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27205A1 -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27205A1
WO2023027205A1 PCT/KR2021/011282 KR2021011282W WO2023027205A1 WO 2023027205 A1 WO2023027205 A1 WO 2023027205A1 KR 2021011282 W KR2021011282 W KR 2021011282W WO 2023027205 A1 WO2023027205 A1 WO 20230272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ustom
focus
mode
control devi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12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지훈
이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옵틱스
Priority to PCT/KR2021/01128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27205A1/ko
Priority to KR1020247002259A priority patent/KR20240026188A/ko
Publication of WO20230272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272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assembly that stores focus information of a lens and adjusts a focus of a lens based on the focu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 the lens assembly may not necessarily be manufactured by the same maker as the camera body. Lens assemblies manufactured by a specific manufacturer may be compatible with different cameras manufactured by different makers.
  • the lens assembly since the lens assembly receives only limited information from the camera, adjusting the focus of the lens assembly through the camera may also remain at a limited leve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assembly that stores focus information of a lens and adjusts the focus of a lens based on the focu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 a lens assembly includes a lens barrel detachably coupled to a camera, a focusing lens, a driving unit generating a driving force with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camera to move the focusing lens, and an inpu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r to move the focusing lens to a preset custom focus position when a custom focus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button.
  •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custom mode and a non-custom mode, and the control device adjusts the focusing lens to the custom focus position when the custom focus control command is input after the operation mode enters the custom mode.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move.
  • the control device converts the operation mode to the custom mode when selection of the input button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initial power is received from the camera.
  • the control device converts the operation mode to the non-custom mode when selection of the input button is not sensed in a state in which initial power is received from the camera.
  • the custom focus control command includes selecting the input button for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of time.
  •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custom mode and a non-custom mode, and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when the custom focus save command is input after the operation mode enters the custom mode. Save as a custom focus position.
  • the custom focus storage command includes a selection of the input button exceeding a preset threshold time.
  • the lens assembly further includes an output unit outpu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 the output unit outputs light of different colors for each of the custom mode and the non-custom mode.
  • the focus information of the lens is stored and the focus of the lens is adjusted based on the foc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o that the lens assembly itself stores the focus without going through a camera.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and adjust.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lens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ns assembly shown in FIG. 2 .
  •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 FIG. 5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3;
  •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ovement of a focusing lens by a focus adjusting unit.
  •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ovement of a focusing lens by a driving unit.
  •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a control device.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a custom focus position.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ovement of a focusing lens to a custom focus position.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optical system 10 includes a camera 100 and a lens assembly 200.
  • the camera 100 may generate an image of a subject.
  • the camera 10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 Image sensor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 CCD charge coupled device
  •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 Light input to the camera 100 is detected by an image sensor, and a digital image may be generated by converting the detected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 the lens assembly 200 is coupled to the camera 100 and serves to concentrate the input light and transmit it to the camera 100 .
  • the lens assembly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 focusing lens for adjusting a focal distance to the subject.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may be adjusted, and the focal distance to the subject may vary according to the adjusted position.
  • the lens assembly 2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camera 100 and operate with the supplied power.
  • the lens assembly 200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focusing lens, and the driving unit may operate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camera 100 to move the focusing lens.
  • the lens assembly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camera 100 to receive an operation signal of the camera 100 from the camera 100 or transmit its own operation signal to the camera 100 .
  • the lens assembly 200 may independent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regardless of the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amera 100 .
  • the lens assembly 200 may move the focusing lens to a preset custom focus position. Moving the focusing lens to the custom focus position is not performed by an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amera 100, but may be performed when a user command is input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on its ow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lens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ns assembly shown in Figure 2
  •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am.
  • the lens assembly 200 includes a barrel 210, an aperture 220, a lens 230, a driving unit 240, a focus adjusting unit 250, an inpu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utton 260, an output unit 270 and a control device 280.
  • the lens barrel 210 may accommodate the lens 230 and the driving unit 240 by providing an enclosed space.
