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87714A1 -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87714A1
WO2021187714A1 PCT/KR2020/015858 KR2020015858W WO2021187714A1 WO 2021187714 A1 WO2021187714 A1 WO 2021187714A1 KR 2020015858 W KR2020015858 W KR 2020015858W WO 2021187714 A1 WO2021187714 A1 WO 20211877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aphthol
fine dust
exposure
sample
hp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58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미희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4980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17908A/ko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11877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877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2Mass spect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4Optical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01N2030/067Preparation by reaction, e.g. derivatising the sam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13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exposure to fine dust, a method for detect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diagnosing exposure to fine dust using the same.
  • Fine dust is a very small substance that is invisible to the eye and refers to particulate matter with a diameter of 10 ⁇ m or less that floats or is blown down in the atmosphere for a long time. It is an air pollutant that is emitted when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oil are burned or from exhaust gases such as manufacturing and automobile fumes, and is adsorbed into the lungs through the bronchi and causes various lung diseases.
  • dust is divided into total dust, fine dust with a diameter of 10 ⁇ m or less (PM 10), and fine dust with a diameter of 2.5 ⁇ m or less (PM 2.5).
  • Fine dust consists of ionic components such as nitrate (NO), ammonium (NH), and sulfate (SO), carbon compounds, and metal compounds.
  • ultrafine dust with a diameter of 2.5 ⁇ m or less easily penetrates deep into the bronchial tubes and lungs in the human body and can cause various diseases by attaching to the bronchial tubes and lungs.
  • 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benzo(a) pyrene were designated as first-class carcinogens.
  •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colds, asthma, bronchitis, etc., as well as cardiovascular diseases, skin diseases, and eye diseases can be exposed to various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whether or not exposure to fine dust is present, and provides a more convenient and economical analysis condition using HPLC/FLD to provide a diagnostic method that can predict individual exposure to fine dust in the human body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exposure to fine dust containing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a sample of a mammal exposed to fine dust; pre-processing the collected sample; simultaneously confirming 1-naphthol and 2-naphthol levels in the pre-treated sample; and comparing the increased levels of 1-naphthol and 2-naphthol with a control group.
  • the sample pretreatment process and HPLC/FLD analysis conditions may be provided as a method for diagnosing whether exposure to fine dust is present.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ample pretreatment process for detecting 1-naphthol and 2-naphthol from a sample exposed to ultrafine dust.
  • Figure 3 is the chemical formula of 1-naphthol and 2-naphthol
  • Figure 3 (A) is the HPLC analysis result confirming the level of 1-naphthol and 2-naphthol from the pretreated sample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as a biomarker for predicting individual exposure to fine dust and the amount of exposure to fine dust by confirming the level change of 1-naphthol and 2-naphthol in the urine, and to improve reliability as this biomarker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a method for simultaneously quantifying 1-naphthol and 2-naphthol using sample pre-treatment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exposure to fine dust containing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th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naphthol (1-naphthol) and 2-naphthol (2-naphthol).
  • the fine dust may be ultrafine dust of PM 2.5,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Korean fine dus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a sample of a mammal exposed to fine dust; pre-processing the collected sample; simultaneously confirming 1-naphthol and 2-naphthol levels in the pre-treated sample; and comparing the 1-naphthol and 2-naphthol increase levels with a control method.
  • the sampl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rum, tissue and urine, and more preferably ur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tep of pre-treating the collected sample may include treating 0.54 to 0.66 parts by weight of sodium acetate and 2.25 to 2.75 parts by weight of a hydrolas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ample, followed by culturing for 4 to 6 hours to hydrolyze.
  • the hydrolase may b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a-glucuronidase and sulfatase.
  • beta-glucuronida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sulfatase.
