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30417A1 -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 Google Patents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30417A1
WO2021230417A1 PCT/KR2020/008025 KR2020008025W WO2021230417A1 WO 2021230417 A1 WO2021230417 A1 WO 2021230417A1 KR 2020008025 W KR2020008025 W KR 2020008025W WO 2021230417 A1 WO2021230417 A1 WO 20212304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photographing
standard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80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현재
김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Publication of WO20212304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304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that standardizes, stores and manages images taken by heterogeneous imaging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provides a standardized process using a standard layer for a general medical treatment process in a hospital, Standardizes the images taken by heterogeneous imaging devices that store all medical data using a layered layer and provide a standardization process to store and manage all data by proceed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location of the disease and the doctor's reading ability. It relates to a video image standardization device that stores and manages the
  • skin images used in dermatology are stored as various types of images depending on the person taking the picture, equipment, and environment.
  • a clinical picture is taken and a biopsy is performed, and the biopsy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dermatology department after confirming the tissue through a microscope in the pathology department.
  • the prescription for removal surgery and drugs is decided.
  • a standardized process is presented for a general dermatology process performed in a hospital, all data is stored using a standardized layer, and the process is per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so that all data can be stored and managed.
  • a standard system is presented.
  • Patent Document 000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31852 (2013.11.26)
  •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a standardized process for a general diagnosis process performed in a hospital, and use the standardized layer to provide all data It aims to provide a standard platform where all data can be stored and managed by storing and managing the proces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verity and location of the disease and the doctor's reading ability.
  •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problem in which data is not uniform, such as X-ray, CT, and MRI, among general image images (or clinical images).
  • a video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for standardizing, storing and managing the photographed images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00 for receiving the institution-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atient-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 a heterogeneous video image input unit 200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video images captured from different types of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each photographing apparatus (a photographing date, a name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 a plurality of standardization processing means 1000 configured to include; a standardization unit 300 for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images using a standard layer and storing and processing them on a standard layer by changing a proces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
  • the standard layer is stored,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tandardization unit 300 in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hospitals, image image information, and doctor opinion information are matched and stored on the standard layer, and matching on the standard layer It includes a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that provides synchronization or downloadable information.
  • a video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for standardizing, storing and managing photographed images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standardized process is presented for the general diagnosis process performed in a hospital, and all data is stored using a standardized layer, and all data is stored and managed by proceed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location of the disease and the doctor's reading ability.
  • 1 is a flow chart of a conventional general dermatology treatment process.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for standardizing, storing and managing photographed images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tandardization unit 300 of a video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for standardizing, storing and managing photographed images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tandard layer processed and stored by a video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that standardizes, stores, and manages photographed images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andardization scenario in the case of an incomplete disease by an image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that standardizes, stores and manages the photographed images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a mild disease
  • FIG. 7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andardization scenario in the case of a severe disease.
  • a video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for standardizing, storing and managing photographed images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00 for receiving the institution-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atient-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 a heterogeneous video image input unit 200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video images captured from different types of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each photographing apparatus (a photographing date, a name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 a plurality of standardization processing means 1000 configured to include; a standardization unit 300 for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images using a standard layer and storing and processing them on a standard layer by changing a proces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
  • the standard layer is stored,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tandardization unit 300 in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hospitals, image image information, and doctor opinion information are matched and stored on the standard layer, and matching on the standard lay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that provides the synchronized or downloaded information.
  • heterogeneous image image input unit 200 receives the heterogeneous image image input unit 200, and
  • a video image In order to obtain a video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devices to receive a direct input video image, or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input from a wireless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 Institution-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tient-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ctor-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diseas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imaging device, image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photographing date, name of imaging device, etc.), and doctor opinion information for each imaging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layers for matching and storing.
  • it includes an imaging device that takes a clinical image, a imaging device that takes a dermascope image, a imaging device that takes a biopsy (pathological) image, or
  • a general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X-ray image,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CT image, and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MRI image.
  • a dermascope image is additionally taken in the first process,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second opinion information is obtained and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for processing. 2 course;
  • a third process of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 an endoscopic image is additionally taken in the second process,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the third doctor's opinion information is obtained and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for processing. 3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for standardizing, storing and managing photographed images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for standardizing, storing and managing the photographed images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tandardization processing means 1000 and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 .
  •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means 10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00 , a heterogeneous image image input unit 200 , and a standardization unit 300 .
  •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00 performs a function for receiving the institution-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atient-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heterogeneous video image input unit 200 performs a function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video images captured from different types of photographing devices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each photographing device (shooting date, name of the photographing devic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ing device, etc.) do.
  • the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 means photographing apparatuses having various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
  •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clinical image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dermascope image,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biopsy (pathological) image, or
  • a medical imaging image (or clinical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X-ray image,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CT image, and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MRI image.
  • the heterogeneous image image input unit 200 the heterogeneous image image input unit 200
  • a video image In order to obtain a video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devices to receive a direct input video image, or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input from a wireless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 a video image taken from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clinical image,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dermascope image, and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biopsy (pathological) image are received.
  • the image image is received from an imaging device for imaging an X-ray image, a imaging device for imaging a CT image, and an imaging device for imaging an MRI image.
