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39407A1 - 치면 착색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면 착색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39407A1
WO2022139407A1 PCT/KR2021/019503 KR2021019503W WO2022139407A1 WO 2022139407 A1 WO2022139407 A1 WO 2022139407A1 KR 2021019503 W KR2021019503 W KR 2021019503W WO 2022139407 A1 WO2022139407 A1 WO 202213940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dental
riboflavin
pla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95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홍철
남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주식회사 테코자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주식회사 테코자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to CN202180086395.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685297A/zh
Priority to JP2023562444A priority patent/JP2024503935A/ja
Priority to EP21911474.1A priority patent/EP4248937A1/en
Publication of WO202213940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9407A1/ko
Priority to US18/338,702 priority patent/US2023034667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60Preparations for dentistry comprising organic or organo-metallic additives
    • A61K6/65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25Compositio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g. of irregularities on natural or artifici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4Luminescent, Fluorescent; Optical brighteners; Photosensit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coloring a tooth,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coloring a tooth comprising sodium riboflavin 5-phosphate.
  • a dental plaque Bacteria in the mouth break down the carbohydrates in the sugar and starch in food, destroying the tissues surrounding the teeth. These bacteria are continuous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eeth to form a colorless film, which is called a dental plaque.
  • the dental plaque becomes larger and larger due to the proliferation of new and existing bacteria and the accumulation of metabolites of bacteria and hosts, and is the main cause of tooth decay, bad breath, bad breath and gum disease. It is not removed by intraoral self-cleaning, that is, saliva, and can only be removed by physical methods such as brushing. If brushing is neglected, bacteria are not reliably removed and remain between the gums and the teeth or between the teeth.
  • the dental plaque may be formed from a thin film called a dental cleaning film or an acquisition film on the tooth surface.
  • a method for checking the dental plaque using an optical device has been developed, but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observe the initial dental plaque that is formed or is expected to be formed.
  • the aesthetics is deteriorated due to the residual material after use, and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hysically scrape the dental cleaning film directly adsorbed by the chemical coloring product.
  • the present inventors made intensiv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tooth surface coloring composition capable of observing the planned location of the dental surface bacterial film and the initial dental surface bacterial film. As a result, by identifying that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can be colored not only in the biofilm but also in the obtained film,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composition for coloring teeth comprising sodium riboflavin 5-phosphat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 surface colorant comprising a; a composition for tooth surface coloring comprising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 the present inventors made intensiv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tooth surface coloring composition capable of observing the planned location of the dental surface bacterial film and the initial dental surface bacterial fil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can be colored not only on the biofilm but also on the obtained film.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surface coloring composition
  • a tooth surface coloring composition comprising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and a tooth surface coloring agent comprising the sam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coloring teeth comprising sodium riboflavin 5-phosphate.
  •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has a molecular formula C 17 H 24 N 4 NaO 11 P, a molecular weight of 514.4, and is a major growth-promoting factor of naturally occurring vitamin B complex, sodium phosphate of riboflavin. salt form.
  •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salt may be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salt dihydrate or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salt hydr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be to color (dye) the dental plaque or the acquired coating.
  • plaque is an initial material for the formation of calculus, which is the main cause of tooth decay and periodontal disease, and refers to a state in which bacteria adhere to the acquired film to form colonies.
  • the "acquisition film” is a non-structural, acellular organic film formed on the surfaces of teeth, prostheses, calculus, artificial products, etc., and is reformed within minutes even after brushing, and serves to protect teeth from acid, whereas bacteria It refers to an acquired thin film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ttaching to teeth.
  • the method for obtaining sodium riboflavin 5-phosphate represented by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hemically synthesized using methods known in the art or commercially available materials may be used.
  •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may exist in solvated as well as non-solvated forms.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ist in crystalline or amorphous form, and all such physical form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generates riboflavin phosphate having a negative charge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is material can be electrostatically bound to the dental plaque and the acquired coating.
