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08134A1 -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08134A1
WO2022108134A1 PCT/KR2021/014733 KR2021014733W WO2022108134A1 WO 2022108134 A1 WO2022108134 A1 WO 2022108134A1 KR 2021014733 W KR2021014733 W KR 2021014733W WO 2022108134 A1 WO2022108134 A1 WO 20221081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47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수덕
최소영
정태완
이다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트론
Publication of WO20221081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081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ortabl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 the privacy-infringing factor inspection service not only targets accommodations or entertainment facilities that have requested the inspection, but also presents the inspection results conducted before the time the user uses them, so there is a risk of installing hidden cameras due to time delay
  • the situation is tha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a smart phone or a portable rechargeable battery for us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remove a storage battery for power supply and receive power from a smart phone or a portable rechargeable battery,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ection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a hidden camera.
  • This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device for detecting a hidden camera by detecting a signal emitted from an illegally installed camera device, and an antenna unit detecting a signal emitted from the camera, sensing from the antenna unit
  • An RF unit that receives a signal and converts the input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digital unit that drives an alarm unit based on sign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RF unit, and a hidden camera detection fact to the user with lighting or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igital unit
  • the mode selection unit includes a first mode for detecting whether signals are emitted from multiple devices in real time and a second mode for detecting whether signals are emitted from the hidden camera in a leveling mode It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 mode.
  •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have different sampling times of the output value of the A/D converter, but the second mode i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times of the A/D converter. After sampling the output valu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final signal value by taking the average value.
  • the second mode may detect an output signal of the hidden camera for a wifi signal band.
  •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unit for mounting and fixing the detection device to an external device.
  • the mounting unit may be composed of a magnetic member provided inside a housing constituting the detection device.
  • the portabl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veniently mounted on a smart phone or a portable auxiliary rechargeable battery.
  • the portabl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mpact and lightweight, so it is convenient to carry.
  • the portable hidden camera det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detect in a plurality of modes, so that det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of Figure 1;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a smart phon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the I-I direction showing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of FIG. 1
  • FIG. 3 is a main view of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side a housing 1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s shown, the housing 10 includes a body region 20 and an antenna region 20 . ) can be distinguished.
  •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100 of the body region 20 includes an RF unit 110 that receives an RF signal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a digital unit 120 that detects an abnormal signal according to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nd the detected abnormality
  • An alarm unit 130 notifying a user of a signal, a manipulation unit 140 receiving a user manipulation, a power connection unit 150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a mounting unit 160 to be mounted on an external device are provided, and an antenna area 30 is provided.
  • an antenna unit 170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has an antenna unit 170 , an RF unit 110 , a digital unit 120 , an alarm unit 130 , a manipulation unit 140 , a power connection unit 150 , and a mounting unit 160 .
  • the antenna unit 170 , the RF unit 110 , the digital unit 120 , the alarm unit 130 , the manipulation unit 140 , and the power connection unit 150 are printed in the form of a circuit on a predetermined substrate, or an IC chip and a receptacle. It can be mounted in the form of a single module.
  • the antenna unit 170 is configured to detect a wireless signal emitted from a hidden camera, and is disposed in an antenna area 30 different from the body area 20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detected signal.
  • the antenna unit 170 is a directional antenna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antennas, such as a coil antenna or a printed circuit board antenna.
  • the antenna unit 170 detects the wifi signal (2.5G or 5G band)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secret camera), and receives a strong signal when the transmitter is located adjacent to or facing the transmitter.
  • the RF unit 110 is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sensed by the antenna unit 170 and convert it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processes such as filtering, amplification, attenuation and convers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unit 170 .
  • the RF unit 110 includes an RF signal input stage, a filter, an amplifier, a digital attenuator, an A/D converter, and the like.
  • an RG-085 terminal may be used as an RF signal input terminal
  • a QPL9503 chip may be used as an amplifier
  • a QPC6713 chip may be used as a digital attenuator
  • an HMC6713 chip may be used as an A/D converter.
  • the digital unit 120 When the digital unit 12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determines that it is an abnormal signal, the digital unit 120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alarm unit 130 so that the alarm unit 130 is driven.