  • a video image may be directly received through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various video images may be acquired using a wireless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 the standardization unit 300 which is a key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number of image images are stored using the standard layer, and the proces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o perform a function for storing and processing on the standard layer.
  • Institution-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tient-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ctor-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diseas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imaging device, image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photographing date, name of imaging device, etc.), and doctor opinion information for each imaging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layers for matching and storing.
  • the docto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or the location of the disease and the doctor's reading ability,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imaging device, and image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date of shooting, name of imaging device, etc.) and doctor’s opinion information for each imaging device are matched and managed, so that all data is stored using a standardized layer and the severity of disease or location of the disease and the doctor’s reading ability It is to proce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ocess so that all data can be stored and managed.
  •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stores a standard layer,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tandardization unit 300 in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hospitals, image image information, and doctor opinion information on the standard layer is matched and stored, and the matched information on the standard layer is provided for synchronization or download.
  • the standard lay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400 is,
  • It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tandardization unit 300 , image image information, doctor opinion information, and the like.
  • DICOM digital image and communication standard
  • the DICOM has a generic meaning for various standards used for digital image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n medical devices.
  •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400 is configured to synchronize or download the converted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hospitals.
  • the DICOM is a format for storing medical images, which is different from general images.
  • image formats include Bitmap, TIFF, and JPEG. Data in these formats has only image information such as width, height, and the number of bits of each pixel.
  • DICOM has not only the information of the image itself, but also information such as the date of shooting, the name of the imaging equipment, and the patient's name.
  • the input non-standardized skin image is requested to be photographed again, and the skin image that meets the standardized is acquired, converted into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and stored.
  • patient information stores and manages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including patient name, date of birth, gender, image type, and image data as well as patient ID.
  • the standardization unit 300 determines whether a diagnosis is made. In the case of a non-diagnosable image image, the standardization unit 300 outputs non-diagnosable event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a diagnosable image, the skin image is acquired and stored.
  • ev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diagnosis is impossible is output.
  • the inputted skin image is provided to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stored and managed.
  •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to synchronize or download the standard laser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a number of hospitals, it provides an effect of easily accessing the patient's skin image anytime, anywhere.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tandardization unit 300 of a video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for standardizing, storing and managing photographed images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andardization unit 300 As shown in Figure 3, the standardization unit 300,
  •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Whe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00, after match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t layer on the standard layer,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scenario among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provides a photographing signal, , after acquiring a video image taken through the heterogeneous image input unit and matching it with the set layer on the standard layer, storing it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assigning the primary doctor, the primary doctor a first standard layer proceeding unit 310 for transmitting assignm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 the docto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as a key to match the doctor's opinion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standard layer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 1st opinion writing unit 320 will be configured to include.
  • the first standard layer progress unit 310 match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set layer on the standard layer, and then, a heterogeneous photographing device
  • the shooting signal is provided to the first imaging device, and the image taken through the heterogeneous image input unit is acquired and matched to the set layer on the standard layer, and then stored in the medical imaging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processed.
  • the assign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primary doctor in charge.
  • A01 is matched to an institution ID
  • A01-01234 is matched to a patient ID.
  • a photographed image is obtained by providing a photographing signal to a clinical photographing device, which is the first imaging device, or from a clinical imaging device, which is the first imaging device, through a heterogeneous image input unit. After acquiring the acquired image and matching it to the set layer on the standard layer, the image is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processed.
  • the device 1 image as shown in FIG. 4 is acquired, matched to the device 1 ID layer on the standard layer, and stored.
  • assign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mary treating doctor terminal, and the assignment information includes device ID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image captured by the device.
  • the first opinion writing unit 320 obtains the doctor's opinion information from the primary doctor terminal 3100, the corresponding standard stored in the medical imaging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ing doctor as a key The doctor's opinion information is matched and stored on the layer.
  • information 'mild disease is suspected as a result of clinical picture', which is observ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1 image, is matched to the device 1 ID layer on the standard layer and stored.
  • the standardization unit 30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condary standard layer progress unit 330 and a secondary opinion writing unit 340 .
  • the second standard layer progression unit 330 is a second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 standardization scenario among heterogeneous imaging devices when there is mild disease test request information among the doctor opin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 to obtain a photographed image by providing a photographing signal, or acquire a second image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heterogeneous image input unit and match it with a set layer on a standard layer, and then store it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fter assigning the second doctor, the function is to transmit the assignm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doctor in charge.
  • a photographed video image is obtained by providing 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dermascope photographing apparatus, which is the second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tandardized scenario, or Through the heterogeneous image input unit, the image image taken from the dermascope imaging device, which is the second imaging device, is acquired and matched to the set layer on the standard layer, and then stored in the medical imaging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for processing.
  • a device 2 image as shown in FIG. 4 is acquired, matched to the device 2 ID layer on the standard layer, and stored.
  • the assign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doctor in charge, and the assignment information includes device ID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image captured by the device.
  • the medical imaging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performs a function to match and store the secondary doctor's opinion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standard layer stored in ).
  • information 'a serious disease is suspected as a result of the derma photo', which is observ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2 image, is matched to the device 2 ID layer on the standard layer and stored.
