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142B1 -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142B1
KR101999142B1 KR1020180024745A KR20180024745A KR101999142B1 KR 101999142 B1 KR101999142 B1 KR 101999142B1 KR 1020180024745 A KR1020180024745 A KR 1020180024745A KR 20180024745 A KR20180024745 A KR 20180024745A KR 101999142 B1 KR101999142 B1 KR 101999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mmand
event
uplink
uplink pack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44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에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단말장치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전제로 단말장치에 대한 중앙서버로부터의 실시간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IoT TERMINAL AND CENTRAL SE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에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단말장치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전제로 단말장치에 대한 중앙서버로부터의 실시간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스마트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활 속의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등장하여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네트워크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oT 네트워크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단말(IoT 단말)과, 원격지의 IoT 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IoT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사물인터넷용 어플리케이션(이하 IoT앱이라 함)이 설치된 고객단말과, IoT 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또는, IoT앱 서버), 사물인터넷단말 및 네트워크장치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예: IoT 기지국)로 구성된다.
이러한 IoT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은, IoT 단말/IoT 기지국/네트워크장치 3개의 노드 간에 송수신되는 업링크패킷/다운링크패킷 수신 성공률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한편, 이러한 IoT 네트워크에 적용되고 있는 IoT 단말의 경우, 구동 전원으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류소모를 최소화하고 배터리 사용 시간을 늘리기 위해 LoRa 통신 규격에서 정의한 Class A 형태를 채택한다.
이러한 Class A 형태의 단말장치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에는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이고, 주기적으로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 업링크패킷을 송신한다.
이 때 IoT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원격의 중앙서버로부터의 다운링크패킷은 업링크패킷 전송 후 짧은 시간 동안에만 수신이 가능하며, 만약 중앙서버가 새로운 다운링크패킷을 전송하고자 하면 단말장치가 다시 깨어나서 업링크패킷을 전송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따라서 Class A 형태의 단말장치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방향 통신이 제한적이어서 중앙서버로부터의 실시간 제어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에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단말장치의 전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전제로, 단말장치에 대한 중앙서버로부터의 실시간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 시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을 생성하여 전송되도록 하는 생성부; 및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다운링크패킷에 상기 이벤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액티브 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며, 상기 다운링크패킷에 상기 이벤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명령이 처리될 수 있도록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업링크패킷을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정의된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는 시점까지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여 수신된 다운링크패킷이 상기 제어명령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부는, 기 정의된 업링크 주기마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며, 상기 제어명령이 처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업링크 주기와는 별도로 상기 제어명령의 처리 결과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서로 이웃한 2 이상의 업링크 주기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통계 값을 갱신하여 저장하며, 특정 업링크 주기에서 수집된 수집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상기 통계 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이거나, 또는 기 저장된 통계 값과 갱신을 위한 통계 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는, 단말장치가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상기 이벤트식별정보에 따른 제어명령을 포함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한 상기 단말장치가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 시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업링크패킷의 전송에 따라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다운링크패킷에 상기 이벤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액티브 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며, 상기 다운링크패킷에 상기 이벤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명령이 처리될 수 있도록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업링크패킷을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정의된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는 시점까지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여 수신된 다운링크패킷이 상기 제어명령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단계는, 기 정의된 업링크 주기마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며, 상기 제어명령이 처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업링크 주기와는 별도로 상기 제어명령의 처리 결과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단계는, 서로 이웃한 2 이상의 업링크 주기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통계 값을 갱신하여 저장하며, 특정 업링크 주기에서 수집된 수집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상기 통계 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이거나, 또는 기 저장된 통계 값과 갱신을 위한 통계 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가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상기 이벤트식별정보에 따른 제어명령을 포함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한 상기 단말장치가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에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단말장치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전제로 단말장치에 대한 중앙서버로부터의 실시간 제어가 가능한 환경이 마련됨에 따라,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장치(10), 원격지의 단말장치(10)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단말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서버(40)와, 단말장치(10)와 중앙서버(40)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30), 단말장치(10) 및 네트워크장치(30)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처리하는 기지국장치(20)로 구성된다.
