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65698A1 - 임플란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65698A1
WO2022065698A1 PCT/KR2021/011126 KR2021011126W WO2022065698A1 WO 2022065698 A1 WO2022065698 A1 WO 2022065698A1 KR 2021011126 W KR2021011126 W KR 2021011126W WO 2022065698 A1 WO2022065698 A1 WO 20220656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rown
abutment
link
inclined surfa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11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환 filed Critical 김정환
Priority to EP21872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18661A4/en
Priority to US18/005,162 priority patent/US20230255731A1/en
Priority to CN202180049013.6A priority patent/CN115802982A/zh
Publication of WO20220656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656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lant assembly having an abutment that enables accurate and easy processing of a crown link, such as accurate and easy coupling with a crown or a crown link having a crown. will b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36467 may be cited as a prior patent document for an abutment for implant and related peripheral parts.
  • 1 shows the abutment 20 proposed in this prior patent document.
  • a flat peripheral top surface 18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butment 20 proposed in these prior patent documents, and a part of the flat top surface 18 is used as a part for supporting the crow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utment assembly capable of accurately controlling the dimensions of a crown or crown-related parts coupled to the abutm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abutment can be easily fixed to the fixture.
  • 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butment for fixing to the upper portion of a fixture that is fixed to the alveolar bone, having a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center, an upper inclined surface that increases from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groove to the outside; A lower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abutment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and a crown link having a crown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crown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nd when the crown link is placed on the abutment, the upper inclined surface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through hole of the crown link and the fastening groove of the abutment are arranged coaxially so that they can be more easily fastened using the fastening screw. do.
  • the link coupling part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fastening groove is composed of a hexa part having the shape of each corner part of the hexagon, and an arc part formed so as to go out between the hexa parts.
  • a female screw part for screwing with a fastening screw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asten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driver grooves are formed in the female screw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row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rown support portion of the crown link.
  • the fastening groove of the abutment and the through hole of the crown link are substantially arranged in a li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using a fastening screw to more easily fasten them to each other and fix them.
  • the link coupling part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fastening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xa part and an arc part together,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ll hexa or cylindrical shapes having different shapes of the lower protrusions of the crown link.
  • a female screw part for screwing with a fastening screw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asten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driver groove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in this female screw part, so as to not only engage the fastening screw, but also to fix the abutment to the fixture It can be seen that it is more easily configured.
  • the crown can be integrally formed on the crown support part of the crown link, it is expected that a simple configuration can be achieved as a whole.
  • 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impla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ate of the im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im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 Figure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im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abu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of an abu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a crown l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wn that can be applied to the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butment 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80 fixed to the alveolar bone, and as show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22 .
  • the term "upper inclined surface 22" of the abutment 20 is defined 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with a high outer side and a lower inner side.
  •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 of the abutment 20 may be said to correspond to the lower inclined surface 32 of the crown link 30 .
  • the lower portion of the crown link 3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20 is provided with a lower inclined surface 32 corresponding to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 described above, so that they can be coupl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crown link 30 is for substantially supporting the crown, for example, a crown is formed on the crown support part 36 extending upwardly on the flange 34 protruding outwardly to form the lower inclined surface 32. there i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bove-described lower inclined surface 3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34 protruding outward.
  •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utment 20 is formed lower in the center,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32 of the crown link 30 coupled to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 is also centrally located.
  •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32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lose contact state.
  •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abutment first 20 and the crown link 30 is accurately determined, as shown in FIG. 3 , of the through hole 38b of the crown link 30 and the abutment 20 . It means that the fastening grooves 24 formed in the center are naturally arranged in a state consistent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n advantage that the fastening of the crown link 30 and the abutment 20 can be made very easily using the fastening screw 40 .
  • FIG 4 shows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butment 20 and the crown link 30 each having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32 as described above.
  • the abutment 20 and the crown link 30 can be precisely aligned with each other.
  • the precise arrangement here means that when the crown link 30 is mounted on the abutment 20,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32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through hole 38 of the crown link 30 and It means that the fastening grooves 24 of the abutment 20 are arranged coaxially. It becomes possible to fasten both of them very easily using the fastening screw 40 in Ekk.
  • the lower screw portion 2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butment 20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82 of the fixture 80 that is open above. And in the center of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 of the abutment 20, the upper fastening groove 24 in an open state is formed.
  • a female screw portion 24a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groove 24 , and this female screw portion 24a is a portion screwed with the male screw portion 4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screw 40 .