  • riboflavin phosphate emits fluorescence of light green to red light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when irradiated with light at 405 nm,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planned location of the dental plaque and the initial dental plaque when irradiat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t 405 nm.
  • the concentration of the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is 0.1 to 50.0 mg/ml, 0.1 to 40.0 mg/ml, 0.1 to 30.0 mg/ml, 0.1 to 20.0 mg/ml, 0.1 to 10.0 mg/ml, 0.1 to 5.0 mg/ml , 0.1 to 4.0 mg/ml, 0.1 to 3.0 mg/ml, 0.1 to 2.0 mg/ml, or 0.1 to 1.0 mg/ml.
  • concentration of sodium riboflavin 5-phosphate is less than 0.1 mg/ml, the intensity of fluorescence is too low, so that the bacterial membrane may not be observed.
  • sodium riboflavin 5-phosph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additive certifi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a water-soluble vitamin (no dosage limi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safe for use as a composition for coloring teeth, which is a composition for oral use.
  • the sodium riboflavin 5-phosphate of the present invention emits fluorescence only when irradiated with light of 405 nm and does not require separate cleaning. After confirm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use and is aesthetically superio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loring composition that is necessarily accompanied by a separate washing process.
  • the dosage form of the composition for coloring the 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tablets, emulsions, aerosols, soft or hard capsules,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or sterile powders, and may additionally contain a dispersing agent or stabilizer.
  • composition for coloring teeth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commonly used abrasives, wetting agents, foaming agents, binders, sweeteners, pH adjusters, preservatives, active ingredients, fragrances, brighteners, pigments, solvents, etc.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and purpose of use. .
  • a tooth surface colorant comprising a; a composition for tooth surface coloring comprising riboflavin 5-phosphate sodium.
  • the term “dental colorant” refers to an agent used to dye or color the dental plaque (plaque) or acquired film.
  • the formulation of the tooth surface color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liquid, gel, gel, cream, film, patch, powder, tablet, or solid formula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surface coloring composition and a tooth surface colorant comprising the same, wherein the tooth surface color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olored (dyed) with respect to the dental surface bacterial film (biofilm), but also is a target for the formation of a dental surface bacterial film, that is, an acquisition film It can also be colored (dyed), and by analyzing the color and intensity of fluorescence emitted by sodium riboflavin 5-phosph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on the amount and properties of the dental plaque. ,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especially for the observation of the initial dental plaque.
  • FIG. 1 is a result of evaluat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a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a is an image (left: white light, right: blue light) taken with Qraycam Pro (AIOBIO, Seoul, Korea)
  • FIG. 1b is The graph is the result of measurement with a fluorescence spectrometer.
  • Figure 2 shows the dyeing evaluation results for the obtained film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ft: White light, Right: Blue light)
  • Streptococcus mutans ( Streptococcus mutans )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dyeing evaluation results for the biofilm. (Left semicircle: control group, right semicircle: experimental group)
  • a bovine tooth specimen was immersed in artificial saliva for 4 hours to form an artificial acquisition film.
  • the specimen on which the obtained film was formed was immersed in 2T (2-Tone), RPS50 (RPS 50 mg/ml) and RPS0.4 (RPS 0.4 mg/ml). After immersion, it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three times. Then, after applying the dye (Application), after the 1st washing (1 st washing), after the 2nd washing (2 nd washing) and after the 3rd washing (3 rd washing), the images were taken (using Qraycam Pro) to dye step by step The degree was confirmed.
  • plaque dye (2-Tone (2T)) used in clinical practice was diluted to a concentration of 10% and set as a control group, and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which RPS was completely dissolved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 1, 50mg/ml and two concentrations of 0.4 mg/ml with the strongest fluorescence intensity.
  • both RPS50 and RPS0.4 were stained on the obtained film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of the dye.
  • RPS50 fluorescence was observed only in blue light (right side of FIG. 2), and RPS0.4 fluorescence disappeared after washing with water.
  • RPS50 showed a characteristic that the fluorescence before washing was changed from red to yellow after washing.
