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39166A1 -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39166A1
WO2022139166A1 PCT/KR2021/016007 KR2021016007W WO2022139166A1 WO 2022139166 A1 WO2022139166 A1 WO 2022139166A1 KR 2021016007 W KR2021016007 W KR 2021016007W WO 2022139166 A1 WO2022139166 A1 WO 20221391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mbilical cord
mesenchymal stem
derived mesenchymal
fgf
cultur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60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나은
이정태
김근영
김진영
김동욱
이민지
이로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파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파마
Priority to CN202180087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829125A/zh
Priority to US18/268,734 priority patent/US20240066068A1/en
Priority to JP2023538914A priority patent/JP2024500973A/ja
Publication of WO20221391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91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1Umbilical cord; Umbilical cord blood; Umbilical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7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 Adipose stromal 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8Mesenchymal stem cells from other natural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mprising an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s an active ingredient.
  • Stem cells are known to be involved in biological actions through regulation of the micro-environment of damaged tissues, such as promotion of neovascularization, inhibition of inflammation, and immune regulation in the human body. These biological actions are caused by the secretion of various growth factors, cytokines, extracellular matrix, and antioxidant proteins from mesenchymal stem cells that promote the protection and regeneration of damaged tissues. This is called the paracrine effect.
  • stem cell culture medium Since many components secreted from mesenchymal stem cells can be included in stem cell culture medium, the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are making efforts to develop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using these stem cell culture medium factors.
  •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9-0116659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comprising an adult stem cell culture solution derived from umbilical cord blood. , is not known about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elasticity through increased elasticity, moisturizing, barrier strengthening,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mprising an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skin improvement may be wound relief, wrinkle improvement, regeneration, elasticity increase, moisturizing, barrier strengthening,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 the term "umbilical cord” may mean a line connecting the mother and the abdomen so that the fetus of a mammal can grow in the placenta, and generally three blood vessels surrounded by Wharton's jelly, namely , may mean a tissue composed of two umbilical arteries and one umbilical vein, and is also properly called herein.
  • meenchymal stem cells may refer to stem cells present in cartilage, bone tissue, adipose tissue, bone marrow stroma, etc. differentiated from the mesoderm generated by division of a fertilized egg.
  • Mesenchymal stem cells maintain stemness and self-renewal, have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various cells including chondrocytes, osteoblasts, muscle cells, and adipocytes, and marrow), adipose tissue, umbilical cord blood, synovial membrane, trabecular bone, muscle, infrapatellar fat pad, etc. can be extracted.
  • Mesenchymal stem cells inhibit the activity and proliferation of T lymphocytes and B lymphocytes, suppress the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s (NK cells), and inhibit the functions of dendritic cells and macrophages. It is a cell capable of allotransplantation and xenotransplantation because it has immunomodulatory ability to regulate.
  • Umbilical Cord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re derived from the umbilical cord or Wharton's jelly tissue of the umbilical cord, and may refer to cells having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various tissue cells. .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is 6Ckine, adiponectin/Acrp30, angiogenin, angiopoietin-1 (ANGPT-1), ANGPT-2, angiopoietin -Angiopoietin-like 1 (ANGPTL-1), ANGPTL-2, Angiostatin, APRIL, Artemin, BD-1, BAX, 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2 , BMP-3,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Receptor (BMPR-IA)/Anaplastic lymphoma kinase (ALK)-3, C-C chemokine receptor (C-C chemokine receptor)1 ,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Ligand/TNFSF8, CD40/TNFRSF5, CD40 Ligand/TNFSF5/CD154, Csk, CLC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is 2 or more, 3 or more, 4 or more, 5 or more, 6 or more, 7 or more, 8 or more, 9 or more, 10 or more, 11 or more among the 71 proteins. or more, 12 or more, 13 or more, 14 or more, 15 or more, 16 or more, 17 or more, or all proteins.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ay have a signal intensity as shown in Table 1 below.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is adiponectin/Acrp30, ANGPT-1, ANGPT-2, angiostatin, APRIL, CCR7, CCR8, CCR9,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FGF It may include one or more prote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9, GDF-15, HB-EGF, IGFBP-rp1/IGFBP-7, MIP-1a, and TMEFF1/Tomoregulin-1.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is not included in the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of Kang Stem Biotech (Seoul, Korea), 6Ckine, ANGPT-2, ANGPTL-1, ANGPTL-2, angiostatin, APRIL , Artemin, BD-1, BAX, BMP-3, BMPR-IA/ALK-3, CCR1,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Ligand/TNFSF8, CD40/TNFRSF5, CD40 Ligand/TNFSF5/ CD154, Csk, CLC,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CXCR2/IL-8 RB, CXCR5/BLR-1, EDA-A2, EDG-1, EG-VEGF/PK1, ErbB4, Fas Ligand, FGF R4, FGF-9, FGF-10/KGF-2, FGF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is not included in the neural stem cell culture medium prepared by the method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2172344, 6Ckine, adiponectin/Acrp30, angiogenin, ANGPT-1, ANGPT-2 , ANGPTL-1, ANGPTL-2, Angiostatin, APRIL, Artemin, BD-1, BAX, BMP-2, BMP-3, BMP-4, BMPR-IA/ALK-3, CCR1,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Ligand/TNFSF8, CD40/TNFRSF5, CD40 Ligand/TNFSF5/CD154, Csk, CLC,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CXCR2/IL-8 RB, CXCR5/ BLR-1, EDG-1, EG-VEGF/PK1, ErbB4, Fas lig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is 6Ckine, ANGPT-2, ANGPTL-1, ANGPTL-2, angiostatin, APRIL, artemin, BD-1, BAX, BMP-3, BMPR-IA/ALK-3 , CCR1,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Ligand/TNFSF8, CD40/TNFRSF5, CD40 Ligand/TNFSF5/CD154, Csk, CLC,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CXCR2/IL-8 RB, CXCR5/BLR-1, EDA-A2, EDG-1, EG-VEGF/PK1, ErbB4, Fas ligand, FGF R4, FGF-9, FGF-10/KGF-2, FGF-11 , GDF3, GDF5, GDF9, GRO-a, HCR (CRAM-A/B), HRG
  • the cosmetic composition can relieve the wound by restoring the wound of the skin cells.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exhibit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wrinkles, regenerating, or increasing elasticity by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in skin cells.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exhibit the effect of moisturizing the skin or strengthening the barrier by promoting the synthesis of aquaporin or hyaluronic acid.
  • AQP aquaporin
  • hyaluronic acid is a high molecular compound composed of N-acetylglucosamine and glucuronic acid, and refers to a factor that helps to moisturize the ski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exhibit an antioxidant effect by inhibiting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skin cells.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exhibit an anti-inflammatory effect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skin cells.
  • the inflammatory cytokine may be TNF- ⁇ , TNF- ⁇ , IFN- ⁇ , IL-6 or IL-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the inflammatory cytokine may be TNF- ⁇ .
  • the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re i) positive for at least one surface antige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D44, CD73, CD105 and CD90, and ii)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D14, CD19, CD45 and CD34. It can be negative for surface antigens.
  • the term “positive” may mean that the surface marker is present in a larger amount or at a higher concentration when compared to other non-stem cells as a reference in relation to the stem cell surface marker. That is, a cell is positive for a marker if it can distinguish the cell from one or more other cell types using that marker because a surface marker is present on the cell surface. It may also mean that the cell is expressing the marker in an amount sufficient to generate a signal, eg, a signal of a cytometer, at a value greater than the background value. For example, a cell may be detectable with an antibody specific for CD44, a stem cell specific surface antigen, and if the signal from this antibody is detectably greater than a control (eg, background value) then the cell is "CD44" + ".
  • the term “negative” means that even when an antibody specific for a specific cell surface marker is used, the marker cannot be detected compared to the background value. For example, if a cell cannot be detectably labeled with an antibody specific for CD14, the cell is "CD14 - ".
  • the immunological properties can be determined by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various methods such as flow cytometry, immunocytochemical staining, or RT-PCR may be used.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solution comprises: a) isolating mesenchymal stem cells from the umbilical cord from which blood vessels are removed; b) subculturing the isolated mesenchymal stem cells 1 to 10 times in a serum-free cell culture medium; And c)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filtration after obtaining the culture solution in the process of subculture.
  • the umbilical cord may use a placenta isolated after childbirth from a healthy mother (eg, a mother who is HIV, HCV, or HBV negative). That is, the "separated umbilical cord” may mean an umbilical cord that is separated from the mother's mother after childbirth. The separated umbilical cord may be stored in a sterilized container and ice immediately after separation.
  • the method for obtaining the separation of the umbilical cord from the placenta may include, for example, separating the umbilical cord from the separated placenta; removing blood outside the separated umbilical cord; removing the arteries and veins of the umbilical cord from which the blood has been removed; and/or slicing the blood from which the arteries and veins are removed to a predetermined size (eg, 1 to 20 mm).
  • a predetermined size eg, 1 to 20 mm.
  • Ca/Mg free DPBS or Ca/Mg free DPBS containing gentamicin may be used.
  • the separation enzyme may include collagenase, trypsin, and/or dispase.
  • the isolate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may include the step of subculturing 1 to 10 times as P0. Specifically, it can be subcultured 3 times or 4 times.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through the step of filtration after obtaining the culture solution in the subculture process.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s a cosmetic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if necessary.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as, for example,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and spray.