  • the fastening screw 40 is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crown link 30 to the abutment 20 .
  • a plurality of driver grooves 24b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tool such as a driver (or a wrench, etc.) is inserted when the abutment 20 is fixed to the fixture 80 to rotate the abutment 20 for fastening.
  • a driver groove 24b By such a driver groove 24b, the abutment 20 may be fastened to and fixed to the fixture 80 in a sufficiently rigid state.
  • a link coupling portion 21 to which the enters is coupled is formed. That is, the fastening groove 24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30 is for coupling the crown link 30 to the upper part by using the fastening screw 40 .
  • the lower coupling protrusion 31 is inserted into the link coupling part 2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groove 24 of the abutment 20 .
  • the crown link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rown support part 36 formed on the upper part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its inner surface is A through hole 38a is formed.
  • the lower protrusion 31 formed at the lower end has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nd the inner surface thereof forms a lower through hole 38b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 a through-hole inclined surface 38c is formed between the through-hole upper portion 38a and the through-hole lower portion 38b to connect them to each other.
  • the through-hole inclined surface 38c also forms a higher inclination toward the outside.
  • the fastening screw 40 is to be screwed into the female screw part 24a of the fastening groove 24 of the abutment 20 in a state tha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8 of the crown link 30 .
  • This fastening screw 4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screw upper part 42, a fastening screw lower part 44, and a fastening screw inclined surface 46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It can be seen that the fastening screw 40 has a shape in close contact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38 of the crown link 30, and the fastening screw lower portion 44 is formed of a male screw to form an abutment. (20)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24a) of the fastening groove (24).
  • the crown link 30 when the crown link 30 is fixed to the abutment 20 by the fastening screw 40 ,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 of the abutment 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rown link 30 ,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ed surfaces 3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lower protrusion 31 of the crown link 30 maintains the inserted state in the link coupling portion 21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groove 24 of the abutment 20 .
  • FIG. 6 (a) is a plan view of the abutment 20, (b) is an exemplary view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fastening groove (24).
  • the link coupling part 21 is a part that substantially forms the entrance (upper part) of the fastening groove 24 of the abutment 20, and as described above, the crown link ( 30), the lower protrusion 31 is inserted.
  • the lower end of the crown link 30, as shown in Figure 7, may have two forms.
  • the lower protrusion 31a shown in (a) is a protrusion having a hexagonal (hexa) shape and is applied in the case of a single crown, and the lower protrusion 31b shown in (b) is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crowns are bridged. It is a cylindrical shape that can be applied 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coupling part 21, which is the inlet of the fastening groove 24 of the abutment 20, is a hexa-shaped lower protrusion 31a shown in (a) and a cylindrical lower protrusion part shown in (b) ( 31b)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ll of them.
  • the link coupling part 21 is a hexa part 21a having a partial outer shape for each corner part of a hexagon, and all of the hexagons It consists of a circular arc part 21b which is formed so that one circle with respect to a side may go out in part.
  • the arc portion 21a may be substantially extended to the outside in an arc shape from each side of the hexagon by one circle.
  • the link coupling part 21 having such a shape, the hexa-shaped lower protrusion 31a shown in FIG.
  • the cylindrical lower protrusion 31b shown in (b) of 7 can enter into the arc portion 21b of the link coupling portion 21 .
  • the link coupling part 21 has a part of the crown support part 36 having a planar shape in order to prevent the crown coupled thereto from arbitrarily rotating.
  • the abutment 20 is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at a certain height while being fixed to the fixture 80 . That is, since the upper portion 22A of the abutment 20 on which the above-described upper inclined surface 22 is formed protrudes outward (radially), it can be said that it has a certain height with respect to the fixture 80 . This is because it is designed to have various dimension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atient's gums to be treated.
  • FIG. 8 shows the abutment 20 and the fixture 80 assembly described above
  • (b) is a crown on the crown link 30 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20
  • ( C) shows an embodiment that is raised
  • (c)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rown link is modified.
  • the crown (C) is coupled to the crown support part 36 of the crown link 30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 the crow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rown link (30C).
  • it can be seen that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form a crow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rown link 30C fixed by the fastening screw 4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20 .