  • the digital unit 120 may include a main control unit (MCU)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and transmitting an abnormal signal to the alarm unit 130 .
  • the digital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F unit 1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input reference signal as an abnormal signal.
  • the alarm unit 130 is configured to notify the user when an alarm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unit 120 , and may include an LED lamp 131 and a buzzer 132 . At this time, the alarm unit 130 is configured to vary the blinking speed or brightness of the LED lamp 131 , the volume or repetition period of the buzzer 132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abnormal signal.
  • the manipulation unit 140 is configured to receive user commands, and provides a plurality of buttons through the housing 10 to receive commands.
  • the manipulation unit 140 may include a power unit 141 , a mode selection unit 142 , and a sensitivity control unit 143 .
  • the power unit 141 drives on/off of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 the mode selection unit 142 selects a signal detection mode of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 the sensitivity adjustment unit 143 adjusts an internal attenuator to adjust the device. adjust the sensitivity of
  • the mode selection unit 142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elect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to operate in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 the first mode is a real-time mode, which detects a real-time signal currently being emitted from the surroundings, and detects a real-time signal emitted from other devices such as a wiretapping device as well as a hidden camera.
  • the user can confirm that abnormal signals by various devices are being detected in real time around the current detection device. Accordingly, in the first mode, signals of different intensities may be detected. The intensity of this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as the intensity of the LED lamp 131 and the buzzer 132 .
  • a hidden camera uses a frequency band of 2.4 GHz or 5.0 GHz as a wifi signal, but recently, it is also used in a band outside this frequency range. Therefore, in the first mode, the Wi-Fi signal of the hidden camera generated in such an unusual frequency band is also detected.
  • the signal received and amplified by the RF unit 110 is inputted to the Detect circuit, and the output voltage is again input to the A/D converter to perform sampling at a rate of 7,000 times per second.
  • the final signal value is calculated after taking the average value through sampling on average about 7 times for a random time.
  • the intensity of the input signal may be determined by Equation 1 below.
  • the intensity of the input signal i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and as the intensity of the input signal increases,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alarm unit 130 is accelerat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intensity of the signal (RF signal) sensed. .
  • the second mode is a leveling mode, and in the second mode, the average number of times of sampling of the A/D converter values in the first mode is increased to 32 times or more for an arbitrary period of time for sampling.
  • the user can confirm that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detection device, particularly by a hidden camera.
  • a hidden camera communicates with a receiver using a wifi signal
  • the hidden camera is detected by detecting such a wifi signal in the second mode. Therefore, in the second mode, the number of sampling times of the A/D converter values is increased and averaged, thereby detecting the hidden camera by the wifi signal.
  • the time for signal analysis increases, but erroneous measurement due to peak values is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alarm unit 130 instead of adjusting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alarm unit 130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as in the first mode, when a signal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s detected,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alarm unit 130 is accelerated to cause abnormalities to the user. Make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detection of the signal.
  • the sensitivity control unit is configured so that the adjustment range is set in the range of 0 to 30 dB, is set to adjust by 5 dB per step, so that it can be adjusted up to 0 to 6 steps.
  • the maximum RF gain of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may be set to 32 dB, which is similar to the free space loss when 1 meter away from 2.4G. Therefore, whenever the sensitivity control unit is adjusted by one step (5 dB), the reception distance L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Equation (2).
  • a is the receiving distance at the maximum sensitivity
  • n is the adjustment step (0 to 6).
  • the receiving distance is reduced in proportion to Equation (2), and if the sensitivity of the attenuator is decreased, the receiving distance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Equation (2).
  • the power connection unit 150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in real time.
  • an external device a smart phone or a portable auxiliary rechargeable battery may be used, and if the device is portable and capable of supplying power, the external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wer connection unit 150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types of connection terminals such as USB, D-type, and C-type. Since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include a separate power storage device such as a battery inside by the power connection unit 150, it has an advantageous effect in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 the mounting unit 160 is configured to mount and fix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 an external device may be a smart phone or an auxiliary rechargeable battery, and is configured as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supplying power.
