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45802A1 -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45802A1
WO2022045802A1 PCT/KR2021/011456 KR2021011456W WO2022045802A1 WO 2022045802 A1 WO2022045802 A1 WO 2022045802A1 KR 2021011456 W KR2021011456 W KR 2021011456W WO 2022045802 A1 WO2022045802 A1 WO 20220458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stroke
fruit
acid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14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제강훈
윤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롤메드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1315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027040A/ko
Publication of WO20220458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458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2Juglandaceae (Walnu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troke.
  • Stroke commonly known as a 'stroke', is caused by blockage or rupture of a blood vessel supplying blood to the brain, causing damage to that part of the brain. It refers to a condition that causes symptoms of neuropathy.
  • Strok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types. First, it is called infarction, ischemic stroke, or infarct stroke, in which a part of the brain supplied with blood is damaged due to blockage of blood vessels. Second, a blood vessel in the brain ruptures and blood accumulates in the brain, causing damage to that part of the brain, which is called a hemorrhage or hemorrhagic stroke. Ischemic stroke is three times more common than hemorrhagic stroke.
  • An ischemic stroke occurs when the brain tissue becomes ischemic due to a decrease or blockage of the blood supply to the brain tissue. That is, depending on the cause, it is divided into cerebral infarction, which is caused by blockage of a cerebral blood vessel, and cerebral hemorrhage, which is caused by rupture of a cerebral blood vessel. It is classified as subarachnoid hemorrhage (SAH) due to rupture of a cerebral aneurysm caused by deformation.
  • SAH subarachnoid hemorrhage
  • cerebral infarction is divided into cerebral thrombosis (thrombosis is formed in a blood vessel in the brain to block the blood vessel) and cerebral embolism (a blood clot caused by a thrombus fragment in a cerebral blood vessel or a heart abnormality flows into the head blood vessel and blocks the blood vessel).
  • cerebral embolism a blood clot caused by a thrombus fragment in a cerebral blood vessel or a heart abnormality flows into the head blood vessel and blocks the blood vessel.
  • Others include small infarction (blockage of very small blood vessels in the brain), vasculitis due to encephalitis, and stroke due to congenital vascular malformation.
  • the death rate due to stroke is increasing every year not only in Korea but also worldwide, and today, much interest is being paid to the development of drugs for stroke 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rok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troke, comprising a fraction of a pressed extract, a solvent extract, or a solvent extract of Juglans mandshurica frui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rok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n individual a compressed extract of Juglans mandshurica fruit, a solvent extract or a fraction of a solvent extrac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use of a pressed extract of Juglans mandshurica fruit, a solvent extract or a fraction of the solvent extract,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troke.
  • the fruit extract of the shamrock tr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and can be usefully used in the fields of pharmaceutical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for the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stroke.
  • 1 is an image comparing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in the brain tissue of a group administered orally administered extracts of sphagnum fruit ( Juglans mandshurica ), walnuts ( Juglans sinensis , walnut), camellia ( C. japonica L.), perilla, and sunflower seed oil. is shown.
  • FIG. 2 is a quantitative graph showing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in a group administered orally administered with sphagnum fruit ( Juglans mandshurica ), walnut ( Juglans sinensis , walnut), camellia ( C. japonica L.), perilla, and sunflower seed oil extract. will be.
  • FIG. 4 shows images comparing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in the brain tissue of the group to which the compressed extracts of the fruit of the Arachnid tree were orally administered.
  • 5 is a quantitative graph showing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measured in a group administered orally with a compressed extract of the fruit of the syphilis.
  • FIG. 6 is a quantitative graph showing changes in infarct volume of sections 1-5 of brain infarct tissues of mice of each group shown in FIG. 4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roke, comprising a fraction of a pressed extract, a solvent extract or a solvent extract of the fruit of Juglans mandshurica .
  • Juglans mandshurica is a deciduous broad-leaved arboreous tree with pinnate compound leaves, 7 to 17 small leaves about 7 to 28 cm long, and the fruit is an egg-shaped drupe. The fruits ripen from September to October and can be used medicinally or edible.
  •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treatment, a diluted or concentrated liquid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a prepared or purified product of the extract, or a mixture thereof, such as the extract itself and the extract. It includes extracts of all formulations that can be formed using it.
  • Drying of the ex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arried out by a known method in the range in which useful components from the collected plant are not destroyed, for example, it may be carried out by a method of natural drying in the shade.
  • crushing or pulverization can be pulverized by crushing or pulverizing to an extent that useful components of plants can be sufficiently extracted in the subsequent extraction process.
  • the drying, crushing, or pulverizing processes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or repeated if necessary.
  • the extrac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tra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method include a solvent extraction method,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 filtration method, a reflux extraction method, a compression method, and the like, and these may be perform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thods.
  • the “compression method” is a method of squeezing a component such as oil by pressing a material. This is a method of separating the oil by pressing the fruit of the alder tree,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fresh and high-quality oil with little deterioration and damage due to heat.
  • the compressed extract of the sagebrush fruit can be pressed at a temperature of 15 to 120° C. at a pressure of 10 to 4000 kg/cm 2 to separate the oil from the shamrock fruit, specifically, 500 to 3000 at a temperature of 20 to 100° C.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oil from the shamrock fruit by pressing with a pressure of kg/cm 2 .
  • Juglans mandshurica fruit can be prepared as a solvent extract using a solvent, and the type of extraction solvent used for extr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there is.
  •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extraction with water, C 1 to C 4 lower alcohol, hexane, or a mixed solvent thereof.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solvent include water; C 1 to C 4 lower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yl alcohol, and butyl alcohol;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erin, but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and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benzene, hexane, diethyl ether, and dichloromethane; Alternatively,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and specifically, water, lower alcohol, 1,3-butylene glycol, ethyl acetate, and hexan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C 1 to C 4 lower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yl alcohol, and butyl alcohol
  •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erin, but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benz
  • fraction refers to a result obtained by performing fractionation in order to separate a specific component or a specific component group from a mixture including various components.
  • the fractionation method for obtaining the f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fractionation method may include a method of obtaining a fraction from the extract by treating a solvent extract of a shamrock fruit with a predetermined solvent.
  • the kind of solvent used to obtain the f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ractionation solvent include wat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dichloromethane, or a mixed solvent thereof. By fractionation with these solvents, it is possible to prepare a fraction of the solvent extract of the alder fruit.
