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15661A1 -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15661A1
WO2021215661A1 PCT/KR2021/003032 KR2021003032W WO2021215661A1 WO 2021215661 A1 WO2021215661 A1 WO 2021215661A1 KR 2021003032 W KR2021003032 W KR 2021003032W WO 2021215661 A1 WO2021215661 A1 WO 20212156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sealing
case body
battery module
seal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30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민섭
성준엽
박명기
장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CN202180005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365332A/zh
Priority to EP21792619.5A priority patent/EP4009427A1/en
Priority to US17/640,622 priority patent/US20220407138A1/en
Priority to JP2022515073A priority patent/JP7378875B2/ja
Publication of WO20212156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156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9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heat storage or buffering, e.g. heat capacity or liquid-solid phase changes or tran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cell for improving cooling perform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Secondary batteries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in various product groups such as mobile devices and electric vehicles.
  • Such a secondary battery is a powerful energy resource that can replace the use of conventional products using fossil fuels, and is in the spotlight as an eco-friendly energy source because no by-products are generated due to energy use.
  • a battery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is configured, and other components are added using th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to form a battery pack.
  • Such a battery cell may include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module frame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stack, and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and the battery cell stack.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a sealing part of a battery cell and a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n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30 is formed between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0 are stacked and a module frame 20 , and the battery cell 10 .
  • the sealing part 11 extended from the cell case body of the battery cel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30.
  • the thermal conductive resin layer ( 30) to make use of the space below the battery cell stack 100 .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for improv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a battery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 battery module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module fram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stack; and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and the battery cell stack, where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e sealing part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case body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aling parts are located inside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are formed to be folded toward the bottom surfaces of the cell case body, respectively, and an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olded part of the sealing pa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case body .
  •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formed to cover the folded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 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to cover an end of the sealing part.
  • 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to cover an outer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an end of the sealing portion, a bottom surface of the cell case body, and a portion of the body surface of the cell case body.
  • 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 thermal interface material.
  • the adhesive layer may be fixed between the folded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case body.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between the sealing part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bottom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serting an adhesive material; folding the sealing part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dhesive materials are located and fixing each of the sealing parts and the bottom surfaces; and injecting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to contact the sealing parts to form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ttaching a fixing member to cover the folded sealing parts, respectively.
  • a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oling performance and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battery module.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a sealing part of a battery cell and a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n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ortion B of FIG. 4 ,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ed into the portion where the sealing parts are located.
  • the first and second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the battery cell 110 is a secondary battery and may be configured as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 the battery cells 110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may be stacked to each othe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battery cell stack 100 .
  •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may include electrode leads 111 and 112 protruding from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cell case body 113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 the electrode assembly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 the cell case body 113 is for packag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may be formed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 the cell case body 113 includes first and second sealing parts 114 and 115 and first and second sealing parts 114 and 115 respectively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leads 111 and 112 are located. It includes third and fourth sealing parts 116 and 117 that are connected and extend outwardly of the cell case body from the edge of the cell case body wher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leads 111 and 112 are not formed.
  • the sealing parts 114 , 115 , 116 , and 117 may each extend outwardly from the cell case body 113 and form a four-sided sealing structure capable of sealing the cell case body 113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leads 111 and 112 face each other and each protrude from the first sealing part 114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15 of the cell case body 113 .
  • the first sealing part 114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15 are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leads 111 and 112 , respectively.
  •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parts 114 and 115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the third and fourth sealing parts 116 and 117 are the battery cells. It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aminate.
  • the third sealing portion 11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the fourth sealing portion 117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 the fourth sealing part 117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may contact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500 .
  • the module frame 200 may accommodate the battery cell stack 100 and the bus bar frame 310 and the upper plate 320 coupled thereto on upper, lower,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 the module frame 200 may be formed in a mono frame structure in which upper, lower, left, and right surfaces are integrally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U-shaped frame and an upper portion that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U-shaped frame A structure formed of a plate may also be employed.
  • the upper plate 3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to cover the battery cell stack 100 .
  • a bus bar frame 310 may be formed at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plate 320 . In combination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of the bus bar frame 310 ,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may be guided through the bus bar formed in the bus bar frame 310 .
  • the upper plate 320 and the bus bar frame 310 may be hinge-coupled.
  • the upper plate 320 and the bus bar frame 310 are coupled to the battery cell stack 100 , the upper plate 3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and then the bus bar frames at both ends.
