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18045A1 -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18045A1
WO2021118045A1 PCT/KR2020/014466 KR2020014466W WO2021118045A1 WO 2021118045 A1 WO2021118045 A1 WO 2021118045A1 KR 2020014466 W KR2020014466 W KR 2020014466W WO 2021118045 A1 WO2021118045 A1 WO 202111804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gps
satellite
sb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44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중조
손정락
황재민
신재민
구영훈
김자민
박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ublication of WO202111804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1804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0Integrity monitoring, fault detection or fault isolation of space seg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3Testing, monitoring, correcting or calibrating of receiver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service (LBS), and specifically, a system for loca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that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an IoT device for outdoor hybrid positioning using a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function. and methods.
  • LBS location-based service
  • SBAS Se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 IoT Internet of Things
  • LTE-MTC LTE Machine-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 technologies such as Type Communication
  • IoT IoT
  • Lora next-generation IoT access technologies.
  • LPWAN Low Power Wide Area Network
  • Each LPWAN technology needs to be competitive in terms of frequency acquisition cost, infrastructure installation cost, terminal manufacturing cost, communication quality, and communication spe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BS (Location-based service) technology of the prior art, and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that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an IoT device for outdoor hybrid positioning using the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func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that minimizes errors that may occur due to GPS errors in IoT terminals by applying SBAS technology to reduce GPS errors within a certain range. Its purpose is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 terminal for LPWA-based asset management and outdoor positioning capable of low-cost, low-power communication, and an asset control service platform that collects and manages outdoor positioning and asset status information (shock, detachment, batter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that can be constructed.
  •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IoT terminal and an asset control service platform that enable the provision of asset control services through web/mobile in the cloud based on loca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that is advantageous for early construction and operation in the actual fiel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 a system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si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GPS satellite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the received SBAS signal to users within a service area ;
  • An IoT terminal that calculates a corrected position using the GPS signal of the posi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and the SBAS correc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ostationary orbit satellite, and transmits the corrected position data to the user operation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generates correction information for correcting orbital and clock errors and ionospheric delay errors for GPS satellites that users use for position calculation, and generates integrity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a GPS signal is abnormal and transmits it to a loc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 the posi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includes a GPS satellite that provides GPS satellite information to an IoT terminal, and the correction inform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are includ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BAS message and transmitted to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tation, and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t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eostationary SBAS satellite that broadcasts the received SBAS signal to users within the service area when the SBAS message is loaded onto the SBAS signal and delivered to the geostationary satellite.
  •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includes a reference station that receives GPS signals, generates navigation data and distance measurements, and transmits them to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and use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ference station for GPS satellites that users will use for location calculations.
  •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which generates correction information for orbital and clock error and ionospheric delay error correc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GPS signal is abnormal, and the correction inform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are the international standard SBAS When it is included in the message and deliver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atellite communication station that carries the BAS message on the SBAS signal and delivers it to the geostationary satellite.
  • the IoT terminal includes a GPS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GPS satellite information provided from a GPS satellite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and SBAS correction information that processes SBAS corr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eostationary orbit SBAS satellite to be used for location calculation
  • a GPS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GPS satellite information provided from a GPS satellite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 SBAS correction information that processes SBAS corr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eostationary orbit SBAS satellite to be used for location calculation
  • a reliable accurate location using a processing unit an integrit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ostationary SBAS satellite to be used for location calculation, and the GPS signal and SBAS correc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ostationary SBAS satelli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nd a corrected position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data corrected by the position calculation unit to the user operation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load balancing is applied based on the terminal sleep time, and the load balancing application time is ⁇ of the terminal sleep time. It is set within the 5% range, and it is characterized by applying a load balancing process to reduce network overload by using the difference in the time when each terminal wakes up from sleep mode.
  • the IoT terminal is turned on and attached to the asset control target, monitors the asset control target according to a set cycle rule, sets the basic 8-hour cycle to save battery, attaches and detaches the terminal, and an event including a shock above the threshold In case of occurre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monitoring data every hour.
  • the IoT terminal receives GPS satellite information to obtain position information in order to reduce the GPS error within a certain range by applying the SBAS technology.
  • receiving GPS signals from the reference station generating navigation data and distance measurements,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to determine orbits for GPS satellites that users will use for location calculations; Generating correction information for correcting clock error and ionospheric delay error and generating integrity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GPS signal is abnormal; including the correction inform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BAS message Transmitting the SBAS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station;
  •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tation loads the SBAS message on the SBAS signal and delivers it to the geostationary SBAS satellite, and the geostationary SBAS satellite broadcasts the received SBAS signal to users within the service area; Calculating a location using the SBAS correc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ostationary orbit satellite and transmitting it to a
  • the terminal performs network registration for data transmission
  • the terminal waits for a response to (A1) from the network for n seconds, ( C1) If network registration fails, repeating section (A1 ⁇ C1) n times, and resetting 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if network registration fails despite repeating section (D1) (A1 ⁇ C1) n times Step, (E1) (A1 to D1) is repeated n times, but if network registration fails, waiting for n seconds and turning off the communication modem, (F1) (A1 to E1) is repeated n times If network registration fails despite the execution, the terminal enters a sleep mode.
  • (A2) the terminal performing network registration for data transmission, (B2) registering the terminal to the server, (C2) the terminal from the server to (B2)
  • (D2) repeating the section (B2 ⁇ D2) n times if the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fails, and repeating the section (E2) (B2 ⁇ D2) n times and resetting 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if the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fails, and (F2) (B2 ⁇ E2) step of turning of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standby for n seconds if the server registration fails despite repeated n times
  • (G2) (A2 ⁇ F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entering a sleep mode when the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fails despite the repetition of the section n times.
  • the terminal performs network registration for data transmission, (B3) registers the terminal with the server, and (C3) the terminal transmission period set in the server Transmitting, by the server, terminal command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rge threshold, the vibration collection period, and the event mode off value to the terminal, (D3) the terminal waiting for a response to (C3) from the server for n seconds, ( E3) If it fails to receive the remote command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e section (C3 ⁇ E3) is repeated n times, and if the remote command information is not received in (D3), determining that the remote command setting is a failure; (F3) If the remote command setting fails in the section (E3), th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ep of moving from the terminal state information transfer process to the terminal state information confirmation process.
