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91603A1 -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91603A1
WO2022191603A1 PCT/KR2022/003303 KR2022003303W WO2022191603A1 WO 2022191603 A1 WO2022191603 A1 WO 2022191603A1 KR 2022003303 W KR2022003303 W KR 2022003303W WO 2022191603 A1 WO2022191603 A1 WO 20221916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ug administration
user
drug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33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종원
이혜원
김형석
박수범
오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8/280,87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48977A1/en
Priority to CN202280018823.XA priority patent/CN116963790A/zh
Publication of WO20221916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916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61M5/31568Means keeping track of the total dose administered, e.g. since the cartridge was inser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61M5/31546Electrically operated dose setting, e.g. input via touch screen or plus/minus butt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61M2005/3126Specific display means related to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Definitions

  • Figure 4c is a view showing a record of drug administr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 step S110 the smart case 100 may be powered on by the user.
  • step S120 the terminal 200 may execute an application.
  • step S203 the smart case 100 may receive and store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code including the date data from the terminal 200 .
  • step S203 the smart case 100 may delete the drug administ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if the date is the same as the date of the current time in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code including the date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은 약물 투여 장치를 수납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약물 투여 부위 입력 버튼 별로 약물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케이스 및 상기 스마트 케이스로부터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관련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2021.03.09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1-0031022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한다.
기술분야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질병을 치료하거나 체중 감소나 성장 호르몬 투여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액상의 약물을 주기적으로 자가 투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약물의 자가 투여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정해진 시간에 정확한 용량의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자가 투여용 주사들은 단순히 투여 용량만을 설정하고 주사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에 불과하며, 전문가가 아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투여량과 투여 시간 등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약물 투여를 실시하면서 일일이 투여 용량과 투여 시간을 기록 해놓지 않으면, 약물 투여 여부를 망각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본인의 약물 투여 여부나 약물 투여량 및 약물 투여 시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면 해당 약물로 인한 효과를 온전하게 구현하기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부작용이 생기는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약물의 투여 부위 및 용량 등의 약물 투여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은 약물 투여 장치를 수납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약물 투여 부위 입력 버튼 별로 약물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케이스 및 상기 스마트 케이스로부터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일자 및 약물 투여 시간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계획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약물 투여량 및 상기 약물 투여 부위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약물 투여량 및 상기 약물 투여 부위에 관한 설정 값을 상기 스마트 케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상기 스마트 케이스로부터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기 설정된 약물 투여 계획과 상기 스마트 케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약물 투여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한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완료 여부 또는 약물 투여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부위 별로 상기 사용자의 약물의 투여 완료 여부 또는 약물 투여율을 구분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 케이스는 성장 호르몬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 장치를 수납하고, 상기 단말은 성장 호르몬 투여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키 및 체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장 기록 데이터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 케이스는 전원이 켜지면 상기 단말과 자동으로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스마트 케이스에 저장된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상기 단말로 자동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스마트 케이스로부터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케이스에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 케이스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말에 전송한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 케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약물 투여 부위 입력 버튼 별로 약물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일자 및 약물 투여 시간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계획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량 및 약물 투여 부위에 관한 설정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된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투여 부위별로 약물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약물 투여 계획과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완료 여부 또는 약물 투여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부위 별로 상기 사용자의 약물의 투여 완료 여부 또는 약물 투여율을 구분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약물 투여 관리용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케이스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약물의 투여 부위 및 용량 등의 약물 투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약물 투여 계획 설정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약물 투여 정보의 입력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약물 투여 정보의 기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약물 투여 정보의 모니터링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스와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문서에 개시된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1000)은 스마트 케이스(100) 및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가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약물 투여 장치(예를 들면, 주사기구 등)를 수납하는 케이스일 수 있다.