  • the standardization unit 30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ertiary standard layer progress unit 350 and a tertiary opinion writing unit 360 .
  • the third standard layer progress unit 350 has severe disease test request information among the second doctor opin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 the third standardization scenario among heterogeneous imaging devices After obtaining a photographed image by providing it to a photographing device, or by obtaining a photographed image through a heterogeneous image input unit and matching it to a set layer on a standard layer, store it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process, After assigning the 3rd doctor in charge, the function to transmit the assignm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n charge of the 3rd doctor in charge is performed.
  • a photographed image is obtained by providing 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biopsy imaging device, which is the third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 standardized scenario, or
  • the image image taken from the biopsy imaging device, which is the second imaging device, device 3 is acquired through the heterogeneous imaging image input unit and matched to the set layer on the standard layer, and then stored in the medical imaging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processed.
  • the device 3 image as shown in FIG. 4 is acquired, matched to the device 3 ID layer on the standard layer, and stored.
  • assign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tiary doctor's terminal, and the assignment information includes device ID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image captured by the device.
  • the tertiary doctor's opinion writing unit 360 obtains the tertiary doctor's opinion information from the tertiary doctor's terminal 3300, the medical imaging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tiary doctor as a key ), it performs a function to match and store the tertiary opinion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standard layer.
  • information 'requiring surgery because the biopsy result is determined to be a serious disease' which is the observ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3 image, is matched to the device 3 ID layer on the standard layer and stored.
  • the tertiary image image information and tertiary doctor opinion information are additionally matched and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by matching them on the standard layer.
  • FIG. 5 it is an incomplete disease
  • FIG. 6 in the case of a mild disease
  • FIG. 7 it is a flowchart explaining the standardization scenario which progresses in the case of a severe disease.
  • a dermascope image is additionally taken in the first process and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secondary doctor opinion information is obtained and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for processing. 2 course;
  • a third process of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 the process for a mild disease is performed, so in addition to the first process, a dermascope image is taken from the dermascope imaging device, which is the device 2 (S200), and , The photographed derma images are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processed (S210), the second doctor is assigned (S220), and the second doctor's opin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second terminal in charge later (S230) ) to perform a second process of storing and processing (S240)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 the process for severe disease is performed, so in addition to the second process, a biopsy (pathology) image is taken from the biopsy imaging device, which is device 3 ( S300), the photographed biopsy images are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processed (S310), and a tertiary doctor is assigned (S320), and the tertiary doctor's opin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tertiary doctor in charge later
  • a third process of obtaining (S330) and storing the data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S340) is performed.
  • an endoscopic image is additionally taken in the second process,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the third doctor's opinion information is obtained and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for processing. 3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 an X-ray image is taken from the X-ray imaging device, which is device 1, and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the medical image is obtained by obtaining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doctor's opinion.
  • a first process of storing and processing in th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is performed.
  • the following process is performed, so that the CT image from the CT imaging device or the MRI imaging device is additionally performed in the first process.
  • the MRI image is taken and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and the second doctor's opinion information is acquired and stored in the medical image standard information DB 2000 for processing.
  • a standardized process is presented for a general diagnosis process performed in a hospital, all data is stored using a standardized layer, and the process is per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so that all data can be stored and managed.
  • a video image standardization apparatus for standardizing, storing and managing photographed images of heterogeneous photograph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standardized process is presented for the general diagnosis process performed in a hospital, and all data is stored using a standardized layer, and all data is stored and managed by proceed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location of the disease and the doctor's reading 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에서 진행되는 일반적인 진료 프로세스에 대해서 표준 레이어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표준화된 레이어를 이용해서 모든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 및 위치와 의사의 판독력에 따라 프로세스를 다르게 진행하여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표준화 과정을 제공하는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본 발명은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에서 진행되는 일반적인 진료 프로세스에 대해서 표준 레이어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표준화된 레이어를 이용해서 모든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 및 위치와 의사의 판독력에 따라 프로세스를 다르게 진행하여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표준화 과정을 제공하는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현장에서 의사가 진단에 활용하는 모든 데이터, 즉, 의료영상 이외의 다양한 임상정보를 모두 적용하여 생성된 데이터들은 각각의 기관 즉, 병원들마다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을뿐, 서로 환자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 실정이다.
특히, 피부과에서 활용하는 피부 이미지는 촬영하는 사람, 장비,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로 저장된다.
도 1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현재 피부과에서 진행되는 대부분의 프로세스는 환자와 의사가 대면해서 진료를 진행하면서 눈이나 더모스코프를 이용해서 병변을 확인한다.
확인된 병변에 대해서 조직검사 여부를 결정하고 조직검사가 필요하지 않은 질병에 대해서는 약이나 주사를 처방한다.
조직검사가 필요한 환자에게는 임상 사진을 촬영하고 조직 검사를 진행하게 되며, 조직검사 결과는 병리과에서 현미경을 통해서 조직을 확인한 후 피부과에 전달한다.
전달된 결과가 양성이냐 악성이냐에 따라 제거 수술 및 약 등의 처방을 결정한다.
