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27529A1 -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27529A1
WO2023027529A1 PCT/KR2022/012749 KR2022012749W WO2023027529A1 WO 2023027529 A1 WO2023027529 A1 WO 2023027529A1 KR 2022012749 W KR2022012749 W KR 2022012749W WO 2023027529 A1 WO2023027529 A1 WO 20230275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bacillus thuringiensis
plastic
jnu01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27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염수진
윤철호
지원석
윤승도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0275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275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microorganism having plastic decomposing activity and its use.
  • Plastic refers to organic-based polymeric materials and mixtures thereof that can be molded by heat or pressure. Plastic is light and strong, can be easily formed into any shape, can contain anything, has a long lifespan and is inexpensive, so it has high heat resistance in films, synthetic fibers, bottles, tubes, and toys that we widely use in our daily lives. , to high-strength materials. As plastic usage increases, plastic production also increases by about 4% per year on average, and in 2016, about 15,488,000 metric tons of plastic were produced annually, and the situation continues to increase.
  • plastic which provides convenience to life, is not easily decomposed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main culprit of polluting the soil and marine environment. .
  • One aspect aims to provide a strain of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accession number: KCTC 14427BP) having plastic degrading activity.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plastic decomposition method comprising culturing a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in a medium containing plastic.
  • One aspect is to provide a strain of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accession number: KCTC 14427BP) having plastic degrading activity.
  • the plastic may be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vinyl chloride (PVC), polystyrene (PS), polypropylene (PP), and polyethylene (P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VC polyvinyl chloride
  • PS polystyrene
  • PP polypropylene
  • PE polyethylen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VC polyvinyl chloride
  • PS polystyrene
  • PP polypropylene
  • PE polyethylene
  • PE polyethylene
  • the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may be able to grow using plastic as a carbon source.
  • the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grows when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PE) is 30 mg/mL to 50 mg/mL.
  • PE polyethylene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plastic decomposi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ulturing the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in a medium containing plastic.
  • the plastic may be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vinyl chloride (PVC), polystyrene (PS), polypropylene (PP), and polyethylene (P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VC polyvinyl chloride
  • PS polystyrene
  • PP polypropylene
  • PE polyethylene
  • the medium containing the plastic may further include a known material necessary for culturing the strai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lastic, but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not contain any carbon source other than the plastic.
  • 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ility to degrade plastic, especially polyethylene, when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plastic, the strain located on the surface of polyethylene forms pores on the surface of polyethylene through metabolic activity. it may be
  •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compose plastic when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plastic, it can be used in a pretreatment process for plastic recycling.
  • Figure 1a is a photograph showing a place where a soil sample was collected and a process of collecting it in order to isolate and identify plastic decomposing strains.
  • Figure 1b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process of selecting strains from the collected samples.
  • Figure 2a is a photograph of an experiment to determine whether microorganisms degrade polyethylene (PE) in a liquid medium, the portion indicated by (a) is a liquid medium containing only polyethylene, and the portion indicated by (b) is polyethylene and microorganisms A liquid medium containing a part indicated by (c) is a liquid medium containing only microorganisms.
  • PE polyethylene
  • FIG. 2B is data obtained by measuring O.D. valu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of FIG. 2A to determine whether the strain of the medium indicated in (b) has grown.
  • Figure 4 is data confirming the growth degree of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according to the polyethylene concentration.
  • Figure 5 is Bacillus thuringiensis ( Bacillus thuringiensis ) Polyethylene not treated with JNU01 strain (labeled as 'Control') and Bacillus thuringiensis ( Bacillus thuringiensis ) Polyethylene degraded by treatment with JNU01 strain (' B. thuringiensis ') Notation) is data compared by NMR.
  • Figure 6 is Bacillus thuringiensis ( Bacillus thuringiensis ) Polyethylene not treated with JNU01 strain (labeled 'Control') and Bacillus thuringiensis ( Bacillus thuringiensis ) Polyethylene degraded by treatment with JNU01 strain (' B. thuringiensis ') Notation) is the data analyzed by FT-IR.