  • the mounting unit 160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 As such, when the mounting unit 160 is made of a magnetic member, it can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thereby simplifying the appearance of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100 and preventing the mounting unit 160 from interfering with other devices. can
  • the mounting unit 160 may be formed of a suction pad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 .
  •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smart phone 1 .
  • the hidden camera det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1 and is used.
  • the combination of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100 and the smart phone 1 may be achieved by a mounting unit using a magnetic field. That is, the magne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llows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100 to be mounted and fixed to the smart phone 1 or its case having a metal material.
  • the power connection unit 150 of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smart phone 1 and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mart phone 1 in real time.
  • a smart phone is exemplified as an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100 is mount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devices that can be carried and supply power, such as a portable auxiliary rechargeable battery, may be mounted on the device.
  • various types of devices that can be carried and supply power such as a portable auxiliary rechargeable battery, may be mounted on the dev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개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는 불법으로 설치된 카메라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방출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RF 부, 상기 RF 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부를 구동하는 디지털부, 상기 디지털부의 제어에 따라 조명 또는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몰래 카메라 감지 사실을 알리는 경보부, 파워 유닛, 모드 선택 유닛 및 감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탐지장치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탐지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본 발명은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개시한다.
최근, 전자 및 광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카메라의 성능은 향상되고 그 크기는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이를 악용하여 범죄에 이용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초소형 카메라와 마이크로폰 및 고성능의 소형 무선송신기를 결합한 몰래 카메라를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장소에 설치한 후 그 내부 상황을 엿보거나 녹취 및 녹화하는 행태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의류 판매장의 탈의실, 워터파크 등의 위락시설, 각종 판매장의 화장실 및 숙박업소와 같이 신체노출이 불가피하여 사생활 보호가 지켜져야 하는 장소를 대상으로 몰래 카메라가 빈번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몰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유출되어 범죄의 대상이 된 피해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한편,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탐지기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해야 하는데, 개인이 고가의 탐지기를 일일이 구비하거나 탐지 실력을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고, 대부분의 업소에는 탐지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몰래 카메라가 설치되더라도 이를 전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숙박업소 또는 신체노출이 불가피한 장소를 대상으로 몰래 카메라와 같은 사생활 침해 요소를 검사하는 서비스가 개발되고는 있으나, 사용자, 몰래 카메라 검사업체,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 통신망(서버), 숙박업소 등의 연계가 필요한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생활 침해 요소 검사 서비스는 검사를 의뢰한 숙박업소나 위락시설 등만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시점보다 이전에 진행된 검사결과를 제시함에 따라 시간 지연에 따른 몰래 카메라 설치 등에 관한 위험성은 상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언제 어느 장소에서나 즉각적으로 사용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 폰이나 휴대용 충전지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위한 축전지를 제거하고 스마트 폰이나 휴대용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는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의 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는, 불법으로 설치된 카메라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방출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RF 부, 상기 RF 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부를 구동하는 디지털부, 상기 디지털부의 제어에 따라 조명 또는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몰래 카메라 감지 사실을 알리는 경보부, 파워 유닛, 모드 선택 유닛 및 감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탐지장치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탐지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유닛은, 리얼타임으로 주변의 다수 장치로부터 신호의 방출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모드와 평준화 모드로 몰래 카메라로부터 신호의 방출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는, A/D 변환기의 출력값을 샘플링 회수를 달리하되, 상기 제 2 모드가 상대적으로 많은 회수로 상기 A/D 변환기의 출력값을 샘플링한 후 평균값을 취하여 최종 신호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는, wifi 신호 대역에 대한 몰래 카메라의 출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는, 탐지장치를 외부 기기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탐지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마그네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는, 스마트 폰이나 휴대용 보조 충전지 등에 쉽게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는, 소형화 및 경량화로 구현되어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는, 복수의 모드로 탐지할 수 있어 탐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가 스마트 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전, 후,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현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나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기술적 의미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나타낸 I-I 방향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100)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본체 영역(20)과 안테나 영역(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체 영역(20)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100)에는 RF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RF 부(110),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 이상 신호를 감지하는 디지털부(120), 감지된 이상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보부(130),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140),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접속부(150) 및 외부 기기에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160)가 구비되고, 안테나 영역(30)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에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170)가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100)는 안테나부(170), RF 부(110), 디지털부(120), 경보부(130), 조작부(140), 전원 접속부(150) 및 장착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테나부(170), RF 부(110), 디지털부(120), 경보부(130), 조작부(140) 및 전원 접속부(150)는 소정의 기판 상에서 회로 형태로 인쇄되거나, IC 칩 및 리셉터클 등의 형태로 실장되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안테나부(170)는 몰래 카메라에서 방출되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감지되는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영역(20)과는 다른 별도의 안테나 영역(30)에 배치된다. 안테나부(170)는 방향성 안테나로서 코일 구조의 안테나 또는 인쇄 구조의 PCB 안테나 등 다양한 종류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170)는 발신기(몰래 카메라)에서 방출되는 wifi 신호(2.5G 또는 5G 대역)를 감지하고, 발신기가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발신기를 향할 때 강한 신호를 수신한다.
