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406A -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406A
KR20210072406A KR1020190162693A KR20190162693A KR20210072406A KR 20210072406 A KR20210072406 A KR 20210072406A KR 1020190162693 A KR1020190162693 A KR 1020190162693A KR 20190162693 A KR20190162693 A KR 20190162693A KR 20210072406 A KR20210072406 A KR 20210072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gps
satellite
sb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조
손정락
황재민
신재민
구영훈
김자민
박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to KR102019016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2406A/ko
Priority to PCT/KR2020/014466 priority patent/WO2021118045A1/ko
Publication of KR2021007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0Integrity monitoring, fault detection or fault isolation of space seg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3Testing, monitoring, correcting or calibrating of receiv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GPS 위성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의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보정된 위치를 계산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IoT 단말;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여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으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Location Using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본 발명은 LBS(Location-based service)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 및 초연결사회 트랜드에 따라, IoT 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연결 가능한 모든 사물을 웹으로 연결하기 위한 WoT(Web of Thing)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접속 기술은 사람의 인위적인 간섭 없이 기기 간에 자율적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하며 2025년까지 약 300억개의 사물이 상호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접속 기술에는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한 정보수집 기술이 특히 각광을 받고 있으며, 현재까지 많이 활용되고 있는 Wi-Fi 와 Bluetooth 기술 외에도 최근에는 기존 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LTE-MTC(LTE Machine-Type Communication), IoT, Lora 등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및 기술이 차세대 사물인터넷 접속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이전에는 배터리 및 통신거리의 한계로 인해 적용되지 못했던 IoT 기술이 LPWA 기술로 인해 그 적용 범위가 확산되었으며, 최근 실시간 관제 대상이 고가자산에서 중저가 자산까지도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기존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기술 및 제품들의 경우 고속 통신, 상시 배터리 공급, 높은 통신비용이 문제점이었다.
현재 고객들이 요구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은 용량이 적고, 단순한 정보를 저속과 저전력으로 배터리 수명은 늘리고, 단말 가격과 통신운영비도 낮출 수 있는 사물인터넷의 확장 기술인 소물인터넷 기술을 원하고 있으며 특히 자산관리 시장에서 저전력/저비용 통신기술 수요가 높다.
기술적 측면에서 통신 커버리지 및 동작 환경에 따라 Long Range(Outdoor) 기술과 Short or Middle Range(Indoor) 기술로 나뉘어 발전하고 있고, IoT 디바이스의 특성상 주로 용량이 작은 배터리를 사용하기에 전력이 제한된 상태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설비 투자 소요가 적은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각 LPWAN 기술은 주파수 확보 비용, 인프라 설치 비용, 단말 제작 비용, 통신 품질, 통신 속도 등의 관점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고객들이 요구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위치 보정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 상용 GPS모듈의 경우 Open Sky 환경에서도 위치오차 5M 이하의 정확도를 보장하지 못하며, 이러한 GPS 위치 오차는 LBS(Location-based service) 기술을 요구하는 현장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만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Cell 측위, WI-FI 등과 같은 보조적인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을 하고 있으나, 단말기 배터리의 한계 등으로 인해 실시간 보정에 한계 존재한다.
