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46543A1 - 자동초점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초점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46543A1
WO2021246543A1 PCT/KR2020/007159 KR2020007159W WO2021246543A1 WO 2021246543 A1 WO2021246543 A1 WO 2021246543A1 KR 2020007159 W KR2020007159 W KR 2020007159W WO 2021246543 A1 WO2021246543 A1 WO 20212465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rrier
housing
guide
b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71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만기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071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46543A1/ko
Priority to KR1020227025039A priority patent/KR20220122676A/ko
Publication of WO20212465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465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Definitions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iving coil 172 When power of an appropriate size and direction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driving coil 172 generates a magnetic force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direction in the driving magnet 122 to move the carrier 120 provided with the driving magnet 122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t performs the function of mo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동초점 조절장치는 렌즈가 탑재되며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어셈블리; 및 상기 캐리어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캐리어와 하우징에 대접하는 볼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에서 상기 볼이 대접하는 부분 또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볼이 대접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초점 조절장치
본 발명은 자동초점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볼을 가이드하는 구조 등을 개선시킨 자동초점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처리에 대한 하드웨어 기술이 발전하고 영상 촬영 등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높아짐에 따라, 독립된 카메라 장치는 물론,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 등에 오토포커스(AF, Auto Focus), 손 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등의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오토포커스(자동초점조절) 기능은 렌즈 또는 렌즈가 구비된 조립체가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렌즈 후단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CMOS, CCD 등)에 선명한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AF캐리어(또는 이동체)에 마그네트를 설치하며 고정체(하우징, 또는 다른 형태의 캐리어 등)에 코일을 설치하고, 코일에 적절한 크기로 코일에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코일(고정체에 구비됨)과 마그네트(이동체에 구비됨)에 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동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AF와 OIS 기능이 통합된 형태의 장치 내지 액추에이터가 이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 렌즈가 탑재되는 OIS캐리어를 AF 캐리어 내부에서 광축과 수직을 이루는 X축 또는/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상술된 AF 구조와 함께 통합적으로 구현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AF캐리어에 렌즈가 탑재되고 AF캐리어 외부에 구비된 OIS캐리어가 광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도 존재한다.
AF 단독 기능만이 구현된 장치 또는 AF와 OIS 기능이 함께 구현된 종래 장치에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AF캐리어의 거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AF캐리어(이동체)와 하우징(고정체) 사이에 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볼들을 개재하는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동체와 고정체 사이의 적절한 이격 거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볼 자체의 이동(moving)과 구름(rolling) 및 볼과의 점접촉(point contact)을 통하여 마찰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AF캐리어를 더욱 유연하고 정확하게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 장치에서 볼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반해, 볼과 대접하며 광축으로 이동하는 AF캐리어 및 이 AF캐리어가 이동하는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며 볼과 대접하는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볼과 대접하는 물리적 구성과 볼이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이종 재질 간 강성 내지 경도 등의 차이로 AF캐리어 및 하우징에서 볼과 대접하는 부분(이하 '가이드 지지 부분'이라 지칭한다)의 마모가 발생하기 쉬우며 사용이 빈번해 질수록 이러한 마모 현상은 가속화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지지 부분에 마모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볼이 광축 방향으로 정밀하게 선형 이동하지 못하므로 이 볼에 물리적으로 대접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AF 캐리어의 수평성이 와해되어 틸트(tilt)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틸트 불량은 자동 초점 기능의 성능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마모 현상 등에 의하여 가이드 지지 부분에서 탈리된 플라스틱 파티클(particle) 등의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면 이 또한, 볼의 선형 가이딩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나아가 외부 흔들림이나 충격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 또는 높은 경도를 가지는 금속 재질의 볼이 상대적으로 약성 내지 낮은 경도를 가지는 가이드 지지 부분에 그대로 충격을 전달하게 되며, 나아가 볼은 상당히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이러한 충격은 국소 부위의 손상을 쉽게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은 캐리어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전기, 전자 부품들로 이루어지는 구동 유닛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동 유닛은 대부분은 접착제 도포, 열경화, 냉각 등의 공정을 통하여 하우징에 결합된다.
