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01057A1 - 코골이 방지 베개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01057A1
WO2021101057A1 PCT/KR2020/012878 KR2020012878W WO2021101057A1 WO 2021101057 A1 WO2021101057 A1 WO 2021101057A1 KR 2020012878 W KR2020012878 W KR 2020012878W WO 2021101057 A1 WO2021101057 A1 WO 20211010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ck
head
pillow
snoring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8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백영진
Original Assignee
백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진 filed Critical 백영진
Priority to JP202251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29499B2/ja
Priority to CN202080053328.3A priority patent/CN114173720B/zh
Priority to US17/637,422 priority patent/US11504266B2/en
Publication of WO20211010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010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베개몸체(10)의 상하면 중앙에서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측회전하게 하는 중앙돌출부(101); 베개몸체(10)의 상하면 하부에 형성된 목받침부(102); 중앙돌출부(101)의 양측에 형성되되, 베개몸체(10)의 두께보다 얇은 홈 형태로 된 머리받침부(103); 를 포함하고, 머리받침부(103)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측상방으로 홈이 깊어지면서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측상방으로 젖혀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머리와 목이 측상방으로 젖혀짐에 따라 경추 및 환추후두관절의 만곡의 자세 유도 및 지지를 통해 수면 중 호흡의 순환이 원만하게 유지되어 코골이와 무호흡 및 수면 중 입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05.10.2020] 코골이 방지 베개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자가 수면을 위하여 베개를 베고 누울 때,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머리와 목이 측상방으로 젖혀지게 함으로써 경추 및 환추후두관절의 만곡의 자세 유도 및 지지를 통해 수면 중 호흡의 순환이 원만히 유지되게 하여 수면자의 코골이와 무호흡 및 수면 중 입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코골이 방지 베개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천장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즉, 코골이는 우리가 숨쉬는 동안 공기가 기도로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가 좁아져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없을 때 생기는 것으로서, 우리가 숨을 쉴 때는 공기가 입천장, 목젖, 편도, 혀 등과 같이 유연한 구조물을 지나게 되는데, 수면 중에는 주위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인후부가 좁아지게 되고, 그렇게 좁아진 인후부를 공기가 통과할 때 주변의 부드러운 부분의 틈을 진통시켜 코 고는 소리가 나는 것이다.
한편 매우 심한 형태의 코골이 환자 중에는 수면 중 근육 이완이 심하거나 혹은 심한 비만증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해 호흡을 위한 공기의 통로인 인후부가 일시적으로 완전히 막힐 수 있으며, 이때 공기가 폐로 공급되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수면무호흡증’이라 한다.
한편, 코골이 소리는 물리학적으로 500㎐ 정도의 주파수 특성이 있는 잡음이며, 종종 그 강도가 80~90dB에 이르기도 하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른 일반 직장인들의 작업 현장 소음 노출 수준인 40~60dB을 초과하는 것으로서, 소음 노출이 80dB 이상 지속되는 작업장에서는 방음보호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한 코골이 소리가 얼마나 큰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심한 코골이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에 청각장애(소음성난청)가 유발될 수도 있으며, 매일 수면 중 코골이와 무호흡증이 반복되면 저산소증이 유발되어 심장과 혈관계통에 악영향을 미처 고혈압, 동맥경화, 부정맥, 심장마비 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숙면을 방해하여 낮에도 졸음과 피곤함을 느끼기 때문에 두통이 생기기도 하고, 그로 인해 업무 능력이 저하되며, 주간기면 자극 과민성, 불안감, 우울반응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골이의 치료 방법은 크게 수술적 치료 방법과 비수술적 치료 방법이 있다.
수술적인 치료 방법은 코골이의 원인 부위에 따라 달라지는데, 비강 수술(비중격 만곡 및 하비갑개 비후에 대한 교정술), 인두부 수술(편도 및 구인두의 점막을 절제하는 구개인두 성형술, 고주파 온열 구개술), 설부 축소수술, 두경부 골격수술(이설근전진술과 설골근절개술, 양측 상악전진술) 등의 외과적 수술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과적 수술법은 수술의 종류에 따라 전신 마취 및 수술 후 일정 시간의 입원이 필요하며 몇 주 정도 인두부에 통증이 있으므로 부드러운 음식을 먹어야 하는 등 많은 불편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목젖 전체와 입천장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도 개발되었는데, 레이저 수술은 국소 마취만으로도 수술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몇 주 간격을 두고서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수술해야 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수술적 치료법은 수술에 성공하더라도, 재발의 우려가 있고, 통증, 출혈, 감염, 연하 곤란 등과 같은 수술 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 후에는 식사할 때 음식이 코로 넘어오거나, 음성의 변화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유발될 수 있는 단점도 있다.