따라서, 저비용 통신 및 원가절감된 IoT 단말기 개발, GPS의 기능 제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121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613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17555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LBS(Location-based service)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SBAS 기술을 적용하여 GPS 오차를 일정 범위 이내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IoT 단말기에서 GPS 오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충격, 탈부착, 배터리)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에서 웹/모바일을 통한 자산관제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한 IoT 단말기 및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여 실제 현장에서 조기구축 및 운영에 유리하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은 GPS 위성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의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보정된 위치를 계산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IoT 단말;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여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으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은, GPS 위성 정보를 IoT 단말로 제공하는 GPS 위성과,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위성통신국으로 전달되고 위성통신국이 S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면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정지궤도 SBAS 위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처리 수단은,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중앙처리국에 전달하는 기준국과,기준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국과,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면 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는 위성통신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IoT 단말은,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 처리부와,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SBAS 보정 정보를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SBAS 보정 정보 처리부와,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무결성정보들을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결성 정보 처리부와,GPS 신호와 정지궤도 SBAS 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와,위치 계산부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보정 위치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NB-IoT 망(기지국) 커버리지 스펙에 따라 동시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의 개수(n 개)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단말 슬립 시간 기준으로 부하 분산이 적용되고, 부하 분산 적용 시간은 단말 슬립 시간의 ±5% 범위 내에서 설정되고, 각각의 단말들이 슬립모드에서 깨어나는 시간이 다름을 이용하여 망 과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IoT 단말을 자산관제 대상에 전원을 On하여 부착하고, 정해진 주기 규약에 따라 자산관제 대상을 감시하고, 배터리 절감을 위해 기본 8시간 주기로 설정을 하고, 단말 탈부착, 임계치 이상의 충격을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시에는 1시간 마다 감시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은 SBAS 기술을 적용하여 GPS 오차를 일정 범위 이내로 줄이기 위하여, IoT 단말이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기준국에서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중앙처리국에 전달하는 단계;중앙처리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를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시켜 위성통신국으로 전달하는 단계;위성통신국이 S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 전달하고, 정지궤도 SBAS 위성은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단계;IoT 단말기가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하여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은 GPS On/OFF 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위하여, 설정된 GPS 동작 시간 동안 GPS ON을 하는 단계;GPS 위성으로 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하는 GPS 위치 탐색 단계;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은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GPS OFF하고,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GPS 위치 획득 단계;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위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시간 위치를 추적하고, GPS 수집주기마다 수집한 위치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GPS 수집 주기마다 저장된 위치 정보를 모두 합산하고 저장한 횟수(n)로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GPS를 OFF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은 Always GPS On 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위하여, IoT 단말의 GPS 기능을 동작시키는 GPS ON 단계;GPS 위성으로 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이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고,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마지막까지 추적한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로 일정시간 더 추적을 하고, 추적한 위치 정보 1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저장된 위치정보가 설정된 값 n개인지 확인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를 추적하여 저장 횟수가 n개 일 경우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을 하는 단계;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IoT 단말의 단말 망 등록을 위하여, (A1)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B1)단말이 망으로부터 (A1) 에 대한 응답을 n초간 대기하는 단계와,(C1)망 등록이 실패하면 (A1 ~C1)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D1)(A1~C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E1)(A1~D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뎀을 오프시키는 단계와,(F1)(A1~E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IoT 단말의 단말 서버 등록을 위하여, (A2)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B2)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C2)단말이 서버로부터 (B2) 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D2)단말 서버 등록이 실패하면 (B2~D2)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E2)(B2~D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F2)(B2~E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듈을 오프시키는 단계와,(G2)(A2~F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IoT 단말의 원격 명령 설정을 위하여, (A3)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B3)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C3)서버에 설정 되어 있는 단말 전송 주기, 충겸 임계치, 진동 수집 주기, 이벤트 모드 오프 값이 포함하는 단말 명령 정보를 서버가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D3)단말은 서버로부터 (C3) 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E3)서버로부터 원격 명령 설정 정보 수신에 실패하면 (C3~E3)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하고, (D3)에서 원격 명령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원격 명령 설정은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와,(F3)(E3) 구간에서 원격 명령 설정이 실패하면 단말은 단말 상태 정보 전달 프로세스에서 단말 상태 정보 확인 프로세스로 넘어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IoT 단말의 단말 상태 정보 전달을 위하여, (A4)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B4)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C4)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D4)단말이 위치(GPS/Cell ID) 값, 시간, 충격 값, 탈/부착 여부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상태 정보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E4)단말은 서버로부터 (D4) 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F4)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D4~F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하고, n 회 반복 수행에도 응답 자체가 없거나 단말 상태 정보 확인 불가능 시에는 단말 상태 정보 확인 절차는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와,(G4)(D4~F4)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H4)n 번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배터리 관리를 위해 통신 모듈을 오프시키고 n 초간 대기 후 다시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하는 단계와,(I4)(A4~F4) 과정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배터리 관리를 위해 n 초간 슬립 모드에 진입하고, n 초가 지난 후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하는 단계와,(J4)(A4~I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SBAS 기술을 적용하여 GPS 오차를 일정 범위 이내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IoT 단말기에서 GPS 오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충격, 탈부착, 배터리)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클라우드 기반에서 웹/모바일을 통한 자산관제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한 IoT 단말기 및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여 실제 현장에서 조기구축 및 운영에 유리하도록 한다.