상기한 프로세스로 진행하기 때문에 현재 기록되는 자료들이 병원마다 상이하고 자료를 저장하는 병원이 있는 반면 자료를 저장하지 않고 의사가 눈으로만 확인하는 병원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병원에서 진행되는 일반적인 피부과 프로세스에 대해서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표준화된 레이어를 이용해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프로세스를 다르게 진행해서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고 관리할 수 있는 표준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의료 영상 이미지(혹은 임상 이미지) 중 X-ray, CT, MRI와 같이 데이터가 통일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1852호(2013.11.2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병원에서 진행되는 일반적인 진단 프로세스에 대해서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표준화된 레이어를 이용해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 및 위치와 의사의 판독력에 따라 프로세스를 다르게 진행하여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고 관리할 수 있는 표준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일반 영상 이미지(혹은 임상 이미지) 중 X-ray, CT, MRI와 같이 데이터가 통일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는,
기관 고유식별 정보 및 환자 고유식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고유식별정보입력부(100)와;
이기종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다수의 영상 이미지와 촬영장치별 부가 정보(촬영 날짜, 촬영장치의 이름, 촬영장치의 고유식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200)와;
표준 레이어를 이용하여 다수의 영상 이미지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프로세스를 달리하여 표준 레이어 상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표준화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표준화처리수단(1000)과,
상기 표준 레이어를 저장하고, 다수의 병원들과 연계하여 상기 표준화부(300)에 의해 처리된 고유식별 정보와 영상 이미지 정보, 의사 소견 정보를 표준 레이어 상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으며, 표준 레이어 상의 매칭된 정보를 동기화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는,
병원에서 진행되는 일반적인 진단 프로세스에 대해서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표준화된 레이어를 이용해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 및 위치와 의사의 판독력에 따라 프로세스를 다르게 진행하여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고 관리할 수 있는 표준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병원에서 진행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누락없이 저장 관리하여 중복 진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의료 영상 이미지(혹은 임상 이미지) 중 X-ray, CT, MRI와 같이 데이터가 통일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환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피부과 진료 프로세스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의 표준화부(300)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에 의해 처리되어 저장된 표준 레이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에 의해 미비한 질병일 경우에 표준화 시나리오를 설명한 흐름도이며, 도 6의 경우에는 경증 질병일 경우에 표준화 시나리오를 설명한 흐름도이며, 도 7의 경우에는 중증 질병일 경우에 표준화 시나리오를 설명한 흐름도.
<부호의 설명>
100 : 고유식별정보입력부
200 :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
300 : 표준화부
1000 : 다수의 표준화처리수단
2000 : 의료영상규격정보DB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는,
기관 고유식별 정보 및 환자 고유식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고유식별정보입력부(100)와;
이기종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다수의 영상 이미지와 촬영장치별 부가 정보(촬영 날짜, 촬영장치의 이름, 촬영장치의 고유식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200)와;
표준 레이어를 이용하여 다수의 영상 이미지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프로세스를 달리하여 표준 레이어 상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표준화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표준화처리수단(1000)과,
상기 표준 레이어를 저장하고, 다수의 병원들과 연계하여 상기 표준화부(300)에 의해 처리된 고유식별 정보와 영상 이미지 정보, 의사 소견 정보를 표준 레이어 상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으며, 표준 레이어 상의 매칭된 정보를 동기화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200)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기종 촬영장치들과 연결되어 직접적인 입력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거나,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받아 입력 가능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준 레이어 정보는,
기관 고유식별 정보, 환자 고유식별 정보, 질병의 중증도에 따른 의사 고유식별 정보, 촬영장치별 고유식별 정보와 이미지 정보 및 부가 정보(촬영 날짜, 촬영장치의 이름 등), 촬영장치별 의사 소견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기 위한 레이어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기종 촬영장치는,
피부일 경우에 임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더마스코프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조직검사(병리)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거나,
일반 영상일 경우에 X-ray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CT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MRI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부일 경우에 상기 표준화 시나리오는,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 처리되는 시나리오로서,
미비한 질병일 경우, 임상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1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1과정;
경증 질병일 경우, 제1과정에 추가적으로 더마스코프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2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2과정;
중증 질병일 경우, 제2과정에 추가적으로 조직검사(병리)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3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의료 영상(혹은 임상 이미지)일 경우에 상기 표준화 시나리오는,
질병의 위치와 의사 판독력에 따라 저장 처리되는 시나리오로서,
뇌를 제외한 신체일 경우, X-ray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1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1과정;
X-ray에서 판독이 불가능한 경우, 제1과정에 추가적으로 CT/MRI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2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2과정;
직접 수술에서 확인한 경우, 제2과정에 추가적으로 내시경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3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는, 다수의 표준화처리수단(1000)과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표준화처리수단(1000)은 고유식별정보입력부(100),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200), 표준화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유식별정보입력부(100)는 기관 고유식별 정보 및 환자 고유식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최초 진료를 수행하는 기관(병원, 의원 등)에 환자가 방문하여 진료를 받게 되면 해당 기관 고유식별 정보와 환자 고유식별 정보를 입력하게 될 것이며, 입력된 정보를 획득하여 표준화부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200)는 이기종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다수의 영상 이미지와 촬영장치별 부가 정보(촬영 날짜, 촬영장치의 이름, 촬영장치의 고유식별 정보 등)를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이기종 촬영장치는 다양한 스펙을 가지고 있는 촬영장치들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상기 이기종 촬영장치는,