  • 'stroke' refers to a symptom of a local neurological deficit suddenly induced due to abnormal cerebral blood flow.
  • a stroke may include a cerebral infarction in which brain cell death is induced by blockage of a cerebral blood vessel with a blood clot or the like, or a cerebral hemorrhage caused by rupture of a cerebral blood vessel.
  • Specific symptoms of stroke include sudden headache and vomiting, hemiparesis, paralysis of parts of the body, sensory paralysis and loss of body parts, speech disorders (aphasia or pronunciation disorders), facial nerve disorders, and ataxia. may appear
  • a stroke may mean a stroke.
  • the stroke may be an ischemic stroke or a hemorrhagic stroke, and specifically may be an ischemic stro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mote recovery of motor function damaged due to stroke, or reduce the size of an infarct.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of inhibiting or delaying the onset of stroke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Astragalus fru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cially changes the symptoms of the disease by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shamrock fru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ruit extract of shamrock which exhibits the stroke prevention or treatment effect as described above, contains fatty acids, and may contain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s the fatty acid in a weight ratio of 1 to 2.5: 4 to 8: 1, more specifically As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25 to 1.35: 4.5 to 6.8: 1.
  • the extract of the sycamore tree fruit contains other fatty acids in addition to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and 1.98 to 2.98% by weight of palmitic acid, 0.53 to 0.79% by weight of stearic acid, among the total weight of fatty acids; 9.08 to 13.62 wt% of oleic acid, 44.83 to 67.25 wt% of linoleic acid, and 6.93 to 10.39 wt% of linolenic acid may be included.
  • oleic acid (C18:1, ⁇ 9): linoleic acid (C18:2, ⁇ 6):linolenic acid (C18:3, ⁇ 3) has a ratio of about 1.07: 4.92: 1 for walnuts, about 2.36: 6.63: 1, about 851:29:1 for camellia, about 0.29:0.18:1 for perilla, sunflower
  • the seed had a ratio of about 142.83: 601.33:1.
  • the ratio of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among the fatty acids contained in these oils was about 1-2.5: 4-8: 1, but camellia had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oleic acid, and sunflower seeds had a higher proportion of oleic acid.
  • the proportion of linoleic acid was remarkably high, and the proportions of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erilla.
  •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walnut extract, whereby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troke is enhanced.
  • the walnut extract may be a fraction of a compressed extract, a solvent extract or a solvent extract of walnuts ( Juglans sinensis , walnut), and specifically may be an oil extract of walnuts.
  • the description of the compressed extract of walnut fruit, the solvent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solvent extract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fraction of the compressed extract, the solvent extract, and the solvent extract of the agaric tree described above.
  • the ratio of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may be 1-5: 4-12: 1, and specifically, when it has a weight ratio of 1.25-4.5: 4.5-10: 1, stroke treatment or prevention activity is excellent D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the extract of the shamrock frui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e or may additionally contain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rok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to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using a method well known in the art to provide rapid, sustained or delayed release of an active ingredient after administration to a mammal.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mixed or diluted with a carrier, or enclosed in a carrier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erefore,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rok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oral dosage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It may be formulated and used, and may further include appropriat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 carrie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and the like.
  • it is prepared using commonly used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and capsules,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in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and It is prepared by mixing gelatin, etc.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may also be used.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are used. may be includ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Tak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nto consideration,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a minimum amount without causing side effect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tient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ral or parenteral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It may be administered via a route.
  • the daily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in the range of 0.001 to 150 mg/kg body weight, and can be administered once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However, since the actual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in light of several related factors such as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age, sex, weight, and severity of the patient, the dosage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aspec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troke, comprising a fraction of a pressed extract, a solvent extract, or a solvent extract of Juglans mandshurica fruit.
  • the extract of Juglans mandshurica frui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odel, it has a protective effect on the brain such as brain cells or brain tissue.
  • the term "improve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ts the symptoms of an individual suspected of having a stroke or having a stroke by using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Astragalus fru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trok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rm of pills, powders, granules, needles, tablets, capsules or liquids, and the food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includes, for example, various foods , for example, beverages, gum, tea,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supplements.
  • the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trok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other ingredients other than the composition or its active ingredient, the extract of the shamrock fruit, and various herbal extracts and food supplements like conventional food.
  • natural carbohydrates and the like may be contained as additional ingredients.
  • the food supplement additives include conventional food supplement additives in the art, for example, flavoring agents,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fillers, stabilizers,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hyg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may be used.
  • the health supplement includes health functional food and health food.
  • the functional food is the same term as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and in addition to supplying nutrients, it is processed to efficiently exhibit bioregulatory functions and has high medical effects.
  • function (sex) means to obtain a useful effect for health purposes such as regulating nutrients or physiological action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 the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at the time of manufacture,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compon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 the formulation of the food may be prepa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formulation recognized as a foo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nd unlike general drugs, it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side effects that may occur during long-term administration of the drug using food as a raw material, and has excellent portability, Food can be ingested as an adjuvant to enhance the effect of stroke prevention or improvem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rok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n individual a compressed extract, a solvent extract, or a fraction of a solvent extract of Juglans mandshurica fruit.
  • the prophylactic or therapeutic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ncludes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ressed extract, solvent extract or solvent extract of Juglans mandshurica fruit to an individual who has or is at risk of developing a stroke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It may include the step of administering.
  • the term “individual” refers to all animals, including humans, that have or are likely to have a stroke.
  • the animals may be mammals such as cattle, horses, sheep, pigs, goats, camels, antelopes, dogs, and cats that require treatment of not only humans, but also similar symptoms, but the Juglans mandshurica fruit compression Subjects whose stroke is prevented and treated by the extract, solvent extract or fractions of the solvent extract include without limit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a pressed extract, a solvent extract, or a fraction of a solvent extract of Juglans mandshurica fruit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troke.
  • composition comprising a pressed extract, a solvent extract or a fraction of a solvent extract of Juglans mandshurica fruit is provided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troke.
  • the inlet temperature was 250 °C
  • the detector temperature was 280 °C
  • the inlet sample injection ratio was set to 10:1
  • the rates of hydrogen and air for flame ions in the detector were set to 35 ml and 350 ml per minute, respectively.