  • the crown link 30C of this embodiment except for the crown formed thereon, the organic connection portion with the fastening screw 40 and the abutment 2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t is natural to have a structure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운과의 손쉬운 결합이 가능한 어버트먼트를 가지는 임플란트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본 발명 어버트먼트(20)는, 중심에 성형되는 체결홈(24)과, 체결홈(24)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상부경사면(22)을 구비하며,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8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크라운링크(30)는, 어버트먼트(20)의 상부경사면(22)에 접촉하는 하부경사면(32)을 하부에 구비하고, 상부에는 크라운을 지지하기 위한 크라운지지부(36)를 구비한다. 여기서 크라운링크(30)가 어버트먼트(20) 상에 올려지면 상부경사면(22)과 하부경사면(32)이 서로 결합되면서, 크라운링크(30)의 관통공(38)과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4)이 동축상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체결나사(40)를 이용하여 양자를 손쉽게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어셈블리
본 발명은 임플란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라운 또는 크라운을 구비하는 크라운링크와의 정확하고 손쉬운 결합이 가능함과 같이 크라운링크의 정확한 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어버트먼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이와 관련된 주변 부품에 대한 선행 특허 문헌으로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5-0036467호를 들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서 제안하고 있는 어버트먼트(2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서 제안하고 있는 어버트먼트(20)의 외측 둘레부에 평탄한 주위 최상면(18)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렇게 평탄한 최상면(18)의 일부는 크라운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한 구조에 의하면, 크라운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크라운 또는 크라운을 구비하는 부품을 어버트먼트(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도 상당히 불편한 단점이 제기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이외에도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크라운 관련된 부품의 제조에 있어서도 정확한 치수 제어가 어려울 수 있는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라운의 결합(체결)과 관련하여 크라운 또는 크라운을 상부에 구비하는 부재와의 체결이 용이한 어버트먼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크라운 또는 크라운 관련 부품의 정확한 치수 제어가 가능한 어버트먼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 어셈블리는, 중심에 성형되는 체결홈과, 체결홈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상부경사면을 구비하며,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의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어버트먼트와; 어버트먼트의 상부경사면에 접촉하는 하부경사면을 하부에 구비하고, 상부에는 크라운을 지지하기 위한 크라운지지부를 구비하는 크라운링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크라운링크가 어버트먼트 상에 올려지면 상부경사면과 하부경사면이 서로 결합되면서, 크라운링크의 관통공과 어버트먼트의 체결홈이 동축상으로 배열되어 보다 쉽게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이들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체결홈의 입구에 형성되는 링크결합부는, 육각형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의 형상을 가지는 헥사부분과, 헥사부분 사이에서 외측으로 나가도록 형성되는 형성되는 원호부분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크라운링크의 하단 돌출부의 형상이 상이한 헥사 또는 원통형상을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체결홈의 하부에는 체결나사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가 성형되고, 이러한 암사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드라이버홈이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크라운링크의 크라운지지부에는 크라운이 일체로 성형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어버트먼트의 상부경사면과 크라운링크의 하부경사면이 서로 결합되면, 실질적으로 어버트먼트의 체결홈과 크라운링크의 관통공이 일렬로 배열된다. 따라서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이들을 서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체결홈의 입구에 형성되는 링크결합부는, 헥사부분과 원호부분을 같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크라운링크의 하단 돌출부의 형상이 상이한 헥사 또는 원통형상을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체결홈의 하부에는 체결나사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가 성형되고, 이러한 암사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드라이버홈이 성형되어 있어서, 체결나사의 결합은 물론이고,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고정하기 더욱 쉽게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크라운링크의 크라운지지부에는 크라운이 일체로 성형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의 예를 보인 설명도.