  • the terminal performs a network registration procedure for data transmission, (B4) registering the terminal with the server, and (C4) the terminal set in the server Transmitting command information, (D4)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location (GPS/Cell ID) value, time, impact value, and information on whether to attach/detach to the server, (E4) ) the terminal waits for n seconds for a response to (D4) from the server, and (F4) if the transmission of terminal status information fails, the section (D4 ⁇ F4) is repeated n times, and the response itself is repeated n times If there is no or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heck procedure is determined as a failure,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is reset if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fails despite repeating the section (G4) (D4 ⁇ F4) n times.
  • step (H4) If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heck fails despite n attempts, turn off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battery management, wait n seconds, and then perform again according to the process flow chart from step (A4), (I4) ) (A4 ⁇ F4) is repeated n times, but if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heck fails, the terminal enters the sleep mode for n seconds for battery management, and after n seconds have elapsed, starting from step (A4) according to the process flow chart and (J4) (A4 to I4), if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heck fails despite repeating the section n times, the terminal enters into a sleep mode.
  • the GPS error can be reduced within a certain range, thereby minimizing the error that may occur due to the GPS error in the IoT terminal.
  • the IoT terminal for LPWA-based asset management and outdoor positioning capable of low-cost and low-power communication, and provides an asset control service platform that collects and manages outdoor positioning and asset status information (shock, detachment, battery) efficiently. to be able to build with
  • 1A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b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A and 4B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load balanc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 to 8 are detailed flowcharts of a terminal regist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A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B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provides an IoT terminal for LPWA-based asset management and outdoor positioning capable of low-cost, low-power communication, and integrates outdoor positioning and asset status information This is to enable the efficient construction of an asset control service platform that collects and manages.
  •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firstly securing location data through GPS, and secondarily performing correction of the location data of the GPS firstly collected using SBAS.
  •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data that generates a lot of error due to the initial surrounding environment when capturing GPS and SBAS, and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platform) side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location value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overall location data may include
  • load balancing logic is applied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overload occurrence when terminals with the same period simultaneously access the base station. have.
  • the 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the occurrence of errors due to various factors in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navigation satellite provided signal, so whether to monitor the GPS signal and use the provided message It is a system that can be used for safe operation of aircraft through the function of improving the accuracy by differential correction of various errors, the function of providing a ranging signal for the availability and continuity of the navigation signal, etc.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BAS includes correction inform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 the types of correction information include fast correction (FC), long-term correction (LTC), and ionospheric correction information.
  • FC is correction information for short-time signal change and can be applied to GNSS pseudorange information.
  • LTC is provided in the form of correction information and rate of change of correction information for satellite orbit and clock, and can be directly applied to GNSS satellite orbit and clock calculated from navigation messages.
  • the SBAS ionosphere correc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MT 26, and it includes correction information for the ionosphere map in the form of grid points and grid ionosphere vertical error (GIVE) indicating the estimation accuracy of the ionospheric correction information.
  • GIVE grid ionosphere vertical error
  • the system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provides a posi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00 that provides GPS satellite information and broadcasts the received SBAS signal to users within a service area, as shown in FIG. 1A. ) and the GPS signal of the posi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00 and the SBAS correc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ostationary orbit satellite to calculate a reliable and accurate position, and to operate the corrected position data by the us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IoT terminal 200 which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 correction information for correcting orbital and clock errors and ionospheric delay errors for the GPS satellites that users will use for location calcul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GPS signal is abnormal.
  •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300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00 .
  • the loc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00 includes the GPS satellite 10 that provides the GPS satellite information to the IoT terminal 200, and the correction inform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are includ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BAS message. It includes a geostationary SBAS satellite 50 that broadcasts the received SBAS signal to users within the service area when it is transmitted to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tation and transmits the SBAS message to the geostationary satellite by loading the SBAS signal.
  •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300 receives a GPS signal, generates navigation data and a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utilizes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eference station 20 and the reference station 20 for transmitting to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30 .
  •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30 to generate correction information for correcting orbital and clock errors and ionospheric delay errors for the GPS satellites 10 to be used by users for location calculation, and to generate integrity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GPS signal is abnormal.
  • the correction inform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30 are includ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BAS message and delivered, the BAS message is loaded onto an SBAS signal with a characteristic similar to GPS and delivered to a geostationary satellite (40) includes
  • the IoT terminal 200 receives the GPS satellit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GPS satellite 10 and processes the SBAS corr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0a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ostationary orbit SBAS satellite 50.
  • the SBAS correc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0b to be used for the position calculation
  • the integrit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0c to process the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ostationary orbit SBAS satellite 50 to be used for the position calculation
  • the GPS signal and the stop The position calculation unit 200d for calculating a reliable and accurate position using the SBAS correc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rbital SBAS satellite 50, and the position data corrected by the position calculation unit 200d to the base station 60 and It includes a corrected location data transmission unit 200e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operation server 7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system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performs an operation for position correction as follows.
  • each GPS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ference stations 20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to generate navigation data and distance measurements, and (C) transmit them to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30 .
  •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30 use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ference station to generate correction information for correcting orbital and clock errors and ionospheric delay errors for GPS satellites that users use for location calcula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GPS signal is abnormal. Create integrity information for
  • the correction inform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30 are includ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BAS message and transmitted to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tation 40 .
  •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tation 40 transmits the SBAS message to the geostationary orbit SBAS satellite 50 by loading the SBAS signal with a characteristic similar to GPS.
  • the geostationary orbit SBAS satellite 50 broadcasts the received SBAS signal to users within the service area.
  • the IoT terminal calculates a reliable and accurate location using GPS signals and SBAS correc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geostationary satellites.
  •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can provide an asset control service through web/mobile in a cloud-based manner through the following application.
  • the IoT terminal For example, turn on the power of the IoT terminal to the asset control target and attach it, monitor the asset control target according to the set cycle rules, and set the default 8-hour cycle to save battery, but an event occurs (device attachment and detachment, shock above the threshold) etc.), it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monitoring data every hour, and the load balancing operation process can be applied when operating the IoT terminal.
  • the field of asset control ser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the following fields.
  • asset control service Through the asset control service, it is applied to sites that require management of various types of assets such as industrial gas and other chemical manufacturers, shipyards/heavy industry yards, airports and port yards, thereby reducing the ratio of manpower input for asset management and reducing asset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increas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through theft prevention.
  • asset control services for airport yards and industrial rental cars are possible.
  • ports ports such as Busan, Incheon, Ulsan
  • logistics are possible in ports (port areas such as Busan, Incheon, Ulsan) and logistics.