  •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and spray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i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a nourishing lotion, a nourishing cream, a massage cream, an essence, an eye cream, a cleansing cream, a cleansing foam, a cleansing water, a pack, a spray, or a powder.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g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zinc oxide, and mixtures thereof It may include a carrier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when it is a solution or emulsion, it may include a carrier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olvent, a solvat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and a mixture thereof.
  • a carrier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olvent, a solvat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and a mixture thereof. Examples thereof includ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polyethylene glycol, sorbitan fatty acid esters and mixtures thereof. can be heard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uspension
  •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and a carrier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ult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tragacanth, and mixtures thereof.
  • the carrier compon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1 to about 99.99% by weight, preferably about 80% by weight to about 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mprising a culture medium of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ulture medium of the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s as described above.
  • the inflammatory skin disease may be one or more disea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opic dermatitis, allergic dermatitis, contact dermatitis, acne, seborrheic dermatitis, sweat spots, urticaria, psoriasis, sclerosis, eczema, vitiligo, lupus and alopecia areata.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s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s an active ingredient from about 0.1% to about 90% by weight, specifically from about 0.5% to about 75% by weight,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s about 1 wt% to about 50 w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include conventional and non-toxic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s formulated into a formula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diluent or excip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the skin.
  • the formul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 formula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 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be prepared and us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ointment, lotion, spray, patch, cream, powder, suspension, patch or gel.
  • Redundant content is omit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exity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erms not defined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the meanings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solu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mproving the skin because it exhibits wound relief, wrinkle improvement, regeneration, elasticity increase, moisturizing, barrier strengthening,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effect It can be usefully used in a cosmetic composition.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s an active ingredient has an effect of inhibiting the genera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so it will be widely used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s.
  • FIG. 1 is an X40 magnification micrograph of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n X100 magnification micrograph of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5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stem cell-specific surface markers in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rough FACS analysis, which is a flow cytometer.
  • FIG. 6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stem cell-specific surface markers in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rough immunocytofluorescence staining.
  •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solution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tein component contained in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solu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8 is a graph measuring the expression intensity of a protein secreted from a culture medium of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HaCaT human epidermal cells
  • HS68 human dermal fibroblasts
  • HaCaT human epidermal cells
  • AD means fat
  • BM means bone marrow
  • UC means umbilical cord.
  • HaCaT human epidermal cells
  • AD means fat
  • BM means bone marrow
  • UC means umbilical cord.
  • HaCaT human epidermal cells
  • FIG. 14 is a micrograph showing the wound healing effect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S68)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results of measuring the wound recovery rate.
  • HS68 human dermal fibroblasts
  • UC-MSC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 AD-MSC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BM-MSC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 16 is an electrophoretic photograph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COL1A1 and the expression level of COL1A1 after treatment with human dermal fibroblasts (HS68)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is is a comparison graph.
  • 17 is an electrophoresis photograph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COL3A1 and the expression level of COL3A1 after treatment with human dermal fibroblasts (HS68)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is is a comparison graph.
  • FIG. 18 is a graph comparing PICP expression level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S68)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solu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HaCaT human epidermal cells
  • 20 is a human epidermal cell ( It is a graph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s of AQP3, HAS2 and HAS3 in HaCaT) with an electrophoretic photograph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each.
  • Figure 21 shows mouse macrophages (Raw 264.7)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to induce an inflammatory response, and after treatment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It is a graph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and the electrophoretic photograph showing the expression of TNF- ⁇ .
  • LPS lipopolysaccharide
  • HS68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in human dermal fibroblasts
  • UC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 AD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 BM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the umbilical cords donated during delivery of healthy mothers were washed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by placing a cell culture dish on ice in a Clean Bench or Biological Safety Cabinet (BSC).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BSC Biological Safety Cabinet
  • the blood vessels in the umbilical cord were first removed with sterile scissors, and cut into pieces with a size of 3 mm to 5 mm. After transferring the chopped umbilical cord tissue to a cell culture flask, it was treated with trypsin enzyme and reacted at 37° C. for 30 minutes to obtain 5% HPL (Human Platelet Lysate; Helios UltraGRO), 1% P/S (Penicillin/Streptomycin; GIBCO). ) containing MEM-alpha (GIBCO) medium was added and cultured in an incubator at 37° C. to obtain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HPL Human Platelet Ly
  • the culture medium is phenol-red free MEM containing 5% HPL and 1% P/S
  • the culture medium was separated in the process of replacing it with -alpha and culturing for 48 hours.
  • the separated culture medium was filtered through a 0.22 ⁇ m filter to obtain a culture medium of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purchased from Promocell and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Cat# PT-2501) purchased from LonZa were passaged 3 or 4 times, followed by 5% HPL and 1 MEM-alpha medium containing % P/S was added and further cultured. When the cell confluency reaches 70-80%, the culture medium is replaced with phenol-red free MEM-alpha, and a culture medium of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s obtained in the process of culturing for 48 hours. did
  • the shape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observed under a microscope.
  • 1 is a photograph observed under a microscope X40 magnification
  • FIG. 2 is a photograph observed under a microscope X100 magnification.
  •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were seeded in a 6-well plate at 2.5 x 10 5 cells per well, and then low-glucose DMEM medium (10% fetal bovine serum) (Fetal Bovine Serum, FBS) and 1% P/S) for 24 hours. Then, into complete differentiation medium containing 0.1 ⁇ M Dexamethasone (Sigma D4902), 10 ⁇ M ⁇ -Glycerol phosphate (Sigma G9891) and 0.25 mM Ascorbic acid (AA) (Sigma A4544) After replacement, cultured for 21 days.
  •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were aliquoted at 1 x 10 5 per well in a 6-well plate, and then low-glucose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1% AA). ) incubated for 24 hours. Then,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Sigma I7018), 1 ⁇ M hydrocortisone (Sigma H0888) and 0.1 mM indomethacin (Indomethacin, Sigma) I7378) was replaced with a complete differentiation medium and cultured for 21 days, and the medium was replaced every 2-3 days.
  • IBMX 3-isobutyl-1-methylxanthine
  • hydrocortisone Sigma H0888
  • indomethacin Indomethacin, Sigma
  • Oil Red O (Sigma) stain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formation of lipid droplets.
  •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stem cells were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through the fact that large and small substances (fat) that looked like water droplets were stained red (FIG. 4).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ave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bone cells and adipocytes.
  • the culture medium was removed and washed with PBS. Then, trypsin was added to dissociate the cells, and the cells were further washed with PBS. After counting the number of cells and adding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FACS) buffer (PBS + 2% FBS) to make 1x10 6 cells/mL, the cells were positively labeled with CD44 (PE). , CD73(FITC), CD105(APC), CD90(PE-Cy7) and negative markers CD14(PE), CD19(FITC), CD45(APC), CD34(PE-cy7) antibodies were reacted.
  • FACS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were selectively positive for CD44, CD73, CD105, and CD90, and selectively negative for CD14, CD19, CD45, and CD34 (Fig. 5). ).
  • Antibodies have different types of antibodies attached to each cell, and the target antibody and dilution ratio for each protein are shown in Table 2 below. It was reacted with the diluted antibody solution in a shaker at 4° C. for 16 hours. In addition, nuclei were stained using DAPI (abcam, cat.no.ab104139, diluted 1,000 times). The stained sample was imaged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express CD44 (green), a surface-positive marker of stem cells, and do not express CD44 (red), which is a surface-negative marker ( FIG. 6 ).
  •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exhibited stem cell-specific characteristics.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contained a large number of various growth factors, cytokines, and the like ( FIGS. 7 and 8 ).
  • adiponectin/Acrp30 a protein involved in skin regeneration and skin aging prevention, angiogenesis inducer (Angiogenin), angiopoietin-1, Angiopoietin-2, Angiopoietin-like 1, Angiopoietin- like 2, angiostatin, 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2, BMP-3, BMP-4, BMPR (bone morphogenetic protein receptor)-IA/ALK (Anaplastic lymphoma kinase)-3, Csk, CTACK/CCL27 ( C-C motif chemokine ligand 27), CXCR2/IL-8 RB (Interleukin 8 receptor, beta), EDA-A2, EDG-1, EG-
  • CXCR1/IL-8 RA CXCR1/IL-8 RA
  • CXCR5 C-X-C chemokine receptor type 5
  • BLR-1 EDG (endothelial diferentiation gene)-1
  • Fas Ligand IL-13 1B
  • HCR heme-controlled repressor
  • M-CSF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 MDC MIP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s)-1a, MIP-1b, MIP-2, NAP (neutrophil activating protein) )-2
  • PF Platinum- factor
  • CXCL4 PLUNC
  • TRADD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type 1-associated DEATH domain protein
  • HaCaT and HS68 were each dispensed in a 96-well plate at 1 ⁇ 10 3 cells/100 ⁇ l per 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n as negative control (NC; untreated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concentrations of 5%, 10%, 25%, 50% and 100%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s were treated, respectively. After treatment with each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medium, changes in cell activity were observed by measuring absorbance at 450 nm using CCK-8 (Dojindo, CK04-13) reagent at the same time every day for 3 day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vival rates of HaCaT (FIG. 9) and HS68 (FIG. 10) were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treated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 CCK-8 Dojindo, CK04-13
  • HaCaT was dispensed in a 96-well plate at 1 ⁇ 10 3 cells/100 ⁇ l per 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n the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1 as a negative control (NC) and comparative control.