  • the oven temperature program was initially held at 50°C for 1 minute, then increased at 25°C/min to 130°C, 8°C/min to 170°C, 1.5°C/min to 215°C, 5°C/min to 250°C, and held for 5 minutes.
  • Table 1 shows the gas chromatography spectra of the fruit of the spruce tree ( Juglans mandshurica ), walnuts ( Juglans sinensis , walnut), camellia ( C. japonica L.), perilla, and sunflower seed oil extracts. As shown in Table 1, by measuring the retention time (Rt) for each fatty aci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se oil extracts using gas chromatography are summarized in Table 1.
  •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 by weight) sagebrush oil Walnut oil Camellia Oil perilla oil sunflower seed oil Palmitic acid (C16:0) 2.71 6.33 8.90 5.66 6.14 Stearic acid (C18:0) 0.81 1.90 2.40 1.90 3.83 Oleic acid (C18:1 ⁇ 9) 14.79 21.63 85.10 18.06 17.14 Linoleic acid (C18:2 ⁇ 6) 67.68 60.62 2.90 11.32 72.16 Linolenic acid (C18:3 ⁇ 3) 13.76 9.15 0.10 62.29 0.12
  • these oil extracts had a high content of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among the five fatty acids of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and the ratios of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are shown in Table 3.
  • the fruit of the oleic acid (C18:1, ⁇ 9): linoleic acid (C18:2, ⁇ 6):linolenic acid (C18:3, ⁇ 3) is about 1.07: 4.92: 1.
  • Fatty acids in walnuts in a ratio of about 2.36: 6.63: 1, camellias in a ratio of 851:29:1, perilla seeds in a ratio of about 0.29:0.18:1, and sunflower seeds in a ratio of about 142.83: 601.33:1 was containing Overall, the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ratios of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were about 1 ⁇ 2.5:4.5 ⁇ 6.8:1 in the extracts of shamrock fruit and walnut oil.
  • Omega fatty acid composition (% by weight) sagebrush oil walnut oil camellia oil perilla oil sunflower seed oil Oleic acid (C18:1 ⁇ 9) 14.79 21.63 85.10 18.06 17.14 Linoleic acid (C18:2 ⁇ 6) 67.68 60.62 2.90 11.32 72.16 Linolenic acid (C18:3 ⁇ 3) 13.76 9.15 0.10 62.29 0.12 omega fatty acid weight ratio sagebrush oil walnut oil camellia oil perilla oil sunflower seed oil Oleic acid (C18:1 ⁇ 9) 1.07 2.36 851.00 0.29 142.83 Linoleic acid (C18:2 ⁇ 6) 4.92 6.63 29.00 0.18 601.33 Linolenic acid (C18:3 ⁇ 3)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mice 11-week-old C57BL/6 (DBL, Korea) male mice weighing 25 g or less were purchased and given an adaptation period of about 1 week, followed by animal experiments. Feed and water were supplied enough to allow them to adapt to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 mice C57BL/6, males 12 to 13 weeks old were anesthetized by inhalation with 2% isoflurane (70% N 2 O 30% O 2 ). Thereafter, while monitoring cerebral blood flow through Laser Doppler, the skin was incised in the anterior central region of the neck, and the common right carotid artery (CCA) and the external carotid artery (ECA) were separated using a silicone-coated filament. The middle cerebral artery (MCA) was blocked and occluded for 1 hour, and then the filament was removed after 1 hour to induce reperfusion. Thereafter, the body temperature of the mice was maintained at 37 ⁇ 0.5°C.
  • mice Twenty-four hours after reperfusion, mice were sacrificed by euthanasia, and the heart was reperfused with PBS buffer to remove blood, and the brain was excised into 2 mm sections from the frontal pole of the brain. The section was placed in a 2% TTC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solution, stained at room temperature for 20 minutes, fixed with a 4% paraformaldehyde solution, and photographed with a digital camera, Infarct volume was measured with Image J program.
  • TTC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 1 is an image comparing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in the brain tissue of a group administered orally administered extracts of sphagnum fruit ( Juglans mandshurica ), walnuts ( Juglans sinensis , walnut), camellia ( C. japonica L.), perilla, and sunflower seed oil. is shown.
  • FIG. 2 is a quantitative graph showing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in a group administered orally administered with sphagnum fruit ( Juglans mandshurica ), walnut ( Juglans sinensis , walnut), camellia ( C. japonica L.), perilla, and sunflower seed oil extract. will be.
  • the Stroke group occluded the middle cerebral artery and caused a stroke
  • the JM group caused a stroke by occluding the middle cerebral artery
  • the JS group caused a stroke by occluding the middle cerebral artery.
  • CJ group occluded the middle cerebral artery to induce a stroke
  • camellia C.
  • japonica L. oil extract
  • PF Perilla oil
  • HA the group to which the sunflower seed oil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after the stroke was caused by occlusion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do.
  • FIG. 1 it can be seen that in the stroke-inducing group group (Stroke), a cerebral infarction occurred and an infarct region that appeared white appeared.
  • the infarct volum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 to which the oil extract and walnut oil extract were orally administered, and the undamaged red area was increased.
  •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was decreased.
  • perilla oil extract and sunflower seed oil extract there was little effect on reducing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 oleic acid (C18: 1, ⁇ 9): linoleic acid (C18:2, ⁇ 6): linolenic acid (C18: 3, ⁇ 3) had a ratio of about 1.07: 4.92: 1, walnuts in a ratio of 2.36: 6.63: 1, camellias in a ratio of 851:29:1, perillas in a ratio of 0.29:0.18:1, sunflower seeds had a ratio of 142.83: 601.33:1.
  • camellia Compared to oleic acid ( ⁇ 9) and linoleic acid ( ⁇ 6) in a ratio of 1-2.5:4.5-6.8 based on linolenic acid ( ⁇ 3), camellia has 851 oleic acid ( ⁇ 9) and linoleic acid ( ⁇ 6) in oleic acid ( ⁇ 9) and linoleic acid ( ⁇ 6)
  • the proportion of oleic acid was remarkably high with a ratio of :29.
  • sunflower seeds had a remarkably high proportion of linoleic acid at 142.83: 601.33, an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at 0.29:0.18, respectively, in perilla.
  • the fruit of Juglans mandshurica was prepared by purchasing the fruit of the fruit of Juglans mandshurica. After thoroughly washing the purchased alfalfa fruit in water, it was dried sufficiently and compressed at a pressure of 2000 kg/cm 2 at 25° C., which is a lower temperature condition than in Experimental Example 1-1, to obtain a compressed extract of a natural alfalfa fruit.