  • S. mutans seeds were inoculated after formation of an acquired film on bovine tooth specimens. It was divided into 3 groups (2T, RPS50 and RPS0.4)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and a biofilm matured for 24, 48 and 72 hours per group was formed. Then, Qraycam Pro images were taken immediately after applying the dye to the biofilm for each hour (24, 48, and 72 hours) (No washing) and after washing 3 times (After washing 3 times). At this time, the obtained film test result image of Experimental Example 2 was used as a control image.
  • RPS50 showed red fluorescence spread throughout the specimen, and after the third water washing, as the incubation time increased, the yellow fluorescence changed to yellow + red fluorescence.
  • the bovine tooth specimen was inoculated with irritant saliva to form a polymicrobial biofilm. It was divided into 3 groups (2T, RPS50 and RPS0.4)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and applied to the biofilm formed for 24, 48 and 72 hours per group. Then, Qraycam Pro images were taken immediately after applying the dye to the biofilm for each hour (24, 48 and 72 hours) (No washing) and after washing 3 times (After washing 3 times). At this time, the obtained film test result image of Experimental Example 2 was used as a control image.
  • the tooth surface color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olored (dyed) with respect to the dental surface bacterial membrane (biofilm), but also can be colored (dyed) for the planned area for the formation of the dental surface bacterial membrane, that is, the acquired coating, and the riboflavin 5-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on the amount and properties of dental plaque by analyzing the color and intensity of fluorescence emitted by sodium phosphate. .

Abstract

본 발명은 치면 착색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면 착색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따른 치면 착색용 조성물은 치면세균막(바이오필름)에 대하여 착색(염색)될 뿐만 아니라 치면세균막의 형성 예정지 즉, 획득피막에 대하여도 착색(염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이 발산하는 형광의 색과 강도를 분석하여 치면세균막의 양과 성질에 대한 정보를 다양하게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특히 초기 치면세균막의 관찰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치면 착색용 조성물
본 발명은 치면 착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을 포함하는 치면 착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입에는 항상 음식물을 통해 많은 양의 세균이 들어오며, 입 안은 고온 다습하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기에 적합한 장소를 제공한다.
입안의 세균들은 음식 속에 있는 당분과 전분들의 탄수화물을 분해해서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을 파괴한다. 이러한 세균들이 치아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부착되어 무색의 막이 형성되며, 이것을 치면세균막이라고 한다.
이러한 치면세균막은 새로운 세균과 기존 세균의 증식 및 세균과 숙주의 대사물질의 축적으로 인해 덩어리가 점점 커지게 되며, 충치, 풍치, 구취와 잇몸병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이는 구강 내 자정작용 즉, 침에 의해 제거되지 않으며 칫솔질과 같은 물리적 방법으로만 제거될 수 있다. 칫솔질을 소홀하게 하면 세균이 확실하게 제거되지 않고 잇몸과 이 사이 또는 이와 이 사이에 남아있게 되고, 시간이 경과하면 치아에 세균이 부착되면서 치면세균막이 다시 형성된다.