접착제 도포 등을 통하여 구동 유닛들이 베이스 프레임에 반-조립되면 이를 제조 공정 라인에서 분리시켜 도포된 접착제의 열경화 및 냉각을 위한 다른 공정 라인 내지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접착제 경화 및 냉각을 위한 소정의 시간(40분~80분)이 지난 후에 다시 제조 공정 라인으로 복귀시킨 후, 후속 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의하는 경우, 공정 라인이 이원화될 수밖에 없으므로 공정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열경화 및 냉각 공정이 완료되는 시간 동안 후속 공정이 중단되어야 하므로 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는 경우 전기, 전자 부품 및 금속 재질의 요크로 이루어지는 구동 유닛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므로 이종 재질의 상호 접합이라는 점에서 접착 효율성이 낮음은 물론,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접합된 부위가 쉽게 분리되는 등 제품 신뢰성에도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캐리어 또는 하우징에서 볼이 대접하는 부위를 볼과 대응되는 금속 재질로 구현함으로써, 이종 재질에 따른 마모 및 손상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AF 캐리어의 선형 이동성을 더욱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 연한을 충분히 연장할 수 있는 자동초점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초점 조절장치는 렌즈가 탑재되며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어셈블리; 및 상기 캐리어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캐리어와 하우징에 대접하는 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캐리어에서 상기 볼이 대접하는 부분 또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볼이 대접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캐리어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볼은 상기 제1가이드와 대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1가이드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볼은 상기 제2가이드와 대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가이드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를 상기 캐리어 방향으로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측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볼은 상기 가이드부에 대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볼의 일부가 수용가능하도록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볼과 대접하는 캐리어 또는 하우징 부분이 볼과 동일한 재질인 금속 재질로 구현됨으로써, 이종 재질의 상호 물리적 접촉에 따른 마모, 손상, 파손 등에 따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AF캐리어의 틸트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자동초점 기능의 정밀 구동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 증진을 통하여 자동초점 조절장치의 사용 연한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금속 재질의 지지 플레이트를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으로 하우징에 구비시킴으로써 AF캐리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어셈블리를 하우징에 결합시킬 때,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이 지지 플레이트에 하우징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합 방식의 본질적 개선을 통하여 접착제 도포, 접착제 경화, 냉각 등의 공정을 전체적으로 생략할 수 있어 공정 라인을 일원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정 시간 단축 등 공정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를 볼과 대접하는 가이드 구조로 활용함으로써, 공정 효율성 증진과 AF캐리어의 구동 성능 향상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초점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2가이드 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초점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동부 어셈블리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 플레이트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초점 조절장치(이하 'AF장치'라 지칭한다)(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F 장치(100)는 케이스(110), 캐리어(120), 하우징(130), 구동부 어셈블리(170), 구동마그네트(122), 센싱마그네트(127) 및 지지 플레이트(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렌즈 또는 렌즈 조립체(미도시)는 본 발명의 캐리어(120)에 탑재되어 캐리어(120)와 그 물리적 이동을 함께 하게 되므로 캐리어(120)가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렌즈 또는 렌즈 조립체 또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을 통하여 CCD,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미도시)와의 거리가 조정됨으로써 자동초점기능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AF 장치(100)는 AF기능이 단독으로 구현된 장치는 물론, AF와 OIS가 통합되어 구현된 장치 모두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AF기능이 단독으로 구현된 장치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130)은 캐리어(120)에 상응하는 구성으로서, 캐리어(120)가 AF구동에 대한 이동체라면 상대적인 관점에서 상기 하우징(130)은 고정체에 해당한다.
상기 하우징(130)은 캐리어(120)를 수용하여 캐리어(120)가 이동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캐리어(12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어셈블리(170)가 이 하우징(13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170)는는 캐리어(12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 압전소자, 초소형 정밀 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등 다양한 적용례가 가능하나, 소비전력, 소음 억제, 공간 활용, 선형적 이동 특성, 정밀 제어 등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을 적용하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 어셈블리(170)는 구체적으로 구동코일(172), 회로기판(173), 요크(175) 및 드라이버(1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코일(172)은 외부에서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이에 상응하는 크기와 방향의 자기력을 구동마그네트(122)에 발생시켜 구동마그네트(122)가 구비된 캐리어(12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홀센서(미도시)는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렌즈의 현재 위치(구체적으로 캐리어(120)에 구비된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렌즈의 현재 위치가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본 발명의 드라이버(177)로 전달한다.
드라이버(177)는 입력된 홀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구동코일(172) 측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며, 이러한 순환적 제어를 통하여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렌즈의 정확한 위치를 피드백 제어하여 자동초점 기능을 구현한다.
홀센서는 구동마그네트(122)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으로 캐리어(120)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감지의 효율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캐리어(120)에 별도로 구비되는 센싱용 마그네트(127)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캐리어(120)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홀센서는 독립된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SOC(System On Chip) 등을 통하여 드라이버(177)와 함께 단일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120)와 하우징(130) 사이에는 광축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볼(14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 복수 개의 볼(140)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120)와 하우징(130)은 볼(140)의 직경에 대응되는 만큼의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캐리어(120)와 하우징(130)이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캐리어(120)의 볼에 대한 점접촉(point contact) 또는 선접촉(line contact)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우징(130)에는 캐리어(120)에 구비된 구동마그네트(122)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금속 재질의 요크(17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2가이드(131) 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가이드(121) 및 제2가이드(131)를 도시한 도면이다.
