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45515A1 -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45515A1
WO2022045515A1 PCT/KR2021/004114 KR2021004114W WO2022045515A1 WO 2022045515 A1 WO2022045515 A1 WO 2022045515A1 KR 2021004114 W KR2021004114 W KR 2021004114W WO 2022045515 A1 WO2022045515 A1 WO 20220455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acuum
air
collection box
collection
ai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41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일환
강인선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20455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455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01N2001/248Evacuated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시예들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는 악취를 포함하는 외기(外氣)를 포집하기 위해 마련되는 포집백 및 상기 포집백의 한계 팽창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한 포집박스; 상기 포집박스의 진공도를 높여 상기 포집백이 외기를 기설정된 시간 내에 포집하도록 포집 속도를 높여주는 복수의 진공탱크를 구비한 보조 압력부; 상기 포집박스의 압력상태 및 상기 복수의 진공탱크의 진공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에어펌프; 상기 포집박스와 상기 진공탱크 간에 형성된 유로 상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진공탱크로의 공기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하는 복수의 진공밸브, 상기 포집박스와 상기 에어펌프 간에 형성된 유로 상 위치하여 상기 에어펌프에서 상기 포집박스로의 공기 흐름을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밸브 및 상기 에어펌프의 공기 흐름의 방향을 변경하는 선택밸브를 구비한 밸브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포집백의 팽창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포집백의 팽창 정도를 제어하고, 외기 가스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진공밸브, 상기 복수의 개폐밸브 및 상기 선택밸브 및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으로써, 대기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도 진공도를 높여 순간적으로 악취를 포집할 수 있고, 악취 포집량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포집백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본 발명은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기상조건에서 특정순간에 악취를 포집하기 위해 진공이 걸린 진공탱크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악취 포집이 가능한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무인악취 포집기 방식의 경우 우측의 공개특허 내용과 같이 포집 박스(하이 박스 : 500 * 400 * 200)을 이용하여 9 ~ 10L/M의 버큠 펌프를 포집 박스에 직접적으로 진공을 하여 대기 중에 있는 악취 물질을 5분 이내에 포집하는 방식을 채택을 하고 있다.
이는 대기의 유속이 빠를 경우 펌프에서 흡입할수 있는 진공압이 낮아 악취를 포집힐수 있는 양이 떨어지거나 흡입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포집백의 포집량을 제어하기 위해 디지털 및 아날로그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ADC 기능을 사용 전압값을 기준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기존 무인악취 포집기 사용되는 하이 박스 (500 * 400 * 200)의 경우 정압 및 공진량이 2 ~ 3Kpa 정도로 실제 제어 값으로 환산을 하면 DC 10 ~ 50(mV)로 제어 할수 있는 전압값이 작은 편이다.
실제 9 ~ 10L/M의 버큠 펌프 구동시 DC 브러쉬에서 발생되는 NOISE가 측정하려는 ADC 값에 전이가 되면 정확한 제어가 힘들다.