  • high-value asset control services are possible in heavy industry and shipbuilding equipment-related companies.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shows a method of correcting a position using SBAS according to GPS On/Off, and is a method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an IoT terminal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position accuracy is increased by using SBAS satellite information.
  • the GPS ON step (S201) the GPS is turned on for the set GPS operation time.
  • the GPS operation time considers the time until the position is acquired using the SBAS satellite.
  • a signal is searched for obtaining a location from a GPS satellite.
  • the IoT terminal If the IoT terminal is indoors or in a GPS shadow area, it cannot obtain a location through GPS satellites. If the location cannot be acquired during the GPS operation time due to such an environment, the IoT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GPS cannot be received and turns off the GPS.
  • the location is continuously tracked until the location is acquired using the SBAS satellite.
  • the last tracked position is stored in the memory.
  •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using the SBAS satellite, it is further track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the position is tracked for a predetermined time (seconds) in order to increase the location accuracy.
  • the location information memory storage step ( S206 ) one last location information tracked according to the GPS collection period is stored in the memory.
  •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at each GPS collection cycle is stored in the memory.
  • the average value is calculated by adding up all the position information stored for each GPS collection period and dividing by the stored number (n) to correct the position.
  • the GPS is turned OFF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IoT terminal.
  • the location data correct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09)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IoT terminal is terminated by the user or the IoT terminal enters the sleep mode during the next GPS collection period.
  • a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shows a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SBAS according to Always GPS On.
  • the GPS ON step (S301) the GPS function of the IoT terminal is operated.
  • a signal is searched for to obtain a location from the GPS satellite.
  • the IoT terminal If the IoT terminal is indoors or in a GPS shadow area, it cannot obtain a location through GPS satellites. If the location cannot be acquired during the GPS operation time due to such an environment, the IoT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GPS cannot be received and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ocation cannot be confirmed to the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location is continuously tracked until the location is acquired using the SBAS satellite.
  •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using SBAS satellite, it is further tracked for a certain time.
  • the position is tracked for a predetermined time (seconds) in order to increase the location accuracy.
  • one piece of location information track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emory storage step (S306) is stored in the memory.
  • the location is tracked for the set time.
  • the average value is calculated by adding up all n pieces of stored location information and dividing by the number of times (n) to correct the location.
  • 4A and 4B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load balanc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ason for applying the load balancing process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 load balancing is applied to the terminals to maintain network coverage.
  • the load balancing process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 load balancing is applied based on the terminal sleep time.
  • the load balancing application time is set within ⁇ 5% of the terminal sleep time.
  • the sleep time of the terminal is 1440 (24 hours) minutes, it is randomly measured within 1368 minutes to 1512 minutes by applying ⁇ 5% (72 minutes) of 1440 minutes, and enters the sleep mode for that time. do.
  • network overload is reduced by using different times for each terminal to wake up from sleep mode.
  • 5 to 8 are detailed flowcharts of a terminal regist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 shows a terminal network (base station) registration retry process.
  • the terminal performs network (base station) registration for data transmission.
  • th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network is registered using the AT Command.
  • AT Command is a command communication protocol used to check each other's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 the terminal waits for a response to (A1) from the network for n seconds.
  • the network that receives the access signal from the terminal transmits a response to whether network access is possible to the terminal.
  • the communication module is switched off after waiting n seconds for battery managem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after n seconds, from step (A1), follow the process flow chart.
  • the condition for the terminal to enter the sleep mode is that if all processes are normally completed or if the normal process is not reached even after n repeated attempts as in the case, it is determined that network access is impossible and the terminal enters the sleep mode for n seconds. .
  • FIG. 6 illustrates a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retry process assuming that the initial terminal network registration process of FIG. 5 is normally performed.
  • the terminal performs network (base station) registration for data transmission.
  • the server Upon receiving the access signal from the terminal, the server transmits a response to whether the server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re may be no server response itself due to terminal, network, or server problems.
  • the reason for reset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o prevent server registration failure due to a communication module problem in the terminal, assuming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he network and the server.
  • the communication module waits for n seconds for battery managem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terminal, then switches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he off state, and after n seconds, from step (A2), follow the process flow chart. .
  • the condition for the terminal to enter the sleep mode is that if all processes are normally completed or if the normal process is not reached even after n repeated attempts as in the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rver connection is impossible and the terminal enters the sleep mode for n seconds. . This is done in terms of battery management.
  • FIG. 7 illustrates a remote command setting retry process per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initial terminal network registration and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processes of FIGS. 5 and 6 are normally performed.
  • the terminal performs network (base station) registration for data transmission.
  • the server transmits the terminal command information set in the server to the terminal.
  • the value included in the command information includes a terminal transmission period, an impact threshold, a vibration collection period, and an event mode off value.
  • the terminal transmission period is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setting of the terminal
  • the shock threshold is the setting of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shock threshold generated in the terminal
  • the vibration collection period is the time corresponding to n seconds for the terminal to collect and store vibration data every n seconds. Set the value.
  • the terminal In the event mode off, the terminal enters the event mode when shock and detachment occur, and a value is set to return to the normal mode when a user's mistake or other unintentional event mode entry occurs.
  • the terminal proceeds to part (D4) in the terminal state information transfer process of FIG. 8, the terminal state information confirmation process.
  • FIG. 8 shows a terminal state information transfer retry process per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initial terminal network registration,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and remote command setting processes are normally performed.
  • the terminal performs the network (base station) registration procedure for data transmission.
  • (D4) Register (transmit)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data.
  • the terminal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data of the terminal to the server.
  • the state information data includes state data of the terminal such as location (GPS/Cell ID) value, time, shock value, and whether it is detached/attached.
  • (E4) The terminal waits for a response to (D4) from the server for n seconds. There may be no server response itself due to terminal, network, or server problems.
  • the reason for reset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o prevent the failure of checking (transmitting)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due to the communication module problem of the terminal, assuming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he network and the server.
  • step (H4) If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heck fails despite n attempts,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urned off for battery management, waits for n seconds, and then starts again according to the process flow chart from step (A4).
  •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heck fails even after repeating the process (I4) (A4 ⁇ F4) n times, the terminal enters the sleep mode for n seconds for battery management, and after n seconds have elapsed, i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ss flow chart from step (A4) do.
  • the condition for the terminal to enter the sleep mode is that the terminal enters the sleep mode for n seconds for battery managem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terminal when the process is normally completed or the normal process is not reached even after n repeated attempts as in the case. .