피부일 경우에 임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더마스코프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조직검사(병리)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거나,
의료 영상 이미지(혹은 임상 이미지)일 경우에 X-ray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CT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MRI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피부과에서 진료하게 되면 임상촬영장치를 통해 다양한 임상 이미지를 획득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더마스코프 장치를 통해 더마스코프 이미지를 획득하게 되며, 조직검사 장치를 통해 조직검사(병리) 이미지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200)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기종 촬영장치들과 연결되어 직접적인 입력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거나,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받아 입력 가능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피부과의 경우에는 임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더마스코프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조직검사(병리)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의료 영상 이미지(혹은 임상 이미지)일 경우에 X-ray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CT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MRI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촬영장치와 연동시켜 촬영장치를 통해 직접적인 영상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각종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수단인 상기 표준화부(300)는,
표준 레이어를 이용하여 다수의 영상 이미지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프로세스를 달리하여 표준 레이어 상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준 레이어 정보는,
기관 고유식별 정보, 환자 고유식별 정보, 질병의 중증도에 따른 의사 고유식별 정보, 촬영장치별 고유식별 정보와 이미지 정보 및 부가 정보(촬영 날짜, 촬영장치의 이름 등), 촬영장치별 의사 소견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기 위한 레이어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관 고유식별 정보와 환자 고유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표준 레이어 상의 각각의 레이어마다 질병의 중증도 혹은 질병의 위치와 의사의 판독력에 따른 의사 고유식별 정보, 촬영장치별 고유식별 정보와 이미지 정보 및 부가 정보(촬영 날짜, 촬영장치의 이름 등), 촬영장치별 의사 소견 정보를 매칭시켜 관리함으로써, 표준화된 레이어를 이용해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 혹은 질병의 위치와 의사의 판독력에 따라 프로세스를 다르게 진행해서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는 표준 레이어를 저장하고, 다수의 병원들과 연계하여 상기 표준화부(300)에 의해 처리된 고유식별 정보와 영상 이미지 정보, 의사 소견 정보를 표준 레이어 상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으며, 표준 레이어 상의 매칭된 정보를 동기화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료영상규격정보DB(400)에 저장되어 있는 표준 레이어 정보는,
표준화부(300)에 의해 처리된 고유식별 정보와 영상 이미지 정보, 의사 소견 정보 등을 포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규격인 DICOM 포맷으로 변환하여 이를 저장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 DICOM은 의료용 기기에서 디지털 영상 표현과 통신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표준을 총칭하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다수의 병원들과 연계하여 상기 변환된 의료 영상 규격 정보를 동기화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의료영상규격정보DB(40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DICOM은 의료 영상을 저장하는 포맷인데, 이는 일반적인 영상과 차이가 있다.
흔히, 사용하는 이미지의 포맷은 Bitmap, TIFF, JPEG 등이 있는데, 이러한 포맷의 데이터는 가로, 세로 및 각 pixel의 bit 수 등과 같이 이미지 자체의 정보만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하여 DICOM은 이러한 이미지 자체의 정보뿐만 아니라 촬영된 날짜, 촬영장비의 이름, 환자 이름 등의 정보들을 모두 가지고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포맷에 맞추게 되면 입력되는 비규격화 피부 이미지는 재차 촬영을 요청하게 되고, 규격화에 부합되는 피부 이미지는 획득하여 의료 영상 규격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 정보에는 환자 ID 뿐만 아니라, 환자이름, 생년월일, 성별, 영상종류,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규격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표준화부(300)는 진단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진단이 불가능한 영상 이미지일 경우에는 진단 불가능 이벤트 정보를 출력시키며, 진단 가능한 이미지일 경우에는 해당 피부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포커스 문제가 발생한 피부 이미지라면 이는 진단이 불가능한 피부 이미지이므로 진단 불가능이라는 이벤트 정보를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 혹은 의료진에게 해당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진단 가능한 피부 이미지라면, 해당 입력된 피부 이미지를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로 제공하여 저장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의료영상규격정보DB를 다수의 병원들과 연계하여 상기 표준 레이저 정보를 동기화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지 쉽게 접근하여 환자의 피부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의 표준화부(300)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준화부(300)는,
상기 고유식별정보입력부(100)에 의해 고유식별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표준 레이어 상의 설정된 레이어에 해당 고유식별 정보들을 매칭시킨 후, 이기종 촬영장치 중 표준화 시나리오에 따라 첫번째 촬영장치로 촬영 신호를 제공하고,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표준 레이어 상의 설정된 레이어에 매칭시킨 후,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1차담당의사를 배정한 후, 해당 1차담당의사단말기로 배정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1차표준레이어진행부(310)와;
1차담당의사단말기(3100)로부터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할 경우, 담당 의사의 고유식별 정보를 키로 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된 해당 표준레이어 상에 의사 소견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시키기 위한 1차소견작성부(32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차표준레이어진행부(310)는 고유식별정보입력부(100)에 의해 고유식별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표준 레이어 상의 설정된 레이어에 해당 고유식별 정보들을 매칭시킨 후, 이기종 촬영장치 중 표준화 시나리오에 따라 첫번째 촬영장치로 촬영 신호를 제공하고,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표준 레이어 상의 설정된 레이어에 매칭시킨 후,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1차담당의사를 배정한 후, 해당 1차담당의사단말기로 배정 정보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관 아이디에 A01을 매칭시키고, 환자 아이디에 A01-01234를 매칭시키게 된다.
