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701A -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701A
KR20200082701A KR1020180173546A KR20180173546A KR20200082701A KR 20200082701 A KR20200082701 A KR 20200082701A KR 1020180173546 A KR1020180173546 A KR 1020180173546A KR 20180173546 A KR20180173546 A KR 20180173546A KR 20200082701 A KR20200082701 A KR 2020008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injection device
type injection
dose
do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269B1 (ko
Inventor
권기만
Original Assignee
권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만 filed Critical 권기만
Priority to KR102018017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269B1/ko
Priority to PCT/KR2019/004308 priority patent/WO2020141655A1/ko
Publication of KR2020008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4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r sterilising syringes or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yringes or needles, kits for 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61M5/31548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 A61M5/3155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by rotational movement of dose setting member, e.g. during setting or filling of a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61M5/31568Means keeping track of the total dose administered, e.g. since the cartridge was insert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61M2005/3126Specific display means related to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Abstract

본 발명은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펜형 주사장치(1)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에 설치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약물 카트리지(14)를 냉각하도록 구성되는 냉각 수단(130);과, 상기 본체(110)의 타측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투여량 설정 노브(12)의 회전을 감지하여 설정되는 투여량을 감지하여 측정하는 투여량 감지부(140);와, 충전 전원부(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약물 카트리지(14)의 온도를 소정 보관 온도 범위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기 냉각 수단(13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투입량 감지부(140)에서 측정된 상기 투여량을 산출하여 주입 이력 정보로 관리하고 표시하는 주제어부(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

Description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Portable refrigerated storage case for Pen Type Injection Appartus}
본 발명은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펜형 주사장치(1)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에 설치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약물 카트리지(14)를 냉각하도록 구성되는 냉각 수단(130);과, 상기 본체(110)의 타측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투여량 설정 노브(12)의 회전을 감지하여 설정되는 투여량을 감지하여 측정하는 투여량 감지부(140);와, 충전 전원부(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약물 카트리지(14)의 온도를 소정 보관 온도 범위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기 냉각 수단(13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투입량 감지부(140)에서 측정된 상기 투여량을 산출하여 주입 이력 정보로 관리하고 표시하는 주제어부(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 대사 질환(당뇨병)의 치료 또는 체중 감소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액상의 약물을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 언제든지 주기적으로 자가 투여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회용 휴대형 주입 장치(예를 들어 Sanofi사의 Solostar® 인슐린 주사 펜, ) 또는 카트리지를 교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이 가능한 휴대형 주입 장치(예를 들어 Novo Nordisk사의 Flexpen® 인슐린 주사 펜)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주입장치는 통상적으로 "펜형 주사장치"라 불리우며, 일반적인 주사기에 비해 외출도중 주입이 간편하고 편리하며, 간편한 다이얼 조작으로 정확한 사용량을 주입 가능하게 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펜형 주사장치에 관한 특허문헌으로 하기 특허문헌 1의 "용량 설정 및 재설정 기구를 구비한 펜형 약물 주사 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9538호)"를 포함한 다수의 특허문헌들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펜형 주사기들은 다양한 구성 및 작동 특성을 가지나, 그 중에는 "FlexTouch®"와 같이, 주입량을 설정하는 투여량 설정 노브(12)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주사 버튼(11)은 이에 따라 돌출되거나 다시 수납되지 않아 사용 중 전체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소위 "무돌출" 타입이 존재한다.