  • the parts indicated by (a) to (f) in FIG. 6 at the bottom of FIG. 6 are comparative data in which parts of FT-IR data of Control and B. thuringiensis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 Figure 7 is Bacillus thuringiensis ( Bacillus thuringiensis ) Polyethylene (denoted as 'PE Film') film not treated with JNU01 strain and degraded polyethylene (' B. thuringiensis ') film treated with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as Notation)
  • the part marked with and the part marked with (F) in FIG. 7 is Bacillus thuringiensis ( Bacillus thuringiensis ) Degraded polyethylene by treating the JNU01 strain (' B. thuringiensis ') Notation) This is data obtained by confirming the surface of the film by magnifying it 2000 times and 10000 times.
  • the part marked with (B) of FIG. 7 and the part marked with (C) of FIG. 7 are images confirming different positions of the same polyethylene film, and the position of the part marked with (B) of FIG. 7 is magnified 10000 times. This is the portion indicated by (E) in FIG. 7, and the portion indicated by (F) in FIG. 7 is a magnification of the position of the portion indicated by (C) in FIG.
  • One aspect is to provide a strain of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accession number: KCTC 14427BP) having plastic degrading activity.
  • the plastic may be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vinyl chloride (PVC), polystyrene (PS), polypropylene (PP), and polyethylene (P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VC polyvinyl chloride
  • PS polystyrene
  • PP polypropylene
  • PE polyethylen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VC polyvinyl chloride
  • PS polystyrene
  • PP polypropylene
  • PE polyethylene
  • PE polyethylene
  • the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may be able to grow using plastic as a carbon source.
  • the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grows when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PE) is 30 mg/mL to 50 mg/mL.
  • PE polyethylene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plastic decomposi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ulturing the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in a medium containing plastic.
  • the plastic may be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vinyl chloride (PVC), polystyrene (PS), polypropylene (PP), and polyethylene (P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VC polyvinyl chloride
  • PS polystyrene
  • PP polypropylene
  • PE polyethylene
  • the medium containing the plastic may further include a known material necessary for culturing the strai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lastic, but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not contain any carbon source other than the plastic.
  • Nutrient Broth (NB) medium, Luria Bertani Broth (LB), Yeast Extract, basal salt medium (BSM) were purchased from MB cell (2F Kisan Building, 11 Yangjaecheon-ro 31-gil, Seocho-gu, Seoul), and trace element solution (CoCl 2 6H 2 O 21.8 mg, NiCl 2 6H 2 O 21.6 mg, CuSO 4 5H 2 O 24.6 mg, FeCl 3 6 H 2 O 1.62 mg, CaCl 2 0.78 g and MnCl 2 4 H 2 O 14.7 mg / L), and Polyethylene (average M w ⁇ 4,000 by GPC, average M n ⁇ 1,700 by GPC, CAS Number 9002-88-4) was purchased from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and powdered and made a film.
  • Soil was collected from 15M underground of the Gwangju Environmental Corporation Hyangdeung Office Metropolitan Sanitary Landfill (160 Dodong-gil, Nam-gu, Gwangju, Point A 35°05'06'9"N, 126°53'32'8"E in Fig. 1a).
  •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he collected soil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B. Specifically, about 100 g of the collected soil was mixed with 600 mL PBS buffer in a 2L beaker and filtered through Whatman paper (pore size 11 ⁇ m). The filtered solution was spread on a BSM solid medium plate containing 1 g/L polyethylene powder and incubated at 28°C for 7 days.
  • Colonies cultured on BSM solid medium containing polyethylene were streaked onto BSM solid medium plates containing 1 g/L polyethylene to confirm whether they were cultured on BSM solid medium plates containing polyethylene.
  • 43 colonies grown on a BSM solid medium plate containing 1 g/L polyethylene powder were inoculated into a liquid nutrient medium and cultured at 28° C. and 200 rpm for 15 hours. The cultured bacteria were centrifuged at 3800 rpm for 20 minutes and washed with BSM broth. Bacteria washed with BSM liquid medium were inoculated into BSM liquid medium containing 1 g/L of polyethylene powder and cultured at 28° C. and 200 rpm for 50 days. And the optical density (OD) was measured at 10-day intervals.
