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474B1 - 안면베개 - Google Patents

안면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474B1
KR100680474B1 KR1020050094316A KR20050094316A KR100680474B1 KR 100680474 B1 KR100680474 B1 KR 100680474B1 KR 1020050094316 A KR1020050094316 A KR 1020050094316A KR 20050094316 A KR20050094316 A KR 20050094316A KR 100680474 B1 KR100680474 B1 KR 10068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ace
sleep
nose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05009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54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이 얼굴 정면을 중력 방향으로 한 상태로 수면 또는 휴식(이하 "수면 등"이라고 함)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베개의 일종이나, 기존의 베개가 앙천(얼굴을 하늘로 보는)의 상태로 수면 등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높낮이 외에 특별한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아 본 발명과는 질적인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엎드려 수면 등 자세를 취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이므로 "엎개"라 칭함이 상당하나 국어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조어이므로 "안면베개"라 칭한다. 본 발명은 얼굴 지지대, 눈과 코의 삽입구, 호흡을 위한 통풍구를 갖추고 있어 얼굴 정면을 중력과 같은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수면 등을 취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구이다.
안면베개, 베개, 수면, 수면과학, 휴식, 대동맥, 돌연사, 심장, 척추디스크, 복부비만, 직립보행

Description

안면베개{pillow for upside-down sleeping}
도1은 본 발명의 3차원등각투시도로서 대표도로서 설명을 위하여 각 부분에 번호를 기재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상단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중단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면과학에 해당하는 분야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라도 수면을 취하지 않고서는 살 수 없고, 건강한 삶을 위하여 편안한 수면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발명의 구성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를 취하고 있음에도 이전에 제작되지 아니한 데에는 인류 발달의 긴 역사 및 신체구조와 깊은 관계가 있다.
인류는 원숭이 종류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종으로 발전하면서 직립보행을 하게 되었다. 직립보행은 자유로운 손동작을 가능하게 하였고, 자유로운 손동작은 주동이로서 음식을 고르거나 취식하는 행위를 불필요하게 만들어 결국 주둥이 - 현생인류의 입 - 가 점차 안면에서 뒤로 후퇴하도록 하였다. 또 한편 직립보행은 주요 내장을 보호하는 갈비뼈와 양쪽 어깨를 신체의 지지 의무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중력방향이 아닌 좌우로 발달하게 하였다.
이러한 신체적 구조변화는 수면 등의 자세에 변화를 주게 되었다. 많은 동물의 경우에는 배를 땅바닥에 대거나, 척추와 배와를 옆으로 뉘여서 자는 것이 편하므로 그렇게 수면 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직립보행으로 인한 신체구조의 변화를 겪은 인간의 경우에는 이러한 자세가 불가능하거나 아주 불편하게 되었다. 즉 동물의 경우에는 얼굴 정면을 땅바닥으로 향하게 하더라도 턱밑이 바닥에 닿아 코로 호흡하거나 머리 전체를 지탱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고, 옆으로 누워도 갈비뼈가 폭이 좁게 같은 방향으로 발달하여 아무런 문제가 없는 반면, 인간의 경우에는 얼굴 정면을 바닥으로 향하면 코가 제일 먼저 바닥에 닿는데 코는 머리 전체를 지탱할 견고한 조직이 아닐 뿐만 아니라 호흡을 곤란하게 만들어 수면 등을 불가능하게 한다. 