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가 약물 투여 장치를 통해 투여한 약물의 투여량, 약물 투여 부위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버튼(입력부)과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하는 LED 화면(디스플레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가 약물 투여 장치를 통해 약물을 투여하고, 약물 투여량과 약물 투여 부위 등의 약물 투여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약물 투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약물 투여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사용자의 약물 투여 부위와 약물 투여량에 관한 약물 투여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휴대용 장치뿐만 아니라 랩탑(laptop) 컴퓨터나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와 같은 다른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200)이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작 및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200)은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장치로서, 사용자의 약물 투여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 케이스(100)로부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고, 약물 투여량 또는 약물 투여 부위 등에 관한 설정값들을 스마트 케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케이스(100)와 단말(200)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케이스(100)와 단말(200)은 블루투스, wifi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케이스(100)는 전원이 켜지면 자동으로 단말(200)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가 완료되면, 스마트 케이스(100)는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 중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200)은 스마트 케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약물 투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약물 투여 계획, 투여 기록, 투여 결과(효과)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계획과 스마트 케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약물 투여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약물 투여 완료 여부 또는 약물 투여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 케이스(1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마트 케이스(100)는 약물 투여 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케이스(100)는 성장 호르몬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 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
스마트 케이스(100)는 약물 투여 장치를 수납하고, 사용자가 약물 투여 장치를 통해 투여한 약물의 투여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약물 투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약물 투여 장치 사용 이력 및 약물 투여 이록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케이스(10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통신부(130) 및 알람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약물 투여 정보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약물 투여 정보는 사용자의 약물 투여 부위 및 약물 투여량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10)는 전원 버튼, 투여량 조절 버튼, 투여 부위 입력 버튼, 음량 조절 및 음소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투여량 조절 버튼 및 투여 부위 입력 버튼에 약물 투여량 및 약물 투여 부위를 포함하는 약물 투여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LED 화면 상에 사용자의 약물 투여 부위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약물 투여 부위는 팔, 배, 허벅지, 엉덩이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부위에 관하여 왼쪽 및 오른쪽 여부(L, R)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LED 화면 상에 기본적으로 약물 투여 부위에 점등할 수 있고, 사용자가 특정 부위에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에 약물 투여 부위에 해당하는 LED 화면을 터치하면 해당 부위에 대한 표시만 소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약물 투여 부위 입력 버튼별로 약물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왼쪽 팔에 약물을 투여한 경우, 스마트 케이스(100)의 LED 화면 상에서 팔(L)로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면 해당 부분만 불이 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후에 스마트 케이스(100)의 전원을 켜는 경우, 약물 투여 부위 표시의 점멸을 보고 전날 어느 부위에 약물을 투여했는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통신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전원이 켜지면 단말(200)과 자동으로 동기화를 수행하여 스마트 케이스(100)에 저장된 약물 투여 정보를 단말(200)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200)은 통신부(130)로부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스마트 케이스(100)에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케이스(100)의 통신부(130)는 단말(200)로부터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케이스(10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에 있어서, 날짜가 현 시점의 날짜와 동일하다면 단말(200)에 전송한 약물 투여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케이스(100)는 이미 전송된 약물 투여 정보를 단말(200)에 중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알람부(140)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부(140)는 안내음 또는 알림 메시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알람부(140)는 전원이 일정 시간 동안 오프되지 않으면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에 약물을 투여하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알람부(140)는 사용자의 입력부(110)를 통한 입력을 통해 알람을 설정하거나, 또는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설정 시간에 기초하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부(140)는 사용자에게 안내 메시지 또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40)는 스마트 케이스(100)의 전원이 켜진 후 외부 장치와의 동기화가 기준 시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의 입력부(110)는 제1 입력부(110a), 제2 입력부(110b), 제3 입력부(110c) 및 제4 입력부(11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10a)는 스마트 케이스(1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즉, 제1 입력부(110a)는 전원 버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10a)를 짧게 누르는 경우, 스마트 케이스(1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 케이스(100)의 사용을 완료하고 전원을 오프하기 위해 제1 입력부(110a)를 다시 터치하는 경우 설정된 투여 용량과 약물 투여 부위에 관한 정보가 자동으로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과 동기화되어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는 스마트 케이스(10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저장부(미도시)에 자동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입력부(110a)에 의해 스마트 케이스(100)와 단말(200)이 동기화된 경우에는 스마트 케이스(100) 상의 블루투스 연결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기화를 시작하는 경우에 스마트 케이스(100)에서는 “동기화(페어링)를 시작합니다.”라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동기화가 완료된 경우에는 블루투스 연결음과 함께 “동기화가 완료되었습니다. 투여 용량을 설정해주세요.”와 같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케이스(100)와 단말(200)의 동기화가 완료된 경우에는 스마트 케이스(1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 중 단말(200)로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가 있으면 자동으로 해당 약물 투여 정보 데이터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케이스(100)에서는 “약물 투여 부위가 전송되었습니다.”와 같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200)로 전송된 약물 투여 정보 데이터는 일정 시간 후에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10b)는 사용자로 하여금 약물 투여 부위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2 입력부(110b)는 스마트 케이스(100)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부위에 약물을 투여한 후, 제2 입력부(110b)를 통해 약물 투여 부위를 터치하면 해당 부위에 대응되는 스마트 케이스(100) 상의 표시가 소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른쪽 허벅지에 약물을 투여한 후, 제2 입력부(110b) 중 허벅지(L)에 해당하는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해당 영역의 표시가 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제2 입력부(110b)를 통해 약물 투여 부위가 입력되면 해당 약물 투여 부위와 약물 투여량에 관한 정보가 스마트 케이스(100)에 자동으로 저장되며, 또한 스마트 케이스(100)를 통해 약물 투여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스마트 케이스(100)에 마련된 제2 입력부(110b)를 통해 약물 투여 부위를 터치하여 LED 표시를 점멸함으로써, 자신이 이미 투여를 실시한 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날짜에 임의의 부위에 약물을 투여하였다면 다음날에는 스마트 케이스(100) 상의 약물 투여 부위 표시의 점멸 여부를 확인하여 전날과는 다른 부위에 약물을 투여하도록 할 수 있다.