RF 부(110)는 안테나부(17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필터링, 증폭, 감쇄 및 변환 등의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안테나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한 RF 부(110)는 RF 신호 입력단, 필터, 증폭기, 디지털 감쇄기, A/D 변환기 등을 구비한다. 일 예로, RF 신호 입력단으로는 RG-085 단자가 이용될 수 있고, 증폭기로는 QPL9503 칩이 이용될 수 있으며, 디지털 감쇄기로는 QPC6713 칩이 이용될 수 있고, A/D 변환기로는 HMC6713 칩이 이용될 수 있다.
디지털부(12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이상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 신호를 경보부(130)로 전송하여 경보부(130)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디지털부(120)는 이상 여부 판단과 이상 신호를 경보부(130)로 전달하기 위한 메인컨트롤 유닛(MCU)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부(120)는 RF 부(110)에서 전달된 신호가 미리 입력된 기준 신호 이상일 때 이상 신호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보부(130)는 디지털부(120)에서 경보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구성으로, LED 램프(131)와 부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보부(130)는 이상 신호의 세기에 따라 LED 램프(131)의 점멸 속도나 밝기, 부저(132)의 음량 또는 반복 주기 등을 달리하도록 구성된다.
조작부(14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으로, 하우징(10)을 통하여 다수의 버튼을 제공하여 명령을 입력받는다. 조작부(140)는 파워 유닛(141), 모드 선택 유닛(142), 감도 조절 유닛(143)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유닛(141)은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의 온오프를 구동하고, 모드 선택 유닛(142)은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의 신호 감지 모드를 선택하며, 감도 조절 유닛(143)은 내부의 감쇄기를 조절하여 장치의 민감도를 조절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모드 선택 유닛(142)은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가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에서 구동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제 1 모드는 리얼타임 모드로서, 현재 주변에서 방출되고 있는 실시간 신호를 감지하는 모드로서, 몰래 카메라 뿐만 아니라 도청 장치 등의 다른 장치에서 방출되는 실시간 신호를 탐지한다. 제 1 모드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탐지장치 주변에서 다양한 장치에 의한 이상 신호가 실시간으로 감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모드에서는 서로 다른 다양한 세기의 신호가 탐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의 세기는 LED 램프(131)와 부저(132)의 세기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몰래 카메라는 wifi 신호로서 2.4GHz 또는 5.0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지만, 최근 이러한 주파수 범위를 벗어난 대역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제 1 모드에서는 이와 같이 일반적이지 않은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되는 몰래 카메라의 wifi 신호도 감지하게 된다.
제 1 모드에서는 RF 부(110)에서 수신 및 증폭한 신호를 Detect 회로에 입력하여 출력되는 전압을 다시 A/D 변환기에 입력하여 초당 7,000번의 속도로 샘플링을 진행한다. 샘플링된 값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임의의 시간 동안 평균 7번 정도의 샘플링을 통하여 평균값을 취한 후 최종 신호값을 산출한다. 이때, 입력신호의 세기는 다음의 수학식 1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y=((x-0.2)/0.015)-60
(여기서, y는 입력신호(dB)이고, x는 Detect 회로 출력값이다.)