이후, 표준화 시나리오에 따라, 첫번째 촬영장치인 장치 1인 임상 촬영장치로 촬영 신호를 제공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혹은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를 통해 첫번째 촬영장치인 장치 1인 임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표준 레이어 상의 설정된 레이어에 매칭시킨 후,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장치 1 이미지를 획득하여 표준 레이어 상의 장치 1 아이디의 레이어에 매칭시켜 저장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1차담당의사(예를 들어, D01 이라는 고유 식별 정보 부여된 의사를 의미함)를 배정한 후, 해당 1차담당의사단말기로 배정 정보를 송출하게 되는데, 상기 배정 정보에는 장치 아이디 정보와 해당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1차소견작성부(320)는 1차담당의사단말기(3100)로부터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할 경우, 담당 의사의 고유식별 정보를 키로 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된 해당 표준레이어 상에 의사 소견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장치 1 이미지의 소견 정보인 '임상 사진 결과 경증 질병이 의심됨'이라는 정보를 표준 레이어 상의 장치 1 아이디 레이어에 매칭시켜 저장하게 된다.
또한,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표준화부(300)는, 2차표준레이어진행부(330)와 2차의사소견작성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2차표준레이어진행부(330)는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된 의사 소견 정보 중 경증 질병 검사요청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이기종 촬영장치 중 표준화 시나리오에 따라 두번째 촬영장치로 촬영 신호를 제공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혹은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를 통해 촬영된 두번째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표준 레이어 상의 설정된 레이어에 매칭시킨 후,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2차담당의사를 배정한 후, 해당 2차담당의사단말기로 배정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증 질별 검사 요청 레이어에 요청을 선택하게 되면 표준화 시나리오에 따라, 두번째 촬영장치인 장치 2인 더마스코프 촬영장치로 촬영 신호를 제공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혹은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를 통해 두번째 촬영장치인 장치 2인 더마스코프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표준 레이어 상의 설정된 레이어에 매칭시킨 후,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장치 2 이미지를 획득하여 표준 레이어 상의 장치 2 아이디의 레이어에 매칭시켜 저장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2차담당의사(예를 들어, D02 라는 고유 식별 정보 부여된 의사를 의미함)를 배정한 후, 해당 2차담당의사단말기로 배정 정보를 송출하게 되는데, 상기 배정 정보에는 장치 아이디 정보와 해당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2차의사소견작성부(340)는 2차담당의사단말기(3200)로부터 2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할 경우, 2차 담당 의사의 고유식별 정보를 키로 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된 해당 표준레이어 상에 2차 의사 소견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장치 2 이미지의 소견 정보인 '더마 사진 결과 중증 질병이 의심됨'이라는 정보를 표준 레이어 상의 장치 2 아이디 레이어에 매칭시켜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는 추가적으로 2차 영상 이미지 정보, 2차 의사 소견 정보를 표준 레이어 상에 매칭시켜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표준화부(300)는, 3차표준레이어진행부(350)와 3차의사소견작성부(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3차표준레이어진행부(350)는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된 2차 의사 소견 정보 중 중증 질병 검사요청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이기종 촬영장치 중 표준화 시나리오에 따라 세번째 촬영장치로 제공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혹은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표준 레이어 상의 설정된 레이어에 매칭시킨 후,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3차담당의사를 배정한 후, 해당 3차담당의사단말기로 배정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증 질별 검사 요청 레이어에 요청을 선택하게 되면 표준화 시나리오에 따라, 세번째 촬영장치인 장치 3인 조직검사 촬영장치로 촬영 신호를 제공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혹은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를 통해 두번째 촬영장치인 장치 3인 조직검사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표준 레이어 상의 설정된 레이어에 매칭시킨 후,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장치 3 이미지를 획득하여 표준 레이어 상의 장치 3 아이디의 레이어에 매칭시켜 저장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3차담당의사(예를 들어, D03 라는 고유 식별 정보 부여된 의사를 의미함)를 배정한 후, 해당 3차담당의사단말기로 배정 정보를 송출하게 되는데, 상기 배정 정보에는 장치 아이디 정보와 해당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3차의사소견작성부(360)는 3차담당의사단말기(3300)로부터 3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할 경우, 3차 담당 의사의 고유식별 정보를 키로 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된 해당 표준레이어 상에 3차 의사 소견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장치 3 이미지의 소견 정보인 '조직 검사 결과 중증 질병으로 판단되므로 수술 요함'이라는 정보를 표준 레이어 상의 장치 3 아이디 레이어에 매칭시켜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는 추가적으로 3차 영상 이미지 정보, 3차 의사 소견 정보를 표준 레이어 상에 매칭시켜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표준화 시나리오에 따라 표준 레이어 상의 각각의 레이어에 저장 관리하게 되면 추후 해당 환자 아이디 공유만으로도 다양한 촬영 장치들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들을 수시로 다양한 병원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연동성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추적 관리가 가능한 장점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피부과 진료시 표준화 시나리오에 대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의 경우에는 미비한 질병일 경우, 도 6의 경우에는 경증 질병일 경우, 도 7의 경우에는 중증 질병일 경우에 진행되는 표준화 시나리오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즉, 피부일 경우에 상기 표준화 시나리오는,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 처리되는 시나리오로서,
미비한 질병일 경우, 임상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1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1과정;
경증 질병일 경우, 제1과정에 추가적으로 더마스코프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2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2과정;
중증 질병일 경우, 제2과정에 추가적으로 조직검사(병리)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3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최초 기관 아이디 등록(S100)하고, 환자 정보를 입력(S200)하게 되면 해당 환자의 표준 레이어가 생성되게 된다.