  • the 2-naphthol may be detected at an excitation wavelength of 227 nm (Ex) and an emission wavelength of 355 nm (Em) of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 the 1-naphthol may be detected at an excitation wavelength of 290 nm (Ex) and an emission wavelength of 485 nm (Em) of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a sample of a mammal exposed to fine dust; pre-processing the collected sample; simultaneously confirming 1-naphthol and 2-naphthol levels in the pre-treated sample; and comparing the 1-naphthol and 2-naphthol increase levels with a control group.
  • the diagnostic method may further determine the level of 1-naphthol increase in the sample sample of a mammal exposed to fine dust.
  • the step of confirming the level of 2-naphthol in the pre-treated sample may be analyz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or LC/MS/M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have.
  • HPLC/FL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 LC/MS/M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e of chromatography used to separate and purify trace substances by injecting a liquid fluidized bed at high pressur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nonvolatile chemical species or thermally unstable substances.
  •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Various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such as inorganic ions, proteins, peptides, amino acids, lipids, carbohydrates, etc. It has been widely applied to materials in many scientific fields and public health fields by separating and refining it.
  • snail (Helix pomatia)-derived beta-glucuronidase (type H-2, beta-glucuronidase ⁇ 85,000 units/ml; sulfata No. ⁇ 7,500 units/ml; Sigma-Aldrich, St. Louis, Missouri, United States) was added 10 ⁇ l and incubated with shaking in a water bath at 37° C. for 5 hours to complete hydrolysis, 500 ⁇ l of acetonitrile was added, and centrifuged to centrifuge the supernatant was put into HPLC or LC/MS/MS and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 snail (Helix pomatia)-derived beta-glucuronidase type H-2, beta-glucuronidase ⁇ 85,000 units/ml; sulfata No. ⁇ 7,500 units/ml; Sigma-Aldrich, St. Louis, Missouri, United States
  • the amount of change in the level of 2-naphthol in the urine may be provided as a biomarker for diagnosing whether or not exposure to fine dust is present and confirming the exposure amount.
  • 2-naphthol in urine can be used as a biomarker for predicting individual exposure to fine dust exposure and the amount of exposure, sample pretreatment and high-speed liquid chromatography to improve reliability as such a biomarker -
  • the conventional liquid-liquid extraction method is a complicated process and takes a lot of time, and the solid phase exchange method has a high analysis cost.
  • the optimal excitation and emission wavelengths for HPLC/FLD use were confirmed, and the mobile phase gradient (concentration gradient method of two mobile phases with different polarities) was confirmed to shorten the analysis run time.
  • a urine sample was pretre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2 .
  • 400 ⁇ l of a urine sample is taken, and 200 ⁇ l of 0.2M sodium acetate (pH 5.0) and beta-glucuronidase ⁇ 85000 Units/ml + Sulfatase ⁇ 7,500 Units/ml Hydrolysis was performed by adding 10 ⁇ l of hydrolase and incubating at 37° C. for 5 hours.
  • the supernatant was injected into HPLC/FLD or LC/MS/MS.
  • the urine sample pretreated by the above process was analyzed by HPLC/FL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 HPLC system Vaccuum degasser, YL9101; Binary pump, YL9111; Auto-sampler, YL9150; Column oven, YL9131; Fluorescence detector, Jasco FP-2020 plus
  • the level of 2-naphthol and 1-naphthol from the pretreated sample was confirmed as shown in FIG. 3 by performing HPLC under the above analysis conditions and using a fluorescence detector (FLD).
  • the calibration curve is 1-naphthol, 0.30-77.5 ⁇ g/L, ; Linearity was ensured at 2-naphthol, 0.27-68.75 ⁇ g/L.
  • 2-naphthol which is detected at a slightly higher concentration than 1-naphthol,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us is suggested as a selective indicator.