이로 인해 단순히 펌프 동작 여부로 밖에 판단을 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센서류들이 상온 25도 조건에서 정상적으로 동작은 하나 실제 영하권으로 떨어질 경우 필드에서 값을 읽을 수 없거나 30%이상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포집백 포집량을 정확하게 제어 할수 없어 포집백이 터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기존 흡입 밸브의 경우 밸브 내경이 2.5Φ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9 ~ 10L/M의 버큠 펌프로 진공을 가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할 경우 내경이 작아 유량을 많이 가져오지 못하여 포집 속도에 더욱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도 진공도를 높여 순간적으로 악취를 포집이 가능한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취 포집량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포집백의 터짐이 방지 가능한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시예들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는 악취를 포함하는 외기(外氣)를 포집하기 위해 마련되는 포집백 및 상기 포집백의 한계 팽창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한 포집박스; 상기 포집박스의 진공도를 높여 상기 포집백이 외기를 기설정된 시간 내에 포집하도록 포집 속도를 높여주는 복수의 진공탱크를 구비한 보조 압력부; 상기 포집박스의 압력상태 및 상기 복수의 진공탱크의 진공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에어펌프; 상기 포집박스와 상기 진공탱크 간에 형성된 유로 상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진공탱크로의 공기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하는 복수의 진공밸브, 상기 포집박스와 상기 에어펌프 간에 형성된 유로 상 위치하여 상기 에어펌프에서 상기 포집박스로의 공기 흐름을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밸브 및 상기 에어펌프의 공기 흐름의 방향을 변경하는 선택밸브를 구비한 밸브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포집백의 팽창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포집백의 팽창 정도를 제어하고, 외기 가스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진공밸브, 상기 복수의 개폐밸브 및 상기 선택밸브 및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포집백의 팽창을 전(全) 방향에서 감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홀이 형성된 센서 하우징과 상기 홀을 통하여 일측이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로 비고정 연장 형성되는 팽창터치부와 상기 팽창터치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포집박스의 6면 중 장면적을 갖는 일면의 내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진공탱크는 각각 동일한 용량을 갖는 제1 진공탱크 및 제2 진공탱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진공탱크는 상기 포집박스와는 제1 유로, 상기 에어펌프와는 제2 유로로 연통하고, 상기 제2 진공탱크는 상기 포집박스와는 제3 유로, 상기 에어펌프와는 제4 유로로 연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2 진공탱크가 진공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제1, 제2 유로 상에 각각 위치한 제1, 제2 진공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3, 제4 유로 상에 각각 위치한 제3, 제4 진공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포집박스와 상기 에어펌프 간의 유로에 형성된 제1 개폐밸브를 통해 흡기하고, 상기 에어펌프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유로에 형성된 제2 개폐밸브를 통해 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포집박스가 기설정된 속도 이내로 상기 외기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제2 진공탱크가 기설정된 한계값으로 진공되도록 상기 에어펌프를 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는 대기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도 진공도를 높여 순간적으로 악취를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는 악취 포집량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포집백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1의 악취 포집 장치의 상세도로서, 포집박스의 공기가 제1,제2 진공탱크로 배출되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도1의 악취 포집 장치의 상세도로서,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포집박스에 공기를 주입하여 가압하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도1의 악취 포집 장치의 상세도로서,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포집박스의 공기를 배출하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의 포집박스, 포집백, 센서부 및 제1, 제2 진공탱크의 실물사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의 포집박스에 설치된 흡입밸브 및 센서부의 실물사진이고, 도 6(B) 및 (C)는 센서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에서 포집백의 팽창 상태 및 수축 상태에서의 구성요소의 상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에서 보조 압력부의 진공 상태 및 포집박스의 순간포집 상태에서의 구성요소의 상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1의 악취 포집 장치의 상세도로서, 도 2는 포집박스의 공기가 제1,제2 진공탱크로 배출되는 상태도이고, 도 3은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포집박스에 공기를 주입하여 가압하는 상태도이고, 도 4는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포집박스의 공기를 배출하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의 포집박스, 포집백, 센서부 및 제1, 제2 진공탱크의 실물사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의 포집박스에 설치된 흡입밸브 및 센서부의 실물사진이고, 도 6(B) 및 (C)는 센서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에서 포집백의 팽창 상태 및 수축 상태에서의 구성요소의 상태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듀얼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에서 보조 압력부의 진공 상태 및 포집박스의 순간포집 상태에서의 구성요소의 상태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100)는 포집백(111), 흡입밸브(112), 센서부(113)를 구비한 포집박스(110), 제1 진공탱크(121) 및 제2 진공탱크(122)를 구비한 보조 압력부(120), 에어펌프(130)를 포함한다. 포집박스(110)와 제1 진공탱크(121) 및 제2 진공탱크(122)의 각각은 제1 진공밸브(141)가 구비된 제1 진공연결관(151) 및 제2 진공밸브(142)가 구비된 제2 진공연결관(152)과 연통된다. 에어펌프(130)와 제1 진공탱크(121) 및 제2 진공탱크(122)의 각각은 제3 진공밸브(143)가 구비된 제3 진공연결관(153) 및 제4 진공밸브(144)가 구비된 제4 진공연결관(154)과 연통된다.
