡임 시간을 감지하도록 한다. 예컨대 눈을 한번 깜빡이는데 걸리는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눈깜빡임 정보를 이용하면 탑승자가 깨어있는 상태인지, 졸리는 상태인지, 수면중인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10)에는 슈즈스타일러구동부(120a)와 백시트구동부(85b)가 설치될 수 있다. 슈즈스타일러구동부(120a)는 슈즈스타일러(120)에 설치되며 제어부(900)로부터 출력되는 도어개폐신호에 따라 슈즈스타일러(120)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백시트구동부(85b)는 휴식용 의자(85)에 설치되며 제어부(90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휴식용 의자(85)의 백시트(85a)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슈즈스타일러구동부(120a)와 백시트구동부(85b)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도어의 개폐방향과 개폐정도, 그리고 백시트(85a)의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입력부(910)는 탑승자(P)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910)를 통해 입력되면 프로세서(90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910)는 기계식 입력수단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수단은 예컨대 다이얼장치(101), 메커니컬 키, 버튼, 스위치 등이 될 수 있고, 터치식 입력수단은 탑승자의 터치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식 입력수단은 예컨대 입력부(910)와 디스플레이가 일체형 또는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와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토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입력부(910)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센서는 예컨대,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4디스플레이(400)가 터치식 입력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P)는 입력부(910)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100~7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각 디스플레이(100~700)를 온(ON)/오프(OFF)할 수 있고, 화면의 표시 및 표시되는 화면들을 설정 및 변경할 수도 있다.
통신부(920)는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은 예컨대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다.
물론 통신부(92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컨대, 통신부(920)는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이 자율주행차량인 경우에는 통신부(920)는 임의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AI) 모듈, 무인항공기(Unmmaned Aerial Vehicle),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AR) 모듈, 가상현실(Virtual reality;VR), 로봇(robot), 드론 (drone),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장치 등과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92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92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92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920)는 탑승자의 이동단말기(미도시)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로써 통신부(920)는 이동단말기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탑승자가 차량(10)에 탑승한 경우, 통신부(920)는 탑승자의 이동단말기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930)은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GPS 위성에서 보내는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감지부(81,82)는 각각 제1존과 제2존에 있는 탑승자를 감지할 수 있고, 음성인식부(84)는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1,2감지부(81,82)는 탑승자를 인식하여 식별할 수도 있다. 예컨대 탑승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식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매핑(image matching) 기법을 이용하여 탑승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미지 매칭이란 서로 다른 두 이미지를 비교해서 짝이 맞는 같은 형태의 객체가 있는지 찾아내는 기술로서, 이미지에서 객체를 찾는 방법은 이미지에서 의미 있는 특징들을 적절한 숫자로 변환하고 그 숫자들을 서로 비교해서 얼마나 비슷한지 판즉 두 이미지 간 유사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미지 매칭 기법에는 참조 영상(reference image)에서 템플릿(template) 영상과 매칭되는 위치를 탐색하는 이미지 템플릿 매칭(Image Template Matching)과 이미지로부터 수많은 피처(Feature)들을 추출하여 다른 이미지의 피처셋과 비교하면서 유사성을 검사하는 이미지 피쳐 매칭(Image Feature Matching)이 있다. 이를 위해 탑승자는 얼굴이미지를 후술하는 저장부(960)에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저장부(96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되어 프로세서(9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960)는 차량(10)의 정보, 탑승자(P)의 정보,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센서부, 카메라부, 입출력부에서 촬영 및 감지(인식, 센싱)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면에는 일례로 저장부(960)가 차량(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저장부(960)는 외부에 서버 형태로 설치되어 통신부(920) 또는 인터페이스부(950)를 통해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될 수 있다. 또는, 저장부(960)에는 일부 정보와 데이터, 그리고 프로그램과 소프트웨어가 저장되고, 나머지 정보와 데이터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940)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10)의 일부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940)는 예컨대 디스플레이(100~7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차량(10)에는 통신부(920)와 인터페이스부(95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통신부(920)는 외부장치와 차량(10)이 통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902)는 외부장치, 예컨대 스마트폰(903) 및/또는 차량(10)의 전자제어유닛(ECU)(904)과 통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900)는 센서부와 카메라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차량(10)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고, 인터페이스(950)를 통해 ECU(904)와 연결하여 ECU(904)에서 차량(10)이 동작을 제어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900)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10)을 구성하는 일부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900)는 구동부(850)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100~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입력부(910) 및 통신부(92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100~700)에서 콘텐츠를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화면의 설정 및 변경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0)는 제1,2감지부(81,82)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와 입력부(910) 및 통신부(92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구동부(850)를 구동시켜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감지부(81)가 제1존에서 탑승자를 감지하고 제2감지부(82)가 제2존에서 탑승자를 감지하지 않으면 제2존에 있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1존으로 이동되도록 프로세스(900)는 