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88585A1 -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88585A1
WO2018088585A1 PCT/KR2016/012953 KR2016012953W WO2018088585A1 WO 2018088585 A1 WO2018088585 A1 WO 2018088585A1 KR 2016012953 W KR2016012953 W KR 2016012953W WO 2018088585 A1 WO2018088585 A1 WO 201808858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attempt
user
out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9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지인
곽재혁
이효민
Original Assignee
(재)대구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대구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 filed Critical (재)대구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
Publication of WO201808858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885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Definitions

  • a smart medicine box for guiding regular medications has been provided by providing a patient with medic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and number of times.
  • a notification may be given to induce medication.
  • the patient forgets to take the drug and tries to re-dose, that is, even if there are repeated attempts to open the medicine box from the patient, the smart medicine box is not opened, thereby preventing the abuse of the drug. There is this.
  • a medication tracker and an input unit for detecting a medication attempt input by a user during a first preset period and an output object matching the grade determined for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output unit and the medication schedule previously set for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medication attempt is a normal medication attemp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ation attempt is an abnormal medication attempt, the abnormal medication attempt is counte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grade for the user based on a count result of the abnormal medication attempt.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edication tracker using a smart medicin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edication track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generated about the user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s medication attempt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terminal of the EMR system.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 customized medication schedule from an EMR system terminal or other medical system server, and in particular, may receive medication information of a patient having a similar grade of a similar disease as the user.
  •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s medication attempt is a normal medication attempt or an abnormal medication attemp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ler 150 may count the normal medication attempt and the abnormal medication attempt, respectively, based on the determination, and evaluate the patient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management for the user based on the counted number of medication attempts. You can also generate information.
  • controller 150 may receive a medication schedule from an external device or control the medication schedule to be automatically updated for the user.
  • the medication tracker 100 may detect a medication attempt input from a user for a preset period of time (S10).
  • the preset period may be, for example, one week,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 or an administrator of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an EMR system terminal, an administrator of the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or a service provider for providing a medical service to a user. It can be set from one subject.
  • the preset period may be one period for analyzing an aspect of the user's medication attempt, and in this case, the period may be referred to as a preset first period to distinguish the one period from the next one period.
  • the user's rating may include A grade, B grade, and C grade.
  • Each grade may be a grade divided into intervals of counted number of abnormal medication attempts.
  •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receive a user grade corresponding to the grade A.
  • the medication track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be set to the grade B of the user corresponding thereto.
  •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be set to the grade C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in which the number of abnormal medications is 15 or more times.
  •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calculate a difference between the abnormal medication attempt counted in step S30 and the normal medication attempt counted in step S35.
  • the output information may include a setting for an output object for each class.
  • output objects a1, a2, and a3 may be set.
  • the output objects b1 and b2 may be set, and for class C, the output object c1 may be set.
  • the output object is a graphic object that can visually stimulate the user and may be an icon, an image, an emoticon, a character, and text.
  • the text may include text displayed in a plurality of languages. An example of the output objec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medication tracker 100 may determine which section the section counted last in step S30 belongs to and display an output object corresponding thereto.
  • the medication tracker 100 may display the output object c1 in red 15 times for 1 minute.
  • the medication tracker 100 may identify time information of detecting the five detection times. Accordingly,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abnormal medication attemp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concentrated,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adjust the user's grade determined only by the count result.
  •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n output object of the medication tracker 100 referenced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identify a plurality of output objects on the inquired output information. That is,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identify the plurality of output objects that match the user's level, and display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objects identified by the frequency identified on the output information in step S50 in a preset order. have.
  • the medication management was effective if the user's attempt to abnormal medication was reduced.
  • the user when the user is a patient with dementia,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effect of medication,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s symptoms have improved.
  • the number of abnormal medication attempts was detected seven times during the second preset period t2 by the user, the user's grade was determined as grade A, an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user was determined as grade 2. .
  • the number of times of detecting abnormal medication attempts by the user is reduced by 30% compared to the first period t1 is illustrated.
  • FIG. 6 a case in which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user is improved by comparing the first period t1 and the second period t2 is illustrated.