측면으로 잠을 잘 수는 있으나, 갈비뼈가 좌우로 발달하였고, 그 옆에 어깨가 붙어 있어 옆으로 누우면 신체 전체의 무게가 한쪽 어깨쪽으로 집중되어 수면 등의 자세가 심히 불편하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신체발달사적인 측면에서 인간은 당연히 앙천의 상태로 수면 등을 취하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그러한 자세를 도와주는 수많은 연구가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그와 반대로 엎드려 수면 등을 취할 수도 있다는 부분에 대하여는 생각이 미치지 못하였고, 연구 또한 없었다.
따라서, 이 분야에 관하여 종전에는 기술적 사고라는 것이 아예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앙천 상태로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이 당연한 일로 여기는 인식에서 자세를 바꾸어 엎드려 자는 것을 가능하게 하려는 시도는 인류발달사에 있어 혁명적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수면과학의 새로운 출발이라고 해야 한다.
이제까지 앙천상태로 수면 등을 취하던 방식을 전제로 수면의 생리적 기능,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였다면, 앞으로는 엎드려 하는 수면 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과학적인 데이터는 계속적인 연구 끝에 나오겠지만, 인간의 직립보행을 하기 전 기본적인 신체구조가 형성되는 단계에서 수억년간 취하여 왔던 수면 등의 방법은 당연히 인간의 신체구조와 일치할 수밖에 없어 신체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낳을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은 바로 그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수면과학의 촉발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은 사람이 얼굴 정면을 바닥을 향하여 엎드려 잘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이다. 어떤 이유로 앙천의 상태로 수면을 취할 수 없게 된 사람은 엎드려 수면 등을 취하여야 하나, 그러한 자세는 일시적으로는 가능하나, 수면 등과 같이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그러한 수면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보조기구가 필요한데 아직까지 그러한 보조기구가 발명되지 아니하여 엎드려 수면 등을 취하여야 할 불가피한 경우에도 많은 사람들이 고개를 옆으로 돌려 불편한 자세로 수면 등을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불편을 해소하고 편안하게 엎드려 잘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작된 것이다.
본 발명은 코의 눌림을 방지하고 호흡을 가능하게 해주는 코 삽입구 및 호흡기 통풍로(①), 눈의 과도한 눌림을 방지하기 위한 눈 삽입구(②), 광대뼈 등 얼굴 전면을 이용한 얼굴 지지대(③), 이마의 무게를 지탱하고 이마의 좌우요동을 방지하는 이마지지대(④)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코의 삽입구로서 얼굴 정면이 바닥을 향할 경우에 가장 먼저 바닥에 닿는 것이 코이고, 코는 살과 연골조직으로 되어 있어 머리의 무게를 지탱할 수 없다. 아무런 장치 없이 얼굴 정면을 바닥을 향하여 눕게 되면 코가 뒤로 압박되어 변형되고, 또 코로 하는 호흡이 곤란하게 된다. 눈의 경우는 코만큼은 심하지 않지만 역시 압박을 받으면 불편을 느끼게 되고,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그래서 코와 눈은 깊이에는 차이가 있지만 둘 다 정위치했을 때 바닥과 닿지 않도록 보호해야 할 삽입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재질면에서 상단, 중단, 하단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코, 눈의 눌림을 방지하면서 얼굴을 지탱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한다면 상,중,하단으로 나누는 것은 필요적이지 않다. 그러한 조건을 충족하기 쉽지 아니하므로 재질로 구분하자면 상,중,하단이 필요할 뿐이다. 상단과 하단(⑤)을 구성하는 부분은 바닥과 얼굴을 접하고 있으므로 스폰지 등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하여 안면부가 무게로 인하여 받는 압박을 완화시켜 주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중단(⑥)을 구성하는 부분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어 머리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여 코가 하단에 닿지 않도록 지지해 주고 있다.
