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06451A2 -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06451A2
WO2021206451A2 PCT/KR2021/004360 KR2021004360W WO2021206451A2 WO 2021206451 A2 WO2021206451 A2 WO 2021206451A2 KR 2021004360 W KR2021004360 W KR 2021004360W WO 2021206451 A2 WO2021206451 A2 WO 2021206451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ate
pinion
axis
main body
rot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43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1206451A3 (ko
Inventor
김광일
장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맥
(주)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맥, (주)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맥
Publication of WO202120645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06451A2/ko
Publication of WO202120645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06451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unfolding or folding a flexible display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 a flexible display panel is a display panel that can be bent to a predetermined curvature.
  • a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processor is mainly us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processor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substrate.
  • Such a flexible display panel is being manufactured as a touch screen capable of, for example, a capacitive or pressure-sensitive touch input so as to receive a user's command by a touch method.
  • a conventional portable foldable display device that is,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flexible display panel capable of a touch input as described above.
  • Such a conventional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forms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folde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can be bent in a curvature shape at a portion where a pair of bodies support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are hinged to each other.
  • hinge modules have disadvantages such 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a thick thickness at the hinge part to be folded.
  • Patent Document 1 Patent Publication 10-2018-0071900
  • Patent Document 2 Patent Publication 10-2017-0022685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hinge modul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flexible display is applied is folded, its thickness can be reduced, and the structure is relatively uncomplicated. It aims to provide a hinge module.
  • a folding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 first plat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bout the X axis; a second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bout the X axis; a pinion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about the Z axis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 first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n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so that the first plate rotates about the X axis and the pinion rotates about the Z axis together.
  • a second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n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the second plate rotating about the X-axis and the pinion rotating about the Z-axis together;
  • a flexible display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directed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pinion in the main body. and when the first plate rotates about the X-axis, the pinion rotates about the Z-axis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as the pinion rotates about the Z-axis, the second connection
  • the secon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X-axis by the member.
  •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first pl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plate ar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Y-axis direction, so that the gap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deployed is determined by rotat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the X-axis direction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folded. closer than the gap when there is.
  • a first rotational shaft and a second rotational shaft ar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pinion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are 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 a first holder portion rotating while surrounding a first rotation shaft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and a second holder rotating while wrapping a second rotation shaft o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An addition is formed.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position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inion.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rack gear gear-coupled to the pinion and movably mounted in the Y-axis direction; a first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rack gea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plate,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gear-coupled to the pin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ack gear and is coupled to the Y-axis a second rack gear mounted movably in the direction; A second link has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rack gea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nd when the pinion rotates,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linearly move in opposite directions.
  • a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eaf spring, and a locking groove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is sea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nion. It is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when deployed to.
  • It has a relatively uncomplicated structure and is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to which a flexible display is applied, so that when the hinge module is folded, its thickness can be reduced.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forms a larger gap than the 180 degree unfolded state, so the flexible display disposed therebetween can be stably folded in the spa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nge module in a deploy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ed state of a hin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ide operation process diagram of a hin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of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hin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the folding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first plate 20, a second plate 30, and a pinion 40 and , a first connection member 50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60 and the like.
  • the main body 10 has an open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grooves for mount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 a first rotation shaft 11 and a second rotation shaft 12 ar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pinion 40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long the X-axis direction on the main body 10 .
  • first rotation shaft 1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12 are no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but ar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
  • first rotation shaft 1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12 are both arranged in the X-axis direction, but not on the same line but along the X-axis spaced apart in parallel in the Y-axis direction, so that the first rotation shaft 1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12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 the first plate 20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bout the X axis.
  • a first holder part 21 which rotates while surrounding the first rotation shaft 11 formed on the main body 10 is formed under the first plate 20 .
  • the second plate 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about the X axis.
  • a second holder part 31 which rotates while surrounding the second rotation shaft 12 formed on the main body 10 is formed under the second plate 30 .
  •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rotate about different axes, that is, the first rotation shaft 1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12, respectively,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 the first rotational shaft 11, which is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12, which is the rotational central axis of the second plate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 first rotation shaft 1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12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Y-axi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 It is eccentrically located.
  •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first plate 20,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first plate 20, and the central point of the main body 10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Y-axis direction.
  • FIGS. 4 (a) and 5 (a). is the interval when the Y-axis direction is develop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shown in FIGS. 4 (b) and 5 (b) are in the X-axis direction. It becomes closer than the gap when it is rotated and placed.
  • the mutual spacing is narrow, and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are rotated by 90 degrees, respectively.
  • the mutual spacing becomes wider.
  • a flexible display (not shown)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rotated when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are rotated. folded or unfolded.
  • the flexible display that is folded therebetween is no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to be arranged,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can be safely folded and accommodated.
  • the pinion 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about the Z axis between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
  • the pinion 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on shaft 1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12 .