  •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effect of medication management on the medication prescribed to the user as a first grade.
  • the medication tracker 100 may generat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track including the determined effects of the medication tracker.
  •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change the medication schedule preset in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based on the generated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management. For example, when the treatment effect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generated medication management is determined to be a first grade,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change the medication schedule of the user to induce a dose reduction of the drug.
  • the medic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reset the preset medication schedule stored in the storage 140 based on the medication schedule of the other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약 관리 방법은 복약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을 기초로, 상기 검출된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약 시도가 비정상 복약 시도인 경우,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의 카운트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등급에 매칭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마트 약 상자에 입력되는 환자의 복약 시도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환자 별 맞춤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자가 복약 중인 약물을 정해진 시간 및 횟수에 제공함으로써, 규칙적인 복약을 가이드하는 스마트 약 상자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약 상자를 사용하는 경우, 정해진 복약 스케줄 상, 복약 타이밍임에도 환자가 복약하지 않는 경우, 알림을 주어 복약을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환자가 이미 약물을 복약하였음에도 이를 잊어버리고 재복약을 시도하는 경우, 즉, 환자로부터 약 상자의 반복된 개방 시도가 있더라도, 스마트 약 상자는 개방되지 않음으로써 약물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 약 상자는, 환자로부터 반복적인 재복약 시도가 있는 경우, 약 상자가 개방되지 않는 기능만 제공하고 있을 뿐, 환자의 재복약 시도를 임상적인 의미로 분석하여, 환자에게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지는 않고 있다.
치매 환자를 예로 들면, 환자가 기억력의 감퇴 등 치매 증상의 이유로, 스마트 약 상자를 조작하여 환자의 복약 스케줄과 무관하게 반복된 복약 시도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복된 복약 시도는, 환자가 복약 중인 약물에 대한 처방의 타당성, 환자의 약물 복약 효과 및 환자 질환의 호전 또는 악화 정도를 나타내는 임상 정보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반복적인 복약 시도를 임상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복약 관리 방법 및 장치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나아가, 복약 지도를 통하여 환자에게 비약물적 의료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복약 관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출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환자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로 다른 복수의 기간 별로, 사용자에 대한 환자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복약 스케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린 방법은, 복약 관리 방법은 복약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을 기초로, 상기 검출된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약 시도가 비정상 복약 시도인 경우,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의 카운트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등급에 매칭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정된 등급에 매칭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등급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출력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조회된 출력 정보 상의 출력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조회된 출력 정보로부터 상기 결정된 등급에 매칭된 출력 색상 및 출력 빈도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출력 색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식별된 빈도만큼 상기 식별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환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 관리 방법은, 미리 설정된 제2 기간 동안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간 동안 검출된 복약 시도 중, 비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간 동안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환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된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 경우, 상기 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와 상기 카운트된 정상 복약 시도의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된 결과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등급의 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된 결과가 속하는 구간에 대응되는 등급을 상기 사용자의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등급이 제1 등급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의 카운트 결과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등급을 제1 등급에서 상기 제1 등급보다 높은 제2 등급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검출하는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결정된 등급에 매칭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을 기초로, 상기 검출된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약 시도가 비정상 복약 시도인 경우,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하고,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의 카운트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등급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복적인 복약을 시도하는 스마트 약 상자의 사용자에게 적절한 복약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복약 가이드는 사용자 별로 맞춤형 출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치매 질환을 갖고 있는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자극하고, 질환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복적인 복약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자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복약 습관을 임상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복약 시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특히 치매 질환의 호전 또는 악화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반복적인 복약 시도의 정도 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복약 스케줄을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 상자를 이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 상자를 이용한 복약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 상자를 이용한 복약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복약 관리 장치의 미리 설정된 출력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복약 관리 장치의 출력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복약 관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환자 정보의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복약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약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약 상자(100) 및 EMR 시스템 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복약 관리 장치가 일 예로 스마트 약 상자(100)인 경우가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약 관리 장치는 스마트 약 상자(100)의 일부 구성일 수 있다. 또는 복약 관리 장치는 스마트 약 상자(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드웨어 모듈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가 스마트 약 상자(1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100)는 EMR 시스템 단말(20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 관리 장치(100)는 약품을 보관하며,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이동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의 경우와 달리, 복약 관리 장치(100)가 자체적인 연산을 통해 복약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단말(200)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또는 의료 기관의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EMR 시스템 단말은, 환자의 전자 의무 기록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에 포함된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EMR 시스템 단말(2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데스크 톱 PC, 서버 장치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 단말(200)는 상기 열거한 예로써 한정되지 않는다.