  • NNC negative control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cytotoxicity and induces cell proliferation.
  • the culture solution was treated and 24 hours later, the cells were stained with a crystal violet reagent and observed under a microscop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wound recovery rat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HaCaT (FIG. 13) and HS68 (FIG. 14) were treated with an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t a concentration of 10% or more.
  • HaCaT was dispensed at 3 ⁇ 10 5 cells per well, cultured to a density of 100%, and wounds were mad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followed by a negative control (NC; untreated group) and Comparative Example 1 as a comparative control.
  • NC negative control
  • Comparative Example 1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nd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obtained in Immediately after treatment with the culture solution and after 24 hours, the recovery rate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area of the wound, and the cells were stained with crystal violet reagent and observed under a microscope.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ll wound healing effect.
  • HS68 was dispensed at 1.0 ⁇ 10 5 cells per well in a 6-well plate and cultured for 24 hours.
  • N negative control
  • qPCR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 RNA was extracted using phenol/chloroform.
  • the extracted RNA was reverse transcribed to synthesize cDNA.
  • the expression level of cDNA was analyzed using qPCR on Applide Biosystems 700 sequence detection system (foster City, CA, USA). In this case, the primers used are as described in Table 4 below.
  • Collagen gene nam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COL1A1 GGCGGCCAGGGCTCCGAC (SEQ ID NO: 1) GGTGCCCCAGACCAGGAATT (SEQ ID NO: 2) COL3A1 TGAAAGGACACAGAGGCTTCG (SEQ ID NO: 3) GAGCCTGGTAAGAATGGTGC (SEQ ID NO: 4) ⁇ -actin TCCTCCCTGGAGAAGAGCTA (SEQ ID NO: 5) AGGAGGAGCAATGATCTTGATC (SEQ ID NO: 6)
  • HS68 was dispensed at 1.0 ⁇ 10 5 cells per well in a 6-well plate and cultured for 24 hours.
  • a negative control (NC) 10ng/ml TGF- ⁇ as a positive control, and 5%, 10%, 25%, 50%, and 100%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s an experimental group were treated, respectively, 24 After culturing for an hour, the cultured medium was centrifuged to obtain a supernatant. Collagen synthesis promoting ability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degree of procollagen synthesis using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CP) ELISA Kit (Takara, Cat.# MK101).
  • PICP Procollagen Type I C-peptide
  • the PICP ex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ICP expression level was similar or increased compared to TGF- ⁇ , which is known to have the ability to promote collagen synthesis. (Fig. 18).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is effective in improving skin wrinkles and increasing skin elasticity.
  • each well of HaCaT was aliquoted at 1.0 ⁇ 10 6 cells and cultured, and then exchanged with a serum-free medium. After 24 hours, a negative control (NC), 1 mM retinoic acid (RA, Sigma-aldrich, R2625) as a positive control, and 5%, 10%, 25%, 50%, 100% umbilical cord as an experimental group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s were treated respectively.
  • NC negative control
  • RA 1 mM retinoic acid
  • the primers used are as described in Table 5 below.
  • the skin performs a barrier function by various moisturizing factors such as hyaluronic acid, and hyaluronic acid is mainly synthesized by HAS of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and accumulated in the extracellular matrix.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kin moisturizing effect and skin barrier strengthening effect through this.
  • LPS lipopolysaccharide
  • the primers used are as described in Table 6 below.
  • the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 in TNF- ⁇ expression level when the inflammatory response-induced cells were treated with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FIG. 21).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hibiting the skin inflammation reaction.
  • antioxidants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antioxidants: enzyme systems (GSH reductase, catalase, peroxidase, etc.), small molecules (ascorbate, uric acid, GSH, vitamin E, etc.) and proteins (albumin, transferrin, etc.).
  • GSH reductase enzyme systems
  • small molecules ascorbate, uric acid, GSH, vitamin E, etc.
  • proteins albumin, transferrin, etc.
  • Trolox is used to standardize antioxidants and all other antioxidants are measured as Trolox equivalents. It was measured using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Assay Kit, which can measure the combination of small molecule antioxidants and proteins or small molecules alone.
  • Cu 2+ ions are converted to Cu + by both small molecules and proteins.
  • Protein Mask prevents Cu 2+ reduction by protein, so only small molecule antioxidants can be analyzed.
  • the reduced Cu + ions are chelated with a colorimetric probe, giving a broad absorption peak at about 570 nm proportional to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 the colorless reduced form of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2,2'-azinobis(3-ethylbenzothiazo-thiazoline-6-sulfonate; ABTS)) is hydrogen peroxide
  • ABTS decolorizes in proportion to their concentration, and the result of this color change reaction is measured by irradiating absorbance at 570 nm TAC measurement of sample material
  • a standard curve was prepared using Trolox as a standard reagent for
  • ROS detection kit (Abcam) containing carboxy-H2DCFDA was obtained. was used and tested as follows.
  • DCFH-DA 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 Human dermal fibroblasts (HS68) were seeded at 2.5 ⁇ 10 4 cells per well in a 24-well microplate, and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an incubator at 37° C. and 5% CO 2 condition for 24 hours. Then, as a negative control (NC), 250 ⁇ M ascorbic acid (Vit.C) as a positive control, hydrogen peroxide as a comparative control, and concentrations 5%, 10%, 25%, 50%, 100% of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 as an experimental group. Each of th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s was added and cultured for 24 hours.
  • NC negative control
  • Vit.C ascorbic acid
  • hydrogen peroxide as a comparative control
  • concentrations 5%, 10%, 25%, 50%, 100% of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 as an experimental group.
  • the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has a skin antioxidant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처 완화, 주름 개선, 재생, 탄력 증가, 보습, 장벽 강화, 항염증 또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약학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Description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는 인체 내에서 신혈관 생성 촉진, 염증 억제 작용, 면역 조절 작용 등 손상 조직의 미세환경(micro-environment) 조절을 통한 생체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체 작용은 손상 조직의 보호 및 재생을 촉진하는 다양한 성장인자(growth factor), 사이토카인(cytokine),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항산화 단백질이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어 발생한다. 이를 파라크라인 효과(paracrine effect)라고 일컫는다.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된 성분들은 줄기세포 배양액에도 다수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 및 의약업계에서는 이러한 줄기세포 배양액 인자들을 이용한 화장품 및 의약품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6659호에는 제대혈 유래 성체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상처 완화, 주름 개선, 재생, 탄력 증가, 보습, 장벽 강화, 항염증 또는 항산화를 통한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처 완화, 주름 개선, 재생, 탄력 증가, 보습, 장벽 강화, 항염증 또는 항산화를 통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개선은 상처 완화, 주름 개선, 재생, 탄력 증가, 보습, 장벽 강화, 항염증 또는 항산화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탯줄(umbilical cord)"은 포유류의 태아가 태반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모체와 배를 연결해주는 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와튼 젤리(Wharton's jelly)로 둘러싸인 3개의 혈관, 즉, 2개의 배꼽 동맥과 1개의 배꼽 정맥으로 구성된 조직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제대로 불리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는 수정란이 분열하여 생긴 중배엽에서 분화된 연골, 골조직, 지방조직, 골수의 기질(stroma) 등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의미할 수 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줄기세포능(stemness)과 자기재생능(self-renewal)을 유지하고 연골세포, 조골세포, 근육세포, 지방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골수(bone marrow), 지방조직(adipose tissue), 재대혈(umbilical cord blood), 활막(synovial membrane), 골조직(trabecular bone), 근육, 슬개건하 지방(infrapatellar fat pad) 등에서 추출할 수 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T 림프구, B 림프구의 활성, 증식을 억제하며, 자연 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의 활성을 억제하고,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와 대식세포(macrophage)의 기능을 조절하는 면역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동종이식(allotransplantation)과 이종이식(xenotransplantation)이 가능한 세포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Umbilical Cord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는 탯줄 또는 탯줄의 와튼 젤리 조직으로부터 유래되고, 다양한 조직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세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6Ckine, 아디포넥틴(Adiponectin)/Acrp30, 엔지오제닌(Angiogenin), 안지오포이에틴(Angiopoietin)-1(ANGPT-1), ANGPT-2, 안지오포이에틴-유사 1(Angiopoietin-like 1)(ANGPTL-1), ANGPTL-2, 안지오스타틴(Angiostatin), APRIL, 아르테민(Artemin), BD-1, BAX, 골 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2, BMP-3, BMP-4, 골 형성 단백질 수용체(Bone Morphogenetic Protein Receptor; BMPR-IA)/ALK(Anaplastic lymphoma kinase; 역형성 림프종 인산화효소)-3, CCR(C-C chemokine receptor; C-C 케모카인 수용체)1,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리간드(Ligand)/TNFSF8, CD40/TNFRSF5, CD40 리간드/TNFSF5/CD154, Csk, CLC, CRTH-2, CTACK/CCL27(C-C motif chemokine ligand 27; C-C 모티프 케모카인 리간드 27), CXCR1/IL-8 RA(Interleukin 8 receptor alpha; 인터루킨 8 수용체 알파), CXCR2/IL-8 RB(Interleukin 8 receptor beta; 인터루킨 8 수용체 베타), CXCR5/BLR-1, EDA-A2, EDG-1, EG-VEGF(endocrine-gland-derive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내분비선 유래-혈관 내피 성장 인자)/PK1, 엔도스타틴(Endostatin), ErbB4, Fas 리간드, FGF Basic(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FGF R4, FGF-9, FGF-10/KGF-2, FGF-11, IL-13 1B, GDF(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성장 분화 인자)3, GDF5, GDF9, GDF11, GDF-15, GRO-a, HB-EGF(Heparin-binding EGF; 헤파린 결합 EGF), HCR(heme-controlled repressor; 헴 조절형 억제자)(CRAM-A/B), HRG1-α/NRG1-α, IGFBP(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결합 단백질)-3, IGFBP-6, IGFBP-rp(IGFBP-related protein; IGFBP-관련 단백질) 1/IGFBP-7, 림포톡신(Lymphotoxin)-β/TNFSF3, M-CSF(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 MDC, MIP(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s;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1a, MIP-1b, MIP 2, NAP(neutrophil activating protein; 호중구 활성 단백질)-2, PF4/CXCL4, PLUNC(Palate, lung and nasal epithelium clone protein; 구개, 폐 및 비강 상피 클론 단백질), 트롬보스폰딘(Thrombospondin)-1, TIMP-1, TIMP-2, TMEFF1/Tomoregulin-1, TRADD(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type 1-associated DEATH domain protein;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유형 1-연관 사멸 도메인 단백질) 또는 이들 조합의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상기 71종의 단백질 중에서 2 이상, 3 이상, 4 이상, 5 이상, 6 이상, 7 이상, 8 이상, 9 이상, 10 이상,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15 이상, 16 이상, 17 이상 또는 모든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성분을 iBright Analysis Software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신호 강도를 가질 수 있다.