캐리어(120)와 하우징(130)은 이와 같이 볼(1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되며, 캐리어(120)와 하우징(130) 각각은 볼(140)과 대접하는 가이드 구조(125, 131)를 포함한다.
종래 장치에 의하는 경우, 이러한 가이드 구조는 적절한 설계를 통하여 캐리어 또는 하우징이 플라스틱 사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캐리어 또는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종래 장치의 경우, 캐리어와 하우징에서 볼과 대접하는 부분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볼(140)과는 다른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120)에서 볼(140)과 대접하는 부분 또는 하우징(130)에서 볼(140)과 대접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이 금속 재질로 구현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볼(140)이 가이딩되는 물리적 구조가 캐리어(120) 또는 하우징(130)에 성형되도록 하고 이 물리적 구조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볼(140)의 재질과 대응되는 스펙(강성과 경도 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에서 캐리어(120)에서 볼(140)과 대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를 제1가이드(121)로 지칭하며, 하우징(130)에서 볼(140)과 대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를 제2가이드(131)로 지칭한다.
제1가이드(121) 또는 제2가이드(131)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볼(140)의 외부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121) 또는 제2가이드(131) 중 하나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벤딩되며 나머지 하나는 외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벤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120) 또는 하우징(130)은 통상적으로 LCP(Liquid Crystal Polymer), PC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출 공정을 통하여 성형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제1가이드(121) 또는 제2가이드(131)는 캐리어(120) 또는 하우징(130)에 접합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공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121) 및 제2가이드(131) 각각은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으로 캐리어(120) 또는 하우징(130)과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가이드(121)와 제2가이드(131) 모두가 캐리어(120) 및 하우징(130)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서 이들 중 하나만이 캐리어(120) 또는 하우징(130)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가이드(121) 및 제2가이드(131)는 마찰력 저감 및 선형 이동성 증진을 위하여 단면이 V자 형태 또는 U자 형태의 선택된 조합에 의한 홈부 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캐리어(120)의 선형 이동을 가이딩할 수 있다면 제1가이드(121) 및 제2가이드(131)는 오목 또는 볼록 등과 같이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가이드(121) 및 제2가이드(131)는 도면에는 상호 대면하는 형태로 동일면에 좌우(Y축 기준) 2개가 나란히 구비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캐리어(120)의 광축 방향 이동을 가이딩할 수 있는 구조 내지 형상이라면 장치의 특성이나 물리적 구조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면에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상호 대면하지 않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AF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동부 어셈블리(170)가 하우징(130)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센싱용 마그네트(127)가 구동마그네트(122)와 동일 면에 구비된 실시예이며 구동부 어셈블리(170) 또한, 이러한 마그네트(122, 127)의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적 특징을 가지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121)는 단면이 V자 형태를 가지며 광축 방향(Z축)을 기준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121)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캐리어(120)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인서트 사출 등에 의하여 캐리어(12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 플레이트(133)는 광축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하우징(130)의 일 측면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용접 등과 같은 금속 대 금속의 결합 방법을 통하여 구동부 어셈블리(17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서스(SUS)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33) 또한, 내구성 증진, 조립 공정의 효율성 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인서트 사출 방식 등을 통하여 하우징(130)과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코일(172) 및 드라이버(177)는 회로기판(173)에 실장되며, 요크(175)는 회로기판(173) 후면에 접합되므로 본 발명의 구동부 어셈블리(170)는 하나의 부품 집합체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외부에 위치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요크(175)와 본 발명의 지지 플레이트(133)를 용접 등과 같은 금속 대 금속 결합 방법으로 상호 결합시킬 수 있어 구동부 어셈블리(170)를 하우징(130)에 결합시키는 공정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 접착제 도포, 경화, 냉각 등의 공정을 통하여 구동부 어셈블리(170)를 하우징(130)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전체적으로 생략할 수 있어 공정 효율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 플레이트(133)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 플레이트(133)는 몸체부(1331), 개방부(1332) 및 가이드부(1334, 13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331)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구동부 어셈블리(170)와 접합되어 구동부 어셈블리(17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기본 프레임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개방부(1332)를 구성하는 제1개구(1332-1)는 구동부 어셈블리(170)의 구동코일(172)을 캐리어(120)에 구비된 구동마그네트(122) 방향으로 노출시키며, 제2개구(1332-2)는 홀센서가 내장된 드라이버(177)를 캐리어(120)에 구비된 센싱용 마그네트(127) 방향으로 노출시킨다.