복약 관리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복약 관리 장치(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EMR 시스템 단말(200)과 통신하는 컴퓨팅 장치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복약 시도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EMR 시스템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복약 시도를 기초로 생성되는 환자 정보,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EMR 시스템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
EMR 시스템 단말(200)은, 복약 관리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복약 스케줄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및 또는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EMR 시스템 단말(200)은 또한, 사용자의 환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환자의 복약 스케줄 정보를 복약 관리 장치(1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복약 관리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약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EMR 시스템의 단말에 사용자에 대하여 생성된 각종 정보, 사용자의 복약 시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사용자 맞춤형 복약 스케줄을 EMR 시스템 단말 또는 그 밖의 의료 시스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와 유사한 질환의 유사한 등급의 환자의 복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복약 상태 이상이 감지됨에 따라, 사용자의 복약 상태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단말에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상기와 같이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을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선택적으로 복약 관리 장치(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복약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각종 설정, 요청 등을 입력 받는다. 이때, 각종 설정은, 복약 스케줄에 대한 정보 및 각종 시각 정보의 디스플레이, 음향 정보의 출력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청은,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스마트 약 상자의 개방 요청일 수 있다.
입력부(120)는 이를 위해, 키보드, 푸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사용자 입력 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또한, 영상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카메라, 오디오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영상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는 사용자 식별을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며, EMR 시스템의 단말 또는 그 밖의 의료 시스템의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복약 관리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등급에 따른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터치 스크린은 출력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복약 관리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범위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부(120)로써 기능할 수도 있다.
한편, 출력부(130)는 사용자의 등급에 매칭되는 출력 정보 중,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정보는 사용자에게 정상적인 복약 시도를 가이드하는 안내 음성 또는 경고 메시지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출력부(130)는 음향 출력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사용자의 등급에 매칭되는 출력 정보에 부합하는 진동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130)는 진동 장치 또는 햅틱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약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또는 제어부(150)의 연산 결과를 임시적으로 또는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RAM(Read and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등급에 대한 정보, 복약 스케줄 정보, 사용자에 대하여 생성된 환자 정보, 사용자에 적용되는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 다른 환자의 복약 스케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저장부(140)는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후술할 제어부(150)와 통합되어 복약 관리 장치(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복약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지 비정상 복약 시도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와 같은 판단을 기초로, 정상 복약 시도 및 비정상 복약 시도를 각각 카운트할 수 있으며, 카운트된 복약 시도에 대한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환자 정보 및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고, 등급 별 출력 정보가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출력 객체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외부 장치로부터 복약 스케줄을 수신하거나, 자동으로 사용자에 대한 복약 스케줄이 갱신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한 복약 관리 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복약 관리 장치(100)의 구성으로,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가 설명되었으나, 복약 관리 장치(100)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거나, 상기 구성 요소들을 다양하게 응용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약 관리 장치(100)는 지문 인식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복약 관리 장치(100)는 복약 대상 약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격리된 공간,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약 문(door)의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별도로 실시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도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들은 복약 관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복약 관리 장치(100)의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이하의 복약 관리 방법이 실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복약 관리 장치(100)가 스마트 약 상자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약 관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검출할 수 있다(S10). 이때 미리 설정된 기간은, 예를 들어, 1주일의 기간일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복약 관리 장치(100)의 관리자, EMR 시스템 단말, 복약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의 주체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은, 사용자의 복약 시도의 태양을 분석하기 위한 일 주기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일 주기를 다음의 일 주기와 구별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제1 기간으로 칭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는 예를 들어, 복약 관리 장치(100)의 입력부(120)에 입력되는 약 상자의 개방 요청일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복약 관리 장치(100)에서 약물이 구비된 약 문을 개방하기 위하여 버튼 등에 입력을 가한 경우, 이와 같은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을 기초로, 검출된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지 판단할 수 있다(S20). 