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192A - 얼굴 베개 - Google Patents

얼굴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192A
KR20210084192A KR1020200037680A KR20200037680A KR20210084192A KR 20210084192 A KR20210084192 A KR 20210084192A KR 1020200037680 A KR1020200037680 A KR 1020200037680A KR 20200037680 A KR20200037680 A KR 20200037680A KR 20210084192 A KR20210084192 A KR 20210084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illow
wearer
support
pillow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신 filed Critical 김유신
Publication of KR2021008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54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2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자세로 수면자세를 취할 수 있고, 얼굴도 중력방향으로 향하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릴 수 있는 얼굴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베개는 외면부(110)는 착용자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면부(120)는 착용자 얼굴의 전면부와 측면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면부(120)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착용자 얼굴의 눈,코,입이 노출되면서 공기 통로 역할을 하는 개구(122)가 형성되는 베개 본체(1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굴 베개{Face Pillow}
본 발명은 얼굴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어잘 때 사용자 얼굴의 상악부를 지지하여 사용자 얼굴이 일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얼굴 베개에 관한 것이다.
코를 고는 이유는 아직 온전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코를 고는 것은 해부학적 원인, 비정상적 인두벽, 설근이완 등과 같은 많은 이형의 상호작용의 결과일 수 있다.
비중격 만곡에 의한 비폐색, 편도선의 대설증 또는 후악 또는 미소악과 같은 많은 이형들은 상부 기도를 수축시킬 수 있다.
'양성'코골이에 있어서 인두는 상당히 수축된다. 인두의 통로에 있어서는 이러한 수축은 혀의 뿌리부 뒤로 내려가는 과도하게 긴 연구개 및 목젖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진동은 가청진동, 즉 코골이를 발생시킨다.
코를 심하게 고는 것은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다른 사람들에게 폐를 끼치는 것은 제외하고도, 코를 고는 것은 불충분한 수면을 야기시키고 더 큰 또는 작은 범위로 혈액의 산소처리를 감소시키며, 이것은 생체의 모든 곳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코를 가볍게 고는 사람보다는 코를 심하게 고는 사람이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증과 같은 동맥성 고혈압증 및 심근허혈 문제에 더 자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코를 심하게 고는 사람은 또한 대뇌허혈에 걸리기 쉬운 소질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수면무호흡은 코골이 보다 심한 형태이다. 이 수면무호흡은 보다 크거나 보다 긴 지속기간의 실제 호흡정지와 결합된 심한 코골이로 이루어지는데, 인두의 기도의 전체적인 폐색에 의해 2분에 이르기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밤새도록 지속될 수도 있다.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은 주중 피곤함을 동반한다. 이것은 단순한 만성피로감으로부터 활동중 무의식적으로 잠에 빠져드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코골이를 감소시키거나 없애기 위해서 특수한 베개(국제특허출원 WO-91/11157), 뒤로 누워서 자는 것을 방지하는 기계장치, 다양한 약물, 잠을 자는 사람을 부분적으로 각성시키기 위한 전자시스템, 턱의 벌어짐을 잡아주기 위한 구강내 장치(특허출원 EP0599445 및 국제특허출원 WO-94/28832) 또는 혀를 뒤로 가압시키기 위한 구강내 장치(국제특허출원 WO-92/09249 및 WO-96/25193)와 같은 다양한 수단이 발명되고 시도되어 왔지만, 모든 경우에 있어서 충분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보다 최근에는, 코를 고는 동안 소음을 야기시키는 메커니즘을 보다 잘 이해하게 되었기 때문에, 인두의 수술은 이 문제의 치료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진전을 가져왔다. SAS의 경우에, 호흡정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정압으로 공기(C.P.A.P.:”연속적인 정압공기; Continuous Positive Air Pressur”)를 불어넣도록 인공호흡장치가 개발되었다.
얼굴을 중력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면베개(특허 제10-0680474)가 있으나 이는 얼굴을 중력방향으로 둔 상태에서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안면에 얼굴의 하중을 전부 지지되도록 만들어 긴 시간 같은 자세로 수면을 취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엎드려 누워서 잘 수 밖에 없도록 만들어 호흡을 할 때 흉곽을 들어올리며 호흡을 하여야 하는 바 호흡이 힘들고 많은 에너지 소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모든 종래기술의 방법 및 장치는 효과적이지 않거나 효과적이더라도 값이 비싸고 및/또는 부피가 크고 적어도 환자가 병원 밖에서 사용하기에 곤란하였다.
상하악이격조절장치는 사용자가 복와위 혹은 측와위 상태에서 수면을 취할 때 얼굴을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면베개는 사용자의 복와위 상태에서 안면을 받쳐주되 바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머리의 하중이 안면에 집중되고, 또 동일한 자세로 수면을 취하여야 되므로 인해 긴시간을 같은 자세로 수면을 취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680474호 유럽특허 제EP0599445호 및 국제특허출원 WO-94/28832 국제특허출원 WO-92/09249 및 WO-96/2519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자세로 수면자세를 취할 수 있고, 얼굴도 중력방향으로 향하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릴 수 있는 얼굴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력에 의해 쳐진 하악에 의해 턱관절에 무리가 가거나 턱뼈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얼굴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베개는, 외면부(110)는 착용자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면부(120)는 착용자 얼굴의 전면부와 측면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면부(120)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착용자 얼굴의 눈,코,입이 노출되면서 공기 통로 역할을 하는 개구(122)가 형성되는 베개 본체(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굴 베개는, 외표면은 착용자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표면은 착용자 얼굴의 하악부를 제외한 전면부 및 측면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표면의 하부에는 공기 통로 역할을 하는 개구(122)가 형성되는 베개 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베개는 다양한 자세로 수면자세를 취할 수 있고, 얼굴도 중력방향으로 향하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릴 수 있어, 이전에 사용되던 장치 및 방법의 단점을 모두 회피한, 코골이 및 수면중 호흡정지를 치료하기 위한 간단하고 효과적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장치는 이용하기에 특히 편리하고 코골이 및/또는 수면 중 