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31266A1 -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 Google Patents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31266A1
WO2022231266A1 PCT/KR2022/005935 KR2022005935W WO2022231266A1 WO 2022231266 A1 WO2022231266 A1 WO 2022231266A1 KR 2022005935 W KR2022005935 W KR 2022005935W WO 2022231266 A1 WO2022231266 A1 WO 20222312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loat
lower cover
float body
room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59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종목
Original Assignee
스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코트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코트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2312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312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room flo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room float having high durability so as not to be damaged or deformed by a high load or impact by forming a continuous triangular structure while intersecting internal partition walls in a diagonal direction.
  • floats are used as berthing facilities in piers, yacht apron, and marine parks, or as flotation facilities that support fishing nets in cage farms. is being used in various ways.
  • the float body has an upper plate and an outer wall integrated together with the inner partition wall, the lower surface is molded in an open shape, and may further include a lower cover covering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float body.
  •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tting groove of the lower cover,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rtition of the float body to penetrat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s and then fused to the lower cov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further formed.
  • the vertical height of the lower cover may be 1/30 times or less as compared to the vertical height of the float body.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room fl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ulti-room fl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room fl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ulti-room fl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assembly of a multi-room fl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over in the multi-room flo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A to 7C are the assembly and bonding processes of the float body and the lower cover in the multi-room floa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 series of reference diagrams for
  • the fusion protrusion 130 before fusion, it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161 of the lower cover 100b as shown in FIG. 7b and protrudes downwardly.
  • the lower cover (as shown in FIG. 7c) ( While completely filling the coupling hole 161 of 100b), it is stably bonded to the lower cover 100b.
  • the fusion protrusion 130 is formed as a line-shaped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161 of the lower cover 100b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and after being fused, the coupling hole 161 can be filled.
  • the lower cover 100b can be fused after being inserted in a state of being penetrated through the As such, when the fusion protrusion 130 of the float body 100a penetrates the coupling hole 161 formed in the fitting groove 160 of the lower cover 100b and is fused, the lower cover 100b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float body 100a. separation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it protects the lower cover 100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loat body 100a when water pressure is constantly applied in various directions due to the irregular movement of sea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각방향의 내부 격벽이 교차하면서 연속적인 삼각구조를 형성하도록 하여 높은 하중이나 충격에 대하여 파손 및 변형되지 않도록 높은 내구성을 갖는 멀티룸 플로트에 관한 것으로, 플로트 본체에 내부공간을 분할시켜주는 내부 격벽이 형성되되 내부 격벽은 플로트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복수개가 대각방향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본 발명은 멀티룸 플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각방향의 내부 격벽이 교차하면서 연속적인 삼각구조를 형성하도록 하여 높은 하중이나 충격에 대하여 파손 및 변형되지 않도록 높은 내구성을 갖는 멀티룸 플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트는 부두선착장, 요트계류장, 해상공원에서 접안시설물로 사용되거나, 가두리양식장에서 어망을 띄워서 지지하는 부양시설물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장치와 같이 수상에서 주요 시설물을 부유시키기 위한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같은 플로트의 경우 PE 소재로 이루어져 내부가 하나의 큰 공간으로 비어 있거나 그 내부공간에 EPS(발포스티로폼)이나 스티로폼을 충진한 형태로 이루어졌었다. 하지만, 이처럼 하나의 내부공간을 갖는 과거의 플로트는 압축강도가 약하여 파손되기 쉬우며 대형의 제품을 구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벽체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야 하나 이 경우 경제성을 떨어뜨리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929422호를 통해 개시된 것처럼 내부가 내부 격벽(11)에 의해 분할된 다수의 밀폐 공간을 갖는 멀티룸 구조의 플로트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같은 멀티룸 플로트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반본체(10a,10b) 중 하나가 거꾸로 뒤집힌 상태로 다른 하나의 상부에 위치한 후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대향한 상태로 접합하여 밀폐된 내부의 빈 공간을 이루도록 제조된다.