다섯째, 자산관제서비스를 통해 산업용가스 등 화학물 제조납품사, 조선소/중공업 야드, 공항 및 항만 야드 등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대하여 관리가 요구되는 현장에 적용되어 자산관리를 위한 인력투입 비율을 감소 및 자산의 도난방지를 통해 비용절감/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프로세스의 상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1차적으로 GPS를 통하여 위치데이터를 확보 후, 2차적으로 SBAS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수집된 GPS의 위치데이터 보정 실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GPS와 SBAS를 잡을 때, 초기 주위 환경에 의해 오차가 많이 발생하는 데이터는 불포함하고, 전체적인 위치 데이터의 신뢰성을 올리기 위하여 위치 평균값을 산출 후에 서버(플랫폼) 측으로 위치 정보 전송을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동일 시점에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 수가 n개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하분산 로직을 적용하여, 같은 주기를 가진 단말기가 동시에 기지국에 접속 시, 과부하 발생 확률을 감소시킬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항법위성 제공 신호에 각종 요인으로 인한 오차 등의 발생이 수반되므로, GPS 신호감시 및 제공 메시지 사용여부 등을 위한 무결성기능, 각종오차 등을 차등적 보정에 의한 정확도 향상 기능, 항법신호 가용성 및 연속성을 위한 레인징 신호제공 기능 등을 통해 항공기 안전운항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SBAS에서 전송되는 신호에는 보정정보와 무결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보정정보의 종류로는 FC(fast correction), LTC(long-term correction), 그리고 전리층 보정정보가 있다.
FC는 단시간 신호변화에 대한 보정정보로, GNSS 의사거리 정보에 적용 가능하다. LTC는 위성 궤도 및 시계에 대한 보정정보 및 보정정보의 변화율 형태로 제공되며, 항법메시지로부터 계산된 GNSS 위성 궤도 및 시계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SBAS 전리층 보정정보는 MT 26에 포함되어 있으며, 격자점 형태의 전리층지도에 대한 보정정보 및 전리층 보정정보의 추정 정확도를 나타내는 GIVE(grid ionosphere vertical error)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은 도 1a에서와 같이, GPS 위성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과,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의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IoT 단말(200)와,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여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으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처리 수단(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은 GPS 위성 정보를 IoT 단말(200)로 제공하는 GPS 위성(10)과, 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위성통신국으로 전달되고 S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면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정지궤도 SBAS 위성(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처리 수단(300)은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중앙처리국(30)에 전달하는 기준국(20)과, 기준국(20)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10)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국(30)과, 중앙처리국(30)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면 BAS 메시지를 GPS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는 위성통신국(40)을 포함한다.
그리고 IoT 단말(200)의 상세 구성은 도 1b에서와 같다.
IoT 단말(200)은 GPS 위성(10)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 처리부(200a)와, 정지궤도 SBAS 위성(50)으로부터 수신된 SBAS 보정 정보를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SBAS 보정 정보 처리부(200b)와, 정지궤도 SBAS 위성(50)으로부터 수신된 무결성정보들을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결성 정보 처리부(200c)와, GPS 신호와 정지궤도 SBAS 위성(50)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200d)와, 위치 계산부(200d)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기지국(60)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70)로 전송하는 보정 위치데이터 전송부(200e)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위치보정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A)먼저, GPS 위성(10)으로부터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IoT 단말(200)은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B)이어, 넓은 지역에 분산된 기준국(20)에서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C)중앙처리국(30)에 전달한다.
중앙처리국(30)은 기준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한다.
(D)중앙처리국(30)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는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위성통신국(40)으로 전달한다.