No. 세크리톰 신호강도 No. 세크리톰 신호강도
1 6Ckine 150,000 내지 200,000 37 Endostatin 95,000 내지 145,000
2 Adiponectin / Acrp30 965,000 내지 1,015,000 38 ErbB4 195,000 내지 245,000
3 Angiogenin 265,000 내지 315,000 39 Fas Ligand 85,000 내지 135,000
4 Angiopoietin-1 745,000 내지 795,000 40 FGF Basic 165,000 내지 215,000
5 Angiopoietin-2 1,155,000 내지 1,205,000 41 FGF R4 435,000 내지 485,000
6 Angiopoietin-like 1 145,000 내지 195,000 42 FGF-9 1,265,000 내지1,315,000
7 Angiopoietin-like 2 425,000 내지 475,000 43 FGF-10 / KGF-2 115,000 내지 165,000
8 Angiostatin 1,085,000 내지 1,235,000 44 FGF-11 655,000 내지 705,000
9 APRIL 1,245,000 내지
1,295,000
45 IL-13 1B 475,000 내지 525,000
10 Artemin 95,000 내지 145,000 46 GDF3 145,000 내지 195,000
11 BD-1 85,000 내지 135,000 47 GDF5 115,000 내지 165,000
12 BAX 1,135,000 내지 1,185,000 48 GDF9 165,000 내지 215,000
13 BMP-2 295,000 내지 345,000 49 GDF11 95,000 내지 145,000
14 BMP-3 305,000 내지 355,000 50 GDF-15 655,000 내지 705,000
15 BMP-4 535,000 내지 585,000 51 GRO-a 215,000 내지 265,000
16 BMPR-IA/ALK-3 345,000 내지 395,000 52 HB-EGF 95,000 내지
1,045,000
17 CCR1 335,000 내지 385,000 53 HCR (CRAM-A/B) 485,000 내지 535,000
18 CCR2 415,000 내지 465,000 54 HRG1-alpha/NRG1-alpha 265,000 내지 315,000
19 CCR4 345,000 내지 395,000 55 IGFBP-3 145,000 내지 195,000
20 CCR6 485,000 내지 535,000 56 IGFBP-6 15,000 내지 65,000
21 CCR7 1,245,000 내지 1,295,000 57 IGFBP-rp1 / IGFBP-7 1,155,000 내지 1,205,000
22 CCR8 1,025,000 내지 1,075,000 58 Lymphotoxin beta/ TNFSF3 175,000 내지 225,000
23 CCR9 1,155,000 내지 1,205,000 59 M-CSF 615,000 내지 665,000
24 CD30 Ligand / TNFSF8 555,000 내지 605,000 60 MDC 415,000 내지 465,000
25 CD40 / TNFRSF5 285,000 내지 335,000 61 MIP-1a 1,245,000 내지1,295,000
26 CD40 Ligand / TNFSF5 /CD154 655,000 내지 705,000 62 MIP-1b 375,000 내지 425,000
27 Csk 35,000 내지 85,000 63 MIP 2 205,000 내지 255,000
28 CLC 285,000 내지 335,000 64 NAP-2 165,000 내지 215,000
29 CRTH-2 785,000 내지 835,000 65 PF4 / CXCL4 65,000 내지 115,000
30 CTACK / CCL27 895,000 내지 945,000 66 PLUNC 115,000 내지 165,000
31 CXCR1 / IL-8 RA 1,035,000 내지 1,085,000 67 Thrombospondin-1 325,000 내지 375,000
32 CXCR2 / IL-8 RB 1,075,000 내지 1,125,000 68 TIMP-1 1,075,000 내지
1,125,000
33 CXCR5 /BLR-1 55,000 내지 105,000 69 TIMP-2 215,000 내지 265,000
34 EDA-A2 225,000 내지 265,000 70 TMEFF1 / Tomoregulin-1 1,015,000 내지
1,065,000
35 EDG-1 265,000 내지 315,000 71 TRADD 525,000 내지 575,000
36 EG-VEGF / PK1 235,000 내지 285,000
상기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아디포넥틴/Acrp30, ANGPT-1, ANGPT-2, 안지오스타틴, APRIL, CCR7, CCR8, CCR9,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FGF-9, GDF-15, HB-EGF, IGFBP-rp1/IGFBP-7, MIP-1a 및 TMEFF1/Tomoregulin-1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강스템바이오텍(서울, 대한민국)의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에 포함되지 않은, 6Ckine, ANGPT-2, ANGPTL-1, ANGPTL-2, 안지오스타틴, APRIL, 아르테민, BD-1, BAX, BMP-3, BMPR-IA/ALK-3, CCR1,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리간드/TNFSF8, CD40/TNFRSF5, CD40 리간드/TNFSF5/CD154, Csk, CLC,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CXCR2/IL-8 RB, CXCR5/BLR-1, EDA-A2, EDG-1, EG-VEGF/PK1, ErbB4, Fas 리간드, FGF R4, FGF-9, FGF-10/KGF-2, FGF-11, GDF3, GDF5, GDF9, GRO-a, HCR(CRAM-A/B), HRG1-α/NRG1-α, IGFBP-rp1/IGFBP-7, 림포톡신-β/TNFSF3, M-CSF, MDC, MIP-1a, MIP-1b, MIP 2, NAP-2, PF4/CXCL4, PLUNC, TMEFF1/Tomoregulin-1 및 TRAD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2172344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에 포함되지 않은, 6Ckine, 아디포넥틴/Acrp30, 엔지오제닌, ANGPT-1, ANGPT-2, ANGPTL-1, ANGPTL-2, 안지오스타틴, APRIL, 아르테민, BD-1, BAX, BMP-2, BMP-3, BMP-4, BMPR-IA/ALK-3, CCR1,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리간드/TNFSF8, CD40/TNFRSF5, CD40 리간드/TNFSF5/CD154, Csk, CLC,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CXCR2/IL-8 RB, CXCR5/BLR-1, EDG-1, EG-VEGF/PK1, ErbB4, Fas 리간드, FGF R4, FGF-9, FGF-10/KGF-2, FGF-11, IL-13 1B, GDF11, HCR(CRAM-A/B), HRG1-α/NRG1-α, IGFBP-rp1/IGFBP-7, 림포톡신-β/TNFSF3, M-CSF, MDC, MIP-1a, MIP-1b, MIP 2, NAP-2, PF4/CXCL4, PLUNC, TIMP-2, TMEFF1/Tomoregulin-1 및 TRADD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6Ckine, ANGPT-2, ANGPTL-1, ANGPTL-2, 안지오스타틴, APRIL, 아르테민, BD-1, BAX, BMP-3, BMPR-IA/ALK-3, CCR1,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리간드/TNFSF8, CD40/TNFRSF5, CD40 리간드/TNFSF5/CD154, Csk, CLC,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CXCR2/IL-8 RB, CXCR5/BLR-1, EDA-A2, EDG-1, EG-VEGF/PK1, ErbB4, Fas 리간드, FGF R4, FGF-9, FGF-10/KGF-2, FGF-11, GDF3, GDF5, GDF9, GRO-a, HCR(CRAM-A/B), HRG1-α/NRG1-α, IGFBP-rp1/IGFBP-7, 림포톡신-β/TNFSF3, M-CSF, MDC, MIP-1a, MIP-1b, MIP 2, NAP-2, PF4/CXCL4, PLUNC, TMEFF1/Tomoregulin-1 및 TRAD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및 6Ckine, 아디포넥틴/Acrp30, 엔지오제닌, ANGPT-1, ANGPT-2, ANGPTL-1, ANGPTL-2, 안지오스타틴, APRIL, 아르테민, BD-1, BAX, BMP-2, BMP-3, BMP-4, BMPR-IA/ALK-3, CCR1,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리간드/TNFSF8, CD40/TNFRSF5, CD40 리간드/TNFSF5/CD154, Csk, CLC,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CXCR2/IL-8 RB, CXCR5/BLR-1, EDG-1, EG-VEGF/PK1, ErbB4, Fas 리간드, FGF R4, FGF-9, FGF-10/KGF-2, FGF-11, IL-13 1B, GDF11, HCR(CRAM-A/B), HRG1-α/NRG1-α, IGFBP-rp1/IGFBP-7, 림포톡신-β/TNFSF3, M-CSF, MDC, MIP-1a, MIP-1b, MIP 2, NAP-2, PF4/CXCL4, PLUNC, TIMP-2, TMEFF1/Tomoregulin-1 및 TRADD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상처를 회복함으로써 상처를 완화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재생 또는 탄력 증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쿠아포린 또는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보습 또는 장벽 강화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쿠아포린(aquaporin, AQP)" 세포막에서 채널을 형성하여 물 분자들의 수동 수송을 유도하는 내재 막 단백질로서, 다른 물질들의 이동은 제한하면서 물 분자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로서 피부 보습에 도움을 주는 인자를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TNF-α, TNF-β, IFN-γ, IL-6 또는 IL-1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TNF-α일 수 있다.