그러나 일회용 또는 재사용 가능 여부를 불문하고, 이러한 수동식 휴대형 주입장치는 단순히 주입량을 설정하고 주사하는 기능을 가지는 데 불과하여, 투여량과 투여 시간을 체계적으로 누적하여 이력을 관리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인슐린 계통 또는 체중 감량을 위한 약물의 경우, 정해진 주기에 정해진 용량의 투여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체중 감량을 위하여 사용되는 "Saxenda®"의 경우, GLP-1 계열의 약물로,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뇌에서 식용을 억제하고 위장의 소화를 지연 시키는 등의 작용을 하게 되는 데, 그 투여량에 있어서 1주차는 1일 0.6mg, 2주차는 1일 1.2mg, 3주차는 1일 1.8mg, 4주차는 1일 2.4mg, 5주차는 1일 3.0mg과 같이, 투여량을 점점 증가시키면서 투여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미 주입이나 투여량을 잘못 설정하는 경우 부작용이 크기에 체계적이고 정확한 주입 이력 관리가 필요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인슐린 계통 또는 체중 감량을 위한 약물의 경우, 주로 고분자 화합물을 주 성분으로 하므로, 보관 및 휴대시 적정 온도(2℃~24℃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보관의 경우에는 냉장고 등을 이용하여 보관하지만, 휴대시에 적정 온도를 유지하면서 보관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주사 약물 등의 휴대시 보냉을 위한 선행 발명으로는 하기 특허 문헌 2의 "휴대용 냉장 약품 보관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7003호)"에, 내부에 냉장 보관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 외벽의 이중 벽체로 이루면서 내벽 내부에 냉매가 충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진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벽의 일측 부위에는 노출면이 구비되고, 상기 노출면에는 노출면에 부합하는 온도계가 결합되며, 상기 덮개 상부에는 십자, 원형, 사각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의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구멍 내면은 실리콘에 의해 마감 처리되고, 상기 본체와 덮개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본체와 덮개의 모든 연결부위는 실링부재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장 약품 보관기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냉장 약품 보관기는 단순히 단열 및 냉매를 이용한 구성에 불과한 것으로, 장시간 보관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것은 물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약물의 온도가 점점 상승하는 등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약물의 보냉 휴대만 가능할 뿐이며, 약물의 주입 이력 관리 등은 전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규격 및 크기, 형상 등이 제조사별/모델별로 극히 다양하게 제작된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수동식 휴대형 주입장치는, 주입량을 설정하는 투여량 설정 노브(12)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주사 버튼(11)이 이에 따라 돌출되거나 다시 수납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 통상적이나,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953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7003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시간 동안에도 전원이 공급되는 한 지속적이고 계속적으로 소정의 보관 온도 범위 내에서 펜형 주사 장치의 약물 카트리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소위 "무돌출 타입"의 펜형 주사기의 약물의 투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약물의 투여량과 투입 시간 등의 투입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니들 장착부와 니들 등을 살균 빛 소독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등을 통하여 필요한 권장 투여 이력을 전달 받은 후,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투여 시기 및 투여량을 안내하고, 이에 맞추어 약물의 투여가 이루어 졌는지를 감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한편, 펜형 주사장치 또는 인슐린 용기를 촬영한 후, 주사하고자 하는 약물의 종류 및 용량 등의 약물 정보를 추출하여, 더욱 정확한 투여량 측정은 물론, 효율적인 투입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은, 펜형 주사장치(1)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에 설치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약물 카트리지(14)를 냉각하도록 구성되는 냉각 수단(130);과, 상기 본체(110)의 타측 말단에 설치되면,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투여량 설정 노브(12)의 회전을 감지하여 설정되는 투여량을 감지하여 측정하는 투여량 감지부(140);와, 충전 전원부(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약물 카트리지(14)의 온도를 소정 보관 온도 범위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기 냉각 수단(13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투입량 감지부(140)에서 측정된 상기 투여량을 산출하여 주입 이력 정보로 관리하고 표시하는 주제어부(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상기 타측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주사 버튼(11)이 투입 과정에서 눌려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주입 감지 센서(14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제어부(150)는, 상기 주입 감지 센서(145)를 통하여 상기 주사 버튼(11)이 눌려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그 이전까지의 상기 투입량 감지부(140)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약물 