도 1는 본 발명 임플란트 어셈블리의 조립상태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임플란트 어셈블리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임플란트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어버트먼트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어버트먼트의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링크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는 크라운을 보인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20)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8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경사면(22)으로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어버트먼트(20)의 "상부경사면(22)"이라고 함은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게 형성되는 경사면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어버트먼트(20)의 상부경사면(22)은, 크라운링크(30)의 하부경사면(32)에 대응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어버트먼트(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크라운링크(30)의 하부에는 상술한 상부경사면(22)에 대응하는 하부경사면(32)을 구비하고 있어서, 서로가 밀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크라운링크(30)는 실질적으로 크라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인데, 예를 들면 하부경사면(32)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돌출 성형되는 플랜지(34) 위에는 상부로 연장된 크라운지지부(36)에 크라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하부경사면(32)은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34)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버트먼트(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경사면(22)은 중앙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부경사면(22)에 결합되는 크라운링크(30)의 하부경사면(32)도 중앙이 낮고 외측이 높게 형성됨으로써, 상부경사면(22)과 하부경사면(32)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경사면(22)과 하부경사면(32)이 서로 결합되면, 실질적으로 어버트먼트(20)와 크라운링크(30)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어버트먼저(20)와 크라운링크(30)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된다는 것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라운링크(30)의 관통공하부(38b)와 어버트먼트(2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홈(24)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로 자연스럽게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체결나사(40)를 이용하여 크라운링크(30)와 어버트먼트(20)의 체결이 아주 쉽게 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경사면(22)과 하부경사면(32)을 각각 구비하는 어버트먼트(20)와 크라운링크(3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a)와 같은 경사 상태 또는 반대로 (b)와 같은 경사 상태에서도, 실질적으로 상부경사면(22)과 하부경사면(32)에 의하여, 어버트먼트(20)와 크라운링크(30)가 서로 정확하게 배열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정확하게 배열된다는 것은, 크라운링크(30)가 어버트먼트(20) 상에 올려지면 상부경사면(22)과 하부경사면(32)이 서로 결합되면서, 크라운링크(30)의 관통공(38)과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4)이 동축상으로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Ekk서 체결나사(40)를 이용하여 아주 손쉽게 양자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경사면(22,32)가 없고, 양자의 접촉면이 평탄면이라고 가정하게 되면, 크라운링크(30)의 관통공하부(38b)와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4)을 서로 일치시키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20)의 하단부에 성형된 하부나사부(26)는, 상방이 열려 있는 픽스쳐(80)의 나사공(82)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어버트먼트(20)의 상부경사면(22)의 중앙에는 상방이 열린 상태의 체결홈(24)이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홈(24)의 하부에는 암나사부(24a)가 성형되는데, 이러한 암나사부(24a)는 체결나사(40)의 하단부에 성형된 수나사부(44)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나사(40)는 크라운링크(30)를 어버트먼트(20)에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암사나부(24a)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드라이버홈(24b)이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홈(24b)은, 어버트먼트(20)를 픽스쳐(80)에 고정할 때 드라이버(또는 렌치 등)와 같은 공구가 삽입되어 체결을 위하여 어버트먼트(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홈(24b)에 의하여, 어버트먼트(20)는 충분히 견고한 상태로 픽스쳐(8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홈(24)의 상단부(입구부) 상부경사면(22)의 바로 내측에는, 크라운링크(30)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돌출부(31)가 들어와서 결합되는 링크결합부(21)가 형성된다. 즉, 어버트먼트(30)의 상부에 성형되는 체결홈(24)은 체결나사(40)를 이용하여 크라운링크(30)를 상부에 결합하기 위한 것인데, 이와 같은 결합시 크라운링크(30)의 하단결합돌출부(31)가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4) 상단부에 형성되는 링크결합부(21)에 삽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체결나사(40)와 크라운링크(30)의 형상에 대하여 살펴보면, 크라운링크(30)는 통형상으로 성형되고, 상부에 형성되는 크라운지지부(36)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내면은 관통공상부(38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단돌출부(31)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내면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관통공하부(38b)를 형성하고 있다. 관통공상부(38a)와 관통공하부(38b) 사이에는 관통공 경사면(38c)이 형성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관통공 경사면(38c)도 상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높은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체결나사(40)는 크라운링크(30)의 관통공(38)에 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4)의 암나사부(24a)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나사(40)는, 체결나사상부(42)와 체결나사하부(44), 그리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체결나사 경사면(46)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체결나사(40)는 실질적으로 크라운링크(30)의 관통공(38)에 대응하여 긴밀하게 접촉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체결나사하부(44)는 수나사로 형성되어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4)의 암나사부(24a)에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체결나사(40)에 의하여, 크라운링크(30)가 어버트먼트(20)에 고정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20)의 상부경사면(22)과 크라운링크(30)의 하부경사면(32)이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밀착되다. 그리고 크라운링크(30)의 하단돌출부(31)는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4)의 상부를 형성하는 링크결합부(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어버트먼트(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링크결합부(21)와, 이러한 링크결합부(21)에 결합되는 크라운링크(30) 하단부의 하단돌출부(31)에 대한 실시례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서 (a)는 어버트먼트(20)에 대한 평면도이고, (b)는 체결홈(24)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결합부(21)는 실질적으로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4)의 입구(상부)를 형성하는 부분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부분에 크라운링크(30)의 하단돌출부(31)가 삽입된다.