  • the barrel 210 may include an opening, and external light may be introduced into the barrel 210 through the corresponding opening.
  • the lens barrel 2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mera 100 . As the lens barrel 210 is coupled to the camera 100 , the lens assembly 200 receives power from the camera 100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camera 100 .
  • An adapter 211 may be provided in the barrel 210 for coupling with the camera 100 .
  • the adapter 211 may perform mechanical and electrical coupling with the camera 100 .
  • mechanical coupling By performing mechanical coupling, the lens barrel 210 and the camera 100 can be firmly coupled.
  • electrical coupling power of the camera 100 may be supplied to the lens assembly 200 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amera 100 and the lens assembly 200 may be performed.
  • a power supply line 291 and a communication line 29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dapter 211 and the control device 280 .
  • the power supply line 291 may provide a power movement path by the camera 100 .
  • the communication line 292 may provide a movement path for communication signals between the camera 100 and the control device 280 .
  • the diaphragm 220 is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barrel 210 and serves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introduced into the barrel 210 .
  • the diaphragm 220 may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barrel 210 .
  • the amount of light introduced through the aperture may vary.
  • the lens 230 serves to concentrate light introduced into the lens barrel 210 .
  • 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230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enses 230 may be a focusing lens 231 .
  •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231 may be moved inside the lens barrel 210 .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231 may be mo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Ax. As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231 is changed,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230 may be changed.
  • the driver 240 serves to move the focusing lens 231 by generating a driving force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camera 100 .
  • the driving unit 2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otor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 the rotational force is converted into a forc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focusing lens 231, and the focusing lens 231 can move along the optical axis Ax.
  • the focus controller 250 serves to move the focusing lens 231 with driving force input from the user.
  • the focus adjusting unit 250 is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ns barrel 210 .
  • the lens barrel 210 and the focus adjusting unit 250 may have the same central axis.
  • the corresponding central axis may coincide with the optical axis Ax.
  • the focus controller 250 may rotate about a central axis, and rotational force may act a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focusing lens 231 .
  • the user may manually adjust the focus of the lens 230 by rotating the focus controller 250 with respect to the lens barrel 210 .
  • the input button 260 may receive a user command.
  • the input button 260 may be provided in a mechanical form. In this case, the user may input a user command by pressing the input button 260 .
  • the input button 26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In this case, the user may input a user command by touching the input button 260 .
  • the output unit 270 serves to output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280 .
  •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280 may include a custom mode and a non-custom mode.
  • the output unit 270 may output whether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280 is a custom mode or a non-custom mode.
  • the output unit 27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lamp.
  • the output unit 27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 the control device 280 may operate in a custom mode or a non-custom mode.
  •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280 may include a custom mode and a non-custom mode.
  • the control device 280 may store the custom focus position or adjust the custom focus.
  • the custom focus position represents a position set by the user. The user may set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231 so that a desired focus is realized, and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focusing lens 231 is a custom focus position. The user may store the custom focus position in the custom mode or adjust the custom focus so that the focusing lens 231 moves to the custom focus position.
  • the communication unit 281 may communicate with the camera 100 .
  • the communication unit 281 may receive an operation signal of the camera 100 or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283 to the camera 100 .
  • the controller 283 operates by referr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amera 100, and the camera 100 can operate by referr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283.
  •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ovement of a focusing lens by a focus adjusting unit
  •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ovement of a focusing lens by a driving unit.
  • the user may generate the driving force D1 by rotating the focus controller 250 with respect to the lens barrel 210 .
  • the focus of the lens 230 may be adjusted while the focusing lens 231 moves along the optical axis Ax by the driving force D1.
  • the user may adjust the focus of the lens 230 by operating the focus controller 250 afte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280 to the custom mode.
  •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a control device.
  • the control device 280 may receive initial power from the camera 100 (S310).
  • the initial power represents power newly supplied from the camera 100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lens assembly 200 .