포집박스(110)는 악취를 포함하는 외기(外氣)를 흡입밸브(112)를 통하여 포집하기 위해 마련되는 포집백(111)과 포집백(111)의 한계 팽창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113)를 구비한다.
보조 압력부(120)는 포집박스(110)의 진공도를 높여 상기 포집백이 외기를 기설정된 시간 내에 포집하도록 포집 속도를 높여주는 제1, 제2 진공탱크(121,122)를 구비한다.
에어펌프(130)는 제어신호에 따라 포집박스(110)의 압력상태 및 제1, 제2 진공탱크(121,122)의 진공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포집박스(110)로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한다. 제1 및 제3 진공밸브(141, 143)의 각각은 포집박스(110)와 제1 진공탱크(121,122) 간에 형성된 제1 진공연결관(151) 및 제3 진공연결관(153) 상에 위치하고, 제2 및 제4 진공밸브(142, 144)의 각각은 제1 진공탱크(121,122)와 에어펌프(30) 간에 형성된 제2 진공연결관(152) 및 제4 진공연결관(154) 상에 위치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제2 진공탱크(121,122)로의 공기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한다.
제1, 제2 개폐밸브(145, 146)의 각각은 포집박스(110)와 에어펌프(130) 간에 형성된 제1 압축공기연결관(155) 및 에어펌프(130) 및 필터부(170) 간에 형성된 제2 압축공기연결관(156) 상 위치하여 에어펌프(130)에서 포집박스(110)로의 공기 흐름을 개폐한다. 여기서, 필터부(170)는 에어필터(171) 및 먼지필터(172)로 구성된다. 선택밸브(147)는 개폐 방향을 달리할 수 있는 3포트 유니버셜 3-way 밸브이며,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펌프(130)의 공기 흐름의 방향을 변경한다.
제어부(160)는 센서부(113)로부터 포집백(111)의 팽창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포집백(111)의 팽창 정도를 제어하고, 포집백(111)이 악취를 순간포집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진공밸브(141,142,143,144), 복수의 개폐밸브(145,146), 선택밸브(147) 및 에어펌프(130) 등의 악취 포집 장치(100)를 구성하는 제어 가능한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제2 진공탱크(121, 122)가 진공 상태인 경우 제어부(160)는 제1, 제3 진공밸브(141, 143)가 개방되면 제1, 제3 진공연결관을 통하여 포집박스(110)의 공기가 진공상태인 제1,제2 진공탱크(121, 122)로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어부(160)는 제1 개폐밸브(145)를 폐쇄하고, 제2 개폐밸브(146)를 개방하고, 선택밸브(147)의 유로를 변경하여, 에어펌프(130)가 제1, 제3 압축공기연결관(155, 157)을 통하여 포집박스(110)에 공기를 주입하여 포집박스(110)를 가압하도록 제어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어부(160)는 제1 개폐밸브(145)를 개방하고, 제2 개폐밸브(146)를 폐쇄하고, 선택밸브(147)의 유로를 변경하여 에어펌프(130)가 에어펌프(130)가 제1, 제3 압축공기연결관(155, 157)을 통하여 포집박스(110)의 공기를 배출하록 제어한다.
