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15918A1 - 원통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원통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15918A1
WO2022215918A1 PCT/KR2022/004211 KR2022004211W WO2022215918A1 WO 2022215918 A1 WO2022215918 A1 WO 2022215918A1 KR 2022004211 W KR2022004211 W KR 2022004211W WO 2022215918 A1 WO2022215918 A1 WO 20222159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battery
electrode plate
present
cylindrical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42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성건규
안동진
이호재
정현기
조예진
이연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주)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주)
Priority to US18/003,95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61352A1/en
Priority to CN202280015554.1A priority patent/CN116868393A/zh
Priority to EP22784828.0A priority patent/EP4322270A1/en
Publication of WO20222159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159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cell performance distribution.
  •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cylindrical electrode assembly, a cylindrical can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and a cap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can to seal the can and allow current generat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o flow to an external device.
  • the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by rolling a negative electrode substrate and a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ape is attached to prevent the rolled ends from unraveling.
  •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negative electrode plate,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having a shape wound in one direction; a finishing tape made of a metal material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 cylindrical can with one side open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and a cap assembly coupled to an open side of the can to seal the can.
  • the closing tape includes a metal region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n, and an adhesive region formed on the metal region and attached to the electrode assembly.
  • the adhesive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peatedly formed on the metal region to have a preset shape and spacing.
  • the adhesive reg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vertical line, a horizontal line, a grid, and a dot shape.
  • the closing ta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end of the winding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length (L2) of the closing tape is characterized in that 10 to 100% of the length (L1)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closing ta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 the metallic tape by applying the metallic tape to the winding finish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dispersion of the substrate finish structure due to the long diameter dispersion.
  • the metallic tape serves as an additional end tab (substrate tab), thereby improving cell performance distribution.
  • FIG.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FIG. 1 .
  • FIG. 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n area of FIG. 3 .
  •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ttachment form of a closing tap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S. 8 to 10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losing tap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are limited by these terms, so that It is self-evident that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portion. Accordingly,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discuss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 Space-related terms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and “upper” refer to an element or feature shown in the drawings and It may be us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other elements or features. These space-related term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process conditions or usag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in a figure is turned over, an element or feature described as “below” or “below” becomes “above” or “above”. Accordingly, “lower” is a concept encompassing “upper” or "below”.
  • FIG.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 a typic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10 includes a cylindrical can 100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lectrode assembly 300 accommodated in the can, and a cap assembly inserted into the opening ( 500) may be included.
  • the can 100 includes a circular bottom portion 110 and a side portion 130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portion 110 ,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130 has an open sha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ning).
  • the electrode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the can 100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through the opening of the can 100 .
  • the can 100 may be formed of steel, a steel alloy, nickel-plated steel, nickel-plated steel alloy, aluminum, an aluminum alloy, or an equivalent thereof, but the material thereof is not limited herein.
  • the cap assembly 50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can 100 .
  • a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n 100 so that the inserted cap assembly 500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of the can 100 .
  • the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may be a beading part 132 and a crimping part 134 .
  • the electrode assembly 300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plate 310 in whic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g, graphite, carbon, etc.) is coated on a negative electrode substrate (negative uncoated region),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g, transition metal oxide (LiCoO2, LiNiO2, LiMn2O4) etc.)) is disposed between the coated positive electrode plate 320,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10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20 to prevent a short circuit and include a separator 330 that enables only movement of lithium ions.
  •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g, graphite, carbon, etc.
  •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g, transition metal oxide (LiCoO2, LiNiO2, LiMn2O4) etc.
  •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20 After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10 ,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20 , and the separator 330 are woun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y may be fixed to maintain the winding state with a closing tape (see FIG. 2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 the negative electrode substrate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10 may be copper (Cu) or nickel (Ni) foil
  • the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20 may be aluminum (Al) foil
  • the separator 330 may be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 PE polyethylene
  • PP polypropylene
  • a negative electrode tab 340 protruding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welded to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10
  • a positive electrode tab 350 protru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weld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20 , but vice versa.
