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340Y1 - 형광등 고정클램프 - Google Patents

형광등 고정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340Y1
KR200314340Y1 KR20-2003-0004667U KR20030004667U KR200314340Y1 KR 200314340 Y1 KR200314340 Y1 KR 200314340Y1 KR 20030004667 U KR20030004667 U KR 20030004667U KR 200314340 Y1 KR200314340 Y1 KR 200314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fixing
piece
fixing plat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창호
Original Assignee
채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창호 filed Critical 채창호
Priority to KR20-2003-0004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3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9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the support means engaging the vessel of th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등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체결 고정되고, 연결편과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형광등이 삽입 지지되는 홀더로 이루어진 고정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50)의 고정편(54) 양단에 수직으로 수직편(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형광등을 지지하는 고정클램프의 고정판양단에 수직으로 수직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클램프의 고정판과 케이스 사이에 공간을 없애게 됨으로써, 즉 고정판이 케이스 상부에 밀착됨으로써 형광등을 지지하는 홀더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었으며, 또한 고정판의 연결판에 절단홈을 형성하여 고정판을 2개로 분리하여 하나의 형광등을 지지 할 수 있게 되어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형광등 고정클램프{A FLUORESCENT FIXING CLAMP}
본 고안은 형광등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에 체결되는 고정판으로부터 형광등의 지지되는 홀더의 이탈이 방지되고, 고정판을 분리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호환성이 우수한 형광등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은 사용되는 장소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제작되는 데, 주로 옥외 광고판으로 사용되는 형광등은 비교적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형광등은 길이가 비교적 적은 원통형 및 원형을 유지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이중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제작된 형광등은 자체의 중량에 이탈되는 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 상에 다수의 고정클램프를 구비하여 형광등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클램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종래 형광등 램프 고정클램프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종래 형광등 램프 고정클램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등(100)은 비교적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형광등(100)은 전원이 접속되는 케이스(200) 양측의 접촉단(300)에 양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형광등(100)은 자체의 중량에 의하여 접촉단(3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200) 상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클램프(400)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 고정클램프(400)는 케이스(200)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체결 고정된 고정판(500)과, 고정판(50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형광등(100)이 삽입되는홀더(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500)은 중앙 영역에 체결공(510)이 형성된 연결편(520)과, 연결편(520)의 양측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자체 탄성력을 갖는 끼움공(530)이 형성된 고정편(5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편(540)은 연결편(520)양단으로부터 경사부의 높이 만큼 간격(h)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편(520)의 체결공(510)을 통하여 체결볼트(700)를 체결하여 케이스(200)에 고정판(500)을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홀더(600)는 고정편(540)의 끼움공(53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끼움부(610)가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원형편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끼움부(610)에는 통공(611)이 형성되어 케이스(200)에 나사 체결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케이스(200)의 양측에 구비된 접촉단(300)에 비교적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제작된 형광등(100)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면, 케이스(200) 상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체결 고정된 고정클램프(400)의 홀더(600)에 형광등(100) 외주연이 삽입됨으로써 자체 중량에 의하여 접촉단(300)으로부터 형광등(100) 자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연결편(520)의 체결공(510)을 통해 체결볼트(700)를 체결하여 케이스(200)에 고정판(500)을 등간격으로 체결 고정시킨 다음, 고정편(540)의 끼움공(530)에 홀더(600)의 끼움부(610)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홀더(600)의 끼움부(610)가 고정편(540)의 끼움공(530)을 통과하여 삽입되고, 그 단부가 케이스(200)에 밀착됨으로써 고정판(500)에 삽입된 홀더(600) 의 내주연으로 형광등(100) 외주연이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형광등(100)을 안정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끼움부(610)에는 통공(611)이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케이스(200)에 홀더(600)가 나사 체결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고정클램프는 케이스에 밀착되어 체결 고정되는 연결편의 양단으로부터 경사부의 높이 만큼 간격(h)이 형성됨으로써, 즉 케이스에 밀착된 연결편과 홀더가 삽입되는 고정편이 경사부의 높이 간격만큼 간격(h)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편 양단을 케이스 면에 닿도록 누르게 되면, 고정편의 끼움공으로부터 홀더의 끼움부가 쉽게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과, 고정클램프 자체가 외클립, 즉 하나의 형광등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호환성이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고정판으로부터 홀더의 이탈이 방지되고, 형광등의 호환성이 우수한 형광등 고정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케이스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체결 고정되고, 연결편과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형광등이 삽입 지지되는 홀더로 이루어진 고정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고정편 양단에 수직으로 수직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의 체결공을 중심으로 절단홈이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형광등 고정클램프의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 형광등 고정클램프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고정클램프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고정클램프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고정클램프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고정클램프 50 : 고정판
51 : 체결공 52 : 연결편
52a : 절단홈 54 : 고정편
56 : 수직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고정클램프의 설치상태도이고,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고정클램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고정클램프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10)은 비교적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형광등(10)은 전원이 접속되는 케이스(20) 양측의 접촉단(30)에 양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형광등(10)은 자체의 중량에 의하여 접촉단(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20) 상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클램프(40)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 고정클램프(40)는 케이스(20)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체결 고정된 고정판(50)과, 고정판(5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형광등(10)이 삽입되는 홀더(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50)은 중앙 영역에 체결공(51)이 형성된 연결편(52)과, 연결편(52)의 양측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자체 탄성력을 갖는 끼움공(53)이 형성된 고정편(54)과, 고정편(54)의 양단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직편(5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편(56)은 그 단부가 연결편(5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편(52)의 체결공(51)을 통하여 체결볼트(70)를 체결하여 케이스(20)에 고정판(50)을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홀더(60)는 고정편(54)의 끼움공(53)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끼움부(61)가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원형편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끼움부(61)에는 통공(61a)이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케이스(20)에 홀더(60)가 나사 체결 고정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램프(40)를 구성하고 있는 고정판(50)의 연결편(52)에 형성된 체결공(51)의 중심선 상의 연결편(52)에 직선으로 절단홈(52a)이 형성된다.
이때, 절단홈(52a)을 중심으로 연결편(52)을 분리하게 됨으로써 2개의 고정클램프(40)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절단홈(52a)은 분리가 용이하도록 연결편(52)의 두께의 1/2정도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케이스(20)의 양측에 구비된 접촉단(30)에 비교적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제작된 형광등(10)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면, 케이스(20) 상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체결 고정된 고정클램프(40)의 홀더(60)에 형광등(10) 외주연이 삽입됨으로써 자체 중량에 의하여 접촉단(30)으로부터 형광등(10) 자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편(52)의 체결공(51)을 통해 체결볼트(60)의 체결력으로써 케이스(20) 상에 연결편(52)을 체결시키게 된다. 그러면, 연결편(52) 하부면이 케이스(20) 상부면에 밀착되고, 연결편(52) 양단의 수직편(56)은 그 단부가 케이스(20) 상부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편(54)의 끼움공(53)에 홀더(60)의 끼움부(61)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홀더(60)의 끼움부(61)가 고정편(54)의 끼움공(53)을 통과하여 삽입되고, 그 단부가 케이스(20) 상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고정판(50)에 삽입된 홀더(60)의 내주연으로 형광등(10) 외주연이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형광등(10)을 안정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끼움부(61)에는 통공(61a)이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케이스(20)에 홀더(60)가 나사 체결 고정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고정클램프(40)를 구성하고 있는 고정판(50)의 연결편(52)에 형성된 체결공(51)의 절단홈(52a)을 절단하게 된다.
그러면, 절단홈(52a)을 중심으로 연결편(52)이 2개로 분리됨으로써 하나씩의 형광등(10)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형광등을 지지하는 고정클램프의 고정판양단에 수직으로 수직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클램프의 고정판과 케이스 사이에 공간을 없애게 됨으로써, 즉 고정판이 케이스 상부에 밀착됨으로써 형광등을 지지하는 홀더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었으며, 또한 고정판의 연결판에 절단홈을 형성하여 고정판을 2개로 분리하여 하나의 형광등을 지지 할 수 있게 되어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케이스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체결 고정되고, 연결편과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형광등이 삽입 지지되는 홀더로 이루어진 고정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50)의 고정편(54) 양단에 수직으로 수직편(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고정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56)은 그 단부가 상기 연결편(52)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고정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52)의 체결공(51)을 중심으로 절단홈(5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고정클램프.
KR20-2003-0004667U 2003-02-18 2003-02-18 형광등 고정클램프 KR200314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667U KR200314340Y1 (ko) 2003-02-18 2003-02-18 형광등 고정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667U KR200314340Y1 (ko) 2003-02-18 2003-02-18 형광등 고정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340Y1 true KR200314340Y1 (ko) 2003-05-23