즉, 상기 예에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약 문에 대한 개방 요청이, 약물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 상의 미리 설정된 복약 시간 및 미리 설정된 복약 횟수에 부합하는 요청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S20)에서 판단 결과, 복약 시도가 비정상 복약 시도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비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할 수 있다(S30). 즉, 단계(S20)에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이 복약 스케줄에 부합하지 않는 요청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범위 밖의 시간 대에 입력된 사용자의 복약 시도가 검출된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복약 시도를 비정상 복약 시도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횟수의 복약이 이뤄졌음에도, 재차 복약 시도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이를 비정상 복약 시도로 판단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이와 같은 비정상 복약 시도의 검출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반면, 단계(S20)에서 판단 결과,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할 수도 있다(S35). 즉, 단계(S20)에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이 복약 스케줄에 부합하는 요청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범위 내의 시간 대에 입력된 사용자의 복약 시도가 검출된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복약 시도를 정상 복약 시도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횟수의 복약 시도에 따른 약 문의 개방만이 이뤄지고, 1일 기준으로 추가적인 복약 시도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지 않는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의 정상 복약 시도로 판단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이와 같은 정상 복약 시도의 검출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약 관리 장치(100)는 비정상 복약 시도의 카운트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S40). 즉, 단계(S30)에서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의 검출 횟수를 기초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약 관리 장치(100)는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구간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구간에 포함된 각 구간은 사용자의 등급에 각각 대응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등급은 A등급, B등급, C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등급은,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의 횟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등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상 복약 횟수가 7회 이내의 구간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등급을 A 등급으로 설정 받을 수 있다. 또한, 비정상 복약 횟수가 8회 내지 14회 이내의 구간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등급을 B 등급으로 설정 받을 수 있다. 또한, 비정상 복약 횟수가 15회 이상인 구간에 대하여, 복약 관리 장치(100)는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등급으로 C 등급을 설정 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비정상 복약 시도의 검출 횟수 별 사용자의 등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비정상 복약 시도의 검출 횟수 별 사용자의 등급에 대한 정보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결정된 사용자의 등급을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약 관리 장치(100)는 단계(S40)에서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때, 단계(S35)에서 카운트된 정상 복약 시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복약 관리 장치(100)는 단계(S30)에서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와 단계(S35)에서 카운트된 정상 복약 시도의 차이를 연산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연산된 결과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등급의 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상 복약 시도가 5회이고, 정상 복약 시도가 2회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비정상 복약 시도와 정상 복약 시도의 차이를 연산하여 3회의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을, 상기 예와 마찬가지로, 1회 내지 7회 이내의 구간에 대한 사용자의 등급인 A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등급이 결정된 후, 복약 관리 장치(100)는 결정된 등급에 매칭된 출력 정보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50). 이때, 복약 관리 장치(100)는 출력 정보 중, 사용자의 등급에 매칭된 출력 정보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의 출력 정보 및 출력 객체에 대한 설명은, 각각 도 4 및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복약 관리 장치(100)의 미리 설정된 출력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출력 정보는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 별 사용자의 등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사용자의 등급은, A 등급, B 등급 및 C 등급을 포함하고, 각 등급이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의 구간 별로 설정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등급 별로, 출력 정보의 색상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등급이 A 등급인 경우, 출력 정보의 색상은 초록색이고, 사용자의 등급이 B 등급인 경우, 출력 정보의 색상은 노란 색이고, 사용자의 등급이 C 등급인 경우, 출력 정보의 색상은 빨간 색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정보는 각 등급 별 출력 객체에 대한 설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등급의 경우, 출력 객체 a1, a2 및 a3가 설정될 수 있다. B 등급의 경우, 출력 객체 b1 및 b2가 설정될 수 있으며, C 등급의 경우, 출력 객체 c1이 설정될 수 있다. 출력 객체는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자극을 줄 수 있는 그래픽 객체로서, 아이콘, 이미지, 이모티콘, 캐릭터 및 텍스트일 수 있다. 