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971U - 수상 부유구조물 - Google Patents

수상 부유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971U
KR20110006971U KR2020100000033U KR20100000033U KR20110006971U KR 20110006971 U KR20110006971 U KR 20110006971U KR 2020100000033 U KR2020100000033 U KR 2020100000033U KR 20100000033 U KR20100000033 U KR 20100000033U KR 20110006971 U KR20110006971 U KR 201100069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fist
butterfly
joint
floa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국
Original Assignee
박준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국 filed Critical 박준국
Priority to KR2020100000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971U/ko
Priority to KR1020100002044A priority patent/KR20110080999A/ko
Publication of KR20110006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Zoology (AREA)
  • Toy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상 부유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다수의 부유체와 이를 결합하는 부재로 이루어진 수상 부유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기존에 직육면체의 구조물이 갖는 제조상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구조상 고강도의 외부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육각형에 기초를 둔 직 팔면체의 부유구조물로서 직육면체에 한옥 건축시의 목조이음방법의 하나인 주먹장이음과 나비장이음방법을 접목하여 부유 체 제조공정도 볼트와 너트 등을 고정하기위한 결합 공을 삽입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조립 또한 볼트와 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게 간편하게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수상 부유구조물{ floating structure}
본 고안은 수상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구조물에 비하여
제조공정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상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 부유체 라 함은, 해상이나 수상에 시공되어 낚시용 수상방갈로, 가두리 양식장의 시설물의 설치나 군사용의 가교 임시선착장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으로 등록된 것으로는 등록실용 20-0391018이 있다. 본 고안은 등록 실용 20-0391018을 개선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등록실용 20-0391018의 조립식 수상부유구조물 기술을 개선한 것이다.
기존 등록실용 20-0391018의 조립식 수상부유구조물 기술은 상부와 하부 그리고 네 개의 면을 가진 직육면체의 조립식 부유체의 결합에 대한 것으로 직육면체의 부유체의 네 방향의 면을 볼트와 너트 등으로 조립하게 되어있으나 이 과정에 결합을 위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고 구조체 결합을 위한 고정쇠를 구조체 중간에 삽입하는 공정을 걸쳐야하게 되어 제조상의 번거로움과 결합시의 번거로움이 있고 강도를 보강할 필요가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함이다.
본 고안은 수상 부유체에 대한 것으로 다수의 부유체와 이를 결합하는 부재로 이루어진 수상 부유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기존에 직육면체의 구조물이 갖는 제조상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구조상 고강도의 외부압력을 더욱 잘 견딜 수 있도록 육각형에 기초를 둔 직 팔면체의 부유구조물로서 직육면체에 한옥의 주먹장 이음과 나비장 이음방법을 접목하여 제조공정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조립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 된 것이다. 직육면체의구조체를 구조상 제일 튼튼하다고 알려진 벌집형태의 직 팔면체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강도를 훨씬 강하게 하였고 구조물을 결합하는 이음 방법을 전통적인 이음 방법인 한옥의 주먹장이음방법으로 직 육 면의 각 면을 암 수 주먹장의 형태로 한 칸 건너 띠워 나타나는 형태로 제작하여 시공 시 그냥 끼워 넣기만 하는 것으로 시공 및 조립이 완료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 및 조립에 아주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주먹장 형태의 노출로 인하여 이동 시의 불편함을 덜기 위하여 나비장 이음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동시에 고안하였다.