  • the 310 may be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through a hinge coupling with the upper plate 200 to cover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 the bus bar frame 31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plate 320 .
  •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may be injec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200 to form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500 .
  •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may include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material, and specificall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licone material, a urethane material, and an acrylic material.
  •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may serve to fix one or more battery cells 110 constituting the battery cell stack 100 by being liquid during application but solidified after application. In addition, heat generated in the battery cell 110 can be quickly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to perform a cooling function of the battery module because of its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long a portion A-A of FIG. 2 .
  • the adhesive layer 600 is formed between the folded part of the fourth sealing part 117 and the bottom surface 113b of the cell case body, so that the folded part of the fourth sealing part 117 is adhered. It is fixed to the cell case body bottom surface 113b through the layer 600,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s the generation of an air layer that may be formed between the folded portion of the fourth sealing part 117 and the cell case body bottom surface 113b. , through which heat transfer between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500 and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can be smooth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module.
  • the adhesive layer 600 may be formed of a 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
  • 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
  • the adhesive layer 600 itself is formed of a heat-conducting member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fixing the adhesive layer 600 between the fourth sealing part 117 and the bottom surface 113b of the cell case body. As the heat transfer is smoothly performed through this,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module can be improved.
  • FIGS. 2 and 5 a battery module having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5 .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long a portion A-A of FIG. 2 .
  •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sealing parts and bottom surfaces of a battery cell as part B of FIG. 4 .
  •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l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 part B of FIG. 4 .
  • FIG. 8 is a portion B of FIG. 4 ,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ed into the portion where the sealing parts are located.
  • the fourth sealing parts 117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and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are formed.
  • the step of inserting the adhesive material 600 between the surfaces 113b (FIG. 6)
  • the fourth sealing parts 117 are fol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hesive substances 600 are located, the fourth sealing parts 117 and the bottom surface (113b) between each fixing step (FIG. 7) and the thermal conductive resin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200 to contact the fourth sealing parts 117
  • the step of forming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500 by injection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 the battery cells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a battery module, and these battery modules may be included in a battery pack.
  • the battery pack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llected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that manages the temperature or voltage of the battery and a cooling device are added and packed.
  •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 the battery pack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 a device may be applied to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vehic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applicable to various devices that can use a battery module, which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 및 상기 모듈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전지셀 적층체 사이에 형성된 열전도성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셀은,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 본체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실링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들은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셀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들로 각각 접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의 접힌 부분과 상기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 사이에는 점착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0년 04월 22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0-0048916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지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및 전기 자동차 등의 다양한 제품군에서 에너지원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제품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에너지 자원으로서, 에너지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최근 이차 전지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이차 전지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병렬로 연결된 전지 모듈을 집합시킨 멀티 모듈 구조의 전지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전지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을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지셀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 및 모듈 프레임의 하면과 전지셀 적층체 사이에 형성된 열전도성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지 모듈에서, 전지셀의 실링부와 전지셀의 바닥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10)이 적층 형성된 전지셀 적층체와 모듈 프레임(20) 사이에 열전도성 수지층(30)이 형성되고, 전지셀(10)의 셀 케이스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실링부(11)는 열전도성 수지층(30)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실링부(11)를 전지셀의 바닥면(10a) 방향으로 접은 상태로 열전도성 수지층(30)과 접촉하게 하여 전지셀 적층체(100)의 하측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11)를 접는 경우, 실링부(11)의 접힌 부분과, 실링부(11)의 접힌 부분에 대응하는 전지셀 바닥면(10a) 부분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층으로 인해 열전도성 수지층(30)과 전지셀(10)들 간의 갭(gap)이 발생하여 전지 모듈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지 셀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 및 상기 모듈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전지셀 적층체 사이에 형성된 열전도성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셀은,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실링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들은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셀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들을 향해 각각 접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의 접힌 부분과 상기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 사이에는 점착층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의 접힌 부분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실링부의 끝단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실링부의 접힌 부분 외측면, 상기 실링부의 끝단, 상기 셀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 및 상기 셀 케이스 본체의 본체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양면 테이프 또는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열전도 부재(Thermal interfac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실링부의 접힌 부분과 상기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전지셀 적층체에 포함된 복수의 전지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실링부들과 복수의 전지셀의 바닥면들 사이에 점착 물질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실링부들을 상기 점착 물질들이 위치한 방향으로 접어 상기 실링부들과 상기 바닥면들 사이를 각각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하측과 모듈 프레임의 하면부 사이에 열전도성 수지를 상기 실링부들과 접촉하도록 주입하여 열전도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들과 상기 바닥면들 사이를 각각 고정하는 단계 후, 고정 부재를 상기 접힌 실링부들을 각각 커버하도록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상기 전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은, 전지 모듈의 냉각 성능 및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지 모듈에서, 전지셀의 실링부와 전지셀의 바닥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층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A 부분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물질이 실링부들과 전지셀 바닥면들 사이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B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가 전지셀의 바닥면을 향해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B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가 실링부들이 위치한 부분에 주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이 포함된 전지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100), 전지셀 적층체(100)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200), 모듈 프레임(200)의 하면과 전지셀 적층체(100) 사이에 형성된 열전도성 수지층(500)을 포함한다.