크라운링크(30)의 하단부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에 도시한 하단돌출부(31a)는 육각(헥사)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로써 싱글 크라운인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고, (b)에 도시한 하단돌출부(31b)는 다수의 크라운이 브릿지 연결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4)의 입구인 링크결합부(21)는 (a)에 도시한 헥사형 하단돌출부(31a) 및 (b)에 도시한 원통형 하단돌출부(31b)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의 (a) 및 (b)를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크결합부(21)는, 육각형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에 대한 부분적인 외형을 가지는 헥사부분(21a)과, 육각형의 모든 변에 대하여 하나의 원이 일부 외측으로 나가도록 형성되는 원호부분(21b)로 구성된다. 이러한 원호부분(21a)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원에 의하여 육각형의 각 변에서 외측으로 원호형으로 확장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링크결합부(21)에 의하면, 도 7의 (a)에 도시한 헥사형 하단돌출부(31a)는 링크결합부(21)의 헥사부분(21a) 속으로 들어갈 수 있고, 도 7의 (b)에 도시한 원통형 하단돌출부(31b)는 링크결합부(21)의 원호부분(21b)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링크결합부(21)는 그 상부에 결합되는 크라운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라운지지부(36)의 일부가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20)는 픽스쳐(8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상술한 상부경사면(22)이 성형된 어버트먼트(20)의 상부(22A)는 외측(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픽스쳐(80)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시술을 받을 환자의 잇몸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칫수를 가지도록 설계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서 (a)는 위에서 설명한 어버트먼트(20)와 픽스쳐(80)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어버트먼트(20)의 상부에 조립되는 크라운링크(30) 상에 크라운(C)이 올려진 실시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c)는 크라운링크가 변형된 실시례를 보이고 있다. (b)에 도시한 실시례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례에서 크라운링크(30)의 크라운지지부(36)에 크라운(C)이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c)에 도시한 실시례에 의하면, 크라운이 크라운링크(30C)와 일체로 성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버트먼트(20)의 상부에서 체결나사(40)에 의하여 고정되는 크라운링크(30C)의 상부에 직접 크라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 있어서, 본 실시례의 크라운링크(30C)는, 상부에 형성되는 크라운을 제외하고, 체결나사(40) 및 어버트먼트(20)와의 유기적인 연결부분은 실질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 및 연결관계를 가지고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Claims (4)

  1. 중심에 성형되는 체결홈(24)과, 체결홈(24)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상부경사면(22)을 구비하며,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80)의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어버트먼트(20)와;
    어버트먼트(20)의 상부경사면(22)에 접촉하는 하부경사면(32)을 하부에 구비하고, 상부에는 크라운을 지지하기 위한 크라운지지부(36)를 구비하는 크라운링크(30)로 구성되고;
    크라운링크(30)가 어버트먼트(20) 상에 올려지면 상부경사면(22)과 하부경사면(32)이 서로 결합되면서, 크라운링크(30)의 관통공(38)과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4)이 동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체결홈(24)의 입구에 형성되는 링크결합부(21)는, 육각형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의 형상을 가지는 헥사부분(21a)과, 헥사부분(21a) 사이에서 외측으로 나가도록 형성되는 형성되는 원호부분(21b)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체결홈(24)의 하부에는 체결나사(4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24a)가 성형되고, 이러한 암사나부(24a)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드라이버홈(24b)이 성형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크라운링크(30)의 크라운지지부(36)에는 크라운이 일체로 성형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PCT/KR2021/011126 2020-09-22 2021-08-20 임플란트 어셈블리 WO202206569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72728.7A EP4218661A4 (en) 2020-09-22 2021-08-20 IMPLANT ASSEMBLY
US18/005,162 US20230255731A1 (en) 2020-09-22 2021-08-20 Implant assembly
CN202180049013.6A CN115802982A (zh) 2020-09-22 2021-08-20 种植体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454 2020-09-22
KR1020200122454A KR102464000B1 (ko) 2020-09-22 2020-09-22 임플란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698A1 true WO2022065698A1 (ko) 2022-03-31

Family