구동부(8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만약,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이미 제1존에 있는 경우라면 프로세서(900)는 구동부(850)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제1감지부(81)가 제1존에서 탑승자를 감지하지 않고 제2감지부(82)가 제2존에서 탑승자를 감지하면 프로세서(900)는 제1존에 있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2존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부(8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만약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이미 제2존에 있는 경우라면 프로세서(900)는 구동부(850)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세서(900)는 입력부(910) 및 통신부(920)를 통해 제1,2디스플레이(100,200)의 이동요청이 입력되면 구동부(850)를 구동시켜 제1,2디스플레이(100,200)를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900)는 디스플레이(100~700)에서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각 디스플레이(100~700)마다 독립적으로 별개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일부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동 또는 연계하여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의 화면표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한편, 차량(10)의 다른 장치들은 차량(10)의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인터페이스부(950)를 통해 ECU와 연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1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900)는 ECU로부터 차량(10)의 오픈 및 클로즈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탑승자(P)가 휴식용 의자(85)와 카우치(83), 사무용 의자(86), 운전석 의자(86')의 착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탑승자(P)의 정보는 저장부(960)에 사전에 미리 등록 및 저장되어 있다. 도 14에는 일 예시로 사전에 등록된 두 탑승자의 정보를 나타낸 표가 도시되어 있다. 탑승자 정보에는 예컨대 탑승자의 번호 및 정보, 등록여부, 등급, 탑승자단말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10)에 탑승자(P)가 탑승하면 제1,2감지부(81,82)가 탑승자(P)를 인식하여 식별하고 프로세서(900)로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900)는 식별정보와 저장부(960)에 미리 저장된 탑승자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탑승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예에서는 탑승자의 정보 중 일부 정보가 삭제되거나 다른 정보가 추가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제1~4디스플레이(100~400)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4디스플레이(100~400)는 프로세서(900)에서 출력되는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100)에는 제1화면(111)이 표시될 수 있다. 제1화면(111)은 탑승자(P)가 원하는 메인 콘텐츠가 될 수 있다. 제1화면(111)은 예컨대 가상 비서(Virtual Assistant), 상호작용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또는 차량(10) 내에서 가상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탑승자(P)로 하여금 몰입형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제2디스플레이(200)에는 제2화면(211)이 표시될 수 있다. 제2화면(211)은 제1화면(111)에 종속될 수 있다. 즉, 제2디스플레이(200)에는 제1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제1화면(111)에 종속된 제2화면(211)이 제1화면(111)으로부터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제1화면(111)과 제2화면(21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제1화면(111)은 예컨대 캠핑장에 대한 가상공간으로서 캠핑용 텐트, 의자, 장비 등이 표시되어 있고, 제2화면(211)은 제1화면(111)에 표시된 캠핑 가상공간이 더 확장되어 주변환경이 표시된다. 예컨대, 제2화면(211)에는 제1화면(111)의 상부로서 캠핑장의 가상공간에 있는 하늘과 구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하늘과 구름의 제2화면(211)은 캠핑장 가상공간의 제1화면(111)에서 확장된 것일 수 있고, 제2화면(211)은 제1화면(111)에 종속된 화면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디스플레이(200)에는 탑승자의 요청에 따라 제1화면에 종속되지 않는, 별개의 독립적인 제2화면(211)이 표시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제1화면(111)과는 독립적인 별개의 제2화면(211)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제3디스플레이(300)는 제3화면(311)이 표시될 수 있다. 제3화면(311)도 제1화면(111)에 종속된 화면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제1화면(111)과는 독립적인 별개의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일례로 제3디스플레이(300)에 제1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된 캠핑 가상공간(제1화면)에 종속된 잔디밭(제3화면)이 표시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10)에서는 제2,3디스플레이(200,300)는 제1디스플레이(100)의 제1화면(111)에 종속된 제2,3화면(211,311)을 각각 표시함으로써 탑승자는 여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즐길 수 있고, 나아가 특정한 목적에 맞는 실내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에게 편안함과 실용성을 보장하는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4디스플레이(400)에는 제4화면(411)이 표시될 수 있다. 제4화면(411)도 제1화면(111)에 종속된 화면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제1화면(111)과는 독립적인 별개의 화면이 될 수 있다. 도 15에는 제1화면(111)과 독립적인 별개의 제4화면(411)이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제1화면(111)에 종속된 제4화면(411)이 확장되어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제1,2,3디스플레이(100,200,300)의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가 표시되어 있다. 예컨대 제4디스플레이(400)에는 복수개의 버튼(412)이 표시될 수 있고 복수개의 버튼(412) 중 적어도 하나가 터치되면 프로세서(900)는 터치신호를 수신하여 제1,2,3디스플레이(100,200,300)에 표시되는 제1,2,3화면 중 하나의 화면을 조작할 수 있다. 제4화면(411)은 예컨대 제1,2,3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 콘텐츠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6에는 제1화면(111)에 종속된 제4화면(411)의 일례가 표시되어 있다. 제1화면(111)에 캠핑 가상공간이 표시된 경우 제4화면(411)에는 캠핑 가상공간에서 좌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주변환경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화면(111)에 표시된 캠핑 가상공간의 주변환경으로서 나무, 언던, 호수 등의 제4화면(411)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에는 탑승자(P)가 카우치(83)에 앉아서 제1~4디스플레이(100~400)에 표시된 화면들을 보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2,3,4화면(211,311,411)는 각각 제1화면(111)에 종속되어 제1화면(111)에서 확장된 화면이 될 수 있다. 도 17의 일례에서 보면, 제1화면(111)에는 구름의 일부(215a)만 표시되며 제2화면(211)에는 그 구름의 다른 부분(215b)이 일부(215a)로부터 확장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화면(111)에는 나무의 일부(216a)가 표시되며 제3화면(311)에는 그 나무의 다른 부분(216b)이 확장되어 표시된다. 또한, 제1화면(111)에는 언덕의 일부(217a)가 표시되며 제4화면(311)에는 그 언덕의 다른 부분(217b)이 확장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3,4디스플레이(200,300,400)에 제1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제1화면(111)에서 더 확장되는 제2,3,4화면(211.311,411)를 표시함으로써 탑승자(P)는 측면, 상부, 하부에 표시되는 많은 화면들로 인해 마치 그 화면들이 주는 환경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고 현장감과 현실감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8에서 보듯이, 제5디스플레이(500)에는 제5화면(511)이 표시될 수 있다. 