하지만 이같은 멀티룸 플로트의 경우 하나의 내부공간을 갖던 플로트에 비하면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에 대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높은 내구성을 갖기는 하였으나, 강도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이처럼 반본체(10a,10b) 두 개를 대향하여 접합하는 종래 방식은 높은 수준의 융착기술 또는 접합기술을 요구하며 만일 반본체(10a,10b) 간 융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 플로트 내부로 물이 침투하면서 플로트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각방향의 내부 격벽이 교차하면서 연속적인 삼각구조를 형성하도록 하여 높은 하중이나 충격에 대하여 파손 및 변형되지 않도록 높은 내구성을 갖는 멀티룸 플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는, 플로트 본체에는 내부공간을 분할시켜주는 내부 격벽이 형성되되 상기 내부 격벽은 상기 플로트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복수개가 대각방향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로트 본체의 코너부 외측에는 체결핀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고리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 격벽은 상기 플로트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대향하는 코너부와 코너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핀을 통해 코너부에 가해지는 인장력으로 인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 본체는 상기 내부 격벽과 함께 일체화된 상판과 외벽을 가지면서 하면은 개방된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플로트 본체의 개방된 하면을 덮어주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상면 둘레부와 중앙부를 경유하는 대각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상기 플로트 본체의 외벽 하단부와 내부 격벽 하단부가 밀접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플로트 본체에 비해 더 연질이면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 본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플로트 본체에 비해 연질의 소재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끼움홈을 따라 서로 이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 본체의 외벽 하단부와 내부 격벽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관통한 후 상기 하부 커버에 융착되는 다수의 융착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은 상기 하부 커버의 끼움홈을 따라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융착돌기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라인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어 융착된 후 상기 결합공을 메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하면에는 다수의 융착돌기와 열을 지어 돌출라인을 형성하는 다수의 보강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융착돌기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외부 접촉과 외력으로부터 상기 융착돌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는 120mm 이하의 상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상하 높이는 상기 플로트 본체의 상하 높이와 비교하여 1/30 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는 플로트 본체의 내부 격벽들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코너부와 코너부를 연결하여 대각방향으로 형성된 구성에 의해 플로트 본체의 내부공간이 연속적인 삼각구조를 형성하면서 사각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에 견디면서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구조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코너부와 코너부를 연결하는 내부 격벽에 의해서 체결핀을 통해 코너부에 가해지는 인장력으로 인해 코너부가 떨어져 나가는 형태로 쉽게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 형성을 위해 필요한 내부공간을 플로트 본체에만 할당하고 개방면을 상면이 아닌 하면에 형성시킨 구성에 의해 두 개의 반본체 간 접합 방식을 탈피하여 높은 수준의 접합기술이 없더라도 제조하기 쉬우며 접합부위가 완벽하지 않거나 손상되더라도 에어포켓 기능에 의해 부력의 손실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에서 하부 커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에서 대각방향의 내부 격벽에 의한 코너부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에서 플로트 본체와 하부 커버의 조립 및 접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부호의 설명>
100a: 플로트 본체 100b: 하부 커버
110: 외벽 120: 내부 격벽
130: 돌기 140: 체결고리
150: 플레이트 본체 160: 끼움홈
161: 결합공 170: 보강돌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의 조립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에서 하부 커버의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본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에서 플로트 본체와 하부 커버의 조립 및 접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는 개방된 하면을 갖는 플로트 본체(100a)와 개방된 하면을 덮어주는 하부 커버(100b)로 이루어지며, 대각방향의 내부 격벽(120)이 교차하면서 연속적인 삼각구조를 형성하도록 하여 높은 하중이나 충격에 대하여 쉽게 파손 및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플로트 본체(100a)는 일체화된 상판(110a)과 외벽(110b)을 가지며 하면은 개방된 형태로 성형되어 전체적으로 하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로트 본체(100a)의 개방된 하면은 별도의 내부공간을 갖지 않는 하부 커버(100b)가 덮어준다. 이처럼 부력 형성을 위해 필요한 내부공간을 플로트 본체(100a)에만 할당하고 상면이 아닌 하면에 개방면을 형성시킨 본 발명의 독특한 구성에 따르면 플로트 본체(100a)가 수표면에서 전복되지만 않는다면 플로트 본체(100a)의 내부공간에 에어포켓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면서 하부 커버(100b) 없이도 부력을 잃지 않고 자립이 가능하다는 커다란 장점을 갖는다.
상기 플로트 본체(100a)에는 내부공간을 분할시켜주는 내부 격벽(120)이 더 형성된다. 상기 내부 격벽(120)은 플로트 본체(100a) 내부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코너부(111)와 코너부(111)를 연결하여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되 중앙부에서 교차하도록 복수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룸 플로트는 플로트 본체(100a)의 내부공간이 복수의 내부 격벽(120)에 의해 분할된 멀티룸 플로트로 구비된다. 상기 내부 격벽(120)과 관련하여 주목할 점은 전술된 것처럼 내부 격벽(120)들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코너부(111)와 코너부(111)를 연결하여 대각방향으로 형성되었다는 점이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플로트 본체(100a) 내부공간에서 내부 격벽(120)에 의해 형성되는 분할 공간들이 외벽(110b) 하나와 내부 격벽(120) 2개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삼각구조를 형성하면서 사각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에 견디면서 파손이나 변형에 강한 구조를 갖게 된다.