투여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일측 말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방시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니들 장착부(19)가 외부로 노출될 수있도록 구성되는 커버(120);와, 상기 본체(110)의 일측 말단 또는 상기 커버(120)의 내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니들 장착부(19) 또는 상기 주사바늘(1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 또는 소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펜 니들 자외선 살균 수단(18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 다른 외형 규격을 가지는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외형 규격에 맞추어 각각 제작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에 결합된 후에는 하나의 규격의 상기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에 공통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펜형 주사장치 고정부재(11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주제어부(150)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입력받고 작동 상황을 표시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60); 와, 상기 주제어부(150)에 연결되며, 통신망(N)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의료 기관 서버(300) 및 보호자 단말기(40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되어 상기 주입 이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150)는, 상기 무선 통신부(17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상기 의료 기관 서버(300)로부터 권장 투여 이력 정보를 전달 받은 후,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투여 시기 및 투여량을 안내하고, 상기 주입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권장 투여 이력 정보에 따라 약물의 투여가 이루어 졌는지를 감지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장시간 동안에도 전원이 공급되는 한 지속적이고 계속적으로 소정의 보관 온도 범위 내에서 펜형 주사 장치의 약물 카트리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소위 "무돌출 타입"의 펜형 주사기의 약물의 투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약물의 투여량과 투입 시간 등의 투입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니들 장착부와 니들 등을 살균 및 소독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등을 통하여 필요한 권장 투여 이력을 전달 받은 후,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투여 시기 및 투여량을 안내하고, 이에 맞추어 약물의 투여가 이루어 졌는지를 감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펜형 주사장치 또는 인슐린 용기를 촬영한 후, 주사하고자 하는 약물의 종류 및 용량 등의 약물 정보를 추출하여, 더욱 정확한 투여량 측정은 물론, 효율적인 투입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기존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펜형 주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의 외관도.
도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의 외관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의 구성 블럭 다이어 그램.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펜형 주사장치(1)에 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펜형 주사장치(1)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양한 규격 및 크기, 형상 등을 가지며 일회용 또는 재사용이 가능한 것과 같이 구분되어 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투여량을 설정한 후, 설정된 투여량만큼의 약제를 주사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진다.
도 1은, 펜형 주사 장치(1)의 분해도이다. 도 1의 펜형 주사 장치(1)는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주사바늘(15)이 고정될 수 있는 약물 카트리지(14)가 구비된 사전-충전식, 일회용 주사 펜이다. 주사바늘은 내부 주사바늘 캡(16)과 외부 주사바늘 캡(17)에 의해 보호되어, 결과적으로 캡(18)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펜형 주사 장치(1)로부터 토출되는 인슐린 용량은 투여량 설정 노브(knob)(12)를 돌려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선택된 용량은, 예를 들어, 소위 국제 단위(IU)의 배수 형태로 투여량 표시창 또는 디스플레이(13)를 통해 표시되며, 이때 1 IU는 약 45.5 마이크로그램의 순수 결정 인슐린(1/22 mg)의 생물학적 등가물이다. 투여량 표시창 또는 투여 설정량 디스플레이(13)에 표시되는 선택된 용량의 예는, 가령,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 IU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택된 용량이 다르게, 예를 들어 전자식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투여량 표시창은 선택된 투여량이 그를 통해 또는 그 위에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는 주사 장치의 부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투여량 설정 노브(12)를 돌리면, 기계적 클릭음이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음향 피드백이 주어진다. 투여량 표시창 또는 투여 설정량 디스플레이(13)에 표시되는 숫자는 하우징(10) 안에 수용되어 있으면서 약물 카트리지(14) 내 피스톤과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슬리브 상에 인쇄된다. 한편, 투여량 설정 노브(12)를 돌려서 투여량을 설정하는 과정은 투여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 모두 가능하다.