코골이에 대한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수면 시, 산소공급장치를 착용하여 기도에 강제로 공기를 밀어 넣는 방법이 있는데, 효과 면에서 가장 탁월하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 고가의 장비를 마련해야 하고, 수면 중 마스크를 코에 대고 있어야 하므로 불편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휴대와 취급이 불편한 단점도 있다.
아울러, 근래에는 수면자가 베개를 베고 잘 때, 수면자의 뒷목 부분을 받쳐주어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인후부가 좁혀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코골이가 방지되게 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수면자의 뒷목을 지지하기 때문에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머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아 장시간 수면 시 뒷목 부분에 많은 하중 부담이 가해지면서 수면 후에도 뒷목이 뻐근하고, 개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수면 중 입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수면 중 입이 벌어지면 입안의 세균 번식을 예방하는 침이 마르면서 세균 번식이 활발해지고 그로 인해 구취 및 치주염의 발생을 유발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수면 중 입이 벌어지면 코로 호흡하는 비강호흡 대신 입으로 호흡하는 구강호흡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구강호흡은 비강호흡에 비해 산소포화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면역력 저하를 유발함에 따라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 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수면 중 입이 벌어진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면, 수면 중 턱관절 및 주변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함에 따라 턱관절 장애 및 그로 인한 안면비대칭을 유발하는 단점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면자가 수면을 위하여 베개를 베고 누울 때,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함(lateral rotation)과 동시에, 머리와 목이 측상방(superior lateral)으로 젖혀지게 하여(extenstion) 경추 및 환추후두관절의 만곡의 자세 유도 및 지지를 통해 수면 중 호흡의 순환이 원만히 유지되게 한 코골이 방지 베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는,
베개몸체(10)의 상하면 중앙에서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측회전하게 하는 중앙돌출부(101);
상기 베개몸체(10)의 상하면 하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목의 신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목받침부(102);
상기 중앙돌출부(101)의 양측에 형성되되, 베개몸체(10)의 두께보다 얇은 홈 형태로 된 머리받침부(103); 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받침부(103)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측상방으로 홈이 깊어지면서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측상방으로 젖혀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돌출부(101)는 돌출 형성되되, 중앙돌출부(10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경사부(101a)는 홈 형태로 된 상기 머리받침부(103) 내면과 이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받침부(102)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제2경사부(102b)가 형성되어 홈 형태로 된 상기 머리받침부(103) 내면과 이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돌출부(101)와 목받침부(102)는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머리받침부(103)로 머리가 안치되게 유도하면서 머리와 목의 측회전과 신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리받침부(103)의 중앙에는 내향으로 경사구배되게 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리받침부(103)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부(103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개몸체(10)의 내부는 완충력을 가지는 쿠션재로 형성되되, 쿠션재의 중심부에는 쿠션재보다 단단한 소재로 된 심재(1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면자가 수면을 위하여 베개를 베고 누울 때,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측상방으로 형성된 안치홈에 의해 머리와 목이 자연스럽게 신전되어, 앙와위(supine) 자세에서 고개를 옆으로 돌린 자세 및 경부의 신전과 측회전 자세를 유도하여 수면 중 기도 유지가 개선됨과 동시에 경추 및 환추후두관절의 만곡의 자세 유도 및 지지를 통해 수면 중 호흡의 순환이 원만히 유지되어 코골이 및 무호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머리의 후측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뒷목에 가해지는 하중 부담이 줄어들면서 편안한 수면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동시에 턱의 닫힘이 유도되어 입 벌어짐 현상이 억제됨으로써 수면 중 입 벌어짐에 따른 각종 질병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는 베개몸체(10)에 중앙돌출부(101), 목받침부(102), 머리받침부(103)가 구비된다.