제 1 모드에서는 수학식 1에 따라 입력 신호의 세기를 산출하여 입력 신호의 세기가 커질수록 경보부(130)의 발생 주기를 빠르게 하여 사용자에게 감지되는 신호(RF 신호)의 세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2 모드는 평준화 모드로서, 제 2 모드에서는 제 1 모드에서의 A/D 변환기 값의 평균 샘플링 회수를 임의의 시간 동안 32회 이상으로 늘려 샘플링한다. 제 2 모드를 통하여 사용자는 탐지 장치 주변에서 특히 몰래 카메라에 의한 이상 신호가 감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몰래 카메라는 wifi 신호로 수신기와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제 2 모드에서는 이러한 wifi 신호를 감지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한다. 따라서 제 2 모드는 A/D 변환기 값의 샘플링 회수를 상대적으로 늘려 이를 평균화함으로써, wifi 신호에 의한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게 된다.
이 경우 신호 분석의 시간은 늘어나지만, 피크치에 의한 오측정을 최대한 방지한다. 또한, 제 2 모드에서는 제 1 모드와 같이 신호의 세기에 따라 경보부(130)의 발생 주기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값 이상의 신호를 감지할 때 경보부(130)의 발생 주기를 빠르게 하여 사용자에게 이상 신호의 감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감도 조절 유닛은 조절 범위가 0 ~ 30dB의 범위로 설정되고, 1 단계당 5dB씩 조절하도록 설정되어 0 ~ 6 단계까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의 최대 RF Gain이 32dB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2.4G를 기준으로 1 미터 떨어졌을 때의 자유공간 손실과 유사하다. 따라서 감도 조절 유닛을 1 단계(5dB)씩 조절할 때마다 수학식 2에 따라 수신거리(L)가 조절될 수 있다.
[수학식 2]
L = a + 2n
(여기서, a는 최대 감도시의 수신거리이며, n은 조절 단계(0~6)을 나타낸다.)
즉, 감도 조절 유닛을 통하여 감쇄기의 감도를 증가시키면 수신거리가 수학식 2에 비례하여 줄어들고, 감쇄기의 감도를 감소시키면 수신거리가 수학식 2에 비례하여 늘어난다.
전원 접속부(150)는 외부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이다. 외부 기기는 스마트 폰이나 휴대용 보조 충전지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하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원 접속부(150)는 USB, D-type, C-type 등 다양한 종류의 접속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는 전원 접속부(150)에 의하여 내부에 전지 등과 같은 별도의 전력 저장장치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 경량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장착부(160)는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100)를 외부 기기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다. 마찬가지로 외부 기기는 스마트 폰이나 보조 충전지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하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된다.
장착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는 마그네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부(160)가 마그네틱 부재로 구성될 때, 하우징(10) 내부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100)의 외형을 단순화하고 장착부(160)와 다른 기기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장착부(160)는 하우징(10) 표면에 마련되는 흡착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가 스마트 폰(1)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100)는 스마트 폰(1)과 같은 외부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100)와 스마트 폰(1)의 결합은 마그네틱을 이용한 장착부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는 마그네틱 부재는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100)가 금속 소재를 갖는 스마트 폰(1) 또는 그 케이스에 장착 및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100)의 전원 접속부(150)는 스마트 폰(1)의 전원단자에 접속되어 스마트 폰(1)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100)가 장착되는 외부 기기로 스마트 폰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용 보조 충전지와 같이 휴대가 가능하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기기라면 다양한 종류이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Claims (6)

  1. 불법으로 설치된 카메라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방출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RF 부;
    상기 RF 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부를 구동하는 디지털부;
    상기 디지털부의 제어에 따라 조명 또는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몰래 카메라 감지 사실을 알리는 경보부;
    파워 유닛, 모드 선택 유닛 및 감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탐지장치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탐지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유닛은,
    리얼타임으로 주변의 다수 장치로부터 신호의 방출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모드와 평준화 모드로 몰래 카메라로부터 신호의 방출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는 A/D 변환기의 출력값을 샘플링 회수를 달리하되, 상기 제 2 모드가 상대적으로 많은 회수로 상기 A/D 변환기의 출력값을 샘플링한 후 평균값을 취하여 최종 신호값을 산출하는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는,