도 5와 도 6(B) 및 (C)를 참조하면, 센서부(113)는 포집백(111)의 팽창을 전(全) 방향에서 감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홀이 형성된 센서 하우징(114)과 상기 홀을 통하여 일측이 센서 하우징(114) 내부로 비고정 연장 형성되어 있는 팽창터치부(115)와 상기 팽창터치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16)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부(113)는 포집박스(110)의 6면 중 장면적을 갖는 일면의 내변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압력부(120)는 각각 동일한 용량을 갖는 제1 진공탱크(121) 및 제2 진공탱크(122)로 구성되고, 제1 진공탱크(121)는 포집박스(110)와는 제1 진공연결관(151)으로, 에어펌프(130)와는 제2 진공연결관(152)으로 연통되고, 제2 진공탱크(122)는 포집박스(110)와는 제3 진공연결관(153)으로, 에어펌프(130)와는 제4 진공연결관(154)으로 연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60)는 제1, 제2 진공탱크(121,122)가 진공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진공연결관(151, 152) 상에 각각 위치한 제1 및 제2 진공밸브(141, 142)를 개방하고, 제3 및 제4 진공연결관(153, 154) 상에 각각 위치한 제3 및 제4 진공밸브(143, 144)를 폐쇄하고, 포집박스(110)와 에어펌프(130) 간에 형성된 제1 압축공기연결관(155) 상에 위치한 제1 개폐밸브(145)를 통해 흡기하고, 에어펌프(13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유로인 제2 압축공기연결관 상에 위치한 제2 개폐밸브(146)를 통해 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60)는 포집박스(110)가 기설정된 속도 이내로 상기 외기를 포집하기 위하여 제1, 제2 진공탱크(121,122)가 기설정된 한계값으로 진공되도록 에어펌프(130)를 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제2, 제3, 제4 진공밸브(141, 142, 143, 144)는 2포토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제1, 제2 개폐밸브(145, 146)도 포토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제어부(160)는 포집박스(110)가 에어펌프(130)에 의해 진공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데, 이를 위해 에어펌프(130)는 제1, 제2, 제3, 제4 진공연결관(151, 152, 153, 154) 및 제1, 제2 압축공기연결관(155, 156)을 통해 포집박스(110)과 연결되어 포집박스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 제2 압축공기연결관(155, 156)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포집박스(110)를 진공으로 유지되게 한다.
본 제안된 발명에 따른 악취 포집 장치(100)에 있어서, 포집박스(110)는 500 * 400 * 200의 사이즈로 형성되며, 에어펌프(130)는 18L/M의 용량을 갖는다. 500 * 200 사이즈의 진공탱크(121, 122)에 간접적으로 진공을 하여 진공압을 -65KPa을 유지하고 있다가 제어신호에 따라 포집대상인 악취를 10s 이내에 순간포집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포집박스(110)의 내부 채적은 40,000CM3이므로, 대기중에 있는 악취의 순간 포집을 위하여 유속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진공탱크(121, 122)의 채적(1대당 13,602CM3 * 2=27,205CM3)을 줄이고 진공압을 -65KPa로 진공압을 가하여 초기 포집백(111)의 유속을 강화 하였다.
포집박스(110)의 진공도를 높여 순간적인 유속을 빠르게 하기 위해 개당 체적이 13,602CM3인 진공탱크(121,122)를 개별로 동작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체적이 27,205CM3인 한 개의 진공탱크 일 때 보다 약 5(s) 이상 시간을 앞당길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흡입 속도를 추가로 개선하기 위하여 흡입밸브(112)의 내경을 2.5Φ에서 3.5Φ로 확장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약 2(s) 정도의 흡입 속도를 개선하였다.
순간포집 방식에 있어서 디지털 및 아날로그 압력센서를 사용할 경우 겨울 및 여름철의 경우 센서의 민감도로 인하여 포집백이 순간적으로 부풀 경우 센서의 편차로 인하여 정지에 대한 제어 타이밍을 놓칠 경우 포집백이 압력으로 인하여 짖어 지거나 터지는 경우가 발생을 한다.
도 6(A)를 참조하시면,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제안된 발명에 따른 악취 포집 장치(100)에서는 포집백(111)이 부풀었을 경우 제어 할수 있는 보조 제어 장치인 센서부(113)를 별도로 포집박스(110)의 측면 중앙부에 설치하였다.
도 6(B) 및 (C)를 참조하시면, 센서부(113)는 포집백(111)이 부풀어 오를 경우 어느 방향에서도 동작을 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으며, 이 보조 제어 장치가 포집백(111)의 부풀어 오름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을 할 경우, 제어부(160)는 진공탱크(121,122)에서 포집박스(110) 간의 유로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밸브인 제1 및 제2 진공밸브(151,153)를 잠그도록 제어하고, 제1 및 제2 개폐밸브(145, 146)가 열리도록 제어하여 포집박스(110)에 있는 일정부분의 진공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여 준다. 이로 인하여 포집백이 터지는 문제를 개선하였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포집백(111)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제어부(160)는 제1, 제2, 제3, 제4 진공밸브(141,142,143,144) 및 제2 개폐밸브(146)를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제1 개폐밸브(145)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60)는 에어펌프(130)가 포집박스(110)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도록 제어함으로서, 포집박스(110)의 내부를 수축시켜 포집백(111)이 플로어메타(181)를 통하여 외기를 흡기한다.