(E)위성통신국(40)은 SBAS 메시지를 GPS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 SBAS 위성(50)으로 전달한다.
(F)정지궤도 SBAS 위성(50)은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한다.
IoT 단말기는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한다.
(G)IoT 단말기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7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적용을 통하여 클라우드 기반에서 웹/모바일을 통한 자산관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산관제 대상에 IoT 단말기의 전원을 On하여 부착하고, 정해진 주기 규약에 따라 자산관제 대상을 감시하고, 배터리 절감을 위해 기본 8시간 주기로 설정을 하나 이벤트 발생(단말 탈부착, 임계치 이상의 충격 등)시에는 1시간 마다 감시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구성하고, IoT 단말기 운영 시 부하분산 운영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산관제서비스 분야는 다음과 같은 분야일 수 있다.
자산관제서비스를 통해 산업용가스 등 화학물 제조납품사, 조선소/중공업 야드, 공항 및 항만 야드 등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대하여 관리가 요구되는 현장에 적용되어 자산관리를 위한 인력투입 비율을 감소 및 자산의 도난방지를 통해 비용절감/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공항 야드 및 산업용 렌트카(사다리차, 건설용 차량) 자산관제 서비스가 가능하다.
국내 대형 건설사 및 항공사를 대상으로 하여 항공 및 건설현장에서 고가의 이동자산에 대하여, 위치추적 및 무단사용에 대한 관제 서비스가 가능하다.
카트 및 캐리어, 팔레트, 항공화물 ULD 등 소형화물 캐리어에 단말기 부착을 통해 자산을 관리하고 배차서비스를 위한 기본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는, 항만(부산, 인천, 울산 등 항만 지역) 및 물류분야에서 화물 및 샤시관제 서비스가 가능하다.
즉, 항만 내 컨테이너 적재용 샤시 또는 공컨테이너 등 자산 위치를 파악 후에 배차를 위한 자산관제서비스를 개발하여 고객(항만공사, 물류사)서비스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는, 중공업 및 조선기자재 관련 업체에서의 고가자산 관제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GPS On/OFF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IoT 단말기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SBAS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인 것이다.
구체적으로 GPS ON 단계(S201), GPS 위치 탐색 단계(S202), GPS 위치 획득 단계(S203),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204), 일정시간 추적 단계(S205),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206),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207), GPS OFF 단계(S208), 위치 정보 전송 단계(S209), 장비종료 단계(S210)를 포함하여, GPS On/OFF 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수행한다.
먼저, GPS ON 단계(S201)에서는 설정된 GPS 동작 시간 동안 GPS ON 한다. 이때 GPS 동작 시간은 SBAS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을 고려한다.
이어, GPS 위치 탐색 단계(S202)에서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한다.
그리고 GPS 위치 획득 단계(S203)에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IoT 단말기가 실내이거나 GPS 음영지역에 있을 경우 GPS 위성을 통한 위치를 획득할 수 없다. 이러한 환경의 의해서 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기는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GPS OFF 한다.
GPS 위치 획득 여부 확인은 NMEA Protocol의 의한 메시지를 통해 판별한다.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한다.
이어,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204)에서 GPS 동작시간 동안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마지막까지 추적한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추가로 일정시간 더 추적을 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추적 단계(S205)에서는 위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시간(초)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다.
이어,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206)에서는 GPS 수집 주기에 따른 추적한 마지막 위치 정보 1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GPS 수집주기마다 수집한 위치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리고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207)에서 GPS 수집 주기마다 저장된 위치 정보를 모두 합산하고 저장한 횟수(n)로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위치를 보정한다.
이어, GPS OFF 단계(S208)에서 IoT 단말기 소비전류를 줄이기 위해 GPS를 OFF 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전송 단계(S209)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한다.
장비종료 단계(S210)는 사용자의 의해 IoT 단말기를 종료하거나, 다음 GPS 수집 주기동안 IoT 단말기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Always GPS On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GPS ON 단계(S301), GPS 위치 탐색 단계(S302), GPS 위치 획득 단계(S303),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304), 일정시간 추적 단계(S305),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306), N개 위치 정보 저장 단계(S307),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308), 위치 정보 전송 단계(S309)를 포함하여, Always GPS On 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수행한다.