    wifi 신호 대역에 대한 몰래 카메라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는,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탐지장치를 외부 기기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탐지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마그네틱 부재로 구성되는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PCT/KR2021/014733 2020-11-20 2021-10-20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WO20221081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520A KR102482038B1 (ko) 2020-11-20 2020-11-20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KR10-2020-0156520 2020-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8134A1 true WO2022108134A1 (ko) 2022-05-27

Family

ID=8170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4733 WO2022108134A1 (ko) 2020-11-20 2021-10-20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2038B1 (ko)
WO (1) WO202210813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045A (ja) * 1998-09-02 2000-03-14 Secom Co Ltd 盗聴器探索装置及び盗聴器探索システム
KR20010026373A (ko) * 1999-09-06 2001-04-06 윤종용 몰래 카메라 감식 장치
KR200226149Y1 (ko) * 2000-12-19 2001-06-01 엘지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 탐지기
KR20050080872A (ko) * 2004-02-11 2005-08-18 (주)에이치엔티 도청기/몰래카메라 탐지장치
KR20080048396A (ko) * 2006-11-28 2008-06-02 손호원 불법무선장치에 대한 전파탐지방법과 전파탐지모듈 및,그를 사용한 전파탐지기능을 갖는 모바일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845A (ko) 1998-06-03 2000-01-15 최양도 신규한 트레할로스 생합성효소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트레할로스의 생산방법
KR200347095Y1 (ko) * 2003-12-26 2004-04-09 조태관 휴대폰에 탈부착되어 사용되는 다기능 복합장치
KR102138441B1 (ko) 2018-11-29 2020-07-27 이성훈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045A (ja) * 1998-09-02 2000-03-14 Secom Co Ltd 盗聴器探索装置及び盗聴器探索システム
KR20010026373A (ko) * 1999-09-06 2001-04-06 윤종용 몰래 카메라 감식 장치
KR200226149Y1 (ko) * 2000-12-19 2001-06-01 엘지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 탐지기
KR20050080872A (ko) * 2004-02-11 2005-08-18 (주)에이치엔티 도청기/몰래카메라 탐지장치
KR20080048396A (ko) * 2006-11-28 2008-06-02 손호원 불법무선장치에 대한 전파탐지방법과 전파탐지모듈 및,그를 사용한 전파탐지기능을 갖는 모바일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27A (ko) 2022-05-27
KR102482038B1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6067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terposer
US4829561A (en) Apparatus for optically coupling a terminal unit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through a pay telephone instrument and the like
US20240036109A1 (en) Radio frequency conduction test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EP3937507A1 (en) Wireless earphone
US20240145910A1 (en) Antenna Combination System and Terminal Device
WO2020197091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 array and power backoff control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WO2015172601A1 (zh) 扬声器模组
WO2022108134A1 (ko)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WO2018110717A1 (ko) 차량 내 통신 장치 및 방법
CN113659344A (zh) 一种基于寄生耦合的贴片天线和电子设备
WO2021045430A1 (ko) 댁내 중계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WO2019017520A1 (ko) 선박 내 통신 장치 및 방법
JP4741674B2 (ja) 雷の検出
WO2023005712A1 (zh) 穿戴式电子设备机芯、外壳及穿戴式电子设备
CN114121374B (zh) 一种同轴电缆和终端
WO2019156284A1 (ko) 무선음향기기
SE9902341D0 (sv)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proximity by means of an antenna
WO2020262942A1 (ko) Uwb 안테나 모듈
US20120052803A1 (en) Cellular Telephone Apparatus
WO2020180024A1 (ko) 오디오 수집전달형 충전케이블
WO2023243980A1 (ko) 상단 및 후면에서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
CN109194404A (zh) 一种用于电磁兼容性能测试的无线通讯系统
CN115378455B (zh) 射频前端模组、射频系统和电子设备
WO2023140654A1 (ko)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
CN215815175U (zh) 一种可分离式uhf无线麦克风系统及大屏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949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949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