  • the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nable the implementation of an IoT device for outdoor hybrid positioning using the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function, and low-cost, low-power communication
  • SBAS Se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service (LBS), and specifically, a system for loca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that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an IoT device for outdoor hybrid positioning using a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function. and methods.
  • LBS location-based service
  • SBAS Se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GPS 위성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의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보정된 위치를 계산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IoT 단말;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여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으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LBS(Location-based service)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 및 초연결사회 트랜드에 따라, IoT 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연결 가능한 모든 사물을 웹으로 연결하기 위한 WoT(Web of Thing)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접속 기술은 사람의 인위적인 간섭 없이 기기 간에 자율적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하며 2025년까지 약 300억개의 사물이 상호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접속 기술에는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한 정보수집 기술이 특히 각광을 받고 있으며, 현재까지 많이 활용되고 있는 Wi-Fi 와 Bluetooth 기술 외에도 최근에는 기존 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LTE-MTC(LTE Machine-Type Communication), IoT, Lora 등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및 기술이 차세대 사물인터넷 접속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이전에는 배터리 및 통신거리의 한계로 인해 적용되지 못했던 IoT 기술이 LPWA 기술로 인해 그 적용 범위가 확산되었으며, 최근 실시간 관제 대상이 고가자산에서 중저가 자산까지도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기존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기술 및 제품들의 경우 고속 통신, 상시 배터리 공급, 높은 통신비용이 문제점이었다.
현재 고객들이 요구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은 용량이 적고, 단순한 정보를 저속과 저전력으로 배터리 수명은 늘리고, 단말 가격과 통신운영비도 낮출 수 있는 사물인터넷의 확장 기술인 소물인터넷 기술을 원하고 있으며 특히 자산관리 시장에서 저전력/저비용 통신기술 수요가 높다.
기술적 측면에서 통신 커버리지 및 동작 환경에 따라 Long Range(Outdoor) 기술과 Short or Middle Range(Indoor) 기술로 나뉘어 발전하고 있고, IoT 디바이스의 특성상 주로 용량이 작은 배터리를 사용하기에 전력이 제한된 상태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설비 투자 소요가 적은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각 LPWAN 기술은 주파수 확보 비용, 인프라 설치 비용, 단말 제작 비용, 통신 품질, 통신 속도 등의 관점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고객들이 요구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위치 보정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 상용 GPS모듈의 경우 Open Sky 환경에서도 위치오차 5M 이하의 정확도를 보장하지 못하며, 이러한 GPS 위치 오차는 LBS(Location-based service) 기술을 요구하는 현장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만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Cell 측위, WI-FI 등과 같은 보조적인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을 하고 있으나, 단말기 배터리의 한계 등으로 인해 실시간 보정에 한계 존재한다.
따라서, 저비용 통신 및 원가절감된 IoT 단말기 개발, GPS의 기능 제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LBS(Location-based service)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SBAS 기술을 적용하여 GPS 오차를 일정 범위 이내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IoT 단말기에서 GPS 오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충격, 탈부착, 배터리)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에서 웹/모바일을 통한 자산관제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한 IoT 단말기 및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여 실제 현장에서 조기구축 및 운영에 유리하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은 GPS 위성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의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보정된 위치를 계산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IoT 단말;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여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으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은, GPS 위성 정보를 IoT 단말로 제공하는 GPS 위성과,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위성통신국으로 전달되고 위성통신국이 S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면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정지궤도 SBAS 위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처리 수단은,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중앙처리국에 전달하는 기준국과,기준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국과,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면 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는 위성통신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IoT 단말은,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 처리부와,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SBAS 보정 정보를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SBAS 보정 정보 처리부와,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무결성정보들을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결성 정보 처리부와,GPS 신호와 정지궤도 SBAS 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와,위치 계산부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보정 위치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NB-IoT 망(기지국) 커버리지 스펙에 따라 동시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의 개수(n 개)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단말 슬립 시간 기준으로 부하 분산이 적용되고, 부하 분산 적용 시간은 단말 슬립 시간의 ±5% 범위 내에서 설정되고, 각각의 단말들이 슬립모드에서 깨어나는 시간이 다름을 이용하여 망 과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IoT 단말을 자산관제 대상에 전원을 On하여 부착하고, 정해진 주기 규약에 따라 자산관제 대상을 감시하고, 배터리 절감을 위해 기본 8시간 주기로 설정을 하고, 단말 탈부착, 임계치 이상의 충격을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시에는 1시간 마다 감시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은 SBAS 기술을 적용하여 GPS 오차를 일정 범위 이내로 줄이기 위하여, IoT 단말이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기준국에서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중앙처리국에 전달하는 단계;중앙처리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를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시켜 위성통신국으로 전달하는 단계;위성통신국이 S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 전달하고, 정지궤도 SBAS 위성은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단계;IoT 단말기가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하여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은 GPS On/OFF 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위하여, 설정된 GPS 동작 시간 동안 GPS ON을 하는 단계;GPS 위성으로 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하는 GPS 위치 탐색 단계;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은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GPS OFF하고,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GPS 위치 획득 단계;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위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시간 위치를 추적하고, GPS 수집주기마다 수집한 위치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GPS 수집 주기마다 저장된 위치 정보를 모두 합산하고 저장한 횟수(n)로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GPS를 OFF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은 Always GPS On 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위하여, IoT 단말의 GPS 기능을 동작시키는 GPS ON 단계;GPS 위성으로 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이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고,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마지막까지 추적한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로 일정시간 더 추적을 하고, 추적한 위치 정보 1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저장된 위치정보가 설정된 값 n개인지 확인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를 추적하여 저장 횟수가 n개 일 경우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을 하는 단계;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IoT 단말의 단말 망 등록을 위하여, (A1)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B1)단말이 망으로부터 (A1) 에 대한 응답을 n초간 대기하는 단계와,(C1)망 등록이 실패하면 (A1 ~C1)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D1)(A1~C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E1)(A1~D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뎀을 오프시키는 단계와,(F1)(A1~E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IoT 단말의 단말 서버 등록을 위하여, (A2)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B2)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C2)단말이 서버로부터 (B2) 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D2)단말 서버 등록이 실패하면 (B2~D2)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E2)(B2~D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F2)(B2~E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듈을 오프시키는 단계와,(G2)(A2~F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IoT 단말의 원격 명령 설정을 위하여, (A3)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B3)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C3)서버에 설정 되어 있는 단말 전송 주기, 충겸 임계치, 진동 수집 주기, 이벤트 모드 오프 값이 포함하는 단말 명령 정보를 서버가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D3)단말은 서버로부터 (C3) 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E3)서버로부터 원격 명령 설정 정보 수신에 실패하면 (C3~E3)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하고, (D3)에서 원격 명령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원격 명령 설정은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와,(F3)(E3) 구간에서 원격 명령 설정이 실패하면 단말은 단말 상태 정보 전달 프로세스에서 단말 상태 정보 확인 프로세스로 넘어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IoT 단말의 단말 상태 정보 전달을 위하여, (A4)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B4)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C4)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D4)단말이 위치(GPS/Cell ID) 값, 시간, 충격 값, 탈/부착 여부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상태 정보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E4)단말은 서버로부터 (D4) 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F4)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D4~F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하고, n 회 반복 수행에도 응답 자체가 없거나 단말 상태 정보 확인 불가능 시에는 단말 상태 정보 확인 절차는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와,(G4)(D4~F4)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H4)n 번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배터리 관리를 위해 통신 모듈을 오프시키고 n 초간 대기 후 다시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하는 단계와,(I4)(A4~F4) 과정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배터리 관리를 위해 n 초간 슬립 모드에 진입하고, n 초가 지난 후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하는 단계와,(J4)(A4~I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SBAS 기술을 적용하여 GPS 오차를 일정 범위 이내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IoT 단말기에서 GPS 오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충격, 탈부착, 배터리)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클라우드 기반에서 웹/모바일을 통한 자산관제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한 IoT 단말기 및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여 실제 현장에서 조기구축 및 운영에 유리하도록 한다.