상기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i) CD44, CD73, CD105 및 CD9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표면 항원에 대하여 양성을 나타내고, ii) CD14, CD19, CD45 및 CD3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표면 항원에 대하여 음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양성"은 줄기세포 표면 마커와 관련하여, 그 표면 마커가 기준이 되는 다른 비줄기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양, 또는 더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세포는 어느 표면 마커가 세포 표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 마커를 이용하여 그 세포를 하나 이상의 다른 세포 유형과 구별할 수 있으면 그 마커에 대하여 양성이 된다. 또한 세포가 배경 값보다 더 큰 값으로 신호, 예를 들어 세포 측정 장치의 신호를 낼 수 있는 만큼의 양으로 그 마커를 발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를 줄기세포 특이적 표면 항원인 CD44에 특이적인 항체로 검출 가능할 수 있고, 이 항체로부터의 신호가 대조군(예를 들어, 배경 값)보다 검출 가능하게 더 크면 그 세포는 "CD44+"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음성"은 특정 세포 표면 마커에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도 배경 값에 비교하여 그 마커를 검출할 수 없음을 뜻한다. 예를 들어 CD14에 특이적인 항체로 세포를 검출 가능하게 표지할 수 없으면 그 세포는 "CD14-"이다.
상기 면역학적 특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세포분석법, 면역세포화학염색 또는 RT-PCR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a) 혈관을 제거한 탯줄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무혈청 세포 배양 배지에서 1회 내지 10회 계대배양하는 단계; 및 c) 상기 계대배양하는 과정에서 배양액을 수득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탯줄은 건강한 산모(예를 들어, HIV, HCV, HBV 음성인 산모)로부터 출산 후 분리된 태반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된 탯줄"이라 함은 산모의 모체로부터 출산 후 분리되는 탯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탯줄은 분리된 후 신속하게 멸균된 용기 및 얼음에 담아 보관될 수 있다.
상기 탯줄을 태반으로부터 분리하는 수득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분리된 태반으로부터 탯줄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탯줄의 외부의 혈액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혈액이 제거된 탯줄의 동맥과 정맥을 제거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동맥과 정맥이 제거된 혈액을 일정한 크기(예를 들면, 1 내지 20 mm)로 세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혈액의 제거는 예를 들면, Ca/Mg free DPBS, 또는 겐타마이신 함유 Ca/Mg free DPBS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리 효소를 처리하여 상기 세절된 탯줄(예를 들면, 분리된 탯줄)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리 효소는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트립신(trypsin), 및/또는 디스파아제(Dispase)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된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P0으로 하여 1회 내지 10회 계대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회 또는 4회 계대배양할 수 있다.
상기 계대배양하는 과정에서 배양액을 수득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용매, 용매화제, 유탁화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가칸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성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80 중량% 내지 약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액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여드름, 지루성 피부염, 땀띠, 두드러기, 건선, 피부경화증, 습진, 백반증, 루프스 및 원형 탈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90 중량%, 구체적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로 배합되는 통상적이고 무독성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피부 외용제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치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패취제 또는 젤제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처 완화, 주름 개선, 재생, 탄력 증가, 보습, 장벽 강화, 항염증 또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널리 활용될 것이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X40 배율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X100 배율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골 세포로의 분화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유세포 분석기인 FACS 분석을 통하여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줄기세포 특이적 표면 마커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면역세포형광염색법을 통하여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줄기세포 특이적 표면 마커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에 포함된 단백질 성분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8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발현 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간 표피세포(HaCaT)의 세포 성장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의 세포 성장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1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처리에 따른 인간 표피세포(HaCaT)의 세포 형태를 관찰한 결과이다. 여기서, AD는 지방을, BM는 골수를, UC는 탯줄을 의미한다.
도 12는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처리에 따른 인간 표피세포(HaCaT)의 세포 성장률을 측정한 결과이다. 여기서, AD는 지방을, BM는 골수를, UC는 탯줄을 의미한다.
도 13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간 표피세포(HaCaT)에서 상처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 및 상처 회복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4는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에서 상처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 및 상처 회복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5는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UC-MSC)과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AD-MSC),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BM-MSC)의 처리에 따른 인간 표피세포(HaCaT)의 상처 회복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 및 상처 회복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6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농도를 달리하여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에 처리한 후에, COL1A1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전기영동 사진과 COL1A1의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농도를 달리하여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에 처리한 후에, COL3A1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전기영동 사진과 COL3A1의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8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에서의 PICP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9는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간 표피세포(HaCaT)에서의 AQP3, HAS2 및 HAS3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전기영동 사진과 각각의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0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UC)과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AD),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BM)의 처리에 따른 인간 표피세포(HaCaT)에서의 AQP3, HAS2 및 HAS3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전기영동 사진과 각각의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1은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에 지질다당질(Lipopolysaccharide; LPS)을 처리하여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일 구체예에 따른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한 후, TNF-α의 발현 여부를 나타낸 전기영동 사진 및 TNF-α의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2는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에서의 Trolox 당량 항산화 능력을 비교한 결과(왼쪽) 및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UC),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AD),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BM)의 처리에 따른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에서의 Trolox 당량 항산화 능력을 비교한 결과(오른쪽)이다.
도 23은 일 구체예에 의한 탯줄(제대)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에서의 세포 내 활성 산소종(ROS)의 농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및 DCF-DA 형광값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및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제조
건강한 산모의 분만 과정에서 공여되는 탯줄을 클린 벤치(Clean Bench) 또는 생물 안전 작업대(Biological Safety Cabinet; BSC)에서 얼음 위에 세포 배양 접시를 놓고 인산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하였다. 멸균된 가위로 탯줄에 있는 혈관을 먼저 제거하고, 3 mm 내지 5 mm 정도의 크기로 잘게 잘랐다. 잘게 자른 탯줄 조직을 세포 배양 플라스크로 옮긴 후에 트립신(Trypsin) 효소를 처리하여 30분 동안 37℃에서 반응시켜 5% HPL(Human Platelet Lysate; Helios UltraGRO), 1% P/S(Penicillin/Streptomycin; GIBCO)를 포함하는 MEM-alpha(GIBCO) 배지를 첨가하여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3회 또는 4회 계대배양한 후에 세포의 밀집도(confluency)가 70~80%가 되면, 배양 배지를 5% HPL 및 1% P/S를 포함하는 phenol-red free MEM-alpha로 교체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는 과정에서 배양액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배양액을 0.22 ㎛ 필터기로 여과하여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제조
Promocell에서 구입한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Cat# C-12978) 및 LonZa에서 구입한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Cat# PT-2501)를 3회 또는 4회 계대배양한 후에 5% HPL 및 1% P/S를 포함하는 MEM-alpha 배지를 첨가하여 추가적으로 배양하였다. 세포의 밀집도(confluency)가 70~80%가 되면, 배양 배지를 phenol-red free MEM-alpha로 교체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는 과정에서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및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특성 분석
실험예 1.1.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 형태 관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의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1은 현미경 X40 배율로 관찰한 사진이며, 도 2는 현미경 X100 배율로 관찰한 사진이다.