먼저, GPS ON 단계(S301)에서는 IoT 단말기의 GPS 기능을 동작시킨다.
그리고 GPS 위치 탐색 단계(S302)에서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한다.
이어, GPS 위치 획득 단계(S303)에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IoT 단말기가 실내이거나 GPS 음영지역에 있을 경우 GPS 위성을 통한 위치를 획득할 수 없다. 이러한 환경의 의해서 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기는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한다.
GPS 위치 획득 여부 확인은 NMEA Protocol의 의한 메시지를 통해 판별한다.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한다.
그리고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304)에서는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마지막까지 추적한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추가로 일정시간 더 추적한다.
이어, 일정시간 추적 단계(S305)에서는 위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시간(초) 위치를 추적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306)에서 추적한 위치 정보 1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N개 위치 정보 저장 단계(S307)에서 저장된 위치정보가 설정된 값 n개인지 확인한다.
저장 횟수가 n개가 아닐 경우,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를 추적한다.
이어,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308)에서 저장 횟수가 n개 일 경우, 저장된 n개의 위치 정보를 모두 합산하고 저장한 횟수(n)로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위치를 보정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전송 단계(S309)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NB-IoT 망(기지국) 커버리지 스펙에 따라 동시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의 개수(n 개)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단말에 부하분산을 적용하여 망 커버리지를 유지하는데 있다.
부하 분산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부하 분산은 단말 슬립 시간 기준으로 부하 분산이 적용된다.
둘째, 부하 분산 적용 시간은 단말 슬립 시간의 ±5% 범위 내에서 설정이 된다.
예를 들어, 단말의 슬립 시간이 1440(24시간) 분이라면 1440분의 ±5%(72분) 시간을 적용하여 1368분 ~ 1512분 내에서 랜덤하게 측정이 되고 해당 시간만큼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셋째, 각각의 단말들이 슬립모드에서 깨어나는 시간이 다름을 이용하여 망 과부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프로세스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단말 망(기지국) 등록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A1)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을 수행한다. 단말은 AT Command를 이용한 망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AT Command는 무선 통신에서 서로 간의 상태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통신 프로토콜이다.
(B1)단말은 망으로부터 (A1)에 대한 응답을 n초간 대기한다. 단말로부터 접속 신호를 받은 망은 단말에게 망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을 전달한다.
단말 or 망 문제로 인하여 망 응답 자체가 없을 수도 있다.
(C1)망 등록이 실패하면 (A1 ~C1)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한다. (B1)에서 응답 자체가 없거나 망 접속 불가능 시 망 등록 실패로 간주한다.
(D1)(A1~C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킨다. 통신 모듈을 리셋 시키는 이유는, 망 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단말의 통신 모듈 문제로 인한 망 등록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E1)(A1~D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뎀을 오프시킨다.
망 등록 시도를 n회 반복에도 망 등록이 실패하면 무선 단말의 특성상 배터리 관리 차원에서 n 초간 대기 후 통신 모듈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n 초 후에 (A1)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
(F1)(A1~E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조건은 모든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완료했거나, 해당 건과 같이 n회 반복 시도에도 정상적인 프로세스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망 접속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단말은 n초간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는 배터리 관리 차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최초 단말 망 등록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가정하여 단말 서버 등록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A2)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을 수행한다.
(B2)단말을 서버에 등록한다.
모든 단말은 서버에 해당 단말의 정보가 저장 및 등록 설정이 되어 있어야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단말과 서버간의 통신은 Coa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단말 서버 등록은 단말이 서버에게 먼저 데이터를 송신한다.
(C2)단말은 서버로부터 (B2)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한다.
단말로부터 접속 신호를 받은 서버는 단말에게 서버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을 전달한다. 단말 or 망 or 서버 문제로 인하여 서버 응답 자체가 없을 수도 있다.