한편,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에서의 IoT 단말은 기 정의된 업링크 주기 마다, 패킷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다수의 채널 중 랜덤하게 선택한 임의의 채널을 통해 데이터(업링크패킷)를 전송(송신)하는, 비교적 단순한 업링크패킷 송신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반면, IoT 단말은 다운링크패킷 수신 방식에 따라 몇 가지 타입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타입 중 저 전력 지원을 위해 데이터 전송(업링크패킷 송신) 후 데이터(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다운링크패킷)을 특정 횟수로 제한된 일정 시간 단위의 다운링크 시간구간에서만 수신 가능한 타입(이하, 수신 제한 타입)이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을 1초, 특정 횟수를 2회로, 시간구간 사이의 시간 간격을 1초로 가정하면, 수신 제한 타입으로 동작하는 IoT 단말은, 기 정의된 업링크 송신주기가 도래하면 데이터(업링크패킷)을 전송(송신)하고, 업링크패킷 송신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1초 이후의 첫번째 다운링크 시간구간(DL1)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가능하고, 다운링크 미 수신 시 DL1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1초 이후 즉 업링크패킷 송신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3초 이후의 두번째 다운링크 시간구간(DL2)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IoT 단말은, 업링크패킷 송신 후 DL1 또는 DL2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성공하면, 다음 업링크 송신주기가 도래하여 다음 데이터(업링크패킷)을 전송(송신)할 때까지 Sleep상태로 대기하며, DL1 및 DL2 모두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실패하면 금번 업링크 송신주기가 경과하기 전에 정해진 규칙에 따른 업링크패킷(데이터) 재전송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수신 제한 타입은, 사물인터넷(IoT) 기술 중에서도 광역 커버리지를 대상으로 하여 저속 전송(<1kbps) 및 저 전력을 지원하는 소량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IoT 기술(LoRa: Long Range)에서 사용되는 IoT 단말이 주로 채택/동작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구동 전원으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며, 전류소모를 최소화하고 배터리 사용 시간을 늘리기 위해 LoRa 통신 규격에서 정의한 Class A 형태(수신 제한 타입)를 채택하고 있는 IoT 단말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에는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주기적으로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 업링크패킷을 송신하게 되므로, 원격의 중앙서버(40)로부터의 다운링크패킷은 업링크패킷 전송 후 짧은 시간 동안에만 수신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만약 중앙서버(40)가 새로운 다운링크패킷을 전송하고자 하면 단말장치(10)가 다시 깨어나서 업링크패킷을 전송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이러한 Class A 형태의 채택에 따른 제한적인 양방향 통신은 중앙서버(40)의 실시간 제어를 불가능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단말장치(10)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전제로 단말장치(10)에 대한 중앙서버(40)로부터의 실시간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 및 중앙서버(4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1),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생성부(12), 및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결정부(1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판단부(11), 생성부(12), 및 결정부(13)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단말장치(1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단말장치(1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14), 및 기지국장치(20)와 연계한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15)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부(14)는 예컨대, 데이터 수집을 위한 다양한 센서 및 통신포트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15)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중앙서버(40)로부터의 실시간 제어를 가능케 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판단부(11)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1)는 단말장치(10)의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따라 수집부(14)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11)는 수집된 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1)는 2 이상의 업링크 주기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통계 값(예: 평균 값)을 이용하는 방식을 통해서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통계 값을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수집부(14)의 오 동작 시 수집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방식을 따를 수 있다.
즉, 판단부(11)는 데이터의 오류 검증을 위해서, 서로 이웃한 2 이상의 업링크 주기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통계 값을 갱신하여 저장하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특정 업링크 주기에서 수집된 수집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상기 통계 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이거나, 또는 기 저장된 통계 값과 갱신을 위한 통계 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데이터의 오류에 관한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생성부(12)는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생성부(12)는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한 판단 결과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집된 데이터에 이벤트식별정보가 삽입(포함)된 업링크패킷을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업링크패킷이 통신부(15)를 통해서 기지국장치(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기지국장치(20)로 전송된 업링크패킷은 네트워크장치(30)로 전달되며, 네트워크장치(30)는 업링크패킷 내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중앙서버(40)로 전달함으로써, 중앙서버(40)로 하여금 이벤트식별정보로부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생성부(12)는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한 판단 결과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 할 지라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업링크패킷을 생성하게 되는데, 다만 이 경우에 생성되는 업링크패킷에는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결정부(13)는 단말장치(1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결정부(13)는 액티브 주기의 도래에 따라 단말장치(10)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한 이후,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액티브 모드를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때, 결정부(13)는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었는지 여부, 및 수신된 다운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액티브 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우선, 결정부(13)는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의 전송이 처리된 경우, 업링크패킷을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정의된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는 시점 이전에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며, 또한 이처럼 수신된 다운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제어명령이 처리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명령은, 이벤트식별정보를 확인한 중앙서버(40)로부터 전달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명령의 처리 과정 이후에는 해당 처리 결과와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이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이처럼 제어명령의 처리 결과를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업링크패킷은, 단말장치(10)에서 주기적으로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업링크 주기와는 별도로 제어명령의 처리가 완료되는 즉시 생성될 수 있다.