상기 제1개구(1332-1) 및 제2개구(1332-2)의 위치 또는 형상은 구동부 어셈블리(17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종류, 배치, 위치 등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형태와 다르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1개구(1332-1) 및 제2개구(1332-2)가 하나의 개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1개구(1332-1)를 통하여 구동코일(172)의 자기력이 구동 마그네트(122)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제2개구부(1332-2)를 통하여 센서(드라이브(177)에 내장된 형태)가 센싱용 마그네트(127)의 자기력을 더욱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플레이트(133)의 가이드부(1334, 1335)는 몸체부(1331)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40)과 대접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가이드부(1334, 1335) 중 하나 이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40)의 가이딩 및 지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볼(140)의 일부가 수용가능한 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33)를 구현하는 경우, 구동부 어셈블리(170)를 금속 대 금속으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시킬 수 있어 공정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볼(140)과 대접하는 제2가이드(131)에 대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렌즈가 탑재되며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어셈블리; 및
    상기 캐리어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캐리어와 하우징에 대접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에서 상기 볼이 대접하는 부분 또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볼이 대접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제1가이드와 대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1가이드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제2가이드와 대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가이드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를 상기 캐리어 방향으로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측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가이드부에 대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볼의 일부가 수용가능하도록 벤딩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PCT/KR2020/007159 2020-06-02 2020-06-02 자동초점 조절장치 WO202124654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7159 WO2021246543A1 (ko) 2020-06-02 2020-06-02 자동초점 조절장치
KR1020227025039A KR20220122676A (ko) 2020-06-02 2020-06-02 자동초점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7159 WO2021246543A1 (ko) 2020-06-02 2020-06-02 자동초점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6543A1 true WO2021246543A1 (ko) 2021-12-09

Family

ID=7883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7159 WO2021246543A1 (ko) 2020-06-02 2020-06-02 자동초점 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22676A (ko)
WO (1) WO202124654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126A (ko) * 2013-06-10 2014-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2018536367A (ja) * 2015-11-13 2018-12-06 ▲寧▼波舜宇光▲電▼信息有限公司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電気支持体と組立方法
KR20190106145A (ko) * 2018-03-08 2019-09-18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102093222B1 (ko) * 2018-02-28 2020-03-25 자화전자(주) 개선된 스토퍼 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200045633A (ko) * 2018-10-23 2020-05-06 자화전자(주) 단차구조를 가지는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126A (ko) * 2013-06-10 2014-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2018536367A (ja) * 2015-11-13 2018-12-06 ▲寧▼波舜宇光▲電▼信息有限公司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電気支持体と組立方法
KR102093222B1 (ko) * 2018-02-28 2020-03-25 자화전자(주) 개선된 스토퍼 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190106145A (ko) * 2018-03-08 2019-09-18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20200045633A (ko) * 2018-10-23 2020-05-06 자화전자(주) 단차구조를 가지는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676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7414A1 (ko) 비대칭 지지 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WO2017105010A1 (ko) 광학용 액추에이터
WO2014025167A1 (ko) 카메라 렌즈 모듈
WO2018066775A2 (ko) Ois를 위한 반사계 구동장치
WO2018139748A1 (ko)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WO2016013708A1 (ko) 카메라 모듈
WO2014157998A1 (en) Camera lens module
WO2016133288A1 (ko) 카메라 모듈
WO2014092363A1 (ko)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WO2010095853A2 (en) Motor for driving lens
WO2014003492A1 (en) Camera module
WO2020013465A1 (ko) 자동 초점 조절장치
CN213904021U (zh) 防抖结构、防抖系统及摄像装置
WO2022142684A1 (zh) 防抖结构、防抖系统及摄像装置
KR102297014B1 (ko) 자동초점 조절장치
WO2019143116A1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8147534A1 (ko) 반사계 지지장치
WO2014109475A1 (ko) 소형 카메라 모듈
WO2021246543A1 (ko) 자동초점 조절장치
WO2021206469A1 (ko) 반사계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1225230A1 (ko) 렌즈 조립체
WO2022102934A1 (ko) 줌 구동 액추에이터
WO2014092212A1 (ko) 카메라 모듈용 엑츄에이터
WO2018004124A1 (ko) 듀얼 액추에이터
WO2021020828A1 (ko) 다방향 댐퍼가 구비된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392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025039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392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