(D2)단말 서버 등록이 실패하면 (B2~D2)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한다. (C2)에서 n 회 반복 수행에도 응답 자체가 없거나 서버 접속 불가능 시 단말 서버 등록 실패로 간주한다.
(E2)(B2~D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킨다.
통신 모듈을 리셋 시키는 이유는, 망 및 서버에 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단말의 통신 모듈 문제로 인한 서버 등록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F2)(B2~E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듈을 오프시킨다.
단말 서버 등록 시도를 n회 반복에도 단말 서버 등록이 실패하면 무선 단말의 특성상 배터리 관리 차원에서 n 초간 대기 후 통신 모듈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n 초 후에 (A2)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
(G2)(A2~F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조건은 모든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완료했거나, 해당 건과 같이 n회 반복 시도에도 정상적인 프로세스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서버 접속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단말은 n초간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는 배터리 관리 차원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최초 단말 망 등록, 단말 서버 등록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지는 원격 명령 설정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A3)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을 수행한다.
(B3)단말을 서버에 등록한다.
(C3)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명령 정보를 서버가 단말에게 전송한다.
명령 정보에 포함되는 값은 단말 전송 주기, 충격 임계치, 진동 수집 주기, 이벤트 모드 오프 값이 포함된다.
여기서, 단말 전송 주기는 단말의 데이터 전송 주기 설정이고, 충격 임계치는 단말에서 발생하는 충격 임계치 상한 값 설정이고, 진동 수집 주기는 단말은 n 초마다 진동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데 n 초에 해당하는 시간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벤트 모드 오프는 충격 및 탈착 발생 시 단말은 이벤트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실수 혹은 기타 의도하지 않은 이벤트 모드 진입 시 정상 모드로 돌아갈 수 있도록 값을 설정한다.
(D3)단말은 서버로부터 (C3)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한다.
(E3)서버로부터 원격 명령 설정 정보 수신에 실패하면 (C3~E3)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한다. (D3) 에서 원격 명령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원격 명령 설정은 실패로 간주한다.
(F3)(E3) 구간에서 실패 즉, 원격 명령 설정이 실패하면 단말은 도 8의 단말 상태 정보 전달 프로세스에서 (D4) 부분, 단말 상태 정보 확인 프로세스로 넘어가게 된다.
도 8은 최초 단말 망 등록, 단말 서버 등록, 원격 명령 설정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지는 단말 상태 정보 전달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A4)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B4)단말을 서버에 등록한다.
(C4)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명령 정보를 전송한다.
(D4)단말 상태 정보 데이터를 등록(전송)한다. 단말은 서버에게 단말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태 정보 데이터는 위치(GPS/Cell ID) 값, 시간, 충격 값, 탈/부착 여부등 단말의 상태 데이터가 포함된다.
(E4)단말은 서버로부터 (D4)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한다. 단말 or 망 or 서버 문제로 인하여 서버 응답 자체가 없을 수도 있다.
(F4)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D4~F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한다. (F4)에서 n 회 반복 수행에도 응답 자체가 없거나 단말 상태 정보 확인 불가능 시, 단말 상태 정보 확인 절차는 실패로 간주한다.
(G4)(D4~F4)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킨다.