이후, 미비한 질병부터 중증 질병까지 순차적으로 표준화를 진행하게 되는데, 미비한 질병일 경우, 장치1인 임상사진 촬영장치로부터 임상 이미지를 촬영(S120)하고, 촬영된 임상 이미지들을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S130)하고, 1차 담당의사를 배정(S140)하게 되며, 추후 1차 담당의사단말기로부터 1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S150)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S160)하는 제1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1차 의사 소견 정보 중에 경증 질병 검사 요청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면, 경증 질병에 대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되므로, 제1과정에 추가적으로 장치 2인 더마스코프 촬영장치로부터 더마스코프 이미지를 촬영(S200)하고, 촬영된 더마 이미지들을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S210)하고, 2차 담당의사를 배정(S220)하게 되며, 추후 2차 담당의사단말기로부터 2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S230)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S240)하는 제2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2차 의사 소견 정보 중에 중증 질병 검사 요청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면, 중증 질병에 대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되므로, 제2과정에 추가적으로 장치 3인 조직검사 촬영장치로부터 조직검사(병리) 이미지를 촬영(S300)하고, 촬영된 조직검사 이미지들을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S310)하고, 3차 담당의사를 배정(S320)하게 되며, 추후 3차 담당의사단말기로부터 3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S330)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S340)하는 제3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의료 영상(혹은 임상 이미지)일 경우에 상기 표준화 시나리오는,
질병의 위치와 의사 판독력에 따라 저장 처리되는 시나리오로서,
뇌를 제외한 신체일 경우, X-ray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1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1과정;
X-ray에서 판독이 불가능한 경우, 제1과정에 추가적으로 CT/MRI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2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2과정;
직접 수술에서 확인한 경우, 제2과정에 추가적으로 내시경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3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뇌를 제외한 신체일 경우, 장치1인 X-ray 촬영장치로부터 X-ray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1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1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X-ray에서 판독이 불가능하여 1차 의사 소견 정보에 CT/MRI 검사 요청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면, 다음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되므로, 제1과정에 추가적으로 CT 촬영장치 혹은 MRI 촬영장치로부터 CT 이미지 혹은 MRI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2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2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직접 수술에서 확인하고자 하여 2차 의사 소견 정보에 내시경 검사 요청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면, 다음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되므로, 제2과정에 추가적으로 내시경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3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3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병원에서 진행되는 일반적인 진단 프로세스에 대해서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표준화된 레이어를 이용해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프로세스를 다르게 진행하여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고 관리할 수 있는 표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병원에서 진행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누락없이 저장 관리하여 중복 진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임상 이미지 중 X-ray, CT, MRI와 같이 데이터가 통일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환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는,
병원에서 진행되는 일반적인 진단 프로세스에 대해서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표준화된 레이어를 이용해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 및 위치와 의사의 판독력에 따라 프로세스를 다르게 진행하여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고 관리할 수 있는 표준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병원에서 진행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누락없이 저장 관리하여 중복 진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6)

  1.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에 있어서,
    기관 고유식별 정보 및 환자 고유식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고유식별정보입력부(100)와;
    이기종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다수의 영상 이미지와 촬영장치별 부가 정보(촬영 날짜, 촬영장치의 이름, 촬영장치의 고유식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200)와;
    표준 레이어를 이용하여 다수의 영상 이미지를 저장하고,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프로세스를 달리하여 표준 레이어 상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표준화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표준화처리수단(1000)과,
    상기 표준 레이어를 저장하고, 다수의 병원들과 연계하여 상기 표준화부(300)에 의해 처리된 고유식별 정보와 영상 이미지 정보, 의사 소견 정보를 표준 레이어 상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으며, 표준 레이어 상의 매칭된 정보를 동기화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영상이미지입력부(200)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기종 촬영장치들과 연결되어 직접적인 입력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거나,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받아 입력 가능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레이어 정보는,
    기관 고유식별 정보, 환자 고유식별 정보, 질병의 중증도에 따른 의사 고유식별 정보, 촬영장치별 고유식별 정보와 이미지 정보 및 부가 정보(촬영 날짜, 촬영장치의 이름 등), 촬영장치별 의사 소견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기 위한 레이어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 촬영장치는,
    피부일 경우에 임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더마스코프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조직검사(병리)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거나,
    일반 영상일 경우에 X-ray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CT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MRI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피부일 경우에 상기 표준화 시나리오는,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 처리되는 시나리오로서,
    미비한 질병일 경우, 임상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1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1과정;