전지셀(110)은 이차 전지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셀(11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전지셀(110)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호 적층되어 전지셀 적층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전지셀(110)은, 전극 조립체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111, 112) 및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 본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셀 케이스 본체(113)는 전극 조립체를 패키징하기 위한 것으로,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셀 케이스 본체(113)는, 제1, 2 전극 리드(111, 112)가 위치한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제1, 2 실링부(114, 115) 및 제1 2, 실링부(114, 115)와 연결되고 제1, 2 전극 리드(111, 112)가 형성되지 않은 셀 케이스 본체 모서리 부분에서 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3, 4 실링부(116, 117)를 포함한다. 실링부(114, 115, 116, 117)는 셀 케이스 본체(113)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됨과 동시에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셀 케이스 본체(113)를 밀봉할 수 있는 4면 실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2 전극 리드(111, 112)는 서로 대향하여 셀 케이스 본체(113)의 제1 실링부(114)와 제2 실링부(115)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실링부(114)와 제2 실링부(115)는 제1, 2 전극 리드(111, 112)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된다. 전지셀 적층체(100)에서, 제1, 2 실링부(114, 115)는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 부분에 형성되고, 제3, 4 실링부(116, 117)은 전지셀 적층체의 상하면 부분에 형성된다. 제3 실링부(116)는 전지셀 적층체(100)의 상면 부분에 형성되고, 제4 실링부(117)는 전지셀 적층체(100)의 하면 부분에 형성된다. 전지셀 적층체(100)의 하면 부분에 형성된 제4 실링부(117)는 열전도성 수지층(500)과 접촉할 수 있다.
모듈 프레임(200)은 전지셀 적층체(100)의 상하좌우면에서 전지셀 적층체(100) 및 이와 결합된 버스바 프레임(310) 및 상부 플레이트(320)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프레임(200)은 상하좌우면이 일체로 형성된 모노 프레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U자형 프레임 및 상기 U자형 프레임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플레이트로 형성된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20)는 전지셀 적층체(1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전지셀 적층체(100)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20)의 전후단에는 버스바 프레임(310)이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 프레임(310)의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과 결합하여 버스바 프레임(310)에 형성된 버스바를 통해 전극 리드와 버스바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내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20)와 버스바 프레임(310)은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20) 및 버스바 프레임(310)을 전지셀 적층체(100)에 결합할 때는, 상부 플레이트(320)을 전지셀 적층체(100)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 양단의 버스바 프레임(310)을 상부 플레이트(200)과의 힌지 결합을 통해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 상에서 각각을 커버하도록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 프레임(310)은 상부 플레이트(320)과 수직을 이루도록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400)는 전지셀 적층체(100) 기준 버스바 프레임(310)의 외곽에 형성되어 전지셀 적층체(100) 및 버스바 프레임(310)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4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버스바 프레임(310) 및 이와 연결된 여러 전장품을 보호하고, 프레임의 구성 요소로서 전지 모듈 마운팅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열전도성 수지는 전지셀 적층체(100)의 하측면과 모듈 프레임(200)의 하면부 사이에 주입되어 열전도성 수지층(500)을 형성할 수 있다. 열전도성 수지는 열전도성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리콘(Silicone) 소재, 우레탄(Urethan) 소재 및 아크릴(Acrylic)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수지는, 도포 시에는 액상이나 도포 후에 고화되어 전지셀 적층체(10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110)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 특성이 뛰어나 전지셀(110)에서 발생한 열을 신속히 전지 모듈의 외부로 전달하여 전지 모듈의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와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 사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전지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A-A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층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지셀(110)은,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 본체(113)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4 실링부(117)들을 포함하고, 제4 실링부(117)들은 열전도성 수지층(500) 내부에 위치하며, 셀 케이스 본체(113)의 바닥면들로 각각 접히도록 형성되고, 제4 실링부(117)의 접힌 부분과 셀 케이스 본체(113)의 바닥면(114b) 사이에는 점착층(600)이 형성된다.