  • the identified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JNU01 was inoculated into a liquid nutrient medium, and cultured overnight at 28°C in an agitated incubator at 200 rpm. And after centrifugation at 3800 rpm for 20 minutes, it was washed with BSM liquid medium. Then, the flask was inoculated with polyethylene powder, trace element solution, and BSM liquid medium, and cultured at 28° C. and 200 rpm for 30 days. For comparison, a flask containing only polyethylene, Trace element solution, and BSM liquid medium and no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was used as a comparison group.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powder was finally carried out at 10, 30, and 50 mg/ml. Optical density (OD) was measured every 5 days with a UV-Vis Spectrophotometer (SHIMADZU, Kyoto, Japan).
  • the selected bacteria were inoculated into a liquid medium containing polyethylene powder and polyethylene film (0.6 cm ⁇ 0.4 cm) and cultured for 30 days at 28°C and 200 rpm. After culturing, a 2% SDS solution was used for 4 hours, and then the polyethylene powder and the polyethylene film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10 mL of deionized water and MeOH. The washed polyethylene powder and film were completely dried in a 60° C. vacuum oven and measured by FT-IR, NMR and SEM. 1 H NMR analysis was performed at 25° C. using a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Unity INOVA 500, 500 MHz) at the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BSI, Gwangju, South Korea).
  • the NMR sample solution was prepared as a 0.5% (w/v) solution using CDCl 3 solvent. Chemical shift was measured in ppm (parts per million) based on the residue peak of CDCl 3 (7.26ppm).
  • FT-IR Fre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IRAffinity-1S, Shimadzu, Kyoto, Japan
  • FT-IR Fast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IRAffinity-1S, Shimadzu, Kyoto, Japan
  •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polyethylene film was observed with a FE-SEM (file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Hitachi S-4800) with an accelerating voltage of 15 kV at the Joint Equipment Operation Center of Chosun University in Gwangju.
  • a conductive layer was direct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yethylene film using a platinum source of 20 mA for 100 seconds, so that FE-SEM measurement of the polyethylene polymer sample was possible through the platinum coating.
  • the isolated bacterial strain GT5 was confirmed to be 99% identical to Bacillus thuringiensis .
  • the strain was deposited and named as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phylogenetic tree of the isolated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was confirmed.
  • FT-IR was measured to confirm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polyethylene powder in which the strain was decomposed.
  • FIG. 6 the FT-IR spectra of a polyethylene sample that was not degraded (labeled as Control) and a polyethylene sample that was biologically degraded by culturing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for 30 days were compared.
  • the undegraded polyethylene sample (labeled as Control) and Bacillus thuringiensis ( Bacillus thuringiensis ) JNU01 was cultured for 30 days to compare biologically degraded polyethylene samples.
  • Bacillus thuringiensis Bacillus thuringiensis
  • (F) part of FIG. 7 (10000 times) Bacillus thuringiensis ( Bacillus thuringiensis ) It was confirmed the FE-SEM image of the degraded polyethylene film. Part (B) of FIG. 7 and part (C) of FIG.
  • part (E) of FIG. 7 and FIG. Part (F) is an image obtained by magnifying parts (B) and (C) of FIG. 7 by 5 times.
  • a 2% SDS (Socium dodecyl sulfate) solution was used for 4 hours to treat Bacillus thuringiensis to remove bacteria attached to the polyethylene film, which was degraded, and then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methanol. As shown in parts (A) and (D) of FIG.
  • Bacillus thuringiensis Bacillus thuringiensis
  • the polyethylene film that is not treated with the JNU01 strain is not decomposed and has a smooth surface without deformed parts such as holes and cracks. I had.
  •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strain is treated
  • the degraded polyethylene film it wa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split or pore form was exhibited.