다섯째, 자산관제서비스를 통해 산업용가스 등 화학물 제조납품사, 조선소/중공업 야드, 공항 및 항만 야드 등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대하여 관리가 요구되는 현장에 적용되어 자산관리를 위한 인력투입 비율을 감소 및 자산의 도난방지를 통해 비용절감/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프로세스의 상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1차적으로 GPS를 통하여 위치데이터를 확보 후, 2차적으로 SBAS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수집된 GPS의 위치데이터 보정 실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GPS와 SBAS를 잡을 때, 초기 주위 환경에 의해 오차가 많이 발생하는 데이터는 불포함하고, 전체적인 위치 데이터의 신뢰성을 올리기 위하여 위치 평균값을 산출 후에 서버(플랫폼) 측으로 위치 정보 전송을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동일 시점에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 수가 n개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하분산 로직을 적용하여, 같은 주기를 가진 단말기가 동시에 기지국에 접속 시, 과부하 발생 확률을 감소시킬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항법위성 제공 신호에 각종 요인으로 인한 오차 등의 발생이 수반되므로, GPS 신호감시 및 제공 메시지 사용여부 등을 위한 무결성기능, 각종오차 등을 차등적 보정에 의한 정확도 향상 기능, 항법신호 가용성 및 연속성을 위한 레인징 신호제공 기능 등을 통해 항공기 안전운항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SBAS에서 전송되는 신호에는 보정정보와 무결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보정정보의 종류로는 FC(fast correction), LTC(long-term correction), 그리고 전리층 보정정보가 있다.
FC는 단시간 신호변화에 대한 보정정보로, GNSS 의사거리 정보에 적용 가능하다. LTC는 위성 궤도 및 시계에 대한 보정정보 및 보정정보의 변화율 형태로 제공되며, 항법메시지로부터 계산된 GNSS 위성 궤도 및 시계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SBAS 전리층 보정정보는 MT 26에 포함되어 있으며, 격자점 형태의 전리층지도에 대한 보정정보 및 전리층 보정정보의 추정 정확도를 나타내는 GIVE(grid ionosphere vertical error)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은 도 1a에서와 같이, GPS 위성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과,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의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IoT 단말(200)와,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여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으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처리 수단(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은 GPS 위성 정보를 IoT 단말(200)로 제공하는 GPS 위성(10)과, 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위성통신국으로 전달되고 S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면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정지궤도 SBAS 위성(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처리 수단(300)은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중앙처리국(30)에 전달하는 기준국(20)과, 기준국(20)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10)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국(30)과, 중앙처리국(30)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면 BAS 메시지를 GPS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는 위성통신국(40)을 포함한다.
그리고 IoT 단말(200)의 상세 구성은 도 1b에서와 같다.
IoT 단말(200)은 GPS 위성(10)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 처리부(200a)와, 정지궤도 SBAS 위성(50)으로부터 수신된 SBAS 보정 정보를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SBAS 보정 정보 처리부(200b)와, 정지궤도 SBAS 위성(50)으로부터 수신된 무결성정보들을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결성 정보 처리부(200c)와, GPS 신호와 정지궤도 SBAS 위성(50)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200d)와, 위치 계산부(200d)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기지국(60)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70)로 전송하는 보정 위치데이터 전송부(200e)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위치보정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A)먼저, GPS 위성(10)으로부터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IoT 단말(200)은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B)이어, 넓은 지역에 분산된 기준국(20)에서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C)중앙처리국(30)에 전달한다.
중앙처리국(30)은 기준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한다.
(D)중앙처리국(30)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는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위성통신국(40)으로 전달한다.
(E)위성통신국(40)은 SBAS 메시지를 GPS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 SBAS 위성(50)으로 전달한다.
(F)정지궤도 SBAS 위성(50)은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한다.
IoT 단말기는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한다.
(G)IoT 단말기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7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적용을 통하여 클라우드 기반에서 웹/모바일을 통한 자산관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산관제 대상에 IoT 단말기의 전원을 On하여 부착하고, 정해진 주기 규약에 따라 자산관제 대상을 감시하고, 배터리 절감을 위해 기본 8시간 주기로 설정을 하나 이벤트 발생(단말 탈부착, 임계치 이상의 충격 등)시에는 1시간 마다 감시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구성하고, IoT 단말기 운영 시 부하분산 운영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산관제서비스 분야는 다음과 같은 분야일 수 있다.
자산관제서비스를 통해 산업용가스 등 화학물 제조납품사, 조선소/중공업 야드, 공항 및 항만 야드 등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대하여 관리가 요구되는 현장에 적용되어 자산관리를 위한 인력투입 비율을 감소 및 자산의 도난방지를 통해 비용절감/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공항 야드 및 산업용 렌트카(사다리차, 건설용 차량) 자산관제 서비스가 가능하다.