  • FIG. 3 shows the spectrum of gas chromatography of the compressed extract of the Arachnid fru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tention time (Retention time, Rt) for each fatty acid is palmitic acid (Rt 13.791), stearic acid (Rt 17.516), oleic acid (Rt 18.668), linoleic acid (Rt 19.225), and linolenic acid (Rt 20.598) was confirmed.
  • Table 4 summarize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compressed extracts of the fruit of the abusaceae tree prepared in Experimental Example 3-2 using gas chromatography.
  • the compressed extracts of the fruit of the sycamore tree contain various fatty acids, and oleic acid (C18:1, ⁇ 9): linoleic acid (C18:2, ⁇ 6):linolenic acid (C18) :3, ⁇ 3) had a ratio of about 1.31: 6.47: 1. Therefor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xtraction method using hexane and the fatty acid content in Experimental Example 1, but the ratio of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was included in the ratio of 1-2.5:4.5-6.8:1. It was confirmed that, compared to linolenic acid, the ratio of oleic acid to linoleic acid was increased when the oil extract of the oleifera fruit was prepared by pressing at a lower temperature than in Experimental Example 1-1.
  • mice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an experimental model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was prepared for cerebral ischemia due to occlusion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and immediately after reperfusion, a compressed extract of Juglans mandshurica fruit was added to the mouse body weight at a concentration of 1,000 mg/kg. It was orally administered in a volume of 50 to 100 ⁇ l per 25 g,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and protecting brain cells was confirmed.
  • MCAO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 4 shows images comparing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in the brain tissue of the group to which the compressed extracts of the fruit of the Arachnid tree were orally administered.
  • 5 is a quantitative graph showing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measured in a group administered orally with a compressed extract of the fruit of the syphilis.
  • the Sham group was a negative control group that did not occlude the middle cerebral artery, the Stroke group caused a stroke by occluding the middle cerebral artery, and the S+JM group caused a stroke by occluding the middle cerebral artery. refers to the group administered orally.
  • the Sham group (negative control group) underwent stroke surgery, but because the middle cerebral artery was not actually occluded, cerebral infarction did not occur, so the tissue section appeared as a red area, and the stroke-inducing group ( Stroke), it can be seen that the infarct area appeared as a white color due to the occurrence of a cerebral infarction.
  • the stroke-inducing group Stroke
  • cerebral infarction was reduced by recovering to a red region in the group administered orally with the compressed extract of the sycamore tree fruit.
  • the stroke-inducing group (Stroke) exhibited an average infarct volume of 60 mm 3 or more.
  • the infarct volume was less than 10 mm 3 , indicating that strok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compressed extract of the sycamore tree fruit.
  • FIG. 6 is a quantitative graph showing changes in infarct volume of sections 1-5 of brain infarct tissues of mice of each group shown in FIG. 4 .
  • tissue damage in sections 2 and 3 was large in the stroke-inducing group (Stroke). Sections 1 and 4 showed less tissue damage because the distance from the cerebral infarction core was relatively fa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issue damag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 (S+JM) to which the compressed extracts of the sycamore tree were administered, even in Nos. 2 and 3, when the tissue damage was severe.
  • the walnut oil press extract ha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which are common major fatty acids, but depending on the type of walnut, the specific gravity of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was different, 0.5 ⁇
  • the fatty acid ratio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walnut in the ratio of 3: 0.5 to 8: 1.
  • a cerebral ischemia experimental model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due to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4, and the treatment effect of cerebral infarction was comp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y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sychia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래나무 열매 추출물은 중대뇌동맥 폐색에 의해 유발된 허혈성 뇌조직 손상에 대해 뇌조직(뇌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고, 경색(infarction)을 감소시켜 뇌졸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이나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stroke)은 흔히 '중풍'으로 알려져 있으며, 뇌에 혈액을 공급하고 있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급작스런 뇌혈류 장해에 의한 의식소실, 반신마비, 언어장애 등의 국소적 신경장애 증상을 일으킨 상태를 일컫는다.
뇌졸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혈관이 막혀서 혈관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던 뇌 일부가 손상되는 뇌경색(Infarction), 허혈성 뇌졸중(Iscemic stroke), 또는 경색성 뇌졸중으로 불리며. 둘째는 뇌혈관이 터져 뇌 안에 피가 고 이게 되어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는 것으로 뇌출혈(Hemorrhage) 혹은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이라고 불린다. 허혈성 뇌졸중이 출혈성 뇌졸중보다 3배 이상 많이 발생하고 있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조직으로 가는 혈액 공급의 감소 혹은 차단으로 뇌조직이 허혈상태가 되어 발생하며, 출혈성 뇌졸중은 혈관이 터져 뇌조직으로 출혈을 일으켜 발생한다. 즉, 원인에 따라 뇌혈관이 막혀서 생기는 뇌경색(cerebral infarction)과 반대로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 (cerebral hemorrhage)로 구분되며, 뇌출혈은 다시 고혈압성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과 뇌혈관이 꽈리모양의 변형을 일으켜 발생하는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 파열에 의한 뇌지주막하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SAH)로 구분된다.
또한, 뇌경색은 뇌혈전증(뇌혈관에 혈전이 형성되어 혈관을 막는 것)과 뇌색전증(뇌혈관의 혈전조각이나 심장이상으로 인한 피떡이 머리 혈관으로 흘러들어가 혈관을 막는 것)으로 구분된다. 그밖에 소경색(아주 작은 뇌혈관이 막히는 것), 뇌염증 등으로 인한 혈관염, 선천성 혈관기형장애로 인한 뇌졸중 등이 있다.
이러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은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오늘날 뇌졸중 치료 약물 개발에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다. 본 발명은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래나무 열매 추출물은 뇌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지며, 뇌 졸중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및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 용 될 수 있다.