Family

ID=4940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667U KR200314340Y1 (ko) 2003-02-18 2003-02-18 형광등 고정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3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240A (ko) * 2020-03-25 2022-05-16 김윤세 샤워기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240A (ko) * 2020-03-25 2022-05-16 김윤세 샤워기 홀더
KR102422054B1 (ko) * 2020-03-25 2022-07-20 김윤세 샤워기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3186B1 (en) Holder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5839819A (en) Light bulb holders for a decorative light string net
US5673997A (en) Trim support for recessed lighting fixture
KR200314340Y1 (ko) 형광등 고정클램프
US7824081B2 (en) Helicoidal system for recessed light fixture assembly
US6068389A (en) Fixture for a light bulb holder on a light string to connect with a frame
KR20130003143A (ko) 천정등 고정 장치
KR200358935Y1 (ko) 형광등 지지용 클램프
KR100417328B1 (ko) 매입형 등기구와 전구용 소켓 및 그의 결합구조
JP3851345B2 (ja) 提灯
KR200309127Y1 (ko) 파이프의 연결구 조립체
KR200305037Y1 (ko) 형광등용 홀더
EP1664623B1 (en) Recessed type lighting fixture with device for quickly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lamp
JP3828087B2 (ja) 提灯
CN220355375U (zh) 一种防水吸顶灯结构
KR200173262Y1 (ko) 형광등 고정장치
KR200333218Y1 (ko) 매입형 등기구의 고정클램프
KR200179626Y1 (ko) 설치가 용이한 형광등용 등기구
KR102080279B1 (ko) 전구의 착탈이 용이한 인테리어 조명등
CN101008484A (zh) 改进的灯罩固定座构造
KR200405749Y1 (ko) 형광등 고정구
RU2251770C2 (ru) Патрон-переходник для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прибора
KR100400335B1 (ko) 형광등 설치를 위한 협지구 고정장치
JPH0521209Y2 (ko)
KR20000016739U (ko) 탈착이 자유로운 전등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