더 중요한 점으로 상기 내부 격벽(120)은 상기 플로트 본체(100a)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대향하는 코너부(111)와 코너부(111)를 연결하는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플로트 본체(100a)의 코너부(111) 외측에 체결공(141)을 관통하여 걸쳐지는 체결핀(145)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고리(140)가 설치되어 이웃한 플로트들이 체결핀(145)을 중심으로 체결되는 경우에 있어서, 체결핀(145)을 통해 코너부(111)에 가해지는 인장력으로 인해 코너부(111)가 떨어져 나가는 형태로 쉽게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플로트 본체(100a)의 외벽(110b) 하단부와 내부 격벽(120) 하단부에는 하부 커버(100b)에 형성된 결합공(161)에 대응하여 관통한 후 하부 커버(100b)에 융착되는 다수의 융착돌기(13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융착돌기(130)의 경우 융착 전에는 도 7b와 같이 하부 커버(100b)의 결합공(161)을 통해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다가 융착이 진행되면서 압착되면 도 7c와 같이 하부 커버(100b)의 결합공(161)을 완전히 메우면서 하부 커버(100b)에 안정적으로 접합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융착돌기(130)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커버(100b)의 결합공(161)에 대응하여 라인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어 융착된 후 결합공(161)을 메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커버(100b)는 플로트 본체(100a)의 개방된 하면을 덮은 상태로 플로트 본체(100a)에 접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커버(100b)의 플레이트 몸체(150) 상면 둘레부를 따라 끼움홈(160)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60)에 상기 플로트 본체(100a)의 외벽(110b) 하단부가 밀접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끼움홈(160)은 하부 커버(100b)에서 서로 대향하는 코너부(111)들을 연결하면서 중앙부에서 교차하도록 대각방향으로도 추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 격벽(120) 하단부까지 대응하여 밀접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하부 커버(100b)의 경우 상기 끼움홈(160)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면 50mm 이하 두께를 갖는 얇은 플레이트에 지나지 않으며 끼움홈(160)이 형성된 부위까지 고려한다고 하여도 상하 높이가 100mm 이하에 불과하다. 이같은 하부 커버(100b)의 상하 높이에 비하면 플로트 본체(100a)의 상하 높이는 300mm 이상으로 형성되어 그 배율이 30배 이상이 된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예컨대 최근 제작된 샘플을 기준으로 각 부위의 치수들을 측정해보면, 플로트 본체(100a)는 융착돌기(130)를 제외하고 상하 높이 384mm, 체결고리(140)를 제외하고 전후 폭 및 좌우 폭 515mm인데 비해, 상기 하부 커버(100b)는 상하 높이 플로트 본체(100a)에 비해 더 연질이면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로트 본체(100a)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커버(100b)는 끼움홈(160)이 형성된 부위까지 포함하여 상하 높이 62mm, 전후 폭 및 좌우 폭 519mm였다.
여기서 상기 하부 커버(100b)는 플로트 본체(100a)에 비해 더 연질이면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로트 본체(100a)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커버(100b)는 상기 플로트 본체(100a)에 비해 연질의 소재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별도의 접합공정 또는 융착공정 없이도 상기 플로트 본체(100a)의 외벽(110b) 하단부와 내부 격벽(120) 하단부가 하부 커버(100b)의 끼움홈(160)에 밀접하게 끼워지면서 하부 커버(100b)가 플로트 본체(100a)에 밀착하여 결합된다. 상기 하부 커버(100b)에 의해 플로트 본체(100a)의 내부공간은 밀폐된 상태가 된다.
상기 하부 커버(100b)에는 끼움홈(160)을 따라 서로 이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공(16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61)은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공(161)에 대응하여 플로트 본체(100a)의 외벽(110b) 하단부와 내부 격벽(120) 하단부에 라인 형상의 돌기로 형성된 다수의 융착돌기(130)가 상기 결합공(161)을 통해 관통한 상태로 끼워진 후 융착될 수 있다. 이처럼 플로트 본체(100a)의 융착돌기(130)가 하부 커버(100b)의 끼움홈(160)에 형성된 결합공(161)을 관통하여 융착되면 상기 플로트 본체(100a)에 대하여 하부 커버(100b)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해수의 불규칙한 움직임으로 인해 다양한 방향으로 끊임없이 수압이 가해질 때 플로트 본체(100a)로부터 하부 커버(100b)가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해준다.