코 삽입구 이하 부분은 빈 공간으로 처리하여 호흡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⑦)을 도와 준다. 턱부분에 대한 받침이 없는데 이는 턱부분은 인간이 씹는 동작을 할 때 아구의 상하운동을 위한 부분으로 다른 인체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되어 있지 아니하고, 특히 얼굴 뒤쪽으로는 자연적인 받침도 되기 어려우므로 공간으로 두어 걸려 있는 상태가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은 인간이 엎드려서 수면 등을 취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불편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수면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기구이다.
본 발명은 대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전항에서 본 바와 같이 인류 진화과정에 대한 심오한 이해가 없이는 생각하기 어렵다. 이제까지 누구도 생각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수면방법 내지 휴식방법을 도와주는 것으로 수면생활 등에 대한 획기적인 전환점을 이루게 할 뿐만 아니라 현대 인류의 대표적인 질병이라고 할 수 있는 심장질환에 의한 돌연사를 예방하고, 척추디스크 환자의 고통을 완화 내지 개선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상인으로서도 건강 증진과 체형 교정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필수 생활용품이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효과를 갖고 있다.
첫째로, 수면중 대동맥의 원활한 유통을 확보토록 해 준다. 인간의 대동맥은 내장과 척추 사이에 흐르고 있는바, 이는 가장 중요한 기관인 대동맥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수면 중에도 다른 어떤 것에 의하여 눌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인류가 앙천상태로 수면을 취하고부터 대동맥은 수면중에는 내장에 의하여 압박을 받게 되었다. 특히 영양과다로 인하여 복부비만이 심한 사람에게는 엄청난 내장의 무게가 대동맥을 압박하여 이는 심장에 과부하를 걸어 수면중 돌연사를 유발하는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애초 대동맥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심장 다음으로 중요한 신체기관이므로 갈비뼈의 보호를 받고 있는 심장에서 내장과 척추 사이로 흐르도록 진화하였는데, 그 이후로도 진화가 계속되어 직립보행, 앙천수면상태가 되자 그 종전의 진화 내용과 서로 상충하게 된 것이다.
둘째로, 척추의 부담을 줄여준다. 앙천상태로 수면 등을 취하게 되면 척추도 내장의 무게에 의하여 계속적인 압박을 받게 되는바, 이는 척추디스크의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온갖 보조기구, 침대가 연구, 개발되고 있으나 노동처럼 움직이며 일하는 사람보다 앉아서 사무를 보는 시간이 많은 사람과 서서 대기하는 시간이 많은 사람이 증가함에 따라 척추디스크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척추에 가해지는 이러한 압박은 엎드려 잘 수만 있다면 간단히 해결되는 문제다. 즉 엎드려 있는 동안에는 척추는 내장 위에 떠 있는 상태이므로 외부적인 무게에 의하여 억눌리지 않는다. 동물들에게 척추질환이 없는 것도 위와 같은 원리이다. 인류는 직립보행을 하면서 인류는 앞뒤 무게의 배분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음식이 풍족하지 아니하여 영양상태가 좋지 않을 때에는 척추의 부담이 크지 아니하였으나 현대병인 비만이 증가함에 따라 척추는 앞뒤 균형을 잃고 엄청난 하중을 견뎌야 하는 상태가 되었다. 이 문제도 앞서 본 바와 같이 엎드려 수면 등을 취함으로써 간단히 해결될 수 있다.
셋째로, 등피부의 질환, 치질 등 어떤 사유이든지간에 등을 바닥에 대고 수면 등을 취할 수 없는 사람에게 편안한 수면 등을 위하여 본 발명이 필요하다. 앙천상태로 수면 등을 취하지 못하게 하는 질환이나 사유를 모두 열거할 수는 없지만, 어떤 원인에서든지간에 앙천상태로 수면 등을 취할 수 없는 사람에게 안면베개는 필수품이라 아니할 수 없다.