  • power suppli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camera 100 and the lens assembly 200 may be understood as initial power.
  • the control device 28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put button 260 is selected (S320). Thus, the control device 280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custom mode when selection of the input button 260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initial power is received from the camera 100 (S330). For example, when the power of the camera 100 is OFF, the user turns on the power of the camera 100 while selecting the input button 260 to customize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280. mode can be switched. Alternatively, when the power of the camera 100 is turned on, the user performs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camera 100 and the lens assembly 200 in a state in which the input button 260 is selected, thereby operating the control device 280. You can switch the mode to custom mode. When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custom mode, the output unit 270 may output light of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custom mode.
  • the control device 280 may store the current focus position as a custom focus position (S430).
  • the custom focus posi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82 .
  • the control device 280 may transmit a communication signal indicating completion of storage to the camera 100 .
  • the camera 100 may outpu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ustom focus position has been stored. For example, when the camera 100 includes a display (not shown), the screen of the display may be turned off and turned on again. Alternatively, text or an image indicating that the custom focus position has been stored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231 to the custom focus position.
  • the user may move the focusing lens 231 to a custom focus position by inputting a custom focus control command.
  • the custom focus adjustment command may include selection of the input button 260 for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of time. For example, when the input button 260 is selected for about 1 second in the custom mode, the control device 280 may determine that a custom focus adjustment command is input.
  • the control device 280 may control the driver 240 to move the focusing lens 231 to the custom focus position.
  • the driver 240 moves the focusing lens 231 to the custom focus position P. can make it
  • the above describes the movement of the focusing lens 231 to the custom focus position set by the user.
  • the controller 280 moves the focusing lens 231 to the default focus position. can make it move.
  • the basic focus position is set when the lens assembly 200 is manufactured an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82 .
  • the control device 280 may control the driver 240 to move the focusing lens 231 to the default focus 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의 초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초점 정보를 기초로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는 카메라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경통과, 포커싱 렌즈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버튼, 및 상기 입력 버튼을 통하여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전에 설정된 커스텀 초점 위치로 상기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어셈블리
본 발명은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의 초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초점 정보를 기초로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렌즈 어셈블리는 반드시 카메라 본체와 동일한 메이커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특정 메이커에 의해 제조된 렌즈 어셈블리는 서로 다른 메이커에 의해 제조된 서로 다른 카메라에 호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렌즈 어셈블리를 카메라로부터 한정적인 정보만을 제공받기 때문에 카메라를 통하여 렌즈 어셈블리의 초점을 조절하는 것도 한정적인 수준에 머물 수 있다.
이에, 렌즈 어셈블리 자체적으로 초점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의 초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초점 정보를 기초로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는 카메라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경통과, 포커싱 렌즈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버튼, 및 상기 입력 버튼을 통하여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전에 설정된 커스텀 초점 위치로 상기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는 커스텀 모드 및 비커스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커스텀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커스텀 초점 위치로 상기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초기 전력이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 버튼의 선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커스텀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초기 전력이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 버튼의 선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비커스텀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은 상기 입력 버튼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 범위의 시간 동안만큼 선택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는 커스텀 모드 및 비커스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커스텀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커스텀 초점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포커싱 렌즈의 현재 위치를 상기 커스텀 초점 위치로 저장한다.