본 고안은 기존의 고안에 비하여 조립식 부유 구조물의 제작 및 설치에 용이하여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면1은 주먹장 이음구조와 나비장 이음구조를 가진 구조체의 입체사시도이다. 도면2는 주먹장형 구조체의 평면도 측면도 배면도이다.
도면3은 주먹장형 구조체의 입체사시도이다.
도면4는 주먹장형 구조체의 조립형태도이다.
도면5는 나비장형 구조체의 평면도 측면도 배면도와 나비장이음쇠의 도면이다.
도면6 나비장형 구조체의 입체사시도이다.
도면7 나비장형구조체의 조립형태도이다.
도면8 블럭별로 조립된 상태에서 별도의 상판을 놓을 때의 상판의 입체사시도이다.
도1의 100은 주먹장형구조체의 평면도와 입체사시도이다.
도1의 200은 나비장형구조체의 평면도와 입체사시도이다.
101은 주먹장이음구조체의 측면도이다
101a는 뚜껑의 측면도이며 101b는 본체의 측면도이다.
102는 주먹장이음구조체의 평면도이다
102a는 뚜껑의 평면도이며 102b는 본체의 평면도이다.
103은 주먹장이음구조체의 배면도이다.
103a는 뚜껑의 배면도이며 103b는 본체의 배면도이다.
104는 주먹장이음구조체의 조립 시 입체사시도로 위쪽에서 본 도면이다.
105는 주먹장이음구조체의 조립 시 입체사시도로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201은 나비장이음구조체의 측면도이다
201a는 뚜껑의 측면도이며 201b는 본체의 측면도이다.
202는 나비장이음구조체의 평면도이다
202a는 뚜껑의 평면도이며 202b는 본체의 평면도이다.
203은 나비장이음구조체의 배면도이다.
203a는 뚜껑의 배면도이며 203b는 본체의 배면도이다.
204a와 204b 측면도 204c는 평면도 204d는 입체사시도이다.
205는 나비장이음구조체의 조립입체사시도로 위쪽에서 본 도면이다.
206은 나비장이음구조체의 조립입체사시도로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본 고안은 조립식 부유체에 대한 것으로 목조구조물의 이음방법의 하나인 주먹장이음방법을 이용한 구조체(100)와 나비장이음방법을 이용한 구조체(200)로서 본 고안을 이용할 경우 부유체의 제작방법으로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이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이든 일체형으로 성형을 할 수 있어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형상과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먹장이음방법의 부유체는 직팔면체의 형태를 가진 구조체로서 육면체의 구조체 측면을 돌출 형 주먹장 형태(111)를 가진 이음새구조를 형성하고 그 주먹장에 대칭되게 맞추어지는 음각형의 홈(112)을 각 육 면의 각 면 중앙에 번갈아 조성하고 구조 체의 안쪽에는 구조체가 하중과 좌우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육 면 각 모서리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대(113) 구조를 만들고 그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구조체로 만든다. 이렇게 형성된 구조 체는 조립할 경우 106과 같이 홈으로 음각된 장소에 양각된 주먹장 형태가 들어맞아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것처럼 튼튼하게 그 형태가 유지하게 된다. 그 위에 뚜껑을 씌우면 107의 형태로 조립이 완성되게 된다. 이때 별도의 뚜껑을 만들지 않고 뚜껑을 덮은 상태의 모양으로 구조체를 제작하여도 된다.
육각형의 형태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히 사방에 분산시켜 자연계에서 가장 강력한 강도를 지니는 형태로 알려지고 입증되어 왔으므로 강도에 대해서는 부연 설명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조립하는 방법도 하나의 구조 체에 연결하려고 하는 구조 체를 위에서 홈을 잘 맞춰 삽입하기만하면 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시공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나비장이음방법(102)을 사용하면 제작과 운반 그리고 시공 과정에 돌출된 주먹장으로 인한 상호 부딪힘과 구조체간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나비장이음방법의 구조 체는 육각면의 각 면을 암주먹장형태로 일정하게 홈을 형성하게 하고 성형을 하면 된다. 그리고 조립시의 연결은 나비 형태의 연결부재(204)를 사용하여 끼워 맞추기를 하면 된다.
111은 주먹장 이음쇠이다.
112는 이음쇠가 들어갈 음각 형 홈이다.
113은 내부지지대
204는 나비장 이음쇠이다.
211은 나비장형태의 홈이다.
212는 내부지지대이다