실험예 1.2.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분화능 분석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골 세포 및 지방 세포로의 분화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골 세포로의 분화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6-웰 플레이트에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웰 당 2.5 x 105 세포로 분주(seeding)한 후 저 포도당 DMEM 배지(10%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및 1% P/S 포함)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0.1 μ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Sigma D4902), 10 μM β-글리세롤 포스페이트(Glycerol phosphate)(Sigma G9891) 및 0.25 mM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AA)(Sigma A4544)을 포함하는 완전한 분화 배지로 교체한 후 21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을 완료한 후, 알리자린 레드 에스 염색(Alizarin Red S Staining)을 수행하여 골 세포 형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세포가 붉은색으로 염색된 것을 통하여 탯줄(제대) 유래 줄기세포가 골 세포로 분화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다음으로, 지방 세포로의 분화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6-웰 플레이트에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웰 당 1 x 105로 분주한 후 저 포도당 DMEM 배지(10% FBS 및 1% AA 포함)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0.5 mM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Sigma I7018), 1 μM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Sigma H0888) 및 0.1 mM 인도메타신(Indomethacin, Sigma I7378)을 완전한 분화 배지로 교체한 후 21일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지는 2~3일마다 교체하였다. 배양을 완료한 후, 오일 레드 오(Oil Red O, Sigma) 염색을 수행하여 지질 방울 형성을 확인했다. 그 결과, 물방울처럼 보이는 크고 작은 물질(지방)들이 붉은색으로 염색된 것을 통하여 탯줄(제대) 유래 줄기세포가 지방 세포로 분화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가 골 세포 및 지방 세포로의 분화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3.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표면 마커 발현 분석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가 줄기세포 표면 마커에 대한 발현 여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3.1. 유세포 분석법을 통한 분석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밀집도가 80~90% 되었을 때,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하였다. 그리고 나서, 트립신을 첨가하여 세포를 해리한 후 PBS로 추가 세척하였다. 세포 수를 계수하고 형광-활성 세포 분류기(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FACS) 완충액(PBS + 2% FBS)를 첨가하여 1x106 cells/mL로 만든 후에 세포에 양성(positive maker)인 CD44(PE), CD73(FITC), CD105(APC), CD90(PE-Cy7)와 음성 마커(negative marker)인 CD14(PE), CD19(FITC), CD45(APC), CD34(PE-cy7) 항체를 반응시킨 후 FACS를 이용하여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특이적 발현 마커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CD44, CD73, CD105, CD9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양성을 나타내고, CD14, CD19, CD45, CD34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음성을 나타내는 세포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실험예 1.3.2. 면역세포화학염색을 통한 분석
4-웰 챔버 슬라이드(chamber slide)에 유지하고 있던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4% p-포름알데하이드를 사용하여 37℃에서 20분 동안 고정시킨 후, 칼슘 이온과 마그네슘 이온이 포함된 PBS로 2회 세척하였다. 그리고 나서, PBS에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을 0.1%로 희석하여 10분 동안 처리한 후 PBS로 다시 세척하였다. 비특이적 항체가 붙어서 검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 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을 0.1% Triton X-100/PBS에 5%로 희석한 후 첨가하여 샘플에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항체는 세포에 따라 붙이는 항체 종류가 다르며, 단백질에 따른 타겟 항체 및 희석 비율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희석된 항체 용액과 함께 4℃의 쉐이커(shaker)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또한, DAPI(abcam, cat.no.ab104139, 1,000배 희석)를 이용하여 핵을 염색하였다. 염색이 완료된 샘플은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수득하였다. 그 결과,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줄기세포의 표면 양성 마커인 CD44(녹색)를 발현하고, 표면 음성 마커인 CD44(붉은색)은 발현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항체 구입처 및 희석 비율
Recombinant Anti-CD44 antibody Abcam (ab194987), 1/50
Immunocytochemistry/ Immunofluorescence - Anti-CD34 antibody Abcam (ab81289), 1/200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가 줄기세포 특이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세크리톰 분석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세크리톰(secretome)을 분석하기 위하여, RayBio Human Cytokine/Growth Factor Antibody(RayBiotech, Noncross, GA, USA)를 사용하여 혈청이 없는 상태에서의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성분을 확인하였다.
어레이 멤브레인(Array membrane)을 상온에서 30분 동안 블로킹 버퍼(blocking buffer)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2 ㎖를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멤브레인을 5번 세척한 후, 비오틴-결합(biotin-conjugated) 항체를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처리하고, 기질인 HRP-결합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 2 ㎖을 첨가하였다. 2시간 경과 후, 검출 버퍼(detection buffer)를 2분 동안 처리하고 iBright(CL1000 Imaging system, Thermo Scientific)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성분을 확인하고, 그 신호 강도를 iBright Analysis Software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No. 세크리톰 신호강도 No. 세크리톰 신호강도
1 6Ckine 174,765 37 Endostatin 118,195
2 Adiponectin / Acrp30 991,352 38 ErbB4 224,633
3 Angiogenin 286,416 39 Fas Ligand 107,145
4 Angiopoietin-1 767,567 40 FGF Basic 191,618
5 Angiopoietin-2 1,177,517 41 FGF R4 457,339
6 Angiopoietin-like 1 171,227 42 FGF-9 1,290,455
7 Angiopoietin-like 2 449,089 43 FGF-10 / KGF-2 135,985
8 Angiostatin 1,206,667 44 FGF-11 676,128
9 APRIL 1,265,256 45 IL-13 1B 503,247
10 Artemin 115,977 46 GDF3 168,268
11 BD-1 109,220 47 GDF5 142,367
12 BAX 1,157,620 48 GDF9 194,609
13 BMP-2 322,421 49 GDF11 124,444
14 BMP-3 328,360 50 GDF-15 692,563
15 BMP-4 562,190 51 GRO-a 243,738
16 BMPR-IA/ALK-3 369,071 52 HB-EGF 1,024,445
17 CCR1 355,270 53 HCR (CRAM-A/B) 510,677
18 CCR2 444,846 54 HRG1-alpha/NRG1-alpha 292,956
19 CCR4 368,720 55 IGFBP-3 168,895
20 CCR6 505,306 56 IGFBP-6 42,955
21 CCR7 1,268,737 57 IGFBP-rp1 / IGFBP-7 1,180,327
22 CCR8 1,006,611 58 Lymphotoxin beta/ TNFSF3 200,799
23 CCR9 1,179,888 59 M-CSF 635,274
24 CD30 Ligand / TNFSF8 576,651 60 MDC 438,239
25 CD40 / TNFRSF5 309,440 61 MIP-1a 1,267,181
26 CD40 Ligand / TNFSF5 /CD154 677,127 62 MIP-1b 395,078
27 Csk 58,885 63 MIP 2 225,617
28 CLC 311,049 64 NAP-2 187,219
29 CRTH-2 811,665 65 PF4 / CXCL4 91,533
30 CTACK / CCL27 921,764 66 PLUNC 136,297
31 CXCR1 / IL-8 RA 1,059,082 67 Thrombospondin-1 353,456
32 CXCR2 / IL-8 RB 1,098,793 68 TIMP-1 1,097,222
33 CXCR5 /BLR-1 83,332 69 TIMP-2 240,351
34 EDA-A2 235,812 70 TMEFF1 / Tomoregulin-1 1,040,946
35 EDG-1 291,592 71 TRADD 551,168
36 EG-VEGF / PK1 260,574
그 결과,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이 다양한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등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및 도 8). 구체적으로, 피부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아디포넥틴(Adiponectin)/Acrp30, 혈관생성유도인자(Angiogenin), 앙기오포이에틴(Angiopoietin)-1, Angiopoietin-2, Angiopoietin-like 1, Angiopoietin-like 2, 안지오스타틴(Angiostatin), BMP(Bone Morphogenetic Protein)-2, BMP-3, BMP-4, BMPR(bone morphogenetic protein receptor)-IA/ALK(Anaplastic lymphoma kinase)-3, Csk, CTACK/CCL27(C-C motif chemokine ligand 27), CXCR2/IL-8 RB(Interleukin 8 receptor, beta), EDA-A2, EDG-1, EG-VEGF(endocrine-gland-derive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PK1, 엔도스타틴(Endostatin), ErbB4, FGF Basic(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R4, FGF-9, FGF-10/KGF-2, FGF-11, GDF(Growth Differentiation Factor)3, GDF5, GDF9, GDF11, GDF15, GRO-a, HB-EGF(Heparin-binding EGF-like growth factor), 트롬보스폰딘(Thrombospondin)-1, TIMP(thioinosine monophosphate)-1, TIMP-2 및 TMEFF1/Tomoregulin-1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염증 효과 및 자가면역질환 예방에 필요한 단백질인 CXCR1/IL-8 RA, CXCR5(C-X-C chemokine receptor type 5)/BLR-1, EDG(endothelial diferentiation gene)-1, Fas Ligand, IL-13 1B, HCR(heme-controlled repressor)(CRAM-A/B), M-CSF(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DC, MIP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s)-1a, MIP-1b, MIP-2, NAP(neutrophil activating protein)-2, PF(Platelet factor)4/CXCL4, PLUNC(Palate, lung, and nasal epithelium clone protein), TRADD(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type 1-associated DEATH domain protein)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세포 독성 및 세포 증식 효과 평가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세포 독성 및 세포 증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간 표피세포(HaCaT) 및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HaCaT 및 HS68를 각각 웰 당 1Х103 cells/100 ㎕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음성 대조군(N.C; 무처리군) 및 실험군으로서 농도 5%, 10%, 25%, 50%, 100%의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각각 처리하였다. 각 농도의 배양액 처리 후, 3일 동안 매일 같은 시간에 CCK-8(Dojindo, CK04-13) 시약을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처리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에 농도 의존적으로 HaCaT(도 9) 및 HS68(도 10)의 생존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96-웰 플레이트에 HaCaT를 각각 웰 당 1Х103 cells/100 ㎕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음성 대조군(N.C), 비교 대조군으로서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실험군으로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100% 농도로 각각 처리하고 3일 후에, 세포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고(도 11), CCK-8 시약을 사용하여 세포 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세포와 비교하여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세포에서 생존률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2).