상기 베개몸체(10)는 외피와 외피 내부에 충진되는 쿠션재로 형성되거나, 전체가 쿠션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베개몸체(10)를 외피와 쿠션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외피 일측에는 쿠션재를 외피 내부에 충진하거나 수납하기 위한 지퍼파스너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피의 소재는 통기성이 우수한 천연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중앙돌출부(101)는 베개몸체(10)의 상하면 중앙에서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돌출 형성되되, 평면상 타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이때, 중앙돌출부(10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경사부(101a)는 홈 형태로 된 머리받침부(103) 내면과 이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수면자가 베개몸체(10)를 베고 누웠을 때 중앙돌출부(101)에 의해 수면자의 머리가 자연스럽게 옆으로 측회전(lateral roatation)하면서 머리받침부(103) 내부에 안치된다.
상기 목받침부(102)는 베개몸체(10)의 상하면 하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목의 신전(extension position)이 이루어지도록 목받침부(102)의 두께는 베개몸체(10)의 평면과 저면 간 두께보다 두껍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받침부(102)의 상부에는 제2경사부(102b)가 형성되되, 제2경사부(102b)는 홈 형태로 된 머리받침부(103) 내면과 이어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돌출부(101)와 목받침부(102)가 만나는 부분에 목이 위치하면 목의 측회전과 목의 신전이 함께 일어나며 머리는 자연스럽게 머리받침부(103)에 위치하여 편안하게 누워있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목받침부(102)에 의해 목이 지지되면서 수면자의 머리가 머리받침부(103)의 오목한 홈 내부로 자연스럽게 안치되어 경추 및 환추후두관절의 만곡의 자세가 유도됨에 따라 기도가 넓어져 호흡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목받침부(102)의 하부에는 내향으로 오목한 요입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머리받침부(103)는 중앙돌출부(101)의 양측에 형성되되, 베개몸체(10)의 두께보다 얇은 홈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머리받침부(103)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측상방, 즉 베개몸체(10)의 모서리 방향으로 홈이 깊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수면자의 머리가 머리받침부(103) 내부에 안치되면 머리받침부(103)의 형상에 따라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자연스럽게 측상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따라서 머리받침부(103)에 안치되는 수면자의 머리 후측방이 머리받침부(103)의 내면에 의해 감싸지게 안치됨에 따라 턱관절이 머리받침부(103)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하악골을 전방으로 밀어 턱이 닫히게 되어 수면 중 수면자의 입 벌어짐이 방지됨과 동시에 수면자의 인두를 넓혀 호흡을 개선한다.
또한, 수면자의 머리 후측방이 머리받침부(103)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머리의 하중이 머리받침부(103) 내에서 고루 분산되면서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 부담을 줄여 장시간 수면으로 인한 목이나 어깨 결림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머리받침부(103)의 각도는 평면상에서 볼 때, 중앙돌출부(10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6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받침부(103)의 각도가 10°보다 적으면 턱관절이 머리받침부(103)의 내면에 밀착되지 않게 되어 수면 중 수면자의 입 벌어짐이 발생하고,
머리받침부(103)의 각도가 60°보다 크면 목 근육이나 어깨 근육의 긴장을 유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머리받침부(103)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부(103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머리받침부(103)의 내부에 수면자의 머리가 안치되면서 머리받침부(103)의 내면에 수면자의 머리 후측방을 감싸게 될 때, 원활한 통기성을 확보하여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상태에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머리받침부(103)의 내부에 안치된 수면자의 귀 부분이 머리받침부(103)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눌리는 것을 방지하여 수면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수면 자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머리받침부(103)의 일측에는 머리받침부(103) 내부에 안치된 수면자의 턱관절을 가압하는 가압돌부(103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머리받침부(103)의 내부에 수면자의 머리가 안치되면서 머리받침부(103)의 내면에 수면자의 머리 후측방을 감싸게 될 때, 가압돌부(103b)가 턱관절과 더욱 긴밀하게 가압되면서 턱관절을 밀어 턱이 닫히게 함으로써 수면 중 수면자의 입 벌어짐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베개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베개몸체(10)의 내부는 완충력을 가지는 쿠션재로 형성되되, 쿠션재의 중심부에는 쿠션재보다 단단한 소재로 된 심재(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심재(104)는 제1심재(104a), 제2심재(104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심재(104a)는 환봉 형태로 되어 중앙돌출부(101)의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면자가 베개본체를 베고 누었을 때 중앙돌출부(101)의 과도한 함몰을 억제하고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여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2심재(104b)는 