또한, 중대뇌동맥 폐쇄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가래나무 열매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결과, 뇌 절편 조직의 경색 손상이 미비한 것을 확인하여 가래나무 열매 추출물은 뇌세포 보호 효과와 더불어 운동능력, 인지능력 개선이나 기억력 증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가래나무 열매(Juglans mandshurica),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 동백나무(C. japonica L.), 들깨, 해바라기씨 오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그룹의 뇌조직에서 뇌경색 부피를 비교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가래나무 열매(Juglans mandshurica),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 동백나무(C. japonica L.), 들깨, 해바라기씨 오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뇌경색 부피를 측정하여 정량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는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그룹의 뇌조직에서 뇌경색 부피를 비교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뇌경색 부피를 측정하여 정량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에서 나타난 각 그룹의 마우스의 뇌경색 조직 1-5 절편의 경색(infarct) 부피 변화를 정량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에 대한 다른 설명 및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에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문구 또는 문장에서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는 가래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서, 낙엽 활엽 교목으로 잎은 깃꼴겹잎으로 길이 7~28cm 정도의 작은 잎이 7~17개 달리고, 열매는 달걀 모양의 핵과가 열린다. 열매가 9~10월에 익으며 약용이나 식용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건조는 채취한 식물로부터 유용한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지에서 자연건조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파쇄 또는 분쇄는 이후 추출과정에서 식물의 유용한 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파쇄 또는 분쇄하여 분말화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와 파쇄 또는 분쇄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순서를 뒤바꿔서 진행하거나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압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압착법"은 물질을 눌러서 기름 같은 성분을 짜내는 방법이다. 가래나무 열매를 압착하여 오일을 분리시키는 방법으로, 열에 의한 변질과 손상이 적어 신선하고 높은 품질의 오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은 15~120℃의 온도에서 10~4000 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가래나무 열매에서 오일을 분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100℃의 온도에서 500~3000 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가래나무 열매에서 오일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는 용매를 이용하여 용매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 지 C4의 저급 알코올,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가래나무 열매의 용매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용매로 분획하여 가래나무 열매의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뇌졸중(stroke)'이란, 뇌혈류 이상으로 인해 갑작스레 유발된 국소적인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뇌졸중에는 혈전 등으로 뇌혈관이 막혀 뇌세포의 사멸이 유도되는 뇌경색, 또는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뇌졸중의 증세로서는 갑작스러운 두통 및 구토가 있고, 반신 마비나 신체 일부의 마비, 신체 일부의 감각마비와 소실이 있을 수 있으며, 언어장애(실어증 혹은 발음장애), 안면신경장애, 운동실조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뇌졸중은 중풍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뇌졸중은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또는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일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허혈성 뇌졸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뇌졸중으로 인해 손상된 운동 기능 회복을 촉진하거나, 또는 경색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상기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뇌졸중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 또는 헥산 추출물을 뇌졸중 동물 모델에 처리한 결과, 경색 크기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1, 2 및 도 4-6).
상기와 같은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가래나무의 열매 추출물은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방산으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을 1~2.5: 4~8: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을 1.25~1.35: 4.5~6.8: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래나무 열매 추출물은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이외에 다른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방산 전체 중량 중 팔미트산(palmitic acid) 1.98~2.98 중량%, 스테아르산(stearic acid) 0.53~0.79 중량%, 올레산(oleic acid) 9.08~13.62 중량%, 리놀레산(linoleic acid) 44.83~67.25 중량% 및 리놀렌산(linolenic acid) 6.93~10.39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래나무의 열매 추출물에 포함된 지방산 중에서 올레산(oleic acid, C18:1,ω9):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ω6): 리놀렌산(linolenic acid, C18:3, ω3)은 약 1.07: 4.92: 1의 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호두는 약 2.36: 6.63: 1의 비율, 동백나무는 약 851:29:1의 비율, 들깨는 약 0.29:0.18:1의 비율, 해바라기씨는 약 142.83: 601.33: 1의 비율을 가지고 있었다.
가래나무 열매와 호두 오일의 경우, 이들 오일에 함유된 지방산 중에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비율이 약 1~2.5: 4~8: 1였으나, 동백나무는 올레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해바라기씨는 리놀레산 비중이 현저히 높았고 들깨는 올레산과 리놀레산의 비중이 현저히 낮았다.
또한, 이들 오일 추출물을 이용하여 뇌경색 치료 효과를 확인한 결과,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을 1~2.5: 4~8: 1의 중량비를 포함하는 가래나무 열매의 오일 추출물과 호두의 오일 추출물에서 뇌경색 부피 감소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상기 오일 추출물 내에 주요 지방산으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을 1~2.5: 4~8: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이 1.25~1.35: 4.5~6.8: 1의 중량비로 추출물 내에 포함되는 것이,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호두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이 증진된다.
상기 호두 추출물은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호두의 오일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호두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가래나무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호두에 포함된 지방산 중에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비율이 1~5: 4-12: 1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25~4.5: 4.5~10: 1의 중량비를 가지는 경우 뇌졸중 치료 또는 예방 활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약학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고,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 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을 들 수 있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일 투여량은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가래나무",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분획물", "뇌졸중", "예방"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추출물은 중대뇌동맥 폐색 모델에서 뇌경색(infarction) 부피를 감소시키므로, 뇌세포 또는 뇌조직 등 뇌의 보호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상기 본 발명의 상기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뇌졸중 의심 또는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뇌졸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뇌졸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서 포함할 수 있는 필수 성분으로 상기 조성물 또는 그의 유효 성분인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 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 보조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있으며,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등), 스테비아 추출물(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등을 포함한다.