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세포 독성이 없으며 세포 증식을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피부 상처 회복 효과 확인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세포 독성 및 세포 증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간 표피세포(HaCaT) 및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HaCaT는 웰 당 3Х105 cells 및 HS68는 웰 당 2Х105 cells로 분주하여 밀집도 100%가 되도록 배양하였다. 1000P white tip을 이용해 웰의 정가운데를 긁어서 세포에 상처(wound)를 만든 후, 음성 대조군(N.C) 및 실험군으로서 농도 5%, 10%, 25%, 50%, 100%의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각각 처리하였다. HaCaT 및 HS68 각각에 대하여 배양액 처리 직후 및 24시간 경과 후, 상처의 면적을 측정하여 회복률을 확인하였다. 이때, 배양액을 처리하고 24시간 경과 후에는 세포를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시약으로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HaCaT(도 13) 및 HS68(도 14)에 농도 10% 이상의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경우에 상처 회복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24-웰 플레이트에 HaCaT를 웰 당 3Х105 cells로 분주하여 밀집도 100%가 되도록 배양하고 상기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상처를 만든 후에 음성 대조군(N.C; 무처리군), 비교 대조군으로서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실험군으로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100% 농도로 각각 처리하였다. 배양액 처리 직후 및 24시간 경과 후, 상처의 면적을 측정하여 회복률을 확인하고, 세포를 크리스탈 바이올렛 시약으로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세포와 비교하여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세포에서 생존률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5).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세포 상처 회복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콜라겐 합성 효과 확인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콜라겐 합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간 표피세포(HaCaT) 및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5.1. RT-PCR을 이용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량 분석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HS68를 1.0Х105 cells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N.C) 및 실험군으로서 농도 5%, 10%, 25%, 50%, 100%의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각각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콜라겐 합성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qPCR)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페놀/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RNA를 역전사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cDNA의 발현 정도는 Applide Biosystems 700 sequence detection system(foster City, CA, USA) 상에서, qPC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콜라겐 유전자명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COL1A1 GGCGGCCAGGGCTCCGAC
(서열번호 1)
GGTGCCCCAGACCAGGAATT
(서열번호 2)
COL3A1 TGAAAGGACACAGAGGCTTCG
(서열번호 3)
GAGCCTGGTAAGAATGGTGC
(서열번호 4)
β-actin TCCTCCCTGGAGAAGAGCTA
(서열번호 5)
AGGAGGAGCAATGATCTTGATC
(서열번호 6)
qPCR은 95℃에서 10분, 95℃에서 15초 및 56℃에서 1분의 사이클로, 25회 반복하였다. mRNA 수준을 β-actin 수치로 정규화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경우 음성 대조군을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콜라겐 유전자 COL1A1(도 16) 및 COL3A1(도 17)의 발현량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2. ELISA를 이용한 콜라겐 합성 촉진능 평가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HS68를 1.0Х105 cells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N.C), 양성 대조군으로서 10ng/㎖의 TGF-β 및 실험군으로서 농도 5%, 10%, 25%, 50%, 100%의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각각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한 배지를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Procollagen Type Ⅰ C-peptide(PICP) ELISA Kit(Takara, Cat.# MK101)을 이용하여 프로콜라겐 합성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콜라겐 합성 촉진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처리한 경우에 PICP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기존에 콜라겐 합성 촉진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TGF-β와 비교하여도 PICP 발현량이 비슷하거나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8).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이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가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피부 보습 및 장벽 강화 효과 확인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피부 보습 및 장벽 강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간 표피세포(HaCaT)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HaCaT를 각각 1.0Х106 cells로 분주하여 배양한 다음, 혈청이 없는 배지로 교환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음성 대조군(N.C), 양성 대조군으로서 1 mM의 레티놀산(Retinoic acid; R.A, Sigma-aldrich, R2625) 및 실험군으로서 농도 5%, 10%, 25%, 50%, 100%의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각각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에서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하고 실험예 5.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qRT-PCR을 수행하여 보습 인자인 AQP3(aquaporin3),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 HAS)-2, HAS-3의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이때,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다.
유전자명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AQP3 AGACAGCCCCTTCAGGATTT
(서열번호 7)
TCCCTTGCCCTGAATATCTG
(서열번호 8)
HAS-2 AGAGCACTGGGACGAAGTGT
(서열번호 9)
ATGCACTGAACACACCCAAA
(서열번호 10)
HAS-3 CTTAAGGGTTGCTTGCTTGC
(서열번호 11)
GTTCGTGGGAGATGAAGGAA
(서열번호 12)
그 결과,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경우에 AQP3, HAS-2, HAS-3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9). 또한,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HaCaT를 각각 1.0Х106 cells로 분주하여 배양한 다음, 혈청이 없는 배지로 교환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음성 대조군(N.C), 비교 대조군으로서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실험군으로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100% 농도로 각각 처리하고 24시간 후, 세포에서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하고 상기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qRT-PCR을 수행하여 보습 인자인 AQP3, HAS-2 및 HAS-3의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세포와 비교하여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경우에 AQP3, HAS-2, HAS-3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0).
피부는 히알루론산과 같은 다양한 보습 인자에 의해 장벽 기능을 수행하며, 히알루론산은 주로 각질 형성 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HAS에 의해 합성되어 세포외기질에 축적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피부 보습 효과 및 이를 통한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항염증 효과 확인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 ATCC®, TIB-71)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Raw 264.7를 2.5Х105 cells로 분주하여 밀집도가 80%가 되도록 배양한 다음, 혈청이 없는 배지로 교환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염증 반응을 유발하기 위하여 20 ㎍/mL의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를 처리하고 음성 대조군(N.C) 및 실험군으로서 농도 5%, 10%, 25%, 50%, 100%의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각각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에서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하고 실험예 5.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qRT-PCR을 수행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이때,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표 6에 기재된 바와 같다.
유전자명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TNF-α GCAGGTCTACTTTGGAGTCAT
(서열번호 13)
CTGGAAAGGTCTGAAGGTAGG
(서열번호 14)
그 결과, 염증 반응이 유발된 세포에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경우에 농도 의존적으로 TNF-α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1).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피부 염증을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8.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항산화 효과 확인
실험예 8.1. 총 항산화 효과 측정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총 항산화능(Total antioxidant status)을 측정하기 위하여 음성 대조군(N.C), 비교 대조군으로서 비교예 1에서 수득한 100% 농도의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100% 농도의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실험군으로서 농도 5%, 10%, 25%, 50%, 100%의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방법을 수행하여 TAC를 측정하였다.
항산화제에는 효소 시스템(GSH 환원 효소, 카탈라제, 퍼옥시다제 등), 소분자(아스코르베이트, 요산, GSH, 비타민 E 등)와 단백질(알부민, 트랜스페린 등)의 세 가지 범주가 있다. Trolox는 산화 방지제를 표준화하는 데 사용되며 다른 모든 산화 방지제는 Trolox 동등물로 측정된다. 소분자 항산화제와 단백질 또는 소분자 단독의 조합을 측정할 수 있는 Total Antioxidant Capacity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Cu2+ 이온은 소분자 및 단백질 둘 다에 의해 Cu+로 전환된다. Protein Mask는 단백질에 의한 Cu2+ 감소를 방지하여 소분자 항산화제만 분석할 수 있다. 환원된 Cu+ 이온은 비색 프로브(probe)로, 킬레이트화되어 총 산화 방지제 용량에 비례하여 약 570 nm의 넓은 흡광 피크를 제공한다. 산성 pH에서 무색의 환원형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조-티아조린-6-술포네이트(2,2'-azinobis(3-ethylbenzothiazo-thiazoline-6-sulfonate; ABTS)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청록색의 ABTS로 산화된다. 샘플 내에 항산화 물질이 존재하면, 이들 농도에 비례하여 ABTS는 탈색되며, 이러한 색 변화 반응의 결과는 570 nm에서의 흡광도로 조사하여 측정한다. 샘플 물질의 TAC 측정을 위해 Trolox를 표준 시약으로 사용하여 표준 곡선을 작성하였다. Trolox는 총 항산화능 측정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전형적인 표준시약으로, TAC 활성은 Trolox equivalent로 표기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Cu2+ Reagent, 샘플 및 Protein mask를 섞어 200 ㎕가 되도록 넣어주고, 암 조건에서 90분 동안 오비탈 쉐이커(Orbital shaker)에서 반응을 시킨 다음, 570 nm에서 흡광도로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경우에 농도 의존적으로 ABTS 라디칼(radical)의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세포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항산화 물질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22).