제5화면(511)도 제1화면(111)에 종속된 화면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제1화면(111)과는 독립적인 별개의 화면이 될 수 있다. 제2존에 있는 제5디스플레이(500)에는 사무용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5디스플레이(500)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있는 위치와 무관하게 제5화면(511)을 표시할 수 있다.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2존에 있으면 제5화면(511)은 제1화면(111)에 종속된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도 18에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2존에 있고 제5디스플레이(500)에는 제1화면(111)에 종속된 제5화면(411)이 확장되어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화면(111)에 캠핑 가상공간이 표시된 경우 제5화면(511)에는 캠핑 가상공간에서 우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주변환경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화면(111)에 표시된 캠핑 가상공간의 주변환경으로서 나무 등의 제5화면(511)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2화면(111,211)이 제5화면(511)의 종속된 화면이 될 수도 있다. 즉, 제5화면(511)이 메인 콘텐츠가 되고 제1,2화면(111,211)은 메인 콘텐츠에 종속된 화면들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제5디스플레이(500)에 캠핑 가상공간이 제5화면(511)으로 표시되고 제1디스플레이(100)에는 캠핑장 가상공간의 좌측 주변환경으로 나무 등이 제1화면(111)으로 표시될 수 있고 제2디스플레이(200)에는 캠핑장 가상공간의 상부 주변환경으로 하늘, 구름, 바람, 새 등이 제2화면(211)으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사무용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무용 특정 문서가 제5디스플레이(500)에 표시될 때 제1,2디스플레이(100,200)에는 특정 문서가 더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플레이(100)에 화면(111)이 표시되고 있는 중에 제2,3,4,5디스플레이(200~5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오프될 수도 있다. 또한, 제5디스플레이(500)에 제5화면(511)이 표시되는 중에 제1,2디스플레이(100,200) 중 어느 하나는 오프될 수 있다.
제5디스플레이(50)은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도 19에는 제5디스플레이(500)의 크기가 가변되어 표시되는 제5화면의 크기가 가변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제5디스플레이(500)는 프로세서(9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스크(87)의 상면에 형성될 개구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통해 데스크(87)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반대로 외부로 일정길이만큼 인출될 수도 있다. 제5디스플레이(5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데스크(87)의 내부로 하강시켜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거나 최소길이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제5디스플레이(5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데스크(87)의 외부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승되는 높이는 변경이 가능하다. 데스크(87)의 내부에는 제5디스플레이(5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례에서는 제5디스플레이(5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될 수도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측면에 형성된 지지부(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며 하강시 디스플레이가 감겨지면서 하강하고 상승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감겨진 디스플레이가 펴지게 될 수 있다.
도 20에 탑승자(P)가 카우치(87)에 앉아 제1,2,5디스플레이(100,200,500)에 표시된 화면들을 보고 있는 예가 도시된다. 도면에는 제1,2화면(111,211)이 제5화면(511)에 종속되어 제5화면(511)에서 확장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의 일례에서 보면, 제5화면(511)에는 일출의 화면이 표시되고 제1화면(111)에는 일출 화면의 주변에 있는 나무가 표시되고 제2화면(211)에는 일출 화면의 위에 있는 구름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1,2디스플레이(100,200)에는 제5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제5화면(511)에서 더 확장되는 제1,2화면(111.211)를 표시함으로써 탑승자(P)는 전면, 측면, 상부에 표시되는 화면들로 인해 콘텐츠를 더 실감나게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영화를 관람하는 경우 제5디스플레이(500)에 영화의 메인 화면을 표시하고 제1,2디스플레이(100,200)에 영화의 확장된 화면을 표시하으로써 영화를 더 실감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21 및 도 22에는 다른 형태의 차량에 다른 형태 및 개수의 디스플레이들이 설치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 승용차나 승합차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의 개수와 형태도 변경이 가능하다. 도 21에는 측면에 2개의 디스플레이(100)이 설치되고 중앙부에 2개의 디스플레이(800), 상면에 1개의 디스플레이(200), 차량(10)의 외부 전면에 1개의 디스플레이(5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의 디스플레이(200)는 상면을 거의 채울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2에는 측면, 상부, 하부에 각각 디스플레이(100,200,300)가 각각 1개씩 설치되고 차량(10)의 외부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디스플레이(600,700)이 설치되어 있다. 측면과 상부의 디스플레이(100,200)는 폭에 비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종류, 내부공간(S)의 형태, 표시되는 콘텐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들 일부를 제거하거나 다른 위치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 크기와 형태도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으로서 제1,2디스플레이를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시키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가 개시된다. 초기상태에서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는 제1존에 위치하여 대기한다(S101). 대기상태에서 도어(51)가 잠김해제 및 개방되고(S102), 제1,2디스플레이(100,200)의 이동요청이 입력되면(S103), 프로세서(900)는 제1존에 있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2존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부(850)를 구동시킬 수 있다(S104). 구동부(850)의 구동에 의해 제1,2디스플레이(100,200)는 제2존으로 이동될 수 있다(S105).
도어(51)가 개방되면 도어개폐센서(55)가 도어개방을 감지할 수 있고 프로세서(900)는 도어개폐센서(55)로부터 도어개방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2디스플레이(100,200)의 이동요청은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탑승자(P)의 음성명령으로 이동요청이 입력될 수 있고, 탑승자(P)의 기등록된 이동단말기에서 특정앱을 통해 이동요청이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이때, 도어(51)의 개방과 클로즈와는 달리 도어(51)의 잠김 및 잠김해제는 차량ECU(904)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제2존으로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이동한 상태에서 도어(51)의 닫힘 및 잠김이 감지되면(S106), 프로세서(900)는 제2존에 있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1존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부(850)를 구동시킬 수 있다(S107). 구동부(850)의 구동에 의해 제1,2디스플레이(100,200)는 제2존에서 제1존으로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S108).