호흡정지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손쉽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얼굴을 중력방향을 향하여 엎드리거나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고개를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정도 돌린 상태에서 상악부를 지지하며 기울어짐 및 높이를 조절하여 하악부가 상악부로부터 이격되되 입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며, 이격된 상악부 치아 및 하악부 치아 사이로 혀가 쳐지도록 하여 혀뿌리가 최대한 중력에 의해 내려와 자연스럽게 설근이 연구개로부터 이격되어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베개를 받침대에 올려서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베개에서 받침대에 하악 지지부가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베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 베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 베개를 받침대에 올려서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 베개에서 받침대에 하악 지지부가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얼굴 베개는, 사용자가 베개 본체(100)에 얼굴을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엎드려 눕거나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도록 옆으로 눕는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베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의 형상은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면 형상은 사용자 얼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베개 본체(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베개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얼굴을 형상을 감싸면서 내면에 환형 홈이 형성되는 외면부(110)와, 외면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외면부(110)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사용자 얼굴의 상악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내면부(1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면부(110)의 외형(D1~D2)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외면부(110)와 내면부(120)를 동일한 재질로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내면부(120)와 외면부(110)를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할 경우에는 내면부(120)의 재질이 외면부(110)의 재질 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외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야 하며, 내면부(120)는 사용자 얼굴의 상악부를 최대한 부드럽게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외면부(110) 및 내면부(120)의 하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눈 또는 코가 눌리지 않으면서도 공기 공급 통로 역할을 하는 개구(122)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지지부재(120)의 양측 하단은 사용자가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도록 옆으로 누었을때 사용자 얼굴의 광대뼈를 지지하기 위하여 하측 방향으로 광대뼈 지지부(124,126)가 각각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광대뼈 지지부(124,126)는 외면부(110)의 크기보다 더 길게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개 몸체(100)의 밑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착탈방식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도록 옆으로 누을 때 사용자 얼굴의 상악부와 하악부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하악 지지부(200)를 더 포함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00)의 전면에 연결 또는 결합되어, 사용자가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도록 옆으로 누을 때 사용자 얼굴의 상악부와 하악부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하악 지지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악 지지부(200)는 사용자 얼굴의 상악부와 하악부를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하여, 결국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 사이로 혀가 쳐지도록 하여 혀뿌리가 최대한 중력에 의해 내려와 자연스럽게 설근이 연구개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 몸체(100)의 밑면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옆으로 누을 때 베개 몸체(100)의 각도 조절을 안내하고, 취침 자세 고정시 고정된 자세를 유지시키는 받침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개 몸체(100)의 양 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머리를 조일 수 있는 체결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가 베개 몸체(100)를 얼굴에 착용한 상태로 취침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얼굴 베개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 본체(100)에 얼굴을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엎드려 눕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도록 옆으로 누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 본체(100)를 받침대(300)의 상부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경사 조절을 한 다음에 베개 본체(100)에 얼굴을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엎드려 눕거나,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도록 옆으로 누울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하악은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얼굴의 하악을 구성하는 이마는 내부 지지부(120)에 지지되며 광대뼈는 내부 지지부재(120)의 광대뼈 지지부(124,126)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얼굴 베개를 사용하면서 다양한 자세로 수면자세를 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얼굴도 종래와 같이 중력방향으로 향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원하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릴 수 있어, 종래에 사용되던 장치 및 방법의 단점을 모두 회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얼굴 베개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코골이 및 수면중 호흡정지를 치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얼굴의 하악부(320)가 상악부(31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되 입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며, 이격된 상악부(310) 및 하악부(320) 사이로 혀가 쳐지도록 하여 혀뿌리가 최대한 중력에 의해 내려와 자연스럽게 설근(330)이 연구개(340)로부터 이격되어, 결국 중력으로 인해 연구개(340)로부터 설근(330)과 목젖이 하방 이격되므로 기도(350)의 원활한 확보를 통하여 수면 중 폐활량을 높일 수 있게 하여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베개 본체
110... 외면부
120... 외면부
130... 상악 지지부
200... 하악지지부
300... 받침부