  • the polyethylene film degraded by Bacillus thuringiensis has a pore structure, as shown in (E) and (F) of FIG. 7 confirmed that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yethylene film was decomposed by Bacillus thuringiensis .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분해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수탁번호: KCTC 14427BP) 균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면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전처리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본 명세서는 2021년 08월 26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1-0113277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Plastic)이란, 열 또는 압력에 의하여 성형할 수 있는 유기물 기반 고분자 물질 및 그 혼합물을 이르는 것이다. 플라스틱은 가벼우면서도 강하고, 어떤 모양으로도 쉽게 만들 수 있고, 무엇이든 담을 수 있으며, 심지어 수명도 길고 값도 저렴하여 우리가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하는 필름, 합성섬유, 병, 튜브, 장난감에서 고내열, 고강도 재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플라스틱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플라스틱 생산량 또한 연평균 약 4%씩 증가하여 2016년에는 연간 약 1,548만 8천미터톤에 이르는 플라스틱이 생산되었으며,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활에 편리함을 선사하는 플라스틱은 쉽게 분해되지 않아 토양과 해양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플라스틱 생산량 및 소비량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현재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은 시급한 문제이다.
일 양상은 플라스틱 분해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수탁번호: KCTC 14427BP) 균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양상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플라스틱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분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은 플라스틱 분해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수탁번호: KCTC 14427BP)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은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 (Polyvinyl chloride), PS (Polystyrene), PP (Polypropylene) 및 PE (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E (Poylethylene) 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는 플라스틱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생장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는 폴리에틸렌 (PE)의 농도가 30 mg/mL 내지 50 mg/mL일 때 균주가 생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른 양상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플라스틱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분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은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 (Polyvinyl chloride), PS (Polystyrene), PP (Polypropylene) 및 PE (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이 포함된 배지는 전술한 플라스틱 외에 균주의 배양에 필요한 공지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할 때 플라스틱 외에 다른 탄소원은 포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주는 플라스틱, 특히 폴리에틸렌에 대한 분해능이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게 되면 폴리에틸렌 표면에 위치한 균주는 대사활동을 통해 폴리에틸렌의 표면에 공극 (pore)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면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전처리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플라스틱 분해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기 위하여, 토양 시료를 채취한 장소 및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b는 채취한 시료에서 균주를 선별하는 과정을 모식화한 것이다.
도 2a는 액체 배지에서 미생물이 폴리에틸렌(PE)을 분해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의 사진으로, (a)로 표시되는 부분은 폴리에틸렌만 포함한 액체배지, (b)로 표시되는 부분은 폴리에틸렌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액체배지, (c)로 표시되는 부분은 미생물만 포함하는 액체배지이다.
도 2b는 도 2a의 실험 전후로 (b)로 표시되는 배지의 균주가 생장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O.D 값을 측정한 데이터이다.
도 3은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로 분리한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의 계통수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4는 폴리에틸렌 농도에 따른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의 생장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5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처리하지 않은 폴리에틸렌 ('Control'로 표기)과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처리하여 분해된 폴리에틸렌 ('B. thuringiensis'로 표기)을 NMR로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6 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처리하지 않은 폴리에틸렌 ('Control'로 표기)과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처리하여 분해된 폴리에틸렌 ('B. thuringiensis'로 표기)을 FT-IR로 분석한 데이터이다. 또한 도 6의 아래쪽에서 (a)로 표시한 부분 내지 도 6의 (f)로 표시한 부분은 Control과 B. thuringiensis의 FT-IR 데이터 일부분을 같은 선상에 배치한 비교 데이터이다.