Claims (2)

  1. 상부 하부 그리고 육 면의 구조를 가진 직 팔면체의 구조물로서 주먹장형태의 이음구조를 지니고 암 수 주먹장의 형태로 육 면에 번갈아 구성하고 내부를 외부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지지대를 형성하고 내부를 공기로 채워 수상부유가 가능하도록 한 부유 체(101).
  2. 상부 하부 그리고 육 면의 구조를 가진 직 팔면체의 구조물로서 육 면의 각 면을 나비장형태의 이음구조를 지니고 나비장 이음쇠로 서로 조립하도록 하고, 내부를 외부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지지대를 형성하고 내부를 공기로 채워 수상부유가 가능하도록 한 부유 체(102).
KR2020100000033U 2010-01-05 2010-01-05 수상 부유구조물 KR20110006971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033U KR20110006971U (ko) 2010-01-05 2010-01-05 수상 부유구조물
KR1020100002044A KR20110080999A (ko) 2010-01-05 2010-01-09 수상 부유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033U KR20110006971U (ko) 2010-01-05 2010-01-05 수상 부유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71U true KR20110006971U (ko) 2011-07-13

Family

ID=455685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033U KR20110006971U (ko) 2010-01-05 2010-01-05 수상 부유구조물
KR1020100002044A KR20110080999A (ko) 2010-01-05 2010-01-09 수상 부유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044A KR20110080999A (ko) 2010-01-05 2010-01-09 수상 부유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1000697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0904A (zh) * 2014-01-24 2014-05-07 李杏健 全向驱动阵列式组合船舶
KR102389231B1 (ko) * 2021-04-27 2022-04-22 스코트라 주식회사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KR102389229B1 (ko) * 2021-04-27 2022-04-22 스코트라 주식회사 하부 커버 밀폐형 플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348B1 (ko) * 2013-08-02 2013-12-04 한성호 충격흡수장치가 결합된 수상부유구조체
KR20150091784A (ko) * 2014-02-04 2015-08-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길이 가변 선박
KR101603167B1 (ko) * 2015-01-29 2016-03-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수의 부유체로 이루어지는 해상 부유 구조물
ES2553659B1 (es) * 2015-07-20 2016-06-29 Zunibal, S.L. Plataforma flotante
KR101710713B1 (ko) * 2016-03-04 2017-02-27 금원전기솔라텍(주)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
WO2020021507A1 (en) * 2018-07-26 2020-01-30 Legacy Foundry Ag Modular 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0904A (zh) * 2014-01-24 2014-05-07 李杏健 全向驱动阵列式组合船舶
KR102389231B1 (ko) * 2021-04-27 2022-04-22 스코트라 주식회사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KR102389229B1 (ko) * 2021-04-27 2022-04-22 스코트라 주식회사 하부 커버 밀폐형 플로트
WO2022231266A1 (ko) * 2021-04-27 2022-11-03 스코트라 주식회사 대각방향 내부 격벽을 구비한 멀티룸 플로트
WO2022231265A1 (ko) * 2021-04-27 2022-11-03 스코트라 주식회사 하부 커버 밀폐형 플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999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6971U (ko) 수상 부유구조물
CN104350967A (zh) 一种可拼接的塑木花箱
CN203819480U (zh) 一种海上平台
JP2012011992A (ja) アルミ構造柱による浮島造成工法
CN203701142U (zh) 一种具有种植功能的生态型自嵌式挡墙砖
KR200198228Y1 (ko) 조립식 입체 판블록
CN103921904A (zh) 一种海上平台
TWM313641U (en) Float structure
CN204645401U (zh) 预制墙板结构
CN205557990U (zh) 一种高强度加气混凝土砌块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CN207260070U (zh) 万向生态景观组合护岸的受力桩
CN203129411U (zh) 多功能储水砌块
CN201823316U (zh) 正立方体组合积木
CN207700755U (zh) 一种有效增大使用空间的模块化复式住宅
CN203838963U (zh) 一种积木式建筑模型层间扣件
CN206346186U (zh) 地热混凝土桩
CN204676766U (zh) L型保温模块
KR101830357B1 (ko) 벽체 시공용 블록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CN214302668U (zh) 整体卫浴壁板与外围合墙体的连接构造
KR20140120988A (ko) 전복 양식 그물 고정용 하부틀
CN201722744U (zh) 一种排除积水装置
CN202873398U (zh) 自承重绿化模块
CN203729436U (zh) 一种组合式房屋箱
CN202924015U (zh) 卡板主体及具有该卡板主体的卡板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