상기 커스텀 초점 저장 명령은 상기 입력 버튼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선택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제어 장치의 상기 동작 모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커스텀 모드 및 상기 비커스텀 모드별로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에 따르면 렌즈의 초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초점 정보를 기초로 렌즈의 초점을 조절함으로써 카메라를 통하지 않고 렌즈 어셈블리 자체적으로 초점을 저장하고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즈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초점 조절부에 의해 포커싱 렌즈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구동부에 의해 포커싱 렌즈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커스텀 초점 위치가 저장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커스텀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스템(10)은 카메라(100) 및 렌즈 어셈블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100)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영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0)로 입력된 광은 영상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광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00)는 카메라(100)에 결합되고, 입력된 광을 집중시켜 카메라(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렌즈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포커싱 렌즈일 수 있다 포커싱 렌즈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조절된 위치에 따라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00)는 카메라(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어셈블리(200)는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동부는 카메라(100)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동작하여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 어셈블리(200)는 카메라(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카메라(100)로부터 카메라(100)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거나 카메라(100)로 자신의 동작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200)는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동작 신호와는 무관하게 자체적으로 포커싱 렌즈의 위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렌즈 어셈블리(200)는 사전에 설정된 커스텀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커스텀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는 것은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동작 신호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통하여 렌즈 어셈블리(2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즈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200)는 경통(210), 조리개(220), 렌즈(230), 구동부(240), 초점 조절부(250), 입력 버튼(260), 출력부(270) 및 제어 장치(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통(210)은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여 렌즈(230) 및 구동부(240)를 수용할 수 있다. 경통(210)은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광은 해당 개구를 통해 경통(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경통(210)은 카메라(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경통(210)이 카메라(100)에 결합되면서 렌즈 어셈블리(200)는 카메라(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카메라(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100)와의 결합을 위하여 경통(210)에는 어댑터(211)가 구비될 수 있다. 어댑터(211)는 카메라(100)와 기계적인 결합 및 전기적인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기계적인 결합이 수행됨으로써 경통(210)과 카메라(1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기적인 결합이 수행됨으로써 카메라(100)의 전력이 렌즈 어셈블리(200)로 공급되거나 카메라(100)와 렌즈 어셈블리(200) 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어댑터(211)와 제어 장치(280)의 사이에는 전력 공급선(291) 및 통신선(292)이 구비될 수 있다. 전력 공급선(291)은 카메라(100)에 의한 전력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선(292)은 카메라(100)와 제어 장치(280) 간의 통신 신호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리개(220)는 경통(210)의 개구에 구비되어 경통(210)으로 유입되는 광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리개(220)는 경통(210)의 개구 중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조리개(220)가 경통(210)의 개구를 차단하는 정도에 따라 개구를 통해 유입되는 광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렌즈(230)는 경통(210)으로 유입되는 광을 집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학 장치는 복수의 렌즈(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230) 중 적어도 하나는 포커싱 렌즈(231)일 수 있다. 포커싱 렌즈(231)는 경통(210)의 내부에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커싱 렌즈(231)는 광축(Ax)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포커싱 렌즈(231)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렌즈(230)의 초점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구동부(240)는 카메라(100)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포커싱 렌즈(23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240)는 모터의 형태로 제공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회전력은 포커싱 렌즈(231)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힘으로 전환되고, 포커싱 렌즈(231)는 광축(Ax)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초점 조절부(2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구동력으로 포커싱 렌즈(23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초점 조절부(250)는 링의 형태로 제공되고, 경통(210)의 원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경통(210) 및 초점 조절부(250)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질 수 있다. 해당 중심축은 광축(Ax)에 일치한 것일 수 있다. 