도 7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처리하지 않은 폴리에틸렌('PE Film'으로 표기) 필름과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처리하여 분해된 폴리에틸렌('B. thuringiensis'로 표기) 필름을 SEM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데이터로, 도 7의 (A)로 표시한 부분과 도 7의 (D)로 표시한 부분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처리하지 않은 폴리에틸렌('PE Film'으로 표기) 필름으로 2000배 및 10000배로 확대하여 표면을 확인한 데이터이며, 도 7의 (B)로 표시한 부분, 도 7의 (C)로 표시한 부분, 도 7의 (E)로 표시한 부분, 및 도 7의 (F)로 표시한 부분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처리하여 분해된 폴리에틸렌('B. thuringiensis'로 표기) 필름을 2000배 및 10000배로 확대하여 표면을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7의 (B)로 표시한 부분과 도 7의 (C)로 표시한 부분은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의 다른 위치를 확인한 이미지이며, 도 7의 (B)로 표시한 부분의 위치를 10000배로 확대한 것이 도 7의 (E)로 표시한 부분이고, 도 7의 (C)로 표시한 부분의 위치를 10000배로 확대한 것이 도 7의 (F)로 표시한 부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양상은 플라스틱 분해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수탁번호: KCTC 14427BP)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은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 (Polyvinyl chloride), PS (Polystyrene), PP (Polypropylene) 및 PE (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E (Poylethylene) 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는 플라스틱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생장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는 폴리에틸렌 (PE)의 농도가 30 mg/mL 내지 50 mg/mL일 때 균주가 생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른 양상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플라스틱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분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은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 (Polyvinyl chloride), PS (Polystyrene), PP (Polypropylene) 및 PE (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이 포함된 배지는 전술한 플라스틱 외에 균주의 배양에 필요한 공지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할 때 플라스틱 외에 다른 탄소원은 포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방법
1.1. 배지 구입 방법 및 폴리에틸렌 구입 및 폴리에틸렌 분말 및 필름 제조 과정
Nutrient Broth (NB) medium, Luria Bertani Broth (LB), Yeast Extract, basal salt medium (BSM) 은 MB cell (서울 서초구 양재천로 31길 11, 기산빌딩 2층)에서 구매하였고, Trace element solution (CoCl2·6H2O 21.8mg, NiCl2·6H2O 21.6 mg, CuSO4·5H2O 24.6 mg, FeCl3·6 H2O 1.62 mg, CaCl2 0.78 g and MnCl2·4 H2O 14.7 mg / L)으로 제조 하였으며, Polyethylene (average Mw ~4,000 by GPC, average Mn ~1,700 by GPC, CAS Number 9002-88-4)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매하여, 분말 및 필름을 만들었다.
1.2. 토양에서 미생물 분리 및 폴리에틸렌 배지에서 세포 성장 확인
토양은 광주환경공단 향등사업소 광역위생매립장(광주광역시 남구 도동길 160, 도 1a의 지점 A 35°05'06'9"N, 126°53'32'8"E) 지하 15M 에서 채취하였다. 채취한 토양에서 미생물은 도 1b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채취한 토양 약 100 g을 2L 비커에 600 mL PBS 버퍼와 혼합하고 Whatman paper (공극 크기 11μm )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1 g/L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한 BSM 고체 배지 플레이트에 스프레딩하고 7일간 28℃에서 배양하였다. 폴리에틸렌 포함 BSM 고체 배지에서 배양된 콜로니를 1 g/L의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BSM 고체 배지 플레이트에 스트리킹하여,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BSM 고체 배지 플레이트에서 배양되는지 여부를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1 g/L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BSM 고체 배지 플레이트에서 성장한 43개의 콜로니를 액체 영양 배지에 접종하여 28℃, 200rpm 15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박테리아를 38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뒤 BSM 액체 배지로 세척하였다. BSM 액체 배지로 세척된 박테리아를 1 g/L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한 BSM 액체 배지에 접종하고 50일간 28℃, 200rpm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리고 10일 간격으로 광학밀도 (OD)를 측정하였다.
1.3.박테리아 균주의 동정
43개의 개별 콜로니들은 상기의 배양된 박테리아로부터 NB 고체 배지 플레이트(Beef Extract 3.0 g, Peptone 5.0 g, Agar 15.0 g in 1 L of deionized water, pH 6.8)에 스트리킹하여 얻었다. 43개의 콜로니에서 선별된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 DNA 추출은 HiGene쪠 Genomic DNA Prep Kit (BIOFACT, Daejeon, South Kore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박테리아의 종을 확인하기 위하여 16sRNA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퀀싱에는 유니버셜 프라이머 27F (AGAGTTTGATCCTGGCTCAG) 및 1492R (GGTTACCTTGTTACGACTT)를 사용하였다 (Solgent, Daejeon, South Korea).