이때, 텍스트는 복수의 언어로 표기되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 객체에 대한 예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나의 등급에 출력 객체가 복수 개 설정될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에 대응되는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의 구간에서, 실제 검출되는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에 따라 차등적으로 서로 다른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이 A 등급인 경우,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1회인 경우, 사용자의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시, 출력 객체 a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2회 이상 5회 이하인 경우,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출력 객체 a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5회 이상 7회 이하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시, 출력 객체 a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단계(S30)에서 마지막으로 카운트된 횟수가 속하는 구간이 어느 구간인지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출력 정보는 각 등급 별 출력 빈도에 대한 설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예를 들어 1분의 시간 동안, 복약 관리 장치(100)는 출력 객체를 반복적으로 미리 설정된 빈도만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약 관리 장치(100)가 출력 객체를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출력 객체는 깜박이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단계(S5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약 관리 장치(100)는 단계(S40)에서 결정된 등급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출력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조회된 출력 정보 상의 출력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등급이 A 등급으로 결정된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출력 객체, a1, a2 및 a3 전부 또는 a1, a2 및 a3 중,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출력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조회된 출력 정보로부터 결정된 사용자의 등급에 매칭된 출력 색상 및 출력 빈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색상은, 출력 객체의 색상 또는 출력 객체의 배경 색상일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식별된 출력 색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식별된 빈도만큼, 식별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등급이 C 등급이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1분의 시간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복약 관리 장치(100)는 출력 객체 c1을, 1분 동안 15회 빨간 색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복약 관리 장치(100)가, 단계(S30)에서, 카운트한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5회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을 A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이후 변경된 등급과 구별하기 위하여 제1 등급이라 칭한다.
이때, 단계(S40)에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상기 5회의 검출 횟수가 검출된 시간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시간 동안 비정상 복약 시도가 검출된 횟수가 집중된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카운트 결과만으로 결정된 사용자의 등급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즉, 복약 관리 장치(100)는 비정상 복약 시도의 카운트 결과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판단 결과,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결정된 사용자의 등급을 제1 등급에서 제1 등급보다 높은 제2 등급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1분이고, 임계치가 3회인 경우, 총 5회의 검출 횟수 중, 1분 사이에 4회의 비정상 복약 시도의 검출 횟수가 집중된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을 A 등급 보다 높은 B 등급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복약 관리 장치(100)의 출력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서, 출력 객체의 예로써 서로 다른 표정을 갖는 캐릭터가 도시되었다. 도 5에서 출력 객체 각각이 도 4의 출력 객체인 a1, a2, a3, b1, b1, 및 c1인 경우가 예시되었다.
단계(S50)에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조회된 출력 정보 상의 출력 객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출력 정보의 설정에 따라, 복약 관리 장치(100)가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1회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을 A 등급으로 결정하고, 출력 객체 a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4회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을 A 등급으로 결정하고, 출력 객체 a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7회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을 A 등급으로 결정하고, 출력 객체 a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9회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을 B 등급으로 결정하고, 출력 객체 b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13회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을 B 등급으로 결정하고, 출력 객체 b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16회인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을 C 등급으로 결정하고, 출력 객체 c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약 관리 장치(100)는 조회된 출력 정보 상의 출력 객체를 식별할 때, 조회된 출력 정보 상의 복수의 출력 객체를 식별할 수도 있다. 즉,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급에 매칭된 복수의 출력 객체를 식별하여, 단계(S50)에서 출력 정보 상에서 식별된 빈도만큼 식별된 복수의 출력 객체 각각을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등급이 등급 C이고, 출력 객체가 c11, c12, c13으로 복수개인 경우를 가정한다. 출력 정보에서 식별되는 출력 빈도는 15회이다. 이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인 1분 동안에 15회만큼 c11, c12 및 c13을 번갈아 가며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복약 관리 장치(100)는 c11, c12, c13, c11, c12, c13, c11, c12, c13, c11, c12, c13, c11, c12, c13의 순서로 출력 객체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약 관리 장치(100)는, 조회된 출력 정보 상의 복수의 출력 색상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계(S50)에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식별된 출력 빈도에 따라 식별된 복수의 출력 색상 각각을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출력 객체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등급이 등급 B이고, 출력 색상이 빨강, 파랑, 보라 색으로 복수개인 경우를 가정한다. 출력 정보에서 식별되는 출력 빈도는 7회이다. 이 경우, 상기 예와 마찬가지로, 복약 관리 장치(100)는 1분 동안 7회만큼 출력 객체 b1을 빨강, 파랑, 보라, 빨강, 파랑, 보라, 빨간 색의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약 관리 장치(100)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 객체 및 복수개의 출력 색상에 대한 실시예를 동시에 적용하여, 복수개의 출력 색상과 복수개의 출력 객체를 식별된 빈도만큼 번갈아 가며,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복약 관리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환자 정보의 예시이다.