한편, 치면세균막은 치아 표면에 치면세막 혹은 획득피막이라는 얇은 막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현재 광학장치를 활용해 치면세균막을 확인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나, 종래 기술은 막 형성되었거나 형성이 예상되는 초기 치면세균막을 관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학 착색 제품을 활용해 치면세균막을 확인하는 방법의 경우 사용 후 잔여 물질로 인해 심미성이 떨어지며, 직접 화학 착색 제품이 흡착된 치면세막을 물리적으로 긁어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치면세균막의 형성 예정지 및 초기 치면세균막을 관찰할 수 있는 치면 착색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이 바이오필름 뿐 아니라 획득피막에도 착색될 수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을 포함하는 치면 착색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을 포함하는 치면 착색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면 착색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치면세균막의 형성 예정지 및 초기 치면세균막을 관찰할 수 있는 치면 착색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이 바이오필름 뿐 아니라 획득피막에도 착색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은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을 포함하는 치면 착색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면 착색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을 포함하는 치면 착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분자식 C17H24N4NaO11P, 분자량 514.4를 가지며, 자연 발생 비타민 B 복합체의 주요 성장-촉진 인자인 리보플라빈의 인산 나트륨염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의 염의 구체적인 예로서,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염 2수화물 또는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염 수화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CTKR2021019503-appb-img-000001
상기 조성물은 치면세균막 또는 획득피막을 착색(염색)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면세균막"은 치태라고도 불리는, 충치와 치주병의 주 원인이 되는 치석 형성의 초기 물질로, 획득피막에 세균이 부착하여 집락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획득피막"은 치면, 보철물, 치석, 인공물 등의 표면에 형성되는 무구조, 무세포성 유기체막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수분 내에 재형성이 되며, 산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반면 세균이 치아에 부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후천성 얇은 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의 획득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은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은 수용액에서 음전하를 띄는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를 생성시키고, 이 물질이 치면세균막 및 획득피막에 정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는 405nm의 빛 조사 시 농도에 따라 연녹~붉은 빛의 형광을 발산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처리 후 405nm 조사 시 치면세균막의 형성 예정지 및 초기 치면세균막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의 농도는 0.1 내지 50.0mg/ml, 0.1 내지 40.0mg/ml, 0.1 내지 30.0mg/ml, 0.1 내지 20.0mg/ml, 0.1 내지 10.0mg/ml, 0.1 내지 5.0mg/ml, 0.1 내지 4.0mg/ml, 0.1 내지 3.0mg/ml, 0.1 내지 2.0mg/ml, 또는 0.1 내지 1.0mg/ml 일 수 있다. 상기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의 농도가 0.1mg/ml 미만인 경우 형광의 강도가 너무 낮아 치면세균막이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의 농도가 50.0mg/ml 초과인 경우 형광물질의 소광 효과에 의해 오히려 형광의 강도가 작아지는 현상 및 잔유물질로 인해 심미성이 훼손되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은 식약처 인증 식품첨가물 및 수용성 비타민(복용한도 없음)이므로, 구강용 조성물인 치면 착색용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은 405nm의 빛을 조사하였을 때만 형광을 발산하고 별도의 세척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형광을 띠는 화학 착색 제품을 치면에 입혀서 확인하고 확인 후에는 별도의 세척 과정이 필수적으로 동반되는 종래의 착색용 조성물에 비하여 사용이 간편하며 심미적으로도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치면 착색용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캅셀, 멸균 주사용액 또는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면 착색용 조성물은 제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감미제, pH 조절제, 방부제, 약효성분, 향료, 증백제, 색소, 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을 포함하는 치면 착색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면 착색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치면 착색제"는 치면세균막(치태) 또는 획득피막 등을 염색 또는 착색하는데 사용하는 제제를 의미한다.
상기 치면 착색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액체, 겔, 젤, 크림, 필름, 패치, 파우더, 타블렛 또는 고형 제제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치면 착색용 조성물 및 상기 치면 착색제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은 치면 착색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면 착색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따른 치면 착색용 조성물은 치면세균막(바이오필름)에 대하여 착색(염색)될 뿐만 아니라 치면세균막의 형성 예정지 즉, 획득피막에 대하여도 착색(염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이 발산하는 형광의 색과 강도를 분석하여 치면세균막의 양과 성질에 대한 정보를 다양하게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특히 초기 치면세균막의 관찰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형광강도를 평가한 결과로, 도 1a는 Qraycam Pro(AIOBIO, Seoul, Korea)로 촬영한 이미지(왼쪽: 백색광, 오른쪽: 청색광), 도 1b는 형광분광기로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획득피막에 대한 염색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왼쪽: 백색광, 오른쪽: 청색광)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스트렙토코쿠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 바이오필름에 대한 염색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왼쪽 반원: 대조군, 오른쪽 반원: 실험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다균성 바이오필름에 대한 염색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왼쪽 반원: 대조군, 오른쪽 반원: 실험군)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이하 RPS) 형광강도 평가
멸균증류수(DW, ①), 가글(GG, 숨그린가글, ②), 타액(S(F-X), ③) 및 필터링 타액(S(F-O), ④) 별로 100mg/ml RPS 저장 용액 제조 후, 100, 50, 25, 12.5, 6.25, 3.12, 1.5, 0.78, 0.39, 0.19 및 0.1mg/ml 농도로 희석하여 플레이트를 제작하였다.