초점 조절부(25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력은 포커싱 렌즈(231)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경통(210)에 대하여 초점 조절부(250)를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으로 렌즈(230)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입력 버튼(260)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 버튼(260)은 기계적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입력 버튼(260)을 누름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입력 버튼(260)은 터치 패드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입력 버튼(260)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출력부(270)는 제어 장치(280)의 동작 모드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280)의 동작 모드는 커스텀 모드 및 비커스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70)는 제어 장치(280)의 동작 모드가 커스텀 모드인지 비커스텀 모드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70)는 램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70)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70)는 복수의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출력부(270)는 커스텀 모드 및 비커스텀 모드별로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장치(280)는 커스텀 모드 또는 비커스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 장치(280)의 동작 모드는 커스텀 모드 및 비커스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모드가 커스텀 모드로 선택된 경우 제어 장치(280)는 커스텀 초점 위치를 저장하거나 커스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커스텀 초점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위치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초점이 구현되도록 포커싱 렌즈(231)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데, 해당 포커싱 렌즈(231)의 위치가 커스텀 초점 위치인 것이다. 사용자는 커스텀 모드에서 커스텀 초점 위치를 저장하거나 커스텀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231)가 이동하도록 커스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커스텀 모드 및 비커스텀 모드는 각각 수동 초점 모드 및 자동 초점 모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커스텀 모드에서 사용자는 초점 조절부(250)를 이용하여 포커싱 렌즈(231)의 위치를 이동시켜 렌즈(230)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비커스텀 모드에서 제어 장치(280)는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초점 조절 신호에 따라 구동부(240)를 통해 포커싱 렌즈(231)의 위치를 이동시켜 렌즈(230)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 장치(280)는 입력 버튼(260)을 통하여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전에 설정된 커스텀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231)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280)는 동작 모드가 커스텀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커스텀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231)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 장치(280)는 동작 모드가 커스텀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커스텀 초점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포커싱 렌즈(231)의 현재 위치를 커스텀 초점 위치로 저장할 수 있다. 포커싱 렌즈(231)는 초점 조절부(250)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제어 장치(280)는 초점 조절부(250)에 의해 이동된 포커싱 렌즈(231)의 위치를 커스텀 초점 위치로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차후에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 장치(280)는 커스텀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231)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80)는 통신부(281), 저장부(282) 및 제어부(2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81)는 카메라(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81)는 카메라(100)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283)의 동작 신호를 카메라(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83)는 카메라(100)의 동작 신호를 참조하여 동작하고, 카메라(100)는 제어부(283)의 동작 신호를 참조하여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저장부(282)는 커스텀 초점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282)는 롬(ROM; Read Only Memory)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저장부(282)는 카메라(10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커스텀 초점 위치의 저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카메라(10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된 이후에 다시 전력 공급이 재개된 경우 제어부(283)는 저장부(282)에 저장된 커스텀 초점 위치를 이용하여 커스텀 초점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83)는 커스텀 초점 위치 저장 및 커스텀 초점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스텀 모드에서 커스텀 초점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83)는 저장부(282)로 하여금 포커싱 렌즈(231)의 현재 위치를 커스텀 초점 위치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커스텀 모드에서 입력 버튼(260)을 통하여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83)는 저장부(282)에 저장된 커스텀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231)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3)는 조리개(220), 출력부(270), 구동부(240), 통신부(281) 및 저장부(282)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개(220)는 제어부(283)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경통(210)으로 유입되는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출력부(270)는 제어부(28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초점 조절부에 의해 포커싱 렌즈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구동부에 의해 포커싱 렌즈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초점 조절부(250)에 의한 구동력(D1)에 의해 포커싱 렌즈(231)가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경통(210)에 대하여 초점 조절부(250)를 회전시켜 구동력(D1)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력(D1)에 의해 포커싱 렌즈(231)가 광축(Ax)을 따라 이동하면서 렌즈(230)의 초점이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장치(280)의 동작 모드를 커스텀 모드로 전환한 이후에 초점 조절부(250)를 동작시켜 렌즈(230)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부(240)에 의한 구동력(D2)에 의해 포커싱 렌즈(231)가 이동할 수 있다.