반면, 결정부(13)는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의 전송 이후, 기 정의된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 제어명령 대기시간 이전에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었으나, 이처럼 수신된 다운링크패킷이 제어명령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장치(10)의 전류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결정부(13)는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업링크패킷이 전송된 경우라면, 업링크패킷의 전송 시점 이후 IoT 단말의 수신 제한 타입에 기 정의된 다운링크 시간구간 동안 다운링크패킷의 수신을 대기한 이후 단말장치(10)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참고로, 단말장치(10)가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업링크패킷을 전송한 경우라면, 기지국장치(20)를 통해서 해당 업링크패킷을 수신한 네트워크장치(30)는 업링크패킷 내 데이터만을 중앙서버(40)로 전달하고, 수신된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장치(20)를 통해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이하에서는 중앙서버(4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4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40)는 이벤트식별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41), 및 이벤트식별정보에 따른 제어명령의 전달을 처리하는 처리부(4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확인부(41) 및 처리부(42)를 포함하는 중앙서버(40)의 구성 전제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중앙서버(4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단말장치(1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4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네트워크장치(30)와 연계한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43)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43)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중앙서버(40)로부터의 실시간 제어를 가능케 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단말장치(4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확인부(41)는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확인부(41)는 단말장치(10)가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확인부(41)는 네트워크장치(30)로부터 단말장치(10)가 전송한 업링크패킷에 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에서는 액티브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수집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집된 데이터에 이벤트식별정보가 삽입(포함)된 업링크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업링크패킷을 기지국장치(20)를 통해서 네트워크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
처리부(42)는 제어명령의 전달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처리부(42)는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이벤트식별정보에 따른 제어명령을 포함하도록 처리하여, 해당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한 단말장치(10)가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여 전달된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처리부(42)는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이벤트 처리를 위한 제어명령을 네트워크장치(30)로 전달함으로써, 네트워크장치(30)로 하여금 제어명령이 삽입된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장치(20)를 통해 단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처리부(42)는 제어명령의 전달을 처리하기 이전에, 단말장치(10)에 판단된 이벤트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 유효성 검증은, 단말장치(10)에서 판단된 이벤트가 데이터의 오류에 관한 기 정의된 이벤트인 경우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처리부(42)는 확인된 이벤트식별정보로부터 단말장치(10)에서 판단된 이벤트의 유형이 데이터의 오류에 관한 기 정의된 이벤트인 경우, 예컨대, 단말장치(10)의 위치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 범주에 속하는 다수의 단말로 구성된 단말그룹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처리부(42)는 단말그룹이 확인된 경우에는, 단말그룹 내 단말장치(10)를 포함하는 각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으로부터 동일한 이벤트 유형이 확인되는지를 확인하게 되며, 확인 결과 단말그룹 내 설정 개수 이상의 단말로부터 단말장치(10)와 동일한 이벤트 유형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장치(10)에서 판단된 이벤트가 위치 상 환경 특성으로 인한 일시적 오류인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명령이 단말장치(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및 각 구성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에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단말장치(10)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전제로 단말장치(10)에 대한 중앙서버(40)로부터의 실시간 제어가 가능한 환경이 마련됨에 따라,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의 동작 흐름, 단말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 및 중앙서버(4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장치(10)는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따라 수집부(14)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S13).
이때, 판단부(11)는 수집된 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는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한 판단 결과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집된 데이터에 이벤트식별정보가 삽입(포함)된 업링크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30)로 전송한다(S14- S15).
이에 대해, 네트워크장치(30)는 업링크패킷 내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중앙서버(40)로 전달함으로써, 중앙서버(40)로 하여금 이벤트식별정보로부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16).
이어서, 중앙서버(40)는 네트워크장치(30)로부터 단말장치(10)가 전송한 업링크패킷에 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이벤트식별정보에 따른 제어명령을 포함하도록 처리하여, 해당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한 단말장치(10)가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여 전달된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S17-S18).
이때, 중앙서버(40)는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이벤트 처리를 위한 제어명령을 네트워크장치(30)로 전달함으로써, 네트워크장치(30)로 하여금 제어명령이 삽입된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장치(20)를 통해 단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는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의 전송이 처리된 경우, 업링크패킷을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정의된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는 시점 이전에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며, 또한 이처럼 수신된 다운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제어명령이 처리될 수 있도록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유지한다(S19).
그런 다음, 단말장치(20)는 제어명령의 결과와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한다(S21).
여기서, 제어명령의 처리 결과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은, 단말장치(10)에서 주기적으로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업링크 주기와는 별도로 제어명령의 처리가 완료되는 즉시 생성될 수 있다.