  •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pinion 40 in the main body 10 .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inion 4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20 .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0 connects the pinion 40 and the first plate 20 so that the first plate 20 rotates about the X axis and the pinion 40 moves along the Z axis.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center should be made together.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inion 4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30 .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0 connects the pinion 40 and the second plate 30 so that the second plate 30 rotates about the X axis and the pinion 40 moves along the Z axis.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center should be made together.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0 are position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inion 40 ,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20 .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30 .
  • the pinion 40 rotates about the Z-axis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0, and the pinion 40 rotates about the Z-axis
  • the second plate 30 is rotated about the X axis b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0 as the rotational movement moves.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0 includes a first rack gear 51 and a first link 52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0 includes a second rack gear 52 and a second link. It consists of a link 62 .
  • the first rack gear 51 is gear-coupled to the pinion 40 and is movably mounted in the Y-axis direction.
  • the first link 52 has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rack gear 51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plate 20 .
  • the second rack gear 52 is gear-coupled to the pinion 40 and is mounted movably in the Y-axis direction.
  • the second rack gear 52 is coupled to the pinion 4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ack gear 51 , and is movably moun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rack gear 51 . .
  • the second link 62 has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rack gear 52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plate 30 .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eaf spring 70 coupled to the main body 10 while being disposed on the pinion 40 .
  • the lower portion of the leaf spring 7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inion 40 so that the pinion 40 maintains its position without being arbitrarily rotated in a free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 a locking protrusion 7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eaf spring 70 , and a locking groove 41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71 is seated as shown in FIG. 6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nion 40 . is formed.
  • the locking protrusion 7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inion 40 and rotates when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are fully deployed 180 degrees in opposite directions. It is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41 so that the deployed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can be maintained in a deployed state.
  • the locking protrusion 71 is seated in a separate groove and is folded. You may want to keep it as is.
  • a plurality of the locking protrusions 71 and the locking grooves 41 may be formed.
  • the user rotates the first plate 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late 30 is arranged.
  • the first plate 20 is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shaft 11, an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4 (b) and 5 (b), the first link 52 and the second The pinion 40 is rotated by the first rack gear 51 .
  • the second rack gear 52 disposed opposite the first rack gear 51 linearly moves while the second plate 30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link 62 . ) rotates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plate 20 around the second rotation shaft 12 .
  • the second plate 30 automatically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late 20, and as shown in FIG. 3, the first plate 20 ) and the second plate 30 are rot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and in this case, the flexible display is folded between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
  • the thickness of the hinge module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reduced. It can be made thin,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folded, the flexible display can be stably accommodated.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forms a larger gap than the 180 degree unfolded state, so the flexible display disposed therebetween. can be stably folded in that space.
  • the folding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전개 또는 접철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은, 제1플레이트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할 때 피니언은 제1연결부재에 의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피니언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제2연결부재에 의해 제2플레이트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여,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에 결합된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전개 또는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전개 또는 접철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display panel)은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이러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이러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제작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폴더블디스플레이 장치 즉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터치 입력 가능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몸체가 서로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의 절첩 부분이 곡률 형태로 휘어질 수 있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위와 같은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개폐하기 위한 다양한 힌지모듈이 현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힌지모듈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접혀지는 힌지부분에서 두께가 두껍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공개특허 10-2018-0071900
(특허문헌 2) 공개특허 10-2017-002268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힌지모듈이 접혀졌을 때 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은,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메인바디에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피니언과; 일단이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가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과 상기 피니언이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가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과 상기 피니언이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결합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메인바디에서 상기 피니언을 기준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할 때, 상기 피니언은 상기 제1연결부재에 의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플레이트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바디에 대한 상기 제1플레이트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회전중심축은,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Y축방향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전개되었을 때의 간격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X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접혀져 있을 때의 간격보다 가깝다.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기 피니언의 양측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제1회전축을 감싸면서 회전하는 제1홀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제2회전축을 감싸면서 회전하는 제2홀더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에 기어 결합되고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랙기어와; 일단이 상기 제1랙기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1랙기어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피니언에 기어 결합되고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랙기어와; 일단이 상기 제2랙기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에 결합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니언의 회전시 상기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상기 피니언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메인바디에 결합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의 하부는 상기 피니언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피니언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회전없이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의 하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안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피니언의 상면에 접하다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개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에 안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비교적 복잡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힌지모듈이 접혀졌을 때 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특히,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접혀졌을 때,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상호간의 간격은 180도로 전개된 상태보다 더 큰 간격을 형성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배치된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안정적으로 그 공간에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이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의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의 측면 작동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의 평면 작동과정도,
도 6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0)와,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와, 피니언(40)과, 제1연결부재(50)와, 제2연결부재(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X축, Y축, Z축의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메인바디(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술한 구성들이 장착되기 위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바디(10)에는 상기 피니언(40)의 양측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회전축(11)과 제2회전축(1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11)과 제2회전축(12)은 일직선으로 배치된 것이 아니라, 상기 메인바디(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기 제1회전축(11)과 제2회전축(12)은 모두 X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동일선이 아니라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X축을 따라 배치됨으로서, 상기 제1회전축(11)과 제2회전축(12)은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일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20)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바디(10)에 형성된 상기 제1회전축(11)을 감싸면서 회전하는 제1홀더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3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타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30)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바디(10)에 형성된 상기 제2회전축(12)을 감싸면서 회전하는 제2홀더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는 서로 다른 축 즉 상기 제1회전축(11)과 제2회전축(12)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하게 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플레이트(20)의 회전중심축인 상기 제1회전축(11)과 상기 제2플레이트(30)의 회전중심축인 상기 제2회전축(12)은 Y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11)과 제2회전축(12)은 상기 메인바디(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Y축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0)의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되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20)의 회전중심축, 상기 제1플레이트(20)의 회전중심축 및 상기 메인바디(10)의 중심점은 Y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의 회전구조에 의해,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는 Y축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개되었을 때의 간격이,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X축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치되었을 때의 간격보다 가깝게 된다.