통신 모듈을 리셋 시키는 이유는, 망 및 서버에 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단말의 통신 모듈 문제로 인한 단말 상태 정보 확인(전송)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H4)n 번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배터리 관리를 위해 통신 모듈을 오프시키고 n 초간 대기 후 다시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
(I4)(A4~F4) 과정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배터리 관리를 위해 n 초간 슬립 모드에 진입하고, n 초가 지난 후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
(J4)(A4~I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조건은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완료했거나, 해당 건과 같이 n 회 반복 시도에도 정상적인 프로세스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의 특성상 배터리 관리를 위해 단말은 n 초간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충격, 탈부착, 배터리)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
200. IoT 단말
300. 위치 정보 처리 수단

Claims (13)

  1. GPS 위성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의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보정된 위치를 계산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IoT 단말;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여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으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은,
    GPS 위성 정보를 IoT 단말로 제공하는 GPS 위성과,
    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위성통신국으로 전달되고 위성통신국이 S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면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정지궤도 SBAS 위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 처리 수단은,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중앙처리국에 전달하는 기준국과,
    기준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국과,
    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면 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는 위성통신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IoT 단말은,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 처리부와,
    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SBAS 보정 정보를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SBAS 보정 정보 처리부와,
    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무결성정보들을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결성 정보 처리부와,
    GPS 신호와 정지궤도 SBAS 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와,
    위치 계산부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보정 위치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NB-IoT 망(기지국) 커버리지 스펙에 따라 동시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의 개수(n 개)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단말 슬립 시간 기준으로 부하 분산이 적용되고, 부하 분산 적용 시간은 단말 슬립 시간의 ±5% 범위 내에서 설정되고, 각각의 단말들이 슬립모드에서 깨어나는 시간이 다름을 이용하여 망 과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을 자산관제 대상에 전원을 On하여 부착하고,
    정해진 주기 규약에 따라 자산관제 대상을 감시하고, 배터리 절감을 위해 기본 8시간 주기로 설정을 하고,
    단말 탈부착, 임계치 이상의 충격을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시에는 1시간 마다 감시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7. SBAS 기술을 적용하여 GPS 오차를 일정 범위 이내로 줄이기 위하여,
    IoT 단말이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국에서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중앙처리국에 전달하는 단계;
    중앙처리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를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시켜 위성통신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위성통신국이 S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 SBAS 위성으로 전달하고, 정지궤도 SBAS 위성은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단계;
    IoT 단말기가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하여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8. GPS On/OFF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위하여,
    설정된 GPS 동작 시간 동안 GPS ON을 하는 단계;
    GPS 위성으로 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하는 GPS 위치 탐색 단계;
    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은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GPS OFF하고,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GPS 위치 획득 단계;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
    위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시간 위치를 추적하고, GPS 수집주기마다 수집한 위치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GPS 수집 주기마다 저장된 위치 정보를 모두 합산하고 저장한 횟수(n)로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GPS를 OFF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9. Always GPS On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위하여,
    IoT 단말의 GPS 기능을 동작시키는 GPS ON 단계;
    GPS 위성으로 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
    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이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하고,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마지막까지 추적한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로 일정시간 더 추적을 하고, 추적한 위치 정보 1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위치정보가 설정된 값 n개인지 확인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를 추적하여 저장 횟수가 n개 일 경우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을 하는 단계;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IoT 단말의 단말 망 등록을 위하여,
    (A1)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
    (B1)단말이 망으로부터 (A1)에 대한 응답을 n초간 대기하는 단계와,
    (C1)망 등록이 실패하면 (A1 ~C1)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D1)(A1~C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
    (E1)(A1~D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뎀을 오프시키는 단계와,
    (F1)(A1~E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IoT 단말의 단말 서버 등록을 위하여,
    (A2)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
    (B2)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C2)단말이 서버로부터 (B2)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
    (D2)단말 서버 등록이 실패하면 (B2~D2)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E2)(B2~D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
    (F2)(B2~E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듈을 오프시키는 단계와,
    (G2)(A2~F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IoT 단말의 원격 명령 설정을 위하여,
    (A3)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
    (B3)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C3)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전송 주기, 충겸 임계치, 진동 수집 주기, 이벤트 모드 오프 값이 포함하는 단말 명령 정보를 서버가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D3)단말은 서버로부터 (C3)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
    (E3)서버로부터 원격 명령 설정 정보 수신에 실패하면 (C3~E3)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하고, (D3)에서 원격 명령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원격 명령 설정은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와,
    (F3)(E3) 구간에서 원격 명령 설정이 실패하면 단말은 단말 상태 정보 전달 프로세스에서 단말 상태 정보 확인 프로세스로 넘어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13. 제 7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IoT 단말의 단말 상태 정보 전달을 위하여,
    (A4)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B4)단말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C4)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D4)단말이 위치(GPS/Cell ID) 값, 시간, 충격 값, 탈/부착 여부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상태 정보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E4)단말은 서버로부터 (D4)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하는 단계와,
    (F4)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D4~F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하고, n 회 반복 수행에도 응답 자체가 없거나 단말 상태 정보 확인 불가능 시에는 단말 상태 정보 확인 절차는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와,
    (G4)(D4~F4)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키는 단계와,
    (H4)n 번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배터리 관리를 위해 통신 모듈을 오프시키고 n 초간 대기 후 다시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하는 단계와,
    (I4)(A4~F4) 과정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배터리 관리를 위해 n 초간 슬립 모드에 진입하고, n 초가 지난 후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하는 단계와,
    (J4)(A4~I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방법.