Claims (8)

  1. 외면부(110)는 착용자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면부(120)는 착용자 얼굴의 전면부와 측면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면부(120)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착용자 얼굴의 눈,코,입이 노출되면서 공기 통로 역할을 하는 개구(122)가 형성되는 베개 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부(110)의 표면은 반구형 또는 반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몸체(100)의 밑면에 설치되어, 상기 착용자가 중력방향으로 엎드려 자거나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옆으로 누워 잘 때 상기 베개 몸체(100)의 높이와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취침 자세 고정시 상기 베개 몸체(100)의 고정된 자세를 유지시키는 받침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베개.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0)의 상단부에는 상기 베개 몸체(100)의 높이와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취침 자세 고정시 상기 베개 몸체(100)의 고정된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반구형의 안착홈(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베개.
  5. 외표면은 착용자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표면은 착용자 얼굴의 하악부를 제외한 전면부 및 측면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표면의 하부에는 공기 통로 역할을 하는 개구(122)가 형성되는 베개 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베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몸체(100)의 밑면에 상기 착용자에 의해 착탈방식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가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도록 옆으로 누워 잘 때 상기 착용자 얼굴의 상악치와 하악치 사이에 일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상기 착용자의 턱부분을 지지하는 턱 지지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베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턱 지지부(200)는 상기 베개 몸체(100)의 밑면에 설치되어, 상기 착용자가 중력방향으로 엎드려 자거나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옆으로 누워 잘 때 상기 베개 몸체(100)의 높이와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취침 자세 고정시 상기 베개 몸체(100)의 고정된 자세를 유지시키는 받침부(300)의 전면에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베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턱 지지부(200)는,
    상부면에 부착 또는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지지판(210)과;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베개.
KR1020200037680A 2019-12-27 2020-03-27 얼굴 베개 KR202100841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49979 2019-12-27
KR1020190149979 2019-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192A true KR20210084192A (ko) 2021-07-07

Family

ID=7686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680A KR20210084192A (ko) 2019-12-27 2020-03-27 얼굴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419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9249A1 (en) 1990-11-28 1992-06-11 Walter Janos Device to reduce or prevent night clenching and grinding of the teeth and snoring
EP0599445A1 (en) 1992-11-16 1994-06-01 Thomas E. Mead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duction of snoring
KR100680474B1 (ko) 2005-10-07 2007-02-08 김종수 안면베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9249A1 (en) 1990-11-28 1992-06-11 Walter Janos Device to reduce or prevent night clenching and grinding of the teeth and snoring
EP0599445A1 (en) 1992-11-16 1994-06-01 Thomas E. Mead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duction of snoring
KR100680474B1 (ko) 2005-10-07 2007-02-08 김종수 안면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651B2 (en) Head and upper neck support device
US7730891B2 (en)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US9138341B2 (en) Dental appliance
KR102327808B1 (ko) 코골이 방지 베개
JP2012086017A (ja) 頸椎用サポーター
US20080210244A1 (en) Sleep appliance
US20080023011A1 (en) Spousal positional dependent snoring and positional dependent sleep apnea garment
US20070181135A1 (en) Adjustable headgear assembly for sleep apnea patients
CA2764277C (en) Jaw thrust appliance
JP5361991B2 (ja) いびき防止装置
WO2007131045A2 (en)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JP6126575B2 (ja) 顎角部サポート用補助器具
US20140216469A1 (en) Mandibular appliance with oxygen
US20100224197A1 (en) Sleep appliance
US20180185188A1 (en)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KR20170096570A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US2023038101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mouth and jaw disorders
US20130220340A1 (en) Sleep Apnea Prevention
KR20210084192A (ko) 얼굴 베개
US11246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dibular support
KR20240062016A (ko) 기능성 베개
KR20240062029A (ko) 평면형 기능성 베개
US20180250487A1 (en) CPAP Mask Connector and Pillow System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JP7432978B2 (ja) 下顎骨調整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