단계(S50)에서, 복약 관리 장치(100)는 결정된 사용자의 등급을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 주기의 검출 주기, 즉,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검출된 비정상 복약 시도를 기초로 생성된 환자 정보를 제1 환자 정보라 칭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제1 기간과 다른, 미리 설정된 제2 기간 동안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단계(S20) 및 단계(S30)을 반복하여, 미리 설정된 제2 기간 동안 검출된 복약 시도 중, 비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약 관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제2 기간 동안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환자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제2 기간 동안 검출된 비정상 복약 시도를 기초로 생성된 환자 정보를 제2 환자 정보라 칭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제1 환자 정보 및 제2 환자 정보를 비교하고, 이와 같은 비교 결과, 사용자의 비정상 복약 시도 횟수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약 관리 장치(100)는 이와 같은 증가 또는 감소 여부에 대한 판단을 기초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는, 생성된 복수의 환자 정보를 비교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환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가 정보는, 사용자의 복약에 따른 효과 및/또는 사용자에게 출력 정보를 제공한 결과에 따른 효과로서, 사용자의 비정상 복약 시도가 개선되었는지 여부, 사용자의 증상이 악화되었는지 호전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환자 정보와 제2 환자 정보의 비교 결과, 사용자의 비정상 복약 시도가 줄었다면, 복약 관리가 효과적이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치매 환자인 경우, 사용자에게 약물 복약의 효과가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1 환자 정보와 제2 환자 정보의 비교 결과, 사용자의 비정상 복약 시도가 늘었다면, 복약 관리가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치매 환자인 경우, 사용자에게 약물 복약의 효과가 없었거나, 사용자의 증상이 악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특정 질환 군에서, 복약 시도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질환 상태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임상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100)는 이와 같은 정보를 수집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환자 정보 및 제2 환자 정보가 예시되었다. 제1 환자 정보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한 미리 설정된 제1 기간(t1) 동안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10회이고, 사용자의 등급은 등급 B로 결정되었으며, 사용자의 인지 기능은 3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제1 기간(t1)의 이전 기간에 비하여, 사용자의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20% 감소한 경우가 예시되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이전 기간과 제1 기간(t1)을 비교하여, 사용자에 처방된 약물에 대한 복약 관리의 효과를 2등급으로 판정할 수 있다.
제2 환자 정보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한 미리 설정된 제2 기간(t2) 동안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7회이고, 사용자의 등급은 등급 A로 결정되었으며, 사용자의 인지 기능은 2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제1 기간(t1)에 비하여, 사용자의 비정상 복약 시도 검출 횟수가 30% 감소한 경우가 예시되었다. 도 6에서, 제1 기간(t1)과 제2 기간(t2)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인지 기능이 향상된 경우가 예시되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에 처방된 약물에 대한 복약 관리의 효과를 1등급으로 판정할 수 있다.