국내 대형 건설사 및 항공사를 대상으로 하여 항공 및 건설현장에서 고가의 이동자산에 대하여, 위치추적 및 무단사용에 대한 관제 서비스가 가능하다.
카트 및 캐리어, 팔레트, 항공화물 ULD 등 소형화물 캐리어에 단말기 부착을 통해 자산을 관리하고 배차서비스를 위한 기본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는, 항만(부산, 인천, 울산 등 항만 지역) 및 물류분야에서 화물 및 샤시관제 서비스가 가능하다.
즉, 항만 내 컨테이너 적재용 샤시 또는 공컨테이너 등 자산 위치를 파악 후에 배차를 위한 자산관제서비스를 개발하여 고객(항만공사, 물류사)서비스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는, 중공업 및 조선기자재 관련 업체에서의 고가자산 관제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GPS On/OFF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IoT 단말기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SBAS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인 것이다.
구체적으로 GPS ON 단계(S201), GPS 위치 탐색 단계(S202), GPS 위치 획득 단계(S203),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204), 일정시간 추적 단계(S205),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206),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207), GPS OFF 단계(S208), 위치 정보 전송 단계(S209), 장비종료 단계(S210)를 포함하여, GPS On/OFF 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수행한다.
먼저, GPS ON 단계(S201)에서는 설정된 GPS 동작 시간 동안 GPS ON 한다. 이때 GPS 동작 시간은 SBAS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을 고려한다.
이어, GPS 위치 탐색 단계(S202)에서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한다.
그리고 GPS 위치 획득 단계(S203)에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IoT 단말기가 실내이거나 GPS 음영지역에 있을 경우 GPS 위성을 통한 위치를 획득할 수 없다. 이러한 환경의 의해서 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기는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GPS OFF 한다.
GPS 위치 획득 여부 확인은 NMEA Protocol의 의한 메시지를 통해 판별한다.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한다.
이어,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204)에서 GPS 동작시간 동안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마지막까지 추적한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추가로 일정시간 더 추적을 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추적 단계(S205)에서는 위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시간(초)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다.
이어,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206)에서는 GPS 수집 주기에 따른 추적한 마지막 위치 정보 1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GPS 수집주기마다 수집한 위치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리고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207)에서 GPS 수집 주기마다 저장된 위치 정보를 모두 합산하고 저장한 횟수(n)로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위치를 보정한다.
이어, GPS OFF 단계(S208)에서 IoT 단말기 소비전류를 줄이기 위해 GPS를 OFF 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전송 단계(S209)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한다.
장비종료 단계(S210)는 사용자의 의해 IoT 단말기를 종료하거나, 다음 GPS 수집 주기동안 IoT 단말기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Always GPS On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GPS ON 단계(S301), GPS 위치 탐색 단계(S302), GPS 위치 획득 단계(S303),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304), 일정시간 추적 단계(S305),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306), N개 위치 정보 저장 단계(S307),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308), 위치 정보 전송 단계(S309)를 포함하여, Always GPS On 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수행한다.
먼저, GPS ON 단계(S301)에서는 IoT 단말기의 GPS 기능을 동작시킨다.
그리고 GPS 위치 탐색 단계(S302)에서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한다.
이어, GPS 위치 획득 단계(S303)에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IoT 단말기가 실내이거나 GPS 음영지역에 있을 경우 GPS 위성을 통한 위치를 획득할 수 없다. 이러한 환경의 의해서 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기는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한다.
GPS 위치 획득 여부 확인은 NMEA Protocol의 의한 메시지를 통해 판별한다.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한다.
그리고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304)에서는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마지막까지 추적한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추가로 일정시간 더 추적한다.
이어, 일정시간 추적 단계(S305)에서는 위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시간(초) 위치를 추적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306)에서 추적한 위치 정보 1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N개 위치 정보 저장 단계(S307)에서 저장된 위치정보가 설정된 값 n개인지 확인한다.
저장 횟수가 n개가 아닐 경우,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를 추적한다.
이어,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308)에서 저장 횟수가 n개 일 경우, 저장된 n개의 위치 정보를 모두 합산하고 저장한 횟수(n)로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위치를 보정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전송 단계(S309)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NB-IoT 망(기지국) 커버리지 스펙에 따라 동시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의 개수(n 개)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단말에 부하분산을 적용하여 망 커버리지를 유지하는데 있다.
부하 분산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부하 분산은 단말 슬립 시간 기준으로 부하 분산이 적용된다.
둘째, 부하 분산 적용 시간은 단말 슬립 시간의 ±5% 범위 내에서 설정이 된다.
예를 들어, 단말의 슬립 시간이 1440(24시간) 분이라면 1440분의 ±5%(72분) 시간을 적용하여 1368분 ~ 1512분 내에서 랜덤하게 측정이 되고 해당 시간만큼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셋째, 각각의 단말들이 슬립모드에서 깨어나는 시간이 다름을 이용하여 망 과부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프로세스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단말 망(기지국) 등록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A1)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을 수행한다. 단말은 AT Command를 이용한 망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AT Command는 무선 통신에서 서로 간의 상태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통신 프로토콜이다.
(B1)단말은 망으로부터 (A1)에 대한 응답을 n초간 대기한다. 단말로부터 접속 신호를 받은 망은 단말에게 망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을 전달한다.
단말 or 망 문제로 인하여 망 응답 자체가 없을 수도 있다.
(C1)망 등록이 실패하면 (A1 ~C1)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한다. (B1)에서 응답 자체가 없거나 망 접속 불가능 시 망 등록 실패로 간주한다.
(D1)(A1~C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킨다. 통신 모듈을 리셋 시키는 이유는, 망 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단말의 통신 모듈 문제로 인한 망 등록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E1)(A1~D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뎀을 오프시킨다.
망 등록 시도를 n회 반복에도 망 등록이 실패하면 무선 단말의 특성상 배터리 관리 차원에서 n 초간 대기 후 통신 모듈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n 초 후에 (A1)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
(F1)(A1~E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조건은 모든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완료했거나, 해당 건과 같이 n회 반복 시도에도 정상적인 프로세스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망 접속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단말은 n초간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는 배터리 관리 차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최초 단말 망 등록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가정하여 단말 서버 등록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A2)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을 수행한다.
(B2)단말을 서버에 등록한다.
모든 단말은 서버에 해당 단말의 정보가 저장 및 등록 설정이 되어 있어야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단말과 서버간의 통신은 Coa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단말 서버 등록은 단말이 서버에게 먼저 데이터를 송신한다.