포집백(111)을 수축 시키기 위하여, 제어부(160)는 제1, 제2, 제3, 제4 진공밸브(141,142,143,144) 및 제2 개폐밸브(146)를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제1 개폐밸브(145)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60)는 에어펌프(130)가 포집박스(110)로 공기를 배기하도록 제어함으로서, 포집박스(110)의 내부를 팽창시켜 플로어 메타(181)를 통하여 포집백(111)의 내기를 배기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보조 압력부(120)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제어부(160)는 제1, 제3 진공밸브(141, 143)를 폐쇄하고, 제2, 제4 진공밸브(142, 144) 및 제1 개폐밸브(145)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60)는 에어펌프(130)를 기동하여 포집박스(110)의 일측 내면에 탑재된 센서부(113)가 포집백(111)의 한계 팽창여부를 감지할때 까지 포집박스(110)의 내기를 흡기하여 진공시키고, 제2, 제4 진공밸브(142, 144)를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보조 압력부(120)의 진공상태에서, 포집박스(110)가 외기를 순간 포집하기 위하여, 제어부(160)는 제1, 제3 진공밸브(141, 143)를 개방하고, 제2, 제4 진공밸브(142, 144)의 폐쇄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는 제2 개폐밸브(146)를 개방하고, 센서부(113)가 포집백(111)의 한계 팽창여부를 감지할 때까지 포집박스(110)의 내기를 흡기하여 진공시키도록 에어펌프(130)의 기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100)는 2개의 진공탱크(121, 122)로 구성된 보조 압력부(120)를 구비하여 대기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도 진공도를 높여 순간적으로 악취를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포집장치(100)는 포집박스(110) 내의 센서부(113)를 구비함으로써, 악취 포집량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포집백(111)이 터짐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기상조건에서도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순간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악취 포집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어 악취 포집 장치 산업에 이용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

Claims (6)

  1. 악취를 포함하는 외기(外氣)를 포집하기 위해 마련되는 포집백 및 상기 포집백의 한계 팽창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한 포집박스;
    상기 포집박스의 진공도를 높여 상기 포집백이 외기를 기설정된 시간 내에 포집하도록 포집 속도를 높여주는 복수의 진공탱크를 구비한 보조 압력부;
    상기 포집박스의 압력상태 및 상기 복수의 진공탱크의 진공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에어펌프;
    상기 포집박스와 상기 진공탱크 간에 형성된 유로 상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진공탱크로의 공기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하는 복수의 진공밸브, 상기 포집박스와 상기 에어펌프 간에 형성된 유로 상 위치하여 상기 에어펌프에서 상기 포집박스로의 공기 흐름을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밸브 및 상기 에어펌프의 공기 흐름의 방향을 변경하는 선택밸브를 구비한 밸브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포집백의 팽창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포집백의 팽창 정도를 제어하고, 외기 가스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진공밸브, 상기 복수의 개폐밸브 및 상기 선택밸브 및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상기 포집백의 팽창을 전(全) 방향에서 감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홀이 형성된 센서 하우징과 상기 홀을 통하여 일측이 상기 하센서하우징 내부로 비고정 연장 형성되어 있는 팽창터치부와 상기 팽창터치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포집박스의 6면 중 장면적을 갖는 일면의 내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공탱크는 각각 동일한 용량을 갖는 제1 진공탱크 및 제2 진공탱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진공탱크는 상기 포집박스와는 제1 유로, 상기 에어펌프와는 제2 유로로 연통하고,