제3 입력부(110c)는 사용자로 하여금 약물 투여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3 입력부(110c)를 조작하여 원하는 약물 투여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물 투여량은 IU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제3 입력부(110c)에 의해 설정된 약물 투여량은 스마트 케이스(100) 상에 수치로 표시될 수 있다.
제4 입력부(110d)는 스마트 케이스(100)에 의한 경고음 또는 안내 메시지 등의 음량을 조절하거나 음소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4 입력부(110d)를 누를 때마다 음량이 단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 이상 제4 입력부(110d)를 누르는 경우 음소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입력부(110d)는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예를 들면, 2초 이상) 누르는 경우에는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케이스(100)는 약물의 투여 용량과 약물 투여 부위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좌측을 참조하면, 스마트 케이스(100) 상에는 약물의 투여 용량을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약물 투여 용량은 스마트 케이스(10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값이거나, 스마트 케이스(100)와 동기화되는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값을 수신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의 약물 투여 부위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약물 투여 부위는 기본적으로 점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약물을 투여한 부위를 터치하는 경우 해당 부위의 LED 표시를 소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케이스(100) 상의 약물 투여 부위는 일정 시간(예를 들면, 36시간)이 지나면 다시 리셋되어 모든 부위의 LED 표시가 점등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스마트 케이스(100)의 스마트 케이스(100)를 통해 이전에 이미 약물을 투여한 부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가 약물 투여 부위를 터치하지 않고 전원을 끄거나, 약물 투여 부위를 선택하지 않은 채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전원을 켜놓은 경우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되면서 약물 투여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스마트 케이스(100)와 단말(200)과 동기화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전원이 꺼지거나 약물 투여 부위를 선택하는 경우에 스마트 케이스(100)에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를 날짜별로 저장하였다가, 이후에 스마트 케이스(100)가 단말(200)과 동기화되면 미전송 데이터들을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케이스(100)가 단말(200)과 일정 기간(예를 들면, 2주) 이상 동기화되지 않으면, 스마트 케이스(100)의 스마트 케이스(100)에서 자체적으로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약물 투여 계획 설정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약물 투여 계획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약물 투여 계획은 사용자의 약물 투여 일자 및 약물 투여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1~4주 기간으로 투여 일자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약물 투여량 및 약물 투여 부위를 포함하는 약물 투여 계획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200)은 사용자의 약물 투여량 및 약물 투여 부위에 관한 설정 값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계획을 스마트 케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200)은 스마트 케이스(100)로부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약물 투여 정보의 입력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악물 투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약물 투여 정보는 사용자의 약물 투여 일자, 약물 투여 시간, 약물 투여량 및 약물 투여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은 사용자의 약물 투여 부위 별로 사용자의 약물의 투여량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약물 투여 정보의 기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단말(200)은 스마트 케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약물 투여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의 기록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사용자의 2020.09.11 약물 투여 일자의 약물 투여량 ‘3.5 IU’ 및 약물 투여 부위 ‘왼쪽 팔’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기 설정된 약물 투여 계획과 스마트 케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약물 투여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한 약물 투여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약물 투여 완료 여부 및 약물 투여율을 결과를 모니터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d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약물 투여 정보의 모니터링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200)은 기 설정된 약물 투여 계획과 스마트 케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약물 투여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한 약물 투여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약물 투여 완료 여부 또는 약물 투여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200)은 사용자의 성장 호르몬 주사 투여에 따른 환아의 성장 관리(예를 들면, 성장 곡선)와 성장 기록(기록일자, 키, 체중 기록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성장 호르몬 투여에 따른 사용자의 키 및 체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장 기록 데이터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200)은 약물의 투여 방법에 관한 안내 동영상을 제공하거나, 약물 투여에 필요한 물품 요청이나 상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약물 투여 계획, 약물 투여 정보, 약물 투여 결과(효과)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200)은 사용자의 약물 투여 계획(예를 들면, 약물 투여 날짜, 약물 투여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날짜와 시간에 약물 투여를 위한 푸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스와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와 단말(200)이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동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와 단말(200)의 동기화가 완료되면 스마트 케이스(1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 데이터가 단말(200)로 자동 전송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단말(200)은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스마트 케이스(100)에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단말(200)로부터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케이스(10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에 있어서, 날짜가 현 시점의 날짜와 동일하다면 단말(200)에 전송한 약물 투여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기 설정된 약물 투여 정보, 예를 들면, 약물 투여 부위, 약물 투여 용량 등이 표시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약물 투여 부위 별로 약물 투여 여부, 약물 투여 부위, 약물 투여 용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가 구비된 약물 투여 장치를 통해 약물을 투여한 경우, 약물 투여 부위와 약물 투여 용량에 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예를 들면,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약물이 투여된 부위의 표시를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즉,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가 특정 부위에 약물을 투여한 후에 약물 투여 부위를 나타내는 부분을 터치하는 경우 해당 부위의 표시가 소등될 수 있다.