도 2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으로서 제1,2디스플레이를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시키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가 개시된다. 제1,2디스플레이(100,200)이 제1존에 위치한 상태에서(S201), 제1,2디스플레이(100,200)의 제1이동요청이 입력되면(S202), 프로세서(900)는 구동부(850)를 구동시켜(S203), 제1,2디스플레이(100,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S204). 여기서, 프로세서(900)는 제1감지부(81)가 제1존에서 탑승자(P)를 감지하지 않고 제2감지부(82)가 제2존에서 탑승자(P)를 감지하면 제1이동요청이 입력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2존으로 이동 후 제1,2디스플레이(100,200)의 제2이동요청이 입력되면(S205), 프로세서(900)는 구동부(850)를 구동시켜(S206) 제1,2디스플레이(100,200)를 제1존으로 이동시킨다(S207). 여기서, 프로세서(900)는 제2감지부(82)가 제2존에서 탑승자(P)를 감지하지 않고 제1감지부(81)가 제1존에서 탑승자(P)를 감지하면 제2이동요청이 입력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으로서 차량(10)에 탑승한 탑승자(P)를 식별하는 방법을 보인다.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초기위치인 제1존에 위치하여 대기한다(S301). 제1존에 탑승자(P)가 탑승한 것을 감지하고(S302), 도어(51)의 잠김이 확인되면(S303), 탑승자(P)가 2명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04). 탑승자가 1명이면 그 탑승자를 주사용자로 인식하고(S305), 탑승자가 2명 이상이면 기등록된 주사용자를 판단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S306). 주사용자를 판단할 수 있으면 주사용자를 인식한다(S305). S305 단계에서 탑승자 중에서 주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아 주사용자를 판단할 수 없다면 먼저 승차한 탑승자를 주사용자로 인식한다(S307).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으로서 탑승자 중 주사용자를 인식한 이후에 제1,2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보인다.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1존에 있는 상태에서(S401), 주사용자를 인식하면(S402), 주사용자를 트래킹한다(S403). 여기서, 주사용자의 트래킹은 제1,2감지부(81,82)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제1,2감지부(81,82)가 감지가능한 영역은 겹칠 수 있으며 제1,2감지부(81,82)에서의 감지결과를 조합하여 주사용자의 트래킹이 가능할 수 있다. 주사용자가 제1존에서 제2존으로 이동하게 되면(S404), 프로세서(900)는 구동부(850)를 구동시켜서(S405), 제1,2디스플레이(100,200)를 제1존에서 제2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406). 주사용자가 제2존에서 이탈하면(S407), 프로세서(900)는 구동부(850)를 구동시켜(S408) 제1,2디스플레이(100,200)를 제2존에서 제1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409). 주사용자가 제1존에 있는 것, 제1존을 이탈하는 것, 제2존에 있는 것, 제2존을 이탈하는 것, 제1존에서 제2존으로 이동하는 것, 제2존에서 제1존으로 이동하는 것은 모두 제1,2감지부(81,82)에서 감지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으로서 제1~4디스플레이에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보인다.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1존에 대기한 상태에서(S501), 제1디스플레이(100)에 화면표시요청이 입력되면(S502), 프로세서(900)는 제1디스플레이(100)에는 제1화면(111)을 표시할 수 있다(S503). 프로세서(900)는 제2,3,4디스플레이(200,300,400)에는 제1화면(111)에 종속된 제2,3,4화면(211,311,411)으로서 제1화면(111)에서 확장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504).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으로서 제1,2,5디스플레이에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보인다.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2존으로 이동한 상태에서(S601), 제5디스플레이(500)에 화면표시요청이 입력되면(S602), 프로세서(900)는 제5디스플레이(100)에는 제5화면(511)을 표시할 수 있다(S603). 그리고, 프로세서(900)는 제1,2디스플레이(100,200)에는 제5화면(511)에 종속된 제1,2화면(111,211)으로서 제5화면(511)에서 확장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604).
만약, 도 28과 같이 제5디스플레이(500)에 화면표시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 제1,2디스플레이(100,200)가 제2존이 아니라 제1존에 있다면, 프로세서(900)는 구동부(850)를 구동시켜 제1,2디스플레이(100,200)를 제2존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1,2,5디스플레이(100,200,500)에 화면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에서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를 여러 위치에 설치하고, 각 디스플레이에 독립된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일부 화면들을 연계 및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는 더 즐겁게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오디오 장치 등과 같은 주변장치를 함께 연계하여 이용함으로써 현장감을 더 배가시킬 수 있고 흥미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900)는 다양한 형태로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독립적으로 또는 ECU(904)와 함께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센서부와 카메라부에서 감지된 정보와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그 분석된 결과에 대응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와 카메라부는 탑승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탑승자의 행동 및 상태를 감지하며, 그 감지된 결과를 프로세서(90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900)는 수신된 감지결과를 분석하여 탑승자의 위치에 따른 행동 및 상태에 대응하여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10)의 제어방법에서는 탑승자의 위치에 따라 차량(10)의 동작이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 즉, 탑승자로부터 동일한 행동이나 상태가 감지되더라도 탑승자의 위치에 따라 다른 결과의 동작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프로세서(900)가 탑승자가 동일한 행동을 제1존에서 하는지, 아니면 제2존에서 하는지에 따라 차량(10)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 도 29 내지 44를 참조하여 탑승자의 행동 및 상태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9 내지 도 3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탑승자가 눈을 감고 졸려하는 행위에 대한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차량(10)에 탑승자가 있으면 탑승자감지센서(119)가 탑승자 및 탑승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탑승자감지센서(119)는 제1존과 제2존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수면추적카메라(114)가 탑승자(P)의 눈 부위(P1)를 확인하여 눈 깜빡임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센서, 레이더, 라이다 등과 카메라를 결합하여 탑승자의 위치 및 눈깜빡임 시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수면추적카메라(114) 대신 수면추적레이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900)는 수면추적카메라(114)에서 감지한 눈 깜빡임 시간을 이용하여 탑승자의 졸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눈깜빡임 시간이 75~400㎳이면 탑승자가 깨어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400㎳ 이상이면 졸음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800㎳ 이상이면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눈깜빡임 시간이 설정된 기준치(예:400㎳) 이상이면 탑승자의 위치에 따라 차량(10)의 동작을 다르게 진행할 수 있다.