(C2)단말은 서버로부터 (B2)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한다.
단말로부터 접속 신호를 받은 서버는 단말에게 서버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을 전달한다. 단말 or 망 or 서버 문제로 인하여 서버 응답 자체가 없을 수도 있다.
(D2)단말 서버 등록이 실패하면 (B2~D2)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한다. (C2)에서 n 회 반복 수행에도 응답 자체가 없거나 서버 접속 불가능 시 단말 서버 등록 실패로 간주한다.
(E2)(B2~D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킨다.
통신 모듈을 리셋 시키는 이유는, 망 및 서버에 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단말의 통신 모듈 문제로 인한 서버 등록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F2)(B2~E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듈을 오프시킨다.
단말 서버 등록 시도를 n회 반복에도 단말 서버 등록이 실패하면 무선 단말의 특성상 배터리 관리 차원에서 n 초간 대기 후 통신 모듈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n 초 후에 (A2)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
(G2)(A2~F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조건은 모든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완료했거나, 해당 건과 같이 n회 반복 시도에도 정상적인 프로세스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서버 접속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단말은 n초간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는 배터리 관리 차원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최초 단말 망 등록, 단말 서버 등록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지는 원격 명령 설정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A3)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을 수행한다.
(B3)단말을 서버에 등록한다.
(C3)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명령 정보를 서버가 단말에게 전송한다.
명령 정보에 포함되는 값은 단말 전송 주기, 충격 임계치, 진동 수집 주기, 이벤트 모드 오프 값이 포함된다.
여기서, 단말 전송 주기는 단말의 데이터 전송 주기 설정이고, 충격 임계치는 단말에서 발생하는 충격 임계치 상한 값 설정이고, 진동 수집 주기는 단말은 n 초마다 진동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데 n 초에 해당하는 시간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벤트 모드 오프는 충격 및 탈착 발생 시 단말은 이벤트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실수 혹은 기타 의도하지 않은 이벤트 모드 진입 시 정상 모드로 돌아갈 수 있도록 값을 설정한다.
(D3)단말은 서버로부터 (C3)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한다.
(E3)서버로부터 원격 명령 설정 정보 수신에 실패하면 (C3~E3)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한다. (D3) 에서 원격 명령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원격 명령 설정은 실패로 간주한다.
(F3)(E3) 구간에서 실패 즉, 원격 명령 설정이 실패하면 단말은 도 8의 단말 상태 정보 전달 프로세스에서 (D4) 부분, 단말 상태 정보 확인 프로세스로 넘어가게 된다.
도 8은 최초 단말 망 등록, 단말 서버 등록, 원격 명령 설정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지는 단말 상태 정보 전달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A4)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B4)단말을 서버에 등록한다.
(C4)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명령 정보를 전송한다.
(D4)단말 상태 정보 데이터를 등록(전송)한다. 단말은 서버에게 단말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태 정보 데이터는 위치(GPS/Cell ID) 값, 시간, 충격 값, 탈/부착 여부등 단말의 상태 데이터가 포함된다.
(E4)단말은 서버로부터 (D4)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한다. 단말 or 망 or 서버 문제로 인하여 서버 응답 자체가 없을 수도 있다.
(F4)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D4~F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한다. (F4)에서 n 회 반복 수행에도 응답 자체가 없거나 단말 상태 정보 확인 불가능 시, 단말 상태 정보 확인 절차는 실패로 간주한다.
(G4)(D4~F4)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킨다.
통신 모듈을 리셋 시키는 이유는, 망 및 서버에 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단말의 통신 모듈 문제로 인한 단말 상태 정보 확인(전송)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H4)n 번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배터리 관리를 위해 통신 모듈을 오프시키고 n 초간 대기 후 다시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
(I4)(A4~F4) 과정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배터리 관리를 위해 n 초간 슬립 모드에 진입하고, n 초가 지난 후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
(J4)(A4~I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조건은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완료했거나, 해당 건과 같이 n 회 반복 시도에도 정상적인 프로세스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의 특성상 배터리 관리를 위해 단말은 n 초간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충격, 탈부착, 배터리)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LBS(Location-based service)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3)

  1. GPS 위성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의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보정된 위치를 계산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IoT 단말;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여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으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은,
    GPS 위성 정보를 IoT 단말로 제공하는 GPS 위성과,
    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위성통신국으로 전달되고 위성통신국이 S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면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정지궤도 SBAS 위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 처리 수단은,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중앙처리국에 전달하는 기준국과,
    기준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국과,
    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면 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는 위성통신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IoT 단말은,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 처리부와,
    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SBAS 보정 정보를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SBAS 보정 정보 처리부와,
    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무결성정보들을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결성 정보 처리부와,
    GPS 신호와 정지궤도 SBAS 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와,
    위치 계산부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보정 위치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NB-IoT 망(기지국) 커버리지 스펙에 따라 동시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의 개수(n 개)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단말 슬립 시간 기준으로 부하 분산이 적용되고, 부하 분산 적용 시간은 단말 슬립 시간의 ±5% 범위 내에서 설정되고, 각각의 단말들이 슬립모드에서 깨어나는 시간이 다름을 이용하여 망 과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을 자산관제 대상에 전원을 On하여 부착하고,
    정해진 주기 규약에 따라 자산관제 대상을 감시하고, 배터리 절감을 위해 기본 8시간 주기로 설정을 하고,
    단말 탈부착, 임계치 이상의 충격을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시에는 1시간 마다 감시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7. SBAS 기술을 적용하여 GPS 오차를 일정 범위 이내로 줄이기 위하여,
    IoT 단말이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국에서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중앙처리국에 전달하는 단계;
    중앙처리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를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시켜 위성통신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위성통신국이 S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 전달하고, 정지궤도 SBAS 위성은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단계;
    IoT 단말기가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하여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8. GPS On/OFF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위하여,
    설정된 GPS 동작 시간 동안 GPS ON을 하는 단계;
    GPS 위성으로 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하는 GPS 위치 탐색 단계;
    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은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GPS OFF하고,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GPS 위치 획득 단계;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
    위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시간 위치를 추적하고, GPS 수집주기마다 수집한 위치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GPS 수집 주기마다 저장된 위치 정보를 모두 합산하고 저장한 횟수(n)로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GPS를 OFF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9. Always GPS On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위하여,
    IoT 단말의 GPS 기능을 동작시키는 GPS ON 단계;
    GPS 위성으로 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
    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이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고,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마지막까지 추적한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로 일정시간 더 추적을 하고, 추적한 위치 정보 1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위치정보가 설정된 값 n개인지 확인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를 추적하여 저장 횟수가 n개 일 경우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을 하는 단계;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IoT 단말의 단말 망 등록을 위하여,
    (A1)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