이어서, 네트워크장치(30)는 업링크패킷 내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명령 처리 결과를 중앙서버(40)로 전달함으로써, 중앙서버(40)로 하여금 제어명령에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로드패킷을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S22-S23).
이후, 단말장치(10)는 제어명령 처리 결과와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의 전송 이후, 제어명령 대기시간 이전에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며, 해당 다운링크패킷이 제어명령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전류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S24).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단말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단부(11)는 단말장치(10)의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따라 수집부(14)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S33).
이때, 판단부(11)는 수집된 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생성부(12)는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한 판단 결과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집된 데이터에 이벤트식별정보가 삽입(포함)된 업링크패킷을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업링크패킷이 통신부(15)를 통해서 기지국장치(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S34-S35).
이처럼, 기지국장치(20)로 전송된 업링크패킷은 네트워크장치(30)로 전달되며, 네트워크장치(30)는 업링크패킷 내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중앙서버(40)로 전달함으로써, 중앙서버(40)로 하여금 이벤트식별정보로부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결정부(13)는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의 전송이 처리된 경우, 업링크패킷을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정의된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는 시점 이전에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며, 또한 이처럼 수신된 다운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제어명령이 처리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39).
여기서, 제어명령은, 이벤트식별정보를 확인한 중앙서버(40)로부터 전달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명령의 처리 과정 이후에는 해당 처리 결과와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이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이처럼 제어명령의 처리 결과를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업링크패킷은, 단말장치(10)에서 주기적으로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업링크 주기와는 별도로 제어명령의 처리가 완료되는 즉시 생성될 수 있다.
반면, 결정부(13)는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의 전송 이후, 기 정의된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 제어명령 대기시간 이전에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었으나, 이처럼 수신된 다운링크패킷이 제어명령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장치(10)의 전류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44).
한편, 생성부(12)는 앞선 단계 S33에서의 판단 결과,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 할 지라도, 업링크패킷을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업링크패킷이 통신부(15)를 통해서 기지국장치(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S40-S41).
다만 이 경우에 생성되는 업링크패킷에는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단계 S34에서 생성되는 업링크패킷과는 그 차이가 있다.
참고로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업링크패킷을 전송한 경우라면, 기지국장치(20)를 통해서 해당 업링크패킷을 수신한 네트워크장치(30)는 업링크패킷 내 데이터만을 중앙서버(40)로 전달하고, 수신된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장치(20)를 통해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
이후, 결정부(13)는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업링크패킷이 전송된 경우라면, 업링크패킷의 전송 시점 이후 IoT 단말의 수신 제한 타입에 기 정의된 다운링크 시간구간 동안 다운링크패킷의 수신을 대기한 이후 단말장치(10)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S42-S44).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중앙서버(4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확인부(41)는 단말장치(10)가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1).
이때, 확인부(41)는 네트워크장치(30)로부터 단말장치(10)가 전송한 업링크패킷에 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에서는 액티브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수집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집된 데이터에 이벤트식별정보가 삽입(포함)된 업링크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업링크패킷을 기지국장치(20)를 통해서 네트워크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처리부(42)는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이벤트식별정보에 따른 제어명령을 포함하도록 처리하여, 해당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한 단말장치(10)가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여 전달된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S52-S53).
이때, 처리부(42)는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이벤트 처리를 위한 제어명령을 네트워크장치(30)로 전달함으로써, 네트워크장치(30)로 하여금 제어명령이 삽입된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장치(20)를 통해 단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처리부(42)는 제어명령의 전달을 처리하기 이전에, 단말장치(10)에 판단된 이벤트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 유효성 검증은, 단말장치(10)에서 판단된 이벤트가 데이터의 오류에 관한 기 정의된 이벤트인 경우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처리부(42)는 확인된 이벤트식별정보로부터 단말장치(10)에서 판단된 이벤트의 유형이 데이터의 오류에 관한 기 정의된 이벤트인 경우, 단말장치(10)의 위치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 범주에 속하는 다수의 단말로 구성된 단말그룹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처리부(42)는 단말그룹이 확인된 경우에는, 단말그룹 내 단말장치(10)를 포함하는 각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으로부터 동일한 이벤트 유형이 확인되는지를 확인하게 되며, 확인 결과 단말그룹 내 설정 개수 이상의 단말로부터 단말장치(10)와 동일한 이벤트 유형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장치(10)에서 판단된 이벤트가 위치 상 환경 특성으로 인한 일시적 오류인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명령이 단말장치(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및 각 구성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에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단말장치(10)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전제로 단말장치(10)에 대한 중앙서버(40)로부터의 실시간 제어가 가능한 환경이 마련됨에 따라,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에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단말장치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전제로 단말장치에 대한 중앙서버로부터의 실시간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단말장치
11: 판단부 12: 생성부
13: 결정부 14: 수집부
15: 통신부
20: 기지국장치
30: 네트워크장치
40: 중앙서버
41: 확인부 42: 처리부
43: 통신부

Claims (14)

  1.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 시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을 생성하여 전송되도록 하는 생성부; 및
    상기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며 상기 다운링크패킷에 상기 이벤트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이벤트 처리를 위한 제어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업링크패킷을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정의된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는 시점까지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여 수신된 다운링크패킷이 상기 제어명령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기 정의된 업링크 주기마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며,
    상기 제어명령이 처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업링크 주기와는 별도로 상기 제어명령의 처리 결과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서로 이웃한 2 이상의 업링크 주기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통계 값을 갱신하여 저장하며,
    특정 업링크 주기에서 수집된 수집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상기 통계 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이거나, 또는 기 저장된 통계 값과 갱신을 위한 통계 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단말장치가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업링크패킷에 상기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상기 이벤트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이벤트 처리를 위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한 상기 단말장치가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서버.