주사 바늘(15)을 환자의 피부 부분에 찌른 다음, 주사 버튼(11)을 누르면, 주사 버튼(11)이 소정 거리 눌려 들어간 후 투여 설정량 디스플레이(13)에 표시된 인슐린 용량이 비로소 주사 장치(1)로부터 토출된다. 주사 버튼(11)을 누른 후에, 주사장치(1)의 주사바늘(15)이 피부 부분 안쪽에 특정 시간 동안 있게 되면, 많은 양의 용량이 실제로 환자의 몸 속에 주사된다. 인슐린 용량이 토출될 때에도 기계적 클릭음이 발생하지만, 이는 투여량 설정 노브(12)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소리와 다르다. 주사 장치(1)는 약물 카트리지(14)가 완전히 비게 될 때까지 또는 주사 장치(1)의 유통기한(예컨대, 처음 사용한 후 28일)에 이를 때까지 여러 번의 주사 과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110), 투입량 감지 센서(140) 및 주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소위 "무돌출" 형식의 주사 장치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체(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1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펜형 주사장치(1)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2는 상기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이 한 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상기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이 두 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는 상기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의 갯수는, 휴대의 편의성 및 휴대 기간의 길고 짧음, 휴대하는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투여량 특성에 따른 휴대 필요 갯수 등에 따라 선택되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펜형 주사장치(1)가 삽입되어 장착된 경우 상기 투여량 표시창 또는 투여 설정량 디스플레이(13)를 통하여 설정된 투여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투여량 표시창 또는 투여 설정량 디스플레이(13)를 외부에서 확인 할 수 있는 투여량 관측부(115)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생 및 안전을 고려하여 휴대시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니들 장착부(19)가 덮여져 있다가 사용시에는 노출될 수 있도록,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의 일측 말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방시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니들 장착부(19)가 외부로 노출될 수있도록 구성되는 커버(12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가장 단순한 실시예로 상기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식의 상기 커버(120)를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시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니들 장착부(19)가 덮여져 있다가 사용시에는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본체(110)에 작동 가능하게 거치되면서 슬라이드 방식 또는 오픈/클로즈 방식(Open/Close Type) 등 다양한 구성으로 상기 커버(12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펜형 주사장치(1)는 제조사, 제품 모델, 사용 약물 등에 따라 각각 다른 외형 규격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외형 규격을 가지는 다양한 상기 펜형 주사장치(1)를 하나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 다른 외형 규격을 가지는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외형 규격에 맞추어 각각 제작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에 결합된 후에는 하나의 규격의 상기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에 공통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펜형 주사장치 고정부재(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펜형 주사장치 고정부재(112)는 다양한 구조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 수단(130)을 통한 냉각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상기 펜형 주사장치 고정부재(112)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냉각 수단(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냉각 수단(130)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에 설치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약물 카트리지(14)를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냉각 수단(130)을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나, 장시간 지속적이고 계속적인 냉각 작동이 가능한 것과 동시에 부피가 작고, 소정의 냉각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용이한 특성을 고려할 때 열전 소자(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투여량 감지부(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투여량 감지부(14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의 타측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투여량 설정 노브(12)의 회전을 감지하여 설정되는 투여량을 감지하여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투여량 감지부(140)를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그 일 실시예로, 상기 투여량 감지부(14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투광부(141a)와 수광부(141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 감지 광센서(141)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투여량 감지부(140)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투여량 감지부(14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투여량 설정 노브(12)에 접촉하는 접촉 롤러(142)와, 상기 접촉 롤러(142)에 연결된 회전 감지 센서(143)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투여량 감지부(140)를 구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투여량 감지부(14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투여량 설정 노브(12)의 회전에 따라 투여량이 설정되어 표시되는 상기 투여 설정량 디스플레이(13)의 영상을 촬영하여 설정되는 투여량을 감지하는 영상 