1.4.폴리에틸렌 배지에서 미생물의 성장
동정한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액체 영양 배지에 접종하고, 28℃, 200rpm 교반 배양기에서 밤새 배양되었다. 그리고 38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뒤 BSM 액체 배지로 세척하였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분말, Trace element solution, BSM 액체 배지를 포함한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30일간 28℃, 200rpm 배양하였다. 비교를 위해 폴리에틸렌, Trace element solution, BSM 액체 배지만 있고,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가 없는 플라스크를 비교군으로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 분말의 농도는 최종적으로 10, 30, 및 50 mg/ml로 수행하였다. 광학밀도(OD)는 UV-Vis Spectrophotometer (SHIMADZU, Kyoto, Japan)로 5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1.5.폴리에틸렌의 화학구조, 물리적 특성 및 형태분석
선별된 박테리아는 폴리에틸렌 분말 및 폴리에틸렌 필름(0.6cm × 0.4cm)를 포함한 액체 배지에 접종하고 28℃, 200rpm 조건에서 30일간 배양되었다. 배양 후 2% SDS 용액을 4시간 사용 후 10 mL의 탈이온수 및 MeOH로 폴리에틸렌 분말 및 폴리에틸렌 필름을 3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폴리에틸렌 분말 및 필름은 60℃ 진공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하였고, FT-IR, NMR 및 SEM으로 측정하였다. 1H NMR 분석은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BSI, Gwangju, South Korea)에서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Unity INOVA 500, 500 MHz)를 이용하여 25℃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NMR 샘플 용액은 CDCl3 용매를 사용하여 0.5%(w/v) 용액으로 준비하였다. Chemical shift는 CDCl3 (7.26ppm)의 잔기 피크를 기준으로 ppm (parts per million)단위로 측정되었다. FT-IR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IRAffinity-1S, Shimadzu, Kyoto, Japan)는 4cm-1의 해상도로 4000-500cm-1의 파장 범위에서 폴리에틸렌 샘플의 작용기 그룹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폴리에틸렌 필름의 표면 형상은 광주 조선대학교 공동장비운영센터에서 15 kV 가속 전압을 가진 FE-SEM (file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Hitachi S-4800)으로 관찰하였다. FE-SEM 측정 이전에, 폴리에틸렌 필름은 100초동안 20 mA의 백금 원료를 사용하여 표면상에 전도층을 직접적으로 형성하므로, 백금 코팅을 통해 폴리에틸렌 폴리머 시료의 FE-SEM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실험 결과
2.1. 박테리아 균주의 분리 및 동정
폴리에틸렌 분해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서, 도 1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광주환경공단 향등사업소 광역위생매립장(광주광역시 남구 도동길 160, 도 1a의 지점 A 35°05'06'9"N, 126°53'32'8"E) 지하 15M 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1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첫째 초기 선별 시스템으로 sigma-aldrich 에서 구입한 폴리에틸렌 분말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각 토양을 pbs 버퍼에 용해시키고 와트만 페이퍼로 여과하였다. 그리고 1 g/L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하는 BSM 고체 배지 플레이트에 직접 스프레딩하였다. 28℃에서 7일간 배양한 후, 일부 콜로니들은 성장하였고, 1 g/L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한 BSM 고체 배지 플레이트에 스트리킹한 뒤, 재성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 g/L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BSM 고체 배지 플레이트에서 성장한 43개의 콜로니를 액체 영양 배지에 접종하여 28℃, 200rpm, 15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박테리아를 38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뒤 BSM 액체 배지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박테리아를 1 g/L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BSM 액체 배지에 접종하였고, 이러한 작업을 통해 1 g/L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BSM 액체 배지에서 성장한 43개의 콜로니들 중 가장 잘 성장한 1 종의 미생물 균주를 선정하였다.
도 2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이 있으며 미생물이 없는 배지의 폴리에틸렌 입자 크기 보다 미생물이 포함된 배지의 폴리에틸렌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폴리에틸렌이 없이 미생물만 있는 배지는 투명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미생물 균주는 1 g/L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포함한 BSM 액체 배지에서 50일 후 측정하였을 때 성공적으로 성장한 것을 확인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서열에 기초할 때, 하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리한 박테리아 균주 GT5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와 99%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Microorganisms Identity NCBI Reference Sequence
GT5 Bacillus thuringiensis 99% NR_114581.1
상기 균주를 기탁하고,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로 명명하였다. 또한,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분리한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의 계통수를 확인하였다.