  • the sample pretreatment process and analysi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nformation for diagnosing whether or not exposure to fine dust is present by detecting biomarkers from urine simply, economically, and easi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의 검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미세먼지 노출량이 증가할수록 소변 내 2-나프톨 (2-naphthol) 수준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소변 내 2-나프톨 수준 변화는 한국형 미세먼지의 주성분 중 하나인 다환족방향성탄화수소류의 노출을 반영함으로써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 여부 진단 및 노출량 확인을 위한 바이오마커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 따른 시료 전처리 과정 및 HPLC/FLD 분석 조건은 종래의 분석 방법들의 문제점이었던 간편성 및 경제성을 해결하여 보다 정확하게 비침습적인 시료, 소변에서 1-나프톨 또는 2-나프톨의 수준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시료 전처리 과정 및 HPLC/FLD 분석 조건은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본 발명은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의 검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로 대기 중에 오랫동안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직경 10 μm 이하의 입자상 물질을 말한다.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또는 제조업·자동차 매연 등의 배출가스에서 나오며, 기관지를 거쳐 폐에 흡착되어 각종 폐질환을 유발하는 대기오염물질이다.
현재, 가속화되고 있는 중국의 산업화로 인한 중국발 미세먼지가 우리나라 오염물질의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문제가 되고 있는데, 특히 석탄 의존도가 70% 가량되는 중국은 석탄연료 사용이 증가하는 겨울철에 스모그가 자주 발생되고, 이것이 서풍 또는 북서풍 계절의 바람을 타고 우리나라로 날라와 우리나라에서 배출된 오염물질과 함께 혼합·축적되어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스모그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총먼지, 지름이 10μm 이하인 미세먼지(PM 10), 지름이 2.5μm 이하인 미세먼지(PM 2.5)인 초미세먼지로 나뉜다. 미세먼지는 질산염(NO), 암모늄(NH), 황산염(SO)등의 이온 성분과 탄소화합물, 금속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직경 2.5μm 이하인 초미세먼지는 인체 내 기관지 및 폐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기 쉬워 기관지, 폐 등에 붙어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 및 미세먼지에 들어있는 탄소화합물, 즉 벤조(a) 파이렌 등 다수의 다환족 방향성탄화수소류(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를 1급 발암 물질로 지정했다. 또한,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면역력이 급격기 저하되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은 물론 심혈관 질환, 피부질환, 안구질환 등 각종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에 대한 PM2.5의 잠재적 위해성에도 불구하고 PM2.5의 위해성 평가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미세먼지 노출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 미흡하며, 종래의 분석방법인 액-액 추출법 (liquid-liquid extraction)은 복잡한 과정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고상 추출법 (solid phase exchange)은 높은 분석비용이 문제가 됨에 따라,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미세먼지 노출 여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진단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미세먼지 노출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하며, HPLC/FLD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인 분석 조건을 제공하여 개인별 인체 내 미세먼지 노출을 예측할 수 있는 진단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환족방향성탄화수소류(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에 노출된 포유동물의 시료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시료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시료 내에서 1-나프톨 및 2-나프톨 (naphthol) 수준을 동시에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1-나프톨 및 2-나프톨 증가 수준을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먼지 노출량이 증가할수록 소변 내 1-나프톨 (1-naphthol) 및 2-나프톨 (2-naphthol) 수준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소변 내 1-나프톨 및 2-나프톨 수준 변화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 및 노출량 확인을 위한 바이오마커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 따른 시료 전처리 과정 및 HPLC/FLD 분석 조건은 종래 분석 방법들의 문제점이었던 간편성 및 경제성을 해결하고 보다 정확하게 1-나프톨 및 2-나프톨 수준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시료 전처리 과정 및 HPLC/FLD 분석 조건은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초미세먼지 노출량(지역노출량-AirKorea, 개인노출량-휴대용미세먼지측정기)과 소변 내 2-나프톨 (2-naphthol) 농도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비례를 확인한 결과로, 소변 내 2-나프톨 수준이 미세먼지 노출 수준을 매우 잘 반영함을 확인한 결과이다 (N=56, p<0.01; N=39, p<0.05, 회귀분석). 