제조된 각 플레이트를 Qraycam Pro(AIOBIO, Seoul, Korea)로 촬영하여 백색광 및 청색광 영상을 획득하였다. 다음으로, 형광분광기(Varioskan, Excitation=405nm/Emission=520nm)를 이용하여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미지 육안 평가 결과, 백색광(도 1a의 왼쪽) 및 청색광(도 1a의 오른쪽) 영상 모두에서 용매 간 형광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고농도(100mg/ml)에서 저농도(0.01mg/ml)로 갈수록 붉은색 형광이 녹색 형광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형광분광기를 이용하여 RPS의 형광강도를 농도별로 측정한 결과, 0.01mg/ml에서 0.39mg/ml로 갈수록 형광강도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증가-감소 추세는 용매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모든 용매에서 최대 형광강도는 0.4mg/ml 농도로 확인되었다(도 1b).
실험예 2. RPS의 획득피막(AP)에 대한 염색 평가
RPS가 타액 성분인 획득피막도 염색시키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인공 타액에 소 치아 시편을 4시간 침적하여 인공 획득피막을 형성하였다. 획득피막이 형성된 시편을 2T(2-Tone), RPS50(RPS 50mg/ml) 및 RPS0.4(RPS 0.4mg/ml)에 침적시켰다. 침적 후 증류수에 3회 수세를 실시하였다. 그 다음, 염색제 적용 직후(Application), 1차 수세 후(1st washing), 2차 수세 후(2nd washing) 및 3차 수세 후(3rd washing) 영상을 촬영(Qraycam Pro 이용)하여 단계별 염색 정도를 확인하였다.
[임상에서 사용 중인 치태염색제(2-Tone(2T))를 10% 농도로 희석하여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바탕으로 RPS가 완전히 용해되었던 최고 농도인 50mg/ml 및 형광강도가 가장 강한 0.4mg/ml 두 농도로 설정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염색제 적용 직후 RPS50 및 RPS0.4 모두 획득피막에 염색되었다. 3차 수세 후에는 RPS50은 청색광(도 2의 오른쪽)에서만 형광이 관찰되었으며, RPS0.4는 수세 후 형광이 소실되었다. 특히, RPS50은 수세 전 형광이 붉은색에서 수세 후 노란색으로 변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치면세균막에 부착된 RPS의 잔류량에 따라 각기 다른 형광을 나타냄을 의미하므로, RPS가 발산하는 형광의 색과 강도를 분석하여 치면세균막의 양과 성질에 대한 정보를 한층 더 다양하게 획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3. RPS의 스트렙토코쿠스 무탄스( Streptococcus mutans ) 바이오필름에 대한 염색 평가
S. mutans는 구강 내 주된 병원균으로 바이오필름을 잘 형성하기 때문에, 단일균종 S. mutans 바이오필름 모델을 이용하여 바이오필름에 대한 RPS 염색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소 치아 시편에 획득피막 형성 후 S. mutans 종자를 접종하였다.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3군(2T, RPS50 및 RPS0.4)으로 나누고 군당 24, 48 및 72시간 동안 성숙시킨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각 시간별(24, 48 및 72시간) 바이오필름에 염색제 적용 직후(No washing) 및 3차 수세 후(After washing 3 times) Qraycam Pro 영상을 촬영하였다. 이때, 상기 실험예 2의 획득피막 실험 결과 이미지를 대조 이미지로 사용하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염색제 적용 직후 RPS50은 시편 전반에 퍼진 붉은색의 형광을 보였으며, 3차 수세 후에는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노란색의 형광에서 노란색+붉은색의 형광으로 변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염색제 적용 직후 RPS0.4는 24시간 바이오필름에서 노란색의 형광만 약하게 관찰되었으며, 48시간 및 72시간 바이오필름에서는 시편 중앙 부위에 붉은색의 형광이 관찰되었다. 