도 29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1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눈깜빡임 시간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프로세서(900)는 탑승자(P)가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행동으로 판단하여 휴식에 필요한 과정이 진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휴식에 필요한 과정으로는 백시트구동부(85b)를 구동시켜 휴식용 의자(85)을 구성하는 백시트(85a))의 각도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탑승자에게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휴식에 필요한 과정으로 수면에 적당하도록 내부공간의 조도를 조정하는 과정, 수면을 위한 ASMR을 작동하는 과정, 디스플레이가 온되어 있다면 오프시키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900)는 수면추적카메라(114)를 작동시켜 비접촉 수면 트래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승자(P)가 수면상태를 유지하는지 수면에서 깨어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탑승자(P)가 제2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눈깜빡임 시간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프로세서(900)는 수동주행(운전)중인지, 업무중인지를 판단한다. 수동주행의 판단은 차량(10)의 ECU(904)로부터 스티어링휠이 외부로 아웃된 상태이고 제5디스플레이(15)가 주행모드로서 데스크(87)에 삽입된 상태인지를 확인받아 처리할 수 있다. 업무중인지의 판단은 차량(10)의 ECU(904)로부터 스티어링휠이 내부로 들어간 상태이고 제5디스플레이(15)가 업무모드로서 데스크(87)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인지를 확인받아 처리할 수 있다.
도 30의 일례와 같이 탑승자(P)가 제2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눈깜빡임 시간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고 수동주행 중이면, 프로세서(900)는 탑승자(P)가 졸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졸음을 깨우는 과정이 진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졸음을 깨우는 과정으로는 예컨대 탑승자(P)가 앉아 있는 사무용 의자(86)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졸음을 깨우는 과정으로 의자(86)에 연결된 시트벨트를 조이는 과정, 제2존의 윈도우를 개방하는 과정, 조명부(128)를 제어하여 조도를 더 밝게 조정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진행할 수도 있다.
도 31의 일례와 같이 탑승자(P)가 제2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눈깜빡임 시간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고 업무중이면, 프로세서(900)는 역시 탑승자(P)의 졸음을 깨우는 과정이 진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졸음을 깨우는 과정은 상기 도 30의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냉장고(31)에서 음료수를 마실 것을 권하는 음성메시지가 출력되는 과정을 더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수면추적카메라(114)는 탑승자(P)의 심박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는 전석DSM카메라(106), 후석PSM카메라(113), 탐승자감지센서(119)도 탑승자(P)의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이들 센서 및 카메라는 탑승자(P)가 숨을 들이 마시고 내쉴 때 가슴 부위(P2)의 옷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여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감지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탑승자(P)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900)는 심박수가 평균범위(60~100bpm)이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평균범위 대비 10bpm 이상 다운되면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평균범위 이상이면 빈맥으로 판단하고, 40bps 미만이면 서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0)는 심박의 규칙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불규칙한 맥박과 건너뛰는 맥박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2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1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심박수가 평균범위 대비 일정값 이상 다운되면, 프로세서(900)는 탑승자(P)가 수면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휴면에 필요한 과정이 진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수면에 필요한 과정으로는 백시트구동부(85b)를 구동시켜 의자(85)의 백시트(85a)의 각도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탑승자에게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면에 필요한 과정으로 수면에 적당하게 조도를 조정하는 과정, 수면을 위한 ASMR을 작동하는 과정, 디스플레이가 온되어 있다면 오프시키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900)는 수면추적카메라(114)를 작동시켜 비접촉 수면 트래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승자(P)가 수면상태를 유지하는지 수면에서 깨어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3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2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심박수가 평균범위를 벗어나면, 프로세서(900)는 탑승자(P)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탑승자(P)의 안전에 필요한 과정이 진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안전에 필요한 과정으로는 차량(10)이 자율주행차량인 경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할 있다. 이는 탑승자가 수동주행을 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심박수가 평균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프로세서(900)는 기설정된 긴급주조 서비스센터로 전화를 연결하고 위치를 송출하는 과정과, 제6,7디스플레이(600,700)에 긴급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정을 더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900)는 탑승자가 2명 이상인 경우 운전자를 교체하는 것을 권장하는 음성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전석열화상카메라(102)와 후석열화상카메라(117)에서 탑승자(P)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전석열화상카메라(102)는 제2존의 탑승자(P)의 체온을 감지하고, 후석열화상카메라(117)는 제1존의 탑승자(P)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열화상카메라(102,117)에서 각각 감지한 체온을 이용하여 탑승자(P)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체온이 평균범위(예:37~38℃)이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평균범위 이상이거나 평균범위 이하이면 이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4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1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체온이 평균범위 이상이면, 프로세서(900)는 운동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운동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운동중인 것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피트니스카메라(107) 또는 좌/우측제스쳐카메라(111,118)에서 감지한 행동을 참고할 수 있다. 운동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과정으로는 제1존에 공조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존에 차가운 바람이 전달되도록 공조시스템(미도시)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과정으로 디스플레이에 운동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수분 및 음료수의 섭취를 권장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 운동에 적합한 음악을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운동중이 아님에도 탑승자(P)의 체온이 평균범위 이상이거나 평균범위를 벗어난 시간이 설정시간 동안 지속되면, 프로세서(900)는 안전을 위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안전을 위한 과정으로는 예컨대 원격진료 모드로 전환하여 병원과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 가까운 병원을 검색해서 자율주행모드로 검색된 병원으로 이동하는 과정, 지인과 통화하여 상황을 알리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진행할 수도 있다. 운동중이 아님을 판단하는 것은 피트니스카메라(107) 또는 좌/우측제스쳐카메라(111,118)에서 감지한 결과를 참고할 수도 있다.