  • the negative electrode tab 340 may be made of copper or nickel
  • the positive electrode tab 350 may be made of aluminu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egative electrode tab 340 may be welded to the bottom 110 of the can 100 , and in this case, the can 100 may operate as a negative electrode.
  • the positive electrode tab 350 may be welded to the bottom 110 of the can 100 , and in this case, the can 100 may operate as a positive electrode.
  • first insulating plate 360 and the second insulating plate 370 may be interposed i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
  • the first insulating plate 360 prevents the positive plate 320 from electrically contacting the bottom 110 of the can 100
  • the second insulating plate 370 allows the negative plate 31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ap assembly 500 to the cap assembly 500 . Avoid contact.
  • the above-described closing tape 400 is attached to the wound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so as not to be unwound while the electrode assembly 300 is wound.
  •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FIG. 1 .
  • FIG. 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n area of FIG. 3 .
  •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ttachment form of a closing tap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de assembly 300 i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separator 330 interpos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10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20 . Assuming that an imaginary central axis exis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 this central axis becomes the winding axis A.
  • the electrode assembly 300 is fixed by the closing tape 400 so as not to be loosened.
  • a winding start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is defined as an inner end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 a winding end portion is defined as an outer end portion.
  • the closing tape 400 is attached to cover a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 and is attach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 Therefore, the closing tape 4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 or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
  • the length L2 of the closing tape 400 in the same direction may be 10 to 100% of L1.
  • the length L2 of the closure tape 400 may be approximately 60% of the length L1 .
  • the length L2 of the closing tape 400a may be approximately 80% of the length L1
  • the length L2 of the closing tape 400b is approximately 20% of L1 .
  • the closing tape 400c may be attached to the electrode assembly 300 by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tapes having a length L2 that is about 20% of the length of L1 .
  • the closing tape 400c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attached adjacently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340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350 .
  • the closing tape 400c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middle portion of L1.
  • the closing tape 400 may include a metal region 410 and an adhesive region 420 .
  • the metal region 410 may be made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to the electrode plat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last turn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
  •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10 may b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FIG. 2 .
  • the metal region 410 may be made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s the substrate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10 .
  • the metal region 410 may be made of any one of copper, nickel, and an alloy material of copper and nickel.
  • the adhesive region 420 may be formed by applying, coating, or attaching an adhesive material on the metal region 410 .
  • the adhesive region 4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dhesive properties by reacting with an electrolyte within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of the secondary battery.
  • the adhesive region 420 may be made of an acrylic or PVdF-based binder material.
  • the adhesive region 420 serves to fix the electrode assembly 300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is not unwound in a wound state.
  • the metal region 410 is a metal material that is a conductor, it may come in contact with the can 100 and serve as a substrate tab. That is, since the metal region 41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negative electrode substrate, the can 100 and the negative electrode substrate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metal region 410 . That is, since the metal region 410 enables the movement of electrons, it may serve as a tab.
  •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300 is small, the can 100 and the negative electrode substrate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us cannot serve as a tab.
  • the closing tape 400 has the metal region 410 , the negative electrode substrat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an 100 according to a change in diameter, thereby improving the problem of not functioning as a substrate tab.
  • the adhesive region 42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metal region 410 .
  • the adhesive region 420 may be formed on the metal region 410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vertical lin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refore, the closing tape 40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metal region 410 and the adhesive region 420 are alternately disposed. That is, in the metal region 410 , only the portion where the adhesive region 420 is not formed is exposed.
  • the arrangement of the metal region 410 and the adhesive region 4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FIGS. 8 to 10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losing tap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adhesive area 420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metal area 410d. Accordingly, the closing tape 400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metal region 410d and the adhesive region 420d are alternately disposed.
  • the adhesive area 420e may be formed on the metal area 410e in a grid shape. Accordingly, the metal region 410e may appear to be disposed on the adhesive region 420e in a plurality of rectangular shapes.
  • the adhesive region 420f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dot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the metal region 410f. have.
  • the adhesive regions 420f may be disposed on the metal regions 410f at regular intervals.