3차 수세 후에는 24시간 바이오필름에서는 형광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48시간 바이오필름에서는 약한 노란색 형광, 72시간 바이오필름에서는 약간의 붉은색 형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치면세균막에 부착된 RPS의 잔류량 및 치면세균막의 성숙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의 형광을 나타냄을 의미하므로, RPS가 발산하는 형광의 색과 강도를 분석하여 치면세균막의 성숙도, 양 및 성질에 대한 정보를 한층 더 다양하게 획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4. RPS의 Microcosm 바이오필름에 대한 염색 평가
구강 내 치태는 다균성 미생물 군집이므로, 이를 모사한 다균종 microcosm 바이오필름 모델을 이용하여 바이오필름에 대한 RPS 염색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소 치아 시편에 자극성 타액을 접종하여 다균성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3군(2T, RPS50 및 RPS0.4)으로 나누고 군당 24, 48 및 72시간 동안 형성된 바이오필름에 적용하였다. 그 다음, 각 시간별(24, 48 및 72시간) 바이오필름에 염색제 적용 직후(No washing) 및 3차 수세 후(After washing 3 times) Qraycam Pro 영상을 촬영하였다. 이때, 상기 실험예 2의 획득피막 실험 결과 이미지를 대조이미지로 사용하였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험예 3의 S. mutans 바이오필름 결과와 비교해 특징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전체적인 바이오필름 양은 적게 관찰되었는데, 이는 다균성 미생물 군집의 바이오필름의 경우 각 세균들의 상호작용 및 경쟁으로 인해 치면세균막의 형성이 저해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소결
본 발명의 따른 치면 착색용 조성물은 치면세균막(바이오필름)에 대하여 착색(염색)될 뿐만 아니라 치면세균막의 형성 예정지 즉, 획득피막에 대하여도 착색(염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이 발산하는 형광의 색과 강도를 분석하여 치면세균막의 양과 성질에 대한 정보를 다양하게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특히 초기 치면세균막의 관찰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9)

  1.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을 포함하는 치면 착색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치면세균막 또는 획득피막을 착색시키는 것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은 0.1 내지 50.0mg/ml의 농도로 포함된 것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분말, 에멀젼, 에어로졸, 또는 연질 또는 경질 캅셀인 것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405nm의 빛 조사 시 형광을 발산하는 것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치면 착색 후 별도의 세척이 불필요한 것인,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면 착색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치면 착색제의 제형이 액체, 겔, 젤, 크림, 파우더, 필름, 패치, 타블렛 또는 고형인 것인, 치면 착색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치면 착색제는 치면 착색 후 별도의 세척이 불필요한 것인, 치면 착색제.