카메라(144)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주제어부(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제어부(15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충전 전원부(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약물 카트리지(14)의 온도를 소정 보관 온도 범위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기 냉각 수단(13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동시에, 상기 주제어부(150)는 상기 투입량 감지부(140)에서 측정된 상기 투여량을 산출하여 주입 이력 정보로 관리하고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제어 부(150)는 체계적이고 누적적인 투여 이력 관리가 중요한 당뇨용 약제와 같은 경우 그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약물 투여량 및 주입 시간을 포함하는 주입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소위 "무돌출" 타입의 주사 장치에 있어서, 투여량 설정 과정에서 상기 투여량 설정 노브(12)는 투여량 설정을 위하여 회전하게 되며, 주사 바늘(15)을 환자의 피부 부분에 찌른 다음 주사 버튼(11)을 눌러 주사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여량 설정 노브(12)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투여량 설정 디스플레이(13)에 표시된 인슐린 용량이 비로소 주사 장치(1)로부터 토출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주사 과정 동안 실제로 투여된 약물 투여량만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의 상기 타측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주사 버튼(11)이 투입 과정에서 눌려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주입 감지 센서(1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주입 감지 센서(145)를 통하여 상기 주사 버튼(11)이 눌려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그 이전까지의 상기 투입량 감지부(140)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약물 투여량을 산출한 후, 실제로 투여된 약물 투여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주입 감지 센서(145)를 구현하는 실시예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실시예로, 상기 주입 감지 센서(145)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투여량 설정 노브(12)를 조작하는 동안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는 위치이면서, 사용자가 상기 주사 버튼(11)을 누르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압박하는 상기 본체(110)의 상기 타측 말단의 부위에 설치되는 접촉/압력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주제어부(150)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입력받고 작동 상황을 표시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60)가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일 실시예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 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61)와, 투여 용량 설정 등의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입력받는 조작 스위치(1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161)와 상기 조작 스위치(162)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통합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고음이나 알림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 수단(16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한 주입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제어부(150)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신망(N)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의료 기관 서버(30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되어 상기 주입 이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70)가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는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 단말기일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스마트폰(smart phone)과 유사한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연속혈당 모니터링(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통신망(N)은 사용자 단말기(200), 의료 기관 서버(300) 및 보호자 단말기(40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무선 통신부(17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통신망(N)은 사용자 단말기(200), 의료 기관 서버(300) 및 보호자 단말기(40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무선 통신부(170)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상기 통신망(N)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주제어부(150)는 상기 무선 통신부(17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상기 의료 기관 서버(300)로부터 투여하는 약물 및 사용자에 따른 적합한 투여 시간/ 투여량 등을 포함하는 권장 투여 이력 정보를 전달 받은 후,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투여 시기 및 투여량을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기 주제어부(150)는, 상기 주입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권장 투여 이력 정보에 따라 약물의 투여가 이루어 졌는지를 감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카메라(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카메라(210)를 통하여 촬영된 상기 펜형 주사 장치(1)의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약물 카트리지(14)의 촬영 영상(특히, 바코드나 QR 코드로 인쇄되어 있는 정보 부분 등)에 따라 주입되는 약물의 종류 및 용량에 관한 앰플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70)를 통하여 상기 주제어부(150)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달된 상기 앰플 정보는 상기 주입 이력 정보에 포함되어 관리되는 것은 물론, 상기 권장 투여 이력 정보를 결정하는 데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펜형 주사 장치