    상기 제2 진공탱크는 상기 포집박스와는 제3 유로, 상기 에어펌프와는 제4 유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2 진공탱크가 진공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제1, 제2 유로 상에 각각 위치한 제1, 제2 진공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3, 제4 유로 상에 각각 위치한 제3, 제4 진공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포집박스와 상기 에어펌프 간의 유로에 형성된 제1 개폐밸브를 통해 흡기하고, 상기 에어펌프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유로에 형성된 제2 개폐밸브를 통해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집박스가 기설정된 속도 이내로 상기 외기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제2 진공탱크가 기설정된 한계값으로 진공되도록 상기 에어펌프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PCT/KR2021/004114 2020-08-31 2021-04-02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WO202204551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958A KR102230758B1 (ko) 2020-08-31 2020-08-31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KR10-2020-0109958 2020-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5515A1 true WO2022045515A1 (ko) 2022-03-03

Family

ID=7526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4114 WO2022045515A1 (ko) 2020-08-31 2021-04-02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0758B1 (ko)
WO (1) WO2022045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758B1 (ko) * 2020-08-31 2021-03-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920B1 (ko) * 2007-04-13 2008-01-21 (주) 에이스엔 대기 중 악취 및 voc 시료 무인 자동 포집 장치
JP2010091277A (ja) * 2008-10-03 2010-04-22 Ebara Corp ガスの採取方法及び装置
KR20130043942A (ko) * 2011-10-21 2013-05-02 (주) 에이스엔 대기 중 악취 및 voc 시료 무인 자동 포집 장치
KR101329253B1 (ko) * 2012-08-10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테스트장치
KR20200067433A (ko) * 2018-12-04 2020-06-12 영진기술 주식회사 이동식 악취 시료 판정 장치
KR102230758B1 (ko) * 2020-08-31 2021-03-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920B1 (ko) * 2007-04-13 2008-01-21 (주) 에이스엔 대기 중 악취 및 voc 시료 무인 자동 포집 장치
JP2010091277A (ja) * 2008-10-03 2010-04-22 Ebara Corp ガスの採取方法及び装置
KR20130043942A (ko) * 2011-10-21 2013-05-02 (주) 에이스엔 대기 중 악취 및 voc 시료 무인 자동 포집 장치
KR101329253B1 (ko) * 2012-08-10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테스트장치
KR20200067433A (ko) * 2018-12-04 2020-06-12 영진기술 주식회사 이동식 악취 시료 판정 장치
KR102230758B1 (ko) * 2020-08-31 2021-03-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758B1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45515A1 (ko) 진공탱크를 구비한 악취 포집 장치
EP0127596B1 (en) Garbage container to be emptied with the aid of vacuum
CN206177653U (zh) 肺式采样器
CN209340158U (zh) 具有防错功能的水泵气密性检测装置
JP3961677B2 (ja) 内視鏡滅菌用オートクレーブ装置
CN106836094B (zh) 扫路车垃圾箱装置、扫路车垃圾处理装置和扫路车
JPH04283639A (ja) トレーサガス漏れ検出装置
KR102299153B1 (ko) 악취포집기의 포집백 자동 세척장치
CN113074995A (zh) 一种嵌入式污染监测数据采集器及其使用方法
CN208206592U (zh) 一种多路自动采样留样装置
CN219383272U (zh) 一种hiv检测试纸用收纳装置
CN218674419U (zh) 一种矿山安全生产检测用应急大气颗粒物采样装置
JPH04268430A (ja) 漏れ検出装置
CN113371212B (zh) 一种大气污染防治用无人机
WO2022045625A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진공 흡착 시스템
JPH083364Y2 (ja) 塵芥貯留容器
CN215400820U (zh) 一种多孔内桶及垃圾桶
CN219841772U (zh) 一种真空鼓风干燥管路系统
CN208268779U (zh) 一种在防爆环境下使用的低压充气检测装置
CN209689844U (zh) 一种具有dop检测的高效送风口
CN213096032U (zh) 一种果蔬干燥设备的排湿装置
CN216695759U (zh) 一种空气样本采集装置
JPS5916363Y2 (ja) 吸引巾可変サクシヨン・ドラム
CN216888352U (zh) 垃圾桶的风路系统及垃圾桶
JPH0664705A (ja) ゴミ貯留輸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18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18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