상기 건강기능(성)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식품은 뇌졸중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뇌졸중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가래나무",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분획물", "뇌졸중", "예방", "치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뇌졸중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상기 동물은 인간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상기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에 의해 뇌졸중이 예방되고 치료되는 개체는 제한없이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가래나무",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분획물", "뇌졸중", "예방", "치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험예 1. 다양한 오일 추출물 제조 및 지방산 성분 분석
1-1: 오일 추출물 준비
가래나무 열매, 호두, 동백나무, 들깨, 해바라기씨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래나무 열매(Juglans mandshurica),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 동백나무(C. japonica L.), 들깨, 해바라기씨 오일 추출물을 제조 또는 구매하였다. 가래나무의 열매는 45~92℃에서 2000 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오일 추출물을 제공하였다.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 해바라기씨(sunflower seed)는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2:1의 부피비(v/v)로 첨가하여 오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동백나무 오일도 압착하여 제조하였으며, 들께 오일은 시중에서 압착되어 판매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1-2. 지방산 성분 분석
실험예 1-1에서 준비된 가래나무 열매(Juglans mandshurica),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 동백나무(C. japonica L.), 들깨, 해바라기씨 오일 추출물을 동결건조 후 곱게 가루로 만들어 일정량의 시료를 테플론 캡(Teflon cap)이 있는 4㎖ vial에 넣었으며, 내부표준 물질로 펜타데칸산(Pentadecanoic acid) 0.5 mL(1mg/mL hexane)를 함께 첨가하였다. 이후, 메틸화혼합물(Methylation mixture)[MeOH : Benzen : DMP(2,2-Dimethoxy-propane) : H2SO4 = 39 : 20 : 5 : 2]를 2㎖, 헵테인(heptane) 1㎖을 넣어 흔든 후 80℃에서 2시간 추출하였다. 추출 후 상온 냉각하여 형성된 두 층 중 상층액을 일정량 분리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이들 오일 추출물의 지방산 분석은 Agilent Technologies 7890A gas chromatography(GC)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 기기를 이용하였고, column은 DB-23 capillary column(Agilent Technologies, 60 m Х 0.25 mm i.d., 0.25-μm film thickness)를 사용하였으며, carrier gas는 nitrogen(2.7㎖/min)을 사용하였다.
주입구 온도는 250℃ 검출기 온도는 280℃ 였으며, 주입구 시료 주입 비율을 10:1로 설정하였고, 검출기에서 불꽃이온을 위한 수소와 air의 속도는 분당 35㎖와 350㎖로 각각 설정하였다. 오븐 온도 프로그램은 초기 50℃에서 1분간 머문 후, 130℃까지 분당 25℃, 170℃까지 분당 8℃, 215℃까지 분당 1.5℃, 250℃ 까지 분당 5℃씩 증가시키고 5분간 유지시켰다.
분석된 결과는 37가지 지방산 표준품(Supelco 37 FAME Mix, Supelco, USA)을 이용하여 각각의 머무름 시간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표 1은 가래나무 열매(Juglans mandshurica),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 동백나무(C. japonica L.), 들깨, 해바라기씨 오일 추출물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지방산들에 대한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 Rt)을 측정하여 이들 오일 추출물의 지방산 조성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전체 지방산 조성(중량%) 가래나무열매 오일 호두 오일 동백나무 오일 들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C14:0 N.D. N.D. N.D. N.D. 0.08
팔미트산(Palmitic acid,C16:0) 2.71 6.33 8.90 5.66 6.14
C17:0 N.D. 0.10 N.D. N.D. 0.06
스테아르산(Stearic acid,C18:0) 0.81 1.90 2.40 1.90 3.83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C20:0) N.D. 0.07 N.D. 0.13 0.26
팔미톨레산(Palmitoeic acid,C16:1ω7) N.D. 0.05 N.D. N.D. 0.06
올레산(Oleic acid,C18:1ω9) 14.79 21.63 85.10 18.06 17.14
리놀레산(Linoleic acid,C18:2ω6) 67.68 60.62 2.90 11.32 72.16
리놀렌산,Linolenic acid(C18:3ω3) 13.76 9.15 0.10 62.29 0.12
C20:1 0.24 0.16 0.30 0.14 0.14
(N.D.는 "not detected"의 약자로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낸다.)이들 오일 추출물은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주요 지방산인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조성을 아래 표 2에 나타냈다.
전체 지방산 조성(중량 %) 가래나무열매 오일 호두
오일
동백나무 오일 들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팔미트산(Palmitic acid,C16:0) 2.71 6.33 8.90 5.66 6.14
스테아르산(Stearic acid,C18:0) 0.81 1.90 2.40 1.90 3.83
올레산(Oleic acid,C18:1ω9) 14.79 21.63 85.10 18.06 17.14
리놀레산(Linoleic acid,C18:2ω6) 67.68 60.62 2.90 11.32 72.16
리놀렌산,Linolenic acid(C18:3ω3) 13.76 9.15 0.10 62.29 0.12
또한, 이들 오일 추출물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5가지 지방산 중에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함유량이 높았으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비율을 표 3에 나타냈다. 가래나무의 열매는 올레산(oleic acid, C18:1,ω9):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ω6): 리놀렌산(linolenic acid, C18:3, ω3)은 약 1.07: 4.92: 1의 비율을 가지고 있었으며, 호두는 약 2.36: 6.63: 1의 비율, 동백나무는 약 851:29:1의 비율, 들깨는 약 0.29:0.18:1의 비율, 해바라기씨는 약 142.83: 601.33: 1의 비율을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가래나무 열매와 호두 오일 추출물은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비율이 약 1~2.5:4.5~6.8:1의 비율을 보유하고 있었다.
오메가 지방산 조성(중량 %) 가래나무열매 오일 호두 오일 동백나무
오일
들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올레산(Oleic acid,C18:1ω9) 14.79 21.63 85.10 18.06 17.14
리놀레산(Linoleic acid,C18:2ω6) 67.68 60.62 2.90 11.32 72.16
리놀렌산,Linolenic acid(C18:3ω3) 13.76 9.15 0.10 62.29 0.12
오매가 지방산 중량비 가래나무열매 오일 호두 오일 동백나무
오일
들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올레산(Oleic acid,C18:1ω9) 1.07 2.36 851.00 0.29 142.83
리놀레산(Linoleic acid,C18:2ω6) 4.92 6.63 29.00 0.18 601.33
리놀렌산,Linolenic acid(C18:3ω3)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2. 다양한 오일 추출물의 뇌졸중 치료 효과 비교
실험예 1에서 제조한 가래나무 열매(Juglans mandshurica),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 동백나무(C. japonica L.), 들깨, 해바라기씨 오일 추출물의 뇌졸중 치료효과를 확인하고자 중대뇌동맥 폐색에 의한 뇌 허혈 실험 모델((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을 제조하고 경색 부피 감소를 확인하였다.