제1심재(104a)의 양측에서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되어 머리받침부(103)의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수면자가 베개본체를 베고 누었을 때 머리받침부(103)의 과도한 함몰을 억제하고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여 수면자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함으로써 머리의 하중이 머리받침부(103) 내에서 고루 분산되면서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 부담을 줄여 환추후두관절의 만곡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장시간 수면으로 인한 목이나 어깨 결림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심재(104)의 소재는 스펀지, 메모리폼, 라텍스 등과 외부의 물리적 자극이 없을 때는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쿠션감과 탄성력이 우수하여 외부의 물리적 자극을 흡수 완화하고, 물리적 자극이 해소되면 다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심재(104a)와 제2심재(104b)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 형성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소재 및 강도로 형성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베개몸체(10)의 상하면 중앙에서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측회전하게 하는 중앙돌출부(101);
    상기 베개몸체(10)의 상하면 하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목의 신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목받침부(102);
    상기 중앙돌출부(101)의 양측에 형성되되, 베개몸체(10)의 두께보다 얇은 홈 형태로 된 머리받침부(103); 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받침부(103)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측상방으로 홈이 깊어지면서 수면자의 머리와 목이 측상방으로 젖혀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돌출부(101)는 돌출 형성되되, 중앙돌출부(10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경사부(101a)는 홈 형태로 된 상기 머리받침부(103) 내면과 이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받침부(102)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제2경사부(102b)가 형성되어 홈 형태로 된 상기 머리받침부(103) 내면과 이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베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돌출부(101)와 목받침부(102)는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머리받침부(103)로 머리가 안치되게 유도하면서 머리와 목의 측회전과 신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103)의 중앙에는 내향으로 경사구배되게 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베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몸체(10)의 내부는 완충력을 가지는 쿠션재로 형성되되,
    쿠션재의 중심부에는 쿠션재보다 단단한 소재로 된 심재(1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베개.
PCT/KR2020/012878 2019-11-20 2020-09-23 코골이 방지 베개 WO202110105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13250A JP7229499B2 (ja) 2019-11-20 2020-09-23 いびき防止枕
CN202080053328.3A CN114173720B (zh) 2019-11-20 2020-09-23 防打鼾枕头
US17/637,422 US11504266B2 (en) 2019-11-20 2020-09-23 Snoring prevention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52A KR102327808B1 (ko) 2019-11-20 2019-11-20 코골이 방지 베개
KR10-2019-0149352 2019-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1057A1 true WO2021101057A1 (ko) 2021-05-27

Family

ID=7598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878 WO2021101057A1 (ko) 2019-11-20 2020-09-23 코골이 방지 베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04266B2 (ko)
JP (1) JP7229499B2 (ko)
KR (1) KR102327808B1 (ko)
CN (1) CN114173720B (ko)
WO (1) WO2021101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2854B2 (en) * 2020-01-16 2023-11-14 Jacob S. Blackowiak Gaming support pad
WO2022016002A1 (en) * 2020-07-15 2022-01-20 Banyan Licensing L.L.C. Pillow apparatus
USD979286S1 (en) * 2020-08-26 2023-02-28 Jingang YANG Cervical pillow
US11963629B2 (en) * 2020-11-06 2024-04-23 Core Products International, Inc. Therapeutic pillow
USD1022532S1 (en) * 2022-03-03 2024-04-16 Longyin Lan Zero pressure pillow
JP7421668B1 (ja) 2023-01-17 2024-01-24 株式会社イッティ
USD1024618S1 (en) * 2024-01-22 2024-04-30 Xiaoyan Ye Cush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59B1 (ko) * 2013-02-06 2013-08-09 김형태 사용자 체형 맞춤 베개
KR200474341Y1 (ko) * 2014-07-11 2014-09-12 (주)서전에코 경추 베개
KR101825882B1 (ko) * 2017-07-05 2018-02-06 강석종 베개
KR20180031098A (ko) * 2016-09-19 2018-03-28 성민 마 경추 지압 베개
KR20180071218A (ko) * 2018-06-08 2018-06-27 최순극 코골이 방지용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67Y2 (ja) * 1976-03-19 1984-01-17 光由 濱須 まくら