    경증 질병일 경우, 제1과정에 추가적으로 더마스코프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2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2과정;
    중증 질병일 경우, 제2과정에 추가적으로 조직검사(병리)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3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의료 영상(혹은 임상 이미지)일 경우에 상기 표준화 시나리오는,
    질병의 위치와 의사 판독력에 따라 저장 처리되는 시나리오로서,
    뇌를 제외한 신체일 경우, X-ray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1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1과정;
    X-ray에서 판독이 불가능한 경우, 제1과정에 추가적으로 CT/MRI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2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2과정;
    직접 수술에서 확인한 경우, 제2과정에 추가적으로 내시경 이미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고, 3차 의사 소견 정보를 획득하여 의료영상규격정보DB(2000)에 저장 처리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PCT/KR2020/008025 2020-05-15 2020-06-20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WO202123041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502A KR102222932B1 (ko) 2020-05-15 2020-05-15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KR10-2020-0058502 2020-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417A1 true WO2021230417A1 (ko) 2021-11-18

Family

ID=7517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8025 WO2021230417A1 (ko) 2020-05-15 2020-06-20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22932B1 (ko)
WO (1) WO20212304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9184A1 (en) * 2022-09-16 2024-03-2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achine learning systems and related aspects for the detection of disease sta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708B1 (ko) * 2021-03-30 2023-03-29 한국과학기술원 영상 표준화를 위한 비지도 학습 기반 단일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단층촬영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0535B1 (ko) * 2021-04-07 2022-06-22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임상 피부 영상과 더마스코프 피부 영상의 관리 장치
KR102415616B1 (ko) 2021-10-18 2022-07-01 라이트하우스(주) 예술품의 이미지 표준화 기반 교육 및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4029797A1 (ko) * 2022-08-05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파일의 촬영 날짜 및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951A (ja) * 2006-11-22 2008-06-05 Koichi Fujikaw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00067896A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의료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78349A (ko) * 2017-12-26 2019-07-04 동은정보기술주식회사 Iot를 활용한 의료 장비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5220A (ko) * 2016-11-17 2019-09-16 테라리콘, 인코포레이티드 의료 이미지 식별 및 해석
KR20190118358A (ko) * 2018-04-10 2019-10-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증성 피부질환 중증도 진단을 위한 표준영상 데이터 취득용 촬영장치
KR102097740B1 (ko) * 2019-07-25 2020-04-06 주식회사 딥노이드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영상 자동 분류 및 표준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852B1 (ko) 2009-12-18 2013-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로봇의 협업을 위한 컴포넌트 연동 장치 및 그에 따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951A (ja) * 2006-11-22 2008-06-05 Koichi Fujikaw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00067896A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의료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90105220A (ko) * 2016-11-17 2019-09-16 테라리콘, 인코포레이티드 의료 이미지 식별 및 해석
KR20190078349A (ko) * 2017-12-26 2019-07-04 동은정보기술주식회사 Iot를 활용한 의료 장비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8358A (ko) * 2018-04-10 2019-10-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증성 피부질환 중증도 진단을 위한 표준영상 데이터 취득용 촬영장치
KR102097740B1 (ko) * 2019-07-25 2020-04-06 주식회사 딥노이드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영상 자동 분류 및 표준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9184A1 (en) * 2022-09-16 2024-03-2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achine learning systems and related aspects for the detection of disease st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932B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30417A1 (ko)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JP5459423B2 (ja) 診断システム
US6684093B2 (en) Medical diagnosis apparatus with patient recognition
JP2005111083A (ja) 医療統合システム
KR101758977B1 (ko)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JP2016002206A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402204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a televisit
WO2010128818A2 (ko) 의료영상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WO2013100319A1 (ko) 기준 좌표를 이용한 의료 영상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9221586A1 (ko) 의료영상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WO2008136282A1 (ja) 医療情報管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3030324A (ja) 患者識別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画像診断装置
JP2019197271A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WO2021241795A1 (ko) 실시간으로 관찰 및 촬영이 동시에 가능한 더마스코프 장치
KR101906398B1 (ko) 실시간 객체추적을 이용한 내시경 진료정보 공유 방법
JP4885518B2 (ja) 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カプセル型内視鏡情報処理方法
WO2018147674A1 (ko) 의료 영상에 기반하여 상태를 진단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4133325A1 (ko) 복수의 판독자에 의한 자궁 경부의 판독 방법
WO2021015340A1 (ko)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
WO2021040200A1 (ko) 의료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WO2021015449A2 (ko) 수술위치 정보제공방법 및 수술위치 정보제공장치
JP6548498B2 (ja) 検査業務支援システム
JP2003256570A (ja) 画像診断支援システム
WO2019168372A1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71616A1 (ko) 여성 질 건강 모니터링을 위한 자가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354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354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