종래에는 실링부(117)의 접힌 부분과, 제4 실링부(117)의 접힌 부분에 대응하는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113b) 부분 사이 공간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층으로 인해 열전도성 수지층(30)과 전지셀(10)들 간의 갭(gap)이 발생하여 전지 모듈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실링부(117)의 접힌 부분과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113b) 사이에 점착층(600)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4 실링부(117)의 접힌 부분을 점착층(600)을 통해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113b)에 고정시키고, 동시에 제4 실링부(117)의 접힌 부분과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113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공기층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이를 통해 열전도성 수지층(500)과 복수의 전지셀(110) 간의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지 모듈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층(600)은, 양면 테이프, 점착제 등의 점착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 실링부(117)와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113b) 사이 간격을 최대한 줄인 상태에서 제4 실링부(117)와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113b)을 고정시킴으로써 전지셀(110) 본체와 열전도성 수지층(500) 사이 간격을 줄임으로써 열전달에 따른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층(600)은 열전도 부재(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600)이 열전도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점착층(600)이 제4 실링부(117)와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113b) 사이를 고정시키는 기능 외에도 열전도 부재로 형성된 점착층(600) 자체를 통해 열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전지 모듈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형성된 전지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A-A 부분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실링부(117)의 접힌 부분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700)는, 제4 실링부(117)의 끝단(117e)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 실링부(117)의 끝단(117e)은 실링면들이 절단된 부분으로 절연 처리가 필요한 바, 고정 부재(700)가 제4 실링부(117)의 끝단(117e)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제4 실링부(117)의 끝단(117e)을 통한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절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고정 부재(700)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 부재(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117)의 접힌 부분의 외측면, 제4 실링부(117)의 끝단(117e), 셀 케이스 본체(113)의 바닥면(113b) 및 셀 케이스 본체면(113a)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부재(700)가 실링부(117)의 접힌 부분과 셀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113b)을 점착층(600)과 함께 고정시켜, 제4 실링부(117)와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113b) 간의 고정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700)의 일단이 제4 실링부(117)의 접힌 부분의 외측면에서 셀 케이스 본체면(113a) 일부까지 부착됨으로써, 고정 부재(700)가 제4 실링부(117)의 바닥면(113b)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고, 고정 부재(700)와 전지셀(110)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고정 부재(700)가 전지셀(110)의 하측부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B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물질이 실링부들과 전지셀 바닥면들 사이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B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가 전지셀의 바닥면을 향해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B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가 실링부들이 위치한 부분에 주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전지셀 적층체(100)의 복수의 전지셀(1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4 실링부(117)들과 복수의 전지셀(110)의 바닥면(113b)들 사이에 점착 물질(600)을 삽입하는 단계(도 6), 제4 실링부(117)들을 점착 물질(600)들이 위치한 방향으로 접어 제4 실링부(117)들과 바닥면(113b)들 사이를 각각 고정하는 단계(도 7) 및 전지셀 적층체(100)의 하측과 모듈 프레임(200)의 하면부 사이에 열전도성 수지를 제4 실링부(117)들과 접촉하도록 주입하여 열전도성 수지층(500)을 형성하는 단계(도 8)을 차례로 진행할 수 있다.
제4 실링부(117)들과 전지셀(110)의 바닥면(113b)들 사이에 점착 물질(600)을 삽입하는 단계는, 점착 물질(600)을 제4 실링부(117)의 안쪽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로, 점착 물질(600)을 제4 실링부(117)가 접히는 부분과 대응되는 바닥면(113b)들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4 실링부(117)들과 바닥면(113b)들 사이를 각각 고정하는 단계 후, 고정 부재(700)를 실링부(117)의 접힌 부분을 각각 커버하도록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전지셀은 전지 모듈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지 모듈들은 전지팩에 포함될 수 있다. 전지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하나 이상 모아서 전지의 온도나 전압 등을 관리해 주는 전지 관리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과 냉각 장치 등을 추가하여 패킹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지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부호의 설명
200: 모듈 프레임
310: 버스바 프레임
320: 상부 플레이트
400: 엔드 플레이트
500: 열전도성 수지층
117: 실링부
117e: 실링부 끝단
113a: 셀 케이스 본체면
113b: 바닥면
600: 점착층(점착 물질)
700: 고정 부재

Claims (11)

  1.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 및
    상기 모듈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전지셀 적층체 사이에 형성된 열전도성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셀은,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실링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들은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셀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들을 향해 각각 접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의 접힌 부분과 상기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 사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실링부의 접힌 부분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3. 제2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실링부의 끝단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전지 모듈.