    (B1)단말이 망으로부터 (A1)에 대한 응답을 n초간 대기하는 단계와,
    (C1)망 등록이 실패하면 (A1 ~C1)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D1)(A1~C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
    (E1)(A1~D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뎀을 오프시키는 단계와,
    (F1)(A1~E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IoT 단말의 단말 서버 등록을 위하여,
    (A2)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
    (B2)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C2)단말이 서버로부터 (B2)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
    (D2)단말 서버 등록이 실패하면 (B2~D2)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E2)(B2~D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
    (F2)(B2~E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듈을 오프시키는 단계와,
    (G2)(A2~F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IoT 단말의 원격 명령 설정을 위하여,
    (A3)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
    (B3)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C3)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전송 주기, 충겸 임계치, 진동 수집 주기, 이벤트 모드 오프 값이 포함하는 단말 명령 정보를 서버가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D3)단말은 서버로부터 (C3)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
    (E3)서버로부터 원격 명령 설정 정보 수신에 실패하면 (C3~E3)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하고, (D3)에서 원격 명령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원격 명령 설정은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와,
    (F3)(E3) 구간에서 원격 명령 설정이 실패하면 단말은 단말 상태 정보 전달 프로세스에서 단말 상태 정보 확인 프로세스로 넘어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13. 제 7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IoT 단말의 단말 상태 정보 전달을 위하여,
    (A4)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B4)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C4)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D4)단말이 위치(GPS/Cell ID) 값, 시간, 충격 값, 탈/부착 여부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상태 정보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E4)단말은 서버로부터 (D4)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
    (F4)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D4~F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하고, n 회 반복 수행에도 응답 자체가 없거나 단말 상태 정보 확인 불가능 시에는 단말 상태 정보 확인 절차는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와,
    (G4)(D4~F4)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
    (H4)n 번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배터리 관리를 위해 통신 모듈을 오프시키고 n 초간 대기 후 다시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하는 단계와,
    (I4)(A4~F4) 과정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배터리 관리를 위해 n 초간 슬립 모드에 진입하고, n 초가 지난 후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하는 단계와,
    (J4)(A4~I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PCT/KR2020/014466 2019-12-09 2020-10-22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804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93A KR20210072406A (ko) 2019-12-09 2019-12-09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162693 2019-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045A1 true WO2021118045A1 (ko) 2021-06-17

Family

ID=7633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4466 WO2021118045A1 (ko) 2019-12-09 2020-10-22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72406A (ko)
WO (1) WO20211180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9107A (zh) * 2021-08-17 2021-11-0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淮南市潘集区供电公司 一种高压电缆故障定位方法、系统及其装置
CN114222364A (zh) * 2021-12-19 2022-03-2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卫星通信分公司 一种支持天通粗定位功能的终端位置信息交互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126A (ko) * 2002-12-17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체파워리셋 명령 처리 방법
KR20110024607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메가디코 디지피에스 정보를 이용한 실외 영상 도우미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744420B1 (ko) * 2015-11-25 2017-06-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항법 지역보강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90078293A (ko) * 2017-12-26 2019-07-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실시간 위성항법 정보 보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99142B1 (ko) * 2018-02-28 2019-07-11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132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케이티 담보물 경계 노드, 경계 게이트웨이, 담보물 관제 서버 및 담보물 모니터링 방법
KR102031838B1 (ko) 2017-08-11 2019-10-14 국방과학연구소 위성항법 시스템의 보정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69792B1 (ko) 2017-12-14 2020-01-23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지구궤도 인공위성용 sbas 무결성정보 변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126A (ko) * 2002-12-17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체파워리셋 명령 처리 방법
KR20110024607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메가디코 디지피에스 정보를 이용한 실외 영상 도우미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744420B1 (ko) * 2015-11-25 2017-06-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항법 지역보강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90078293A (ko) * 2017-12-26 2019-07-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실시간 위성항법 정보 보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99142B1 (ko) * 2018-02-28 2019-07-11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9107A (zh) * 2021-08-17 2021-11-0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淮南市潘集区供电公司 一种高压电缆故障定位方法、系统及其装置
CN114222364A (zh) * 2021-12-19 2022-03-2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卫星通信分公司 一种支持天通粗定位功能的终端位置信息交互方法
CN114222364B (zh) * 2021-12-19 2023-10-3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卫星通信分公司 一种支持天通粗定位功能的终端位置信息交互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406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18045A1 (ko)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1129617A2 (en) Determination of a location of an apparatus
WO2021068151A1 (zh) 基于星历信息的服务小区重选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US5926133A (en) Differentially corrected position 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US6408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serve power in a cellular telephone
RU2292671C2 (ru) Передача данных для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2997610B2 (ja) 移動体衛星通信システム
KR100493235B1 (ko)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자동 탐색 기능을 가지는 접속 장치및 그 접속 방법
RU22228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провода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варианты)
WO2012005466A2 (ko) 무선랜 신호를 이용한 측위 오차 판별 방법 및 장치
WO2012053790A2 (ko) 주변 무선랜 신호를 관리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ap, 측위 서버 및 단말기
WO2012005465A2 (ko) 무선랜 전파 환경 맵을 이용한 ap 위치 추정 방법 및 장치
CN110568455A (zh) 一种北斗信标系统
US20030054839A1 (en) Cell phone position measurement system, position measurement method, and cell phone terminal
WO2013100574A1 (ko) 지상 조정통제국 기반 우주항공노드 통신중계 측위 시스템
WO2020013608A1 (en) Electronic device, server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of electronic device
WO2020013607A1 (en) Server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WO2023008980A1 (en) Method of load forecasting via attentive knowledge transfer,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WO2012157806A1 (ko) 다중 위성 항법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통합 감시 보강 시스템
KR20220045311A (ko) V2x 네트워크 핸드오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080633A1 (ko)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WO2020096198A1 (ko) 해상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해상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WO2022080748A1 (ko) Gps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EP2889578B1 (en) Indoor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 data
US20210320387A1 (en) Terminal apparatus for battery modu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02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002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7/12/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002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