10: 하우징
11: 주사 버튼 12: 투여량 설정 노브
13: 투여 설정량 디스플레이 14: 약물 카트리지
15: 주사바늘 16: 내부 주사바늘 캡
17: 외부 주사바늘 캡 18: 캡
19: 니들 장착부
100: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110: 본체
111: 펜형 주사 장치 삽입 통공 112: 펜형 주사장치 고정부재
115: 투여량 관측부
120: 커버
130: 냉각 수단
131: 열전 소자
132: 온도 센서
140: 투입량 감지부
141: 회전 감지 광센서
141a: 투광부 141b: 수광부
142: 접촉 롤러 143: 회전 감지 센서
144: 영상 카메라
145: 주입 감지 센서
150: 주제어부
160: 입출력 인터페이스 161: 디스플레이
162: 조작 버튼 163: 음향 출력 수단
170: 무선 통신부
180: 펜 니들 자외선 살균 수단
190: 충전 전원부
191: 충전 배터리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의료 기관 서버

Claims (6)

  1. 펜형 주사장치(1)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일측 말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방시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니들 장착부(19)가 외부로 노출될 수있도록 구성되는 커버(120);
    상기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에 설치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약물 카트리지(14)를 냉각하도록 구성되는 냉각 수단(130);
    상기 본체(110)의 타측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투여량 설정 노브(12)의 회전을 감지하여 설정되는 투여량을 감지하여 측정하는 투여량 감지부(140);
    충전 전원부(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약물 카트리지(14)의 온도를 소정 보관 온도 범위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기 냉각 수단(13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투입량 감지부(140)에서 측정된 상기 투여량을 산출하여 주입 이력 정보로 관리하고 표시하는 주제어부(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100).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기 타측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주사 버튼(11)이 투입 과정에서 눌려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주입 감지 센서(14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제어부(150)는,
    상기 주입 감지 센서(145)를 통하여 상기 주사 버튼(11)이 눌려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그 이전까지의 상기 투입량 감지부(140)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약물 투여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100).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일측 말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방시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니들 장착부(19)가 외부로 노출될 수있도록 구성되는 커버(120);
    상기 본체(110)의 일측 말단 또는 상기 커버(120)의 내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니들 장착부(19) 또는 상기 주사바늘(1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 또는 소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펜 니들 자외선 살균 수단(18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100).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각각 다른 외형 규격을 가지는 상기 펜형 주사장치(1)의 외형 규격에 맞추어 각각 제작되며, 상기 펜형 주사장치(1)에 결합된 후에는 하나의 규격의 상기 펜형 주사장치 삽입 통공(111)에 공통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펜형 주사장치 고정부재(11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100).
  5.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150)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입력받고 작동 상황을 표시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60);
    상기 주제어부(150)에 연결되며, 통신망(N)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의료 기관 서버(30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되어 상기 주입 이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100).
  6.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150)는,
    상기 무선 통신부(17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상기 의료 기관 서버(300)로부터 권장 투여 이력 정보를 전달 받은 후,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투여 시기 및 투여량을 안내하고, 상기 주입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권장 투여 이력 정보에 따라 약물의 투여가 이루어 졌는지를 감지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100).

KR1020180173546A 2018-12-31 2018-12-31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KR102194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546A KR102194269B1 (ko) 2018-12-31 2018-12-31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PCT/KR2019/004308 WO2020141655A1 (ko) 2018-12-31 2019-04-10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546A KR102194269B1 (ko) 2018-12-31 2018-12-31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01A true KR20200082701A (ko) 2020-07-08
KR102194269B1 KR102194269B1 (ko) 2020-12-22

Family

ID=7140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546A KR102194269B1 (ko) 2018-12-31 2018-12-31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4269B1 (ko)
WO (1) WO2020141655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323B1 (ko) * 2021-11-01 2022-03-28 (주)엠큐어 항온보관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주사장치
KR102397372B1 (ko) * 2021-11-01 2022-05-12 (주)엠큐어 자동주입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주사장치