도 35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2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체온이 평균범위 이상이면, 프로세서(900)는 감정적으로 흥분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안정을 위한 과정이 진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감정적인 흥분여부를 판단할 때는 전석DSM카메라(106), 후석PSM카메라(113), 탐승자감지센서(119)에서 감지한 결과를 참고할 수도 있다. 예컨대 탑승자(P)의 표정을 분석하여 흥분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안정을 위한 과정으로는 하던 일을 잠시 멈추고 휴식을 권장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 음료수 섭취를 권장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 부드러운 음악을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감정적으로 흥분되지 않음에도 체온이 평균범위 이상으로 지속되면 프로세서(900)는 도 33에서와 같이 안전을 위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안전을 위한 과정으로는 예컨대 원격진료 모드로 전환하여 병원과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 가까운 병원을 검색해서 자율주행모드로 검색된 병원으로 이동하는 과정, 지인과 통화하여 상황을 알리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10)에서는 발감지센서(126)가 탑승자(P)가 신발을 신는지(슈즈 on)와 신발을 벗는지(슈즈 off)를 감지할 수 있다. 발감지센서(126)는 제1존과 제2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탑승자(P)의 위치와 슈즈 on/off 감지결과에 따라 다른 동작을 진행하도록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6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1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신발(131)이 벗겨짐이 감지되면, 프로세서(900)는 탑승자(P)가 신발(131)을 갈아 신고자 하는 행동으로 판단하여 신발교체를 위한 과정이 수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신발교체를 위한 과정으로는 예컨대 슈즈스타일러구동부(120a)를 구동시켜 슈즈스타일러(120)의 도어가 오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7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2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신발이 벗겨짐이 감지되면, 프로세서(900)는 탑승자(P)의 신발이 의도치 않게 벗겨진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을 위한 과정이 수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안전을 위한 과정으로는 예컨대 슈즈 off를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에서는 좌/우측제스쳐카메라(111,118)에서 탑승자(P)의 손 부위(P3)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좌/우측제스쳐카메라(111,118)는 탑승자(P)가 손으로 손부채질을 하는 행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마이크(101,108)에서 탑승자(P)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위'와 관련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탑승자(P)의 음성 중 '더워', '덥다', '더운 것 같다' 등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탑승자(P)의 손부채질 또는 '더위' 관련 음성이 인식되면 탑승자(P)의 위치에 따라 다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8의 일례에 보듯이, 탑승자(P)가 제1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손부채질의 행동이 감지되면, 프로세서(900)는 탑승자(P)가 있는 공간이 더운 것으로 판단하여 적절한 온도로 만들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도록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 적절한 온도로 만들기 위한 과정으로는 제1존에 공조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존에 차가운 바람이 전달되도록 공조시스템(미도시)을 동작시킬 수 있다. 공조의 조정은 탑승자(P)가 있는 위치에 대한 부분적인 공조와 제1존의 전체적인 공조 중 선택된 공조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온도로 만들기 위한 과정으로 차량(10)의 윈도우를 개방하는 과정, 냉장고에서 음료수를 섭취할 것을 권장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승자(P)가 제2존에서 감지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즉, 탑승자(P)가 제2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의 손부채질의 행동이 감지되면, 프로세서(900)는 제2존에 공조를 조정하도록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손부채질에 대응하여 공조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900)는 온도센서(122)에서 측정된 실내공간의 온도를 참고하여 공조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손부채질이 감지되면 실내온도를 확인하여 실내온도가 기설정된 평균온도(17~24℃) 이상인 경우에 공조를 변경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에서는 마이크(101,108)에서 인식된 탑승자(P)의 음성과 센서부 및 카메라에서 감지된 탑승자(P)의 행동 및 상태를 조합하여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9의 일례에 보듯이, 탑승자(P)가 제1존에서 감지되고 마이크(101,108)에서 음악과 관련된 음성이 인식되면, 프로세서(900)는 음악을 듣고자 하는 행동으로 판단하여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과정으로는 예컨대 음원을 스피커(125)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 탑승자(P)가 있는 위치의 스피커(125)의 볼륨을 조정하는 과정, 해당 음악과 관련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0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2존에서 감지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에서는 전석DSM카메라(106), 후석PSM카메라(113), 탐승자감지센서(119) 중 적어도 하나에서 탑승자(P)가 음식물(132)을 섭취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좌/우측제스쳐카메라(111,118)에서도 탑승자(P)의 음식물 섭취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1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1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행동이 감지되면 프로세서(900)는 휴식하면서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음식물을 편안하게 섭취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과정이 진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는 예컨대 디스플레이에 음식물과 관련된 화면이나 환경을 표시하는 과정, 편안한 음악을 출력하는 과정, 환기시스템(미도시)을 동작시키는 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2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2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행동이 감지되면 프로세서(900)는 안전을 위한 과정이 진행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존은 드라이빙 및 오피스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음식물 섭취시 주의가 필요할 수 있다. 탑승자(P)가 제2존에서 업무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주의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탑승자(P)가 제2존에서 운전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경고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주변의 가전기기(냉장고 등)를 잠금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10)에서는 제스쳐카메라(111,118)에서 탑승자(P)가 손의 움직임을 확인하여 가슴 부위(P2)를 치는 행동을 감지하거나 마이크(101,108)에서 잦은 한숨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3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1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가 가슴을 치는 행동이 감지되거나 또는 한숨을 쉬는 것이 감지되면 프로세서(900)는 하면 탑승자(P)가 답답함을 호소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시원함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시원함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으로는 예컨대 차량(10)의 윈도우를 개방하는 과정, 디스플레이에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과정, 호흡계 질환에 도움이 되는 향을 분출하는 과정, 원격진료모드로 진입하여 병원과 연결시키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4의 일례에서 보듯이, 탑승자(P)가 제1존에서 감지되고 탑승자(P)가 가슴 부위(P2)을 치는 행동이 감지되거나 또는 한숨을 쉬는 것이 감지되면 프로세서(900)는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을 위한 과정이 진행하도록 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안전을 위한 과정은 예컨대 차량(10)의 윈도우를 개방하는 과정, 차량(10)이 자율주행차량인 경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과정, 갓길로 차량을 유도하여 휴식을 권장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 제6,7디스플레이에 안전을 위한 주의를 표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3 및 도 44에서는 프로세서(900)는 시원함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과 안전을 위한 과정을 진행할 때 수면추적카메라(114)에서 감지되는 심박수 정보를 참고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탑승자(P)의 심박수가 평균범위(60~100bpm)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과정들을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서는 탑승자의 위치와 탑승자의 행동 및 상태를 감지하고 탑승자의 위치에 따른 행동 및 상태를 분석하여 탑승자에 맞춤형으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의 실내공간은 드라이빙뿐만 아니라 사무용 공간, 휴식용 공간, 엔터테인먼트용 공간 등 다양한 목적에 맞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은 탑승자의 행동 및 상태를 파악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이 동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에게 편의성과 즐거움은 물론 안전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0)