제어 장치(28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부(240)는 구동력(D2)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력(D2)에 의해 포커싱 렌즈(231)가 광축(Ax)을 따라 이동하면서 렌즈(230)의 초점이 조절될 수 있다. 구동부(240)는 커스텀 모드에서 커스텀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231)를 이동시키거나 비커스텀 모드에서 자동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2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80)는 동작 모드를 커스텀 모드 또는 비커스텀 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우선, 제어 장치(280)는 카메라(100)로부터 초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S310). 초기 전력은 렌즈 어셈블리(20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100)로부터 새롭게 공급되는 전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카메라(100)와 렌즈 어셈블리(200) 간에 전기적인 결합이 수행된 이후에 일정 시간 이내에 공급된 전력이 초기 전력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280)는 입력 버튼(260)의 선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그리하여, 제어 장치(280)는 카메라(100)로부터 초기 전력이 수신되는 상태에서 입력 버튼(260)의 선택이 감지된 경우 동작 모드를 커스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카메라(100)의 전원이 오프(OFF)인 경우 사용자는 입력 버튼(260)을 선택한 상태에서 카메라(100)의 전원을 온(ON)함으로써 제어 장치(280)의 동작 모드를 커스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100)의 전원이 온(ON)인 경우 사용자는 입력 버튼(260)을 선택한 상태에서 카메라(100)와 렌즈 어셈블리(200) 간의 전기적인 결합을 수행함으로써 제어 장치(280)의 동작 모드를 커스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모드가 커스텀 모드로 전환된 경우 출력부(270)는 커스텀 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00)로부터 초기 전력이 수신되는 상태에서 입력 버튼(260)의 선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 장치(280)는 동작 모드를 비커스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340). 예를 들어, 카메라(100)의 전원이 온(ON)인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100)의 전원을 오프(OFF)로 한 이후에 온(ON)함으로써 제어 장치(280)의 동작 모드를 비커스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100)의 전원이 온(ON)인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100)와 렌즈 어셈블리(200) 간의 전기적인 결합을 해제한 이후에 다시 결합함으로써 제어 장치(280)의 동작 모드르 비커스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모드가 비커스텀 모드로 전환된 경우 출력부(270)는 비커스텀 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커스텀 초점 위치가 저장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은 커스텀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80)는 커스텀 초점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우선, 제어 장치(280)는 현재의 초점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S410). 커스텀 모드에서 사용자는 초점 조절부(250)를 이용하여 포커싱 렌즈(231)를 이동시킴으로써 초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메라(100)의 자체 조리개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에서 초점 조절부(250)를 이용하여 렌즈(230)의 초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 장치(280)는 초점 조절부(250)에 의해 조절된 초점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 장치(280)는 커스텀 초점 저장 명령의 입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20). 커스텀 초점 저장 명령은 입력 버튼(260)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커스텀 초점 저장 명령은 입력 버튼(260)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스텀 모드에서 입력 버튼(260)이 3초를 초과하여 선택된 경우 제어 장치(280)는 커스텀 초점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커스텀 초점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 장치(280)는 현재의 초점 위치를 커스텀 초점 위치로 저장할 수 있다(S430). 커스텀 초점 위치는 저장부(282)에 저장될 수 있다. 커스텀 초점 위치를 저장하면서 제어 장치(280)는 카메라(100)로 저장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신호를 수신한 카메라(100)는 커스텀 초점 위치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00)에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된 경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졌다가 다시 켜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커스텀 초점 위치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일단 커스텀 초점 위치가 저장된 경우 사용자는 간편하게 포커싱 렌즈(231)의 위치를 커스텀 초점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스텀 모드에서 사용자는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포커싱 렌즈(231)를 커스텀 초점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은 입력 버튼(260)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 범위의 시간 동안만큼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스텀 모드에서 입력 버튼(260)이 약 1초 정도 선택된 경우 제어 장치(280)는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 장치(280)는 포커싱 렌즈(231)가 커스텀 초점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커싱 렌즈(231)가 P1 지점 또는 P2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구동부(240)는 포커싱 렌즈(231)를 커스텀 초점 위치(P)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커스텀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231)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에 의해 커스텀 초점 위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 장치(280)는 기본 초점 위치로 포커싱 렌즈(231)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기본 초점 위치는 렌즈 어셈블리(200)의 제조 시에 설정된 것으로서 저장부(282)에 저장될 수 있다. 커스텀 모드에서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 장치(280)는 포커싱 렌즈(231)가 기본 초점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카메라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경통;
    포커싱 렌즈;
    상기 카메라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버튼; 및
    상기 입력 버튼을 통하여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전에 설정된 커스텀 초점 위치로 상기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는 커스텀 모드 및 비커스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커스텀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커스텀 초점 위치로 상기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렌즈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초기 전력이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 버튼의 선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커스텀 모드로 전환하는 렌즈 어셈블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초기 전력이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 버튼의 선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비커스텀 모드로 전환하는 렌즈 어셈블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텀 초점 조절 명령은 상기 입력 버튼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 범위의 시간 동안만큼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는 커스텀 모드 및 비커스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커스텀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커스텀 초점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포커싱 렌즈의 현재 위치를 상기 커스텀 초점 위치로 저장하는 렌즈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텀 초점 저장 명령은 상기 입력 버튼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상기 동작 모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커스텀 모드 및 상기 비커스텀 모드별로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렌즈 어셈블리.