  8.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 시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이벤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며 상기 다운링크패킷에 상기 이벤트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이벤트 처리를 위한 제어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업링크패킷을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정의된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는 시점까지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어명령 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여 수신된 다운링크패킷이 상기 제어명령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기 정의된 업링크 주기마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며,
    상기 제어명령이 처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업링크 주기와는 별도로 상기 제어명령의 처리 결과를 포함하는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서로 이웃한 2 이상의 업링크 주기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통계 값을 갱신하여 저장하며,
    특정 업링크 주기에서 수집된 수집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상기 통계 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이거나, 또는 기 저장된 통계 값과 갱신을 위한 통계 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데이터 값과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 기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4. 단말장치가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업링크패킷에 상기 이벤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이 상기 이벤트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이벤트 처리를 위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한 상기 단말장치가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서버의 동작 방법.
KR1020180024745A 2018-02-28 2018-02-28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KR101999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45A KR101999142B1 (ko) 2018-02-28 2018-02-28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45A KR101999142B1 (ko) 2018-02-28 2018-02-28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142B1 true KR101999142B1 (ko) 2019-07-11

Family

ID=6725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745A KR101999142B1 (ko) 2018-02-28 2018-02-28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45A1 (ko) *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436B1 (ko) * 2013-08-05 2014-11-05 주식회사 맥스포 저전력 센서 노드
JP2017506014A (ja) * 2014-02-11 2017-02-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におけるパワーセーブモードに基づく動作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436B1 (ko) * 2013-08-05 2014-11-05 주식회사 맥스포 저전력 센서 노드
JP2017506014A (ja) * 2014-02-11 2017-02-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におけるパワーセーブモードに基づく動作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45A1 (ko) *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7785B (zh) 通信架构中的无线网络、接入点和客户端设备
KR20200039295A (ko)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분석 정보를 활용한 효율적 mico 모드 관리 방법
US200901855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ergy Expanding Of Sensor Network Nodes
US110260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otive Wi-Fi access and connection
CN109842919B (zh) 一种终端与基站的通信、终端的入网方法和装置
US10687271B2 (en) Network accessing method
KR20070055525A (ko) 코어 기반 노드를 사용하여 상태를 전송하기 위한 향상된기술들
CN103095605A (zh) 一种移动物联网中融合路由器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CN110691375B (zh) 一种选择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6792694B (zh) 一种接入认证方法,及接入设备
US2010008143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ession Reference Network Controller, and Session Reference Network Control Method
TW200843392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shake method thereof
CN111404918A (zh) 一种云手机分布式服务应急认证方法、装置及系统
KR101999142B1 (ko)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CN107426633B (zh) 一种计量仪表抄表系统、通信方法及通信转发装置
KR101808515B1 (ko)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WO2013082897A1 (zh) 应用服务更新方法和装置
KR20150136900A (ko) 무선랜 망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간 로밍을 위한 로밍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방법
CN109561482A (zh) 一种数据获取方法、数据获取装置及智能终端
US8606337B2 (en) Method to control sleep mode, and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990788B1 (ko) 기지국,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KR100782342B1 (ko) 방송 메시지 필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53711B1 (ko)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액세스 프로브 전송전력 제어방법
CN109640327B (zh) 基于物联网的数据通信方法及装置
KR101828500B1 (ko) 디바이스장치 및 디바이스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