2.2. 폴리에틸렌 농도에 따른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JNU01의 생장 확인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농도 10 mg/mL 배지에서는 기간이 지나도 O.D 값의 유의미한 변동이 없었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가 생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30 mg/mL 및 50 mg/mL 배지에서는 실험 1-20일 사이에 급속 생장 단계 (exponential growth phase)에 도달하였고, 실험 20일 이후에는 정체 단계 (stationary phase)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은 30 mg/mL 및 50 mg/mL의 폴리에틸렌 배지에서 성장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2.3. 폴리에틸렌 분말의 NMR 분석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30일 후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가 있었던 배지의 폴리에틸렌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 대비 2.1 ppm, 2.4 ppm 및 3.5 ppm에서 피크 발생을 확인하였다. 상기 2.1 ppm은 아마이드 (Amide), 2.4 ppm은 케톤 (Ketone) 구조를, 상기 3.5 ppm은 하이드록실 그룹 (Hydroxyl group)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가 폴리에틸렌을 분해한 것임을 알 수 있다.
2.4. 폴리에틸렌 분말의 FT-IR 분석
상기 균주의 분해가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분말에 대하여 화학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FT-IR을 측정하였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분해되지 않은 폴리에틸렌 시료 (Control로 표기)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를 30일간 배양하여 생물학적으로 분해된 폴리에틸렌 시료의 FT-IR 스펙트럼을 비교하였다. 도 6의 (a)로 표시한 부분 내지 도 6의 (f)로 표시한 부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화학 구조를 알 수 있는 부분들을 동일한 기준선으로 나타내므로, 분해되지 않은 폴리에틸렌 시료 (Control로 표기)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를 30일간 배양하여 생물학적으로 분해된 폴리에틸렌 시료를 비교하였다.
도 6의 (a)로 표시한 부분 및 도 6의 (f)로 표시한 부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분해된 폴리에틸렌 시료에서는 카복실산 (Carboxylic acids) 및 아마이드 (Amide), 말단 탄소-탄소 이중결합 (Terminal C=C Bond), 케톤 (Ketone), 하이드록실 그룹 (Hydroxyl group)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를 사용한 생물학적 분해로 인해 폴리에틸렌 시료에서 카복실산 (Carboxylic acids) 및 아마이드 (Amide), 말단 탄소-탄소 이중결합 (Terminal C=C Bond), 케톤 (Ketone), 하이드록실 그룹 (Hydroxyl group) 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2.5. 폴리에틸렌 필름의 SEM 이미지
박테리아에 의한 생물학적 분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 7의 (A)부분(2000배) 및 도 7의 D부분(10000배)와 같이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처리하지 않은 폴리에틸렌 필름, 및 도 7의 (B)부분(2000배), 도 7의 (C)부분(2000배), 도 7의 (E)부분(10000배), 도 7의 (F)부분(10000배)와 같이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를 처리하여 분해된 폴리에틸렌 필름의 FE-SEM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도 7의 (B)부분 및 도 7의 (C)부분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를 처리하여 분해된 폴리에틸렌 필름에서 서로 다른 위치를 확인한 것이며, 도 7의 (E)부분 및 도 7의 (F)부분은 도 7의 (B)부분 및 도 7의 (C)부분을 5배 더 확대한 이미지이다.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를 처리하여 분해된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에 부착된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해 2% SDS (Socium dodecyl sulfate) 용액을 4시간동안 사용하고, 증류수 및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도 7의 (A)부분, 7의 (D)부분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를 처리하지 않은 폴리에틸렌 필름은 분해되지 않아 구멍과 균열 등 변형된 부분 없이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도 7의 (B)부분, 도 7의 (C)부분, 도 7의 (E)부분, 도 7의 (F)부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가 처리되어 분해된 폴리에틸렌 필름의 경우 상당한 분열된 형태 또는 공극 (spore) 형태를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고배율 FE-SEM 이미지를 확인한 결과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에 의해 분해된 폴리에틸렌 필름은 도 7의 (E)부분 및 도 7의 (F)부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공극 (pore) 구조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에 의하여 폴리에틸렌 필름이 분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수탁번호]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4427BP
수탁일자 : 20210105
Figure PCTKR2022012749-appb-img-000001

Claims (5)

  1. 플라스틱 분해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수탁번호: KCTC 14427BP )균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Polyvinyl chloride), PS(Polystyrene), PP(Polypropylene) 및 PE(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인 것인,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는 플라스틱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생장이 가능한 것인,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NU01 균주.