PCT/KR2021/019503 2020-12-21 2021-12-21 치면 착색용 조성물 WO202213940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86395.XA CN116685297A (zh) 2020-12-21 2021-12-21 齿面着色用组合物
JP2023562444A JP2024503935A (ja) 2020-12-21 2021-12-21 歯面着色用組成物
EP21911474.1A EP4248937A1 (en) 2020-12-21 2021-12-21 Plaque disclosing composition
US18/338,702 US20230346676A1 (en) 2020-12-21 2023-06-21 Plaque disclosing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473A KR102491541B1 (ko) 2020-12-21 2020-12-21 치면 착색용 조성물
KR10-2020-0179473 2020-12-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338,702 Continuation-In-Part US20230346676A1 (en) 2020-12-21 2023-06-21 Plaque disclosing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407A1 true WO2022139407A1 (ko) 2022-06-30

Family

ID=8215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9503 WO2022139407A1 (ko) 2020-12-21 2021-12-21 치면 착색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46676A1 (ko)
EP (1) EP4248937A1 (ko)
JP (1) JP2024503935A (ko)
KR (1) KR102491541B1 (ko)
CN (1) CN116685297A (ko)
WO (1) WO202213940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856A (ko) * 2006-04-18 2009-01-23 프레지던트 앤드 펠로우즈 오브 하바드 칼리지 초기 단계의 카리에스 검출을 위한 방법 및 키트
KR20120091456A (ko) * 2009-12-23 2012-08-17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진단 구강장치
JP2013514868A (ja) * 2009-12-21 2013-05-02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口腔用光照射装置を用いた微生物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る状態の治療および/または予防方法
KR20140143420A (ko) * 2009-12-23 2014-12-16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상태 식별용 장치
WO2020126569A1 (en) * 2018-12-20 2020-06-25 Empident Gmbh Method and system for oral hygiene inspe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856A (ko) * 2006-04-18 2009-01-23 프레지던트 앤드 펠로우즈 오브 하바드 칼리지 초기 단계의 카리에스 검출을 위한 방법 및 키트
JP2013514868A (ja) * 2009-12-21 2013-05-02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口腔用光照射装置を用いた微生物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る状態の治療および/または予防方法
KR20120091456A (ko) * 2009-12-23 2012-08-17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진단 구강장치
KR20140143420A (ko) * 2009-12-23 2014-12-16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상태 식별용 장치
WO2020126569A1 (en) * 2018-12-20 2020-06-25 Empident Gmbh Method and system for oral hygiene insp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85297A (zh) 2023-09-01
KR102491541B1 (ko) 2023-01-26
KR20220089132A (ko) 2022-06-28
EP4248937A1 (en) 2023-09-27
JP2024503935A (ja) 2024-01-29
US20230346676A1 (en)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ves et al. Coronal leakage: endotoxin penetration from mixed bacterial communities through obturated, post-prepared root canals
Youngson et al. In vitro dentinal penetration by tracers used in microleakage studies
Davis et al. Sealer distribution in coronal dentin
EP1191946B1 (de) Dentales abform- oder filmmaterial und abbildungsverfahren für intraorale diagnosezwecke
Pan et al. Determination of the in situ bactericidal activity of an essential oil mouthrinse using a vital stain method
Parsons et al. In vitro longitudinal assessment of coronal discoloration from endodontic sealers
US5882627A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vivo detection of oral cancers precancerous conditions
US20120107245A1 (en) Dental composition for detection of carious tissue, detection method
DE10061195B4 (de) Verwendung von Abformmassen zur Herstellung von Behandlungsvorrichtungen
WO2022139407A1 (ko) 치면 착색용 조성물
Gonzalez-Cabezas et al. Early detection of secondary caries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US20080260652A1 (en) Composition for dyeing dental plaque for evaluating dental caries activity
JP5005373B2 (ja) 齲蝕活性評価用の歯垢染色用組成物
AU781042B2 (en) Methylene blue diagnostic agent and diagnostic methods for detection of epithelial cancer
US10761026B2 (en) Methods to quantify an ion in a dental biofilm
WO2019107851A1 (ko) 치아 미백 유지제 조성물
EP3347703B1 (en) Fluorescent probes to assess stannous containing oral care products
Veloso et al. Microbial microleakage in temporary restorative materials after post space preparation
JP4074163B2 (ja) 口腔内感染診断用培地組成物
AU2007201551A1 (en) Composition for dyeing dental plaque for evaluating dental caries activity
Hill et al. The effect of glutaraldehyde pulpotomy treatment on pulpal enzymes
CN111481681A (zh) 一种用于牙垢和龋蚀活性显色的组合物
RU2262918C1 (ru) Зубная паста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кариеса
Tehreem Quantification of Discoloration Caused by Intracanal Medicaments in Root Canal Treated Teeth Using Spectrophotometer-an in Vivo Study
JPS61291516A (ja) 歯垢染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114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86395.X

Country of ref document: CN

Ref document number: 2023562444

Country of ref document: J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114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620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