  1. 차량의 내부공간에 제1방향으로 설치된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내부공간에 제2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직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는 제1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는 제2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1화면에 종속되며 상기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제1존과 제2존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 제2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존과 상기 제2존 간에 이동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2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존에 설치되며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존과 상기 제2존 간에 이동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존에 상기 제2방향과 대향하는 제3방향으로 설치된 제3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디스플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의 하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2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존에 있는 경우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하부와 상기 제3디스플레이의 측부가 서로 이웃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디스플레이에는 제3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3화면은 상기 제1화면에 종속되며 상기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존에 상기 제1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제4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4디스플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부에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4디스플레이에는 제4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4화면은 상기 제1화면에 종속되며 상기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4화면은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위한 버튼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존에 상기 제4방향으로 설치된 제5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5디스플레이에는 제5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1,2화면은 상기 제5화면에 종속되며 상기 제5화면에서 각각 확장되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5디스플레이는 크기가 가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 전면에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설치된 제6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 후면에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설치된 제7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의 제1존에 제1방향을 향해 설치된 제1디스플레이;
    상기 내부공간의 제1존에 제2방향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제2디스플레이;
    상기 제1,2디스플레이를 상기 제1존과 제2존 간에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2디스플레이에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2디스플레이의 이동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제1,2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는 제1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1화면에 종속된 제2화면이 상기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차량.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인식부를 통해 상기 제1,2디스플레이의 이동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1,2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2디스플레이의 이동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1,2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2존의 탑승자를 각각 감지하는 제1,2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가 상기 탑승자를 감지하지 않고 상기 제2감지부가 상기 탑승자를 감지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2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존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가 상기 탑승자를 감지하지 않고 상기 제1감지부가 상기 탑승자를 감지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2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존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2감지부는 안면인식센서, 지문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 이미지인식센서, NFC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27.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존에 상기 내부공간의 하면부에 상기 제2방향과 대향하는 제3방향으로 설치된 제3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차량.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3디스플레이에는 제3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3화면은 상기 제1화면에 종속되며 상기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는 차량.
  29.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존에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부에 상기 제1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제4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차량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4디스플레이에는 제4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4화면은 상기 제1화면에 종속되며 상기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는 차량.
  31.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4디스플레이에는 복수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제4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버튼 중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2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는 차량.
  3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2존에 상기 제1,2방향과 직교하는 제4방향으로 설치된 제5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차량.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5디스플레이에는 제5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1,2화면은 상기 제5화면에 종속되며 상기 제5화면에서 각각 확장되어 표시되는 차량.
  34.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5디스플레이는 화면의 크기가 가변되는 차량.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5디스플레이는 상하로 승강하여 상기 화면의 크기가 가변되는 차량.
  36.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 전면에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설치된 제6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차량.