따라서 소변 중 소변 내 2-나프톨 (2-naphthol)농도로부터 개인이 PM2.5에 노출된 정도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시료로부터 1-나프톨 및 2-나프톨을 검출하기 위한 시료 전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1-나프톨 및 2-나프톨 화학식과 도 3(A)는 전처리된 시료로부터 1-나프톨 및 2-나프톨을 수준을 확인한 HPLC 분석 결과이며, 도 3(B)는 소변내 1-나프톨과 2-나프톨의 상관관계(p=0.0047)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HPLC에서 1-나프톨 및 2-나프톨을 각각 RT 18.8분 및 RT 15.2분에서 동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소변 내 1-나프톨 및 2-나프톨의 수준변화 확인을 통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개인별 노출여부 및 노출량 예측을 위한 생체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생체 지표로써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시료 전처리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HPLC/FLD)를 이용하여 1-나프톨 및 2-나프톨을 동시에 정량하는 방법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다환족방향성탄화수소류(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환족방향성탄화수소류는 1-나프톨 (1-naphthol) 및 2-나프톨 (2-napht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는 PM 2.5인 초미세먼지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한국형 미세먼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에 노출된 포유동물의 시료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시료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시료 내에서 1-나프톨 및 2-나프톨 (naphthol) 수준을 동시에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1-나프톨 및 2-나프톨 증가 수준을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료는 혈청, 조직 및 소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수집된 시료를 전처리하는 단계는 시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초산나트륨 0.54 내지 0.66 중량부 및 가수분해효소 2.25 내지 2.75 중량부를 처리하고, 4 내지 6시간 배양하여 가수분해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 400 ㎕에 0.2M 아세트산나트륨 200 ㎕를 가하여 가수분해효소의 최적 pH인 5.0으로 맞추고, 가수분해효소 10 ㎕를 첨가하여 37℃에서 5시간 배양하여 가수분해시킨 후 가수분해된 시료에 아세토니트릴 500 μl를 첨가한 후 2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어 분석에 사용하였다.
상기 가수분해효소는 베타-글루쿠로니다제 (beta-glucuronidase) 및 술파타아제 (Sulfat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타-글루쿠로니다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술파타아제와 함께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2-나프톨 (naphthol)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HPLC/FLD)의 227 nm 여기파장 (Ex) 및 355 nm 방출파장 (Em)에서 검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1-나프톨 (naphthol)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HPLC/FLD)의 290 nm 여기파장 (Ex) 및 485 nm 방출파장 (Em)에서 검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에 노출된 포유동물의 시료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시료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시료 내에서 1-나프톨 (naphthol) 및 2-나프톨 (naphthol) 수준을 동시에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1-나프톨 및 2-나프톨 증가 수준을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단방법은 미세먼지에 노출된 포유동물의 시료 샘플에서 1-나프톨 (naphthol) 증가 수준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된 시료 내에서 2-나프톨 (naphthol)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HPLC/FLD) 또는 LC/MS/M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로 분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는 액체인 유동상을 고압으로 주입해서 미량의 물질을 분리·정제할 때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의 한 종류로, 비휘발성 화학종 또는 열적으로 불안정한 물질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기존의 크로마토그래피 (겔여과, 이온교환, 면역친화성크로마토그래피)와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어 현재 무기이온,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 지질, 탄수화물 등의 여러가지 무기·유기화합물을 분리·정제하여 많은 과학 분야 및 공중 위생 분야의 물질들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미세먼지에 노출된 시료 수집 및 분석
채뇨 하루 전 한국환경공단의 미세먼지 지역별 노출양(Airkorea) 및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기(AirBee QABE002-HYK, 위닉스, 시흥, 대한민국)에서 얻은 피험자 개인의 미세먼지노출량을 확보하고 이튿날 아침 식전 첫 소변을 수집하여 뇨 중 1-, 2-나프톨 (naphthol)이 미세먼지노출을 잘 반영하는 지 조사하였다.