상기 하부 커버(100b)의 하면에서 끼움홈(160)의 형성으로 인해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위(160a)에는 다수의 융착돌기(130)와 열을 지어 돌출라인을 형성하는 다수의 보강돌기(170)가 형성된다. 이같은 보강돌기(170)는 상기 하부 커버(100b)와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융착돌기(130)와 함께 하부커버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으로 상기 보강돌기(170)는 융착돌기(130)보다 하측으로 조금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는 점이다. 이로써 외부 접촉이나 외력은 주로 하부 커버(100b)에 일체로 성형된 보강돌기(170)에 가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하부커버에 융착된 상태인 융착돌기(130)에 불필요한 손상이나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강돌기(170)는 플로트의 적재 시 지면이나 하측에 위치한 플로트와 접촉하면서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플로트 본체에는 내부공간을 분할시켜주는 내부 격벽이 형성되되 상기 내부 격벽은 상기 플로트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복수개가 대각방향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룸 플로트.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본체의 코너부 외측에는 체결핀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고리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 격벽은 상기 플로트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대향하는 코너부와 코너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핀을 통해 코너부에 가해지는 인장력으로 인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룸 플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본체는 상기 내부 격벽과 함께 일체화된 상판과 외벽을 가지면서 하면은 개방된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플로트 본체의 개방된 하면을 덮어주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룸 플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상면 둘레부와 중앙부를 경유하는 대각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상기 플로트 본체의 외벽 하단부와 내부 격벽 하단부가 밀접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룸 플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플로트 본체에 비해 더 연질이면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룸 플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본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플로트 본체에 비해 연질의 소재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룸 플로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끼움홈을 따라 서로 이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 본체의 외벽 하단부와 내부 격벽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관통한 후 상기 하부 커버에 융착되는 다수의 융착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룸 플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하부 커버의 끼움홈을 따라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융착돌기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라인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어 융착된 후 상기 결합공을 메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룸 플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하면에는 다수의 융착돌기와 열을 지어 돌출라인을 형성하는 다수의 보강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룸 플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융착돌기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외부 접촉과 외력으로부터 상기 융착돌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룸 플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120mm 이하의 상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커버 밀폐형 플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상하 높이는 상기 플로트 본체의 상하 높이와 비교하여 1/30 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커버 밀폐형 플로트.
PCT/KR2022/005935 2021-04-27 2022-04-26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WO202223126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50A KR102389231B1 (ko) 2021-04-27 2021-04-27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KR10-2021-0054450 2021-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1266A1 true WO2022231266A1 (ko) 2022-11-03

Family

ID=8145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5935 WO2022231266A1 (ko) 2021-04-27 2022-04-26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9231B1 (ko)
WO (1) WO2022231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231B1 (ko) * 2021-04-27 2022-04-22 스코트라 주식회사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971U (ko) * 2010-01-05 2011-07-13 박준국 수상 부유구조물
KR101705040B1 (ko) * 2016-04-20 2017-02-13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합성수지 요철형 내부 보강 몸체를 감싸 성형하는 부표
KR101813573B1 (ko) * 2016-12-29 2018-01-02 넥스트 주식회사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KR101985846B1 (ko) * 2017-11-28 2019-06-07 나미희 내구성을 향상시킨 부표
KR102200613B1 (ko) * 2020-01-21 2021-01-11 주식회사 마린이노베이션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방법
KR102389231B1 (ko) * 2021-04-27 2022-04-22 스코트라 주식회사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422B1 (ko) 2016-10-24 2018-12-14 이종목 융착부 보강형 멀티룸 플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971U (ko) * 2010-01-05 2011-07-13 박준국 수상 부유구조물
KR101705040B1 (ko) * 2016-04-20 2017-02-13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합성수지 요철형 내부 보강 몸체를 감싸 성형하는 부표
KR101813573B1 (ko) * 2016-12-29 2018-01-02 넥스트 주식회사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KR101985846B1 (ko) * 2017-11-28 2019-06-07 나미희 내구성을 향상시킨 부표
KR102200613B1 (ko) * 2020-01-21 2021-01-11 주식회사 마린이노베이션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방법
KR102389231B1 (ko) * 2021-04-27 2022-04-22 스코트라 주식회사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231B1 (ko)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231266A1 (ko)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WO2022231265A1 (ko) 하부 커버 밀폐형 플로트
WO2015163618A1 (ko) 해상 부유구조물용 부력파이프 연결소켓
WO2011136449A1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CA1286924C (en) Modular multi-storage building
WO2011099827A2 (ko) 콘크리트 부유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조립체
US4726316A (en) Floating storage building
WO2015119363A1 (ko) 조립식 폰툰
WO2018151476A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smc 물탱크
WO2015068885A1 (ko) 롤링을 방지하는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WO2014069701A1 (ko) 터널용 방수시트
KR101941999B1 (ko) 선박용 탱크 커버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CN109367724A (zh) 一种浮箱
WO2020196995A1 (ko)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CN209208995U (zh) 一种浮箱
WO2020138836A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WO2015199362A1 (ko) 접합식 플로팅 도크 및 확장 플로팅 도크
CN211037595U (zh) 一种易搭接的防排水板
US20130213969A1 (en) Fuel tanks
KR101757276B1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WO2023229076A1 (ko)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플랫폼
WO2024085452A1 (ko) 다방향 앵커
CN219840116U (zh) 一种混凝土挡土墙顶部与主体脱开结构
CN218152765U (zh) 一种通风管加强机构
CN210913488U (zh) 一种不易折断的泡沫内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960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960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