WO2022191603A1 (ko) * 2021-03-09 2022-09-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WO2023075089A1 (ko) * 2021-11-01 2023-05-04 (주)엠큐어 항온보관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주사장치
KR20230166179A (ko) * 2022-05-30 2023-12-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인슐린펜 관리장치
KR20230166177A (ko) * 2022-05-30 2023-12-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인슐린펜 관리장치
WO2023234633A1 (ko) * 2022-05-30 2023-12-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인슐린펜 관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0896B (zh) * 2020-10-21 2022-04-11 亞東學校財團法人亞東科技大學 注射安全防護裝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2538A (ja) * 2000-12-22 2011-03-31 Dca Design Internatl Ltd 識別手段を有する薬剤カートリッジ
KR20160049538A (ko) 2013-09-03 2016-05-09 사노피 용량 설정 및 재설정 기구를 구비한 펜형 약물 주사 장치
KR101637003B1 (ko) 2015-11-05 2016-07-07 오순옥 휴대용 냉장 약품 보관기
WO2016198516A1 (en) * 2015-06-09 2016-12-1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ata collection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n injection device
WO2017114908A1 (en) * 2015-12-30 2017-07-06 Ascendis Pharma A/S Auto injector with temperatur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06Y1 (ko) * 2008-05-14 2010-03-15 장병성 인슐린 보관 케이스
JP5764374B2 (ja) * 2011-04-18 2015-08-19 株式会社タカラ 薬剤入り注射器の保冷・保温用携帯ケース
WO2014061349A1 (ja) * 2012-10-16 2014-04-24 YAGI Noriharu ペン型注射薬液の室温維持方法
KR20160060246A (ko) * 2014-11-19 2016-05-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여 수치를 고정시켜 주는 펜형 인슐린 주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2538A (ja) * 2000-12-22 2011-03-31 Dca Design Internatl Ltd 識別手段を有する薬剤カートリッジ
KR20160049538A (ko) 2013-09-03 2016-05-09 사노피 용량 설정 및 재설정 기구를 구비한 펜형 약물 주사 장치
WO2016198516A1 (en) * 2015-06-09 2016-12-1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ata collection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n injection device
KR101637003B1 (ko) 2015-11-05 2016-07-07 오순옥 휴대용 냉장 약품 보관기
WO2017114908A1 (en) * 2015-12-30 2017-07-06 Ascendis Pharma A/S Auto injector with temperature contro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603A1 (ko) * 2021-03-09 2022-09-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약물 투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379323B1 (ko) * 2021-11-01 2022-03-28 (주)엠큐어 항온보관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주사장치
KR102397372B1 (ko) * 2021-11-01 2022-05-12 (주)엠큐어 자동주입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주사장치
WO2023075089A1 (ko) * 2021-11-01 2023-05-04 (주)엠큐어 항온보관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주사장치
KR20230166179A (ko) * 2022-05-30 2023-12-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인슐린펜 관리장치
KR20230166177A (ko) * 2022-05-30 2023-12-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인슐린펜 관리장치
WO2023234633A1 (ko) * 2022-05-30 2023-12-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인슐린펜 관리장치
WO2023234634A1 (ko) * 2022-05-30 2023-12-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인슐린펜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269B1 (ko) 2020-12-22
WO2020141655A1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269B1 (ko)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DK3304372T3 (en) PHARMACEUTICAL MONITORING DEVICE WITH A MEDICINE PEN, WITH LOG, COMMUNICATION AND ALARMS
AU2004286716B2 (en) Drug delivery pen with event notification means
US20160220754A1 (en) Portable medicine injection device and analyte metering system
JP2017525451A (ja) 連続的なグルコースのモニタリングをする投入装置
EP3161693A1 (en) 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1077255B2 (en) Automatic injector devices and systems for controlled delivery of dosage and associated methods
US20240017014A1 (en) Monitoring device with universal adapter to drug injection pens
US20220233771A1 (en) Reporting syringe
KR101958067B1 (ko) 펜형 주사장치의 범용 장착형 투입량 측정 및 관리 시스템
KR20190005572A (ko) 펜형 주사장치의 범용 장착형 투입량 측정 및 관리 시스템
TW201312067A (zh) 用於藥劑之可攜式溫度調節設備
TW201921210A (zh) 藥品分配設備中的溫度閾值化
EP4108276A1 (en) Accesso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ine administration and tracking
CA3204436A1 (en) Hub for reusable drug-delivery device
KR20190042830A (ko) 펜형 주사장치의 범용 장착형 투입량 측정 및 관리 시스템
US20210308384A1 (en) System and medicament delivery device case
WO2018228876A1 (en) Harvesting energy from operation of a syringe
KR20200032307A (ko) 펜형 주사장치용 내장형 투입량 측정 및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