소변 시료 400 ㎕를 취하고 초산완충액으로 pH5.0으로 맞춘 후, 달팽이 (Helix pomatia) 유래 베타-글루쿠로니다제(type H-2, 베타-글루쿠로니다제≥85,000 units/ml;술파타제≤7,500 units/ml; Sigma-Aldrich, St. Louis, Missouri, United States)를 10 ㎕ 가하여 37℃ 수욕에서 5시간 흔들며 배양하여 가수분해 완료 후, 아세토니트릴 500 ㎕를 첨가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HPLC 혹은 LC/MS/MS에 넣어 정량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미세먼지 노출량이 증가할수록 소변 내 2-나프톨 (2-naphthol) 수준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소변 내 2-나프톨 수준 변화량은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 및 노출량 확인을 위한 바이오마커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2> 소변을 이용한 미세먼지 노출여부 확인
앞선 실험에서 소변 내 2-나프톨은 미세먼지 노출에 대한 개인별 노출여부 및 노출량을 예측하기 위한 생체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됨에 따라, 이러한 생체 지표로서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시료 전처리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HPLC/FLD)를 이용하여 2-나프톨 이외에 다른 PAHs 대사체인 1-나프톨을 동시에 정량하는 방법을 확인하였다.
종래의 액-액 추출법 (liquid-liquid extraction)은 복잡한 과정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고상 추출법 (solid phase exchange)은 높은 분석비용이 문제가 됨에 따라,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인 분석을 위해 시료 전처리 과정과 HPLC/FLD 이용을 위한 최적의 excitation 및 emission 파장을 확인하였으며, 분석 run time 단축을 위해 이동상 구배 (극성이 다른 두 이동상의 농도 기울기법) 조건을 확인하였다.
1. 시료 전처리
미세먼지에 노출여부 확인을 위해, 도 2와 같은 과정으로 소변 시료를 전처리하였다. 먼저 소변 시료 400 ㎕를 취하여, 0.2M 초산나트륨 200 ㎕ (pH 5.0)과 베타-글루쿠로니다제 (beta-glucuronidase)≥85000 Units/㎖ + 술파타아제 (Sulfatase)≤7,500 Units/㎖로 이루어진 가수분해효소 10 ㎕를 첨가하여 37℃에서 5시간 배양하여 가수분해시켰다.
상기 과정으로 가수분해된 시료에 아세토니트릴 500 ㎕를 첨가한 후 2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상기 상등액을 HPLC/FLD 또는 LC/MS/MS에 주입하였다.
2. 시료 분석을 위한 HPLC 분석
상기 과정으로 전처리된 소변 시료를 하기와 같은 조건으로 HPLC/FLD 분석하였다.
가. HPLC 시스템 : 가스제거기(Vaccuum degasser), YL9101; 압력펌프(Binary pump), YL9111; 자동주입기(Auto-sampler), YL9150; 컬럼오븐, YL9131; 형광검출기, Jasco FP-2020 plus
나. 컬럼 : YMC-Triart C18 ExRS (250 × 4.6 mm I.D. 5 μm, 80Å)
다. 주입양 : 100 μL (Full loop)
라. 컬럼 온도 : 35 ℃
마. 유속 : 1 mL/min
바. 총 분석 시간 : 40 min
사. 이동상 : A - Type I (Ultrapure) Water, B - 100% Acetonitrile
아. 용매 기울기
Time [min] A [%] B [%] 유속 [mL/min]
0 62 38 1.00
21 62 38 1.00
26 0 100 1.00
28 0 100 1.00
33 62 38 1.00
40 62 38 1.00
자. 형광검출 (XE lamp)
2-나프톨 (naphthol, RT 15.8 분), 0-16.5분, Ex(nm): 227, Em(nm): 355
1-나프톨 (RT 19.2 min), 16.5-40분, Ex(nm): 290, Em(nm): 485
3. 분석 결과
상기 분석 조건으로 HPLC를 수행하고 형광검출기 (FLD)를 이용하여 전처리된 시료로부터 2-나프톨 및 1-나프톨의 수준을 도 3과 같이 확인하였다.