실험예 8.2. 세포내 활성 산소종(ROS) 소거 효과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이 세포내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카르복시-H2DCFDA가 포함된 ROS 검출 키트(Abcam)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DCFH-DA(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는 쉽게 세포막을 뚫고 세포 안으로 확산되어 세포 안의 에스테라아제에 의해 형광을 잃은 DCFH로 가수분해되고, 이후 ROS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높은 형광을 띄는 DCF로 빠르게 산화된다. 따라서 DCF의 형광 강도는 세포 안의 ROS의 양과 비례한다.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를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웰 당 2.5Х104 cells로 분주하고, 10%의 FBS가 포함된 배지 및 37℃ 5%의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음성 대조군(N.C), 양성 대조군으로 250 μM의 아스코르브산(Vit.C), 비교 대조군으로서 과산화수소 및 실험군으로서 농도 5%, 10%, 25%, 50%, 100%의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각각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25 μM의 DCFH-DA를 동시에 첨가하고, 37℃에서 45분 동안 반응시킨 후, 50 uM TBHP(Tert-Butyl Hydrogen Peroxide) 용액을 처리하고 37℃에서 1분 내지 5분 동안 반응시켰다. 1x PBS로 1회 세척한 후, 각 웰에 1x PBS를 100 ㎕로 첨가하고 형광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형광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활성(excitation) 파장 485 nm 및 방출(emission) 파장 528 nm에서 형광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첨가한 경우에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ROS 수준이 증가한 산화 손상 유도군에 비하여 ROS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23). 이는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미리 첨가함으로써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내 항산화 시스템 활성의 증가로 인하여 같은 농도의 과산화수소에 노출되었음에도 낮은 수준의 ROS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피부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3)

  1.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은 상처 완화, 주름 개선, 재생, 탄력 증가, 보습, 장벽 강화, 항염증 또는 항산화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6Ckine, 아디포넥틴/Acrp30, 엔지오제닌, ANGPT-1, ANGPT-2, ANGPTL-1, ANGPTL-2, 안지오스타틴, APRIL, 아르테민, BD-1, BAX, BMP-2, BMP-3, BMP-4, BMPR-IA/ALK-3, CCR1,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리간드/TNFSF8, CD40/TNFRSF5, CD40 리간드/TNFSF5/CD154, Csk, CLC,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CXCR2/IL-8 RB, CXCR5/BLR-1, EDA-A2, EDG-1, EG-VEGF/PK1, 엔도스타틴, ErbB4, Fas 리간드, FGF Basic, FGF R4, FGF-9, FGF-10/KGF-2, FGF-11, IL-13 1B, GDF3, GDF5, GDF9, GDF11, GDF-15, GRO-a, HB-EGF, HCR(CRAM-A/B), HRG1-α/NRG1-α, IGFBP-3, IGFBP-6, IGFBP-rp1/IGFBP-7, 림포톡신-β/TNFSF3, M-CSF, MDC, MIP-1a, MIP-1b, MIP 2, NAP-2, PF4/CXCL4, PLUNC, 트롬보스폰딘-1, TIMP-1, TIMP-2, TMEFF1/Tomoregulin-1 및 TRAD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아디포넥틴/Acrp30, ANGPT-1, ANGPT-2, 안지오스타틴, APRIL, CCR7, CCR8, CCR9,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FGF-9, GDF-15, HB-EGF, IGFBP-rp1/IGFBP-7, MIP-1a 및 TMEFF1/Tomoregulin-1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탯줄(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6Ckine, ANGPT-2, ANGPTL-1, ANGPTL-2, 안지오스타틴, APRIL, 아르테민, BD-1, BAX, BMP-3, BMPR-IA/ALK-3, CCR1,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리간드/TNFSF8, CD40/TNFRSF5, CD40 리간드/TNFSF5/CD154, Csk, CLC,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CXCR2/IL-8 RB, CXCR5/BLR-1, EDA-A2, EDG-1, EG-VEGF/PK1, ErbB4, Fas 리간드, FGF R4, FGF-9, FGF-10/KGF-2, FGF-11, GDF3, GDF5, GDF9, GRO-a, HCR(CRAM-A/B), HRG1-α/NRG1-α, IGFBP-rp1/IGFBP-7, 림포톡신-β/TNFSF3, M-CSF, MDC, MIP-1a, MIP-1b, MIP 2, NAP-2, PF4/CXCL4, PLUNC, TMEFF1/Tomoregulin-1 및 TRAD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및
    6Ckine, 아디포넥틴/Acrp30, 엔지오제닌, ANGPT-1, ANGPT-2, ANGPTL-1, ANGPTL-2, 안지오스타틴, APRIL, 아르테민, BD-1, BAX, BMP-2, BMP-3, BMP-4, BMPR-IA/ALK-3, CCR1, CCR2, CCR4, CCR6, CCR7, CCR8, CCR9, CD30 리간드/TNFSF8, CD40/TNFRSF5, CD40 리간드/TNFSF5/CD154, Csk, CLC, CRTH-2, CTACK/CCL27, CXCR1/IL-8 RA, CXCR2/IL-8 RB, CXCR5/BLR-1, EDG-1, EG-VEGF/PK1, ErbB4, Fas 리간드, FGF R4, FGF-9, FGF-10/KGF-2, FGF-11, IL-13 1B, GDF11, HCR(CRAM-A/B), HRG1-α/NRG1-α, IGFBP-rp1/IGFBP-7, 림포톡신-β/TNFSF3, M-CSF, MDC, MIP-1a, MIP-1b, MIP 2, NAP-2, PF4/CXCL4, PLUNC, TIMP-2, TMEFF1/Tomoregulin-1 및 TRADD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아쿠아포린 또는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세포의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TNF-α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i) CD44, CD73, CD105 및 CD9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표면 항원에 대하여 양성을 나타내고,
    ii) CD14, CD19, CD45 및 CD3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표면 항원에 대하여 음성을 나타내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a) 혈관을 제거한 탯줄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무혈청 세포 배양 배지에서 1회 내지 10회 계대배양하는 단계; 및
    c) 상기 계대배양하는 과정에서 배양액을 수득한 후 여과하는 단계.
  13.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21/016007 2020-12-22 2021-11-05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2213916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87197.5A CN116829125A (zh) 2020-12-22 2021-11-05 包含脐带来源间充质干细胞培养液作为活性成分的用于改善皮肤的组合物
US18/268,734 US20240066068A1 (en) 2020-12-22 2021-11-05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ntaining culture liquid of umbilical-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s active ingredient
JP2023538914A JP2024500973A (ja) 2020-12-22 2021-11-05 臍帯由来間葉系幹細胞培養液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皮膚改善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918 2020-12-22
KR1020200180918 2020-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166A1 true WO2022139166A1 (ko) 2022-06-30

Family

ID=8215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6007 WO2022139166A1 (ko) 2020-12-22 2021-11-05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66068A1 (ko)
JP (1) JP2024500973A (ko)
KR (1) KR102613074B1 (ko)
CN (1) CN116829125A (ko)
WO (1) WO20221391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92575A (zh) * 2023-03-22 2023-07-07 广东唯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干细胞活性成分联合透明质酸治疗痤疮的制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18539A (zh) * 2023-10-13 2024-03-01 河络新图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预防、减少或改善皮肤的衰老相关变化、损伤或征兆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338A (ko) * 2008-10-10 2010-06-16 팀 윤 바이오메디컬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인간 또는 동물 배아에서 중간엽 줄기세포를 추출 및 그 분비물을 추출하는 방법
KR20150065147A (ko) * 2013-11-29 2015-06-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로날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107465A (ko) * 2014-03-14 2015-09-23 (주)세포바이오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을 함유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
KR20170032872A (ko) *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강스템바이오텍 Sod3를 과발현하는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3303A (ko) * 2017-12-26 2019-01-09 (주) 차바이오에프앤씨 피부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338A (ko) * 2008-10-10 2010-06-16 팀 윤 바이오메디컬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인간 또는 동물 배아에서 중간엽 줄기세포를 추출 및 그 분비물을 추출하는 방법
KR20150065147A (ko) * 2013-11-29 2015-06-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로날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107465A (ko) * 2014-03-14 2015-09-23 (주)세포바이오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을 함유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
KR20170032872A (ko) *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강스템바이오텍 Sod3를 과발현하는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3303A (ko) * 2017-12-26 2019-01-09 (주) 차바이오에프앤씨 피부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92575A (zh) * 2023-03-22 2023-07-07 广东唯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干细胞活性成分联合透明质酸治疗痤疮的制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0973A (ja) 2024-01-10
US20240066068A1 (en) 2024-02-29
CN116829125A (zh) 2023-09-29
KR20220090478A (ko) 2022-06-29
KR102613074B1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39166A1 (ko)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60077B1 (ko)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222472A1 (ko) hPL 함유 배지에서 배양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55780B1 (ko) 클로날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27076B1 (ko) 사람 하비갑개 유래 중간엽 기질세포로부터 연골, 골, 신경세포 또는 지방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WO2011099783A2 (ko)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 및 단핵구로부터 세포성장인자의 생산방법 및 그 이용
KR20150028052A (ko) 세포 크기에 따른 간엽줄기세포 배양방법
WO2019190200A1 (ko)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피디알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209068A1 (ko) Hla-g 단백질을 상시 분비 발현하는 세포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56706A1 (ko) 티오레독신 결합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줄기세포의 역노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3165120A1 (ko) 신경능선줄기세포의 배양방법 및 그 용도
WO2022119417A1 (ko)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리포테이코산을 활용한 항염 및 재생 기능이 강화된 고농도 줄기세포 엑소좀 생산 방법
KR102172344B1 (ko)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2008733A2 (ko) 1기 태반조직 유래 줄기세포 및 이를 함유하는 세포치료제
KR20150088374A (ko) 인체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주요 세포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액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WO2022004938A1 (ko)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제조방법
WO2021025533A1 (ko) 골격근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15178728A1 (ko) 플로로탄닌 분획물을 이용한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KR101026070B1 (ko) 피부줄기세포의 배양방법 및 상기 배양방법으로 얻어진 피부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WO2022158816A1 (ko)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히알루론산, 및 bdde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필러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045520A1 (ko)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17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039251A1 (ko) 향상된 산후 부착형 세포 및 그의 용도
WO2022103129A1 (ko) 노화가 감소되고 줄기세포능이 보존된 초기 중간엽 줄기세포, 및 그 배양방법
WO2024111868A1 (ko) Vmsc의 분비체 및 이의 용도
WO2024128496A1 (ko)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112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68734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f document number: 2023538914

Country of ref document: JP

Ref document number: 202180087197.5

Country of ref document: C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112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