  • the shape of the closing tapes 400d to 400f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 metallic finishing tape serves as an additional end tab (substrate tab), thereby improving cell performance distrib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극판, 양극판,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사이에 개제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권취된 형태를 갖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금속 소재의 마감 테이프; 일측이 개방되어 전해질과 함께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캔; 및 상기 캔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권취 마감 부위에 금속성 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장경 산포로 인한 기재 마감 구조의 품질 산포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성 테이프가 추가적인 종단탭(기재탭) 역할을 하여 셀 성능 산포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이차전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셀 성능 산포를 개선할 수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이차전지는 원통 형태의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원통 형태의 캔과, 캔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어 캔을 밀봉하고 전극 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외부장치로 흐르게 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 중 전극 조립체는 음극 기재 및 양극 기재를 원통 형태로 말아 형성하고, 말린 단부가 풀리지 않도록 테이프 등을 부착한다.
최근 고출력, 고용량 전지에 대한 요구에 따라, 원통형 캔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재 마감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셀 성능 산포를 개선할 수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는 음극판, 양극판,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권취된 형태를 갖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금속 소재의 마감 테이프; 일측이 개방되어 전해질과 함께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캔; 및 상기 캔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 테이프는 상기 캔의 내주면 일측에 접촉되는 금속 영역과, 상기 금속 영역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에 부착되는 점착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 영역은 상기 금속 영역 상에 미리 설정된 형태 및 간격을 갖도록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점착 영역은 세로줄, 가로줄, 격자, 도트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 테이프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끝 부분인 외측 단부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마감 테이프의 길이(L2)는 상기 전극 조립체 길이(L1)의 10~100%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마감 테이프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권취 마감 부위에 금속성 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장경 산포로 인한 기재 마감 구조의 품질 산포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성 테이프가 추가적인 종단탭(기재탭) 역할을 하여 셀 성능 산포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원통형 이차전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감 테이프의 부착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감 테이프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하부"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원통형 이차전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원통형 이차전지(10)는 길이 방향 일단에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캔(100)과, 캔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300)와, 개구에 삽입되는 캡 어셈블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캔(100)은 원형의 바닥부(110)와, 바닥부(11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부(130)를 포함하며, 측부(130)의 상부는 개방된 형태(이하 개구부)이다. 이차전지(B)의 제조 공정에서 캔(100)의 개구부를 통해 전극 조립체(300)가 전해액과 함께 캔(100) 내부로 삽입된다. 캔(100)은 스틸, 스틸 합금, 니켈 도금된 스틸, 니켈 도금된 스틸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이의 등가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캔(100)의 개구부에는 캡 어셈블리(500)가 삽입된다. 삽입된 캡 어셈블리(500)가 캔(10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캔(100)의 상부에 이탈 방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 방지 구조는 비딩부(beading part, 132) 및 크림핑부(crimping part, 134)가 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300)는 음극 기재(음극 무지부)에 음극 활물질(예를 들어, 흑연, 탄소 등)이 코팅된 음극판(310), 양극 활물질(예를 들면, 전이금속산화물(LiCoO2, LiNiO2, LiMn2O4 등))이 코팅된 양극판(320), 음극판(310)과 양극판(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만 가능하게 하는 세퍼레이터(330)를 포함한다. 