검량선은 소변에 기지농도의 표준품 (reference standard)을 가하여 1-나프톨, 0.30-77.5μg/L, ; 2-나프톨, 0.27-68.75μg/L에서 직선성을 확보하였다.
도 4를 참고하면 HPLC에서 2-나프톨은 RT 15.2분에 분리되었으며, 1-나프톨은 RT 18.8분에 분리되었으며 검출한계는 0.3ppb(μg/L)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미세먼지에 노출된 농도가 증가할수록 시료로 사용된 소변 내 1-나프톨 및 2-나프톨의 농도 증가가 확인됨에 따라, 1-나프톨 및 2-나프톨은 미세먼지 노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생체지표(biomarker)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1-나프톨에 비하여 다소 높은 농도로 검출되는 2-나프톨은 미세먼지농도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선택적 지표로 제안된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시료 전처리 과정 및 분석 방법은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손쉽게 소변으로부터 바이오마커를 검출하여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다환족방향성탄화수소류(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환족방향성탄화수소류는 2-나프톨 (2-naphthol) 및 1-나프톨 (1-napht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마커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는 PM 2.5인 초미세먼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마커 조성물.
  4. 미세먼지에 노출된 포유동물의 시료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시료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시료 내에서 1-나프톨 및 2-나프톨 (naphthol) 수준을 동시에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1-나프톨 및 2-나프톨 증가 수준을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혈청, 조직 및 소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시료를 전처리하는 단계는 시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초산나트륨 0.54 내지 0.66 중량부 및 가수분해효소 2.25 내지 2.75 중량부를 처리하고, 4 내지 6시간 배양하여 가수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된 시료 내에서 1-나프톨 및 2-나프톨 (naphthol)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HPLC/FLD) 또는 LC/MS/M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로 분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나프톨 (naphthol)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HPLC/FLD)의 227 nm 여기파장 (Ex) 및 355 nm 방출파장 (Em)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1-나프톨 (naphthol)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HPLC/FLD)의 290 nm 여기파장 (Ex) 및 485 nm 방출파장 (Em)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CT/KR2020/015858 2020-03-19 2020-11-12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WO20211877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827 2020-03-19
KR20200033827 2020-03-19
KR1020200149802A KR20210117908A (ko) 2020-03-19 2020-11-11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10-2020-0149802 2020-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714A1 true WO2021187714A1 (ko) 2021-09-23

Family

ID=7776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5858 WO2021187714A1 (ko) 2020-03-19 2020-11-12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3254A (ko)
WO (1) WO20211877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9284A (zh) * 2022-03-16 2022-06-10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人体尿液的职业复合污染暴露生物标志物的筛选和验证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04A (ko) * 1999-09-11 2001-04-06 김헌 인체의 다환성 방향족 탄화수소 폭로 수준 측정 방법
KR20130097315A (ko) * 2012-02-24 2013-09-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 시료 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대사체 분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97B1 (ko) 2014-11-12 2016-11-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pm2.5) 노출 여부 확인용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이용한 확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04A (ko) * 1999-09-11 2001-04-06 김헌 인체의 다환성 방향족 탄화수소 폭로 수준 측정 방법