즉,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는 180도 간격으로 전개되었을 때의 상호 간격이 좁고,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각각 90도 회전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었을 때의 상호 간격이 더 넓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의 회전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접혀지거나 전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Y축방향으로 전개되었을 때보다 X축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었을 때의 간격이 더 크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 접혀지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공간을 넓힐 수 있어,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안전하게 접혀지면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니언(40)은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에서 상기 메인바디(10)에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피니언(40)은 상기 제1회전축(11)과 제2회전축(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는 상기 메인바디(10)에서 상기 피니언(40)을 기준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50)는 일단이 상기 피니언(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2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1연결부재(50)는 상기 피니언(40)과 제1플레이트(20)를 연결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20)가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과 상기 피니언(40)이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50)는 일단이 상기 피니언(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3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2연결부재(60)는 상기 피니언(40)과 제2플레이트(30)를 연결하여, 상기 제2플레이트(30)가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과 상기 피니언(40)이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50)와 제2연결부재(60)는 상기 피니언(4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재(50)는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60)는 상기 제2플레이트(30)와 연결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20)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할 때, 상기 피니언(40)은 상기 제1연결부재(50)에 의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40)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재(60)에 의해 상기 제2플레이트(30)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피니언(40)이 회전을 할 때, 상기 제1연결부재(50)와 제2연결부재(6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각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를 회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0)는 제1랙기어(51)와 제1링크(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재(60)는 제2랙기어(52)와 제2링크(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랙기어(51)는 상기 피니언(40)에 기어 결합되고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링크(52)는 일단이 상기 제1랙기어(5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랙기어(51)가 직선이동하면 상기 피니언(4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4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랙기어(51)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랙기어(51)의 직선이동시 상기 제1링크(52)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1플레이트(20)가 상기 제1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랙기어(52)는 상기 피니언(40)에 기어 결합되고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2랙기어(52)는 상기 제1랙기어(51)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피니언(40)에 결합되고, 상기 제1랙기어(51)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링크(62)는 일단이 상기 제2랙기어(5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30)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랙기어(52)가 직선이동하면 상기 피니언(4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4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랙기어(52)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랙기어(52)의 직선이동시 상기 제2링크(62)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2플레이트(30)가 상기 제2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40)의 회전시 상기 제1랙기어(51)와 제2랙기어(5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제1링크(52) 및 제2링크(62)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개되거나 회전하여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피니언(40)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메인바디(10)에 결합되는 판스프링(7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판스프링(70)의 하부는 상기 피니언(40)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피니언(40)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임의로 회전됨이 없이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판스프링(70)의 하면에는 걸림돌기(7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40)의 상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71)가 안착되는 걸림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71)는 상기 피니언(40)의 상면에 접하다가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180도 완전 전개되었을 때 회전된 상기 피니언(40)의 상기 걸림홈(41)에 안착되어, 전개된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전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서로 평행하게 Z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즉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접혀졌을 때에도 상기 걸림돌기(71)가 별도의 홈에 안착되어 접혀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돌기(71)와 걸림홈(41)은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도 4(a),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의 상면에 결합되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전개된 상태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접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플레이트(20)를 상기 제2플레이트(30)가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플레이트(20)는 상기 제1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52) 및 제1랙기어(51)에 의해 상기 피니언(40)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4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랙기어(51)의 반대편에 배치된 상기 제2랙기어(52)는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제2링크(62)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2플레이트(30)는 상기 제2회전축(12)을 중심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플레이트(20)만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제2플레이트(30)는 자동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20)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되게 되며, 이때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에서 접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전개되었을 때의 간격과 접혀졌을 때의 간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전개된 상태에서는 힌지 모듈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를 접혔을 때에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접혀졌을 때,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 상호간의 간격은 180도로 전개된 상태보다 더 큰 간격을 형성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안정적으로 그 공간에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5)

  1.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메인바디에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피니언과;