음극판(310), 양극판(320) 및 세퍼레이터(330)는 대략 원기둥 형태로 권취된 후, 마감 테이프(도 2 참조, 후술함)로 권취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극 조립체(300)가 캔(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음극판(310)의 음극 기재는 구리(Cu) 또는 니켈(Ni) 포일, 양극판(320)의 양극 기재는 알루미늄(Al) 포일, 세퍼레이터(330)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위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음극판(310)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연장된 음극탭(340)이, 양극판(320)에는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양극탭(350)이 용접될 수 있으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음극탭(340)은 구리 또는 니켈 재질, 양극탭(350)은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위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음극탭(340)은 캔(100)의 바닥부(110)에 용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캔(100)은 음극으로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양극탭(350)이 캔(100)의 바닥부(110)에 용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캔(100)은 양극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300)의 상하부에는 제1 절연판(360) 및 제2 절연판(370)이 개제될 수 있다. 제1 절연판(360)은 양극판(320)이 캔(100)의 바닥부(11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제2 절연판(370)은 음극판(310)이 캡 어셈블리(50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마감 테이프(400)는 전극 조립체(300)가 권취된 상태에서 풀리지 않도록 전극 조립체(300)의 감긴 단부에 부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감 테이프의 부착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300)는 음극판(310)과 양극판(320)의 사이에 세퍼레이터(330)가 개재된 상태에서 원통 형태로 감기게 된다. 전극 조립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축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이 중심축이 권취축(A)이 된다. 전극 조립체(300)는 마감 테이프(400)에 의해 고정되어 풀리지 않게 된다. 편의상 전극 조립체(300)의 권취 시작 부분을 전극 조립체(300)의 내측 단부, 권취 끝 부분을 외측 단부로 정의한다. 마감 테이프(400)는 전극 조립체(300)의 권취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부를 커버하도록 부착되되 전극 조립체(3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된다. 따라서 마감 테이프(40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300)의 외주면에 감기는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고,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300)의 외주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전극 조립체(300)의 권취축 방향 길이를 L1이라고 하면, 동일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 마감 테이프(400)의 길이 L2는 L1의 10~100%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테이프(400)의 길이 L2는 대략 L1의 60% 길이일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테이프(400a)의 길이 L2가 대략 L1의 80% 길이일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테이프(400b)의 길이 L2가 L1의 약 20% 일 수도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테이프(400c)는 L1의 약 20% 길이인 L2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테이프로 구성되어 전극 조립체(3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마감 테이프(400c)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음극탭(340) 및 양극탭(350)과 인접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마감 테이프(400c)가 L1의 중간 부분에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테이프(400)는 금속 영역(410)과 점착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영역(410)은 전극 조립체(300)의 마지막 턴에서 최외곽에 배치되는 전극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음극탭(340)이 캔(100)에 접촉되어 캔(100)의 극성이 음극을 띄므로, 도 2에서 최외곽에 음극판(3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금속 영역(410)은 음극판(310)의 기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금속 영역(410)은 구리, 니켈, 구리와 니켈의 합금 재질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점착 영역(420)은 금속 영역(410) 상에 접착성이 있는 소재를 도포, 코팅하거나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점착 영역(420)은 이차전지의 작동 온도 범위 내에서 전해액과 반응하여 점착 성질을 갖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영역(420)은 아크릴계 또는 PVdF계 바인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점착 영역(420)은 전극 조립체(300)의 외측 단부가 권취된 상태로 풀리지 않도록 전극 조립체(3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금속 영역(410)은 전도체인 금속 소재이므로 캔(100)과 접촉되어 기재탭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금속 영역(410)이 음극 기재와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지므로, 금속 영역(410)에 의해 캔(100)과 음극판(310)의 음극 기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금속 영역(410)이 전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탭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300)의 직경이 작은 경우 캔(100)과 음극 기재가 접촉하지 못해 탭 역할을 할 수 없다. 그러나 마감 테이프(400)가 금속 영역(410)을 갖게 되면 직경 변화에 따라 음극 기재가 캔(100)과 접촉하지 못해 기재탭 역할을 못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점착 영역(420)은 금속 영역(410) 상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영역(420)은 소정의 폭을 갖는 복수의 세로줄 형태로 금속 영역(4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감 테이프(400)는 금속 영역(410)과 점착 영역(420)이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금속 영역(410)은 점착 영역(4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만 그 형태가 드러나게 된다.