즉, 복약 관리 장치(100)는 판정된 복약 관리의 효과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가 생성되면, 복약 관리 장치(100)는 생성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기초로, 복약 관리 장치(100)에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 상의 치료 효과가 1등급으로 판정된 경우, 복약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복약 스케줄을 변경하여, 약물의 복용량을 줄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가 생성되면, 복약 관리 장치(100)는 생성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미리 설정된 EMR 시스템 단말(2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EMR 시스템 단말(200)은 상기 평가 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진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룰에 의해 자동으로 사용자의 질환의 호전 여부 또는 악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결과를 기초로, ERM 시스템 단말(200)은 사용자에 대한 복약 스케줄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ERM 시스템 단말(200)은 갱신된 복약 스케줄을 복약 관리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복약 관리 장치(100)는, 갱신된 복약 관리 스케줄을 수신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을 재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예에서, ERM 시스템 단말(200)이 복약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 상의 치료 효과를 1등급으로 판정한 경우, ERM 시스템 단말(200)은 사용자의 복약 스케줄을 변경하여, 약물의 복용량을 줄이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복약 관리 장치(100)는 변경된 복약 스케줄을 수신하고, 적용할 수 있다.
한편, ERM 시스템 단말(200)은, 복약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와 유사한 평가 정보를 갖는 다른 환자의 복약 스케줄을 조회할 수 있다. 이때, 평가 정보의 유사 여부는, ERM 시스템 단말(200)에 미리 설정된 룰을 실행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ERM 시스템 단말(200)은, 조회된 복약 스케줄을 복약 관리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의 개입이 배제된 자동 복약 스케줄이 제공 시스템이 운용될 수 있게 된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제공된 다른 환자의 복약 스케줄을 기초로,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이 재설정할 수도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생성된 제1 환자 정보 및 생성된 제2 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EMR 시스템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별로, 생성된 환자 정보를 순차적으로 ERM 시스템 단말(200)에 송신할 수도 있고, 제1 환자 정보 및 제2 환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결과를 ERM 시스템 단말(2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송신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9)

  1. 복약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복약 관리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을 기초로, 상기 검출된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약 시도가 비정상 복약 시도인 경우,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의 카운트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등급에 매칭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등급에 매칭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등급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출력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출력 정보 상의 출력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출력 정보로부터 상기 결정된 등급에 매칭된 출력 색상 및 출력 빈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출력 색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식별된 빈도만큼 상기 식별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된 출력 정보 상의 출력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조회된 출력 정보 상의 복수의 출력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빈도만큼 상기 식별된 복수의 출력 객체 각각을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등급에 매칭된 출력 색상 및 출력 빈도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조회된 출력 정보 상의 복수의 출력 색상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출력 빈도에 따라 상기 식별된 복수의 출력 색상 각각을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상기 출력 객체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환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 관리 방법은,
    미리 설정된 제2 기간 동안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간 동안 검출된 복약 시도 중, 비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간 동안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환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자 정보 및 상기 제2 환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복약 시도 횟수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가 또는 감소 여부에 대한 판단을 기초로, 상기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미리 설정된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EMR 시스템 단말로부터 갱신된 복약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복약 스케줄을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1 환자 정보 및 상기 생성된 제2 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EMR 시스템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 경우, 상기 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와 상기 카운트된 정상 복약 시도의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결과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등급의 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결과가 속하는 구간에 대응되는 등급을 상기 사용자의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등급이 제1 등급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의 카운트 결과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등급을 제1 등급에서 상기 제1 등급보다 높은 제2 등급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12.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도를 검출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결정된 등급에 매칭된 출력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을 기초로, 상기 검출된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약 시도가 비정상 복약 시도인 경우,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하고, 상기 비정상 복약 시도의 카운트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등급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등급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출력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출력 정보 상의 출력 객체, 출력 색상 및 출력 빈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출력 색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식별된 빈도만큼 상기 식별된 출력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복약 관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환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기간과 다른 미리 설정된 제2 기간 동안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환자 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복약 관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환자 정보 및 상기 제2 환자 정보를 비교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복약 시도 횟수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증가 또는 감소 여부에 대한 판단을 기초로, 상기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복약 관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복약 관리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환자 정보 및 상기 제2 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가 상기 EMR 시스템 단말에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EMR 시스템 단말로부터 갱신된 복약 스케줄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수신된 복약 스케줄을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이 재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복약 관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MR 시스템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복약 관리에 대한 평가 정보를 갖는 다른 환자의 복약 스케줄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다른 환자의 복약 스케줄을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이 재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복약 관리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을 기초로, 상기 검출된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지 판단하고, 상기 복약 시도가 정상 복약 시도인 경우, 상기 정상 복약 시도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비정상 복약 시도와 상기 카운트된 정상 복약 시도의 차이를 연산한 결과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등급의 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연산된 결과가 속하는 구간에 대응되는 등급을 상기 사용자의 등급으로 결정하는,
    복약 관리 장치.