KR1020190162693A 2019-12-09 2019-12-09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2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93A KR20210072406A (ko) 2019-12-09 2019-12-09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0/014466 WO2021118045A1 (ko) 2019-12-09 2020-10-22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93A KR20210072406A (ko) 2019-12-09 2019-12-09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406A true KR20210072406A (ko) 2021-06-17

Family

ID=7633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693A KR20210072406A (ko) 2019-12-09 2019-12-09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72406A (ko)
WO (1) WO2021118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9107A (zh) * 2021-08-17 2021-11-0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淮南市潘集区供电公司 一种高压电缆故障定位方法、系统及其装置
CN114222364B (zh) * 2021-12-19 2023-10-3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卫星通信分公司 一种支持天通粗定位功能的终端位置信息交互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132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케이티 담보물 경계 노드, 경계 게이트웨이, 담보물 관제 서버 및 담보물 모니터링 방법
KR20190017555A (ko) 2017-08-11 2019-02-20 국방과학연구소 위성항법 시스템의 보정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071215A (ko) 2017-12-14 2019-06-2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지구궤도 인공위성용 sbas 무결성정보 변환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126A (ko) * 2002-12-17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체파워리셋 명령 처리 방법
KR101097113B1 (ko) * 2009-09-02 2011-12-22 아바드(주) 디지피에스 정보를 이용한 실외 영상 도우미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744420B1 (ko) * 2015-11-25 2017-06-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항법 지역보강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112825B1 (ko) * 2017-12-26 2020-05-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실시간 위성항법 정보 보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99142B1 (ko) * 2018-02-28 2019-07-11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132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케이티 담보물 경계 노드, 경계 게이트웨이, 담보물 관제 서버 및 담보물 모니터링 방법
KR20190017555A (ko) 2017-08-11 2019-02-20 국방과학연구소 위성항법 시스템의 보정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071215A (ko) 2017-12-14 2019-06-2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지구궤도 인공위성용 sbas 무결성정보 변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045A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87364B (zh) 一种低轨导航增强精密改正数据生成、上注系统及方法
EP18405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ltitude information in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US79160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ference location of a mobile device
EP358814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t tracking
CN102098782B (zh) 一种基于调频广播的终端定位方法及专用定位装置
CN106707317B (zh) 区域位置差分定位方法及系统
US8217832B2 (en) Enhancing location accuracy using multiple satellite measurements based on environment
US8467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ference location using cell table data mining
US20120329480A1 (en) Positioning device and positioning method
JP2017085546A (ja) 航空機遭難追跡及び捜索救助システムとのインターフェース
WO2013009465A1 (en) Position estimating for a mobile device
US20080068261A1 (en) Exchanging Condition Information Between A GPS Receiver And A Display Unit Device
CN103444246A (zh) 无线电装置的协作定位
KR20210072406A (ko)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0568455A (zh) 一种北斗信标系统
Vana et al. Analysis of GNSS correction data standards for the automotive market
US20150084813A1 (en) Gps positioning system
Magno et al. Combining LoRa and RTK to achieve a high precision self-sustaining geo-localization system
CN112351061A (zh) 物品/资产跟踪
CN116009029A (zh) 一种无人机差分起降引导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40039954A (ko) 위성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및 시스템
US97848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low earth orbit satellites
US10484082B2 (en) Space asset tracker
US20230412263A1 (en) Low cost, size, weight, and power (cswap) geolocation capability utilizing signal characteristics passed through to backhaul network
CN212694054U (zh) Gnss定位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