PCT/KR2021/011282 2021-08-24 2021-08-24 렌즈 어셈블리 WO202302720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1282 WO2023027205A1 (ko) 2021-08-24 2021-08-24 렌즈 어셈블리
KR1020247002259A KR20240026188A (ko) 2021-08-24 2021-08-24 렌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1282 WO2023027205A1 (ko) 2021-08-24 2021-08-24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7205A1 true WO2023027205A1 (ko) 2023-03-02

Family

ID=8532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1282 WO2023027205A1 (ko) 2021-08-24 2021-08-24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6188A (ko)
WO (1) WO202302720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3550A (ja) * 2009-09-03 2011-03-17 Canon Inc 光学機器
KR20140086540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연속 자동 초점 조절 방법
JP2016059033A (ja) * 2014-09-08 2016-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190143810A (ko) * 2018-06-21 2019-12-3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렌즈 유닛, 및 그 제어방법
JP2020095275A (ja) * 2017-12-27 2020-06-18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3550A (ja) * 2009-09-03 2011-03-17 Canon Inc 光学機器
KR20140086540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연속 자동 초점 조절 방법
JP2016059033A (ja) * 2014-09-08 2016-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20095275A (ja) * 2017-12-27 2020-06-18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
KR20190143810A (ko) * 2018-06-21 2019-12-3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렌즈 유닛,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188A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133B2 (en) Imaging apparatus
US20100134433A1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US8040425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ing ND filters for color-temperature correction
JP6427287B1 (ja) アクセサリ装置、カメラ、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RU2006145636A (ru) Циф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блюдения для слабой освещенности, приспособленное к суровым окружающим условиям
CN108139653B (zh) 镜头系统、镜头系统的工作方法、记录介质及相机系统
JP6427289B1 (ja) アクセサリ装置、カメラ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230288785A1 (en) Camera body and interchangeable lens
US8941759B2 (en) Interchangeable lens and digital camera including controller for stopping zoom lens at one of discrete predetermined stop positions
WO2023027205A1 (ko) 렌즈 어셈블리
US10890827B2 (en) Camera accessory
US8150256B2 (en) Electronic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grip structure
WO2022092363A1 (ko) 광학 장치 및 상기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WO2021193987A1 (ko) 사용자 지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N110501857B (zh) 附件装置、具有该附件装置的照相机系统和存储介质
US20210132472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ccessory, camera system including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ccessory
JP3680967B2 (ja) テレビカメラ用レンズ装置
JP3680966B2 (ja) テレビカメラ用レンズ装置
WO2018221558A1 (ja) カメラおよびその通信制御方法
KR20010027312A (ko) 줌 렌즈 일체형 주/야 감시용 카메라
JPH118793A (ja) 撮像装置、該装置を含む撮像システム及び前記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WO2016111387A1 (ko) 카메라용 렌즈 원격 제어 장치
JP6558510B1 (ja) カメラアクセサリ
JP3135258B2 (ja) 交換レンズシステム
KR200200311Y1 (ko) 유니버설 시리얼 포트를 구비한 실물화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551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47002259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020247002259

Country of ref document: KR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