  37.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 후면에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설치된 제7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차량
  38. 내부공간이 제1존과 제2존으로 구분된 차량에서,
    제1디스플레이와 제2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존에 대기하는 단계;
    상기 제1,2디스플레이의 동작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동작명령에 따라 상기 제1,2디스플레이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부에 제1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면부에 제2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2디스플레이는 서로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제어방법.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고 상기 제1,2디스플레이의 이동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2디스플레이를 상기 제1존에서 상기 제2존으로 이동시키는 차량의 제어방법.
  40.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2존으로 이동 후 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잠금이 감지되면 상기 제1,2디스플레이를 상기 제2존에서 상기 제1존으로 이동시키는 차량의 제어방법.
  41.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1,2디스플레이의 화면표시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는 제1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1화면에 종속된 제2화면이 상기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는 차량의 제어방법.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제1존에 상기 내부공간의 하면부에 상기 제2방향에 대향하도록 제3방향으로 설치된 제3디스플레이에 제3화면을 표시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제1,2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존에 위치하면 상기 제3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1화면에 종속된 제3화면이 상기 제1화면에서 확장되어 표시되는 차량의 제어방법.
  44.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제1존에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부에 상기 제1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 제4디스플레이에 제4화면을 표시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45.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제1,2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존에 위치하면 상기 제4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1화면에 종속된 제4화면을 상기 제1화면에서 확장하여 표시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46.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2존에 상기 제1,2방향과 다른 제4방향으로 설치된 제5디스플레이에 제5화면을 표시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47.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제1,2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존에 위치하면 상기 제1,2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5화면에 종속된 제1,2화면을 상기 제5화면에서 각각 확장하여 표시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48.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설치된 제6,7디스플레이에 제6,7화면을 각각 표시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4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탑승자를 트래킹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제1존에서 상기 제2존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2디스플레이를 상기 제1존에서 상기 제2존으로 이동하라는 동작명령이 입력되는 차량의 제어방법.
  50.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탑승자를 트래킹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제2존에서 상기 제1존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2디스플레이를 상기 제2존에서 상기 제1존으로 이동하라는 동작명령이 입력되는 차량의 제어방법.
PCT/KR2022/013441 2021-09-09 2022-09-07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구비한 차량 및 그 차량의 제어방법 WO20230384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77 2021-09-09
KR20210120277 2021-09-09
KR1020220000838A KR20230037423A (ko) 2021-09-09 2022-01-04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구비한 차량 및 그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220000839A KR20230037424A (ko) 2021-09-09 2022-01-04 탑승자의 행동 및 상태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22-0000839 2022-01-04
KR10-2022-0000838 2022-0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8428A1 true WO2023038428A1 (ko) 2023-03-16

Family

ID=8550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441 WO2023038428A1 (ko) 2021-09-09 2022-09-07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구비한 차량 및 그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38428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838A (ko) 2012-02-08 2014-11-20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성 전기 강판
US20180194227A1 (en) * 2017-01-09 2018-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multiple vehicle driver position
KR102028720B1 (ko) * 2012-07-10 2019-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40806A (ko) 2018-05-21 2019-12-20 주식회사 브이터치 자율주행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4863B1 (ko) * 2019-06-03 2020-11-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외장 디스플레이 인터랙션 장치 및 방법
KR102179289B1 (ko) 2019-05-31 2020-1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대형 디스플레이 인터랙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232646B1 (ko) * 2020-12-16 2021-03-30 주식회사 모빌린트 운전석을 포함한 차량의 실내 장치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150701A (ko) 2020-06-04 2021-1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838A (ko) 2012-02-08 2014-11-20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성 전기 강판
KR102028720B1 (ko) * 2012-07-10 2019-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20180194227A1 (en) * 2017-01-09 2018-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multiple vehicle driver position
KR20190140806A (ko) 2018-05-21 2019-12-20 주식회사 브이터치 자율주행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9289B1 (ko) 2019-05-31 2020-1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대형 디스플레이 인터랙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174863B1 (ko) * 2019-06-03 2020-11-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외장 디스플레이 인터랙션 장치 및 방법
KR20210150701A (ko) 2020-06-04 2021-1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표시 방법
KR102232646B1 (ko) * 2020-12-16 2021-03-30 주식회사 모빌린트 운전석을 포함한 차량의 실내 장치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1988B2 (en)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face recognition
WO2020256195A1 (ko) 빌딩 관리 로봇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US6353764B1 (en) Control method
WO2017131494A1 (en) Hotel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hotel service providing system
WO2017204499A1 (ko) 이동형 공조장치
JP2022504302A (ja) 家庭電器に制御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5092968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CN104137173B (zh) 显示装置以及投影装置
CN110032156B (zh) 家居设备的控制和调整方法、终端及家居设备
US10623198B2 (en) Smart electronic device for multi-user environment
KR20100129629A (ko) 움직임 검출에 의한 전자장치 동작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하는 전자장치
WO2016052923A1 (en) Effect control system of screening facility chair and method thereof
WO2019114719A1 (zh) 车辆座椅的控制方法、系统以及用于移动终端的应用程序
WO2018230709A1 (ja) 車両システム
WO2023038428A1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구비한 차량 및 그 차량의 제어방법
KR20220002550A (ko) 차량의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기억 매체 및 차량
WO2016079470A1 (en) Mixed reality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system and method
WO2018123281A1 (ja) マッサージ機
KR20230037424A (ko) 탑승자의 행동 및 상태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JP2014192599A (ja)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121964A (ja) 開閉扉遠隔操作システムと開閉扉装置と携帯端末
CN211647472U (zh) 多功能睡眠舱
CN111319045A (zh) 一种多功能机器人及控制方法
WO2023068668A1 (ko) 좌석 개인화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54642A1 (en) Space management system, mobile bod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space manag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676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676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676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