ID=8084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1126 WO2022065698A1 (ko) 2020-09-22 2021-08-20 임플란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55731A1 (ko)
EP (1) EP4218661A4 (ko)
KR (1) KR102464000B1 (ko)
CN (1) CN115802982A (ko)
WO (1) WO2022065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30833A0 (en) * 2014-02-05 2014-09-30 Ophir Fromovich bone graf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826U (ko) * 2012-05-18 2013-11-27 대경 이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20140088301A (ko) * 2013-01-02 2014-07-10 이도상 하부구조 개량 임플란트 픽스쳐
KR101459909B1 (ko) * 2013-05-27 2014-11-07 이도상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50036467A (ko) 2012-07-09 2015-04-07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지대주 시스템 및 치과 방법들
KR101509643B1 (ko) * 2012-12-20 2015-04-13 덴토즈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KR101543546B1 (ko) * 2011-08-12 2015-08-10 왕제원 여러 가지 각도로 제작되는 코어크라운을 수용할 수 있으며 캡을 부착하면 힐링어버트먼트의 기능을 하는 어버트먼트
KR20160029875A (ko) * 2014-09-05 2016-03-16 장은수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치과용 풀림방지부재
US20180064512A1 (en) * 2015-05-19 2018-03-08 Yesbio Gold Co., Ltd. Abutment and crown coupling structure for implant
KR101924802B1 (ko) *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447B1 (ko) * 2004-02-20 2006-01-10 (주) 코웰메디 크라운 타입 임플란트
KR20140006435U (ko) * 2014-10-21 2014-12-29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CH712894A2 (de) * 2016-09-08 2018-03-15 Dentalpoint Ag Zahnersatzsystem.
KR102562065B1 (ko) * 2017-05-29 2023-08-02 엠아이에스 임플란츠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치아 연결 시스템
KR102467910B1 (ko) * 2017-09-12 2022-11-16 주식회사 디오 보철결합용 스크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546B1 (ko) * 2011-08-12 2015-08-10 왕제원 여러 가지 각도로 제작되는 코어크라운을 수용할 수 있으며 캡을 부착하면 힐링어버트먼트의 기능을 하는 어버트먼트
KR20130006826U (ko) * 2012-05-18 2013-11-27 대경 이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20150036467A (ko) 2012-07-09 2015-04-07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지대주 시스템 및 치과 방법들
KR101509643B1 (ko) * 2012-12-20 2015-04-13 덴토즈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KR20140088301A (ko) * 2013-01-02 2014-07-10 이도상 하부구조 개량 임플란트 픽스쳐
KR101459909B1 (ko) * 2013-05-27 2014-11-07 이도상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60029875A (ko) * 2014-09-05 2016-03-16 장은수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치과용 풀림방지부재
US20180064512A1 (en) * 2015-05-19 2018-03-08 Yesbio Gold Co., Ltd. Abutment and crown coupling structure for implant
KR101924802B1 (ko) *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218661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02982A (zh) 2023-03-14
EP4218661A4 (en) 2024-03-20
US20230255731A1 (en) 2023-08-17
KR20220039393A (ko) 2022-03-29
KR102464000B1 (ko) 2022-11-04
EP4218661A1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585B2 (en) Detachable lamp socket
WO2022065698A1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US11231164B2 (en) Holiday decorative lamp
ES2774472T3 (es) Conjunto de bombilla LED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CA2619556A1 (en) Luminaire optical system
KR200424383Y1 (ko) 커버 결합구조를 개선한 형광등
KR200412313Y1 (ko) 천정매입형 조명등기구 소켓
CN209825386U (zh) 一种鞋带
KR200302428Y1 (ko) 조립식 구조물용 티링크
CN211475700U (zh) 舞台灯嵌入式安装套件
CN217559749U (zh) 转接环及灯具
KR20010000785U (ko) 천정매입형 조명등기구의 소켓체결구조
JP3114829U (ja) 照明器具
CN209977939U (zh) 灯具结构
CN218599540U (zh) 灯具
CN217843764U (zh) 一种灯具结构
CN211952699U (zh) 一种灯具散热器及一种灯具
CN213207654U (zh) 太阳能庭院灯
CN210135497U (zh) 一种路灯连接器及led路灯
CN210567588U (zh) Led灯具
KR200389258Y1 (ko) 천정매다는 등기구용 소켓홀더
JPH0129688Y2 (ko)
KR200162753Y1 (ko) 전구와 소켓의 단자구조
CN111894960A (zh) 一种螺母组件
KR200411563Y1 (ko) 조명등용 소켓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727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727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