그러나 금속 영역(410)과 점착 영역(420)의 배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감 테이프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감 테이프(400d)는 금속 영역(410d) 상에 점착 영역(420d)이 소정의 폭을 갖는 복수의 가로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감 테이프(400d)는 금속 영역(410d)과 점착 영역(420d)이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감 테이프(400e)는 금속 영역(410e) 상에 점착 영역(420e)이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영역(410e)이 복수의 사각형 형상으로 점착 영역(420e) 상에 배치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감 테이프(400f)는 금속 영역(410f) 상에 점착 영역(420f)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도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 영역(420f)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금속 영역(410f)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마감 테이프(400d~400f)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의 권취 마감 부위에 금속성 마감 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장경 산포로 인한 기재 마감 구조의 품질 산포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성 마감 테이프가 추가적인 종단탭(기재탭) 역할을 하여 셀 성능 산포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음극판, 양극판,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권취된 형태를 갖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금속 소재의 마감 테이프;
    일측이 개방되어 전해질과 함께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캔; 및
    상기 캔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테이프는 상기 캔의 내주면 일측에 접촉되는 금속 영역과, 상기 금속 영역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에 부착되는 점착 영역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영역은 상기 금속 영역 상에 미리 설정된 형태 및 간격을 갖도록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영역은 세로줄, 가로줄, 격자, 도트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테이프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끝 부분인 외측 단부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마감 테이프의 길이(L2)는 상기 전극 조립체 길이(L1)의 10~100%인 원통형 이차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테이프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PCT/KR2022/004211 2021-04-06 2022-03-25 원통형 이차전지 WO202221591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03,957 US20230261352A1 (en) 2021-04-06 2022-03-25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N202280015554.1A CN116868393A (zh) 2021-04-06 2022-03-25 圆柱形二次电池
EP22784828.0A EP4322270A1 (en) 2021-04-06 2022-03-25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77 2021-04-06
KR1020210044577A KR20220138652A (ko) 2021-04-06 2021-04-06 원통형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5918A1 true WO2022215918A1 (ko) 2022-10-13

Family

ID=8354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4211 WO2022215918A1 (ko) 2021-04-06 2022-03-25 원통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61352A1 (ko)
EP (1) EP4322270A1 (ko)
KR (1) KR20220138652A (ko)
CN (1) CN116868393A (ko)
WO (1) WO202221591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413A (ja) * 2001-11-30 2003-06-13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73815A (ja) * 2001-12-06 2003-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式角型アルカリ蓄電池
JP2007184238A (ja) * 2005-12-29 2007-07-19 Samsung Sdi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090105619A (ko) * 2008-04-03 2009-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4931492B2 (ja) * 2006-06-28 2012-05-16 三洋電機株式会社 円筒型蓄電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413A (ja) * 2001-11-30 2003-06-13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73815A (ja) * 2001-12-06 2003-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式角型アルカリ蓄電池
JP2007184238A (ja) * 2005-12-29 2007-07-19 Samsung Sdi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931492B2 (ja) * 2006-06-28 2012-05-16 三洋電機株式会社 円筒型蓄電池
KR20090105619A (ko) * 2008-04-03 2009-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68393A (zh) 2023-10-10
US20230261352A1 (en) 2023-08-17
EP4322270A1 (en) 2024-02-14
KR20220138652A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75990A1 (ko) 이차전지
CN101271985B (zh) 可再充电电池及其制造方法
KR100571268B1 (ko)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WO2013095057A1 (ko) 활물질이 패턴 코팅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WO2021020743A1 (ko) 이차 전지
WO2014133275A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9478781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WO2022039369A1 (ko) 이차전지
WO2021241939A1 (ko) 이차전지
WO2020235916A1 (ko) 이차 전지
WO2020067688A1 (ko) 이차 전지
WO2019208985A1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19151662A1 (ko)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110056117A (ko) 원통형 이차 전지
WO2011118961A2 (ko) 이차 전지 및 이에 채용되는 커버 조립체
WO2019212164A1 (ko) 이차 전지
WO2019074197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1118020A1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0204385A1 (ko) 이차 전지
WO2019160236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8216891A1 (ko) 이차 전지
WO2018164389A1 (ko) 이차 전지
WO2021033985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2196937A1 (ko) 원통형 이차전지
WO2022215918A1 (ko) 원통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848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15554.1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848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848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