  4. 제2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실링부의 접힌 부분 외측면, 상기 실링부의 끝단, 상기 셀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 및 상기 셀 케이스 본체의 본체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전지 모듈.
  5. 제2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전지 모듈.
  6. 제1항에서,
    상기 점착층은 양면 테이프 또는 점착제로 형성되는 전지 모듈.
  7. 제1항에서,
    상기 점착층은 열전도 부재(Thermal interface material)로 형성되는 전지 모듈.
  8. 제1항에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실링부의 접힌 부분과 상기 셀 케이스 본체 바닥면 사이를 고정시키는 전지 모듈.
  9. 전지셀 적층체에 포함된 복수의 전지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실링부들과 복수의 전지셀의 바닥면들 사이에 점착 물질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실링부들을 상기 점착 물질들이 위치한 방향으로 접어 상기 실링부들과 상기 바닥면들 사이를 각각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하측과 모듈 프레임의 하면부 사이에 열전도성 수지를 상기 실링부들과 접촉하도록 주입하여 열전도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실링부들과 상기 바닥면들 사이를 각각 고정하는 단계 후, 고정 부재를 상기 접힌 실링부들을 각각 커버하도록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1. 제1항에 따른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PCT/KR2021/003032 2020-04-22 2021-03-11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156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05213.1A CN114365332A (zh) 2020-04-22 2021-03-11 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EP21792619.5A EP4009427A1 (en) 2020-04-22 2021-03-11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7/640,622 US20220407138A1 (en) 2020-04-22 2021-03-11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2515073A JP7378875B2 (ja) 2020-04-22 2021-03-11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916 2020-04-22
KR1020200048916A KR20210130549A (ko) 2020-04-22 2020-04-22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661A1 true WO2021215661A1 (ko) 2021-10-28

Family

ID=7826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3032 WO2021215661A1 (ko) 2020-04-22 2021-03-11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07138A1 (ko)
EP (1) EP4009427A1 (ko)
JP (1) JP7378875B2 (ko)
KR (1) KR20210130549A (ko)
CN (1) CN114365332A (ko)
WO (1) WO202121566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402A (ko)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60233465A1 (en) * 2014-07-31 2016-08-11 Lg Chem, Ltd. Battery module
KR20170055144A (ko) * 2015-11-11 2017-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중 절곡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20180020546A (ko) *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200003600A (ko) * 2018-07-02 2020-01-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9684B2 (ja) * 2009-06-03 2014-06-04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2014049224A (ja) * 2012-08-30 2014-03-17 Sanyo Electric Co Ltd ラミネート外装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JP7212470B2 (ja) * 2018-07-27 2023-01-25 マクセル株式会社 ラミネート電池及びラミネート電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3465A1 (en) * 2014-07-31 2016-08-11 Lg Chem, Ltd. Battery module
KR20160041402A (ko)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55144A (ko) * 2015-11-11 2017-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중 절곡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20180020546A (ko) *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200003600A (ko) * 2018-07-02 2020-01-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65332A (zh) 2022-04-15
JP2022547926A (ja) 2022-11-16
US20220407138A1 (en) 2022-12-22
JP7378875B2 (ja) 2023-11-14
EP4009427A1 (en) 2022-06-08
KR20210130549A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77275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7052050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0197208A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0075988A1 (ko) 공간 절약형 icb 조립체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
WO2018199521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1177607A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080115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1107395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14966A1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026285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025114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0251143A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215431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07105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1080124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060735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WO2020171392A1 (ko) 배터리 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WO202206567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65673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19653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1071053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3506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30785A1 (ko)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및 전지 모듈 제조 방법
WO2022025483A1 (ko)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215661A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926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1507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926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304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