2-1.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로 25g 이하의 11주령 C57BL/6 (DBL, 대한민국) 수컷 생쥐를 구입하 여 1주일 정도 적응 기간을 준 후,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 급하면서 실험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2-2.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동물모델의 제작
국소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를 손상시키기 위하여, 응용된 혈관 내 필라멘트 삽입법(intraluminal suture method)을 수행하였다(Zea Longa, et al., Stroke, 20:84-91, 1989). 구체적으로 준비한 생쥐(C57BL/6, 수컷 12 ~ 13주령)를 2% 이소플루레인(isoflurane)으로 흡입마취를 시켰다(70% N2O 30% O2). 이후, Laser Doppler를 통해 뇌 혈류를 모니터링하면서 목 전방 중앙 부위 피부를 절개하고 좌측 경동맥(common right carotid artery, CCA)과 외경 동맥(external carotid artery, ECA)을 분리하면서 최종적으로 실리콘 코팅된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중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 MCA)를 막고 1시간 폐색 시킨 다음, 1시간 후 필라멘트를 제거하여 재관류(reperfusion)를 유도하였다. 이 후, 생쥐의 체온은 37± 0.5℃가 되도록 유지하였다.
2-3.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 경구 투여
재관류 직후 실험예 1에서 제조한 가래나무 열매(Juglans mandshurica),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 동백나무(C. japonica L.), 들깨, 해바라기씨 오일 추출물을 1,000mg/kg의 농도로 생쥐 체중 25g당 50~100㎕ 부피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은 같은 부피의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2-4. 경색 부위 확인
재관류 24시간 후, 생쥐를 안락사로 희생시키고, PBS 완충 용액을 이용하여 심장으로 재관류하여 혈액을 제거하고 뇌를 적출하여 뇌의 전두극(frontal pole)으로부터 2mm 절편으로 만들었다. 상기 절편을 2% TTC(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용액에 넣고, 실온에서 20분 동안 염색을 진행한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 용액으로 고정하고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후, Image J 프로그램으로 경색 부피를 측정하였다.
도 1은 가래나무 열매(Juglans mandshurica),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 동백나무(C. japonica L.), 들깨, 해바라기씨 오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그룹의 뇌조직에서 뇌경색 부피를 비교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가래나무 열매(Juglans mandshurica),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 동백나무(C. japonica L.), 들깨, 해바라기씨 오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뇌경색 부피를 측정하여 정량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Stroke 그룹은 중대뇌동맥을 폐쇄시켜 뇌졸중을 유발시킨 그룹, JM 그룹은 중대뇌동맥을 폐쇄시켜 뇌졸중을 유발한 후 가래나무 열매의 오일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 JS 그룹은 중대뇌동맥을 폐쇄시켜 뇌졸중을 유발한 후 호두(Juglans sinensis, walnut)의 오일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 CJ 그룹은 중대뇌동맥을 폐쇄시켜 뇌졸중을 유발한 후 동백나무(C. japonica L.) 오일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 PF(Perilla oil) 그룹은 중대뇌동맥을 폐쇄시켜 뇌졸중을 유발한 후 들깨의 압착 오일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 HA 그룹은 중대뇌동맥을 폐쇄시켜 뇌졸중을 유발한 후 해바라기씨 오일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을 의미한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뇌졸중 유발 그룹군(Stroke)은 뇌경색이 발생하여 흰색으로 보이는 경색 영역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가래나무 열매의 오일 추출물과 호두 오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경색 부피가 현저히 감소되어 손상되지 않은 빨간색 영역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백나무(C. japonica L.) 오일 추출물의 경우도 뇌경색 부피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들깨 오일 추출물과 해바라기씨 오일 추출물의 경우 뇌경색 부피 감소 효과가 거의 없었다.
실험예 1에서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가래나무의 열매에 함유된 지방산 조성 중 올레산(oleic acid, C18:1,ω9):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ω6): 리놀렌산(linolenic acid, C18:3, ω3)이 약 1.07: 4.92: 1의 비율을 가지고 있었으며, 호두는 2.36: 6.63: 1의 비율, 동백나무는 851:29:1의 비율, 들깨는 0.29:0.18:1의 비율, 해바라기씨는 142.83: 601.33: 1의 비율을 가지고 있었다. 가래나무 열매와 호두의 경우 리놀렌산(ω3) 기준으로 올레산(ω9)과 리놀레산(ω6)이 1~2.5:4.5~6.8의 비율인 것에 비해, 동백나무는 올레산(ω9)과 리놀레산(ω6)이 851:29의 비율로 올레산 비중이 현저히 높았다. 또한, 해바라기씨는 142.83: 601.33로 리놀레산 비중이 현저히 높았으며, 들깨는 0.29:0.18로 올레산과 리놀레산의 비중이 현저히 낮았다. 따라서, 식물체의 오일에 함유된 지방산 조성 중에서 올레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의 비율이 1~2.5:4.5~6.8:1의 비율(중량비)인 경우, 뇌경색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 제조 및 지방산 성분 분석
3-1.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 제조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는 시중에 유통하는 가래나무 열매를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구입한 가래나무 열매를 물에 깨끗이 세척한 후 충분하게 건조시키고 실험예 1-1에 비해 낮은 온도 조건인 25℃에서 2000 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천연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얻었다.
3-2.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의 성분 분석
3-1에서 제조된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예 1-2에서 사용한 지방산 성분 분석 방법과 동일하게 지방산 성분을 분석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지방산들에 대한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 Rt)은 팔미트산(Rt 13.791), 스테아르산(Rt 17.516), 올레산(Rt 18.668), 리놀레산(Rt 19.225), 및 리놀렌산(Rt 20.598)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2에서 제조된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표 4와 같다.
지방산 (Fatty acid) 조성 함량 (중량%)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2.48±0.01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0.66±0.01
올레산(Oleic acid) C18:1ω9 11.35±0.03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 ω6 56.04±0.09
리놀렌산(Linolenic acid) C18:3 ω3 8.66±0.02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이 다양한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올레산(oleic acid, C18:1,ω9):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ω6): 리놀렌산(linolenic acid, C18:3, ω3)의 비율은 약 1.31: 6.47: 1의 비율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실험예 1에서 헥산을 이용한 추출방법과 지방산 함량은 차이가 있었으나, 올레산:리놀레산:리놀렌산의 비율은 1~2.5:4.5~6.8:1의 비율 안에 포함되었다. 실험예 1-1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압착하여 가래나무 열매의 오일 추출물을 제조한 경우, 리놀렌산에 비해, 올레산과 리놀레산의 비율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뇌졸중 치료 효과 분석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중대뇌동맥 폐색에 의한 뇌 허혈 실험 모델((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을 제조하였으며, 재관류 직후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1,000mg/kg의 농도로 생쥐 체중 25g당 50 ~ 100㎕ 부피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뇌경색 부피 감소 및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4는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그룹의 뇌조직에서 뇌경색 부피를 비교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뇌경색 부피를 측정하여 정량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Sham 그룹은 음성대조군으로 중대뇌동맥을 폐쇄시키지 않은 그룹이고, Stroke 그룹은 중대뇌동맥을 폐쇄시켜 뇌졸중을 유발시킨 그룹, S+JM 그룹은 중대뇌동맥을 폐쇄시켜 뇌졸중을 유발한 후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을 의미한다.