JPS5913897Y2 (ja) * 1976-04-20 1984-04-24 光由 濱須 まくら
US4748702A (en) * 1987-04-14 1988-06-07 Thera-P-Cushion Products Pillow designed to reduce snoring by a user thereof
US5781947A (en) * 1996-11-12 1998-07-21 Sramek; Roger Adjustable cervical pillow with depressions for a user's ears
US5848448A (en) * 1997-03-18 1998-12-15 Ultraderma, Ltd. Pillow with cutouts adapted to accommodate the ear, nose and cheek of a user
JP3225439B2 (ja) * 1998-07-10 2001-11-05 はる代 野口
JP2003102608A (ja) * 2001-09-28 2003-04-08 Inoac Corp
KR100747745B1 (ko) 2005-05-12 2007-08-08 김종수 코골이 방지베개
WO2011007345A1 (en) * 2009-07-13 2011-01-20 Vascocare Patent Limited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body of a subject on a support platform, and a kit of parts and a method for supporting a subject in a supine state on a support platform
NZ607770A (en) * 2010-09-20 2015-06-26 Kim Thi Pham Loan Cervical pillow for treatment of cervical spine diseases
KR101382714B1 (ko) * 2011-09-29 2014-04-08 (주)드로브로스 베개
US10561554B2 (en) * 2014-02-28 2020-02-18 Sy-Wen Horng Head relaxing pillow
TWM489598U (en) * 2014-03-19 2014-11-11 Green-Sweet Mattress Corp Snore reducing pillow
CN203988582U (zh) * 2014-04-30 2014-12-10 绿样实业股份有限公司 减鼾枕
KR101575894B1 (ko) * 2014-07-24 2015-12-08 노근호 베개
US20190069698A1 (en) * 2017-09-06 2019-03-07 Oderbau Furniture Co., Ltd. Pillow
JP3218424U (ja) * 2018-08-02 2018-10-11 ピープル株式会社 乳児用枕及び乳児用枕セット
CA3053039A1 (en) * 2018-08-31 2020-02-29 Andre J.W. Peters Side sleeper anti-snoring and sleep apnea pillow
US20200214481A1 (en) * 2019-01-07 2020-07-09 Robert M. Sexton Customizable, modular, cervical traction multiple-use pillow
US11596247B2 (en) * 2019-05-29 2023-03-07 James Park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US11259657B1 (en) * 2021-05-06 2022-03-01 Jose B Molina Anti-snoring pillow and pillowcase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59B1 (ko) * 2013-02-06 2013-08-09 김형태 사용자 체형 맞춤 베개
KR200474341Y1 (ko) * 2014-07-11 2014-09-12 (주)서전에코 경추 베개
KR20180031098A (ko) * 2016-09-19 2018-03-28 성민 마 경추 지압 베개
KR101825882B1 (ko) * 2017-07-05 2018-02-06 강석종 베개
KR20180071218A (ko) * 2018-06-08 2018-06-27 최순극 코골이 방지용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808B1 (ko) 2021-11-17
JP2022536211A (ja) 2022-08-12
CN114173720A (zh) 2022-03-11
US20220265464A1 (en) 2022-08-25
US11504266B2 (en) 2022-11-22
KR20210061602A (ko) 2021-05-28
CN114173720B (zh) 2022-07-01
JP7229499B2 (ja)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01057A1 (ko) 코골이 방지 베개
WO2009091207A2 (ko) 두형 교정기
CA2764277C (en) Jaw thrust appliance
US20120160249A1 (en) Tongue advancement device for reducing obstructive sleep apnea condition
US6000401A (en) Anatomical apparatus for supporting a person's head
CN112437653A (zh) 口腔器具
JP2013198723A (ja) 上部気道確保補助器具
JPH10508762A (ja) 顎の位置を調節する口内装置
GB2264868A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11517470B2 (en) Lip sealing tape
KR200439343Y1 (ko) 코골이 방지기구
WO2019050232A1 (ko)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
KR101828841B1 (ko)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KR200405903Y1 (ko) 수면중 개구방지를 위한 마스크
KR10093147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US11607336B2 (en)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WO2010019237A2 (en) Pillow
WO2022139379A1 (ko) 코골이 방지기구용 지지베이스
US11246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dibular support
WO2022139378A1 (ko) 전방돌출턱이 구비된 코골이 방지기구
WO2022139377A1 (ko) 코골이 방지기구
NL2023830B1 (en) Ventilation assembly and harness
CN212522126U (zh) 一种医用站立床保护固定头套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20210084192A (ko) 얼굴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898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1325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898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898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