Claims (1)

  1. 얼굴 정면을 중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하여 누운 자세, 즉 엎드린 자세로 수면, 휴식을 취하는데 이용하는 안면베개로서,
    코의 눌림을 방지하기 위한 코 삽입구와 호흡할 때 나오는 배기의 배출, 흡기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통풍로;
    눈의 눌림을 방지하기 위한 눈 삽입구;
    광대뼈 등 얼굴의 전면을 지지하는 얼굴 지지대:
    이마를 지지하면서 턱에 의하여 좌우요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이마지지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베개
KR1020050094316A 2005-10-07 2005-10-07 안면베개 KR10068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316A KR100680474B1 (ko) 2005-10-07 2005-10-07 안면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316A KR100680474B1 (ko) 2005-10-07 2005-10-07 안면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474B1 true KR100680474B1 (ko) 2007-02-08

Family

ID=3810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316A KR100680474B1 (ko) 2005-10-07 2005-10-07 안면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47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997B1 (ko) 2007-03-08 2008-02-14 기현주 간이용 베개
KR100803922B1 (ko) 2007-02-27 2008-02-15 김종수 무게 분산형 안면베개
KR100970809B1 (ko) 2010-03-11 2010-07-20 노광수 건강 베개
KR20210084192A (ko) 2019-12-27 2021-07-07 김유신 얼굴 베개
KR20220110428A (ko) 2021-01-30 2022-08-08 김유신 자유각도 기능성 베개
KR20240062029A (ko) 2022-11-01 2024-05-08 이휘 평면형 기능성 베개
KR20240062016A (ko) 2022-11-01 2024-05-08 이휘 기능성 베개
KR20240062027A (ko) 2022-11-01 2024-05-08 이휘 자유각도 기능성 베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22B1 (ko) 2007-02-27 2008-02-15 김종수 무게 분산형 안면베개
WO2008105591A1 (en) * 2007-02-27 2008-09-04 Jong-Soo Kim Weight-distribution-type face pillow
KR100802997B1 (ko) 2007-03-08 2008-02-14 기현주 간이용 베개
US9516959B2 (en) 2010-03-11 2016-12-13 Kwang-Soo Noh Health pillow
KR100970809B1 (ko) 2010-03-11 2010-07-20 노광수 건강 베개
WO2011118916A2 (ko) * 2010-03-22 2011-09-29 Noh Kwang-Soo 건강 베개
WO2011118916A3 (ko) * 2010-03-22 2012-02-02 Noh Kwang-Soo 건강 베개
CN102883638A (zh) * 2010-03-22 2013-01-16 鲁光洙 健康枕
GB2493297A (en) * 2010-03-22 2013-01-30 Kwang-Soo Noh Health pillow
CN102883638B (zh) * 2010-03-22 2015-06-10 鲁光洙 健康枕
KR20210084192A (ko) 2019-12-27 2021-07-07 김유신 얼굴 베개
KR20220110428A (ko) 2021-01-30 2022-08-08 김유신 자유각도 기능성 베개
KR20240062029A (ko) 2022-11-01 2024-05-08 이휘 평면형 기능성 베개
KR20240062016A (ko) 2022-11-01 2024-05-08 이휘 기능성 베개
KR20240062027A (ko) 2022-11-01 2024-05-08 이휘 자유각도 기능성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474B1 (ko) 안면베개
CA3068810C (en) Pillow
US7578013B2 (en) Therapeutic positioning device
CN103327855B (zh) 用于减轻打鼾和睡眠呼吸暂停的枕头和床垫
CN103249333B (zh) 枕头
US11627822B2 (en) Anti-wrinkle anatomic pillow
KR101466344B1 (ko) 경추 견인 작용을 하는 수면각도 조절베개
KR10147902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 또는 개선용 수면보조장치
CN211835122U (zh) 便携式俯卧位睡垫
US20170112302A1 (en) Pillow System for Good Health and Sleep
TWM604190U (zh) 俯臥位通氣健康床
JP5968246B2 (ja) 腹臥位用敷き寝具セット
US20170119167A1 (en) Spinal Support Pillow
CN202724244U (zh) 一种理疗按摩床
CN201591388U (zh) 可供趴桌及仰、俯、侧卧睡使用的中空睡枕
CN203354091U (zh) 趴睡支撑架构造
KR100803922B1 (ko) 무게 분산형 안면베개
WO2017187627A1 (ja) うつ伏せ枕
CN215686446U (zh) 一种可呼吸功能保健牡香枕
JP2002272580A (ja) 健康枕
CN109875335B (zh) 一种竹炭枕
CN211608852U (zh) 一种多功能异形枕
JP3130954U (ja)
JP2008167898A (ja) うつぶせ寝用寝具とその補助寝具
JP3203482U (ja) 健康まく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