S170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투여 용량과 약물 투여 부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약물 투여 정보를 자동으로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S180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약물 투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S190 단계에서, 그리고, 단말(200)은 스마트 케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약물 투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S190 단계에서, 또한, 스마트 케이스(100)는 전원이 켜진 후 외부 장치와의 동기화가 기준 시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S190 단계에서, 그리고, 스마트 케이스(100)의 전원이 임계 시간 이상 꺼지지 않으면 경고 안내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스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약물 투여 관리용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케이스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약물의 투여 부위 및 용량 등의 약물 투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100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1000)의 스마트 케이스(100) 및 단말(200)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마트 케이스(100) 및 단말(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약물 투여 부위 입력 버튼 별로 약물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S201), 입력된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202), 약물 투여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203) 및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계획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S204)를 포함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약물 투여 일자 및 약물 투여 시간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계획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약물 투여량 및 약물 투여 부위에 관한 설정 값을 전송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를 사용자로부터 약물 투여량 또는 약물 투여 부위 등 약물 투여 정보를 입력 받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201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약물 투여 부위 입력 버튼 별로 약물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약물 투여 부위별로 약물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표시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예를 들어, 스마트 케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약물 투여 부위가 입력되는 경우, 약물이 투여된 부위의 표시를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스마트 케이스(100)는 기본적으로 약물 투여 부위를 LED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약물 투여 부위는 팔, 배, 허벅지, 엉덩이 등을 포함하고, 각 부위에 대해 오른쪽 또는 왼쪽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케이스(100)에 표시된 약물 투여 부위는 사용자가 터치하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약물 투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또한, 스마트 케이스(100)의 전원이 켜지면 단말(200)과 자동으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케이스(100)는 단말(200)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 저장된 약물 투여 정보를 단말(200)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도 사용자의 이전 약물 투여 정보(예를 들면, 약물 투여량, 약물 투여 부위 등)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단말(200)로부터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스마트 케이스(10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에 있어서, 날짜가 현 시점의 날짜와 동일하다면 단말(200)에 전송한 약물 투여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단말(200)은 약물 투여 계획과 약물 투여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약물 투여 완료 여부 또는 약물 투여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단말(200)은 기 설정된 약물 투여 계획과 스마트 케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약물 투여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한 약물 투여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약물 투여 완료 여부 및 약물 투여율을 결과를 모니터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2000)은 MCU(2100), 메모리(2200), 입출력 I/F(2300) 및 통신 I/F(2400)를 포함할 수 있다.