PCT/KR2016/012953 2016-11-10 2016-11-10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1808858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304A KR101869384B1 (ko) 2016-11-10 2016-11-10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6-0149304 2016-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8585A1 true WO2018088585A1 (ko) 2018-05-17

Family

ID=6211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953 WO2018088585A1 (ko) 2016-11-10 2016-11-10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9384B1 (ko)
WO (1) WO20180885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7781A (zh) * 2020-04-14 2020-10-13 上海丰饶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服药识别管理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057B1 (ko) * 2019-04-26 2022-01-28 주식회사 리서치멘토 임상시험 피험자의 복약 순응에 따른 보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8531A (ko) 2020-05-29 2021-12-08 주식회사 어썸리드 복약관리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복약관리 방법
KR20230116610A (ko) 2022-01-28 2023-08-04 한승헌 복약 관리 및 확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5690A1 (en) * 2005-12-08 2007-06-14 Nicholl Richard V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provides health feedback
US20110253586A1 (en) * 2006-11-17 2011-10-20 Jean-Michel Metry Medication container and dosing monitor
US20150095047A1 (en) * 2013-10-01 2015-04-02 DoseCue, LLC Data-enabled pharmaceutical container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20150072111A (ko) * 2013-12-19 201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약관리 방법, 복약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복약관리 시스템
KR20160097625A (ko) * 2015-02-09 2016-08-18 지현구 스마트 약통을 이용한 직접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5690A1 (en) * 2005-12-08 2007-06-14 Nicholl Richard V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provides health feedback
US20110253586A1 (en) * 2006-11-17 2011-10-20 Jean-Michel Metry Medication container and dosing monitor
US20150095047A1 (en) * 2013-10-01 2015-04-02 DoseCue, LLC Data-enabled pharmaceutical container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20150072111A (ko) * 2013-12-19 201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약관리 방법, 복약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복약관리 시스템
KR20160097625A (ko) * 2015-02-09 2016-08-18 지현구 스마트 약통을 이용한 직접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7781A (zh) * 2020-04-14 2020-10-13 上海丰饶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服药识别管理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230A (ko) 2018-05-18
KR101869384B1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88585A1 (ko) 복약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21020667A1 (ko)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WO2018106005A1 (ko)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26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iometric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WO2014157806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78058A1 (zh) 医疗数据异常识别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19182297A1 (ko) 임상실험 결과 예측 장치 및 방법
WO2015020334A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qr코드 기반 의약품의 칵테일 효과 발생 여부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0108111A1 (zh) 医保欺诈行为的识别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20119402A1 (zh) 无关用药的识别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119131A1 (zh) 用药方案异常的识别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WO2019240343A1 (ko) 사용자 상태에 따른 맞춤형 자기관리정보 제공시스템
WO2022146015A1 (ko) 약물 부작용의 개인화된 확률을 산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185753A1 (ko)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WO2019112154A1 (ko) 텍스트-리딩 기반의 리워드형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WO2017200239A2 (ko) 지문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WO201806685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overvoltage
WO2022039366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69411A1 (ko) 보안 처리된 객체의 보안 상태 해제 방법 및 그 장치
WO2022014798A1 (ko) 고객 만족도 조사 수행 시스템
WO2015102466A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WO2018034388A1 (ko) 환자 안전을 위한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WO2017078329A1 (ko) 전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211248A1 (ko)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31189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ing schedule inform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212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212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