KR20130097315A (ko) * 2012-02-24 2013-09-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 시료 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대사체 분석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NG-WON KANG , SOO-HUN CHO , HEON KIM , DAEHEE KANG , CHUI-HO LEE: "Urinary I-Hydroxypyrene and 2-Naphthol as a Biological Exposure Markers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 33, no. 3, 1 January 2000 (2000-01-01), pages 306 - 312, XP055851464, ISSN: 1975-8375 *
KANG JONG-WON, CHO SOO-HUN, KIM HEON, LEE CHUL-HO: "Correlation of Urinary 1-Hydroxypyrene and 2-Naphthol with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in Ambient Air in Municipal Middle-School Students in Korea",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vol. 57, no. 4, 1 July 2002 (2002-07-01), pages 377 - 382, XP055851468, ISSN: 0003-9896, DOI: 10.1080/00039890209601425 *
LI ZHENG; TRINIDAD DEBRA; PITTMAN ERIN N; RILEY ERIN A; SJODIN ANDREAS; DILLS RUSSELL L; PAULSEN MICHAEL; SIMPSON CHRISTOPHER D: "Urinar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metabolites as biomarkers to woodsmoke exposure-results from a controlled exposure study",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vol. 26, no. 3, 1 January 2016 (2016-01-01), pages 241 - 248, XP037323483, ISSN: 1559-0631, DOI: 10.1038/jes.2014.9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9284A (zh) * 2022-03-16 2022-06-10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人体尿液的职业复合污染暴露生物标志物的筛选和验证方法
CN114609284B (zh) * 2022-03-16 2023-06-02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人体尿液的职业复合污染暴露生物标志物的筛选和验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254A (ko)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98583A (zh) 一种检测新型冠状病毒n蛋白的试剂盒及其应用
CN111551712A (zh) 一种新型冠状病毒IgM/IgG二合一快速检测的试纸条、试剂盒及其制备方法
WO2019196233A1 (zh) 一种测定河口沉积物中多种内分泌干扰物含量的方法
WO2021187714A1 (ko)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Clark et al. The analysis of cocaine and benzoylecgonine in meconium
WO2016200099A2 (ko) 인간 타액 특이적 당사슬을 이용한 인간 타액 검증방법
CN111189944B (zh) 一种同时鉴别三味拳参口服液中苦参和穿心莲的方法
Kanter et al. Marijuana metabolites in urine of man: X. Identification of marijuana use by detection of Δ9-tetrahydrocannabinol-11-OIC acid using thin-layer chromatography
CN107271656B (zh) 一种蛋白质免疫印迹膜再生液
KR20210117908A (ko) 미세먼지 노출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De Benedetto et al. A new CE‐ESI‐MS method for the detection of stable hemoglobin acetaldehyde adducts, potential biomarkers of alcohol abuse
AU2021104366A4 (en) KIT FOR DETECTING DUST MITE COMPONENT-SPECIFIC IMMUNOGLOBULIN E (sIgE)
WO2021201350A1 (ko) 시분해 형광분석을 이용한 외상성 뇌손상 진단용 측방 유동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상성 뇌손상 진단방법
CN113358862A (zh) 一种三联毒品荧光免疫层析试剂纸、检测试剂盒和检测方法
CN107664696B (zh) 一种用于成人神经胶质瘤诊断的双抗体夹心法elisa试剂盒
Gorodetzky et al. Validity of screening methods for drugs of abuse in biological fluids I. Heroin in urine
Sun et al. A homogeneous enzyme-free ratiometric immunoassay for the determination of C-peptide
CN109212101A (zh) 一种鉴定哮喘生物标记物的方法及其检测试剂盒
CN213398575U (zh) 新型冠状病毒IgM/IgG快速检测的试纸条和试剂盒
Isham et al. Screening for macroamylase in a community hospital.
WO2023096393A1 (ko) 아비딘 발현 미생물을 포함하는 면역분석법 진단성능 개선용 조성물
CN112067817A (zh) 一种不同环境污染物造成dna损伤的化学发光体外评价方法
Hancock et al. Sample Pr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Biological, Chemical and Mid-Spectrum Agents
WO2019083220A1 (ko) 소변 대사체 분석을 이용한 베체트병의 진단방법
CN111307996B (zh) 一种动物性生物样品中黑碳的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251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251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