그 결과, 도 4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Sham 그룹(음성 대조군)은 뇌졸중 수술을 진행하였으나, 실제로 중대뇌동맥을 폐색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뇌경색이 발생되지 않아 조직 절편이 빨간색 영역으로 나타났고, 뇌졸중 유발 그룹(Stroke)은 뇌경색이 발생하여 흰색으로 보이는 경색 영역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뇌경색을 유발한 후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빨간색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회복되어 뇌경색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뇌졸중 유발 그룹(Stroke)은 평균 60mm3 이상의 경색 부피를 나타냈다. 반면,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S+JM)에 서는 10mm3 이하의 경색 부피를 나타내어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 투여에 의해 뇌졸중이 현저히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도 4에서 나타난 각 그룹의 마우스의 뇌경색 조직 1-5 절편의 경색(infarct) 부피 변화를 정량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이미지 사진과 이의 정량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 6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뇌졸중 유발 그룹(Stroke)에서 2, 3번 절편의 조직 손상이 크게 나타났다. 1, 4번 절편은 뇌경색 손상 코어에서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서 조직 손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S+JM)에서 조직 손상이 심하였던 2, 3 번에서도 조직 손상이 크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가래나무의 열매 추출물이 뇌졸중을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호두의 압착 추출물 제조 및 지방산 성분 분석
시중에서 구매한 다양한 종류의 호두의 압착 추출물을 제조하고 지방산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호두 오일 압착 추출물은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주요 지방산인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호두 종류에 따라,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비중이 상이하였으며, 0.5~3: 0.5~8: 1 비율로 호두 종류에 따라 지방산 비율이 상이하였다.
실험예 6. 뇌졸중 치료 효과 분석
실험예 5에서 제조한 호두 오일 압착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예 4와 동일하게 중대뇌동맥 폐색에 의한 뇌 허혈 실험 모델((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을 제조하고 뇌경색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호두 오일에 함유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비율이 1~5: 4-12: 1의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뇌경색 부피 감소 효과가 거의 없었다. 특히, 호두 오일에 함유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비율이 1.25~4.5: 4.5~10: 1의 중량비를 가지는 경우 뇌경색 부피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추출물은 15~100℃의 온도에서 10~4000 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추출한 것인,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의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인,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호두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을 1~2.5: 4~8: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을 1.25~1.35: 4.5~6.8: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래나무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은,
    팔미트산 1.98~2.98 중량%, 스테아르산 0.53~0.79 중량%, 올레산 9.08~13.62 중량%, 리놀레산 44.83~67.25 중량% 및 리놀렌산 6.93~10.39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졸중은 허혈성 뇌졸중인 것인,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인 것인,
    뇌졸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2.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열매의 압착 추출물,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
PCT/KR2021/011456 2020-08-26 2021-08-26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204580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7782 2020-08-26
KR10-2020-0107782 2020-08-26
KR1020210113156A KR20220027040A (ko) 2020-08-26 2021-08-26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113156 2021-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5802A1 true WO2022045802A1 (ko) 2022-03-03

Family

ID=8035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1456 WO2022045802A1 (ko) 2020-08-26 2021-08-26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04580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3721A (zh) * 2011-12-27 2013-07-03 东北林业大学 一种东北山核桃楸种仁蛋白质提取的工艺条件
CN103845396A (zh) * 2014-03-05 2014-06-11 浙江大学 山核桃甾醇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5028695A (zh) * 2015-06-20 2015-11-11 安庆市孝柱食品科技有限公司 益智补脑核桃油
KR20200120884A (ko) * 2019-04-12 2020-10-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래나무 추출물, 분획물 또는 그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및 분해 효과를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3721A (zh) * 2011-12-27 2013-07-03 东北林业大学 一种东北山核桃楸种仁蛋白质提取的工艺条件
CN103845396A (zh) * 2014-03-05 2014-06-11 浙江大学 山核桃甾醇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5028695A (zh) * 2015-06-20 2015-11-11 安庆市孝柱食品科技有限公司 益智补脑核桃油
KR20200120884A (ko) * 2019-04-12 2020-10-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래나무 추출물, 분획물 또는 그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및 분해 효과를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SO HIROYASU, SATO SHINICHI, UMEMURA UTAKO, KUDO MINAKO, KOIKE KAZUKO, KITAMURA AKIHIKO, IMANO HIRONORI, OKAMURA TOMONORI, NAITO Y: "Linoleic Acid, Other Fatty Acids, and the Risk of Stroke", STROK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US, vol. 33, no. 8, 1 August 2002 (2002-08-01), US , pages 2086 - 2093, XP055903376, ISSN: 0039-2499, DOI: 10.1161/01.STR.0000023890.25066.5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58926A2 (ko)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0246777A1 (ko) 이리도이드 고함유 노니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제조방법, 면역증진 활성물질 고함유 노니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노니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용도
WO2015002391A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WO2018174448A1 (ko) 백출, 상심자, 구기자, 용안육, 우슬, 두충 및 천문동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8088862A1 (ko) 팥꽃나무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1215598A1 (ko) 뇌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6032249A1 (ko) 모새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0036052A2 (ko)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4084616A1 (ko) 고사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7183902A1 (ko)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41581A1 (ko)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WO2018164325A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WO2022045802A1 (ko)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9124854A1 (ko)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66425A1 (ko) 생강 유래 세포외 소포체 및 이의 용도
KR20220027040A (ko) 가래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8190638A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98568A2 (ko)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70999A1 (ko)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42044A1 (ko) 히비스커스, 로즈마리, 및 포도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
WO2022216107A1 (ko) 담팔수 추출물 또는 이의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WO2017095011A1 (ko) 난독성 보호 활성을 갖는 오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기난소부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1132831A1 (ko) 글루타민의 우울증 예방,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용도
WO2023022244A1 (ko) 간 보호용 또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3182757A1 (ko)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20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20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