  4. 제1항의 균주를 플라스틱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분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Polyvinyl chloride), PS(Polystyrene), PP(Polypropylene) 및 PE(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인 것인,
    플라스틱 분해방법.
PCT/KR2022/012749 2021-08-26 2022-08-25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WO202302752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277A KR102383003B1 (ko) 2021-08-26 2021-08-26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2021-0113277 2021-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7529A1 true WO2023027529A1 (ko) 2023-03-02

Family

ID=8118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2749 WO2023027529A1 (ko) 2021-08-26 2022-08-25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3003B1 (ko)
WO (1) WO2023027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003B1 (ko) * 2021-08-26 2022-04-08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276A (ko) * 2000-01-13 2001-08-01 안태영 다환식 탄화수소 오염 토양의 생물정화를 위한 고분자다환식 탄화수소 분해 미생물, 그의 제조 방법 및 분해미생물을 포함하는 유류 분해 조성물
US20150247018A1 (en) * 2012-10-31 2015-09-03 Jun Yang Biodegradation of petroleum-based plastics
KR102126889B1 (ko) * 2017-02-03 2020-06-26 주식회사 블루리본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2383003B1 (ko) * 2021-08-26 2022-04-08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276A (ko) * 2000-01-13 2001-08-01 안태영 다환식 탄화수소 오염 토양의 생물정화를 위한 고분자다환식 탄화수소 분해 미생물, 그의 제조 방법 및 분해미생물을 포함하는 유류 분해 조성물
US20150247018A1 (en) * 2012-10-31 2015-09-03 Jun Yang Biodegradation of petroleum-based plastics
KR102126889B1 (ko) * 2017-02-03 2020-06-26 주식회사 블루리본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2383003B1 (ko) * 2021-08-26 2022-04-08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AY RISHI: "The Effects of Bacillus Thuringiensis and Lysinibacillus Sphaericus on Low-Density Polyethylene", SSRN ELECTRONIC JOURNAL, 1 January 2019 (2019-01-01), XP093039607, DOI: 10.2139/ssrn.358605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003B1 (ko)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43750A1 (ko) 갈색거저리 애벌레로부터 분리된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분해 방법
Mohanrasu et al. Exploring multi potential uses of marine bacteria; an integrated approach for PHB production, PAHs and polyethylene biodegradation
Eppard et al.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ctinomycetes isolated from dry soil, rocks, and monument surfaces
Hayase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 (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degrading microorganism
WO2023027529A1 (ko)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CN111057670B (zh) 一种降解污水中磺胺类抗生素的混合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891671A (zh) 具有聚苯乙烯塑料降解活性的微生物及利用其降解塑料的方法
Zhao et al. Biodegrad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y diverse marine bacteria in deep‐sea sediments
WO2022211551A1 (ko)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CN113337001A (zh) 一种菌酶联合降解聚对苯二甲酸乙二醇酯的方法
CN112175862A (zh) 聚丙烯高效降解菌株licme 200610 wzh-4及其生产的菌剂和应用
WO2022139548A1 (ko)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미생물
CN116555066B (zh) 一种pbat农膜高效降解菌及其应用
JPH1110122A (ja) ポリ塩化ビフェニルの分解法と新規微生物
CN114410500A (zh) 一种聚乙烯高效降解菌菌株及其应用
CN114410521B (zh) 一种具有降解聚乙烯功能的戈登氏菌及其应用
WO2024111864A1 (ko)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CN114410501A (zh) 一种聚苯乙烯高效降解菌菌株及其应用
WO2024029976A1 (ko)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JP6882869B2 (ja) テレフタル酸分解菌
Gao et al. A marine bacterial community that degrades poly (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EP1789533A1 (en) Rhodococcus erythropolis lg12 having acrylic acid degrading activity and method for removing acrylic acid using the same
US20240017310A1 (en) Novel microorganism for polystyrene biodegradation
CN114703086B (zh) 分离自冶炼厂土壤的类芽孢杆菌lyx-1及其应用
CN110055192B (zh) 大肠杆菌(Escherichia coli)LHM10-1菌株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617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