    일단이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가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과 상기 피니언이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가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과 상기 피니언이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결합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메인바디에서 상기 피니언을 기준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할 때, 상기 피니언은 상기 제1연결부재에 의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플레이트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며,
    상기 메인바디에 대한 상기 제1플레이트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회전중심축은,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에 기어 결합되고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랙기어와;
    일단이 상기 제1랙기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1랙기어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피니언에 기어 결합되고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랙기어와;
    일단이 상기 제2랙기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에 결합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니언의 회전시 상기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Y축방향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전개되었을 때의 간격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X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접혀져 있을 때의 간격보다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기 피니언의 양측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제1회전축을 감싸면서 회전하는 제1홀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제2회전축을 감싸면서 회전하는 제2홀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메인바디에 결합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의 하부는 상기 피니언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피니언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회전없이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하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안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피니언의 상면에 접하다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개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PCT/KR2021/004360 2020-04-07 2021-04-07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WO2021206451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151 2020-04-07
KR1020200042151A KR102152040B1 (ko) 2020-04-07 2020-04-07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6451A2 true WO2021206451A2 (ko) 2021-10-14
WO2021206451A3 WO2021206451A3 (ko) 2021-11-25

Family

ID=7247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4360 WO2021206451A2 (ko) 2020-04-07 2021-04-07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2040B1 (ko)
WO (1) WO202120645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3284A (zh) * 2022-06-28 2022-09-20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折叠机构及柔性显示面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9068A (zh) 2020-10-31 2022-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铰链机构及可折叠的电子设备
CN114338864A (zh) 2020-09-30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113883156A (zh) 2020-07-01 2022-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模组及折叠式电子设备
CN112995368B (zh) 2019-12-13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铰链和移动终端
KR102152040B1 (ko) * 2020-04-07 2020-09-04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KR102256305B1 (ko) * 2020-05-26 2021-05-27 주식회사 파츠텍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KR102257326B1 (ko) * 2020-12-03 2021-05-31 주식회사 파츠텍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및 이것이 적용된 노트북
EP4184902A4 (en) 2020-12-18 2024-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479942B1 (ko) * 2021-02-02 2022-12-22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KR20220165967A (ko) * 2021-06-09 2022-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0065A (ko) 2021-08-02 2023-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42067B1 (ko) * 2021-10-19 2023-06-12 주식회사 파츠텍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1040A1 (en) * 2004-12-27 2006-07-06 Phoenix Korea Co., Ltd.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being folded or unfolded by rotation and coupling device for use in the same
KR20130104523A (ko) * 2012-03-14 2013-09-25 주식회사 세네카 폴딩 힌지 모듈
KR101452871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47640B1 (ko) * 2013-09-16 2015-08-27 (주) 프렉코 가이드부재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KR101762132B1 (ko) 2015-08-21 2017-07-27 (주) 프렉코 플렉시블 힌지 링크 장치
KR20180071900A (ko) 2016-12-19 2018-06-28 박현민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KR102152040B1 (ko) * 2020-04-07 2020-09-04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3284A (zh) * 2022-06-28 2022-09-20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折叠机构及柔性显示面板
CN115083284B (zh) * 2022-06-28 2023-11-2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折叠机构及柔性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040B1 (ko) 2020-09-04
WO2021206451A3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06451A2 (ko)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WO2021241771A1 (ko)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WO2013180373A1 (en) Hinge apparatus and compu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108022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ustproof structure
WO2016199975A1 (ko) 연동구조를 가지는 플렉시블 힌지 장치
WO2019190213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WO2019029011A1 (zh) 一种显示装置
WO2021085985A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접히는 힌지
WO2021091331A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인폴딩타입힌지
WO2020138988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WO2012134132A2 (ko) 슬라이딩 및 틸팅 가능한 태블릿 컴퓨터
WO2022145917A1 (ko)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WO2022045600A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접는 방법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
WO2022131491A1 (ko)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58910A1 (ko)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2157873A2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WO2020230988A1 (ko) 플렉시블 소재의 360도 양방향 폴딩 내구성 평가 장치
WO2022118998A1 (ko) 폴더블 힌지장치
WO2010128715A1 (ko) 폴더형 휴대폰용 힌지모듈
WO2024048903A1 (ko) 전자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케이스
WO2024080572A1 (ko) 전자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케이스
WO2024039118A1 (ko) 휴대단말기용 360도 힌지 모듈
WO2024080608A1 (ko)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27496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WO2023033335A1 (ko)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843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843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