MCU(2100)는 메모리(220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예를 들면, 약물 투여 정보 입력 및 전송 프로그램, 알람 프로그램 등)을 실행시키고,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등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며, 전술한 도 2에 나타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장치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2200)는 약물 투여 정보 입력 및 전송에 관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0)는 투여 용량, 약물 투여 부위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2200)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 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메모리(2200)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메모리(2200)는 RAM, DRAM, SRA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메모리(2200)는 ROM, PROM, EA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거한 메모리(2200)들의 예를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 I/F(230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미도시)와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의 출력 장치와 MCU(2100) 사이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I/F(2400)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각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I/F(2400)를 통해 약물 투여량이나 약물 투여 부위에 관한 설정값이나 각종 데이터 등을 별도로 마련된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2200)에 기록되고, MCU(2100)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예를 들면 도 2에서 도시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약물 투여 장치를 수납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약물 투여 부위 입력 버튼 별로 약물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케이스; 및
    상기 스마트 케이스로부터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일자 및 약물 투여 시간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계획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약물 투여량 및 상기 약물 투여 부위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약물 투여량 및 상기 약물 투여 부위에 관한 설정 값을 상기 스마트 케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스마트 케이스로부터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기 설정된 약물 투여 계획과 상기 스마트 케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약물 투여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한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완료 여부 또는 약물 투여율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부위 별로 상기 사용자의 약물의 투여 완료 여부 또는 약물 투여율을 구분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케이스는 성장 호르몬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 장치를 수납하고,
    상기 단말은 성장 호르몬 투여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키 및 체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장 기록 데이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케이스는 전원이 켜지면 상기 단말과 자동으로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스마트 케이스에 저장된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상기 단말로 자동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스마트 케이스로부터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케이스에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케이스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날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확인 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말에 전송한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케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10. 사용자로부터 약물 투여 부위 입력 버튼 별로 약물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일자 및 약물 투여 시간을 포함하는 약물 투여 계획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량 및 약물 투여 부위에 관한 설정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약물 투여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투여 부위별로 약물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약물 투여 계획과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완료 여부 또는 약물 투여율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약물 투여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약물 투여 부위 별로 상기 사용자의 약물의 투여 완료 여부 또는 약물 투여율을 구분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PCT/KR2022/003303 2021-03-09 2022-03-08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WO202219160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80,870 US20240148977A1 (en) 2021-03-09 2022-03-08 Drug Administration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2280018823.XA CN116963790A (zh) 2021-03-09 2022-03-08 药物施用管理系统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1022 2021-03-09
KR10-2021-0031022 2021-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1603A1 true WO2022191603A1 (ko) 2022-09-15

Family

ID=8322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3303 WO2022191603A1 (ko) 2021-03-09 2022-03-08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48977A1 (ko)
KR (1) KR20220126662A (ko)
CN (1) CN116963790A (ko)
WO (1) WO202219160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4427A (ja) * 2014-06-27 2017-08-31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539593A1 (en) * 2018-03-12 2019-09-18 TecPharma Licensing AG Docking station for drug delivery device
KR20190115448A (ko) * 2017-02-15 2019-10-11 마일스톤 사이언티픽 인코포레이티드 약물 주입 장치
KR20200082701A (ko) * 2018-12-31 2020-07-08 권기만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KR20200142380A (ko) * 2019-06-12 2020-12-22 이오플로우(주)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4427A (ja) * 2014-06-27 2017-08-31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90115448A (ko) * 2017-02-15 2019-10-11 마일스톤 사이언티픽 인코포레이티드 약물 주입 장치
EP3539593A1 (en) * 2018-03-12 2019-09-18 TecPharma Licensing AG Docking station for drug delivery device
KR20200082701A (ko) * 2018-12-31 2020-07-08 권기만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KR20200142380A (ko) * 2019-06-12 2020-12-22 이오플로우(주)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63790A (zh) 2023-10-27
KR20220126662A (ko) 2022-09-16
US20240148977A1 (en)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07561A1 (zh) 一种基于多关联设备的事件提醒方法及系统
WO2018186580A1 (ko) 디스플레이로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에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15002492A1 (en) Medication tracker
WO2016144021A1 (ko) 저주파발생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WO2015020334A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qr코드 기반 의약품의 칵테일 효과 발생 여부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5178670A1 (en)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WO2018066881A1 (ko)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15196336A1 (zh) 一种智能服药提醒监控装置及方法
WO2015184806A1 (zh) 一种健康状况的改善方法、装置及系统
WO2020251251A2 (ko)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WO2018101628A1 (ko) 조건부 액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146015A1 (ko) 약물 부작용의 개인화된 확률을 산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151701A1 (ko) 복수의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건강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8143643A1 (ko) 전자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연동된 생체 센서의 제어 방법
WO2017183878A1 (ko)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16090775A1 (zh) 同步操作短信数据的方法及系统
WO2020027590A1 (ko) 스마트 병실 시스템 및 관리 서버
WO2022191603A1 (ko)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WO2018169304A2 (ko)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8088585A1 (ko)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18131928A1 (ko) 적응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8062672A1 (en) Blood management method, blood management server apparatus, and blood management system
WO2012020926A2 (ko) 비상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8016924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입력 감지 방법
WO2018194285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674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18823.X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80870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674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